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586A -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586A
KR20240042586A KR1020237043228A KR20237043228A KR20240042586A KR 20240042586 A KR20240042586 A KR 20240042586A KR 1020237043228 A KR1020237043228 A KR 1020237043228A KR 20237043228 A KR20237043228 A KR 20237043228A KR 20240042586 A KR20240042586 A KR 20240042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nit
offset amount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쭈오민 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IoT-NTN 시스템에서의 경우, 단말 기기가 제어 채널 후보의 시간대, 즉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을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규정하는 것을 통해, 신호 수신 및 신호 송신 능력을 동시에 구비하지 않은 단말 기기의 정상적인 작업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전력을 절약하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 비지상 통신 네트워크(Internet of Things NTN, IoT-NTN) 시스템에서의 단말 기기의 경우, 동시에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모듈을 사용하고 IoT-NTN 시스템에서 송수신을 수행하는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단말 기기는 신호 수신 및 신호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능력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NTN 시스템에서의 전파 지연이 비교적 크므로, 즉 TA값의 범위도 비교적 크므로, 지상 네트워크(TN) 시스템에서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관계는 IoT-NTN 시스템에서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관계에 적용되지 않음으로써, IoT-NTN 시스템에서의 단말 기기로 하여금 제어 채널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도록 하므로, 통신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IoT-NTN 시스템에서의 단말 기기로 하여금 제어 채널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본 분야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IoT-NTN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 수신 및 신호 송신 능력을 구비하지 않은 단말 기기의 정상적인 작업을 보장함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력을 절약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제1 공유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냄 - 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냄 - 를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제1 측면, 제2 측면 또는 이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제2 측면 또는 이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유닛은 정보 처리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송신 유닛 및 수신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유닛은 송신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 유닛은 수신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송신 유닛은 송신기 또는 에미터일 수 있고, 상기 수신 유닛은 수신기 또는 리시버일 수 있다. 또 예컨대, 상기 단말 기기는 통신 칩이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통신 칩의 입력 회로 또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통신 칩의 출력 회로 또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제2 측면, 제4 측면 또는 일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2 측면, 제4 측면 또는 일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유닛은 정보 처리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송신 유닛 및 수신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 유닛은 송신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 유닛은 수신과 관련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송신 유닛은 송신기 또는 에미터일 수 있고, 상기 수신 유닛은 수신기 또는 리시버일 수 있다. 또 예컨대,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통신 칩이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통신 칩의 입력 회로 또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통신 칩의 출력 회로 또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상기 제1 측면, 제2 측면 또는 이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이고, 상기 메모리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이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기기는 송신기(에미터) 및 수신기(리시버)를 더 포함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상기 제2 측면, 제4 측면 또는 이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이고, 상기 메모리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이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와 함께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상기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송신기(에미터) 및 수신기(리시버)를 더 포함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에서의 어느 하나의 측면 또는 이들의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칩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칩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상기 칩이 장착되어 있는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제 제4 측면에서의 어느 하나의 측면 또는 이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에서의 어느 하나의 측면 또는 이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1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에서의 어느 하나의 측면 또는 이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2 측면에 있어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에서의 어느 하나의 측면 또는 이들의 각 구현 방식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기술 방안에 기반하여, IoT-NTN 시스템에서의 경우, 단말 기기가 제어 채널 후보의 시간대, 즉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을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규정하는 것을 통해, 신호 수신 및 신호 송신 능력을 동시에 구비하지 않은 단말 기기의 정상적인 작업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전력을 절약하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시스템 프레임워크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투명 페이로드 위성 및 재생 페이로드 위성에 기반한 NTN 시나리오의 예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6 및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IoT-NTN 시스템의 타이밍 관계의 예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NB-IoT 시스템에서의 제어 채널 모니터링 방식의 예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방법의 예시적 인터랙션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시간 유닛 및 제2 시간 유닛의 예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방법의 다른 하나의 예시적 인터랙션도이다.
도 17 및 도 18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시간 유닛 및 제2 시간 유닛의 다른 하나의 예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통신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칩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에서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방안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하나의 응용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단말 기기(110) 및 네트워크 기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20)는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 기기(110)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 기기(110)와 네트워크 기기(120) 사이에는 멀티 서비스 전송이 지원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만 통신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시스템,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시스템, 증강된 머신 타입 통신(enhanced Machine-Type Communications, eMTC) 시스템, 5G 통신 시스템(뉴 라디오(New Radio, NR) 통신 시스템으로도 지칭됨), 또는 미래의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에서, 네트워크 기기(120)는 단말 기기(110)와 통신할 수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특정된 지리 영역을 위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단말 기기(110)(예컨대 UE)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120)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 eNB 또는 eNodeB)일 수 있고, 또는 차세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NG RAN) 기기일 수 있으며, 또는 NR 시스템에서의 기지국(gNB)일 수 있고,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에서의 무선 컨드롤러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기기(120)는 중계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또는 미래 진화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에서의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다.
단말 기기(110)는 임의의 단말 기기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기기(120) 또는 다른 단말 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단말 기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단말 기기(110)는 액세스 단말,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기기,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IoT 기기, 위성 핸드헬드 단말,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핸드헬드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기기 또는 미래 진화된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기기 등일 수 있다.
