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306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306A
KR20240042306A KR1020220120847A KR20220120847A KR20240042306A KR 20240042306 A KR20240042306 A KR 20240042306A KR 1020220120847 A KR1020220120847 A KR 1020220120847A KR 20220120847 A KR20220120847 A KR 20220120847A KR 20240042306 A KR20240042306 A KR 20240042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door
air conditioner
humid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8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곽민석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306A/en
Publication of KR2024004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3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5Cost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9Calculation of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3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각 실내온도센서, 실내열교환기, 및 실내팬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 압축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팽창밸브를 포함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실내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연산된 노점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가 제어되고, 각 실내기의 실내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 별로, 구비되는 실내팬의 회전수, 및,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의 개도가 제어된다.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lurality of indoor units each including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n indoor fan, and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through a refrigerant pipe, and includes an outdoor heat exchanger, a compressor, and , an outdo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expansion valv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 dew point calculated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in a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is controlled, and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each indoor unit and the set temperatur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provided for each indoor unit, and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expansion valve. The opening degree is controlled.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와 습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ng method.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its operating method.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Air conditioners are install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by discharging hot and cold air into the room, controll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purifying the indoor air to creat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Generally,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composed of a heat exchanger and installed indoors, and an outdoor unit composed of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that supplies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by separating an indoor unit consisting of a heat exchanger and an outdoor unit consisting of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through a refrigerant pipe, and the refrigerant compressed from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The refrigerant heat-exchanged in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flows back into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Accordingly, the indoor unit discharges cold and hot air into the room through heat exchange using a refrigeran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하며,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냉기를 토출하거나 온기를 토출하여 냉방 또는 난방으로 운전하며 온도를 조절한다. As previously explained, the air conditioner circulates a refrigerant, and 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it discharges cold air or warm air to operate as cooling or heating and regulates the temperature.

또한, 여름철 등 습도가 높을 때에도 공기조화기가 사용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운전으로 습도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제습운전시, 실내기의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동작하고, 실외기의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동작하여 실내의 습기를 제거한다.Additionally, air conditioners are used even when humidity is high, such as during summer. Air conditioners control humidity through dehumidifying operation, which removes moisture from the air. Generally, during dehumidification operation, the heat exchanger of the indoor unit operates as a condenser, and the heat exchanger of the outdoor unit operates as an evaporator to remove indoor moisture.

선행문헌 일본등록특허 제5369577호는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절 시스템을 개시하고, 선행문헌 일본등록특허 제5817803호도 제습 기능을 지원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Prior document Japanese Patent No. 5369577 discloses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performs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operations, and prior document Japanese Patent No. 5817803 also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supporting a dehumidifying function.

최근에는 동일한 실외기에 복수개의 실내기를 연결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가 점차 증대되는 추세이다. 상술한 선행문헌들은 복수의 실내기가 다실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공조 환경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멀티형 공기조화기로 종래의 제습 운전 로직에 따라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면, 효율이 떨어지고, 소비전력을 절감시키기 어렵다.Recently, multi-type air conditioners that connect multiple indoor units to the same outdoor unit are gradually increasing. The above-described prior literature does not consider an air-conditioning environment in which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simultaneously controlled using a multi-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arranged and used in a tea room. Therefore, if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simultaneously controlled with a multi-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humidification operation logic, efficiency decreases and it is difficult to reduce power consumption.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 multi-type air conditioner that can simultaneously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본 개시의 또 다른 과제는, 과냉방 및 과제습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쾌적존에서 온도와 습도를 관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ask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prevent overcooling and overhumidification and manag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 comfort zone where users can feel comfortable.

본 개시의 또 다른 과제는,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면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ask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while simultaneously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본 개시의 또 다른 과제는, 각 실내기별로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각 실별 목표값을 효과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ask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effectively select a target value for each room to simultaneously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each indoor uni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각각 실내온도센서, 실내열교환기, 및 실내팬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 압축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팽창밸브를 포함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실내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연산된 노점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가 제어되고, 각 실내기의 실내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 별로, 구비되는 실내팬의 회전수, 및,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의 개도가 제어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each including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n indoor fan, and a refrigerant pipe. , an outdoor unit includ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a compressor,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expansion valv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in a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sensed by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In response to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is controll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provided for each indoor unit is controlled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each indoor unit and the set temperature. ,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expansion valve is controlled.

상기 압축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 중에서 가장 낮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연산된 노점온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The compressor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based on the lowest indoor temperature among the indoor temperatures sensed by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상기 압축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실내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습도에 기초하여 연산된 노점온도에 대응하여,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may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based on the target humidity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상기 압축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가장 높은 실내온도와 대응하는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회전수를 가변할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compressor may vary the rotation spee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indoor temperature.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각각 냉매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배관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노점온도에 대응하는 목표배관온도와 상기 배관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배관온도의 차이에 따라,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each further include a pip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compressor rotat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ip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dew point temperature and the pip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ipe temperature sensor. Numbers can be controlled.

상기 압축기는, 상기 목표배관온도와 상기 배관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배관온도 중 가장 높은 배관온도의 차이에 비례하도록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may be controll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ipe temperature and the highest pip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ipe temperature sensor.

상기 실외기는, 상기 가장 높은 배관온도가 가변되도록,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냉매배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may control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so that the highest pipe temperature is variable.

상기 실외기는, 상기 가장 높은 배관온도가 상기 노점온도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상기 노점온도보다 소정온도 낮은값을 상기 목표배관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may set the target pipe temperatur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so that the highest pipe temperature does not increase above the dew point temperature.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각각,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구비하는 실내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구비하는 실내팬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may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when th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when th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각각, 구비하는 실내팬의 회전수를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ed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상기 실외기는,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실내기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고,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실내기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outdoor unit may increase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corresponding to the indoor unit whos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may decrease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corresponding to the indoor unit whos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상기 실외기는, 목표과열도와 현재과열도의 차이에 따라 전자팽창밸브들의 총합개도를 결정하고, 실내기 별,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실내기 별 전자팽창밸브의 개도 변경량의 합이 상기 총합개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determines the total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superheating degree and the current superheating degree, and the sum of the opening degree changes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s for each indoor un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for each indoor unit. It can be controlled to achieve the total opening degree.

상기 실외기는, 실외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온도와 상기 실외열교환기 측 압력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팬을 압력추종제어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utdoor fan, and may perform pressure tracking control of the outdoor fan based on a target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and a pressure difference at the outdoor heat exchanger.

상기 실외기는, 상기 압축기를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습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팽창밸브를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팬을 상기 목표온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controls the compressor to follow the target humidity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and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is controlled to follow the target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The indoor unit operates the indoor fan. It can be controlled to follow the target temperature.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된 나머지 실내기들에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실외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When an input f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is received by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is transmit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remaining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It can be operated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최적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ulti-type air conditioner capable of simultaneously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be optimally controlled.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과냉방 및 과제습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쾌적존에서 온도와 습도를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overcooling and overhumidification can be prevented,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can be managed in a comfort zone where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면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while simultaneously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각 실내기별로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각 실별 목표값을 효과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lect a target value for each room to simultaneously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each indoor unit.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Meanwhile, various other effects will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2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연결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팽창밸브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팬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팬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Figure 3 is a simplified connec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type air conditioner.
4 is a simplified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iagram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compressor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iagram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electronic expansion val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7 is a diagram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outdoor fa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diagram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indoor fa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to 13 are diagram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can of course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도면에서는 본 개시를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and briefly expla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identical or extremely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imply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is specification, and do not give any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in and of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복수의 유닛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적어도 복수의 실내기(30)와 하나 이상의 실외기(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실내기외 연결된 리모컨(40), 공기조화기 내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제어기(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ir condition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lurality of units. The air condition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t least a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and one or more outdoor units 20.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40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a central controller 10 capable of controlling units within the air conditioner.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실내기들(31 내지 35), 실내기들(31 내지 35)에 연결되는 실외기들(21, 22), 실내기들(31 내지 35) 각각과 연결되는 리모컨(41 내지 4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복수의 실내기(31 내지 35) 및 실외기들(21, 22)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기(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indoor units 31 to 35, outdoor units 21 and 22 connected to the indoor units 31 to 35, and indoor units 31 to 35, respectively. It may include remote controls 41 to 45 connected to.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controller 10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indoor units 31 to 35 and outdoor units 21 and 22.

