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032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체감 품질 측정에 관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체감 품질 측정에 관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4032A KR20240044032A KR1020220123251A KR20220123251A KR20240044032A KR 20240044032 A KR20240044032 A KR 20240044032A KR 1020220123251 A KR1020220123251 A KR 1020220123251A KR 20220123251 A KR20220123251 A KR 20220123251A KR 20240044032 A KR20240044032 A KR 202400440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measurement
- rvqoe
- base station
- ev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760358 Enod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000575066 Homo sapiens Mediator of RNA polymerase II transcription subunit 17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5530 Mediator of RNA polymerase II transcription subunit 17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0 explo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04L41/5067—Customer-centric QoS measur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단말의 방법은 기지국으로 단말이 RVQoE 측정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RVQoE 측정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 RVQoE 측정에 대한 보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체감 품질(QoE)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 (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동작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동작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기지국을 위한 체감 품질 측정(QoE)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은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이 RVQoE(ran-visible quality of experience) 측정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RVQoE 측정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RVQoE 측정에 대한 보고(report)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gnaling 기반 QoE 측정을 설정/보고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nagement 기반 QoE 측정을 설정/보고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RAN visible QoE 측정의 설정 및 보고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APP layer에서의 이벤트 감지 기반의 RVQoE 측정의 설정 및 보고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gnaling 기반 QoE 측정을 설정/보고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nagement 기반 QoE 측정을 설정/보고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RAN visible QoE 측정의 설정 및 보고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APP layer에서의 이벤트 감지 기반의 RVQoE 측정의 설정 및 보고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동작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5G(NR) 또는 5G(NR) 시스템을 일 예로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5G(New Radio, NR) 시스템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 예컨대, 6G 시스템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New Radio, NR)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 (New Radio Node B, 이하 gNB 또는 기지국)(110) 과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105, New Radio Core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115)은 gNB (110) 및 AMF (1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에서 gNB(1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 (Evolved Node B)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의 120에 예시된 것처럼, gNB(110)는 NR UE(1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예: eN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예컨대,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gNB (110)가 담당할 수 있다. 하나의 gNB(11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존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AMF (1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MF(10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엔티티)로 하나 또는 복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AMF(105)이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1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125)는 기존 기지국인 eNB (130)과 연결될 수 있다. LTE-NR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단말(115)은 gNB(110)뿐 아니라, 도 1의 135에 예시된 것처럼, eNB(140)에도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3 가지의 무선 접속 상태 (RRC (Radio Resource Control) state)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모드 (RRC_CONNECTED, 205)는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접속 상태이다. 대기 모드 (RRC_IDLE, 230)는 단말이 자신에게 페이징이 전송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무선 접속 상태이다. 상기 두 모드는 기존 LTE 시스템에도 적용되는 무선 접속 상태로, 상세 기술은 기존 LTE 시스템의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신규로 비활성 (RRC_INACTIVE) 무선 접속 상태 (215)가 정의되었다. 상기 무선 접속 상태(215)에서는 UE context가 기지국과 단말에 유지되며, RAN 기반 페이징이 지원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무선 접속 상태(215)는 비활성 (RRC_INACTIVE) 무선 접속 상태, INACTIVE 무선 접속 상태, INACTIVE 상태 또는 INACTIVE 모드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신규 무선 접속 상태(215)는 아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
Cell re-selection mobility;
-
CN - NR RAN connection (both C/U-planes) has been established for UE;
-
The UE AS context is stored in at least one gNB and the UE;
-
Paging is initiated by NR RAN;
-
RAN-based notification area is managed by NR RAN;
-
NR RAN knows the RAN-based notification area which the UE belongs to;
신규 INACTIVE 무선 접속 상태(215)는 특정 절차를 이용하여, 연결 모드 혹은 대기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210에 예시된 것처럼, Resume 과정에 따라 INACTIVE 모드(215)에서 연결 모드(205)로 전환되며, suspend 설정 정보를 포함한 Release 절차를 이용하여 연결 모드(205)에서 INACTIVE 모드(215)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절차는 하나 이상의 RRC 메시지가 단말과 기지국 간 송수신되는 동작(또는, 단계)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20에 예시된 것처럼, Resume 후 Release 절차를 통해, INACTIVE 모드(215)에서 대기 모드(230)로 전환도 가능하다.
연결 모드(205)과 대기 모드(230) 간 전환은 기존의 LTE 기술을 따를 수 있다. 도 225에 예시된 것처럼, establishment 혹은 release 절차를 통해, 상기 모드간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Signaling 기반 QoE 측정을 설정/보고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서, Signaling 기반 QoE 측정을 설정/보고하는 절차는 Signaling 기반 절차 또는 Signaling 기반 QoE 절차로 지칭될 수 있다. Signaling 기반 절차는 QoE 측정이 OAM(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에 의해 설정되고, CN(core network)에 의해 트리거(또는, 활성화)되는 절차일 수 있다.
단말의 AS (Access stratum, 305)는 서비스 종류별 (예, streaming, MTSI(Multimedia Telephony Service for IMS(IP Multimedia Subsystem)), VR(Virtual Reality) 등)로 단말이 QoE 측정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예, qoe-Streaming-MeasReport, qoe-MTSI-MeasReport, qoe-VR-MeasReport)를 UE capability 메시지 (예, UECapabilityInformation)를 통해 기지국 (또는 NG-RAN, 315)에게 전송할 수 있다 (310). 본 개시에서, 단말의 AS(305)는 단말의 AS 레이어 또는 단말의 RRC 레이어로 지칭될 수 있다.
UE capability 메시지를 보내기 전, 기지국(315)은 UE capability 메시지에 대한 요청에 관한 메시지 (예, UECapabilityEnquiry)를 단말 또는 단말의 AS(305)로 보낼 수 있다. 또한, UE capability 메시지를 통해, 단말 또는 단말의 AS(305)은 서비스 종류별 (예, streaming, VR)로 단말이 RAN visible QoE 측정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예, ran-VisibleQoE-Streaming-MeasReport, ran-VisibleQoE-VR-MeasReport) 를 기지국(315)에게 보고(또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UE capability 메시지를 통해, 단말 또는 단말의 AS(305)은 단말이 QoE report 메시지에 대한 UL RRC segmentation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예, ul-MeasurementReportAppLayer-Seg)를 보고 할 수 있다.
상기 UE capability 메시지는 예컨대, 표 1과 같은, ASN.1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관련 파라미터 설명은 예컨대, 표 2와 같을 수 있다.
[표 1]
[표 2]
LTE에서는 지원가능한 서비스 종류로 Streaming 및 MTSI를 정의 하였고, NR에서는 그 외에도 추가적으로 VR (Virtual Reality)의 지원을 Rel-17에서 정의하였으며, 추후 release에서 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XR (Extended Reality)등을 추가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OAM (320)은 CN (325)에게 QoE 측정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330).
