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613A - Mind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 Google Patents

Mind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613A
KR20240047613A KR1020220126840A KR20220126840A KR20240047613A KR 20240047613 A KR20240047613 A KR 20240047613A KR 1020220126840 A KR1020220126840 A KR 1020220126840A KR 20220126840 A KR20220126840 A KR 20220126840A KR 20240047613 A KR20240047613 A KR 2024004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olor
psychological
color filter
psychologic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8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넬로피
이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넬로피, 이강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넬로피
Priority to KR102022012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613A/en
Publication of KR2024004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61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상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시청한 사용자의 감정을 자극시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부교감 신경 우위의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수면, 학습, 휴식, 작업 등 사용자의 행동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감정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심리 조절 모드(psychology transition modes)를 선택받는 입력 모듈과, 상기 선택된 모드에 미리 매칭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메모리에 업로드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 미리 매칭된 색상 필터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색상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timulates the emotions of the user watching the video to which the color filter is applied, changing the user's emotional state to a parasympathetic nervous state, thereby creating an emotional stat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user's actions such as sleeping, learning, resting, and working. It is about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hangeable color psycholog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module for selecting a psychological transition mode desired by a user, uploading a psychological transition induction image pre-matched to the selected mode to a memory, and a color filter pre-matched to the selected mode. It may include a processing module applied to an image and an output module outputting the image to which the color filter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Description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MIND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MIND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본 발명은 색상 조정을 이용한 심리유도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색상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시청한 사용자의 감정을 자극시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부교감 신경 우위의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수면, 학습, 휴식, 작업 등 사용자의 행동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감정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sychological induction technology using color adjust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sleep, study, and relax by stimulating the emotions of the user watching an image to which a color filter is applied and changing the user's emotional state to a state of parasympathetic nerve dominance. It is about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that can change the user's emotional stat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user's actions, such as work.

사람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정보의 70%는 시각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각을 통해 인지된 각 물체의 색은 사람의 정서 및 경험에 큰 작용을 한다. 즉, 특정한 색을 통해서 어떤 감정이 유발되기도 하며 정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It is known that 70% of the information that people experience on a daily basis is obtained through vision. The color of each object perceived through vis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 person's emotions and experiences. In other words, certain emotions can be evoked through specific color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emotions.

색은 사람의 감정에 영향을 주는 정보로서, 많은 학자에 의해 색과 감정, 심리, 정서, 성격 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심리학자 R. Plutchik에 따르면 노란색은 밝고 긍정적인 정서, 파란색은 우울하고 슬픈 정서 등 8가지 기본 정서와 색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Color is information that affects human emotions, and many scholars have conducte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emotions, psychology, emotion, and personality. In particular, according to psychologist R. Plutchik, i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s and eight basic emotions, such as yellow for bright and positive emotions and blue for gloomy and sad emotions.

그러나 색은 일반적으로 사람의 감정에 영향을 주지만, 사람이 색에 대해 느끼는 반응은 또는 색과 감정의 관계는 개인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은 밝은 노란색에서는 감정 자극의 반응이 적고 진한 노란색에서만 감정 자극이 발생할 수도 있고, 다른 사람은 밝은 노란색에서도 감정 자극의 반응이 높을 수도 있다.However, although color generally affects a person's emotions, the reaction a person feels to color 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emotion can be defin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For example, some people may have a low emotional response to bright yellow and only experience emotional stimulation in dark yellow, while others may have a high emotional response even to bright yellow.

즉, 단순한 색 변환 방법에 의하면 최종 색 변환된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감성적인 만족도가 낮을 수 있는 한계가 있다.In other words, the simple color conversion method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user's emotional satisfaction with the final color conversion result may be low.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33286호는 영상처리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색보정 시스템 및 색보정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감정 상태로의 변화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3286 discloses technology regarding a color correction system and color correction method including a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a display device.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limitat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change the user's target emotional stat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0033286호(2013.04.0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33286 (2013.04.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색상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시청한 사용자의 감정을 자극시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부교감 신경 우위의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수면, 학습, 휴식, 작업 등 사용자의 행동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감정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stimulate the emotions of the user who watches the video to which the color filter is applied, thereby changing the user's emotional state to a state of parasympathetic nerve dominanc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user's actions such as sleeping, learning, resting, and working. The goal is to provide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that can change the emotional state to suit your need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색상이 필터링된 영상의 출력 특성을 정의된 표준 또는 사용자의 세팅에 맞게 제공하여 감정 상태 변화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emotional state changes by providing output characteristics of color-filtered images in accordance with defined standards or user sett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심리 조절 모드(psychology transition modes)를 선택받는 입력 모듈과, 상기 선택된 모드에 미리 매칭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메모리에 업로드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 미리 매칭된 색상 필터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색상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module for selecting a psychological control mode (psychology transition modes) desired by a user, and uploading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pre-matched to the selected mode to a memory. It may include a processing module that applies a color filter pre-matched to the selected mode to the image, and an output module that outputs the image to which the color filter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안정 모드(stability mode)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핑크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고,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집중 모드(concentration mode)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녹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며,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각성 모드(arousal mode)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청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stability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a pink-based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and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concentra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The module applies a green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and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n arousal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a blue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can do.

