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555A -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555A
KR20240043555A KR1020220122794A KR20220122794A KR20240043555A KR 20240043555 A KR20240043555 A KR 20240043555A KR 1020220122794 A KR1020220122794 A KR 1020220122794A KR 20220122794 A KR20220122794 A KR 20220122794A KR 20240043555 A KR20240043555 A KR 20240043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catalog
resear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미정
박지환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3555A/ko
Publication of KR20240043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관 연구를 위한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카탈로그를 서버에 저장, 선택 및 시각화를 위한 자동화된 모듈을 개발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인적오류를 줄이고, 연구기획 과정의 걸리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연구 전 과정의 속도를 높이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의료 연구정보가 국제 표준 의학 정보와 매핑 변환되어, 매핑 변환된 카탈로그를 입력으로 하여 제이슨(JSON) 변환 전처리하는 제1전처리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제1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정보를 계층화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제2전처리부;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를 디스플레이하여 시각화하는 계층정보시각화부; 사용자 연구과제 기반의 계층정보시각화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중에서 선택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제입력저장부; 과제입력저장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공유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저장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Common Data Model-based Data Catalog Pipeline Process Development System for Distributed Research Network}
본 발명은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관 연구를 위한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카탈로그를 서버에 저장, 선택 및 시각화를 위한 자동화된 모듈을 개발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인적오류를 줄이고, 연구기획 과정의 걸리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연구 전 과정의 속도를 높이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산형 연구네트워크(DRN:Distributed Research Networks)은 의료데이터를 포함한 민감 데이터들이 첨단 연구를 위해 다기관 대규모의 연구 수행 시, 외부에 공유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분석 프로그램 코드를 공통데이터모델(Common Data Model, CDM)에 기반한 데이터 보유 각 기관에 보내어 각 기관 내에서 분석된 통계 결과값만을 취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체계를 말한다.
여기서, 공통데이터모델(CDM)이란 각 협력기관들의 보유하고 있는 상이한 데이터 구조와 의미를 동일한 구조와 의미를 갖도록 표준화된 구조로 규격화한 데이터 모델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통데이터모델(CDM)은 데이터 모델, 용어, 분석방법, 방법론 등을 표준화함으로써 반복가능, 재현가능, 복제가능, 일반화가능, 견고성, 보정가능 등의 RWE(Real World Evidence) 기반을 구축하여 기존 분석의 복잡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공통데이터모델(CDM)에는 Sentinel CDM, PCORnet CDM, OMOP(Observational Medical Outcome Partners) CDM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이 중 OMOP CDM은 OHDSI(Observational Health Data Sciences and Informatics)라는 국제 비영리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한편, CDM의 경우 카탈로그 계층형의 정보를 담고 있으나 이를 관리하는 서버 기능의 부재로 인해서(계층형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부재) 다기관 연구자 참여자의 경우, 연구신청을 하기 위해서 연구 수행을 위한 카탈로그 정보를 선택함에 따라서 엑셀 파일을 수작업으로 수정하여 해당 기관의 관리자에게 보내는 방식으로 연구신청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신청 방법은 수작업으로 연구 분야계열 선택정보를 내려받고, 연구 분야를 선택하고 선택한 정보를 업로드하는 형태로 진행되기 때문에 연구기획 단계에서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연구신청 프로세스는 인적오류(휴먼에러)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농후하고, 이에 따라 신청내용에 오차가 있는 경우 실험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2-0113135호(2022.08.1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087272호(2011.11.2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52873호(2021.05.1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공통데이터 모델 기반의 데이터 카탈로그의 계층형 정보를 제이슨(JSON) 관리 모듈을 기반으로 대화형 인터페이스 모듈을 개발하여 계층형 시각화를 제공하고, 데이터 카탈로그 내 데이터 선택 및 저장 모듈을 통한 선택 데이터베이스 자동저장 서버를 구축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은 의료 연구정보가 국제 표준 의학 정보와 매핑 변환되어, 매핑 변환된 카탈로그를 입력으로 하여 제이슨(JSON) 변환 전처리하는 제1전처리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기 제1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정보를 계층화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제2전처리부; 상기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를 디스플레이하여 시각화하는 계층정보시각화부; 사용자 연구과제 