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079A -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079A
KR20240044079A KR1020220123373A KR20220123373A KR20240044079A KR 20240044079 A KR20240044079 A KR 20240044079A KR 1020220123373 A KR1020220123373 A KR 1020220123373A KR 20220123373 A KR20220123373 A KR 20220123373A KR 20240044079 A KR20240044079 A KR 2024004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ssembly
shield member
insulator
cable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종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3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079A/ko
Publication of KR2024004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케이블을 외측에서 감싸서 고정하는 제 1 서브 쉘과 제 1 서브 쉘에 연결된 제 1 메인 쉘을 포함한 제 1 쉘, 제 1 메인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 1 인슐레이터(insulator), 및 제 1 서브 쉘의 방향으로 제 1 인슐레이터의 일단부에 장착된 제 1 실드 부재(shield)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with shie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하기 위해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모듈 대 모듈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성장함에 따라, 초당 일정 메가비트(MBPS)를 초과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신뢰 가능한 신호 전송 케이블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종래에는 두 개의 신호 와이어를 포함하는 이중 케이블 데이터 통신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50 Mbps를 초과하는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데, 이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50 Mbps를 초과할 때 와이어 내에서 생성되는 신호 반사 때문이다.
이러한 신호 반사는 케이블의 길이를 따른 와이어의 임피던스 레벨의 과다한 요동을 유발하는 꼬인 와이어들 사이의 간격의 과다한 변동의 결과로서 발생된다.
또한, 케이블의 결선시 와이어 접속 부위에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mis-matching)이 발생하여, 임피던스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하기 위해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케이블을 외측에서 감싸서 고정하는 제 1 서브 쉘과 상기 제 1 서브 쉘에 연결된 제 1 메인 쉘을 포함한 제 1 쉘; 상기 제 1 메인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 1 인슐레이터(insulator); 및 상기 제 1 서브 쉘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일단부에 장착된 제 1 실드 부재(shiel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2 단자와 상기 제 2 케이블을 외측에서 감싸서 고정하는 제 2 서브쉘과 상기 제 2 서브 쉘에 연결된 제 2 메인 쉘을 포함한 제 2 쉘;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타단부에 장착된 제 2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타단부에 장착된 제 2 실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상기 제 1 실드 부재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전면에 분리벽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1 케이블을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심선은 각각 상기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은 내부 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관통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몸체에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막이 표면 도금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후면의 일측에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는 전면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1 슬라이딩 라인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몸체에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막이 표면 도금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전면에 분리벽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은 내부 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관통 구비되며, 후면의 상,하에 각각 상부 슬라이딩 홈과 하부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상부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는 전면 상부에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는 락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제 1 실드 부재와 제 2 실드 부재를 이용하여, 제 1 케이블과 제 2 케이블의 결선시 접속 부위에서 발생하는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 및 케이블 탈피에 의해 실드가 없는 케이블 부의 실드 기능을 통해 임피던스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후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수평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 실드 부재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실드 부재의 측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 케이블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2 쉘의 전면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 실드 부재와 제 1 인슐레이터의 조립전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 실드 부재와 제 1 인슐레이터의 조립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후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수평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 실드 부재의 전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실드 부재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 케이블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2 쉘의 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제 1 단자(130)가 결합되어 제 1 단자 (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케이블(110), 제 1 단자(130)와 제 1 케이블(110)의 단부를 외측에서 감싸서 고정하는 제 1 서브 쉘(sub shell: 151)과 제 1 서브 쉘(151)에 연결된 제 1 메인 쉘(main shell: 152)을 포함한 제 1 쉘(150), 제 1 메인 쉘(152)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 1 인슐레이터(insulator: 191), 제 1 서브 쉘(151)의 방향으로 제 1 인슐레이터(191)의 일단부에 장착된 제 1 실드 부재(shield: 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191)의 타단부에 장착된 제 2 인슐레이터(192), 제 2 인슐레이터(192)의 타단부에 장착된 제 2 실드 부재(180), 제 1 메인 쉘(152)이 삽입되는 제 2 메인 쉘(162)과 제 2 메인 쉘(162)에 연결된 제 2 서브 쉘(161)을 포함한 제 2 쉘(160) 및 제 2 서브 쉘(161)을 거쳐 제 2 인슐레이터(192)까지 삽입되는 단부에 제 2 단자(140)와 결합되는 제 2 케이블(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단자(140)는 제 2 케이블 (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서브쉘(161)은 제 2 단자 (140)와 제 2 케이블 (120)을 외측에서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제 1 케이블(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켓(111), 자켓(111) 내의 차폐관(112), 차폐관(112) 내의 절연부(113) 및 절연부(113)에 둘러싸인 2개의 심선(114,115)을 포함한다.
