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543A - a water extraction device - Google Patents

a water extra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543A
KR20240041543A KR1020220120680A KR20220120680A KR20240041543A KR 20240041543 A KR20240041543 A KR 20240041543A KR 1020220120680 A KR1020220120680 A KR 1020220120680A KR 20220120680 A KR20220120680 A KR 20220120680A KR 20240041543 A KR20240041543 A KR 2024004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ter
seaweed
regular interval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수환
김창희
Original Assignee
한수환
김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환, 김창희 filed Critical 한수환
Priority to KR102022012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543A/en
Publication of KR2024004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54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4/00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 A01D44/02Harvesting of underwater plants, e.g. harvesting of seaweed of lav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김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사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물김 저장백을 보관할 수 있는 채취공간을 형성해 배가 김 양식장을 이동하면서 물김을 채취해 포장되도록 하며, 채취된 물김을 하역장으로 이동해 물김 저장백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편리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물김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십자형태로 교차되게 조립되는 물김 채취 장치(10)로 이루어지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측 체결홈(21)이 형성되는 상부 칸막이(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칸막이(20)와 열십자형태로 교차되게 조립하며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측 체결홈(31)이 형성되는 하부 칸막이(30)를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 칸막이(20, 30)를 배의 상측에 결합해 내부에 채취 공간(60)이 형성되어 물김 저장백(70)를 공급해 배가 이동하면서 양식한 물김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eed coll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collection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seaweed storage bags can be stored by cross-linking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a partition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so that the seaweed is collected as the boat moves through the seaweed farm. This relates to a water mist collection device that collects and packages the collected water vapor, moves it to a loading dock, and lifts the water storage bag with a cran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nloaded.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water collecting devices (10) that are assembled crosswise in a criss-cross pattern;
It includes an upper partition (20) in which lower fastening grooves (2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side,
It includes a lower partition (30) that is assembled to cross the upper partition (20) in a crisscross shape and has upper fastening grooves (3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30) are combi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ip to form a collection space (60) inside, and a water storage bag (70) is supplied to collect water cultured as the ship moves.

Description

물김 채취 장치{a water extraction device}{a water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물김 채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사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교차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다수개의 물김 저장백을 보관할 수 있는 채취공간을 형성해 배가 김 양식장을 이동하면서 물김을 채취해 포장되도록 하며, 채취된 물김을 하역장으로 이동해 물김 저장백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려 편리하게 하역할 수 있도록 하는 물김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eed coll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 collection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seaweed storage bags can be stored by cross-linking each other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a partition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so that the seaweed is collected as the boat moves through the seaweed farm. This relates to a water mist collection device that collects and packages the collected water vapor, moves it to a loading dock, and lifts the water storage bag with a cran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nloaded.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inclusion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김은 양식과정에서 잡 조류가 부착되거나 폐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농사로 치면 농약에 해당되는 약제를 김양식장에 살포하는데, 염산희석제나 유기산제인 이들 약제는 해저에 누적되어 적조와 같은 심각한 해양오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Generally, in order to prevent miscellaneous algae from attaching to seaweed or dying during the seaweed farming process, chemicals equivalent to agricultural pesticides are sprayed on seaweed farms. These chemicals, which are hydrochloric acid diluents or organic acids, accumulate on the seabed and cause serious marine problems such as red tide. It causes pollu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염산이나 유기산을 사용하지 않도록 바다에 떠 있는 김발을 수시로 뒤집어 공기중에 노출함으로써 잡 조류의 부착을 막는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을 하고 있다.Due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order to avoid using hydrochloric acid or organic acids, a flip-type side-stream seaweed farming method is used by frequently flipping seaweed floating in the sea and exposing it to the air to prevent the adhesion of miscellaneous algae.

여기서, 김발은 김의 양식을 위해 김의 홀씨가 붙어 자라도록 설치하는 발로서, 양식장에서는 8월 말이나 9월초쯤 포자인 '사상체'를 모내기 하듯 김발에 옮겨 심은 후 얕은 바다에서 깊은 바다로 옮겨져 본격적으로 김을 키운 뒤 40여일 경과 후 찬바람 부는 가을부터 겨울까지 수확을 하게 된다.Here, the gimbal is a foot installed to allow the spores of seaweed to attach and grow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seaweed. At the fish farm, the spores, 'filaments', are transplanted into the seaweed as if planting rice around late August or early September, and then moved from the shallow sea to the deep sea. After about 40 days of growing seaweed in earnest, it is harvested from fall to winter when the cold wind blows.