중앙제어기(10)는 복수의 실내기(31 내지 36) 및 복수의 실외기(21, 22)와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중앙제어기(10)는 복수의 실내기에 연결되어 실내기에 대한 운전 설정, 잠금 설정, 스케줄제어, 그룹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ler 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31 to 36 and a plurality of outdoor units 21 and 22 to monitor and control their operations. 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ler 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can perform operation settings, lock settings, schedule control, group control, etc. for the indoor units.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 가습장치 및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기 및 실외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can be any of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Additionally,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ventilator,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nd a heater, and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s of the indoor unit and outdoor unit.

실외기(21, 22)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s 21 and 22 include a compressor (not shown) that receives and compresses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that exchanges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outdoor air, and an accumulator that extracts gaseous refrigerant from the supplied refrigerant and supplies it to the compressor. (not shown) and a four-way valve (not shown) that selects the refrigerant flow path according to heating operation.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number of sensors, valves, and an oil recovery device.

실외기(21, 22)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1 내지 35)로 냉매를 공급한다.The outdoor units 21 and 22 operate the provided compressor and outdoor heat exchanger to compress or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according to settings and supply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s 31 to 35.

실외기(21, 22)는 중앙제어기(10) 또는 실내기(31 내지 35)의 요구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 된다.The outdoor units 21 and 22 are driven by the request of the central controller 10 or the indoor units 31 to 35, and as the cooling/heating capacity varies in response to the driven indoor unit, the number of operating outdoor units and the number of compressor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are changed. The number of operations is variable.

이때, 복수의 실외기(21, 22)가, 각각 연결된 실내기로 각각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실외기 및 실내기의 연결구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xplana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21 and 22 each supply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s connected to each other. Howeve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upply refrigerant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It may be possible.

실내기(31 내지 35)는 복수의 실외기(21, 2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31 내지 35)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 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The indoor units 31 to 35 ar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outdoor units 21 and 22, receive refrigerant, and discharge cold air into the room. The indoor units 31 to 35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an indoor unit fan (not shown),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through which supplied refrigerant expands, and a plurality of sensors (not shown).

이때, 실외기(21, 22) 및 실내기(31 내지 35)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외기 및 실내기는 중앙제어기(10)와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중앙제어기(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At this time, the outdoor units 21 and 22 and the indoor units 31 to 35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each other, and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ler 10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to be controlled by the central controller 10. It operates accordingly.

리모컨(41 내지 45)은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에 하나의 리모컨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 입력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lers 41 to 45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can input a user's control command to the indoor unit and receive and display status information of the indoor unit.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communicates wired or wirelessly depending on the connection type with the indoor unit. In some cases, one remote control is connected to multiple indoor units and the settings of the multiple indoor units can be changed through one remote control input.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리모컨(41 내지 45)은 내부에 실내온도 등을 감지하는 실내온도센서 등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s 41 to 45 may include various sensors inside them, such as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indoor temperature.

도 2는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연결 구성도이다. 도 3은 하나의 실외기가 4개의 실내기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는 예를 냉동 사이클로 간략화하여 도시한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and Figure 3 is a simplified connec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a multi-type air conditioner. Figure 3 shows an example in which one outdoor unit is connected to four indoor units through a refrigerant pipe, simplified to a refrigeration cycle.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공기조화기(50)는, 크게 실내기(30)와 실외기(20)로 구분된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the air conditioner 50 is largely divided into an indoor unit 30 and an outdoor unit 20.

실내기(30)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열교환기(108)와, 실내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09a)과 실내팬(109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9b)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109) 등을 포함한다.The indoor unit 30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108 that is placed indoors and performs a cooling/heating function, an indoor fan 109a that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08 to promote heat dissipation of the refrigerant, and an indoor fan ( It includes an indoor blower 109 consisting of an electric motor 109b that rotates 109a).

실내기(30)에는 실내열교환기(108)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2)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indoor heat exchanger 108 may b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30. The compressor 102 may be at least one of an inverter compressor and a constant speed compressor.

또한, 공기조화기(5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펌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air conditioner 50 may be configured as an air conditioner that cools the room, or 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heat pump that cools or heats the room.

실외기(2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와,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열교환기(104)와, 실외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전동기(105b)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105)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106)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한다. 또한, 냉난방 겸용인 경우에, 실외기(20)는,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10)를 더 포함한다. The outdoor unit 20 includes a compressor 102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a compressor electric motor 102b that drives the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104 that dissipates heat from the compressed refrigerant,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An outdoor fan (105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an (104) to promote heat dissipation of the refrigerant, an outdoor blower (105) consisting of an electric motor (105b) that rotates the outdoor fan (105a), and an expansion mechanism that expands the condensed refrigerant. It includes (106) and an accumulator (103) that temporarily stores the vaporized refrigerant, removes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and then supplies the refrigerant at a constant pressure to the compressor.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mbined cooling and heating, the outdoor unit 20 further includes a cooling/heating switching valve 110 that changes the flow path of the compressed refrigerant.

상기 팽창기구(106)는 실내열교환기(108)와 실외열교환기(104)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열교환기(108)와 실외열교환기(104)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팽창기구(106)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실내열교환기(108)와 실외열교환기(104)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상태로 팽창시킬 수 있다. The expansion mechanism 106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08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04, and may be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connect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108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04. The expansion mechanism 106 can expand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either the indoor heat exchanger 108 or the outdoor heat exchanger 104 to a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state,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conditioner.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팽창기구(106)는 실내기 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팽창기구는 실내열교환기(108)와 실외열교환기(104) 사이의 냉매배관 중 실외기(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냉매배관에 설치되고, 실내 팽창기구는 실내열교환기(108)와 실외열교환기(104) 사이의 냉매배관 중 실내기(30)의 내부에 위치하는 냉매배관에 설치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expansion mechanism 106 may also be placed on the indoor unit side. For example, the outdoor expans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located inside the outdoor unit 20 among the refrigerant pipes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08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04, and the indoor expans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08. )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04) may be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located inside the indoor unit (30).

냉동 사이클의 주요 동작은 압축기(102)를 포함하는 실외기(20)에서 수행된다. 기본적으로 실외기(20)의 프로세서(450)가, 상기 팽창기구(106)를 제어하여, 냉매의 유량을 제어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 팽창기구(106)의 제어로직은 실내 팽창기구의 제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main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cycle is performed in the outdoor unit 20, which includes the compressor 102. Basically, 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controls the expansion mechanism 106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logic of the inflation device 106 may also be applied to the control of an indoor inflation device.

한편, 상기 팽창기구(106)는 전자팽창밸브(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로 구성되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전자팽창밸브는, 입력되는 펄스값에 따라 개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팽창밸브에 입력되는 펄스가 50% 감소하는 경우,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도 50% 감소될 수 있다. 전자팽창밸브의 개도가 증가하면, 전자팽창밸브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 강하는 커지고, 유량은 감소된다. 반면에, 전자팽창밸브의 개도가 감소하면, 전자팽창밸브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 강하는 작아지고, 유량은 증가된다. Meanwhile, the expansion mechanism 106 is composed of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EEV) and the opening degree can be adjusted. The opening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input pulse value. For example, when the pulse input to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is reduced by 50%,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may also be reduced by 50%. As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increases, the pressure drop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increases and the flow rate de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decreases, the pressure drop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decreases and the flow rate increases.

