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288A -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288A
KR20240047288A KR1020230005532A KR20230005532A KR20240047288A KR 20240047288 A KR20240047288 A KR 20240047288A KR 1020230005532 A KR1020230005532 A KR 1020230005532A KR 20230005532 A KR20230005532 A KR 20230005532A KR 20240047288 A KR20240047288 A KR 2024004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data
hidden camera
hidden
analy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영
이성주
차형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4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6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illumination properties, e.g. using a reflectance or lighting mod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은, 주변의 밝기 정보인 조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조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플래시 밝기 정보인 플래시 밝기 데이터 및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플래시 주파수 정보인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플래시 밝기 데이터 및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셔터 속도 정보인 셔터 속도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플래시 밝기 데이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셔터 속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플래시 밝기, 플래시 주파수 및 셔터 속도로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의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플래시가 반사된 물체들인 반사 물체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반사 물체들을 분석하여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HIDDEN CAMERA DETECT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카메라를 악용하는 몰래 카메라 범죄가 급증하고 이에 따른 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는 휴대용 방범 기법이 필요할 수 있다. 현재 상용화된 솔루션으로 몰래 카메라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ToF(Time of Flight) 레이저 센서 등 별도의 외장 센서를 활용하는 방법, 패킷 분석을 통해 무선 통신을 사용하는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는 방법 등이 있지만, 고가의 전용 장치가 필요하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언제 어디서 발생될지 모르는 몰래 카메라 범죄의 특성상,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플래시 조절과 셔터 속도 조절을 통해 롤링 셔터 효과를 이용하여, 별도의 전용 장치나 외장 센서 없이 휴대폰에 이미 장착되어 있는 하드웨어만을 활용한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은, 주변의 밝기 정보인 조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조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플래시 밝기 정보인 플래시 밝기 데이터 및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플래시 주파수 정보인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플래시 밝기 데이터 및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셔터 속도 정보인 셔터 속도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플래시 밝기 데이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셔터 속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플래시 밝기, 플래시 주파수 및 셔터 속도로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의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플래시가 반사된 물체들인 반사 물체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반사 물체들을 분석하여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과정은, 주변의 밝기 정보인 조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조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플래시 밝기 정보인 플래시 밝기 데이터 및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플래시 주파수 정보인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플래시 밝기 데이터 및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셔터 속도 정보인 셔터 속도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플래시 밝기 데이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셔터 속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플래시 밝기, 플래시 주파수 및 셔터 속도로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의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플래시가 반사된 물체들인 반사 물체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반사 물체들을 분석하여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본 개시는 카메라 기능과 플래시 기능을 활용해 의심 지역을 빠르게 훑는 것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본 개시는 개인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공공장소에서 사용자가 특별한 검출 장비 없이 본인의 스마트폰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검출 할 수 있으므로, 사생활 침해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본 개시는 기존 모바일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최소한으로 주고, 주파수 유지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안정적인 롤링 셔터 효과의 활용을 통해 신속한 몰래 카메라 탐지가 가능하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이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여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의 플래시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의 분석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플래시 인터럽트를 활용하여 카메라 플래시의 온(On) 오프(Off)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럽트 핸들러에서 플래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한 이미지 분석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플래시 제어 모듈(110), 촬영 제어 모듈(120) 및 분석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몰래 카메라(Hidden Camera)는 불법 촬영 등 불법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몰래 카메라는 초소형 카메라일 수 있고, 육안으로 쉽게 구별하지 못하도록 숨겨져 있을 수 있다. 