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078A -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078A
KR20240045078A KR1020230087101A KR20230087101A KR20240045078A KR 20240045078 A KR20240045078 A KR 20240045078A KR 1020230087101 A KR1020230087101 A KR 1020230087101A KR 20230087101 A KR20230087101 A KR 20230087101A KR 20240045078 A KR20240045078 A KR 20240045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core
disposed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영환
류지창
손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5078A/en
Publication of KR2024004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07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는 제1 코어 및 제1 코어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부, 1차 코일 및 1차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된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 및 코어부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코일부와 결합되는 보빈부를 포함하고, 제1 코어 및 제2 코어 각각은, 상부 코어 및 상부 코어와 제1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하부 코어를 포함하고, 1차 코일은 제1 코일 일측부, 제1 코일 일측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대향하도록 위치한 말단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 타측부 및 제1 코일 일측부와 제1 코일 타측부 사이의 제1 코일 중간부를 포함하고, 2차 코일은 제2 코일 일측부, 제2 코일 일측부와 제2 방향에 대향하도록 위치한 말단부를 포함하는 제2 코일 타측부 및 제2 코일 일측부와 제2 코일 타측부 사이의 제2 코일 중간부를 포함하고,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보빈부는 제1 코일 타측부 및 제2 코일 일측부를 수용하는 제1 보빈, 제1 보빈과 제2 방향으로 대향하며 제2 코일 타측부 및 제1 코일 일측부가 배치된 제2 보빈, 제1 보빈으로부터 제1 코일 중간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제1 보빈의 말단에 배치된 제1 체결부재 및 제2 보빈으로부터 제2 코일 중간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제2 보빈의 말단에 배치된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는 서로 체결되어 체결부를 형성하고, 제1 보빈과 체결부 사이에 제1 코어가 배치되고, 제2 보빈과 체결부 사이에 제2 코어가 배치된 것을 포함한다.The transfo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portion including a first core and a second co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re, a coil portion includ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 coil, and a core portion within the core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includes a bobbin portion coupled to the coil portion, each of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includes an upper core and a lower core disposed to face the upper cor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primary coil includes the first core. A first coil side including a coil side, a first coil side and a distal end positioned opposite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coil intermediate between the first coil side and the first coil other side. and a second coil, wherein the secondary coil includes a second coil side, a second coil other side including a distal end located opposite to the second coil one side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a space between the second coil one side and the second coil other side. It includes a second coil middle portion,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bobbin portion includes a first bobbin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il, the first bobbin and the second direction. A second bobbin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and one side of the first coil disposed, a first faste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bobbin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oil and disposed at the end of the first bobbin, and a second bobbin from the second bobbin. 2 It includes a second fastening member extending toward the middle of the coil and disposed at the end of the second bobbin, wherein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bbin and the fastening portion. It includes one core being disposed, and a second core being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obbin and the fastening part.

Description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구동 전원이 필요하고, 이러한 구동 전원을 전자 장치에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 장치, 예컨대, 파워 공급 유닛(PSU: Power Supply Unit)이 필수적으로 채용된다.Generally, a driving power is required to drive an electronic device, and a power supply device, such as a power supply unit (PSU), is essentially employed to supply this driv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특히, 평판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슬림화가 디스플레이 사이즈의 대형화와 함께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대형화된 디스플레이의 증가된 소비전력을 만족하면서도 두께를 줄여야 하는 과제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slimming is required in display devices such as flat TVs along with larger display sizes, there is a challenge of reducing thickness while satisfying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of larger displays.

파워 공급 유닛(PSU)에서는 다른 구성요소 대비 상대적으로 트랜스포머가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슬림화를 위해서는 트랜스포머 내에서 두께를 크게 차지하는 요소를 생략하거나 수량 조절 방안이 고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공급 유닛을 구성하는 트랜스포머에서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권선 및 고정되는 보빈이 생략되거나, 용량이 낮은 슬림 트랜스포머를 복수 개 채용하기도 한다.In a power supply unit (PSU), the transformer occupies a relatively large volume compared to other components, so for slimming, it is common to omit elements that occupy a large thickness within the transformer or consider adjusting the quantity. For example, in the transformer that forms the power supply unit of a recent flat panel display device, the bobbin on which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are wound and fixed is omitted, or a plurality of slim transformers with low capacity are used.

이러한 PSU에서는 회로의 공진탱크 설계 및 주파수 매칭을 위해 특정 범위의 리키지 인덕턴스(예컨대, 50μH 이상)를 요구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슬림형 트랜스포머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상하 적층에 의해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모두 두께에 기여하여 두께 감소에 한계가 있음은 물론, 리키지 인덕턴스가 현저하게 낮아지는(예컨대, 약 3μH) 문제점이 있다. 리키지 인덕턴스는 회로 내의 스위칭 모드 동작을 위해 반드시 일정 수준 이상 확보될 필요가 있다.These PSUs require a specific range of leakage inductance (e.g., 50 μH or more) for circuit resonance tank design and frequency matching. However, since a typical slim-type transformer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re stacked vertically, both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contribute to the thickness due to the vertical stacking, so of course there is a limit to the thickness redu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akage inductance is significantly lowered (e.g., about 3 μH). Leakage inductance must be secured above a certain level for switching mode operation within the circuit.

따라서, 더욱 슬림화가 가능하면서 리키지 인덕턴스의 확보가 가능한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transformer that can be slimmer and secure leakage inductance, and a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슬림 트랜스포머의 경우 요구하는 리키지 인덕턴스 값을 맞추기 위해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 간을 수평 이격시킨다. TV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소비전력이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이를 위해 코일 간 이격 거리 또는 코어의 크기도 동반되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포머의 효율, 작업성 저하 및 제작 단가 상승과 함께 리키지 인덕턴스 값의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다.In the case of a slim transformer,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are spaced horizontally to meet the required leakage inductance value. As the size of the TV increases, power consumption inevitably increases, and for this, the distance between coils or the size of the core may also increase. Accordingly,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leakage inductance value is required along with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and workability of the transformer and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특히, 500W(와트) 급 이상의 대형 TV에 적용되는 대용량 트랜스포머의 경우 코어 사이즈가 종래 대비 커짐으로 인하여, 코어의 성형을 위한 열처리 후, 배면 두께의 불균형 또는 코어의 파손이 야기될 수 있다. 이는 트랜스포머의 구동 시 발열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트랜스포머의 효율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리키지 인덕턴스 값의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transformers applied to large TVs of 500W (watt) or more, the core size is larger than before, which may cause imbalance in back thickness or damage to the core after heat treatment for forming the core. This may cause heat generation when the transformer is driven, ultimately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efficiency of the transformer, and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leakage inductance value is required.

따라서, 제작 단가를 절감시키기 위해 코어의 수율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yield of cores in order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또한, 대용량 트랜스포머는 면적이 매우 커져, 기존의 슬림 보빈 적용 시 늘어난 면적으로 뒤틀리거나 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코일의 단면적을 최대로 키우기 위해 기존의 슬림 보빈 구조에서는 코일의 높이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슬림화 구현을 위해 상부면과 하부면 구조를 생략한 보빈리스(bobbinless) 구조를 적용하고자 하나, 이와 같은 보빈리스 구조는 코어를 지지해주는 부분이 없으므로 보빈에 하중이 많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In addition, large-capacity transformers have a very large area,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y will be distorted or bent due to the increased area when applying existing slim bobbins. Additionally, in order to maximiz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il, the height of the coil must be increased in the existing slim bobbin structure. Accordingly, in order to slim the transformer, it is attempted to apply a bobbinless structure that omits the upper and lower surface structures. However, such a bobbinless structure has no part to support the core, so a lot of load is inevitably applied to the bobbin.

(0001) 국내등록특허 제10-0748934호(0001)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0748934 (0002)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138700호(0002) Domestic Published Patent No. 10-2012-013870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효율 저하 없는 코어를 적용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ormer using a core without loss of efficienc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트랜스포머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o which the above transformer is applied.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트랜스포머는 제1 코어 및 상기 제1 코어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부; 1차 코일 및 상기 1차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된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어부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일부와 결합되는 보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 및 상기 제2 코어 각각은, 상부 코어; 및 상기 상부 코어와 제1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하부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은, 제1 코일 일측부; 상기 제1 코일 일측부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대향하도록 위치한 말단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1 코일 일측부와 상기 제1 코일 타측부 사이의 제1 코일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2 코일 일측부; 상기 제2 코일 일측부와 상기 제2 방향에 대향하도록 위치한 말단부를 포함하는 제2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와 상기 제2 코일 타측부 사이의 제2 코일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보빈부는, 상기 제1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를 수용하는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2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1 코일 일측부가 배치된 제2 보빈; 상기 제1 보빈으로부터 상기 제1 코일 중간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보빈의 말단에 배치된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보빈으로부터 상기 제2 코일 중간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보빈의 말단에 배치된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서로 체결되어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1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보빈과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2 코어가 배치된 것을 포함한다.The transfo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core portion including a first core and a second co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re; A coil unit includ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 coil; and a bobbin portion at least partially coupled to the coil portion within the core portion, wherein each of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includes: an upper core; and a lower core disposed to face the upper core in a first direction, wherein the primary coil includes: one side of the first coil; a first coil other side including one side of the first coil and a distal end positioned opposite to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coil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wherein the secondary coil includes: a second coil portion; a second coil side including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nd a distal end located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coil middle portion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wherein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bobbin portion includes the a first bobbin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a second bobbin facing the first bobbi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v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and one side of the first coil disposed; a first faste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bobbin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oil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bobbin;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second bobbin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coil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second bobbin, wherein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 fastening member. and the first cor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bbin and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second core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obbin and the fastening portion.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코일 중간부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코일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one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oi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coil.

또한,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시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코일부 외측에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coil unit in a third direction that simultaneously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보빈부는,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1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보빈과 상기 제2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obbi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ibs connecting the first bobbin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ribs connecting the second bobbin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제1 코일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코일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 리브 사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리브 사이에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il middle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il middle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in the third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코일 중간부와 상기 제2 코일 중간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코어부와 직접 대면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oil middle portion and the second coil middle portion may include an area directly facing the core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1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bobbin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re accommodated.

또한, 상기 수용홈에는 제3 보빈이 더 수용되고, 상기 제3 보빈은 상기 1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가 배치되는 안착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 third bobbin may be furthe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third bobbin may include a seating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re disposed.

또한, 상기 제3 보빈은 상기 체결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3 보빈의 말단에 배치된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bobbin includes a third fastening member extending toward the fastening part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third bobbin,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in the fastening part. It may include something fastened to at least one of the members.

또한, 상기 제1 체결부재, 상기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보빈부는, 상기 제3 보빈과 상기 제3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ribs connecting the third bobbin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복수의 제3 리브는 상기 복수의 제1 리브 사이에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third ribs may include thos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또한, 상기 복수의 제3 리브 사이에 상기 제1 코일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t least a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oi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ird ribs.

또한, 상기 안착지지부는, 상기 제1 코일 타측부가 배치된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가 배치된 제2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ating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is disposed;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o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coil is disposed.