단말 기기(110)는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기지국과 통신하는 코어 네트워크 기기(1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130)는 5G 코어 네트워크 (5G Core, 5GC) 기기일 수 있으며, 예컨대,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일 수 있고, 또 예컨대,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일 수 있으며, 또 예컨대, 사용자 플레인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일 수 있고, 또 예컨대,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기기(130)는 LTE 네트워크의 패킷 코어 에볼루션 (Evolved Packet Core, EPC) 기기일 수도 있으며, 예컨대, 세션 관리 기능 + 코어 네트워크의 데이터 게이트웨이(Session Management Function + Core Packet Gateway, SMF+PGW-C) 기기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SMF+PGW-C는 SMF 및 PGW-C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진화 과정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기기는 다른 이름으로도 지칭될 수 있고, 또는 코어 네트워크의 기능을 분할하여 새로운 네트워크 엔티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각 기능 유닛 사이는 또한 차세대 네트워크(next generation,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을 구축하여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기기는 NR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와 에어 인터페이스 연결을 구축하여,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 및 제어 플레인 시그널링을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단말 기기는 NG 인터페이스 1(약칭으로 N1)을 통해 AMF와 제어 플레인 시그널링 연결을 구축할 수 있으며;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 예컨대 차세대 무선 액세스 기지국(gNB)은, NG 인터페이스 3(약칭으로 N3)을 통해 UPF와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는 NG 인터페이스 2(약칭으로 N2)를 통해 AMF와 제어 플레인 시그널링 연결을 구축할 수 있으며; UPF는 NG 인터페이스 4(약칭으로 N4)를 통해 SMF와 제어 플레인 시그널링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UPF는 NG 인터페이스 6(약칭으로 N6)을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와 사용자 플레인데이터를 인터랙션할 수 있으며; AMF는 NG 인터페이스 11(약칭으로 N11)을 통해 SMF와 제어 플레인 시그널링 연결을 구축할 수 있고; SMF는 NG 인터페이스 7(약칭으로 N7)을 통해 PCF와 제어 플레인 시그널링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기지국,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 기기 및 두 개의 단말 기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기지국 기기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개수의 단말 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3GPP는 비지상 통신 네트워크 기기(Non Terrestrial Network, NTN)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NTN은 일반적으로 위성 통신의 방식을 사용하여 지상 사용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상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에 비해, 위성 통신은 많은 독특한 장점을 구비한다. 먼저, 위성 통신은 사용자 지역의 한정을 받지 않으며, 예컨대 일반적인 육상 통신은 해양, 높은 산, 사막 등 통신 기기를 설치할 수 없는 영역 또는 인구가 적어 통신 커버리지를 수행하지 않은 영역을 커버할 수 없지만, 위성 통신의 경우, 하나의 위성으로만 비교적 큰 지상을 커버할 수 있고, 게다가 위성은 지구를 에돌아 궤도 운동할 수 있으므로, 이론적으로 지구 상의 모든 구석이 모두 위성 통신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위성 통신은 비교적 큰 사회적 가치가 있다. 위성 통신은 외딴 산간 지역, 가난하고 낙후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모두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커버될 수 있음으로써, 이러한 지역의 사람들로 하여금 선진적인 음성 통신 및 모바일 인터넷 기술을 누릴 수 있도록 하여, 선진 지역과의 정보 격차를 줄이고 이러한 지역의 발전을 촉진하는데 유리하다. 다음으로, 위성 통신 거리가 멀고, 통신 거리가 증가해도 통신 비용이 현저하게 증가되지 않으며; 마지막으로, 위성 통신의 안정성이 높고, 자연 재해의 한정을 받지 않는다.
NTN 기술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과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NTN 기술은 NR 시스템과 결합되어 NR-NTN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또 예컨대, NTN기술은 사물 인터넷 IoT 시스템과 결합되어 IoT-NTN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예로서, IoT-NTN 시스템은 NB-IoT-NTN 시스템 및 eMTC-NTN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른 하나의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1101) 및 위성(1102)을 포함하고, 단말 기기(1101)와 위성(1102) 사이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기기(1101)와 위성(1102) 사이에 형성된 네트워크는 NTN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에서, 위성(1102)은 기지국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단말 기기(1101)와 위성(1102) 사이는 직접 통신될 수 있다.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위성(1102)을 네트워크 기기로 지칭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1102)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기기(1102)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개수의 단말 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른 하나의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1201), 위성(1202) 및 기지국(1203)을 포함하고, 단말 기기(1201)와 위성(1202) 사이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위성(1202)와 기지국(1203) 사이는 통신될 수 있다. 단말 기기(1201), 위성(1202) 및 기지국(1203) 사이에 형성된 네트워크는 또한 NTN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에서, 위성(1202)은 기지국의 기능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고, 단말 기기(1201)와 기지국(1203) 사이의 통신은 위성(1202)을 통해 전송되어야 한다. 상기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기지국(1203)을 네트워크 기기로 지칭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복수 개의 네트워크 기기(1203)를 포함할 수 있고, 각 네트워크 기기(1203)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는 다른 개수의 단말 기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1203)는 도 1에서의 네트워크 기기(120)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위성(1102) 또는 위성(1202)은,
저궤도(Low-Earth Orbit, LEO) 위성, 중궤도(Medium-Earth Orbit, MEO) 위성, 정지궤도(Geostationary Earth Orbit, GEO) 위성, 고타원 궤도(High Elliptical Orbit, HEO) 위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성은 멀티 빔을 사용하여 지상을 커버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나의 위성은 수십 개 또는 수백 개의 빔을 형성하여 지상을 커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위성 빔은 직경이 수십 킬로미터 내지 수백 킬로미터인 지상 영역을 커버하여, 위성의 커버리지를 보장하고 전체 위성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로서, LEO의 높이 범위는 500km~1500km일 수 있고, 상응한 궤도 주기는 약 1.5 시간~2 시간일 수 있으며, 사용자 간의 단일 홉 통신의 신호 전파 지연은 일반적으로 20ms보다 작으로 수 있고, 최대 위성 가시 시간은 20 분일 수 있으며, LEO의 신호 전파 거리는 짧고 링크 손실이 적으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송신 전력 요구가 높지 않다. GEO의 궤도 높이는 35786km일 수 있고, 지구를 에도는 회전 주기는 24 시간일 수 있으며, 사용자 간의 단일 홉 통신의 신호 전파 지연은 일반적으로 250ms이다.