이러한, 김발을 이용하는 뒤집기식의 부류식 김양식 방법은, 어민들이 매일같이 어선을 타고 혹한의 바다에 나가 인력으로 김발을 뒤집어 노출과 침수를 번갈아 시행해야 되는데 이를 게을리 하면 김이 폐사하거나 잡 조류가 발생된다.In this flipping type, side-stream seaweed farming method using seaweed, fishermen have to go out to the frigid sea on a fishing boat every day and manually turn over the seaweed, alternating exposure and submersion. If this is neglected, seaweed dies or mixed algae occurs. do.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많은 어민들은 기상조건의 악화나 인력의 한계에 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력튜부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로프로 견인되는 스티로폼 등의 부자(浮子)를 이용하는 노출장치 등이 개량된 적이 있다.Many fishermen who repeatedly perform the above tasks have the problem of worsening weather conditions or limitations in manpow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air is injected into the buoyancy tube or a float such as Styrofoam towed by a rope is used. ), etc., have been improved.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컴프레셔나 동력견인기와 같은 고가의 시설들을 매일 바다에 지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를 개선하고자 등록번호 제10-0219737호 "김발장의 개구부 회전식 자동노출장치" 등이 출원된 바가있다.However, the above method had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ovide expensive facilities such as compressors or power tows to the sea every day, and to improve this, registration number 10-0219737 "Kimbal-Jang's opening rotary automatic exposure device" was applied for. There is a bar.

그러나, 상기에 개시된 문헌의 장치는, 부자가 김발의 외측면 밖으로 돌출되어 물갈퀴팬이 조류에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조력과 파도가 과도하게 작용하면 물갈퀴팬이 공중에 치솟거나 공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김발의 노출선이 낮아지거나 부자가 인근 김발에 엉켜 김발의 파손이 심화됨으로써 채취가 난해한 문제점 등이 있어 실질적인 사용이 이루어지 힘들어 인력을 이용해 뒤집는 통상적인 방법을 행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device of the literature disclosed above, the webbed fan protrudes ou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imbal and rotates due to the current, so when tidal force and waves act excessively, the webbed fan soars in the air or rotates idle, which causes the gimbal to rotate. As the exposed line of the gimbal is lowered or the rich material becomes entangled in nearby gimbals, causing further damage to the gimbal, making it difficult to collect, practical use is difficult, so the usual method of turning over using manpower is being used.

이러한, 김발의 뒤집기 작업은 평균 4일에 한번 씩 뒤집는데 그 이유는 김이 생리적으로 노출과 침수가 번갈아 시행되는 간조대에서 잘 자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This flipping of seaweed is done on average once every 4 days because seaweed has the characteristic of growing well in the tidal zone where physiological exposure and submersion alternate.

전술된 바와 같은 뒤집기 작업은 새벽에 나가 공기 중에 노출되도록 뒤집었다가 오후에 다시 바닷물 속으로 집어넣는 뒤집기 작업이 행해지는 것으로서, 김발을 뒤집는 작업은 통상 2명에서 3명 정도가 어선을 타고 나가서 1인은 어선을 조종하고, 나머지 인원은 갈고리와 같은 도구로 김발을 선수측으로 당긴 후, 어선을 전진시키면서 김발을 밀어 전체적으로 나선형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김발의 뒤집기가 이루어진다.The flipp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involves going out at dawn, exposing the fish to the air, and then putting it back into the seawater in the afternoon. The flipping work is usually done by two to three people going out on a fishing boat. A person controls the fishing boat, and the remaining personnel pull the gimbal toward the bow using a hook-like tool, then push the gimbal while moving the fishing boat forward, causing the entire gimbal to rotate in a spiral, thereby flipping the gimbal.

