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253A - 공통 비트스트림에 의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통 비트스트림에 의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253A
KR20240045253A KR1020247007109A KR20247007109A KR20240045253A KR 20240045253 A KR20240045253 A KR 20240045253A KR 1020247007109 A KR1020247007109 A KR 1020247007109A KR 20247007109 A KR20247007109 A KR 20247007109A KR 20240045253 A KR20240045253 A KR 20240045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s
audio
speaker
bitstream
surround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니 라우
춘호 리
Original Assignee
디티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티에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디티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25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3Aspects of down-mixing multi-channel audio to configurations with lower numbers of playback channels, e.g. 7.1 -> 5.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복수의 스피커들, 및 텔레비전과 같은 소스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공통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스피커들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일부에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스피커들은 공통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복수의 스피커들은 디코딩된 공통 비트스트림으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할 수 있다. 렌더링된 오디오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통 비트스트림에 의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관련 출원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8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234,11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의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멀티 채널 오디오를 렌더링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의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대응하는 참조 문자들은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면 내의 엘리먼트들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단지 예일 뿐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라운드 시스템(100)의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복수의 스피커들(102A, 102B, 102C, 102D)(집합적으로 스피커들(102)로서 지칭됨)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텔레비전과 같은 소스 디바이스(104)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04)는 디코더(114)를 이용하여,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106)을 펄스 코드 변조를 포함하는 오디오 채널들과 같은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04)는 컴바이너(116)를 이용하여,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108)으로 컴바이닝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04)는 공통 비트스트림(108)을 복수의 스피커들(102)의 스피커들(102) 중 적어도 일부에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스피커들(102)는 공통 비트스트림(108)의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로부터 오디오를 추출하기 위해 공통 비트스트림(108)을 각각 디코딩할 수 있는 각 디코더들(110A, 110B, 110C, 110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102A)는 공통 비트스트림(108)으로부터의 오디오 채널 또는 오디오 채널들의 조합과 같은 제1 스피커(102A)로 지향되는 공통 비트스트림(108)의 일부를 인식할 수 있다.
각 스피커(102A, 102B, 102C, 102D)는 디코딩된 공통 비트스트림(108)으로부터, 오디오 채널로부터의 오디오(112A, 112B, 112C, 112D)(집합적으로 오디오(112)로서 지칭됨) 또는 다수의 오디오 채널들로부터의 오디오의 믹스를 렌더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102A)는 공통 비트스트림(108)의 인식된 부분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합적으로, 복수의 스피커들(102)이 스피커 구성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렌더링할 수 있게 된다. 렌더링된 오디오(112)는 5.1, 7.1 등과 같은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및 이의 컴포넌트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200)의 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200)은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에 의해, 또는 다른 적합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방법(200)은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례일 뿐이다. 다른 적합한 방법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동작(202)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할 수 있다.
동작(204)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할 수 있다.
동작(206)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공통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스피커들에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208)에서, 복수의 스피커들은 공통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할 수 있다.
동작(210)에서, 복수의 스피커들은 디코딩된 공통 비트스트림으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할 수 있다. 렌더링된 오디오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유연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 및 방법은 스피커들(102)과 같은 다수의 엔드포인트들에 오디오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 및 방법은 이를테면 서라운드 사운드를 위해, 단일 룸 내의 스피커들(102)에 오디오를 송신하거나, 다른 룸에 오디오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 및 방법은 Wi-Fi, Ethernet, Powerline, Mocca 등과 같은 표준 IP 기반 네트워크 기술을 통해 동작할 수 있다.
