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927A - 사용자 장비 능력 기반 송신 구성 표시자 상태 구성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 능력 기반 송신 구성 표시자 상태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927A
KR20240041927A KR1020247003640A KR20247003640A KR20240041927A KR 20240041927 A KR20240041927 A KR 20240041927A KR 1020247003640 A KR1020247003640 A KR 1020247003640A KR 20247003640 A KR20247003640 A KR 20247003640A KR 20240041927 A KR20240041927 A KR 20240041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ci state
type
state mode
tci
network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톈양 바이
얀 저우
타오 루오
준이 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2/074318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015134A1/en
Publication of KR20240041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는 송신 구성 표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UE는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다수의 다른 양태들이 설명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 능력 기반 송신 구성 표시자 상태 구성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출원은 "USER EQUIPMENT CAPABILITY-BAS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CONFIGURATION"라는 명칭으로 2021년 8월 6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63/260,037호, 및 "USER EQUIPMENT CAPABILITY-BAS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CONFIGURATION"라는 명칭으로 2022년 6월 29일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제17/809,689호(이의 양수인에게 양도됨)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선행 출원들의 개시는 본 특허 출원의 일부로 간주되고 본 특허 출원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의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및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능력 기반 송신 구성 표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 구성을 위한 기술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텔레포니(telephony),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원격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배치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등)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액세스 기술들의 예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및 LTE(Long Term Evolution)를 포함한다. LTE/LTE-어드밴스드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공표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모바일 표준에 대한 향상들의 세트이다.
무선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UE) 또는 다중의 UE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통신들 및 업링크 통신들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DL")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UL")는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상기 다중 액세스 기술들은 상이한 UE들이, 도시 레벨, 국가 레벨, 지역 레벨, 및/또는 글로벌 레벨 상에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통신 표준들에서 채택되어 왔다. 5G로서 지칭될 수 있는 뉴 라디오(NR)는 3GPP에 의해 공포된 LTE 모바일 표준에 대한 향상물들의 세트이다. NR은,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하고, 비용들을 낮추고, 서비스들을 개선하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이용하고, 다운링크 상에서는 CP(cyclic prefix)를 갖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CP-OFDM)을 사용하고 업링크 상에서는 CP-OFDM 및/또는 SC-FDM(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또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으로 알려짐)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빔형성,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안테나 기술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여 다른 개방형 표준들과 더 양호하게 통합함으로써 모바일 브로드밴드 인터넷 액세스를 더 양호하게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LTE, NR, 및 다른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의 추가적인 향상들이 계속 유용하다.
상이한 버전들의 빔 표시가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이한 사용 사례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Release 15(R15) 타입 빔 표시는 단일 사용 빔 표시(예컨대, 단일 통신 인스턴스에서의 단일 채널에 대한 단일 빔의 표시)를 제공한다. 3GPP Release 16(R16) 타입 빔 표시는 다중 송신 수신 포인트(TRP)(mTRP) 통신 배치에 대해 정의된다. 3GPP Release 17(R17) 타입 빔 표시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의 조인트 표시에 대해 정의된다.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일부 사용 사례들은 특정 버전의 빔 표시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사용 사례들은 R16 타입 빔 표시(예컨대, mTRP 사용 사례)와 호환될 수 있지만, 다른 사용 사례들은 R16 타입 빔 표시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단일 타입의 빔 표시를 사용하도록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기지국) 및 UE를 구성하는 것은 이러한 타입의 빔 표시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사용 사례들에서 사용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타입들의 빔 표시는 일부 사용 사례들에서 네트워크에 대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단일 타입의 빔 표시를 사용하도록 네트워크 엔티티 및 UE를 구성하는 것은 특정 사용 사례에 대한 더 효율적인 타입의 빔 표시(예컨대, 더 적은 신호들, 신호들의 더 적은 오버헤드 등)의 사용을 방지함으로써 네트워크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경우들에서, 허용된 경로 손실(pathloss) 기준 신호들의 최대 수량은 활성 업링크 TCI 상태들의 수량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빔 오정렬(misalignment)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통신은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UE에 의해 지원될 수 있거나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일부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사용자 UE에 관한 것이다. UE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 프로세서들은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일부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UE로부터,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 프로세서들은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UE로부터,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은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일부 양태들은 UE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명령들의 세트는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UE로 하여금,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 명령들은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UE로 하여금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명령들의 세트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네트워크 엔티티로 하여금, UE로부터,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게 할 수 있다. 하나 이상 명령들은 네트워크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네트워크 엔티티로 하여금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UE로부터,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본 방법은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본 방법은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일부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UE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장비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일부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엔티티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일부 양태들은 UE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명령들의 세트는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UE로 하여금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명령들의 세트는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UE로 하여금,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한 무선 통신을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명령들의 세트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네트워크 엔티티로 하여금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게 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명령들의 세트는 네트워크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네트워크 엔티티로 하여금,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사용자 장비(UE)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본 장치는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사용자 장비(UE)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본 장치는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도면들과 명세서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및 첨부 도면들과 명세서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방법, 장치,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사용자 장비, 기지국, 네트워크 엔티티, 네트워크 노드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이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본 개시에 따른 예들의 특징들 및 기술적 이점들을 상당히 광범위하게 요약하였다.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개시된 개념 및 특정 예들은 본 개시의 동일한 목적들을 실행하기 위해 다른 구조들을 수정 또는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한 동등한 구조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들의 특성들, 즉, 이들의 구성 및 동작 방법 둘 모두는, 연관된 이점들과 함께,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때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 각각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제공되며, 청구항의 제한들의 정의로서 제공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양태들이 예시에 의해 일부 예들에 대해 설명되지만, 당업자들은 그러한 양태들이 많은 상이한 배열들 및 시나리오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법들은 상이한 플랫폼 타입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형상들, 크기들 및/또는 패키징 배열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양태들은 집적 칩 실시예들 또는 다른 비-모듈-컴포넌트 기반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들, 차량들, 통신 디바이스들, 컴퓨팅 디바이스들, 산업 장비, 소매/구매 디바이스들, 의료 디바이스들, 및/또는 인공 지능 디바이스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양태들은 칩-레벨 컴포넌트들, 모듈러 컴포넌트들, 비-모듈러 컴포넌트들, 비-칩-레벨 컴포넌트들, 디바이스-레벨 컴포넌트들, 및/또는 시스템-레벨 컴포넌트들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양태들 및 특징들을 통합하는 디바이스들은 청구되고 설명된 양태들의 구현 및 실시를 위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 및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목적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예컨대, 안테나들, 무선 주파수(RF) 체인들, 전력 증폭기들, 변조기들, 버퍼들, 프로세서들, 인터리버들, 가산기들, 및/또는 합산기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양태들은 다양한 크기, 형상 및 구성의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시스템들, 분산형 배열들, 및/또는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들에서 실시될 수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의 상기 인용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도록, 상기 간략하게 요약된 더 구체적인 설명이 양태들을 참조하여 행해질 수 있으며, 그 양태들 중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설명이 다른 균등하게 유효한 양태들에 허용될 수 있기 때문에, 첨부된 도면들이 본 개시의 특정한 통상적인 양태들만을 예시하며,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UE(user equipment)와 통신하는 기지국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물리적 채널들 및 기준 신호들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기지국과 UE 간의 통신을 위해 빔들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UE 능력 기반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 구성과 연관된 예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UE 능력 기반 TCI 상태 구성과 연관된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장치들의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O-RAN) 아키텍처의 예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UE 능력 기반 TCI 상태 구성과 연관된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들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완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양태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그리고 당업자들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범위가, 본 개시의 임의의 다른 양태와는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또는 임의의 다른 양태와 조합되어 구현되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시의 임의의 양태를 커버하도록 의도됨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임의의 수의 양태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에 추가로 또는 그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본 개시의 임의의 양태는 청구항의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제 전기통신 시스템들의 몇몇 양태들이 다양한 장치들 및 기법들을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이러한 장치들 및 기법들은,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집합적으로, "엘리먼트들"로 지칭됨)에 의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고 첨부한 도면들에서 예시될 것이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될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양태들이 5G 또는 NR(New Radio) RAT(radio access technology)와 일반적으로 연관된 용어를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수 있지만, 본 개시의 양태들은 3G RAT, 4G RAT 및/또는 5G(예컨대, 6G)에 후속하는 RAT와 같은 다른 RAT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100)의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5G(예컨대, NR) 네트워크 및/또는 4G(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의 엘리먼트들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10)(BS(110a), BS(110b), BS(110c), 및 BS(110d)로서 도시됨), 사용자 장비(UE)(120) 또는 다수의 UE들(120)(UE(120a), UE(120b), UE(120c), UE(120d), 및 UE(120e)로서 도시됨),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UE들(120)과 통신하는 엔티티이다. 