KR20240049991A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 Google Patent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991A
KR20240049991A KR1020220129586A KR20220129586A KR20240049991A KR 20240049991 A KR20240049991 A KR 20240049991A KR 1020220129586 A KR1020220129586 A KR 1020220129586A KR 20220129586 A KR20220129586 A KR 20220129586A KR 20240049991 A KR20240049991 A KR 20240049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user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5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현선
강민정
오경인
임숙현
김혜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991A/en
Publication of KR2024004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9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 개별서비스를 제공되는 개별서비스영역; 및 상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니즈를 개별서비스에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home appliance; A terminal capable of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an individual service area where individual services are provided; And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through a network and provides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individual service. This system can identify user needs for individual services and provide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ices.

Description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및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정보처리방법, 가전기기의 정보처리시스템, 및 가전기기의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가전기기는 주로 사용자의 집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가사에 도움이 되는 기기를 의미한다. 가전기기는 사용자의 집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전기기의 동작을 예약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5시에 귀가 예정이면 4시30분부터 공조기가 동작하도록 미리 예약해 둘 수 있다. 이 예에 따르면 귀가한 사용자는 청정한 실내환경을 즐길 수 있다. Home appliances mainly refer to devices installed in the user's home to help the user with housework. Home appliances can be fixed in the user's home and operate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s. Users can schedule and operate home appliances. For example, if you are scheduled to return home at 5 o'clock, you can make a reservation in advance to have the air conditioner operate from 4:30 o'clock. According to this example, users who return home can enjoy a clean indoor environment.

가전기기는 와이파이로 예시되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가전기기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하여 가전기기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와 가전기기가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계기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의 동작을 예약해 두지 않았더라도 단말로 실시간으로 가전기기를 예약하거나 동작시킬 수 있다. 상세한 예로, 출근 시에 공조기 동작을 예약하지 않았더라도, 퇴근시에 단말를 통하여 미리 공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Home appliances can access the Internet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Users can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through the Internet. Users can transmit control commands to home appliances through the Internet. In this way, various services are possible because users and home appliances in remote location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has not been scheduled, the home appliance can be reserved or operated in real time through the terminal. As a detailed example, even if you do not reserve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hen going to work, you can operate the air conditioner in advance through the terminal when you leave work.

상기 기술 들에 의해서, 사용자는 더 편리하게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가전기기 예약동작은 실생활을 크게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음에도, 기대만큼의 큰 활용은 안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발명자는 이 문제를 깊이 고민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Through the above technologies, users can use home appliances more conveniently.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se various home appliance reservation operations could greatly change daily life, the reality is that they are not being utilized as much as expected. The inventor thought deeply about this problem and came up with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자는,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예약동작을 하였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동작상태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큰 것을 알았다. 예를 들어, KR20220040439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의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에 따라서, 출수권한의 제한을 둔다. 이에 따라서 안전하게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안전한 사용이라는 장점이 비하여, 사용법이 복잡하고, 음성인식이 안되어 동작이 안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The inventor found that there was a major problem in that even if a user made a scheduled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it did not operate in the desired operating state. For example, there is technology in KR20220040439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his technology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limits access rights based on the recognized voice. Accordingly, there i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the water purifier safely. However, compared to the advantages of safe use, it is complicated to use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does not work due to lack of voice recognition.

발명자는, 제한되는 기능의 예약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관련기능을 알면서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상기 인용문헌에서 본 바와 같이 음성인식실패로 인한 출수기능의 제한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의 니즈에 대응한 적극적인 서비스가 불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해당하는 기능도 사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Since the inventor can reserve limited functions, users often do not use the relevant functions even though they know about them. For example, as seen in the above-mentioned literature, there is a problem of limit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function due to voice recognition failure. Since it is impossible to provide active services that respond to user nee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users do not use the corresponding functions.

그 외의 다양한 경우에 가전기기의 자동운전이, 과도한 에너지 낭비, 불필요한 훼손, 및 원하지 않는 상태의 초래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In many other cases, automatic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may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excessive energy waste, unnecessary damage, and undesirable conditions.

KR20220040439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KR20220040439 Water purifier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일정에 대응할 수 있는 가전기기 정보처리방법, 가전기기 정보처리시스템, 및 가전기기 정보처리장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can respond to a user's schedul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는 중에도 가전기기를 최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가전기기 정보처리방법, 가전기기 정보처리시스템, 및 가전기기 정보처리장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can optimally operate home appliances even when the user is not aware of them.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예약동작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가전기기 정보처리방법, 가전기기 정보처리시스템, 및 가전기기 정보처리장치를 제안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a home applian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further activate reservation operations of home appliances.

본 발명의 더 많은 과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개시되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For further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 개별서비스를 제공되는 개별서비스영역; 및 상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니즈를 개별서비스에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home appliance; A terminal capable of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an individual service area where individual services are provided; And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through a network and provides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individual service. This system can identify user needs for individual services and provide corresponding application services.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전기기 및 상기 단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생활 상의 지침을 수록하고 있을 수 있다. Optionall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ay store a first request from a user using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n a memory using at least one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terminal. Accordingly, it may contain daily life guidelines that users can conveniently use.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것; 상기 기초정보로부터 상기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확인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제 1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요청과 상기 제 2 요청은 관련이 없을 수 있다. 상기 제 1, 2 요청에 함께 대응하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Optionall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s further configured to: receive basic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second request; Confirming the user's second request from the basic information using the individual service; and confirming the first status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The first request and the second request may be unrelated. A resul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requests can be derived together.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제 1 요청에 적합한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가전기기의 상태를 제 1, 2 요청에 함께 대응하도록 그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있다. Optionally, an appli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to confirm the user's first request and perform the user's second request appropriate for the user's first request. Accordingly, the user's life can be kept more convenient and safe. Optionally,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ccordingly, the mode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changed to 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requests together. Users can live more conveniently.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정수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은 복약요청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제 2 요청은 출수요청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복약을 잊지 않고 수행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may be a water purifier. Optionally, the user's first request may be a medication request. Optionally, the user's second request may be an exit request.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medication without forgetting to take it.

선택적으로, 제 1 상태는 절전모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기동시에 우선하여 동작하는 우선동작부분을 동작시키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가전기기는 더욱 신속하게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빨리 가전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first state may be a power saving mode, and the second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a priority operation part that operates preferentially when starting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s operated. Accordingly, home appliances can operate more quickly. Users can use home appliances quickly. Optionally, before providing the application service,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may chang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선택적으로, 상기 응용서비스는 상기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application serv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ccordingly, users can conveniently obtain information.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전기기 및 상기 단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제 2 요청을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것; 상기 기초정보로부터 상기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확인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제 1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를 구분하여 요청을 인식할 수 있다. 요청을 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구분되는 가전기기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tores in a memory a first request from a user using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using at least one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terminal; receiving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 second request from another user; confirming the second request of the other user using the individual service from the basic information; and confirming the first status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Accordingly, requests can be recognized by classifying users. It may be possible to use distinct home appliances corresponding to the user who made the request.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에 적합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안전하게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모와 자식의 관계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Optionally, an application service may be provided to confirm the user's first request and perform the other user's second request that is suitable for the user's first request. According to this, you can use home appliances safely. For example, parents and children can use home appliances safely and conveniently.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신속하게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Optionally, it may include changing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According to this, you can quickly use home appliances.

선택적으로, 상기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제 2 요청의 존재를 상기 단말 및 상기 가전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주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요청사실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Optionally, before providing the application service, the existence of the second request may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nd the home appliance. The main user can check the request information of other users.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요청을 수신한 상기 단말 및 상기 가전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회신에 근거하여, 상기 응용서비스는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더 다양하고 안전한 가전기기의 사용양태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는 중에도 가전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application service may be changed based on a reply from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nd the home appliance that received the second request. Accordingly, more diverse and safer usage patterns of home appliances can be obtained. Home appliances can be conveniently used even when the user is not aware of them.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정수기이고, 상기 사용자는 보호자이고, 상기 다른 사용자는 어린이일 수 있다. Optionally,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may be a water purifier, the user may be a guardian, and the other user may be a child.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제 2 요청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적어도 한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user's first request from a user using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using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and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used by the user. memory to store in advance; And it may include a confirmation module that checks the operating state of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n response to the second request. Accordingly, a request from at least one user can be confirmed.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의 어느 하나의 동작상태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결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n operation determination module that changes the operation state of one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in response to the second request.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확인한 후에 상기 사용자 제 1 요청에 적합하도록 제 2 요청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결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n operation decision module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ser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request, to confirm the user's first request and then perform a second request to suit the user's first request. It can be included.

선택적으로, 상기 동작결정모듈은, 상기 가전기기의 내부의 구성 중에서 일정 부분만 우선 동작하도록 하는 동작순서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가전기기의 동작순서를 제어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operation determination module may include an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that allows only a certain por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o be operated first. Accordingl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control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은, 제 1 요청을 미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 정보처리장치가 노드로부터 제 2 요청을 의미하는 트리거신호를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트리거신호에서 상기 제 2 요청을 파악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 1 요청과 제 2 요청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이를 식별하고 사용자에게 바람직한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oring a first request in advance in a memor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ceives a trigger signal indicating a second request from the nod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ay recognize the second request from the trigger signal using an individual service. According to this, even when the first request and the second reques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m and provide a desirable application service to the user.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 1 요청을 확인하는 것; 및 상기 제 1 요청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 2 요청을 변경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는 중에도, 사용자에게 더욱 바람직하게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at least one home appliance; confirming the first request stored in memory to provide an applic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quest; And the appli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by changing the second request to suit the first request. Accordingly, application services can be provided more preferably to the user even without the user being aware of it.

선택적으로, 상기 응용서비스는 상기 제 2 요청과는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결과적으로 바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학적으로 도움이 되는 생활을 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application service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request. 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ervice that the user ultimately desires. For example, you can live a medically assisted life.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요청은 사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사용자 이미지의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신속하게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이용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second request may be delivered in the form of the user's voice or the user's image. Accordingly, users can quickly use home appliances.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요청은 정수기의 출수요청이고, 상기 제 1 요청은 복약요청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복약을 잊지않고 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second request may be a request to discharge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and the first request may be a request for medication. Accordingly, you can avoid forgetting to take your medication.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요청은 정수기의 출수요청이고, 상기 제 1 요청은 어린이에 대한 정수기의 사용제약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정수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second request may be a request to discharge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and the first request may be a restriction on the use of the water purifier for children. According to this, the water purifier can be used safely.

선택적으로, 상기 응용서비스는 상기 복약요청을 준수하는 방식의 정수기의 사용안내일 수 있다. 복약에 적합한 물을 취식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application service may be a guide to using the water purifier in a way that complies with the medication request. You can be guided to drink water suitable for taking medications.

