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649A - Tent assembly - Google Patents

Ten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649A
KR20240044649A KR1020220123915A KR20220123915A KR20240044649A KR 20240044649 A KR20240044649 A KR 20240044649A KR 1020220123915 A KR1020220123915 A KR 1020220123915A KR 20220123915 A KR20220123915 A KR 20220123915A KR 20240044649 A KR20240044649 A KR 20240044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ole
connector
pole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케이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3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649A/en
Priority to PCT/KR2023/014088 priority patent/WO2024071794A1/en
Publication of KR20240044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6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2Supporting means, e.g. frames external type, e.g. frame outside c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는,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텐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측방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텐트 천 및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텐트 천과 연결되는 복수의 폴로서, 상기 측면부의 전방 상측 단부에서 후방 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폴과, 상기 측면부의 후방 상측 단부에서 전방 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폴을 포함하는 복수의 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폴과 상기 제2폴은 상기 텐트 천의 외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텐트의 외부를 향해 상기 텐트 천을 당길 수 있다.A te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side the tent when the tent is assembled, a front portion that covers the accommodating space an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ront portion. A tent cloth including a side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and covering the receiving space, and a plurality of poles connected to the tent fabric at a plurality of points to support the tent fabric, and extending from the front upper end to the rear lower end of the side por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poles including one pole and a second pole extending from the rear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to the front lower end, and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tent cloth. The tent fabric can be pulled towards the outside of the tent.

Description

텐트 조립체 {TENT ASSEMBLY}Tent assembly {TENT ASSEMBLY}

본 개시는 텐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넓은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텐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tent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nt assembly capable of securing a large accommodating space inside.

일반적으로 텐트는 캠핑이나 야영시에 취침 등을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복수의 폴로 이루어진 프레임에 텐트 천을 결합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종래의 텐트는 조립되었을 때 텐트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텐트 천 내면 측에서 텐트 천을 지지하였고 이는 텐트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 공간이 협소해지도록 하였다.In general, a tent is a structure installed for camping or sleeping during camping, and is installed by combining a tent cloth with a frame made of a plurality of poles. When a conventional tent is assembled, the tent fabric is supported on the inner side of the tent fabric to maintain a stable shape, which narrows the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inside the tent.

또한 종래의 텐트들은 그 형태를 바꿀 수 없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타프형으로 텐트의 형태를 변경한다거나, 복수의 텐트의 수용 공간들이 연통되도록 하여 확장된 형태로 사용할 수 없었다(예: 특허문헌 1 참조).In addition, conventional tents cannot change their shape, so they cannot be used in an expanded form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ent to a tarp typ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or by connecting the accommodation spaces of multiple tents (e.g., patent document 1 reference).

최근 캠핑이나 야영 등의 인기가 올라감에 따라, 대규모 인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넓은 수용 공간을 가지며, 텐트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텐트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Recently, as the popularity of camping or camping has increased, there has been a demand for tents that have a large accommodating space t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that allow users to change the shape of the tent so that users can use it in various forms.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22-0051759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51759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내부에 넓은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텐트 조립체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tent assembly capable of securing a large accommodation space therein.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텐트 조립체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tent assembly whose shape can be changed.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는,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텐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측방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텐트 천 및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텐트 천과 연결되는 복수의 폴로서, 상기 측면부의 전방 상측 단부에서 후방 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폴과, 상기 측면부의 후방 상측 단부에서 전방 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폴을 포함하는 복수의 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폴과 상기 제2폴은 상기 텐트 천의 외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텐트의 외부를 향해 상기 텐트 천을 당길 수 있다.A te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side the tent when the tent is assembled, a front portion that covers the accommodating space an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ront portion. A tent cloth including a side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and covering the receiving space, and a plurality of poles connected to the tent fabric at a plurality of points to support the tent fabric, and extending from the front upper end to the rear lower end of the side por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poles including one pole and a second pole extending from the rear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to the front lower end, and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tent cloth. The tent fabric can be pulled towards the outside of the tent.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전방부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1외면과 제2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텐트의 전방 상측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외면에 배치되는 제1폴과 상기 제2외면에 배치되는 제1폴을 결합시키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텐트의 후방 상측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외면에 배치되는 제2폴과 상기 제2외면에 배치되는 제2폴을 결합시키는 제2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portion includes a first outer surface and a second outer surfac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is located at the upper front end of the tent, and includes a first pole dispos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and a second pole disposed on the second outer surface. It is locat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tent and a first connector for coupling one pol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or for coupling the second pole dispos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and the second pole disposed on the second outer surface. You can.

상기 텐트는, 상기 복수의 폴의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된 제1형태와, 상기 수용 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2외면이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를 중심으로 회전된 제2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tent may have a first form in which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poles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econd form in which the second outer surface is rotated around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is open. You can.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제2외면을 지지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외면 측에 배치된 상기 하단부들과 각각 결합되는 지지 폴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cond form, to support the second outer surface, 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le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ends disposed on the second outer surface side.

상기 텐트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텐트 각각은, 상기 제2형태에서 수용 공간들이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ten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tents may be arranged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s communicate in the second form.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전방부의 양측에서 상기 제1외면의 반대 측에 마련되는 제1내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텐트들은 각각의 상기 제1내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ide portions each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rst outer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and the plurality of tents may be arranged so that each of the first inner surfaces faces each other.

상기 텐트 조립체는,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들이 연통된 상기 텐트들을 지지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폴은,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하단부들과 각각 결합되는 제1지지 폴과,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측면부의 전방 상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 폴 및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측면부의 후방 상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3지지 폴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nt assembl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le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s in which the receiving spaces are in communication in the second form,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poles are located at the lower ends in the second form. 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le each coupled to, a second support pole disposed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in the second form, and a third support pole dispos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in the second form. You can.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 각각은, 몸체와, 상기 복수의 폴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삽입 홀 및 상기 텐트 천과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 홀 아래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body,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dy so that the plurality of poles are inserted, a strap connected to the tent cloth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slits formed below the insertion hole. may include.

