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854A -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854A
KR20240046854A KR1020237009870A KR20237009870A KR20240046854A KR 20240046854 A KR20240046854 A KR 20240046854A KR 1020237009870 A KR1020237009870 A KR 1020237009870A KR 20237009870 A KR20237009870 A KR 20237009870A KR 20240046854 A KR20240046854 A KR 20240046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lice
communication node
slice subnet
attribu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판슈 가우탐
아슈토시 카우시크
바라다라잔 시니바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4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5Configuration of virtualised networks or elements, e.g. virtualised network function or OpenFlow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4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using virtualisation of network functions or resources, e.g. SDN or NFV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09Determining service level performance parameters or violations of service level contracts, e.g. violations of agreed response time or mean time between failures [MTB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1Service on demand, e.g. definition and deployment of services in real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94Packet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5세대(5G)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기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기능(NSMF)은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을 질의한다. NSMF는 요청을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 기능(NSSMF)으로 송신함으로써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수신한다.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는 정보 객체 클래스(IOC)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저장되며, IOC는 NSSMF에 의해 생성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5세대(5G)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5G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network slice subnet)의 가능성(capability)을 관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 통신 기술은 높은 송신률과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며, 3.5GHz와 같은 'Sub 6GHz' 대역뿐만 아니라 28GHz 및 39GHz를 포함하는 mmWave라고 하는 'Above 6GHz' 대역에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5G 이동 통신 기술보다 50배 빠른 송신률과 5G 이동 통신 기술의 10분의 1 수준인 초저지연(ultra-low latency)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 대역(예를 들어, 95GHz 내지 3THz 대역)에서 6G 이동 통신 기술(Beyond 5G 시스템이라고 함)을 구현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5G 이동 통신 기술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m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와 관련하여 서비스를 지원하고 성능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mmWave에서 전파(radio-wave) 경로 손실을 완화하고 전파 송신 거리를 늘리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대규모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mmWave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수비학 지원(numerologies)(예를 들어, 다중 부반송파 간격 운용) 및 슬롯 포맷의 동적 운용, 다중 빔 송신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액세스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용, 대용량 데이터 송신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및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송신을 위한 폴라(polar) 코드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전처리, 및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관한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현재, 5G 이동 통신 기술에 의해 지원될 서비스의 측면에서 초기 5G 이동 통신 기술의 개선 및 성능 향상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차량에 의해 송신되는 차량의 위치 및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 차량에 의한 운전 결정을 돕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다양한 규제 관련 요구 사항을 준수하는 시스템 운용을 목표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UE Power Saving, 지상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사용 불가능한 영역에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UE-위성 직접 통신인 NTN(Non-Terrestrial Network), 및 포지셔닝과 같은 기술에 관한 물리적 계층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른 산업과의 연동 및 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적으로 지원함으로써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및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2단계 랜덤 액세스(2-step RACH for NR)과 같은 기술에 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처/프로토콜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와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기술을 결합하기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처(예를 들어,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또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및 UE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받기 위한 MEC(Mobile Edge Computing)에 관한 시스템 아키텍처/서비스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5G 이동 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됨에 따라,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커넥티드 장치(connected device)는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 통신 시스템의 향상된 기능 및 성능과 커넥티드 장치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과 ML(Machine Learning)을 활용함으로써 5G 성능 향상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metaverse service support), 드론 통신(drone communication)과 관련하여 새로운 연구가 예정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발은 6G 이동 통신 기술, FD-MIMO(Full Dimensional MIMO)와 같은 다중 안테나 송신 기술, 어레이 안테나 및 대형 안테나,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메타물질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및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의 테라헤르츠 대역의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파형뿐만 아니라 6G 이동 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을 높이고 시스템 네트워크를 개선하기 위한 전이중 기술, 설계 단계로부터 위성과 인공 지능(AI)을 활용함으로써 시스템 최적화를 구현하고 단대단(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및 초고성능 통신 및 컴퓨팅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UE 운용 능력의 한계를 능가하는 복잡도 수준에서의 서비스를 구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도 개발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상술한 정보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 정보로서만 제공된다. 