QoE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한 CN(325)은 상기 설정 정보를 기지국(315)에게 전송함으로써, QoE 측정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335).
QoE 측정 설정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315)은 RRC 메시지 (예를 들어, RRCReconfiguration 또는 RRCResume 메시지)를 통해서 단말 AS(305)에게 QoE 측정 설정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다 (340). 상기 RRC 메시지는 예컨대, 아래 표 3과 같은, IE (APPLayerMeasConfig)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련 파라미터 설명은 예컨대, 표 4 및 5와 같을 수 있다.
[표 3]
[표 4]
[표 5]
이를 수신한 단말 AS(505)의 동작은 예컨대, 아래 표 6에 기재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표 6]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measConfigAppLayerToAddModList에 포함된 QoE 측정 설정의 경우, 단말의 AS layer(305)는 단말의 upper layer 또는 application layer (UE APP, 345)에게 AT Command를 통해 설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350). measConfigAppLayerToAddReleaseList에 포함된 QoE 측정 설정에 대해서 단말의 AS layer(305)는 단말의 APP(345)에게 저장된 설정 정보를 지우라는 AT Command를 보낼 수 있다.
단말 APP(345)은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QoE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APP(345)는 측정의 결과를 설정 정보에 따라 AT command를 통해 단말 AS(305)에게 보고 할 수 있다 (355). 예를 들면, 단말 APP(345)은 측정의 결과를 포함하는 QoE report를 생성하여, AT command를 통해 단말 AS(305)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 AS(305)는 RRC Message (예를 들어, MeasurementReportAppLayer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315)에게 상기 측정 결과를 보고 할 수 있다 (360). 예를 들면, 단말 AS(305)는 상기 QoE report를 포함하는 RRC Message 를 기지국(3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QoE 측정 결과 보고를 위해서, SRB4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MeasurementReportAppLayer 메시지는 표 7에서와 같은 ASN.1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관련 파라미터 설명은 표 8과 같을 수 있다.
[표 7]
[표 8]
이를 보고하는 구체적인 단말 AS(305)의 절차는 아래 표 9에 기재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표 9]
기지국(315)은 상기 측정 결과 보고를 측정 보고를 수집하는 최종 서버 (예컨대, TCE(Trace Collection Entity) 및/또는 MCE(Measurement Collection Entity), 365)에 전달할 수 있다 (370). 예를 들면, 기지국(315)은 상기 QoE report를 설정된 최종 목적지(final destination)(예컨대, TCE 또는 MCE)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 AS와 단말 APP의 동작은 단말의 동작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anagement 기반 QoE 측정을 설정/보고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서, Management 기반 QoE 측정을 설정/보고하는 절차는 Management 기반 QoE 설정/보고 절차, Management 기반 QoE 측정 절차 또는 Management 기반 절차로 지칭될 수 있다. Management 기반 절차는 QoE 측정이 OAM에 의해 설정되고, OAM에 의해 트리거(또는, 활성화)되는 절차일 수 있다. 이처럼, Management 기반 절차에서는, QoE 측정이 CN에 의해 트리거(또는, 활성화)되는 signaling 기반 절차(예컨대, 도 3의 signaling 기반 절차)와 달리, QoE 측정이 OAM에 의해 트리거(또는, 활성화)된다.
한편, QoE 측정이 상이한 주체에 의해 트리거(또는, 활성화)되는 점을 제외하고, Management 기반 QoE 설정/보고 절차(Management 기반 절차)는 상기 signaling 기반 절차 (예컨대, 도 3의 signaling 기반 절차)와 상당 부분 유사하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Management 기반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기술하며, 그 외 절차(동작) 및 설명은 도 3에서의 해당 절차(동작) 및 설명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생략된 동작 및 관련 설명은 도 3의 해당 동작 및 관련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Management 기반 방식(Management 기반 절차)에서는 CN을 거치지 않고, OAM (405) 이 직접 QoE 측정 설정을 기지국 (410)에게 보냄으로써 QoE 측정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415).
이를 수신한 기지국(410)은 여러 조건(예를 들어, area scope, application layer capability, 서비스 종류)에 부합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단말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410)은 상기 단말(들) 각각에게 상기 QoE 측정 설정을 RRC 메시지 (예를 들어 RRCReconfiguration 메시지 또는 RRCResume 메시지)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420).
그 외 절차(동작) 및 관련 정보/메시지 형태는 도 3(signaling 기반 방식)의 해당 절차(동작) 및 관련 정보/메시지 형태에 대한 설명과 동일할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단말 AS가 QoE 측정에 대한 지원 능력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은 도 3의 동작 310과 동일하므로, 동작 31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단말 AS가 AT command를 통해 QoE 설정 정보를 단말 APP으로 전달하는 동작은 도 3의 동작 350과 동일하므로, 동작 35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단말 APP이 QoE 설정 정보에 따라 QoE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의 결과를 AT command를 통해 단말 AS로 보고하는 동작은, 도 3의 동작 355와 동일하므로, 동작 355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단말 AS가 RRC 메시지를 통해 기지국으로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동작은, 도 3의 동작 360과 동일하므로, 동작 360 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이 측정 결과를 최종 서버로 전달하는 동작은, 도 3의 동작 370과 동일하므로, 동작 370 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RAN visible QoE 측정의 설정 및 보고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와 4의 경우, QoE 측정이 OAM에 의해 설정되고, 그에 따라 생성된 QoE 측정 보고가 TCE/MCE로 수집되어, 사업자는 네트워크 최적화를 위해 상기 QoE 측정 보고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이 상기 OAM 기반 QoE 측정에 관한 보고를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이를 기지국이 수신하였을 때, 기지국은 해당 측정 보고를 읽거나 이해할 수 없다. 상기 MeasurmentReportAppLayer 메시지에는 단말의 application layer가 생성한 측정 보고가 measurementReportAppLayerContainer에 포함되지만 OCTEC STRING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RRC layer에서는 이를 읽거나 이해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기지국이 QoE 측정 보고를 읽고 이를 무선 자원 관리 등과 같은 네트워크 최적화에 활용하기 위해서, 3GPP에서 RAN visible QoE (RVQoE) 측정을 정의 및 도입하였다. RVQoE 측정 방식(RVQoE 측정 절차)은 상술한 예컨대, 도 3의 Signaling 기반 QoE 측정 방식(Signaling 기반 QoE 측정 방식) 및 도 3의 Management 기반 QoE 측정 방식(Management 기반 QoE 측정 방식)과 달리, QoE 측정(RVQoE 측정)이 기지국에 의해 설정 및/또는 트리거링(또는, 활성화)되고, QoE 측정 보고(RVQoE 측정 보고)가 기지국으로 전달되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RVQoE 측정은 특정 서비스 타입 (예, streaming, VR)에 제한되어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RVQoE 측정은 RAN visible application layer 측정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RVQoE 측정의 설정 및 보고를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또는, 단말 AS)은 RVQoE 측정에 대한 지원 여부를 서비스 종류별 (예, streaming, VR)로 기지국(예, NG-RAN)에게 보고할 수 있다 (505). 