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976A -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 - Google Patents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976A
KR20240042976A KR1020220121928A KR20220121928A KR20240042976A KR 20240042976 A KR20240042976 A KR 20240042976A KR 1020220121928 A KR1020220121928 A KR 1020220121928A KR 20220121928 A KR20220121928 A KR 20220121928A KR 20240042976 A KR20240042976 A KR 2024004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steel
insulation material
finishing panel
stee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창
윤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에이치에스패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에이치에스패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2012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976A/ko
Publication of KR2024004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Abstract

강구조물의 마감구조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강재 외측에 설치된 강구조물의 내화 마감구조는 강재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된 단열재 및 단열재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내측면에 팽창성 내화시트가 마련된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단열재와 마감패널 사이에는 내화시트의 열팽창을 허용하는 제1 챔버가 마련된다.

Description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FINISHING COVER OF STEEL STRUCTURE AND COMPOSITE BEA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안정성이 향상된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의 화재에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천 물류센터 등 가연성 물질을 다수 보관하고 있는 창고시설이나 제천 스포츠센터 등 화재안전에 대한 법규가 강화되기 이전에 지어진 가연성 마감재를 많이 사용한 건축물들에 있어서 화재 피해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철골구조 및 콘크리트 충진형 강합성구조 등과 같은 강구조물의 경우 강재 특성 상 화재 온도에서의 현저한 강도저하로 붕괴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건축법에서는 허용온도 하의 내화시간을 규정하고 있다.
현행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은 건물의 용도와 규모, 적용되는 부위별로 시간을 인정받아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구조체의 내화성능은 내화뿜칠, 내화페인트, 내화보드 등 내화피복을 입혀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내화피복 재료로서 주로 적용하는 내화뿜칠이나 내화페인트은 습식시공 방식으로서 상당기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여 공사비 및 공기단축에 불리하다. 뿜칠의 경우 1~3시간 내화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15~40mm 두께로 피복시키므로 건조 후 파손우려가 크고 파손 시 보수가 어렵다. 내화페인트는 피복두께는 얇으나 뿜칠과 마찬가지로 무기계소재를 사용하므로 양생까지 상당기간이 소요되고 파손 시 보수가 어려우며 뿜칠 대비 3배 이상의 고가이다. 내화뿜칠과 내화페인트 방식은 전문시공자의 역량과, 기온, 재료별 배합 상태에 따라 품질 일관성 유지가 어려우므로 성능이 시험소에서 인정받은 내화성능이 현장에서는 상황에 따라 구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내화피복 공사에 수개월이 걸리고 골조공사 이후 바닥공사와 내외장재 공사가 수행되는 일정 특성 상 인력 및 장비간섭, 내외장재 오염, 후속 공정에 의한 피복재 손상위험 등의 공사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습식공법에 의한 내화피복 공사 후에는 두께, 밀도, 부착력, 배합비, 외관 부분에 대한 검사와 공인성적서 구축 등 공사 후 관리가 별도로 필요하다. 특히, 겨울철 공사 시 양생기간이 늘어나므로 이를 고려하여 공정관리를 해야 한다.