상술한 정보 중 어느 것이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선행 기술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어떠한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어떠한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3GPP(thi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TS) 23.501에 정의된 바와 같이, 5G 시스템은 5G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AN), 5G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 및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를 포함한다. 5G 시스템은 다양한 상이한 통신 서비스, 상이한 트래픽 부하 및 상이한 최종 사용자 커뮤니티에 최적화된 지원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는 V2X(Vehicle-to-Everything)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5G 시스템은 신흥 V2X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할 수 있는 핵심 성능 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를 충족하는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진보된 V2X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데이터 송신률, 신뢰성, 대기 시간, 통신 범위 및 속도와 같은 요구 사항이 더 엄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로서, WTTx(Wireless-to-the-Everything)와 FTTx(Fibre-to-the-Everything)를 포함하는 FMC(Fixed Mobile Convergence)는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대한 기본 지원(native support)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적화 및 자원 효율성을 위해, 5G 시스템은 통신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3GPP 또는 비-3GPP 액세스 기술을 선택하여 잠재적으로 다수의 액세스 기술이 UE 상에서 활성적인 하나 이상의 서비스에 동시에 사용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대규모 사물 인터넷(massive Internet of Things; mIoT)에 대한 지원은 모바일 광대역(mobile broadband; MBB)) 향상에 부가하여 많은 새로운 요구 사항을 가져올 수 있다. 스마트 하우스홀드(smart household),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농업 및 스마트 미터와 같은 대규모 IoT 연결을 갖는 통신 서비스는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이기 위해 많은 수의 고밀도 IoT 장치의 지원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instance)를 사용하여 유사한 네트워크 특성을 필요로 하는 이러한 통신 서비스를 상이한 수직 산업(vertical industry)에 제공할 수 있다. 3GPP TS 28.530 및 28.531은 5G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관리를 정의했다. 이는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통신 서비스의 개념을 정의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network slice instance; NSI)는 다수의 통신 서비스 인스턴스(communication service instance; CSI)를 지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SI는 다수의 NSI를 활용할 수 있다.
현재 네트워크 슬라이싱 사양은 기존 슬라이스의 서브넷 가능성이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network slice subnet; NSS) 네트워크 자원 모델(network resource model; NRM)이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또는 특징을 유지지원하지 않는 한 "기존 슬라이스가 새로운 슬라이스 할당 요청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deciding if the existing slice can be used for the new slice allocation request)" 기능이 달성되거나 이행될 수 없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가능성(network slice management function; NSMF)은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기능에 대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 기능(network slice subnet management function; NSSMF)을 질의(query)해야 할 수 있다.
현재 네트워크 슬라이싱 사양에 따른 문제는 도 1을 통해 더욱 명백해질 수 있으며, 도 1은 필요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NSI를 생성하거나 기존 NSI를 사용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여기서, NSMS_C(network slice management Service_Consumer)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NSI 할당 요청을 NSMS_Provider(본 명세서에서 NSMF라고도 함)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NSSMS_Provider(본 명세서에서는 NSSMF라고도 함)에 질의하는 대신, NSMS_Provider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NSI를 생성할지 또는 기존 NSI를 사용할지 여부를 스스로 결정한다. 또한, NRM 정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현재 슬라이스 모델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및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대한 요구 사항을 각각 제공하는 ServiceProfile 및 SliceProfile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재 슬라이스 모델은 인스턴스화된 슬라이스(instantiated slice)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특징 또는 가능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기존 슬라이스의 요구 사항은 기존 슬라이스의 실제 기능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xNumberofUEs 요구 사항은 100을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설정된 실제 수는 90일 수 있다. 이는 자원 부족 또는 최적의 자원 계획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슬라이스의 대기 시간 요구 사항은 10ms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10ms는 개별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으로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주요 목적은 5G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이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가 필요한지 또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할당 요청을 이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식으로 관리된다.