그리고, 김발에서 김 양식이 완료되면 김발로부터 김을 채취하기 위한 채취작업을 수행하는데, 이 채취작업은 먼저 작업자가 김발을 연결시킨 로프를 막대 등의 걸이장치를 이용해 걸어 어선으로 잡아당겨 위치시키고, 이를 인력이나 잡아당기기 위한 장치로서 잡아당겨 채취를 위한 장치의 상부로 위치되게 한다.And, once the seaweed farming is completed in the seaweed, a harvesting operation is performed to collect seaweed from the seaweed. In this collecting operation, the worker first hangs the rope connecting the seaweed to the seaweed using a hanging device such as a stick, pulls it to a fishing boat, and places it. This is pulled by manpower or a pulling device and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device for collection.

이후, 김발 채취장치를 작동시키면 김발에 붙은 김이 떠러져 채취장치의 하부에 위치된 수거통에 담겨지게 되며, 이때 선박은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하여 작업이 완료된 김발로부터 작업이 필요한 나머지 김발을 채취장치의 위치로 이동되게 하여 연속적인 채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Afterwards, when the seaweed collecting device is operated, the steam attached to the seaweed is broken off and placed in a collection contain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arvesting device. At this time, the ship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the remaining seaweed that needs work is collected from the finished seaweed into the collecting device. Move to the location to ensure continuous collection.

그러나, 이러한 김발로부터 김을 채취하기 위한 작업은 갈고리를 이용한 인력에 의한 것이므로 파고, 풍량, 바람, 해수 등의 기상적인 요인 및 어선내 바닥의 미끄러움, 각종 장비와 구조상의 요인 등에 따른 문제점으로 인하여 작업의 어려움 및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work to collect seaweed from such seaweed is done by manpower using hooks, there are problems caused by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wave height, wind speed, wind, and sea water, the slipperiness of the bottom of the fishing boat, and various equipment and structural factors. There are problems with work difficulties and safety accidents.

또한, 기존의 김발의 채취작업은 인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짐은 물론 작업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추가적인 비용 발생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because the existing gimbal collection work relies on manpower, work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requires a lot of work time, resulting in additional costs.

한편, 김발을 자동으로 어선으로 올리기 위한 장치를 사용할 경우 김발을 연결시킨 로프가 장치로부터 자주 이탈되거나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일이 빈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device for automatically lifting a gimbal onto a fishing bo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ope connecting the gimbal frequently breaks away from the device or is not separated from the device.

따라서, 김발을 효율적으로 뒤집을 수 있고, 종래의 장치에 비해 사용성과 경제성을 갖추어 효율적인 보급이 가능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that can efficiently flip the gimbal, has usability and economics compared to conventional devices, and can be distributed efficiently.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996223호(2019. 06. 28. 등록)[Document 1] Patent Registration No. 1996223 (registered on June 28, 2019)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2118968호(2020. 05. 29. 등록)[Document 2] Patent Registration No. 2118968 (registered on May 29, 2020)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2269388호(2021. 06. 21. 등록)[Document 3] Patent Registration No. 2269388 (registered on June 21, 2021)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2085426호(2020. 02. 28. 등록)[Document 4] Patent Registration No. 2085426 (registered on February 28, 2020)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배의 상부에 합성수지 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에 서로 방향이 다른 체결홈을 형성하여 교차되게 결합해 여러칸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물김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t was devised to solve these conventional shortcomings, 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fastening grooves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partitions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at the top of the ship and connect them crosswise to divide them into several compartme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ater sampling device.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물김 채취 장치의 내부에 각각의 물김 저장백을 설치해 배가 이동하면서 양식한 물김을 채취해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배를 하역장으로 이동해 크레인 등으로 물김 저장백을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힘들이지 않고 하역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each water storage bag inside the water collection device so that the cultured water can be collected and stored while the ship is moving, and by moving the ship to the loading dock and moving the water storage bag with a crane, etc. to the desired location. The purpose is to enable loading and unloading without difficulty.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물김을 채취할 때에만 물김 채취 용기를 배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한 후에는 분리해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water collection container to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side the boat only when collecting water, and to be able to separate and store it after use, allowing it to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본 발명은 열십자형태로 교차되게 조립되는 물김 채취 장치로 이루어지되;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water sampling device that is assembled criss-crosswise;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측 체결홈이 형성되는 상부 칸막이를 포함하며,It includes an upper partition in which lower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side,

상기 상부 칸막이와 열십자형태로 교차되게 조립하며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측 체결홈이 형성되는 하부 칸막이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lower partition that is assembled to cross the upper partition in a crisscross shape and has upper fasten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상기 상, 하부 칸막이를 배의 상측에 결합해 내부에 채취 공간이 형성되어 물김 저장백를 공급해 배가 이동하면서 양식한 물김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are combi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ip to form a collection space inside, and a water storage bag is supplied to collect water cultured as the ship moves.