상기 심리 조절 장치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검사기(Electroencephalography, EEG)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상 필터는, 색상 계열 별로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색상 강도로 등급화 되며, 테스트 모드(test mode)에서,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에 대한 색상 필터의 색상 강도가 다르게 적용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상기 출력 모듈이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출력하면, 사용자의 뇌파를 모니터링 하는 중에 임계값을 넘어서는 뇌파의 반응을 보이는 색상 강도를 상기 사용자의 적정 색상 강도로 결정하는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wirelessly link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n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vice that measures the user's brain waves, and the color filt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color series. It is graded into a plurality of color intensiti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 and in a test mode, the processing module outputs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to which the color intensity of the color filter for the selected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pplied differently. When sequentially output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 setting module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ile monitoring the user's brain waves, a color intensity that shows a brain wave response exceeding a threshold as an appropriate color intensity for the user.

상기 심리 조절 장치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검사기(Electroencephalography, EEG)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상 필터는, 색상 계열 별로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색상 강도로 등급화 되며, 뇌파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뇌파 상태를 복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고, 동작 모드(operation mode)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분석 모듈이 결정한 뇌파 상태에 매칭되는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를 상기 영상에 적용할 수 있다.It is wirelessly link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n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vice that measures the user's brain waves, and the color filt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color series. It is graded into a plurality of color intensiti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above, and further includes an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brain wave measurement results to determine the user's current brain wave state as one of the plurality of stages, and in an opera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may apply a color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level matching the brain wave state determined by the analysis module to the image.

상기 색상 필터는, 색상 계열 별로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색상 강도로 등급화 되고, 상기 안정 모드는 수면,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흥분, 휴식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세부 모드에 매칭되는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를 상기 영상에 적용할 수 있다.The color filter is graded into a plurality of color intensiti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color series, and the stable mode includes sleep,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xcitement, It includes at least one detailed mode during rest, and the processing module may apply a color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level matching the detailed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image.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우울증/산후우울증 치료 모드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핑크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고,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스트레스 감소 모드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노란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며,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식욕 억제 모드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청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 depression/postpartum depression treatment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a pink-based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and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 stress reduc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A yellow-based digital color filter is applied to the guidance image, and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n appetite suppress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may apply a blue-based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guidance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색상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시청한 사용자의 감정을 자극시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부교감 신경 우위의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수면, 학습, 휴식, 작업 등 사용자의 행동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감정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emotional state is changed to a parasympathetic state by stimulating the emotions of the user watching the video to which the color filter is appli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user's actions such as sleeping, learning, resting, and working. It can change the emotional state f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색상이 필터링된 영상의 출력 특성을 정의된 표준 또는 사용자의 세팅에 맞게 제공하여 감정 상태 변화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iciency of changing emotional states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output characteristics of color-filtered images in accordance with defined standards or user sett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를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according to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들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것은 본 발명을 어느 특정한 실시예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모든 변형(transform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 대체물(substitutions)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ny specific embodiment, and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한 구성이 어떤 서브 구성을 "구비(have)" 또는 "포함(comprise)" 한다고 기재한 경우,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other)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tated that one configuration “has” or “comprises” a certain sub-configuration, it does not exclude the other configuration but adds the other configuration,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is means that it may b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유닛(Unit)", "...모듈(Module)" 및 "컴포넌트(Component)"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Unit", "...Module", and "Component"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includes hardware, software, or It can also be implem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심리 조절 장치는 색상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시청한 사용자의 감정을 자극시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목적에 맞는 감정 상태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is for stimulating the emotions of a user who watches an image to which a color filter is applied to induce the user's emotional state into an emotional state suitable for the purpose.

참고로 색상과 심리적 효과 및 뇌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논문들을 통해 제시된 바 있다.For reference, various papers have been presen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psychological effects, and the brain.