또한,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제1 코일 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인출되도록 형성된 코일 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bobbin may include a coil pull-out portion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is pulled out.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가 배치된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transformer; and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transformer is disposed.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abov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reflect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derived and understood based on.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LLC 회로와 같이 소정의 리키지 인덕턴스를 요구하는 트랜스포머 제작에 있어, 분할된 세그먼트 코어를 적용함으로써 리키지 인덕턴스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다.First, when manufacturing a transformer that requires a certain leakage inductance, such as an LLC circuit, fine control of the leakage inductance is possible by applying a divided segment core.

또한, 대용량 트랜스포머의 경우 코어의 크기가 커지면서 코어의 두께 불균일로 인한 트랜스포머의 효율 저하를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transformers, as the size of the core increase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crease in transformer efficiency due to uneven thickness of the core.

또한, 대용량 트랜스포머의 경우 코어의 크기가 커지면서 제작 과정에서 불량률이 높아져 양산성이 떨어지게 되지만, 분할된 코어를 적용하여 제작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므로 수율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제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transformers, as the size of the core increases, the defect rate increas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reducing mass productivity. However, by applying divided cores, the manufacturing size can be reduced, improving yield and reducing overall costs.

또한, 분할된 코어 상호간은 이격시키고, 이격된 공간은 보빈으로 채워지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트랜스포머 운용 시 분할된 코어간의 마찰에 의해 코어가 조각나거나(chipping), 코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a structure where the divided cor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spaced space is filled with bobbi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re from chipping or cracks from occurring due to friction between the divided cores when operating the transformer. there is.

또한, 분할된 코어에 적용되는 보빈의 상부면과 하부면 구조를 생략함으로써, 트랜스포머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Additionally, by omit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 structures of the bobbin applied to the divided cor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transformer can be reduced.

또한, 분할된 코어 적용 및 보빈의 상/하부면 구조 생략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전체 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를 리브를 추가한 보빈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해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blem that the overall rigidity of the transformer may be reduced due to the application of a divided core and the omission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 structures of the bobbin can be solved by applying a bobbin structure with added ribs.

또한, 보빈에 적용된 리브에 의해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의 이격 거리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코일간 이격 거리에 따른 리키지 인덕턴스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can be controlled by the rib applied to the bobbin, leakage inductance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coils can be secured.

또한, 1차 코일에 절연코팅 와이어를 적용함으로써, 트랜스포머의 단품 내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Additionally, by applying an insulating coated wire to the primary coil, the withstand voltage of the transformer can be secured.

또한, 1차 코일을 본딩처리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권선폼 강도 증대를 바탕으로 트랜스포머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bonding the primary coil and forming it as one piece, the overall rigidity of the transformer can be improved based on the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winding form.

또한, 2차 코일을 뒤집힌 상태로 권선, 즉 내측에 위치한 와이어의 일단은 외측으로 위치시키고, 외측에 위치한 와이어의 타단은 내측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인덕턴스의 편차로 인한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heat generation due to inductance deviation can be minimized by positioning the secondary coil in an inverted state, i.e., one end of the wire located on the inside is placed on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located on the outside is placed on the inside.

또한, 지지부를 통해 뒤집힌 2차 코일이 들뜨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verturned secondary coil can be kept from lifting through the support part.

또한, 전술한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빈부의 상부가 박막형의 코일 고정부로 대체되어 상부 플레이트를 갖는 일반적인 보빈 대비 슬림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transformer can be slimmed compared to a typical bobbin with an upper plate by replacing the upper part of the bobbin part with a thin film-type coil fixing part.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인 트랜스포머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이격 거리로 분할된 크기가 동일한 세그먼트 코어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이격 거리로 분할된 크기가 동일한 세그먼트 코어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이격 거리로 분할된 크기가 상이한 세그먼트 코어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이격 거리로 분할된 크기가 상이한 세그먼트 코어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부의 분해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b는 도 7a의 A-A 부분의 단면도,
도 7c는 도 7a의 B-B 부분의 단면도,
도 7d는 도 7a의 C-C 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트랜스포머에서 코어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제1 보빈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2차 코일부가 2열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보빈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a는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의 1차 보빈의 안착지지부에 권선된 2차 코일의 형상을 x 축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2b는 2차 코일이 1열로 구성된 실시 예에서 코어 내부에서 2차 코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a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의 1차 보빈의 안착지지부에 권선된 2차 코일의 형상을 x 축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3b는 2차 코일이 2열로 구성된 실시 예에서 코어 내부에서 2차 코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ransfo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of Figure 3;
5A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having segment cores of equal size divided by equal separation di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having segment cores of the same size divided by different separation di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c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having segment cores of different sizes divided by equal spac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D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having segment cores of different sizes divided by different spacing di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bb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A of Figure 7a;
Figure 7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BB of Figure 7a;
Figure 7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CC of Figure 7a;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re portion removed from the transfo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bbin in Figure 8 is remove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coil portion is composed of two rows in Figure 9;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A is a plan view of the shape of the secondary coil wound on the seating support portion of the primary bobbi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viewed from the x-axis direction;
Figure 12b is an example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ary coil within the core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ary coil consists of one row;
FIG. 13A is a plan view of the shape of the secondary coil wound on the seating support portion of the primary bobbi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viewed from the x-axis direction;
Figure 13b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coil is arranged inside the core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ary coil is composed of two row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들이 기판, 각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on” or “under” the substrate, each layer (film), region, pad or pattern. The description of being formed includes all being formed directly or through another layer. The standards for top/top or bottom/bottom of each floor are explained based on the drawing. Additionally,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refore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 예는 데카르트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되지만, 다른 좌표계를 이용하여 설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데카르트 좌표계에서, 각 도면에 도시된 x축과, y축과, z축은 서로 직교하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x축과, y축과, z축은 서로 교차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dditionally, the embodiment is described using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but of course it can be described using another coordinate system. I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the x-axis, y-axis, and z-axis shown in each figure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intersect each other.

아울러, 실시예와 관련된 트랜스포머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기판에 실장됨을 고려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에 기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두께(수직 높이)는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14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2mm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transformer related to the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of the display device, the thickness (vertical height) of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ibute to slimming of the display device is 14 mm or les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preferably It may be 12 mm or less, more preferably 10 mm or les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 코어가 적용된 트랜스포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ransformer to which a segment c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트랜스포머의 일 실시례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이격 거리로 분할된 세그먼트 코어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이격 거리로 분할된 세그먼트 코어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한 이격 거리로 분할된 크기가 상이한 세그먼트 코어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이격 거리로 분할된 크기가 상이한 세그먼트 코어를 갖는 트랜스포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transfo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ure 3, and Figure 5a is the main perspective view. It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having segment cores divided into equal separation di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having segment cores divided into different separation di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c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having segment cores of different sizes divided by the same separation distance, and Figure 5d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having segment cores of different sizes divided by different separation dist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세그먼트 코어가 적용된 트랜스포머(이하, '트랜스포머'라 함)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structure of a transfor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nsform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s segment cor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인 트랜스포머는 코어부(100), 코일부(200) 및 보빈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fo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re portion 100, a coil portion 200, and a bobbin portion 300.

코어부(100)는 자기회로의 성격을 가져 자속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The core portion 100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magnetic circuit and can serve as a passage for magnetic flux.

코어부(100)는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코어(110)는 제1 상부 코어(110-1) 및 제2 상부 코어(110-2)를 포함하며, 하부 코어(120)는 제1 하부 코어(120-1) 및 제2 하부 코어(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상부 코어(110-1)와 제1 하부 코어(120-1)는 제1 코어, 제2 상부 코어(110-2)와 제2 하부 코어(120-2)는 제2 코어로 정의될 수 있다.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가 결합되면서 하나의 코어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코어(110)는 전술한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한 코어이며, 하부 코어(120)는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가장 가까이 위치한 코어로 정의할 수 있다.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는 서로 상하, 즉 제1 방향으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도 있고, 비대칭 형상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의 기재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로 대칭되는 형상인 것으로 가정한다.The core portion 100 may include an upper core 110 and a lower core 120. The upper core 110 includes a first upper core 110-1 and a second upper core 110-2, and the lower core 120 includes a first lower core 120-1 and a second lower core ( 120-2)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first upper core 110-1 and the first lower core 120-1 are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upper core 110-2 and the second lower core 120-2 are the second core. can be defined. The upper core 110 and lower core 120 may be divided in a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the upper core 110 and lower core 120 may be combined to form one core portion 100. You can. At this time, the upper core 110 can be defined as the core located furthes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lower core 120 can be defined as the core located closes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in the first direction. The upper core 110 and the lower core 120 may have a shape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up and down, that is, in the first direction, or may have an asymmetric shape.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shape is vertically symmetrical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는 각각 복수의 세그먼트 코어로 분할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를 각각 y축 방향으로 제1 코어 및 제2 코어로 세그먼트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제1 코어 및 제2 코어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코어의 y축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다'의 개념으로서, 각 코어의 성형, 가공 등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차를 고려하여 각 코어간 y축 길이의 편차가 1% 미만의 경우까지는 서로 동일한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부 코어(110-1), 제2 상부 코어(110-2), 제1 하부 코어(120-1) 및 제2 하부 코어(120-2) 각각의 y축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며, 이때, 허용되는 y축 방향 길이의 편차는 서로 1%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도 5a 내지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를 각각 세 개의 세그먼트 코어로 분할할 수 있다. 물론, 세 개 이상으로의 분할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미도시 하였으나, 상부 코어(110)만 복수의 세그먼트 코어로 분할하거나, 하부 코어(120)만 복수의 세그먼트 코어로 분할할 수 있다. 또는, 상부 코어(110)의 세그먼트 코어 개수와 하부 코어(120)의 세그먼트 코어 개수를 상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는, 상부 코어(110) 및 하부 코어(120) 각각의 세그먼트 코어 크기를 상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상부 코어(110) 각각의 y축 방향 길이를 서로 동일하게 구성하거나,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상부 코어(110) 각각의 y축 방향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고, 분할된 상부 코어(110) 상호간 각각의 이격 거리는 서로 동일하게 배치하거나 서로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The upper core 110 and lower core 120 can each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 cores. That is, as shown in FIGS. 1 to 4, the upper core 110 and the lower core 120 can be segmented into first cores and second cores in the y-axis direction,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lengths of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the same. Here, the concept is that the length of each core in the y-axis direction is ‘the same.’ Considering the tolerances that occur during the molding and processing of each core, the y-axis length between each core is less than 1%. They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ame category as each other.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first upper core 110-1, the second upper core 110-2, the first lower core 120-1, and the second lower core 120-2 in the y-axis direction is the same. And at this time, the allowable deviation of the lengths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less than 1%. 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5A to 5D, the upper core 110 and lower core 120 may each be divided into three segment cores.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division into three or more is possible. Additionally, although not shown, only the upper core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 cores, or only the lower core 12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gment cores. Alternatively, the number of segment cores of the upper core 110 and the number of segment cores of the lower core 120 may be arranged differently. Alternatively, the segment core sizes of the upper core 110 and lower core 120 may be arranged differently.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y-axis direction lengths of each of the divided upper cores 110 may be configured to be equal to each other, or each of the divided upper cores 11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5C and 5D. The lengths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respective separation distances between the divided upper cores 110 may be arranged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때, 코어부(100)의 분할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편의상 z축 방향은 제3 방향이라 칭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re portion 100 may be divided in a second direction (y-axis or z-axis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as shown, an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z-axis direction is Let's call it the third direction.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분할된 상부 코어(110) 사이, 즉 복수의 상부 세그먼트 코어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sd110)는, 제1 상부 코어(110-1)의 제2 방향의 길이 및 제2 상부 코어(110-2)의 제2 방향의 길이의 합에 대하여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S. 1 to 4,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sd110 between the divided upper cores 110, that is,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segment cores, is the distance between the divided upper cores 110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first upper core 110-1. The sum of the length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upper core 110-2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efined as follows [Equation 1].

