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012A -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 - Google Patents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012A
KR20240042012A KR1020247007276A KR20247007276A KR20240042012A KR 20240042012 A KR20240042012 A KR 20240042012A KR 1020247007276 A KR1020247007276 A KR 1020247007276A KR 20247007276 A KR20247007276 A KR 20247007276A KR 20240042012 A KR20240042012 A KR 20240042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s
transmission
beam application
downlink
dc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주 리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2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0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5세대(5th generation, 5G) 이동 통신 시스템, 5G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등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를 개시하고, 당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함 -; 및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수행을 통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고, 빔 적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
본 출원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에서, 일반적으로 빔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 channel, PD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 channel, PUSCH), 및/또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로 어플리케이션을 지시한다. PDCCH와 PUCCH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를 사용하여, 하나의 빔을 활성화 또는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PDSCH와 PUSCH는 DCI 시그널링에 따라 각각의 빔을 지시 또는 적용할 수 있다. 당해 방법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의 빔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빔 적용을 위한 유효한 수단이 부족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를 제공하고,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5세대(5th generation, 5G) 이동 통신 시스템, 5G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등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고, 빔 적용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빔 적용(application)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configuration) 지시 상태를 포함함 -; 및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는 다운링크 할당 지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은 상기 DCI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복수의 심볼 뒤이고,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은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의 적용 시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1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1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2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2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3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3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캐리어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4 수의 심볼과 제5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5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6 수의 심볼과 제7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6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7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2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8 수의 심볼과 제9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동기 신호 블록(SSB),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복조 참조 신호(DMRS), 및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와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은,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로 다른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 또는,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빙 셀과 비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고, 빔 적용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다른 빔 적용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함 -;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빔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제1 측면에 기재된 방법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기능은 본 출원의 일부 또는 전부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본 출원 중 임의의 실시예를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수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일 구현 형태에서, 당해 통신 장치의 구성은 송수신 모듈과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모듈은 통신 장치가 상기 방법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송수신 모듈은 통신 장치와 다른 장치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통신 장치는 송수신 모듈과 처리 모듈에 결합하기 위한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당해 저장 모듈이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송수신 모듈은 트랜시버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저장 모듈은 메모리일 수 있다.
일 구현 형태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함 -; 및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제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의 예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 다른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기능은 본 출원의 일부 또는 전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고, 본 출원 중 임의의 실시예를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에 의해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수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상기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을 포함한다.
일 구현 형태에서, 당해 통신 장치의 구성에는 송수신 모듈과 처리 모듈이 포함될 수 있고, 당해 처리 모듈은 통신 장치가 상기 방법에서의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 모듈은 통신 장치와 다른 장치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통신 장치는 송수신 모듈과 처리 모듈에 결합하기 위한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당해 저장 모듈이 통신 장치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송수신 모듈은 트랜시버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저장 모듈은 메모리일 수 있다.
일 구현 형태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함 -;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빔을 적용하기 위한 적용 모듈; 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프로세서가 메모리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할 경우, 상기 제1 측면에 기재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제 6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프로세서가 메모리 내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할 경우, 상기 제 2 측면에 기재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제7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당해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당해 통신 장치에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8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당해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당해 통신 장치에 상기 제2 측면의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9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 명령을 수신하여 당해 프로세서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당해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당해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제10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고, 당해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 명령을 수신하여 당해 프로세서에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당해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당해 통신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제1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적용 시스템을 제공하고, 당해 시스템은 제3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와, 제4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5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와 제6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7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와 제8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9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와, 제10 측면에 기재된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제12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명령이 수행될 경우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3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명령이 수행될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4 측면에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이가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컴퓨터가 상기 제1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5 측면에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이가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컴퓨터가 상기 제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6 측면에서, 본 출원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측면에 따른 기능, 예를 들어, 상기 방법에 관련된 데이터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 시스템을 제공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칩 시스템은 단말 디바이스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당해 칩 시스템은 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칩과 다른 디스크리트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7 측면에서, 본 출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측면에 따른 기능, 예를 들어, 상기 방법에 관련된 데이터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거나 처리하는 것을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 시스템을 제공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상기 칩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당해 칩 시스템은 칩으로 구성될 수 있고, 칩과 다른 디스크리트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8 측면에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가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경우, 컴퓨터가 상기 제 1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19 측면에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가 컴퓨터에서 수행될 경우, 컴퓨터가 상기 제 2 측면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개시 실시예 또는 배경이 되는 기술 중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본 개시 실시예 또는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사용이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적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적용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칩의 구조 개략도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먼저 본 출원에 관련된 용어를 설명한다.