상기 복수의 폴 각각은, 말단부와, 상기 말단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말단부의 단면 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 보다 큰 단면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oles is formed at a distal end, at one end of the distal end, and is formed at an insertion portion having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distal en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is larger than the insertion portion. It may include a fixing part having a cross-section.

상기 텐트 천의 외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폴과 상기 제2폴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3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ent cloth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nector that detachably couples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제1폴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제2폴이 삽입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connector includes a body portion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first pole is inserte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second pole is inserted, and a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can do.

상기 전방부와 상기 측면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을 통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부를 개폐시키는 지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rovid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side part, and may further include a zippe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part so that the user can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전방부는,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으로 공기가 흐르는 환풍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part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and include a vent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receiving space.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이 텐트 천의 외면 측에 배치되어 텐트의 내부에 넓은 수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le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tent cloth to secure a larg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tent.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폴이 커넥터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텐트의 형태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hape of the tent can be freely changed by rotating the pole around the connector.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텐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에서 전방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가 제1형태에서 제2형태로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복수의 텐트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에서 “A” 부분의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커넥터와 폴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에서 제1폴과 제2폴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에서 환풍구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텐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rge te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portion of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 1 opened.
Figure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ure 1 transformed from the first form to the second form.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ents connected to each other.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ure 5.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of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 1.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shown in Figure 7 from another angle.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or and pole shown in Figures 7 and 8 combine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being combined in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ure 1.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 provided in a te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ssembly according to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shown in each drawing of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X방향은 전방이 될 수 있고 Y방향은 우측 방향이 될 수 있으나,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terms “front,” “rear,” “left,” and “right”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in FIG. 1, the X direction may be forward and the Y direction may be right, bu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텐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에서 전방부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제1형태인 텐트 조립체를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rge te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portion of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 1 opened. 1 and 2 show a first type of tent assembl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1)는 텐트(10)를 포함한다. 텐트(10)는 그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10a)과, 수용 공간(10a)을 덮는 텐트 천(21, 22, 23)과, 텐트(10)가 조립된 상태에서 복수의 폴들(110, 120)이 연결되어 전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A'자 형태를 이루게 되는 골조(100)를 포함한다.1 and 2, a tent assembly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includes a tent 10. The tent 10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10a formed inside the tent, tent cloth 21, 22, 23 covering the accommodating space 10a, and a plurality of poles 110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tent 10. 120) includes a frame 100 that is connected to form an approximately 'A'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텐트 천(21, 22, 23)은 텐트(10)가 조립되었을 때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10a)을 커버한다. 텐트 천(21, 22, 23)은 전방부(21)와, 측면부(22, 23)와, 후방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전방부(21)는 수용 공간(10a)의 전방에 마련된다. The tent cloths 21, 22, and 23 cover the accommodation space 10a formed inside the tent 10 when assembled. The tent fabrics 21, 22, and 23 include a front portion 21, side portions 22, 23, and a rear portion (not shown). The front portion 21 is provided in front of the receiving space 10a.

전방부(21)는 사용자가 수용 공간(10a)으로 통행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측면부(22, 23)는 전방부(21)의 측방에 마련되어 수용 공간(10a)을 커버한다. 측면부(22, 23)는 제1측면부(22)와 제2측면부(23)를 포함한다. 제1측면부(22)는 텐트(10)의 Y방향 측에 마련되고, 제2측면부(23)는 텐트의 -Y방향 측에 마련된다. 후방부는 수용 공간(10a)의 후방에 마련된다. 후방부도 사용자가 수용 공간(10a)을 통행하도록 개폐 가능할 수 있다. The front portion 21 is configured to be openable and closed so that the user can pas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0a. The side parts 22 and 23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ront part 21 and cover the receiving space 10a. The side portions 22 and 23 include a first side portion 22 and a second side portion 23. The first side portion 22 is provided on the Y-direction side of the tent 10,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 is provided on the -Y-direction side of the tent. The rear portion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a. The rear portion may also be openable and closed to allow the user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10a.

도면에서 제1측면부(22)와 제2측면부(23)는 사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측면부(22)와 제2측면부(23)는 오각형 및 육각형 등 다양한 다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 are shown as having a rectangular shape,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 may include various polygonal shapes such as pentagons and hexagons.

전방부(21) 및 후방부는 지퍼(90)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퍼(90)는 전방부(21)와 측면부(22, 23)가 접하는 위치 및 후방부와 측면부(22, 23)가 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지퍼(90)는 제1측면부(22)와 전방부(21)가 접하는 위치, 제2측면부(23)와 전방부(21)가 접하는 위치, 제1측면부(22)와 후방부가 접하는 위치, 및 제2측면부(23)와 후방부가 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전방부(21)와 후방부를 개폐하는 수단은 지퍼(90)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ront part 21 and the rear part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a zipper 90. For example, the zipper 9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ront part 21 and the side parts 22 and 2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t a position where the rear part and the side parts 22 and 2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the zipper 90 is located at a location where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front portion 21 are in contact, a location where the second side portion 23 and the front portion 21 are in contact, and a location where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rear portion are in contact. , and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 second side portion 23 and the rear portion contact each other. However, the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part 21 and the rear part is not limited to the zipper 90.

골조(100)는 그 위에 텐트 천(21, 22, 23)이 설치됨으로써, 텐트(10) 내부에 수용 공간(10a)을 형성한다. 골조(100)는 복수의 폴(110, 120)을 포함한다. 복수의 폴(110, 120)은 텐트 천(21, 22, 23)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지점 각각에서 클립(30)을 통해 텐트 천(21, 22, 23)과 연결된다. 복수의 폴(110, 120)은 제1폴(110) 및 제2폴(120)을 포함한다. 제1폴(110) 및 제2폴(120)은 텐트 천의 양 측면부(22, 2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다. 복수의 폴(110, 120)은 구부러질 수 있다.The frame 100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10a inside the tent 10 by installing tent cloths 21, 22, and 23 thereon. The fram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poles 110 and 120. A plurality of poles (110, 120) are connected to the tent cloth (21, 22, 23) through clips (30) at each of a plurality of points to support the tent cloth (21, 22, 23). The plurality of poles 110 and 120 include a first pole 110 and a second pole 120.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both side portions 22 and 23 of the tent cloth,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poles 110 and 120 may be bent.