여기서, 복수의 상부 세그먼트 코어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sd110)가 '0%' 초과의 의미는 제1 상부 코어(110-1)와 제2 상부 코어(110-2)가 분할된 상태에서 에어갭(air gap)을 사이에 두고 최소한의 간격 만큼은 서로 이격된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0%'에 근접할수록 제1 상부 코어(110-1)와 제2 상부 코어(110-2)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는 후술할 체결부(CP)가 생략되거나, 제1 상부 코어(110-1)와 제2 상부 코어(110-2)에 의해 체결부가 노출되지 않게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코어(110)는 분할된 코어를 적용함으로써, 리키지 인덕턴스 값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상부 세그먼트 코어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sd110)가 제1 상부 코어(110-1)의 제2 방향의 길이 및 제2 상부 코어(110-2)의 제2 방향의 길이의 합의 '0%'를 초과하는 시점 즉, 제1 상부 코어(110-1)와 제2 상부 코어(110-2)가 분할되는 시점부터 리키지 인덕턴스 값이 추가 생성되고, 이격 거리가 증가하면서 리키지 인덕턴스 값도 동시에 증가한다. 다만, 복수의 상부 세그먼트 코어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가 제1 상부 코어(110-1)의 제2 방향의 길이 및 제2 상부 코어(110-2)의 제2 방향의 길이의 합의 8.75%를 초과할 경우 리키지 인덕턴스 값에는 변화가 없으나, 코일부(200)의 제2 방향 권선 길이가 증가하면서 코일저항값, 즉 직류저항(DCR: Direct Current Resistance)값이 증가하며, 이는 트랜스포머의 효율 저하를 초래한다.Here,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sd110)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segment cores exceeding '0%' means that there is an air gap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upper core 110-1 and the second upper core 110-2 are divided. This may mean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minimum distance with an air gap in between. In addition, as it approaches '0%', a fastening part (C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omitted in the space where the first upper core 110-1 and the second upper core 110-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the first upper core (110-1) ( This may mean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covered by the second upper core 110-1) and the second upper core 110-2. The upper cor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leakage inductance value by applying a divided core. In other words,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sd110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segment cores is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irst upper core 110-1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upper core 110-2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point where it exceeds '0%', that is, when the first upper core 110-1 and the second upper core 110-2 are divided, an additional leakage inductance value is generated, and as the separation distance increases, the leakage The inductance value also increas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segment cores exceeds 8.75% of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irst upper core 110-1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upper core 110-2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is case, there is no change in the leakage inductance value, but as the second direction winding length of the coil unit 200 increases, the coil resistance value, that is, the direct current resistance (DCR) value increases,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transformer. bring about

한편, 본 발명은 보빈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생략한 구조이므로 후술할 다수의 리브의 배치를 통해 보빈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리브 단부가 체결되면서 형성되는 체결부(CP)의 구조를 적용할 경우, 보빈의 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CP)의 제2 방향 길이, 즉 제1 상부 코어(110-1)와 제2 상부 코어(110-2) 상호간의 이격 거리는 최소 0.1㎜로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omit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portion, bobbin rigidity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rib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when apply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CP) formed by fastening a plurality of rib ends, the rigidity of the bobbin can be further increased. To this end, the length of the fastening portion CP in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upper core 110-1 and the second upper core 110-2, can be configured to be at least 0.1 mm.

또한, 분할된 하부 코어(120) 사이, 즉 복수의 하부 세그먼트 코어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sd120)도 제1 하부 코어(120-1)의 제2 방향의 길이 및 제2 하부 코어(120-2)의 제2 방향의 길이의 합에 대하여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sd120) between the divided lower cores 120, that is, between the plurality of lower segment cores, is also the length of the first lower core 120-1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lower core 120-2. ) can be defined as follows [Equation 2] for the sum of the lengths in the second direction.

또한, 하부 코어(120)는 상부 코어(110)와 제1 방향으로 대향하는 구조로써, 복수의 하부 세그먼트 코어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에 설명은 전술한 상부 세그먼크 코어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ore 120 has a structure that faces the upper core 11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lower segment cores is the description of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segment cores described above. You can refer to .

한편, 상부 코어(110) 또는 하부 코어(120) 각각의 세그먼트 코어 사이의 최소 이격거리는, 일례로 0.1㎜ 이상 7㎜ 이하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5㎜ 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 사이의 이격거리가 늘어날수록 리키지 인덕턴스의 값이 증가하나, 이격거리가 5㎜를 초과하게 되면 리키지 인덕턴스 값은 세츄레이션(saturation)된다. 또한, 이격거리가 7㎜를 초과하면서 제2 방향 권선 길이 증가에 따른 코일저항값이 커져 트랜스포머의 효율이 저하되므로 이격거리는 7㎜까지 설계할 수 있으나, 리키지 인덕턴스 값을 고려하여 최대 5㎜까지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between each segment core of the upper core 110 or lower core 120 may be, for example, 0.1 mm or more and 7 mm or less, and preferably 0.5 mm or more and 5 mm or less. there is.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core 110 and the lower core 120 increases, the value of the leakage inductance increases, bu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exceeds 5 mm, the leakage inductance value becomes saturated. In addition, as the separation distance exceeds 7 mm, the coil resistance value increases due to an increase in the second direction winding length, which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transformer. Therefore, the separation distance can be designed up to 7 mm, but considering the leakage inductance value, it can be designed up to 5 mm.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또한,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보빈부(300) 중 일부, 즉 체결부(CP)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 사이의 이격거리는 체결부(CP)의 두께로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의 지지를 위한 보빈부(300)의 강성 확보를 위해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 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 0.5㎜ 이상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증가할수록 보빈부(300)의 강성은 확보할 수 있으나, 이격거리가 5㎜를 초과하면서 제2 방향 권선 길이 증가에 따른 코일저항값이 커져 트랜스포머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rt of the bobbin portion 300, that is, a fastening portion (CP), may be placed in the space spaced between the upper core 110 and the lower core 120,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ore 110 and the lower core 120 The separation distance can also be understood as the thickness of the fastening part (CP).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bobbin portion 300 for supporting the upper core 110 and lower core 120, it is desirable to secure a separation distance of at least 0.5 mm or more between the upper core 110 and lower core 120. do. In addition, a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core 110 and the lower core 120 increases, the rigidity of the bobbin unit 300 can be secured, but as the separation distance exceeds 5 mm, the coil increases as the second direction winding length increases. As the resistance value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transformer may decrease.

따라서, 리키지 인덕턴스의 확보 및 보빈부(300)의 강성 확보를 위해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 사이의 이격거리는 0.5㎜ 이상 5㎜ 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leakage inductance and the rigidity of the bobbin portion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core 110 and the lower core 120 is 0.5 mm or more and 5 mm or less.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트랜스포머는 리키지 인덕턴스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부(100)를 하나로 구성하지 않고 복수의 세그먼트 코어로 구성함으로써 리키지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분할된 코어 사이에는 유격 거리가 발생되므로, 이를 통해 트랜스포머의 전기적 특성을 미세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코어(110)와 하부 코어(120)의 두께(x축, y축 및 z축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리키지 인덕턴스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요구되는 리키지 인덕턴스 값에 따라서 코어부(100)의 분할 개수, 분할 방향, 분할 간격 및 코어부(100)의 두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코어부(100)를 분할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일례로 대용량 TV 등에 적용되는 대용량 트랜스포머에 사용될 경우, 코어 형상 불균형으로 인한 발열 제어 및 코어의 제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transform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finely controlling the leakage inductance, and as described above, the leakage inductance can be adjusted by configuring the core portion 100 not as one but as a plurality of segment cores. In other words, a clearance distance is created between the divided cores, and through thi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ormer can be finely adjusted. In addition, the leakage inductance can be adjusted by configuring the upper core 110 and the lower core 120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lengths in at least one direction among the x-axis, y-axis, and z-axis). 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divisions of the core portion 100, the division direction, the division interval, and the thickness of the core portion 1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leakage inductance value. In addition, since the core portion 100 can be manufactured by dividing it, for example, when used in a large-capacity transformer applied to a large-capacity TV, heat generation due to core shape imbalance can be controlled and the product yield of the core can be improved.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코어 사이에는 보빈부(300) 중 일부, 즉 체결부(CP)가 배치될 수 있다. 분할된 세그먼트 코어 사이를 빈 공간으로 유지할 수도 있으나, 분할된 세그먼트 코어 사이에 체결부(CP)를 배치시킴으로써 트랜스포머 사용 시 세그먼트 코어 상호 간이 접촉되면서 코어가 깨지거나(chipping) 코어에 균열(crack)이 생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할된 세그먼트 코어 사이에는 보빈부(300) 중 일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체결부(CP)를 배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체결부(CP)는 상부 체결부재와 하부 체결부재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체결부재는 제1 상부 코어와 제2 상부 코어 사이 분할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 체결부재는 제2 하부 코어와 제2 하부 코어 사이이 분할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코어의 세그먼트 개수와 하부 코어의 세그먼트 개수가 서로 상이한 경우, 상부 체결부재만 배치되거나 하부 체결부재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코어의 개수와 하부 코어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부 체결부재와 하부 체결부재의 위치는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부 체결부재의 제2 방향의 폭과 하부 체결부재의 제2 방향의 폭은 서로 대응되고 제1 방향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bobbin portion 300, that is, a fastening portion CP,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divided segment cores. It is possible to keep the space between the divided segment cores empty, but by placing a fastening part (CP) between the divided segment cores, when using a transformer, the segment cor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causing chipping or cracks in the core. You can prevent problems from occurring.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lace a portion of the bobbin portion 300 between the divided segment cores, and for example, a fastening portion CP may be disposed. Although not shown, the fastening part CP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fastening member and a lower fastening member. The upper fastening member may be disposed in a divided area between the first upper core and the second upper core, and the lower fastening member may be disposed in a divided area between the second lower core and the second lower core. At this time, if the number of segments of the upper core and the number of segments of the lower cor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e upper fastening member or only the lower fastening member may be disposed. Meanwhile, when the number of upper cores and the number of lower cores are the same, the positions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s and the lower fastening members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More preferably, the width of the upper fastening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lower fastening member in the secon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overlap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코어(110)의 제3 방향 일측에는 제1 방향 하부로 돌출되고,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외족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코어(110)의 제3 방향 타측에는 제1 방향 하부로 돌출되고,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외족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외족부(111)와 제2 외족부(112) 사이에는 제1 방향 하부로 돌출되고,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족부(11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외족부(111), 제2 외족부(112) 및 중족부(113)는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외족부(111), 제2 외족부(112) 및 중족부(113) 각각의 z축 방향 폭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하부 코어(120)에도 상부 코어(110)와 대향되게 제1 외족부(121), 제2 외족부(122) 및 중족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4 , a first outer foot 111 that protrudes downward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s along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core 110 in the third direction. Additionally, a second outer foot 112 that protrudes downward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s along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core 110 in the third direction. Additionally, a midfoot portion 113 that protrudes downward in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s along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foot portion 111 and the second outer foot portion 112. The first outer foot portion 111, the second outer foot portion 112, and the midfoot portion 113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first outer foot 111, the second outer foot 112, and the midfoot 113 in the z-axis direction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Meanwhile, a first outer foot portion 121, a second outer foot portion 122, and a midfoot portion 123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core 120 to face the upper core 110.

