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837A -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837A
KR20240044837A KR1020220124324A KR20220124324A KR20240044837A KR 20240044837 A KR20240044837 A KR 20240044837A KR 1020220124324 A KR1020220124324 A KR 1020220124324A KR 20220124324 A KR20220124324 A KR 20220124324A KR 20240044837 A KR20240044837 A KR 20240044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ing
cows
milking cows
automatic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to KR102022012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837A/ko
Publication of KR2024004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00Pasturing equipment, e.g. tethering devices; Grids for preventing cattle from straying; Electrified wire fencing
    • A01K3/005Electrified fencing for pastures
    • A01K3/006Gat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5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12Milk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육운동장 내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는 착유우가 스마트게이트로 진입되면, 스마트게이트로 착유우의 정보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착유우가 착유실 또는 분뇨 자동처리기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되, 이때, 착유실로 이동한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하고, 분뇨 자동처리기로 이동한 착유우가 분뇨 자동처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료급이보조 및 급수조에서 사료섭취 및 음수를 섭취한 후, 진입도어를 통해 사육운동장으로 복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울타리에 의해 정해진 구간을 갖는 사육운동장 내에서 착유우를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사육하여, 착유우의 운동성이 향상되고, 이 운동성 향상과 동시에 착유우의 스트레스가 감소되어, 착유우로 부터 생산되는 우유 생산량 증가와 동시에 품질이 향상되며, 사육운동장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스마트게이트로 식별하되, 각 개체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착유우가 착유실 또는 분뇨 자동처리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자동 안내하여, 착유우의 이동을 관리하는 별도의 인원이 불필요하고, 스마트게이트에 의해 분뇨 자동처리기로 이동한 착유우가 분뇨 자동처리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료급이조 및 급수조에서 사료 및 음수를 섭취한 후, 진입도어를 통해 사육운동장으로 복귀하여, 관리감독이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Automatic livestock system for milking cows}
본 발명은 자동축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게이트를 통해 착유우가 착유실 또는 분뇨 자동처리기 방향으로 선택 이동하도록 하여,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하거나 혹은 착유우가 분뇨 자동처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료급이조 및 급수조를 통해 사료 및 음수를 섭취한 후, 사육운동장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일반적으로, 착유우는 젖을 짜기 위하여 기르는 소를 일컫는 것으로서, 홀스타인, 에어셔, 저지 따위의 품종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착유우는 일정공간의 축사를 확보하여 축사 내에 칸막이로 구획하여 여러마리가 생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축사 내에는 먹이를 공급할 수 있는 사료통이 설치되어, 착유우에 사료 및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축사의 바닥에는 모래 또는 왕겨를 깔아서 착유우의 배뇨물들을 수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사료의 공급과 배뇨등의 오물 수거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져 하는 관계로 인력이 많이 요구되고, 축산업도 사업화됨에 따라서, 축사의 규모도 커지게 마련인데, 사료의 공급을 예를 들면 인력에 의하여 사료통에 사료를 공급하고, 또한 축사 바닥의 오물의 수거의 경우에도 거의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며, 근래에 와서는 인건비의 상승 등의 문제로 자동설비에 투자하고 있는 데, 대부분 닭과 같이 집단으로 서식시킬 수 있는 작은 가축들의 축사에 콘베이어설비를 갖추어 사료 및 달걀의 자동추출등의 설비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축사 자동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통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과, 레일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어, 칸막이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 형성된 축사와, 축사의 칸막이 각각에 설치된 물통과,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대차와, 대차 상면에 설치되되,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축사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축사 내로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호퍼와, 축사 바닥면에 설치되어, 축사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축사 바닥면에 흩 뿌려진 사료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수거밀판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칸막이에 의해 구획된 축사 내에는 사육되는 가축이 머무르게 되고, 이때, 레일을 따라 대차를 이동시키면서, 사료호퍼을 통해 축사 내로 사료를 자동 공급하여, 축사 내에서 가축이 사료를 섭취하게 된다.