위성의 커버리지를 보장하고 전체 위성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위성은 멀티 빔을 사용하여 지상을 커버하며, 하나의 위성은 수십 개 심지어 수백 개의 빔을 형성하여 지상을 커버할 수 있으며; 하나의 위성 빔은 직경이 수십 킬로미터 내지 수백 킬로미터인 지상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 내지 도 3은 다만 예의 형태로 본 출원에 적용되는 시스템을 예시하였으며, 물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기된 방법은 또한 다른 시스템에 적영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에서의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본 문에서 흔히 서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에서의 용어 “및/또는”은, 다만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예컨대,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하거나, A 및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문에서의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기된 “지시”는 직접적인 지시일 수 있고, 간접적인 지시일 수도 있으며, 또한 연관 관계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A가 B를 지시하는 것은, B는 A를 통해 획득되는 것과 같이 A가 B를 직접 지시하는 것을 나타내며; A는 C를 지시하고, B는 C를 통해 획득될 수 있는 것과 같이 A가 B를 간접적으로 지시하는 것을 나태낼 수도 있으며; 또한 A와 B 사이에 연관 관계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용어 “대응”은 양자 사이에 직접적인 대응 관계 또는 간접적인 대응 관계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양자 사이에 연관 관계를 구비하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지시하는 것과 지시되는 것, 구성하는 것과 구성되는 것 등 관계일 수도 있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기된 “사전 정의” 또는“사전 정의된 규칙”은 기기(예컨대,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함)에 상응한 코드, 테이블 또는 다른 관련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방식을 저장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은 이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사잔 정의는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토콜"은 통신 분야의 표준 프로토콜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LTE 프로토콜, NR 프로토콜 및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관련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은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위성은 위성이 제공하는 기능으로부터 투명 페이로드(transparent payload) 및 재생 페이로드(regenerative payload)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투명 페이로드 위성의 경우, 무선 주파수 필터링, 주파수 전환 및 증폭의 기능만 제공하고, 신호의 투명한 전달만 제공하고, 전달되는 파형 신호는 변경되지 않는다. 재생 페이로드 위성의 경우, 무선 주파수 필터링, 주파수 전환 및 증폭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또한 복조/디코딩, 라우팅/전환, 인코딩/변조의 기능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기지국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구비한다.
NTN에서, 위성과 단말 사이의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투명 페이로드 위성 및 재생 페이로드 위성에 기반한 NTN 시나리오의 예시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페이로드 위성에 기반한 NTN 시나리오의 경우, 게이트웨이와 위성 사이는 피더 링크(Feeder link)를 통해 통신되고, 위성과 단말 사이는 서비스 링크(service link)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페이로드 위성에 기반한 NTN 시나리오의 경우, 위성과 위성 사이는 위성 간 링크(InterStar link)를 통해 통신될 수 있고, 게이트웨이와 위성 사이는 피더 링크(Feeder link)를 통해 통신될 수 있으며, 위성과 단말 사이는 서비스 링크(service link)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아래에서 IoT-NTN 시스템의 타이밍 관계를 설명한다.
육상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통신의 전파 지연은 일반적으로 1ms보다 작다. IoT-NTN 시스템에서, 단말 기기와 위성(또는 네트워크 기기) 사이의 통신 거리는 비교적 멀고, 신호 통신의 전파 지연이 매우 크며, 범위는 수십 밀리미터로부터 수백 밀리미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위성 궤도 높이와 위성 통신의 서비스 타입과 관련된다. 비교적 큰 전파 지연을 처리하기 위해, IoT-NTN 시스템의 타이밍 관계는 IoT 시스템(예컨대 eMTC 또는 NB-IoT)에 비해 증강되어야 한다.
IoT-NTN 시스템에서, IoT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UE는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할 경우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시스템에서의 전파 지연이 비교적 크므로, TA값의 범위도 비교적 크다. UE가 스케줄링되어 서브 프레임 n에서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UE는 왕복 전파 지연을 고려하여, 업 링크 전송 시 미리 전송함으로써, 신호가 네트워크 기기측에 도착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측에서 업 링크의 서브 프레임 n에 도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NTN 시스템에서의 타이밍 관계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두 개의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 1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측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 및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은 정렬된다. UE를 스케줄링하여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할 경우, 하나의 오프셋값 Koffset를 인입해야 하며, 상기 오프셋값 Koffset는 UE의 TA에 대응된다. 예컨대, 상기 오프셋값 Koffset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는 UE의 TA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경우, UE측의 왕복 지연은 UE의 TA에 따라 결정된다.
경우 2에 있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측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과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 사이에는 하나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타이밍 오프셋값이 존재한다. UE를 스케줄링하여 업 링크 전송을 수행할 경우, 하나의 오프셋값 Koffset를 인입해야 하며, 상기 오프셋값 Koffset는 UE의 TA에 대응된다. 예컨대, 상기 오프셋값 Koffset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는 UE의 TA에 대응되는 시간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경우, UE측의 왕복 지연은 UE의 TA 및 기지국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타이밍 오프셋값에 따라 결정된다.
본 출원의 방안을 이해하는데 편이하기 위해, 아래에서 NB-IoT 시스템에서의 제어 채널 모니터링 방식을 설명한다.
업 링크 그랜트와 업 링크 공유 채널 사이의 다운 링크 제어 채널 후보의 모니터링 방식은 아래와 같다.