텔레비전(TV), 셋톱 박스(set-top box, STB), 스트리밍 디바이스, 오디오/비디오 수신기(audio/video receiver, AVR), 또는 사운드바와 같은 소스 디바이스(104)는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106)을 펄스 코드 변조(pulse-code modulation, PCM)로 디코딩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를테면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106)에서의 채널의 수(수량 M으로 표기됨)가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에서의 스피커의 수(102)(수량 N으로 표기됨)와 상이할 때,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M 채널 오디오 스트림을 N 채널 오디오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업-다운 믹스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중간 코덱을 사용하여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106)의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108)으로 인코딩할 수 있다. 각 채널은 특정 스피커(102) 또는 스피커 그룹(102)으로 지향되는 오디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 채널 스테레오 오디오 비트스트림(108)은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108)에서, 채널은 엔드포인트에서 채널이 디코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인코딩된다. 비트스트림(108)은 채널로부터의 오디오 또는 데이터가 다른 채널로부터의 오디오 또는 데이터와 혼합되지 않도록, 다양한 채널들 간의 경계를 보존한다. 비트스트림(108)은 비트스트림(108)에서 채널들이 어떻게 인코딩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인코딩된 패킷 헤더 또는 다른 적합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공통 비트스트림(108)은 단일 비트스트림(108)일 수 있다. 중간 코덱은 무선 송신 성능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공통 비트스트림(108)을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내의 모든 스피커(102)로 지향시킬 수 있다. 스피커(102)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논의할 때 엔드포인트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내의 모든 스피커(102)로 지향시키는 것에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비트스트림들을 생성하고 상이한 비트스트림들을 상이한 스피커들(102)에 전송하는 시스템과 비교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감소된 인코더 복잡성, 더 낮은 계산 레이턴시, 및 더 큰 대역폭 효율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선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에 대해,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내의 스피커들(102)에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채널을 예비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특정된 비트레이트로 송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역폭과 사운드 품질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가 있으며, 더 높은 비트레이트들은 더 많은 대역폭을 차지하는 대가로 개선된 사운드 품질을 갖는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스피커들(102)에 동시 유니캐스트로서 전송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108)을 동시 유니캐스트로서 전송하는 것에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비트스트림들을 생성하고 상이한 비트스트림들을 상이한 스피커들(102)에 전송하는 시스템과 비교해,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동시 유니캐스트로서 전송하는 시스템은 증가된 대역폭 효율, 범위, 및 공존을 위한 디바이스별 최적화된 송신 코딩 방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Wi-Fi, Ethernet, Powerline 등과 같은 다수의 프로토콜들을 통해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동시에 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쌍(102)에 대해 Wi-Fi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해,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스피커(102A)과 같은 하나의 스피커에 Wi-Fi 프로토콜을 통해, 그리고 스피커(102B)와 같은 다른 스피커에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전송하는 것은 오디오에 의해 사용되는 Wi-Fi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유니캐스트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로 포워딩할 수 있으며, 이는 송신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FEC(forward error correction), ARQ(automatic repeat query)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에러 정정 기법을 사용하여 손실된 패킷을 정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비트스트림(108)을 소스 디바이스(104)로부터 직접적으로 스피커(102)로 라우팅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것은 Wi-Fi 액세스 포인트를 바이패스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피커(102)에 오디오를 송신하는 데 Wi-Fi 대역폭 중 어떠한 대역폭도 사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비트스트림(108)을 소스 디바이스(104)로부터 직접적으로 스피커(102)로 라우팅하기 위해 SoftAP, 또는 Wi-Fi Direct와 같은 직접 연결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각 스피커(102)는 비트스트림(108)에서의 모든 채널을 디코딩할 수 있다. 사운드바로서 구성된 스피커(102)와 같은 일부 구성에서, 스피커(102)는 비트스트림(108)에서의 모든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스피커(102)는 비트스트림(108)에서의 채널들의 단지 서브세트로부터의 오디오만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서라운드 스피커(rear surround speaker)로서 구성된 스피커(102)는 비트스트림(108)에서의 단지 리어 서라운드 채널만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어 서라운드 및 리어 서라운드 높이를 위한 드라이버들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스피커(102)는 비트스트림(108)에서의 리어 서라운드 채널 및 리어 서라운드 높이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스피커(102)는 오디오 재생에 사용되지 않는 다른 채널을 폐기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다수의 동시 유니캐스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동시 유니캐스트의 개수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 내의 스피커(102) 또는 물리적 엔드포인트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스피커(102)의 개수는 다양한 표준화되거나 표준화되지 않은 스피커 구성들, 이를테면 5.1, 5.1.2, 5.1.4, 7.1.4, 서브우퍼 전용, 하이브리드, 사운드바에 대한 케이블 교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스피커(102)는 단일 비트스트림(108)에서의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비트스트림(108)은 전면 좌측 채널에 대한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 구성은 전면 좌측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피커(102)는 단일 비트스트림(108)에서의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02)는 단일 비트스트림(108)의 하나 이상의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사용하여 스피커(102)에 의해 재생될 믹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가상화 기법을 사용하여 단일 비트스트림(108)의 하나 이상의 채널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상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스피커(102)는 모든 스피커(102)에 대해 동시 유니캐스트로부터 수신되는 단일 비트스트림(108)에서의 오디오에 기초하여 다운믹싱 및/또는 가상 채널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상이한 룸들에 스피커들(102)이 있는 구성에 대해, 소스 디바이스(104)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라우팅할 수 있다. 