제1폴(110)과 제2폴(120) 각각은 텐트 천의 측면부(22, 23)들의 외면 측에 배치되어 텐트(10)의 외부를 향해 텐트 천(21, 22, 23)을 당긴다. 예를 들어, 제1측면부(22)의 외면 측에 배치되는 제1폴(110)과 제2폴(120)은 제1측면부(22)를 -Y방향 측으로 당기고, 제2측면부(23)의 외면 측에 배치되는 제1폴(110)과 제2폴(120)은 제2측면부(23)를 Y방향 측으로 당긴다. 일 실시예에서 제1폴(110)과 제2폴(120)이 측면부(22, 23)의 외면 측에 배치되어 텐트 천(21, 22, 23)을 바깥 방향으로 당기므로, 제1폴(110)과 제2폴(120)이 수용 공간(10a) 내에 배치되어 텐트 천(21, 22, 23)을 지지하는 경우 보다 수용 공간(10a)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제1폴(110)과 제2폴(120)이 텐트 천(21, 22, 23)의 외면 측에 배치되므로, 텐트(10)의 외부에 별도의 플라이(미도시)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텐트 천(21, 22, 23)과 플라이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통풍과 환기에 용이하며 결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Each of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s 22 and 23 of the tent cloth and pulls the tent cloth 21, 22, and 23 toward the outside of the tent 10. For example,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ortion 22 pull the first side portion 22 toward the -Y direction and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side pull the second side portion 23 toward the Y direction.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s 22 and 23 to pull the tent cloth 21, 22, and 23 outward, so that the first pole ( When th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re disposed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10a to support the tent cloths 21, 22, and 23, the accommodation space 10a can be expanded. In addition, since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ent cloth 21, 22, and 23, when installing a separate fly (not shown) on the outside of the tent 10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tent cloth (21, 22, 23) and the fly, which facilitates ventilation and reduces the possibility of condensation occurring.

제1폴(110)과 제2폴(120)은 측면부(22, 23)들을 가로지른다. 예를 들어, 제1폴(110)은 측면부(22, 23)들의 전방 상측 단부에서 후방 하측 단부까지 연장된다. 제2폴(120)은 측면부(22, 23)들의 후방 상측 단부에서 전방 하측 단부까지 연장된다. 제1폴(110)과 제2폴(120)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제1폴(110)의 일단부와 제2폴(120)의 일단부 각각은 커넥터(40, 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타단부 각각은 지면에 지지된다. 제1폴(110)과 제2폴(120)은 텐트 천(21, 22, 23)의 외면 측에 배치되는 제3커넥터(60)를 기준으로 복수의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cross the side portions 22 and 23. For example, the first pole 110 extends from the front upper end to the rear lower end of the side portions 22 and 23. The second pole 120 extends from the rear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s 22 and 23 to the front lower end.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may cross each other. One end of the first pole 110 and one end of the second pole 120 may each be connected by connectors 40 and 50, and each other end may be supported on the ground.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based on the third connector 6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ent cloth 21, 22, and 23.

텐트(10)의 조립 시에, 텐트 천(21, 22, 23)을 지면에 펼치고 제1폴(110) 및 제2폴(120)을 텐트 천의 측면부(22, 23)에 결합시킨 후, 텐트 천(21, 22, 23)의 중앙부를 들어올려 전방부(21)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후 지퍼(90)로 전방부(21)를 폐쇄하면 도 1에 도시된 텐트(1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텐트(10)의 조립 방식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When assembling the tent 10, the tent cloth 21, 22, and 23 is spread on the ground and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re joined to the side portions 22 and 23 of the tent cloth, The front portion 21 can be formed by lif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tent cloth 21, 22, and 23. Afterwards, the front portion 21 is closed with the zipper 90 to form the tent 10 shown in FIG. 1 . However, the assembly method of the tent 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도 3 및 도 4는 텐트 조립체가 도 1에 도시된 제1형태로부터, 수용 공간(10a)이 개방된 제2형태로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tent assembly transformed from the first form shown in Figure 1 to a second form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10a is ope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측면부(22, 23)는 제1커넥터(40) 및 제2커넥터(5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수용 공간(10a)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커넥터(40) 및 제2커넥터(50)는 힌지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측면부(22)는 도 1에서의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2측면부(23)가 상측으로 회전되어 텐트의 수용 공간(10a)을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형태와 달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형태로 변형함으로써 텐트(10)를 타프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측면부(22, 23)를 회전시켜 텐트(10)를 제1형태 또는 제2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side portions 22 and 23 may rotate around 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to open the receiving space 10a.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serve as a hinge. For example, while the first side portion 22 maintains its shape in FIG. 1, the second side portion 23 may be rotated upward to open the accommodation space 10a of the tent. Unlike the first form shown in FIGS. 1 and 2, the tent 10 can be used as a tarp type by modifying it to the second form shown in FIGS. 3 and 4. That is, the user can use the tent 10 in the first or second form by rotating the side parts 22 and 23 as needed.

또한, 제2측면부(23)가 제1커넥터(40) 및 제2커넥터(50)를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회전 중 무너짐 없이 안정적으로 텐트(10)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제2측면부(23)만 회전 가능한 것이 아니며, 제1측면부(22)를 회전시켜 텐트(10)의 형태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ide portion 23 rotates based on 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the shape of the tent 10 can be stably changed without collapsing during rotation. However, not only the second side portion 23 is rotatable, but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shape of the tent 10 by rotating the first side portion 22.

