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053A - 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053A
KR20240048053A KR1020220126777A KR20220126777A KR20240048053A KR 20240048053 A KR20240048053 A KR 20240048053A KR 1020220126777 A KR1020220126777 A KR 1020220126777A KR 20220126777 A KR20220126777 A KR 20220126777A KR 20240048053 A KR20240048053 A KR 20240048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ervice
voice
voice inform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충섭
하영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딥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딥하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딥하이
Priority to KR102022012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053A/en
Publication of KR2024004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05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중계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한 제1통신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발화음성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입력시키는 음성 송수신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제2통신 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제1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음성정보를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a service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relay devic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a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a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that receives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outputs it to the user or inputs the user's spoken voice to the mobile terminal. 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wherei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first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voice information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Controls delivery to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and the service program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a service system, and a service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perform various services using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다.The use of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is becoming widespread.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 통화를 녹음하거나 실시간으로 통화내용의 음성인식, 실시간 번역, 응답을 텍스트로 입력하는 경우의 음성발화, 음성변조 등의 통화관련 서비스에 대한 니즈 역시 커지고 있다. When making a call using such a mobile terminal, there is a need for call-related services such as recording the call as necessary, voice recognition of the call content in real time, real-time translation, voice speech when entering the response as text, and voice modulation. It is also growing.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통화를 하는 경우에 통화관련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OS에서 제공되며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본 통화 프로그램과 써드파티(3rd party) 애플리케이션과의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보안상의 이유 또는 기타 정책적인 이유로 기본 통화 프로그램이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으로 통화음성을 제공하지 않거나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기본 통화 프로그램이 수신하지 못하는 환경이 생성되고 있다.In order to perform call-related services when making a call using a mobile terminal, smooth communication must be established between the basic call program provided by the OS and providing call services and a third-party application. However, for security reasons or other policy reasons, an environment is being created in which the basic call program does not provide call voice to third-party applications or the basic call program does not receiv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hird-party application.

더욱이 이러한 기본 통화 프로그램의 보안 또는 정책은 더욱 강화될 수도 있다.Moreover, the security or policies of these basic currency programs may be further strengthened.

따라서 다양한 보안 정책에 무관하게 원활하고 효율적인 통화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Therefore, methods and systems that can provide smooth and efficient call-related services regardless of various security policies are required.

한국특허출원 10-2002-0036203호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을 위한 소형전화기형 중계단말기와 튜부형 이어폰"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2-0036203 “Small phone-type repeater terminal and tube-type earphone for mobile communication using Bluetooth”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음성 송수신 장치(예컨대, 이어폰, 헤드셋 등)와 통신하는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통화관련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device, and system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call-related services using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and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e.g., earphones, headsets, etc.). .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계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한 제1통신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발화음성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입력시키는 음성 송수신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제2통신 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제1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음성정보를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한다.The re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to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receive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output it to the user, or transmit the user's spoken voice to the mobile terminal. It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a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inputted to the terminal, and a control module, wherein the control module receives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first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 Controls the voic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the service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를 이용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과 음성 송수신 장치 간에 전달되는 음성정보들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또는 상기 프로그램의 보안 또는 정책 환경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고 효율적인 음성정보 관련 서비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utiliz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between a program installed on a mobile terminal and a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ing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and use this to secure or secure the mobile terminal and/or the program.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diverse and efficient voice information-related services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policy environment.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Figure 1 show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service method using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s operational advantages, and the objectives achieved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transmit the data directly to the other component, or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the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components. Conversely, when one component 'directly transmits' data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e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omponent to the other component without going through the other compon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service method using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중계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relay device 100 may be provided to implement 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중계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0)와 음성 송수신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lay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voic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중계장치(100)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음성 송수신 장치(300) 간의 통신을 중계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lay device 100 may provide 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relay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voic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300.

일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서비스는 통화관련 서비스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a ser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all-related service.

통화관련 서비스라 함은 모바일 단말기(200)의 소유자와 타인 소유의 단말기(미도시) 간의 통화에서 이루어지는 음성정보들을 활용하거나, 통화에 대한 응답과 관련되어 유의미한 정보를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The call-related service refers to a service that utilizes voice information made in a call between the own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 terminal (not shown) owned by another person, or generates and utilizes meaningful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sponse to the call. It can mean.

