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650A - Prefabricated potted wreath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potted wrea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650A
KR20240047650A KR1020220126932A KR20220126932A KR20240047650A KR 20240047650 A KR20240047650 A KR 20240047650A KR 1020220126932 A KR1020220126932 A KR 1020220126932A KR 20220126932 A KR20220126932 A KR 20220126932A KR 20240047650 A KR20240047650 A KR 20240047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pot
stand
installation
wr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9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락
Original Assignee
김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락 filed Critical 김영락
Priority to KR102022012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650A/en
Publication of KR20240047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6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4Garlands; Assembly of garla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화초 또는 꽃이 자란 포트를 포트 설치부에 꽃아 화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포트 설치부가 형성된 포트 설치대를 접이식으로 받침 가방에 보관하고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화환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화초와 꽃이 심어진 포트(50)로 장식하는 조립식 화환으로 이루어지되;
포트 설치대(11)의 내부에 배치되며 포트(50)가 위치하는 설치공간(21)의 상측에 포트(50)의 상측에서 안쪽에 결합하는 상부 지지대(22)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간(21)의 하측에 포트(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 받침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ot stand-type wreath,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wreath by placing various flowers or pots grown in flowers on the pot installation unit, and the pot installation stand on which a plurality of pot installation units are formed can be folded into a support bag. It is about a prefabricated pot stand type wreath that can be stored in and formed into a prefabricated wreath on site.
This invention consists of a prefabricated wreath decorated with flowers and pots (50) planted with flowers;
An upper support 22 is installed inside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and coupled to the inside from the top of the port 50 on the upper 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21 where the port 50 is locat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21 ) is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support 23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rt 50 to support the lower side.

Description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Prefabricated potted wreath}Prefabricated potted wreath

본 발명은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화초 또는 꽃이 자란 포트를 포트 설치부에 꽃아 화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포트 설치부가 형성된 포트 설치대를 접이식으로 받침 가방에 보관하고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화환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pot stand-type wreath,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wreath by placing various flowers or pots grown in flowers on the pot installation unit, and the pot installation stand on which a plurality of pot installation units are formed can be folded into a support bag. It is about a prefabricated pot stand type wreath that can be stored in and formed into a prefabricated wreath on site.

일반적으로 경조사시에 사용하는 화환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A'자 형태의 기준목 상측 중앙에서 후방으로 중앙에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지지대를 연결하게 되며, 기준목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방향으로 설치대 고정목을 설치하여 상기 고정목의 전면으로 다양한 꽃으로 장식하고, 그 배경으로는 장식된 꽃이 돋보일 수 있도록 초록색 계통의 천연 침엽수 잎사귀 들을 배치시켜 구성하게 된다.In general, wreaths used during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are made of wood with a support bar connected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A' shaped standard tree to the rear so that it can be folded or unfolded, and are placed horizontally at regular intervals in front of the standard tree. A fixed tree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stand, and the front of the fixed tree is decorated with various flowers, and the background is composed of green natural coniferous tree leaves so that the decorated flowers stand out.

종래 포트식 화환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1251919호(2013. 04. 02. 등록)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식물이 재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 바닥면에 대해 직각 또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기울기로 세워지는 몸체를 포함하는 지게부; 몸체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포트를 수용하도록 포트 수용공간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포트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As known in Patent Registration No. 1251919 (registered on April 2, 2013)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conventional pot-type wreath includes at least one pot in which plants are grown; A support unit including a body erected at a right angle or at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ody and consists of a port frame in which at least one port receiving space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por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트식 축하 화환은 지게부에 상부와 중앙 및 하부로 이루어지는 포트 설치대가 각각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포트 설치대에 포트가 수용되는 공간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다수 개 형성되는 포트프레임에 포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지만, 포트프레임에 포트를 꽂아 놓게 되면 경사각도에 의해 포트가 너무 심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중에 수용 공간에서 포트가 쉽게 빠져버리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며, 전제면에 균일하게 포트를 꽂을 수 없으므로 전제적으로 화한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is conventional pot-type congratulatory wreath, the pot installation stand consisting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support uni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pot installation stand has a plurality of spac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accommodate the pot. The port can be accommodated in the port frame, but when the port is inserted into the port frame, the port is installed too steeply due to the inclination angle,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easily falling out of the accommodation space during movement.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the overall shape of the device because the ports could not be plugged in evenly.