이 때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 내에, 단말이 Streaming 서비스에 대한 RVQoE 측정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예, ran-VisibleQoE-Streaming-MeasReport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이 VR 서비스에 대한 RVQoE 측정을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예, ran-VisibleQoE-VR-MeasReport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 내에 ran-VisibleQoE-Streaming-MeasReport 파라미터를 포함(present)시키거나, 또는 ran-VisibleQoE-Streaming-MeasReport 파라미터의 값을 특정 값('supported'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Streaming 서비스에 대한 RVQoE 측정이 지원됨을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은 UECapabilityInformation 메시지 내에 ran-VisibleQoE-VR-MeasReport 파라미터를 포함(present)시키거나, 또는 ran-VisibleQoE-VR-MeasReport 파라미터의 값을 특정 값('supported'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VR 서비스에 대한 RVQoE 측정이 지원됨을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은 단말의 서비스 종류별 RVQoE 측정 지원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지국은 RVQoE 측정 설정(RVQoE 측정 설정 정보)을 생성하며 이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510). 실시예로서, RVQoE 측정 설정은 OAM 기반 QoE 측정 설정(예, 도 3의 Signaling 기반 QoE 측정을 위한 QoE 측정 설정 및/또는 도 4의 Management 기반 QoE 측정을 위한 QoE 측정 설정)과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또는, RVQoE 측정 설정은 상기 OAM 기반 QoE 측정 설정과 별도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RVQoE 측정 설정은 RRCReconfiguration 또는 RRCResume 메시지내에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은 예컨대, AppLayerMeasConfig IE 내 ran-VisibleParameters 파라미터의 설정 (setup) 또는 해제 (release)를 통해 단말에게 RVQoE 측정의 설정 또는 해제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RAN-VisibleParameters I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하기 파라미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할 수 있다.
- RVQoE 측정 보고 주기 (ran-VisiblePeriodicity): RVQoE 측정에 대한 보고의 주기를 지시하는 파라미터. 단말 AS 또는 단말 APP은 상기 주기마다 RVQoE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 최대 보고 가능한 buffer level 개수 (numberOfBufferLevelEntries): RVQoE 측정에 대해 보고될 수 있는 buffer level 엔트리의 최대 수를 지정하는 파라미터. 단말 AS 또는 단말 APP은 RVQoE 측정 보고 시 buffer level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파라미터의 설정 값 이하의 개수로 buffer level을 포함할 수 있다.
- Media 시작 시 playout delay의 보고 여부 (reportPlayoutDelayForMediaStartup): 단말이 RVQoE 측정에 대한 media 시작(startup)에 대한 playout delay를 보고하여야 하는지를 지시하는 파라미터. 상기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지시되면 단말 AS 또는 단말 APP은 media 시작 시 playout delay를 RVQoE 보고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의 값이 false로 지시되면 단말은 media 시작 시 playout delay를 RVQoE 보고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의 AS layer는 이러한 설정정보들을 단말의 APP layer로 전달할 수 있다 (515). 실시예로서, RVQoE 측정 설정은 OAM 기반 QoE 측정 설정과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또는, RVQoE 측정 설정은 상기 OAM 기반 QoE 측정 설정과 별도로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의 APP은 상기 RVQoE 측정 설정 정보를 기반하여 QoE 측정을 수행하여 RVQoE 측정 보고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의 AS layer로 전송할 수 있다 (520). 실시예로서, RVQoE 측정 보고는 OAM 기반 QoE 측정 보고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또는, RVQoE 측정 보고는 OAM 기반 QoE 측정 보고와 별도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의 AS layer는 이를 기지국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525). 실시예로서, RVQoE 측정 보고는 OAM 기반 QoE 측정 보고(예, 도 3의 Signaling 기반 QoE 측정을 위한 QoE 측정 보고 및/또는 도 4의 Management 기반 QoE 측정을 위한 QoE 측정 보고)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또는, RVQoE 측정 보고는 상기 OAM 기반 QoE 측정 보고와 별도로 전달될 수 있다. 동작 525에서 RVQoE 측정 보고는 MeasurementReportAppLayer 메시지 내 RAN-VisibleMeasurements IE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IE는 하기 파라미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 APP layer의 buffer level 리스트 (appLayerBufferLevelList):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buffer level(s)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파라미터. 이는 단말 APP에서 측정한 buffer level을 하나 또는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VQoE 설정(RVQoE 측정 설정) 중 numberOfBufferLevelEntries에 의해, 이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buffer level의 개수는 제한될 수 있다.
- playout delay (playoutDelayForMediaStartup): 이는 media 시작 시 playout delay를 ms 단위로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상기 RVQoE 설정 중 reportPlayoutDelayForMediaStartup가 true로 설정된 경우, 이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 PDU session ID 리스트(pdu-SessionIdList): 이는 RVQoE 측정의 대상인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flow에 사용된 PDU session(s)을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를 통해 어떠한 PDU session(s)에 대해 상기 RVQoE 값(들) (예, buffer level 및/또는 playout delay)이 측정되었는지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해당 PDU session(s)에 대한 자원 할당 및 스케줄링을 최적화할 수 있다.
기지국은 RVQoE 보고(RVQoE 측정 보고)를 읽고 이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특정 서비스에 대해 poor QoE를 경험하고 있는 단말에게 좀 더 많은 양은 무선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해당 단말의 QoE를 개선할 수 있다.