선택적으로, UE 특정(UE-specific) 검색 공간의 경우, 단말 기기에 두 개의 HARQ 프로세스가 구성되면,
단말 기기가 수신한, 제1 업 링크 그랜트(예컨대 DCI 포맷 N0에 대응됨)를 캐리한 제1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서브 프레임 n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업 링크 그랜트에 대응(예컨대 NPUSCH 포맷 1에 대응됨)되는 제1 업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이 서브 프레임 n+k로부터 시작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서브 프레임 n+k-2로부터 서브 프레임 n+k-1 사이의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도 8에서 하나의 예를 제공하였다.
상기 단말 기기는 서브 프레임 n+k-2 이전에 제2 업 링크 그랜트(예컨대 DCI 포맷 N0에 대응됨)를 캐리한 제2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것을 소망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2 업 링크 그랜트에 대응(예컨대 NPUSCH 포맷 1에 대응됨)되는 제2 업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는 서브 프레임 n+k+255 이후에 있으며; 도 9에서 하나의 예를 제공하였다.
선택적으로, TDD의 경우, 상기 제1 업 링크 그랜트에 대응(예컨대 NPUSCH 포맷 1에 대응됨)되는 제1 업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서브 프레임 n+m에 위치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서브 프레임 n+k로부터 서브 프레임 n+m-1 사이의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도 10에서 하나의 예를 제공하였다.
그렇지 않은 경우,
단말 기기가 수신한, 제1 업 링크 그랜트(예컨대 DCI 포맷 N0에 대응됨)를 캐리한 제1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서브 프레임 n에 위치하거나, 수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 그랜트를 캐리한 제1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종료 위치가 서브 프레임 n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업 링크 그랜트 또는 상기 RAR 그랜트에 대응(예컨대 NPUSCH 포맷 1에 대응됨)되는 제1 업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이 서브 프레임 n+k로부터 시작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서브 프레임 n+1로부터 서브 프레임 n+k-1 사이의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도 11에서 하나의 예를 제공하였다.
선택적으로, TDD의 경우, 단말 기기가 수신한, 제1 업 링크 그랜트(예컨대 DCI 포맷 N0에 대응됨)를 캐리한 제1 다운 링크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서브 프레임 n에 위치하거나, 수신한,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 그랜트를 캐리한 제1 다운 링크 공유 채널의 종료 위치가 서브 프레임 n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업 링크 그랜트 또는 상기 RAR 그랜트에 대응(예컨대 NPUSCH 포맷 1에 대응됨)되는 제1 업 링크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서브 프레임 n+k에 위치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서브 프레임 n+1로부터 서브 프레임 n+k 사이의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다운 링크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도 12에서 하나의 예를 제공하였다.
또한, 보호 간격은 다운 링크 제어 채널 후보에 대한 모니터링에도 영향을 미친다.
선택적으로, 단말 기기에 두 개의 HARQ 프로세스가 구성되면,
단말 기기에 의한 제1 업 링크 채널(NPUSCH와 같은 업 링크 공유 채널) 송신의 종료 위치가 서브 프레임 n에 위치하고, FDD의 경우, 타입 B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Type B half-duplex guard periods)이 구성되면,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타입 B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에서 전송을 수신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FDD 시나리오에서의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Guard period for half-duplex FDD operation)의 경우, 타입 A 반 듀플렉스 FDD 동작의 경우, 단말 기기는 하나의 보호 간격을 구축하며, 즉, 상기 단말 기기는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이전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의 마지막 부분에서 수신하지 않는다. 타입 B 반 듀플렉스 FDD 동작의 경우, 단말 기기는 복수 개의 보호 간격을 구축하고, 각 보호 간격은 하나의 반 듀플렉스 보호 서브 프레임에 연관되며, 즉, 상기 단말 기기는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이전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하지 않고; 상기 단말 기기는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다음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하지 않는다.
사물 인터넷 비지상 통신 네트워크(Internet of Things NTN, IoT-NTN) 시스템에서의 단말 기기의 경우, 동시에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모듈을 사용하고 IoT-NTN 시스템에서 송수신을 수행하는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
GNSS 모듈은 단말 기기가 동기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예컨대, 단말 기기가 유휴 상태일 경우, 단말 기기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였거나 웨이크업 신호(Wake up signal, WUS)를 수신하면, 단말 기기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 후 또는 WUS를 수신한 후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수행해야 하고; 또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WUS의 수신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 기기는 시간 주파수 동기화를 미리 수행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단말 기기는 GNSS 모듈을 개시하여, GNSS 첫 번째 시간 포지셔닝(Time To First Fix, TTFF)을 완료하는 것과 같은 GNSS 위치 고정을 수행한 다음, GNSS 모듈로부터 IoT-NTN 시스템 작업 모듈로 스위칭하고, NTN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획득하는 방식을 통해 업 링크 동기화를 위한 서비스 위성의 이페머리스 정보(serving satellite ephemeris)를 획득해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단말 기기를 핫 개시할 경우, 한 회의 GNSS TTFF는 1 초가 필요하며, 즉 이전 회의 TTFF에 대응되는 GNSS 이페머리스 정보(ephemeris)가 4 시간 내에 획득된 것이면, 한 회의 GNSS TTFF는 1 초가 필요하며; 단말 기기를 윔 개시할 경우, 한 회의 GNSS TTFF에 소모된 지속 시간은 5 초보다 작으며, 즉 이전 회의 TTFF에 대응되는 GNSS 얼머낵 정보(Almanac)가 180 날 내에 획득된 것이면, 한 회의 GNSS TTFF에 소모된 지속 시간은 5 초보다 작다.
또한, 단말 기기도 신호 수신 및 신호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능력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NTN 시스템에서의 전파 지연이 비교적 크므로, TA값의 범위도 비교적 크다.