선택적으로, 상기 응용서비스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지에 있는 경우에도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application service can be received by the user's terminal. Users can lead a healthy life even when they are in a remote location.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정수기를 포함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 water purifier.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요청의 사용자와 상기 제 2 요청의 사용자는 다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의 수행 시에 상기 제 1 요청의 사용자의 단말로 제 2 요청을 알리는 것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요청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회신을 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안전한 방식으로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Optionally, the user of the first request and the user of the second request may be different. Optionally, the second request may be notified to the terminal of the user of the first request when performing the applic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quest. Optionally, it may include receiving a reply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of the first request. Accordingly, home appliances can be used in a safe manne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일정과 상황을 알리는 것만으로 가전기기 예약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예약동작을 인식하지 않는 중에도 스스로 가전기기의 최적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hange the reservation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simply by informing the user of his or her schedule and situation.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optimal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is possible even when the user is not aware of the reserved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기기의 예약동작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실제 일정에 맞추어 에너지 저감환경에서 가전기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re is no scheduled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home appliance in an energy-sav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r's actual schedule.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기기의 동작과 사용자의 일정이 매칭되는 인공지능작업에 의해서, 사용자의 생활이 윤택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s life is enrich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asks that match th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and the user's schedule.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기기의 예약동작이 더욱 활성화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을 더 편리하게 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ervation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is further activated, thereby providing the advantage of making the user's life more convenient.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가전기기가 협업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최적의 실내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home appliances can perform cooperative operation. According to this, an optimal indoor environment can be establish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건강에 더욱 기여하는 가전기기의 협업운전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aborativ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that further contributes to the health of users is possible.

본 발명의 더 많은 효과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개시되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For fur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 to the cont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더 구체적으로 보이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실시예의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학습모델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의 흐름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실시예의 정보처리방법의 인터페이스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실시예의 정보처리방법의 인터페이스를 보이는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흐름도.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흐름도.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흐름도.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흐름도.
1 is a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showing the cloud system in more detail.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a home appliance in an embodiment.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learning model.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fac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embodiment.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fac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embodiment
Figure 8 i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0 i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나 구성요소에 대한 한정사항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사상이 구현되는 많은 실시예를 가질 수 있고, 각 실시예는, 어느 일 부분이 다른 실시예의 대응되는 부분 또는 연관작용을 하는 부분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예들 중 어느 하나이거나 2개 이상이 조합된 예일 수 있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see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including the addition of limitations on components or elements, It can be easily proposed by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it is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many embodiments in which the idea is implemented, and in each embodiment, any part may be replaced with a corresponding part or a related part of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f the examples presented below,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출원에서 정보처리방법, 정보처리시스템, 및 정보처리장치는, 같은 발명사상을 다른 측면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부족한 부분은 다른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충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어느 부분은 다른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확장, 변경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xamine the same inventive idea from different aspects. Any shortcomings in one embodiment can be supplemented by explanation of other embodiments. Any part of one embodiment may be expanded or change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another embodiment.

도면이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may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appl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equivalents, and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출원에서, 가전기기에는 같은 류의 기기이면서도, 집이 아닌 상업적인, 공익적, 및 기타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home appliances may also include devices of the same type, but used for commercial, public, and other purposes other than at home.

본 출원에서, 서비스는 특정의 목적을 위하여 요청에 대한 처리결과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는 서비스모듈의 약칭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또는 특정 하드웨어에서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범용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소정의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the service may include a processor that provides processing results for requests for a specific purpose. At this time, service may be an abbreviation for a service module. Here, the processor may include hardware, software running on specific hardware, or software running on general-purpose hardware. The service may refer to certain data.

본 출원의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단계(예를 들어, S1)가 제 2 단계(예를 들어, S2)의 앞에 위치하더라도 반드시, 제 1 단계가 제 2 단계보다 선행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내용에 따라서, 그 단계는 바뀔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if the first step (eg, S1) is located before the second step (eg, S2), the first step does not necessarily precede the second step.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embodiment, the steps may chang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을 보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은 사용자 영역(1)과, 운용자 영역(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영역(1)은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지배영역일 수 있다. 상기 운용자 영역(2)은 가전기기를 제공하거나 시스템을 운용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용자의 지배영역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may include a user area (1) and an operator area (2). The user area 1 may be a dominant area for users who use home appliances. The operator area 2 may be the control area of an operator who provides home appliances, operates a system, or provides services.

상기 사용자 영역(1)에는 건물(1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물(1a)에는 가전기기(1b)가 놓일 수 있다. 상기 건물(1a)은 네트워크가 연결되는 어떠한 구조물과 연계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1b)는 안마기, 정수기, 청소기, 의류관리기, 냉장고, 세탁기, 공기청정기, 조리기, 및 공조기 등의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자동차, 식물재배기, 및 펌프 등의 여러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영역(1)에는 단말(1c)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1c)을 이용하여 사용자(1d)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1c)은 네트워크가 연결되는 어떠한 구조물과 연계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가전기기에 부합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단말 간의 직접 또는 간접의 상호작용을 위하여 적어도 두 개가 포함될 수 있다. The user area 1 may include a building 1a. Home appliances 1b can be placed in the building 1a. The building 1a may be connected to any structure to which a network is connected. The home appliance 1b may include home appliances such as massagers, water purifiers, vacuum cleaners, clothes care machine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air purifiers, cookers, and air conditioners.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various devices such as automobiles, plant cultivators, and pumps. The user area 1 may include a terminal 1c. The user 1d can perform communication using the terminal 1c. The terminal 1c can be linked to any structure to which a network is connected. The terminal may be compatible with the home appliance. The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one. The terminal may include at least two for direct or indirect interaction between terminals.

상기 운용자 영역(2)에는 서버(2c)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버(2c)는 본 발명의 정보처리장치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2c)는 상기 가전기기를 운용하는 운용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전기기의 운용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서버(2c)는 상기 단말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버(2c)는 상기 가전기기의 제조사의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서버(2c)는 상기 가전기기의 운영사의 서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가전기기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품질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2c)는 상기 가전기기(1b)와 통신하는 제 1 서버(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c)는 상기 단말(1c)와 통신하는 제 2 서버(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버(2a)(2b)는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버(2a)(2b)는 분리되지 않고 단일의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버(2a)(2b)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우드 시스템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The operator area 2 may include a server 2c. The server 2c can perform at least some functions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2c may be an operation server that operates the home appliance. In this cas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obtained. The server 2c may be a communication serv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The server 2c may be a server of the manufacturer of the home appliance. The server 2c may be a server of an operator of the home appliance. In this case, management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quality control can be performed. The server 2c may include a first server 2a that communicates with the home appliance 1b. The server 2c may include a second server 2b that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1c. The first and second servers 2a and 2b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ervers 2a and 2b may not be separated but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device. The first and second servers 2a and 2b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cloud system.

상기 제 1 서버(2a)는 상기 가전기기(1b)의 운용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전기기(1b)의 운전시간, 운전모드, 및 고장상태 등의 사용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서버(2a)는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버(2b)는 상기 단말(1c)로 가전기기(1b)의 운용상태, 및 필요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요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와 관련하여 사용자(1d)에게 도움이 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버(2b)는 상기 단말(1c)로 부터의 요청정보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청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가전기기(1b)의 제어정보일 수 있다. The first server 2a may receive us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home appliance 1b. For example, usage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time, operation mode, and failure status of the home appliance 1b can be received. The first server 2a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second server 2b can transmit the operating status of the home appliance 1b and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c. Here, the necessary informa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helpful to the user 1d in relation to the home appliance. The second server 2b can receive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c. Here, the request information may be control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1b) desired by the user.

상기 제 1 서버(2a)는 상기 제 2 서버(2b)로 상기 가전기기(1b)의 상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버(2b)는 상기 제 1 서버(2a)로 상기 가전기기(1b)의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버(2a)는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는 사용자의 니즈에 대응하는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rver 2a may transmit status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1b to the second server 2b. The second server 2b may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1b to the first server 2a. The second server 2a can provide services to users. Here, the service may include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in response to the user's needs.

상기 서버(2c)와 상기 가전기기(1b)와 상기 단말(1c)와 상기 사용자(1d)의 상호 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rver 2c, the home appliance 1b, the terminal 1c, and the user 1d will be briefly described.

상기 서버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모든 가전기기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서버에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요청은 상기 가전기기을 통해서 서버로 접수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서비스 요청을 신청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및 컴퓨터 등의 통신 모듈을 가지는 기기들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The server can manage all home appliances that are the target of the service in order to perform the service. The home appliance is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communication and can execute commands sent from the server. The service request may be received by the server through the home appliance. The terminal can apply for a service request. The terminal may refer to devices having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mobile phones, smartphones, laptops, and computers. The terminal can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server. The server can communicate with the home appliance.

상기 가전기기는 고유 디바이스 ID를 가질 수 있다. 상기 ID는 상기 서버에 등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가 상기 서버에 억세스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 ID를 통해 그 가전기기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는 상기 디바이스 ID와 함께, 그 가전기기의 특성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may have a unique device ID. The ID may be registered and managed on the server. When the home appliance accesses the server, the server can specify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device ID. The server may man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along with the device ID.

상기 가전기기는 건물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건물 내의 AP를 통해 안정적으로 상기 서버와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서버를 거쳐 상기 가전기기과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The home appliance may be fixed within a building. Stable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may be possible through an AP within the building. The terminal may communicate indirectly with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server.

사용자는, 상기 서버에 등록된 가전기기에 대해서는 그 가전기기을 통해서 서비스를 요청하여 받을 수 있다. 그러나 가전기기을 통해 서버로 해당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말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기기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단말에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Users can request and receive services for home appliances registered on the server through the home appliances. However, it may not be easy to request the service from the server through a home appliance. In this case, the service can be requested from the server through a device carried by the user, such as a terminal. To achieve this, an application program capable of implementing this may be installed on the terminal.

사용자는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가전기기의 고유 디바이스 ID를 입력하면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서버가 운용하는 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자신이 보유한 가전기기을 모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서버에 등록된 가전기기들은 서버에 해당 사용자 ID와 함께 등록될 수 있다. 상기 사이트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사용자 ID와 사용자 ID와 매칭된 가전기기의 고유 디바이스 ID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가전기기에 관련된 가전기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와 가전기기 정보는 매칭되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Users can request service by accessing the server and entering the unique device ID of the home appliance for which they wish to receive service. Users may be given a user ID and password. Users can log in to the site operated by the server and register all of their home appliances. Home appliances registered to the server may be registered to the server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user ID. This can be done by transmitting the user ID and the unique device ID of the home appliance matched with the user ID to the server through the site. Through these processes, the server can store us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nd home appli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User information and home appliance information can be matched and stored on the server.

사용자는, 단말에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서 상기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여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을 출원인의 ThinQ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응용프로그램으로 자신이 보유한 가전기기을 모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원격 서비스를 위해 마련될 수 있다. The user can register as a member of the site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erminal and be given a user ID and password. The user can recognize the application as the applicant's ThinQ app. Users can register all of their home appliances with the abov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may be provided for remote service of at least one home appliance.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고 서비스 수행 및 완료 등과 같은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의 처리과정은, 상기 사이트, 상기 단말, 및 상기 가전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버에 서비스요청이 접수되는 것, 상기 서비스 요청을 서버가 요청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것, 및 처리코드에 따라서 해당 서비스를 위한 명령이 수행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Users can request services through the terminal and easily obtain information such as service performance and completion. The service processing process includes receiving a service request to a serv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site, the terminal, and the home appliance, processing the service request by the server, and processing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ode. This may include executing a command for a service.