예컨대, 통화음성을 기록하는 서비스이거나, 통화음성에 대한 음성인식을 수행하여 텍스트로 변환하는 서비스, 텍스트로 변환된 통화내용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유의미한 답변 또는 답변의 예시를 제시하거나, 텍스트로 입력된 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타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 또는 본인의 음성을 타인의 음성으로 변조하여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a service that records call voice, a service that performs voice recognition on call voice and converts it into text, a service that analyzes call content converted into text and presents meaningful answers or examples of answers from this, or provides a service that performs voice recognition on call voice and converts it into text. A variety of services may be possible, such as a service that converts information into voice and transmits it to another person's terminal, or modulates one's own voice into another person's voice and transmits it to the other person on the call.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화관련 서비스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동영상과 관련하여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정보를 활용하거나 기타 다양한 음성을 활용한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call-related services, and can be used in relation to videos by utilizing voi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ideo or in various other services utilizing voice.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통화관련 서비스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call-related services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in this specifica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통화관련 서비스를 원활하고 다양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기(200)의 오에스(OS)에서 제공되는 제1프로그램(210) 예컨대, 전화 서비스(telephonic service) 프로그램(이하, ‘기본 통화 프로그램’이라 함, 210)과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그램(220)이 통신을 하면서 통화에서의 음성정보 용이하게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call-related services smoothly and diversely, a first program 210 provided in the OS of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a telephonic service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basic call program', It may be possible to easily transmit and receive voice information in a call while communicating with 210) and the service program 220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하지만 특정 모바일 OS에서는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으로부터 써드파티(3rd party) 프로그램 예컨대,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으로 통화 중에 전달되는 음성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통화 녹취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특정 모바일 OS에서 이러한 통화 녹취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가능하다.However, in certain mobile OSs, there are cases wher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during a call is not provided from the basic call program 210 to a third party program, such as the service program 220. Due to this, there is a problem that call recording is impossible, and this is only possible if the specific mobile OS provides such call recording service.

뿐만 아니라 서비스 프로그램(220)에서 다양한 음성정보를 생성하여 통화 상대방으로 전달하는 서비스가 필요할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에서 전달하는 음성정보를 상기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이 수신하여 통화 상대방측으로 전달해주어야 하지만 이러한 기능도 허용이 되지 않거나 또는 매우 제한적으로만 허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rvice that generates various voice information in the service program 220 and delivers it to the other party may be necessary. In this case, the basic call program 210 receives the voic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service program 220 and It must be passed on to the other party of the call, but this function may not be permitted or may only be permitted in a very limited manner.

결국 다양한 통화관련 서비스를 위해서는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서비스 프로그램(220)으로 목적하는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서비스 프로그램(220)이 전달하는 정보를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이 수신한 후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이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이 허용되지 않거나 매우 제한적으로만 허용되어서 써드파티에서 원활하게 통화관련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Ultimately, for various call-related services, the basic call program 210 provide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target service with the service program 220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service program 220 is used as a basic call program. After 210 receives the call, the service program 220 must perform the requested function, but these conditions are not allowed or are only allowed in a very limited manner, so third parties may not be able to smoothly provide call-related servic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중계장치(100)를 이용하여 통화관련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echnical idea that can smoothly provide call-related services using the relay device 100.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중계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이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program 220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relay device 100 may be provided.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중계장치(100)는 음성 송수신 장치(300)와 모바일 단말기(200)간의 통신을 중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to relay communication between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300)는 예컨대, 이어폰 또는 헤드셋과 같이 모바일 단말기(200)를 이용해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음성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발화음성을 모바일 단말기(200)에 전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300)는 모바일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o make a call using, for example, an earphone or headset, and outputs voice information to the user or transmits the user's spoken voice to the mobile terminal. It may be a device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In any case,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can output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and may be a device that transmits voi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o the mobile terminal 200.

통상 종래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300)가 직접 연결되어 통화상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또는 상대방의 음성정보를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과 송수신할 수 있다.Typically, in the related art,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are directly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or the other party generated during a call with the basic call program 210.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관련 서비스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상기 중계장치(100)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300)간의 통화 중 음성정보의 전달을 중계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moothly perform call-related services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device 100 transmits voice information during a call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can be relayed.

이를 위해 상기 중계장치(100)는 복수의 통신모듈들(110, 120)을 구비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relay device 100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110 and 120.

제1통신모듈(110)은 모바일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제2통신모듈(120)은 음성 송수신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a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a modul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통신모듈(110)도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통신모듈(120) 역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modules 110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second communication modules 120 may also be provided.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통신모듈(11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 WiFi 통신 및/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perform WiFi communication and/or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실시 예에 따라서 제1통신모듈(110)은 복수의 통신장치를 구비하고, 그 중 하나는 모바일 단말기(200)과 블루투스로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WiFi와 연결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one of which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via Bluetooth, and the other may be connected to WiFi.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1통신모듈(110)은 모바일 단말기(200)와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제1통신모듈(110)과 상기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통신모듈(110)은 WiFi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통신모듈(110)은 WiFi를 통해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과 통신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via Bluetooth,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the basic call program 210 can communicate through Bluetooth. Additionally,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via WiFi, and in this case,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can also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program 220 via WiFi.