따라서, 지상 네트워크(TN) 시스템에서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관계는 IoT-NTN 시스템에서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관계에 적용되지 않음으로써, IoT-NTN 시스템에서의 단말 기기로 하여금 제어 채널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도록 하므로, 단말 기기의 전력 소비가 증가되고, 통신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IoT-NTN 시스템에 있어서, 신호 수신 및 신호 송신 능력을 구비하지 않은 단말 기기의 정상적인 작업을 보장함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력을 절약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였다.
도 13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를 도시하였고, 상기 방법(200)은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가 인터랙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단말 기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 기기일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3은 다만 본 출원의 예일 뿐,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예컨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방법은 사이드 링크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즉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방법은 두 개의 단말 기기가 인터랙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신 단말과 송신 단말이 인터랙션하여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 단말은 상기 수신 단말에 도 13에 도시된 제1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다시 말해,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사이드 링크 제어 채널이다. 아래에서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방법(200)을 실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아래의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에 있어서, 제1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된다.
단계 S220에 있어서,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 기기가 수신한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는 시간 유닛 n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는 시간 유닛 n+k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제어 채널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는 시간 유닛 n+m에 위치한다.
상기 기술 방안에 기반하여, IoT-NTN 시스템에서의 경우, 단말 기기가 제어 채널 후보의 시간대, 즉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을 모니터링하지 않도록 규정하는 것을 통해, 신호 수신 및 신호 송신 능력을 동시에 구비하지 않은 단말 기기의 정상적인 작업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전력을 절약하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TA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3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한 증강된 후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업 링크 공유 채널 전송의 전송 타임 시퀀스의 경우, 단말 기기가 수신한 업 링크 그랜트의 종료 위치가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에 위치하면, 단말 기기는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2+O3에 대응되는 업 링크 시간 유닛에서 상기 업 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 링크 공유 채널을 전송하기 시작해야 하며, 여기서, K2는 TN 네트워크에서 업 링크 그랜트가 업 링크 공유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업 링크 전송 타임 시퀀스이다. 다시 말해,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2+O3과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는 동일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된다. 여기서,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유닛이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유닛이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거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시간 유닛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TA의 영향(including the effect of the timing advance)을 고려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시간 유닛이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거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시간 유닛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TA의 영향을 고려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유닛이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유닛이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거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시간 유닛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assuming the timing advance is 0, or without the effect of the timing advance)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시간 유닛이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거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시간 유닛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되며,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에 기반하여 결정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의해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TA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가 정렬되면, 상기 제2 오프셋양은 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은 제1 업 링크 시간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업 링크 시간 유닛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이 제1 업 링크 시간 유닛인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1 업 링크 시간 유닛이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첫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두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도 있다. 즉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시작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첫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일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두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빠른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비교적 빠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TA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3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한 증강된 후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업 링크 공유 채널 전송의 전송 타임 시퀀스의 경우, 단말 기기가 수신한 업 링크 그랜트의 종료 위치가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에 위치하면, 단말 기기는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2+O3에 대응되는 업 링크 시간 유닛에서 상기 업 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 링크 공유 채널을 전송하기 시작해야 하며, 여기서, K2는 TN 네트워크에서 업 링크 그랜트가 업 링크 공유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업 링크 전송 타임 시퀀스이다. 다시 말해,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2+O3과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는 동일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된다. 여기서,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되며,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TA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가 정렬되면, 상기 제2 오프셋양은 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은 제2 업 링크 시간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2 업 링크 시간 유닛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이 제2 업 링크 시간 유닛인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2 업 링크 시간 유닛이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첫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두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도 있다. 즉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종료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첫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일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두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늦은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비교적 늦은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2, n+k-2-O1 및 n+k-2-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1, n+k-1+O2, n+k 및 n+k+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 n+k-O1 및 n+k-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1, n+m-1+O2, n+m 및 n+m+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1, n+1-O1및 n+1-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1, n+k-1+O2, n+k 및 n+k+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1, n+1-O1 및 n+1-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1, n+m-1+O2, n+m 및 n+m+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 이전의 시간 유닛은 제2 공유 채널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2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2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는 제3 시간 유닛 이후에 있고, 상기 제3 시간 유닛과 상기 제1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길이는 제1 기설정된 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설정된 값은 P+2이다.
선택적으로, P는 255이고, 또는 P는 255보다 작은 정수값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단말 기기가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성 정보는,
시스템 메시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캐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오프셋값의 단위는,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심볼, 프레임 등과 같은 시간 유닛의 단위일 수 있고; 또는, 제1 오프셋값의 단위는, 밀리초, 마이크로초, 초 등과 같은 절대값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오프셋값의 단위는,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심볼, 프레임 등과 같은 시간 유닛의 단위일 수 있고; 또는, 제1 오프셋값의 단위는, 밀리초, 마이크로초, 초 등과 같은 절대값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오프셋값의 단위는,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심볼, 프레임 등과 같은 시간 유닛의 단위일 수 있고; 또는, 제1 오프셋값의 단위는, 밀리초, 마이크로초, 초 등과 같은 절대값일 수도 있다.
아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합하여 상기 방법(200)을 설명한다.
실시예 1에 있어서,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시간 유닛 및 제2 시간 유닛의 예이다.
도 14에 도시된 예 1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k-2이다. 도 14에 도시된 예 2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k-O1-2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예 3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k-O3-2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예 1 또는 예 3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m이다. 도 14에 도시된 예 2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m이며; 또는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제2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m-O1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예로서, O1은 6 개의 시간 유닛이고, O3은 7 개의 시간 유닛이지만,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2에 있어서,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시간 유닛 및 제2 시간 유닛의 예이다.
도 15에 도시된 예 1, 예 2 및 예 4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제1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k-2이며; 또는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k-O1-2이다. 도 15에 도시된 예 3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k-O3-2이다.