도 2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더 구체적으로 보이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showing the cloud system in more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정보처리시스템은. 개별서비스영역(10)과 응용서비스영역(11)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에서는, 실시예의 정보처리방법,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시스템을 동작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기초정보는 응용서비스를 요청하는 최초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수를 요청하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사용자가 컵을 들고 정수기에 접근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음성은 기초정보로서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의 서비스는 그 음성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f the embodiment. It can be divided into an individual service area (10) and an application service area (11).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basic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f the embodiment can be processed. The basic information may be the first information for requesting an application service. For example, it may be the user's voice requesting water discharge or an image of the user approaching the water purifier while holding a cup. The voice is basic information, and the service of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voice.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에는 개별 서비스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응용서비스영역(11)은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으로부터 공급되는 개별서비스를 응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응용서비스영역(10)에는 응용 서비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하드웨어와 그 하드웨어에서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a)(2b)는 클라우드 시스템(3)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서버(2a)(2b)는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의 일 구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나, 이해의 편의 및 동작 상의 차별점으로 인하여 도면과 같이 구분하여 표시한다.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for individual services. The application service area 11 can provide application services to users by applying individual services supplied from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The application service area 1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for application services. The processor may include hardware and software running on the hardware. The servers 2a and 2b may be implemented on the cloud system 3. The servers 2a and 2b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of the cloud system, but for ease of understanding and differences in operation, they are displayed separately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응용서비스영역(11)에는, 가전기기(1b)와, 서버(2c)가 놓일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이미 설명한 다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가전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응용서비스영역에서 제공하는 응용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요청한 서비스, 사용자가 간접 요청한 서비스, 사용자가 요청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사용자가 요청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용서비스는 상기 서버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가전기기의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단말 또는 가전기기를 통하여 사용자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application service area 11, a home appliance 1b and a server 2c can be placed.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 number of devices already described. The server may communicate with the home appliance. Application services provided in the application service area may include services directly requested by the user, services indirectly requested by the user, services that can be considered requested by the user, and services that can be assumed to have been requested by the user. The application service can be determined by the server. The server can control home appliances. The server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home appliances. The server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hrough a terminal or home appliance.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에는, 클라우드 시스템(3)와 엣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엣지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단말(1c)를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단일 개인의 단말을 벗어나 적어도 두 개의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3)은, 대용량 및 고속의 정보처리능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은, 서비스의 동작에 많은 자원이 소요되는 중량개별서비스(35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엣지 디바이스는 소용량 및 저속의 정보처리능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엣지 디바이스는, 정확도에 비하여 고속동작이 요구되는 경량개별서비스(351)을 제공할 수 있다.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may include a cloud system 3 and an edge device. The edge device may be a user's terminal 1c as an example. Here, the terminal may mean at least two terminals beyond the terminal of a single individual. The cloud system 3 can have large capacity and high-speed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The cloud system can perform a heavy individual service 352 that requires a lot of resources to operate the service. The edge device may have small capacity and low-speed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The edge device can provide a lightweight individual service 351 that requires high-speed operation relative to accuracy.

상기 서버(2c)는, 상기 단말(1c)의 요청, 상기 가전기기(1b)로부터의 요청, 및 미리 설정된 요건의 충족 등 여러 요청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The server 2c may initiate service in response to any one of several requests, such as a request from the terminal 1c, a request from the home appliance 1b, and fulfillment of preset requirements.

상기 서비스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서버(2c)는 요청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는 메모리(4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요청 서비스의 수행을 위하여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의 서비스를 적어도 하나 호출할 수 있다. 서버는 개별서비스영역의 서비스를 두 개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신속한 수행이 요청되는 개별서비스는 엣지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정확한 수행이 요청되는 개별서비스는 클라우드 시스템(3)을 이용할 수 있다. If there is a request for the service, the server 2c can perform information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servi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by referring to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40. The server may call at least one service of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to perform the requested service. The server can us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ices from individual service areas. The server can use edge devices for individual services that require rapid performance. The server can use the cloud system 3 for individual services that require accurate performance.

상기 요청 서비스의 수행결과는, 사용자에게의 보고, 가전기기의 제어, 및 정보저장 등과 같은 다양한 형식일 수 있다. 상기 요청 서비스의 수행결과는 상기 요청 서비스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requested service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reporting to the user, controlling home appliances, and information storage. The performance result of the requested service may correspond to the requested service.

상기 요청 서비스의 수행과정 및 수행결과는, 상기 단말(1c) 및 상기 가전기기(1b)에 통보할 수 있다.The performance process and results of the requested service can be notified to the terminal 1c and the home appliance 1b.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에는 다수의 개별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별서비스는 클라우드의 가상/물리 머신, 가상/물리 박스, 가상/물리 스위치, 및 클러스터 등의 다양한 서비스 노드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A number of individual services may be provided in the cloud system. The individual service may be performed by various service nodes such as cloud virtual/physical machines, virtual/physical boxes, virtual/physical switches, and clusters.

상기 개별서비스영역은, 클라우드 및 엣지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외부에 대하여 관리서비스(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비스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비스는 클라우드 및 엣지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별서비스영역은,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식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표현서비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서비스영역은,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는 버틀러서비스(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서비스영역은, 상기 버틀러서비스의 성능향상 및 서비스의 성능향상을 위한 인식강화서비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서비스영역은, 인식서비스(35)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dividual service area may include an external management service 31 that manages cloud and edge devices. The management service may include an interface. The management service can be provided to cloud and edge devices. The individual service area may include an expression service 32 that provides a method to increase recogn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he individual service area may include a butler service 33 that identifies the user's needs. The individual service area may include a recognition enhancement service 34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butler service and the service. The individual service area can provide recognition service 35.

상기 개별서비스 각각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개별서비스는 이하에 제시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above individual servic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individual services may include various services presented below.

상기 관리서비스(31)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I는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일 수 있다. 일종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며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API는 엣지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ice 31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The API may be a connection between computers or computer programs. It is a type of software interface and can provide services to other types of software. The API can be applied to edge devices.

상기 관리서비스(31)는 API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I 게이트웨이는 실제 백엔드 서비스 또는 데이터와 접속하고 API 호출에 대한 정책, 인증 및 일반 액세스 제어를 적용하여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하는 트래픽 관리자일 수 있다. 이상기 API 게이트웨이는, 인증/인가, 보안, 통계,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REST API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처 스타일의 디자인 원칙을 준수하는 API일 수 있다. REST API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적용되는 여러 원칙을 준수하는 것을 말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ice 31 may include an API gateway. The API gateway may be a traffic manager that connects to the actual backend service or data and protects sensitive data by applying policies, authentication, and general access controls to API calls. Lee Sang-gi's API gateway can perform authentication/authorization, security, statistics, and monitoring. A REST API may be an API that adheres to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rchitectural style. REST API can be said to comply with several principles applied in cloud services.

상기 표현서비스(32)는, TTS(text-to-speech), 즉 음성합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TS는, 말소리의 음파를 기계가 자동으로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모델로 선정된 사람의 말소리를 녹음하여 일정한 음성 단위로 분할한 다음, 부호를 붙여 합성기(speech computer, speech synthesizer)에 입력하였다가 지시에 따라 필요한 음성 단위만을 다시 합쳐 말소리를 인위로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상기 TTS는 다양한 구현방식을 가질 수 있다. The expression service 32 may include text-to-speech (TTS), that is, voice synthesis. The TTS is a technology in which a machine automatically generates sound waves of speech sounds. For example, the speech sounds of a person selected as a model were recorded, divided into certain speech units, then coded and input into a speech synthesizer (speech computer, speech synthesizer). Then, according to instructions, only the necessary speech units were recombined to create speech sounds artificially. It is a technology that creates The TTS may have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상기 표현서비스(32)는, AI음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I음향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소리를 듣고 어떠한 상황인지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명소리 또는 차량의 급정거를 소리를 듣고서 판단할 수 있다. The expression service 32 may include AI sound. The AI sound refers to a technology that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listen to sound and recognize the situation. For example, a scream or a sudden stop of a vehicle can be judged by listening to the sound.

상기 표현서비스(32)는, 표정(appearance)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정기술은 얼굴을 보고서 느낌을 추정하는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The expression service 32 may include appearance technology. An example of the facial expression technology is technology that estimates feelings by looking at a face.

상기 Butler 서비스(33)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인식한 결과인 텍스트, 이미지 정보, 센서 정보, 및 상황 정보 등을 입력 데이터로 받아 사용자의 프로파일, 맥락, 및 지식 기반으로 판단하여 자연스러운 제어와 응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버틀러 서비스는, 입력으로 받은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인식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버틀러 서비스는, 지식관리시스템(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에 구축 지식 기반으로 판단하여 외부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Butler 서비스(33)는, 사용자 행동분석, 외부지식연결, 외부지식분석, 상황판단 및 대응제안, 및 의도수행판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utler service (33) receives text, image information, sensor information, and situation information, which are the results of recognizing the user's voice input, as input data, and judges it based on the user's profile, context, and knowledge to provide natural control and response. It can be made possible. The Butler service may use recognition technology to analyze data received as input. The Butler service can be linked to external services by determining it as a knowledge base built on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 The Butler service 33 may include user behavior analysis, external knowledge connection, external knowledge analysis, situation judgment and response proposal, and intention execution judgment.

상기 Butler 서비스(33)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AI 모듈의 기능들을 활용하여 대화 문맥, 사용자 상황에 맞는 제어와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Butler 서비스(33)에 의해서 자신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를 느낄 수 있다. The Butler service 33 can provide control and response tailored to the conversation context and user situation by utilizing the functions of the AI module that existed independently. Users can feel customized services for themselves through the Butler service 33.

상기 Butler 서비스(33)가 외부지식에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게이트웨이(service gateway)는 외부의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이다. 상기 게이트 웨이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나 소프트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일 수 있다. The Butler service 33 may include a service gateway that can access external knowledge. The service gateway is a gateway for accessing external services. The gateway may refer to a computer or software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s and protocols in a computer network. For example, it may be a network point that acts as an entrance from one network to another network.

상기 인식강화서비스(34)는 학습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강화서비스(34)는 계속학습(Continual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속학습(Continual Learning)은, 하나의 모델을 조금씩 업그레이드 시키면서, 여러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드는 방법이다. 다른 표현으로는, 이전에 학습된 데이터를 잊지 않으면서, 새로 학습을 할 때마다 새로운 데이터/태스크를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모델의 성능을 향상하는 방법이다.The recognition enhancement service 34 may include a learning processor. The cognitive enhancement service 34 may include continuous learning. Continual learning is a method of making one model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tasks by upgrading it little by little. In other words, it is a method of improving model performance by continuously learning new data/tasks each time new learning is done, without forgetting previously learned data.

상기 인식강화서비스(34)는,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는, 개체, 사건 또는 개념과 같은 실체에 대한 상호 연결된 설명 모음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지식 그래프는 컨텍스트 내의 링킹 및 의미론적인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데이터 통합, 통일, 분석, 및 공유를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enhancement service 34 may include a knowledge graph. The Knowledge Graph may refer to a collection of interconnected descriptions of entities such as entities, events, or concepts. The knowledge graph can store linking and semantic metadata within the context. This approach can provide a framework for data integration, unification, analysis, and sharing.

상기 인식서비스(35)는, 스피치(speech)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치모듈은 다양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치 모듈은 원격지의 사용자가 가장 정확하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피치 모듈은 다른 모듈에 비하여 많이 발전하였다. The recognition service 35 may include a speech service. The speech module may include various processors. The speech module can be used most accurately and conveniently by remote users. The speech module has developed a lot compared to other modules.