이때, 사료호퍼는 그 내측에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복수개의 사료를 구획되게 구비하고, 그 내측 하부에 하강이송스크류를 형성하여, 이 하강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사료가 하강이동된다.
그리고, 사료호퍼 하부로 하강 이동된 사료는 축사 방향을 향하도록 정해진 각도로 형성된 분배구를 통해 배출되어, 축사 내로 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축사 내에 흩 뿌려진 사료를 집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축사 내에서 가축이 벗어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구동모터로 구동기어를 작동시켜, 타임밸트가 구동기어와 맞물리면서 수평 이동하도록 하면, 이 타임밸트에 연결된 수거밀판이 수평 이동되면서, 축사 바닥면에 흩 뿌려진 사료를 일 방향으로 밀어내어, 축사 내의 사료가 집결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가축을 축사 내에서 사육함에 따라, 가축이 협소한 공간 내에서 사육되어 가축의 운동량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사육사가 가축을 통제하여 가축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이 스트레스 발생으로 인해 착유우와 같이 우유를 생산하는 가축의 경우, 우유생산량 및 품질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또한, 정해진 시간에 사료호퍼를 통해 축사 내에 일괄적으로 사료를 공급하여, 가축의 허기짐 상태에 따라 사료 섭취여부가 달라지며, 축사 내로 공급된 사료를 미 섭취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사료의 신선도가 급격하게 저하되어, 축사 내의 사료가 오염될 우려가 있고, 이 오염된 사료를 가축이 그대로 섭취하여, 바이러스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으며, 바이러스균 감염과 동시에 다른 가축들에게 바이러스균이 확산되어, 가축이 폐사할 우려가 있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121880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유우가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하는 사육운동장을 구비하고, 이 사육운동장 일측에 착유우의 정보를 식별하는 스마트게이트를 형성하며, 스마트게이트와 연결되도록 사육운동장 일측에 설치된 착유실을 구비하고, 스마트게이트와 연결되도록 사육운동장 하부에 분뇨 자동처리기를 형성하며, 분뇨 자동처리기와 사육운동장 사이에 사료급이조 및 급수조를 형성하고, 분뉴 자동처리기와 사육운동장 사이에 사육운동장으로 착유우가 진입되도록 허용하는 진입도어를 형성하며, 분뇨 자동처리기 말단에 분뇨저장부를 형성하여, 사육운동장 내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는 착유우가 스마트게이트로 진입되면, 스마트게이트로 착유우의 정보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착유우가 착유실 또는 분뇨 자동처리기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되, 이때, 착유실로 이동한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하고, 분뇨 자동처리기로 이동한 착유우가 분뇨 자동처리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료급이보조 및 급수조에서 사료섭취 및 음수를 섭취한 후, 진입도어를 통해 사육운동장으로 복귀하도록 하는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은, 테두리를 따라 울타리를 형성하여, 상기 울타리 내의 공간에서 착유우가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하는 사육운동장; 상기 사육운동장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육운동장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식별하여, 착유우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스마트게이트; 상기 스마트게이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사육운동장 일측에 설치되고, 착유우의 진입을 허용하여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 및 저장하는 착유실; 상기 스마트게이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사육운동장 하부에 설치되고, 착유우의 진입을 허용하여 상면에 착유우가 분뇨하도록 하며, 길이방향으로 순환 작동되어 상면에 안착된 분뇨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분뇨 자동처리기;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와 상기 사육운동장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사료를 섭취하도록 하는 사료급이조; 상기 사료급이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음수를 섭취하도록 하는 급수조;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를 따라 이송된 분뇨를 낙하 공급받아,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저장부; 및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와 상기 사육운동장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육운동장 방향을 향하도록 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상기 사육운동장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는 진입도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상기 사육운동장의 착유우가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이동경로와; 상기 사육운동장의 착유우가 상기 착유실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거나 혹은 상기 착유실 내의 착유우가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이동경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상기 사육운동장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스캐닝 하여, 착유우의 직전 착유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육운동장과 착유실이 연통되도록 하여, 착유우가 착유실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고, 착유우의 직전 착유시간이 8시간 이내이면, 상기 사육운동장과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가 