한편, RVQoE 측정 보고의 일 예로서, 단말 APP은 buffer level을 복수 번 측정하고, 동작 520을 통해, 그 결과 (즉, 복수 개의 buffer level)를 단말 AS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buffer level은 AT command에 포함될 수 있으며, AT command에 포함되는 buffer level의 개수는 numberOfBufferLevelEntries 파라미터의 값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즉, 단말 AS가 한번에 수신하는 (예, 한번의 AT command 수신을 통해 수신하는) buffer level의 개수는 numberOfBufferLevelEntries 파라미터의 값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동작 525를 통해, 단말 AS가 RRC 메시지 (예, MeasurementReportAppLayer)를 이용하여 상기 buffer level들을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하나의 MeasurementReportAppLayer 메시지에 포함되는 buffer level의 개수 또한 동일하게 numberOfBufferLevelEntries 파라미터의 값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로서, 예컨대, 동작 520 및/또는 동작 525를 통해, 단말이 RVQoE를 보고해야하는 주기(RVQoE 보고 주기 또는 RVQoE 보고 인터벌)는 ran-VisiblePeriodicity 파라미터에 의해 설정될 수 있지만, 그 안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buffer level의 측정 방식 (예, 측정 주기 또는 측정 인터벌)은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지 않다. 그런데, 이에 대한 단말의 동작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이 임의의 시점에서 측정한 buffer level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기지국은 어떠한 시점에서 측정된 buffer level인지를 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buffer level의 측정 방식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한편, 후술할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은 ran-VisiblePeriodicity (예, Treport)을 numberOfBufferLevelEntries (예, N) 값으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Treport/N 주기로 buffer level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Treport마다 측정된 N개의 buffer level을 RVQoE 보고 (예컨대, 동작 520 및/또는 525의 RVQoE 측정 보고)에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 설정하는 numberOfBufferLevelEntries (=N)는 단말이 RVQoE 보고 (예컨대, 동작 520 및/또는 525의 RVQoE 측정 보고)시 포함할 수 있는 최대 buffer level를 지칭함으로써, 단말이 numberOfBufferLevelEntries (=N) 값 이하의 개수로 buffer level을 보고하도록 정의(또는,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이 재생을 위해 수신/저장하고 있는 buffer가 많을 때, 단말은 끊김 (또는, 지연)없이 서비스 (예, 스트리밍, VR)를 제 시간에 재생할 수 있기에, buffer level이 큰 값으로 측정될 때 사용자의 QoE는 좋음(good)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이 재생을 위해 수신/저장하고 있는 buffer가 적을 때는, 단말이 서비스 (예, 스트리밍, VR)를 제 시간에 재생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buffer level이 적은 값으로 측정될 때 사용자의 QoE는 나쁨(poor)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에게는 good한 QoE보다는 poor한 QoE에 대한 단말의 보고가 더욱 유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기지국은 poor한 QoE를 감지하였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자원 관리 또는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은 ran-VisiblePeriodicity (예, Treport)을 numberOfBufferLevelEntries (예, N) 값으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Treport/N 주기로 buffer level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Treport마다 측정된 N개의 buffer level 중 일부만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poor한 QoE를 나타내는 buffer level만을 보고할 수 있다. 측정된 buffer level이 특정 threshold 값보다 (같거나) 낮다면, 단말은 해당 buffer level을 RVQoE 측정 보고에 포함할 수 있고, 측정된 buffer level이 특정 threshold 값보다 (같거나) 높으면, 단말은 해당 buffer level을 RVQoE 측정 보고에 포함하지 않고 버릴 수 있다. 즉, 단말은 N개의 buffer level 중 buffer level이 특정 threshold 값보다 낮은 값만 선별하여 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선별작업은 단말 APP에서 수행하여 예컨대, 동작 520에서 선별된 buffer level만 전송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예컨대, 동작 525에서도 선별된 buffer level만 보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예컨대, 동작 520을 통해, 단말 APP은 N개의 buffer level을 모두 단말 AS에게 전송하고, 단말 AS는 단말 AS에서 상기 선별 작업을 통해 선별된 일부 buffer level만을 예컨대, 동작 525를 통해,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동작 520의 RVQoE 측정 보고 및/또는 동작 525의 RVQoE 측정 보고에는 선별된 하나 이상의 buffer level만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런데, 단말이 상기 일부 선별된 buffer level만 보고하는 방식에 따르면, 기지국은 수신한 buffer level이 몇번째로 측정된 결과인지 또는 측정된 시점을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단말이 8개의 buffer level (예, BL1, BL2, BL3, BL4, BL5, BL6, BL7 순으로)를 측정하였고 그 중 상기 threshold 값보다 낮은 3개의 buffer level (예, BL3, BL5, BL7)만을 보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BL3, BL5, BL7의 값만을 수신한다면, 기지국은 8개의 측정 결과 중 수신한 3개의 buffer level이 각각 몇번째 측정된 결과인지 또는 측정된 시점을 알 수 없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는 기지국이 poor한 QoE가 관측된 시점을 계산 또는 예측하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최적화를 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과거 단말에게 특정 설정을 제공하였을 때 단말이 poor QoE를 경험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은 선별된 buffer level과 더불어 해당 buffer level이 몇 번째 측정 결과인지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BL3, BL5, BL7의 값과 함께 그들의 측정된 순서인 3, 5, 7을 함께 지시해줄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선별된 buffer level의 값은 보고하지 않고, 몇 번째 측정 결과가 상기 threshold 이하 (이상)인지만을 보고함으로써 보고에 따른 signaling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선별된 buffer level과 더불어 해당 buffer level이 측정된 시점 (timestamp) (예, 절대 시간 정보, 상대 시간 정보 등)을 지시해줄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선별된 buffer level의 값은 보고하지 않고, 상기 threshold 이하 (이상)의 buffer level의 측정 시점만을 보고함으로써 보고에 따른 signaling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상기 threshold는 고정된 값(예컨대, 표준에서 정의하는 고정된 값)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threshold는 기지국에서 설정해주는 가변적인 값일 수 있으며, 예컨대, 동작 510의 RRC 메시지 (예, RRC Reconfiguration 및/또는 RRC Resume 내 AppLayerMeasConfig내 RAN-VisibleParameters)내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threshold 값을 수신한 단말 AS는, 예컨대, 동작 515를 통해, 이를 단말 APP으로 전달할 수 있고, 단말 APP은 상기 선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threshold 값을 수신한 단말 AS는 이를 단말 APP으로 전달하지 않고 단말 APP으로부터 수신하는 buffer level을 선별하여 기지국으로 전송 (예컨대, 동작 525)하는데 상기 threshol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동작 510을 통해, 기지국은 buffer level 측정 주기 (예, Tmeas) 또는 N (ran-VisiblePeriodicity당 측정 횟수)을 단말 AS에게 설정해줄 수 있다. 상기 설정 값 (Tmeas 또는 N)은 RRC 메시지 (예, RRC Reconfiguration 또는 RRC Resume 내 AppLayerMeasConfig IE 내 ran-VisibleParameters 파라미터) 내에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설정 값 (Tmeas 또는 N)을 수신한 단말 AS는, 동작 515을 통해, 이를 단말 APP으로 전달 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 APP은 Tmeas마다, 또는 ran-VisiblePeriodicity (예, Treport)을 N값으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Treport/N마다, buffer level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Treport마다 측정된 Treport/Tmeas (정수로 소수점 절삭 가능) 또는 N개의 buffer level을 RVQoE 보고 (예컨대, 동작 520 및/또는 동작 525의 RVQoE 측정 보고)에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Treport/Tmeas (정수로 소수점 절삭 가능) 또는 N 값이 numberOfBufferLevelEntries값 (전송가능한 buffer level의 최대 개수)보다 크다면, 단말은 하기 중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 방법 1: 단말 APP은 하기 일부 buffer level (예, 초과된 갯수만큼)을 버릴 수 있다. 