상기 스피치 서비스는, 음성신호처리(SSP: Speech Signal Processing)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신호처리서비스는 음성 통신, 음성 인식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기능이다.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원은 주변에서 발생한 여러 잡음이 포함되어 있어 품질이 좋지 않다. 낮은 품질의 음원은 음성 통화나 음성 인식 프로그램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SSP 엔진을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음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peech service may include a speech signal processing (SSP) service. The voice signal processing service is a function for applications such as voice communication and voice recognition. The sound source input to the microphone is of poor quality because it contains various noises from the surrounding area. Since low-quality sound sources cannot be used as is in voice calls or voice recognition programs, the SSP engine can be used to remove nois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sound source.

상기 스피치는, 음성인식(ASR:Automatic Speech Recognition)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인식서비스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냉수'라는 소리를 '냉수'이라는 단어로 바꿀 수 있다. The speech may include a voice recognition (AS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ervice. The voice recognition service can provide a service that receives the user's voice data and converts the voice into text. The sound ‘cold water’ can be changed to the word ‘cold water’.

상기 스피치는, 자연어처리(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자연어처리서비스는 사람의 언어인 자연어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의미 구조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냉수'이라는 단어를, 냉수: 차가운 물을 원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peech may include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servic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ice can mean converting natural language, which is human language, into a semantic structure that machines can understand. The word 'cold water' can mean understood as cold water: wanting cold water.

상기 스피치는, 하이브리드 트리거 단어 감지(HTWD: Hybrid Trigger Word Detection)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HTWD 서비스는 기동어의 오인식을 최소화하기 위해 1차로 임베디드 기반의 기동어 검출을 수행하고, 2차로 서버 기반의 기동어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peech may include a Hybrid Trigger Word Detection (HTWD) service. The HTWD service may include firstly performing embedded-based startup word detection and secondly performing server-based startup word detection to minimize misrecognition of startup words.

상기 스피치는, 트리거 단어 감지(TWD: Trigger Word Detection)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TWD서비스는 음성 데이터 세트를 구성하고 트리거 단어 감지 (키워드 감지 또는 웨이크 워드 감지라고도 함)를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트리거 단어 감지는 Amazon Alexa, Google Home, Apple Siri 및 Baidu DuerOS와 같은 장치가 특정 단어를 듣고 기기가 기동하도록 할 수 있다. TWD는 작은 용량의 엔진으로 기동어 검출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수 한 컵줘'라는 말을 할 때, '냉수'이라는 말을 기동어로서 검색할 수 있다. The speech may include a Trigger Word Detection (TWD) service. The TWD service can construct speech data sets and implement algorithms for trigger word detection (also known as keyword detection or wake word detection). Trigger word detection allows devices such as Amazon Alexa, Google Home, Apple Siri, and Baidu DuerOS to hear a specific word and trigger the device to wake up. TWD may mean performing maneuver word detection with a small capacity engine. For example, when a user says, ‘Give me a cup of cold water,’ the word ‘cold water’ can be searched as a trigger word.

상기 스피치는, 동시 기동어 제어(MWA: Multi-device Wakeup Arbitration)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MWA 서비스는 여러 기기가 동일한 기동어를 동시에 인식했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기기를 선택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MWA 서비스는 사용자의 방향, 거리 등을 측정해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가장 잘 인식할 수 있는 기기를 선택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기, 텔레비전, 및 오븐에 동시에 기동어가 인식되었을 때, 어느 하나의 적합한 기기를 선택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peech may include a Multi-device Wakeup Arbitration (MWA) service. The MWA service may be a service that selects the most appropriate device for the user when multiple devices recognize the same startup word at the same time. The MWA service measures the user's direction, distance, etc., selects the device that can best recognize the user's voice commands, and provides feedback to the user. For example, when a startup word is recognized for an air conditioner, a television, and an oven at the same time, a service for selecting a suitable device can be provided.

상기 스피치 서비스 중에서, 상기 음성신호처리(SSP: Speech Signal Processing) 서비스, 및 상기 트리거 단어 감지(TWD: Trigger Word Detection)서비스는 엣지 디바이스(1c)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두 서비스는 경량이기 때문에, 엣지 디바이스의 용량에 충분히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두 서비스는, 엣지 디바이스의 용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Among the speech services, the Speech Signal Processing (SSP) service and the Trigger Word Detection (TWD) service may be included in the edge device 1c. Because these two services are lightweight, they can fully run on the edge device's capacity. This is because the above two services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edge device purposes.

상기 인식서비스(35)는, 비전(Vision)서비스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비전서비스는 다양한 하위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전서비스는 사용자가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응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service 35 can express a vision service. The vision service may include various sub-services. The vision service may correspond to services that users can perceive with their eyes.

상기 비전서비스는 음식인식(food recognition)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식인식서비스는 냉장고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란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계란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계란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상기 음식인식서비스는 음식을 형상 및 바코드 등의 여러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음식은 서버에서 관리될 수 있다. The vision service may include food recognition service. The food recognition service can recognize the location of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For example, using an image of an egg, you can photograph the egg and find out the location of the egg from the photographed image. The food recognition service can recognize food in various ways, such as shape and barcode. Recognized foods can be managed on the server.

상기 비전서비스는 사물/사람인식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람/사물인식서비스는 물체의 2차원 및 3차원 형상을 이용하여, 대상인 사람/사물을 구분할 수 있다. 구분된 정보는 식별, 이동, 및 인식 등의 여러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The vision service may include object/person recognition services. The person/object recognition service can distinguish the target person/object using the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object. The classified information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dentification, movement, and recognition.

상기 비전서비스는, 운전자상태감지(DSM: Driver State Monitoring)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상태감지서비스는 영상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얼굴 검출, 시선 추적 및 눈감음 여부와 눈깜박임을 추적하여 얼굴의 위치와 머리 방향, 얼굴 특징점, 시선 방향 및 각도, 눈 감음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상태감지서비스는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여 경고할 수 있다. The vision service may include a Driver State Monitoring (DSM) service. The driver state detection service can detect the user's face from video image data, track gaze, and track eye closure and eye blinking to provide the location of the face, head direction, facial feature points, gaze direction and angle, and degree of eye closure. The driver state detection service can detect the driver's drowsiness and issue a warning.

상기 비전서비스는, 행동인식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동인식서비스는 사용자의 행동을 기동신호로 인식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을 흔드는 행동으로 단말을 기동시키는 서비스일 수 있다. 상기 DSM서비스와 행동인식서비스는 엣지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The vision service may include a behavior recognition service. The behavior recognition service may be a service that recognizes the user's behavior as an activation signal. For example, it may be a service that starts the terminal by the user shaking the terminal. The DSM service and behavior recognition service can be implemented in edge devices.

상기 인식서비스(35)는, 바이오메트릭(Biometric)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메트릭서비스는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파악하는 어떠한 서비스를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심박, 정보, 및 수면 정보 등을 이용하여 진단보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service 35 may include a biometric service. The biometric service may be an example of any service that determines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For example, a diagnostic assistance service can be performed using heart rate, information, and sleep information transmitted using a smartwatch.

상기 인식서비스(35)는, 센서(sensor)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서비스는, 전달되는 정보를 통하여 환경을 인지하는 것, 및 생체를 인지하는 등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The recognition service 35 may include a sensor service. The sensor service can perform services such as recognizing the environment and biometrics through transmitted information.

상기 인식서비스(35)는, 감정(emotion)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서비스는, 감성인식(ER:Emotion Recognition)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감성인식서비스는 사용자의 표정이나 목소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로부터 감성을 인지하는 서비스이다. 감성을 인식하는 ER 서비스는 사용자와 기계 간의 자연스러운 언어적/비언어적 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사람과 기계가 부드럽게 교감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The recognition service 35 may include an emotion service. The emotion service may include an emotion recognition (ER) service. Emotion recognition service is a service that recognizes emotions from the user's facial expression, voice, or text entered by the user. ER services that recognize emotions enable natural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machines, helping people and machines communicate and interact smoothly.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에는, 보행추적, 및 행동예측 등과 같은 다양한 다른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에 있는 각 서비스는 어느 하나의 서비스가 다른 서비스와 연동하여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엣지 디바이스(1c)의 서비스는 신속함이 요청되는 서비스 들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의 서비스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와 연계할 수 있다.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various other services such as gait tracking and behavior prediction can be applied. Each service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can provide other services by linking one service with another service. The services of the edge device 1c may be equipped with services that require speed. The services of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can be linked to other external networks.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에는 정확도 및 복잡함이 요청되는 서비스들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엣지 디바이스와 상기 클라우드 시스템은 서로 협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엣지 디바이스(1c)의 TWD에서 인식된 단어로 기동한 후에, 클라우드 시스템(3)은, HTWD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엣지 디바이스(1c)의 비전서비스에서 인식된 행동인식을, 클라우드 시스템(3)의 사물/사람인식 서비스에서 다른 목적을 위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The cloud system may be equipped with services that require accuracy and complexity. The edge device and the cloud system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fter starting up with a word recognized in the TWD of the edge device 1c, the cloud system 3 can accurately determine using the HTWD. As another example, behavior recognition recognized in the vision service of the edge device (1c) can be used as information for other purposes in the object/person recognition service of the cloud system (3).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의 각 서비스는 인공지능의 학습모델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인식강화서비스(34)는 학습모델로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서비스(32), 상기 버틀러서비스(33), 상기 인식강화서비스(34), 및 상기 인식서비스(35)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학습모델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의 각 서비스는 테이블 또는 수학식으로 구축된 연산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개별서비스영역의 각 서비스는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학습모델 및 연산식이 혼재할 수 있다. Each service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can operate as a learning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cognition enhancement service 34 can be constructed as a learning model.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expression service 32, the butler service 33, the recognition enhancement service 34, and the recognition service 35 may be provided as a learning mode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Each service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may be implemented as a table or an operation formula constructed as a mathematical formula. Each service in an individual service area may contain a mixture of learning models and calculation formula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의 각 서비스, 즉, 서비스모듈은 응용서비스영역으로 서비스요청에 대한 처리결과를 회신할 수 있다. Each service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that is, the service module, can return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service request to the application service area.

이하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영역이 호출하는 개별서비스영역의 서비스모듈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응용서비스영역의 응용서비스가 호출하는 성격에 대응하여, 회신할 수 있는 모든 개별서비스모듈은 그 서비스요청에 회신할 수 있다. 상기 응용서비스영역이 호출하는 개별서비스영역의 서비스모듈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바람직한 어느 예를 기재한 것이고, 다른 개별서비스영역의 서비스모듈이 회신하는 것을 제외하지는 않는다. In all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re may be no specific mention of the service module of the individual service area called by the application service area. In this case, all individual service modules that can reply can reply to the service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nature of the call by the application service in the application service area. There may be specific reference to the service module of the individual service area called by the application service area. In this case, a preferred example is described, and it does not exclude that service modules in other individual service areas reply.