모바일 통신의 발전과 서비스의 다양화로 인해, 사용자 장치 포지셔닝(positioning)은 점차 통신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가 되었으며, 포지셔닝 지연 및 정확도에 대한 요구 사항은 특히 산업용 사물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경우 점점 더 높아지고 있고, 비활성 상태 또는 유휴 모드에서의 사용자 장치의 포지셔닝에 대한 요구가 또한 증가하고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을 관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5G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제1 네트워크 기능(network function; NF)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요청을 제2 NF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NF가 제2 NF로부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제1 NF가 기능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제1 NF가 수신된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없다고 결정되는 경우 새로운 NSI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수신된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기존 NSI를 계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NF는 getMOIAttributes 동작을 이용하는 요청을 제2 NF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NF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attribute)을 갖는 정보 객체 클래스(information object class; IOC)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포함하고, 제1 NF는 생성된 IOC로부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getMOIAttributes 동작을 통해 제2 NF에 가능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제1 NF는 NSMF일 수 있고, 제2 NF는 NSSMF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IOC 및 제1 NF를 포함한다. IOC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NF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요청을 제2 NF로 송신하는 것; 제2 NF로부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것; 및 수신된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NF는 수신된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없다고 결정되는 경우 새로운 NSI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NF는 수신된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제1 NF는 getMOIAttributes 동작을 사용하는 요청을 제2 NF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NF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갖는 IOC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NF는 생성된 IOC로부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getMOIAttributes 동작을 통해 가능성 정보를 제2 NF에 요청할 수 있다. 제1 NF는 NSMF일 수 있고, 제2 NF는 NSSMF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이러한 및 다른 양태는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과 함께 고려될 때 더 잘 인식되고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다음의 설명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및 이의 수많은 특정 상세 사항을 나타내지만, 제한이 아니라 예시로서 제공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이러한 모든 수정을 포함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착수하기 전에, 본 특허 문서의 전체에 걸쳐 사용된 특정 단어 및 문구를 정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포함한다(include)" 및 "구성한다(comprise)"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는 제한 없이 포함(inclusion)을 의미하고; "또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이며, 및/또는(and/or)을 의미하며; "~와 관련된(associated with)"이라는 용어뿐만 아니라 이의 파생어는, "~를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included within)", "~와 상호 연결하고(interconnect with)", "~을 함유하고(contain)", "~내에 함유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또는,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또는, ~와 결합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력하고(cooperate with)", "~를 인터리브하고(interleave)", "~와 병치하고(juxtapose)", "~에 가까이 있고(be proximate to)", "~에 또는, ~와 묶이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 있고(have a property of)" 등인 것을 의미하며; "제어부"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또는 이의 일부를 의미하며, 이러한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의 일부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제어부와 관련된 기능은 로컬로든 원격으로든 중앙 집중화되거나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더욱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거나 지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computer readable program code)로부터 형성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computer readable medium)에서 구현된다.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는 적절한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에서 구현을 위해 적응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software components), 명령어 세트(sets of instructions), 절차, 기능, 객체(object), 클래스, 인스턴스(instance), 관련된 데이터 또는 이의 일부를 지칭한다. 문구 "컴퓨터 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소스 코드(source code), 객체 코드(object code) 및 실행 가능 코드(executable code)를 포함하는 임의의 Type의 컴퓨터 코드를 포함한다. 문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임의의 다른 Type의 메모리와 같이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Type의 매체를 포함한다.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일시적 전기적 또는 다른 신호를 송신하는 유선, 무선, 광학 또는 다른 통신 링크를 배제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매체, 및 재기록 가능 광 디스크 또는 소거 가능 메모리 디바이스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고 나중에 중복 기록(overwriting)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특정 단어 및 문구에 대한 정의는 본 특허 문서 전체에 걸쳐 제공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대부분의 경우는 아니지만 이러한 정의가 이러한 정의된 단어 및 문구의 이전 및 이후의 사용에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NSSMS(network slice subnet management service) 소비자로서의 통신 노드(예를 들어, NSMF(network slice management function))는 NSSMS 제공자로서 다른 통신 노드(예를 들어, NSSMF(network slice subnet management function))에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를 질의할 수 있다.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참조 문자는 다양한 도면에서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요구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련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NSI를 생성하거나 기존 NSI를 사용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할당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을 포함하는 IOC를 제공하는 5G 슬라이스 NRM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상부로부터 가능성을 계승하는(inheriting)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할당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또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시스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UE)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NF) 엔티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아래에서 논의되는 도 1 내지 도 8, 및 본 특허 문서에서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실시예는 예시만을 위한 것이고, 어떤 식으로든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의 원리가 적절히 배치된 임의의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 및 이의 다양한 특징 및 유리한 상세 사항은 첨부된 도면에 예시되고 다음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비제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충분하게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를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잘 알려진 구성 요소 및 처리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예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실행될 수 있는 방식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더욱 더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러한 예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5G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기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달성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슬라이스 서브넷 NRM의 일부로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기능을 문서화한다. 이 NRM 부분은 이미 인스턴스화된 슬라이스 서브넷의 기존 가능성을 포함할 수 있다. NSMF는 이러한 가능성을 쿼리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를 생성할 필요가 있는지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기존 인스턴스를 재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슬라이스 서브넷 기능이 함께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가진 구성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을 가진 기존 슬라이스 인스턴스가 있는 경우, 기존 슬라이스는 재사용되거나 계속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가 생성되어야 한다.