1,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DCI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에 의해 운송(carry)되고, DCI는 업링크 자원 할당과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정보와 전력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DCCH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운송하기 위한 물리적 채널이다.
2, 빔(beam) 지시
Rel-16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 channel, PD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 channel, PUSCH) 및/또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RS) 등에 대응하는 빔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참조 신호 RS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포지셔닝 참조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트래킹 참조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 TRS) 등을 포함하고, 상기 CSI-RS는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을 위한 CSI-RS, 빔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채널 손실(pathloss) 추정을 위한 CSI-RS를 포함하고, SRS는 코드북(codebook) 또는 비코드북(non-codebook)에 기반한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을 위한 SRS, 빔 측정을 위한 SRS, 또는 포지셔닝 측정을 위한 SRS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빔은 전송 설정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state)라고도 불린다. TCI state에는 의사 코로케이션(Quasi Co-location, QCL) Type D 정보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빔 적용 시간은 TCI state의 적용 시간이라고도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개시되는 빔 적용 방법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하는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수와 형태는 예시를 위해서만 사용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한정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적용에서는 2개 또는 2개 이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개 또는 2개 이상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이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와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102)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은 각종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제5세대(5th generation, 5G) 이동 통신 시스템, 5G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기타 미래의 신형 이동 통신 시스템 등이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사이드 링크는 사이드 링크 또는 다이렉트 업링크라고도 불릴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엔티티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진화형 기지국(evolved NodeB, eNB),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NR 시스템에서의 차세대 기지국(next generation NodeB, gNB), 다른 미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또는 무선 피델리티(wireless fidelity, WiFi) 시스템에서의 액세스 노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기술과 구체적인 디바이스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집중 유닛(central unit, CU)과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CU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이라고도 불리고, CU-DU의 구조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를 들어 기지국의 프로토콜층을 분리하고, 일부 프로토콜층의 기능을 CU로 집중 제어시키고, 나머지 일부 또는 모든 프로토콜층의 기능을 DU로 분산하여, CU에 의해 DU를 집중 제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102)는 휴대폰 등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측 엔티티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terminal), 사용자 기기(user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 디바이스(mobile terminal, MT)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스마트카, 휴대전화(mobile phone), 웨어러블 디바이스, 태블릿(Pad), 무선 송수신 기능이 있는 컴퓨터,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단말 디바이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단말 디바이스, 공업 제어(industrial control)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자율주행(self-driving)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원격 수술(remote medical surgery)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스마트그리드(smart grid)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운송 안전(transportation safety)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스마트시티(smart city)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스마트 홈(smart home)의 무선 단말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기술과 구체적인 디바이스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Rel-16에서, PDCCH, PDSCH, PUSCH, PUCCH 및/또는 참조 신호 등의 빔은 독립적으로 지시된다. 상기 참조 신호는 CSI-RS, SRS, PRS, TRS 등을 포함하고, CSI-RS는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을 위한 CSI-RS, 빔 측정을 위한 CSI-RS 또는 pathloss 추정을 위한 CSI-RS를 포함하고, SRS는 코드북(codebook) 또는 비코드북(non-codebook)에 기반한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을 위한 SRS, 또는 빔 측정을 위한 SRS 또는 포지셔닝 측정을 위한 SRS를 포함하고, 또한 PDCCH와 PUCCH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를 사용하여 1개의 빔을 액티브화한다. 한편, PDSCH와 PUSCH는 DCI 신호에 따라 각각의 빔을 지시한다. 현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하기 위해, 공통 빔(common beam)을 사용하는 방법이 가능하고, common beam은 현재 업링크 전송의 독립 업링크 전송 설정 지시 상태(separate UL TCI state)와 다운링크 전송의 독립 다운링크 전송 설정 지시 상태(separate DL TCI state)에 의해 별도로 지시되거나 또는 업다운링크의 연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joint TCI state)에 의해 연합되어 지시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이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common beam을 지시하는 경우, 당해 common beam은 사용자 기기(UE) 전용 PDCCH 등 단말 디바이스의 PDSCH 및 일부/전부의 PDCCH에 사용될 수 있고, 기지국이 업링크에 사용되는 common beam을 지시하는 경우, 당해 common beam은 단말의 PUSCH 및 일부/전부의 PUCCH에 사용될 수 있다.