도 3은 실시예의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diagram explain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a home appliance of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정보처리장치(12)는 각 노드의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모듈(20), 정보처리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40), 및 상기 확인모듈에 의해서 확인된 상황에 대응하여 각 노드의 동작을 결정하는 동작결정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드는, 가전기기, 및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드는, 단말, 클라우드시스템, 및 엣지디바이스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확인모듈, 상기 메모리, 상기 동작결정모듈 간의 정보흐름은 내부 버스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 상기 메모리, 상기 동작결정모듈은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confirmation module 20 that checks the status of each node, a memory 40 that stores information necessary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situation confirmed by the confirmation module. It may include an operation determination module 30 that determines the operation of each node in response. The node may include home appliances and terminals. The nodes do not exclude terminals, cloud systems, and edge devices. Information flow between the confirmation module, the memory, and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may be performed by an internal bus. The confirmation module, the memory, and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may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정보처리장치(12)는 상기 개별서비스영역(10)의 개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12)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12)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12)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12)는 단말(1c), 및 가전기기(1b1)(1b2)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12)는 상기 서버(2c)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can use individual services of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can provide application servic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may be a main processor that provides application servic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may include a separate processor that provides application servic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c and the home appliances 1b1 and 1b2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may be implemented by the server 2c.

상기 정보처리장치(12)는 트리거 신호에 의해서 동작이 시작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신호는 기동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신호는 기초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기초정보는 그 자체로는 해석되지 않은 단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신호는 사용자로부터의 직접 또는 간접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리거 신호는 사용자의 음성메시지일 수 있다. 이때 음성메시지의 자연어처리가 된 다음에 의미가 파악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개별서비스는 상기 자연어처리 서비스일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can start operation by a trigger signal. The trigger signal may mean a starting signal. The trigger signal may be basic information. The basic information may be a simple signal that is not interpreted in itself. The trigger signal may be a direct or indirect signal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trigger signal may be a user's voice message. In this case, the meaning can be understood after the voice message is processed into natural language. The individual service used at this time may be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ervice described above.

상기 트리거 신호는 가전기기의 서로 연계되는 각 노드에서 발생하는 직접 또는 간접 신호일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신호는 예약된 조건의 성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침 기상을 6시로 예약하였을 때 6시에 도달한 시계로부터의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를 자동으로 감지할 때의 사용자 감지신호일 수도 있다. The trigger signal may be a direct or indirect signal generated from each node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The trigger signal may be the fulfillment of a reserved condition. For example, when waking up in the morning is scheduled for 6 o'clock, it may be a signal from the clock that has reached 6 o'clock.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a user detection signal when automatically detecting a user.

상기 정보처리장치(12)는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별서비스영역에 개별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개별 서비스에는, 상기 기초정보인 트리거 신호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개별서비스로는 상기 인식서비스(35)의 스피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예약된 조건의 성취의 경우에는 이미 의미가 해석된 것이므로, 트리거 신호임에도 의미의 파악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can request an individual service from the individual service area using basic information. Here, the individual service may includ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trigger signal, which is the basic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peech service of the recognition service 35 can be used as an individual service. In the case of fulfillment of the reserved condition, the meaning has already been interpreted, so understanding the meaning may not be necessary even though it is a trigger signal.

상기 확인모듈(20)은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20)은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하여 각 노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20)에 대응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알 수 있다. 상기 응용서비스는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사전에 예약된 예약동작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은, 예를 들어, 상기 가전기기가 현재 동작 중인지, 동작을 대기 중인지, 동작을 종료하였는지, 및 동작대기상태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지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확인모듈(20)이 파악한 정보는 각 가전기기 별로 확인모듈에 저장될 수 있다. The confirmation module 20 can receive the trigger signal. The confirmation module 20 can confirm each node in response to the trigger signal.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known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module 20. The application service may include checking the operating status of home appliances. The above home appliance can be used by multiple people. The home appliance may have a reservation operation scheduled in advance. For example, the confirmation module can determine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home appliance is currently operating, waiting for operation, whether operation has ended, and what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operation standby state are. Th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confirmation module 20 may be stored in the confirmation module for each home appliance.

상기 확인모듈(20)에 의해서 파악된 정보를 참조하여, 동작결정모듈(30)은 가전기기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응용서비스는 가전기기의 동작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결정모듈은 상기 트리거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결정모듈은,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confirmation module 20, the operation determination module 30 can determine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application service may include determin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may determine an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trigger signal. The operation determination module can determine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rvice request.

상기 동작결정모듈은 동작순서결정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순서결정부(31)는 서로 연동하는 적어도 두 개의 가전기기의 동작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순서는 상기 확인모듈에 의해서 확인된 가전기기의 동작순서와 다를 수 있다. 상기 동작결정모듈은 동작모드결정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결정부(31)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모드는 상기 확인모듈에 의해서 확인된 가전기기의 동작모드와 다를 수 있다. 상기 동작결정모듈은 동작시간결정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시간결정부(33)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동작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시간은 상기 확인모듈에 의해서 확인된 가전기기의 동작시간과 다를 수 있다.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may include an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31. The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31 may determine the operation sequence of at least two home appliances that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Here, the operation sequence may be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home appliance confirmed by the confirmation module.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may include an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31.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31 ma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at least one home appliance. Here, the operation mode may be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mode of the home appliance confirmed by the confirmation module. The operation determination module may include an operation time determination unit 33. The operation time determination unit 33 may determine the operation time of at least one home appliance. Here, the operation time may be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time of the home appliance confirmed by the confirmation module.

상기 동작결정모듈(30)은 인공지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동작결정모듈(30)은 개별서비스영역(10)의 상기 개별 서비스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강화서비스(34)의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30 can operat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30 can operate using the individual service of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For example, it can be operated using the learning model of the recognition enhancement service 34.

도 4는 학습모델을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explaining an embodiment of providing a learning model.

도 4를 참조하면, AI(Artificial Intelligence) 서버(2d)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거나 학습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AI 서버(2d)는 복수의 서버들로 구성되어 분산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5G 네트워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AI 서버(2d)는 디스플레이 장치(25)의 일부의 구성으로 포함되어, AI 프로세싱 중 적어도 일부를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AI 서버(2d)는 서버(2c)의 일 부분이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AI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2d may refer to a device that train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or uses a lear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Here, the AI server 2d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rvers to perform distributed processing, and may be defined as a 5G network. At this time, the AI server 2d may be included as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25 and may perform at least part of the AI processing. The AI server 2d may be part of the server 2c.

상기 AI 서버(2d)는 통신부(21), 메모리(23), 러닝 프로세서(24) 및 응답 프로세서(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는 디스플레이 장치(25) 등의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AI server 2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 a memory 23, a learning processor 24, and a response processor 26. The communication unit 21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display device 25.

상기 메모리(23)는 모델 저장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모델 저장부(23-1)는 러닝 프로세서(24)을 통하여 학습 중인 또는 학습된 모델(또는 인공 신경망, 23-2)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3 may include a model storage unit 23-1. The model storage unit 23-1 may store a model being trained or learned through the learning processor 24 (or artificial neural network, 23-2).

상기 러닝 프로세서(24)는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23-2)을 학습시킬 수 있다. 학습 모델은 인공 신경망의 AI 서버(2d)에 탑재된 상태에서 이용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5) 등의 외부 장치에 탑재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The learning processor 24 can trai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23-2 using training data. The learning model may be used while mounted on the AI server 2d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or may be mounted and used on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display device 25.

상기 학습 모델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학습 모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학습 모델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instruction)는 메모리(63)에 저장될 수 있다.The learning model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When part or all of the learning model is implemented in software, one or more instructions constituting the learning model may be stored in the memory 63.

상기 응답 프로세서(26)는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결과 값을 추론하고, 추론한 결과 값에 기초한 응답이나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response processor 26 may infer a result value for new input data using a learning model and generate a response or control command based on the inferred result value.

상기 AI 서버로 구현되는 학습모델은, 개별서비스영역에 제공되는 각 서비스 별로 제공될 수 있다. 각 학습모델은 각 서비스를 위한 응답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작결정모듈(30)은 각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응답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learning model implemented by the AI server can be provided for each service provided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Each learning model can provide a response for each service.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30 can receive a response using each learning model.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의 흐름을 보이는 도면이다.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노드로부터의 상기 트리거 신호를 정보처리장치(12)가 수신할 수 있다(S1). 상기 노드는 단말, 또는 가전기기 일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개별서비스영역에 개별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S2). 여기서, 개별 서비스에는, 트리거 신호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식서비스(35)의 스피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 can receive the trigger signal from the node (S1). The node may be a terminal or a home applian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request an individual service from the individual service area (S2). Here, the individual service may includ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trigger signal. For example, the speech service of the recognition service 35 can be used.

상기 개별서비스영역은 정보처리장치의 요청에 대응하는 것을 결과로서 결과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S3). 상기 결과통지에는, 트리거신호의 의미, 트리거신호에 대응하는 필요한 동작의 목록, 및 상기 노드에게 요구되는 동작의 목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dividual service area can perform result notification as a result of responding to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3). The result notif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eaning of the trigger signal, a list of required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signal, and a list of operations required for the node.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트리거 신호에 대응하여 필요한 가전기기의 동작을 선정하는 것, 및 트리거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동작을 선정하는 것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처리장치는, 트리거신호의 의미, 트리거 신호에 대응하는 필요한 동작, 노드에게 요구되는 동작, 및 확인결과를 제 1 결과회신으로서 노드에게 통지할 수 있다(S4).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ay perform functions such as selecting a required operation of a home appliance in response to a trigger signal, and selecting an operation required by a user in response to a trigger signal.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provide application servic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notify the node of the meaning of the trigger signal, the necessary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signal, the operation required from the node, and the confirmation result as a first result reply (S4).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제 1 가전기기로 제 1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5). 제 1 가전기기는 상기 제 1 제어신호의 수행결과를 포함하는 에크신호 및 상태보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6).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제 2 가전기기로 제 2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7). 제 2 가전기기는 상기 제 2 제어신호의 수행결과를 포함하는 에크신호 및 상태보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8).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ay transmit a first control signal to the first home appliance (S5). The first home appliance may transmit an Eck signal and a status report signal including the execution result of the first control signal (S6).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transmit a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home appliance (S7). The second home appliance may transmit an Eck signal and a status report signal including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S8).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 1, 2 가전기기의 수행결과를 상기 노드에 제 2 결과회신으로서 노드에게 통지할 수 있다(S9). 상기 노드에는, 상기 제 1, 2 가전기기 외에 더 많은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드에는, 상기 제 1, 2 가전기기 중의 어느 한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다른 실시예의 정보처리방법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방법에는 다른 실시예의 정보처리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ay notify the node of the performance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home appliances as a second result reply to the node (S9). The node may include more home appliances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home appliances. The node may include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ome appliances. At least one step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ay be omitt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At least one step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may be add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실시예의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을 설명한다.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은 실시예의 정보처리방법의 인터페이스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 상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시예의 설명에서 그대로 인용하였다. 유사한 의미의 다른 용어 및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기상 후 물을 마시는 것을 예시한다.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fac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embodiment. Terms used in the interface in the drawings are directly quo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Other terms and methods with similar meaning may be used. Figure 6 illustrates a user drinking water after waking up.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1d)는 단말(1c)를 이용하여 물을 원하는 것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신호는 "냉수 한 잔 줘" 라는 음성 또는 소정의 이미지일 수 있다. 사용자(1d)는 가전기기(1b)를 이용하여 물을 원하는 것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신호는 "냉수 한 잔 줘" 라는 음성 또는 또는 사용자가 컵을 들고 정수기에 접근하는 동영상 일 수 있다. 상기 트리거 신호의 전송방법은 음성 또는 동영상을 예시한다. 그 외에 문자메시지, 및 약정된 행동 등의 여러 방식으로 정보처리장치(10)로 전달될 수 있다. 기상 후에 바로 물을 마시는 생활이 AI 서버에 의해서 학습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기상한 것을 트리거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단계는 도 5의 통지단계(S1)에 해당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user 1d can transmit a desired water using the terminal 1c. The trigger signal may be a voice saying “Give me a glass of cold water,” or a predetermined image. The user 1d can transmit the desired water using the home appliance 1b. The trigger signal may be a voice saying “Give me a glass of cold water,” or a video of a user approaching a water purifier while holding a cup.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trigger signal is exemplified by voice or video. In addition, it can be deliver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 in various ways, such as text messages and agreed actions. If the AI server learns to drink water immediately after waking up, the user's waking up can be recognized as a trigger signal. This step may correspond to the notification step (S1) in FIG. 5.

