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029A -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029A
KR20240044029A KR1020220123244A KR20220123244A KR20240044029A KR 20240044029 A KR20240044029 A KR 20240044029A KR 1020220123244 A KR1020220123244 A KR 1020220123244A KR 20220123244 A KR20220123244 A KR 20220123244A KR 20240044029 A KR20240044029 A KR 20240044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atalog
content
digital
production mode
home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2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소연
Original Assignee
박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소연 filed Critical 박소연
Priority to KR102022012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029A/en
Publication of KR2024004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029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은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기업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업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에 따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거나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digital catalog providing method executed in a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to an enterprise terminal, producing a digital catalog from the enterprise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It includes receiving a mode and providing a pre-registered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or creating and providing a digital catalog by placing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Description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METHOD OF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업 별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할 때 기업의 홈페이지를 기초로 자동으로 제작하여 제공하거나 기업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여 드래그 앤 드롭만으로 디지털 카테고리를 수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 catalog and a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when creating a digital catalog for each company, it is automatically created and provided based on the company's homepage, or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is provided at the request of the company. This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 catalog that allows manual creation of digital categories using drag and drop, and a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근래에 전자상거래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면서, 전자상거래 상에서 유통되는 상품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전달은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공을 위한 가장 큰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importance of e-commerce has been greatly recognized, delivery of accurate information about products distributed through e-commerce is considered the biggest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e-commerce market.

그러나 이제까지의 현실을 살펴볼 때,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상품의 정보를 전달하는 디지털 카탈로그의 제작, 유통, 전시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가, 상품제조업자, 상품판매업자, 최종소비자 등 각 행위주체들에 의해 개별적이고 중복적인 작업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중복작업에 의한 비용의 증가를 유발하고, 또한 각 행위주체들이 각자 자신에 알맞은 디지털 카탈로그 시스템을 별도로 유지함으로써 정보의 호환 및 공유가 어려운 단점이 존재하였다.However, when looking at the reality so far,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exhibition of digital catalogs that convey product information in an e-commerce environment are carried out by each actor, such as product manufacturers, product sellers, and end consumers. As it is done through individual and redundant work, it ultimately causes an increase in costs due to redundant work, and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it difficult to compatibility and share information as each actor maintains a separate digital catalog system suitable for themselves. .

종래의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카탈로그의 제작 및 유통 모델은 상품제조업자가 직접 자신이 제조, 공급하는 상품에 대한 카탈로그를 디지털적으로 제작, 유통하는 경우 또는 상품 판매자가 자신의 인터넷 상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카달로그를 상품의 공급처와는 별도로 제작 전시하는 경우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The conventional model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digital catalogs through the Internet is when a product manufacturer directly digitally produces and distributes a catalog for the products it manufactures and supplies, or when a product seller creates a catalog of products sold in his or her Internet store. It can be broadly classified as a case where the product is produced and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supplier of the product.

이러한 종래의 전자상거래 디지털 카탈로그 모델에서는 상품의 카탈로그는 상품제조업자가 디지털 카탈로그를 별도로 제작 배포하는 경우와, 제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상점이 별도로 제작 전시하는 경우로 크게 나뉘어진다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디지털 카탈로그의 유통을 전문으로 다루는 행위주체는 현재 존재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this conventional e-commerce digital catalog model, product catalog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cases where the product manufacturer produces and distributes the digital catalog separately, and cases where the Internet store selling the product produces and displays the digital catalog separately. Therefore, the digital catalog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currently no entity specializing in distribution.

이러한 종래의 모델의 문제점으로서는, 디지털 카탈로그 제조업자와 디지털 카탈로그 사용자의 이해관계가 서로 배치된다는 점이다. 디지털 카탈로그를 통해 상품정보를 전시하는 상품 판매업자(예컨대 인터넷 쇼핑몰 업체)는 수만 내지 수십만의 상품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계층적인 트리구조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자 하고, 고객들이 보다 용이하게 상품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디지털 카탈로그를 트리 구조의 각 경로에 중복적으로 유지(관리부담의 상승을 감수하면서)하고자 한다.The problem with this conventional model is that the interests of digital catalog manufacturers and digital catalog users are at odds with each other. Product sellers (e.g., Internet shopping malls) who display product information through digital catalogs want to manage a database with a hierarchical tree structure to manage tens to hundreds of thousands of product information, and enable customers to more easily search for product information. In order to do this, we want to maintain each digital catalog redundantly in each path of the tree structure (while increasing the management burden).

