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754A - A penumatic vehicle tire - Google Patents

A penumatic vehicle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754A
KR20240044754A KR1020220124168A KR20220124168A KR20240044754A KR 20240044754 A KR20240044754 A KR 20240044754A KR 1020220124168 A KR1020220124168 A KR 1020220124168A KR 20220124168 A KR20220124168 A KR 20220124168A KR 20240044754 A KR20240044754 A KR 20240044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vehicle
pneumatic tire
present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문철
김선명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754A/en
Publication of KR20240044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75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3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characterised by sidewall curv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2013/005Physical properties of the sidewall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폭(section with(SW))을 실질적으로 감소시켜 횡강성을 올리고 핸들링 성능을 향상 시킬 때, 감소되는 타이어 폭을 복원하는 사이드월 프로파일의 설계를 적용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200)의 최외곽지점(210)에 돌기부(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ire,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width (section with (SW)) of the tire is substantially reduced to increase lateral rigidity and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the reduced tire width is restored. This relates to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using a sidewall profile desig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comprised of a tread portion 100, a side wall portion 200, and a bead portion 300, and a protrusion ( 400) provides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A PENUMATIC VEHICLE TIRE}Pneumatic tires for vehicles {A PENUMATIC VEHICLE TIRE}

본 발명은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폭(section with(SW))을 실질적으로 감소시켜 횡강성을 올리고 핸들링 성능을 향상 시킬 때, 감소되는 타이어 폭을 복원하는 사이드월 프로파일의 설계를 적용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hicle tir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idewall profile that restores the reduced tire width when substantially reducing the width (section with (SW)) of the tire to increase lateral rigidity and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This relates to pneumatic tires for vehicles using the design of .

현재 타이어산업에서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경량화로 인해 발생되는 단점은 횡강성이 낮아지고 핸들링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한가지 방안이 타이어의 폭(section width(SW))를 줄이는 것이다. 즉, 타이어의 폭을 줄임으로써 횡강성(lateral stiffness)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타이어의 폭을 줄이게 되면 차량의 규격에 요구되는 타이어의 폭(Section width)을 만족을 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Currently, lightweighting is required in the tire industry. Disadvantages arising from weight reduction are lower lateral rigidity and lower handling performance. One way to improve this is to reduce the width of the tire (section width (SW)). In other words, lateral stiffness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width of the tire. However, if the width of the tire is reduced, a problem arises in which the section width of the tire required by the vehicle specifications cannot be satisfied.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을 살펴본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Below, we look at related prior literature. The identification codes in the following prior documents are un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2576호 '공기 타이어'는, 타이어의 사이드 월부에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림 가드를 구비하고, 상기 타이어를 적용 림에 장착하고, 규정 내압을 충전하고, 무부하 상태로 했을 때의 타이어 폭 방향 단면에서, 상기 림 가드는 적어도 1개의 정점을 갖고, 상기 림 가드 중 적어도 1개의 정점 중 타이어 직경 방향 최외측에 위치하는 정점보다 타이어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림 가드의 외윤곽선은 상기 타이어의 외측에 곡률 중심을 갖는 원호 형상을 갖고, 상기 외윤곽선의 곡률 반경 R은 5mm 이상 40mm 이하이며, 상기 림 가드 중 적어도 1개의 정점 중 타이어 직경 방향 최내측에 위치하는 정점으로부터 림 플랜지의 타이어 직경 방향 최외점까지의 타이어 직경 방향 거리 H가 2mm 이상 40mm 이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32576 'Pneumatic tire' is provided with a rim guard protruding outward in the tire width direction on the side wall of the tire, the tire is mounted on the applicable rim, charged to the specified internal pressure, and left in an unloaded state. In a cross-section in the tire width direction when the rim guard is positioned, the rim guard has at least one vertex, and is located on an outer side in the tire radial direction than the vertex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in the tire radial direction among at least one vertex of the rim guards. The outer outline of has an arc shape with the center of curvature on the outside of the tire,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the outer outline is 5 mm or more and 40 mm or less, and a vertex located innermost in the tire diameter direction among at least one vertex of the rim guard. The tire radial distance H from the rim flange to the outermost point of the rim flange in the tire radial dire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2 mm or more and 40 mm or less.

