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761A -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761A
KR20240044761A KR1020220124184A KR20220124184A KR20240044761A KR 20240044761 A KR20240044761 A KR 20240044761A KR 1020220124184 A KR1020220124184 A KR 1020220124184A KR 20220124184 A KR20220124184 A KR 20220124184A KR 20240044761 A KR20240044761 A KR 20240044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unication
access point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수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22012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761A/ko
Priority to PCT/KR2023/014972 priority patent/WO2024072073A1/ko
Publication of KR2024004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별도의 네트워크 공사없이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AP)와 연동하여 실내외의 다중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를 제시한다. 제시된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1 신호를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1 통신 모듈,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2 신호를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2 통신 모듈, 및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3 신호를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3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는 USB 타입의 동글 형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Hybri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SB 타입의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헬스케어를 위한 IoMT(Internet of Medical Things; 의료 사물인터넷)와 관련하여, 댁내 또는 일정 장소(예컨대, 병원)에 존재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위치 추적, 생체 데이터(의료 데이터) 수집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다양한 헬스케어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 생체 데이터 등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소정의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로는 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네트워크, LoRa 네트워크,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설치공사를 실시해야 하므로, 상당한 공사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를 신규의 통신 네트워크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를 제거한 후에 신규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치해야 하므로, 더욱 많은 공사비용이 발생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002호(2009.09.09.)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9698호(2012.10.09.)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95686호(2021.08.2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네트워크 공사없이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AP)와 연동하여 실내외의 다중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1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1 통신 모듈;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2 신호를 상기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2 통신 모듈; 및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3 신호를 상기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3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는 USB 타입의 동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기 연결이 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활성화되고,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 모듈은, 상기 연결이 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활성화되고,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3 통신 모듈은, 상기 연결이 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활성화되고, 상기 제 3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USB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과 제 2 통신 모듈 및 제 3 통신 모듈을 상기 USB 포트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 1 통신 모듈과 상기 제 2 통신 모듈 및 상기 제 3 통신 모듈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 1 통신 모듈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1 커넥터;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 2 통신 모듈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 3 통신 모듈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 3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3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저전력 광역통신(LPWA) 기반의 통신방식이고,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반의 통신방식이고, 상기 제 3 통신 방식은 초광대역(UWB) 기반의 통신방식일 수 있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1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보내고, 상기 제 2 통신 모듈로부터의 제 2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2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게로 보내고, 상기 제 3 통신 모듈로부터의 제 3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3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게로 보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USB 타입의 동글(dongle) 형태의 디바이스를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예컨대, 와이파이 공유기)에 연결시킴으로써 기존의 액세스 포인트와 연동하여 실내외에서의 다중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USB 타입의 동글(dongle) 형태의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를 미리 설치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끼움)시키면 간단하게 다중 통신이 가능하므로, 다중 통신을 위한 인프라 구축 공사를 추가적으로 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추가 공사비 발생을 없앨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는 LPWA(예컨대, 시그폭스(SIGFOX)) 기반의 통신방식과 BLE 기반의 통신 방식 및 UWB 기반의 통신 방식을 채용하는데, 스그폭스의 경우 페어링이 필요없으므로 BLE의 언페어링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타입의 동글(dongle) 형태의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되면 실시간 위치 추적은 주로 BLE 및 UWB를 통해 행할 수 있고, 데이터 통신은 LPWA를 통해 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의 실시간 위치추적 및 데이터 통신을 무리없이 행할 수 있다.