텐트 조립체(1)는 한 쌍의 지지 폴(200)을 더 포함한다. 지지 폴(200)들은 제2형태에서 회전된 측면부(도시된 예에서는 제2측면부(23))를 지지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회전된 측면부(23)에 위치하는 제1폴(110) 및 제2폴(120)의 하단부들과 각각 결합된다. 지지 폴(200)은 텐트(10)가 제2형태일 때, 안정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ent assembly 1 further includes a pair of support poles 200. The support poles 200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rotated side portion (the second side portion 23 in the illustrated example) in the second form and include a first pole 110 located on the rotated side portion 23 and They are each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pole 120. The support poles 200 enable the tent 10 to stably maintain its shape when it is in the second form.

한편, 텐트(10)의 제2형태는 도 3,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측면부(23)가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텐트(10)의 제1형태와 달리 제2측면부(23)가 지면에 직접 지지되지 않는 다른 형태도 포함한다.Meanwhile, the second form of the tent 10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second side portion 23 is parallel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S. 3 and 4, and unlike the first form of the tent 10, the second side part 23 is parallel to the ground. Other configurations in which the side portion 23 is not directly supported on the ground are also included.

도 5는 복수의 텐트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ents connected to each other.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ure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1)는 복수의 텐트(11, 1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텐트(11, 12)는 제1텐트(11)와 제2텐트(12)를 포함한다. 제1텐트(11)와 제2텐트(12)는 각각의 수용 공간(11a, 12a)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텐트들(11, 1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2형태에서 각각의 수용 공간(11a, 12a)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and 6, a tent assembly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nts 11 and 12. The plurality of tents 11 and 12 include a first tent 11 and a second tent 12. The first tent 11 and the second tent 12 may be arranged so that their respective accommodation spaces 11a and 12a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second configuration shown in FIGS. 3 and 4, the accommodation spaces 11a and 12a of the tents 11 and 12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1텐트(11) 및 제2텐트(12) 각각은 제2측면부(23)가 회전하여 제2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제1텐트(11)와 제2텐트(12)의 개방된 측들이 연결됨으로써 수용 공간(11a, 12a)들이 서로 연통된 텐트 조립체(1)를 형성한다. In each of the first tent 11 and the second tent 12, the second side portion 23 is rotated to form a second shape, and the open sides of the first tent 11 and the second tent 12 are By being connected, the accommodation spaces 11a and 12a form a tent assembly 1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측면부(22, 23)들은 각각 외면(22a, 23a)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내면(22b, 23b)을 포함한다. 제1텐트(11) 및 제2텐트(12) 각각은, 각각의 제1내면(22b)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텐트(11)의 제1내면(22b)은 -Y방향을 향하고, 제2텐트(12)의 제1내면(22b)은 Y방향을 향하므로, 제1내면(22b)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복수의 텐트(11, 12)가 배치된다.The side portions 22 and 23 include inner surfaces 22b and 23b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outer surfaces 22a and 23a, respectively. Each of the first tent 11 and the second tent 12 is arranged so that their respective first inner surfaces 22b face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inner surface 22b of the first tent 11 faces the -Y direction, and the first inner surface 22b of the second tent 12 faces the Y direction, so the first inner surface 22b A plurality of tents 11 and 12 are arranged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텐트 조립체(1)는, 제2형태에서 수용 공간들(11a, 12a)이 연통된 텐트들(11, 12)을 지지하도록 상하 방향(도면에서 Z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폴(201, 202, 203)을 더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 폴(201, 202, 203)은, 제1지지 폴(201), 제2지지 폴(202) 및 제 3지지 폴(203)을 포함한다. In the second form, the tent assembly 1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les 20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Z direction in the drawing) to support the tents 11 and 12 in which the receiving spaces 11a and 12a are connected. 202, 203) are further included. The plurality of support poles 201, 202, and 203 include a first support pole 201, a second support pole 202, and a third support pole 203.

제1지지 폴(201)은 상기 제2형태에서의 제2 측면부(23)에 위치하는 복수의 폴(110, 120)의 하단부들과 각각 결합된다. 제1지지 폴(201)은 Y방향을 따라 제1텐트(11)와 제2텐트(12)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지지 폴(201)은 X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ole 201 is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poles 110 and 120 located on the second side portion 23 in the second form, respectively. The first support pole 20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ent 11 and the second tent 12 along the Y direction. 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oles 201 may be provided along the X direction.

제2지지 폴(202)은 각 텐트(11, 12)의 측면부(22, 23)들이 접하는 전방 위치에 배치된다. 제2지지 폴(202)의 상단은 제1커넥터(40)와 결합되고, 그 하단은 지면에 지지된다. 제2지지 폴(202)은 Y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된다.The second support pole 202 is disposed at a front position where the side parts 22 and 23 of each tent 11 and 12 mee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ole 202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oles 202 are provided along the Y direction.

제3지지 폴(203)은 각 텐트(11, 12)의 상기 측면부(22, 23)들이 접하는 후방 위치에 배치된다. 즉, 제3지지 폴(203)은 제2지지 폴(202)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3지지 폴(203)의 상단은 제2커넥터(50)와 결합되고, 그 하단은 지면에 지지된다. 제3지지 폴(203)은 Y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된다.The third support pole 203 is disposed at a rear position where the side portions 22 and 23 of each tent 11 and 12 meet. That is, the third support pole 203 is disposed behind the second support pole 202. The upper end of the third support pole 203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50, and the lower end is supported on the ground.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poles 203 are provided along the Y direction.

도 5 및 도 6에서는 2개의 텐트(11, 12)가 연결되는 경우만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텐트는 3개 이상 연결되어 더욱 넓은 수용 공간(11a, 12a)을 갖는 텐트 조립체(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양측에 제2형태의 텐트(11, 12)를 각각 배치하고, 이들 사이에 측면부들(22, 23)이 모두 상측으로 회전한 형태의 하나 이상의 텐트(11, 12)를 연결하여 텐트 조립체(1)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FIGS. 5 and 6, only the case where two tents 11 and 12 are connected is shown, but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is. Three or more tents may be connected to form a tent assembly (1) with wider accommodation spaces (11a, 12a). That is, the second type of tents 11 and 12 are placed on both sides, and one or more tents 11 and 12 in which the side parts 22 and 23 are all rotated upward are connected between them to form a tent assembly.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1).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에서 "A" 부분의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넥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커넥터와 폴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A" in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ure 1.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shown in Figure 7 from another angle.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or and pole shown in Figures 7 and 8 combined.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1)는 제1커넥터(40)와 제2커넥터(50)를 포함한다. 제1커넥터(40)는 텐트의 전방 상측 단부에 위치되고, 제2커넥터(50)는 텐트의 후방 상측 단부에 위치된다.Referring to FIG. 1, a tent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first connector 40 and a second connector 50. The first connector 40 is located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tent, and the second connector 50 is locat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tent.