상이한 룸에 있는 스피커(102)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단일 비트스트림(108)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헤드폰 또는 포터블 리스닝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스피커(102) 또는 엔드포인트로 지향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스피커(102) 또는 엔드포인트는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멀티채널 PCM 오디오로 디코딩할 수 있다. 단일 비트스트림(108)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채널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스피커(102) 또는 엔드포인트에 대해, 추가적인 스피커(102) 또는 엔드포인트는 믹서를 사용하여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스피커(102) 또는 엔드포인트에 대응하는 채널로 리믹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비트스트림(108)이 12개의 오디오 채널들을 포함하지만 스피커(102)가 좌측/우측 스테레오 스피커라면, 스피커(102)는 12개의 채널들을 좌측/우측 스테레오로 다운믹싱하고 오디오를 좌측/우측 스테레오로서 렌더링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표준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및 직접 송신 모드에서 동시에, 동시 유니캐스트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를 통해 다른 룸에 있는 스피커(102)에 송신할 수 있고,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직접 모드를 통해, 이를테면 SoftAP를 통해 단일 룸에 있는 스피커(102)에 송신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와 직접 송신 모드 호 둘 다를 통해 동시에 송신하는 것은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또는 소스 디바이스(104))이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에 오디오를 공급하고, 동시에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과 그리고 서로 동기화되어 재생되도록 가정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오디오를 공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텔레비전, 셋톱 박스, 또는 스트리밍 디바이스와 같은 소스 디바이스(104)에서, 미디어 서브시스템은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106)을 디코딩하고,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106)을 디지털 오디오의 개별 채널로 디멀티플렉싱하고, 비디오와 오디오를 동기식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에 동기식으로 공통 비트스트림 송신 무선 멀티룸 및 서라운드 시스템("CBT")이 이용가능한 오디오에 대해,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내포된 시청각 동기화 클록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클록 정보를 Play-Fi와 같은 네트워킹 플랫폼의 리더 오디오 클록의 함수로 변환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비디오 신호는 동적으로 또는 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알려진 오프셋을 가질 수 있다.
CBT는 오디오를 캡처할 수 있다. 캡처된 오디오는 미디어 서브시스템에 의해 임베딩되는, 오리지널 오디오 클록을 포함할 수 있다. CBT는 캡처된 오디오에 대해 시청각 동기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Play-Fi 리더 클록을 오디오 스트림에 임베딩하여 원래의 오디오 클록을 대체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이 시청각 동기화 훈련을 통해 캡처된 오디오 스트림을 실행한 후,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오디오 스트림을 스피커(102)에 송신할 수 있다. 스피커(102)는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수신한다. 스피커(102)(팔로워로도 지칭됨)는 Play-Fi 리더 클록을 복구 또는 구성하기 위해 Play-Fi 리더-팔로워 클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02)는 수신된 오디오 스트림에 대해 팔로워 동기화 훈련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Play-Fi 리더 클록을 로컬 오디오 클록의 함수로 변환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04) 및 스피커(102)는 Play-Fi 리더/팔로워 클록 동기화를 사용하여 각자의 클록을 동기화할 수 있다. 스피커(102)는 소스 디바이스(104)와의 메시지 교환 세트를 통해 리더 클록을 복구하기 위해 클록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서라운드 사운드를 지원함으로써 TV와 같은 두 개의 네트워크들의 에지에 있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디바이스들은 동시 서라운드 스피커(102) 및 멀티룸 스피커(102)를 지원하기 위해 두 개의 클록 동기화 도메인들을 유지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추가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프로세싱할 수 있다. 비디오 프로세싱은 고급 해상도 스케일링, 이미지 향상 알고리즘, 및/또는 계산 집약적인 다른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오디오 신호보다 더 많은 프로세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서들에 비디오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시간을 주기 위해,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비디오와 오디오가 특정된 지연으로 동기식으로 재생되도록, 동반하는 오디오의 재생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텔레비전은 제조사마다, 모델마다, 그리고 단일 텔레비전의 해상도 및 재생 설정이 변경될 때에도 달라질 수 있는 지연을 특정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특정된 지연을 스피커(102)에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102)는 모두 텔레비전에 의해 설정되는 특정된 시간에 오디오를 렌더링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텔레비전은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에서 소스 디바이스(104)로서 기능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에서 하나 이상의 스피커(102)로서 기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통합된(예를 들어, 내장된) 스피커(10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의 통합된 스피커(102)는 L+R(좌측+우측) 채널, 또는 L+C+R(좌측+중앙+우측) 채널로서 동작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단일 비트스트림(108)을 통해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 내의 다른(통합되지 않은) 스피커(102)에 특정된 지연(또는 특정된 레이턴시)을 전송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자신의 재생 레이턴시를 보고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텔레비전의 오디오 재생이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 내의 다른 스피커(102)로부터의 재생과 동기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오디오 및 비디오의 렌더링 동안 자신의 재생 레이턴시를 보상할 수 있다.