사용자의 메시지는 사용자가 냉수를 원한다는 취지로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수를 원하는 취지는 개별서비스영역(10)의 서비스로 제공되는, 인식서비스(35), 버틀러 서비스(33), 및 인식강화서비스(34)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의해서 해석될 수 있다. 해석된 결과는 사용자가 냉수를 원한다는 취지, 및 사용자가 냉수를 원하는 것에 대응하여 가전기기가 해야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단계는 도 5의 조회단계(S2), 및 결과통지단계(S3)에 해당할 수 있다. The user's message can be interpreted to the effect that the user wants cold water. The user's desire for cold water can be interpreted by at least one of the recognition service 35, butler service 33, and recognition enhancement service 34 provided as a service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The interpreted result may include the effect that the user wants cold water, and the actions that the home appliance should take in response to the user's desire for cold water. This step may correspond to the inquiry step (S2) and result notification step (S3) in FIG. 5.

상기 해석된 결과에 대응하여, "상쾌한 아침을 위해 물 한잔을 드셔보세요"의 형식으로 정보처리장치에서 단말(1c)로 회신을 줄 수 있다. 상기 해석된 결과가 가전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취지를 전달받은 가전기기가 "상쾌한 아침을 위해 물 한잔을 드셔보세요"의 사용자에게 회신을 줄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정수기가 포함될 수 있다. 각 가전기기는 자신에게 맞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above interpreted results, a reply may be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o the terminal 1c in the form of “Try a glass of water for a refreshing morning.” The interpreted results can be transmitted to 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 that has received the message can reply to the user saying, “Try a glass of water for a refreshing morning.” The home appliance may include a water purifier. Each home appliance can deliver its own message.

회신을 받은 사용자(1d)는 정보처리시스템이 올바르게 동작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단계는 도 5의 제 1 결과회신단계(S4)해당할 수 있다. The user (1d) who received the reply can confirm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s operated correctly. This step may correspond to the first result response step (S4) of FIG. 5.

상기 해석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기기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가전기기의 현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가전기기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에크/상태보고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단계는 도 5의 제어신호 및 에크/상태보고(S5 내지 S8)에 해당할 수 있다. 가전기기의 에크/상태보고(S6)(S8)에서, 사용자가 주목해야 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도 5의 제 2 결과회신단계(S9)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가 정상으로 동작되지 않아서 에크가 없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제 2 결과회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과회신은 생략할 수도 있다. In response to the interpreted result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home appliance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device. The home appliance may transmit an ec/status report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is step may correspond to the control signal and ec/status report (S5 to S8) of FIG. 5. If there is information that the user should pay attention to in the check/status reports (S6) (S8) of the home appliance, the second result response step (S9) of FIG. 5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if there is no signal because the home appliance is not operating normally, that effect can be sent as a second result reply. The second result reply may be omitted.

상기 해석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응용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제어신호를 가전기기를 송신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가전기기의 에크/상태보고(S6)(S8)가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응용서비스는 가전기기의 동작순서, 동작모드, 및 동작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interpreted result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provide an application servi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determine control signals for performing application servic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transmit and control the control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In this case, it may be the case that the check/status report (S6) (S8) of the home appliance has been performed normally. The application ser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equence, operation mode, and operation time of the home appliance.

상기 해석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동작순서, 동작모드, 및 동작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결정된 동작순서, 동작모드, 및 동작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가전기기를 제어결과는 단말(1c)로 통지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제 3 결과회신이라고 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analyzed result,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sequence, operation mode, and operation time of at least one home applian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control the home appliance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operation sequence, operation mode, and operation tim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notify the terminal 1c of the results of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This step can be called the third result reply.

상기 제 3 결과회신의 회신의 예를 제시한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정수기에 대해서는 "레아님, 공복에 유산균을 드시고 아침 드신 후 비타민 B를 복용해 주세요"로 단말로 회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사용자가 유산규과 비타민 B를 복용한다는 사실을 메모리(40)에 저장할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third result reply above is given. Regarding the water purifi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reply to the terminal with “Leah, please take lactic acid bacteria on an empty stomach and take vitamin B after breakfast.” In this case, the server may store the fact that the user is taking lactic acid and vitamin B in the memory 40.

상기 제 3 결과회신은 위와 같이 단말기를 통할 수도 있다. 다른 방식으로, 상기 제 3 결과회신은 해당하는 가전기기가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바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저장 음성, 경보, 및 저장사인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The third result reply may also be sent through the terminal as above. Alternatively, in the third result reply,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may transmit the message. This is because the user may be indoors. The message can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user. The message may be of various types, such as a stored voice, an alarm, and a stored sign.

상기 제 3 결과회신단계는, 가전기기의 정보처리방법에 따라서, 더 다양한 경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3 결과회신을 통하여 응용서비스가 적절히 수행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응용서비스에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감이 증가할 수 있다. The third result reply step may have more diverse cas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home appliance. The user can know that the application service has been properly performed through the third result reply.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service, the user's satisfaction may increase.

이하에서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Below, various embodiments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for home appliances will be described.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Figure 7 i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1d)가 단말(1c) 및/또는 가전기기(1b)을 이용하여 자신이 냉수를 원하는 것을 송신할 수 있다(S11). 사용자의 의도는 음성 또는 이미지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사송신단계(S11)의 이전에, 사용자는 자신의 요청을 등록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건강을 위하여 유산균과 비타민 B를 정기적으로 복용하는 사실을 등록해 둘 수 있다. 상기 등록단계는 서버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노드 중의 적어도 한 곳을 통할 수 있다. 상기 등록단계와 상기 의사송신단계(S11)는 소정의 시간 갭이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user 1d can transmit his/her desire for cold water using the terminal 1c and/or the home appliance 1b (S11). The user's intention can be conveyed through voice or image. Meanwhile, before the doctor transmission step (S11), the user may register his or her request. For example, the user can register the fact that they regularly take lactic acid bacteria and vitamin B for their health. The registration step can be performed on a server. The registration step may be per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nodes. There may be a predetermined time gap between the registration step and the pseudo transmission step (S11).

냉수를 원한다는 취지는 개별서비스영역(10)의 서비스로 제공되는, 인식서비스(35), 버틀러 서비스(33), 및 인식강화서비스(34) 중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에 의해서 파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서비스(35)에 의해서 냉수의 의미가 학습모델에 의해서 파악될 수 있다. 이후에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석된 결과는 사용자가 냉수를 원한다는 취지, 사용자가 냉수를 원하는 것에 대응하여 가전기기가 해야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S12)(S13) The intention of wanting cold water can be understood by at least one service among the recognition service 35, butler service 33, and recognition enhancement service 34, which are provided as services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10. For example, through the recognition service 35, the meaning of cold water can be understood by a learning model. Afterwards, application services can be provided. For example, the interpreted result may include the effect that the user wants cold water and the actions that the home appliance should take in response to the user wanting cold water (S12) (S13).

상기 해석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확인모듈(20)은 사용자가 냉수를 원하는 것이 맞는지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제 1 결과회신단계(S14)를 수행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interpreted result, the confirmation module 20 may perform a first result response step (S14) to confirm to the user whether the user wants cold water.

상기 해석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확인모듈(20)은 가전기기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가전기기의 현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파악된 결과는, 가전기기의 상태를 포함하는 제 2 결과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S15). 제 2 결과회신단계는 가전기기가 직접할 수도 있다. In response to the analyzed result, the confirmation module 20 can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home appliance by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The identified results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as a second result including the status of the home appliance (S15). The second result reply step may be performed directly by the home appliance.

상기 해석된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결정모듈(30)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동작순서, 동작모드, 및 동작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결정된 동작순서, 동작모드, 및 동작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가전기기의 제어결과를 제 3 결과로 단말(1c)로 통지할 수 있다(S16). 상기 가전기기는 직접 제 3 결과회신을 사용자에게 할 수도 있다. In response to the analyzed result,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30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order, operation mode, and operation time of at least one home applian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control the home appliance using at least one of the determined operation sequence, operation mode, and operation tim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notify the terminal 1c of the control result of the home appliance as a third result (S16). The home appliance may directly send a third result reply to the user.

상기 정보처리방법의 수행 중에, 상기 확인모듈 및 상기 동작결정모듈은, 상기 개별서비스영역의 개별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2, 3 결과회신에 의해서 상기 응용서비스의 진행 및 결과를 알 수 있다. During execu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 confirmation module and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may use individual services in the individual service area. The user can know the progress and results of the application service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sult replies.

도 8은 실시예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냉수를 원하는 취지가 파악된 후의 실시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정보처리방법에 의해서 사용자가 냉수를 원하는 것(S3)이 파악된 이후의 정보처리방법일 수 있다. Figure 8 i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is embodiment may be an embodiment after the user's desire for cold water is identified. For example, this may be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fter the user's desire for cold water (S3) is identifi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FIG. 5.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확인모듈(20)은,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가전기기(1b)로 송신하여 가전기기의 현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S21). 가전기기는 에크 메시지 및 상태보고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22). 상기 가전기기는 확인모듈(20) 및 또는 동작결정모듈(30) 중의 적어도 하나로 에크 메시지 및 상태보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 내부의 버스에 의해서, 정보처리장치의 각 모듈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에크메시지는 확인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상태보고메시지는 동작결정모듈로 송신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8, the confirmation module 20 can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home appliance (1b) by transmit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1b) (S21). The home appliance can transmit an ACK message and a status report message (S22). The home appliance may transmit an ACK message and a status report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confirmation module 20 and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30. Through the bus insid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ach modul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share information. The ACK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firmation module. The status repor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상기 동작모드결정부(32)는 상기 상태보고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결정부는 상기 상태보고메시지를 참조하여, 가전기기의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의 종류별로 및/또는 상기 상태보고메시지에 따라서, 가전기기의 동작모드는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32 may receive the status report message.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home appliance by referring to the status report messag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home appliance and/or the status report message, the operation mode of the home appliance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상기 정보처리방법을 정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abov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ill be explained using a water purifier as an example.

