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232A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based on trends - Google Patents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based on tren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232A
KR20240049232A KR1020240042762A KR20240042762A KR20240049232A KR 20240049232 A KR20240049232 A KR 20240049232A KR 1020240042762 A KR1020240042762 A KR 1020240042762A KR 20240042762 A KR20240042762 A KR 20240042762A KR 20240049232 A KR20240049232 A KR 20240049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d
information
trend information
product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2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재영
박준철
장윤훈
최형원
Original Assignee
옴니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5375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13875A/en
Application filed by 옴니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어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4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232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1 트렌드(trend) 정보 및 마켓에서 판매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2 트렌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제3 트렌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품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제1 트렌드 정보 및 상기 제2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3 트렌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product based on a trend, comprising first trend information about a produc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influencer and at least one product sold in a market. Obtaining second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related to the brand, acquiring third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and common classification criteria defined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Accordingly, a method including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trend information and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e third trend information is provided.

Description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BASED ON TRENDS}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roducts based on trends

본 발명은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roducts based on trends.

전체 소매 판매 시장에서 온라인 시장이 차지하는 점유율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오프라인 시장에서 행해져 오던 다양한 판매 촉진 기법을 온라인 시장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온라인에서는 상품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품과 연관된 판매자, 구매자, 인플루언서 등 다양한 참여자의 활동에 관한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라인에서 나타나는 상품에 관한 트렌드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As the online market's share of the overall retail sales market is rapidly increasing, attempts are being made to apply various sales promotion techniques that have been used in the offline market to the online market. In particular, online, it is possible to utilize a vast amount of data about the activities of various participants such as sellers, buyers, and influencers related to products, including data about products, so we use this data to analyze trends about products that appear online. Interest in technology that uses the analysis results for marketing is increasing.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121132호에 개시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상품 및 상품 연관어를 포함하는 검색 정보가 입력되면,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접근하여 상기 검색 정보에 대응되는 SNS 문서들을 수집하는 SNS 문서 수집부; 상기 SNS 문서들에 대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여 다수의 상품 토픽을 생성하는 토픽 모델링부; 및 상기 다수의 상품 토픽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토픽 트랜드를 파악하고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토픽 분석부를 포함하는 소셜 빅데이터 기반의 상품 트랜드 및 매출 분석 장치가 제공된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in this regard, the technology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121132 can be cited as an example. According to this, when search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s and product-related words is input, SNS (Social Network Service ) an SNS document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SNS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search information by accessing; a topic modeling unit that generates multiple product topics by performing topic modeling on the SNS documents; and a topic analysis unit that identifies, visualizes, and provides topic trends by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on the plurality of product topics. A social big data-based product trend and sales analysis device is provided.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나 온라인 쇼핑몰에서 인기 있는 상품이나 유행하는 트렌드에 관한 통계 정보를 단순히 제공하는 것에 그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에서 자신의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사람(즉, 판매자)에게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솔루션을 제공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판매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 중 어떤 상품이 트렌드에 부합하는 상품인지에 관한 판단을 내리거나 트렌드에 부합하기 위하여 어떤 상품을 보충해야 하는지에 관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솔루션이 부재한 상황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technologies introduced so far,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ologies, they are limited to simply providing statistical information about popular products or popular trends in social network services or online shopping malls, so you can sell your products in online shopping malls.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more specific and practically helpful solutions to people who want to sell (i.e., sellers). For example, a solution that can help a seller make a decision about which of the products in stock is a product that matches a trend or which product needs to be supplemented to match a trend. It is an absence situation.

특히, 의류, 신발 등과 같은 패션 상품의 경우에는 그 명칭을 특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상품에 비해 유행이 빠르게 변하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판매자로서는 트렌드에 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이 판매할 패션 상품을 트렌드에 맞게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여간 어려운 작업이 아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ashion products such as clothing, shoes, etc., not only are their names difficult to specify, but trends change faster than other types of products, so even if sellers have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rends, they cannot sell them. Managing fashion products appropriately according to trends is not an easy task.