연통되도록 하여, 착유우가 분뇨 자동처리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게이트는, 상기 사육운동장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RFID방식으로 스캐닝 하여, 착유우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착유실은, 착유우의 유두에 자동 흡착되어,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하는 로봇착유기와; 상기 로봇착유기와 연결되어, 상기 로봇착유기를 통해 착유되는 우유를 저장하는 우유보관 냉각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는, 순환 작동되는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되고, 정해진 시간차를 두고 작동되어 상면에 안착된 분뇨를 상기 분뇨저장부로 낙하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울타리에 의해 정해진 구간을 갖는 사육운동장 내에서 착유우를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사육하여, 착유우의 운동성이 향상되고, 이 운동성 향상과 동시에 착유우의 스트레스가 감소되어, 착유우로 부터 생산되는 우유 생산량 증가와 동시에 품질이 향상되며, 사육운동장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스마트게이트로 식별하되, 각 개체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착유우가 착유실 또는 분뇨 자동처리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자동 안내하여, 착유우의 이동을 관리하는 별도의 인원이 불필요하고, 스마트게이트에 의해 착유실로 착유우가 진입되면, 착유실에서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자동 착유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되며, 또한, 스마트게이트에 의해 분뇨 자동처리기로 이동한 착유우가 분뇨 자동처리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료급이조 및 급수조에서 사료 및 음수를 섭취한 후, 진입도어를 통해 사육운동장으로 복귀하여, 관리감독이 매우 편리하고, 착유우가 배설한 분뇨를 분뇨 자동처리기로 자동 이송 처리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의 스마트게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육운동장(100)은 테두리를 따라 울타리(101)를 형성하여, 상기 울타리(101) 내의 공간에서 착유우가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한다.
상기 사육운동장(100)은 바닥에 잔디를 형성하여, 착유우가 휴식을 취하거나 혹은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한다.
상기 울타리(101)는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활동하는 착유우가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한다.
스마트게이트(2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육운동장(100)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식별하여, 착유우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그 내부로 착유우가 진입되도록 허용하여, 착유우의 정보를 스캐닝 방식으로 식별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상기 착유실(300) 및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와 연결되어, 착유우가 착유실(300) 또는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선택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의 착유우가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이동경로(201)와, 상기 사육운동장(100)의 착유우가 상기 착유실(30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거나 혹은 상기 착유실(300) 내의 착유우가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이동경로(202)를 형성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상기 제1, 제2이동경로(201, 202)를 서로 이웃하게 형성하고, 착유우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이동경로(201)를 개방하거나 혹은 상기 제2이동경로(202)를 선택 개방하여, 착유우가 상기 제1이동경로(201) 또는 제2이동경로(202)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스캐닝 하여, 착유우의 직전 착유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육운동장(100)과 착유실(300)이 연통되도록 하여, 착유우가 착유실(3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고, 착유우의 직전 착유시간이 8시간 이내이면, 상기 사육운동장(100)과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가 연통되도록 하여, 착유우가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이동경로(202)는 상기 사육운동장(100)과 착유실(300) 및 상기 착유실(300)과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연통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착유우의 직전 착유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상기 제2이동경로(202)를 개방하여, 착유우가 상기 제2이동경로(202)를 통해 상기 착유실(300)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착유우의 직전 착유시간이 8시간 이내이면, 상기 제1이동경로(201)를 개방하여, 착유우가 상기 제1이동경로(201)를 통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RFID방식으로 스캐닝 하여, 착유우를 식별한다.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착유우를 RFID방식으로 스캐닝하되,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서버와 송수신하여, 스캐닝된 정보와 서버에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착유우의 이동경로를 설정한다.
착유실(300)은 상기 스마트게이트(2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사육운동장(100) 일측에 설치되고, 착유우의 진입을 허용하여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 및 저장한다.