한편, 도 2에서는 실내기(30)와 실외기(20)를 각각 1개씩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도 3과 같이 하나 이상의 실외기와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된다.Meanwhile, in FIG. 2, one indoor unit 30 and one outdoor unit 20 are shown,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s applied to a multi-type air conditioner having one or more outdoor units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s shown in FIG. 3. .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실외기(2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2),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104)를 포함한다. 실내기들(30)은 각각 하나 이상의 실내열교환기(108a, 108b, 108c, 108d)를 포함한다. 또한, 4개의 실내열교환기(108a, 108b, 108c, 108d)는 냉매배관들로 실외기(20)와 연결되고, 냉매배관들을 통하여 실외기(20)와 실내기(30) 사이에서 냉매가 이동할 수 있다. 냉매배관들에는 전자팽창밸브들(EEV1, EEV2, EEV3, EEV4)이 배치되어 냉매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내기(30)를 기준으로 보면 전자팽창밸브(EEV1, EEV2, EEV3, EEV4)가 배치된 일측은 입구로, 그렇지 않은 일측은 출구로 명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outdoor unit 20 includes a compressor 102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104 that exchanges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outdoor air. The indoor units 30 each include one or more indoor heat exchangers 108a, 108b, 108c, and 108d. Additionally, the four indoor heat exchangers (108a, 108b, 108c, and 108d) ar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20 through refrigerant pipes, and refrigerant can move between the outdoor unit 20 and the indoor unit 30 through the refrigerant pipes. Electronic expansion valves (EEV1, EEV2, EEV3, and EEV4) are placed in the refrigerant pipes to control the flow of refrigerant. Meanwhile, looking at the indoor unit 30, one side on which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s (EEV1, EEV2, EEV3, and EEV4) are located can be called the inlet, and the other side can be called the outlet.

냉/난방 절환밸브(110)의 일측에는 압력센서(P)가 배치될 수 있다. 냉방시, 압축기(102)의 흡입측에서 압력센서(P)는 압력을 센싱한다. 압력센서(P)에서 센싱된 압력 데이터는 증발온도 데이터로 취환될 수 있다.A pressure sensor (P)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cooling/heating switching valve 110. During cooling, the pressure sensor (P) senses pressure on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102). Pressure dat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P) can be converted into evaporation temperature data.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simplified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50)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20), 및, 상기 실외기(20)와 냉매배관들로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31,32, ...)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air conditioner 50 includes one or more outdoor units 20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31, 32, ...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s 20 and refrigerant pipes.

실외기(2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2), 실외팬(105a), 프로세서(450), 센싱부(440), 통신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0)는, 복수의 전자팽창밸브(106a, 106b, 106c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0)는 압축기(102), 실외팬(105a), 팽창밸브(106a, 106b, 106c....) 등 각종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 구동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구동부(410)는 압축기 구동부, 실외팬 구동부, 밸브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20 may include a compressor 102 that compresses refrigerant, an outdoor fan 105a, a processor 450, a sensing unit 440, and a communication unit 430. Additionally, the outdoor unit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nic expansion valves 106a, 106b, 106c.... Additionally, the outdoor unit 20 may include a load driver 410 that drives various loads, such as a compressor 102, an outdoor fan 105a, and expansion valves 106a, 106b, 106c.... The load driving unit 410 may include a compressor driving unit, an outdoor fan driving unit, and a valve driving unit.

실내기(31, 32)는 베인(301), 실내팬(109), 프로세서(350), 센싱부(340), 통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31, 32)는 베인(301), 실내팬(109) 등 각종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 구동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 구동부(310)는 베인 구동부, 실내팬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1, 32)는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320)는 디스플레이(321), 리모컨(Remote controller, 322)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indoor units 31 and 32 may include a vane 301, an indoor fan 109, a processor 350, a sensing unit 340, and a communication unit 330. Additionally, the indoor units 31 and 32 may include a load driver 310 that drives various loads such as a vane 301 and an indoor fan 109. The load driving unit 310 may include a vane driving unit, an indoor fan driving unit, etc. The indoor units 31 and 32 may include an interface 320 including input/output means. For example, the interface 320 may include a display 321 and a remote controller 322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or receive user input.

압축기(102), 실외팬(105a), 실내팬(109) 등은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The compressor 102, outdoor fan 105a, indoor fan 109, etc. may operat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센싱부(340, 440)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여 공기조화기(5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340, 440)는,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여 사이클 운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s 340 and 4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to obtain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status of the air conditioner 50. The sensing units 340 and 44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to obtain cycle driving data.

예를 들어, 센싱부(340, 440)는,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ing units 340 and 4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실외기(20)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실외온도센서(441), 배관온도센서(442), 토출온도센서(443), 및 증발온도를 센싱하는 압력센서(44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냉/난방 절환밸브(110)의 일측에는 압력센서(P, 444)가 배치될 수 있다. 냉방시, 압축기(102)의 흡입측에서 압력센서(P)는 압력을 센싱한다. 압력센서(P)에서 센싱된 압력 데이터는 증발온도 데이터로 취환될 수 있다. 또는, 실외열교환기(104)에는 온도센서가 배치되어 증발온도 변화가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440)는 기타 공기조화기(5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450)로 전달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20 may include a sensing unit 440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The outdoor unit 20 may include an outdoor temperature sensor 441, a pipe temperature sensor 442, a discharge temperature sensor 443, and a pressure sensor 444 that senses the evaporation temperature. A pressure sensor (P, 444)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cooling/heating switching valve 110. During cooling, the pressure sensor (P) senses pressure on the suction side of the compressor (102). Pressure dat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P) can be converted into evaporation temperature data. Alternatively, a temperature sensor may be plac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04 to detect changes in evaporation temperature. Meanwhile, the sensing unit 44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obtaining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status of the air conditioner 50, and may transmit the sensing data of the sensors to the control unit 450.

실외온도센서(441)는, 공기조화기(50)의 실외기(20) 주변의 온도인, 실외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실외 온도에 대한 신호를 프로세서(450)로 전달할 수 있다. 배괸온도센서(442)는 실외기(20)에 연결된 냉매배관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로, 입구측 온도를 센싱하는 입구배관온도센서와 출구측 온도를 센싱하는 출구배관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괸온도센서(442)는, 감지된 온도에 대한 신호를 프로세서(450)로 전달할 수 있다. 토출온도센서(443)는, 압축기(102)에서의 냉매 토출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냉매 토출 온도에 대한 신호를 프로세서(450)로 전달할 수 있다. 압력센서(444)는, 냉매배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압력에 대한 신호를 프로세서(450)로 전달할 수 있다.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441 can detect the outdoor temperature, which is the temperature around the outdoor unit 20 of the air conditioner 50, and can transmit a signal about the sensed outdoor temperature to the processor 450. The exhaust temperature sensor 442 is a sensor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20, and may include an inlet pipe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the inlet temperature and an outlet pipe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the outle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ensor 442 may transmit a signal about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processor 450. The discharge temperature sensor 443 can detect the refrigerant discharge temperature from the compressor 102 and transmit a signal about the detected refrigerant discharge temperature to the processor 450. The pressure sensor 444 can sens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ransmit a signal about the sensed pressure to the processor 450.

실내기(30)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30)는, 실내온도센서(341), 배괸온도센서(3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30 may include a sensing unit 340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The indoor unit 30 may include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341 and an exhaust temperature sensor 342.

실내온도센서(341)는 공기조화기(50)의 실내기(30) 주변의 온도인, 실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실내 온도에 대한 신호를 프로세서(350)로 전달할 수 있다. 배괸온도센서(342)는 실내기(30)에 연결된 냉매배관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로, 입구측 온도를 센싱하는 입구배관온도센서와 출구측 온도를 센싱하는 출구배관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괸온도센서(342)는, 감지된 온도에 대한 신호를 프로세서(350)로 전달할 수 있다.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341 can detect the indoor temperature, which is the temperature around the indoor unit 30 of the air conditioner 50, and can transmit a signal about the detected indoor temperature to the processor 350. The exhaust temperature sensor 342 is a sensor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30, and may include an inlet pipe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the inlet temperature and an outlet pipe temperature sensor that senses the outle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ensor 342 may transmit a signal about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processor 350.