특히, 제 1 통신 모듈이 LPWA(예컨대, 시그폭스(SIGFOX)) 기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므로, 데이터의 무결성 및 연속성을 보장해 줄 수 있고, 안정적인 커버리지, 많은 수의 단말기(예컨대, 헬스케어 디바이스) 접속, 저전력 및 저비용의 조건을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가 채용된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공간에 배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가 채용된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시스템은 외부 디바이스(50),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 액세스 포인트(200), 중계기(300),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 IDMS) 사물인터넷 플랫폼(500), 및 클라우드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50)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와의 무선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기기로서, 예를 들어 다양한 헬스케어 디바이스 또는 스마트폰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50)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와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위해, LPWA(예컨대, 시그폭스(SIGFOX)) 기반의 통신방식으로 작동하는 통신 모듈(도시 생략)과 BLE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작동하는 통신 모듈(도시 생략) 및 UWB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작동하는 통신 모듈(도시 생략)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는 다수의 통신 모듈(10, 20, 30)을 포함하여 외부 디바이스(50) 및 액세스 포인트(200)와 다중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제 1 통신 모듈(10)은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1 신호를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2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방식은 저전력 광역통신(LPWA) 기반의 통신방식일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그폭스(SIGFOX)의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이 적용된 통신방식일 수 있다.
물론, 저전력 광역통신(LPWA)의 통신방식은 최소한의 전력으로 먼 거리(예컨대, 대략 10Km 정도)까지 통신이 가능하므로, 제 1 통신 모듈(10)은 실내 및 실외에서 충분히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모듈(10)은 주변의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저전력 광역통신(LPWA)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의 제 1 신호는 예를 들어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신호를 LPWA 신호라고 칭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10)은 외부 디바이스(50)와의 신호 교류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50)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신호는 위치 정보 및 상술한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전력 광역통신(LPWA)의 통신방식이 채용된 제 1 통신 모듈(10)은 실내에서 시그폭스(SIGFOX)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로 동작하기 위해서, 특히 USB 타입의 동글 형태에 맞게 안테나(도시 생략)가 작아야 할 것이다.
제 1 통신 모듈(10)은 저전력 광역통신(LPWA)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는데, 위치측위보다는 주로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 2 통신 모듈(20)은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2 신호를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방식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반의 통신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모듈(20)은 주변의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의 제 2 신호를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의 제 2 신호는 예를 들어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신호를 BLE 신호라고 칭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 2 통신 모듈(20)은 외부 디바이스(50)와의 신호 교류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50)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신호는 위치 정보 및 상술한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전력 블루투스(BLE)의 통신방식이 채용된 제 2 통신 모듈(20)은 실내에서 저전력 블루투스(BLE)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로 동작하기 위해서, 특히 USB 타입의 동글 형태에 맞게 안테나(도시 생략)가 작아야 할 것이다.
제 2 통신 모듈(20)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는데, 주로 위치측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 3 통신 모듈(30)은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3 신호를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통신 방식은 초광대역(UWB) 기반의 통신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통신 모듈(30)은 주변의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의 제 3 ?電釉? 초광대역(UWB)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의 제 3 신호는 예를 들어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3 신호를 UWB 신호라고 칭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 3 통신 모듈(30)은 외부 디바이스(50)와의 신호 교류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50)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3 신호는 위치 정보 및 상술한 생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초광대역(UWB)의 통신방식이 채용된 제 3 통신 모듈(30)은 실내에서 초광대역(UWB)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로 동작하기 위해서, 특히 USB 타입의 동글 형태에 맞게 안테나(도시 생략)가 작아야 할 것이다.
제 3 통신 모듈(30)은 초광대역(UWB) 게이트웨이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는데, 주로 위치측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가정, 상업시설, 사무시설, 의료시설 등의 실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가급적 음영지역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공유기일 수 있다.