정수기의 경우에, 상기 상태보고메시지는 현재 절전모드일 수 있다. 이 때에 상태보고메시지는 정수기가 정상냉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시간이 걸린다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보고메시지는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대한 응답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바로 냉각시스템을 동작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 외 출수와 관련되는 동작은 계속해서 정지상태일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결정부(32)는, 동작결정모듈의 내부 버스로 상기 동작순서결정부(31) 및 상기 동작시간결정부(33)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동작순서결정부(31) 및 상기 동작시간결정부(33)는, 상기 두 개의 상태보고메시지 및 결정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동작순서, 및 동작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순서결정부(31)는 제 1 가전기기의 내부에서 우선동작하여야 하는 부분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동작부분은 냉각시스템일 수 있다. 가열시스템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결정부(32)는 신속한 냉각모드를 정수기로 통보할 수 있다(S24). 결정된 사항은 상기 제 3 결과회신으로 사용자에게 보고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 water purifier, the status report message may indicate the current power saving mode. At this time, the status report message may include a message that it takes time for the water purifier to supply normal cold water. The status report message may be a response to the first control signal. In this case, you can decide to start the cooling system right away. Other operations related to water extraction may remain in a stopped state.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32 may share information with the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31 and the operation time determination unit 33 through an internal bus of the operation determination module. The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31 and the operation time determination unit 33 may determine the operation sequence and operation time by referring to at least one of the two status report messages and the decision mode. The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31 may determine the order of parts that must be operated first within the first home appliance. Here, the priority operating part may be the cooling system. The heating system may not work.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32 can notify the water purifier of the rapid cooling mode (S24). The decided matters may be reported to the user through the third result reply.

이 경우 상기 동작모드결정부는 상기 메모리(40)에 문의하고(S25), 그 회신을 받을 수 있다(S26). 예를 들어, 인식된 사용자는 성인인 사용자A 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A는 유산균과 비타민 B를 복용하는 것으로 수록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can inquire with the memory 40 (S25) and receive a reply (S26). For example, the recognized user may be User A, an adult. User A may be listed as taking lactic acid bacteria and vitamin B.

상기 동작모드결정부는 상기 사용자A에 대한 정보를 받고, 제 2 모드신호를 정수기로 송신할 수 있다(S27). 제 2 모드신호는 사용자A에게 적합한 음수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본 '래아님, 공복에 유산균을 드시고 아침 드신 후 비타민 B를 복용해주세요'일 수 있다. 상기 음수정보는 정수기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3 결과회신은 사용자A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유산균은 공복에 복용하고, 비타민은 식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여전히 냉수를 원하는 상태가 지속 중일 수 있다. 사용자는 냉수를 마실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다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 A and transmit a second mode signal to the water purifier (S27). The second mode signal may be negative information suitable for user A. For example, it could be 'Raea, please take lactic acid bacteria on an empty stomach and take vitamin B after breakfast' as seen above. The negativ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from the water purifier. The third result reply may be helpful to User A's health. This is because it is best to take lactic acid bacteria on an empty stomach, and take vitamins after a meal. In this state, the user may still want cold water. Users can drink cold water. If the user wishes, he or she can change to another mode.

상기 제 2 모드신호는 제 2 가전기기 또는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28). 추가로 유산균 및 비타민을 복용하는 시각은, 제 1 가전기기인 정수기에서 사용자는 멀어져 있을 수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서, 사용자는 응용서비스의 결과로서, 정확한 복약시간을 가이드 받을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의 추가 지시에 의해서 정보처리장치는 사용자는 다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The second mode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 second home appliance or terminal (S28). Additionally, the time to take the lactic acid bacteria and vitamins is because the user may be far away from the water purifier, which is the first home appliance. As a result, the user can receive accurate medication time guidance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service. Afterwards,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be changed to another mode by the user's additional instructions.

본 가전기기를 위한 제어방법에 의해서 사용자는 한층 더 편리하고, 건강에 유익하고,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방식으로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ntrol method for home appliances, users can use home appliances in a way that is more convenient, beneficial to health, and energy-saving.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온수를 원하는 취지가 파악된 후의 실시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정보처리방법에 의해서 사용자가 온수를 원하는 것(S3)이 파악된 이후의 정보처리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를 원하는 취지의 메시지는 "나 따뜻한 물로 줘" 또는 "엄마가 중탕해야 한다고 조금 뜨거운 물 가지고 오라고 하셨어" 등의 메시지 일 수 있다. Figure 9 i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is embodiment may be an embodiment after the user's desire for hot water is identified. For example, this may be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fter the user's desire for hot water (S3) is identifi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FIG. 5. For example, a message indicating a desire for hot water may be a message such as “Give me warm water,” or “Mom told me to bring a little hot water so I need a double boiler.”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확인모듈(20)은,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가전기기(1b)로 송신하여 기기의 현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S31). 가전기기는 에크 메시지 및 상태보고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32). 상기 가전기기는 확인모듈(20) 및 동작결정모듈(30) 중의 적어도 하나로 에크 메시지 및 상태보고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처리장치 내부의 버스에 의해서, 정보처리장치의 각 모듈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상태보고메시지는 동작결정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firmation module 20 can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appliance by transmitting the first control signal to the home appliance 1b (S31). The home appliance can transmit an ACK message and a status report message (S32). The home appliance may transmit an ACK message and a status report message to at least one of the confirmation module 20 and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30. Through the bus insid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ach modul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n share information. The status repor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상기 동작모드결정부(32)는 상기 상태보고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결정부는 상기 상태보고메시지를 참조하여, 가전기기의 동작모드 및 동작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32 may receive the status report message.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and operation sequence of the home appliance by referring to the status report message.

상기 정보처리방법을 정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abov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ill be explained using a water purifier as an example.

상기 동작모드결정부는 상기 메모리(40)에 문의하고(S33), 그 회신을 받을 수 있다(S34). 예를 들어, 인식된 사용자는 어린이 일 수 있다. 상기 어린이의 식별정보는 메모리에 미리 수록될 수 있다. 어린이가 이미지, 음성, 및 인식을 위한 특성정보가 메모리에 미리 수록될 수 있다. 이 사전 수록 정보에 의해서 어린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수록 정보는 사용자로서 보호자로부터의 요청으로 수록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may inquire with the memory 40 (S33) and receive a reply (S34). For example, the recognized user may be a child. The chil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in memory. Image, voice, a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recognition by children may be stored in advance in memory. Children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dictionary. The pre-recorded information may be included upon request from a guardian as a user.

어린이의 온수취급에 대해서는 사전에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째 온수의 출수를 무조건 제한해야 하는 것으로 정보처리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둘째, 온수 출수 전에 소정의 메시지를 송출하고, 부모의 동의를 구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둘째 과정을 거치는 것을 예시한다. Handling of hot water for children may be stipulated in advance. For example, it may be stor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at the discharge of hot water must be unconditionally restricted. Second, before dispensing hot water, a certain message can be sent and parental consent can be obtained. The example illustrates going through the second process above.

상기 동작모드결정부(32)는, 정수기로 소정의 제 1 모드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35). 상기 제 1 모드신호를 경고메시지의 송출일 수 있다. 경고메시지는, "위험하니 확인하는 동안 기다려주세요"일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32 can transmit a predetermined first mode signal to the water purifier (S35). The first mode signal may be the transmission of a warning message. The warning message may be, “It’s dangerous, so please wait while we check.”

상기 동작순서결정부(31)는, 정수기는 동작을 기다리도록 지시할 수 있다(S36). 상기 동작순서결정부(31)는, 제 2 가전기기 또는 단말로 보호자의 확인을 구할 수 있다(S37). 상기 동작순서결정부는 제 1 순서신호로 정수기인 제 1 가전기기와 제 2 가전기기의 동작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31 may instruct the water purifier to wait for operation (S36). The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31 may request confirmation of the guardian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or terminal (S37). The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first home appliance and the second home appliance, which are water purifiers, using the first sequence signal.

상기 제 2 가전기기 또는 단말로부터의 확인정보를 동작모드결정부가 수신할 수 있다(S38). 상기 확인정보는 온수출구의 인가 또는 비인가일 수 있다. 상기 화인정보에 대응하여 제 2 모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39). 상기 제 2 모드신호는, 온수출수가 인가된 경우에는 온수의 출수가능 및 그 알림, 및 온수출수의 비인가인 경우에는 온수의 출수불가 및 그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unit may receive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home appliance or terminal (S38). The confirmation information may be approval or disapproval of the hot water outlet. A second mode signal can be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fine information (S39). The second mode signal can perform the dispensing of hot water and notification thereof when hot water discharge is authorized, and the impossibility of dispensing hot water and notification thereof when hot water discharge is not authorized.

상기되는 바와 같은 가전기기를 위한 사용방법에 의해서 더 안전하게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Home appliances can be used more safely by using the home appliances as described above.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Figure 10 i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가전기기에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가전기기는 네트워크로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S41). 예시로 든 바와 같이,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ThinQ app일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c)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0, an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on the user's home appliance, and the home appliance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S41). As an example, the application may be a ThinQ app.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installed by the server 2c.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복용하는 약, 및 영양제 등의 정보를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S42). 복용약 외에 자신의 건강정보 또는 생활정보를 등록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등록정보는, 사용자의 트리거신호에 의해서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적어도 한 명일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user can register information such as medications and nutritional supplements he or she is taking on the server (S42). In addition to medications, you can register your health information or daily life information as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can be helpful when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s based on a user's trigger signal. The user may be at least one person.

정수기의 카메라, 카메라, 가전기기의 부속 카메라, 및 센서 등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S43). 사용자가 감지되면 언제든지 가전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수기에 접근하여 정수기에서 물을 출수할 수 있다. 부엌의 가열조리기기를 가동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가전기기의 실제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예비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비동작에는 정수기의 냉각시스템을 가동하는 것, 가열조리기기의 강제락을 해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은 AI 서버에 의해서 제공되는 소정의 학습모델에 의해서 사용자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다. Cameras in water purifiers, cameras, cameras attached to home appliances, and sensors can detect the user (S43). When a user is detected, home appliances can be ready for use at any time. For example, you can approach a water purifier and dispense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You can operate the kitchen heating appliances. Based on the user's detection signal, preliminary operations necessary for the actual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preliminary operation may include operating the cooling system of the water purifier or releasing the forced lock of the heating cooker. Here, detecting the user can also determine what the user wants using a certain learning model provided by the AI server.

감지되는 사용자는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식별될 수 있다(S44). 이후에 식별된 사용자가 가전기기에 접근하는 것이 인식되면(S45), 가전기기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S46).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수기에 접근하는 것이 감지되면, 정수기를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열조리기기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가열조리기기의 조명을 점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접근은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의 추적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The detected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user can be identified (S44). Afterwards,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identified user is approaching the home appliance (S45),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prepared (S46). For example, when a user is detected approaching a water purifier, the water purifier can be turned on. For example, when a user approaches a heating cooking appliance, the lighting of the heating cooking appliance may be turned on. For example, user access can be achieved by tracking a camera mounted on at least one home appliance.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S47). 예를 들어, "김래아님. 유산균 섭취를 위한 냉수 200ml 출수를 추천합니다"의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메시지를 들은 사용자는 주의가 환기되어 정해진 약을 복용할 수 있다. 상기 맞춤형 메시지는 서버에 미리 수록된 정보를 참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home appliance can send a customized message to the user (S47). For example, the message “Rae-ah Kim. We recommend 200ml of cold water for inges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an be provided. Users who hear this message are alerted and can take the prescribed medication. The customized message can be provided by referring to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on the server.