이에 본 발명자(들)는, 사용자가 판매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자신의 상품에 관한 트렌드를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트렌드 및 마켓에서 판매되는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트렌드와 비교해서 살펴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based on trends related to products that users hold for sale, trends related to products related to influencers and trends related to products related to brands sold in the market. We propose a technology that supports comparison and examin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1 트렌드(trend) 정보, 마켓에서 판매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2 트렌드 정보 및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제3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두 가지 트렌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품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위의 적어도 두 가지 트렌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판매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자신의 상품에 관한 트렌드를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트렌드 또는 마켓에서 판매되는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트렌드와 비교해서 살펴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irst tren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influencer, second tren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brand sold in the market, and the user. By acquiring at least two pieces of trend information among the third tren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held for sale and providing the at least two pieces of tre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mon classification standard defined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product, the user can sell Another way is to support you to compare trends related to your own products with trends related to products related to influencers or trends related to products related to brands sold in the market.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상품의 속성에 따라 정의되는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트렌드 정보를 서로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wo or more types of trend information in a form that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 common classification standard defined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A representati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1 트렌드(trend) 정보, 마켓에서 판매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2 트렌드 정보 및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제3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두 가지 트렌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품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가지 트렌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product based on a trend, comprising first trend information about a produc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influencer, at least one product sold in the market. Obtaining at least two pieces of trend information among second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related to the brand and third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and defined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A method is provided that includes providing the at least two pieces of tre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mon classification standard.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1 트렌드(trend) 정보, 마켓에서 판매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2 트렌드 정보 및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제3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두 가지 트렌드 정보를 획득하는 트렌드 관리부, 및 상품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가지 트렌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roducts based on trends, comprising first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influencer, at least one product sold in the market. A trend management unit that acquires at least two trend information among second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related to the brand and third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and a definition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A system including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that provides the at least two types of tre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mon classification standard is provided.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In addition,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r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판매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자신의 상품에 관한 트렌드를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트렌드 또는 마켓에서 판매되는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트렌드와 비교해서 살펴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d regarding the product that the user holds for sale is compared with the trend regarding the product associated with the influencer or the trend regarding the product associated with the brand sold in the market. You can take a look.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의 속성에 따라 정의되는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트렌드 정보를 서로 비교 가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wo or more types of trend information in a form that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 common classification standard defined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을 트렌드에 맞게 관리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helpful in managing products held by users for sale in accordance with trend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 중 트렌드에 부합하는 속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으로 구성되는 기획전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대한 판매 촉진이 시의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special exhibition content consisting of at least one product with attributes that match the trend among the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thereby promoting sales of the products held by the user. This can be accomplished in a timely man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트렌드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roducts based on tre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trend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by a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changes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d below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taken to encompass the scope claimed by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thereof. Like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전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ntire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roducts based on tre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100, a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and a device 300.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First,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regardless of communication mode, such as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be used as a local area network (LAN) or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 and a wide area network (WAN). Preferably,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referred to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the known Internet or World Wide Web (WWW). Howe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a known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a known telephone network, or a known wired or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식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Wi-Fi communication, WiFi-Direct communication,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and Bluetooth communication (e.g., low-power Bluetooth (e.g., low-power Bluetooth). It may implement, at least in part, conventional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ultrasonic communication, etc.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후술할 디바이스(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1 트렌드(trend) 정보, 마켓에서 판매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2 트렌드 정보 및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제3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두 가지 트렌드 정보를 획득하고, 상품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위의 적어도 두 가지 트렌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devic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may select a produc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influencer. At least two of first trend information about, second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related to at least one brand sold in the market, and third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I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cquiring trend information and providing at least the above two types of trend information according to common classification criteria defined based on product attributes.