DCI에 의해 지시되는 unified TCI state에 대해, 현재 당해 DCI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확인 문자(Acknowledge character, ACK) 피드백의 송신 후 T시간 이후에, 당해 DCI에 의해 지시되는 unified TCI state를 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되고, 즉 빔 적용 시간 beam application time은 HARQ ACK 피드백의 송신 후의 T 시간 이후이다. 그러나, 현재, 트랜스캐리어 지시 중인 경우, beam application time의 결정 방법이 부족하기 때문에, 트랜스캐리어 지시 중에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는 것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통신 시스템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 방안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라면 시스템 아키텍처의 진화와 새로운 서비스 장면의 출현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 방안은 동일한 기술 문제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를 상세하게는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적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201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고,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의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 또는 공통 전송 설정 지시 상태(common TCI state)에 따라 빔을 지시하고, 상기 빔은 공통 빔(common beam)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DCI에서의 unified TCI state 또는 common TCI state를 수신한 후, 빔을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빔의 적용을 시작하는 시간점이고, 통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 적용 시간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DCI에서의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수신한 후에,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빔의 적용을 시작하는 시간점이고, 통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 적용 시간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DCI에서의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수신한 후에,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며, 빔 적용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는 다운링크 할당 지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DCI는 상기 PDSCH의 시간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다운링크 할당 지시 정보 DL assignment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할당 지시 정보 DL assignment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은 상기 DCI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복수의 심볼 이후이다.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의 적용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은 정방향 오류 정정 코딩(forward error correction, FEC)과 자동 재전송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 ARQ)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기술이다.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수신측에서 FEC 기술을 사용하여 모든 오류 중 정정 가능한 부분을 수정하고, 오류 검출을 수행하여 정정할 수 없는 패킷을 판단하며, 정정할 수 없는 패킷을 버리고, 동일한 패킷을 송신측에 재송신하도록 요청한다.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상기 확인 문자(ACK)는 상기 수신측이 송신측에 송신한 피드백 정보이다.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측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HARQ ACK을 송신한 시간의 복수의 심볼 후의 시간은 상기 빔 적용 시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대한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1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1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2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2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의 전송 시간의 제1 수의 심볼 후이다. 상기 제1 수의 심볼은 다운링크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e, SCS)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및/또는,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2 수의 심볼 후이다. 상기 제2 수의 심볼은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e, SCS)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수의 심볼은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며, N의 값이 12 또는 14이고, 또한,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수의 심볼은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며, 또한,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제1 수의 값 및/또는 제2 수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제1 수의 값과 제2 수의 값은 같을 수 있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수의 심볼 및/또는 상기 제2 수의 심볼을 결정하고,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3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3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1 시간 값일 수 있고, 상기 제1 시간 값은 상기 심볼 수가 아니라 시간 절대값이다. 즉,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 1 시간 값 이후이다. 상기 제1 시간 값의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자가 실시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상기 제1 시간 값의 구체적인 수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시간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즉,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얼마든지 상관없이,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은 모두 제 1 시간 값 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또는,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3 수의 심볼 후이다. 상기 제3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SCS)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즉,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 사이의 하나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제3 수의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를 결정한다. 당해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다른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도 같은 시간 이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제3 수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제3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SCS)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제3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SCS)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가리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수의 심볼을 결정하고, 상기 HARQ ACK 피드백의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거나, 상기 제1시간 값과 상기 HARQ ACK 피드백의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즉, 상기 DCI는 동일 캐리어에서의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TCI state를 지시한다.