도 15에 도시된 예 1 및 예 3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m이다. 도 15에 도시된 예 2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m이며; 또는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m-O1이다. 도 15에 도시된 예 4에서와 같이,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n+m+O2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예로서, O1은 6 개의 시간 유닛이고, O3은 7 개의 시간 유닛이며, O2는 4 개의 시간 유닛이지만,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서 도 13 내지 도 15를 결합하여, 단말 기기의 관점으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아래에서 도 13을 결합하여, 네트워크 기기의 각도로부터 각각 본 출원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200)은 아래의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에 있어서, 제1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된다.
단계 S230에 있어서,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200)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방법(200)에서의 인터랙션 단계에 대해, 네트워크 기기측은 단말 기기측의 상응한 단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300)의 예시적 흐름도를 도시하였고, 상기 방법(300)은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가 인터랙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단말 기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 기기일 수 있고, 도 16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16은 다만 본 출원의 예일 뿐,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예컨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방법은 사이드 링크 통신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즉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방법은 두 개의 단말 기기가 인터랙션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수신 단말 및 송신 단말이 인터랙션하여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송신 단말은 상기 수신 단말에 도 16에 도시된 제1 제어 채널을 송신할 수 있고, 다시 말해,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사이드 링크 제어 채널이다. 아래에서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방법(300)을 실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출원의 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00)은 아래의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 있어서, 제1 공유 채널을 송신한다.
단계 S320에 있어서,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 처한 것; 및 상기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이 구성된 타입 B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을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TA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3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한 증강된 후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업 링크 공유 채널 전송의 전송 타임 시퀀스의 경우, 단말 기기가 수신한 업 링크 그랜트의 종료 위치가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에 위치하면, 단말 기기는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2+O3에 대응되는 업 링크 시간 유닛에서 상기 업 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기 시작해야 하며, 여기서, K2는 TN 네트워크에서 업 링크 그랜트가 업 링크 공유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업 링크 전송 타임 시퀀스이다. 다시 말해,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2+O3과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는 동일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된다. 여기서,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유닛이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유닛이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거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시간 유닛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TA의 영향(including the effect of the timing advance)을 고려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시간 유닛이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거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시간 유닛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TA의 영향을 고려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유닛이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 유닛이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거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시간 유닛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assuming the timing advance is 0, or without the effect of the timing advance)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시간 유닛이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거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시간 유닛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시간 유닛이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되며,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의해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TA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가 정렬되면, 상기 제2 오프셋양은 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은 제1 업 링크 시간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업 링크 시간 유닛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이 제1 업 링크 시간 유닛인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제1 업 링크 시간 유닛이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첫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두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도 있다. 즉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시작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서의 첫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일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두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빠른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비교적 빠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TA값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3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한 증강된 후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업 링크 공유 채널 전송의 전송 타임 시퀀스의 경우, 단말 기기가 수신한 업 링크 그랜트의 종료 위치가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에 위치하면, 단말 기기는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2+O3에 대응되는 업 링크 시간 유닛에서 상기 업 링크 그랜트에 의해 스케줄링된 업 링크 공유 채널을 송신하기 시작해야 하며, 여기서, K2는 TN 네트워크에서 업 링크 그랜트가 업 링크 공유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업 링크 전송 타임 시퀀스이다. 다시 말해,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2+O3과 다운 링크 시간 유닛 n+k는 동일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된다. 여기서,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되며,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업 링크 시간 유닛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TA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구성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가 정렬되면, 상기 제2 오프셋양은 0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응되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결정할 경우 TA가 0인 것 또는 TA의 영향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은 제2 업 링크 시간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2 업 링크 시간 유닛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는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이 제2 업 링크 시간 유닛인 것을 예로 들면, 상기 제2 업 링크 시간 유닛이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서의 첫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두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될 수도 있다. 즉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종료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서의 첫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일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의 두 번째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늦은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비교적 뒷쪽의 다운 링크 시간 유닛에 대응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1, s+1-O1 및 s+1-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 s+1, s+O2 및 s+1+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300)은,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실시예 3에 있어서,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시간 유닛 및 제2 시간 유닛의 예이다.
도 17에서 도시된 예 1 내지 예 4에서와 같이,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s+1이다. 도 17에서 도시된 예 2에서와 같이,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1이다. 도 17에서 도시된 예 3에서와 같이,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1이다. 도 17에서 도시된 예 4에서와 같이,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예로서, O1은 6 개의 시간 유닛이지만,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4에 있어서,
도 1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제1 시간 유닛 및 제2 시간 유닛의 다른 하나의 예이다.
도 18에 도시된 예 1 내지 예 4에서와 같이,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시간 유닛 s+1이다. 도 18에 도시된 예 2에서와 같이,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1이다. 도 18에 도시된 예 3에서와 같이,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이다. 도 18에 도시된 예 4에서와 같이,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O2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예로서, O1은 6 개의 시간 유닛이고, O2는 4 개의 시간 유닛이지만, 본 출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에서 도 16 내지 도 18을 결합하여, 단말 기기의 관점으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아래에서 도 18을 결합하여, 네트워크 기기의 각도로부터 각각 본 출원에서 제공한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300)은 아래의 일부 또는 전부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 있어서, 제1 공유 채널을 수신한다.