기지국(110)(때때로 BS로서 지칭됨)은, 예를 들어, NR 기지국, LTE 기지국, Node B, eNB(예를 들어, 4G에서), gNB(예를 들어, 5G에서),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송신 수신 포인트(TRP)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10)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용어 "셀"은 그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의존하여, 기지국(110)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타입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비교적 넓은 지리적 영역(예컨대, 반경 수 킬로미터)을 커버할 수 있고, 서비스 가입들을 갖는 UE들(120)에 의한 제한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 있고, 서비스 가입을 한 UE들(120)에 의한 제한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 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집)을 커버할 수 있고, 펨토 셀과의 연관을 갖는 UE들(120)(예를 들어, CSG(closed subscriber group) 내의 UE들(120))에 의한 제한적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기지국(110)은 매크로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다. 피코 셀에 대한 기지국(110)은 피코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다. 펨토 셀에 대한 기지국(110)은 펨토 기지국 또는 홈-내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BS(110a)는 매크로 셀(102a)에 대한 매크로 기지국일 수 있고, BS(110b)는 피코 셀(102b)에 대한 피코 기지국일 수 있고, BS(110c)는 펨토 셀(102c)에 대한 펨토 기지국일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의 또는 다수의(예를 들어, 3개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셀은 반드시 정지식일 필요는 없을 수 있으며, 셀의 지리적 영역은 이동식인 기지국(110)(예를 들어, 모바일 기지국)의 위치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들(110)은 임의의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 물리적 접속, 또는 가상 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백홀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서로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1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들(110) 또는 네트워크 노드들(도시되지 않음)에 상호접속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국은, 업스트림 스테이션(예컨대, 기지국(110) 또는 UE(120))으로부터 데이터의 송신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예컨대, UE(120) 또는 기지국(110))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할 수 있는 엔티티이다. 중계국은 다른 UE들(120)에 대한 송신들을 중계할 수 있는 UE(120)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BS(110d)(예컨대, 중계 기지국)는 BS(110a)와 UE(120d)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BS(110a)(예컨대, 매크로 기지국) 및 UE(120d)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들을 중계하는 기지국(110)은 중계국, 중계 기지국, 중계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110), 이를 테면, 매크로 기지국들, 피코 기지국들, 펨토 기지국들, 중계 기지국들 등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들 상이한 타입들의 기지국들(110)은 무선 네트워크(100)에 있어서 상이한 송신 전력 레벨들,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 및/또는 간섭에 대한 상이한 영향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들은 높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어, 5 내지 40 와트)을 가질 수 있는 반면, 피코 기지국들, 펨토 기지국들, 및 중계 기지국들은 더 낮은 송신 전력 레벨들(예를 들어, 0.1 내지 2 와트)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기지국들(110)의 세트에 커플링하거나 또는 그와 통신할 수 있고, 이들 기지국들(110)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백홀 통신 링크를 통해 기지국들(110)과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110)은 무선 또는 유선 백홀 통신 링크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들(120)은 무선 네트워크(100) 전체에 걸쳐 산재될 수 있고, 각각의 UE(120)는 정지식 또는 이동식일 수 있다. UE(120)는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 단말, 이동국, 및/또는 가입자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UE(120)는 셀룰러 폰(예를 들어, 스마트 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태블릿, 카메라, 게이밍 디바이스, 넷북, 스마트북, 울트라북, 의료 디바이스, 생체인식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워치, 스마트 의류, 스마트 안경, 스마트 손목밴드, 스마트 주얼리(예컨대, 스마트 반지 또는 스마트 팔찌)),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컨대, 뮤직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및/또는 위성 라디오), 차량용 컴포넌트 또는 센서, 스마트 계측기/센서, 산업용 제조 장비,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및/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엔티티(기지국(110))는 상이한 카테고리들의 상이한 UE들(120), 상이한 능력들을 지원하는 상이한 UE들을 서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덜 진보된 능력(예컨대, 더 낮은 능력 및/또는 감소된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제1 카테고의 UE들 및 더 진보된 능력(예컨대, 더 높은 능력)을 갖는 제2 카테고의 UE들을 서빙할 수 있다. 제1 카테고리의 UE는 다른 예들 중에서 특히, 제2 카테고리의 UE들에 비해 감소된 특징 세트를 가질 수 있고, 감소된 능력(reduced capability, RedCap) UE, 하위 계층 UE, 및/또는 NR-Lite UE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카테고리의 UE는 예를 들어, 도 1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계 타입 통신(MTC) UE, 향상된 MTC(eMTC) UE, 및/또는 사물 인터넷(IoT) UE일 수 있다. 제2 카테고리의 UE는 다른 예들 중에서 특히, 제2 카테고리의 UE들에 비해 진보된 특징 세트를 가질 수 있고, 베이스라인 UE, 상위 계층 UE, NR UE, 및/또는 프리미엄 UE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1 카테고리의 UE는 제2 (이후) 무선 통신 표준이 아닌 제1 (이전) 무선 통신 표준의 요건들을 만족시키는 능력들을 갖는 한편, 제2 카테고리의 UE는 제2 (이후) 무선 통신 표준(및 또한, 일부 경우들에서, 제1 무선 통신 표준)의 요건들을 만족시키는 능력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카테고리의 UE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특히, 제2 카테고리의 UE들보다 더 낮은 최대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지원할 수 있고/있거나(예컨대, 256 직교 진폭 변조(QAM) 등에 비해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 등), 제2 카테고리의 UE들보다 더 낮은 최대 송신 전력을 지원할 수 있고, 제2 카테고리의 UE들보다 덜 진보된 빔형성 능력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예컨대, 제2 카테고리의 UE들만큼 빔을 형성할 수 없을 수 있음), 제2 카테고리의 UE들보다 더 긴 프로세싱 시간을 가질 수 있고/있거나, 제2 카테고리의 UE들만큼 최대 대역폭 부분 상에서 통신할 수 없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카테고리의 UE들은 단축된 송신 시간 간격(TTI)(예컨대, 서브 캐리어 간격에 따라 1 ms 이하, 0.5 ms, 0.25 ms, 0.125 ms, 0.0625 ms 등의 슬롯 길이 등)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제1 카테고리의 UE들은 단축된 TTI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일부 UE들(120)은 MTC 또는 eMTC UE들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MTC UE 및/또는 eMTC UE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기지국(110)),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원격 디바이스), 또는 일부 다른 엔티티와 통신할 수 있는로봇, 드론, 원격 디바이스, 센서, 계측기, 모니터, 및/또는 위치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UE들(120)은 사물 인터넷(Internet-of-Things; IoT) 디바이스들로 고려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NB-IoT(협대역 IoT) 디바이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UE들(120)은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로 고려될 수 있다. UE(120)는 프로세서 컴포넌트들 및/또는 메모리 컴포넌트들과 같은 UE(120)의 컴포넌트들을 수납하는 하우징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프로세서 컴포넌트들 및 메모리 컴포넌트들은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메모리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메모리)은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전자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또는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의 무선 네트워크들(100)이 주어진 지리적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100)는 특정 RAT를 지원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RAT는 라디오 기술, 에어 인터페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주파수는 또한, 캐리어, 주파수 채널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주파수는 상이한 RAT들의 무선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주어진 지리적 영역에서 단일 RAT를 지원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NR 또는 5G RAT 네트워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2개 이상의 UE들(120)(예를 들어, UE(120a) 및 UE(120e)로 도시됨)은 (예를 들어, 서로 통신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기지국(110)을 사용함이 없이) 하나 이상의 사이드링크 채널들을 사용하여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120)은 P2P(peer-to-peer) 통신들, D2D(device-to-device) 통신들, V2X(vehicle-to-everything) 프로토콜(예를 들어, V2V(vehicle-to-vehicle) 프로토콜, V2I(vehicle-to-infrastructure) 프로토콜 또는 V2P(vehicle-to-pedestrian)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음), 및/또는 메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에서, UE(120)는 스케줄링 동작들, 자원 선택 동작들, 및/또는 기지국(11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설명된 다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의 디바이스들은 주파수 또는 파장에 의해 다양한 클래스들, 대역들, 채널들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는 전자기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100)의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동작 대역들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5G NR에서 2개의 초기 동작 대역들은 주파수 범위 지정들 FR1(410 ㎒ - 7.125 ㎓) 및 FR2(24.25 ㎓ - 52.6 ㎓)로서 식별되었다. FR1의 일부가 6 ㎓를 초과하지만, FR1은 종종 다양한 문헌들 및 논문들에서 "서브-6 ㎓" 대역으로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됨을 이해해야 한다. "밀리미터 파" 대역으로서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에 의해 식별되는 EHF(extremely high frequency) 대역(30 ㎓ - 300 ㎓)과는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문헌들 및 논문들에서 "밀리미터파" 대역으로서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되는 FR2와 관련하여 유사한 명명법 문제가 때때로 발생한다.
FR1과 FR2 사이의 주파수들은 종종 중간대역 주파수들로 지칭된다. 최근의 5G NR 연구들은 이러한 중간대역 주파수들에 대한 동작 대역을 주파수 범위 지정 FR3(7.125 ㎓ - 24.25 ㎓)으로서 식별하였다. FR3 내에 속하는 주파수 대역들은 FR1 특성들 및/또는 FR2 특성들을 계승할 수 있고, 따라서 FR1 및/또는 FR2의 특징들을 중간대역 주파수들로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5G NR 동작을 52.6 ㎓를 넘어 확장시키기 위해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이 현재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더 높은 동작 대역들은 주파수 범위 지정들 FR4a 또는 FR4-1(52.6 ㎓ - 71 ㎓), FR4(52.6 ㎓ - 114.25 ㎓), 및 FR5(114.25 ㎓ - 300 ㎓)로서 식별되었다. 이러한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 각각은 EHF 대역 내에 속한다.