제 1 단자(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심선(114,115) 각각의 단부에 결합하고, 제 1 단자(130)는 제 1 서브 쉘(151)와 제 1 실드 부재(170)를 거쳐 제 1 인슐레이터(191)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단자(130)는 암단자 또는 숫단자로 구비될 수 있고, 도 3에서는 암단자로 도시한다.
제 1 쉘(15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관통된 원형관의 형태로 구비된 제 1 서브 쉘(151) 및 제 1 서브 쉘(151)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관통된 관의 형태로 구비된 제 1 메인 쉘(1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서브 쉘(151)은 제 1 케이블(110)의 선단을 압착하여 지지한다.
제 1 실드 부재(170)는 제 1 인슐레이터(191)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제 1 메인 쉘(152)에 위치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분리벽(173)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제 1 가이드 통공(171)과 제 2 가이드 통공(172)을 구비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의 상,하에 각각 상부 슬라이딩 홈(174)과 하부 슬라이딩 홈(175)을 구비한다. 이러한 제 1 실드 부재(170)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몸체에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막이 표면 도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가이드 통공(171)과 제 2 가이드 통공(172)은 내부 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관통 구비되어, 제 1 단자(130)와 2개의 심선(114,115) 단부가 각각 제 1 가이드 통공(171)과 제 2 가이드 통공(172)으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한다.
분리벽(173)은 2개의 심선(114,115)을 이격시켜 제 1 가이드 통공(171)과 제 2 가이드 통공(172) 각각으로 삽입하게 하고 임피던스 정합을 이루게 한다.
상부 슬라이딩 홈(174)과 하부 슬라이딩 홈(175)은 각각 제 1 인슐레이터(191)의 전면에서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에 각각 구비된 제 1 슬라이딩 라인(191-2)에 맞물려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실드 부재(170)는 상부 슬라이딩 홈(174)과 하부 슬라이딩 홈(175)이 제 1 슬라이딩 라인(191-2)에 맞물려 슬라이딩되어, 제 1 인슐레이터(191)의 일단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 1 실드 부재(170)는 외부 표면이 전기전도성을 가짐에 따라 외부 표면에 의한 차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191)는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로 형성된 절연부재로서, 제 1 메인 쉘(152)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 1 실드 부재(170)의 제 1 가이드 통공(171)과 제 2 가이드 통공(172)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제 1 인슐레이터 통공을 장축 방향으로 구비한다. 이러한 2개의 제 1 인슐레이터 통공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자(130)와 2개의 심선(114,115)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 1 인슐레이터(191)는 전면에서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에 각각 단축방향으로 제 1 슬라이딩 라인(191-2)을 구비하여, 제 1 실드 부재(170)의 상부 슬라이딩 홈(174)과 하부 슬라이딩 홈(175)에 각각 제 1 슬라이딩 라인(191-2)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제 2 인슐레이터(192)는 제 1 인슐레이터(191)와 동일하게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질로 형성된 절연부재로서, 제 1 인슐레이터(191)에 구비된 2개의 제 1 인슐레이터 통공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제 2 인슐레이터 통공을 장축 방향으로 구비한다. 이러한 2개의 제 2 인슐레이터 통공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단자(140)와 제 2 케이블(120)의 2개의 심선 단부가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 2 인슐레이터(192)는 후면에서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에 각각 단축방향으로 제 2 슬라이딩 라인(192-2)을 구비하여, 제 2 실드 부재(180)가 삽입되고 슬라이딩되어 장착된다.