반면, 디지털 카탈로그를 제작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디지털 카탈로그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취급하는 디지털 카탈로그를 이러한 트리구조에 중복적으로 등록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위치에 적절히 배치하기가 난이할 뿐만 아니라, 전혀 엉뚱한 경로에 디지털 카탈로그를 등록할 위험성마저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catalog producers who want to create and register digital catalogs, if they try to register the digital catalogs they handle in duplicate in this tree structure, not only will it be difficult to properly place them in the required location, but it will also be completely wrong. There is even a risk of registering a digital catalog in the route.

실제로 상품 정보의 디지털 카탈로그 등록자의 입장에서는, 입력 및 수정이 간편하고 검색이 용이한 상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선호하는 반면, 상품 정보를 실제로 반영하는 상품판매자, 예컨대 인터넷 쇼핑몰 사업자들은 보다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상품구조를 선호한다. 한편으로 최종 소비자라고 할 수 있는 고객의 입장에서는, 각기 다른 기준에 의하여 제작된 디지털 카탈로그로 인하여 충분한 상품정보를 얻지 못하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을 저해하고 있는 형편이다.In fact,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catalog registrants of product information, they prefer product information databases that are easy to input and edit and search, while product sellers who actually reflect product information, such as internet shopping mall operators, have more hierarchically structured products. I prefer structure.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customers, who can be called final consumers, they are unable to obtain sufficient product information due to digital catalogs produced according to different standards, which is ultimately hindering the growth of the e-commerce market.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카탈로그 프로세스의 단점이 제거된 새로운 전자상거래 디지털 카탈로그 관리 프로세스 모델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만약 이러한 문제점이 제거된 새로운 전자상거래 디지털 카탈로그 관리 프로세스 모델이 제시된다면, 상품 제조업자, 상품 판매업자, 최종 구매자 등의 모든 전자상거래 행위 주체들이 모두 만족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인터넷 등 전자상거래의 활성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a new e-commerce digital catalog management process model that eliminates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digital catalog process is urgently needed. If a new e-commerce digital catalog management process model that eliminates these problems is presented, all e-commerce actors such as product manufacturers, product sellers, and final buyers can be satisfied, and ultimately, it will lead to the revitalization of e-commerce, including the Internet. It will be achievable.

본 발명은 기업 별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할 때 기업의 홈페이지를 기초로 자동으로 제작하여 제공하거나 기업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여 드래그 앤 드롭만으로 디지털 카테고리를 수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catalog that automatically creates and provides a digital catalog based on the company's homepage when creating a digital catalog for each company, or provides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at the company's request, allowing digital categories to be manually created with just drag and drop. It relates to a method and a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기업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사용자 별 행동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의 홈페이지의 카테고리 별 가중치를 부가한 후 가중치에 따라 홈페이지의 정보를 디지털 카달로그 상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behavioral information for each user visiting the company's homepage to add weights to each category of the company's homepage, and then arranges the information on the homepage according to the weights on a digital catalog to automatically create a digital catalog.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digital catalog and a device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은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기업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업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에 따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거나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digital catalog providing method executed in a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to achieve this purpose includes providing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to an enterprise terminal, and selecting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from the enterprise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It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and providing a pre-registered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or creating and providing a digital catalog by placing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는 디지털 카달로그 포맷이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달로그 포맷 데이터베이스, 웹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 각각을 분석하여 컨텐츠 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기업 컨텐츠 분석부 및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기업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기업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에 따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거나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catalog provision device to achieve this purpose is a company that analyzes each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by accessing a digital catalog format database where the digital catalog format is stored and a web service provision server to determine the priority for each content. Provides a content analysis unit and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to an enterprise terminal, receives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from the enterprise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and generates a digital catalog pre-registered according to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t includes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department that provides production formats or creates and provides digital catalogs by placing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 별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할 때 기업의 홈페이지를 기초로 자동으로 제작하여 제공하거나 기업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여 드래그 앤 드롭만으로 디지털 카테고리를 수동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creating a digital catalog for each company, it is automatically created and provided based on the company's homepage, or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is provided at the request of the company to manually create digital categories with drag and drop.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do thi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사용자 별 행동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의 홈페이지의 카테고리 별 가중치를 부가한 후 가중치에 따라 홈페이지의 정보를 디지털 카달로그 상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catalog can be automatically created by adding weights to each category of the company's homepage using behavioral information for each user visiting the company's homepage and then placing the information on the homepage on the digital catalog according to the weight. There is an advantage to hav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atalo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catalo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digital catalo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_1~100_N), 웹 서비스 제공 서버(200),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 및 기업 단말(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system includes user terminals (100_1 to 100_N), a web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and an enterprise terminal 400.