센싱부(340)는 습도센서, 압력센서, 기타 공기조화기(5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프로세서(35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내기(30)는 습도센서를 구비하여 실내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습도센서는 실내공기에 대한 습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습도센서는 상대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대습도는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의 양과 그 때의 온도에서 대기가 함유할 수 있는 최대수증기량(포화수증기)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최대수증기량은 온도에 따라 가변하므로, 상대습도 또한, 온도에 따라 가변된다. The sensing unit 340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other sensors capable of acquiring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status of the air conditioner 50, and may transmit the sensing data of the sensors to the processor 350. there i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ne or more indoor units 30 may be provided with a humidity sensor to detect indoor humidity. The humidity sensor measures the humidity of indoor air. For example, a humidity sensor can detect relative humidity. Relative humidity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ratio between the amount of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atmosphere and the maximum amount of water vapor (saturated water vapor) that the atmosphere can contain at that temperature. Since the maximum amount of water vapor varies depending o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lso varies depending on temperature.

실외기(20)와 실내기(31, 32)는, 통신부(430, 330)를 통하여,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31, 32)의 프로세서(350)는 실내기(31, 32)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실외기(20)의 프로세서(450)는 실외기(2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0)의 프로세서(450)와 실내기(31, 32)의 프로세서(350)는, 통신부(430, 330)를 통하여,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20 and the indoor units 31 and 32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s 430 and 330. The processor 350 of the indoor units 31 and 32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ndoor units 31 and 32. 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20. Additionally, 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and the processors 350 of the indoor units 31 and 32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s 430 and 330.

실내기(31, 32)의 프로세서(350)는, 실내기 정보, 리모컨(322)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통신부(330)를 통해, 실외기(20)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리모컨(322)으로 실내기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The processor 350 of the indoor units 31 and 32 may control the indoor unit information and user input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322 to be transmitted to the outdoor unit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30. Additionally, the operator may input indoor unit information using the remote control 322.

실외기(20)의 프로세서(450)는, 통신부(330)를 통해, 수신된 실내기 정보에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450)는, 공기조화기의 냉동 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can check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received indoor unit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30. The processor 450 can control the refrigeration cycle of the air conditioner.

실외기(20)는 실외열교환기(104)와 압축기(102)를 포함하고, 복수의 실내기(30)는 실내열교환기(108)와 실내팬(109)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실외기(20)와 복수의 실내기(30)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되고, 각 실내기(30)에 연결되는 냉매배관에는 각 실내기(30)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106)가 배치되어 냉매의 유량을 조절한다.The outdoor unit 20 includes an outdoor heat exchanger 104 and a compressor 102,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108 and an indoor fan 109, and one or more outdoor units 20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are connected by refrigerant pipes to allow refrigerant to flow, and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corresponding to each indoor unit 30 is disposed in the refrigerant pipes connected to each indoor unit 30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do.

상기 복수의 실내기(30)는 2이상의 다실에 배치되어 사용된다. 다른 실(room)에 배치된 실내기(30)는 동일한 실외기(10)와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하면, 각 실에서 요구되는 온도와 습도, 현재의 온도와 습도 조건이 다양하기 때문에, 각 실내기(30) 및 실외기(10)가 비효율적으로 동작할 가능성이 크다.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are arranged and used in two or more multi-rooms. When the indoor unit 30 placed in a different room is connected to the same outdoor unit 10 and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required for each room and the curr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vary, so each indoor unit 30 ) and the outdoor unit 10 are highly likely to operate inefficiently.

따라서, 멀티형 공기조화기에서,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관리하는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로 동작할 때, 효율적인 다실 제어를 위해서 목표를 효과적으로 선정하고, 이에 따라 각 구성을 제어할 필요가 더 크다, Therefore, when operating in a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that manages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 multi-type air conditioner, there is a greater need to effectively select a target for efficient multi-room control and control each configuration accordingly.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는, 온도와 습도 모드를 관리하는 모드로, 온도 조절만을 목표로 동작하는 일반 냉방/난방 운전 및 목표까지 습도만을 낮추기 위한 일반 제습운전과는 다르고, 온도와 습도 각각을 모두 제어 인자로 고려하는 제어모드일 수 있다.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is a mode that manages temperature and humidity modes. It is different from general cooling/heating operation that operates with the goal of controlling temperature only and general dehumidification operation that only lowers humidity to the target, and controls both temperature and humidity as factors. It may be a control mode considered.

온습도 동시제어모드는,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온도 범위와 습도 범위가 설정된 쾌적존에 포함되도록 소정 실내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관리하는 제어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쾌적존은 온도 22도 내지 27도, 상대습도 40% 내지 60%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온 다습한 여름에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는, 예시된 쾌적존에서 온습도가 동시 관리되도록 목표온도 27도, 목표습도 60%로 냉방 및 제습을 병행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may be a control mode that manag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predetermined indoor space so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range in which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are included in a set comfort zone. For example, the comfort zone may be set at a temperature of 22 to 27 degrees and a relative humidity of 40% to 60%. In this case, in the hot and humid summ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can simultaneously perform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at a target temperature of 27 degrees and a target humidity of 60% so that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simultaneously managed in the example comfort zone.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배치된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관리하면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온습도 동시제어모드는, 다실 환경에서 전통적인 온도 관리 외에 습도도 관리할 때, 효율을 향상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하므로, 쾌적절전 기능, 절전 기능(절전 제어), 절전제습(절전습도) 기능으로도 명명될 수 잇다.Meanwhil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while simultaneously manag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installed roo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improves efficiency and reduces power consumption when managing humidity in addition to traditional temperature management in a tea room environment, so it is also called the comfortable power saving function, power saving function (power saving control), and power saving dehumidification (power saving humidity) function. It can be.

이하에서는, 다실 제어를 위한 온습도 동시제어모드의 목표 선정과 선정된 목표에 따른 구체적인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Below, selection of the goal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for tea room control and specific control according to the selected goal will be described.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온습도 동시제어모드에서, 압축기(102)의 회전수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30)가 구비하는 실내온도센서(341)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되고, 각 실내기(30) 별로, 구비되는 실내팬(109)의 회전수, 및,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106)의 개도는, 각 실내기(30)의 실내온도센서(341)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02 is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any one of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s 341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109 provided for each indoor unit 30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are detected by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341 of each indoor unit 30. It is controlled based on the room temperature and set temperature.

한 실외기(20)에는 복수의 실내기(30)가 연결되므로, 실외기(20)의 압축기(102)는, 복수의 실내기(30)가 구비하는 복수의 실내온도센서(341)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 데이터를 전부 또는 일부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02)는 실내온도 데이터의 평균값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압축기(102)는 어느 한 실내온도센서(341)에서 감지된 실내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Since a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are connected to one outdoor unit 20, the compressor 102 of the outdoor unit 20 receives indoor temperature data detected by a plurality of indoor temperature sensors 341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Can be used in whole or in part. For example, the compressor 102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room temperature data. More prefera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mpressor 102 may operate based on indoor temperature data sensed by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341.

압축기(102)의 회전수는, 노점온도에 대응하여 제어된다. 노점온도는 수증기를 포함한 대기의 기압과 수증기량을 변화시키지 않고 기온을 떨어뜨렸을 경우, 수증기가 포화에 달할 때의 온도로, 물이 응결되기 시작하는 온도이다.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02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dew point temperature. Dew point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at which water vapor reaches saturation and water begins to condense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ed without changing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amount of water vapor, including water vapor.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노점온도는, 온습도 동시제어모드에 따라 설정된 목표습도와 어느 한 실내온도센서(341)에서 감지된 실내온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연산되고, 압축기(102)의 회전수는, 연산된 노점온도에 대응하여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w point temperatu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target humidity se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and the indoor temperature data detected by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341,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02. Can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calculated dew point temperature.