이때 측정 시점을 기준으로 오래된 측정 값일수록 기지국에게는 현재의 네트워크 최적화에 유용하지 않은 정보일 수 있으므로, 오래된 buffer level부터 버릴 수 있고, 나머지 buffer level 개수를 numberOfBufferLevelEntries 이하로 맞추어, 동작 520를 통해, 단말 AS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AS 또한 수신한 numberOfBufferLevelEntries 이하 개수의 buffer level을, 동작 525를 통해,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 방법 2: 단말 APP은 하기 일부 buffer level (예, 초과된 갯수만큼)을 버릴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good QoE를 지시하는 값일수록 기지국에게는 네트워크 최적화에 유용하지 않은 정보일 수 있으므로, 큰 값의 buffer level (즉, good QoE)부터 버릴 수 있고, 나머지 buffer level 개수를 numberOfBufferLevelEntries 이하로 맞추어, 예컨대, 동작 520를 통해, 단말 AS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가 설정해주는 특정 threshold 값을 기준으로 그 이상의 buffer level 값을 버릴 수 있고, 나머지 buffer level 개수를 numberOfBufferLevelEntries 이하 개수로 (예, 만약 그럼에도 numberOfBufferLevelEntries 개수를 초과되는 경우 오래되거나 큰 buffer level순으로 추가적으로 버릴 수 있다), 동작 520를 통해, 단말 AS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AS 또한 수신한 numberOfBufferLevelEntries 이하 개수의 buffer level을, 동작 525를 통해,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 방법 3: 단말 APP은 측정한 buffer level를 모두 전송하기 위해 numberOfBufferLevelEntries 이하의 개수로 buffer level를 단말 AS로 전송하는 동작(예컨대, 동작 520)을 복수 번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 AS 또한 numberOfBufferLevelEntries 이하의 개수로 buffer level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동작(예컨대, 동작 525)을 복수 번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서, 단말이 numberOfBufferLevelEntries이하 개수의 buffer level을 전송 (예컨대, 동작 520, 525)하도록 Tmeas 또는 N에 대한 제한사항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또는 Treport/Tmeas값이 numberOfBufferLevelEntries 값 이하가 되도록, 기지국이 N 또는 Tmeas와 numberOfBufferLevelEntries 값을 설정해야한다는 기지국의 동작이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서, Tmeas 또는 N에 대한 설정이 부재한 경우, 단말은 ran-VisiblePeriodicity (예, Treport)을 numberOfBufferLevelEntries 값으로 나눈 값을 주기로 buffer level을 측정하고, 그에 따라 Treport마다 측정된 numberOfBufferLevelEntries개의 buffer level을 RVQoE 보고 (예컨대, 동작 520 및/또는 525의 RVQoE 측정 보고)에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서, 단말 APP layer에서의 이벤트 감지 기반의 RVQoE 측정 보고가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RVQoE에 관한 보고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종래 QoE에 관한 보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 보고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동작 505에서, 단말은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에 대한 지원여부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 내 AppLayerMeasParameters IE 내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에 대한 지원여부에 대한 지시자가 정의될 수 있다. 해당 지시자가 present하거나 true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이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에 대해 지원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해당 지시자가 absent하거나 false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이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에 대해 지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일 수 있다.
동작 510에서, 기지국은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를 지원하는 단말에게 이벤트의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설정(이벤트 설정정보)는 하기 threshold들 중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 Buffer level에 대한 threshold: 단말 APP가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하는 threshold로서, 단말 APP에서 측정된 buffer level이 상기 threshold 값보다 작으면 단말은 해당 buffer level을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에 대한 threshold: 단말 APP가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하는 threshold로서, 단말 APP에서 측정된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이 상기 threshold 값보다 크면 단말은 해당 buffer level을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 이외 다른 (예, 추후 정의될 수 있는) RVQoE 파라미터에 대한 threshold: 단말 APP가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하는 threshold로서, 단말 APP에서 측정된 RVQoE 파라미터값이 상기 threshold 값을 기준으로 poor한 QoE를 나타내면, 단말은 해당 RVQoE 파라미터값을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설정정보는 RRC Reconfiguration 또는 RRC Resume 메시지내 AppLayerMeasConfig IE내에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기지국은 주기적 RVQoE 측정보고 없이,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만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pLayerMeasConfig 내 RAN-VisibleParameters-r17가 부재한 경우, 기지국이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설정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은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시에 AppLayerMeasConfig 내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가 포함된 경우, 기지국이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만을 단말에게 설정함을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은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만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주기적으로 RVQoE 측정보고를 수행하지 않는다면, 단말 및 기지국은 QoE 측정 보고에 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임으로써 무선 자원의 사용을 줄이고 에너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기지국은 주기적 RVQoE 측정보고과 함께,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 보고를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pLayerMeasConfig 내 RAN-VisibleParameters-r17가 설정된 경우, 기지국이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설정함을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은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AppLayerMeasConfig 내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가 포함된 경우, 기지국이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 또한 단말에게 설정함을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은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를 주기적 RVQoE 측정보고와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주기적으로 RVQoE 측정 결과를 보고함과 동시에, 특정 이벤트 감지 시에도 RVQoE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이 주기적 RVQoE 측정보고와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를 동시에 수행한다면, 기지국은 단말에서 평소 측정되는 QoE 값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통해)과 이벤트 감지시 측정되는 QoE 값을 비교하여 단말의 QoE가 얼마나 변화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동작 515에서, 단말 AS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를 단말 APP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 APP은 RVQoE 측정 보고를 위한 이벤트 감지를 위해 수신한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 APP에서 측정된 buffer level이 설정받은 threshold 값보다 작으면 (이벤트 감지시), 동작 520 및 525에서와 같이, 단말 APP은 해당 buffer level을 (단말 AS를 거쳐)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이벤트 감지시 해당 buffer level를 즉시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기지국은 빠르게 단말의 poor한 QoE (낮은 buffer level) 정보를 수신하고 네트워크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 APP에서 설정받은 threshold 값보다 작은 buffer level을 하나씩 즉각적으로 전송하지 않고 해당 buffer level들을 모아서 한번에 (단말 AS를 거쳐)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벤트 감지된 buffer level마다 메시지 또는 AT command를 보내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이벤트 감지된 buffer level을 복수개 모아서 전송한다면, 각 buffer level이 언제 측정되었는지 또는 언제 이벤트가 감지되었는지에 대한 시간 정보 (예, timestamp)가 함께 RVQoE 측정보고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은 buffer level을 보고하는 대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었다는 사실 여부를 1 bit 지시자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는 다른 이벤트 (예,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에 대한 이벤트) 감지 지시자와 별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이벤트 감지 지시자가 이벤트 별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설정된 모든 이벤트 모두에 공통된 지시자일 수 있다. 즉, 설정받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단말은 해당 지시자를 설정해서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은 buffer level대신 상기 1 bit 지시자를 보고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은 상기 이벤트 감지 횟수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이 주기적 RVQoE 측정 보고를 수행하는 경우, 단말 APP은 설정받은 numberOfBufferLevelEntries값 이하의 개수의 buffer level을 모아서 한번에 (단말 AS를 거쳐)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umberOfBufferLevelEntries가 8로 설정되면, 단말은 8개의 buffer level을 모아서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이 주기적 RVQoE 측정 보고와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 보고를 함께 설정받은 (또는 수행하는) 경우, 단말 APP은 상기 이벤트 감지시 해당 buffer level와 그 이전에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위해 모아둔 buffer level를 우선적으로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그 이후, 단말 APP은 다음 buffer level부터 다시 모을 수 있다. 예를 들어, numberOfBufferLevelEntries를 8로 설정받은 단말이 1번째, 2번째 buffer level을 모아둔 상태에서 3번째 buffer level을 측정하였는데, 이 값이 설정받은 buffer level threshold보다 작음을 감지(이벤트 감지)하였다면, 단말은 1,2,3번째 buffer level을 먼저 전송할 수 있고, 그 이후, 단말은 4번째 buffer level부터 다시 모을 수 있다. 또는, 단말은 이벤트 감지된 buffer level만 먼저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buffer level은 모아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제에서 단말은 3번째 buffer level로 이벤트 감지시 3번째 buffer level을 먼저 보고하고, 이벤트 미감지된 1,2,4번째와 그이후 buffer level을 모아두었다가 한꺼번에 보고할 수 있다.