또한, 포트프레임의 양쪽으로 인조 화환을 꽂을 수 없어 단순하게 포트에 식재한 식물 또는 꽃에 의존하는 화환을 제공하므로 화환의 형태 유지와, 축하 화환으로써의 완성된 형태를 제공하지 못하여 시장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In addition, artificial wreaths cannot b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pot frame, so the wreath is simply based on plants or flowers planted in the pot, so it is not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wreath and provide a completed form as a celebratory wreath, which reduces marketability. There was this.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또 다른 특허등록번호 제1280475호(2013. 05. 25. 등록)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부와 중앙 및 하부로 이루어지는 포트 설치대가 각각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포트 설치대의 포트 설치공에 꽃이 있는 포트를 독립되게 설치하여 다양한 포트를 꽂아 장식하는 것이다.As known in another Patent Registration No. 1280475 (registered on May 25, 2013)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port installation stand consisting of the top, center, and bottom is installed at an angl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respectively. Flower pots are installed independently in the pot installation holes of the pot installation stand, and various pots are placed for decoration.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트식 축하 화환은 기준목에 상부와 중앙 및 하부로 이루어지는 포트 설치대가 각각 소However, this conventional pot-type congratulatory wreath has a pot installation stand consisting of an upper, middle, and lower part on the standard tree, respectively.

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포트 설치대에 포트가 수용되는 공간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다수 개 형성되는 포트 설치대에 포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지만, 포트 설치대에 포트를 꽂아 놓게 되면 경사각도에 의해 포트가 너무 심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동중에 수용 공간에서 포트가 쉽게 빠져버리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며, 포트의 상측만 지지할 수 있게 되고 그 하측을 지지하는 구성요소가 없어서 지지상태가 불안정함과 동시에 포트의 상측이 포트 설치대에 밀착되지 않고 한쪽으로 기울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지 상태가 불안정한 결점이 있었다,A positive angle is maintained, and ports can be accommodated in the port installation stand, which has multiple spac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However, when a port is inserted into the port installation stand, the port may be accommodated due to the inclination angle. Since the port is installed at too much of an ang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rt easily falls out of the receiving space during movement. Only the upper side of the port can be supported, and there are no components to support the lower side, making the support state unstable and at the same time, the port can be supported. There was a defect in the support state being unstable because the upper side of the wa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port installation stand and was installed tilted to one side.

또한, 포트프레임의 양쪽으로 인조 화환을 꽂을 수 없어 단순하게 포트에 식재한 식물 또는 꽃에 의존하는 화환을 제공하므로 화환의 형태 유지와, 축하 화환으로써의 완성된 형태를 제공하지 못하여 시장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In addition, artificial wreaths cannot be placed on both sides of the pot frame, so the wreath is simply based on plants or flowers planted in the pot, so it is not possibl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wreath and provide a completed form as a celebratory wreath, which reduces marketability. There was this.

그리고 기준목의 외측으로 설치하는 화환장식을 중앙부분의 고정 결합부를 고정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펼쳐진 화환장식의 양쪽 선단을 고정하기 위해서 스테플러스를 사용하게 되므로 한번 고정한 후에는 펼쳐진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화환장식이 손상되고 한번 분리된 후에는 다시 고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Also, it is very inconvenient to fix the central part of the wreath decoration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tandard tree, and staples are used to fix both ends of the unfolded wreath decoration, so once fixed, it has to be moved to the unfolded state. There was a drawback in that the wreath decoration was damaged and it was very difficult to fix it again once it was separated.