제 2 실드 부재(180)는 제 1 실드 부재(170)와 동일한 형태를 갖고 제 2 인슐레이터(192)의 타단부에 장착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제 2 인슐레이터(192)의 2개의 제 2 인슐레이터 통공에 각각 연통하는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을 구비하며, 전면의 상,하에 각각 상부 슬라이딩 홈과 하부 슬라이딩 홈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2 실드 부재(180)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몸체에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막이 표면 도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드 부재(180)는 제 1 실드 부재(170)와 동일한 크기 또는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 2 쉘(16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관통된 원형관의 형태로 구비되며 제 1 메인 쉘(152)이 삽입되는 제 2 메인 쉘(162) 및 제 2 메인 쉘(162)에 연결된 제 2 서브 쉘(161)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서브 쉘(16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관통된 원형관의 형태로 구비되어 제 2 케이블(120)을 압착 지지하며, 제 2 메인 쉘(162)은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통 형태의 부재이며 하부 일측에 제 2 서브 쉘(161)과 연결된다.
특히 제 2 메인 쉘(16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아래로 움푹 들어간 지지단(162-1)을 구비하여 스토퍼 및 제1 메인 쉘(152)을 쉘의 단측 방향으로 지지하고, 하부면에 전면 방향으로 자유단 연결된 사각형 평판형의 접지단(162-2)을 구비한다.
제 2 케이블(120)은 제 1 케이블(110)과 동일한 형태를 가져, 자켓, 자켓 내의 차폐관, 차폐관 내의 절연부 및 절연부에 둘러싸인 2개의 심선을 포함한 구조이다.
제 2 단자(140)는 제 2 케이블(120)의 2개의 심선 각각의 단부에 결합하고, 제 2 서브 쉘(161)와 제 2 실드 부재(180)를 거쳐 제 2 인슐레이터(192)의 내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 2 단자(140)는 제 1 단자(130)의 반대 단자로서 숫단자 또는 암단자로 구비될 수 있고, 도 1에서는 숫단자로 도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실드 부재(170)와 제 2 실드 부재(180)를 이용하여, 제 1 케이블(110)과 제 2 케이블(120)의 결선시 제 1 단자(130)와 제 2 단자(140) 접속 부위에서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mis-matching)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실드 부재(170)와 제 2 실드 부재(180)가 분리벽을 이용하여 2개의 심선을 이격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이룰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해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 실드 부재와 제 1 인슐레이터의 조립전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 실드 부재와 제 1 인슐레이터의 조립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와 동일하지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드 부재(270)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걸림턱(274)을 구비하고, 제 1 인슐레이터(291)가 전면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락킹부(291-2,291-3)를 구비한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락킹부(291-2,291-3)는 각각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드 부재(270)의 걸림턱(274)에 맞물려 결합되어, 제 1 실드 부재(270)가 제 1 인슐레이터(291)의 전면에 장착된다.
물론, 제 2 실드 부재와 제 2 인슐레이터에도 제 1 실드 부재(270)와 제 1 인슐레이터(291) 처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실드 부재(270)를 제 1 인슐레이터(291)의 전면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구성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실드 부재(170)와 제 2 실드 부재(180)를 이용하여, 제 1 케이블(110)과 제 2 케이블(120)의 결선시 제 1 단자(130)와 제 2 단자(140) 접속 부위에서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비교예와 실험예로 구분하여 실험한다.
실험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넥터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 1 단자(130)와 제 2 단자(140) 접속 부위에서 반사/반응되어 시간에 따른 임피던스의 변동을 검출한다.
비교예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제 1 실드 부재(170)와 제 2 실드 부재(180)를 제거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제 1 단자(130)와 제 2 단자(140) 접속 부위에서 반사/반응되어 시간에 따른 임피던스의 변동을 검출한다.
이러한 실험예와 비교예의 결과는 도 9에서 "Ⅰ"의 비교예 결과 그래프와 "Ⅱ"의 실험예 결과 그래프로 검출될 수 있다.