상기 제2통신모듈(120)은 음성 송수신 장치(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통신모듈(120)은 음성 송수신 장치(300)와 블루투스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통신모듈(120)은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장치 및 유선 음성 송수신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장치를 같이 포함할 수도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be a device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the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30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perform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300. there i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may include a device for Bluetooth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d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결국, 상기 중계장치(100)가 모바일 단말기(200) 및/또는 음성 송수신 장치(300)와 여러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면 족하며, 이때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의 일 예는 다양할 수 있다.In the end, it is sufficient for the relay device 100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and/or the voice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300 in various ways, and examples of communication protocols used at this time may vary.

상기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은 통신으로 연결된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는 음성정보를 출력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또한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상대방으로 전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The basic call program 210 is designed to output voice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connected through communication, and is also designed to transmit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to the other party.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중계장치(100)가,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이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 출력하는 음성정보를 중계하면서, 이때의 음성정보를 활용하여 통화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lay device 100 relays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by the basic call program 210 to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and provides call-related services by utilizing the voice information at this time. You can.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중계장치(100)가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부터 상기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으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중계하면서, 이때의 음성정보를 활용하여 통화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lay device 100 relays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to the basic call program 210, and provides call-related services by utilizing the voice information at this time. can do.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에서 생성한 음성정보를 상기 중계장치(100)를 통해 상기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으로 전송함으로써, 자유롭게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이 생성한 음성정보 역시 통화 상대방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eely transmit the voi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ice program 220 to the basic call program 210 through the relay device 100, thereby freely transmitting the voi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ice program 220. It can also be forwarded to the other party on the call.

결국, 상기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은 블루투스 장치인 하드웨어 즉,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는 음성정보를 제한없이 출력하여야 하고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역시 통화 상대방으로 전달해야하므로, OS의 보안 또는 정책상의 제한과 무관하게 원활하게 통화 중에서의 음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통화 상대방으로 원하는 음성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end, the basic call program 210 must output voice information without limitation to the hardware, that is,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which is a Bluetooth device, and also transmits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to the other party of the call. ,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smoothly obtain voice information during a call regardless of OS security or policy restrictions and transmit the desired voice information to the other party of the call.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중계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110)은 통화 상대방측으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상대방의 음성정보 즉, 제1음성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control module 110 that controls the relay device 100 may acquire the other party's voice information, that is, first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된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음성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110)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제1음성정보를 제2통신모듈(120)을 통해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 상기 제1음성정보를 전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상기 제1음성정보를 제1통신모듈(120)을 서비스 프로그램(220)으로 전달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when the control module 110 receives the first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ic call program 210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the first voice informatio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so that the user can hear it. And the control module 110 not only transmits the first voice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but can also transmit the first voice information to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20 to the service program 220. .

그러면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은 상기 제1음성정보를 단순히 저장함으로써 통화녹취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STT(Sound to Text) 즉, 음성인식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또는 음성인식된 텍스트를 기록하거나, 텍스트의 내용을 분석하여 소정의 응용 서비스(예컨대, 자동 녹취록 작성, 시간정보를 다이러리에 입력, 내용을 분석하여 통화내용을 분류, 통화내용을 분석하여 답변을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또는 답변의 예시를 생성하는 등)를 제공할 수 있다. Then, the service program 220 provides a call recording service by simply storing the first voice information, performs STT (Sound to Text), that is, a voice recognition service, records voice recognized text, or records the text. By analyzing the contents, a certain application service (e.g., automatically creating a transcript, entering time information into the diary, analyzing the contents to classify the call contents,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nswer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all, or generating an example of an answer) etc.) can be provided.

이를 통해 OS에서 통화 녹취를 허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에 의해 녹취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call recording through the service program 220 even when the OS does not allow call recording.

물론, 상기 제어모듈(110)은 모바일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발화한 발화음성 즉, 제2음성정보를 제2통신모듈(120)을 통해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1통신모듈(110)을 통해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Of course, the control module 110 receives the voice uttered b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at is, the second voice information, from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120, and sends it to the first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o the basic call program 210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그리고 이에 그치지 않고 상기 제2음성정보를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은 이를 이용해 전술한 바와 같은 통화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nd not only that, by transmitting the second voice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gram 220, the service program 220 can use it to provide the call-related service as described above.