기반의 상기 계층정보시각화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중에서 선택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제입력저장부; 상기 과제입력저장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공유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저장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전처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기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정보를 사용자 기반 계층화하여 생성된 제이슨(JSON) 형식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된 제이슨(JSON) 형식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서버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전처리부는 역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제이슨(JSON) 형식 데이터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제이슨(JSON) 형식의 데이터의 계층화 전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연구 관련 백혈병 림프종 암종 육종과 같은 대주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상위 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최상위 레이어의 하위 항목으로 인구통계학적정보, 진단정보, 처방정보, 검사정보와 같은 상위 주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상위 레이어의 하위 항목으로 상기 상위 주제 데이터에 따른 서브 주제데이터를 포함하는 하위 레이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계층정보시각화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계층화된 정보를 제이슨(JSON) 형식으로 읽어들이며, 읽어들인 계층화 정보는 트리형태의 시각화된 계층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트리형태로 시각화된 계층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사용자 기반 선택 입력 정보에 따른, 상기 읽어들인 계층화 정보의 트리구조 내 상위정보에서부터 하위정보까지의 확장된 정보를 시각화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과제입력저장부는 상기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기반의 선택 데이터를 입력된 순서대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과제입력저장부는 일련의 순서로 사용자 기반의 상기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의 대주제 선택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고, 상기 대주제 선택 데이터 관련 상위 항목 선택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고, 상기 상위 항목 선택 데이터 관련 하위 항목 선택 데이터를 입력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과제입력저장부는, 일련의 순서로 사용자 기반의 상기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를 선택하면, 선택된 데이터를 제이슨(JSON) 형식으로 처리하며, 상기 제이슨(JSON) 형식으로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저장데이터전송부는, 상기 과제입력저장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타기관의 공동연구 수행기관 및 연구과제 관련 관계자 서버와 공유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데이터 제공자는 데이터의 카탈로그 정보를 엑셀 또는 CSV(Comma Separated Values) 형태로 서버에 업로드하면 저장 모듈이 카탈로그 정보를 자동 업데이트할 수 있다.
둘째, 데이터 사용자는 업로드된 카탈로그 정보를 시각화 모듈을 통해 상호 작용 가능한 인터페이스에서 직관적 선택이 가능하다.
셋째, 선택된 카탈로그 데이터는 선택저장 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자동 저장되어 연구신청 프로세스에서 소모되는 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처리부(20)의 계층화(hierarchy)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정보시각화부(30)의 계층의 시각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데이터전송부(50)의 타기관과 데이터 공유 모식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기관 연구를 위한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카탈로그를 서버에 저장, 선택 및 시각화를 위한 자동화된 모듈을 개발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인적오류를 줄이고, 연구기획 과정의 걸리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연구 전 과정의 속도를 높이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흐름도이다.
도 1와 도2를 참고하면, 제1전처리부(10), 제2전처리부(20), 계층정보시각화부(30), 과제입력저장부(40) 및 저장데이터전송부(50)를 포함한다. 제1전처리부(10)는 의료 연구정보가 국제 표준 의학 정보와 매핑 변환되어, 매핑 변환된 카탈로그를 입력으로 하여 제이슨(JSON) 변환 전처리하며, 제2전처리부(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제1전처리부(10)에서 전처리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정보를 계층화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며, 계층정보시각화부(30)는 제2전처리부(20)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를 디스플레이하여 시각화한다. 과제입력저장부(40)는 사용자 연구과제 기반의 계층정보시각화부(3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중에서 선택된 정보를 수집하며, 저장데이터전송부(50)는 과제입력저장부(40)에서 수집된 정보를 공유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카탈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데이터 적재 모듈의 기능을 통해 서버상에 상기 카탈로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적재된 카탈로그 정보는 계층형 구조인 제이슨(JSON) 형식으로 관리하는 모듈을 통해 접근하며, 제이슨(JSON) 형식 카탈로그 정보는 계층형 시각화 모듈의 기능으로 자동 시각화한다. 시각화된 카탈로그 정보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선택되고, 리스트에 적재된다. 이후 선택 리스트는 선택저장 모듈의 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보관된다.