위의 예들을 염두에 두고,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서브-6 ㎓" 등의 용어는 6 ㎓ 미만일 수 있거나, FR1 내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중간 대역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는 주파수들을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로, 구체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밀리미터파" 등의 용어는 중간 대역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FR2, FR4, FR4-a 또는 FR4-1, 및/또는 FR5 내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EHF 대역 내에 있을 수 있는 주파수들을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작 대역들(예컨대, FR1, FR2, FR3, FR4, FR4-a, FR4-1 및/또는 FR5)에 포함된 주파수들은 수정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들은 그러한 수정된 주파수 범위들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고려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UE(120)는 통신 관리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통신 관리자(140)는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고;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된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통신 관리자(140)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고;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통신 관리자(14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통신 관리자(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통신 관리자(150)는 UE로부터,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고;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된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통신 관리자(150)는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고;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통신 관리자(15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1는 예로서 제공된다. 다른 예들은 도 1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UE(120)와 통신하는 기지국(110)의 예(2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110)은 안테나들 (234a 내지 234t), 이를 테면 T 개의 안테나들(T ≥ 1)의 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UE(120)는 안테나들(252a 내지 252r), 이를 테면 R 개의 안테나들(R ≥ 1)의 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 송신 프로세서(220)는 UE(120)(또는 UE들(120)의 세트)를 위해 의도된, 데이터 소스(212)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20)는 UE(120)에 대한 하나 이상의 MCS들을, 그 UE(120)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표시자(CQI)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110)는 UE(120)에 대해 선택된 MCS(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UE(120)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및 변조)할 수 있고, UE(120)에 대한 데이터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반-정적 리소스 파티셔닝 정보(semi-static resource partitioning information)에 대한) 시스템 정보 및 제어 정보(예를 들어, CQI 요청들, 승인들, 및/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를 프로세싱하고, 오버헤드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20)는 기준 신호들(예를 들어, 셀 특정 기준 신호(CRS) 또는 복조 기준 신호(DMRS)) 및 동기화 신호들(예를 들어, 일차 동기화 신호(PSS) 또는 이차 동기화 신호(SSS))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TX)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프로세서(230)는 적용가능한 경우,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오버헤드 심볼들, 및/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예를 들어,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출력 심볼 스트림들의 세트(예를 들어, T 개의 출력 심볼 스트림들)를 모뎀들(232a 내지 232t)로서 도시된 대응하는 모뎀들(232)의 세트(예를 들어, T 개의 모뎀들)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은 모뎀(232)의 변조기 컴포넌트(MOD로서 도시됨)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모뎀(232)은 개개의 변조기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OFDM에 대해) 개개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모뎀(232)은 추가로 개개의 변조기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또는 상향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모뎀들(232a 내지 232t)은 안테나들(234a 내지 234t)로서 도시된 대응하는 안테나들(234)의 세트(예를 들어, T 개의 안테나들)를 통해 다운링크 신호들의 세트(예를 들어, T 개의 다운링크 신호들)를 송신할 수 있다.
UE(120)에서, 안테나들(252)의 세트(안테나들 (252a 내지 252r)로서 도시됨)는 기지국(110) 및/또는 다른 기지국들(110)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모뎀들(254a 내지 254r)로서 도시된 모뎀들(254)의 세트(예컨대, R 개의 모뎀들)에 수신 신호들의 세트(예컨대, R 개의 수신 신호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수신된 신호는 모뎀(254)의 복조기 컴포넌트(DEMOD로서 도시됨)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모뎀(254)은 개개의 복조기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또는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모뎀(254)은 복조기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OFDM에 대해) 입력 샘플들을 추가로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256)는 모뎀들(254)로부터의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고, 적용가능한 경우, 수신된 심볼들에 대해 MIMO 검출을 수행할 수 있고,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58)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및 디코딩)할 수 있고, UE(120)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260)에 제공할 수 있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28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제어기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채널 프로세서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파라미터,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파라미터,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파라미터, 및/또는 CQI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12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하우징(284)에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통신 유닛(294), 제어기/프로세서(290), 및 메모리(292)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통신 유닛(294)을 통해 기지국(110)과 통신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예컨대, 안테나들(234a 내지 234t) 및/또는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은 다른 예들 중에서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들, 하나 이상의 안테나 그룹들,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안테나 패널, 안테나 그룹,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세트, 및/또는 안테나 어레이는 (단일의 하우징 또는 다중의 하우징들 내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공면(coplanar)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세트, 비-공면(non-coplanar)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세트, 및/또는 도 2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송신 및/또는 수신 컴포넌트들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에서, UE(120)에서, 송신 프로세서(264)는 데이터 소스(262)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280)로부터의 (예를 들어, RSRP, RSSI, RSRQ 및/또는 CQI를 포함하는 보고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는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들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266)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모뎀들(254)에 의해 (예를 들어, DFT-s-OFDM, 또는 CP-OFDM을 위해) 추가로 프로세싱되고, 기지국(110)에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120)의 모뎀(254)은 변조기 및 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120)는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트랜시버는 안테나(들)(252), 모뎀(들)(254), MIMO 검출기(256), 수신 프로세서(258), 송신 프로세서(264), 및/또는 TX MIMO 프로세서(266)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의 양태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280)) 및 메모리(28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 UE(120) 및/또는 다른 UE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234)에 의해 수신되고, 모뎀(232)(예를 들어, 모뎀(232)의, DEMOD로서 도시된 복조기 컴포넌트)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한 경우 MIMO 검출기(236)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 프로세서(238)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되어 UE(120)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239)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240)에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통신 유닛(244)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유닛(244)을 통해 네트워크 제어기(130)와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통신들을 위해 하나 이상의 UE들(120)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스케줄러(24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110)의 모뎀(232)은 변조기 및 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트랜시버를 포함한다. 트랜시버는 안테나(들)(234), 모뎀(들)(232), MIMO 검출기(236), 수신 프로세서(238), 송신 프로세서(220), 및/또는 TX MIMO 프로세서(230)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는(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 임의의 방법의 양태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240)) 및 메모리(24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110)의 제어기/프로세서(240), UE(120)의 제어기/프로세서(280), 및/또는 도 2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UE 능력 기반 TCI 상태 구성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의 제어기/프로세서(240), UE(120)의 제어기/프로세서(280), 및/또는 도 2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는 예를 들어, 도 6의 프로세스(600), 도 7의 프로세스(700), 도 11의 프로세스(1100), 도 12의 프로세스(1200),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프로세스들의 동작들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242) 및 메모리(282)는 기지국(110) 및 UE(120)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메모리(242) 및/또는 메모리(282)는 무선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들(예를 들어,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기지국(110) 및/또는 UE(12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예를 들어, 직접, 또는 컴파일링, 변환, 및/또는 해석 후에)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UE(120), 및/또는 기지국(110)으로 하여금, 예를 들어, 도 6의 프로세서(600), 도 7의 프로세서(700), 도 11의 프로세스(1100), 도 12의 프로세스(1200),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프로세스들의 동작들을 수행 또는 지시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명령들을 실행하는 것은, 다른 예들 중에서도, 명령들을 실행하는 것, 명령들을 변환하는 것, 명령들을 컴파일하는 것, 및/또는 명령들을 해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E(120)는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된 것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UE(120)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고,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고; 및/또는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UE(120)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통신 관리자(140), 안테나(252), 모뎀(254), MIMO 검출기(256), 수신 프로세서(258), 송신 프로세서(264), TX MIMO 프로세서(266), 제어기/프로세서(280) 또는 메모리(28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기지국(110))는 UE로부터,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또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된 것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고,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며; 및/또는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티티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예를 들어, 통신 관리자(150), 송신 프로세서(220), TX MIMO 프로세서(230), 모뎀(232), 안테나(234), MIMO 검출기(236), 수신 프로세서(238), 제어기/프로세서(240), 메모리(242) 또는 스케줄러(24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블록들은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예시되지만, 블록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단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조합 컴포넌트로 또는 컴포넌트들의 다양한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프로세서(264), 수신 프로세서(258) 및/또는 TX MIMO 프로세서(266)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은 제어기/프로세서(280)에 의해 또는 제어기/프로세서(280)의 제어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예로서 제공된다. 다른 예들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3 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서 물리적 채널들 및 기준 신호들의 일 예(300)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채널들 및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은 네트워크 엔티티(302)(예를 들어, 기지국(110)에 대응할 수 있음)로부터 UE(120)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업링크 채널들 및 업링크 기준 신호들은 UE(120)로부터 네트워크 엔티티(302)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채널은 다른 예들 중에서도,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달하는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또는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 (PBCH)을 포함할 수 있다. PDSCH 통신은 PDCCH 통신에 의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채널은 다른 예들 중에서도, 업링크 제어 정보 (UCI)를 전달하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 (PUCCH), 업링크 데이터를 전달하는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 (PUSCH), 또는 초기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 (PRACH)을 포함할 수 있다. UE(120)는 PUCCH 및/또는 PUSCH 상에서 UCI에서 확인응답(ACK) 또는 부정적 확인응답(NACK) 피드백(예를 들어, ACK/NACK 피드백 또는 ACK/NACK 정보)을 송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채널들 및 업링크 채널들과 연관된 빔들이 링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CI 상태는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다운링크 빔 또는 업링크 빔, 다운링크 빔들 또는 업링크 빔들의 쌍, 또는 다운링크 빔들 및 업링크 빔들의 다른 수량에 대한 빔 파라미터들을 식별할 수 있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기준 신호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동기화 신호 블록(SSB), 채널 상태 정보(CSI) 기준 신호(CSI-RS), DMRS, 포지셔닝 기준 신호(PRS) 또는 위상 추적 기준 신호(PTR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기준 신호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사운딩 기준 신호 (SRS), DMRS, 또는 PTRS를 포함할 수 있다.
SSB는 PSS, SSS, PBCH, 및 PBCH DMRS와 같은 초기 네트워크 획득 및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SSB는 때때로 동기화 신호/PBCH (SS/PBCH) 블록으로 지칭된다. 네트워크 엔티티(302)는 다수의 대응하는 빔들 상에서 다수의 SSB들을 송신할 수 있고, SSB들은 빔 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CSI-RS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스케줄링, 링크 적응, 또는 빔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운링크 채널 추정(예를 들어, 다운링크 CSI 포착)에 사용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302)는 UE(120)에 대한 CSI-RS들의 세트를 구성할 수 있고, UE(120)는 구성된 CSI-RS들의 세트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UE(120)는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예들 중에서도 CQI, 프리코딩 행렬 표시자(PMI), CSI-RS 리소스 표시자(CRI), 계층 표시자(LI), 랭크 표시자(RI), 또는 RSRP과 같은 채널 추정 파라미터들을(예를 들어, CSI 보고에서) 네트워크 엔티티(302)는에 보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302)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송신 계층들의 수(예를 들어, 랭크), 프리코딩 행렬(예를 들어, 프리코더), MCS, 또는(예를 들어, 빔 개선 절차 또는 빔 관리 절차를 사용하는) 개선된 다운링크 빔과 같은 UE(120)로의 다운링크 통신들을 위한 송신 파라미터들을 선택하기 위해 CSI 보고를 사용할 수 있다.