* 논문1: 컬러영상에 의한 스트레스 완화효과 연구. 교토대학 의학부 보건학과 기요. 2006; 2: pp.1-7.* Paper 1: Study on the stress relief effect by color video. Kyoto University Faculty of Medicin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2006; 2: pp.1-7.

* 논문2: Effects of color images on stress reduction: Using images as mood stimulants. 컬러 영상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미지를 기분 자극제로 사용 JJNS 2007; 4: pp.1-8. * Paper 2: Effects of color images on stress reduction: Using images as mood stimulants. The Impact of Color Images on Stress Reduction: Using Images as Mood Stimulators JJNS 2007; 4: pp.1-8.

* 논문3: 색채 영상의 심리적 효과 -영상선택시스템 병용을 통한 색채영상의 감정자극 효과 검토-일본 보완대체의료학회지 제5권 제3호 2008년 10월: pp.225-232* Paper 3: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r images - Examination of emotional stimulation effects of color images through combined use of image selection system - Japanese Journal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 5, No. 3, October 2008: pp.225-232

* 논문4: 선호하는 단색채광에 의한 감정 자극 효과 -심리적 및 생화학적 지표 평가에서-일본 보완대체의료학회지 제7권 제2호 2010년 10월: pp.103-111* Paper 4: Emotional stimulation effect by preferred monochromatic lighting - In the evaluation of psychological and biochemical indicators -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 7, No. 2, October 2010: pp.103-111

* 논문5: 感性をつなぐ色彩 - 色彩を結び目とした多感?*究への展開 감성을 잇는 색채-색채를 매듭으로 한 다감각 연구로의 전개. 일본 기초심리학연구(基礎心理**究) 제35권 제1호, 2016, pp.29-34,* Paper 5: Emotion and color form - Color that connects emotions - development of multi-sensory research using color as a knot. Japanese Journal of Basic Psychology (基礎心理**究) Volume 35, No. 1, 2016, pp.29-34,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1은 색상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영상을 시청한 사용자의 감정을 자극시켜 수면, 학습, 휴식, 작업 등 사용자의 행동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심리 조절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Example 1 is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100 that provides an image to which a color filter is applied to the user and stimulates the emotions of the user who watches the imag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user's actions such as sleeping, learning, resting, and working. It's about.

참고로, 심리 조절 장치(100)는 실행모드와 테스트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실시예1은 실행모드에 수행되는 기술이다.For reference,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100 can operate in execution mode and test mode, and Example 1 is a technology performed in execution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100)를 예시한 개략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100 using color psychology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1의 심리 조절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스마트폰 또는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이 있는 장치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참고로, 스마트폰 또는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단말(10)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사용자 단말(10)은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100 of Example 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and executed on a device with a display function, such as a smartphone or a head-mounted display (HMD). For reference, a display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head mounted display will be defined and described as the user terminal 10. In FIG. 1 , the user terminal 10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it is implemented as a head-mounted display device.

심리 조절 장치(100)는 입력 모듈(110), 처리 모듈(120) 및 출력 모듈(130)을 포함한다.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n input module 110, a processing module 120, and an output module 130.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심리 조절 모드(psychology transition modes)를 사용자 단말(10)로 제시한다.The input module 110 presents psychological transition modes desir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10.

입력 모듈(110)에서 제시되는 심리 조절 모드는 안정 모드(stability mode)와, 집중 모드(concentration mode)와 각성 모드(arousal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나열한 심리 조절 모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입력 모듈(110)에서 제시되는 심리 조절 모드는 우울증 치료/산후우울증 치료 모드와, 스트레스 감소 모드 및 식욕 억제 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Psychological control modes presented in the input module 110 may include stability mode, concentration mode, and arousal mode.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s listed are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presented in the input module 110 may include a depression treatment/postpartum depression treatment mode, a stress reduction mode, and an appetite suppression mode.

예컨대, 심리 조절 모드 중 안정 모드는 수면,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흥분, 휴식을 위해 심리 상태를 안정되게 변화시키는 모드다. 집중 모드는 학습, 업무, 작업 등을 위해 심리 상태를 집중할 수 있게 변화시키는 모드다. 각성 모드는 운동 과 같은 강도 높은 신체 활동을 위해 심리 상태를 각성할 수 있게 변화시키는 모드다.For example, among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s, the stability mode is a mode that stably changes the psychological state for sleep,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xcitement, and relaxation. Concentration mode is a mode that changes your psychological state to focus on learning, work, work, etc. The awakening mode is a mode that changes the psychological state to awaken for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such as exercise.