또는,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캐리어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거나 같다. 즉, 상기 DCI는 서로 다른 캐리어에서의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TCI state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4 수의 심볼과 제5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5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6 수의 심볼과 제7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6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7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DCI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고,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수의 심볼을 결정한 후, 추가의 수의 심볼을 결정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정비례하고,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제5 수의 심볼이다.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4 수의 심볼과 제5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의 전송 시간의 제4 수의 심볼과 제5 수의 심볼의 합 후이다.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및/또는,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고,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6 수의 심볼을 결정한 후, 추가의 수의 심볼을 결정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정비례하고,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제7 수의 심볼이다.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6 수 심볼과 제7 수 심볼의 합 후이다.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4 수의 심볼은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며, 또한,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5 수의 값이 임을 가리키고, d1은 심볼 개수의 값이고, 2μDL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2μDCI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제5 수의 값이 결정된 후, 제5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제4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같고,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수의 심볼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며, N의 값이 12 또는 14이고, 또한,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7 수의 심볼이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7 수의 값이 임을 가리키고, d2는 심볼 개수의 값이고, 2μUL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2μDCI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제7 수의 값이 결정된 후, 제7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제6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같고,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제4 수의 값 및/또는 제6 수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제4 수의 값과 제6 수의 값은 같을 수 있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d1 및/또는 d2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서브 캐리어 간격과 d1 및/또는 d2의 매핑 테이블에 따라 단말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수 및/또는 제5 수 및/또는 제6 수 및/또는 제7 수의 심볼을 결정하고, 상기 HARQ ACK 피드백의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2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8 수의 심볼과 제9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2 시간 값일 수 있고, 상기 제2 시간 값은 상기 심볼 수가 아닌 시간 절대값이다. 즉,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 2 시간 값 이후이다. 상기 제2 시간 값의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자가 실시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상기 제2 시간 값의 구체적인 수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시간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는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즉,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얼마이든 간에,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은 모두 제2 시간 값 이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또는,
상기 DCI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고,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8 수의 심볼을 결정한 후, 추가의 수의 심볼을 결정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정비례하고,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제9 수의 심볼이다.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8 수의 심볼과 제9 수의 심볼의 합 후이다.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는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즉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제8 수의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제9 수의 값을 결정한다. 당해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다른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도 같은 시간 이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또는,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고,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8 수의 심볼을 결정한 후, 추가의 수의 심볼을 결정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정비례하고,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제9 수의 심볼이다.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 후의 상기 제8 수의 심볼과 제9 수의 심볼의 합 후이다.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는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즉,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제8 수의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제9 수의 값을 결정한다. 당해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다른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도 같은 시간 이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8 수의 심볼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며, N의 값이 12 또는 14이고, 또한,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9 수의 심볼이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9 수의 값이 임을 가리키고, d3는 심볼 개수의 값이고, 2μUL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2μDCI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제9 수의 값이 결정된 후, 제9 수의 심볼 중의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제8 수의 심볼 중의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같고, 업링크 전송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8 수의 심볼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며, 또한,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9 수의 심볼이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9 수의 값이 임을 가리키고, d4는 심볼 개수의 값이고, 2μDL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2μDCI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제9 수의 값이 결정된 후, 제9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제8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같고,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제8 수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d3 및/또는 d4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서브 캐리어 간격과 d3 및/또는 d4의 매핑 테이블에 따라 단말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전송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2 시간 값과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고,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어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복조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와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은,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로 다른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 또는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빙 셀과 비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빔 적용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301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고,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DCI)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의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 또는 공통 전송 설정 지시 상태(common TCI state)에 따라 빔을 지시하고, 상기 빔은 공통 빔(common beam)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DCI에서의 unified TCI state 또는 common TCI state를 수신한 후, 빔을 적용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빔을 적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DCI에 따라 빔에 대응하는 빔 적용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빔의 적용을 개시하는 시간점이고, 통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 적용 시간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DCI에서의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수신한 후에,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며, 빔 적용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본 출원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예에서, 각각 네트워크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의 각도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에서의 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구성 플러스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상기 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각 기능 중의 하나의 기능은 하드웨어 구성,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구성 플러스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장치(40)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40)는 송수신 모듈(401)과 처리 모듈(402)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모듈(401)은 송신 모듈 및/또는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 모듈이 송신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고, 수신 모듈이 수신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고, 송수신 모듈(401)이 송신 기능 및/또는 수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는 단말 디바이스(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 내의 장치일 수도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와 매칭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또는 통신 장치(4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장치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매칭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가 단말 디바이스(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수신 모듈과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고,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의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 또는 공통 전송 설정 지시 상태(common TCI state)에 따라 빔을 지시하고, 상기 빔은 공통 빔(common beam)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DCI에서의 unified TCI state 또는 common TCI state를 수신한 후, 빔을 적용할 수 있다.