코어부(100)는 제1 공간(130) 및 제2 공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30)은 제1 외족부(111, 121)와 중족부(113, 123) 사이에 형성되며, 후술할 코일부(200)와 보빈부(30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공간(140)은 제2 외족부(112, 122)와 중족부(113, 123) 사이에 형성되며, 후술할 코일부(200)와 보빈부(300)의 상기 일부의 z축 반대 쪽에 배치된 타부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130) 및 제2 공간(140)은 수용되는 코일부(200)와 보빈부(300)의 일부와 타부의 두께와 간격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130) 및 제2 공간(140)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코어부(100)의 인덕턴스가 제어될 수 있으며, 제1 공간(130) 및 제2 공간(140)의 개수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발열이 제어될 수 있다. 코어부(100)는 자성물질, 일례로 철 또는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re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pace 130 and a second space 140. The first space 1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outer foot portions 111 and 121 and the midfoot portions 113 and 123, and can accommodate a portion of the coil portion 200 and the bobbin portion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space 140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outer foot portions 112 and 122 and the midfoot portions 113 and 123,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z-axis of the portion of the coil portion 200 and bobbin portion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laced tabu can be accommodated. Accordingly, the first space 130 and the second space 14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and spacing of the portion and other portions of the coil portion 200 and the bobbin portion 300 that are accommodated. The inductance of the core portion 10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izes of the first space 130 and the second space 140, and the transform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space 130 and the second space 140. Heat generation can be controlled. The core portion 100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for example, iron or ferri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코일부(200)는 1차 코일(210) 및 2차 코일(220)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코일(210) 및 2차 코일(220)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1차 코일(210) 및 2차 코일(220)은 각각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coil unit 200 may include a primary coil 210 and a secondary coil 220. The primary coil 210 and secondary coil 220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At this time, the primary coil 210 and the secondary coil 220 may each have the same thickness.

1차 코일(210)은 코어부(100) 내에 적어도 일부가 도넛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간(130) 및 제2 공간(140)에 1차 코일(210)의 일부와 타부가 수용될 수 있다. 1차 코일(210)은 절연코팅 와이어 적용을 통해 트랜스포머의 단품 내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와 같은 자성부품 개발 시, 개발 단품에서 요구되는 내전압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내전압은 해당부품의 동작 전압의 일정 배수 이상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USTC 와이어를 사용하여 권선한 부품의 경우 내전압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절연거리를 발생시켜 내전압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확보해야 하는 절연거리는 규격으로 정해져 있으며, 일례로, 'A'라는 트랜스포머의 요구 내전압이, 즉 1차 코일 및 2차 코일간의 내전압이 4㎸ 이상 이라면, 부품의 규격 만족을 위해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최단 거리가 4㎜ 이상이 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다만, 여기서 말하는 부품들은 USTC 와이어나, PCB 및 동판 등을 사용하여 부품을 만드는 경우이다.At least a portion of the primary coil 210 may be arranged in a donut shape within the core portion 100. That is, as described above, a portion and other portions of the primary coil 21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30 and the second space 140. The primary coil 210 can secure the withstand voltage of the transformer by applying an insulating coated wire. When developing magnetic components such as transformers, there are withstand voltages required for each developed product. In general, withstand voltage requires a certain multiple of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relevant component. Accordingly, in the case of parts wound using conventional USTC wires, an insulation distance is created to satisfy the withstand voltage, thereby securing the withstand voltage. At this time, the insulation distance that must be secured is determined by the standard. For example, if the required withstand voltage of a transformer called 'A', that is, the withstand voltage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coils is 4 kV or more, the primary coil must be It must be designed so that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coil and the secondary coil is 4 mm or more. However, the parts mentioned here are made using USTC wire, PCB, and copper plates.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각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독립되도록 각 와이어의 표면을 절연성 수지로 복수 회 코팅하여 내전압 특성을 확보 및 강화하였다. 본 발명에 적용된 절연코팅 와이어의 단면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와이어의 표면은 2층 이상, 바람직하게는 3층 이상의 절연성 수지를 코팅하여 내전압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권선폼의 전체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트랜스포머의 전체 강성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each wire was coated with an insulating resin multiple times to ensure that each wire was electrically independent, thereby securing and strengthening the withstand voltage characteristics. The cross section of the insulating coated wir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hown, but the surface of each wire is coated with two or more layers, preferably three or more layers of insulating resin, which can strengthen the withstand voltage and increase the overall strength of the winding form. , Based on this, the overall rigidity of the transformer can also be improved.

2차 코일(220)은 1차 코일(210)의 권선 방향 외측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제1 공간(130) 및 제2 공간(140)에 1차 코일(210)과 함께 일부와 타부가 수용될 수 있다. 2차 코일(220)은 복수의 2차 권선을 단층 또는 복층으로 배열하여 권선할 수 있다. 2차 코일(220)은 전체를 한 번 뒤집어서 권선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코일부(200)는 보빈부(300)에 도넛 형태로 권선 배치되며, 코어부(100) 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ary coil 220 i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primary coil 210, and has a portion and other portions together with the primary coil 210 in the first space 130 and the second space 140. It can be accepted. The secondary coil 220 may be woun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econdary windings in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secondary coil 220 can be wound by turning the entire coil over once,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The coil unit 200 is wound around the bobbin unit 300 in a donut shap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il unit 200 may be disposed within the core unit 100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A-A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B-B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7d는 도 7a의 C-C 부분의 단면도이다.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plan view showing the bobb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A of Figure 7a, Figure 7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B of Figure 7a, FIG. 7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C-C of FIG. 7A.

도 2 및 도 4와 함께 도 6 내지 도 7(도 7a~7d)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빈부(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을 기준으로 제1 방향을 x축 방향, 제2 방향을 y축 방향, 제3 방향을 z축 방향으로 칭하고, y축 방향으로 좌측 상부 사선 방향을 일측 또는 일단이라 칭하고, 이와 반대되는 y축 방향으로 우측 하부 사선 방향을 타측 또는 타단이라 칭하도록 한다. 또한, x축 방향 위쪽을 상부, 상단, 상측이라 칭하고, x축 방향 아랫쪽을 하부, 하단, 하측이라 칭하도록 한다.The bobbin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FIGS. 7A to 7D) along with FIGS. 2 and 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direction is shown with respect to FIG. 6. The x-axis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is called the y-axis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is called the z-axis direction, the upper left diagonal direction in the y-axis direction is called one side or one end, and the opposite y-axis direction is called the lower right diagonal direction as the other side. Or, it should be called the other group.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x-axis direction is called upper, top, and upper side, and the lower part of the x-axis direction is called lower, lower, and lower side.

보빈부(300)는 코어부(100)와 코일부(200)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방향으로 일측에 제1 단부(FP)가 배치되고, 타측에 제2 단부(SP)가 배치되며, 제1 단부(FP)와 제2 단부(SP) 사이에 보빈 중간부(도면번호 미기재)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부(FP)와 제2 단부(SP)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보빈 중간부로 이해할 수 있다. 보빈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코어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The bobbin portion 300 is a part where the core portion 100 and the coil portion 200 are coupled, and the first end (FP) is disposed on on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econd end (SP)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 a bobbin middle portion (drawing number not show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nd (FP) and the second end (SP). Therefore, the remaining portion excluding the first end (FP) and the second end (SP) can be understood as the bobbin middle portion. The core portion 100 may be dispos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obbin.

보빈부(30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보빈부(300)는 제1 보빈(310), 제2 보빈(320) 및 제3 보빈(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obbin unit 3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for example, may be composed of three pieces. That is, the bobbin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bobbin 310, a second bobbin 320, and a third bobbin 330.

제1 보빈(310)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단부(FP)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2 방향의 일측 방향으로 내측 수용홈(314)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수용홈(314)의 상부, 즉 제1 단부(FP)의 제1 방향 상부면에는 코일 인출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인출부(312)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 인출부(312)는 제1 단부(FP)의 상부면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홈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 방향의 단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일 인출부(312)를 두 개로 구성 시, 인출된 코일 상호 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서로 대향되는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 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코일 인출부(312)는 1차 코일(210)을 구성하는 도전선 말단에 대한 제1 보빈(310)의 x축 방향 상부로의 인출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코일 인출부(312)는 1차 코일(210)의 도전선 말단이 배치되는 영역으로서 제1 터미널부와 혼용되어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코일 인출부(312)를 통과한 1차 코일(210)의 도전선 말단은 상부 코어(110)의 최대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트랜스포머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The first end FP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bbin 31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n inner receiving groove 314 may be formed in one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A coil draw-out portion 3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receiving groove 314,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nd FP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il draw-out unit 312 may be comprised of a plurality, for example, of two. The coil draw-out portion 31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in one direc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nd FP, and the end in one direction is bent in the third direction (z-axis direction)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formed. At this time, when two coil pull-out portions 312 are configured, in order to secure an insulating distance between the pull-out coils, the coils may b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he coil draw-out portion 312 may facilitate drawing and fixing the first bobbin 310 upward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conductive wire constituting the primary coil 210. At this time, the coil lead-out portion 312 is an area where the end of the conductive wire of the primary coil 210 is disposed, and may be described interchangeably with the first terminal portion. In addition, the end of the conductive wire of the primary coil 210 that passes through the coil lead-out portion 312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maximum height of the upper core 110, which can contribute to slimming the transformer.

한편, 코일부(200) 역시 보빈부(300)에 대응되어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코일 중간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일부(200)의 제1 단부는 보빈부(300)의 제1 단부(FP), 즉 내측 수용홈(314)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il unit 200 may also be composed of a first end, a second end, and a coil middle part corresponding to the bobbin unit 300, and the first end of the coil unit 200 is the first end of the bobbin unit 300. It can be placed by inserting into the end portion (FP), that is, the inner receiving groove 314.

제1 보빈(310)의 타측에는 제1 체결부재(311)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311)는 제1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두 개의 수평 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두 개의 수평 형태의 프레임 양 단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결된 두 개의 프레임이 결합되면서 제2 방향으로 홀을 형성하는 4각 프레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4각 프레임의 내부 양측 하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지지턱(311-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턱(311-2)에는 2차 코일(220) 중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A first fastening member 311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bbin 310.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includes two horizontal frames spaced apart in a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along a third direction, and two frames respectively connected in the first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two horizontal frames.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frame that is combined to form a hole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is time, support protrusions 311-2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s of both inner sides of the quadrangular frame. Some of the secondary coils 220 may be seated on the support jaw 311-2.

또한, 제1 체결부재(311)의 제2 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분할된 세그먼트 코어 사이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311)의 제3 방향 양 측부는 제2 방향 타측에서 일측으로 안착홈(311-1)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dth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may correspond to the width between divided segment cores.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in the third direction may form a seating groove 311-1 from the other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to one side.