입력 모듈(110)은 제시된 심리 조절 모드 중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받는다.The input module 110 receives a selection of one mode from the user terminal 10 among the presented psychological control modes.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어느 하나의 심리 조절 모드가 선택되면 처리 모듈(120)은 선택된 모드에 미리 매칭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메모리에 업로드한다. 참고로, 심리 조절 모드에 따른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은 영상DB(미도시)에 미리 구축될 수도 있고 외부의 서버로부터 수신받을 수도 있다.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은 심리 조절 모드에 따라 다른 영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정 모드에 매칭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은 숲 속의 나무가 촬영된 영상, 강물이 흐르는 영상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When on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he processing module 120 uploads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previously matched to the selected mode to the memory. For reference,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video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may be pre-built in a video DB (not shown) or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may consist of different images depending o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matched to the stable mode may consist of an image of a tree in a forest, an image of a flowing river, etc.

처리 모듈(12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에 미리 매칭된 색상 필터를 메모리에 업로드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한다.The processing module 120 applies a color filter previously match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uploaded to the memory.

예를 들면, 처리 모듈(120)은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가 안정 모드인 경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핑크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한다. 처리 모듈(120)은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가 집중 모드인 경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녹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한다. 처리 모듈(120)은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가 각성 모드인 경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청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한다.For example, when the selected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 stable mode, the processing module 120 applies a pink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The processing module 120 applies a green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when the selected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the concentra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120 applies a blue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when the selected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the arousal mode.

또한, 처리 모듈(120)은 심리 조절 모드가 우울증/산후우울증 치료 모드인 경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핑크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고, 심리 조절 모드가 스트레스 감소 모드인 경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노란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며, 심리 조절 모드가 식욕 억제 모드인 경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청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module 120 applies a pink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guidance image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the depression/postpartum depression treatment mode, and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the stress reduc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120 applies a yellow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guidance image. A blue-based digital color filter is applied, and if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the appetite suppression mode, a blue-based digital color filter can be appli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video.

출력 모듈(130)은 처리 모듈(120)에 의해 색상 필터가 적용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출력한다.The output module 130 outputs a psychological adjustment induction image to which a color filter has been applied by the processing module 120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2는 색상 강도가 다른 색상 필터가 적용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모니터링하고, 뇌파의 반응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적정 색상 강도를 결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Example 2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onitoring the brain waves of a user watching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video to which a color filter with different color intensity is applied and determining the user's appropriate color intensity based on the brain wave response.

참고로, 심리 조절 장치(200)는 실행모드와 테스트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실시예2는 테스트모드에 수행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For reference,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200 can operate in execution mode and test mode, and Example 2 relates to technology performed in test mod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200)를 예시한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200 using color psychology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2의 심리 조절 장치(200)는 입력 모듈(210), 처리 모듈(220), 출력 모듈(230), 설정 모듈(240) 및 뇌파 검사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2의 입력 모듈(210), 출력 모듈(230)은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뇌파 검사기(21), 처리 모듈(220) 및 설정 모듈(24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로, 실시예2의 테스트모드에서 심리 조절 장치(200)는 입력 모듈(210)의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200 of Example 2 may include an input module 210, a processing module 220, an output module 230, a setting module 240, and an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tector 21. Since the input module 210 and output module 230 of Example 2 are the same as those of Example 1,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EEG tester 21, processing module 220, and setting module 240 will be described. . For reference, in the test mode of Example 2,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200 may not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input module 210.

뇌파 검사기(21)(Electroencephalography, EEG)는 출력 모듈(230)에 의해서 사용자 단말(10)에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이 출력 중일 때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한다. 뇌파 검사기(21)의 종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으며, 심리 조절 장치(2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심리 조절 장치(200)가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일 경우 뇌파 검사기(21)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심리 조절 장치(200)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일 경우 뇌파 검사기(21)는 블루투스 계열의 근접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연동될 수도 있다.The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vice 21 measures the user's brain waves when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is being output to the user terminal 10 by the output module 230. The type of the EEG tester 21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may b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200. For example, if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200 is a head-mounted display, the EEG tester 21 may be connected by wire. Additionally, if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200 is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e EEG tester 21 may be linked wirelessly through Bluetooth-based close-range communication.

뇌파 검사기(21)는 사용자의 뇌파 중 알파α파, 베타β파, 감마γ파 중 적어도 하나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으며, 뇌파 검사기(21)에서 측정하는 뇌파 종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EEG tester 21 can measure at least one of the alpha α wave, beta beta wave, and gamma γ wave among the user's brain waves, and the type of EEG measured by the EEG tester 21 is not limited to this.