사용자 단말(100_1~100_N)은 웹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_1~100_N)은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웹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s (100_1 to 100_N) have an application installed to access the web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Accordingly, when the application is selected and executed, the user terminals 100_1 to 100_N can access the corresponding web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the application.

사용자 단말(100_1~100_N)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웹 페이지는 사용자의 스크롤에 따라 화면에 즉시 표시될 수 있도록 전자장치에 로딩된 화면 및/또는 상기 화면 내부의 컨텐츠 등을 포함한다.User terminals 100_1 to 100_N may display web pages provided by the web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through an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web page includes a screen loaded on the electronic device and/or content inside the screen so that it can be immediately displayed on the screen as the user scrolls.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웹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사용자의 스크롤에 따라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전체가 상기 웹 페이지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으며, 카메라 롤 중인 화면 역시 상기 웹 페이지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다.For example, while a web page is displayed on an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e entir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that extends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is displayed as the user scrolls may be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web page, and the camera may be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web page. The screen in roll may also be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web page.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는 사용자 관심사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신경망 모델 등)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_1~100_N)은 로그 기록 또는 인게이지먼트 기록을 수집한 후, 사용자 관심사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로그 기록 또는 인게이지먼트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결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an application (eg, software, neural network model, etc.) for analyzing user interests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s (100_1 to 100_N) can determine the user's taste by collecting log records or engagement records and then analyzing the log records or engagement records through an application for analyzing user interests.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_1~100_N)은 로그 기록 또는 인게이지먼트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행동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레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s 100_1 to 100_N may extract user behavior information by analyzing log records or engagement records, and extract a label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ent from the user behavior information.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_1~100_N)은 크롤러, 파서, 인덱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열람하는 웹 페이지를 수집하고, 웹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 및 아이템명, 가격 등 텍스트 정보에 접근하여 컨텐츠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레이블을 추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terminals (100_1 to 100_N) are equipped with a crawler, parser, and indexer to collect web pages viewed by the user, and access text information such as images, item names, and prices included in the web page. A label to determine the type of content can be extracted.

예를 들어, 크롤러는 사용자가 열람하는 웹 주소 목록을 수집하고, 웹사이트를 확인하여 링크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아이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파서는 크롤링 과정 중에 수집된 웹 페이지를 해석하여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 아이템 가격, 아이템명 등 아이템 정보를 추출하며, 인덱서는 해당 위치와 의미를 색인할 수 있다.For example, crawlers collect data related to item information by collecting a list of web addresses that users browse, checking websites, and tracking links. At this time, the parser interprets the web pages collected during the crawling process and extracts item information such as images, item prices, and item names included in the page, and the indexer can index the location and meaning.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레이블은 사용자 행동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좋아요 태그를 생성한 컨텐츠(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의 이미지, 사용자가 열람한 홈페이지의 이미지 및 텍스트를 기초로 해당 아이템의 의미를 의미한다.The label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ent includes content viewed by the user (e.g., web browser) included in user behavior information, images of content that generated a like tag (e.g., social network), and images viewed by the user. It refers to the meaning of the item based on the images and text on a homepage.

웹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웹 서비스 제공 서버(300_1~300_N)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 검색 엔진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web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is a server that provides different content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it through an application. These web service providing servers (300_1 to 300_N) may be implemented as online shopping mall servers, search engine servers, etc.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구조화할 수 있다.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can extract characteristics of content used in a company's homepage and structur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ntent.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의 특징 영역을 탐지(Interest Point Detection)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징 영역이란, 이미지들 사이의 동일 유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의 특징에 대한 기술자, 즉 특징 기술자(Feature Descriptor)를 추출하는 주요 영역을 말한다.More specifically,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can detect characteristic areas (Interest Point Detection) of content used on a company's homepage. Here, the feature area refers to the main area from which a feature descriptor, that is, a descriptor for the features of an image for determining whether images are identical or similar, is extra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특징 영역은 이미지가 포함하고 있는 윤곽선, 윤곽선 중에서도 코너 등의 모퉁이, 주변 영역과 구분되는 블롭(blob), 이미지의 변형에 따라 불변하거나 공변하는 영역, 또는 주변 밝기보다 어둡거나 밝은 특징이 있는 극점일 수 있으며 이미지의 패치(조각) 또는 이미지 전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feature areas include the contours included in the image, corners such as corners among the contours, blobs distinguished from the surrounding areas, areas that are invariant or co-variable depending on the deformation of the image, or brightness greater than the surrounding brightness. It can be a pole with dark or bright features and can target a patch of the image or the entire image.