DMRS는 연관된 물리적 채널 (예를 들어, PDCCH, PDSCH, PBCH, PUCCH, 또는 PUSCH) 의 복조를 위한 무선 채널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DMRS의 설계 및 맵핑은 DMRS 가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 채널에 특정될 수 있다. DMRS들은 UE 특정적이며, 빔포밍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대역 상에서 송신되기보다는) 스케줄링된 리소스로 한정될 수 있고, 필요한 때에만 송신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DMRS들은 다운링크 통신들 및 업링크 통신들 쌍방을 위해 사용된다.
PTRS는 발진기 위상 잡음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위상 잡음은 발진기 캐리어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PTRS는 위상 잡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밀리미터파 주파수들과 같은 높은 캐리어 주파수들에서 활용될 수 있다. PTRS는 로컬 발진기의 위상을 추적하고 위상 잡음 및 공통 위상 에러 (CPE) 의 억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PTRS들은 (예를 들어, PDSCH 상의) 다운링크 통신들 및 (예를 들어, PUSCH 상의) 업링크 통신들 쌍방을 위해 사용된다.
PRS는 관찰된 도착 시간 차이(OTDOA) 포지셔닝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302)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UE(120)의 타이밍 또는 레인징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PRS는 셀-특정 기준 신호들과의 충돌 및 제어 채널들(예를 들어, PDCCH)과의 겹침을 회피하기 위해 주파수 및 시간의 시프트들과 대각선 패턴들로 맵핑되는 의사-랜덤 QPSK 시퀀스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PRS는 OTDOA 기반 포지셔닝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이웃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검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UE(120)에 의한 검출가능성을 개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UE(120)는 다수의 셀들(예컨대, 기준 셀 및 하나 이상의 이웃 셀들)로부터 PRS를 수신할 수 있고, 다수의 셀들로부터 수신된 PRS들과 연관된 OTDOA 측정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 시간 차이(RSTD)를 보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네트워크 엔티티(302)가 UE(120)에 의해 보고된 RSTD 측정에 기초하여 UE(120)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SRS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스케줄링, 링크 적응, 프리코더 선택, 또는 빔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업링크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302)는 UE(120)에 대한 하나 이상의 SRS 리소스 세트들을 구성할 수 있고, UE(120)는 구성된 SRS 리소스 세트들 상에서 SRS들을 송신할 수 있다. SRS 리소스 세트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업링크 CSI 획득, 상호성-기반 동작들을 위한 다운링크 CSI 획득, 업링크 빔 관리와 같은 구성된 사용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302)는 SRS들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UE(120)와의 통신들을 구성하기 위해 SRS 측정들을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예로서 제공된다. 다른 예들은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UE 간의 통신을 위해 빔들을 사용하는 예(400)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엔티티(402) 및 UE(120)는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402)는 네트워크 엔티티(40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한 UE들(120)로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402) 및 UE(120)는 빔포밍된 통신들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 엔티티(402)는 지향성 송신 빔(예를 들어, 기지국(BS)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NE) 송신 빔)을 사용하여 UE(120)의 방향으로 송신할 수 있고, UE(120)는 지향성 UE 수신 빔을 사용하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각 송신 빔은 다른 예들 중에서, 연관된 빔 ID, 빔 방향, 또는 빔 심볼들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402)는 하나 이상의 송신 빔들(405)을 통해 다운링크 통신들을 송신할 수 있다.
UE(120)는 UE(120)의 수신 회로에서 상이한 빔포밍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UE 수신 빔들(410)을 통해 다운링크 송신들을 수신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UE(120)는 (예를 들어, 송신 빔(405) 및 UE 수신 빔들(410)의 상이한 측정된 조합들의 최상의 채널 품질을 갖는) 비교적 양호한 성능을 제공하는 송신 빔(405-A)으로서 도시된 특정 송신 빔(405)(예를 들어, BS 송신 빔 또는 NE 송신 빔), 및 UE 수신 빔(410-A)으로서 도시된 특정 UE 수신 빔(410)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120)는 어느 송신 빔(405)이 선호되는 송신 빔으로서 UE(120)에 의해 식별되는지의 표시를 송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엔티티(402)가 UE(120)로의 송신들을 위해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UE(120)는 다운링크 통신들(예를 들어, 송신 빔(405-A)과 UE 수신 빔(410-A)의 조합)을 위해 네트워크 엔티티(402)와의 빔 페어 링크(BPL)를 획득 및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확립된 빔 리파인먼트 절차들에 따라 추가로 리파이닝되고 유지될 수 있다.
송신 빔(405) 또는 UE 수신 빔(410)과 같은 다운링크 빔은 TCI 상태와 연관될 수 있다. TCI 상태는 다운링크 빔의 하나 이상의 QCL(Quasi-Colocation) 특성들과 같은 다운링크 빔의 방향성 또는 특징을 표시할 수 있다. QCL 특성은, 다른 예들 중에서, 예를 들어,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확산, 평균 지연, 지연 확산, 또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각 송신 빔(405)은 SSB과 연관될 수 있고, UE(120)는 선호되는 송신 빔(405)과 연관된 SSB의 리소스들에서 업링크 송신들을 송신함으로써 선호되는 송신 빔(405)을 표시할 수 있다. 특정 SSB는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 또는 빔포밍을 위해) 연관된 TCI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402)는 일부 예들에서, TCI 상태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안테나 포트 QCL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운링크 송신 빔(405)을 표시할 수 있다. TCI 상태는 상이한 QCL 타입들(예를 들어, 다른 예들 중에서,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확산, 평균 지연, 지연 확산, 또는 공간 수신 파라미터들의 상이한 조합들에 대한 QCL 타입들)에 대한 하나의 다운링크 레퍼런스 신호 세트(예를 들어, SSB 및 비주기적, 주기적, 또는 반영구적 CSI-RS)와 연관될 수 있다. QCL 타입이 공간 수신 파라미터들을 표시하는 경우들에서, QCL 타입은 UE(120)에서의 UE 수신 빔(410)의 아날로그 수신 빔형성 파라미터들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UE(120)는 TCI 표시를 통해 송신 빔(405)을 표시하는 네트워크 엔티티(40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BPL들의 세트로부터 대응하는 UE 수신 빔(410)을 선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402)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들에 대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세트 및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들에 대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세트를 유지할 수 있다.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들에 대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세트는 네트워크 엔티티(402)가 PDSCH 상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사용하는 빔들에 대응할 수 있다.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들에 대한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세트는 네트워크 엔티티(402)가 PDCCH 상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또는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빔들에 대응할 수 있다. UE (120)는 또한 다운링크 공유 채널 송신들 및 CORESET 송신들을 수신하기 위해 활성화된 TCI 상태들의 세트를 유지할 수 있다. TCI 상태가 UE (120)에 대해 활성화되면, UE (120)는 TCI 상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안테나 구성들을 가질 수 있고, UE (120)는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가중 구성들을 재구성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 (120)에 대한 활성화된 TCI 상태들 (예를 들어, 활성화된 PDSCH TCI 상태들 및 활성화된 CORESET TCI 상태들)의 세트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메시지와 같은 구성 메시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업링크 통신들의 경우, UE(120)는 지향성 UE 송신 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엔티티(402)의 방향으로 송신할 수 있고, 기지국(402)은 지향성 수신 빔(예를 들어, BS 수신 빔 또는 NE 수신 빔)을 사용하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UE 송신 빔은 다른 예들 중에서, 연관된 빔 ID, 빔 방향, 또는 빔 심볼들을 가질 수 있다. UE(120)는 하나 이상의 UE 송신 빔들(415)을 통해 업링크 통신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402)는 하나 이상의 수신 빔들(420)(예컨대, BS 수신 빔 또는 NE 수신 빔)을 통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402)는 (예를 들어, UE 송신 빔들(415) 및 수신 빔들(420)의 상이한 측정된 조합들의 최상의 채널 품질을 갖는) 비교적 양호한 성능을 제공하는 UE 송신 빔(415-A)으로서 도시된 특정 UE 송신 빔(415) 및 수신 빔(420-A)으로서 도시된 특정 수신 빔(420)을 식별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402)는 어느 UE 송신 빔(415)이 선호되는 UE 송신 빔으로서 네트워크 엔티티(402)에 의해 식별되는지의 표시를 송신할 수 있고, 이는 네트워크 엔티티(402)가 UE(120)로부터의 송신들을 위해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UE(120) 및 네트워크 엔티티(402)는 업링크 통신들(예를 들어, UE 송신 빔(415-A)과 수신 빔(420-A)의 조합)을 위해 BPL를 획득 및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확립된 빔 리파인먼트 절차들에 따라 또한 리파이닝되고 유지될 수 있다. UE 송신 빔(415) 또는 수신 빔(420)과 같은 업링크 빔은 공간 관계와 연관될 수 있다. 공간 관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QCL 특성들과 유사하게 업링크 빔의 방향성 또는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상이한 사용 사례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상이한 형태들의 빔 표시가 제안되었다. 3GPP Release 15(R15 또는 Rel-15) 하에서, TCI 상태들은 3GPP Technical Specification(TS) 38.214, Release 15, Version 15.13.0에 관해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운링크 빔 표시에 사용된다. R15에서, 업링크 빔 표시는 공간 관계 정보 또는 공간 관계 표시자(SRI)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R15에서, 다운링크와 업링크 빔 표시들 둘 모두는 예를 들어 단일 통신 기간 동안, 단일 채널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는 DCI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에 대한 TCI 상태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송신할 수 있다. 3GPP Release 16(R16 또는 Rel-16) 하에서, 빔 표시는 3GPP TS 38.214, Release 16, Version 16.6.0에 관해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mTRP 동작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TCI 필드는 단일 TCI 필드를 사용하여 TCI 상태들의 쌍을 식별하는 코드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TCI 상태들의 쌍은 mTRP 배치에서 동작하는 단일 TRP로부터의 빔들의 쌍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TCI 필드는 부모 TRP와 통신하기 위한 TRP에 대한 업링크 빔 및 자식 TRP와 통신하기 위한 TRP에 대한 다운링크 빔을 식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TCI 필드는 자식 TRP들의 쌍과(또는 2개의 별개의 링크들을 사용하는 단일 자식 TRP와) 통신하기 위한 TRP에 대한 다운링크 빔들의 쌍을 식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16 TCI는 PDSCH 송신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3GPP 릴리즈 17(R17 또는 Rel-17) 하에서는, 양방향 빔 표시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TCI 상태는 업링크 빔과 다운링크 빔 둘 모두를 식별할 수 있다(이에 의해 공간 관계 정보 또는 SRI에 대한 필요성을 없앨 수 있음). R17 TCI 상태들의 예들은 3GPP, "Final Report of 3GPP TSG RAN WG1 #103-e v1.0.0", R1-2100001, (Chairman's Notes)에서 더 상세히 찾아볼 수 있다. 빔 표시에 관한 추후 협의들은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다른 타입들의 TCI 상태들을 제공할 수 있거나, TCI 상태들을 다른 타입들의 채널들 또는 시그널링 경로들에 적용하거나, 추가적인 빔들의 수량들 또는 빔 파라미터들 간의 공통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예로서 제공된다. 다른 예들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는 상이할 수 있다.