제1커넥터(40)와 제2커넥터(50)는 형상이 동일하며 배치된 위치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커넥터(40)와 제2커넥터(50)가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have the same shape and only the difference is in their arranged positions, description of the fact that 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are identical will be omitted below. .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커넥터(40)는 복수의 제1폴(110)과 텐트 천(21, 22, 23)을 연결한다. 제1측면부(22)의 외면(22a) 측에 배치되는 제1폴(110)과 제2측면부(23)의 외면(23a) 측에 배치되는 제1폴(110)은 제1커넥터(40)에 삽입된다. 또한, 텐트 천(21, 22, 23)과 연결되는 스트랩(70)이 제1커넥터(40)에 고정된다.Referring to Figures 7 to 9, the first connector 40 connects the plurality of first poles 110 and tent cloths 21, 22, and 23. The first pole 11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2a side of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first pole 11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3a side of the second side portion 23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40. is inserted into Additionally, the strap 70 connected to the tent cloth 21, 22, and 23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or 40.

마찬가지로, 제2커넥터(50)도 복수의 제2폴(120)과 텐트 천(21, 22, 23)을 연결한다. 제1측면부(22)의 외면(22a) 측에 배치되는 제2폴(120)과 제2측면부(23)의 외면(23a) 측에 배치되는 제2폴(120)은 제2커넥터(50)에 삽입된다. 또한, 텐트 천(21, 22, 23)과 연결되는 스트랩(70)이 제2커넥터(50)에 고정된다.Likewise, the second connector 50 also connects the plurality of second poles 120 and the tent cloths 21, 22, and 23. The second pole 12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2a of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second pole 120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23a of the second side portion 23 ar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50. is inserted into Additionally, the strap 70 connected to the tent cloth 21, 22, and 23 is fixed to the second connector 50.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폴(110, 120) 및 텐트 천(21, 22, 23)이 텐트(10)의 상부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제1커넥터(40) 및 텐트(10)의 상부에서 후방에 배치되는 제2커넥터(50)에 각각 결합되므로, 텐트(10) 상부 어느 한 곳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텐트(10)의 구성부품들을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자유롭게 텐트(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 plurality of poles (110, 120) and tent cloths (21, 22, 23) are disposed in the front from the upper part of the tent (10) and the first connector (40) of the tent (10). Since they are each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50 located at the rear at the top, stress is not concentrated on any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tent 10, so the components of the tent 10 can be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shape of the tent 10 can be freely adjusted. can be changed.

제1커넥터(40) 는 몸체(41)와, 삽입 홀(42)과, 복수의 슬릿(43)을 포함한다. 삽입 홀(42)은 복수의 폴(110, 120)이 삽입되도록 몸체(41)에 형성된다. 복수의 슬릿(43)은 삽입 홀(42) 아래에 형성되며, 텐트 천(21, 22, 23)과 연결된 스트랩(70)이 삽입된다. 텐트 천(21, 22, 23)과 연결되는 스트랩(70)은 복수의 슬릿(43)을 통과하여 몸체(41)에 연결된다. The first connector 40 includes a body 41, an insertion hole 42, and a plurality of slits 43. The insertion hole 42 is formed in the body 41 to allow the plurality of poles 110 and 120 to be inserted. The plurality of slits 43 are It is formed below the insertion hole 42, and a strap 70 connected to the tent cloth 21, 22, and 23 is inserted. The straps 70 connected to the tent cloth 21, 22, and 23 pass through a plurality of slits 43 and are connected to the body 41.

또한, 제1폴(110) 및 제2폴(120) 각각은 폴의 말단부(111)와, 삽입부(112) 및 고정부(113)를 포함한다. 삽입부(112)는 말단부(111)의 연장 방향에 따른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42)에 삽입되도록 상기 말단부(111)의 단면 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다. 고정부(113)는 삽입부(112)의 연장 방향에 따른 일단부에 형성되며 삽입부(112) 보다 큰 단면을 갖는다. 고정부(113)는 삽입부(112)의 일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므로, 고정부(113)는 복수로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each include a distal end portion 111 of the pole, an insertion portion 112, and a fixing portion 113. The insertion portion 112 is formed at an 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distal portion 111 and has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at of the distal portion 11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2. The fixing part 113 is formed at one 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insertion part 112 and has a larger cross-section than the insertion part 112. Since each of the fixing parts 113 can be formed on one end of the insertion part 112, a plurality of fixing parts 113 are provided.

복수의 제1폴(110)이 제1커넥터(40)에 결합될 때, 삽입부(112)와 고정부(113)는 삽입 홀(42)을 통과된다. 이 때, 삽입 홀(42)을 형성하는 몸체(41)의 내면은 삽입부(112)와 접촉되어 제1폴(110)에 의해 제1커넥터(40)가 지지될 수 있다. 제1폴(110)이 제1커넥터(4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부(113)의 단면 중 가장 큰 단면은 삽입 홀(42)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작을 수 있다. 복수의 제2폴(120)이 제2커넥터(50)에 결합될 때도 위의 설명과 동일하다.When the plurality of first poles 110 ar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40, the insertion portion 112 and the fixing portion 113 pass through the insertion hole 42.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41 forming the insertion hole 42 is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portion 112 so that the first connector 40 can be supported by the first pole 110. To prevent the first pole 1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connector 40, the largest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art 113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insertion hole 42. Even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poles 120 ar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50, the above description is the same.