압축기 제어는 목표배관온도로 목표 제어하며, 아래와 같이, 목표배관온도는, 현재 실내온도와 목표 상대습도를 기준으로 선정될 수 있다.Compressor control is targeted based on the target piping temperature, and as shown below, the target piping temperature can be selected based on the current indoor temperature and target relative humidity.

목표배관온도 = f(현재 실내온도, 목표 상대습도)Target piping temperature = f (current indoor temperature, target relative humidity)

한편, 프로세서(450)는, 가장 낮은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목표를 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세서(450)는, 복수의 실내온도센서(341)에 감지되는 실내온도 데이터 중 가장 낮은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노점온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노점온도에 기초하여 목표배관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102)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30) 각각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 중에서 가장 낮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연산된 노점온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온도도 고려하여 동작할 때 충분히 제습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450 may select a target based on the lowest indoor temperature. That is, the processor 450 can calculate the dew point temperature based on the lowest indoor temperature among the indoor temperature data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indoor temperature sensors 341, and determine the target piping temperature based on the calculated dew point temperature. there is. Accordingly, the compressor 102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based on the lowest indoor temperature among the indoor temperatures sens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sufficient dehumidification when operating by considering the set temperature.

상기 압축기(102)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30) 중 어느 하나의 실내온도센서(341)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장 낮은 실내온도)와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습도에 기초하여 연산된 노점온도에 대응하여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The compressor 102 is configured to match the indoor temperature (more preferably the lowest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341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and the target humidity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The rotation speed can be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based on the dew point temperature.

한편, 프로세서(450)는, 목표배관온도와 현재 배관온도의 차이를 기준으로 압축기(102)를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450 may control the compressor 102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ipe temperature and the current pipe temperature.

또한, 상기 압축기(102)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30)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가장 높은 실내온도와 대응하는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회전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습도를 동시에 괸라하느라 온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and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the compressor 102 may vary the rotation spee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indoor temperature.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from becoming too large while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humidity.

프로세서(450)는, 각 실내기(30)의 설정온도와 해당 실내기(30)에서 감지되는 온도차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0)는 통신부(430, 330)를 통하여 각 실내기(30)의 프로세서(350)에서 계산된 각 실내기(30)의 설정온도와 해당 실내기(30)에서 감지되는 온도차를 수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450 may calculate the set temperature of each indoor unit 30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tected by the corresponding indoor unit 30. Alternatively, the processor 450 may receive the set temperature of each indoor unit 30 calculated by the processor 350 of each indoor unit 30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tected by the corresponding indoor unit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s 430 and 330. .

프로세서(450)는, 온도차 데이터 중 가장 큰 온도차가 기준치 이상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만약 기준치 이상인 온도차가 있으면, 프로세서(450)는, 상기 압축기(102)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냉방 성능을 높일 수 있다.The processor 450 may determine whether the largest temperature difference amo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If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processor 450 may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02 to improve cooling performance.

한편, 상기 복수의 실내기(30)는 각각 실외기(20)에 연결된 냉매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배관온도센서(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2)는, 상기 노점온도에 대응하는 목표배관온도와 상기 배관온도센서(342)에서 감지되는 배관온도의 차이에 따라,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배관온도는 실외기(20) 측, 배관온도센서(442)에서 감지되는 배관온도를 이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may include a pipe temperature sensor 342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a refrigerant pipe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20.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02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ip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dew point temperature and the pip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ipe temperature sensor 342.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ip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ipe temperature sensor 442 on the outdoor unit 20 may be used as the pipe temperature.

상기 압축기(102)는, 상기 목표배관온도와 상기 배관온도센서(342)에서 감지되는 배관온도 중 가장 높은 배관온도의 차이에 비례하도록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02 may be controll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ipe temperature and the highest pip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ipe temperature sensor 342.

프로세서(450)는, 각 실내기(30)에 연결된 냉매배관에서 감지되는 배관온도와 목표배관온도에서 감지되는 온도차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450)는 통신부(430, 330)를 통하여 각 실내기(30)의 프로세서(350)에서 계산된 각 실내기(30)에 연결된 냉매배관에서 감지되는 배관온도와 목표배관온도의 온도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50)는, 이러한 현재배관온도와 목표배관온도의 온도차 데이터 중 가장 큰 온도차 데이터에 비례하도록 상기 압축기(102)의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The processor 450 may calculat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pipe temperature detected in the refrigerant pipe connected to each indoor unit 30 and the target pipe temperatur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450 receives temperature difference data between the pipe temperature detected in the refrigerant pipe connected to each indoor unit 30 and the target pipe temperature calculated by the processor 350 of each indoor unit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s 430 and 330. can do. The processor 450 may change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02 to be proportional to the largest temperature difference data amo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data between the current pipe temperature and the target pipe temperature.

상기 실외기(20)는, 상기 가장 높은 배관온도가 가변되도록, 상기 압축기(102)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냉매배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20 can adjust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02 so that the highest pipe temperature is variable.

프로세서(450)는 냉매배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노점온도보다 소정온도 낮게 목표배관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점온도보다 1도 또는 2도 낮은 온도를 목표배관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the processor 450 may set the target pipe temperatur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For example, a temperature 1 or 2 degrees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can be set as the target piping temperature.

프로세서(450)는 압력추종제어를 바탕으로 노점온도 및 목표배관온도를 이용하여, 설정가능한 냉매배관의 최대압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450)는 목표배관온도를 변환식에 대응하여 압력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The processor 450 can calculate the maximum pressure value of the refrigerant pipe that can be set using the dew point temperature and target pipe temperature based on pressure tracking control. The processor 450 can convert the target pipe temperature into a pressure value in response to the conversion equation.

실내기(30) 측의 냉매배관에 설치된 배관온도센서(342)는 냉매배관의 온도를 감지한다. 프로세서(450)는 냉매배관의 온도가 목표배관온도 이상인 경우, 목표배관온도 이하로 냉매배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실내 냉매배관의 온도를 결정하는 압력추종제어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pipe temperature sensor 342 installed in the refrigerant pipe on the indoor unit 30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is above the target pipe temperature, the processor 450 may control pressure tracking control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refrigerant pipe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below the target pipe temperature.

프로세서(450)는, 냉매배관의 압력을 기준으로하는 압력추종제어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압축기(102)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냉매배관의 압력을 제어한다. The processor 450 performs pressure tracking control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and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102 accordingly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냉매배관의 압력이 제어됨에 따라 냉매배관의 온도가 목표배관온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온도를 기반으로 제어하는 경우 실내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동작을 정지하지만, 압력기반으로, 냉매배관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실내온도가 목표온도에 도달하더라도 운전을 유지할 수 있다. A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is controlled,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can be maintained below the target pipe temperature. In the case of temperature-based control, operation is stopped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but in pressure-based control, operation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상기 실외기(20)의 프로세서(450)는, 상기 가장 높은 배관온도가 상기 노점온도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상기 노점온도보다 소정온도 낮은값을 상기 목표배관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may se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as the target pipe temperature so that the highest pipe temperature does not increase above the dew point temperature.

프로세서(450)는, 실내 냉매배관의 온도가 노점온도보다 낮은 기준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해당 온도값을 압력값으로 환산하고, 환산가능한 범위의 최대값을 압력제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50)는, 노점온도보다 1도 또는 2도 낮은 온도를 목표배관온도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압력제한값을 산출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refrigerant pipe to a reference temperature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the processor 450 may convert the temperature value into a pressure value and set the maximum value of the convertible range as the pressure limit value. For example, the processor 450 may set a temperature that is 1 or 2 degrees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as the target piping temperature and calculate the pressure limit value based on this to control the operation.