처리 모듈(220)은 테스트모드에서 사용자의 적정 색상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 필터를 색상 계열 별로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색상 강도로 등급화하여 테스트용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한다. In order to determine the user's appropriate color intensity in the test mode, the processing module 220 selects a color filt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sychological control mod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color family. It is graded by multiple color intensities and applied to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s for testing.

예컨대, 처리 모듈(220)은 사용자의 적정 색상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가 안정 모드일 인 경우, 테스트용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핑크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되, 낮은 색상 강도부터 순차적으로 높은 색상 강도의 필터를 적용한다.For example,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selected to determine the user's appropriate color intensity is the stable mode, the processing module 220 applies a pink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for testing, sequentially starting from the lowest color intensity. Apply a filter with high color intensity.

그리고 출력 모듈(230)은 처리 모듈(220)에 의해 안정 모드에 대한 색상 필터의 색상 강도가 다르게 적용된 테스트용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And the output module 230 sequentially outputs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s for testing to which the color intensity of the color filter for the stable mode is applied differently by the processing module 220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do.

설정 모듈(240)은 출력 모듈(230)에 의해 다른 색상 강도의 색상 필터가 적용된 테스트용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이 시간 간격을 두고 출력 중일 때 사용자의 뇌파 변화를 모니터링한다.The setting module 240 monitors changes in the user's brain waves when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for testing to which color filters of different color intensities are applied by the output module 230 is being output at time intervals.

설정 모듈(240)은 사용자의 뇌파를 모니터링 하는 중에 임계값을 넘어서는 뇌파의 반응을 보이는 색상 강도를 사용자의 적정 색상 강도로 결정한다.While monitoring the user's brain waves, the setting module 240 determines the color intensity at which the brain wave respons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s the user's appropriate color intensity.

예를 들면, 안정 모드에서 테스트용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레벨1의 색상 강도를 갖는 핑크색 계열의 필터가 적용되어 출력 중일 때 뇌파가 임계값을 넘어서지 않고, 레벨3의 색상 강도를 갖는 핑크색 계열의 필터가 적용되어 출력 중일 때 뇌파가 임계값을 넘어서면 설정 모듈(240)은 사용자의 안정 모드에 대한 적정 색상 강도를 레벨3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 모듈(240)은 사용자의 집중 모드와 각성 모드에 대한 적정 색상 강도를 결정한다.For example, in stable mode, when a pink filter with a level 1 color intensity is appli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for testing and output, the brain waves do not exceed the threshold, and a pink filter with a level 3 color intensity is used. When is applied and being output, if the brain wave exceeds the threshold, the setting module 240 determines the appropriate color intensity for the user's stable mode to be level 3. In this way, the setting module 240 determines the appropriate color intensity for the user's concentration mode and awakening mode.

이후 실행 모드에서 입력 모듈(210)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심리 조절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처리 모듈(220)은 설정 모듈(240)에 의해 결정된 적정 색상 강도를 선택된 모드에 매칭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한다. 그리고 출력 모듈(230)은 사용자의 적정 색상 강도의 색상 필터가 적용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안정모드가 선택되면 출력 모듈(230)은 처리 모듈(220)에 의해 레벨3의 색상 강도가 적용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출력한다.Afterwards, when the input module 210 selects one of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s from the user terminal 20 in the execu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220 matches the appropriate color intensity determined by the setting module 240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selected. Applies to control guidance images. And the output module 230 outputs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to which a color filter with an appropriate color intensity for the user is appli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Specifically, when the stable mode is se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20, the output module 230 outputs a psychological adjustment induction image to which level 3 color intensity is applied by the processing module 220.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3은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뇌파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된 색상 강도의 색상 필터를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Example 3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easuring a user's brain waves and applying a color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current brain wave state to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참고로, 심리 조절 장치(300)는 실행모드와 테스트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실시예3은 실행모드에 수행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For reference,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300 can operate in execution mode and test mode, and Example 3 relates to technology performed in execution mod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300)를 예시한 개략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300 using color psychology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3의 심리 조절 장치(300)는 입력 모듈(310), 처리 모듈(320), 출력 모듈(330), 분석 모듈(340) 및 뇌파 검사기(3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3의 입력 모듈(310), 출력 모듈(330)은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뇌파 검사기(31), 처리 모듈(320) 및 분석 모듈(340)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300 of Example 3 may include an input module 310, a processing module 320, an output module 330, an analysis module 340, and an EEG 31. Since the input module 310 and output module 330 of Example 3 are the same as those of Example 1,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EEG tester 31, processing module 320, and analysis module 340 will be described. .