상이한 버전들의 빔 표시가 상이한 사용 사례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15 타입 빔 표시는 단일 사용 빔 표시(예컨대, 단일 통신 인스턴스에서의 단일 채널에 대한 단일 빔의 표시)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R16 타입 빔 표시는 mTRP 통신 배치에 대해 정의된다. 유사하게, R17 타입 빔 표시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의 조인트 표시에 대해 정의된다. R15 타입, R16 타입, 및 R17 타입 빔 표시를 사용하여 많은 다른 가능한 사용 사례들이 제안되고 구현되었다. 빔 표시의 버전들 사이에 일부 중첩이 있을 수 있지만, 일부 경우들에서, 상이한 버전들의 빔 표시들 사이에는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단일 타입의 빔 표시를 사용하도록 네트워크 엔티티 및 UE를 구성하는 것은 이러한 타입의 빔 표시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시나리오들에서 사용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경우들에서, 허용된 경로 손실 기준 신호들의 최대 수량은 활성 업링크 TCI 상태들의 수량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빔 오정렬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통신은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UE에 의해 지원될 수 있거나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일부 양태들은 상이한 버전들의 빔 표시의 혼합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UE는 UE가 구성되는 빔 표시의 타입 또는 UE가 구성되는 사용 사례에 적용가능한 빔 표시의 타입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제공할 수 있고, 네트워크 엔티티는 UE가 통신을 위한 빔을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표시된 타입의 빔 표시에 따라 해석될 수 있는 빔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UE는 특정 버전의 빔 표시의 사용을 요청할 수 있고, 네트워크 엔티티는 UE에 대한 특정 빔을 구성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UE는 특정 버전의 빔 표시에 따라 제어 정보를 해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UE는 특정 버전의 빔 표시에 따라 UE와 네트워크 엔티티 둘 모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특정 빔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감소된 능력(RedCap) UE가 구성될 수 있고, 일부 송신들에 대해 R17 타입 빔 표시를 사용할 수 있고, 일부 경우들에서, 다른 송신들에 대한 R15 타입 빔 표시들 또는 R16 타입 빔 표시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스위칭하도록 UE 능력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RedCap UE는 RedCap UE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해 정의될 수 있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전력 관리 요건들, 레이턴시 요건들, 또는 신뢰성 요건들의 만족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는 UE가 업링크 또는 조인트 TCI 상태에서 다운링크 소스 기준 신호와 경로 손실 기준 신호 간의 빔 오정렬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 엔티티는 UE 능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운링크 소스 기준 신호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UE 능력 기반 TCI 상태 구성과 연관된 예(500)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500)는 네트워크 엔티티(502)와 UE(120) 사이의 통신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502) 및 UE(120)는 무선 네트워크, 이를 테면 무선 네트워크(100)에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502) 및 UE(120)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포함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도 5에 그리고 참조부호 510에 의해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UE(120)는 UE 능력 표시자를 네트워크 엔티티(502)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20)는 하나 이상의 버전들의 빔 표시가 인에이블되는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들의 지원을 표시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UE(120)는 일원화된 TCI 상태들(예컨대, R17 타입 빔 표시), TCI 상태들 및/또는 공간 관계들(예컨대, R15 타입 또는 R16 타입 빔 표시), 또는 다른 타입의 빔 표시(예컨대, 이후 릴리즈 빔 표시, 예컨대 Release 18, Release 19, 또는 임의의 다른 이후 릴리즈)에 대한 지원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120)는 빔 표시의 표준화되지 않은 타입(예컨대, 네트워크 엔티티(502) 및 UE(120), 예컨대 UE(120)를 빔 표시의 타입으로 구성하는 네트워크 엔티티(502)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빔 표시의 타입)에 대한 지원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E(120)는 UE(120)가 빔 오정렬 이벤트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능력 표시자를 송신할 수 있다. 일례에서, 빔 오정렬 이벤트는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가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 타입 D 기준 신호가 아닐 때(QCL 타입 D 기준 신호가 경로 손실 기준 신호에 대해 표시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제2 예에서, 빔 오정렬 이벤트는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가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아닐 때(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 타입 D 기준 신호가 표시되지 않을 때)(예컨대, 경로 손실 기준 신호는 TCI 상태가 없는 SSB 또는 CSI-RS임) 발생할 수 있다. 빔 오정렬 이벤트의 경우에서, 경로 손실 기준 신호들의 최대 수량은 UE에서의 활성 업링크 TCI 상태들의 수량보다 작을 수 있다.
도 5에 그리고 참조부호 520에 의해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UE(120)는 네트워크 엔티티(502)로부터 빔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502), 예컨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원화된 TCI 상태의 표시자(예컨대, R17 타입 빔 표시), TCI 상태 또는 공간 관계의 표시자(예컨대, R15 타입 또는 R16 타입 빔 표시), 또는 다른 타입의 빔 표시를 송신함으로써, 빔을 구성하는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단일 타입의 TCI 상태를 구성하는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R17 타입 TCI 상태들 또는 R15/R16 타입 TCI 상태들 중 어느 하나 및 공간 관계들만을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UE(120)는 대역(예컨대, FR2)에서의 임의의 캐리어(예컨대, 컴포넌트 캐리어)에서의 R17 타입 TCI로 구성될 때, UE(120)는 R15 타입 빔 표시 또는 R-16 타입 빔 표시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ㄴ대조적으로, UE(120)가 R15 타입 빔 표시(예컨대, TCI, 공간 관계 정보 표시자, 또는 PUCCH 공간 관계 정보 표시자)를 수신할 때, UE(120)는 R15 타입 빔 표시가 적용가능한 동일한 대역의 캐리어들에서 R-17 TCI를 구성하는 R-17 타입 빔 표시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E(120)는 상이한 대역들에서의 상이한 타입들의 TCI 상태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TCI 상태 모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20)는 제1 대역(예컨대, FR1)에 대한 R17 타입 TCI 상태의 표시자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대역(예컨대, FR2)에 대한 R15/R16 타입 TCI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빔 오정렬 이벤트와 관련하여 빔을 구성하는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능력 표시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공간 관계 기준 신호를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 타입 D 기준 신호로서, 공간 관계 기준 신호를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 타입 D 기준 신호 이외로서, 경로 손실 기준 신호로서, 또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 이외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UE 능력 표시자를 수신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예컨대 UE(120)의 타입, UE(120)의 가입자 아이덴티티, 또는 주기적 트리거(예컨대,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빔 표시의 버전을 설정하기로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UE 능력 표시자를 수신하지 않고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E(120)는 사용 사례 기준으로 (예컨대, R15 타입, R16 타입, 또는 R17 타입 빔 표시와 같은 빔 표시의 모드에 대해) UE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TRP 배치에서 동작할 때, UE(120)는 단일 TRP 빔 표시와 연관된 빔 표시 모드의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예컨대, R15 타입, R16 타입, 또는 R17 타입 빔 표시 중 어느 하나). 대조적으로, UE(120)가 다수의 TRP(다중 TRP) 배치에 있을 때, UE(120)는 다중 TRP 빔 표시와 연관된 빔 표시 모드의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예컨대, R15 타입 또는 R16 타입 빔 표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UE(120)는 방향 기준으로 UE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20)는 제1 링크(예컨대, 업링크) 상의 R15 타입 또는 R16 타입 빔 표시에 대한 제1 UE 능력 및 제2 링크(예컨대, 다운링크) 상의 R17 타입 빔 표시에 대한 제2 UE 능력을 보고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빔 표시의 버전에 관한 특정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R15 타입 또는 R16 타입 빔 표시가 발생하고 R17 타입 빔 표시가 발생하지 않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UE(120)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R17 타입 빔 표시가 발생하고 R15 타입 및 R16 타입 빔 표시가 발생하지 않는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UE(120)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120)가 R17 타입 빔 표시에 대한 동작 모드에 있을 때(그리고 대역에서의 임의의 캐리어에서 R17 타입 TCI로 구성될 때), UE(120)는 R15 타입 또는 R16 타입 빔 표시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R17 타입 빔 표시 또는 R15 타입 또는 R16 타입 빔 표시 중 어느 하나가 모든 빔들 또는 채널들에 대해 특정 시간에 인에이블됨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R17 타입 빔 표시가 빔들 또는 채널들의 제1 서브세트에 대해 인에이블됨을 또는 R15 타입 또는 R16 타입 빔 표시 중 어느 하나가 빔들 또는 채널들의 제2 서브세트에 대해 특정 시간에 인에이블됨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빔 기준으로 또는 채널 기준으로 동작 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시구간 기준으로(예컨대, R17 타입 빔 표시가 제1 시간에 인에이블되고 R15 타입 또는 R16 타입 빔 표시가 제2 시간에 인에이블됨), UE 기준으로, 방향(예컨대,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업링크, 다운링크, 또는 사이드링크) 기준으로, 링크 기준으로(예컨대, 제1 업링크 링크에 대한 제1 모드 및 제2 업링크 링크에 대한 제2 모드), 또는 상이한 타입들의 빔 표시를 인에이블하거나 디스에이블하기 위한 다른 세분도를 기준으로 동작 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특정 동작 모드는 어느 빔들이 캐리어 목록에 표시되어 있는지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20)는 R16 타입 다중 빔 표시에서 캐리어(예컨대, 컴포넌트 캐리어) 목록을 수신할 수 있고, R16 타입 다중 빔 표시는 (상이한 캐리어 목록들이 R16 타입 및 R17 타입 빔 표시에 사용될 때) R17 타입 TCI로 구성된 캐리어를 포함하는 동일한 대역에 있는 어떠한 캐리어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R16 타입 및 R17 타입 빔 표시에 대해 상이한 캐리어 목록들이 사용되고 UE(120)가 대역의 캐리어에서 R17 타입 TCI를 구성하는 R17 타입 빔 표시를 수신했을 때, UE(120)는 동일한 대역에서의 캐리어를 식별하는 R16 타입 빔 표시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UE(120)가 전술한 시나리오에서 R16 타입 빔 표시를 수신하는 경우, R16 타입 빔 표시는 R17 타입 TCI를 갖는 캐리어를 갖는 대역과 상이한 대역에서의 캐리어들만을 식별하도록 제약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특정 동작 모드를 설정하거나 활성화하기 위해 동적 시그널링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빔 표시들의 제1 풀(예컨대, R17 타입 빔 표시) 및 빔 표시들의 제2 풀(예컨대, R15 타입 빔 표시들)을 구성하기 위해 RRC 시그널링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 엔티티(502)는 빔 표시들의 제1 풀이 활성인 것과 빔 표시들의 제2 풀이 활성인 것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동적 시그널링으로서 DCI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에 그리고 참조부호 530에 의해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UE(120)는 통신을 위한 빔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20)는 시그널링된 UE 능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R15, R16, 또는 R17 타입 빔 표시(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타입의 빔 표시)에 따른 빔 표시를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UE(120)는 네트워크 엔티티(502)가 통신을 위해 UE(120)에 표시하고 있는 빔 파라미터들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UE(120)가 빔 표시의 제1 타입에 따라 빔 파라미터들을 도출하지만 네트워크 엔티티(502) 빔 표시의 제2 타입에 따라 빔 파라미터들을 시그널링한다면 일어날 수 있는 동기화의 결여를 회피할 수 있다. 동기화의 결여를 회피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UE(120)는 통신이 드롭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한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예로서 제공된다. 다른 예들은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예를 들어, UE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6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600)는 UE(예를 들어, UE(120))가 UE 능력 기반 TCI 상태 구성과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600)는 TCI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블록 610).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통신 관리자(140) 및/또는 송신 컴포넌트(804)를 사용하는) UE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600)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블록 620).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통신 관리자(140) 및/또는 수신 컴포넌트(802)를 사용하는) UE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프로세스(600)는 아래에서 그리고/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스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단일 양태 또는 양태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추가적인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한다.