제1커넥터(40) 및 제2커넥터(50)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커넥터(40) 및 제2커넥터(50)의 재료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may be formed of aluminum. However, the materials of 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상기 구성요소들을 가지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커넥터(40) 및 제2커넥터(50)는 제1폴(110)과 제2폴(120)을 결합시켜 텐트(10)의 제1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고, 텐트의 측면부(22, 23)가 회전된 경우에도 텐트(10)의 제2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ing the above components, the first connector 40 and the second connector 50 combine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to form the first connector of the tent 10. The first form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the second form of the tent 10 can be stably maintained even when the side portions 22 and 23 of the tent are rotated.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에서 제1폴과 제2폴이 서로 교차한 상태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텐트 조립체에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 1 in which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are cross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B” of the tent assembly shown in FIG. 1.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는 제3커넥터(60)를 포함한다. 제3커넥터(60)는 측면부(22, 23)의 외면(22a, 23a) 측에 배치되며 제1폴(110) 및 제2폴(1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폴(110)과 제2폴(120) 각각의 구획된 부분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다.Referring to FIG. 10, a ten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third connector 60. The third connector 60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s 22a and 23a of the side portions 22 and 23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Therefore, it is easy to adjust the length of each partitioned portion of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제3커넥터(60)는 제1폴(110)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61a)이 형성된 몸체부(61)와, 몸체부(61)와 커버(62) 사이에 형성되고 제2폴(120)이 삽입되는 개구(63)와, 개구(63)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몸체부(61) 상에 힌지 결합된 커버(6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폴(110)과 제2폴(120)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관통홀(61a)과 개구(63)는 서로 교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3커넥터(60)의 관통홀(61a) 및 개구(63)의 구성은 상술한 바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홀(61a)에는 제2폴(120)이 삽입될 수 있으며, 개구(63)에는 제1폴(110)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커넥터(60)는 제1폴(110) 및 제2폴(120) 중 어느 하나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61a)이 형성된 몸체부(61)와, 몸체부(61)에 결합되고 제1폴(110) 및 제2폴(120)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개구(63)를 형성하는 커버(6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third connector 60 is formed between a body portion 61 having a through hole 61a through which the first pole 110 is inserted, and the body portion 61 and the cover 62,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ole ( It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63 into which 120 is inserted, and a cover 62 hinged on the body 61 to open or close the opening 63. 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61a and the opening 63 may be formed to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through hole 61a and the opening 63 of the third connector 6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second pole 120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1a, and the opening ( 63), the first pole 110 may be inserted. For example, the third connector 60 includes a body portion 61 having a through hole 61a through which one of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is inserted, and the body portion 61. ) and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62 that forms an opening 63 that accommodates the other of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또한, 제3커넥터(60)는 텐트 천 텐트 천(21, 22, 23)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커넥터(60)와 텐트 천(21, 22, 23)은 결합부(64)를 통해 연결되며, 제1폴(110) 및 제2폴(120)이 텐트 천 텐트 천(21, 22, 23)을 텐트 외부 방향으로 당기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rd connector 6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64 for being coupled to the tent fabric 21, 22, and 23. The third connector 60 and the tent cloth 21, 22, and 23 are connect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64, and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re connected to the tent cloth tent cloth 21, 22, 23) can have the same effect as pulling it toward the outside of the tent.

도 10에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커버(62)가 개구(63)를 개방하는 형태로 회전되어 있으면 제2폴(120)이 개구(63)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도 6에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제2폴(120)이 개구(63)에 수용된 후 커버(62)가 개구(63)를 폐쇄하는 형태로 회전하여 고정되면, 제2폴(120)이 개구(6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제2폴(120)은 제1폴(110)의 외측 측면에 결합된다.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10, when the cover 62 is rotated to open the opening 63, the second pole 120 can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opening 63, and the solid line in FIG. 6 As shown, when the second pole 120 is accommodated in the opening 63 and the cover 62 is rotated and fixed in a form that closes the opening 63, the second pole 120 is fixed in the opening 63. It can prevent it from leaving. Accordingly, the pair of second poles 120 are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pole 110.

그러나 제3커넥터(60)가 제2폴(120)을 수용하기 위해 커버(62)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제2폴(120)이 개구(63)를 향해 가압되고, 개구(63)를 형성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되어 제2폴(120)이 개구(63)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third connector 60 does not necessarily need the cover 62 to accommodate the second pole 120. For example, the second pole 120 is pressed toward the opening 63, and the second pole 120 is pressed toward the opening 63. ) The protruding protrusion may be elastically deformed outward and then restored, so that the second pole 12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opening 63.

또한, 제1폴(110)과 제2폴(120)이 결합되는 방식은 도 10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리 가능하게 제1폴(110)과 제2폴(120)이 결합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의 제3커넥터(60)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in which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re coupled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10, and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can be coupled in a separable manner. If so, the third connector 60 of various shapes can be used.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에서 환풍구가 마련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 provided in a te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1을 참조하면,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조립체는 환풍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풍구(80)는 텐트(1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환풍구(80)는 전방부(21) 및 후방부(미도시) 각각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수용 공간(10a) 내부로 공기가 흐르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ten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on hole 80. The vent 8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ent 10. For example, the vent 80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front part 21 and the rear part (not shown)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10a.

도면에서 별도의 환풍구(80)가 전방부(21) 상단에 도시되어 있으나, 환풍구(80)의 형성 방식은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퍼(90)를 사용하여 전방부(21)의 상단을 일부 개방시키고, 후방부의 상단을 일부 개방시키는 방식을 통해 환풍구(80)를 형성하여 수용 공간(10a)으로 공기가 흐르게 할 수 있다.In the drawing, a separate vent 80 is shown at the top of the front part 21, but the forming method of the vent 80 is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For example,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art 21 is partially opened using a zipper 90, and the upper part of the rear part is partially opened to form a vent 80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10a. You can.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텐트(10)의 외부에 플라이(미도시)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텐트 천(21, 22, 23)과 플라이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어 결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even when a fly (not shown) is installed outside the tent 10, space is secured between the tent cloth 21, 22, and 23 and the fly,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condensation occurring.