몰래 카메라는 촬영을 위한 렌즈가 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몰래 카메라의 렌즈는 본 개시의 탐지 대상이 될 수 있다.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몰래 카메라의 렌즈에 비출 플래시(Flash)의 밝기 및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플래시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기 위해 방출하는 빛일 수 있다. 플래시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과 상호작용하는 하드웨어로부터 방출되는 빛일 수 있다. 일 예시로,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과 상호작용하는 하드웨어는 스마트폰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스마트폰의 플래시 LED(Light Emitting Diode) 하드웨어를 제어하여 플래시를 방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통해 후술 될 바와 같이,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조도 측정 센서로부터 측정된 주변의 조도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입력된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플래시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플래시의 온(On) 오프(Off)에 따른 차이가 구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변 밝기가 밝을수록 요구되는 플래시의 밝기는 커질 수 있다. 즉, 요구되는 플래시의 밝기는 주변 밝기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전력 소모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플래시의 밝기를 지나치게 크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요구되는 플래시의 밝기를 만족하는 선에서 최소한의 밝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롤링 셔터 효과(Rolling Shutter Effect)를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래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롤링 셔터 효과는 사진이나 영상의 개별 프레임이 한 번에 하나의 전체 화면 스냅샷으로 찍히는 것이 아닌, 수평으로나 수직으로 빠르게 장면을 주사함으로써 상이 포착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롤링 셔터 효과는 장면의 이미지의 모든 부분이 정확히 즉각적으로 촬영되지 않음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이하 후술 될 것이다.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자가 플래시 온 오프를 감지할 수 없는 플래시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플래시 주파수는, 120Hz 이상의 값으로 설정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불편함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주파수는 플래시 LED 하드웨어의 성능에 따라 안정적인 주파수를 낼 수 있는 범위 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플래시 주파수는, 플래시 LED 하드웨어의 성능에 따라 안정적인 주파수를 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높은 주파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플래시 밝기 데이터와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하여 촬영 제어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 플래시 밝기 데이터는 플래시 제어 모듈(110)이 설정한 최적의 플래시 밝기를 수치화 한 데이터 값일 수 있다.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는 플래시 제어 모듈(110)이 설정한 최적의 플래시 주파수를 수치화 한 데이터 값일 수 있다.
촬영 제어 모듈(120)은 플래시 제어 모듈(110)로부터 플래시 밝기 데이터와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를 입력 받아,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셔터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롤링 셔터 효과는 셔터 속도와 플래시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롤링 셔터 효과의 활용 방법은 롤링 셔터 효과를 최소화하는 것이 아닌, 플래시의 온 오프가 번갈아 나타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활용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예시로, 셔터 속도 및 플래시 주파수를 조절하여, 영상의 한 프레임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한 줄씩 스캔할 때마다 플래시의 온 오프가 바뀔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롤링 셔터 효과에서 한 줄의 스캔 단위인 스캔 라인은 플래시가 온 상태일 때의 장면과 플래시가 오프 상태일 때의 장면을 번갈아 가며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스캔라인마다 플래시의 온 오프가 달라짐에 따라, 반사 물체들을 구별할 수 있다. 최적의 셔터 속도는 영상의 한 프레임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한 줄씩 스캔할 때마다 플래시의 온 오프가 바뀔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셔터 속도일 수 있다. 셔터 속도 데이터는 촬영 제어 모듈(120)이 설정한 최적의 셔터 속도를 수치화 한 데이터 값일 수 있다. 반사 물체들은 플래시의 온 오프에 영향을 받는, 플래시가 반사된 물체들일 수 있다. 반사 물체들을 분석하여 후술 될 바와 같이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탐지할 수 있다. 롤링 셔터 효과의 활용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예시는 도 7에서 상세히 후술 될 것이다. 촬영 제어 모듈(120)은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주파수 데이터와 밝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셔터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촬영 제어 모듈(120)은 플래시 밝기 데이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셔터 속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플래시 밝기, 플래시 주파수 및 셔터 속도로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의 촬영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제어 모듈(120)은 플래시 밝기 데이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셔터 속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플래시 밝기, 플래시 주파수 및 셔터 속도로 영상이 촬영되도록 스마트폰 카메라의 촬영부를 제어할 수 있다. 촬영 제어 모듈(120)의 촬영부 제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후술 될 것이다. 촬영 제어 모듈(120)은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인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아 분석 모듈(130)로 전달할 수 있다.