하나의 실시예로써, A와 B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데이터베이스 A와 B)이 있으면, A와 B는 둘 다 통신을 위해 인터페이스 채널을 사용한다. 상기 A는 일부 데이터를 상기 B로 전송한 다음, 상기 B가 일부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한다. 수신 데이터에 대해 특정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B는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삽입하고, 업데이트된 데이터 목록을 확인하기 위해 출력 제이슨(JSON)을 생성하여 상기 A로 다시 보내는 형식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전처리부(20)의 계층화(hierarchy)모식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전처리부(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기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정보를 사용자 기반 계층화하여 생성된 제이슨(JSON) 형식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된 제이슨(JSON) 형식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서버에 저장된다. 역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제이슨(JSON) 형식 데이터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제이슨(JSON) 형식의 데이터의 계층화 전처리를 수행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제2전처리부(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로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를 통해서 최상위 레이어(20a), 상위 레이어(20b) 및 하위 레이어(20c)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연구 관련 백혈병 림프종 암종 육종과 같은 대주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상위 레이어(20a)를 생성하며, 최상위 레이어(20a)의 하위 항목으로 인구통계학적정보, 진단정보, 처방정보, 검사정보와 같은 상위 주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20b)를 생성하며, 상위 레이어(20b)의 하위 항목으로 상기 상위 주제 데이터에 따른 서브 주제데이터를 포함하는 하위 레이어(20c)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의 하나의 실시예로써,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는 전립선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최상위 레이어(20a)가 가장 상위 레이어로 위치시키며, 최상위 레이어(20a)의 하위 항목에 전립선암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진단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 레이어(20b)를 위치시키고, 상위 레이어(20b)의 하위 항목에 상기 전립선암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진단일자, 진단코드, 진단명 등을 포함하고 있는 하위 레이어(20c)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제1전처리부(10)에서 제이슨(JSON) 형식의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 방식으로 형태가 전환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역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하는 경우 제이슨(JSON) 형식으로 전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정보시각화부(30)의 계층의 시각화 모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계층정보시각화부(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계층화된 정보를 제이슨(JSON) 형식으로 읽어들이며, 읽어들인 계층화 정보는 트리형태의 시각화된 계층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트리형태로 시각화된 계층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사용자 기반 선택 입력 정보에 따른, 상기 읽어들인 계층화 정보의 트리구조 내 상위정보에서부터 하위정보까지의 확장된 정보를 시각화한다. 즉,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읽어들인 계층화 정보는 제이슨(JSON) 형식으로 전환되어, 나무의 뿌리에서 가지로 확장되는 트리형태의 구조로 시각화된다. 시각화된 정보는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의 선택 및 입력에 따라 상위정보를 선택할 시 하위정보가 확장되어 보이는 형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데이터전송부(50)의 타기관과 데이터 공유 모식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과제입력저장부(40)는 제2전처리부(20)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기반의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된 순서대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과제입력저장부(40)는 일련의 순서로 사용자 기반의 제2전처리부(20)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를 계층정보시각화부(30)에서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기반의 대주제 선택 데이터를 입력된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기반의 대주제 선택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대주제 선택 데이터 관련 상위 항목 선택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고, 상기 상위 항목 선택 데이터 관련 하위 항목 선택 데이터를 입력 저장한다. 