그러나, 제10-1832576호의 림가드는 림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비드부(또는 림) 방향으로 편재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0-1832576호의 수치한정은 고무의 양이 크게 증가되어 타이어의 중량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However, since the rim guard of No. 10-1832576 is a component to protect the rim, it is located unevenly in the direction of the bead (or rim). In addition, the numerical limitation of No. 10-1832576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rubber is greatly increased,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tir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4865호 '사이드월부를 보강한 공기입 타이어' 은 트레드 고무층과, 벨트 코드층, 인너라이너 고무층, 사이드월 및 비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사이드월의 외측에 소정 두께의 돌출물을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물의 두께를 5~10mm가 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의 사이드월의 외측에 소정 두께의 돌출물을 더 설치시켜 가장 약한 사이월부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사이드월부의 강성을 보완해줌으로써 타이어의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0-0394865호는 돌출물을 부가적으로 더 설치함으로써 오히려 크랙발생 등의 내구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4865, 'Pneumatic Tire with Reinforced Side Wall', is a pneumatic tire consisting of a tread rubber layer, a belt cord layer, an inner liner rubber layer, a sidewall, and a bead portion, and covers the outer side of the sidewall. It is characterized by additionally installing a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to 5 to 10 mm, an additional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idewall of the pneumatic tire to protect the weakest interwall portion from external shock and to supplement the rigidity of the sidewall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tire. Handl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However, No. 20-0394865 had the disadvantage of causing durability problems such as cracks by installing additional protrusion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2576호 '공기 타이어' 등록일자 2018년02월20일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32576 ‘Pneumatic Tire’ Registration date: February 20, 201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4865호 '사이드월부를 보강한 공기입 타이어' 등록일자 2005년09월06일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4865 ‘Pneumatic tire with reinforced side walls’ Registration date: September 6, 2005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이어의 폭(section with(SW))을 실질적으로 감소시켜 횡강성을 올리고 핸들링 성능을 향상 시킬 때, 감소되는 타이어 폭을 복원하여 차량의 규격에 요구되는 타이어의 폭(Section width)을 만족을 시킬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width (section with (SW)) of the tire is substantially reduced to increase lateral rigidity and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the reduced tire width is restored to improve vehicle stability.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pneumatic tires for vehicles that sol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satisfy the tire width (section width) required by the standard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이드월부의 프로파일 설계를 개선한 것으로서,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200)의 최외곽지점(210)에 돌기부(400)가 형성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is to improve the profile design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is an air intake for a vehicle consisting of a tread portion 100, a side wall portion 200, and a bead portion 300. In the tire,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in which a protrusion 400 is formed at the outermost point 210 of the side wall portion 200 is provided.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의 장착을 위한 규격의 타이어의 폭(section width)을 유지하면서도, 실질적인 타이어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타이어의 횡강성(lateral stiffness)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ateral stiffness of the tire is expected by reducing the actual width of the tire while maintaining the section width of the tire as specified for tire installation. You can.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발췌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와 종래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사이드월 프로파일을 비교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와 종래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사이드월 프로파일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규격시험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anatory diagram comparing the sidewall profile of 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Figure 4 is a photograph comparing the sidewall profile of 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Figure 5 is an explanatory diagram explaining the standard test results of 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existence of a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폭(section with(SW))을 실질적으로 감소시켜 횡강성을 올리고 핸들링 성능을 향상 시킬 때, 감소되는 타이어 폭을 복원하는 사이드월 프로파일의 설계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요부발췌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1 및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200)의 최외곽지점(210)에 돌기부(400)가 형성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hicle tir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sidewall profile that restores the reduced tire width when substantially reducing the width (section with (SW)) of the tire to increase lateral rigidity and improve handling performance. It is about design technology.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including a tread portion 100, a sidewall portion 200, and a bead portion 300, wherein the sidewall portion 200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in which a protrusion 400 is formed at the outermost point 210 is provided.