뇌파 검사기(31)(Electroencephalography, EEG)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한다. 뇌파 검사기(31)의 종류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으며, 심리 조절 장치(30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심리 조절 장치(300)가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일 경우 뇌파 검사기(31)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심리 조절 장치(300)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일 경우 뇌파 검사기(31)는 블루투스 계열의 근접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연동될 수도 있다.The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vice 31 is worn on the user's head and measures the user's brain waves. The type of the EEG tester 31 is not limited to any one, and may be connected wirelessly or wir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300. For example, if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300 is a head-mounted display, the EEG tester 31 may be connected by wire. In addition, if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300 is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e EEG tester 31 may be linked wirelessly through Bluetooth-based close-range communication.

뇌파 검사기(31)는 사용자의 뇌파 중 알파α파, 베타β파, 감마γ파 중 적어도 하나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으며, 뇌파 검사기(31)에서 측정하는 뇌파 종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EEG tester 31 can measure at least one of the alpha α wave, beta beta wave, and gamma γ wave among the user's brain waves, and the type of EEG measured by the EEG tester 31 is not limited to this.

처리 모듈(320)은 색상 필터를 색상 계열 별로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색상 강도로 등급화한다. 처리 모듈(320)은 실행모드에서 분석 모듈(340)에 의해 결정된 뇌파 상태에 매칭되는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를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한다.The processing module 320 grades the color filter into a plurality of color intensiti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color series. The processing module 320 applies a color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level matching the brain wave state determined by the analysis module 340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in the execution mode.

분석 모듈(340)은 뇌파 검사기(31)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뇌파 상태를 복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분석 모듈(340)은 사용자의 뇌파 중 알파α파의 측정 결과(예를 들면, 파장의 피크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현재 뇌파 상태의 단계를 레벨1로 결정하고, 뇌파 중 베타β파의 측정 결과(예를 들면, 파장의 피크치)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현재 뇌파 상태의 단계를 레벨2로 결정할 수 있다.The analysis module 340 analyzes the user's brain waves measured by the brain wave tester 31 and determines the user's current brain wave state as one of a plurality of stages. For example, the analysis module 340 determines the level of the current brain wave state as level 1 when the measurement result (e.g., peak value of the wavelength) of alpha α waves among the user's brain waves exceeds the threshold, and determines the level of the current brain wave state as level 1 and beta β waves among the brain waves. If the wave measurement result (for example, the peak value of the wave) exceeds the threshold, the level of the current brain wave state can be determined as level 2.

이후 실행 모드에서 입력 모듈(310)이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심리 조절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으면, 처리 모듈(320)은 분석 모듈(340)에 의해 결정된 뇌파 상태의 단계에 매칭되는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를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한다.Afterwards, when the input module 310 selects one of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s from the user terminal 30 in the execu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320 provides a color intensity rating that matches the stage of the brain wave state determined by the analysis module 340. A color filter is appli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video.

예를 들면, 입력 모듈(310)에서 선택받은 심리 조절 모드가 안정모드이고, 분석 모듈(34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뇌파 상태의 단계가 레벨1이면, 처리 모듈(320)은 레벨1의 색상 강도를 갖는 핑크색 계열의 필터를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한다.For example, if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selected in the input module 310 is the stable mode, and the level of the user's brain wave state determined in the analysis module 340 is level 1, the processing module 320 sets the color intensity of level 1. A pink-colored filter is appli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video.

그리고 출력 모듈(330)은 사용자의 현재 뇌파 상태의 단계에 매칭되는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가 적용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출력한다.And the output module 330 outputs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to which a color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level matching the level of the user's current brain wave state is applied.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4는 심리 조절 모드를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모드에 매칭되는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를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Example 4 relates to a technique for segmenting psychological control modes and applying color filters with color intensity levels matching the segmented modes to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s.

참고로, 심리 조절 장치(400)는 실행모드와 테스트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실시예4는 실행모드에 수행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For reference,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400 can operate in execution mode and test mode, and Example 4 relates to technology performed in execution mod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400)를 예시한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400 using color psychology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3의 심리 조절 장치(400)는 입력 모듈(410), 처리 모듈(420) 및 출력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400 of Example 3 may include an input module 410, a processing module 420, and an output module 430.

입력 모듈(410)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심리 조절 모드를 사용자 단말(40)로 제시하되, 각 심리 조절 모드를 세분화한 세부모드를 제시한다.The input module 410 presents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desir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40, and presents detailed modes that subdivide each psychological control mode.

예를 들면, 입력 모듈(410)에서 제시되는 심리 조절 모드는 안정 모드(stability mode)와, 집중 모드(concentration mode)와 각성 모드(arousal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presented in the input module 410 may include stability mode, concentration mode, and arousal mode.