이러한 습식공법의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내화보드 이용 건식공법이다. 주로 석고보드를 이용하는 내화보드는 공장에서 제작하므로 일정한 품질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보드의 특성상 구조부재 크기에 맞도록 현장치수를 조정해야 하여 인건비가 소요가 크므로 시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화성능을 구현하는 품질 일관성을 보유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파손우려가 적고 보수가 용이하고, 양생기간 등에 의한 공기 증가 위험이 낮으면서, 타 공정과의 간섭 영향이 적고, 경제성도 향상되는 새로운 내화피복 공법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6403호(2010.01.12 공고)
본 실시 예들은 화염 확산을 지연시키면서 강구조물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재 외측에 설치된 강구조물의 마감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재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된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내측면에 팽창성 내화시트가 마련된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는 상기 내화시트의 열팽창을 허용하는 제1 챔버가 마련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제1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도록 단차진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무기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블랭킷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은 도금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중첩 배치된 제1 단열재와 제2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열재와 상기 제2 단열재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은 제1 마감패널과 제2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패널과 상기 제2 마감패널은 적어도 두 면이 겹쳐진 형태로 구성되는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은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제1 마감패널과 제2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마감패널의 단부에 벤딩된 제1 벤딩부와, 상기 제2 마감패널의 단부에 벤딩된 제2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부는 상기 단열재를 향해 벤딩된 제1 면과,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면의 단부에서 벤딩된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면의 단부에서 벤딩된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벤딩부는 상기 제3 면에 밀착되는 제4 면과, 상기 제2 면과 겹치도록 상기 제4 면의 단부에서 벤딩된 제5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재 외면에 결합되며,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강재 사이에 제2 챔버를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에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팽창하는 제2 팽창성 내화시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강재 외측에 결합되며, 외측면에 제3 팽창성 내화시트가 마련된 제3 마감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감패널과 상기 단열재 사이에는 상기 제3 팽창성 내화시트의 열팽창을 허용하는 제2 챔버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어느 하나의 내화 마감구조를 갖는 합성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화재 시 고온에 대해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여 화염 확산 및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들은 건식 공법을 적용하여 습식 공법 대비 시공이 간단하고, 현장에서의 양생이 필요치 않아 품질 관리가 용이하다.
또 본 실시 예들은 블랭킷 형태의 단열재를 이용함에 의해 복잡한 형상이나 접합부 등에 설치 시 변형 및 가공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 본 실시 예들은 내화 피복 기능과 내장재로서의 마감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공사비 절감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구조물의 마감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화시트가 열에 의해 팽창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강구조물의 마감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반 합성보의 시험 후 사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합성보의 시험 후 사진이다.
도 8 및 도 9는 일반 합성보와 본 실시 예의 합성보의 내화구조 성능에 대한 비교시험을 수행한 결과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구조물의 마감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강구조물의 마감구조는 강재(12)의 외측을 감싸는 단열재(20)와, 단열재(20)의 외측을 둘러싸는 마감패널(3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강구조물은 강재(12)와 콘크리트(11)가 일체로 합성된 합성보(10)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건축물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재를 사용하는 강구조물은 본 실시 예에 포함된다.
단열재(20)는 강재(12)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단열재(20)는 강구조물의 형태에 대응하여 현장 시공성 향상을 위해 변형이 용이한 블랭킷(blank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단열재(20)는 내화 성능이 우수한 글라스울, 미네랄울, 세라크울 등과 같은 무기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열재(20)는 차열성 향상을 위해 제1 단열재(21)와 제2 단열재(22)가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단열재(21)와 제2 단열재(22)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열재(21)와 제2 단열재(22) 중 하나는 고온에서 열전도율이 매우 낮은 세라크울로 구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미네랄울 또는 글라스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열재(21)와 제2 단열재(22)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벼운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열재(21)와 제2 단열재(22)를 서로 다른 종류의 무기 단열재로 구성함에 의해 내화 마감구조에 필요한 내화 성능을 확보하면서 강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블랭킷 형태의 단열재(20)는 일단부가 강재(12)의 일측에 결합된 제1 접합철물(23)에 고정된 상태에서 강재(12)의 외면을 감싼 후 타단부가 강재(12)의 타측에 결합된 제2 접합철물(24)에 고정될 수 있다.
단열재(20)는 강재(12) 외면에 접촉될 수 있고, 단열재(20)의 적어도 일부는 강재(12)와 이격될 수 있다. 강재(12)와 단열재(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공기층을 형성함에 의해 화염 시 강재(12) 쪽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강재(12)에는 강재(12)로부터 단열재(20)를 이격시키기 위한 스페이서(4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페이서(40)는 합성보(10)의 바닥 중앙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40)는 마감패널(30)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페이서(40)는 단열재(20)와 접촉하는 제1 부분(41)과, 제1 부분(41)의 양단에서 강재(12)를 향해 벤딩된 제2 부분(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41)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63)를 통해 마감패널(30)과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고, 제2 부분(42)은 단열재(20)와 강재(12) 사이를 이격시키는 부분일 수 있다.
