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648A - Appointment schedul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 Google Patents

Appointment schedul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648A
KR20240044648A KR1020220123914A KR20220123914A KR20240044648A KR 20240044648 A KR20240044648 A KR 20240044648A KR 1020220123914 A KR1020220123914 A KR 1020220123914A KR 20220123914 A KR20220123914 A KR 20220123914A KR 20240044648 A KR20240044648 A KR 20240044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appointment
importance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성환
이영석
Original Assignee
현성환
이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성환, 이영석 filed Critical 현성환
Priority to KR102022012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648A/en
Publication of KR2024004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648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06F40/35Discourse or dialogue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의 조작을 입력받아 입력된 조작에 따라 약속 일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고, 일정 제안, 일정 합의, 일정 확정의 동작을 실행하고, 음성 대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의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고, 일정 생성, 일정 합의, 일정 확정을 포함하는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데이터 오류를 검증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put operations of the keyboard, mouse, and touch screen, performs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s, performs the operations of schedule proposal, schedule agreement, and schedule confirmation, and records voice conversations, image data, and text data. Create appointments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and verify data errors based on sampling data including schedule creation, schedule agreement, and schedule confirmation.

Description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APPOINTMENT SCHEDUL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APPOINTMENT SCHEDUL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본 발명은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참가자 개개인이 고려하는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일정 제안, 합의, 확정을 수행하고, 동시에 여러 개의 약속 일정 조율을 진행하고, 일정 확정시 캘린더에 일정을 등록하여 효율적으로 약속 일정을 관리하고, 시스템의 동작 신뢰성을 높이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an appointment schedule, and more specifically, to propose, agree, and confirm a schedule by comprehensively reflecting all the factors considered by each participant, and to coordinate multiple appointment schedules at the same time. , relates to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that efficiently manages the appointment schedule by registering the schedule in the calendar when the schedule is confirmed and increases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system.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기술에는 스케줄 약속 관리, 약속 이행 관리, 일정 관리가 있다. 특허문헌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관리방법은 다수의 사용자와의 약속의 경우 승낙, 거절, 무응답자의 명단을 자동으로 관리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약속 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SMS 서버를 통하여 약속대상자가 약속을 이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4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약속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약속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chedule appointment management, promise fulfillment management, and schedule management. Patent Document 1: An appointment management method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and schedul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utomatically manages a list of people who accept, decline, or do not respond in the case of appointments with multiple users. 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mise fulfillm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tinuously manages the promise recipient so that he or she can fulfill the promise through an SMS server. Additionally, Patent Document 3,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es a schedule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Internet. Additionally, Patent Document 4, Method for Providing Appointment Management Service Using a Mobile Terminal, provides a method for managing an appointment using a mobile terminal.

그러나 종래기술은 입력된 조작에 따라 약속 일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고, 일정 제안, 일정 합의, 일정 확정의 동작을 실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perform the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and perform the operations of schedule proposal, schedule agreement, and schedule confirmation.

등록특허공보 제10-1161680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와 스케줄러를 이용한 약속관리방법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61680 Appointment management method us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schedul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3139호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한 약속 이행 관리 시스템 및 방법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43139 Promise fulfill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등록특허공보 제10-0719174호 일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719174 Schedule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5680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약속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5680 Method for providing appointment management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의 조작을 입력받아 입력된 조작에 따라 약속 일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고, 일정 제안, 일정 합의, 일정 확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that receives input operations from a keyboard, mouse, and touch screen, performs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s, and performs the operations of schedule proposal, schedule agreement, and schedule confirmation. The purpose is to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대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의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reating appointments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of voice conversations, image data, and text data.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생성, 일정 합의, 일정 확정을 포함하는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erifying data errors based on sampling data including schedule creation, schedule agreement, and schedule confi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날짜 및 시간대의 범위를 제한하는 일정을 생성하고,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고, 대화 내역에서 적극성, 긍정 감정의 대화 감정을 분석하고, 프라이버시 노출값에 따라 해당 지인이 사용자 시간대를 확인하는 일정 제안(31); 일정 생성에서 설정한 날짜 및 시간대 내로 제한하고, 참가자 캘린더를 통해 과거 약속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선호 시간대를 분석하고,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참고하여 사용자와 참가자의 관계를 설정하고, 식사, 회의, 기타를 포함하는 약속 목적을 설정하고, 성사, 거리, 긴급성, 정시성, 가치 항목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일정 합의(32); 약속 일정 확정 권한을 설정하고, 약속 일정이 확정되면 참가자 모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일정 확정(33); 및 키보드(21), 마우스(22), 터치스크린(23)의 조작을 입력받아 입력된 조작에 따라 약속 일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일정 제안(31), 상기 일정 합의(32), 상기 일정 확정(33)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 a schedule that limits the range of dates and time zones, create appointments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and communicate with activeness and positive emotions in the conversation history. Analyzing emotions and suggesting a schedule for the acquaintance to check the user's time zone according to the privacy exposure value (31); Limits to the date and time zone set in schedule creation, analyzes the user's preferred time zone based on past appointment data through the participant calendar,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participant by referring to social network data, and schedules meals, meetings, etc. Schedule agreement that sets the purpose of the appointment, including completion, distance, urgency, punctuality, and importance for each value item (32); Schedule confirmation (33), which sets the authority to confirm the appointment schedule and sends a notification to all participants when the appointment schedule is confirmed; and receives input operations of the keyboard 21, mouse 22, and touch screen 23 and performs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s, such as the schedule proposal 31, the schedule agreement 32, and the schedu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rol unit (5) that executes the operation of confirmation (33).