결정 모듈은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빔의 적용을 시작하는 시간점이고, 통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 적용 시간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DCI에서의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수신한 후에,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며, 빔 적용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일 구현 형태에서, 상기 DCI는 다운링크 할당 지시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DCI는 상기 PDSCH의 시간 주파수 자원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다운링크 할당 지시 정보 DL assignment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다운링크 할당 지시 정보 DL assignment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구현 형태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은 상기 DCI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복수의 심볼 뒤이고,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은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의 적용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은 정방향 오류 정정 코딩(forward error correction, FEC)과 자동 재전송 요청(Automatic Repeat Request, ARQ)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기술이다.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수신측에서 FEC 기술을 사용하여 모든 오류 중 정정 가능한 부분을 수정하고, 오류 검출을 수행하여 정정할 수 없는 패킷을 판단하며, 정정할 수 없는 패킷을 버리고, 동일한 패킷을 송신측에 재송신하도록 요청한다.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상기 확인 문자(ACK)는 상기 수신측이 송신측에 송신한 피드백 정보이다.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수신측이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상기 HARQ ACK을 송신한 시간의 복수의 심볼 후의 시간은 상기 빔 적용 시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대한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일 구현된 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1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1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2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2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의 전송 시간의 제1 수의 심볼 후이다. 상기 제1 수의 심볼은 다운링크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e, SCS)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및/또는,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2 수의 심볼 후이다. 상기 제2 수의 심볼은 업링크 서브 캐리어 간격(sub-carrier space, SCS)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수의 심볼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며, 또한,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수의 심볼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며, 또한,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제1 수의 값 및/또는 제2 수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제1 수의 값과 제2 수의 값은 같을 수 있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수의 심볼 및/또는 상기 제2 수의 심볼을 결정하고,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구현 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3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3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1 시간 값일 수 있고, 상기 제1 시간 값은 상기 심볼 수가 아니라 시간 절대값이다. 즉,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 1 시간 값 이후이다. 상기 제1 시간 값의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자가 실시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상기 제1 시간 값의 구체적인 수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1 시간 값은 네트워크측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즉,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얼마든지 상관없이,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은 모두 제 1 시간 값 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또는,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3 수의 심볼 후이다. 상기 제3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SCS)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즉,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 사이의 하나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제3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를 결정한다. 당해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다른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도 같은 시간 이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제3 수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제3 수의 심볼이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SCS)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제3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SCS)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가리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수의 심볼을 결정하고,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시간 값과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구현 형태에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캐리어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거나 같다.
구현 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4 수의 심볼과 제5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5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6 수의 심볼과 제7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6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7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을 위?h 빔 적용 시간인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DCI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고,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수의 심볼을 결정한 후, 추가의 수의 심볼을 결정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정비례하고,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제5 수의 심볼이다.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4 수의 심볼과 제5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의 전송 시간의 제4 수의 심볼과 제5 수의 심볼의 합 후이다.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및/또는,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고,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6 수의 심볼을 결정한 후, 추가의 수의 심볼을 결정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정비례하고,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제7 수의 심볼이다.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6 수 심볼과 제7 수 심볼의 합 후이다.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4 수의 심볼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며, 또한,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5 수의 심볼이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5 수의 값이 임을 가리키고, d1은 심볼 개수의 값이고, 2μDL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2μDCI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제5 수의 값이 결정된 후, 제5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제4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같고,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6 수의 심볼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며, 또한,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7 수의 심볼이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7 수의 값이 임을 가리키고, d2는 심볼 개수의 값이고, 2μUL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2μDCI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제7 수의 값이 결정된 후, 제7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제6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같고,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제4 수의 값 및/또는 제6 수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제4 수의 값과 제6 수의 값은 같을 수 있거나, 또는 다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d1 및/또는 d2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서브 캐리어 간격과 d1 및/또는 d2의 매핑 테이블에 따라 단말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4 수 및/또는 제5 수 및/또는 제6 수 및/또는 제7 수의 심볼을 결정하고,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구현 형태에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2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8 수의 심볼과 제9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또는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DCI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고,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상기 제2 시간 값일 수 있고, 상기 제2 시간 값은 상기 심볼 수가 아닌 시간 절대값이다. 즉,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 2 시간 값 이후이다. 상기 제2 시간 값의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자가 실시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본 개시는 상기 제2 시간 값의 구체적인 수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 형태에서, 상기 제2 시간 값은 네트워크측에 의해 설정된다. 즉,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얼마든지 간에,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 모두 제 2 시간 값 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는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또는,
상기 DCI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고,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8 수의 심볼을 결정한 후, 추가의 수의 심볼을 결정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정비례하고,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제9 수의 심볼이다.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8 수의 심볼과 제9 수의 심볼의 합 후이다.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는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즉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제8 수의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제9 수의 값을 결정한다. 당해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다른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도 같은 시간 이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또는,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고,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8 수의 심볼을 결정한 후, 추가의 수의 심볼을 결정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정비례하고,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반비례한다. 상기 추가의 수의 심볼은 상기 제9 수의 심볼이다. 상기 빔 적용 시간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확인 문자(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제8 수의 심볼과 제9 수의 심볼의 합 후이다. 상기 심볼은 시간 심볼이고,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는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즉,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제8 수의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제9 수의 값을 결정한다. 당해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다른 경우, 업링크 전송과 다운링크 전송도 같은 시간 이후에 DCI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를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8 수의 심볼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며, 또한, 예를 들어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9 수의 심볼이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9 수의 값이 임을 가리키고, d3는 심볼 개수의 값이고, 2μUL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2μDCI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제9 수의 값이 결정된 후, 제9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제8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같고,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8 수의 심볼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가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15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14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며, 또한,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30KHz인 경우, 각 슬롯(slot)의 시간 길이는 0. 5ms이고, 하나의 slot이 N개의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1/28ms이고, N의 값이 12 또는 14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9 수의 심볼이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은 상기 제9 수의 값이 임을 가리키고, d4는 심볼 개수의 값이고, 2μDL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고, 상기 2μDCI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다. 제9 수의 값이 결정된 후, 제9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는 제8 수의 심볼 중 각 심볼이 차지하는 시간 길이와 같고,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제8 수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d3 및/또는 d4의 값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서브 캐리어 간격과 d3 및/또는 d4의 매핑 테이블에 따라 단말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업링크 전송 및/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거나, 상기 제2시간 값과 상기 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일 구현 형태에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이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보다 작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제때에 처리할 수 없고, 추가적인 지연, 즉 추가적인 심볼이 필요하다.