본 발명의 상부 칸막이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로 중앙 부분에서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하측 체결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과;The upp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stainless steel, and has a plurality of lower fasten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center to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상부 칸막이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로 중앙 부분에서 하측으로 하나의 하측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과;The upp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stainless steel and has one lower fastening groove formed from the center to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상부 칸막이는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상부구멍이 형성되는 것과;The upp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upper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rein;

본 발명의 하부 칸막이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로 중앙 부분에서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상측 체결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과;The low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stainless steel, and has a plurality of upper fastening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center to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하부 칸막이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로 중앙 부분에서 하측으로 하나의 상측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과;The low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stainless steel and has one upper fastening groove formed from the center to the lower side;

본 발명의 하부 칸막이는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하부구멍이 형성되는 것과;The low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lower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rein;

본 발명의 상, 하부 칸막이이 열십자 형태로 교차되는 코너에 양쪽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홈을 관통한 고정스크류과 상, 하부 고정구멍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member with fix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is installed at a corner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intersect in a crisscross shape, and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fixing holes with fixing screws penetrating the fixing grooves.

본 발명은 배의 상부에 합성수지 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에 서로 방향이 다른 체결홈을 형성하여 교차되게 결합해 여러칸으로 구분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배가 이동하면서 물김을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quickly collecting water while the ship moves by forming fastening grooves in different directions on the partitions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at the top of the ship and connecting them crosswise to separate them into several compartments. .

본 발명은 물김 채취 용기의 내부에 각각의 물김 저장백을 설치해 배가 이동하면서 양식한 물김이 채취되며 물김 저장백에 자동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물김의 채취가 종료되면 배를 하역장으로 이동해 크레인 등으로 물김 저장백을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힘들이지 않고 하역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each water storage bag inside the water collection container so that the water cultured as the ship moves can be collected and automatically stored in the water storage bag. When the water collection is completed, the ship is moved to the loading dock and used as a crane, etc. This provides the effect of moving the water storage bag and unloading it to the desired location without difficulty.

본 발명은 물김을 채취할 때에만 물김 채취 용기를 배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한 후에는 분리해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를 평상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allowing the water collection container to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side the boat only when collecting water, and allowing it to be separated and stored after use, allowing the boat to be used for everyday purposes.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물김 채취 용기에 대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하부 칸막이에 대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하부 칸막이에 대한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상부 칸막이에 대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상부 칸막이에 대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분 평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분 단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ollection container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low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main parts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 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Regar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ost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tak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bers are used for component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설치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or "installed on"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installed on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describ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물김 채취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 칸막이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 칸막이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칸막이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칸막이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ollecting container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view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of the low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main parts of the water coll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ross-sectional view, Figure 8 show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자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 칸막이(20)는 절반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에 하측 체결홈(21)을 일정한 간격에 형성하고, 상기 상부 칸막이(20)와 열십자 형태가 되도록 교차되게 결합하는 하부 칸막이(30)는 일자형태로 이루어지며 절반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에 상측 체결홈(31)이 일정한 간격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The upper partition 20, which has a straight shape, has lower fastening grooves 2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wer direction relative to the half, and the lower partition 30 is cross-coupled with the upper partition 20 to form a criss-cross shape. ) has a straight shape and includes upper fastening grooves 3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per direction relative to half.

상기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가 열십자 형태가 되도록 교차되게 배의 상부 공간에 결합해 내부에 채취 공간(60)이 형성되도록 하는 물김 채취 장치(10)를 완성하는 것을 포함한다.It includes completing the water sampling device 10,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space of the ship so that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are crossed in a crisscross shape to form a sampling space 60 therein. .