또한, 상기 일정 제안(31)은, 사용자 입력에 의한 날짜 및 시간대의 범위를 제한하는 일정을 생성하는 생성부(311); 음성 대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의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는 약속 생성부(312); 대화 내역에서 감정 분석 모델을 통해 적극성, 긍정 감정의 대화 감정을 분석하는 분석부(313); 프라이버시 노출값에 따라 해당 지인이 사용자 시간대를 확인하는 노출 변화부(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hedule proposal 31 includes a generator 311 that generates a schedule that limits the range of dates and time zones based on user input; an appointment creation unit 312 that creates an appointment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of voice conversation, image data, and text data; An analysis unit 313 that analyzes conversational emotions of proactiveness and positive emotions through an emotion analysis model in the conversation histor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posure change unit 314 that allows the acquaintance to check the user's time zone according to the privacy exposure value.

또한, 상기 일정 합의(32)는, 일정 생성에서 설정한 날짜 및 시간대 내로 제한하는 일정 정보부(321); 참가자 캘린더를 통해 과거 약속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선호 시간대를 분석하는 캘린더 정보부(322);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참고하여 가중치 부여를 이용해서 사용자와 참가자의 관계를 설정하는 소셜 네트워크(323); 식사, 회의, 기타를 포함하는 약속 목적을 설정하는 목적 정보부(324); 성사, 거리, 긴급성, 정시성, 가치 항목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부(3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hedule agreement 32 includes a schedule information unit 321 that limits the schedule to the date and time zone set in schedule creation; a calendar information unit 322 that analyzes the user's preferred time zone based on past appointment data through the participant calendar; A social network 323 that establishes relationships between users and participants using weighting with reference to social network data; Purpose Information Unit 324, which sets the purpose of the appointment, including meals, meetings, etc.;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mportance setting unit 325 that sets the importance of each item of success, distance, urgency, punctuality, and value.

또한, 상기 일정 확정(33)은, 약속 일정 확정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부(331); 약속 일정이 확정되면 참가자 모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알림부(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hedule confirmation (33) includes an authority unit (331) that sets the appointment schedule confirmation authorit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notification unit 332 that sends a notification to all participants when the appointment schedule is confirmed.

또한, 상기 약속 생성부(312)는, 음성 대화의 경우 STT(Speech To Text) 모델을 이용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광학 문자 인식을 이용하고,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 자연어 처리를 이용하여 음성 대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의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ppointment generator 312 uses the STT (Speech To Text) model for voice conversations,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for image data,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for text data to create voice conversations and images. It is characterized by creating a promise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of data and text data.

또한, 상기 중요도 설정부(325)는, 해당 참가자에게 여러 일정 중 해당 약속 일정이 수립되는 성사 중요도(61); 해당 참가자의 약속 위치가 인접한 곳으로 설정되는 거리 중요도(62); 해당 약속 일정의 긴급성을 나타내는 긴급성 중요도(63); 해당 약속 일정의 지정된 시간에 도착할 가능성이 중요한 정시성 중요도(64); 해당 참가자의 해당 약속 일정의 가치를 나타내는 가치 중요도(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mportance setting unit 325 includes a success importance level 61 at which the corresponding appointment schedule among several schedules is established for the participant in question; Distance importance (62), where the participant's appointment location is set to be adjacent; Urgency importance (63), which indicates the urgency of scheduling that appointment; punctuality importance (64), in which the likelihood of arriving at a specified time for a given appointment is importan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value importance (65), which represents th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ppointment schedule of the corresponding participant.

본 발명은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의 조작을 입력받아 입력된 조작에 따라 약속 일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고, 일정 제안, 일정 합의, 일정 확정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참가자 개개인이 고려하는 모든 요소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일정 제안, 합의, 확정을 수행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input from keyboard, mouse, and touch screen operations, performs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s, and performs the operations of schedule proposal, schedule agreement, and schedule confirmation, thereby comprehensively taking into account all factors considered by each participant. By reflecting this, it can have the effect of carrying out schedule proposals, agreements, and confirmations.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대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의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개의 약속 일정 조율을 진행하고, 일정 확정시 캘린더에 일정을 등록하여 효율적으로 약속 일정을 관리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ordinating multiple appointment schedules at the same time by creating appointments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of voice conversation, image data, and text data, and efficiently managing the appointment schedule by registering the schedule in the calendar when the schedule is confirmed. You can have it.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생성, 일정 합의, 일정 확정을 포함하는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데이터 오류를 검증함으로써 시스템의 동작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system by verifying data errors based on sampling data including schedule creation, schedule agreement, and schedule confirmation.