도 12는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텐트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nt assembly according to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텐트의 측면부(22, 23)는 다양한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according to addition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ide portions 22 and 23 of the tent may have various polygonal shapes.

도 12의 (a)를 참조하면, 제1측면부(22)와 제2측면부(23)는 사각 형상을 갖는다. 텐트(10)는 각각의 측면부(22, 23)를 가로지르는 각각의 제1폴(110) 및 제2폴(120)을 포함한다. 제1폴(110)과 제2폴(120)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12,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 have a square shape. The tent 10 includes first and second poles 110 and 120, respectively, across each side portion 22 and 23.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may cross each other.

도 12의 (b)를 참조하면, 제1측면부(22)와 제2측면부(23)는 오각 형상을 갖는다. 텐트(10)는 각각의 측면부(22, 23)를 가로지르며 서로 교차되는 각각의 제1폴(110) 및 제2폴(120)을 포함한다. 제1폴(110)과 제2폴(120)은 서로의 교차 지점에서 결합된다. 또한, 텐트(10)는 제3폴(131)을 더 포함한다. 제3폴(131)은 측면부(22, 23)에서 텐트(10)의 상단으로부터 제1폴(110)과 제2폴(120)의 교차 지점에서 제1폴(110) 및 제2폴(12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제3폴(131, 132)은 복수의 부분(131, 132)으로 마련된다. 제3폴(131, 132)은 제1부분(131)과 제2부분(132)을 포함한다. 제1부분(131)은 오각 형상의 꼭짓점이 되는 텐트(10)의 상단에서 제1폴(110)과 제2폴(120)은 서로의 교차 지점까지 연장되고, 제2부분(132)은 제1폴(110)과 제2폴(120)의 교차 지점에서부터 텐트(10)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제1부분(131)의 일단부는 텐트(1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폴(110) 및 제2폴(120)과 결합된다. 제2부분(132)의 일단부는 제1폴(110) 및 제2폴(120)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텐트(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12,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 have a pentagonal shape. The tent 10 includes first poles 110 and second poles 120 that cross each other across the side portions 22 and 23, respectively.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re coupled at their intersection points. Additionally, the tent 10 further includes a third pole 131. The third pole 131 is connected to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from the top of the tent 10 on the side portions 22 and 23. ) can be combined with. Referring to (c) of FIG. 12, the third poles 131 and 132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s 131 and 132. The third poles 131 and 132 include a first part 131 and a second part 132. The first part 131 extends from the top of the tent 10, which is a pentagon-shaped vertex, to the point where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intersect each other, and the second part 132 It extends from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to the bottom of the tent 10. One end of the first part 131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tent 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One end of the second portion 132 is coupled to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tent 10 and may be supported on the ground.

도 12의 (d)를 참조하면, 제1측면부(22)와 제2측면부(23)는 육각 형상을 갖는다. 제3폴(131,132)의 제1부분(131)은 복수로 마련된다. 복수의 제1부분(131) 각각은 측면부(22, 23)에서 육각 형상의 꼭짓점이 되는 텐트(10)의 상단부로부터 제1폴(110)과 제2폴(120)의 교차 지점까지 연장되어 제1폴(110) 및 제2폴(12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2의 (e)를 참조하면, 텐트(10)는 제4폴(140)을 더 포함한다. 제4폴(140)은 측면부(22, 23)에서 텐트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 단부까지 연장된다. 제4폴(140)은 제1폴(110)과 제2폴(120)의 교차 지점에서 제1폴(110) 및 제2폴(120)과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d) of FIG. 12,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second side portion 23 have a hexagonal shape. The first portions 131 of the third poles 131 and 132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arts 131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tent 10, which is the vertex of the hexagonal shape at the side parts 22 and 23, to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It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Referring to (e) of FIG. 12, the tent 10 further includes a fourth pole 140. The fourth pole 140 extend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tent at the side portions 22 and 23. The fourth pole 14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first pole 110 and the second pole 120.

교차 지점에는 복수의 폴(110, 120)을 결합시키는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는 복수의 폴(110, 120) 각각에 대해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는 복수의 폴(110, 120) 각각과 0~15도 사이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A connec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point to couple the plurality of poles 110 and 120. The connector may have an angl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oles 110 and 120. For example, the connector may have an angle between 0 and 15 degrees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poles 110 and 120.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1: 텐트 조립체
10: 텐트
10a: 수용 공간
21: 전방부
22: 제1측면부
23: 제2측면부
40: 제1커넥터
50: 제2커넥터
60: 제3커넥터
70: 스트랩
80: 환풍구
90: 지퍼
100: 골조
110: 제1폴
120: 제2폴
131, 132: 제3폴
140: 제4폴
200: 지지 폴
1: Tent assembly
10: tent
10a: Accommodation space
21: anterior part
22: first side portion
23: Second side portion
40: first connector
50: Second connector
60: Third connector
70: Strap
80: vent
90: zipper
100: framework
110: 1st pole
120: 2nd pole
131, 132: 3rd pole
140: 4th pole
200: support pole

Claims (13)