앞서 예시한 와이파이 공유기를 액세스 포인트(200)로 할 수 있는 이유는 와이파이 공유기는 이미 가정, 상업시설, 사무시설, 의료시설 등에 널리 보급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와이파이 공유기에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간단하게 다중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초기 인프라 구축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와이파이 공유기 대신에 노트북 또는 PC(데스크톱)를 액세스 포인트(200)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의 노트북 또는 PC는 무선랜 카드 및 USB 포트가 설치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제 1 통신 모듈(10)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1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중계기(3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60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신호는 예를 들어 저전력 광역통신(LPWA)의 통신방식(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그폭스(SIGFOX))에 의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0)는 제 1 신호를 와이파이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클라우드 서버(60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이때, 제 1 신호는 중계기(300)를 경유하여 클라우드 서버(600)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200)는 제 2 통신 모듈(20)로부터의 제 2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2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 IDMS)에게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신호는 예를 들어 저전력 블루투스(BLE)의 통신방식에 의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0)는 제 2 신호를 와이파이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 IDMS)에게로 보낼 수 있다. 이때, 제 2 신호는 중계기(300)를 경유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 IDMS)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200)는 제 3 통신 모듈(30)로부터의 제 3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3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 IDMS)에게로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제 3 신호는 예를 들어 초광대역(UWB)의 통신방식에 의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200)는 제 3 신호를 와이파이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 IDMS)에게로 보낼 수 있다. 이때, 제 3 신호는 중계기(300)를 경유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 IDMS)에게로 전송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액세스 포인트(200)는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변환 모듈에 의해 제 1 신호 또는 제 2 신호 또는 제 3 신호를 와이파이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중계기(30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와이파이 데이터 패킷(제 1 신호 또는 제 2 신호 또는 제 3 신호를 포함)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중계기(30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와이파이 데이터 패킷을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 또는 클라우드 서버(6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기(300)는 제 1 신호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데이터 패킷을 클라우드 서버(600)에게로 전달할 수 있고, 제 2 신호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데이터 패킷 및 제 3 신호를 포함하는 와이파이 데이터 패킷을 클라우드 서버(6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중계기(300)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예를 들어 라우터(router) 또는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은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은 클라우드 서버(600) 및 사물인터넷 플랫폼(500)과 각각 PaaS(Platform as a Service) 연동을 행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500)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물데이터의 수집/제공, 사물기기의 관리, 연결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플랫폼(500)은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과 PaaS 연동을 행하고, 다수의 사물들과의 인터렉션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더 효율적인 지식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 플랫폼(500)은 다양한 사물 디바이스들을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 응용 서비스를 구성하기에 필요한 공통 요구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물인터넷 플랫폼(500)은 다양한 응용 분야(예컨대, 헬스(헬스케어), 건설(스마트 홈), 제조(스마트 공장), 농업(스마트 농업), 에너지(스마트 그리드), 환경(환경 감시), 국방(감시정찰)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600)는 물리적 서버와 마찬가지로 작동하며 데이터 저장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같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600)는 가상화를 통해 다수의 가상 서버로 분할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600)는 중계기(300)를 통해 입력되는 제 1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600)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의 사용자(예컨대, 관리자)가 요청하는 데이터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는 USB 타입의 동글(dong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의 제 1 통신 모듈(10), 제 2 통신 모듈(20), 및 제 3 통신 모듈(30)은 소정의 몸체(12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통신 모듈(10)은 해당 모듈의 동작을 위해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IC(도시 생략) 및 수동소자들(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통신 모듈(20)은 해당 모듈의 동작을 위해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IC(도시 생략) 및 수동소자들(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통신 모듈(30)은 해당 모듈의 동작을 위해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IC(도시 생략) 및 수동소자들(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제 1 통신 모듈(10), 제 2 통신 모듈(20), 및 제 3 통신 모듈(30) 이외로, 제 1 통신 모듈(10)과 제 2 통신 모듈(20) 및 제 3 통신 모듈(30)을 액세스 포인트(200)의 USB 포트(210)와 연결시키는 커넥터(1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커넥터(110)와 USB 포트(210)간의 연결해제도 가능하다.
여기서, 커넥터(110)는 제 1 커넥터(12), 제 2 커넥터(22), 및 제 3 커넥터(32)로 세분화시킬 수 있다.