이제 도면, 특히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일관되게 상응하는 특징을 나타내며,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할당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소비자(602)는 NSMF(604)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NSI를 할당하도록 요구하는 AllocateNsi 요청을 NSMF(604)로 송신할 수 있다. NSMF(604)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을 질의하는 요청을 NSSMF(606)로 송신할 수 있다.
NSMF(604)는 getMOIAttributes 동작을 사용하여 이러한 요청을 NSSMF(606)로 송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갖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가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포함한다.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는 createMOI 동작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etMOIAttributes 동작은 NetworkSliceSubnet IOC 또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로 지향(direct)될 수 있다.
NSMF(604)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NSSMF(606)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기능 정보를 NSMF(604)에 제공할 수 있다. NSMF(606)에 의해 수신된 기능 정보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포함된 것에 기초할 수 있다.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면, NSMF(604)는 기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AllocateNsi 요청은 할당될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NSMF(604)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할당 Nsi 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요구 사항과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수신된 가능성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기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면, NSMF(604)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의 NSI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NSI가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을 포함하는 제공된 IOC(608)를 갖는 5G 슬라이스 NRM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 IOC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이다.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는 기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을 저장할 수 있다. NSMF는 기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NSSMF(606)로 송신되는 getMOIAttributes 동작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을 질의할 수 있다. NSMF(604)로부터의 getMOIAttributes 동작에 응답하여, NSSMF(606)는 기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상세 사항을 NSMF(604)에 제공한다. 이러한 상세 사항은 기존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NSMF(604)는 기존의 NSI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 또는 새로운 NSI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는 createMOI 동작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속성 "baseObjectInstance"은 NetworkSliceSubnet IOC의 DN(distinguished name)을 포함할 수 있다. scopeType 속성은 scopeLevel 속성이 지원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 "BASE_ALL"을 포함할 수 있다. "BASE_ALL" 값은 기본 객체(base object)와 모든 하위 객체(subordinate object)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속성 필터는 CN 또는 RAN과 같은 타입을 기반으로 서브넷을 필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기존 NetworkSliceSubnet IOC에 부가될 수 있는 예시적인 속성을 도시한다.
속성 설명 다른 상세 사항
subnetType 이 속성은 networklicesubnet이 나타내는 도메인을 정의할 수 있다.허용된 값: CN, RAN 타입: ENUM
다중도: 1
isOrdered: N/A
isUnique: N/A
defaultValue:
없음
허용된 값: CN, RAN
isNullable:
거짓(False)
NetworkSliceSubnetCapability Ref 이 속성은 NetworkSliceSubnet 인스턴스에 관련된 NetworkSliceSubnetCapability IOC의 DN을 보유할 수 있다. 타입: DNmultiplicity: 1isOrdered: N/A
isUnique: N/A
defaultValue: 없음
isNullable:
거짓
표 2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의 예시적인 속성을 도시한다.