상기 착유실(300)은 상기 스마트게이트(200)의 제2이동경로(202)와 연통되어, 상기 제2이동경로(202)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진입되도록 한다.
상기 착유실(300)은 착유를 완료한 착유우가 상기 제2이동경로(202)를 통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착유실(300)은 착유우의 유두에 자동 흡착되어,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하는 로봇착유기(301)와, 상기 로봇착유기(301)와 연결되어, 상기 로봇착유기(301)를 통해 착유되는 우유를 저장하는 우유보관 냉각실(302)로 구성된다.
상기 로봇착유기(301)는 상기 착유실(300) 내로 착유우가 진입되면, 착유우의 유두에 자동 흡착된 후 정해진 시간동안 착유를 진행하여,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한다.
상기 로봇착유기(301)는 착유한 우유를 상기 우유보관 냉각실(302)로 공급한다.
상기 우유보관 냉각실(302)은 그 내부를 냉각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내부로 우유가 저장되도록 하여, 우유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뇨 자동처리기(400)는 상기 스마트게이트(2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사육운동장(100) 하부에 설치되고, 착유우의 진입을 허용하여 상면에 착유우가 분뇨하도록 하며, 길이방향으로 순환 작동되어 상면에 안착된 분뇨를 일 방향으로 이송한다.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는 착유우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면서, 그 상면에 분뇨를 배설하도록 하여, 분뇨가 안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는 분뇨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뇨를 상기 분뇨저장부(700)로 낙하 공급한다.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는 순환 작동되는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되고, 정해진 시간차를 두고 작동되어 상면에 안착된 분뇨를 상기 분뇨저장부(700)로 낙하 이송한다.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는 착유우가 활동하는 정해진 시간에 작동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고, 착유우가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활동하는 정해진 시간동안 작동되어, 분뇨를 상기 분뇨저장부(700)로 낙하 공급한다.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분뇨를 상기 분뇨저장부(700)로 낙하 공급할 수 있다.
사료급이조(500)는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와 상기 사육운동장(1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사료를 섭취하도록 한다.
상기 사료급이조(500)는 그 내부에 사료를 수용하여,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동하던 착유우가 사료를 섭취하도록 한다.
상기 사료급이조(500)는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사료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혹은 작업자가 사료를 공급하여, 사료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급수조(600)는 상기 사료급이조(50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음수를 섭취하도록 한다.
상기 급수조(600)는 그 내부에 음수를 수용하여, 착유우가 음수를 섭취하도록 한다.
상기 급수조(600)는 계절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된 상태의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수조(600)는 정해진 시간차를 두고 음수를 배수한 후, 음수를 공급받아 음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뇨저장부(7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송된 분뇨를 낙하 공급받아, 분뇨를 저장한다.
진입도어(800)는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와 상기 사육운동장(1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육운동장(100) 방향을 향하도록 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700)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상기 사육운동장(100)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진입도어(8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활동하는 착유우가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진입도어(8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 방향으로 회전 개방되고, 착유우가 상기 사육운동장(100)으로 진입되면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사육운동장(100)과 분뇨 자동처리기(400) 사이를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사육운동장(100) 내에 착유우를 몰아넣어,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착유우가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사육운동장(100) 테두리에는 울타리(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울타리(101)로 상기 사육운동장(100) 테두리가 차단함으로써,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는 착유우가 상기 사육운동장(1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활동하던 착유우가 상기 스마트게이트(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마트게이트(200) 내로 진입되면, 상기 스마트게이트(200) 내에서 착유우에 부착된 바코드를 RFID방식으로 스캐닝 하고, 스캐닝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와 접속하여 바코드가 스캐닝된 착유우의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로 착유우의 정보를 식별하여, 이 착유우(200)의 직전 착유 시간이 8시간 이내이면, 상기 스마트게이트(200)의 제1이동경로(201)가 개방되어, 상기 제1이동경로(201)를 따라 착유우가 이동하도록 한다.
그러면, 착유우가 상기 제1이동경로(201)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로 진입된 후,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사료급이조(500) 또는 급수조(600)에 도달하여, 사료 또는 음수를 섭취하도록 한다.