또한 사용자가 직접 발화한 음성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에 의해 생성한 음성정보 즉, 제3음성정보를 통화 상대방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not only voice information directly uttered by the user but also voi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ice program 220, that is, third voic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of the call.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으로부터 생성되는 제3음성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110)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3음성정보를 상기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은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로 인식하게 되어 어떠한 제약도 없이 통화 상대방으로 제3음성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module 110 receives the third voice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rvice program 22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110, and sends the received third voice information to the basic call program 210. ) can also be passed. In this case, the basic call program 210 recognizes the information as input from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and can transmit the third voice information to the other party without any restrictions.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3음성정보는 텍스트가 선택되면 텍스트를 TTS(Text to Sound)를 통해 생성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음성정보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정보를 변조한 음성정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통화관련 서비스는 청각장애인 또는 말투가 어눌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텍스트로 선택하면 통화 상대방에게 음성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말투가 어눌한 사용자가 보다 뚜렷한 발음으로 음성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voic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ext to sound (TTS) when text is selected. Alternatively, the third voice information may be voice information that modifies voice information uttered by the user. This call-related service has the effect of allowing a user who is hearing impaired or has difficulty speaking to select the content he or she wants as text and transmits it to the other party by voice, or allows a user with difficulty speaking to transmit the voice with a clearer pronunciation.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기타 다양한 사용자가 다양한 니즈에 따라 자유롭게 통화관련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infer that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various other users to freely use call-related services according to their various needs. .

또한, 이러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220)과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서비스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ervice system in which a service program 220 for implementing this technical idea and the mobile terminal 200 are organically combined can be implemented.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200) 및 음성 송수신 장치(300)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중계장치(100)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중계장치(1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service system includes a processor, a storage medium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storing the service program, and the service program is transmitted from a basic call program 210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 Voice information output to the relay device 100 tha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300 can be received from the relay device 100 and stored.

상기 서비스 시스템 및 상기 중계장치(100)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코드)을 실행할 수 있는 연산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의 구현 예 또는 벤더(Vendor) 모바일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CPU, 싱글 프로세서, 멀티 프로세서, GPU 등 다양한 명칭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rvice system and the relay device 100 include a processor and a storage medium to implement the functions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The processor may refer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 predetermined program (software code), and may be an example of an implementation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or a variety of vendor mobile processors, microprocessors, CPUs, single processors, multi-processors, GPUs, etc. It can be named by name and implemen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필요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An average expert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deduce that the processor can run the program and perform data processing necessary fo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저장매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설치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의 일부는 상기 프로세서의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매체는 구현 예에 따라 하드 디스크, GPU, SSD(Solid State Disk), 광 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기타 다양한 종류의 기억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에 착탈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medium may refer to a device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install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storage medium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fferent physical devices, 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 part of the storage medium may exist inside the processo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xample, the storage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hard disk, GPU, solid state disk (SSD), optical disk, random access memory (RAM), and/or various other types of storage media, if necessary. It can also be implemented detachably into the service system.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서비스 프로그램(220)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The service system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he service program 220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또한 상기 중계장치(100) 역시 상기 중계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하드웨어가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계장치(100)는 소형의 독립적인 동글(dongle)로 생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계장치(100)는 음성 송수신 장치(300)에 포함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relay device 100 may also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relay device 100 and a processor and hardware for executing the program. The relay device 100 may be produced as a small, independent dong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lay device 100 may be included and installed in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또한,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프로세서, 상기 저장매체, 및 상기 비행 제어시스템(100)에 구비되는 다양한 주변장치들(예컨대, 입출력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오디오 장치, 통신장치 등, )과 이러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예컨대, 통신 버스, 등)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ervice system connects the processor, the storage medium, and various peripheral devices (e.g., input/output devices, display devices, audio devices, communication devices, etc.) provided in the flight control system 100 with these devices. An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sily deduce that a communication interface (eg, communication bus, etc.) may be provided to do so.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세서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organically combin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the processor.

한편,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예컨대, 상기 프로세서 및/또는 저장매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예컨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나 특정 개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구성들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의미하며 특정 물리적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Meanwhile, in this specification, module refers to hardware (e.g., the processor and/or storage medium) for carrying o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oftware for driving the hardware (e.g., to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refer to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combination of the above programs). For example,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may mean a logical unit of a predetermined code and a hardware resource for executing the predetermined code, and may necessarily mean a physically connected code, or one type or specific number of hardware. It can be easily inferred by an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t does not mean. Therefore, each of the above configurations refers to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at performs the functions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does not refer to a specific physical configuration.