단계 S330에 있어서,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 처한 것; 및 상기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이 구성된 타입 B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을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300)은 또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방법(300)에서의 인터랙션 단계에 대해, 네트워크 기기측은 단말 기기측의 상응한 단계를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위에서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의 구체적인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기술 방안에 대해 여러 가지 간단한 변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단한 변형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예컨대, 상기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된 각 구체적인 기술적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방식을 통해 조합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 출원은 다양한 가능한 조합 방식에 대해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 예컨대, 본 출원의 다양한 상이한 실시 형태 사이도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사상을 위배하지 않으면, 이는 마찬가지로 본 출원에서 개시된 내용으로 간주해야 한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다양한 방법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으며,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 및 내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해 임의의 한정을 구성해서는 안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용어 “다운 링크” 및 “업 링크”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전송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다운 링크”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전송 방향이 스테이션으로부터 셀의 사용자 기기에 송신되는 제1 방향인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업 링크”는 신호 또는 데이터의 전송 방향이 셀의 사용자 기기로부터 스테이션에 송신되는 제2 방향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예컨대, “다운 링크 신호”는 상기 신호의 전송 방향이 제1 방향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용어 “및/또는”은, 다만 연관 대상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A 및/또는 B는, A가 단독적으로 존재하거나, A 및 B가 동시에 존재하거나, B가 단독적으로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문에서의 문자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연관 대상이 “또는” 관계임을 나타낸다.
위에서 도 1 내지 도 18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고, 아래에서 도 19 내지 도 22를 결합하여,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4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단말 기기(4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200)을 실행하는 상응한 주체에 대응될 수 있고, 단말 기기(400)에서의 각 유닛의 전술된 것과,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3에서의 각 방법에서의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400)는,
제1 제어 채널을 수신한기 위한 통신 유닛(410) -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됨 - ; 및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기 위한 처리 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빠른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늦은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한 증강된 후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가 정렬되면, 상기 제2 오프셋양은 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2, n+k-2-O1 및 n+k-2-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1, n+k-1+O2, n+k 및 n+k+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 n+k-O1 및 n+k-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1, n+m-1+O2, n+m 및 n+m+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1, n+1-O1 및 n+1-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1, n+k-1+O2, n+k 및 n+k+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1, n+1-O1 및 n+1-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1, n+m-1+O2, n+m 및 n+m+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 이전의 시간 유닛은 제2 공유 채널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2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기 제2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는 제3 시간 유닛 이후에 있고, 상기 제3 시간 유닛과 상기 제1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길이는 제1 기설정된 값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설정된 값은 P+2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P는 255이고, 또는 P는 255보다 작은 정수값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유닛(410)은 또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단말 기기(4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300)을 실행하는 상응한 주체에 대응될 수 있고, 단말 기기(400)에서의 각 유닛의 전술된 것과,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6에서의 각 방법에서의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기기(400)는,
제1 공유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410); 및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 처한 것; 및 상기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이 구성된 타입 B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을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빠른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늦은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한 증강된 후의 오프셋양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가 정렬되면, 상기 제2 오프셋양은 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1, s+1-O1 및 s+1-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 s+1, s+O2 및 s+1+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여기서,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유닛(410)은 또한,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5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5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200)을 실행하는 상응한 주체에 대응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500)에서의 각 유닛의 전술된 것과,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3에서의 각 방법에서의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는,
제1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510) -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됨 - ; 및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기 위한 처리 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유닛(510)은 또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네트워크 기기(5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300)을 실행하는 상응한 주체에 대응될 수 있고, 네트워크 기기(500)에서의 각 유닛의 전술된 것과, 다른 동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6에서의 각 방법에서의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기기(500)는,
제1 공유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510); 및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기기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 처한 것; 및 상기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이 구성된 타입 B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을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유닛(510)은 또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다.
위에서 도면을 결합하여 기능 모듈의 각도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기기를 설명하였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기능 모듈은 하드웨어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및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완료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어 직접 반영되거나,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 및 완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서의 정보를 판독하고,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의 단계를 완료한다.
예컨대, 위에서 언급된 처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은 각각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기기(6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기기(600)는 프로세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600)는 또한 메모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62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명령어 등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자일 수 있고, 프로세서(6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600)는 또한 송수신기(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상기 송수신기(630)를 제어하여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다른 기기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630)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630)는 또한 추가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테나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통신 기기(600)에서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여기서,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이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기기(400)에 대응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200)을 실행하는 상응한 주체에 대응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고, 상기 통신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기기(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통신 기기(500)에 대응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200)을 실행하는 상응한 주체에 대응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칩을 더 제공한다.