단말 APP에서 측정된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이 설정받은 threshold 값보다 크면 (이벤트 감지시), 동작 520 및 동작 525를 통해, 단말 APP은 해당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을 (단말 AS를 거쳐)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은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을 보고하는 대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었다는 사실 여부를 1 bit 지시자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는 다른 이벤트 (예, buffer level에 대한 이벤트) 감지 지시자와 별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이벤트 감지 지시자가 이벤트 별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설정된 모든 이벤트 모두에 공통된 지시자일 수 있다. 즉, 설정받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단말은 해당 지시자를 설정해서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은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대신 상기 1 bit 지시자를 보고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은 상기 이벤트 감지 횟수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단말 APP에서 측정된 표준에서 정의되는 RVQoE 지표가 설정받은 threshold 값을 기준으로 poor한 QoE 값으로 감지된다면 (이벤트 감지시), 동작 520 및 동작 525를 통해, 단말 APP은 해당 RVQoE 지표 값을 (단말 AS를 거쳐)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은 해당 RVQoE 지표 값을 보고하는 대신 상기 이벤트가 감지되었다는 사실 여부를 1 bit 지시자로 보고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는 다른 이벤트 (예, buffer level에 대한 이벤트) 감지 지시자와 별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이벤트 감지 지시자가 이벤트 별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설정된 모든 이벤트 모두에 공통된 지시자일 수 있다. 즉, 설정받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단말은 해당 지시자를 설정해서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은 RVQoE 지표 값 대신 상기 1 bit 지시자를 보고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단말은 상기 이벤트 감지 횟수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단말은 기지국의 네트워크 최적화를 위해 RVQoE 지표 (예, buffer level)가 측정된 APP layer의 데이터 flow에 대해 사용되는 PDU session 정보 (예, ID(s)) 또는 QoS flow 정보(예, ID(s))를 이벤트 감지시, 동작 520 및 동작 525를 통해,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RAN-VisibleParameters 내 ran-VisiblePeriodicity 파라미터 (optional 필드)의 부재 (absence)와 관련하여 하기 옵션 중 하나를 정의할 수 있다.
옵션 1. 기지국이 ran-VisiblePeriodicity를 포함하지 않은채 ran-VisibleParameters를 setup설정한 경우, 단말은 measConfigAppLayerContainer안에 담기는 종래 QoE 보고주기를 RVQoE 보고 주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0과 같이 ran-VisiblePeriodicity의 필드 설명이 정의될 수 있다.
[표 10]
옵션 2. 기지국이 ran-VisibleParameters의 setup 설정 시, ran-VisiblePeriodicity 설정을 항상 포함해야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1과 같이 ran-VisiblePeriodicity의 필드 설명이 정의될 수 있다.
[표 11]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APP layer에서의 이벤트 감지 기반의 RVQoE 측정의 설정 및 보고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편,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RVQoE에 관한 보고(RVQoE 측정 및 보고)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지만, 해당 설명은 종래 QoE에 관한 보고(QoE 측정 및 보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들과 도 6에서 후술할 실시예들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합될 수 있다.
동작 605에서, 단말(또는, 단말 AS)은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에 대한 지원 여부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capability information 메시지 내 AppLayerMeasParameters IE 내에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에 대한 지원여부에 대한 지시자가 정의될 수 있다. 해당 지시자가 present하거나 true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이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에 대해 지원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해당 지시자가 absent하거나 false로 설정되는 경우, 단말이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에 대해 지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일 수 있다.
동작 610에서, 기지국은 이벤트 기반의 RVQoE 측정보고를 지원하는 단말에게 이벤트의 설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설정(이벤트 설정정보)는 하기 값들(파라미터들) 중 일부 또는 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변화 threshold (예, ThresholdRSRP_delta,1): 단말 AS가 이벤트 (예, 이벤트 1)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하는 threshold로서, 단말의 이동성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이 값은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되지 않고 AS layer에서 이벤트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상기 threshold 보다 단말이 수신하는 RSRP값의 변화가 클 때 (예, 단말의 이동성이 클때), 이벤트가 감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하기 식을 (특정 시간 threshold (예, Thresholdtime,1)동안) 만족하는 경우, 단말은 이벤트 (예, 이벤트 1)를 감지할 수 있다.