구현 형태에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동기 신호 블록(SSB),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복조 참조 신호(DMRS), 및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 형태에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와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현 형태에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은,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로 다른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 또는,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빙 셀과 비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4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경우, 송신 모듈과 적용 모듈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은 단말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고,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신호(DCI)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의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unified TCI state) 또는 공통 전송 설정 지시 상태(common TCI state)에 따라 빔을 지시하고, 상기 빔은 공통 빔(common beam)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DCI에서의 unified TCI state 또는 common TCI state를 수신한 후, 빔을 적용할 수 있다.
적용 모듈은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빔을 적용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DCI에 따라 빔에 대응하는 빔 적용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빔의 적용을 개시하는 시간점이고, 통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 적용 시간을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DCI에서의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수신한 후에,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 따라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을 결정하며, 빔 적용을 수행하는 것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빔이 일치하도록 확보하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다른 통신 장치(50)의 구조 개략도이다. 통신 장치(5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는 칩, 칩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고, 단말 디바이스가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는 칩, 칩 시스템, 또는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당해 장치는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통신 장치(5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50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 또는 중앙 프로세서일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중앙 처리 유닛은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베이스밴드 칩, 단말 디바이스, 단말 디바이스 칩, DU 또는 CU 등)를 제어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50)에는 컴퓨터 프로그램(503)이 저장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의 메모리(502)가 더 포함될 수 있고, 통신 장치(50)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501)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503)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메모리(502)에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통신 장치(50)와 메모리(502)는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통합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50)는 트랜시버(504), 안테나(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504)는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송수신 유닛, 트랜시버 또는 송수신 회로 등으로 부를 수 있다. 트랜시버(504)는 수신기와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기는 수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수신기 또는 수신 회로 등으로 불릴 수 있고, 송신기는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송신기나 송신 회로 등으로 불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5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회로(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회로(506)는 코드 명령을 수신하여 프로세서(501)로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서(501)는 상기 코드 명령을 수행하여, 통신 장치(50)가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통신 장치(50)가 단말 디바이스(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등)인 경우, 프로세서(501)는 도 2의 단계 S202, 도 3a의 단계 S302, 도 4의 단계 S402, 도 5의 단계 S502, 또는 도 6의 단계 S604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트랜시버(504)는 도 6의 단계 S601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통신 장치(5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경우, 트랜시버(504)는 도 2의 단계 S201, 도 3a의 단계 S301, 도 4의 단계 S401, 도 5의 단계 S501, 또는 도 6의 단계 S603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프로세서(501)는 도 6의 단계 S602를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일 구현 형태에서, 프로세서(501)에는 수신 및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트랜시버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트랜시버는 송수신 회로일 수 있고, 또는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인터페이스 회로일 수도 있다. 수신과 송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송수신 회로,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는 분리될 수 있고,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송수에 사용신 회로,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데이터의 읽기/쓰기에 사용되거나, 상기 송수신 회로, 인터페이스 또는 인터페이스 회로는 신호의 전송 또는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 형태에서, 프로세서(501)는 컴퓨터 프로그램(503)이 프로세서(501)에서 수행하여,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을 통신 장치(50)에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503)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503)은 프로세서(501) 내에 고정될 수 있고, 당해 경우, 프로세서(501)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구현 형태에서, 통신 장치(50)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회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 송신 또는 수신 또는 통신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프로세서와 송수신기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아날로그IC,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 RFIC, 혼합신호IC, 특정용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및 전자 기기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당해 프로세서와 송수신기는 각종 IC 프로세스 기술, 예를 들어 상보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N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nMetal-oxide-semiconductor, NMOS), P형 금속 산화물 반도체(positive channel metal oxide semiconductor, PMOS),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및 양극 CMOS(BiCMOS) 및 실리콘 게르마늄(SiGe), 갈륨비소(GaAs) 등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지만, 본 출원의 설명에서 통신 장치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신 장치의 구조는 도 5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통신 장치는 독립된 디바이스일 수 있고, 또는 큰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장치는 이하의 (1)~(6)일 수 있다.