도 1은 본 발명 약속 일정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약속 일정 관리 장치의 제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단말기 화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 약속 일정 관리 장치의 일정 제안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 약속 일정 관리 장치의 중요도 설정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체제,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device in Figure 1.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inal.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chedule proposal configuration of the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device in Figure 1.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importance setting configuration of the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device in Figure 1.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verifying data errors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the hardware resources, operating system, operation of the core control unit, and system authentication configuration that grants authority to execute the control unit operation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포함된 구성은 개별 또는 복합 결합 구성되어 동작한다.Hereinafter,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elow, descriptions of previously known matters are omitted or simplifi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도 1은 본 발명 약속 일정 관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6)는 키보드(21), 마우스(22), 터치스크린(23), 제어부(5), 일정 제안(31), 일정 합의(32), 일정 확정(33)을 포함한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terminal 6 includes a keyboard 21, a mouse 22, a touch screen 23, a control unit 5, and a schedule. Includes proposal (31), schedule agreement (32), and schedule confirmation (33).

단말기(6)는 약속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terminal 6 provides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service.

키보드(21)는 타자기의 자판과 유사한 모양새를 띤 컴퓨터의 입력 장치 중 하나로, 시스템에 숫자, 문자를 입력할 때 사용되고, 키를 누르면 그에 대응한 신호가 시스템에 입력된다.The keyboard 21 is one of the computer input devices that has a similar shape to the keyboard of a typewriter and is used to input numbers and letters into the system. When a key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input into the system.

마우스(22)는 화면의 커서나 아이콘을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입력 장치로, 커서 이동, 클릭, 스크롤을 포함하는 명령을 시스템에 입력한다.The mouse 22 is an input device used to move a cursor or icon on the screen, and inputs commands including cursor movement, clicking, and scrolling into the system.

터치스크린(23)은 손으로 접촉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입력 장치로, 키보드(21)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 특정 위치에 손이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시스템에 입력한다.The touch screen 23 is an input device that receives the location when touched by the hand. Instead of using the keyboard 21, the touch screen 23 detects the location of the text displayed on the screen or touches a specific location and inputs it into the system. .

제어부(5)는 키보드(21), 마우스(22), 터치스크린(23)의 조작을 입력받아 입력된 조작에 따라 약속 일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고, 일정 제안(31), 일정 합의(32), 일정 확정(33)의 동작을 실행한다.The control unit 5 receives operations from the keyboard 21, mouse 22, and touch screen 23 and performs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s, including schedule proposal 31, schedule agreement 32, Execute the schedule confirmation (33) operation.

일정 제안(31)은 날짜 및 시간대의 범위를 제한하는 일정을 생성하고,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고, 대화 내역에서 적극성, 긍정 감정의 대화 감정을 분석하고, 프라이버시 노출값에 따라 해당 지인이 사용자 시간대를 확인한다.The schedule suggestion (31) creates a schedule that limits the range of dates and time zones, creates appointments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analyzes conversational emotions of activeness and positive emotions in conversation history, and determines whether the acquaintance is a user according to the privacy exposure value. Check the time zone.

일정 합의(32)는 일정 생성에서 설정한 날짜 및 시간대 내로 제한하고, 참가자 캘린더를 통해 과거 약속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선호 시간대를 분석하고,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참고하여 사용자와 참가자의 관계를 설정하고, 식사, 회의, 기타를 포함하는 약속 목적을 설정하고, 성사, 거리, 긴급성, 정시성, 가치 항목별 중요도를 설정한다.Schedule agreement (32) is limited to the date and time zone set in schedule creation, analyzes the user's preferred time zone based on past appointment data through the participant calendar,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participant by referring to social network data, and Set the purpose of the appointment, including meals, meetings, and others, and set the importance of each item such as completion, distance, urgency, punctuality, and value.

일정 확정(33)은 약속 일정 확정 권한을 설정하고, 약속 일정이 확정되면 참가자 모두에게 알림을 발송한다.Schedule confirmation (33) sets the authority to confirm the appointment schedule, and sends a notification to all participants when the appointment schedule is confirmed.