상기 실외기(20)의 프로세서(450)는, 상기 압축기(102)를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습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may control the compressor 102 to follow the target humidity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FIG. 5 is a diagram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compressor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노점온도연산부(510)는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쾌적존의 목표습도(예를 들어, 55%, 60%)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노점온도를 연산한다. 여기서, 실내온도는 복수의 실내기(30) 중 어느 하나의 실내온도센서(341)에서 감지된 실내온도 데이터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노점온도 연산의 기준이 되는 실내온도는 복수의 실내기(30)가 구비하는 복수의 실내온도센서(341)가 감지하는 실내온도값 중 가장 낮은 실내온도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ion unit 510 calculates the dew point temperature based on the target humidity (eg, 55%, 60%) of the comfort zone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and the indoor temperature. Here, the indoor temperature is indoor temperature data detected by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341 of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More preferably, the indoor temperature that serves as the standard for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ion may be the lowest indoor temperature value among the indoor temperature value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indoor temperature sensors 341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한편, 연산된 노점온도보다 대응하여 목표배관온도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연산된 노점온도보다 낮게 목표배관온도가 설정된다. 압력추종제어기(520)는 목표배관온도와 현재 배관온도를 비교하며 압력추종제어한다. 상기 압력추종제어기(520)는 온도값을 압력값으로 환산하고 냉매배관의 압력을 기준으로하는 압력추종제어를 수행한다.Meanwhile, the target piping temperature is set in response to the calculated dew point temperature. For example, the target piping temperature is set lower than the calculated dew point temperature. The pressure tracking controller 520 compares the target pipe temperature and the current pipe temperature and performs pressure tracking control. The pressure tracking controller 520 converts the temperature value into a pressure value and performs pressure tracking control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도 5에 예시된 상기 노점온도연산부(510)와 상기 압력추종제어기(520)는 상기 실외기(20)의 프로세서(450) 또는 부하 구동부(410)의 압축기 구동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ing unit 510 and the pressure tracking controller 520 illustrated in FIG. 5 may be provided in 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or the compressor driving unit of the load driving unit 410.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102)는, 용량별 가중평균습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용량별 가중평균습도는 각 실내기(30)의 용량을 고려한 습도로서, 각 실내기(30)의 용량과 각 실내기(30)에서 감지되는 습도 데이터(또는 대체 습도 데이터)의 곱들의 합을 실내기(30)의 총용량합으로 나눈값이다. 이에 따라, 실외기(20)는 더 용량이 큰 실내기(30)를 더 크게 고려하여 최적의 효율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mpressor 102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weighted average humidity for each capacity. The weighted average humidity by capacity is humidity considering the capacity of each indoor unit 30, and is the sum of the products of the capacity of each indoor unit 30 and the humidity data (or alternative humidity data) detected in each indoor unit 30. ) divided by the total capacity of Accordingly, the outdoor unit 20 can operate at optimal efficiency by taking into account the larger capacity of the indoor unit 30.

실내팬(109)은 실내기(30) 별로 제어된다. 또한, 각 실내기(30)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106)도 각 실내기(30) 별로 제어된다. 각 실내기(30) 별로, 구비되는 실내팬(109)의 회전수, 및,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106)의 개도는, 각 실내기(30)의 실내온도센서(341)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된다.The indoor fan 109 is controlled for each indoor unit 30. Additionally,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corresponding to each indoor unit 30 is also controlled for each indoor unit 30. For each indoor unit 30,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indoor fan 109 provided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are determined by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341 of each indoor unit 30 and It is controlle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팬(109)과 전자팽창밸브(106)를 이용하여 실내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실내기(30)의 프로세서(350)는, 실내팬(109)의 동작을 제어하고, 실외기(20)의 프로세서(450)는, 전자팽창밸브(1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door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using the indoor fan 109 and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The processor 350 of the indoor unit 3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door fan 109, and 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상기 복수의 실내기(30)는, 각각,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구비하는 실내팬(109)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구비하는 실내팬(109)의 회전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each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109 when th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in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109 when th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 can reduce the number of rotations.

이때, 상기 복수의 실내기(30)는, 각각,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의 온도차에 비례하여 구비하는 실내팬(109)의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350)는, 온도차가 클수록 상기 실내팬(109)의 회전수를 더 크게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3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109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ed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That is, the processor 350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109 to a greater extent as the temperature difference increases.

상기 실외기(20)는,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실내기(30)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106)의 개도를 증가시키고,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실내기(30)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106)의 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outdoor unit 20 increases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in response to the indoor unit 30 in which th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in response to the indoor unit 30 in which th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can be reduced.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실내팬(109)의 회전수는 증가시키고, 전자팽창밸브(106)의 개도를 증가시켜, 실내열교환기(108)의 열교환량을 늘리고 냉매의 유량을 높여 열량을 높일 수 있다.If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indoor fan (109) is increased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amount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08) and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to increase the amount of heat. It can be raised.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실내팬(109)의 회전수는 감소시키고, 전자팽창밸브(106)의 개도를 감소시켜, 실내열교환기(108)의 열교환량을 낮추고 냉매의 유량을 줄여 열량을 낮출 수 있다. If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indoor fan (109) is reduced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is reduced to lower the heat exchange amount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08) an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s reduced to reduce heat loss. can be lowered.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팽창밸브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electronic expansion valve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메인유량제어기(610)와 실별분배제어기(620)는 현재과열도가 목표과열도를 추종하도록 전자팽창밸브(106)의 개도를 제어한다. 한편, 도 6에서 예시된 메인유량제어기(610)와 실별분배제어기(620)는 상기 실외기(20)의 프로세서(450) 또는 부하 구동부(410)의 밸브 구동부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main flow controller 610 and the room distribution controller 620 control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so that the current superheat degree follows the target superheat degree. Meanwhile, the main flow controller 610 and the room-specific distribution controller 620 illustrated in FIG. 6 may be provided in 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or the valve driver of the load driver 410.

메인유량제어기(610)는 목표과열도와 현재과열도의 차이에 따라 전자팽창밸브들의 총합개도를 결정한다. 과열도는 압축기(102)의 고압 및/또는 저압 측 온도, 압력 등 감지된 데이터와 공지된 산출식에 따라 구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의 고압측 포화온도와 토출온도의 차에 해당하는 현재의 토출 과열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량제어기(610)는 현재과열도가 목표과열도를 추종하도록 전자팽창밸브(106)의 총합개도를 연산할 수 있다. 실내기 별 전자팽창밸브의 개도 변경량의 합이 상기 총합개도가 된다.The main flow controller 610 determines the total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superheating degree and the current superheating degree. The degree of superheat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sensed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pressure on the high-pressure and/or low-pressure side of the compressor 102 and a known calculation formula. For example, the current discharge superheat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turation temperature on the high pressure side of the compressor and the discharge temperature can be calculated. The main flow controller 610 may calculate the total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so that the current superheat degree follows the target superheat degree. The sum of the opening degree changes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s for each indoor unit becomes the total opening degree.

한편, 도 6의 실내온도는 각 실내기(30)의 실내온도센서(341)에서 감지된 실내온도 데이터이고, 설정온도는 각 실내기(30)에 설정되는 설정온도일 수 있다. Meanwhile, the indoor temperature in FIG. 6 is indoor temperature data detected by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341 of each indoor unit 30, and the set temperature may be a set temperature set in each indoor unit 30.

상기 실별 분배제어기(620)는, 실내기 별,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실내기 별 전자팽창밸브의 개도 변경량의 합이 상기 총합개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room distribution controller 620 may control the sum of the opening degree changes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s for each indoor unit to become the total opening degree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for each indoor unit.

예를 들어, 1실 실내기에 대응하는 제1 전자팽창밸브의 개도가 100펄스이고, 2실 실내기에 대응하는 제2 전자팽창밸브의 개도가 200펄스였을 때, 상기 메인유량제어기(610)가 총합 20펄스의 개도 증가를 연산했다면, 상기 실별 분배제어기(620)는, 제1,2실의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에 따라 총합 20펄스의 개도 증가량을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를 15펄스 증가시켜 115펄스로 개도증가시키고, 제2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를 5펄스 증가시켜 205펄스로 개도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electronic expansion valve corresponding to the one-chamber indoor unit is 100 pulses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corresponding to the two-chamber indoor unit is 200 pulses, the main flow controller 610 If an increase in opening degree of 20 pulses is calculated, the room distribution controller 620 can distribute a total increase in opening degree of 20 puls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first and second rooms. For example,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electronic expansion valve can be increased by 15 pulses to increase the opening degree to 115 pulses,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can be increased by 5 pulses to increase the opening degree to 205 pulses.