(1) 독립된 집적 회로 IC 또는 칩 또는 칩 시스템 또는 서브 시스템.
(2) 하나 또는 복수의 IC를 가진 집합, 선택적으로, 당해 IC 집합은 데이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3) ASIC, 예를 들면 모뎀(Modem).
(4) 다른 디바이스 내에 내장할 수 있는 모듈.
(5) 수신기, 단말, 지능형 단말, 셀룰러 전화기, 무선 장치, 핸드헬드, 이동 유닛, 차량용 장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클라우드 장치 및 인공지능 장치 등.
(6) 기타
통신 장치가 칩 또는 칩 시스템일 수 있는 경우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칩의 구조 개략도를 참조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칩은 프로세서(601)와 인터페이스(602)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601)의 수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고, 인터페이스(602)의 수는 복수일 수 있다.
칩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상기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고,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칩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인터페이스(602)는 단말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빔을 적용한다.
선택적으로, 칩은 메모리(603)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603)는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나열한 다양한 설명성 로직 블록(illustrative logical block)들 및 단계(step)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 설계 요건에 따라 달라진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 응용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된다.
본 출원 실시예는 빔 적용 시스템을 더 제공하고, 해당 시스템은 전술한 도 4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디바이스)로서의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또는, 해당 시스템은 전술한 도 5의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전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디바이스)로서의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의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본 출원는 저장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당해 명령이 수행될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 실시 예의 기능이 구현된다.
본 출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방법 실시 예의 기능이 구현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기타 임의의 결합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할 경우,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에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로딩되어 실행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의 프로세스 또는 기능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기타 프로그램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명령은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의 방식을 통해 다른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이거나 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이용 가능한 매체에 의해 집적된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데이터 저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고체상태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 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에 언급된 제1, 제2 등 각종 숫자 번호는 설명의 편리를 위해 구분하는 것에 불과하고, 본 출원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거나 전 후 순서를 나타내는 것에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 중의 적어도 하나는하나 또는 복수로 설명될 수 있고, 복수는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제1", "제2", "제3", "A", "B", "C" 및 "D" 등으로 해당 기술적 특징 중의 기술적 특징을 구분하고, 해당 "제1", "제2", "제3", "A", "B", "C" 및 "D"가 설명하는 기술적 특징 사이는 선후 순서 또는 크기 순서가 없다.
본 출원 중 각각의 테이블에 나타난 대응 관계들은 구성되거나 미리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테이블에서의 정보 값은 단지 예시일 뿐이고, 다른 값일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정보와 각각의 파라미터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성할 때, 각각의 테이블에 나타난 모든 대응 관계들을 구성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출원 중의 테이블에서, 일부 행들에 나타난 대응 관계는,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상술한 테이블에 기초하여, 분할, 병합 등의 적절한 변형 조절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테이블에서 제목에 나타난 매개변수의 명칭은 통신 장치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다른 이름을 채택할 수 있고, 매개변수의 값 또는 표시 방식도 통신 장치가 이해할 수 있는 다른 값 또는 표현 방식일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테이블이 구현될 때, 다른 데이터 구조 예를 들어, 어레이, 큐, 용기, 스택, 선형 테이블, 포인터, 링크 리스트, 트리, 그래프, 구조, 클래스, 힙, 해시 테이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미리 정의된 것은 정의된 것, 미리 정의된 것, 저장된 것, 미리 저장된 것, 미리 협상된 것, 미리 구성된 것, 고정된 것, 또는 미리 소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예시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방식으로 수행되는 지 여부는 기술적 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전문적인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한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분명히 알 수 있는 것은 설명의 편의상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프로세스는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것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출원이 개시한 기술 범위 내에서 수정 또는 교체를 쉽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Claims (30)

  1. 단말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빔 적용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함 -; 및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확인(HARQ ACK) 피드백 전송 시간의 복수의 심볼 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1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1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2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2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3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3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캐리어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4 수의 심볼과 제5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5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6 수의 심볼과 제7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6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7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2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8 수의 심볼과 제9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동기 신호 블록(SSB),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복조 참조 신호(DMRS), 및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와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은,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로 다른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 또는,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빙 셀과 비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1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는 빔 적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함 -;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빔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방법.