상기의 돌기부(400)는 타이어의 사이드월부(200)의 프로파일 설계의 결과물로서, 타이어의 성형시 사이드월부(200)의 외측 고무와 일체로 성형되게 된다. The protrusion 400 is a result of the profile design of the sidewall portion 200 of the tire,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rubber of the sidewall portion 200 when the tire is molded.

타이어 사이드월부(200)의 중앙은 상부 사이드월 프로파일(upper sidewall profile)과 하부 사이드월 프로파일(lower sidewall profile)이 각각 다른 곡률반경(radius) 값을 가지고 접선으로 접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이드월부(200)의 중앙부는 타이어에서 가장 얇은부분 중 하나이다. 이에, 상기 돌기부(400)는 꼭지점(410)과 상기 꼭지점(41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빗면부(420, 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돌기부(400)의 형성에 소요되는 고무의 총량을 감소시켜주면서 사이드월부(200)의 중앙부의 가장 최외곽부의 강성을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한다. The center of the tire sidewall portion 200 is formed by contacting an upper sidewall profile and a lower sidewall profile at a tangent line, each having a different radius of curvatur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wall portion 200 is one of the thinnest portions of the tire. Accordingly, the protrusion 4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vertex 410 and beveled portions 420 and 430 formed above and below the vertex 410. This configuration reduces the total amount of rubber required to form the protrusion 400 while efficiently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outermost central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200.

상기의 꼭지점(410)과 상기 꼭지점(41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빗면부(420, 430)는 상기 돌기(400)의 단면을 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한다. 상기 돌기(400)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나,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서 변형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The vertex 410 and the beveled portions 420 and 430 formed above and below the vertex 410 cause the cross-section of the protrusion 400 to have a triangular shape. It is most desirable for the protrusion 400 to have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but a modified shape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required performance.

이에 따라, 상기 돌기부(400) 꼭지점(410)의 비드부(300)로부터의 수직높이(Y1)는 타이어 사이드월부(200) 중앙부의 가장 최외곽부에 해당하는 타이어 높이(section height(SH))의 45~55%인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vertical height (Y1) of the vertex 410 of the protrusion 400 from the bead portion 300 is the tire height (section height (SH)) corresponding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center of the tire side wall portion 200. It is desirable to be 45 to 55% of .

상기 꼭지점(410)의 높이(X1)는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꼭지점(410)의 높이(X1)는 상기 돌기부(400)가 형성되지 아니하였을 경우의 프로파일, 즉, 상부 사이드월 프로파일(upper sidewall profile)과 하부 사이드월 프로파일(lower sidewall profile)의 곡률이 유지된 경우의 접점으로부터 기산할 수 있다. 상기 꼭지점(410)의 높이(X1)가 1mm미만인 경우 타이어의 폭(section width)의 확보 및 사이드월부의 강성보강 효과가 미흡해지고, 5mm를 초과하는 경우 소요되는 고무량이 증대되어 타이어의 경량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The height (X1) of the vertex 410 is preferably 1 to 5 mm. The height It can be calculated from the contact point in the case where If the height (X1) of the vertex 410 is less than 1 mm, the effect of securing the section width of the tire and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side wall portion is insufficient, and if it exceeds 5 mm, the amount of rubber required increases, which is negative for reducing the weight of the tire. It will have an impact.