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후술할 디바이스(300) 또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디바이스(300) 또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ussed in detail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Meanwhile, although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has been described as above, this description is illustrative, and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r components required for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may be used as a device 300 o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may be realized within an external system (not shown) or included in the device 300 or an external system (not shown).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300)는 통신망(1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 가능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300 is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function that allows communication after accessing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Any portable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and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equipped with computing power, such as the like, can be adopted as the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00)에는, 상품에 관한 정보가 결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지원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300 may include an application to support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product is determined. Such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or an external application distribution server (not shown).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service provision system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Below, we will look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which performs important function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트렌드 관리부(210), 정보 제공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렌드 관리부(210), 정보 제공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and a microprocessor to have computing capabilities. This service providing system 200 may be a server system. As shown in FIG. 2,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rend management unit 210,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30, and a control unit 2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some of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information provision unit 220, communication unit 230, and control unit 240 may be program modules that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ystem.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pplication program module, or other program module,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i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Additionally,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memory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Meanwhile, such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specific tasks or execute specific abstract data ty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렌드 관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1 트렌드(trend)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트렌드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may obtain first trend information regarding a produc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influencer.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en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data obtained from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렌드 관리부(210)는 마켓에서 판매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2 트렌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트렌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의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마켓(온라인 쇼핑몰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may obtain second tren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brand sold in the market.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based on data obtained from a market (such as an online shopping mall) where products of at least one brand are sol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렌드 관리부(210)는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제3 트렌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판매하고 있거나 판매할 예정인 상품에 관한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상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제3 트렌드 정보는 해당 사용자가 판매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으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may obtain third tren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He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aintain information about products he or she is selling or plans to sell on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ird trend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It can be generated based on data obtained from products held for sa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렌드 관리부(210)는 위에서 설명된 제1 트렌드 정보, 제2 트렌드 정보 및 제3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두 가지 트렌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위에서 설명된 제1 트렌드 정보, 제2 트렌드 정보 및 제3 트렌드 정보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may acquire at least two types of trend information among the first trend information,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ird trend information described above, and, if necessary, from the above. All of the described first trend information,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ird tren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된 제1 트렌드 정보, 제2 트렌드 정보 및 제3 트렌드 정보는 상품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의 속성은 해당 상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이미지, SNS 게시물, 상품 판매 게시물 등)를 분석한 결과로서 도출되는 태그 또는 키워드에 기초하여 특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설명된 공통된 분류 기준은 둘 이상의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end information,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ird trend information described above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common classification standard defined based on product attributes.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may be specified based on tags or keywords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at least one content (image, SNS post, product sales post, etc.) including the product. You can. 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on classification criteria described above may be structur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including two or more layer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부(220)는 상품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위의 획득되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트렌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N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er 220 may provide at least two types of trend information obtained above according to a common classification standard defined based on product attribute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트렌드 정보와 제2 트렌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고, 제2 트렌드 정보와 제3 트렌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고, 제3 트렌드 정보와 제1 트렌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트렌드 정보, 제2 트렌드 정보 및 제3 트렌드 정보를 모두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rend information and second tren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gether,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ird tren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gether, and third trend information and first tren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gether. Tren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gether, and furthermore, first trend information,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ird trend information can all be provided together.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부(220)는, 제1 트렌드 정보 및 제2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 트렌드 정보와 제3 트렌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제1 트렌드 정보 및 제2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 트렌드 정보와 제3 트렌드 정보를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비교하면서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ovid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t least one of first trend information and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ird trend information. Furtherm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er 220 allows the user to search by comparing at least one trend information and third trend information among the first trend information and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mon classification standard. A user interface that supports this can be provided.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트렌드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3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trend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by a servic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소정 기간(예를 들면, 일주일)을 단위로 하여 해당 기간에 인기가 높은 패션 상품에 대한 트렌드 정보를 다양한 카테고리별로 요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arious trend information on fashion products that are popular during a given period (for example, a week). A summary can be provided by category.