제 1 커넥터(12)는 커넥터(110)와 USB 포트(210)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전원을 제 1 통신 모듈(10)에게로 전달할 수 있고, 제 1 통신 모듈(10)에서 수신한 제 1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이라 함은 커넥터(110)가 USB 포트(210)에 끼워져서 액세스 포인트(200)와 제 1 통신 모듈(10)간의 전원 경로 및 액세스 포인트(200)와 제 1 통신 모듈(10)간의 신호 경로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 2 커넥터(22)는 커넥터(110)와 USB 포트(210)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전원을 제 2 통신 모듈(20)에게로 전달할 수 있고, 제 2 통신 모듈(20)에서 수신한 제 2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이라 함은 커넥터(110)가 USB 포트(210)에 끼워져서 액세스 포인트(200)와 제 2 통신 모듈(20)간의 전원 경로 및 액세스 포인트(200)와 제 2 통신 모듈(20) 간의 신호 경로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 3 커넥터(32)는 커넥터(110)와 USB 포트(210)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전원을 제 3 통신 모듈(30)에게로 전달할 수 있고, 제 3 통신 모듈(30)에서 수신한 제 3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이라 함은 커넥터(110)가 USB 포트(210)에 끼워져서 액세스 포인트(200)와 제 3 통신 모듈(30)간의 전원 경로 및 액세스 포인트(200)와 제 3 통신 모듈(30)간의 신호 경로가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의 형태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모듈(10)과 제 2 통신 모듈(20) 및 제 3 통신 모듈(30)이 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커넥터(110)를 갖추고서, 액세스 포인트(200)의 USB 포트(210)에 연결(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하리라 본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200)의 USB 포트(210)는 제 1 커넥터(12)와의 연결 및 연결해제되는 제 1 포트부(210a), 제 2 커넥터(22)와의 연결 및 연결해제되는 제 2 포트부(210b), 및 제 3 커넥터(32)와의 연결 및 연결해제되는 제 3 포트부(210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의 커넥터(110)를 액세스 포인트(200)의 USB 포트(210)에 끼우게 되면 제 1 커넥터(12)는 제 1 포트부(201)에 연결(결합)되고, 제 2 커넥터(22)는 제 2 포트부(202)에 연결(결합)되고, 제 3 커넥터(32)는 제 3 포트부(203)에 연결(결합)될 것이다. 이때의 연결(결합)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즉, 제 1 커넥터(12)와 제 1 포트부(201)와의 연결(결합), 제 2 커넥터(22)와 제 2 포트부(202)와의 연결(결합), 및 제 3 커넥터(32)와 제 3 포트부(203)와의 연결(결합)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진다.
도 3에서는 제 1 커넥터(12)와 제 2 커넥터(22) 및 제 3 커넥터(32)가 물리적으로 구획되거나 서로 이격된 것처럼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리한 것이다. 즉,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의 전원 수신 및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에서의 신호 전송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그리한 것이다.
상술한 커넥터(11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전원을 USB 포트(210)를 통해 제공받아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에게로 전달하고,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의 신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커넥터(12)와 제 2 커넥터(22) 및 제 3 커넥터(32)는 물리적으로 구획되거나 서로 이격되게 구성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 모듈(10)만을 액세스 포인트(200)에 연결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제 1 커넥터(즉, 12)만을 USB 포트(210)(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포트부(210a))에 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제 1 커넥터(12)와 제 2 커넥터(22) 및 제 3 커넥터(32)를 물리적으로 구획시키거나 서로 이격되게 구성시킬 경우에는, 제 1 포트부(210a)와 제 2 포트부(210b) 및 제 3 포트부(210c)를 물리적으로 구획시키거나 서로 이격되게 구성시켜도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제 1 포트부(210a)와 제 2 포트부(210b) 및 제 3 포트부(210c)가 물리적으로 구획되거나 서로 이격된 것처럼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리한 것이다. 즉,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에게로의 전원 제공 및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로부터의 신호 수신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그리한 것이다.