결국, 본 명세서에서 상기 중계장치(100)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함은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Ultimately, the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fer that when the relay device 100 or the service system performs a predetermined function in this specification, it means that the processor controls the program to perform the defined function. You will be able to.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프로그램(220)을 제어하여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300)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중계장치(100)를 통해 상기 제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으로 전달되는 제2음성정보를 상기 중계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해 전술한 바와 같은 통화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system controls the service program 220 to generate second voi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300 and transmitted to the basic call program 210 through the relay device 100. I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relay device 100, and using this, call-related services as described above can be provid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220)을 통해 제3음성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장치(100)를 통해 기본 통화 프로그램(210)으로 전달하여 통화 상대방으로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system may generate third voice information through the service program 220 and transmit it to the basic call program 210 through the relay device 100 to be delivered to the other part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can be distributed across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registration claims.

Claims (10)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한 제1통신모듈;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발화음성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입력시키는 음성 송수신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제2통신 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제1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면, 상기 음성정보를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
In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on to a mobile terminal;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connecting to a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that receives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outputs it to the user or inputs the user's spoken voice to the mobile terminal; and
Includes a control module,
The control module is,
When voi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the voice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the service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module.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전달된 상기 음성정보는,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에 의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program is: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ce program is sto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제2음성정보를 상기 제2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2음성정보를 상기 제1프로그램 및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A relay device that receives second voi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that transmits the received second voice information to the first program and the service progr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생성되는 제3음성정보를 상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제3음성정보를 상기 제1프로그램으로 전달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하는 중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module:
A relay device that receives third voi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ice program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module and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that transmits the received third voice information to the first program.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제1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음성 송수신 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중계장치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비스 시스템.
processor;
It is executed by the processor and includes a storage medium in which the service program is stored,
The service program is,
A service system that receives and stores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a first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o a relay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은,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제1프로그램으로 전달되는 제2음성정보를,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하는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rvice program:
A service system that receives and stores second voi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program through the re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은,
제3음성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장치를 통해 상기 제1프로그램으로 전달하는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ice program:
A service system that generates third voic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first program through the relay device.
모바일 단말기 및 음성 송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중계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제1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장치가 상기 음성정보를 상기 음성 송수신 장치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방법.
In a service method using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Receiving, by the relay device, voice information from a first program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A ser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lay device to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a service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모바일 단말기 및 음성 송수신 장치와 통신하는 중계장치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제1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단말기 및 음성 송수신 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중계장치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중계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시스템이 상기 음성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방법.
In a service method using a rela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a mobile terminal and a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 service syste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a first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to a relay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o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through communication;
A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the service system storing the voice information.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9.
KR1020220126777A 2022-10-05 2022-10-05 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202400480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777A KR20240048053A (en) 2022-10-05 2022-10-05 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777A KR20240048053A (en) 2022-10-05 2022-10-05 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053A true KR20240048053A (en) 2024-04-15

Family

ID=90715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777A KR20240048053A (en) 2022-10-05 2022-10-05 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05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203A (en) 2000-11-08 2002-05-16 최승주 9-Aminoacr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203A (en) 2000-11-08 2002-05-16 최승주 9-Aminoacridi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5190B2 (en) Attribute-based audio channel arbitration
US10134395B2 (en) In-call virtual assistants
US85548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hands-free operation of an electronic calendar application within a vehicle
CA2775084C (en) System and method of enabling additional functions or services of device by use of transparent gateway or proxy
US9654628B2 (en) Medical alert and monitoring for the hearing impaired
KR102265931B1 (en)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telephone conversation using voice recognition
US9078111B2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using text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9090283A1 (en) Coordinating translation request metadata between devices
KR102419374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for controlling an external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079935B1 (en) Managing sensitive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parties in a telephone conversation
JP6689953B2 (en) Interpreter service system, interpreter service method, and interpreter service program
KR1021615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 of translation using earset
KR20240048053A (en) Relay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mobile terminal, service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CN111128159B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multi-channel message distribution of intelligent loudspeaker box
KR1020028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tting on mobile deivce using external device
US20060292539A1 (en) Adaptively user-centric authentication/security
KR20150047150A (en) Chatt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voice to text, and chatting service system
KR20200092756A (en) Device for providing a voice recognition service
JP2020004192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voice recognition terminal device with communication device
US119170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voice commands to generate a peer-to-peer communication link
KR1023931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unction of translation using earset
KR102204488B1 (en) Communication device
JP2023510518A (en) Voice verification and restriction method of voice terminal
US20080150681A1 (en) Authenticating devices for communications
KR102075750B1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using character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