한편, 상기 빗면부(420, 430)는 최소 1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의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소요되는 고무의 양을 최소화하여 타이어를 더욱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곡선구조가 아치와 같이 응력을 지지하여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빗면부(420, 430)는 직선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bevel portions 420 and 430 may have a curved cross-sectional shape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at least 10 mm or more. This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amount of rubber required, making the tire lighter, and the curved structure supports stress like an arch, ensuring sufficient durability. Additionally, if necessary, the inclined surfaces 420 and 43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cross-sectional shape.

실 시 예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와 종래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사이드월 프로파일을 비교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와 종래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사이드월 프로파일을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타이어의 폭(SW)을 유지하면서도, 종래의 외측선의 프로파일(profile)(b)에 대하여 내측으로 이동된 외측선의 프로파일(a)을 구현할 수 있다. Figure 3 is an explanatory diagram comparing the sidewall profile of 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and Figure 4 is a diagram comparing the sidewall profile of 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This is a comparison photo. As shown in Figure 3,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he profile (a) of the outer line shift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profile (b) of the conventional outer line while maintaining the same tire width (SW).

내측선의 프로파일의 경우에도, 종래의 내측선의 프로파일(profile)(d)에 대하여 내측으로 이동된 외측선의 프로파일(c)을 구현할 수 있다. Even in the case of the profile of the inner line, a profile (c) of the outer line moved inward can be implemented with respect to the profile (d) of the conventional inner line.

하기의 표1은 225/65R17 : 공기압 2.5kgf/cm2, 하중 604kgf(ETRTO Max. 하중의 71%), Rim width 6.5J 조건에서의 시험결과를 나탄낸 표이다. 하기의 표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에 대하여 6mm의 타이어폭(SW)을 감소시킨 것이다. Table 1 below shows test results under the conditions of 225/65R17: air pressure 2.5kgf/cm2, load 604kgf (71% of ETRTO Max. load), and rim width 6.5J. In the table below, the tire width (SW) of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duced by 6 mm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구분division KV-Linear Assumpiton
(kgf/min)
KV-Linear Assumption
(kgf/min)
KV
(kgf/min)
K.V.
(kgf/min)
KL
(kgf/min)
K.L.
(kgf/min)
KD
(kgf*m/radian)
K.D.
(kgf*m/radian)
KT
(kgf/min)
KT
(kgf/min)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2.5322.53 26.8226.82 11.6911.69 847.69847.69 29.7129.71 실시예Example 22.7422.74 27.1227.12 12.2712.27 855.25855.25 31.2231.22

상기의 표에서, 비교예에서 횡강성(KL)의 측정치는 11.69kgf/min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횡강성(KL)의 측정치는 12.27kgf/min로 약 5%의 향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5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의 규격시험 결과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5에서는 상기 표1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오른쪽 도면)와 비교예(왼쪽 도면)을 도시한다. 시험 조건은 225/65R17: 공기압 2.5kgf/cm2, Rim width 6.5J이었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In the table above, the measured value of lateral stiffness (KL) in the comparative example is 11.69 kgf/min, and the measured value of lateral stiffness (KL)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2.27 kgf/min, which confirms an improvement of about 5%. I was able to. Figure 5 is an explanatory diagram explaining the standard test results of 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right drawing) and a comparative example (left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able 1 above. The test conditions were 225/65R17: air pressure 2.5kgf/cm2, rim width 6.5J, and the results below were confirmed.

- 비교군 SW(Section width) 결과 값: 232.0mm(금형 설계치) → 223mm(타이어 결과치)- Comparison group SW (Section width) result: 232.0mm (mold design value) → 223mm (tire result)

- 시험군 SW(Section width) 결과 값: 226.0mm(금형 설계치) → 223.6mm(타이어 결과치)- Test group SW (Section width) result: 226.0mm (mold design value) → 223.6mm (tire result)

즉, 상기의 시험결과로부터, 실질적인 타이어의 폭(SW)를 6mm 감소시킴으로써 횡강성(lateral stiffness(KL))를 5% 향상시키면서도, 223mm에 근접하도록 규정상의 SW(Section width)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from the above test results, by reducing the actual width (SW) of the tire by 6mm, the lateral stiffness (KL) can be improved by 5%, while securing the prescribed SW (Section width) close to 223mm. can confirm.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는 트럭, 전기자동차, 일반 차량 등 다양한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The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vehicles such as trucks, electric vehicles, and general vehicles.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preferred embodiments,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for limitation.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claims.