나아가,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특징 영역에서 특징 기술자를 추출(Descriptor Extraction)할 수 있다. 특징 기술자는 이미지의 특징들을 벡터 값으로 표현한 것이다.Furthermore,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can extract a feature descriptor (Descriptor Extraction) from the feature area. A feature descriptor expresses the features of an image as vector valu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특징 기술자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에 대한 특징 영역의 위치, 또는 특징 영역의 밝기, 색상, 선명도, 그라디언트, 스케일 또는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 기술자는 특징 영역의 밝기 값, 밝기의 변화 값 또는 분포 값 등을 벡터로 변환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feature descriptor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ocation of the feature area or the brightness, color, sharpness, gradient, scale, or pattern information of the feature area for th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For example, the feature descriptor may calculate the brightness value, brightness change value, or distribution value of the feature area by converting it into a vecto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에 대한 특징 기술자는 위와 같이 특징 영역에 기반한 지역 기술자(Local Descriptor) 뿐 아니라, 전역 기술자(Global descriptor), 빈도 기술자(Frequency Descriptor), 바이너리 기술자(Binary Descriptor) 또는 신경망 기술자(Neural Network descriptor)로 표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ature descriptor for th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cludes not only a local descriptor based on the feature area as above, but also a global descriptor, a frequency descriptor, It can be expressed as a binary descriptor or a neural network descriptor.

보다 구체적으로, 특징 기술자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 전체 또는 컨텐츠를 임의의 기준으로 분할한 구역 각각, 또는 특징 영역 각각의 밝기, 색상, 선명도, 그라디언트, 스케일, 패턴 정보 등을 벡터값으로 변환하여 추출하는 전역 기술자(Global 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eature descriptor converts the brightness, color, sharpness, gradient, scale, pattern information, etc. of each feature area or the entir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to vector values. It may include a global descriptor that is extracted.

예를 들어, 특징 기술자는 미리 구분한 특정 기술자들이 컨텐츠에 포함되는 횟수, 종래 정의된 색상표와 같은 전역적 특징의 포함 횟수 등을 벡터값으로 변환하여 추출하는 빈도 기술자 (Frequency Descriptor), 각 기술자들의 포함 여부 또는 기술자를 구성하는 각 요소 값들의 크기가 특정값 보다 크거나 작은지 여부를 비트 단위로 추출한 뒤 이를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바이너리 기술자 (Binary descriptor), 신경망(Neural Network)의 레이어에서 학습 또는 분류를 위해 사용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 기술자(Neural Network 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eature descriptor is a frequency descriptor that extracts the number of times pre-classified specific descriptors are included in the content, the number of times global features such as conventionally defined color tables are included in the content, etc., by converting them into vector values, and each descriptor In the layer of the binary descriptor and neural network, which extracts bit by bit whether or not the size of each element value constituting the descriptor is larger or smaller than a specific value and then converts it to an integer type and uses it. It may include a neural network descriptor that extracts image information used for learning or classific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로부터 추출한 특징 정보 벡터를 낮은 차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신경망을 통해 추출된 특징 정보는 4만 차원 고차원 벡터 정보에 해당하며, 검색에 요구되는 리소스를 고려하여 적정한 범위의 낮은 차원 벡터로 변환하는 것이 적절하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can convert a feature information vector extracted from content used on a company's homepage into a low dimension. For example,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rresponds to 40,000-dimensional high-dimensional vector information, and it is appropriate to convert it to a low-dimensional vector in an appropriate range considering the resources required for search.

상기 특징 정보 벡터의 변환은 PCA, ZCA 등 다양한 차원 축소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낮은 차원 벡터로 변환된 특징 정보는 해당 컨텐츠에 인덱싱 될 수 있다.The conversion of the feature information vector can use various dimension reduction algorithms such as PCA and ZCA, and the feature information converted to a low-dimensional vector can be index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를 기준으로 머신 러닝의 기법을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의 의미에 대한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속성은 추상화된 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추상화된 값을 해석하여 텍스트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ract the attributes of the meaning of the content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based on the content used in the company's homepage. The attribute may be expressed as an abstracted value, but may also be expressed in text form by interpreting the abstracted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속성을 미리 정의하고, 상기 속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특징을 학습한 신경망 모델을 생성하여, 컨텐츠 내의 아이템을 분류하고, 해당 아이템에 대한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predefines attributes, creates a neural network model that 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s, classifies items in the content, and classifies items in the content. properties can be extracted.