한편, 모든 종류의 화환은 제공자의 영업장 또는 작업장에서 화환을 모두 준비한 상태에서 차량에 실어 운반하게 되므로 이동을 위한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하게 되고, 무거우며 이동이 매우 불편한 결점과 함께, 사용한 이후의 처리과정이 매우 어려운 결점이 발생하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all types of wreaths are transported in a vehicle with all wreaths prepared at the provider's place of business or workshop, so they take up too much space for movement, are heavy, and are very inconvenient to move, and are disposed of after use. A flaw occurred that made the process very difficult.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736298호(2017. 05. 10. 등록)[Document 1] Patent Registration No. 1736298 (registered on May 10, 2017)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2442319호(2022. 09. 06. 등록)[Document 2] Patent Registration No. 2442319 (registered on September 6, 2022) [문헌 3]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34591호(2001. 06. 05. 등록)[Document 3]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34591 (registered on June 5, 2001)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2231252호(2021. 03. 17. 등록)[Document 4] Patent Registration No. 2231252 (registered on March 17, 2021)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골판지 또는 담프라로 이루어진 포트 설치대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절단하여 내부에 포트 설치대를 배치한 후 상기 포트 설치대에 포트의 상측과 하측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포트를 간편하게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t was devised to solve these conventional shortcomings, 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ut the port installation stand made of cardboard or damper into various designs, place the port installation stand inside, and plac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rt on the port installation stand. The purpose is to easily install the port by fixing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받침가방의 내부에 포트 설치대를 일정한 크기로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방에 넣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는 조립식 화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problem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wreath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in the field by allowing the pot installation stand to be stored by folding it to a certain size inside the support bag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in the bag.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양쪽방향 또는 "A"형으로 리본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하는 크기로 절단해 벽걸이 형태로 포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problem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ribbon to be installed in both directions or in an "A" shape, and when not in use, to cut it to a desired size and install the port in a wall-mounted form.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받침가방에 벽걸이 형태로 절단이 가능하며 포트를 설치하는 포트 설치대가 내부에 형성되어 포트의 설치가 용이하여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problem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upport bag can be cut into a wall-mounted form and a port installation table for installing the port is formed inside, so that the por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as a wall-mounted type.

본 발명은 화초와 꽃이 심어진 포트로 장식하는 조립식 화환으로 이루어지되;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refabricated wreath decorated with flowers and pots planted with flowers;

포트 설치대의 내부에 배치되며 포트가 위치하는 설치공간의 상측에 포트의 상측에서 안쪽에 결합하는 상부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간의 하측에 포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 받침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disposed inside the port installation stand, and an upper suppor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where the port is located, and is coupled to the insi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port, and a lower support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por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It is done.

본 발명의 포트 설치대는 지지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둥은 하측의 받침가방에 형성된 기둥구멍에 조립되는 것과;The port installation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upport pillar, and the support pillar is assembled into a pillar hole formed in the lower support bag;

본 발명의 포트 설치대는 일정한 간격에 절첩선이 형성되어 받침가방에 접어 보관하는 것과;The port installation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lding lin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is folded and stored in a support bag;

본 발명의 설치공간은 포트가 위치하며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과;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here the port is located and is wide at the top and narrow at the bottom;

본 발명의 상부 지지대는 설치공간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며 반원형과 사각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포트의 상측 내부에 결합되는 것과;The upper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installation space, is formed in one of a semi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and an oval shap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interior of the port;

본 발명의 하측 받침대는 하측으로 접는선이 형성되어 절곡에 의해 포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설치공간의 하측 중앙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반원형과 사각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과;The lower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ld line formed on the lower side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pot by bending, and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installation space an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in any one of the shapes of a semicircle, square, or oval;

본 발명의 포트 설치대는 평면에서 볼 때 "┏┓"형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포트 설치부가 설치되며, 상측에 상측 연결부재가 연결되어 양쪽으로 리본을 고정하는 리본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후방의 중앙 부분에 중앙 연결부재가 형성된 후 하측으로 받침가방에 조립되는 것과;The port installation st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 a "┏┓"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and a plurality of port installation parts are installed inside. The upper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to form a ribbon fixing hole for fixing the ribbon on both sides, and the rear A central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n assembled to the support bag downward;

본 발명의 받침가방은 손잡이가 형성되며 포트 설치대 절첩선으로 접혀 보관되며 후방에 포트 설치부를 형성한 절개선이 절단되는 벽걸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support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all hanging member that has a handle, is folded and stored at the folding line of the port installation stand, and has a cut line forming a port installation portion at the rear.

본 발명은 골판지 또는 담프라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거나 합성수지 등의 판으로 이루어진 포트 설치대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절단하여 내부에 포트 설치대를 다수개 배치한 후 상기 포트 설치대에 포트의 상측을 걸고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고정하는 방법으로 포트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pace inside, such as corrugated cardboard or damper, or cuts a port installation stand made of a plate such as synthetic resin into various designs and places a plurality of port installation stands inside, then hangs the upper side of the port on the port installation stand and lowers the port installation stand. This provides the effect of easily installing the port by supporting and fixing it.

본 발명은 받침가방의 내부에 포트 설치대를 일정한 크기로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방에 넣어 이동할 수 있으므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고, 화환의 설치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화환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wreath that allows the pot installation stand to be folded and stored to a certain size inside the support bag, making it easy to move and store because it can be placed in the bag and easily assembled at the wreath installation site. .