100: 트레드부
200: 사이드월부
300: 비드부
400: 돌기
500: 카카스
100: Tread part
200: Side wall part
300: Bead part
400: protrusion
500: Carcass

Claims (6)

트레드부(100)와 사이드월부(200) 및 비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200)의 최외곽지점(210)에 돌기부(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In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comprising a tread portion 100, a side wall portion 200, and a bead portion 300,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sion 400 is formed at the outermost point 210 of the side wall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400)는 꼭지점(410)과 상기 꼭지점(41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빗면부(420, 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trusion 400 is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vertex 410 and inclined surface portions 420 and 430 formed above and below the vertex 4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점(410)의 비드부(300)로부터의 수직높이(Y1)는 타이어의 높이(section height(SH))의 45~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2,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height (Y1) of the vertex (410) from the bead portion (300) is 45 to 55% of the height (section height (SH)) of the ti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점(410)의 높이(X1)는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3,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X1) of the vertex (410) is 1 to 5 m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빗면부(420, 430)는 최소 10mm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4,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wherein the inclined surfaces (420, 430) have a curved cross-sectional shape with a radius of curvature of at least 10 mm or mo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빗면부(420, 430)는 직선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According to paragraph 4,
A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portions (420, 430) have a straight cross-sectional shape.
KR1020220124168A 2022-09-29 2022-09-29 A penumatic vehicle tire KR202400447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68A KR20240044754A (en) 2022-09-29 2022-09-29 A penumatic vehicle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168A KR20240044754A (en) 2022-09-29 2022-09-29 A penumatic vehicle t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754A true KR20240044754A (en) 2024-04-05

Family

ID=9071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168A KR20240044754A (en) 2022-09-29 2022-09-29 A penumatic vehicle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754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865Y1 (en) 2005-06-22 2005-09-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The Pneumatic Tir With Reinforced Side Wall
KR101832576B1 (en) 2012-10-24 2018-02-26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865Y1 (en) 2005-06-22 2005-09-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The Pneumatic Tir With Reinforced Side Wall
KR101832576B1 (en) 2012-10-24 2018-02-26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neumatic t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1814A1 (en) Asymmetrical pneumatic run-flat tire
US8002007B2 (en) Pneumatic radial tire for heavy loads
EP2020311A1 (en) Pneumatic tire
KR20060111654A (en) Tire with asymmetrical self-supporting sidewalls
EP0298673A2 (en) Radial tyre
CN1572545A (en) Radial passenger tire with improved tread contour
EP2116398B1 (en) Pneumatic tire
US10821784B2 (en) Vehicle tyre with enhanced bead contour
EP2768682B1 (en) All steel fabric radial construction for agricultural tires
KR20240044754A (en) A penumatic vehicle tire
EP1919720B1 (en) Tire having a sidewall reinforcement
CN108698446B (en) Pneumatic tire
WO2018163577A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1148362A (en) Pneumatic tire
EP3805021B1 (en) Pneumatic tire
KR102389601B1 (en) Pneumatic tire
EP3189986B1 (en) Pneumatic tire
US20240042807A1 (en) Commercial vehicle tyre
EP4043239A1 (en) Pneumatic tire
CN110027366B (en) Green tire
CN114616109B (en) Vehicle pneumatic tire with rim protection rib
JP4410000B2 (en) Pneumatic tire for passenger car and wheel assembly, and pneumatic tire for passenger car
EP3189988B1 (en) Pneumatic tire
CN116080313A (en) Pneumatic tire
CN111055636A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