또한, 내측 수용홈(314)의 제3 방향 양측과 제1 체결부재(311)의 제3 방향 양측은 제1 리브(313)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리브(313)의 제1 방향 상하 두께는 코일부(200)의 두께에 대응되거나 더 클 수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inner receiving groove 314 in the third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in the third direction may be connected by a first rib 313, and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first rib 313 in the first direction is may correspond to or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il portion 200.

제2 보빈(320)은 일측에 제2 체결부재(321)가 형성되고, 1차 코일(210) 및 2차 코일(220)이 인입/인출되기 위한 코일지지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코일지지부(325)는 2차 코일(220)의 말단이 배치되는 영역으로서 제2 터미널부와 혼용되어 설명될 수 있다. 이때, 1차 코일(210)의 타측은 코일지지부(325)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bobbin 320 may have a second fastening member 321 formed on one side, and a coil support portion 325 for inserting/extracting the primary coil 210 and the secondary coil 220. The coil support portion 325 is an area where the end of the secondary coil 220 is disposed and may be described interchangeably with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t this time, the other side of the primary coil 210 may be placed below the coil support part 325.

제2 체결부재(321)는 제1 체결부재(311)의 상기 4각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321)는 제1 방향 상부에서 제3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프레임(321-1), 상부프레임(321-1)의 제3 방향 양측에서 제1 방향 하부로 연장된 지지편(3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321)와 제1 체결부재(311)의 결합 시, 상부프레임(321-1)은 상기 4각 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며, 지지편(321-2)은 안착홈(311-1)에 접촉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fastening member 321 may be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square fram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21 includes an upper frame 321-1 extending from the top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third direction, and a support piece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321-1 in the third direction to the bottom in the first direction ( 321-2) may be included. When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21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are combined, the upper frame 321-1 is disposed on the inner upper part of the square frame, and the support piece 321-2 is located in the seating groove 311. -1) can be supported by contact.

또한, 코일지지부(325)의 제3 방향 양 측부와 제2 체결부재(321)의 제3 방향 양 측부 상호간에는 각각 제2-2 리브(323)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2-2 리브(323)로부터 제3 방향으로 일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되어 제2-1리브(322)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간격이란 2차 코일(220)의 제3 방향 폭에 대응되는 간격일 수 있다. 제2-1 리브(322) 및 제2-2리브(323)의 제1 방향 상하 두께도 코일부(200)의 제1 방향 상하 두께에 대응되거나 더 클 수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coil supporter 325 in the third direction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21 in the third directio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2-2 ribs 323, and each 2-2 rib The 2-1 rib 322 may be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inward from 323 in the third direction. Here, the constant interval may be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econdary coil 220 in the third direction.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2-1 rib 322 and the 2-2 rib 323 in the first direction may also correspond to or be greater than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coil portion 200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부프레임(321-1)에는 하부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 후크 형태의 제1 체결수단(321-3)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irst fastening means 321-3 in the form of a hook extending toward the other lower 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frame 321-1.

제3 보빈(330)은 제2 방향 일측에 안착지지부(333)가 형성되고, 제2 방향 타측에 제3 체결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지지부(333)는 코일부(200)의 제2 방향 일측이 안착지지된 상태에서 제1 보빈(310)의 내측 수용홈(314)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안착지지부(333)의 제1 방향 상하 두께는 내측 수용홈(314)의 제1 방향 상하 길이를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bobbin 330 may have a seating support portion 333 formed on on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third fastening portion 331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ating support portion 333 is a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ner receiving groove 314 of the first bobbin 310 while one side of the coil portion 200 in the second direction is seated and supported. Accordingly, the vertical thickness of the seating support portion 333 in the first direction may be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inner receiving groove 314 in the first direction.

안착지지부(333)는 제1 안착부(333-1), 제2 안착부(333-2), 지지부(333-3) 및 가이드바(333-4)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제2 안착부(333-2)의 경우 도 6의 도면 각도 상 보이지 않으므로, 도 11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The seating support portion 333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333-1, a second seating portion 333-2, a support portion 333-3, and a guide bar 333-4.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it is not visible from the angle in the drawing of FIG. 6, so it can be confirmed with reference to FIG. 11.

제1 안착부(333-1)는 1차 코일(210)의 제2 방향 일측이 도넛 형태의 권선폼을 유지하면서 안착지지되는 부분으로, 1차 코일(210)의 일측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ortion 333-1 is a portion where one side of the primary coil 210 in the second direction is seated and supported while maintaining the donut-shaped winding form,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primary coil 210. It can be configured.

제2 안착부(333-2)는 권선 형태를 유지하는 2차 코일(220)의 제2 방향 일측이 접촉지지되면서 권취되는 부분으로, 제2 안착부(333-2)는 2차 코일(220)의 일측에 대응되는 반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2차 코일(220)은 전체가 뒤집힌 상태로 제2 안착부(33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2차 코일(220)의 뒤집힌 상태로 안착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안착부(333-1)와 제2 안착부(333-2)는 제1 보빈(310)의 내측 수용홈(314)에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is a portion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ary coil 220 that maintains the winding shape in the second direction is contacted and supported while being wou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is a portion of the secondary coil 220 that maintains the winding shape. ) can be formed to have a radius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At this time, the secondary coil 2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in an entirely inverted state,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ary coil 220 is seated in an inverted state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eating portion 333-1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receiving groove 314 of the first bobbin 310.

제3 체결부(331)는 제1 체결부재(311)의 상기 4각 프레임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부(331)는 제2 보빈(320)의 제2 체결부재(321)와 체결된 상태로 제1 보빈(310)의 상기 4각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체결부(331)는 제1 방향 하부에서 제3 방향으로 연장된 하부프레임(331-1)을 포함하며, 하부프레임(331-1)의 센터 영역으로부터 상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후 제2 방향 일측으로 연장된 후크 형태의 제2 체결수단(3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수단(331-2)은 제2 보빈(320)의 제1 체결수단(321-3)과 결합되어 제1 체결부재(311)의 상기 4각 프레임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수단(331-2)의 하단에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결합된 제1 체결부재(311), 제2 체결부재(321) 및 제3 체결부(331)는 체결부(CP)를 형성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331-1)의 제3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제2-1 리브(322) 상호간의 간격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체결부(331)와 안착지지부(333) 사이에는 제3 리브(332)가 제2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며, 제3 리브(332)는 제2 방향을 따라 제2-1 리브(322)와 제3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fastening part 331 may be inserted into the square fram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At this time, the third fastening part 331 may be inserted into the square frame of the first bobbin 310 in a state of fastening with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21 of the second bobbin 320. That is, the third fastening part 331 includes a lower frame 331-1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irection in the third direction, and extends from the center area of the lower frame 331-1 to the upper first direction. Afterwards, a second fastening means 331-2 in the form of a hook extending to one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formed. The second fastening means 331-2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fastening means 321-3 of the second bobbin 320 and disposed inside the square fram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Additionally, a groove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fastening means 331-2. 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21, and the third fastening part 331 combined with each other may form a fastening part CP. The length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331-1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2-1 ribs 322. A third rib 332 is dispose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between the third fastening portion 331 and the seating support portion 333, and the third rib 332 is the 2-1 rib 322 along the second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may overlap in a third direction.

전술한 제1 보빈(310), 제2 보빈(320) 및 제3 보빈(330)을 포함하는 보빈부(300)를 결합하면 도 7a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부(300)를 상부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When the bobbin part 300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first bobbin 310, second bobbin 320, and third bobbin 330 is combined, it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7a, and Figure 7a shows the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rich and poor 300 looking down from the top.

도 7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빈부(300)는, 제2 방향 일측(좌측)에 제1 보빈(310)의 제1 단부(FP)가 배치되고, 제2 방향 타측(우측)에 제2 단부(SP)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단부(FP)와 제2 단부(SP)의 배치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7A , the bobbin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end (FP) of the first bobbin 310 disposed on one side (left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first end (FP) of the first bobbin 31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second end (SP) may be disposed, and it is natural that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end (FP) and the second end (SP) may be changed.

내측 수용홈(314)이 형성된 제1 단부(FP)와 코일지지부(325)로 구성된 제2 단부(SP) 사이에는 보빈 중간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빈 중간부는 다수의 리브(313, 322, 323, 332)와 체결부(CP)로 구성될 수 있다.A bobbin middle portio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nd FP where the inner receiving groove 314 is formed and the second end SP including the coil support portion 325. The bobbin middle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ibs 313, 322, 323, and 332 and a fastening portion (CP).

도 7a에서는 도면 각도 상 제1 체결부재(311)만 도시되었으나, 제1 체결부재(311)의 저면에는 제2 체결부재(321) 및 제3 체결부(331)가 결합되어 배치된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제1 체결부재(311)는 체결부(CP)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In FIG. 7A, only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is shown at the angle of the drawing, bu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21 and the third fastening part 331 are coupled and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You can. Meanwhile,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may form the overall skeleton of the fastening portion CP.

다수의 리브(313, 322, 323, 332)는 제1 리브(313), 제2-1 리브(322), 제2-2 리브(323) 및 제3 리브(3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7a를 바탕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ribs 313, 322, 323, and 332 may include a first rib 313, a 2-1 rib 322, a 2-2 rib 323, and a third rib 332, The explanation will be based on FIG. 7A.

먼저, 제1 리브(313)는 제1 단부(FP)와 체결부(CP) 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z축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First, the first ribs 313 may extend in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first end FP and the fastening portion CP and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z-axis direction.

또한, 편의상 제2-2 리브(323)를 먼저 설명하면, 제2-2 리브(323)는 제2 단부(SP)와 체결부(CP) 사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z축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리브(313)와 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if we describe the 2-2 rib 323 first, the 2-2 rib 323 extends in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end (SP) and the fastening portion (CP) and i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z-axis direction. They may be arranged so that at least part of them overlaps with the first rib 313 in the y-axis direction.

또한, 제2-1 리브(322)는 제2-2 리브(323)로부터 z축으로 일정 간격 평행하게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단부(SP)와 체결부(CP) 사이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정 간격'이란 2차 코일(220)의 z축 방향 폭에 대응되는 간격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2-1 rib 32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2-2 rib 323 in the inward direction and parallel to the z-axis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second end SP and the fastening portion CP. It can be arranged to extend in the y-axis direction. At this time, the 'constant interval' may be an interval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secondary coil 220 in the z-axis direction.

또한, 제3 리브(332)는 제1 리브(313)로부터 z축으로 일정 간격 평행하게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단부(FP)와 체결부(CP) 사이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리브(332)는 제2-1 리브(322)와 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rib 33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ib 313 in the inward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parallel to the z-axis, and in the y-axis direction between the first end FP and the fastening portion CP. It can be extended and placed. At this time, the third rib 332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2-1 rib 322 in the y-axis direction.

또한, 제1 리브(313)과 제3 리브(323)는 z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고, 제2-1 리브(322), 제2-2 리브(323)는 z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ib 313 and the third rib 323 overlap each other at least partially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2-1 rib 322 and the 2-2 rib 323 overlap at least in the z-axis direction. Some may overlap with each other.