본 발명은 양쪽방향 또는 "A"형으로 리본을 상측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포트 설치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원하는 크기로 절단해 벽걸이 형태로 포트를 고정시켜 장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ibbon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n both directions or in an "A" shape. When not in use, the port installation part is cut to the desired size so that it is located inside, and the port is fixed in the form of a wall hanger t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decoration. This is to provide a possible effect.

본 발명은 받침가방에 벽걸이 형태로 절단이 가능하며 포트를 설치하는 포트 설치대가 내부에 형성되어 받침가방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포트의 설치가 용이하여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ag can be cut into a wall-mounted form, and a port installation stand for installing the port is formed inside so that the support bag can be easily removed and used when not in use. The port can be easily installed, so it can be used as a wall-mounted type. Because it can be recycled, it provides the effect of recycling.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대한 포트 분리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대한 포트를 설치하기 이전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포트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포트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포트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대한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받침가방에 대한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받침가방에 대한 저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배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중앙 부분의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측부분의 배면 사시도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 of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installing the port for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rt is installed in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with the port removed from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 installed in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of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lan view of the support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bottom view of the support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stalled state.
Figure 12 is a rear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stalled state.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ntral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specifically defined in a different sense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should not be over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meaningless or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Additionally, if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orrect technical terms that do not accurately express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should be replaced with technical terms that can be correc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not be include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축물의 공사현장에서 슬라브와 벽체를 관통하는 외경 슬리브를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정클램프가 필요 없도록 작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과제해결 원리가 적용되는 다양한 내화구조 또는 내화채움구조를 적용하는 장치와 방법을 포함하는 등 여러 구성들과 이들을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 변형 적용의 경우 균등론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state of installing an outer diameter sleeve penetrating a slab and a wall at a building construction site, and explains the process of using this to solve problems that arise during work so that fixing clamps are not required. ,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configurations and various methods of using them, including devices and methods for applying various fire-resistant structures or fire-resistant filling structures to which the same problem-solving principle is applied, and in the case of such simple modified appli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equivalence. there is.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에 관한 것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구조의 골판지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담프라로 절단 및 절곡을 통하여 성형하는 조립식 화한(10)을 제공하는 것이다.It provides a prefabricated Hwahan (10) that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with a damper made of corrugated cardboard of various structures made of paper and synthetic resin.

상기 조립식 화환(10)은 바닥에 받침가방(30)으로 이루어져 해당되는 모든 부품을 접어 보관해 이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장소에 펼쳐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prefabricated wreath (10) is made up of a support bag (30) on the bottom, so that all the relevant parts can be folded and stored for movement and storage, and includes unfolding and installing in a prefabricated manner in a necessary place.

상기 받침가방(30)에는 "A"형으로 지지기둥(13)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둥(13)의 상측에서 한쪽방향으로 포트 설치대(11)가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다.A support pillar 13 is installed in an “A” shape on the support bag 30, and port installation stands 11 ar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one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illar 13.

상기 포트 설치대(11)는 원형과 사각형 및 타원형과 다각형 그리고 다양한 디자인을 형상화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내부에는 포트 설치대(20)가 다양한 방향과 형식을 갖도록 형성되어 포트(50)를 하나씩 고정시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can be us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square, oval, polygonal, and various designs. Inside, the port installation stand 20 is formed to have various directions and formats to fix the ports 50 one by one. The goal is to make it happen.

상기 포트 설치대(11)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첩선(12)이 형성되어 접어서 받침가방(13)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This includes folding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with fold lines (12)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stored in a support bag (13).

상기 포트 설치대(11)의 상측 중앙에는 리본 고정부(15)가 형성되어 양쪽으로 리본(4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A ribbon fixing part 15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to connect the ribbon 40 to both sides.

상기 포트 설치대(11)는 지지기둥(13)에 리벳이나 핀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조립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can be assembled and fixed to the support pillar 13 using rivets, pins, or adhesives.

도 3은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대한 포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대한 포트를 설치하기 이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포트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포트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포트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포트 설치부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 on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installing the port on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state in which the port is installed on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 installed in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 installed in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 installatio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front view.

포트 설치부(20)는 포트 설치대(11)의 필요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설치할 수 있으며, 포트(50)가 끼워져 보관될 수 있는 설치공간(21)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port installation unit 20 can be installed in various numbers at required positions on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and an installation space 21 is formed into which the port 50 can be inserted and stored.

상기 설치공간(21)는 포트(50)의 형상과 같이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사각형과 원형 및 타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installation space 21 has a shape that is wide at the top and narrow at the bottom like the shape of the port 50, and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circular, and oval as needed.