도 2는 도 1 약속 일정 관리 장치의 제어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일정 제안(31)은 생성부(311), 약속 생성부(312), 분석부(313), 노출 변화부(314)를 포함하고, 일정 합의(32)는 일정 정보부(321), 캘린더 정보부(322), 소셜 네트워크(323), 목적 정보부(324), 중요도 설정부(325)를 포함하고, 일정 확정(33)은 권한부(331), 알림부(332)를 포함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device of Figure 1. Referring to Figure 2, the schedule proposal 31 includes a creation unit 311, an appointment creation unit 312, an analysis unit 313, and an exposure unit. It includes a change unit 314, and the schedule agreement 32 includes a schedule information unit 321, a calendar information unit 322, a social network 323, a purpose information unit 324, and an importance setting unit 325. Confirmation 33 includes an authority unit 331 and a notification unit 332.

일정 제안(31)은 사용자 입력에 의한 날짜 및 시간대의 범위를 제한하는 일정을 생성하는 생성부(311); 음성 대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의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는 약속 생성부(312); 대화 내역에서 감정 분석 모델을 통해 적극성, 긍정 감정의 대화 감정을 분석하는 분석부(313); 프라이버시 노출값에 따라 해당 지인이 사용자 시간대를 확인하는 노출 변화부(314);를 포함한다.The schedule proposal 31 includes a generator 311 that generates a schedule that limits the range of dates and time zones based on user input; an appointment creation unit 312 that creates an appointment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of voice conversation, image data, and text data; An analysis unit 313 that analyzes conversational emotions of proactiveness and positive emotions through an emotion analysis model in the conversation history; It includes an exposure change unit 314 in which the relevant acquaintance checks the user's time zone according to the privacy exposure value.

일정 합의(32)는 일정 생성에서 설정한 날짜 및 시간대 내로 제한하는 일정 정보부(321); 참가자 캘린더를 통해 과거 약속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선호 시간대를 분석하는 캘린더 정보부(322);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참고하여 가중치 부여를 이용해서 사용자와 참가자의 관계를 설정하는 소셜 네트워크(323); 식사, 회의, 기타를 포함하는 약속 목적을 설정하는 목적 정보부(324); 성사, 거리, 긴급성, 정시성, 가치 항목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부(325);를 포함한다.The schedule agreement 32 includes a schedule information unit 321 that limits the schedule to the date and time zone set in schedule creation; a calendar information unit 322 that analyzes the user's preferred time zone based on past appointment data through the participant calendar; A social network 323 that establishes relationships between users and participants using weighting with reference to social network data; Purpose Information Unit 324, which sets the purpose of the appointment, including meals, meetings, etc.; It includes an importance setting unit 325 that sets the importance of each item of success, distance, urgency, punctuality, and value.

일정 확정(33)은 약속 일정 확정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부(331); 약속 일정이 확정되면 참가자 모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알림부(332);를 포함한다.The schedule confirmation (33) includes an authority department (331) that sets the authority to confirm the appointment schedule; It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332 that sends a notification to all participants when the appointment schedule is confirmed.

도 3은 본 발명 단말기 화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생성부(311)는 날짜를 선택하고(41), 시간대를 설정하여(42) 사용자 입력에 의한 날짜 및 시간대의 범위를 제한하는 일정을 생성한다.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the generator 311 selects the date (41), sets the time zone (42), and sets the date and time zone range by user input. Create a schedule that limits .

도 4는 도 1 약속 일정 관리 장치의 일정 제안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약속 생성부(312)는 음성 대화의 경우 STT(Speech To Text) 모델을 이용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광학 문자 인식을 이용하고,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 자연어 처리를 이용하여 음성 대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의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한다.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chedule proposal configuration of the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device of Figure 1. Referring to Figure 4, the appointment generator 312 uses the STT (Speech To Text) model in the case of voice conversation and uses the STT (Speech To Text) model for image data. In this case,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is used, and in the case of text dat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s used to create an appointment through voice conversation, image data, and conversation history of text data.

도 5는 도 1 약속 일정 관리 장치의 중요도 설정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중요도 설정부(325) 구성은 해당 참가자에게 여러 일정 중 해당 약속 일정이 수립되는 성사 중요도(61); 해당 참가자의 약속 위치가 인접한 곳으로 설정되는 거리 중요도(62); 해당 약속 일정의 긴급성을 나타내는 긴급성 중요도(63); 해당 약속 일정의 지정된 시간에 도착할 가능성이 중요한 정시성 중요도(64); 해당 참가자의 해당 약속 일정의 가치를 나타내는 가치 중요도(65);를 포함한다.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importance setting configuration of the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device of Figure 1. Referring to Figure 5, the importance setting unit 325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uccess importance level 61 at which the appointment schedule is established among various schedules for the participant. ; Distance importance (62), where the participant's appointment location is set to be adjacent; Urgency importance (63), which indicates the urgency of scheduling that appointment; punctuality importance (64), in which the likelihood of arriving at a specified time for a given appointment is important; It includes value importance (65), which represents th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ppointment schedule for the corresponding participant.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verifying data errors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5)는 샘플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 데이터의 크기 별로 발생 회수를 누적하여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의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두 확률 분포의 차, 면적 차, 차 거리 누적을 계산해서(S101) 샘플링 회로 이상,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S102). 제어부(5)는 예측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대응하거나 제어부(5)가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5 stores sampling data, calculates a probability distribution by accumulat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for each size of the sampling data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calculates a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another period of time, and calculates two probabilities. By calculating the distribution difference, area difference, and difference distance accumulation (S101), sampling circuit abnormalities, data errors, and data changes can be predicted and responded to (S102). The control unit 5 notifies the user of the prediction result so that the user can respond, or the control unit 5 can respond to hardware failure, data error, or data change.