(RSRPref-RSRPcurrent)> ThresholdRSRP_delta,1
여기서 RSRPcurrent는 단말의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기반 PCell의 현재 RSRP 측정 값을 의미할 수 있다. RSRPref는 단말의 SSB 기반 PCell(Primary cell)의 RSRP 측정 값의 레퍼런스 값으로서, 하기의 경우 RSRPcurrent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 단말이 (예, ThresholdRSRP_delta,1 등을 포함한)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 설정 정보 또는 RVQoE 설정정보의 setup을 수신받았을 때, 또는
- (RSRPcurrent - RSRPref)> 0 인 경우, 또는
- 특정 시간 threshold (예, Thresholdtime,2)동안 (RSRPref-RSRPcurrent)> ThresholdRSRP_delta,2 인 경우, 또는
- 단말이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 설정 정보 또는 RVQoE 설정정보의 setup을 포함하는 reconfigurationWithSync (spCellConfig 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적용 후 MAC layer에서 성공적으로 랜덤엑세스를 수행한 경우 (예, 단말이 성공적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였을 때)
-
RSRPref 리셋을 위한 RSRP 오프셋 (예, ThresholdRSRP_delta,2): 단말 AS가 이벤트 (예, 이벤트 1)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하는 threshold로서,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RSRPref를 재설정하는데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이 값은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되지 않고 AS layer에서 이벤트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실시예로서, ThresholdRSRP_delta,1와 ThresholdRSRP_delta,2는 같은 값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하나의 값으로 설정해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이벤트 감지와 동시에 RSRPref를 RSRPcurrent 값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
시간 threshold 1 (예, Thresholdtime,1): 단말 AS가 이벤트 (예, 이벤트 1)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하는 threshold로서, 단말의 이동성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ThresholdRSRP_delta,1와 함께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이 값은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되지 않고 AS layer에서 이벤트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
시간 threshold 2 (예, Thresholdtime,2): 단말 AS가 이벤트 (예, 이벤트 1)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하는 threshold로서, 단말의 이동성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ThresholdRSRP_delta,2와 함께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실시예로서, Thresholdtime,1 와 Thresholdtime,2는 같은 값일 수 있으며, 기지국은 하나의 값으로 설정해줄 수 있다. 이 값은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되지 않고 AS layer에서 이벤트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
RSRP threshold (예, ThresholdRSRP): 단말 AS가 이벤트 (예, 이벤트 2)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하는 threshold로서, 단말이 낮은 RSRP를 수신 (예, cell edge에 위치함 또는 poor한 coverage에 위치)하는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hresholdtime,3 동안, 하기 설명 참조) 단말의 RSRPcurrent이 ThresholdRSRP보다 작다면 단말은 이벤트 2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값은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되지 않고 AS layer에서 이벤트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
시간 threshold 3 (예, Thresholdtime,3): 단말 AS가 이벤트 (예, 이벤트 2)를 감지하기 위한 사용하는 threshold로서, 단말의 이동성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ThresholdRSRP와 함께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이 값은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되지 않고 AS layer에서 이벤트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값일 수 있다.
-
단말이 보고해야할 QoE 파라미터: 예를 들어 APP layer의 buffer level 또는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과 같이 단말 APP에서 측정하는 QoE 파라미터 중에 기지국이 특정 이벤트 발생시 보고받기를 원하는 QoE 파라미터를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상기 파라미터에 대해, 이벤트 별로 서로 다른 값이 지시될 수 있다. 이 값을 수신한 단말 AS는 이 값을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하여, 단말 APP에서 이를 기반하여 RVQoE를 측정/보고할 수 있다.
-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RVQoE 측정 횟수: 예를 들어, 이벤트 감지시 단말 APP이 buffer level를 몇번 측정/보고해야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상기 파라미터에 대해, QoE 파라미터 별 (예, buffer level,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로 서로 다른 값이 지시될 수 있다. 이 값을 수신한 단말 AS는 이 값을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하여, 단말 APP에서 이를 기반하여 RVQoE를 측정/보고할 수 있다.
-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RVQoE 측정 주기: 단말 APP이 이벤트 감지시 RVQoE를 얼마의 주기로 측정해야 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상기 파라미터에 대해, QoE 파라미터 별 (예, buffer level,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로 서로 다른 값이 지시될 수 있다. 이 값을 수신한 단말 AS는 이 값을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하여, 단말 APP에서 이를 기반하여 RVQoE를 측정/보고할 수 있다.
-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RVQoE 보고 주기: 단말 APP이 이벤트 감지시 RVQoE를 얼마의 주기로 보고해야 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상기 파라미터에 대해, QoE 파라미터 별 (예, buffer level,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로 서로 다른 값이 지시될 수 있다. 상기 값은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RVQoE 측정 주기보다 길 수 있으며, 그 경우 이벤트 감지 시 복수 개의 RVQoE 측정 결과를 상기 보고 주기마다 한꺼번에 보낼 수 있다. 이 값을 수신한 단말 AS는 이 값을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하여, 단말 APP은 이를 기반하여 RVQoE를 측정/보고할 수 있다.
-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RVQoE 측정 또는 보고 기간: 단말 APP이 이벤트 감지 시 얼마의 기한(기간)동안 RVQoE를 측정하거나 보고해야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해당 기한이 끝나면, 단말은 해당 이벤트 감지에 따른 RVQoE 측정/보고를 멈출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 상기 파라미터에 대해, QoE 파라미터 별 (예, buffer level, playout delay for media startup)로 서로 다른 값이 지시될 수 있다. 이 값을 수신한 단말 AS는 이 값을 동작 615에서 APP layer로 전달하여, 단말 APP에서 이를 기반하여 RVQoE를 측정/보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상기 예시들에서 RSRP 대신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를 사용/적용한 실시 예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SRP를 위해 사용되던 threshold들 (ThresholdRSRP, RSRPref, RSRPcurrent, ThresholdRSRP_delta,1, ThresholdRSRP_delta,2, Thresholdtime,1, Thresholdtime,2, Thresholdtime,3)과 이벤트들 (이벤트 1,2) 대응하여 RSRQ에 대한 threshold들 및 이벤트 (예, 이벤트 3,4)가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high interference를 수신하는 이벤트를 낮은 RSRQ로 감지하여 RVQoE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RSRP (또는 RSRQ)는 PCell 또는 serving cell의 RSRP (또는 RSRQ)일 수 있다. 또는, DC(Dual connectivity) 상황에서는 MN (Master node) 또는 MCG (Master cell group)에 대한 단말의 RSRP (또는 RSRQ)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PCell의 RSRP (또는 RSRQ)을 사용하거나, SN (Secondary node) 또는 SCG (Secondary cell group)에 대한 단말의 RSRP (또는 RSRQ)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PSCell (Primary SCG Cell)의 RSRP (또는 RSRQ)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RSRP (또는 RSRQ)는 SpCell (Special cell)에 대한 측정 값일 수 있다. 상기 RSRP (또는 RSRQ)는 layer 3에서의 RSRP/RSRQ (L3 RSRP/RSRQ)일 수 있다. 상기 RSRP (또는 RSRQ)는 SSB 기반 RSRP(또는 RSRQ)일 수 있다. 또는, CSI-RS 기반 RSRP (또는 RSRQ)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로, 상기 이벤트들 (예, 이벤트 1,2,3,4)의 조합으로 새로운 이벤트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벤트 (예, 이벤트 5)는 낮은 RSRP가 측정되고 낮은 RSRQ가 측정되었을 때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벤트 (예, 이벤트 6)는 RSRP의 변화가 크며 낮은 RSRQ가 측정되었을 때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는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설정정보는 RRC Reconfiguration 또는 RRC Resume 메시지 내 AppLayerMeasConfig IE 내에 정의될 수 있다.