분석 모듈(130)은 촬영 제어 모듈(1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분석 모듈(130)은 영상 데이터를 촬영부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분석 모듈(130)은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반사 물체들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분석 모듈(130)은 반사 물체들을 분석하여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할 수 있다. 분석 모듈(130)이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과 반사 물체들을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b에서 상세히 후술 될 것이다. 분석 모듈(130)은 최종적으로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여, 몰래 카메라의 렌즈에 대한 정보로부터 몰래 카메라 검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카메라 기능과 플래시 기능을 활용해 의심 지역을 빠르게 훑는 것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개인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공공장소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전용 장치나 외장 센서 없이 본인의 스마트폰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검출 할 수 있으므로, 사생활 침해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이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여 작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사용자의 휴대폰 내 하드웨어 등과 상호작용하여 몰래 카메라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측정 센서(210) 및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휴대폰 내 하드웨어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도 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것이다.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조도 측정 센서(210)로부터 측정된 주변의 조도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조도 측정 센서(210)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외부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일 예시로, 조도 측정 센서(2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 탑재되어 있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조도 측정 센서(210)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의 자체 하드웨어일 수 있다. 조도 측정 센서(210)는 주변으로부터 주변광 조도 데이터(D1)를 센싱하여, 플래시 제어 모듈(110)로 전달할 수 있다. 주변광 조도 데이터(D1)는 외부로부터 조도 측정 센서(210)로 입력되는 외부의 주변광일 수 있다.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입력된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플래시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촬영 제어 모듈(120)은 플래시 밝기 데이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셔터 속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플래시 밝기, 플래시 주파수 및 셔터 속도로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의 촬영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촬영부(220)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외부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일 예시로, 촬영부(22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 탑재되어 있는 카메라일 수 있다. 또한 촬영부(220)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의 자체 하드웨어일 수 있다. 촬영부(220)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방출되는 빛(D2)을 입력 받아, 촬영 제어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 촬영부(220)가 주변 환경으로부터 방출되는 빛(D2)을 입력 받는 과정은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과정일 수 있다. 촬영부(220)는 촬영 제어 모듈(120)의 제어에 따라 주변 환경으로부터 방출되는 빛(D2)을 입력 받아,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촬영부(220)는 촬영 제어 모듈(120)로 촬영된 영상인 영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촬영 제어 모듈(120)은 전달 받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 모듈(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는 촬영 제어 모듈(120)을 거치지 않고, 분석 모듈(130)로 영상 데이터를 바로 전달할 수도 있다.
분석 모듈(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반사 물체들을 검출할 수 있고,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할 수 있다. 분석 모듈(130)은 최종적으로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여, 몰래 카메라의 렌즈에 대한 정보로부터 몰래 카메라 검출 데이터(D3)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카메라 기능과 플래시 기능을 활용해 의심 지역을 빠르게 훑는 것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개인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공공장소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전용 장치나 외장 센서 없이 본인의 스마트폰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검출 할 수 있으므로, 사생활 침해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의 플래시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의 분석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조도 데이터 분석 모듈(112)과 플래시 주파수 설정 모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조도 데이터 분석 모듈(112)은 조도 측정 센서(210)로부터 측정된 주변의 조도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조도 데이터 분석 모듈(112)은 입력된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플래시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조도 데이터 분석 모듈(112)은 플래시의 밝기를 조절하여, 플래시 밝기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플래시의 밝기 조절에 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조도 데이터 분석 모듈(112)은 플래시 밝기 데이터를 플래시 주파수 설정 모듈(114)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조도 데이터 분석 모듈(112)은 플래시 주파수 설정 모듈(114)을 거치지 않고, 플래시 밝기 데이터를 촬영 제어 모듈(1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플래시 주파수 설정 모듈(114)은 플래시 밝기 데이터 기초하여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래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플래시 주파수 설정 모듈(114)은 플래시 주파수를 조절하여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다. 플래시 주파수 설정 모듈(114)은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를 촬영 제어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분석 모듈(130)은 반사 물체 분석 모듈(132)과 렌즈 분석 모듈(134)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물체 분석 모듈(132)은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반사 물체들을 검출할 수 있다. 반사 물체 분석 모듈(132)은 영상 데이터를 이미지 분해 기법을 활용해 반사 물체들을 분리할 수 있다. 이미지 분해 기법은 입력된 이미지에서 개체들을 분류하고, 목표하는 조건을 충족하는 개체들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반사 물체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이미지 분해 기법은 개체 내 각각의 스캔라인마다 플래시의 온 오프에 의하여 밝기에 변화가 나타나는 개체들을 선택하여 반사 물체들을 도출할 수 있다. 즉, 반사 물체 분석 모듈(132)은 롤링 셔터 효과가 활용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다량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미지 분해 기법을 통해 이미지 내 플래시의 온 오프에 영향을 받는 개체들을 반사 물체들로 도출할 수 있다.