예컨대, 칩은, 신호의 처리 능력을 구비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할 수 있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상기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벌 칩, 시스템 칩, 칩시스 템 또는 시스템 온 칩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은 다양한 통신 기기에 적용되어, 상기 칩이 장착된 통신 기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칩(7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칩(700)은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칩(700)은 또한 메모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메모리(720)는 지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 명령어 등을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720)는 프로세서(710)와 독립적인 하나의 독립적인 소자일 수 있고, 프로세서(71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칩(700)은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제어하여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칩(700)은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710)는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제어하여 다른 기기 또는 칩과 통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른 기기 또는 칩에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칩(70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칩(700)에서의 각 컴포넌트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여기서, 버스 시스템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이외에, 전원 버스, 제어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더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프로세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하거나 실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결합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되는 것으로 집적 반영될 수 있고,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 및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본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서의 정보를 판독하고,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위에서 언급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적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증강형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식 연결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메모리 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와 같은 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문에서 설명된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다른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어는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휴대용 전자 기기로 하여금 방법(200) 또는 방법(300)에서의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방법(200) 또는 방법(300)에서의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작동될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 모바일 단말/단말 기기에 의해 구현되는 상응한 프로세를 실행하도록 하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언급된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여,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문에서의 용어 “시스템” 등은 “네트워크 관리 아키텍처”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만 특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인 “한 가지”, “상기 ”는 본문이 다른 의미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문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는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실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상기 기술 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반영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 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모바일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분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편의와 간결함을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작업 과정은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여기서 더이상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몇 개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된 장치 실시예에서의 유닛 또는 모듈 또는 컴포넌트의 분할은, 다만 논리적 기능의 분할이고, 실제로 구현될 경우 다른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복수 개의 유닛 또는 모듈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일부 유닛 또는 모듈 또는 컴포넌트는 무시되거나,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예컨대, 상기 분리/디스플레이 부재로 설명된 유닛/모듈/컴포넌트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모듈/컴포넌트를 선택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명해야 할 것은, 위에서 나타내거나 논의된 상호간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되며,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 기계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다만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개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화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77)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1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됨 - ; 및
    상기 단말 기기가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빠른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늦은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한 증강된 후의 오프셋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4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가 정렬되면, 상기 제2 오프셋양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2, n+k-2-O1 및 n+k-2-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5.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1, n+k-1+O2 및 n+k, n+k+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 n+k-O1 및 n+k-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1, n+m-1+O2, n+m 및 n+m+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8.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1, n+1-O1 및 n+1-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1, n+k-1+O2, n+k 및 n+k+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0.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1, n+1-O1 및 n+1-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1.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1, n+m-1+O2, n+m 및 n+m+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 이전의 시간 유닛은 제2 공유 채널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제2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되지 않으며;
    상기 제2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는 제3 시간 유닛 이후이고, 상기 제3 시간 유닛과 상기 제1 시간 유닛 사이의 시간 길이는 제1 기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설정된 값은 P+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P는 255이고, 또는 P는 255보다 작은 정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6.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됨 - ;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에 하나의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가 구성된 경우,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k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나리오에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m에 따라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6.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기기가 제1 공유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기기가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 처한 것; 및 상기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이 구성된 타입 B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을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9.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0.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1.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2. 제46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시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빠른 제1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4. 제46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1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상기 제3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5. 제46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6. 제46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 및 제2 오프셋양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7. 제46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는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 기반한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8. 제46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에는 상기 s에 기반하여 결정된 시간 유닛과 전부 중첩되거나 일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 존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상기 제2 시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은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이거나 가장 늦은 제2 다운 링크 시간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0. 제48항 또는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에 대한 증강된 후의 오프셋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1. 제50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와 업 링크 타임 시퀀스가 정렬되면, 상기 제2 오프셋양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2. 제46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1, s+1-O1 및 s+1-O3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1은 제1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O3은 제3 오프셋양을 나타내며, 상기 제1 오프셋양은 상기 단말 기기의 업 링크 타임 시퀀스와 다운 링크 타임 시퀀스 사이의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3 오프셋양은 상기 제1 오프셋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3. 제46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 s+1, s+O2 및 s+1+O2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O2는 제2 오프셋양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오프셋양은 네트워크 기기를 통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4. 제46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5.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공유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시나리오에 처한 것; 및 상기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이 구성된 타입 B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을 포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7.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구성 정보는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제1 오프셋양, 제2 오프셋양 및 제3 오프셋양 중의 적어도 하나와, s에 따라 결정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8. 단말 기기로서,
    제1 제어 채널을 수신한기 위한 통신 유닛 -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됨 - ; 및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기 위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69. 네트워크 기기로서,
    제1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 - 상기 제1 제어 채널은 제1 공유 채널에 대응됨 - ; 및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기 위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n, n+k 및 n+m 중의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n은 상기 제1 제어 채널의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고, n+k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시작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며, n+m은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70. 단말 기기로서,
    제1 공유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 및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유닛 -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1. 네트워크 기기로서,
    제1 공유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 및
    반 듀플렉스 보호 간격 내 또는 제1 시간 유닛으로부터 제2 시간 유닛 사이의 임의의 시간 유닛에서, 제어 채널 후보를 송신하지 않는 것 및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유닛 - 상기 제1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고, 상기 제2 시간 유닛은 s에 따라 결정된 것이며, s는 상기 제1 공유 채널의 전송 종료 위치가 위치한 시간 유닛을 나타냄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72. 단말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또는 제46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73. 네트워크 기기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제3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또는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74. 칩으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작동하여, 상기 칩이 장착된 기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제3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제46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또는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칩.
  75.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제3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제46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또는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76.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제3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제46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또는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7.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제36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제46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 또는 제6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7043228A 2021-08-06 2021-08-06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40042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1363 WO2023010586A1 (zh) 2021-08-06 2021-08-06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586A true KR20240042586A (ko) 2024-04-02

Family

ID=8515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228A KR20240042586A (ko) 2021-08-06 2021-08-06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21762A1 (ko)
EP (1) EP4340494A4 (ko)
KR (1) KR20240042586A (ko)
CN (1) CN117280809A (ko)
WO (1) WO20230105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2726A1 (zh) * 2019-09-30 2021-04-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WO2021066711A1 (en) * 2019-10-03 2021-04-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network node, user equipment (ue) and methods perform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80809A (zh) 2023-12-22
EP4340494A1 (en) 2024-03-20
US20240121762A1 (en) 2024-04-11
EP4340494A4 (en) 2024-04-24
WO2023010586A1 (zh)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32561A (zh) 资源配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40031965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CN115802476A (zh) 一种ta确定方法及装置、终端设备
EP4199625A1 (en) Channe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240042586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CN117044324A (zh) 一种随机接入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859407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189493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20240031964A1 (en) Adjustment method and determination method for transmission timing, and terminal device
WO2024092649A1 (zh) 通信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芯片、产品及程序
WO2023077384A1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2236965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3077456A1 (zh) 随机接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EP4319246A1 (en)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403068A1 (en) Method for time-domain parameter determin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23050401A1 (zh) 无线通信方法和设备
WO2023230844A1 (zh) 小区参数的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250532A (zh) 一种系统消息接收及发送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
CN117501792A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5176496A (zh) 一种波束管理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51679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7981398A (zh) 无线通信方法、第一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6326132A (zh) 无线通信的方法及装置
CN117678258A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7643108A (zh) 数据传输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