계속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슬랙스, 테일러드재킷, 스웨트셔츠, 스웨트팬츠, 티셔츠, 가디건, 셔츠, 스웨터, 후드, 플레어스커트 등 다양한 패션 상품 카테고리(310)에 대하여 순위, 관련 해시태그, 성별, 지역, 관심도 변화 등에 관한 트렌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ure 3, rankings, related hashtags, gender, Trend information regarding regions, changes in interest, etc.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 소스에서 소정 수준 이상의 영향력 또는 인기가 있는 인플루언서(influencer)가 패션 상품에 관하여 게시한 콘텐츠(이미지 등)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제1 트렌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소스는 온라인 상에서 공개되는 복수의 사용자의 일상, 의견, 반응, 성향 등을 기반으로 트렌드(trend)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플랫폼(platform) 또는 데이터베이스(DB)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소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공공 또는 민간 빅데이터(big data)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ures 4 and 5, based on various data that can be obtained from content (images, etc.) posted about fashion products by influencers with influence or popularity above a certain level from external sources The first trend information generated may be provided. Here, external source refers to any type of platform or database that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rends based on the daily lives, opinions, reactions, tendencies, etc. of multiple users disclosed online. can do. For example, the external source may include at least one social network service (SNS), public or private big data service, etc.

계속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패션 상품의 특정 카테고리(예를 들면, 티셔츠)에 대한 제1 트렌드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참조된 인플루언서의 성별, 지역, 팔로워 수 등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410), 이들 인플루언서 중 상품의 특정 속성 또는 특정 해시 태그에 해당하는 인플루언서에 관한 정보(썸네일, 링크 등)(420)가 선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Continuing to refer to Figures 4 and 5, in generating first trend information for a specific category of fashion products (for example, T-shirts), information on the gender, region, number of followers, etc. of the referenced influencer is provided. may be provided (410), and information (thumbnails, links, etc.) (420) regarding influencers corresponding to specific attributes of the product or specific hashtags among these influencers may be selectively provided.

계속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패션 상품의 속성(컬러(Color), 핏(Fit), 프린트(Print), 길이(Body length), 디테일(Detail), 넥라인(Neckline), 텍스쳐(Texture) 등) 각각에 대하여 정의되는 분류 기준에 따라 트렌드 정보(430)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에서 제공되는 제1 트렌드 정보는 도 6 및 도 7에서 제공되는 제2 트렌드 정보 및 도 8에서 제공되는 제3 트렌드 정보와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attributes of the fashion product (Color, Fit, Print, Body length, Detail, Neckline, Texture) (Texture, etc.) Trend information 43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riteria defined for each. As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end information provided in FIGS. 4 and 5 is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provided in FIGS. 6 and 7 and the third trend information provided in FIG. 8 I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common classification criteria.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의 패션 상품이 판매되는 마켓(온라인 쇼핑몰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제2 트렌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마켓은 온라인 쇼핑몰, 쇼핑 플랫폼, 가격 비교 플랫폼, 중고 거래 플랫폼 등을 포함하여 상품이 거래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플랫폼(platform) 또는 데이터베이스(DB)를 의미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S. 6 and 7 , second trend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various data that can be obtained from a market (such as an online shopping mall) where fashion products of at least one brand are sold may be provided. Here, the market may refer to any type of platform or database (DB) where products can be traded, including an online shopping mall, shopping platform, price comparison platform, used trading platform, etc.

계속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패션 상품의 특정 카테고리(예를 들면, 티셔츠)에 대한 제2 트렌드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참조된 브랜드의 순위, 할인 비중, 가격대 등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이들 브랜드에 해당하는 패션 상품 중 특정 속성 또는 특정 해시 태그에 해당하는 상품의 판매 페이지에 관한 정보(썸네일, 링크 등)가 선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in generating second trend information for a specific category of fashion products (e.g., T-shirts), information on the ranking, discount proportion, price range, etc. of the referenced brands will be provided. Information (thumbnails, links, etc.) about sales pages of products corresponding to specific attributes or specific hashtags among fashion products corresponding to these brands may be selectively provided.