단말 AS는 이벤트를 감지 시 (예, 이벤트 1,2,3,4,5,6), 이벤트 감지에 대한 정보를 단말 APP으로 전송해줄 수 있다 (620). 전송되는 정보는 하기 중 일부 또는 전체일 수 있으며, AT Command를 통해 정의될 수 있다.
-
설정받은 이벤트에 대한 감지사실: 단말 AS가 이벤트를 감지하였다는 1 비트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
이벤트 ID: 표준에서 복수 개의 이벤트가 정의되고 각각 고유한 ID (예, 이벤트 1,2,3,4)로 지시될 때, 단말 AS가 설정받고 감지한 이벤트 ID (예, 1,2,3,4)를 지시할 수 있다.
-
상기에서 정의하는, 단말이 보고해야할 QoE 파라미터,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RVQoE 측정 횟수,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RVQoE 측정 주기,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RVQoE 보고 주기, 및/또는 단말이 보고해야하는 RVQoE 측정 또는 보고 기간: 만약 단말 AS가 이 값(들)을 동작 610에서 수신 시 단말 APP으로 전송하지 않는 경우, 단말 AS는 이벤트 감지 시 동작 620을 통해 이 값을 단말 APP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기지국은 주기적 RVQoE 측정보고(예컨대, 도 5에서 상술한 주기적 RVQoE 측정보고) 없이,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만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pLayerMeasConfig 내 RAN-VisibleParameters-r17가 부재한 경우, 기지국이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설정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은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시에, AppLayerMeasConfig 내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가 포함된 경우, 기지국이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만을 단말에게 설정함을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은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만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이 주기적으로 RVQoE 측정보고를 수행하지 않는다면, 단말 및 기지국은 QoE 측정 보고에 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임으로써 무선 자원의 사용을 줄이고 에너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기지국은 주기적 RVQoE 측정보고(예컨대, 도 5에서 상술한 주기적 RVQoE 측정보고)과 함께,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 보고를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pLayerMeasConfig 내 RAN-VisibleParameters-r17가 설정된 경우, 기지국이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설정함을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은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AppLayerMeasConfig 내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가 포함된 경우, 기지국이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 또한 단말에게 설정함을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은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를 주기적 RVQoE 측정보고와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주기적으로 RVQoE 측정 결과를 보고함과 동시에, 특정 이벤트 감지 시에도 RVQoE 측정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이 주기적 RVQoE 측정보고와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를 동시에 수행한다면, 기지국은 단말에서 평소 측정되는 QoE 값 (주기적 RVQoE 측정보고를 통해 획득될 수 있음)과 이벤트 감지시 측정되는 QoE 값 (이벤트 기반 RVQoE 측정보고를 통해 획득될 수 있음)을 비교하여 단말의 QoE가 얼마나 변화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단말 APP은 이벤트 감지를 위해, 예컨대, 동작 615를 통해 수신한 상기 이벤트 설정정보 및 예컨대, 동작 620를 통해 수신한 이벤트 감지 정보를 사용하여 RVQoE 측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단말 AS로 보고할 수 있다 (625).
도 7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7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720), 저장부(730), 제어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7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7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7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7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7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7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은 상기 RF처리부(7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은 상기 RF처리부(7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 및 상기 RF처리부(7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 및 상기 RF처리부(7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 및 상기 RF처리부(7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 및 상기 RF처리부(7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7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7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730)는 상기 제어부(7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7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720) 및 상기 RF처리부(7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40)는 상기 저장부(7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7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처리부(810), 기저대역처리부(820), 백홀통신부(830), 저장부(840), 제어부(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8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8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8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8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8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8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0)은 상기 RF처리부(8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0)은 상기 RF처리부(8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0) 및 상기 RF처리부(8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0) 및 상기 RF처리부(8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백홀통신부(8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백홀통신부(830)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저장부(840)는 상기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8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8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840)는 상기 제어부(8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20) 및 상기 RF처리부(810)을 통해 또는 상기 백홀통신부(8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저장부(8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8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이 RVQoE(ran-visible quality of experience) 측정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RVQoE 측정을 위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RVQoE 측정에 대한 보고(report)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3251A KR20240044032A (ko) | 2022-09-28 | 2022-09-28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체감 품질 측정에 관한 방법 및 장치 |
PCT/KR2023/014551 WO2024071865A1 (ko) | 2022-09-28 | 2023-09-22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체감 품질 측정에 관한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3251A KR20240044032A (ko) | 2022-09-28 | 2022-09-28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체감 품질 측정에 관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4032A true KR20240044032A (ko) | 2024-04-04 |
Family
ID=9047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3251A KR20240044032A (ko) | 2022-09-28 | 2022-09-28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체감 품질 측정에 관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4032A (ko) |
WO (1) | WO2024071865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4504256A (ja) * | 2021-02-01 | 2024-01-31 |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 Ran-可視(ライトウェイト)qoe構成方法及びranノード間の測定調整方法 |
-
2022
- 2022-09-28 KR KR1020220123251A patent/KR20240044032A/ko unknown
-
2023
- 2023-09-22 WO PCT/KR2023/014551 patent/WO2024071865A1/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71865A1 (ko) | 2024-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3932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on demand intelligent analytics dynamic access network slice switching and carrier aggregation | |
KR102263688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한 다중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2601489B1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중연결구조를 고려하여 패킷 중복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14223241A (zh) |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rrm测量的方法和终端 | |
KR102666326B1 (ko) | 비면허 대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24015488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qoe measurement of ue in dual connectiv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700302B1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차량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셀 재선택 우선순위 관리 방법 및 장치 | |
US2024017126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cking area update in next-generatio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 |
KR20240044032A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체감 품질 측정에 관한 방법 및 장치 | |
US2023037087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qoe measurement report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1213313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xing RRM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30362749A1 (en) | Method and apparatus to optimize conditional pscell addition and change (cpac)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WO2024159500A1 (en) | Indication to early radio capability update in connection setup | |
US2023022475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rc segmen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4019624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qoe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40155400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qo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4003189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xing rrm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3031993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connection establishment failur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240009228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QoE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40009230A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품질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40142039A (ko) |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40006363A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QoE 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40127866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경계에 있는지 여부를 예측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40149189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 모드와 대기 모드에서 QoE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40125360A (ko) | 통신 시스템에서 rrm 측정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