전술한 다수의 리브(313, 322, 323, 332)는 x축 방향으로 관통홀(315, 324, 326, 334)을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으며, 관통홀(315, 324, 326, 334)에는 전술한 코어부(100)의 제1 외족부(111, 121), 제2 외족부(112, 122) 및 중족부(113, 123)가 관통되면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코어의 제1 공간(130)에는 보빈부(300)의 제1 리브(313), 제3 리브(332)가 수용되고, 제1 코어의 제2 공간(140)에도 제1 리브(313), 제3 리브(332)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어의 제1 공간(130)에는 제2-2 리브(323), 제2-1 리브(322)가 수용되고, 제2 코어의 제2 공간(140)에도 제2-2 리브(323), 제2-1 리브(322)가 수용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ibs (313, 322, 323, 332)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 the x-axis direction while forming through holes (315, 324, 326, 334), and the through holes (315, 324, 326, 334) The first outer foot portions 111 and 121, the second outer foot portions 112 and 122, and the midfoot portions 113 and 123 of the above-described core portion 100 may be disposed while penetrating. Accordingly, the first rib 313 and the third rib 332 of the bobbin portion 300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30 of the above-described first core, and the second space 140 of the first core is also accommodated. The first rib 313 and the third rib 332 can be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2-2 rib 323 and the 2-1 rib 322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130 of the second core, and the 2-2 rib is also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140 of the second core. (323),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2-1 rib (322) is accepted.

도 7b 내지 도 7d는 도 7a의 A-A, B-B 및 C-C 부분에 대한 단면도로써, 체결부(CP)의 결합 상태 및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FIGS. 7B to 7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portions A-A, B-B, and C-C of FIG. 7A,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and structure of the fastening portion CP.

먼저, 도 7a와 함께 도 7b를 참조하면, 제3 보빈(330)에 연결된 제3 체결부(331)는 하부프레임(331-1)과 제2 체결수단(3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빈(320)에 연결된 제2 체결부재(321)는 상부프레임(321-1)과 제1 체결수단(3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수단(321-3)은 상부프레임(321-1)의 z축 방향 중심부에서 x축 방향 하부로 형성된 홈부일 수 있으며, 형성된 홈부의 단부는 y축 방향 타측(도 7b의 우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수단(331-2)은 하부프레임(331-1)의 z축 방향 중심부에 배치되어 x축 방향 상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는 y축 방향 일측(도 7b의 좌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수단(331)의 하단은 제1 체결수단(321-3) 홈부의 y축 방향 타측(도 7b의 우측)으로 절곡된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1 체결수단(321-3)과 제2 체결수단(331-2)은 서로 엇갈린 상태로 교차되어 접촉 지지되면서 제1 체결부재(311)에 의해 x축 방향 상부와 하부가 둘러싸인 채로 배치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7B together with FIG. 7A, the third fastening part 331 connected to the third bobbin 330 may include a lower frame 331-1 and a second fastening means 331-2. . Additionall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321 connected to the second bobbin 320 may include an upper frame 321-1 and a first fastening means 321-3. The first fastening means 321-3 may be a groove forme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321-1 in the z-axis direction to the lower part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end of the formed groove is dir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y-axis direction (right side in Figure 7b) May include bent shapes. The second fastening means 331-2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frame 331-1 in the z-axis direction and extends upward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extended end is bent to one side in the y-axis direction (left side in Figure 7b). May include shapes.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means 331 may be formed with a groove to accommodate the end bent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groove in the y-axis direction (right side in FIG. 7B) of the first fastening means 321-3. That is,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7B, the first fastening means 321-3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331-2 are crossed in a staggered state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attach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It can be arrang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x-axis direction are surrounded.

다음으로, 도 7a와 함께 도 7c를 참조하면, 제2-1 리브(322)의 y축 방향 일측(도 7c의 좌측)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리브(332)의 y축 방향 타측(도 7c의 우측) 단부는 제2-1 리브(322)의 y축 방향 일측 단부에 대응되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c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리브(322)와 제3 리브(332)는 각 단부의 경사진 면이 서로 접면되면서 제1 체결부재(311)의 의해 x축 방향 상부와 하부가 둘러싸인 채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리브는 도 7c에 도시된 경사의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 리브의 단부가 서로 접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2-1 리브(322)와 제3 리브(332)는 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7C together with FIG. 7A, an end of one side (left side of FIG. 7C)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2-1 rib 32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dditionally, the other end of the third rib 332 in the y-axis direction (right side in FIG. 7C)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 correspond to the end of the second-1 rib 322 in the y-axis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ure 7c. The 2-1 rib 322 and the third rib 332 may be arranged with the inclined surfaces of each e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n the x-axis direction surrounded by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Although not show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rib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clination shown in FIG. 7C so that the ends of each ri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2-1 rib 322 and the third rib 332 may be arranged to overlap at least part of the y-axis direction.

또한, 도 7a와 함께 도 7d를 참조하면, 제1 리브(313)의 y축 방향 타측(도 7d의 우측) 단부에는 제1 체결부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311)의 z축 방향 상부와 하부에는 y축 방향 타측을 향해 개방된 안착홈(3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2 리브(323)의 y축 방향 일측(도 7d의 좌측) 단부에는 z축 방향 상부와 하부에 안착홈(311-1)에 삽입지지되는 지지편(32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D together with FIG. 7A, a first fastening member 311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other side (right side of FIG. 7D)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rib 313. A seating groove 311-1 open toward the other side in the y-axis direction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311 in the z-axis direction. At one end of the 2-2 rib 323 in the y-axis direction (left side in Fig. 7d), support pieces 321-2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eating grooves 311-1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z-axis direction will be formed, respectively. You can.

본 발명에 따른 보빈부(300)는 제1 단부(FP)와 제2 단부(SP)를 제외한 보빈 중간부가 x축 방향으로 관통홀(315, 324, 326, 334)을 형성하므로, x축 방향 상부면과 하부면이 생략된 구조를 가지나, 전술한 다수의 리브(313, 322, 323, 332)와 체결부(CP)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보빈부(300)의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다.The bobbin portion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rough holes 315, 324, 326, and 334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bobbin, excluding the first end (FP) and the second end (SP), so that Although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mitted, the overall rigidity of the bobbin portion 300 can be maintained and improved by applying the multiple ribs 313, 322, 323, and 332 and the fastening portion (CP) structure described above. You can.

도 8은 본 발명인 트랜스포머에서 코어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1 보빈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2차 코일이 2열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보빈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빈부에 배치되는 코일부의 배치 구조와 결합 상태 등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e portion is removed from the transform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bbin is removed in Figure 8, an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coil is composed of two rows in Figure 9. , and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8 to 11 are shown to show the arrangement structure and coupling state of the coil part disposed in the bobbin par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1차 코일(210)와 2차 코일(220)로 구성된 코일부(200)는 도넛 형태로 권선폼을 유지한 상태로 보빈부(300)의 제1 단부(FP)에 일측(좌측 하부 사선 방향) 단부가 배치되고, 보빈부(300)의 제2 단부(SP)에 타측(우측 상부 사선 방향)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일부(200)의 상기 일측 단부와 상기 타측 단부를 제외한 코일 중간부는 보빈부(300)의 보빈 중간부, 즉 보빈부(300)의 제1 단부(FP)와 제2 단부(SP)를 제외한 제1 리브(313), 제2-1 리브(322), 제2-2 리브(323) 및 제3 리브(332)가 배치된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1차 코일(210)은 보빈부(300)에 y축 평면을 따라 도넛 형태로 권선폼을 유지하면서 배치되고, 2차 코일(220)은 1차 코일(210)의 권선 방향 외측 둘레부를 따라 권선폼을 유지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1차 코일(210)은 제1 체결수단(321-3)과 제2 체결수단(331-2)의 z축 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도넛 형태로 권선되어 1차 코일(210)의 일측 단부가 보빈부(300)의 제1 단부(FP) 내측으로 배치되고, 1차 코일(210)의 타측 단부가 보빈부(300)의 제2 단부(SP) 내측으로 배치되며, 1차 코일(210)의 코일 중간부가 z축 방향 제2-1 리브(322)와 제3 리브(332)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차 코일(220)은 1차 코일(210)의 권선 방향 외측 둘레부, 즉 2차 코일(220)의 일측 단부가 보빈부(300)의 제1 단부(FP) 내측에서 1차 코일(210)의 외측 둘레부를 따라 배치되고, 2차 코일(220)의 코일 중간부가 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배치된 제2-1 리브(322)와 제3 리브(332) 및 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배치된 제1 리브(313)와 제2-2 리브(3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리브(313)와 제2-2 리브(323)는 제2-1 리브(322)와 제3 리브(332)로부터 z축 수평 방향으로 2차 코일(220)의 권선 폭에 대응되거나 더 큰 폭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보빈부(300)의 제2 단부(SP) 내측으로 배치된 2차 코일(220)은 코일지지부(325)에 의해 지지되고 제2 보빈(320)의 외부로 가이드 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8, the coil unit 200 consisting of the primary coil 210 and the secondary coil 220 is formed at the first end (FP) of the bobbin unit 300 while maintaining the winding form in a donut shape. ), one end (lower left diagonal direction) may be disposed, and the other side (upper right diagonal direction) end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end SP of the bobbin unit 300. In addition, the coil middle portion exclud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portion 200 is the bobbin middle portion of the bobbin portion 300, that is, the first end (FP) and the second end (SP) of the bobbin portion 300. It may be disposed in areas where the first rib 313, the 2-1 rib 322, the 2-2 rib 323, and the third rib 332 are disposed. At this time, the primary coil 210 is disposed in the bobbin unit 300 while maintaining the winding form in a donut shape along the y-axis plane, and the secondary coil 220 is locat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imary coil 210 in the winding direction. Accordingly, it can be placed while maintaining the winding form. That is, the primary coil 210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ans 321-3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331-2 and is wound in a donut shape to form the primary coil 210. )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end (FP) of the bobbin portion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coil 210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end (SP) of the bobbin portion 300, 1 The coil middle portion of the primary coil 210 may be dispos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2-1 rib 322 and the third rib 332 in the z-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ary coil 220 is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imary coil 210 in the winding direction, that is, one end of the secondary coil 220 is inside the first end FP of the bobbin unit 300. The 2-1 rib 322 and the third rib 332 are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ary coil 220 and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coil middle portion of the secondary coil 220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y-axis.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ib 313 and the 2-2 rib 323, which ar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a portion in the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rib 313 and the 2-2 rib 323 correspond to the winding width of the secondary coil 220 in the z-axis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2-1 rib 322 and the third rib 332. Or it can be placed at regular intervals over a larger width. Meanwhile, the secondary coil 220 disposed inside the second end (SP) of the bobbin unit 300 may be supported by the coil support unit 325 and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obbin 320.

또한, 코일부(200)의 일측 단부는 제3 보빈(330)의 안착지지부(333)에 끼워진 상태로 제1 보빈(310)의 내측 수용홈(314)에 삽입되며, 삽입된 내측 구조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il portion 2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receiving groove 314 of the first bobbin 31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ating support portion 333 of the third bobbin 330, and the inserted inner structure is shown in FIG. Please refer to 9 for explanation.