속성 한정자 설명
subnetType M 이 속성은 이러한 IOC가 나타내는 서브넷의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허용된 값: CN, RAN
coverageArea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 즉 3GPP 통신 서비스가 액세스할 수 있는 지리적 영역을 명시할 수 있다.
대기 시간 O 이 속성은 5G 네트워크의 RAN, CN 및 TN(Transmission Network) 부분을 통해 패킷 송신 대기 시간(밀리초)을 명시할 수 있고, 종단 간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활용 성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maxNumberofUEs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인스턴스에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는 최대 UE의 수를 명시할 수 있다.
dLThptPerSliceSubnet O 이 속성은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ubiquitous)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운링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달성 가능한 데이터 송신률을 정의할 수 있다.
dLThptPerUE O 이 속성은 UE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송신률을 정의할 수 있다.
uLThptPerSliceSubnet O 이 속성은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로 사용할 수 있는 업링크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달성 가능한 데이터 송신률을 정의할 수 있다.
uLThptPerUE O 이 속성은 UE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송신률을 정의할 수 있다.
maxPktSize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또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패킷 크기를 명시할 수 있다.
maxNumberOfPDUSessions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의해 지원되는 동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세션 지원의 최대 수를 정의할 수 있다.
sliceSimultaneousUse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과 함께 장치에 의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으며, 그렇다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다른 클래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delayTolerance O 이 속성은 특히 높은 시스템 성능을 추구하지 않는 수직 서비스에 대해 서비스 전달 유연성의 특성을 명시할 수 있다.
energyEfficiency O 이 속성은 에너지 효율성, 즉 동일한 시간 프레임 동안 평가할 때 성능과 에너지 소비(EC) 간의 비율을 설명한다.
termDensity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친 전체 사용자 밀도를 명시할 수 있다.
coverageAreaTAList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대한 추적 영역의 리스트를 명시할 수 있다.
resourceSharingLevel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할당될 자원이 다른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과 공유될 수 있는지 여부를 명시할 수 있다.허용된 값: 공유됨, 비공유됨.
uEMobilityLevel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액세스하는 UE의 이동성 레벨을 명시할 수 있다. 허용된 값: 정지, 연동적(nomadic), 제한된 이동성, 완전한 이동성.
uESpeed O 이 속성은 총 UE의 수에 대한 동시 활성 UE의 양의 백분율 값을 명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활성"이라는 용어는 UE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신뢰도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계층 패킷 송신의 맥락에서 신뢰도를 나타내는 백분율 값을 명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신뢰도는 타겟 서비스가 필요로 하는 시간 제한 내에서 주어진 시스템 엔티티로 성공적으로 전달된 송신된 네트워크 계층 패킷의 수를 보고 계산된 다음 이 수를 송신된 네트워크 계층 패킷의 총 양으로 나눔으로써 계산된다.
serviceType O 이 속성은 표준화된 네트워크 슬라이스 타입을 명시할 수 있다. 허용된 값: eMBB, URLLC, MIoT, V2X.
deterministicComm O 이 속성은 주기적인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결정적 통신의 특성을 명시할 수 있다.
survivalTime O 이 속성은 통신 서비스를 소비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예상 메시지 없이 계속될 수 있는 시간을 명시할 수 있다.
포지셔닝 O 이 속성은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지리적 위치 파악 방법을 제공하는지 또는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지 명시할 수 있다.
동기화 O 이 속성은 통신 장치의 동기화가 지원되는지를 명시할 수 있다. 이 맥락에서 두 가지 경우: 기지국과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 및 모바일 장치 간의 동기화가 가장 중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상부로부터 기능을 계승하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를 도시한다.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는 또한 아 위에 있는 IOC의 모든 속성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할당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502)에서, 제1 NF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결정하는 요청을 제2 NF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NF는 NSMF(604)일 수 있고, 제2 NF는 NSSMF(606)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는 IOC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존재할 수 있다. 이 IOC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일 수 있다. 제1 NF에 의해 송신된 요청은 getMOIAttributes 동작일 수 있으며, 이는 제1 NF가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통해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허용한다.