제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와 조합하여, TCI 상태 모드는: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1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2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3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3 타입, 빔들의 그룹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빔들의 그룹 중 제1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1 타입 및 빔들의 그룹 중 제2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2 타입, 중 하나이다.
제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및 제2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은 UE의 배치 시나리오와 연관된다.
제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통신 방향과 연관된다.
제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보고는 또 다른 통신 방향과 연관된 또 다른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한다.
제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TCI 상태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제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함을 표시하고, 구성 정보는 빔에 대해,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표시한다.
제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된다.
제1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9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없을 때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된다.
제1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0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TCI 상태 모드로 구성된 대역의 각 캐리어는 동적 시그널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CT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공통 TCI 상태 모드로 구성된다.
제1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내지 제11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구성 정보는 캐리어들의 세트에 대한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되고, 캐리어들의 세트는 다른 TCI 상태 모드로 구성된 어떠한 캐리어도 포함하지 않는다.
도 6은 프로세스(600)의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지만,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600)는 도 6에 도시된 것보다 추가적인 블록들, 더 적은 블록들, 상이한 블록들 또는 상이하게 배열된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스(600)의 블록들 중 2개 이상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700)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700)는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다른 예들 중에서 특히, 기지국(110), 네트워크 엔티티(302), 네트워크 엔티티(402),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502))가 UE 능력 기반 TCI 상태 구성과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700)는 UE로부터, TCI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블록 710).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통신 관리자(150) 및/또는 수신 컴포넌트(902)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UE로부터,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700)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블록 720).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통신 관리자(150) 및/또는 송신 컴포넌트(904)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프로세스(700)는 아래에서 그리고/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스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단일 양태 또는 양태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추가적인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한다.
제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와 조합하여, TCI 상태 모드는: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1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2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3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3 타입, 빔들의 그룹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빔들의 그룹 중 제1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1 타입 및 빔들의 그룹 중 제2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2 타입, 중 하나이다.
제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및 제2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은 UE의 배치 시나리오와 연관된다.
제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통신 방향과 연관된다.
제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보고는 또 다른 통신 방향과 연관된 또 다른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한다.
제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TCI 상태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동적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제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함을 표시하고, 구성 정보는 빔에 대해,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표시한다.
제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된다.
제1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9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없을 때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된다.
제1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내지 제10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구성 정보는 제1 TCI 상태 모드 다중 캐리어 빔 표시에 대한 캐리어 목록을 포함하고, 캐리어 목록은 제2 TCI 상태 모드로 구성된 어떠한 캐리어도 식별하지 않는다.
도 7은 프로세스(700)의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지만,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700)는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추가적인 블록들, 더 적은 블록들, 상이한 블록들 또는 상이하게 배열된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스(700)의 블록들 중 2개 이상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장치(800)의 도면이다. 장치(800)는 UE일 수 있거나, UE는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장치(800)는(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스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수신 컴포넌트(802) 및 송신 컴포넌트(80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800)는 수신 컴포넌트(802) 및 송신 컴포넌트(804)를 사용하여 다른 장치(806)(이를테면, UE,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800)는 통신 관리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관리자(140)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빔 관리 컴포넌트(8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장치(800)는 도 5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치(800)는 도 6의 프로세스(600) 또는 도 11의 프로세스(1100)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도 8에 도시된 장치(80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UE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8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컴포넌트들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또는 컴포넌트의 일부)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컴포넌트의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 컴포넌트(802)는 장치(806)로부터 기준 신호들, 제어 정보, 데이터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컴포넌트(802)는 수신된 통신을 장치(8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수신 컴포넌트(802)는 수신된 통신에 대한 신호 프로세싱(이를테면, 다른 예들 중에서도, 필터링, 증폭, 복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디멀티플렉싱, 디인터리빙, 디맵핑, 등화, 간섭 제거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장치(8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수신 컴포넌트(802)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UE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모뎀, 복조기, MIMO 검출기, 수신 프로세서, 제어기/프로세서,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컴포넌트(804)는 기준 신호들, 제어 정보, 데이터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을 장치(806)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장치(8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은 통신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통신을 장치(806)로의 송신을 위해 송신 컴포넌트(804)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송신 컴포넌트(804)는 생성된 통신에 대해 신호 프로세싱(이를테면, 다른 예들 중에서도, 필터링, 증폭, 변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멀티플렉싱, 인터리빙, 맵핑 또는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장치(806)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송신 컴포넌트(804)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UE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모뎀, 변조기, 송신 MIMO 프로세서, 송신 프로세서, 제어기/프로세서,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송신 컴포넌트(804)는 트랜시버의 수신 컴포넌트(802)와 공동위치될 수 있다.
송신 컴포넌트(804)는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 컴포넌트(802)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빔 관리 컴포넌트(808)는 선택된 빔 표시 버전에 따라 TCI 상태를 해석할 수 있다. 수신 컴포넌트(802)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수신 컴포넌트(802) 및/또는 송신 컴포넌트(804)는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수 및 배열은 예로서 제공된다. 실제로, 도 8에 도시된 것보다 추가적인 컴포넌트들, 더 적은 컴포넌트들, 상이한 컴포넌트들 또는 상이하게 배열된 컴포넌트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2개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단일 컴포넌트 내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단일 컴포넌트는 다수의 분산형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세트(하나 이상)는 도 8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다른 세트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장치(900)의 도면이다. 장치(900)는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엔티티가 장치(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장치(900)는(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스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수신 컴포넌트(902) 및 송신 컴포넌트(90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900)는 수신 컴포넌트(902) 및 송신 컴포넌트(904)를 사용하여 다른 장치(906)(이를테면, UE, 기지국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900)는 통신 관리자(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관리자(150)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빔 관리 컴포넌트(9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장치(900)는 도 5 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치(900)는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도 7의 프로세스(700) 또는 도 12의 프로세스(1200)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도 9에 도시된 장치(900) 및/또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9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컴포넌트들의 세트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또는 컴포넌트의 일부)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컴포넌트의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수신 컴포넌트(902)는 장치(906)로부터 기준 신호들, 제어 정보, 데이터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컴포넌트(902)는 수신된 통신을 장치(9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수신 컴포넌트(902)는 수신된 통신에 대한 신호 프로세싱(이를테면, 다른 예들 중에서도, 필터링, 증폭, 복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디멀티플렉싱, 디인터리빙, 디맵핑, 등화, 간섭 제거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장치(9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수신 컴포넌트(902)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모뎀, 복조기, MIMO 검출기, 수신 프로세서, 제어기/프로세서,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컴포넌트(904)는 기준 신호들, 제어 정보, 데이터 통신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을 장치(906)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장치(900)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은 통신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통신을 장치(906)로의 송신을 위해 송신 컴포넌트(904)에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송신 컴포넌트(904)는 생성된 통신에 대해 신호 프로세싱(이를테면, 다른 예들 중에서도, 필터링, 증폭, 변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멀티플렉싱, 인터리빙, 맵핑 또는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싱된 신호들을 장치(906)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송신 컴포넌트(904)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모뎀, 변조기, 송신 MIMO 프로세서, 송신 프로세서, 제어기/프로세서,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송신 컴포넌트(904)는 트랜시버의 수신 컴포넌트(902)와 공동위치될 수 있다.