이때,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각 속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패턴을 학습한 신경망 모델을 통해 특정 패턴과 임의의 확률로 일치하는 컨텐츠에 해당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may assign the corresponding attribute to content that matches a specific pattern with random probability through a neural network model that has learned the patter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attribut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따르면,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각 속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특성들을 학습하여 초기 신경망 모델을 형성하고, 여기에 대량의 이미지 아이템들을 적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보다 정교하게 확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attribute to form an initial neural network model, and applies a large number of image items to it to further refine the neural network model. It can also be expanded.

그 후,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레이블을 수신하면 레이블과 매칭되는 속성을 가지는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receives a label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may increase the number of accesses to content having attributes matching the label.

상기와 같이,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에 대한 접근 횟수를 이용하여 컨텐츠 별 접근 횟수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컨텐츠의 순위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가 자동 모드인 경우 컨텐츠의 순위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디지털 카달로그 자동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determines the ranking of the content by using the number of accesses to th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and applying a weight according to the number of accesses to each content. Then, whe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s the automatic mode,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can produce a digital catalog by placing the content in the digital catalog automatic produ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ranking of the content.

이를 위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기업 단말(400)에 제공하고, 상기 기업 단말(400)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를 수신한다.To this end,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provides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to the enterprise terminal 400 and receives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from the enterprise terminal 400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

만일,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가 자동 제작 모드인 경우 기업의 홈페이지에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접근 횟수를 기초로 각각의 컨텐츠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배치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상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한다.If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s an automatic production mode,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determines 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content on the company's homepage based o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access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d on the homepage, and The digital catalog is produced by arranging content in a pre-registered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이때,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배치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 중 각각의 배치 영역에 배치 가능한 컨텐츠 종류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배치한다.At this time,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selects conten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and selects the content according to whether the type of the selected content is the same based on the type of content that can be placed in each arrangement area among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s. Place .

한편,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가 수동 제작 모드인 경우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여 드래그 앤 드롭만으로 디지털 카테고리를 수동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provides a pre-registered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whe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s a manual production mode, allowing digital categories to be manually created by dragging and dropping.

기업 단말(400)은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로부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수신하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는 수동 제작 모드 및 자동 제작 모드를 포함한다.When the enterprise terminal 400 receives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from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it selects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At this time,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ncludes manual production mode and automatic production mode.

만일, 기업 단말(400)은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자동 제작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공받고,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수동 제작 모드를 선택한 경우 드래그 앤 드롭을 통해 컨텐츠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시킴으로써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할 수 있다.If the enterprise terminal 400 selects the automatic production mode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it is provided with a digital catalog automatically created by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and the digital catalog is automatically created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If you select the production mode, you can create a digital catalog by placing content i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through drag and drop.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열람 기록 저장부(110),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20), 레이블 저장부(130) 및 레이블 제공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user browsing record storage unit 110, an application storage unit 120, a label storage unit 130, and a label provision unit 140.

사용자 열람 기록 저장부(110)에는 사용자 열람 기록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 열람 기록은 로그 기록 및 인게이지먼트 기록을 포함한다. 이때, 로그 기록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 장치(400)의 운영 체제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중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하여 생성된다.User browsing records are stored in the user browsing record storage unit 110. User viewing records include log records and engagement records. At this time, the log record is created by the user recording events that occur while the operating system or softwar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400 is running.

또한, 사용자 열람 기록 저장부(110)에는 사용자가 열람하는 웹 주소 목록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웹 주소 목록은 크롤러, 파서, 인덱서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롤러는 사용자가 열람하는 웹 주소 목록을 수집하고, 웹사이트를 확인하여 링크를 추적하는 방식으로 아이템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때, 파서는 크롤링 과정 중에 수집된 웹 페이지를 해석하여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 아이템 가격, 아이템명 등 아이템 정보를 추출하며, 인덱서는 해당 위치와 의미를 색인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er browsing record storage unit 110 may store a list of web addresses viewed by the user. These lists of web addresses can be collected by crawlers, parsers, and indexers. For example, crawlers collect data related to item information by collecting a list of web addresses that users browse, checking websites, and tracking links. At this time, the parser interprets the web pages collected during the crawling process and extracts item information such as images, item prices, and item names included in the page, and the indexer can index the location and meaning.

어플리케이션 저장부(120)에는 웹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로그 기록 또는 인게이지먼트 기록을 수집한 후, 사용자 관심사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로그 기록 또는 인게이지먼트 기록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결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신경망 모델 등일 수 있다.An application for accessing the web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is installed in the application storage unit 120. These applications may be software, neural network models, etc. that collect log records or engagement records and then analyze the log records or engagement records through an application for user interest analysis to determine the user's tastes.