렌즈 분석 모듈(134)은 반사 물체 분석 모듈(132)로부터 반사 물체들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렌즈 분석 모듈(134)은 반사 물체들을 분석하여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할 수 있다. 렌즈 분석 모듈(134)은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기반의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기법을 통해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도출할 수 있다. 기계 학습은 딥러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딥러닝은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은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이미지 분류는 데이터 기반 이미지 분류(Data-Driven Image Classification)일 수도 있으며, 규칙 기반 이미지 분류(Rule-Based Image Classification)일 수도 있다. 기계 학습 기반의 이미지 분류 기법은 반사 물체들 중 카메라의 렌즈와의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분석 모듈(134)은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반사 물체를 몰래 카메라의 렌즈로 검출할 수 있다. 유사도의 임계값은 목표하는 유사도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반사 물체가 없는 경우, 렌즈 분석 모듈(134)은 몰래 카메라가 없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반사 물체가 복수 개 인 경우, 렌즈 분석 모듈(134)은 몰래 카메라의 렌즈 정보를 복수 개 출력할 수 있다. 렌즈 분석 모듈(134)은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여, 최종적으로 몰래 카메라의 렌즈에 대한 정보로부터 몰래 카메라 검출 데이터(D3)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복수의 단계들(S410, S420, S430, S440, S450, S460, S470, S4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전술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것이다.
단계 S410에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주변광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플래시 제어 모듈(110)은 조도 측정 센서(210)로 하여금 주변광 조도를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플래시 제어 모듈(110) 내 조도 데이터 분석 모듈(112)은 조도 측정 센서(210)로부터 측정된 조도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주변광 조도에 따른 플래시 밝기를조절할 수 있다. 조도 데이터 분석 모듈(112)은 입력된 조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플래시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조도 데이터 분석 모듈(112)은 플래시의 밝기를 조절하여, 플래시 밝기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주파수 설정 모듈(114)은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플래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플래시 주파수 설정 모듈(114)은 플래시 주파수를 조절하여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스마트폰의 플래시 LED 하드웨어를 작동할 수 있다. 촬영 제어 모듈(120)은 플래시 밝기 데이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에 대응되는 플래시 밝기, 플래시 주파수로 플래시가 출력되도록, 플래시 LED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다. 플래시 LED 하드웨어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이 상호작용하는 외부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일 예시로, 플래시 LED 하드웨어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 탑재되어 있는 LED 하드웨어일 수 있다. 스마트폰의 하드웨어는 일 예시로, 스마트폰의 하드웨어만으로 제한되지는 아니하고, 플래시 LED 하드웨어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의 자체 하드웨어일 수 있다. 플래시 작동을 통해 외부의 반사 물체 및 몰래 카메라의 렌즈가 플래시 온 오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주변 환경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 제어 모듈(120)은 플래시 밝기 데이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셔터 속도 데이터에 대응되는 플래시 밝기, 플래시 주파수 및 셔터 속도로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의 촬영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촬영부(220)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방출되는 빛(D2)을 입력받아, 촬영 제어 모듈(120)로 전달할 수 있다. 촬영부(220)가 주변 환경으로부터 방출되는 빛(D2)을 입력 받는 과정은 주변 환경을 촬영하는 과정일 수 있다. 촬영부(220)는 촬영 제어 모듈(120)로 촬영된 영상인 영상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반사 물체 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반사 물체 분석 모듈(132)은 입력 받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반사 물체들을 검출할 수 있다. 