안정 모드는 수면모드, 휴식모드, 흥분모드,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모드 등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Rest mode can be subdivided into sleep mode, rest mode, excitement mod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mode, etc.

집중 모드는 학습모드, 업무모드, 작업모드 등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Concentration mode may be subdivided into study mode, work mode, work mode, etc.

각성 모드는 운동모드 신체 활동 모드 등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Arousal mode may be subdivided into exercise mode, physical activity mode, etc.

상기에서 나열한 심리 조절 모드와, 각 모드에서 세분화된 모드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s listed above and the types of subdivided modes in each mode are not limited to this.

처리 모듈(420)은 색상 필터를 색상 계열 별로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색상 강도로 등급화한다. 처리 모듈(420)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세부 모드에 매칭되는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를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한다.The processing module 420 grades the color filter into a plurality of color intensiti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color series. The processing module 420 applies a color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level matching the detailed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예를 들면, 입력 모듈(410)에서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예를 들면, 안정모드)의 세부모드가 수면모드면 처리 모듈(420)은 레벨1의 색상 강도를 갖는 핑크색 계열의 필터를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한다. For example, if the detailed mode of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e.g., rest mode) selected in the input module 410 is sleep mode, the processing module 420 uses a pink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of level 1 to induce psychological control. Apply to video.

다른 예로, 입력 모듈(410)에서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예를 들면, 안정모드)의 세부모드가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모드면 처리 모듈(420)은 레벨4의 색상 강도를 갖는 핑크색 계열의 필터를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적용한다.As another example, if the detailed mode of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for example, stable mode) selected in the input module 410 i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mode, the processing module 420 uses a pink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of level 4. Applies to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video.

그리고 출력 모듈(430)은 처리 모듈(420)에 의해 세부모드에 따른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가 적용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출력한다.And the output module 430 outputs a psychological adjustment induction image to which a color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rating according to the detailed mode is applied by the processing module 420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몇 가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everal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본 발명은 심리 조절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글사의 안드로이드나 애플사의 IOS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구글 글래스, 애플 워치, 삼성 갤럭시 워치, 스마트 워치,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즈나 구글사의 크롬OS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노트북PC, 데스크탑PC 등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psychological control, or as a software program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running on Google's Android or Apple's IOS, or Google Glass. ,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running on wearable devices such as Apple Watch, Samsung Galaxy Watch, smart watch, head-mounted display, etc., or software running on laptop PCs and desktop PCs based on Microsoft's Windows or Google's Chrome OS. It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또한 상술한 장치 또는 시스템의 부분적 기능들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Additionally, partial functions of the above-mentioned device or system may be provid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by tangibly implementing a program of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the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floptical disks. Included are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perform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USB memory, and the like.

100: 심리 조절 장치
110: 입력 모듈
120: 처리 모듈
130: 출력 모듈
100: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110: input module
120: processing module
130: output module

Claims (6)