마감패널(30)은 내장패널(31)과 팽창성 내화시트(32)를 포함한다.
마감패널(30)은 단열재(2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합성보(10)에 결합될 수 있다.
마감패널(30)은 부피가 큰 합성보(10)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제1 마감패널(30a)과 제2 마감패널(30b)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장패널(31)은 내장재로서의 마감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장패널(31)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표면이 미려한 도금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내장패널(31)은 용융아연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강판, 합금화 아연도금강판, 용융알루미늄-아연합금도금강판, 합금화아연도금강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내화시트(32)는 내장패널(3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내화시트(32)는 내장패널(31)의 내측에 접착제를 매개로 접합될 수 있다.
내화시트(32)는 열을 가하면 팽창하는 팽창 무기계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내화시트(32)는 열을 가하면 팽창하는 입자상 물질, 예로서 흑연(graphite)이 포함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흑연은 일반적으로 층상으로서, 다양한 입자 크기, 산도, 분해온도 및 분해효율을 갖는 상업화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마감패널(30)은 단열재(20)를 둘러싸는 경우 단열재(20)와 내화시트(32) 사이에 제1 챔버(5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챔버(50)는 마감패널(30)과 단열재(2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함에 의해 외부의 열이 단열재(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챔버(50)는 화재 시 내화시트(32)의 팽창을 허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마감패널(30)은 제1 챔버(50)를 형성하기 위해 단차진 결합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60)는 제1 결합부(60a)와 제2 결합부(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60a)는 마감패널(30a,30b)의 일단부에 형성된 계단형 플랜지(6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60a)는 연결부재(70)를 매개로 합성보(1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70)는 계단형 플랜지(61a)와 단열재(20)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연결부(71)와, 강재(12)와 단열재(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연결부(7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71)는 제1 챔버(50)의 기밀 유지를 위해 계단형 플랜지(61a)와 밀착되어 면접촉할 수 있고, 제2 연결부(72)는 제1 연결부(71)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1)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73)를 통해 제1 결합부(60a)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결부(72)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74)를 통해 강재(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부(60b)는 마감패널(30a,30b)의 타단부에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60b)는 제1 마감패널(30a)과 제2 마감패널(30b)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를 갖는 제2 결합부(60b)는 마감패널(30)과 단열재(20) 사이에 제1 챔버(5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부(60b)는 내화시트(32)의 팽창 시 터짐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두 면이 겹쳐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60b)는 복수회 벤딩된 벤딩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벤딩면이 겹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60b)는 제1 마감패널(30a)에 마련된 제1 벤딩부(61)와, 제2 마감패널(30b)에 마련된 제2 벤딩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부(61)는 제1 마감패널(30a)의 단부에서 단열재(20)를 향해 벤딩된 제1 면(61a)과, 제1 면(61a)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단열재(20)와 접촉하는 제2 면(61b)과, 제2 면(61b)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제1 면(61a)과 마주하는 제3 면(6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부(61)는 전체적으로 아래쪽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벤딩 제작될 수 있다.
제2 벤딩부(62)는 제2 마감패널(30b)의 단부에서 단열재(20)를 향해 벤딩된 제4 면(62a)과, 제4 면(62a)의 단부에서 벤딩되는 제5 면(6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벤딩부(62)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벤딩 제작될 수 있다.