상기 상부 칸막이(20)는 절반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자형태의 하측 체결홈(21)을 형성해 하부 칸막이(30)가 교차되게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upper partition 20 includes forming straight lower fastening grooves 2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wer direction relative to the half of the upper partition 30 so that the lower partition 30 is interconnected and fixed.

상기 상부 칸막이(2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하면 스테인레스를 사용해 바다에 사용할 때 바닷물에 포함된 염분으로 인한 부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partition 20 is preferably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and if possible, stainless steel is preferably used to reduce corrosion caused by salt contained in seawater when used in the sea.

상기 상부 칸막이(20)는 전체면 또는 상측의 일부 간격을 남기고 균일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구멍(23)을 형성시켜 물김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upper partition 20 by forming upper holes 23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moisture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discharged.

상기 하부 칸막이(30)는 절반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자형태의 상측 체결홈(31)을 형성해 상부 칸막이(20)가 교차되게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lower partition 30 includes forming straight upper fastening grooves 31 at regular intervals in the upper direction relative to the half of the upper partition 20 so that the upper partition 20 is interconnected and fixed.

상기 하부 칸막이(3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하면 스테인레스를 사용해 바다에 사용할 때 바닷물에 포함된 염분으로 인한 부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artition 30 is preferably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and if possible, stainless steel is preferably used to reduce corrosion caused by salt contained in seawater when used in the sea.

상기 하부 칸막이(30)는 전체면 또는 상측의 일부 간격을 남기고 균일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하부구멍(33)을 형성시켜 물김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lower partition 30 by forming lower holes 33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moisture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discharged.

배의 상부에 설치되는 물김 채취 장치(10)는 물김 채취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hip can be used only when performing water collecting work, and includes one that can be separated and stored when not in use.

상기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를 교차되게 결합하여 물김 채취 장치(10)를 배의 상부에 완성하면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의 결합으로 내부에 채취 공간(60)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채취 공간(60)에는 물김을 저장할 수 있는 물김 저장백(70)을 공급한 상태에서 물김 채취 작업을 수행해 간답대를 통하여 양식된 물김을 채취하는 것이다.When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are combined crosswise to complete the water sampling device 10 at the top of the ship,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are combined to create a sampling space 60 inside. ) is formed, and the water harvest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 a water storage bag 70 capable of storing water in the collection space 60, and the cultured water is collected through the gandandae.

상기 물김 채취 장치10)의 내부에 물김 저장백(70)을 공급하고 상측 선단을 벌려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가 되도록 하며, 물김 저장백(70)에 물김이 저장되면 상측에 설치된 끈을 잡아당겨 묶어주는 것을 포함한다.A moisture storage bag (70)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oisture collection device 10, the upper end is opened and moved outward, and when moisture is stored in the moisture storage bag (70), the string installed on the upper side is pulled and tied. Includes giving.

도 9는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분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분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main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lan view, Figure 1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를 길게 하지 않고 하나의 물김 저장백(70)을 넣을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를 형성해 배의 상부에서 바닥면적에 따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교차되도록 결합하는 물김 채취 장치(10)를 설치하는 것이다.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are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 accommodate one water storage bag (70) without lengthening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so that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are formed to cover the floor area from the top of the ship.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 is installed so that it crosses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상부 칸막이(20)는 하측의 중앙에 하나의 하부 체결홈(21)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 칸막이(30)는 상측의 중앙에 하나의 상부 체결홈(31)을 설치하는 것이며,The upper partition 20 has one lower fastening groove 21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partition 30 has one upper fastening groove 31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상기 상부 칸막이(20)의 하부 체결홈(21)과 하부 칸막이(30)의 상부 체결홈(31)이 교차되게 결합되어 열십자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It includes crossing the lower fastening grooves 21 of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upper fastening grooves 31 of the lower partition 30 to form a crisscross shape.

상기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가 열십자 형태로 결합되면, 배의 상측에 제공되는 공간을 따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속해서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를 조립해 나가는 방식으로 물김 채취 장치(10)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are combined in a crisscross shape,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are assembled successively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long the spac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ip. In this way,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 can be completed.