상기 설치공간(21)의 상측에는 포트(50)의 한쪽 선단을 걸어 안쪽에 위치하며 고정할 수 있는 상부 지지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하측 받침대(23)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측 받침대(23)의 하측은 접는선(24)이 형성되어 하측 받침대(23)를 포트 설치대(11)와 일자형태에서 직각방향으로 접어 포트(5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upper support 2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21, which can be positioned inside and fixed by hooking one end of the port 50, and a lower support 23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upport 22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a fold line 24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nd 23 so that the lower stand 23 can be folded in a straight line at a right angle to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pot 50. .

상기 상부 지지대(22)는 설치공간(21)에서 하측방향으로 반원형과 사각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하측 받침대(23)는 설치공간(21)의 하측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다가 선단부분에서 반원형과 사각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upper support 22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installation space 21 in one of a semicircular, square, and oval shape, and the lower support 23 is locat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installation space 21. It includes protruding upward from the tip and protruding in one of the shapes of a semicircle, square, or oval at the tip.

도 9는 본 발명의 받침가방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받침가방에 대한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9 is a top view of the support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 shows a bottom view of the support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받침가방(30)은 한쪽에 손잡이(33)가 형성되어 내부에 포트 설치대(11) 등을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기둥(13)이 조립되는 방향에 기둥구멍(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구멍(31)의 사이에는 포트구멍(32)이 다수개 형성되어 포트(50)를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The support bag 30 has a handle 33 on one side to allow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etc. to be folded and stored inside, and a pillar hole 31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illar 13 is assembled. A plurality of port holes 32 are formed between the pillar holes 31 so that the port 50 can be inserted and stored.

상기 포트구멍(32)이 형성된 반대방향에는 벽걸이 부재(35)가 절개선(36)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벽걸이 부재(35)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 설치부(20)가 형성되어 벽걸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pposite direction where the port hole 32 is formed, a wall hanging member 35 is formed with a cut line 36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nd at least one port installation portion 20 is installed inside the wall hanging member 35. ) is forme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wall hanging.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배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중앙 부분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측부분의 배면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Figure 11 is a front view of an installed stat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rear view of an installed stat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ntral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relates to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조립식 화한(10)을 대신하여 구성하는 조립식 화한(10a)은 중앙에 평면에서 볼 때 "┏┓"형이 되도록 접어서 형성하는 포트 설치대(11a)가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측의 받침 가방(30)에 조립되는 것이며, 상기 포트 설치대(11a)의 상측에는 상측 연결부재(14)가 조립되어 양쪽으로 리본 고정구멍(41)이 형성되어 리본(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포트 설치대(11a)의 중앙 후방에는 중앙 연결부재(19)가 연결되어 포트 설치대(11a)의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fabricated Hwahan (10a), which is constructed instead of the prefabricated Hwahan (10), has a port installation stand (11a) in the center that is folded to form a "┏┓"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wer support bag (30) ),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 is assemb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a, and ribbon fixing holes 41 are formed on both sides to fix the ribbon 40, and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a)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central connecting member 19 connected to the rear center of 11a) so tha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a can be maintained.

상기 포트 설치대(11a)는 상측 연결부재(14)와 중앙 연결부재(19)가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의 포트 설치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a includes an upper connection member 14 and a central connection member 19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port installation parts 2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rein.

상기 포트 설치대(11a)는 일정한 간격에서 절첩선(12)이 형성되어 접어서 받침가방(30)에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a) has folding lines (12)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folded and stored in the support bag (30).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은, 포트 설치대(11, 11a)가 절첩선(12)을 기준으로 접어 받침가방(30)에 넣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리본(40)과 지지기둥(13) 및 다른 물품을 보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fabricated pot stand-type wreath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pot installation stand (11, 11a) to be folded based on the fold line (12) and stored in the support bag (30), and if necessary, a ribbon ( 40), the support pillar 13, and other items are stored so that they can be moved.

즉, 조립식 화환(10, 10a)의 주문이 들어오면 리본(40)에 요청된 내용으로 인쇄를 수행하여 받침가방(30)에 넣고, 포트(50)를 포트 설치부(20)의 개수를 준비하여 조립식 화환(10, 10a)을 설치할 장소로 운반하게 된다.That is, when an order for prefabricated wreaths (10, 10a) is received, the requested content is printed on the ribbon (40) and placed in the support bag (30), and the port (50) is prepa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rt installation portions (20). Then, the prefabricated wreaths (10, 10a) are transported to the place where they will be installed.