제1 벤딩부(61)와 제2 벤딩부(62)가 결합되는 경우, 제2 결합부(60b)는 제2 면(61b)과 제5 면(62b)이 겹쳐지고, 제3 면(61c)과 제4 면(62a)이 겹쳐짐에 따라 두 개의 면이 겹쳐진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부(60b)는 내화시트(32)가 팽창 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휨 또는 변형에 저항하여 보다 강화된 구조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2 결합부(60b)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63)를 매개로 스페이서(40)와 연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40)에 의해 강재(12)와 단열재(20) 사이에는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2 챔버(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챔버(80)는 상대적으로 기밀성이 취약한 제2 결합부(60b)로부터 유입되는 열이 강재(1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페이서(40)에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제2 챔버(80)를 향해 팽창하는 제2 팽창성 내화시트(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팽창성 내화시트(32,43)는 제1 챔버(50)와 제2 챔버(80)에서 각각 팽창하여 채워지게 되고(화살표 방향), 이는 화재 시 강재(12)로의 열전달을 차단함에 의해 강구조물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30)은 비교적 두께가 얇은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에 의해 변형이 쉽게 발생되게 되나, 제1 챔버(50)에 채워진 팽창물로 인하여 마감패널(30)의 변형을 억제함에 따라 화염 확산 지연과 붕괴 저항 증가로 인해 강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강구조물의 마감구조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강구조물의 마감구조는 화재 안정성을 더욱더 향상시키기 위해 강재(12)의 외면에 제3 마감패널(90)이 배치되고, 제2 챔버(80)는 단열재(20)와 제3 마감패널(9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마감패널(90)의 내장패널(91)은 강재(12)와 연결될 수 있고, 제3 마감패널(90)의 제3 팽창성 내화시트(92)는 제2 챔버(80)를 향해 팽창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챔버(80)는 도 1에 도시된 일부 영역이 아닌 제3 마감패널(90)과 단열재(20) 사이 공간 전체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챔버(80)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접합철물(23)과 제2 접합철물(24)은 간격재(23a,24a)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강구조물 마감구조의 내화구조 성능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강구조물의 내화구조 성능시험을 위해 시험체를 제작하고, 내화구조 인정을 위한 시험규격인 KS F 2257-1(건축부재의 내화 시험방법- 일반요구사항)과 KS F 2257-6(건축부재의 내화 시험방법-보의 성능 조건)에 의거하여 수행하였다.
개발 제품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내화피복을 하지 않은 일반 합성보와 본 실시 예의 합성보를 비교 시험하였다. 모든 조건(시험체 사이즈, 재료 물성, 재하하중의 크기, 화재온도 조건 등)은 동일한 상태에서 시험을 하였으며, 각 시험체는 합성보의 구조용 강재부분에 부착한 온도센서와 합성보 상부의 변위센서의 데이터로 내화구조 성능을 평가하였다.
도 6은 일반 합성보의 시험 후 사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합성보의 시험 후 사진이고, 도 8 및 도 9는 일반 합성보와 본 실시 예의 합성보의 내화구조 성능에 대한 비교시험을 수행한 결과이다.
시험규격에서 정한 바 대로 강재의 일정 위치의 열전대에서 3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3시간 화염 재하는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3조 제8호의 “내화구조의 성능 기준” 표에서와 같이 가장 높은 수준의 내화성능이므로 가장 극한 조건의 시험이다. 성능기준은 설치된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들의 평균 538도, 최대 649도 이하이어야 내화구조의 성능목표를 충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온도 그래프에 의하면, 내화피복을 하지 않은 일반 합성보는 30분 이내에 최대온도 기준을 초과하여 요구성능을 충족하지 못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합성보는 3시간 화재을 재하한 후에도 평균온도 129도, 최대온도 229도로서 기준에 비해 매우 낮은 온도를 기록하여 요구 내화성능을 충족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변위데이터 분석결과 본 실시 예의 합성보는 허용변형량과 변형률 규준을 충족하였고, 두 시험체를 비교했을 때 일반 합성보는 최대 처짐변위가 30.5mm였으나 동일 하중조건에서 본 실시예의 합성보는 비교군 대비 1/4 수준인 7.3mm 처짐이 발생하여 내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즉, 본 실시예의 마감구조를 갖는 강구조물은 내화법규에서 규정한 성능조건을 모두 충족하였고, 특히 동일 화재온도 및 역학적 하중조건 하에서의 일반 합성구조 대비 우수한 성능을 구현하였다. 내화성능 법규 기준을 충족하면서 기존의 내화피복 공법 대비 시공, 제작·가공이 용이하고 공기절감 및 공사비 절감 효과와 품질 일관성이 뚜렷하게 되어 강재를 이용한 구조시스템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합성보, 11: 콘크리트,
12: 강재, 20: 단열재,
21: 제1 단열재, 22: 제2 단열재,
30: 마감패널, 31: 내장패널,
32: 내화시트, 40: 스페이서,
50: 제1 챔버, 60: 결합부,
70: 연결부재, 80: 제2 챔버,
90: 제3 마감패널.