텔레비전이 스피커(102) 또는 다른 외부 오디오 컴포넌트의 재생 레이턴시를 알지 못하는 구성에 대해,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비행 시간을 이용하는 폰 기반 캘리브레이션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폰 기반 캘리브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텔레비전에 연결될 수 있다. 폰 기반 캘리브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클록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텔레비전이 테스트 신호를 방출하게 할 수 있다. 폰 기반 캘리브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폰 내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테스트 신호를 리스닝할 수 있다. 폰 기반 캘리브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폰이 테스트 신호를 청취한 시간을 폰이 테스트 신호를 청취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는 시간 차를 산출한다. 폰 기반 캘리브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은 측정된 시간 차를 텔레비전에 보고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시간 차를 보상하기 위해 자신의 오디오 재생을 지연시키거나 앞당길 수 있다. 텔레비전은 측정된 재생 레이턴시에 기초하여 스피커(102)를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폰 기반 캘리브레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오디오 경로에서 5 밀리초의 지행(lag)을 측정한다면, TV는 오디오를 5 밀리초만큼 더 일찍 렌더링함으로써 지행을 보상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 내의 스피커(102)이 비트스트림(108)에서의 모든 채널에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스피커(102)는 컴프레서 및/또는 리미터와 같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설정을 전역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하나의 스피커(102)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에 다른 스피커(102)가 액세스할 수 없는 시스템과 비교해,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가청 이미지 이슈 또는 이상을 야기할 수 있는 스피커들(102) 간의 프로세싱 충돌을 피할 수 있다.
단일 비트스트림(108)은 포터블 리스팅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헤드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다른 스피커(102)가 동기화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소스 디바이스(104)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비트스트림(108)으로부터 오디오 채널을 디코딩할 수 있다. 개인 리스닝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재생에 배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접근성 또는 난청과 관련된 다른 용도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 내의 다른 스피커(10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이를테면 비행 시간 지연 및/또는 등화(주파수의 함수로서의 볼륨)에 대해, 스피커(102)의 리스닝 위치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은 스피커(102)와 청취 위치 간의 거리의 입력을 수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거리 값의 수동 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청취 위치에서의 오디오 지행을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 애플리케이션은 리스닝 위치에서 주파수 스윕과 같은 주파수 테스트 신호를 리스닝하고, 주파수 스윕으로부터 등화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100)이 리스닝 위치에서의 룸의 스펙트럼 성능을 보상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시스템 및 관련 방법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예들의 비제한적인 리스트가 아래에 제공된다. 다음의 비제한적인 예들 각각은 독립적일 수 있거나, 다른 예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예와 임의의 순열 또는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예 1에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복수의 스피커들; 및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하고,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고, 공통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스피커들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일부에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소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복수의 스피커들은 공통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공통 비트스트림으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며, 렌더링된 오디오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한다.