이때 받침가방(30)에 포트 설치대(11)를 넣어 보관한 상태로 손잡이(33)를 통하여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부피가 최소화되고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can be stored in the support bag 30 and conveniently moved through the handle 33, thereby minimizing the size and providing a state that is easy to move and store.

받침가방(30)을 가지고 현장에 도착하면 받침가방(30)을 개방하여 리본(40)과 포트 설치대(11)를 꺼낸 후 지지기둥(13)을 조립 및 펼친상태로 하측을 기둥구멍(31)에 조립해 "A"형이 되도록 세워진 상태에서 절첩선(12)으로 접혀진 포트 설치대(11)를 펼쳐 리벳 등으로 포트 설치대(11)를 지지기둥(13)에 고정시키는 것이다.When you arrive at the site with the support bag (30), open the support bag (30), take out the ribbon (40) and port installation stand (11), and then assemble and unfold the support pillar (13) and press the lower side into the pillar hole (31).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folded by the folding line (12) is unfolded and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is fixed to the support pillar (13) using rivets, etc.

리본 고정부(15)에 리본(40)을 고정시켜 포트 설치대(11)의 양쪽으로 설치한 후 포트 설치부(20)의 하측 받침대(23)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접는선(24)을 따라 포트 설치대(11)와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접혀진 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After fixing the ribbon 40 to the ribbon fixing part 15 and installing it on both sides of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when the lower stand 23 of the port installation part 20 is rotated forward, the port is formed along the fold line 24. It is b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tallation table 11 to provide a folded state.

상기 하측 받침대(23)를 접은 상태에서 포트(50)를 설치공간(21)에 결합시키면서 포트(50)의 상측을 상부 지지대(22)에 끼워지도록 하면 포트(50)의 상측부분 안쪽으로 상부 지지대(22)가 위치해 결합된 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When the lower support 23 is folded and the port 50 is coupled to the installation space 21, and the upper side of the port 50 is inserted into the upper support 22, the upper support 22 moves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port 50. (22) is located to provide a combined state.

상기 상부 지지대(22)가 포트(50)의 상측을 감싸며 고정시키는 상태에서 포트(55)의 하측은 하측 받침대(23)가 지지하게 되므로 포트(50)은 상측과 하측이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제공하게 되어 다수의 포트 설치부(20)에 다양한 꽃으로 이루어진 포트(50)를 꽂아 조립식 화환(10)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In a state where the upper support 22 surrounds and secures the upper side of the port 50, the lower side of the port 55 is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23, s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ort 50 are stably fixed. It can be provided as a prefabricated wreath (10) by inserting pots (50) made of various flowers into a plurality of pot installation parts (20).

상기 포트(50)는 하나의 조립식 화환(10)에 다수개 또는 수십개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제공하게 되므로 결혼식 등 행사가 종료된 후 하객 등이 포트(50)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물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Since the pots 50 are installed in multiple or dozens of pieces on one prefabricated wreath 10, guests can take the pots 50 after an event such as a wedding is over, allowing them to be used as gifts. It is possible.

상기 조립식 화한(10)을 사용한 후에는 포트(50)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포트 설치대(11)는 절첩선(12)을 통하여 간편하게 접어 받침가방(30)에 보관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using the prefabricated Hwahan (10), the port (50)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can be easily folded through the fold line (12) and stored in the support bag (30) for recycling. .

상기 받침가방(30)은 화분구멍(32)이 형성되어 포트(50)를 꽂아 장식할 수 있으며, 반대편의 벽걸이 부재(35)는 절개선(36)을 따라 절개하면 독립되게 분리되므로 이를 벽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된 포트 설치부(20)에 포트(50)를 고정시켜 실내, 외에서 포트(50)를 벽걸이 부재(35)에 적용시켜 다양한 화초 또는 꽃 등을 키울 수 있는 것이다.The support bag 30 is formed with a flower pot hole 32 so that it can be decorated by inserting a pot 50, and the wall hanging member 35 on the opposite side is independently separated when cut along the incision line 36, so it can be attached to the wall. In a fixed state, the pot 50 is fixed to the pot installation portion 20 formed inside, and the pot 50 can be applied to the wall hanging member 35 indoors or outdoors to grow various plants or flowers.