단계(504)에서, 제1 NF는 제2 NF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고, 여기서 응답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506)에서, 수신된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제1 NF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가능성을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NF는 수신된 가능성 정보를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과 비교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을 충족시키는 가능성을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508)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경우, 제1 NF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 NSI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이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가능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제1 NF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NSI를 생성할 수 있다.
방법(500)의 다양한 동작은 제시된 순서, 상이한 순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도 5에 나열된 일부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고,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 또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시스템(600)을 도시한다.
NSMS_Consumer(602)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할당을 위한 요청을 NSMS_Provider(604)(NSMF)로 송신할 수 있다. NSMS_Provider(604)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NSMS_Provider(604)에 제공하도록 NSS_Provider(606)를 요청하기 위해 getMOIAttributes 동작을 호출할 수 있다.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저장될 수 있다. NSSMS_Provider(606)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 IOC(608)로부터 이러한 가능성 정보를 수신한 다음, 가능성 정보를 NSMS_Provider(60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 정보에 기초하여, NSMS_Provider(604)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경우, NSMS_Provider(604)(예를 들어, NSMF)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없는 경우, 네트워크 슬라이스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새로운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생성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UE)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UE(700)는 제어부/프로세서(710), 송수신기(720) 및 메모리(7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의 모두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UE(700)는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프로세서(710)와 송수신기(720) 및 메모리(730)는 단일 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요소는 이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어부/프로세서(710)는 제안된 기능, 프로세스 및/또는 방법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부/프로세서 또는 다른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UE(700)의 동작은 제어부/프로세서(7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기(720)는 송신된 신호를 상향 변환하고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기(720)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기(720)는 제어부/프로세서(71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72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제어부/프로세서(710)로 출력할 수 있다. 송수신기(72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제어부/프로세서(7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UE(700)에 의해 획득된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프로세서(710)에 연결되어, 제안된 기능, 프로세스 및/또는 방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프로토콜 또는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하드 디스크 및/또는 CD-ROM 및/또는 DVD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능(NF) 엔티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NF 엔티티(800)는 제어부/프로세서(810), 송수신기(820) 및 메모리(8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모든 구성 요소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NF 엔티티(800)는 도 8에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프로세서(810)와 송수신기(820) 및 메모리(830)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요소는 이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어부/프로세서(810)는 제안된 기능, 프로세스 및/또는 방법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부/프로세서 또는 다른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NF 엔티티(800)의 동작은 제어부/프로세서(8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기(820)는 송신된 신호를 상향 변환하고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는 RF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기(820)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기(820)는 제어부/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신호는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82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를 제어부/프로세서(810)로 출력할 수 있다. 송수신기(82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제어부/프로세서(8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NF 엔티티(800)에 의해 획득된 신호에 포함된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제어부/프로세서(810)에 연결되어, 제안된 기능, 프로세스 및/또는 방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또는 프로토콜 또는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하드 디스크 및/또는 CD-ROM 및/또는 DVD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예는 5G 슬라이스 NRM에서 기존 슬라이스 서브넷 기능 및 특징의 문서화를 가능하게 한다. NSMS_Provider(604)(본 명세서에서 "NSMF"라고도 함)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가 들어오는(incoming) 슬라이스 할당 요청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지 또는 새로운 NSI가 생성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자원의 더 나은 활용과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의 소비를 최대한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IOC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에 저장되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다른 수단이 있을 수 있으므로 비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getMOIAttributes 동작을 호출하는 NSMF(604)를 수반하지만, 이는 NSMF(604)가 기존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성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른 동작 또는 다른 수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 상에서 실행되고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요소는 하드웨어 장치 또는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술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가 현재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러한 특정 실시예를 다양한 적용을 위해 쉽게 수정하고/하거나 적응할 수 있도록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일반적인 특성을 완전히 드러낼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적응 및 수정은 개시된 실시예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 이해되어야 하고 이해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어법 또는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관점에서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를 위해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과 연관된 질의 메시지를 제2 통신 노드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가능성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을 통해 패킷 송신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로 사용 가능한 다운링크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데이터 송신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로 사용 가능한 업링크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데이터 송신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속성,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대한 추적 영역(TA)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속성을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메시지는 getMOIAttributes 동작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기능(NSMF)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 기능(NSSMF)을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를 위해 제2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노드로부터,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과 연관된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가능성 정보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 노드로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을 통해 패킷 송신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로 사용 가능한 다운링크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데이터 송신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로 