레이블 저장부(130)에는 사용자 열람 기록을 기초로 추출된 컨텐츠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레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레이블은 사용자 행동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가 열람한 컨텐츠(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좋아요 태그를 생성한 컨텐츠(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의 이미지, 사용자가 열람한 홈페이지의 이미지 및 텍스트를 기초로 해당 아이템의 의미를 의미한다.The label storage unit 130 stores a label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ent extracted based on user browsing records. The label for determining the type of content includes the content viewed by the user included in user behavior information (e.g., web browser), the image of the content that generated a like tag (e.g., social network), and the image viewed by the user. It refers to the meaning of the item based on the images and text on a homepage.

레이블 제공부(140)는 레이블 저장부(130)에 저장된 레이블을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에 제공한다.The label providing unit 140 provides the label stored in the label storage unit 130 to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 접속 기록을 직접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 접속 기록을 내부에서 처리하여 사용자 관심사에 대한 레이블을 생성하여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외부에서 내부의 사용자 접속 기록에는 접근을 불가능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rectly transmit the user access records col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o the outside, but processes the user access records internally to generate labels for user interests and provides them to the outside, thereby providing internal user access from the outside. The advantage is that the records are inaccessible, preventing leakage of user personal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디지털 카달로그 포맷 데이터베이스(310),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 및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부(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includes a digital catalog format database 310, a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and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unit 330.

디지털 카달로그 포맷 데이터베이스(310)에는 디지털 카탈로그 포맷이 저장되어 있다.The digital catalog format database 310 stores a digital catalog format.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는 웹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하여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의 특징을 추출하여 컨텐츠의 특징 정보를 구조화할 수 있다.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can connect to the web service providing server 200, extract characteristics of content used in the company's homepage, and structur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content.

보다 구체적으로,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의 특징 영역을 탐지(Interest Point Detection)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징 영역이란, 이미지들 사이의 동일 유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미지의 특징에 대한 기술자, 즉 특징 기술자(Feature Descriptor)를 추출하는 주요 영역을 말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can detect characteristic areas of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terest Point Detection). Here, the feature area refers to the main area from which a feature descriptor, that is, a descriptor f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for determining whether images are identical or similar, is extra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특징 영역은 이미지가 포함하고 있는 윤곽선, 윤곽선 중에서도 코너 등의 모퉁이, 주변 영역과 구분되는 블롭(blob), 이미지의 변형에 따라 불변하거나 공변하는 영역, 또는 주변 밝기보다 어둡거나 밝은 특징이 있는 극점일 수 있으며 이미지의 패치(조각) 또는 이미지 전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feature areas include the contours included in the image, corners such as corners among the contours, blobs distinguished from the surrounding areas, areas that are invariant or co-variable depending on the deformation of the image, or brightness greater than the surrounding brightness. It can be a pole with dark or bright features and can target a patch of the image or the entire image.

나아가,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는 특징 영역에서 특징 기술자를 추출(Descriptor Extraction)할 수 있다. 특징 기술자는 이미지의 특징들을 벡터 값으로 표현한 것이다.Furthermore, 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can extract feature descriptors from the feature area. A feature descriptor expresses the features of an image as vector valu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특징 기술자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에 대한 특징 영역의 위치, 또는 특징 영역의 밝기, 색상, 선명도, 그라디언트, 스케일 또는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 기술자는 특징 영역의 밝기 값, 밝기의 변화 값 또는 분포 값 등을 벡터로 변환하여 계산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feature descriptor can be calculated using the location of the feature area or the brightness, color, sharpness, gradient, scale, or pattern information of the feature area for th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For example, the feature descriptor may calculate the brightness value, brightness change value, or distribution value of the feature area by converting it into a vecto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에 대한 특징 기술자는 위와 같이 특징 영역에 기반한 지역 기술자(Local Descriptor) 뿐 아니라, 전역 기술자(Global descriptor), 빈도 기술자(Frequency Descriptor), 바이너리 기술자(Binary Descriptor) 또는 신경망 기술자(Neural Network descriptor)로 표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ature descriptor for th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cludes not only a local descriptor based on the feature area as above, but also a global descriptor, a frequency descriptor, It can be expressed as a binary descriptor or neural network descriptor.

보다 구체적으로, 특징 기술자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 전체 또는 컨텐츠를 임의의 기준으로 분할한 구역 각각, 또는 특징 영역 각각의 밝기, 색상, 선명도, 그라디언트, 스케일, 패턴 정보 등을 벡터값으로 변환하여 추출하는 전역 기술자(Global 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eature descriptor converts the brightness, color, sharpness, gradient, scale, pattern information, etc. of each feature area or the entir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to vector values. It may include a global descriptor that is extracted.