  13. 빔 적용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 -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함 -; 및
    상기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에 대응하는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및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DCI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 확인(HARQ ACK)피드백의 전송 시간의 복수의 심볼 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1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1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2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2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 인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1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3 수의 심볼이고, 상기 제3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 또는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또는,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캐리어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4 수의 심볼과 제5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5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및,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6 수의 심볼과 제7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6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7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심볼의 시간 길이는 제2 시간 값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심볼은 제8 수의 심볼과 제9 수의 심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8 수의 심볼은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9 수의 심볼은 상기 DCI의 서브 캐리어 간격과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빔 적용 시간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상기 다운링크 전송의 빔 적용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캐리어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고, 상기 DCI에 대응하는 서브 캐리어 간격은 상기 업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및 다운링크 전송의 서브 캐리어 간격 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전송은 다운링크 채널 및 다운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동기 신호 블록(SSB),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복조 참조 신호(DMRS), 및 포지셔닝 참조 신호(P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채널 및 업링크 참조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채널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사운딩 참조 신호(SRS)와 DM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CI와 상기 업링크 전송 및 다운링크 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는 것은,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로 다른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 또는,
    상기 서로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서빙 셀과 비 서빙 셀에 대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24. 빔 적용 장치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에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 - 상기 DCI가 통합 전송 설정 지시 상태를 포함함 -;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에 따라 빔을 적용하기 위한 적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적용 장치.
  25.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제12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통신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명령을 수행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8. 통신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코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 명령을 수행하여 제12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9.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수행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0.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수행되는 경우, 제12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47007276A 2021-08-05 2021-08-05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 KR202400420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111038 WO2023010473A1 (zh) 2021-08-05 2021-08-05 一种波束应用的方法及其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012A true KR20240042012A (ko) 2024-04-01

Family

ID=7887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276A KR20240042012A (ko) 2021-08-05 2021-08-05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42012A (ko)
CN (1) CN113785645A (ko)
WO (1) WO2023010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8642A1 (en) * 2022-03-25 2023-09-28 Qualcomm Incorporated Beam application time with bandwidth part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24000203A1 (zh) * 2022-06-28 2024-01-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传输配置指示tci状态使用时间的确定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5826B2 (en) * 2019-11-08 2023-02-28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update timing for uplink signals
EP4274288A1 (en) * 2020-12-29 2023-11-08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Beam indication method, beam ind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3170335B (zh) * 2021-03-04 2023-09-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波束配置方法、波束配置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0473A1 (zh) 2023-02-09
CN113785645A (zh)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10471A1 (zh) 一种传输配置指示tci状态配置的方法及其装置
EP4322648A1 (en) Time-domai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EP43625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ross-carrier wave beam service time
EP4322443A1 (en) Frequency hopp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3206179A1 (zh) 一种确定传输配置指示状态的方法及装置
KR20240042012A (ko) 빔 적용 방법 및 그의 장치
CN115004835A (zh) 一种终端设备调度方法及其装置
CN114208354A (zh) 物理下行共享信道pdsch配置方法及装置
CN113169831B (zh) 一种上行控制信息uci的资源映射方法及其装置
WO2024000203A1 (zh) 一种传输配置指示tci状态使用时间的确定方法及其装置
CN115735350A (zh) 一种信息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191101A (zh) 一种传输配置指示状态的指示方法及装置
KR20240024238A (ko)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 빔 회복 방법 및 그의 장치
WO2023133742A1 (zh) 物理下行共享信道的处理时间参数的确定方法及装置
EP4362564A1 (en) Timing relationship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WO2023151047A1 (zh) 一种终端设备调度方法及其装置
WO2023245499A1 (zh) 一种发送接收点trp的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050212A1 (zh) 一种cg资源的harq反馈的方法及其装置
CN116325582A (zh) 一种混合自动重传请求harq的配置方法及装置
CN116210265A (zh) 混合自动重传请求harq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JP2024512749A (ja)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伝送方法及び装置
CN115918208A (zh) 混合自动重传请求反馈方法及装置
CN115336222A (zh) 一种混合自动重传请求harq反馈的确定方法及其装置
CN116941306A (zh) 一种通信方法及其装置
CN115943648A (zh) 一种多播广播服务mbs的半持续调度方法及其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