사용 가능한 업링크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데이터 송신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속성,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대한 추적 영역(TA)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속성을 포함하는, 제2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메시지는 getMOIAttributes 동작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제2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기능(NSMF)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 기능(NSSMF)을 포함하는, 제2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를 위한 제1 통신 노드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과 연관된 질의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2 통신 노드로 송신하고;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노드로부터 상기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가능성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제1 통신 노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을 통해 패킷 송신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로 사용 가능한 다운링크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데이터 송신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로 사용 가능한 업링크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데이터 송신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속성,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대한 추적 영역(TA)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속성을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메시지는 getMOIAttributes 동작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제1 통신 노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기능(NSMF)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 기능(NSSMF)을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를 위한 제2 통신 노드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제1 통신 노드로부터,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의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가능성과 연관된 질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질의 메시지에 응답하여 기능 정보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상기 제1 통신 노드로 송신하도록 설정되는, 제2 통신 노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NetworkSliceSubnetCapabilities는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을 통해 패킷 송신 대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속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로 사용 가능한 다운링크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데이터 송신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속성,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유비쿼터스로 사용 가능한 업링크에서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의 데이터 송신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속성, 및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에 대한 추적 영역(TA)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속성을 포함하는, 제2 통신 노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메시지는 getMOIAttributes 동작을 사용하여 송신되고, 상기 제1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기능(NSMF)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관리 기능(NSSMF)을 포함하는, 제2 통신 노드.
KR1020237009870A 2021-08-11 2022-08-10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468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141036422 2021-08-11
IN202141036422??? 2021-08-11
IN202141036422 2022-07-15
PCT/KR2022/011940 WO2023018229A1 (en) 2021-08-11 2022-08-10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 slice subnet capability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854A true KR20240046854A (ko) 2024-04-11

Family

ID=8520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870A KR20240046854A (ko) 2021-08-11 2022-08-10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72212A1 (ko)
EP (1) EP4186213A4 (ko)
KR (1) KR20240046854A (ko)
CN (1) CN116636186A (ko)
WO (1) WO2023018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1945B (zh) * 2023-10-12 2024-01-09 南京中科境远科技有限公司 核心网切片子网实例部署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9671B (zh) * 2017-04-26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和系统
US20180317134A1 (en) * 2017-04-28 2018-11-01 Huawei Technologies Co., Ltd. Nssmf nsmf interaction connecting virtual 5g networks and subnets
US10986540B2 (en) * 2018-01-12 2021-04-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Network slice provisioning and operation
GB2587337A (en) * 2019-09-17 2021-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Network slice instance load distrib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6213A1 (en) 2023-05-31
EP4186213A4 (en) 2024-01-10
CN116636186A (zh) 2023-08-22
US20230072212A1 (en) 2023-03-09
WO2023018229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92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information report message in 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environment
CN114762426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动态共享频率资源的方法和设备
KR20240046854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 서브넷 가능성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40031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analytic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397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hange of network sl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43458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plit comput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18955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flow of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2022002204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haring dynamic frequenc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610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by sidelink remote terminal over sidelink relay
US20220353636A1 (en) Positioning configu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2203382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default beam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1964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enhanced network slice allocation
US202301994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 plane-based registration and remote provisioning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489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ue policy based on network slicing
US202301425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efficient network slic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2397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of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568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edge computing service se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319646A1 (en) Monitoring for application ai/ml-based services and operations
US20240031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air resource of virtual distributed uni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41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edge application ser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edge computing
US11888687B2 (en) Method for provisioning instance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rchitectures
US202303889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e information delivery for network energy saving
US202301455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ession connection mode using 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22036094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virtual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40056868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llect data for network data analysi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