여기서, 착유우가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분뇨를 배설하거나 혹은 사료 또는 음수를 섭취하면서 분뇨를 배설하게 되면, 이 분뇨가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사료 또는 음수 섭취 및 분뇨 배설을 한 착유우는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동하다가, 진입도어(800)에 도달한 후 상기 진입도어(800)를 상기 사육운동장(100) 방향으로 밀어 개방한 상태로,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로 복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진입도어(800)는 착유우에 의해 밀려 개방된 후, 착유우가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로 복귀하면,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와 상기 사육운동장(100) 사이를 차단한다.
특히, 상기 진입도어(8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 방향을 향하도록 단 방향으로 개방됨으로써,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활동하는 착유우가 상기 진입도어(800)를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개방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에 착유우가 체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마트게이트(200)에서 착유우 정보를 스캐닝하여, 착유우의 직전 우유 착유시간이 8시간 이상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게이트(200)의 제2이동경로(202)를 개방하여, 착유우가 상기 제2이동경로(202)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그러면, 착유우가 상기 제2이동경로(202)를 통해 상기 착유실(300)로 진입되고, 이때, 상기 착유실(300) 내로 착유우가 진입됨과 동시에 상기 로봇착유기(301)가 착유우의 유두에 흡착된 상태로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한다.
그리고, 상기 로봇착유기(301)로 착유되는 우유는 상기 우유보관 냉각실(302)로 공급되어, 상기 우유보관 냉각실(302) 내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착유실(300) 내에서 우유의 착유를 완료한 착유우는 상기 제2이동경로(202)를 통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후,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분뇨 배설, 사료 및 음수 섭취를 진행한 후 상기 진입도어(800)를 통해 상기 사육운동장(100)으로 복귀한다.
반면,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착유우가 휴식을 취하거나 혹은 자유 활동을 하는 정해진 시간동안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를 차단하여, 상기 사육운동장(100) 내의 착유우 이동을 제한하고, 이때,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컨베이어 방식으로 작동시켜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상에 안착된 분뇨를 상기 분뇨저장부(700) 방향으로 이송한다.
그러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에 의해 이송되는 분뇨가 상기 분뇨저장부(700) 방향으로 낙하 배출되고, 이에따라, 상기 분뇨저장부(700) 내에 분뇨가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마트게이트(200)에서 착유우의 정보를 식별한 후, 이 정보를 기반으로 착유우를 착유실(300)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시켜, 우유를 착유하거나 혹은 사료, 음료섭취 및 분뇨를 배설하도록 하는 구조는, 울타리(101)에 의해 정해진 구간을 갖는 사육운동장(100) 내에서 착유우를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사육하여, 착유우의 운동성이 향상되고, 이 운동성 향상과 동시에 착유우의 스트레스가 감소되어, 착유우로 부터 생산되는 우유 생산량 증가와 동시에 품질이 향상되며, 사육운동장(100)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스마트게이트(200)로 식별하되, 각 개체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착유우가 착유실(300) 또는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자동 안내하여, 착유우의 이동을 관리하는 별도의 인원이 불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사육운동장 101 : 울타리
200 : 스마트게이트 201 : 제1이동경로
202 : 제2이동경로 300 : 착유실
301 : 로봇착유기 302 : 우유보관 냉각실
400 : 분뇨 자동처리기 500 : 사료급이조
600 : 급수조 700 : 분뇨저장부
800 : 진입도어

Claims (6)

  1. 테두리를 따라 울타리(101)를 형성하여, 상기 울타리(101) 내의 공간에서 착유우가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하는 사육운동장(100);
    상기 사육운동장(100)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육운동장(100)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식별하여, 착유우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스마트게이트(200);
    상기 스마트게이트(2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사육운동장(100) 일측에 설치되고, 착유우의 진입을 허용하여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 및 저장하는 착유실(300);
    상기 스마트게이트(200)와 연결되도록, 상기 사육운동장(100) 하부에 설치되고, 착유우의 진입을 허용하여 상면에 착유우가 분뇨하도록 하며, 길이방향으로 순환 작동되어 상면에 안착된 분뇨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분뇨 자동처리기(400);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와 상기 사육운동장(10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사료를 섭취하도록 하는 사료급이조(500);