계속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패션 상품의 속성(컬러(Color), 핏(Fit), 프린트(Print), 길이(Body length), 디테일(Detail), 넥라인(Neckline), 텍스쳐(Texture) 등) 각각에 대하여 정의되는 분류 기준에 따라 트렌드 정보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서 제공되는 제2 트렌드 정보는 도 4 및 도 5에서 제공되는 제1 트렌드 정보 및 도 8에서 제공되는 제3 트렌드 정보와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attributes of the fashion product (Color, Fit, Print, Body length, Detail, Neckline, Texture) (Texture, etc.) Tren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or each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defined for each. As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provided in FIGS. 6 and 7 is common with the first trend information provided in FIGS. 4 and 5 and the third trend information provided in FIG. 8. It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riteria.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패션 상품(풀(pool) 또는 스탁(stock))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제3 트렌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패션 상품에 관한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됨)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8, third trend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various data that can be obtained from fashion products (pool or stock) held by the user for sale may be provided. there is.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about fashion products held by a user for sale may be stored in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계속하여, 도 8을 참조하면, 패션 상품의 특정 카테고리(예를 들면, 티셔츠)에 대한 제3 트렌드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참조된 패션 상품 중 특정 속성 또는 특정 해시 태그에 해당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썸네일, 링크 등)(620)가 선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 8, in generating third trend information for a specific category of fashion products (e.g., T-shirts), information about products corresponding to specific attributes or specific hashtags among the referenced fashion products ( Thumbnails, links, etc.) 620 may be provided selectively.

계속하여,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패션 상품의 속성(컬러(Color), 핏(Fit), 프린트(Print), 길이(Body length), 디테일(Detail), 넥라인(Neckline), 텍스쳐(Texture) 등) 각각에 대하여 정의되는 분류 기준에 따라 트렌드 정보(630)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서 제공되는 제3 트렌드 정보는 도 4 및 도 5에서 제공되는 제1 트렌드 정보 및 도 6 및 도 7에서 제공되는 제2 트렌드 정보와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을 인플루언서 트렌드 또는 마켓 트렌드에 맞게 관리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ure 8, the attributes of the fashion product owned by the user (Color, Fit, Print, Body length, Detail, Neckline) , texture, etc.), trend information 630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riteria defined for ea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rend information provided in FIG. 8 is classified according to a common classification standard with the first trend information provided in FIGS. 4 and 5 and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provided in FIGS. 6 and 7. can be provided. By doing this, users can receive information that can help them manage the products they have for sale in line with influencer trends or market trends.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티셔츠 상품에서는 블랙, 블루, 네이비의 컬러 속성을 갖는 티셔츠 상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제3 트렌드 정보)과는 달리, 유명 인플루언서에 의하여 자주 소개되고 있는 티셔츠 상품에서는 화이트, 블랙, 그레이의 컬러 속성을 갖는 티셔츠 상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즉, 제1 트렌드 정보), 마켓에서 인기가 있는 브랜드에 의하여 자주 소개되고 있는 티셔츠 상품에서는 블랙, 화이트, 그레이의 컬러 속성을 갖는 티셔츠 상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즉, 제2 트렌드 정보)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위와 같이 제공되는 제3 트렌드 정보를 제1 트렌드 정보 및 제2 트렌드 정보와 비교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플루언서 트렌드 또는 마켓 트렌드에 부합하는 화이트 또는 그레이의 컬러 속성을 갖는 티셔츠 상품을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티셔츠 상품에 추가해야 하겠다는 취지의 판단을 내리거나,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티셔츠 상품 중 현재 트렌드에 부합하는 블랙의 컬러 속성을 갖는 티셔츠 상품을 주로 판매해야 하겠다는 취지의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T-shirt products owned by users, the proportion of T-shirt products with color attributes of black, blue, and navy appears high (third trend information), but unlike T-shirt products that are frequently introduced by famous influencers, In T-shirt products, there is a high proportion of T-shirt products with color attributes of white, black, and gray (i.e., first trend information), and in T-shirt products frequently introduced by popular brands in the market, there is a high proportion of T-shirt products with color attributes of white, black, and gray. It can be assumed that a high proportion of T-shirt products with color attributes appears (i.e., second trend information).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mpare the third trend information provided as above with the first trend information and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us determine the influencer trend or market trend. Make a decision to add a T-shirt product with matching white or gray color attributes to the T-shirt products you own, or make a decision to add a T-shirt product with a black color attribute that matches the current trend among the T-shirt products you own. It is possible to make a decision to mainly sell t-shirt products.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트렌드 정보, 제2 트렌드 정보 및 제3 트렌드 정보가 모두 함께 제공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반드시 상기 열거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트렌드 정보, 제2 트렌드 정보 및 제3 트렌드 정보 중 두 가지 트렌드 정보만이 함께 제공되는 실시예도 얼마든지 상정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trend information,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e third trend information are all provided together has been mainly described,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s. . That is, as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noted that an embodiment in which only two of the first trend information,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ird trend information are provided together can be assum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외부 소스(예를 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등)로부터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 중 위의 트렌드 키워드와 연관되는 속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포함하는 기획전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can obtain a trend keyword specified from an external source (e.g., a social network service, an online shopping mall, etc.) and allow the user to sell it. It is possible to further perform the function of creating special exhibition content that includes at least one product that has attributes related to the above trend keyword among the products it own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렌드 관리부(210)는 외부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may specify a trend keyword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n external sou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외부 소스는 온라인 상에서 공개되는 복수의 사용자의 일상, 의견, 반응, 성향 등을 기반으로 시장 트렌드(market trend)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플랫폼(platform) 또는 데이터베이스(DB)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외부 소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공공 또는 민간 빅데이터(big data)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등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external source is a platform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market trends based on the daily lives, opinions, reactions, tendencies, etc. of a plurality of users disclosed online. ) or a database (DB).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external sources may include at least one social network service (SNS), public or private big data service, online shopping mall, etc.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드 관리부(210)는 외부 소스에서 소정 기간 동안에 소정 수준 이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키워드를 참조하여 트렌드 키워드(trend keyword)를 특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y a trend keyword by referring to keywords that are frequently us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from an external source.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드 관리부(210)는 외부 소스에서 소정 수준 이상의 영향력이 있는 인플루언서(influencer)에 의해 사용되는 키워드를 참조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y trend keywords by referring to keywords used by influencers with a certain level of influence or higher from external sources.