예 2에서, 예 1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의 오디오 채널들이 펄스 코드 변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3에서, 예들 1-2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소스 디바이스가 또한,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제1 개수의 오디오 채널을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하는 제2 개수의 오디오 채널로 변환하기 위한 믹스를 수행하고; 제2 개수의 오디오 채널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4에서, 예들 1-3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소스 디바이스가 또한,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에 제1 프로토콜을 통해 공통 비트스트림을 전송하고,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2 스피커에 제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프로토콜을 통해 공통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5에서, 예들 1-4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가 공통 비트스트림의 제1 오디오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고;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가 제1 오디오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6에서, 예들 1-5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공통 비트스트림의 오디오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공통 비트스트림의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로부터 가상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가상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7에서, 예들 1-6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제1 스피커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공통 비트스트림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제2 스피커는 직접 송신 모드를 통해 공통 비트스트림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8에서, 예들 1-7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소스 디바이스가 텔레비전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9에서, 예들 1-8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텔레비전이 복수의 스피커들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통합된 스피커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10에서, 예들 1-9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텔레비전이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시청각 동기화 클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클록 정보를 네트워킹 플랫폼의 리더 오디오 클록의 함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11에서, 예들 1-10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텔레비전이, 지연을 특정하고; 특정된 지연을 복수의 스피커들에 전달하고; 비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며, 복수의 스피커들이 또한, 텔레비전에 의해 렌더링되는 비디오와 동기화되도록 특정된 지연으로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12에서, 예 1 내지 예 11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텔레비전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비행 시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복수의 스피커들의 재생 레이턴시들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및 측정된 재생 레이턴시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피커들을 동기화한다.
예 13에서, 예들 1-12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텔레비전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복수의 스피커들에 의해 렌더링된 주파수 테스트 신호들을 측정하고; 측정된 주파수 테스트 신호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피커들에 대한 등화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등화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복수의 스피커들의 각 스펙트럼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14에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하는 단계;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는 단계;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공통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스피커들에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복수의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공통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복수의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디코딩된 공통 비트스트림으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렌더링된 오디오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한다.
예 15에서, 예 14의 방법은 선택적으로,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제1 개수의 오디오 채널을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하는 제2 개수의 오디오 채널로 변환하기 위한 믹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2 개수의 오디오 채널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 16에서, 예들 14-15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방법은 선택적으로,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에 제1 프로토콜을 통해 공통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2 스피커에 제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프로토콜을 통해 공통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 17에서, 예들 14-16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방법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가 공통 비트스트림의 제1 오디오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고;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가 제1 오디오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18에서, 예들 14-17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방법은 선택적으로,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공통 비트스트림의 오디오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공통 비트스트림의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로부터 가상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가상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19에서, 예들 14-18 중 어느 하나의 예의 방법은 선택적으로, 제1 스피커를 이용하여,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공통 비트스트림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제2 스피커를 이용하여, 직접 송신 모드를 통해 공통 비트스트림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 20에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복수의 스피커들; 및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하고,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고, 공통 비트스트림을 펄스 코드 변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스피커들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일부에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을 포함하며, 복수의 스피커들의 각 스피커는 공통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공통 비트스트림으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며, 렌더링된 오디오는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 이외의 많은 다른 변형이 본 문서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 알고리즘의 특정 동작, 이벤트, 또는 기능은 상이한 시퀀스로 수행될 수 있거나, 추가, 병합, 또는 완전히 제외될 수 있다(설명된 모든 동작 또는 이벤트가 방법 및 알고리즘의 실시에 필요한 것은 아니다). 