예를 들어, 특징 기술자는 미리 구분한 특정 기술자들이 컨텐츠에 포함되는 횟수, 종래 정의된 색상표와 같은 전역적 특징의 포함 횟수 등을 벡터값으로 변환하여 추출하는 빈도 기술자 (Frequency Descriptor), 각 기술자들의 포함 여부 또는 기술자를 구성하는 각 요소 값들의 크기가 특정값 보다 크거나 작은지 여부를 비트 단위로 추출한 뒤 이를 정수형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바이너리 기술자 (Binary descriptor), 신경망(Neural Network)의 레이어에서 학습 또는 분류를 위해 사용되는 영상 정보를 추출하는 신경망 기술자(Neural Network descriptor)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eature descriptor is a frequency descriptor that extracts the number of times pre-classified specific descriptors are included in the content, the number of times global features such as conventionally defined color tables are included in the content, etc., by converting them into vector values, and each descriptor In the layer of the binary descriptor and neural network, which extracts bit by bit whether or not the size of each element value constituting the descriptor is larger or smaller than a specific value and then converts it to an integer type and uses it. It may include a neural network descriptor that extracts image information used for learning or classification.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로부터 추출한 특징 정보 벡터를 낮은 차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신경망을 통해 추출된 특징 정보는 4만 차원 고차원 벡터 정보에 해당하며, 검색에 요구되는 리소스를 고려하여 적정한 범위의 낮은 차원 벡터로 변환하는 것이 적절하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can convert the feature information vector extracted from th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to a low dimension. For example,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rresponds to 40,000-dimensional high-dimensional vector information, and it is appropriate to convert it to a low-dimensional vector in an appropriate range considering the resources required for search.

상기 특징 정보 벡터의 변환은 PCA, ZCA 등 다양한 차원 축소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며, 낮은 차원 벡터로 변환된 특징 정보는 해당 컨텐츠에 인덱싱 될 수 있다.The conversion of the feature information vector can use various dimension reduction algorithms such as PCA and ZCA, and the feature information converted to a low-dimensional vector can be indexed in the corresponding content.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는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를 기준으로 머신 러닝의 기법을 적용하여 해당 컨텐츠의 의미에 대한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속성은 추상화된 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추상화된 값을 해석하여 텍스트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machine learning techniques based on the content used in the company's homepage to extract the attributes of the meaning of the content. The attribute may be expressed as an abstracted value, but may also be expressed in text form by interpreting the abstracted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는 속성을 미리 정의하고, 상기 속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특징을 학습한 신경망 모델을 생성하여, 컨텐츠 내의 아이템을 분류하고, 해당 아이템에 대한 속성을 추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defines attributes in advance, creates a neural network model that 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s, classifies items in the content, and properties can be extracted.

이때,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는 각 속성에 해당하는 컨텐츠의 패턴을 학습한 신경망 모델을 통해 특정 패턴과 임의의 확률로 일치하는 컨텐츠에 해당 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can assign the corresponding attribute to content that matches a specific pattern with random probability through a neural network model that has learned the patter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attribut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따르면,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는 각 속성에 해당하는 광고 컨텐츠의 특성들을 학습하여 초기 신경망 모델을 형성하고, 여기에 대량의 이미지 아이템들을 적용하여 신경망 모델을 보다 정교하게 확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advertising content corresponding to each attribute to form an initial neural network model, and applies a large number of image items to it to view the neural network model. It can also be expanded elaborately.

그 후, 기업 컨텐츠 분석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레이블을 수신하면 레이블과 매칭되는 속성을 가지는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320 receives a label from the user terminal 100, it can increase the number of accesses to content having attributes matching the label.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부(330)는 사용자 단말(100_1~100_N)에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제공하고,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를 선택받으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에 따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거나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제공한다.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unit 330 provides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to the user terminals (100_1 to 100_N), and whe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pre-registered according to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s created. We provide a catalog production format or create and provide a digital catalog by placing th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catalo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기업 단말에 제공한다(단계 S410).Referring to FIG. 4,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provides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to the enterprise terminal (step S410).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기업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를 수신한다(단계 S420).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receives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from the enterprise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step S420).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에 따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거나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제공한다(단계 S430).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provides a pre-registered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or creates and provides a digital catalog by placing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step S430). .