또 다른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렌드 관리부(210)는 외부 소스에서 소정 수준 이상의 판매량을 나타내는 브랜드(influencer)의 상품에 대하여 사용되는 키워드를 참조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y trend keywords by referring to keywords used for products of a brand (influencer) whose sales volume is above a certain level from an external source.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부(220)는 위와 같이 획득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분석함으로써 트렌드 키워드와 연관되는 속성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부(220)는, 트렌드 키워드와 연관되는 속성과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속성을 참조함으로써,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 중 트렌드 키워드와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결정할 수 있고, 이렇게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포함하는 기획전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er 220 may determine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e trend keyword by analyzing the trend keyword obtained as above.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er 220 refers to the attributes associated with trend keywords and the attributes of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thereby providing the product held for sale by the user. At least one product related to a trending keyword can be determined, and special exhibition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product thus determined can be created.

예를 들면, 2020년 11월 1주차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많이 언급되는 트렌드 키워드로서 "린넨무지자켓"가 특정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린넨무지자켓"이라는 트렌드 키워드와 연관되는 속성으로서 "린넨"이라는 소재 속성, "무지"라는 프린트/패턴 속성, "재킷"이라는 아이템 속성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수많은 패션 상품 중 "린넨"이라는 소재 속성, "무지"라는 프린트/패턴 속성 또는 "재킷"이라는 아이템 속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패션 상품이 선별(필터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이 트렌드 키워드에 부합하는 패션 상품으로서 선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션 상품을 포함하는 기획전 콘텐츠(예를 들면, 온라인 카탈로그 또는 브로슈어, 큐레이팅된 상품 소개 페이지 등)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획전 콘텐츠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온라인 쇼핑몰 등 온라인 매체에 게시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트렌드 키워드에 부합하는 패션 상품으로서 선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션 상품에 대한 판매 촉진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이해되어야 한다.For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linen plain jacket” is specified as a trend keyword frequently mentioned in social network services in the first week of November 2020. In thi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terial attribute called "linen", a print/pattern attribute called "plain", and an item attribute called "jacket" can be determined as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e trend keyword called "linen plain jacket". there is.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numerous fashion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at least one item having a material attribute of "linen", a print/pattern attribute of "plain fabric", or an item attribute of "jacket" Fashion products can be selected (filtered).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al exhibition content (e.g., online catalog or brochure, curated product introduction page, etc.) including at least one fashion product selected as a fashion product matching the trend keyword as described above. can be created. He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al exhibition content refers to various types of content that can be posted on online media such as social network services and online shopping malls, and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ashion product that matches a trend keyword.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types of content that can promote sales of fashion product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30)는 트렌드 관리부(210) 및 정보 제공부(22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Next, the communication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that allows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to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220.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40)는 트렌드 관리부(210), 정보 제공부(220) 및 통신부(23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40)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트렌드 관리부(210), 정보 제공부(220) 및 통신부(23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Lastly, the control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the information provision unit 2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30. That is, the control unit 2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ata flow to/from the outside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or the data flow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service provision system 200, thereby controlling the trend management unit 210, information The provision unit 2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30 can each be controlled to perform their own functions.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 hardware device can be convert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all scop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ly chang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100: 통신망
200: 서비스 제공 시스템
210: 트렌드 관리부
220: 정보 제공부
230: 통신부
240: 제어부
300: 디바이스
100: communication network
200: Service provision system
210: Trend Management Department
220: Information provision department
23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240: control unit
300: device

Claims (5)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시스템은 트렌드 관리부 및 정보 제공부를 포함함 -,
상기 트렌드 관리부가,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1 트렌드(trend) 정보, 마켓에서 판매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2 트렌드 정보 및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제3 트렌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부가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제3 트렌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 단계에서, 상기 제1 트렌드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2 트렌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의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제1 트렌드 정보 및 상기 제2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 기준과 공통되는 분류 기준이며,
상기 분류 기준은 상품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둘 이상의 게층을 포함하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품의 속성은 상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분석하여 도출되는 태그 또는 키워드에 기초하여 특정되고,