더욱이, 특정 실시예에서, 동작들 또는 이벤트들은 순차적으로보다는, 이를테면 멀티스레드 프로세싱, 인터럽트 프로세싱,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들 또는 프로세서 코어들을 통해 또는 다른 병렬 아키텍처들 상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태스크들 또는 프로세스들은 함께 기능할 수 있는 상이한 머신들 및 컴퓨팅 시스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 프로세스들 및 시퀀스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호환성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및 프로세스 액션들은 일반적으로 그 기능 측면에서 상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특정 용도 및 설계 제약에 따른다. 설명된 기능은 각 특정 용도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이 본 문헌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및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프로세싱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갖는 컴퓨팅 디바이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머신에 의해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 및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이를테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함께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는 다수의 유형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팅 시스템 환경들 또는 구성들 내에서 가동된다. 일반적으로, 컴퓨팅 환경은 몇몇 예를 들자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프레임 컴퓨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포터블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용 오거나이저, 디바이스 컨트롤러, 어플라이언스 내의 계산 엔진, 모바일 폰, 데스크탑 컴퓨터, 모바일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및 임베디드 컴퓨터를 갖는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 랩탑 또는 모바일 컴퓨터, 통신 디바이스, 이를테면 셀 폰 및 PDA,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셋톱 박스, 프로그래머블 소비자 전자기기,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오디오 또는 비디오 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적어도 어느 정도의 최소 계산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것이다. 각 프로세서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VLIW(very long instruction word), 또는 다른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같은 특수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멀티 코어 CPU 내의 특수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PU) 기반 코어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코어를 갖는 종래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프로세스, 또는 알고리즘의 프로세스 액션 또는 동작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탈착가능, 비탈착가능,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 중 어느 하나인 휘발성과 비휘발성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또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저장 디바이스 이를테면 BD(Blu-ray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CD(compact disc), 플로피 디스크, 테이프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광학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디바이스, RAM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미디어, 또는 물리적 컴퓨터 스토리지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본 문헌에서 사용되는 "비일시적인"이라는 어구는 "지속적이거나 오래 지속되는"을 의미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라는 어구는 일시적인 전파 신호를 제외하고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모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는 제한이 아닌 예로서, 레지스터 메모리, 프로세서 캐시,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오디오 신호"라는 어구는 물리적 사운드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등과 같은 정보의 보존은 또한, 다양한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변조된 데이터 신호, 전자기파(이를테면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 또는 통신 프로토콜을 인코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고, 임의의 유선 또는 무선 정보 전달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통신 매체는 신호에 정보 또는 명령어를 인코딩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갖는 신호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통신 매체는 하나 이상의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유선 연결과 같은 유선 매체, 및 음향, 무선 주파수(RF), 적외선, 레이저, 및 하나 이상의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자기파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거나, 또는 둘 다 하기 위한 다른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한 것들 중 임의의 것들의 조합도 또한 통신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및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그 일부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이 컴퓨터 또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저장 디바이스들 및 통신 매체들의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저장, 수신, 송신, 또는 판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또한 설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객체,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또한, 작업이 하나 이상의 원격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또는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링크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의 클라우드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미디어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로컬과 원격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다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명령어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하드웨어 논리 회로로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과 같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조건부 언어는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거나, 또는 그 외 사용되는 바와 같은 맥락 내에서 다르게 이해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특정 실시예가 특정 피처, 엘리먼트 및/또는 상태를 포함하는 한편, 다른 실시예는 특정 피처, 엘리먼트, 및/또는 상태를 포함한다는 것을 전달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부 언어는 일반적으로, 피처, 엘리먼트, 및/또는 상태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요구된다는 것을 암시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프로그래머 입력 또는 프롬프트로 또는 없이, 이러한 피처, 엘리먼트, 및/또는 상태가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서 포함되거나 수행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을 반드시 포함한다는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 "포함하는", "갖는" 등은 동의어이고, 개방형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되며, 추가적인 엘리먼트, 피처, 동작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또는"은 예를 들어, 엘리먼트들의 리스트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때, 용어 "또는"이 리스트 내의 엘리먼트들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의미하도록 그 포괄적인 의미로(그리고 배타적인 의미가 아님) 사용된다.