이때 "Ⅰ"의 비교예 결과 그래프는 상당히 큰 임피던스의 변동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는 반면에, "Ⅱ"의 실험예 결과 그래프는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하여 임피던스의 변동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 1 실드 부재(170)와 제 2 실드 부재(180)를 이용하여, 제 1 케이블(110)과 제 2 케이블(120)의 결선시 제 1 단자(130)와 제 2 단자(140) 접속 부위에서 임피던스 부정합을 보정하여 임피던스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제 1 케이블 111: 자켓
112: 차폐관 113: 절연부
114: 제 1 심선 115: 제 2 심선
120: 제 2 케이블 130: 제 1 단자
140: 제 2 단자 150: 제 1 쉘
151: 제 1 서브 쉘 152: 제 1 메인 쉘
160: 제 2 쉘 161: 제 2 서브 쉘
162: 제 2 메인 쉘 170: 제 1 실드 부재
171: 제 1 가이드 통공 172: 제 2 가이드 통공
173: 분리벽 174,175: 슬라이딩 홈
180: 제 2 실드 부재 191: 제 1 인슐레이터
192: 제 2 인슐레이터

Claims (11)

  1. 제 1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단자;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케이블을 외측에서 감싸서 고정하는 제 1 서브 쉘과 상기 제 1 서브 쉘에 연결된 제 1 메인 쉘을 포함한 제 1 쉘;
    상기 제 1 메인 쉘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 1 인슐레이터(insulator); 및
    상기 제 1 서브 쉘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일단부에 장착된 제 1 실드 부재(shield)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단자;
    상기 제 2 단자와 상기 제 2 케이블을 외측에서 감싸서 고정하는 제 2 서브쉘과 상기 제 2 서브 쉘에 연결된 제 2 메인 쉘을 포함한 제 2 쉘;
    상기 제 1 인슐레이터의 타단부에 장착된 제 2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 2 인슐레이터의 타단부에 장착된 제 2 실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상기 제 1 실드 부재보다 크기가 작은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전면에 분리벽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블을 구성하는 적어도 2개의 심선은 각각 상기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으로 삽입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은 내부 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관통 구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몸체에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막이 표면 도금된 형태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후면의 일측에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는 전면의 일측 테두리에 상기 제 1 실드 부재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1 슬라이딩 라인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라스틱 몸체에 전기전도성을 갖는 금속막이 표면 도금된 형태로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드 부재는 전면에 분리벽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이드 통공과 제 2 가이드 통공은 내부 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관통 구비되며, 후면의 상,하에 각각 상부 슬라이딩 홈과 하부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드 부재는 상부에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슐레이터는 전면 상부에 상기 걸림턱에 맞물리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20123373A 2022-09-28 2022-09-28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240044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73A KR20240044079A (ko) 2022-09-28 2022-09-28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73A KR20240044079A (ko) 2022-09-28 2022-09-28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079A true KR20240044079A (ko) 2024-04-04

Family

ID=9063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373A KR20240044079A (ko) 2022-09-28 2022-09-28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0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9124B2 (en) Low crosstalk printed circuit board based communications plugs and patch cords including such plugs
US9190777B2 (en) Communications plugs having capacitors that inject offending crosstalk after a plug-jack mating point and related connectors and methods
US6238235B1 (en) Cable organizer
US7632155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on disposition
US8047865B2 (en) Pluggable cable connector
EP0793305B1 (en) Twisted pair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US6080007A (en)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wire holding sled
CN101569063B (zh) 屏蔽连接器
US9054460B2 (en) Communication plug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urface mounted blades
MX2008013519A (es) Conector electrico que tiene placas de contacto.
US6575762B2 (en) Connection of coaxial cable to a circuit board
US10193242B2 (en) Printed circuit board based communications plugs that are suitable for field termination and patch cords including such plugs
US20230238757A1 (en) Single-pair ethernet multi-way couplers
US20030060084A1 (en) Connector
US7285025B2 (en) Enhanced jack with plug engaging printed circuit board
US9819131B2 (en) RJ-45 communication plug with plug blades received in apertures in a front edge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10454217B2 (en) RJ45 plug with collar for bonding to a cable shield
KR20240044079A (ko) 차폐 구조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US9583890B2 (en) RJ45 connector
AU2016270643B2 (en) RJ45 connector
US11811171B2 (en) Cable termination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N109936021B (zh) 一种高频连接器
US11552430B2 (en) Ground structure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