도 9는 도 8에서 제1 보빈(31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를 바탕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도 9에는 설명하고자 하는 관련 구성부와 이에 따른 도면 번호 등이 모두 도시되지 않았으므로, 도 2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코일부(200) 중 1차 코일(210)의 일측 단부는 안착지지부(333)의 제1 안착부(333-1)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안착부(333-1)에는 1차 코일(210)의 내측 반경에 대응되는 반경을 가지면서 제1 체결수단(321-3)과 제2 체결수단(331-2)의 z축 방향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안착돌기(P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보빈(320)의 코일지지부(325) x축 방향 하부에도 안착돌기(P1)에 대응되는 거치돌기(P2)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돌기(P2)에는 1차 코일(210)의 타측 단부가 끼워져 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돌기(P1) 및 거치돌기(P2)를 형성함으로써, 권선폼을 유지 및 1차 코일(210) 및 2차 코일(220) 와이어들끼리 쇼트되는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다.FIG. 9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bbin 310 in FIG. 8 has been removed. Before explaining based on FIG. 9, since all related components to be explained and their drawing numbers are not shown in FIG. 9,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6. One end of the primary coil 210 of the above-described coil units 200 may be seated on the first seating unit 333-1 of the seating support unit 333. The first seating portion 333-1 has a radius corresponding to the inner radius of the primary coil 210 and has a width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first fastening means 321-3 and the second fastening means 331-2. A seating protrusion (P1)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may be formed. At this time, a mounting protrusion (P2)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rotrusion (P1)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il support portion 325 of the second bobbin 320 in the x-axis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primary coil 210 may be inserted into and supported on the mounting protrusion P2. By forming the seating protrusion (P1) and the holding protrusion (P2)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winding form and solve the problem of short circuiting between the wires of the primary coil 210 and the secondary coil 220.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2차 코일(220)은 다수의 와이어들이 보빈부(300)에 감기는 방식이 아닌, 제3 보빈(330)의 일측(좌측 하부 사선 방향)에 배치된 안착지지부(333)의 제2 안착부(333-2) 외측 둘레부를 따라 2차 코일(220) 전체가 한 번 뒤집힌 상태로 권선 배치될 수 있다. 즉, 2차 코일(220)의 외측에 권선된 와이어는 제2 안착부(333-2)의 주변에서 한 번 뒤집히면서 2차 코일(220)의 내측으로 권선 배치될 수 있고, 2차 코일(220)의 내측에 권선된 와이어는 제2 안착부(333-2)의 주변에서 한 번 뒤집히면서 2차 코일(220)의 외측으로 권선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코일(220) 전체가 한 번 뒤집히면서 전류 흐름 방향의 내외측 방향이 변경되므로, 이를 통해 와이어들 간의 길이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인덕턴스 편차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인덕턴스의 편차는 궁극적으로 트랜스포머의 구동에 있어 발열을 초래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를 통해 트랜스포머의 전체적인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다만, 한 번 뒤집힌 2차 코일(220)의 크로스(cross)되는 지점(C1)은 와이어에 외력이 작용, 일례로 피복이 벗겨지면서 내전압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 제1 보빈(310)에 내측 수용홈(314)을 형성하고, 1차 코일(210)와 2차 코일(220)의 일측 단부가 권선 배치된 안착지지부(333)가 노출되지 않도록 내측 수용홈(314)에 삽입시킨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ary coil 2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wound around the bobbin portion 300, but a seating support disposed on one side (lower left diagonal direction) of the third bobbin 330 ( The entire secondary coil 220 may be wou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of 333) in a flipped state. That is, the wire woun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ary coil 220 can be turned over once arou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and wound on the inside of the secondary coil 220, and the secondary coil The wire wound on the inside of 220 may be turned over once arou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and woun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ary coil 220. In this way, the entire secondary coil 220 is flipped once to change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current flow direction, thereby controlling the inductance deviation caused by the length difference between the wires. Since this variation in inductance ultimately causes heat generation when driving the transformer, the overall temperature of the transformer can be lowered through this embodiment. However,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wire at the point C1 where the secondary coil 220 is once flipped, and the withstand voltage may be weakened as, for example, the coating is peeled off.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 inner receiving groove 314 is formed in the first bobbin 310, and one end of the primary coil 210 and the secondary coil 220 is wound on a seating support portion 333. ) can be applied by inserting it into the inner receiving groove 314 so that it is not exposed.

또한, 제2 안착부(333-2)에는 z축 방향 일 측부와 타 측부의 측면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z축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부(333-3)가 포함될 수 있다. 이격된 지지부(333-3) 사이에는 2차 코일(2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안착부(333-2)의 일 측부(도 9의 좌측 상부 사선 방향)에 형성된 지지부(333-3)에 배치되는 2차 코일(220)은 한 번 뒤집힌 상태로 가이드바(333-4)의 x축 방향 상부 또는 x축 방향 하부에 접촉가이드되면서 제2 안착부(333-2)의 타 측부에 형성된 지지부(333-3)로 안내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may include a pair of support portions 333-3 that are spaced apart from one side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n the x-axis direction and respectively protrude in the z-axis direction. A secondary coil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paced apart supports 333-3. At this time, the secondary coil 220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333-3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ating part 333-2 (in the upper left diagonal direction in FIG. 9) is flipped once and the guide bar 333 -4), while being guided by contact with the upper part in the x-axis direction or the lower part in the x-axis direction, it can be guided to the support part 333-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art 333-2.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코일(220)가 x축 방향으로 상하 2열 이상으로 구성 시, 가이드바(333-4)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뒤집힌 2차 코일(220)를 상하로 구획하여 제2 안착부(333-2)의 타 측부에 형성된 지지부(333-3)로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when the secondary coil 220 is configured in two or more rows up and down in the x-axis direction, the secondary coil 220 flipped over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guide bar 333-4 It can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and guided to the support portion 333-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도 11은 제3 보빈(330)의 지지부(333-3)와 가이드바(333-4)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지지부(333-3)간의 x축 방향 이격 거리는 2차 코일(220)의 x축 방향 두께에 대응되거나 더 클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333-4)는 2차 코일(220)의 권선 방향을 따라 제2 안착부(333-2)의 타 측부에서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바(333-4)의 돌출 길이는 제2 안착부(333-2)의 타 측부에 배치된 지지바(333-3)의 돌출 길이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다. 가이드바(333-4)의 돌출 위치는 y방향으로 각 지지부(33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333-4)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일례로 봉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Figure 11 is shown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art 333-3 and the guide bar 333-4 of the third bobbin 330, and the separation distance in the x-axis direction between the support parts 333-3 is the secondary coil ( 220) may correspond to or be greater than the x-axis direction thickness. Additionally, the guide bar 333-4 may protrude in the z-axis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along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secondary coil 220.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guide bar 333-4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upport bar 333-3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guide bar 333-4 may be disposed between each support portion 333-3 in the y direction. The shape of the guide bar 333-4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t can be configured in a rod shape.

도 12a는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의 1차 보빈의 안착지지부에 권선된 2차 코일의 형상을 x 축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2b는 2차 코일이 1열로 구성된 실시 예에서 코어 내부에서 2차 코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2a is a plan view of the shape of the secondary coil wound on the seating support portion of the primary bobbi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9, viewed from the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rimary coil is placed.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빈의 지지부(333-2) 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의 2차 코일(L1, L2, L3, L4)은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제2 안착부(333-2)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부(333-3)로 인입된 2차 코일은 제1 보빈의 바깥쪽에서 한 번 뒤집혀 제2 안착부(333-2)의 타측에 형성된 지지부(333-3)로 인입된다.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족부(111)와 중족부(113) 사이에는 복수의 2차 코일(L1, L2, L3, L4)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L1, L2, L3, L4의 순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2차 코일은 접착 부재에 의해 접착되어 각 코일 사이의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보빈의 바깥쪽에서 한 번 뒤집혀 제2 안착부(333-2)의 타측에 형성된 지지부(333-3)로 인입되는 복수의 2차 코일(L1, L2, L3, L4)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L1, L2, L3, L4의 순서로 배치된다. 즉, 보빈의 일측 최외측에 배치된 2차 코일이 대칭되는 형태로 보빈의 타측 최외측에 배치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보빈의 최외측에 배치된 2차 코일은 보빈의 바깥쪽에서 한 번 뒤집힌 후 보빈의 최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보빈의 최내측에 배치된 2차 코일은 보빈의 바깥쪽에서 한 번 뒤집힌 후 보빈의 최외측으로 인입된다.As shown in FIG. 12A, a plurality of secondary coils L1, L2, L3, and L4 drawn out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333-2 of the first bobbin are sequentially arranged side by sid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secondary coil drawn into the support part 333-3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ating part 333-2 is turned over once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bbin and the support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art 333-2 ( 333-3). As shown in Figure 12b, between the first outer foot portion 111 and the midfoot portion 113, a plurality of secondary coils (L1, L2, L3, L4) are form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L1, L2, L3, and L4. are placed in order.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condary coils are adhered by an adhesive member to minimize the gap between each coil. A plurality of secondary coils (L1, L2, L3, L4) that are turned over once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bbin and are introduced into the support portion (333-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are move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t is placed in the following order: L1, L2, L3, L4. That is,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secondary coil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one side of the bobbin is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obbin, the secondary coil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bobbin is turned over once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most part of the bobbin. Likewise, the secondary coil disposed on the innermost side of the bobbin is flipped once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and then retracted into the outermost side of the bobbin.