상술한 USB 포트(21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전원을 커넥터(110)를 통해 제공하고,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의 신호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커넥터(11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서,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각각의 커넥터(12, 22, 32)는 1개의 전원 라인 및 1개의 신호 라인을 각각 갖추고, 각각의 포트부(210a, 210b, 210c)는 1개의 전원 핀 및 1개의 신호 핀을 각각 갖추는 것처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3개의 커넥터(12, 22, 32)와 3개의 포트부(210a, 210b, 210c)로 표현하는 것 대신에, USB 포트(210)는 1개의 전원 핀 및 3개의 개별 신호 핀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커넥터(110)는 3개로 분기된 전원 라인 및 3개의 개별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110)가 USB 포트(210)와 결합하게 되면 USB 포트(210)의 1개의 전원 핀과 커넥터(110)의 3개로 분기된 전원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전원이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에게로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110)의 3개의 개별 신호 라인과 USB 포트(210)의 3개의 개별 신호 핀은 서로 대응되는 것끼리 연결된다. 그래서,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의 신호는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면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상술한 설명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상술한 구성의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는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게 되면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가 특정 공간에 배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액세스 포인트(200; 예컨대 와이파이 공유기)는 임의의 장소(700)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에서의 장소(700)는 가정의 실내, 상업시설의 내부, 사무시설, 의료시설의 내부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소(700)가 병원의 각 층의 내부라고 가정한다.
이와 같이 병원의 각 층의 내부에서는 음영지역을 고려하여 액세스 포인트(200; 예컨대, 와이파이 공유기)가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서는 7개의 액세스 포인트(20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액세스 포인트(200)의 수는 그리 중요하지 않고, 가급적 음영지역마다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200)의 USB 포트(210)에는 USB 타입의 동글(dongle) 형태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가 연결(결합)된다. 즉, USB 타입의 동글(dongle) 형태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의 커넥터(110)가 액세스 포인트(200)의 USB 포트(210)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하면, 액세스 포인트(200)로부터의 전원이 USB 포트(210) 및 커넥터(110)를 통해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의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에게로 인가되어, 각각의 통신 모듈(10, 20, 30)이 활성화된다.
그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10)은 주변의 외부 디바이스(50; 예컨대, 헬스케어 디바이스, 스마트폰)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통신 모듈(20)은 주변의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의 제 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 3 통신 모듈(20)은 주변의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의 제 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제 1 통신 모듈(10)이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제 1 통신 모듈(10)은 수신한 제 1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통신 모듈(10)은 자신의 식별정보 및 가상 서버(즉, 제 1 신호를 수신할 가상 서버)의 식별정보 등을 제 1 신호에 포함시켜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신호는 위치 정보 및/또는 소정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디바이스(50)가 LPWA 통신(예컨대, 시그폭스(SIGFOX) 통신)을 할 수 있다면 외부 디바이스(50)는 위치 정보 및/또는 생체정보를 LPWA 통신 방식(예컨대, 시그폭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 1 통신 모듈(10)에게로 전송할 것이다. 그에 따라, 제 1 통신 모듈(10)은 수신한 위치 정보 및/또는 생체정보를 제 1 신호로 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전달받은 제 1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 방식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중계기(3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600)에게로 전송한다.
제 1 통신 모듈(10)의 저전력 광역통신(LPWA)의 통신방식은 최소한의 전력으로 먼 거리(예컨대, 대략 10Km 정도)까지 통신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50)가 실내가 아닌 실외에 있더라도 실외의 외부 디바이스(50)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충분히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 2 통신 모듈(20)이 제 2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통신 모듈(20)은 수신한 제 2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통신 모듈(20)은 자신의 식별정보 등을 제 2 신호에 포함시켜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신호는 위치 정보 및/또는 소정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디바이스(50)가 BLE 통신을 할 수 있다면 외부 디바이스(50)는 위치 정보 및/또는 생체정보를 BLE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 2 통신 모듈(20)에게로 전송할 것이다. 그에 따라, 제 2 통신 모듈(20)은 수신한 위치 정보 및/또는 생체정보를 제 2 신호로 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전달받은 제 2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 방식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중계기(300)를 통해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에게로 전송한다.