한편, 조립식 화환(10a)은 포트 설치대(11a)의 절첩선(12)을 통하여 접어 받침가방(30)에 보관할 수 있으며, 사용시 받침가방(30)을 바닥에 설치한 후 그 상측으로 조립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측에는 상측 연결부재(14)를 조립하고 중앙 후방에는 중앙 연결부재(19)를 조립해 안정된 설치상태의 유지와 함께 포트(50)를 포트 설치대(11a)에 꽂아 조립식 화환(10a)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fabricated wreath (10a) can be folded through the folding line (12) of the pot installation stand (11a) and stored in the support bag (30). When in use, the support bag (30) is installed on the floor and then assembled on the upper side. In order to maintain a stable installation state by assembling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 on the upper side and assembling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19) at the rear of the center, the pot (50) is inserted into the pot installation stand (11a) to create a prefabricated wreath (10a). ) can be used.

상기 상측 연결부재(14)의 양쪽으로 형성된 리본 고정구멍(41)에는 리본(40)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ribbon 40 can be connected to the ribbon fixing holes 4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4.

상기 포트 설치대(11, 11a)는 절첩선(12) 또는 필요한 크기로 절단해 벽에 고정시킴으로써 벽걸이 부재(35)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기본적인 재질이 골판지 또는 담프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매우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것이다.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11a)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wall hanging member (35) by cutting it to the fold line (12) or the required size and fixing it to the wall. Since the basic material is made of corrugated cardboard or damp plastic, it is very light and easy to handle. It is easy.

본 발명은 포트 설치대의 하측으로 받침가방을 사용해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포트 설치대와 다른 부품들을 받침가방의 내부에 보관해 이동함으로써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해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포트 설치부에 포트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고정해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화초 및 생화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화환을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easy assembly and installation using a support bag on the lower side of the port installation stand, and stores and moves the port installation stand and other parts inside the support bag to enable easy assembly and installation in the field.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provides prefabricated wreaths made of various flowers and fresh flowers by safely and easily fixing and installing them.

10, 10a : 조립식 화환 11, 11a : 포트 설치대
12 : 접철선 13 : 지지기둥
14 : 상측 연결부재 15 : 리본 고정부
19 : 중앙 연결부재 20 : 포트 설치부
21 : 설치공간 22 : 상부 지지대
23 : 하측 받침대 24 : 접는선
30 : 받침가방 31 : 기둥구멍
32 : 포트구멍 33 : 손잡이
35 : 벽걸이 부재 36 : 절개선
40 : 리본 50 : 포트
10, 10a: prefabricated wreath 11, 11a: pot installation stand
12: folding wire 13: support pillar
14: upper connecting member 15: ribbon fixing part
19: central connection member 20: port installation part
21: Installation space 22: Upper support
23: lower stand 24: fold line
30: support bag 31: pillar hole
32: port hole 33: handle
35: Wall hanging member 36: Cut line
40: Ribbon 50: Port

Claims (8)