Claims (12)

  1. 강재 외측에 설치된 강구조물의 마감구조에 있어서,
    상기 강재 외측을 감싸도록 구성된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내측면에 팽창성 내화시트가 마련된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는 상기 내화시트의 열팽창을 허용하는 제1 챔버가 마련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제1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도록 단차진 결합부를 포함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무기 단열재를 포함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블랭킷 형태로 마련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도금강판을 포함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중첩 배치된 제1 단열재와 제2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열재와 상기 제2 단열재는 서로 다른 종류의 단열재로 구성된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제1 마감패널과 제2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감패널과 상기 제2 마감패널은 적어도 두 면이 겹쳐진 형태로 구성되는 결합부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은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제1 마감패널과 제2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마감패널의 단부에 벤딩된 제1 벤딩부와, 상기 제2 마감패널의 단부에 벤딩된 제2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부는 상기 단열재를 향해 벤딩된 제1 면과, 상기 단열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1 면의 단부에서 벤딩된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 면의 단부에서 벤딩된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벤딩부는 상기 제3 면에 밀착되는 제4 면과, 상기 제2 면과 겹치도록 상기 제4 면의 단부에서 벤딩된 제5 면을 포함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외면에 결합되며, 체결부재를 매개로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강재 사이에 제2 챔버를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열이 가해지는 경우 팽창하는 제2 팽창성 내화시트가 마련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 외측에 결합되며, 외측면에 제3 팽창성 내화시트가 마련된 제3 마감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감패널과 상기 단열재 사이에는 상기 제3 팽창성 내화시트의 열팽창을 허용하는 제2 챔버가 마련되는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마감구조를 갖는 합성보.
KR1020220121928A 2022-09-26 2022-09-26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 KR20240042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928A KR20240042976A (ko) 2022-09-26 2022-09-26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928A KR20240042976A (ko) 2022-09-26 2022-09-26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976A true KR20240042976A (ko) 2024-04-02

Family

ID=9071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928A KR20240042976A (ko) 2022-09-26 2022-09-26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29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03B1 (ko) 2009-05-15 2010-01-12 주식회사 성현케미칼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03B1 (ko) 2009-05-15 2010-01-12 주식회사 성현케미칼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nalan et al. Experimental study of load bearing cold-formed steel wall systems under fire conditions
US6074714A (en) Fire and heat protection wrap for structural steel columns, beams and open web joists
US20040103610A1 (en) Multipurpose composite wallboard panel
US11339567B2 (en) Fire-retardant panel with frame
Sędłak et al. Fire resistance of aluminium‐glazed partitions depending on their height
Lugaresi et al. Review of the mechanical failure of non-combustible facade systems in fire
KR20240042976A (ko) 강구조물의 마감구조 및 이를 갖는 합성보
JP6758137B2 (ja) 耐火隔壁
CN109386066B (zh) 钢柱装配式装修的防火连接构造
Šejna et al. The partial fire protection of steel members: a comparative study
RU2270311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дверь и ригель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двери
CN210827931U (zh) 一种防火墙体及变电站
KR101927987B1 (ko) 철골 조립식 중공벽 패널구조
JP7174514B2 (ja) 木質耐火部材
Sultan Fire resistance of steel c-joist floor assemblies
JP2003293475A (ja) 熱遮蔽性の高いボルト接合部構造
JP2019015049A (ja) 耐火被覆構造
JPS6212733Y2 (ko)
CN216513561U (zh) 一种耐高温的混凝土钢纤维
CN213509077U (zh) 一种轻钢龙骨隔墙与钢梁连接结构
CN219753480U (zh) 一种新型环保防火型钢结构
CN219118447U (zh) 一种防火型建筑钢结构
CN220928361U (zh) 一种陶板干挂结构
CN217352870U (zh) 一种建筑合金钢结构
CN216340585U (zh) 一种组合式钢结构仓库面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