이와 같이 일련의 순서로 사용자 기반의 상기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를 선택하면, 선택된 데이터를 제이슨(JSON) 형식으로 처리하며, 상기 제이슨(JSON) 형식으로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한 예로써, 과제입력저장부(40)는 계층정보시각화부(30)에서 디스플레이한 연구과제 입력 정보(연구자 성명, 연락처, 소속), 연구윤리위원회심의결과서(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연구계획서와 같은 연구대상데이터 카탈로그 선택 정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연구자의 일련의 상기 연구대상 데이터 카탈로그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즉,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과제입력저장부(4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폐암과 같은 대주제 연구자 연구과제 선택 입력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대주제 사용자 입력 정보 관련 하위 항목인 상위 항목 선택 정보(인구통계학적정보, 진단정보, 처방 정보, 검사정보)에서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상위 항목 선택 정보로 연구과제 선택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처방 정보 하위 항목으로 처방일자, 처방코드, 처방명, 투여경로 등의 연구과제 선택 정보로 상기 연구대상 데이터 카탈로그를 선택하면, 상기 연구대상 데이터 카탈로그의 정보는 선택처리과정에서 제이슨(JSON) 형식으로 처리되어, 상기 제이슨(JSON) 형식으로 처리된 정보는 저장되어 저장데이터전송부(50)로 송신된다. 이후 저장데이터전송부(50)는 과제입력저장부(40)에서 수집된 정보를 타기관의 공동연구 수행기관 및 연구과제 관련 관계자 서버와 공유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저장데이터전송부(50)는 과제입력저장부(40)에서 수집된 정보를 연구신청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공통데이터 모델 기반의 데이터 카탈로그의 계층형 정보를 제이슨(JSON) 관리 모듈을 기반으로 대화형 인터페이스 모듈을 개발하여 계층형 시각화를 제공하고, 데이터 카탈로그 내 데이터 선택 및 저장 모듈을 통한 선택 데이터베이스 자동저장 서버를 구축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데이터 제공자는 데이터의 카탈로그 정보를 엑셀 또는 CSV(Comma Separated Values) 형태로 서버에 업로드하면 저장 모듈이 카탈로그 정보를 자동 업데이트할 수 있다. 둘째, 데이터 사용자는 업로드된 카탈로그 정보를 시각화 모듈을 통해 상호 작용 가능한 인터페이스에서 직관적 선택이 가능하다. 셋째, 선택된 카탈로그 데이터는 선택저장 모듈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자동 저장되어 연구신청 프로세스에서 소모되는 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전처리부 20: 제2전처리부
20a: 최상위 레이어 20b: 상위 레이어
20c: 하위 레이어 30: 계층정보시각화부
40: 과제입력저장부 50: 저장데이터전송부

Claims (10)

  1. 의료 연구정보가 국제 표준 의학 정보와 매핑 변환되어, 매핑 변환된 카탈로그를 입력으로 하여 제이슨(JSON) 변환 전처리하는 제1전처리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기 제1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정보를 계층화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하는 제2전처리부;
    상기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를 디스플레이하여 시각화하는 계층정보시각화부;
    사용자 연구과제 기반의 상기 계층정보시각화부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중에서 선택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제입력저장부;
    상기 과제입력저장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공유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저장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처리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상기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정보를 사용자 기반 계층화하여 생성된 제이슨(JSON) 형식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된 제이슨(JSON) 형식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처리부는,
    역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제이슨(JSON) 형식 데이터를 조회하는 경우,
    상기 제이슨(JSON) 형식의 데이터의 계층화 전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반 계층화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연구 관련 백혈병 림프종 암종 육종과 같은 대주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상위 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최상위 레이어의 하위 항목으로 인구통계학적정보, 진단정보, 처방정보, 검사정보와 같은 상위 주제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위 레이어;를 생성하며,
    상기 상위 레이어의 하위 항목으로 상기 상위 주제 데이터에 따른 서브 주제데이터를 포함하는 하위 레이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정보시각화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계층화된 정보를 제이슨(JSON) 형식으로 읽어들이며,
    읽어들인 계층화 정보는 트리형태의 시각화된 계층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형태로 시각화된 계층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사용자 기반 선택 입력 정보에 따른, 상기 읽어들인 계층화 정보의 트리구조 내 상위정보에서부터 하위정보까지의 확장된 정보를 시각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입력저장부는,
    상기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 기반의 선택된 데이터를 입력된 순서대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입력저장부는,
    일련의 순서로 사용자 기반의 상기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의 대주제 선택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고,
    상기 대주제 선택 데이터 관련 상위 항목 선택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고,
    상기 대주제 선택 데이터 관련 상위 항목 선택 데이터 관련 하위 항목 선택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입력저장부는,
    일련의 순서로 사용자 기반의 상기 제2전처리부에서 계층화된 의료 연구과제 카탈로그를 선택하면,
    선택된 데이터를 제이슨(JSON) 형식으로 처리하며, 상기 제이슨(JSON) 형식으로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데이터전송부는,