반사 물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몰래 카메라가 없다는 결과 출력과 함께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이 종료될 수 있다. 반사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 S46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반사 물체들을 분리할 수 있다. 반사 물체 분석 모듈(132)은 롤링 셔터 효과가 활용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다량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미지 분해 기법을 통해 이미지 내 플래시의 온 오프에 영향을 받는 개체들을 반사 물체들로 분리하여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470에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몰래 카메라 렌즈 후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렌즈 분석 모듈(134)은 반사 물체 분석 모듈(132)로부터 반사 물체들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렌즈 분석 모듈(134)은 기계 학습 기반의 이미지 분류 기법을 통해, 반사 물체들 중 카메라의 렌즈와의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분석 모듈(134)은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반사 물체를 몰래 카메라의 렌즈로 검출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반사 물체가 없는 경우, 즉 몰래 카메라 렌즈 후보가 없는 경우,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이 종료될 수 있다. 또한 몰래 카메라가 없다는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몰래 카메라가 없다는 사실을 전달할 수 있다. 몰래 카메라 렌즈 후보가 있는 경우, 단계 S48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480에서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기계 학습 기반의 이미지 분류 기법을 통해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색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분석 모듈(134)은 기계 학습 기반의 이미지 분류 기법을 통해, 반사 물체들 중 카메라의 렌즈와의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분석 모듈(134)은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반사 물체를 몰래 카메라의 렌즈로 검출할 수 있다.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반사 물체가 복수 개인 경우, 렌즈 분석 모듈(134)은 몰래 카메라의 렌즈 정보를 복수 개 검출할 수 있다. 몰래 카메라가 있다는 결과 및 몰래 카메라의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몰래 카메라가 있다는 정보와 몰래 카메라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카메라 기능과 플래시 기능을 활용해 의심 지역을 빠르게 훑는 것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개인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공공장소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전용 장치나 외장 센서 없이 본인의 스마트폰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검출 할 수 있으므로, 사생활 침해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플래시 인터럽트를 활용하여 카메라 플래시의 온(On) 오프(Off)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인터럽트 생성부(510), 인터럽트 컨트롤러(520) 및 인터럽트 핸들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럽트 생성부(510), 인터럽트 컨트롤러(520) 및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촬영 제어 모듈 내의 구성일 수도 있고,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내에 별도로 존재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플래시 LED 하드웨어(540)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이 상호작용하는 외부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전술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것이다.
인터럽트 생성부(510)는 플래시 인터럽트를 생성할 수 있다. 플래시 인터럽트는 인터럽트(Interrupt) 중,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에 따른 주기마다 플래시의 온(on) 오프(off) 제어를 위한 인터럽트일 수 있다.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입출력 하드웨어 등의 장치에 예외 상황이 발생하여 처리가 필요할 경우, CPU에게 알려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인터럽트는 CPU 등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을 방해하는 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플래시의 온 오프 제어는 인터럽트의 실행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인터럽트 생성부(510)는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에 따른 주기마다 플래시 인터럽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플래시 인터럽트는 인터럽트 컨트롤러(520)로 입력될 수 있다.