도 13a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의 1차 보빈의 안착지지부에 권선된 2차 코일의 형상을 x 축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3b는 2차 코일이 2열로 구성된 실시 예에서 코어 내부에서 2차 코일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2차 코일이 복층으로 배열되어 2열을 이루는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3a is a plan view of the shape of the secondary coil wound on the seating support of the primary bobbi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0, viewed from the x-axis direction, and Figure 13b i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ary coil is composed of two rows, within the core. This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primary coil is placed. Figures 13a and 13b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ary coils are arranged in multiple layers to form two rows.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빈의 일측에는 제1 방향으로 복층을 이루는 복수의 2차 코일(L11, L21, L12, L22, L13, L23, L14, L24, L15, L25, L16, L26)이 보빈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족부(113, 123)와 제1 외족부(111, 121)의 사이에 상부 코일은 중족부(113, 123)이 배치된 내측으로부터 L11, L12, L13, L14, L15, L16의 순으로 배치되고, 하부 코일은 중족부(113, 123)이 배치된 내측으로부터 L21, L22, L23, L24, L25, L26의 순으로 배치된다. 제2 안착부(333-2)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부(333-3)로 인입된 2차 코일은 제1 보빈의 바깥쪽에서 한 번 뒤집힌다. 이때, 2차 코일은 상기 제1 방향의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뒤집힌다. 즉, 상부에 배치된 2차 코일(L11 ~ L16)은 상기 제1 방향의 상부로부터 L16, L15, L14, L13, L12, L11의 순으로 뒤집히는 반면, 하부에 배치된 2차 코일(L21 ~ L26)은 상기 제1 방향의 상부로부터 L21, L22, L23, L24, L25, L26의 순으로 뒤집힌다. 1차 보빈의 바깥쪽에서 한 번씩 뒤집힌 상부 2차 코일(L11 ~ L16)과 하부 2차 코일(L21 ~ L26)은 제2 안착부(333-2)의 타측에 형성된 지지부(333-3)로 인입된다. 이때, 제2 안착부(333-2)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바(333-4)를 중심으로 분리되어 제1 보빈의 타측으로 인입된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족부(113, 123)와 제2 외족부(112, 122)의 사이로 인입되는 상부 2차 코일(L11 ~ L16)은 중족부(113, 123)이 배치된 내측으로부터 L16, L15, L14, L13, L12, L11의 순으로 인입되어 배치되고, 하부 2차 코일은 중족부(113, 123)이 배치된 내측으로부터 L26, L25, L24, L23, L22, L21의 순으로 인입되어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3A, on one side of the first bobbin, a plurality of secondary coils (L11, L21, L12, L22, L13, L23, L14, L24, L15, L25, L16, L26) are formed in multiple layers in the first direction. ) are arranged sequential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bbin. As shown in FIG. 13B, the upper coil between the midfoot portions 113 and 123 and the first outer foot portions 111 and 121 extends from the inner side where the midfoot portions 113 and 123 are disposed, L11, L12, L13, and L14. , L15, and L16, and the lower coil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L21, L22, L23, L24, L25, and L26 from the inner side where the midfoot portions 113 and 123 are located. The secondary coil introduced into the support part 333-3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ating part 333-2 is turned over once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bbin. At this time, the secondary coil is flipped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secondary coils (L11 to L16) disposed at the top are turned over in the order of L16, L15, L14, L13, L12, and L11 from the top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secondary coils (L21 to L26) disposed at the bottom ) is turned over in the order of L21, L22, L23, L24, L25, and L26 from the top in the first direction. The upper secondary coils (L11 to L16) and lower secondary coils (L21 to L26), which are turned over once on the outside of the primary bobbin, are introduced into the support portion (333-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do. At this time, it is separated around the guide bar 333-4 protrud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33-2 and is introduc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obbin. As shown in FIG. 13B, the upper secondary coils (L11 to L16) inserted between the midfoot portions 113 and 123 and the second outer foot portions 112 and 122 are located on the inner side where the midfoot portions 113 and 123 are disposed. It is placed in the order of L16, L15, L14, L13, L12, and L11, and the lower secondary coil is placed in the order of L26, L25, L24, L23, L22, and L21 from the inner side where the midfoot portions 113 and 123 are disposed. It is brought in and placed.

한편, 전술한 실시례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보빈부(300)의 슬림화된 구조를 구현하면서도 높은 리키지 인덕턴스 값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트랜스포머가 배치된 회로기판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일례로 평판형 TV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secure a high leakage inductance value while implementing a slimmed down structure of the bobbin portion 300, so a circuit board on which such a transformer is placed can be used to display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flat panel. A type TV can be provided.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권선 후 인덕턴스 편차가 줄어들면서 인덕턴스가 낮은 방향으로 전류가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prevent current from flowing in a direction with low inductance as the inductance deviation after winding is reduced.

이상에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embodiments abov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examples are as follow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s. You will see that various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se variations and differences in appl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FP: 제1 단부 SP: 제2 단부
CP: 체결부
100: 코어부 110: 상부 코어
111: 제1 외족부 112: 제2 외족부
113: 중족부 120: 하부 코어
121: 제1 외족부 122: 제2 외족부
123: 중족부 130: 제1 공간
140: 제2 공간
200: 코일부 210: 1차 코일
220: 2차 코일
300: 보빈부 310: 제1 보빈
311: 제1 체결부재 311-1: 안착홈
31-2: 지지턱 312: 코일 인출부
313: 제1 리브 314: 내측 수용부
315: 관통홀 320: 제2 보빈
321: 제2 체결부재 321-1: 상부프레임
321-2: 지지편 321-3: 제1 체결수단
322: 제2-1 리브 323: 제2-2 리브
324: 관통홀 325: 코일지지부
325-1: 구획부 330: 제3 보빈
331: 제3 체결부 331-1: 하부프레임
331-2: 제2 체결수단 332: 제3 리브
333: 안착지지부 333-1: 제1 안착부
333-2: 제2 안착부 333-3: 지지부
333-4: 가이드바 334: 관통홀
FP: first end SP: second end
CP: fastener
100: core part 110: upper core
111: first outer foot 112: second outer foot
113: midfoot 120: lower core
121: first outer foot 122: second outer foot
123: midfoot 130: first space
140: Second space
200: Coil unit 210: Primary coil
220: secondary coil
300: bobbin part 310: first bobbin
311: first fastening member 311-1: seating groove
31-2: Support jaw 312: Coil withdrawal portion
313: first rib 314: inner receiving portion
315: Through hole 320: 2nd bobbin
321: second fastening member 321-1: upper frame
321-2: Support piece 321-3: First fastening means
322: 2-1 rib 323: 2-2 rib
324: Through hole 325: Coil support
325-1: compartment 330: third bobbin
331: Third fastening portion 331-1: Lower frame
331-2: second fastening means 332: third rib
333: Seating support 333-1: First seating portion
333-2: second seating portion 333-3: support portion
333-4: Guide bar 334: Through hole

Claims (16)

제1 코어 및 상기 제1 코어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부;
1차 코일 및 상기 1차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된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어부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코일부와 결합되는 보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 및 상기 제2 코어 각각은,
상부 코어; 및
상기 상부 코어와 제1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하부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은,
제1 코일 일측부;
상기 제1 코일 일측부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대향하도록 위치한 말단부를 포함하는 제1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1 코일 일측부와 상기 제1 코일 타측부 사이의 제1 코일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코일은,
제2 코일 일측부;
상기 제2 코일 일측부와 상기 제2 방향에 대향하도록 위치한 말단부를 포함하는 제2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와 상기 제2 코일 타측부 사이의 제2 코일 중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보빈부는,
상기 제1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를 수용하는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방향으로 대향하며 상기 제2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1 코일 일측부가 배치된 제2 보빈;
상기 제1 보빈으로부터 상기 제1 코일 중간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보빈의 말단에 배치된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보빈으로부터 상기 제2 코일 중간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보빈의 말단에 배치된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서로 체결되어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1 코어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보빈과 상기 체결부 사이에 상기 제2 코어가 배치된 트랜스포머.
A core portion including a first core and a second co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re;
A coil unit includ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rimary coil; and
It includes a bobbin par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il part within the core part,
Each of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upper core; and
It includes a lower core disposed to face the upper core in a first direction,
The primary coil is,
One side of the first coil;
a first coil other side including one side of the first coil and a distal end positioned opposite to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A first coil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one side of the first coil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The secondary coil is,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 second coil side including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nd a distal end located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and
It includes a second coil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bobbin part,
a first bobbin accommoda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 second bobbin facing the first bobbin in the second direction and having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il and one side of the first coil disposed;
a first faste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bobbin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oil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bobbin; and
It includes; a second faste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second bobbin toward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coil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second bobbin;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re fastened to each other to form a fastening portion,
The first cor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bbin and the fastening part,
A transformer in which the second core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obbin and the fastening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코일 중간부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코일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The fastening part is a transformer arrang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il middle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il middle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동시에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상기 코일부 외측에 배치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2,
A transform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outside the coil portion in a third direction that simultaneously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는,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1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보빈과 상기 제2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리브;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3,
The bobbin part,
a plurality of first ribs connecting the first bobbin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A transform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ribs connecting the second bobbin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코일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 리브 사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리브 사이에 배치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4,
A transform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il middle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il middle portion a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ribs in the third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 중간부와 상기 제2 코일 중간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코어부와 직접 대면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il middle portion and the second coil middle portion include a region directly facing the core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1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bbin is a transformer having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re accommoda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제3 보빈이 더 수용되고,
상기 제3 보빈은 상기 1 코일 타측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가 배치되는 안착지지부가 형성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bobbin is furthe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third bobbin is a transformer having a seating support portion o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il are dispose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빈은 상기 체결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3 보빈의 말단에 배치된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에서 상기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8,
The third bobbin includes a third fastening member extending toward the fastening part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third bobbin,
The third fastening member is a transformer fasten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in the fastening par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 상기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3 체결부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9,
The first fastening member, the second fastening member,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are at least partial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는,
상기 제3 보빈과 상기 제3 체결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리브를 더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0,
The bobbin part,
A transforme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hird ribs connecting the third bobbin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리브는 상기 복수의 제1 리브 사이에 배치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1,
A transformer wherein the plurality of third ribs ar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rib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리브 사이에 상기 제1 코일 중간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2,
A transformer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coil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third rib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지지부는,
상기 제1 코일 타측부가 배치된 제1 안착부; 및
상기 제2 코일 일측부가 배치된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8,
The seating support,
a firs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is disposed; and
A transformer comprising a second seating portion o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coil is dispos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빈은,
상기 제1 코일 타측부의 적어도 일부가 인출되도록 형성된 코일 인출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bbin is,
A transformer including a coil pull-out portion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il is pulled out.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가 배치된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transformer is disposed.
KR1020230087101A 2022-09-29 2023-07-05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50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101A KR20240045078A (en) 2022-09-29 2023-07-05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060A KR102553809B1 (en) 2022-09-29 2022-09-29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87101A KR20240045078A (en) 2022-09-29 2023-07-05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060A Division KR102553809B1 (en) 2022-09-29 2022-09-29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078A true KR20240045078A (en) 2024-04-05

Family

ID=871559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060A KR102553809B1 (en) 2022-09-29 2022-09-29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230087101A KR20240045078A (en) 2022-09-29 2023-07-05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060A KR102553809B1 (en) 2022-09-29 2022-09-29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53809B1 (en)
WO (1) WO2024071554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34B1 (en) 2005-11-10 2007-08-13 최홍현 Variable Leakage Transformer
KR20120138700A (en) 2012-06-14 2012-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944B1 (en) * 2007-11-26 2009-08-13 부전전자 주식회사 Slim type great capacity transformer for Inverter
KR101032231B1 (en) * 2010-07-02 2011-05-02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s display apparatus having thereof
TWM428475U (en) * 2011-09-23 2012-05-01 Yujing Technology Co Ltd Biaxial core and transformer structure consisting of the same
KR101686975B1 (en) * 2015-10-08 2017-01-20 티디케이한국 주식회사 Coil device
JP2021077879A (en) * 2019-11-05 2021-05-20 Tdk株式会社 Coil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34B1 (en) 2005-11-10 2007-08-13 최홍현 Variable Leakage Transformer
KR20120138700A (en) 2012-06-14 2012-12-26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554A1 (en) 2024-04-04
KR102553809B1 (en)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453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US20080169769A1 (en) Multi-lamps driving device and transformer thereof
US9396863B2 (en) Transformer
US9424979B2 (en) Magnetic element with multiple air gaps
KR101197796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08655A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6173356A (en) High voltage transformer
US7459863B2 (en) Transformer and multi-lamp driving circuit using the same
KR20240045078A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4703A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41556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62001A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02126A (en) Magnetic component and circuit board having the same
CN116762146A (en) transformer
KR20240073446A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10446A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6108389A (en) Transformer core and leakage transformer employing it
KR100695709B1 (en) High-voltage transformer
KR20200140065A (en) Magnetic component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20357946U (en) Transformer
KR20200094423A (en) Transformer
CN216773006U (en) Magnetic core assembly
KR101036417B1 (en) Inverter Transformer
KR100563185B1 (en) Trans
US20230282410A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