수신 컴포넌트(902)는 UE로부터,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송신 컴포넌트(904)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것이다. 빔 관리 컴포넌트(908)는 UE 능력 표시자에 기초하여 빔의 표시자를 결정할 수 있고, 장치(906)로 하여금 빔 표시 버전의 구성에 따라 빔을 결정하게 하기 위해 표시자로 하여금 장치(906)에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송신 컴포넌트(902)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수신 컴포넌트(902) 및/또는 송신 컴포넌트(904)는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수 및 배열은 예로서 제공된다. 실제로, 도 9에 도시된 것보다 추가적인 컴포넌트들, 더 적은 컴포넌트들, 상이한 컴포넌트들 또는 상이하게 배열된 컴포넌트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2개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단일 컴포넌트 내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도 9에 도시된 단일 컴포넌트는 다수의 분산형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세트(하나 이상)는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의 다른 세트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O-RAN 아키텍처의 예(10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O-RAN 아키텍처는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1020)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CU)(10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U(1010)는 각자의 미드홀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분산 유닛들(DU들)(1030)과 통신할 수 있다. DU들(1030)은 각자의 프론트홀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들(RU들)(1040)과 각각 통신할 수 있고, RU들(1040)은 무선 주파수(RF) 액세스 링크들을 통해 각자의 UE들(120)과 각각 통신할 수 있다. DU들(1030) 및 RU들(1040)은 또한 각자, O-RAN DU들(O-DU들)(1030) 및 O-RAN RU들(O-RU들)(1040들)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DU들(1030) 및 RU들(1040)은 기지국(110)(예컨대, eNB 또는 gNB)의 기능이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통신하는 DU(1030) 및 하나 이상의 RU들(1040)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적 분할 아키텍처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기지국(110)은 공동 위치되거나 지리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DU(1030) 및 하나 이상의 RU들(10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DU(1030) 및 연관된 RU(들)(1040)는 하위 층 분할(LLS) 제어 평면(LLS-C)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제어 평면 정보를 교환하고/하거나, LLS 관리 평면(LLS-M)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실시간 관리 정보를 교환하고/하거나, LLS 사용자 평면(LLS-U)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평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U(1030)는 하나 이상의 RU들(10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 기능을 포함하는 논리 유닛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양태들에서, DU(1030)는 보다 하위 계층 기능 분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 및 하나 이상의 상위 물리적(PHY) 계층들(예컨대, 순방향 에러 정정(FEC) 인코딩 및 디코딩, 스크램블링, 및/또는 변조 및 복조)을 호스팅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RRC, 및/또는 서비스 데이터 적응 프로토콜(SDAP)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기능들이 CU(1010)에 의해 호스팅될 수 있다. DU(1030)에 의해 제어되는 RU(들)(1040)은 보다 위 계층 기능 분할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여 RF 프로세싱 기능들 및 하위 HY 계층 기능들(예컨대, 고속 푸리에 변환(FFT), 역 FT(iFFT), 디지털 빔형성, 및/또는 PRACH 추출 및 필터링)을 호스팅하는 논리 노드들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O-RAN 아키텍처에서, RU(들)(1040)는 UE(120)와의 모든 OTA(over the air) 통신을 핸들링하고, RU(들)(1040)와의 제어 및 사용자 평면 통신의 실시간 및 비실시간 양태들은 대응하는 DU(1030)에 의해 제어되며, 이는 DU(들)(1030) 및 CU(1010)가 클라우드 기반 RAN 아키텍처에서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도 10는 예로서 제공된다. 다른 예들은 도 10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예를 들어, UE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1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1100)는 UE(예를 들어, UE(120))가 UE 능력 기반 TCI 상태 구성과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1100)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블록 1110). 예를 들어,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통신 관리자(140) 및/또는 수신 컴포넌트(802)를 사용하는) UE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도 11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프로세스(1100)는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블록 1120). 예를 들어,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통신 관리자(140) 및/또는 수신 컴포넌트(802) 및/또는 송신 컴포넌트(804)를 사용하는) UE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스(1100)는, 아래에서 그리고/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스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단일 양태 또는 양태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추가적인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TCI 상태 모드는 일원화된 TCI 상태 또는 Release 15(R15) 또는 Release 16(R16) TCI 상태이다.
제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와 조합하여,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또 다른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어떠한 다른 캐리어에 대해서도 구성되지 않는다.
제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및 제2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또 다른 TCI 상태 모드는 또 다른 대역의 또 다른 캐리어에 대해 구성된다.
제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TCI 상태 모드는: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1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2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3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3 타입, 빔들의 그룹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빔들의 그룹 중 제1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1 타입 및 빔들의 그룹 중 제2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2 타입, 중 하나이다.
제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프로세스(1100)는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된다.
제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및 제5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은 UE의 배치 시나리오와 연관된다.
제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통신 방향과 연관된다.
제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보고는 또 다른 통신 방향과 연관된 또 다른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한다.
제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제1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9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된다.
제1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0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없을 때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된다.
제1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1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함을 표시하고, 구성 정보는 빔에 대해,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표시한다.
제1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2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TCI 상태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1은 프로세스(1100)의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지만,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1100)는 도 11에 도시된 것보다 추가적인 블록들, 더 적은 블록들, 상이한 블록들 또는 상이하게 배열된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스(1100)의 블록들 중 2개 이상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2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프로세스(1200)는 네트워크 엔티티(예컨대, 다른 예들 중에서 특히, 기지국(110), 네트워크 엔티티(302), 네트워크 엔티티(402),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502))가 UE 능력 기반 TCI 상태 구성과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1200)는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블록 1210). 예를 들어,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통신 관리자(150) 및/또는 송신 컴포넌트(904)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이다.
도 12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양태들에 있어서, 프로세스(1200)는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블록 1220). 예를 들어,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통신 관리자(150) 및/또는 수신 컴포넌트(902) 및/또는 송신 컴포넌트(904)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엔티티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스(1200)는 아래에서 그리고/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스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단일 양태 또는 양태들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추가적인 양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양태에서, TCI 상태 모드는 일원화된 TCI 상태 또는 Release 15(R15) 또는 Release 16(R16) TCI 상태이다.
제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와 조합하여,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또 다른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어떠한 다른 캐리어에 대해서도 구성되지 않는다.
제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및 제2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또 다른 TCI 상태 모드는 또 다른 대역의 또 다른 캐리어에 대해 구성된다.
제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TCI 상태 모드는: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1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2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3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제3 타입만, 빔들의 그룹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빔들의 그룹 중 제1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1 타입 및 빔들의 그룹 중 제2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2 타입, 중 하나이다.
제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프로세스(1200)는 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된다.
제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은 UE의 배치 시나리오와 연관된다.
제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통신 방향과 연관된다.
제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보고는 또 다른 통신 방향과 연관된 또 다른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한다.
제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제1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9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된다.
제1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0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없을 때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된다.
제1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1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함을 표시하고, 구성 정보는 빔에 대해,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표시한다.
제1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2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양태와 조합하여,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TCI 상태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동적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2는 프로세스(1200)의 예시적인 블록들을 도시하지만,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1200)는 도 12에 도시된 것보다 추가적인 블록들, 더 적은 블록들, 상이한 블록들 또는 상이하게 배열된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스(1200)의 블록들 중 2개 이상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기 내용은 본 개시의 일부 양태들의 개요를 제공한다:
양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인,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2: 양태 1에 있어서, TCI 상태 모드는 일원화된 TCI 상태 또는 Release 15(R15) 또는 Release 16(R16) TCI 상태인, 방법.
양태 3: 양태 1 내지 양태 2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또 다른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어떠한 다른 캐리어에 대해서도 구성되지 않는, 방법.
양태 4: 양태 1 내지 양태 2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또 다른 TCI 상태 모드는 또 다른 대역의 또 다른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는, 방법.
양태 5: 양태 1 내지 양태 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TCI 상태 모드는: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1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2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3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3 타입, 빔들의 그룹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빔들의 그룹 중 제1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1 타입 및 빔들의 그룹 중 제2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2 타입, 중 하나인, 방법.
양태 6: 양태 1 내지 양태 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방법.
양태 7: 양태 6에 있어서,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은 UE의 배치 시나리오와 연관되는, 방법.
양태 8: 양태 6 내지 양태 7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UE 능력 표시자는 통신 방향과 연관되는, 방법.
양태 9: 양태 8에 있어서, 보고는 또 다른 통신 방향과 연관된 또 다른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0: 양태 6 내지 양태 9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
양태 11: 양태 10에 있어서,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방법.
양태 12: 양태 10 내지 양태 11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없을 때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방법.
양태 13: 양태 10 내지 양태 12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함을 표시하고, 구성 정보는 빔에 대해,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표시하는, 방법.
양태 14: 양태 1 내지 양태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TCI 상태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양태 15: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인,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16: 양태 15에 있어서, TCI 상태 모드는 일원화된 TCI 상태 또는 Release 15(R15) 또는 Release 16(R16) TCI 상태인, 방법.
양태 17: 양태 15 내지 양태 1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또 다른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어떠한 다른 캐리어에 대해서도 구성되지 않는, 방법.
양태 18: 양태 15 내지 양태 1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또 다른 TCI 상태 모드는 또 다른 대역의 또 다른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는, 방법.