인터럽트 컨트롤러(520)는 플래시 인터럽트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럽트들을 인터럽트 큐(Queue)에 저장할 수 있다. 인터럽트 컨트롤러(520)는 인터럽트들의 처리 순서를 정하여 인터럽트 큐에 저장할 수 있다. 인터럽트들의 처리 순서는 데이터가 입력된 순서로 출력하는 순차적 자료 구조일 수 있다. 인터럽트 컨트롤러(520)는 인터럽트 핸들러(530)로 인터럽트 큐에 있는 인터럽트들의 인터럽트 요청(Interrupt Request) 신호를 순차적으로 보낼 수 있다.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인터럽트 컨트롤러(520)로부터 인터럽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인터럽트 실행을 할 수 있다. 수신된 인터럽트가 플래시 인터럽트인 경우,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다른 인터럽트가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플래시 인터럽트를 수행할 수 있다. 플래시 인터럽트가 수신된 경우의 인터럽트 핸들러(530)의 동작은 도 6에서 상세히 후술 될 것이다.
인터럽트 핸들러(530)가 플래시 인터럽트를 실행하는 경우,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플래시 LED 하드웨어(540)를 제어할 수 있다. 플래시 LED 하드웨어(540)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이 상호작용하는 외부 하드웨어일 수 있다. 일 예시로, 플래시 LED 하드웨어(54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내 탑재되어 있는 하드웨어일 수 있다. 또한 플래시 LED 하드웨어(540)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의 자체 하드웨어일 수 있다. 플래시 LED 하드웨어(540)는 인터럽트 핸들러(530)로부터 플래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플래시 점멸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시로, 플래시 LED 하드웨어(540)가 온 동작 중이었다면, 플래시 제어 신호를 받아 오프 동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LED 하드웨어(540)가 오프 동작 중이었다면, 플래시 제어 신호를 받아 온 동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세히 후술 될 바와 같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기존 모바일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최소한으로 주고, 주파수 유지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안정적인 롤링 셔터 효과의 활용을 통해 신속한 몰래 카메라 탐지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럽트 핸들러에서 플래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터럽트 핸들러(530)에서 플래시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과정은 복수의 단계들(S610, S620, S6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전술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것이다.
단계 S610에서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인터럽트 컨트롤러(520)로부터 플래시 인터럽트의 인터럽트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럽트 컨트롤러(520)는 인터럽트 핸들러(530)로 인터럽트 큐에 있는 인터럽트들의 인터럽트 요청 신호를 순차적으로 보낼 수 있다.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인터럽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인터럽트를 실행하기 전, 단계 S620와 같은 판단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다른 인터럽트가 이미 예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인터럽트는 플래시 인터럽트 이외의 인터럽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시로, 기존 모바일 시스템 동작 중 발생하는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내지 하드웨어 인터럽트일 수 있다. 다른 인터럽트가 이미 예정되어 있는 경우,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플래시 인터럽트를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인터럽트가 이미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단계 S63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인터럽트 핸들러(530)는 플래시 인터럽트를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인터럽트가 이미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단계 S630와 같이 플래시 인터럽트가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기존 모바일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최소한으로 주고, 주파수 유지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안정적인 롤링 셔터 효과의 활용을 통해 신속한 몰래 카메라 탐지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한 이미지 분석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전술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롤링 셔터 효과의 활용 방법은 플래시의 온 오프가 번갈아 나타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활용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예시로, 촬영 제어 모듈(120)은 셔터 속도 및 플래시 주파수를 조절하여, 영상의 한 프레임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한 줄씩 스캔할 때마다 플래시의 온 오프가 바뀔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롤링 셔터 효과에서 한 줄의 스캔 단위인 스캔 라인은 플래시가 온 상태일 때의 장면과 플래시가 오프 상태일 때의 장면을 번갈아 가며 저장할 수 있다. 