텐트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텐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고, 상기 수용 공간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부와, 상기 전방부의 측방에 마련되어 상기 수용 공간을 커버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텐트 천; 및
상기 텐트 천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텐트 천과 연결되는 복수의 폴로서, 상기 측면부의 전방 상측 단부에서 후방 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폴과, 상기 측면부의 후방 상측 단부에서 전방 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2폴을 포함하는 복수의 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폴과 상기 제2폴은 상기 텐트 천의 외면 측에 배치되어 상기 텐트의 외부를 향해 상기 텐트 천을 당기는 텐트 조립체.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tent when the tent is assembled;
A tent cloth that covers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ncludes a front por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side portion provided on a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covering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plurality of poles connected to the tent fabric at a plurality of points to support the tent fabric, the first pole extending from the front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to the rear lower end, and the first pole extending from the rear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to the front lower end. A plurality of poles including a second pole,
A tent assembly wherein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ar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side of the tent fabric and pull the tent fabric toward the outside of the 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전방부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1외면과 제2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텐트의 전방 상측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외면에 배치되는 제1폴과 상기 제2외면에 배치되는 제1폴을 결합시키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텐트의 후방 상측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외면에 배치되는 제2폴과 상기 제2외면에 배치되는 제2폴을 결합시키는 제2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ide portion includes a first outer surface and a second outer surfac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A first connector located at the front upper end of the tent and connecting the first pole dispos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and the first pole disposed on the second outer surface; and
A tent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or located at a rear upper end of the tent and coupling the second pole disposed on the first outer surface to the second pole disposed on the second out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는,
상기 복수의 폴의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된 제1형태와, 상기 수용 공간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2외면이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를 중심으로 회전된 제2형태를 갖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tent is,
A tent assembly having a first form in which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poles ar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econd form in which the second outer surface is rotated around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so as to open the accommodation sp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제2외면을 지지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외면 측에 배치된 상기 하단부들과 각각 결합되는 지지 폴;을 더 포함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3,
In the second form, a support pol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second outer surface a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ends disposed on the second outer surface side. The tent assembly further includ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텐트 각각은, 상기 제2형태에서 수용 공간들이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tent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 tent assembly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tents is arranged so that accommodation spaces communicate in the second for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들은 상기 제1외면의 반대 측에 마련되는 제1내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텐트들은 각각의 상기 제1내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5,
The side portions each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provid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outer surface,
A tent assembly in which the plurality of tents are arranged so that the first inner surfaces of each tent face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조립체는,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들이 연통된 상기 텐트들을 지지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 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폴은,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하단부들과 각각 결합되는 제1지지 폴;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측면부의 전방 상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지지 폴; 및
상기 제2형태에서 상기 측면부의 후방 상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3지지 폴;을 포함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6,
The tent assembly is,
In the second form,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l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support the tents with which the receiving spaces communicate,
The plurality of support poles are,
a first support pol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ends in the second form;
In the second form, a second support pole disposed at the upper front end of the side portion; and
A tent assembly including a third support pole dispos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side portion in the second fo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 각각은,
몸체;
상기 복수의 폴이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삽입 홀; 및
상기 텐트 천과 연결된 스트랩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 홀 아래에 형성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2,
Each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body;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body to insert the plurality of poles; and
A tent assembly comprising a; a strap connected to the tent cloth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slits are formed below the insertion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폴 각각은,
말단부;
상기 말단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 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말단부의 단면 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 보다 큰 단면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8,
Each of the plurality of poles is,
distal end;
an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distal end and having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at of the distal end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A tent assembly comprising a fixing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part and having a larger cross-section than the inser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천의 외면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폴과 상기 제2폴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3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 tent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third connector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ent cloth and removably coupling the first pole and the second po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넥터는,
상기 제1폴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제2폴이 삽입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10,
The third connector is,
a body portion through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to allow the first pole to be inserted through;
an opening into which the second pole is inserted; and
A tent assembly including a cover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와 상기 측면부의 사이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상기 수용 공간을 통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부를 개폐시키는 지퍼;를 더 포함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 tent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zipper provided between the front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ront portion to allow a user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는,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으로 공기가 흐르는 환풍구;를 포함하는 텐트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ront part,
A tent assembly including a vent formed at the upper end and allowing air to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KR1020220123915A 2022-09-29 2022-09-29 Tent assembly KR2024004464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15A KR20240044649A (en) 2022-09-29 2022-09-29 Tent assembly
PCT/KR2023/014088 WO2024071794A1 (en) 2022-09-29 2023-09-18 Ten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15A KR20240044649A (en) 2022-09-29 2022-09-29 Ten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649A true KR20240044649A (en) 2024-04-05

Family

ID=9047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915A KR20240044649A (en) 2022-09-29 2022-09-29 Tent assemb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4649A (en)
WO (1) WO2024071794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759A (en) 2020-10-19 2022-04-26 배진산업주식회사 Combination type of Big Tent Fr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7417A (en) * 1976-06-03 1978-03-07 T. A. Pelsue Company Combination tent and frame therefor
KR200254088Y1 (en) * 2001-08-06 2001-11-23 라제건 A ring for tent
WO2019164714A1 (en) * 2018-02-23 2019-08-29 Lso, Lp Tent or shade providing structure
KR20200041751A (en) * 2018-10-14 2020-04-22 박준석 The modular tent
KR20190071664A (en) * 2019-06-17 2019-06-24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T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759A (en) 2020-10-19 2022-04-26 배진산업주식회사 Combination type of Big Tent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794A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8864A2 (en) Collapsible structures having overlapping support loops
KR100874531B1 (en) Suitcase
US6098349A (en) Collapsible structures
US7178538B2 (en) Portable, selectively-reversible enclosure
US6854476B1 (en) Easily constructable and collapsible portable tents
US20030168093A1 (en) Collapsible sleeping structures
US20160290003A1 (en) Tent
CN103929995B (en) Luggage box frame structure
US6721971B1 (en) Upper corner element of a baby bed
EP4335994A2 (en) Collapsible enclosure
US6892742B2 (en) Tent
US7185666B2 (en) Easily constructable and collapsible portable tents
US20100192298A1 (en) Sleeping bag with mesh panel
KR101868133B1 (en) tent for vehicle and vehicle with the same
US20070095377A1 (en) Curved base tent
KR20240044649A (en) Tent assembly
US20020134415A1 (en) Modular tent
US8573239B2 (en) Collapsible, portable structure
JP2009515068A (en) Tent with hinged door or window
EP3915439B1 (en) Foldable stool
KR200416808Y1 (en) A tent
US20090025767A1 (en) Collapsible structures
KR20200001322U (en) Folding type bed with tent
KR102059447B1 (en) Tent frame
US20110269373A1 (en) Collapsible structures with carrying fe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