상기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트렌드 정보 및 상기 제2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 트렌드 정보와 상기 제3 트렌드 정보를 상기 분류 기준에 따라 비교하면서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A method implemented in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products based on trends - the system includes a trend management unit and an information provision unit -
The trend management unit provides first tren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influencer, second tren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brand sold in the market, and users. Obtaining third-party trend information about products held for sale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third trend information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riteria.
Including,
In the acquisition step, the first trend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data acquired from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is generated from an online shopping mall where products of at least one brand are sold. It is created based on the acquired data,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s a classification standard common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rend information and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defined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and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that includes two or more layers,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are specified based on tags or keywords derived by analyzing at least one content including the product,
In the provision step, providing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search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trend information and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e third tre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관리부가 외부 소스로부터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 중 상기 트렌드 키워드와 연관되는 속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포함하는 기획전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 step where the trend management unit acquires a trend keyword specified from an external source, and
The information provider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generating special exhibition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product having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e trend keyword among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method.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인플루언서(influencer)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1 트렌드(trend) 정보, 마켓에서 판매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brand)와 연관된 상품에 관한 제2 트렌드 정보 및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관한 제3 트렌드 정보를 획득하는 트렌드 관리부 및
분류 기준에 따라 상기 제3 트렌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드 관리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렌드 정보를 생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브랜드의 상품이 판매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트렌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제1 트렌드 정보 및 상기 제2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 기준과 공통되는 분류 기준이며,
상기 분류 기준은 상품의 속성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둘 이상의 게층을 포함하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품의 속성은 상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분석하여 도출되는 태그 또는 키워드에 기초하여 특정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트렌드 정보 및 상기 제2 트렌드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 트렌드 정보와 상기 제3 트렌드 정보를 상기 공통된 분류 기준에 따라 비교하면서 조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A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products based on trends,
First tren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influencer, second trend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brand sold in the market, and information held by the user for sale A trend management department that acquires third-party trend information on existing products and
Information provision unit that provides the third trend information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riteria
Including,
The trend management unit generates the first trend information based on data obtained from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based on data obtained from an online shopping mall where products of at least one brand are sold. Generating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is a classification standard common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rend information and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re defined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and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that includes two or more layers,
The attributes of the product are specified based on tags or keywords derived by analyzing at least one content including the product,
The information provider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compare and inquire at least one of the first trend information and the second trend information and the third tren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mon classification criteria. doing,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드 관리부는 외부 소스로부터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획득하고,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가 판매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상품 중 상기 트렌드 키워드와 연관되는 속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포함하는 기획전 콘텐츠를 생성하는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trend management unit acquires trend keywords specified from external sources,
The information provider generates special exhibition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product with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e trend keyword among products held by the user for sale.
system.
KR1020240042762A 2020-07-27 2024-03-28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based on trends KR2024004923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352 2020-07-27
KR20200093352 2020-07-27
KR1020200153759A KR20220013875A (en) 2020-07-27 2020-11-17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based on trend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759A Division KR20220013875A (en) 2020-07-27 2020-11-17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based on tre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232A true KR20240049232A (en) 2024-04-16