제3 이미지(730)는 제1 이미지(710)와 제2 이미지(720)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롤링 셔터 효과가 활용되므로, 영상 데이터 내 하나의 이미지인 제3 이미지(730) 내에서도 플래시가 온 상태인 경우와 플래시가 오프 상태인 경우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제1 이미지(710)는 플래시가 켜져 있는 상태에 대응되는 스캔 라인들의 집합일 수 있다. 제2 이미지(720)는 플래시가 꺼져 있는 상태에 대응되는 스캔 라인들의 집합일 수 있다. 일 예시에 의하면, 제1 이미지(710)가 홀수 번째 스캔 라인들의 집합인 경우, 제2 이미지(720)는 짝수 번째 스캔 라인들의 집합일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3 렌즈 이미지(L3)는 제3 이미지(73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제3 렌즈 이미지(L3)는 몰래 카메라 렌즈 후보가 될 수 있다. 제3 렌즈 이미지(L3)는 제1 렌즈 이미지(L1)와 제2 렌즈 이미지(L2)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렌즈 이미지(L1)는 제1 이미지(710)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제2 렌즈 이미지(L2)는 제2 이미지(72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이미지(710)는 플래시가 온 상태인 경우의 이미지이므로, 제1 렌즈 이미지(L1)는 플래시를 반사하여 밝은 이미지로 촬영될 수 있다. 제2 이미지(720)는 플래시가 오프 상태인 경우의 이미지이므로, 제2 렌즈 이미지(L2)는 플래시를 반사하지 않고, 어두운 이미지로 촬영될 수 있다. 제3 렌즈 이미지(L3)는 제1 렌즈 이미지(L1)와 제2 렌즈 이미지(L2)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제3 렌즈 이미지(L3)는 내부에 밝은 선과 어두운 선의 스캔 라인이 번갈아 나타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및 기계 학습 기반이 이미지 분류 기법을 통해 제3 렌즈 이미지(L3)는 몰래 카메라의 렌즈로 도출될 수 있다. 제3 이미지(730)는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해 제1 이미지(710)와 제2 이미지(720)의 합으로 표현되므로, 롤링 셔터 효과 미활용 시에 비해 절반 수준의 시간으로 충분한 이미지를 얻어 렌즈 탐지가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카메라 기능과 플래시 기능을 활용해 의심 지역을 빠르게 훑는 것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개인 사생활 보호가 필요한 공공장소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전용 장치나 외장 센서 없이 본인의 스마트폰만으로도 주변의 몰래 카메라를 검출 할 수 있으므로, 사생활 침해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는 장치(10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 가속기(1020), 메모리(1030), 모듈(1040), 스토리지(1050) 및 버스(10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1010)만을 도시하였으나, 더 많은 프로세서들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0), 메모리(1030), 모듈(1040) 및 스토리지(1050)는 버스(1060)를 통해서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 메모리(1030), 가속기(1020) 및 모듈(1040)은 하나의 반도체 칩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 메모리(1030), 가속기(1020) 및 모듈(1040) 중 적어도 2개는 기판(board)에 장착된 2이상의 반도체 칩들에 각각 포함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는 일련의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30) 또는 스토리지(105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30) 또는 스토리지(1050)로부터 명령어들을 내부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고, 로딩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주변의 밝기 정보인 조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조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플래시 밝기 정보인 플래시 밝기 데이터 및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플래시 주파수 정보인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는 플래시 밝기 데이터 및 상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셔터 속도 정보인 셔터 속도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할 수도 있고, 운영 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가속기(1020) 및/또는 모듈(1040)에 작업을 지시할 수 있고, 가속기(1020) 및/또는 모듈(1040)로부터 작업의 수행 결과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는 특정한 용도를 위하여 커스텀화된 ASIP(Application Specific Instruction set Processor)일 수 있고, 전용의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를 지원할 수도 있다.