샘플링 데이터는 일정 생성, 일정 합의, 일정 확정을 포함하고, 제어부(5)는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한다.Sampling data includes schedule creation, schedule agreement, and schedule confirmation, and the control unit 5 responds to hardware failures, data errors, and data changes based on the sampling data.

제어부(5)는 일정 시간 동안 마다 각각의 확률 분포 추이를 보고, 확률 분포 중 특이 현상 이상을 예측하고, 이상 사고에 대응하고, 확률 분포에 대해 데이터 변화가 일정하면 정상 동작을 외부에 알린다. 또한, 제어부(5)는 일정 시간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데이터 변화율을 피드백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화율이 크면 일정 시간 간격을 늘리고, 데이터 변화율이 작으면 일정 시간 간격을 줄인다.The control unit 5 monitors the trend of each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predicts abnormalities i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responds to abnormal accidents, and reports normal operation to the outside if the data change i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is constant.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5 feeds back the data change rate to adjust a certain time interval. For example, if the data change rate is large, the certain time interval is increased, and if the data change rate is small, the certain time interval is shortened.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체제,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운영체제(4), 제어부(5)를 포함한다.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hardware resources and an operating system, operations of a core control unit, and a system authentication configuration that grants authority to execute control unit operation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or (1). ), memory (2), input/output device (3), operating system (4), and control unit (5).

프로세서(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s), GPU(Graphic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NPU(Neural Processing Unit)로서, 메모리(2)에 탑재된 운영체제(4), 제어부(5)의 실행 코드를 수행한다.The processor (1) i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 Processing Un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nd NPU (Neural Processing Unit), and the operating system (4) and control unit (5) mounted on the memory (2) ) executes the execution code.

메모리(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Memory (2) includes permanent mass storage devices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disk drives, solid state drives (SSD), flash memory, etc. can do.

입출력장치(3)는 입력 장치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output device 3 is an input device, such as a camera, keyboard, microphone, mouse, etc. including an audio sensor and/or image sensor, and an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speaker, haptic feedback device, etc. May include devices.

운영체제(4)는 윈도우, 리눅스, IOS, 가상 머신, 웹브라우저, 인터프리터를 포함할 수 있고, 태스크, 쓰레드, 타이머 실행, 스케줄링, 자원 관리, 그래픽, 폰트 처리, 통신 등을 지원한다.The operating system 4 may include Windows, Linux, IOS, virtual machines, web browsers, and interpreters, and supports tasks, threads, timer execution, scheduling, resource management, graphics, font processing, communication, etc.

제어부(5)는 운영체제(4)의 지원하에 입출력장치(3)의 센서, 키, 터치, 마우스 입력에 의한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병렬 수행 루틴으로 타이머, 쓰레드에 의한 작업 스케줄링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5 determines the state based on sensor, key, touch, and mouse input of the input/output device 3 with the support of the operating system 4 and performs operation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The control unit 5 performs job scheduling by timers and threads using parallel execution routines.

제어부(5)는 입출력장치(3)의 센서값을 이용하여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알고리즘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5 determines the state using the sensor value of the input/output device 3 and performs an algorithm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도 7을 참조하면, 시스템 인증 구성은 제어부(5)를 포함하는 단말기(6), 인증 서버(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7, the system authentication configuration includes a terminal 6 including a control unit 5, and an authentication server 7.

단말기(6)는 데이터 채널을 이중화하고, 단말기(6)의 키값,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서버(7)에 제1데이터 채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단말기(6)는 생성된 킷값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The terminal 6 duplicates the data channel, receives the key value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terminal 6, and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first data channel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7, and the terminal 6 receives the generated kit value.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ransmit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7).

단말기(6)는 단말기(6)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제2데이터 채널을 통해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 단말기(6)는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6)에 탑재된 시스템의 인증을 인증 서버(7)에 요청한다. 단말기(6)의 킷값은 컴퓨터 고유의 정보인 CPU 제조번호, 이더넷 칩의 맥주소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말기(6)는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 인식,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인식,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필기 인식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인증에 활용할 수 있다.The terminal 6 inputs the kit valu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terminal 6 and transmits it along with the user information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7 through the second data channel. The terminal 6 requests the authentication server 7 to authenticate the system mounted on the terminal 6 using the kit value and user information. The kit value of the terminal 6 can be generated from computer-specific information, such as the CPU manufacturing number and the Ethernet chip number. The terminal 6 can obtain user information through face recognition using a camera, voice recognition using a microphone, and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a display, and use it for authentication.