또는, 제1 전자팽창밸브의 개도가 100펄스이고, 제2 전자팽창밸브의 개도가 200펄스였을 때, 상기 메인유량제어기(610)가 총합 10펄스의 개도 증가를 연산했다면, 상기 실별 분배제어기(620)는, 제1,2실의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에 따라 총합 10펄스의 개도 증가량을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를 15펄스 증가시켜 115펄스로 개도증가시키고, 제2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를 5펄스 감소시켜 195펄스로 개도감소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electronic expansion valve is 100 pulses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is 200 pulses, if the main flow controller 610 calculates an opening degree increase of a total of 10 pulses, the room distribution controller ( 620) can distribute an increase in opening degree of a total of 10 puls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of the first and second rooms. For example, the opening degree of the first electronic expansion valve can be increased by 15 pulses to increase the opening degree to 115 pulses,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second electronic expansion valve can be decreased by 5 pulses to reduce the opening degree to 195 pulses.

한편, 상기 실외기(20)는, 실외팬(10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온도와 상기 실외열교환기(104) 측 압력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팬(105)을 압력추종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outdoor unit 20 further includes an outdoor fan 105, and applies pressure to the outdoor fan 105 based on the target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and the pressure difference on the outdoor heat exchanger 104. Follow-up control is possible.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외팬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outdoor fa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압력추종제어기(710)는 쾌적존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목표온도와 압력 데이터(예를 들어, 실외열교환기(104)의 출구 압력, 압축기(102)의 고압측 압력 데이터)를 비교하며 압력추종제어한다. 상기 압력추종제어기(520)는 온도값을 압력값으로 환산하고 상기 압력과 목표온도차에 기반한 압력추종제어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7, the pressure tracking controller 710 sets target temperature and press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mfort zone (e.g., outlet pressure of the outdoor heat exchanger 104, high pressure side pressure data of the compressor 102). Compare and control pressure tracking. The pressure tracking controller 520 converts the temperature value into a pressure value and performs pressure tracking control based on the pressure and target temperature difference.

도 7에 예시된 상기 압력추종제어기(710)는 상기 실외기(20)의 상기 프로세서(450) 또는 상기 부하 구동부(410)의 실외팬 구동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pressure tracking controller 710 illustrated in FIG. 7 may be provided in the processor 450 of the outdoor unit 20 or the outdoor fan driver of the load driver 410.

상기 실외기(20)는, 상기 압축기(102)를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습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팽창밸브(106)를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30)는, 상기 실내팬(109)을 상기 목표온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20 controls the compressor 102 to follow the target humidity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and controls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106 to follow the target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 the indoor unit 30 can control the indoor fan 109 to follow the target temperature.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팬 제어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FIG. 8 is a diagram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indoor fan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을 참조하면, 실온추종제어기(810)는 각 실내기(30)에 설정되는 설정온도와 각 실내기(30)의 실내온도센서(341)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를 비교하며 실온추종제어한다. 또한, 설정온도는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 시, 상기 쾌적존의 목표온도와 동일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목표온도 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온추종제어기(810)는 온도차에 비례하여 실내팬(109)의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차가 클수록 실내팬(109)의 회전수를 더 크게 증가시켜, 더 빠르게 목표온도를 구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room temperature tracking controller 810 performs room temperature tracking control by comparing the set temperature set for each indoor unit 30 with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room temperature sensor 341 of each indoor unit 30. Additionally, the set temperature may be the same as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comfort zone in the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or may be a target temperature value directly input by the user. Meanwhile, the room temperature tracking controller 810 can chang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109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Accordingly, the larg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the greater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109, so that the target temperature can be achieved more quickly.

도 8에 예시된 상기 실온추종제어기(810)는 상기 실내기(30)의 상기 프로세서(350) 또는 상기 부하 구동부(310)의 실내팬 구동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room temperature tracking controller 810 illustrated in FIG. 8 may be installed in the processor 350 of the indoor unit 30 or the indoor fan driver of the load driver 310.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1개의 실내기에서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 기능이 동작할 경우, 동일한 실외기에 연결된 모든 실내기에 해당 정보를 송신하여 모든 실내기에서 기능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function operates in one indoor unit,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ll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same outdoor unit, so that all indoor units can be controlled to enter the function.

즉,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된 나머지 실내기들에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실외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at is, when an input f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is received by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is transmit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remaining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may operate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쾌적한 실내환경을 느낄 수 있는 쾌적 영역 상태의 실내 제습과 실내 정온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이 크게 감소되는 절전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intain indoor dehumidification and indoor temperature in a comfort zone where the user can feel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nd also perform a power saving operation in which power consumption is greatly reduced.

도 9 내지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9 to 13 are diagram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 내지 도 13은 일반 냉방 운전과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를 비교한 그래프이고,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소용량과 대용량의 실내기를 구분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Figures 9 to 13 are graphs comparing a general cooling operation and the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ures 11 to 13 are graphs showing small-capacity and large-capacity indoor units separated.

도 9는 소용량 실내기의 일반 냉방 운전 소비전력 누적값(910)과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의 소비전력 누적값(920)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의 소비전력 절감 효과가 크게 드러난다. 대용량 실내기의 경우도 그 경향은 유사하다.FIG. 9 shows the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value 910 of a small-capacity indoor unit during general cooling operation and the cumulative power consumption value 920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Referring to Figure 9, the longer the usage time, the greater the power consumption reduction effect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indoor units, the trend is similar.

도 10은 소용량 실내기의 일반 냉방 운전 압축기 운전주파수(회전수)(1010)과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의 압축기 운전주파수(회전수)(1020) 변화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습도가 낮아지면,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1020)에서, 일반 냉방 운전(1010)보다 훨씬 빨리 압축기 운전주파수(회전수)를 낮춰준다.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대용량 실내기의 경우도 그 경향은 유사하다.Figure 10 shows changes in the compressor operating frequency (revolutions) 1010 in general cooling operation of a small-capacity indoor unit and the compressor operating frequency (revolutions) 1020 in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humidity is lowered, the compressor operating frequency (rpm) is lowered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1020) much faster than the general cooling operation (1010).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In the case of large-capacity indoor units, the trend is similar.

도 11은 소용량 실내기의 일반 냉방 운전 실내팬 회전수(1110), 소용량 실내기의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 실내팬 회전수(1120), 대용량 실내기의 일반 냉방 운전 실내팬 회전수(1130), 대용량 실내기의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 실내팬 회전수(1140)를 도시한다.11 shows the indoor fan rotation speed (1110) for general cooling operation of the small-capacity indoor unit, the indoor fan rotation speed (1120) in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for the small-capacity indoor unit, the indoor fan rotation speed (1130) for general cooling operation of the large-capacity indoor unit,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large-capacity indoor unit. Simultaneous control mode indoor fan rotation speed (1140) is shown.

도 11을 참조하면, 소용량 실내기의 실내팬 회전수(1110, 1120)보다 대용량 실내기의 실내팬 회전수(1130, 1140)가 전반적으로 빠르다. 또한, 일반 냉방 운전 실내팬 회전수(1110, 1130)는 일정하지만,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 실내팬 회전수(1120, 1140)는 능동적으로 가변된다. 이에 따라, 현재 실내온도가 목표온도에 더 빨리 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쾌적감을 증대하거나, 목표온도에 도달했을 때는 회전수를 저감함으로써 소비전력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indoor fan rotation speeds 1130 and 1140 of the large-capacity indoor unit are generally faster than the indoor fan rotation speeds 1110 and 1120 of the small-capacity indoor unit. In addition, the indoor fan rotation speeds 1110 and 1130 in general cooling operation are constant, but the indoor fan rotation speeds 1120 and 1140 in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are actively varied. Accordingly, the current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target temperature more quickly,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omfort, or furthe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rotations when the target temperature is reached.