한편, 제 3 통신 모듈(30)이 제 3 신호를 수신하면 제 3 통신 모듈(30)은 수신한 제 3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통신 모듈(30)은 자신의 식별정보 등을 제 3 신호에 포함시켜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신호는 위치 정보 및/또는 소정의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디바이스(50)가 UWB 통신을 할 수 있다면 외부 디바이스(50)는 위치 정보 및/또는 생체정보를 UWB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 3 통신 모듈(30)에게로 전송할 것이다. 그에 따라, 제 3 통신 모듈(30)은 수신한 위치 정보 및/또는 생체정보를 제 3 신호로 하여 액세스 포인트(200)에게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전달받은 제 3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 방식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중계기(300)를 통해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400)에게로 전송한다.
상기에서 외부 디바이스(50)는 LPWA 통신과 BLE 통신 및 UWB 통신 중에서 하나만을 할 수 있는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50)는 LPWA 통신과 BLE 통신 및 UWB 통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통신(LPWA 통신, BLE 통신, UWB 통신)이 가능한 USB 타입의 동글(dongle) 형태의 디바이스(100)를 기설치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200)에 결합시키게 되면 별도의 네트워크 공사없이 간편하게 실내외에서의 다중 통신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인프라 구축 비용이 매우 적게 된다. 즉, 종래 와이파이 네트워크가 구현된 공간에 다른 네트워크를 추가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네트워크 공사를 추가적으로 해야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예컨대, 와이파이 공유기)에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100)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인프라 구축 비용이 매우 적게 된다.
특히, 저전력 광역통신(LPWA)의 통신방식(예컨대, 시그폭스(SIGFOX))은 실내 및 실외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별 문제없이 행할 수 있으므로, 기존 실내에서의 데이터 통신에서의 단점(예컨대, BLE의 언페어링 문제)을 해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위치측위는 BLE 및 UWB를 이용하여 행하고, 데이터 통신은 시그폭스(SIGFOX)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의 위치측위 및 데이터 통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 모듈(10)은 저전력 광역통신(LPWA)의 통신방식(예컨대, 시그폭스(SIGFOX))을 채용함에 따라, 데이터의 무결성 및 연속성을 보장해 줄 수 있고, 안정적인 커버리지, 많은 수의 단말기(예컨대, 헬스케어 디바이스) 접속, 저전력 및 저비용의 조건을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 1 통신 모듈 20 : 제 2 통신 모듈
30 : 제 3 통신 모듈 50 : 외부 디바이스
100: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110 : 커넥터
200 : 액세스 포인트 210 : USB 포트
300 : 중계기
400 :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500 : 사물인터넷 플랫폼
60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9)

  1.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1 신호를 상기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1 통신 모듈;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2 신호를 상기 제 2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2 통신 모듈; 및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3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 3 신호를 상기 제 3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3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는 USB 타입의 동글 형태로 형성된,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모듈은,
    상기 연결이 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활성화되고,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 모듈은,
    상기 연결이 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활성화되고,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 모듈은,
    상기 연결이 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활성화되고, 상기 제 3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USB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과 제 2 통신 모듈 및 제 3 통신 모듈을 상기 USB 포트와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 1 통신 모듈과 상기 제 2 통신 모듈 및 상기 제 3 통신 모듈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신호와 상기 제 2 신호 및 상기 제 3 신호 중에서 하나 이상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 1 통신 모듈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1 커넥터;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 2 통신 모듈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2 커넥터; 및
    상기 USB 포트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 3 통신 모듈에게로 전달하고, 상기 제 3 신호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게로 전송하는 제 3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저전력 광역통신(LPWA) 기반의 통신방식이고,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반의 통신방식이고,