인증 서버(7)는 단말기(6)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단말기(6)로부터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6)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단말기(6)의 시스템 이용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인증 서버(7)는 인증 결과를 단말기(6)로 전송하여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한다. 단말기(6)의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로 인해 킷값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server 7 receives the kit value from the terminal 6, receives the kit value and us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6 through a duplicated data channel, compares the kit value and the us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6, and By matching, authentication for use of the system of the terminal 6 is processed. The authentication server 7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terminal 6 to authorize the user's use of the system. Due to the dual data channels of the terminal 6, kit value loss can be minimized.

인증 서버(7)는 사용자 정보의 히스토리 분석을 수행하고, 시간 흐름에 따라 사용자 정보의 일관성, 변화를 비교 판단한다. 히스토리 분석에서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고, 변화를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낼 때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을 허가함으로써 사용자 정보가 변조된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안을 강화한다.The authentication server 7 performs history analysis of user information and compares and determines consistency and changes in user information over time. In history analysis, if user information shows consistency, the user's use is permitted; if it shows changes, the user's use is not permitted. By allowing users to use the system when user information shows consistency, security is strengthened to prevent users with altered user information from accessing the system.

인증 서버(7)는 일관성, 변화, 빈도, 빈도 추이, 빈도가 높음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가중치 조합으로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빈도의 임계치가 초과하면 초과 누적수에 비례하여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장시간에 걸쳐 접근 시도하는 사용자를 인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 추가 인증을 요청한다.The authentication server 7 assigns weights to consistency, change, frequency, frequency trend, and high frequency, and blocks access by untrusted users using a combination of weights. For example, if the frequency threshold is exceeded, access by untrusted users can be blocked in proportion to the accumulated number of excesses, and users who attempt access over a long period of time can be authenticated. At this time, additional authentication is requested for untrusted users.

시스템의 사용을 인증하는 수단인 단말기(6)는 시스템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인증 서버(7)를 통한 우회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인터넷망을 이루는 네트워크가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구성되어 아이피 주소 설정 과정이 번거로울 때 단말기(6)를 이용한 인증 과정이 원활히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단말기(6)에는 시스템이 탑재되고, 단말기(6)는 인증 단말 수단이 되고, 인증 서버(7)는 인증 서버 수단이 된다.The terminal 6, which is a means of authenticating the use of the system, does not connect directly to the system, but forms a bypass route through the authentication server 7, so that the network that makes up the Internet network is composed of an internal network and an external network, and the IP address setting proce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uthentication process using the terminal 6 is performed smoothly in this cumbersome time. At this time, the system is mounted on the terminal 6, the terminal 6 becomes an authentication terminal means,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7 becomes an authentication server means.

클라우드(12)는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통신부(6)를 관리하는 운영체제(4)의 지원 하에 컨테이너(7)의 모듈화로, 웹(8), DB(9), 프로토콜(10), 라이브러리(11)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어부(5)는 컨테이너(7)의 서비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컨테이너(7)라고 하는 표준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관련 구성 파일, 라이브러리(11) 및 앱 실행에 필요한 종속성과 함께 번들로 제공한다.The cloud (12) is a modularization of the container (7) with the support of the operating system (4) that manages the processor (1), memory (2), input/output device (3), and communication unit (6), and the web (8) and DB ( 9), provides the services of the protocol 10 and library 11, and the control unit 5 executes a cloud application using the services of the container 7. A standard software package, called a container (7), bundles an application's code with associated configuration files, libraries (11), and dependencies needed to run the app.

클라우드(12)는 다수의 단말기(6)를 통합 제어하고, 단말기(6)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을 저장하여 시간 흐름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단말기(6)의 동작 에러를 처리하고, 에러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6)로 알리고, 제어 대상인 단말기(6)를 스위칭 제어한다.The cloud 12 integrates control of multiple terminals 6, stores sensor values received from the terminal 6, monitors them over time, processes operation errors of the terminal 6, and sends error messages to other terminals. Notifies the terminal 6, and performs switching control on the terminal 6 that is the control target.

신경망 학습은 온도, 고도, 지문 등 각종 센서, 이미지, 적외선 등 카메라, 라이더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특징량 선택, 알고리즘 선택을 통해 모델을 선택하고, 학습, 성능 검증 과정에 의한 반복 시행 착오를 거쳐 모델 선택을 반복한다. 성능 검증이 마치면 인공지능 모델이 선택된다.Neural network learning selects features from time series data collected from input devices such as temperature, altitude, fingerprints, various sensors, images, infrared cameras, and lidar, selects a model through algorithm selection, and repeats through the learning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process. Model selection is repeated through trial and error. After performance verification is completed,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selected.