이후에 사용자의 출수승인(S48)에 의해서 정수기가 동작할 수 있다(S49). Afterwards, the water purifier can be operated by the user's water discharge approval (S48) (S49).

상기되는 과정은 가전기기, 예를 들어, 정수기가 사용자가 직접 동작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한 정보는 단말을 통해서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정의 시간 간격 후에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above process is exemplified by the user directly operating a home appliance, for example, a water purifier. Not limited to this, the necessary information can also be obtained through the terminal. According to this, it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using a home appliance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실시예의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에 따르면, 가전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 자신이 건강상태를 잘 관리하고. 더 윤택한 삶을 누릴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of the embodiment, the user manages his/her health well by actively using the home appliance. You can enjoy a richer life.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의 흐름도이다. Figure 11 i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가전기기에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가전기기는 네트워크로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S51). 예시로 든 바와 같이,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ThinQ app일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은 서버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1, an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on the user's home appliance, and the home appliance can be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S51). As an example, the application may be a ThinQ app.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installed by the server.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복용하는 약, 및 영양제 등의 정보를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S52). 복용약 외에 자신의 건강정보 또는 생활정보를 등록정보로서 등록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user can register information such as medications and nutritional supplements he or she is taking on the server (S52). In addition to medications, you can register your health information or daily life information as registration information.

이 상태에서, 정수기의 카메라, 카메라, 가전기기의 부속 카메라, 및 센서 등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S53). 상기 사용자의 감지신호를 근거로, 가전기기의 실제 동작을 위하여 필요한 예비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camera of the water purifier, the camera, the camera attached to the home appliance, and the sensor can detect the user (S53). Based on the user's detection signal, preliminary operations necessary for the actual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performed.

감지되는 사용자는 서버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식별될 수 있다(S54). 상기 사용자는 어른이 아니라 어린이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사용자가 어린이 인 경우를 바탕으로 한다. 어린이 외에 가전기기를 오작동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도 실시예의 경우에 따라서 포함할 수 있다. The detected user can be identified by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S54). The user may be determined to be a child rather than an adult. The embodiment is based on the case where the user is a child. In addition to children, companion animals that may cause home appliances to malfunction may also be includ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이후에 식별된 사용자가 가전기기에 접근할 수 있다(S55). 상기 가전기기는 사용자가 어린이라는 것을 인식하고(S56),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S57). 여기서, 상기 가전기기가 정수기인 경우에는, 가전기기의 온수출수는 제한할 수 있다(S57). 이하에서는 정수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Afterwards, the identified user can access the home appliance (S55). The home appliance may recognize that the user is a child (S56) and restrict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S57). Here,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water purifier, the number of hot water discharges from the home appliance can be limited (S57).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using integers as an example.

가전기기의 동작이 제한되는 것은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 있다. 이때 보호자에게 문의요청이 없는 상황이면(S58), 사용자에게는 온수를 출수하지 않고, 냉수와 정수만을 출수할 수 있다(S59). 반대로 보호자에게 문의요청(S58)이 있으면, 보호자에게 문의를 요청하여(S61), 온수출수의 승인이 있으면(S62), 온수를 출수할 수 있다(S63). 보호자 문의요청(S61)에 대하여 온수출수의 승인이 없으면 온수를 출수할 수 없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 또는 인접하는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The user may be notified that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is restricted. At this time, if there is no inquiry request from the guardian (S58), hot water is not dispensed to the user, and only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can be dispensed (S59). Conversely, if there is an inquiry request from the guardian (S58), the guardian is requested to make an inquiry (S61), and if approval for hot water discharge is obtained (S62), hot water can be discharged (S63). Hot water cannot be dispensed without approval for hot water dispensing in response to the guardian inquiry request (S61). At this time, the user can transmit and receive using his or her terminal or an adjacent home appliance.

정수기 외에, 가열조리기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water purifiers, heating and cooking appliances can be similarly controlled.

실시예의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에 따르면, 가전기기를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of the embodiment, home appliances can be used more safely.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기기의 원격제어기능의 활용 및 가전기기의 사용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remote control function of home appliances and activate the service of home appliances.

1: 사용자영역
1a: 집
1b: 가전기기
1c: 엣지디바이스
2: 운용자영역
2a: 제 1 서버
2b: 제 2 서버
2c: 서버
2d: AI서버
10: 개별서비스영역
11: 응용서비스영역
12: 정보처리장치
20: 확인모듈
30: 동작결정모듈
1: User area
1a: house
1b: Home appliances
1c: Edge device
2: Operator area
2a: first server
2b: second server
2c: server
2d: AI server
10: Individual service area
11: Application service area
12: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0: Confirmation module
30: Operation decision module

Claims (20)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
개별서비스를 제공되는 개별서비스영역; 및
상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전기기 및 상기 단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것;
상기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확인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제 1 상태를 확인하는 것; 및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제 1 요청에 적합한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At least one household appliance;
A terminal capable of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ndividual service areas where individual services are provided;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through a network and providing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individual servi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toring a first request from a user using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n a memory using at least one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terminal;
receiving basic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second request;
using the individual service to confirm the user's second request from the basic information;
confirming a first status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and
Confirming the user's first request, and changing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o provide an application service that performs the user's second request suitable for the user's first request. cont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정수기이고,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은 복약요청이고, 상기 사용자의 제 2 요청은 출수요청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s a water purifier, the user's first request is a medication request, and the user's second request is a water discharge reques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상태는 절전모드이고, 상기 제 2 상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기동시에 우선하여 동작하는 우선동작부분을 동작시키는 상태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ate is a power saving mode, and the second state is a state in which a priority operation part that operates preferentially when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s started is oper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상기 제 1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태로 변경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Before providing the application service,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changes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는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service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that transmits to the terminal.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
개별서비스를 제공되는 개별서비스영역; 및
상기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기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전기기 및 상기 단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제 2 요청을 포함하는 기초정보를 수신하는 것;
상기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기초정보로부터 상기 다른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확인하는 것;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제 1 상태를 확인하는 것; 및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에 적합한 상기 다른 사용자의 제 2 요청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상기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At least one household appliance;
A terminal capable of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ndividual service areas where individual services are provided;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through a network and providing an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individual servi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toring a first request from a user using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n a memory using at least one of the home appliance and the terminal;
receiving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 second request from another user;
using the individual service to confirm the second request of the other user from the basic information;
confirming a first status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and
Confirming the first request of the user, and providing an application service that performs the second request of the other user suitable for the first request of the user,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Including chang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제 2 요청의 존재를 상기 단말 및 상기 가전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a home appliance that transmits the existence of the second request to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and the home appliance before providing the application ser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청을 수신한 상기 단말 및 상기 가전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회신에 근거하여, 상기 응용서비스는 달라지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wherein the application service is changed based on a reply from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that received the second request and the home applian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정수기이고, 상기 사용자는 보호자이고, 상기 다른 사용자는 어린이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home appliances wherein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s a water purifier, the user is a guardian, and the other user is a child.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
제 2 요청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확인모듈; 및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중의 어느 하나의 동작상태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경하는 것,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 1 요청을 확인한 후에 상기 사용자 제 1 요청에 적합하도록 제 2 요청을 수행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작결정모듈을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장치.
a memory for previously storing a first request from a user using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using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and at least one of a terminal used by the user;
A confirmation module that checks the operating state of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n response to the second request; and
Changing the operating state of one of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from a first state to a second state in response to the second request,
Information processing for a home appliance, including an operation decision module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service, in response to the second request, confirming the user's first request and then performing a second request to suit the user's first request.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결정모듈은, 상기 가전기기의 내부의 구성 중에서 일정 부분만 우선 동작하도록 하는 동작순서결정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operation decision module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a home appliance including an operation sequence determination unit that allows only a certain por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o be operated first.
제 1 요청을 미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
정보처리장치가 노드로부터 제 2 요청을 의미하는 트리거신호를 수신하는 것;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개별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트리거신호에서 상기 제 2 요청을 파악하는 것;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 1 요청을 확인하는 것; 및
상기 제 1 요청에 적합하도록 상기 제 2 요청을 변경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storing the first request in advance in memor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ceives a trigger signal indicating a second request from the nod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etects the second request from the trigger signal using an individual servi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cludes: determining the status of at least one home appliance;
confirming the first request stored in memory to provide an applic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quest;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a home appliance, including providing an application service by changing the second request to suit the first reques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는 상기 제 2 요청과는 다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application service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tha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reques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청은 사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사용자 이미지의 형태로 전달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second request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a home appliance that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the user's voice or the user's imag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청은 정수기의 출수요청이고, 상기 제 1 요청은 복약요청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second request is a request for water discharge from a water purifier, and the first request is a request for medica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청은 정수기의 출수요청이고, 상기 제 1 요청은 어린이에 대한 정수기의 사용제약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second request is a request for the water purifier to be discharged, and the first request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a home appliance that restricts the use of the water purifier for childre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는 상기 복약요청을 준수하는 방식의 정수기의 사용안내인,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application service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that guides the use of a water purifier in a way that complies with the medication reques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수신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application service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that the user's terminal receive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는 정수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2,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a home appliance, wherein the at least one home appliance includes a water purifi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청의 사용자와 상기 제 2 요청의 사용자는 다르고,
상기 제 2 요청에 대응하는 응용서비스의 수행 시에 상기 제 1 요청의 사용자의 단말로 제 2 요청을 알리는 것, 및 상기 제 1 요청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회신을 받는 것을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위한 정보처리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user of the first request and the user of the second request are different,
Information for home appliances, including notifying the second request to the terminal of the user of the first request when performing the application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quest, and receiving a response from the terminal of the user of the first request Processing method.
KR1020220129586A 2022-10-11 2022-10-11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KR202400499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586A KR20240049991A (en) 2022-10-11 2022-10-11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586A KR20240049991A (en) 2022-10-11 2022-10-11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991A true KR20240049991A (en) 2024-04-18

Family

ID=9084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586A KR20240049991A (en) 2022-10-11 2022-10-11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99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439A (en) 2019-12-12 202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439A (en) 2019-12-12 202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method of control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12470A1 (en) Multi-user intelligent assistance
CN107910007B (en) Multi-user personalization on a voice interface device
CN109791762B (en) Noise Reduction for Voice Interface Devices
US11990128B2 (en) Focus session at a voice interface device
US20240135914A1 (en) Conversation-aware proactive notifications for a voice interface device
CN106297781B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ler
US113540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alog interaction in distributed automation systems
CN106257355B (en)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controller
CN108574515B (en) Data sha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intelligent sound box equipment
CN112051743A (en) Device control method, conflict processing method, corresponding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380968A1 (en) Voice response interfacing with multiple smart devices of different types
CN110415694A (en) A kind of method that more intelligent sound boxes cooperate
US11511410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359503B (en)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KR20240049991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US20230154460A1 (en) Digital assistant device for resolving command conflicts
KR20240049990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KR20240049993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KR20240049992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CN112403715A (en) Intelligent show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lligent shower
CN111741116A (en) Emotio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240049989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cessing system,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KR102636908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on between social robot and user based on non-verbal recognition
US20230360507A1 (en) In-home event intercom and notifications
WO2023219649A1 (en) Context-based user inte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