    상기 과제입력저장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타기관의 공동연구 수행기관 및 연구과제 관련 관계자 서버와 공유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KR1020220122794A 2022-09-27 2022-09-27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KR20240043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794A KR20240043555A (ko) 2022-09-27 2022-09-27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794A KR20240043555A (ko) 2022-09-27 2022-09-27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555A true KR20240043555A (ko) 2024-04-03

Family

ID=9066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794A KR20240043555A (ko) 2022-09-27 2022-09-27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355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272B1 (ko) 2009-09-04 2011-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상 콘텐츠 모델의 편집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252873B1 (ko) 2020-08-26 2021-05-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 임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3135A (ko) 2021-02-05 2022-08-12 (주)씨앤텍시스템즈 제이슨 파일의 포맷 변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272B1 (ko) 2009-09-04 2011-11-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임상 콘텐츠 모델의 편집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252873B1 (ko) 2020-08-26 2021-05-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 임상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3135A (ko) 2021-02-05 2022-08-12 (주)씨앤텍시스템즈 제이슨 파일의 포맷 변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Visual analytics for the big data era—A comparative review of state-of-the-art commercial systems
Tsai et al. Developing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he assessment of BIM technology adoption: part I. Methodology and survey
Ayag* An integrated approach to evaluating conceptual design alternatives in a new product development environment
US8073801B1 (en) Business decision model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hodambashi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application in healthcare in a relation to health information systems
Silva et al. Using vistrails and provenance for teaching scientific visualization
CN102789414A (zh) 用于集成测试平台的优先级化和指派管理器
WO2014031359A1 (en) Integrated collaborative scientific research environment
JP2022053510A (ja) コンピュータ実装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及びプログラム
Serrano Cárdenas et al. Public innovation: Concept and future research agenda
Scrivner et al. XD Metrics on Demand Value Analytics: Visualizing the Impact of Internal Information Technology Investments on External Funding, Publications, and Collaboration Networks
Ronchieri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software quality models in healthcare software systems
Capilla et al. Viability for codifying and documenting architectural design decisions with tool support
Boose et al. Knowledge acquisition techniques for group decision support
KR20240043555A (ko) 분산형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데이터 카탈로그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개발 시스템
CN114722789B (zh) 数据报表集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Rudzajs et al. It knowledge requirements identification in organizational networks: cooperation between industrial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Ten Broeke et al. Mapping validity and validation in modelling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chmann et al. An Exploration of Enterprise Architecture Research in Hospitals
Behbahani Nejad et al. A novel architecture based on business intelligence approach to exploit big data
Yunchyk et al. Results of developing the recommendation system for electronic educational resource selection
Daw et al. Computer-Aided Evaluation for Argument-Based Certification
Ferrua The “Delta” Case: New AWS Data Platform Implementation
Voinov et al. Community-based software tools to support participatory modelling: a vision
Da Silva et al. Method for assessing and select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softwa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logistic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