가속기(1020)는 미리 정의된 동작을 고속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속기(1020)는 메모리(1030) 및/또는 스토리지(1050)에 저장된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고, 로딩된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생성된 데이터를 메모리(1030) 및 스토리지(1050)에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속기(1020)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저장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에 의해서 버스(1060)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3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휘발성(volatile)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래시 메모리, RRAM(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1030)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모듈(10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로부터 명령어를 전달 받아,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모듈(10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10)를 이용하여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방법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는 스토리지(1050)에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050)는 비일시적인 저장 장치로서, 전력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소실하지 아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토리지(1050)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등과 같은 임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토리지(1050)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으로서,
    상기 조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플래시 밝기 정보인 플래시 밝기 데이터,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플래시 주파수 정보인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상기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셔터 속도 정보인 셔터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기 플래시 밝기 데이터, 상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상기 셔터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의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상기 셔터 속도 데이터는,
    영상의 한 프레임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한줄씩 스캔할 때마다, 상기 플래시의 온 오프가 바뀔 수 있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에 따른 주기마다 플래시의 온(on) 오프(off) 제어를 위한 플래시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다른 인터럽트가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플래시 인터럽트에 기초하여 온 오프가 조절되도록 카메라의 플래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플래시가 반사된 물체들인 반사 물체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 물체들을 분석하여 상기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물체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분해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반사 물체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물체들을 기계 학습 기반의 이미지 분류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렌즈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6.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과정을 실행하도록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몰래 카메라를 탐지하는 과정은,
    상기 조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의 플래시 밝기 정보인 플래시 밝기 데이터,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플래시 주파수 정보인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상기 롤링 셔터 효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의 셔터 속도 정보인 셔터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단계;
    도출된 상기 플래시 밝기 데이터, 상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상기 셔터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이 촬영되도록 카메라의 촬영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 및 상기 셔터 속도 데이터는,
    영상의 한 프레임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한줄씩 스캔할 때마다, 상기 플래시의 온 오프가 바뀔 수 있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주파수 데이터에 따른 주기마다 플래시의 온(on) 오프(off) 제어를 위한 플래시 인터럽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다른 인터럽트가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플래시 인터럽트에 기초하여 온 오프가 조절되도록 카메라의 플래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몰래 카메라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수신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플래시가 반사된 물체들인 반사 물체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 물체들을 분석하여 상기 반사 물체들 중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물체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 분해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반사 물체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몰래 카메라의 렌즈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물체들을 기계 학습 기반의 이미지 분류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상기 렌즈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래 카메라 탐지 장치.
KR1020230005532A 2022-10-04 2023-01-13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KR20240047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6585 2022-10-04
KR1020220126585 2022-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288A true KR20240047288A (ko) 2024-04-12

Family

ID=9068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532A KR20240047288A (ko) 2022-10-04 2023-01-13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2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2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688814B (zh) 閃光燈模組、具有閃光燈模組的電子裝置及控制方法
US11290643B1 (en) Efficient digital camera image acquisition and analysis
US11570381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daptive infrared projection control
US11146747B1 (en) Dynamic driver mechanism for rolling shutter sensor to acquire the structured light pattern
US11670083B2 (en) Vision base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ystem using dynamic vision sensor
US11900579B2 (en) Generating calibration images by merging captured recalibration images with previously captured calibration images
US11843760B2 (en) Timing mechanism to derive non-contaminated video stream using RGB-IR sensor with structured light
US741207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WO2019163065A1 (ja) なりすまし検知装置、なりすまし検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04510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US9377366B2 (en) Navigation device including thermal sensor
US202304129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761199B2 (en) Optical naviga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adapted for ambient light and liftoff detection
US10200572B1 (en) Motion detection
KR20240047288A (ko) 몰래 카메라 탐지 방법 및 장치
CN107667522B (zh) 形成活动图像的方法和装置
US1188235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parameter to detect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284022B2 (en) Driver mechanism for rolling shutter sensor to acquire structured light pattern
US9628720B2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n imaging process
KR20190129697A (ko) 프라이버시 모드를 지원하는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
TWI775801B (zh) 低功率虹膜掃描初始化
US20230308756A1 (en) Control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24106259A1 (ja) 画像センシング装置、画像センシ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22002B2 (ja) 煙検出装置、煙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