도 12는 설정온도가 24도로 설정될 었을 때, 소용량 실내기의 일반 냉방 운전 실내온도 변화(1210), 소용량 실내기의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 실내온도 변화(1220), 대용량 실내기의 일반 냉방 운전 실내온도 변화(1230), 대용량 실내기의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 실내온도 변화(1240)를 도시한다. Figure 12 shows the indoor temperature change during general cooling operation of a small-capacity indoor unit (1210), the indoor temperature change in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of a small-capacity indoor unit (1220), and the general cooling operation indoor temperature change of a large-capacity indoor unit when the set temperature is set to 24 degrees (1210). 1230), shows the indoor temperature change 1240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of a large-capacity indoor unit.

도 12를 참조하면,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1220, 1240)에서 과냉방없이 설정온도에 빠르게 추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1220, 1240) quickly follows the set temperature without overcooling.

또한, 도 13은 목표습도가 60%로 설정될 었을 때, 소용량 실내기의 일반 냉방 운전 실내습도 변화(1310), 소용량 실내기의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 실내습도 변화(1320), 대용량 실내기의 일반 냉방 운전 실내습도 변화(1330), 대용량 실내기의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 실내습도 변화(1340)를 도시한다.In addition, Figure 13 shows the indoor humidity change in general cooling operation of a small-capacity indoor unit (1310), the indoor humidity change in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of a small-capacity indoor unit (1320), and the general cooling operation indoor of a large-capacity indoor unit when the target humidity is set to 60%. A change in humidity (1330) and a change in indoor humidity (1340)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of a large-capacity indoor unit are shown.

도 13을 참조하면,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1320, 1340)에서 40%이하의 과제습없이 목표습도에 빠르게 추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target humidity is quickly followed without overhumidity below 40%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1320, 1340).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과냉방 및 과제습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쾌적존에서 온도와 습도를 관리하도록 멀티형 공기조화기를 최적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ulti-type air conditioner can be optimally controlled to prevent overcooling and overhumidity, and to manag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 comfort zone where users can feel comfortable.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면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while simultaneously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각 실내기별로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각 실별 목표값을 효과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lect a target value for each room to simultaneously control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each indoor uni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patent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기조화기: 50
실외기: 20
압축기: 102
실외열교환기: 104
실내기: 30
실내열교환기: 108
Air conditioner: 50
Outdoor unit: 20
Compressor: 102
Outdoor heat exchanger: 104
Indoor unit: 30
Indoor heat exchanger: 108

Claims (15)

각각 실내온도센서, 실내열교환기, 및 실내팬을 포함하는 복수의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되고,
실외열교환기, 압축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자팽창밸브를 포함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실내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연산된 노점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가 제어되고,
각 실내기의 실내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 별로, 구비되는 실내팬의 회전수, 및,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의 개도가 제어되는 공기조화기.
A plurality of indoor units each including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n indoor fan;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through refrigerant pipes,
An outdoor unit includ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a compressor,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expansion valv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In simultaneou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ode,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provided for each indoor unit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expansion valve are controlled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set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each indo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 중에서 가장 낮은 실내온도에 기초하여 연산된 노점온도에 따라 제어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mpressor,
An air conditioner controlled according to a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based on the lowest indoor temperature among the indoor temperatures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의 실내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습도에 기초하여 연산된 노점온도에 대응하여 회전수가 제어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mpressor,
An air conditioner whose rotation speed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dew point temperature calculated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the target humidity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서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가 기준치 이상이면,
가장 높은 실내온도와 대응하는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회전수를 가변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mpressor,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the set temperature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value,
An air conditioner that varies the rotation spee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indoor tempera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각각 냉매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배관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노점온도에 대응하는 목표배관온도와 상기 배관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배관온도의 차이에 따라, 회전수가 제어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2,
Each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further includes a pipe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pipe,
The compressor,
An air conditioner whose rotational speed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ip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dew point temperature and the pip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ipe temperature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목표배관온도와 상기 배관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배관온도 중 가장 높은 배관온도의 차이에 비례하도록 회전수가 제어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compressor,
An air conditioner whose rotational speed is controll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ipe temperature and the highest pip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pipe temperature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가장 높은 배관온도가 가변되도록,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냉매배관의 압력을 조절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outdoor unit is an air conditioner that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ipe b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mpressor so that the highest pipe temperature is variab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가장 높은 배관온도가 상기 노점온도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상기 노점온도보다 소정온도 낮은값을 상기 목표배관온도로 설정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outdoor unit,
An air conditioner that set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as the target piping temperature so that the highest piping temperature does not increase above the dew point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각각,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구비하는 실내팬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구비하는 실내팬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each have,
An air conditioner that in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when the detected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decreases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when the detected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각각, 구비하는 실내팬의 회전수를 감지되는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에 비례하여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use 9,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each increase or decreas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door fan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detected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실내기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키고, 감지되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 실내기에 대응하는 전자팽창밸브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utdoor unit,
An air conditioner that increases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corresponding to the indoor unit whos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nd decreases the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corresponding to the indoor unit whose sensed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t temperatur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목표과열도와 현재과열도의 차이에 따라 전자팽창밸브들의 총합개도를 결정하고,
실내기 별,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차에 기초하여, 실내기 별 전자팽창밸브의 개도 변경량의 합이 상기 총합개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use 11,
The outdoor unit,
Determine the total opening degree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superheating degree and the current superheating degree,
An air conditioner that controls the sum of the opening degree changes of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s for each indoor unit to be the total opening degree, based 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for each indo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실외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온도와 상기 실외열교환기 측 압력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외팬을 압력추종제어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utdoor unit,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n outdoor fan, and controlling pressure tracking of the outdoor fan based on a target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and a pressure difference at the outdoor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압축기를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습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팽창밸브를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설정된 목표온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팬을 상기 목표온도에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outdoor unit controls the compressor to follow the target humidity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and controls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to follow the target temperature set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The indoor unit is an air conditioner that controls the indoor fan to follow the target tempera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에 대한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외기에 연결된 나머지 실내기들에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실외기 및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상기 온습도 동시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an input f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is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is transmitted to the outdoor unit and the remaining indoor unit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outdoor unit and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operate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imultaneous control mode.
KR1020220120847A 2022-09-23 2022-09-23 air conditioner KR202400423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847A KR20240042306A (en) 2022-09-23 2022-09-23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847A KR20240042306A (en) 2022-09-23 2022-09-23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306A true KR20240042306A (en) 2024-04-02

Family

ID=9071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847A KR20240042306A (en) 2022-09-23 2022-09-23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230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2960B2 (en) Control method of water source heat pump unit system
CN102865646B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EP2148147B1 (en)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100539764B1 (en) Unitary air cinditioner and his control method
EP1598606A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2009222248A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ccumulator thereof
KR101070186B1 (en) Direct expansion air handling unit having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ling air volum of blower by change of refrigerant flow
KR20130012743A (en) Multi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2141113A (en) Air conditioning/water heating device system
CN106403017A (en) Low ambient cooling scheme and control
JP2016138666A (en) Air conditioner
KR100619733B1 (en) Driving control method for unitary air conditioner
JP6819807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machine learning device and machine learning method
EP1956306B1 (en) Multi-system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105933B2 (en) Air conditioner using direct expansion coil
JP7316759B2 (en)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KR101073501B1 (en) A air conditioner for multi-step driving
US11965672B2 (en) Water source heat pump dual functioning condensing coil
KR101029988B1 (en) Method for automatic controlling air volum of blower by change of refrigerant flow of direct expansion air handling unit
KR20240042306A (en) air conditioner
KR20240042346A (en) air conditioner
KR20240042308A (en) air conditioner
WO2020218219A1 (en) Air-conditioning system, machine learning device, and machine learning method
KR20140129403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saving energy and method thereof
KR101622619B1 (en) Air conditio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