화초와 꽃이 심어진 포트(50)로 장식하는 조립식 화환으로 이루어지되;
포트 설치대(11)의 내부에 배치되며 포트(50)가 위치하는 설치공간(21)의 상측에 포트(50)의 상측에서 안쪽에 결합하는 상부 지지대(22)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간(21)의 하측에 포트(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 받침대(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
It consists of a prefabricated wreath decorated with pots (50) planted with plants and flowers;
An upper support 22 is installed inside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and coupled to the inside from the top of the port 50 on the upper side of the installation space 21 where the port 50 is located, and the installation space 21 ) A prefabricated pot stand-type wreath,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pedestal 23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pot 5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설치대(11)는 지지기둥(13)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기둥(13)은 하측의 받침가방(30)에 형성된 기둥구멍(31)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
According to clause 1,
The pot installation stand (11) is installed on a support pillar (13), and the support pillar (13) is assembled into a pillar hole (31) formed in the lower support bag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설치대(11)는 일정한 간격에 절첩선(12)이 형성되어 받침가방(30)에 접어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
According to clause 1,
The pot installation stand (11) is a prefabricated pot stand-type wreath, characterized in that folding lines (12)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ot installation stand (11) is folded and stored in a support bag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21)은 포트(50)가 위치하며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
According to clause 1,
The installation space (21) is a prefabricated pot stand-type wreath where the pot (50) is located and the upper side is wide and the lower side is narro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대(22)는 설치공간(21)의 상측 중앙에 형성되며 반원형과 사각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포트(50)의 상측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
According to clause 1,
The upper support 22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installation space 21 and is formed in any one of a semicircular, square, and oval shap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inside of the pot 50. A prefabricated pot stand-type wreath.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받침대(23)는 하측으로 접는선(24)이 형성되어 절곡에 의해 포트(50)의 하측을 지지하며, 설치공간(21)의 하측 중앙에 형성되어 상측으로 반원형과 사각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
According to clause 1,
The lower support 23 has a fold line 24 formed on the lower side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port 50 by bending, and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installation space 21 and has an upper side in one of a semicircular, square, and oval shape. A prefabricated pot stand wreath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one for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설치대(11)는 평면에서 볼 때 "┏┓"형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포트 설치부(20)가 설치되며, 상측에 상측 연결부재(14)가 연결되어 양쪽으로 리본(40)을 고정하는 리본 고정구멍(41)이 형성되고, 후방의 중앙 부분에 중앙 연결부재(19)가 형성된 후 하측으로 받침가방(30)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
According to clause 1,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is bent in a "┏┓"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and a plurality of port installation parts 20 are installed therein, and an upper connecting member 14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to form a ribbon 40 on both sides. A prefabricated pot stand-type wreath characterized in that a ribbon fixing hole (41) is formed to secure the , a central connecting member (19)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and then assembled to the support bag (30) at the low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가방(30)은 손잡이(33)가 형성되며 포트 설치대(11, 11a) 절첩선(12)으로 접혀 보관되며 후방에 포트 설치부(20)를 형성한 절개선(26)이 절단되는 벽걸이 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포트 꽂이형 화환.
According to clause 1,
The support bag 30 is formed with a handle 33, is stored by folding the port installation stand 11, 11a by the folding line 12, and is a wall hanger in which the incision line 26 forming the port installation portion 20 is cut at the rear. A prefabricated pot stand type wreath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member (35).
KR1020220126932A 2022-10-05 2022-10-05 Prefabricated potted wreath KR202400476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932A KR20240047650A (en) 2022-10-05 2022-10-05 Prefabricated potted wre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932A KR20240047650A (en) 2022-10-05 2022-10-05 Prefabricated potted wrea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650A true KR20240047650A (en) 2024-04-12

Family

ID=9068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932A KR20240047650A (en) 2022-10-05 2022-10-05 Prefabricated potted wrea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650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591B1 (en) 1995-03-07 1999-12-15 에모토 간지 Cladding material for centrifugal casting roll
KR101736298B1 (en) 2015-07-17 2017-05-16 김영락 Fort Garland stand type using port Fort Garland stand type using port mounting base
KR102231252B1 (en) 2019-12-31 2021-03-23 서우산업 주식회사 A Wreath decorated with flower pots
KR102442319B1 (en) 2020-07-20 2022-09-13 한국화원협동조합연합회 Wrea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591B1 (en) 1995-03-07 1999-12-15 에모토 간지 Cladding material for centrifugal casting roll
KR101736298B1 (en) 2015-07-17 2017-05-16 김영락 Fort Garland stand type using port Fort Garland stand type using port mounting base
KR102231252B1 (en) 2019-12-31 2021-03-23 서우산업 주식회사 A Wreath decorated with flower pots
KR102442319B1 (en) 2020-07-20 2022-09-13 한국화원협동조합연합회 Wrea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7344A (en) Party riser
AU2006203492A1 (en) Table assembly
US20170150683A1 (en) Apparatuses and kits for displaying items
CA2608778C (en) Floral easel
KR101603205B1 (en) A wreath stand including support structure of oasis
KR20240047650A (en) Prefabricated potted wreath
US10295130B1 (en) Frame support for handmade paper crafts and lanterns
KR200459808Y1 (en) Frame for floral wreath
KR102195624B1 (en) prefabricated basket wreath
US20060000393A1 (en) Table with ornamental display
JP2015139695A (en) decorative folding screen
KR101466266B1 (en) Pyramid flowers top wreath
US20050258317A1 (en) Floral easel
KR20110006575U (en) decoration structure for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KR102126125B1 (en) prefabricated flowerpot wreath
AU2021106800A4 (en) Artificial tree
JP3207237U (en) Assembly sheet and stand
KR101597712B1 (en) Port mounting base for Fort Garland stand type
EP2858537B1 (en) Foldable vase
CN211093264U (en) Christmas tree support
JPS6328462Y2 (en)
GB2105982A (en) Display unit
KR20120054505A (en) A wreath
JP3132861U (en) Pedestal for assemble display and pedestal display box
KR200295841Y1 (en) Support for a flower arrangement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