양태 19: 양태 15 내지 양태 18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TCI 상태 모드는: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1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2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3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3 타입, 빔들의 그룹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빔들의 그룹 중 제1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1 타입 및 빔들의 그룹 중 제2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제1 타입, 제2 타입, 또는 제3 타입 중 제2 타입, 중 하나인, 방법.
양태 20: 양태 15 내지 양태 19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빔은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방법.
양태 21: 양태 20에 있어서, 보고에서의 UE 능력 표시자의 값은 UE의 배치 시나리오와 연관되는, 방법.
양태 22: 양태 20 내지 양태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UE 능력 표시자는 통신 방향과 연관되는, 방법.
양태 23: 양태 22에 있어서, 보고는 또 다른 통신 방향과 연관된 또 다른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방법.
양태 24: 양태 20 내지 양태 2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
양태 25: 양태 24에 있어서,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의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방법.
양태 26: 양태 24 내지 양태 25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없을 때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방법.
양태 27: 양태 24 내지 양태 2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UE 능력 표시자는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함을 표시하고, 구성 정보는 빔에 대해,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표시하는, 방법.
양태 28: 양태 15 내지 양태 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TCI 상태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양태 29: 디바이스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장치로 하여금 양태 1-양태 14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장치.
양태 30: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양태 1-양태 14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양태 3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양태 1-양태 14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양태 32: 무선 통신을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코드는 양태 1-양태 14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양태 33: 무선 통신을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명령들의 세트는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양태 1-양태 14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양태 34: 디바이스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커플링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장치로 하여금 양태 15-양태 28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장치.
양태 35: 무선 통신을 위한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양태 15-양태 28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양태 36: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양태 15-양태 28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양태 37: 무선 통신을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코드는 양태 15-양태 28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양태 38: 무선 통신을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명령들의 세트는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양태 15-양태 28 중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기 개시는 예시 및 설명을 제공하지만, 포괄적이거나 양태들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들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수정들 또는 변형들이 위의 개시의 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또는 양태들의 실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컴포넌트"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널리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용어로서 지칭되는지에 관계없이, 다른 예들 중에서도,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가능물들, 실행 스레드들, 절차들, 및/또는 함수들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은 상이한 형태들의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이런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제 특수화된 제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코드는 양태들을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므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의 동작 및 거동은 특정 소프트웨어 코드에 대한 참조없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임계치를 만족하는 것"은, 맥락에 의존하여, 값이 임계치 초과인 것, 임계치 이상인 것, 임계치 미만인 것, 임계치 이하인 것, 임계치와 동일한 것, 임계치와 동일하지 않은 것 등을 지칭할 수 있다.
특징들의 특정 조합들이 청구항들에 인용되고 그리고/또는 명세서에 개시되지만, 이러한 조합들은 다양한 양태들의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들 특징들 중 다수는 청구항들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고/않거나 명세서에 개시되지 않은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양태들의 개시는 청구항 세트 내의 모든 다른 청구항과 조합된 각각의 종속 청구항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한, 그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 b, a + c, b + c, 및 a + b + c 뿐만 아니라 다수의 동일한 엘리먼트의 임의의 조합(예컨대, a + a, a + a + a, a + a + b, a + a + c, a + b + b, a + c + c, b + b, b + b + b, b + b + c, c + c, 및 c + c + 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다른 순서화)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어떠한 엘리먼트, 동작 또는 명령도, 이와 같이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한 결정적 또는 필수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관사들("a" 및 "an")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하나 이상"과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정관사 "the"는 정관사 "the"와 관련하여 참조되는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하나 이상"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세트" 및 "그룹"은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하나 이상"과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오직 하나의 항목만이 의도되는 경우, 용어 "오직 하나" 또는 유사한 어구가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가지다(has, have)", "갖는(having)" 등은 이들이 수정하는 엘리먼트를 제한하지 않는 오픈-엔드형(open-ended) 용어들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A를 "갖는" 엘리먼트는 또한 B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구 "에 기반하는"은 달리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으면,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는"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또는"이라는 용어는 연속하여 사용될 때 포괄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예를 들어, "어느 하나" 또는 "중 단 하나"와 조합하여 사용될 때) "및/또는"과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0)

  1. 무선 통신을 위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송신 구성 표시자(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인,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일원화된(unified) TCI 상태 또는 Release 15(R15) 또는 Release 16(R16) TCI 상태인, 무선 통신을 위한 UE.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다른 TCI 상태 모드가 상기 대역의 어떠한 다른 캐리어에 대해서도 구성되지 않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다른 TCI 상태 모드가 다른 대역의 다른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1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2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3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3 타입,
    빔들의 그룹에 대한 빔 표시의 상기 제1 타입,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빔들의 그룹 중 제1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상기 제1 타입,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 중 제1 타입 및 상기 빔들의 그룹 중 제2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상기 제1 타입,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 중 제2 타입
    중 하나인, 무선 통신을 위한 UE.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UE로 하여금: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와 연관된 상기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UE로 하여금: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빔은 상기 보고에서의 상기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에서의 상기 UE 능력 표시자의 값은 상기 UE의 배치(deployment) 시나리오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 능력 표시자는 통신 방향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다른 통신 방향과 연관된 다른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E 능력 표시자는 상기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의 상기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없을 때 상기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E 능력 표시자는 상기 UE가 상기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상기 구성을 지원함을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빔에 대해, 상기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상기 구성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TCI 상태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동적 시그널링을 수신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UE.
  15.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인,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고; 그리고
    상기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일원화된 TCI 상태 또는 Release 15(R15) 또는 Release 16(R16) TCI 상태인,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다른 TCI 상태 모드가 상기 대역의 어떠한 다른 캐리어에 대해서도 구성되지 않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대역의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고,
    다른 TCI 상태 모드가 다른 대역의 다른 캐리어에 대해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파라미터들의 제1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1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2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2 타입,
    파라미터들의 제3 세트를 갖는 빔 표시의 단지 제3 타입,
    빔들의 그룹에 대한 빔 표시의 상기 제1 타입,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빔들의 그룹 중 제1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상기 제1 타입,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 중 제1 타입 및 상기 빔들의 그룹 중 제2 빔에 대한 빔 표시의 상기 제1 타입, 상기 제2 타입, 또는 상기 제3 타입 중 제2 타입
    중 하나인,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0. 제15항에 있어서,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와 연관된 UE의 능력을 식별하는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빔과 연관된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빔은 상기 보고에서의 상기 UE 능력 표시자의 값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에서의 상기 UE 능력 표시자의 값은 상기 UE의 배치 시나리오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UE 능력 표시자는 통신 방향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는 다른 통신 방향과 연관된 다른 UE 능력 표시자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UE 능력 표시자는 상기 UE가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구성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의 상기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빔 오정렬 이벤트는 경로 손실 기준 신호의 표시된 QCL(quasi-co-location) 타입 D 기준 신호가 없을 때 상기 경로 손실 기준 신호가 아닌 TCI 상태에서의 공간 관계 기준 신호와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UE 능력 표시자는 상기 UE가 상기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상기 구성을 지원함을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빔에 대해, 상기 빔 오정렬 이벤트에 관한 상기 구성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TCI 상태 모드들의 세트의 TCI 상태 모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동적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
  29.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인,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30.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으로서,
    송신 구성 표시자(TCI) 상태 모드를 식별하는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TCI 상태 모드는 제1 TCI 상태 모드 또는 제2 TCI 상태 모드인,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TCI 상태 모드와 연관된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의 방법.
KR1020247003640A 2021-08-06 2022-07-29 사용자 장비 능력 기반 송신 구성 표시자 상태 구성 KR202400419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60037P 2021-08-06 2021-08-06
US63/260,037 2021-08-06
US17/809,689 US20230039152A1 (en) 2021-08-06 2022-06-29 User equipment capability-bas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configuration
US17/809,689 2022-06-29
PCT/US2022/074318 WO2023015134A1 (en) 2021-08-06 2022-07-29 User equipment capability-bas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configu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927A true KR20240041927A (ko) 2024-04-01

Family

ID=8515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640A KR20240041927A (ko) 2021-08-06 2022-07-29 사용자 장비 능력 기반 송신 구성 표시자 상태 구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39152A1 (ko)
KR (1) KR20240041927A (ko)
CN (1) CN117837099A (ko)
TW (1) TW2023154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9354B2 (en) * 2021-12-16 2023-12-19 T-Mobile Innovations Llc Managing a baseband network polic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15437A (zh) 2023-04-01
CN117837099A (zh) 2024-04-05
US20230039152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6584049A (zh) 共用波束作为用于非周期性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的默认波束
US20230039152A1 (en) User equipment capability-bas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configuration
US20230096317A1 (en) Cross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group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US20210376977A1 (en) Reference signal grouping for full-duplex operation
US20230039825A1 (en)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for repetition across multiple component carriers
US20230179278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 for cross-link interference
US11902204B2 (en)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mapping
US20240089950A1 (en) Sidelink unifi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US20230058509A1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resource set determination fo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20230345378A1 (en) Reference signal resource power offset
US20230101753A1 (en) Communications associated with different sounding reference signal resource sets
WO2024082258A1 (en) Pathloss reference signal indication
WO2023077345A1 (en) Power control parameter indication in connection with a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WO2023206224A1 (en) Transmissions for overlapp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s 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
US20240007253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processing parameters for dynamic network entity power adaptation
WO2023206190A1 (en) Codebook subset restriction criterion for coherent joint transmission
US20230039103A1 (en) Transmit power control configuration for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 across multiple component carriers
WO2024082165A1 (en) Active bandwidth part for beam application time in unifi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framework
WO2023010509A1 (en)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tci) indication i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scheduling a virtual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WO2023133719A1 (en)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default beam selection
US20240048965A1 (en) Network assistant information for user equipment troubleshooting
WO2023216016A1 (en) Cross-carrier pathloss reference signal indication and beam selection
US20230084678A1 (en)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s for subbands
US20230254870A1 (en) Default beam for cross-carrier scheduling with unifi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WO2023050444A1 (en) Power control config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