Family

ID=80036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2762A KR20240049232A (en) 2020-07-27 2024-03-28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based on trend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9232A (en)
WO (1) WO2022025569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030A (en) * 2011-05-18 2012-11-2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erchandise sale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454612B2 (en) * 2013-08-29 2016-09-27 Fujitsu Limited Item selection in curation learning
KR20190018369A (en)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카벤토리 Merchandise Planning System And Method Using Merchandise Planning Server
KR102147649B1 (en) * 2018-06-18 2020-08-26 주식회사 레이니가든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KR102177823B1 (en) * 2019-12-12 2020-11-11 옴니어스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gmenting product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5569A1 (en)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jukhadar et al. Imagery makes social media captivating! Aesthetic value in a consumer-as-value-maximizer framework
Bagwell Transnational entrepreneurship amongst Vietnamese businesses in London
McCormick et al. Fashion retailing–past, present and future
Andersson et al. The configuration of actors in market practice
Malthouse et al. Managing customer relationships in the social media era: Introducing the social CRM house
US10360623B2 (en) Visually generated consumer product presentation
Zhao et al. The rise of fashion informatics: A case of data-mining-based social network analysis in fashion
US20180165611A1 (en) Providing Commerce-Related, Blockchain-Associated Cognitive Insights Using Blockchains
US8566261B2 (en) Interactive recommendations
CN104395901B (en) For user to be promoted to obtain the method and system of content
US2023021489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t discovery in user generated content
Rovai Digitalisation, luxury fashion and “Chineseness”: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context for luxury brands and the online luxury consumers experience
US10504147B1 (en) Enhanced permissions management
Lui Public curation and private collection: The production of knowledge on Pinterest. com
US202101829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cial media recommendations engines
Hong et al. Mymoviehistory: social recommender system by discovering social affinities among users
Liao et al. Big data analytics of social network marketing and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Han et al. Color Trend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with Fashion Collection Images
US202300305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agged image generation
Yao et al. Service value co-creation in digital platform business: A case of xianyu idle trading platform
Kim Collaborative fashion consumption in the sharing economy: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s
KR20210059593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ale mediate service based on influencer's contents
Madhura et al. Customer Percep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ocial-Media and Purchasing Behavior of Fashion Products
KR20220013875A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roducts based on trends
Hamzah et al. Enhancing Customer–Brand Interaction: Customer Engagement on Brand Pages of Social Networking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