단계 S4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가 자동 제작 모드인 경우 기업의 홈페이지에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접근 횟수를 기초로 각각의 컨텐츠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배치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상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step S430, whe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s an automatic production mode,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creates each content on the company's homepage based on a predetermined number of access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d in the homepage. The digital catalog can be produced by determining the arrangement order and arranging the content in a pre-registered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상기의 실시예에서,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300)는 상기 배치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 중 각각의 배치 영역에 배치 가능한 컨텐츠 종류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배치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300 selects conten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and based on the type of content that can be placed in each arrangement area of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The content can be arr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type of the selected content is the same.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se descriptio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
110: 사용자 열람 기록 저장부,
120: 어플리케이션 저장부,
130: 레이블 저장부,
140: 레이블 제공부,
200: 웹 서비스 제공 서버,
300: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
310: 디지털 카달로그 포맷 데이터베이스,
320: 기업 컨텐츠 분석부,
330: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부,
400: 기업 단말.
100: user terminal,
110: User viewing record storage unit,
120: application storage,
130: label storage unit,
140: Label provision department,
200: Web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igital catalog provision device
310: digital catalog format database,
320: Enterprise content analysis department,
330: Digital catalog production department,
400: Enterprise terminal.

Claims (6)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기업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업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에 따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거나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
In a digital catalog provision method executed on a digital catalog provision device,
Providing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to the enterprise terminal;
Receiving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from the enterprise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and
Providing a pre-registered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or placing th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to produce and provide a digital catalog.
How to provide a digital catalo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가 자동 제작 모드인 경우 기업의 홈페이지에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접근 횟수를 기초로 각각의 컨텐츠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상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producing and providing the digital catalog is
When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s an automatic production mode, determining 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content on the company's homepage based on a predetermined number of access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d on the homepag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producing the digital catalog by arranging the content in a pre-registered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How to provide a digital catalo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배치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 중 각각의 배치 영역에 배치 가능한 컨텐츠 종류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tep of producing and providing the digital catalog is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and arranging the content according to whether the type of the selected content is the same based on the type of content that can be placed in each arrangement area of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to do
How to provide a digital catalog.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카달로그 포맷이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카달로그 포맷 데이터베이스;
웹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 각각을 분석하여 컨텐츠 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기업 컨텐츠 분석부;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기업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기업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 선택 절차를 통해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에 따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을 제공하거나 기업의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를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
In the digital catalog providing device,
A digital catalog format database in which digital catalog formats are stored;
A corporate content analysis unit that connects to the web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analyzes each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to determine priorities for each content;
Providing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to a corporate terminal, receiving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from the enterprise terminal through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selection procedure, and providing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registe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or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unit that produces and provides a digital catalog by placing the content used on the company's homepage in a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Digital catalog provis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 컨텐츠 분석부는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모드가 자동 제작 모드인 경우 기업의 홈페이지에 홈페이지에 사용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접근 횟수를 기초로 각각의 컨텐츠의 배치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부는
상기 배치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미리 등록된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에 배치하여 상기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corporate content analysis department
If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mode is an automatic production mode, the arrangement order of each content is determined on the company's homepage based o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access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used on the homepage,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department
Characterized in producing the digital catalog by placing content in a pre-registered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Digital catalog provis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부는
상기 배치 순서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디지털 카달로그 제작 포맷 중 각각의 배치 영역에 배치 가능한 컨텐츠 종류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달로그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department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and arranging the content according to whether the type of the selected content is the same based on the type of content that can be placed in each arrangement area of the digital catalog production format. to do
How to provide a digital catalog.
KR1020220123244A 2022-09-28 2022-09-28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KR202400440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44A KR20240044029A (en) 2022-09-28 2022-09-28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244A KR20240044029A (en) 2022-09-28 2022-09-28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029A true KR20240044029A (en) 2024-04-04

Family

ID=9063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244A KR20240044029A (en) 2022-09-28 2022-09-28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02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191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s
KR101806169B1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offering a shopping information
US10360623B2 (en) Visually generated consumer product presentation
US80196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item comparisons
US75489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tive tags
US8296291B1 (en) Surfacing related user-provided content
US20150178786A1 (en) Pictollage: Image-Based Contextual Advertising Through Programmatically Composed Collages
US20140143252A1 (en) Automate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using infographics
US2021039060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tyle recommendation
EP1950670A1 (en) Document data display process method, document data display process system and software program for document data display process
US9043232B1 (en) Associating item images with item catalog data
JP201402958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1263687B2 (en) System for secure management of inventory and profile information
US9330071B1 (en) Tag merging
KR20100044669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goods based on image matching
US10366079B1 (en) Enterprise connectivity
JP2020504879A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data related to malicious content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20140149259A1 (en) Consumer centric online product research
KR1010265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king analys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220039697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tyle recommendation
US2023002271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fashion product
KR102113318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s
KR20240044029A (en)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atalo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KR102260683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s
CN116521937A (en) Video form gener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