사용자가 희망하는 심리 조절 모드(psychology transition modes)를 선택받는 입력 모듈;
상기 선택된 모드에 미리 매칭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메모리에 업로드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 미리 매칭된 색상 필터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처리 모듈; 및
상기 색상 필터가 적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모듈
을 포함하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
An input module for selecting psychological transition modes desired by the user;
a processing module for uploading a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pre-matched to the selected mode to a memory and applying a color filter pre-matched to the selected mode to the image; and
Output module that outputs the image to which the color filter i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안정 모드(stability mode)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핑크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고,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집중 모드(concentration mode)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녹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며,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각성 모드(arousal mode)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청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 stability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a pink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 concentra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a green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n arousal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a blue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조절 장치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검사기(Electroencephalography, EEG)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상 필터는, 색상 계열 별로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색상 강도로 등급화 되며,
테스트 모드(test mode)에서,
상기 처리 모듈에 의해 상기 선택된 심리 조절 모드에 대한 색상 필터의 색상 강도가 다르게 적용된 심리 조절 유도 영상을 상기 출력 모듈이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출력하면, 사용자의 뇌파를 모니터링 하는 중에 임계값을 넘어서는 뇌파의 반응을 보이는 색상 강도를 상기 사용자의 적정 색상 강도로 결정하는 설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It is wirelessly link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n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vice that measures the user's brain waves,
The color filter is graded into a plurality of color intensiti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color series,
In test mode,
When the output module sequentially outputs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s to which the color intensity of the color filter for the selected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pplied differently by the processing modul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 threshold value is set while monitoring the user's brain waves. A setting module that determines the color intensity that exceeds the brain wave response as the appropriate color intensity for the user.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that further includ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조절 장치와 무선으로 연동되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검사기(Electroencephalography, EEG)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색상 필터는, 색상 계열 별로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색상 강도로 등급화 되며,
뇌파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뇌파 상태를 복수의 단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하고,
동작 모드(operation mode)에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분석 모듈이 결정한 뇌파 상태에 매칭되는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It is wirelessly linked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and further includes an electroencephalography (EEG) device that measures the user's brain waves,
The color filter is graded into a plurality of color intensiti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color series,
Further comprising an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the brain wave measurement results and determines the user's current brain wave state as one of a plurality of stages,
In opera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is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level matching the brain wave state determined by the analysis module is applied to the im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필터는, 색상 계열 별로 색상(Hue), 명도(Brightness), 채도(Saturation)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복수의 색상 강도로 등급화 되고,
상기 안정 모드는 수면,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흥분, 휴식 중 적어도 하나의 세부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세부 모드에 매칭되는 색상 강도 등급의 색상 필터를 상기 영상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lor filter is graded into a plurality of color intensitie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color series,
The stable mode includes at least one detailed mode of sleep,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xcitement, and rest,
The processing module is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characterized in that it applies a color filter with a color intensity level matching the detailed mod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우울증/산후우울증 치료 모드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핑크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고,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스트레스 감소 모드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노란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며,
상기 심리 조절 모드가 식욕 억제 모드인 경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심리 조절 유도 영상에 청색 계열의 디지털 색상 필터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상 심리학을 이용한 심리 조절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 depression/postpartum depression treatment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a pink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 stress reduct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a yellow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When the psychological control mode is an appetite suppression mode, the processing module applies a blue-based digital color filter to the psychological control induction image. A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KR1020220126840A 2022-10-05 2022-10-05 Mind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KR202400476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40A KR20240047613A (en) 2022-10-05 2022-10-05 Mind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40A KR20240047613A (en) 2022-10-05 2022-10-05 Mind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613A true KR20240047613A (en) 2024-04-12

Family

ID=9067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840A KR20240047613A (en) 2022-10-05 2022-10-05 Mind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61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286A (en) 2011-09-26 201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Color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286A (en) 2011-09-26 2013-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Color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includ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hlenforst et al. Impact of stimulus-related factors and hearing impairment on listening effort as indicated by pupil dilation
Bailey et al. Cognitive benefits of walking in natural versus built environments
Staufenbiel et al. Effect of beta and gamma neurofeedback on memory and intelligence in the elderly
Cannito et al. Sentence intelligibility before and after voice treatment in speaker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Gruzelier Differential effects on mood of 12–15 (SMR) and 15–18 (beta1) Hz neurofeedback
Feldman et al. Negative emotions and acute physiological responses to stress
Canazei et al. Acute effects of different light spectra on simulated night-shift work without circadian alignment
Gembler et al. Autonomous parameter adjustment for SSVEP-based BCIs with a novel BCI wizard
Nam et al. Evaluation of P300-based brain-computer interface in real-world contexts
Šmotek et al. Objective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vigilance under different narrow-bandwidth light conditions: do shorter wavelengths have an alertness-enhancing effect?
Chen et al. Mismatch negativity (MMN) stands at the crossroads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emotional processing
Defenderfer et al. Investigating the role of temporal lobe activation in speech perception accuracy with normal hearing adults: An event-related fNIRS study
Legault et al. The effects of blurred vision on auditory-visual speech perception in younger and older adults
Berti et al. The orienting response in healthy aging: Novelty P3 indicates no general decline but reduced efficacy for fast stimulation rates
Gunnery et al. Mapping spontaneous facial expression in people with Parkinson’s disease: A multiple case study design
Fiacconi et al. The influence of aging on audiovisual temporal order judgments
Meng et al. EEG oscillation evidences of enhanced susceptibility to emotional stimuli during adolescence
Chang et al. Behavioral effect of mismatch negativity neurofeedback on foreign language learning
Moharreri et al. Study of induced emotion by color stimuli: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Stringham et al. Temporal visual mechanisms may mediate compensation for macular pigment
KR20240047613A (en) Mind control device using color psychology
Bansal et al. Effects of blue light on cognitive performance
Achim et al. EEG amplitude spectra before near threshold visual presentations differentially predict detection/omission and short–long reaction time outcomes
Daly et al. Investigating music tempo as a feedback mechanism for closed-loop BCI control
Xia et al. Effects of object colour stimuli on human brain activities and subjective feelings in physical environment and virtual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