    상기 제 3 통신 방식은 초광대역(UWB) 기반의 통신방식인,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 1 통신 모듈로부터의 제 1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1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게로 보내고,
    상기 제 2 통신 모듈로부터의 제 2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2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게로 보내고,
    상기 제 3 통신 모듈로부터의 제 3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제 3 신호를 와이파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게로 보내는,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KR1020220124184A 2022-09-29 2022-09-29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KR20240044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84A KR20240044761A (ko) 2022-09-29 2022-09-29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PCT/KR2023/014972 WO2024072073A1 (ko) 2022-09-29 2023-09-27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84A KR20240044761A (ko) 2022-09-29 2022-09-29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761A true KR20240044761A (ko) 2024-04-05

Family

ID=9047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184A KR20240044761A (ko) 2022-09-29 2022-09-29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4761A (ko)
WO (1) WO202407207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002A (ko)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모든넷 Uwb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120109698A (ko) 2011-03-25 2012-10-09 주식회사 케이벨 Uwb 하이브리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95686B1 (ko) 2015-04-15 202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하이브리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3314B2 (en) * 2005-08-02 2010-10-12 Waav Inc. Mobile router device
KR100694298B1 (ko) * 2005-12-08 2007-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유에스비 접속을 위한 무선 근거리 통신망 콤보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 장치에서의소프트웨어 계층 구조
KR20110138881A (ko) * 2010-06-22 2011-12-28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선망을 이용한 유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20130032206A (ko) * 2011-09-22 2013-04-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라우터 및 유에스비 동글 모뎀
CN102833878B (zh) * 2012-08-20 2019-0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热点装置以及接入网络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002A (ko) 2008-03-04 2009-09-09 주식회사 모든넷 Uwb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120109698A (ko) 2011-03-25 2012-10-09 주식회사 케이벨 Uwb 하이브리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95686B1 (ko) 2015-04-15 202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하이브리드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2073A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78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xed-mesh wireless networking
US20080005395A1 (en) Adapter to convert USB device into WUSB device
CN104967656B (zh) 无线ZigBee数据采集实时监测房屋变形的远传系统
US9270571B2 (en) Router collaboration
CN104579796A (zh) 一种网络设备的远程维护方法、终端及系统
CN204884521U (zh) 用于led显示屏的接收卡、led显示屏及系统
CN104749961A (zh) 智能家电的数据通信系统和智能家电的数据通信方法
CN104811357A (zh) 一种物联网系统
US20180063875A1 (en) Wireless Adapter
CN106790103A (zh) 专网专用的网闸穿透安全方法
CN211720749U (zh) 一种实现故障信息无线传输的控制板、管理设备、系统
KR20240044761A (ko) 하이브리드 통신 디바이스
CN202475778U (zh) 一种工业级3g无线路由器
CN203027289U (zh) 一种实现计算机、上位机和下位机之间串口通信的系统
Zhu et al. Nb-ssh: Nb-iot-based remote ssh access to uavs under symmetric nat
EP389019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g3-plc bootstrap in hybrid networks
WO2020006612A1 (pt) Sistema de rede segura em malha para compartilhamento de dados e respectivos dispositivos de acoplamento e interface
KR101621350B1 (ko) 액세스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데이터 전송 방법
CN103929457A (zh) 基于移动互联网的物联网应用数据交互系统和方法
CN110677745B (zh) 配电装置、系统和方法
CN205566655U (zh) 具有快速自动重构路由拓扑功能的数据链终端
WO2012170846A2 (en) Integration of wired information and wireless information to locate a wireless device
CN209543334U (zh) 一种医疗设备数据通信系统
CN205566660U (zh) 用于中继式远程传输的数据链设备
CN205566289U (zh) 用于无线网络盲点应急补充覆盖的数据链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