    상기 사료급이조 (500)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음수를 섭취하도록 하는 급수조(600);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를 따라 이송된 분뇨를 낙하 공급받아,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저장부(700); 및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와 상기 사육운동장(1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사육운동장(100) 방향을 향하도록 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700)를 따라 이동하는 착유우가 상기 사육운동장(100)으로 진입하도록 허용하는 진입도어(8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의 착유우가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이동경로(201)와;
    상기 사육운동장(100)의 착유우가 상기 착유실(30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거나 혹은 상기 착유실(300) 내의 착유우가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2이동경로(202);
    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스캐닝 하여, 착유우의 직전 착유시간이 8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육운동장(100)과 착유실(300)이 연통되도록 하여, 착유우가 착유실(3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고,
    착유우의 직전 착유시간이 8시간 이내이면, 상기 사육운동장(100)과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가 연통되도록 하여, 착유우가 분뇨 자동처리기(4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게이트(200)는,
    상기 사육운동장(100) 외부로 이동하는 착유우의 정보를 RFID방식으로 스캐닝 하여, 착유우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유실(300)은,
    착유우의 유두에 자동 흡착되어, 착유우로 부터 우유를 착유하는 로봇착유기(301)와;
    상기 로봇착유기(301)와 연결되어, 상기 로봇착유기(301)를 통해 착유되는 우유를 저장하는 우유보관 냉각실(30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 자동처리기(400)는,
    순환 작동되는 컨베이어 구조로 형성되고, 정해진 시간차를 두고 작동되어 상면에 안착된 분뇨를 상기 분뇨저장부(700)로 낙하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KR1020220124324A 2022-09-29 2022-09-29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KR20240044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324A KR20240044837A (ko) 2022-09-29 2022-09-29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324A KR20240044837A (ko) 2022-09-29 2022-09-29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837A true KR20240044837A (ko) 2024-04-05

Family

ID=9071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324A KR20240044837A (ko) 2022-09-29 2022-09-29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8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880Y1 (ko) 1995-04-21 1998-07-01 황정규 축사의 자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880Y1 (ko) 1995-04-21 1998-07-01 황정규 축사의 자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8317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ilking a plurality of milking animals
US6019061A (en) Arrangement for and a method of managing a herd of freely walking animals
US808738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nimal management
Wageningen UR Livestock Research Animal welfare risk assessment guidelines on housing and management (EFSA Housing Risk)
Shilov et al. Milk production on a modern dairy farm
US8171881B2 (en) Milking facility and method for milking therein
DE60220810T2 (de) Verfahren zur handhabung von tieren und melkstation
KR20240044837A (ko) 착유우 사육용 자동축사 시스템
EP3326454B1 (en) Pasture barn
CA2314567A1 (en) Method of raising rabbit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WO2000001226A1 (en) Separating system
EP1272029B1 (en) Milk feeding of young animals
US20030150392A1 (en) Milk feeding of young animals
Paunova-Hubenova et al. Contemporary Technical Solutions for Milking Stalls and Dairy Barns with AMS
RU2373701C2 (ru) Способ содержания свиней на модульной свиноферме "семейными стада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342673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animal stock
US20100313812A1 (en) System for milking cows and method
RU2796159C1 (ru) Секция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телят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оров-кормилиц
RU2787054C1 (ru)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ое помещение - механизированный коровник
SU1102532A1 (ru) Выгульно-кормова площадка дл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Guss A health program for dairy cattle
Pitkäranta et al. Automatic milking in large dairy herds
Kravchenko et al. Improvement of innovative technologies in milk production
SU445402A1 (ru) Конвейер дл содержани животных
EP1041873B1 (en) An arrangement for and a method of managing a herd of anim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