제어부(5)는 센서값 판단에 신경망을 이용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신경망 학습에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고, 시험 데이터로 신경망 성능을 검증한다.The control unit 5 performs a deep learning algorithm using a neural network to determine sensor values, uses training data to learn the neural network, and verifies the neural network performance with test data.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 프로세서
2: 메모리
3: 입출력장치
4: 운영체제
5: 제어부
6: 단말기
7: 인증 서버
8: 웹
9: DB
11: 라이브러리
12: 클라우드
14: 컨테이너
16: 통신부
21: 키보드
22: 마우스
23: 터치스크린
31: 일정 제안
311: 생성부
312: 약속 생성부
313: 분석부
314: 노출 변화부
32: 일정 합의
321: 일정 정보부
322: 캘린더 정보부
323: 소셜 네트워크
324: 목적 정보부
325: 중요도 설정부
33: 일정 확정
331: 권한부
332: 알림부
1: processor
2: memory
3: Input/output device
4: Operating system
5: Control unit
6: Terminal
7: Authentication server
8: web
9: DB
11: Library
12: Cloud
14: Container
16: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21: keyboard
22: mouse
23: Touch screen
31: Schedule proposal
311: creation unit
312: Promise creation unit
313: analysis department
314: exposure change unit
32: Schedule agreement
321: Schedule Information Department
322: Calendar Information Department
323: Social Network
324: Purpose Intelligence Department
325: Importance setting unit
33: Schedule confirmed
331: Authority
332: Notification unit

Claims (6)

날짜 및 시간대의 범위를 제한하는 일정을 생성하고,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고, 대화 내역에서 적극성, 긍정 감정의 대화 감정을 분석하고, 프라이버시 노출값에 따라 해당 지인이 사용자 시간대를 확인하는 일정 제안(31);
일정 생성에서 설정한 날짜 및 시간대 내로 제한하고, 참가자 캘린더를 통해 과거 약속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선호 시간대를 분석하고,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참고하여 사용자와 참가자의 관계를 설정하고, 식사, 회의, 기타를 포함하는 약속 목적을 설정하고, 성사, 거리, 긴급성, 정시성, 가치 항목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일정 합의(32);
약속 일정 확정 권한을 설정하고, 약속 일정이 확정되면 참가자 모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일정 확정(33); 및
키보드(21), 마우스(22), 터치스크린(23)의 조작을 입력받아 입력된 조작에 따라 약속 일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고, 상기 일정 제안(31), 상기 일정 합의(32), 상기 일정 확정(33)의 동작을 실행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reate a schedule that limits the range of dates and time zones, create appointments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analyze conversational emotions such as proactiveness and positive emotions in conversation history, and suggest a schedule for acquaintances to check the user's time zone according to the privacy exposure value. (31);
Limits to the date and time zone set in schedule creation, analyzes the user's preferred time zone based on past appointment data through the participant calendar,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participant by referring to social network data, and schedules meals, meetings, etc. Schedule agreement that sets the purpose of the appointment, including completion, distance, urgency, punctuality, and importance for each value item (32);
Schedule confirmation (33), which sets the authority to confirm the appointment schedule and sends a notification to all participants when the appointment schedule is confirmed; and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service is performed based on input operations of the keyboard 21, mouse 22, and touch screen 23, and the schedule proposal 31, schedule agreement 32, and schedule confirmation are performed.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5) that executes the operation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제안(31)은,
사용자 입력에 의한 날짜 및 시간대의 범위를 제한하는 일정을 생성하는 생성부(311); 음성 대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의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는 약속 생성부(312); 대화 내역에서 감정 분석 모델을 통해 적극성, 긍정 감정의 대화 감정을 분석하는 분석부(313); 프라이버시 노출값에 따라 해당 지인이 사용자 시간대를 확인하는 노출 변화부(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chedule proposal (31) is,
A generator 311 that generates a schedule that limits the range of dates and time zones based on user input; an appointment creation unit 312 that creates an appointment through conversation history of voice conversation, image data, and text data; An analysis unit 313 that analyzes conversational emotions of proactiveness and positive emotions through an emotion analysis model in the conversation history;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posure change unit 314 that allows the acquaintance to check the user's time zone according to the privacy exposur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합의(32)는,
일정 생성에서 설정한 날짜 및 시간대 내로 제한하는 일정 정보부(321); 참가자 캘린더를 통해 과거 약속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의 선호 시간대를 분석하는 캘린더 정보부(322);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참고하여 가중치 부여를 이용해서 사용자와 참가자의 관계를 설정하는 소셜 네트워크(323); 식사, 회의, 기타를 포함하는 약속 목적을 설정하는 목적 정보부(324); 성사, 거리, 긴급성, 정시성, 가치 항목별 중요도를 설정하는 중요도 설정부(3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bove schedule agreement (32) is,
a schedule information unit 321 that limits the date and time zone set in schedule creation; a calendar information unit 322 that analyzes the user's preferred time zone based on past appointment data through the participant calendar; A social network 323 that establishes relationships between users and participants using weighting with reference to social network data; Purpose Information Unit 324, which sets the purpose of the appointment, including meals, meetings, etc.;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importance setting unit 325 that sets the importance of each item of success, distance, urgency, punctuality, an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확정(33)은,
약속 일정 확정 권한을 설정하는 권한부(331); 약속 일정이 확정되면 참가자 모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알림부(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bove schedule confirmation (33) is,
an authority department 331 that sets appointment schedule confirmation authority;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a notification unit 332 that sends a notification to all participants when the appointment schedule is confi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속 생성부(312)는,
음성 대화의 경우 STT(Speech To Text) 모델을 이용하고,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광학 문자 인식을 이용하고, 텍스트 데이터의 경우 자연어 처리를 이용하여 음성 대화,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의 대화 내역을 통한 약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appointment creation unit 312,
For voice conversations, the STT (Speech To Text) model is used, for image data,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is used, and for text dat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s used to make promises through the conversation history of voice conversations, image data, and text data.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설정부(325)는,
해당 참가자에게 여러 일정 중 해당 약속 일정이 수립되는 성사 중요도(61); 해당 참가자의 약속 위치가 인접한 곳으로 설정되는 거리 중요도(62); 해당 약속 일정의 긴급성을 나타내는 긴급성 중요도(63); 해당 약속 일정의 지정된 시간에 도착할 가능성이 중요한 정시성 중요도(64); 해당 참가자의 해당 약속 일정의 가치를 나타내는 가치 중요도(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속 일정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importance setting unit 325,
The importance of the appointment being scheduled among several schedules for the participant (61); Distance importance (62), where the participant's appointment location is set to be adjacent; Urgency importance (63), which indicates the urgency of scheduling that appointment; punctuality importance (64), in which the likelihood of arriving at a specified time for a given appointment is important; An appointment schedule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value importance (65) indicating the value of the corresponding appointment schedule for the corresponding participant.
KR1020220123914A 2022-09-29 2022-09-29 Appointment schedul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KR202400446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14A KR20240044648A (en) 2022-09-29 2022-09-29 Appointment schedul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14A KR20240044648A (en) 2022-09-29 2022-09-29 Appointment schedul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648A true KR20240044648A (en) 2024-04-05