상기한 상세한 설명이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되는 신규한 피처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언급하였지만, 예시된 디바이스 또는 알고리즘의 형태 및 세부사항의 다양한 생략, 대체, 및 변경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인식될 바와 같이, 일부 피처가 다른 피처와 별도로 사용되거나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모든 피처 및 이점들을 제공하지 않는 형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0)

  1.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스피커들; 및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고,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일부에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소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은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공통 비트스트림으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렌더링된 오디오는 상기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하는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의 오디오 채널들은 펄스 코드 변조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제1 개수의 오디오 채널을 상기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상기 스피커 구성에 대응하는 제2 개수의 오디오 채널로 변환하기 위한 믹스를 수행하고;
    상기 제2 개수의 오디오 채널을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또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에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2 스피커에 상기 제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의 제1 오디오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제1 오디오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의 오디오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의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로부터 가상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가상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스피커는 직접 송신 모드를 통해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는 텔레비전을 포함하는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통합된 스피커를 갖는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상기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시청각 동기화 클록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클록 정보를 네트워킹 플랫폼의 리더 오디오 클록의 함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지연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지연을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에 전달하고;
    비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은 또한, 상기 텔레비전에 의해 렌더링되는 상기 비디오와 동기화되도록 상기 특정된 지연으로 상기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비행 시간(time-of-flight)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재생 레이턴시들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재생 레이턴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을 동기화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에 의해 렌더링된 주파수 테스트 신호들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주파수 테스트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에 대한 등화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등화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각 스펙트럼들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14.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는 단계;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복수의 스피커들에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상기 디코딩된 공통 비트스트림으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렌더링된 오디오는 상기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하는 것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의 제1 개수의 오디오 채널을 상기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상기 스피커 구성에 대응하는 제2 개수의 오디오 채널로 변환하기 위한 믹스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개수의 오디오 채널을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에 제1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2 스피커에 상기 제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의 제1 오디오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제1 오디오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것인,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제1 스피커는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의 오디오 채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의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로부터 가상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 중 상기 제1 스피커는 상기 가상 채널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제1 스피커를 이용하여,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제2 스피커를 이용하여, 직접 송신 모드를 통해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스피커들; 및
    멀티채널 오디오 비트스트림을 펄스 코드 변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하고, 상기 복수의 오디오 채널들을 공통 비트스트림으로 컴바이닝하고,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스피커들 중 적어도 일부에 동시에 유니캐스트로서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피커들의 각 스피커는 상기 공통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공통 비트스트림으로부터의 오디오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렌더링된 오디오는 상기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의 스피커 구성에 대응하는 것인,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KR1020247007109A 2021-08-17 2022-08-16 공통 비트스트림에 의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KR202400452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34115P 2021-08-17 2021-08-17
US63/234,115 2021-08-17
PCT/US2022/075003 WO2023023504A1 (en) 2021-08-17 2022-08-16 Wireless surround sound system with common bitstre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253A true KR20240045253A (ko) 2024-04-05

Family

ID=8322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109A KR20240045253A (ko) 2021-08-17 2022-08-16 공통 비트스트림에 의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45253A (ko)
CN (1) CN118044230A (ko)
WO (1) WO20230235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4395B2 (en) * 2003-07-28 2012-07-3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CN107493542B (zh) * 2012-08-31 2019-06-28 杜比实验室特许公司 用于在听音环境中播放音频内容的扬声器系统
KR102160218B1 (ko) * 2013-01-15 2020-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운드 바를 위한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158946B2 (en) * 2014-09-04 2018-12-18 PWV Inc Speaker discovery and assig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3504A1 (en) 2023-02-23
CN118044230A (zh)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6625B1 (ko) 몰입형 오디오를 캡처하고, 인코딩하고, 분산하고, 디코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400739B2 (ja) ダッキング制御のためのメタデータ
US10885921B2 (en) Multi-stream audio coding
US20100324915A1 (en)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es for high quality multi-channel audio codec
BR112016001246B1 (pt) Upmix espacial controlado por renderizador
CN107277691B (zh) 基于云的多声道音频播放方法、系统及音频网关装置
US20230232182A1 (en) Spatial Audio Capture, Transmission and Reproduction
US10986456B2 (en) Spatial relation coding using virtual higher order ambisonic coefficients
JP2022511159A (ja) 異なるフォーマットで捕捉されたオーディオ信号を、エンコードおよびデコード動作を簡単にするために、より少数のフォーマットに変換すること
US1049020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inuous audio data
US20210099278A1 (en) Audio return channel clock switching
US11514921B2 (en) Audio return channel data loopback
KR20240045253A (ko) 공통 비트스트림에 의한 무선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WO2020152394A1 (en) Audio representation and associated rendering
CN115278858A (zh) 一种低延时的音频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202201039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udio ducking for headsets
WO2023051367A1 (zh) 解码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WO2023051368A1 (zh) 编解码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WO2024074283A1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decoding of audio signals with skippable blocks
WO2024076830A1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audio bitstreams and associated return channel information
WO2024074282A1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audio bitstreams
WO2021255327A1 (en) Managing network jitter for multiple audio streams
WO2024076829A1 (en) A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audio bitstreams and associated echo-reference signals
WO2024074285A1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audio bitstreams with flexible block-based syntax
WO2024076828A1 (en)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audio bitstreams with parametric flexible rendering configuration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