Family

ID=9071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914A KR20240044648A (en) 2022-09-29 2022-09-29 Appointment schedul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648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3139A (en) 2005-10-20 2007-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 management system of fulfillment a promise using mobile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0719174B1 (en) 2006-08-08 2007-05-18 정경태 Calendar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1161680B1 (en) 2005-08-30 2012-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ppointment management us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schedul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140015680A (en) 2012-07-06 2014-02-07 정태훈 Method for managing appointment service using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680B1 (en) 2005-08-30 2012-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appointment management us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schedul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43139A (en) 2005-10-20 2007-04-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 management system of fulfillment a promise using mobile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0719174B1 (en) 2006-08-08 2007-05-18 정경태 Calendar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140015680A (en) 2012-07-06 2014-02-07 정태훈 Method for managing appointment service using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8742B2 (en) Cognitive content filtering
US20190295027A1 (en) Cognitive scheduling for cooperative tasks
US20200211305A1 (en) Authorized access evaluation and remediation system
US20220092056A1 (en) Technologies for providing prediction-as-a-service through intelligent blockchain smart contracts
US11386804B2 (en) Intelligent social interaction recognition and conveyance using computer generated prediction modeling
US20180336531A1 (en) Cognitive adaptation to user behavior for personalized automatic processing of events
US20200111046A1 (en) Automated and intelligent time reallocation for agenda items
US20230252375A1 (en) Digital cloud-based platform and method for providing shell communication with cognitive cross-collaboration access using certified attribute parameters and operant conditioning tags
US11626988B2 (en) Blockchain-based technologies for hyper-personalized interactions across enterprises
US10735463B2 (en) Validating commands for hacking and spoofing preven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computing environment
US10769574B2 (en) Maximize human resources efficiency by reducing distractions during high productivity periods
US201801901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gnitive intervention on human interactions
US117095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navigation menus
CN113216790A (en)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computer medium
KR20240044648A (en) Appointment scheduling methods, devices and systems
WO20231545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ystem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excess traffic
US11809805B2 (en) Using machine learning to predict performance of secure documents
US20220207284A1 (en) Content targeting using content context and user propensity
CN113887764A (en) Data upda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537141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beauty and lifestyle product sales service through micro-influencer linkage
KR20240054524A (en) Family personalized messenger device and method
US20240064142A1 (en) Group authentication based on aggregated capabilities
KR20240041452A (en) Language exchange partner matching system
KR102593715B1 (en) Augmented reality photo output kiosk app viewer system
KR20240057139A (en) Shared delibery service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