아울러,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의 교차결합으로 채취 공간(60)이 제공되어 물김 저장백(70)을 설치해 물김의 공급량에 따라 밀려 위치가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다라서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가 만나는 부분에서 "ㄱ"자 형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40)를 설치한 후 상기 고정부재(40)의 내부에 고정홈(41)을 형성하여 고정스크류(50)로 관통시켜 상부 칸막이(20)의 상부 고정구멍(22)과 하부 칸막이(30)의 하부 고정구멍(32)에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llection space 60 is provided by cross-coupling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and the water storage bag 70 is install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moved depending on the supply amount of water, so that the upper partition 60 can be moved as needed. After installing the "L" shaped fixing member 40 at the part where the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meet, a fixing groove 41 is formed inside the fixing member 40 to secure the fixing screw ( 50) so that it can be screwed into the upper fixing hole 22 of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fixing hole 32 of the lower partition 30.

상기 고정부재(40)는 하나 또는 다수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길이는 전체 높이 또는 일부의 높이를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It is possible to use one or more fixing members 40, and their length includes having the entire height or a partial height.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물김 채취 장치는,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해 상부 칸막이(20)와 하부 칸막이(30)를 교차되도록 연결하되;In the water samp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partition 20 and the lower partition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metal stainless steel or synthetic resin;

하부 칸막이(30)를 공급한 상태에서 하부 칸막이(30)의 상측에 상부 칸막이(20)를 공급해 상, 하부 칸막이(20, 30)가 열십자 형태가 되도록 교차되게 공급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측 체결홈(31)에 하부 칸막이(30)가 통과되어 결합되는 동시에 하측 체결홈(20)에 상부 칸막이(20)가 통과되어 결합되는 방식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채취 공간(60)을 사각형으로 형성하면서 물김 채취 장치(10)를 배의 상부 공간에 제공하는 것이다.With the lower partition 30 supplied, the upper partition 20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artition 30, and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and 30 are supplied in a criss-cross shape to form an upper fastening groov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ower partition 30 is passed through and coupled to (31) and the upper partition 20 is passed through and coupled to the lower fastening groove 20, creating a sampling space 60 inside. )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the water sampling device 10 is provided in the upper space of the ship.

배의 상부 공간에 물김 채취 장치(10)를 설치한 후 채취 공간(60)에 물김 저장백(70)을 하나씩 공급한 상태에서 배를 이동하면서 양식한 물김을 채취하는 것이다.After installing the water harvesting device 10 in the upper space of the ship, the water storage bags 70 are supplied one by one to the collection space 60, and the cultured water vapor is collected while moving the ship.

상기 배가 이동하면서 양식한 물김을 김발로부터 채취하게 되면 물김 채취 장치(10)의 내부로 이동 공급되면서 채취 공간(60)에 공급한 물김 저장백(70)에 저장되고, 물김 저장백(70)을 가득 체울만큼 채취한 상태에서 물김 저장백(70)의 주둥이를 묶어 고정한 상태로 배를 물김 하역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When the water cultured while the ship moves is collected from the gimbal, it is moved and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harvesting device 10 and stored in the water storage bag 70 supplied to the collection space 60, and the water storage bag 70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bag 70. After collecting enough water to fill it, the ship is moved to the loading dock with the spout of the water storage bag (70) tied and fixed.

물김 하역장에 배가 도착하게 되면 크레인을 이용해 각각의 물김 저장백(70)을 물김 채취 장치(10)에서 분리해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물김을 채취 및 하역해 김을 만들 수 있도록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ship arrives at the seaweed loading dock, each seaweed storage bag (7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aweed collection device (10) using a crane and supplied so that seaweed can be collected and unloaded easily and conveniently to make seaweed. It is possible.

상기 채취 장치(10)의 내부에 혀엉되는 채취 공간(60)은 가로 세로의 크기가 100∼200cm 정도의 크기에서 결정되므로 중량물에 해당하지만, 물김의 채취과정에서 인력의 사용이 없이 배를 운전하는 운전자 혼자서도 편리하게 물김 채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 sampling space 60 located inside the sampling device 10 is a heavy object because its width and height are determined at a size of about 100 to 200 cm, but it can be used to drive a boat without the use of manpower during the water sampling process. The driver alone can conveniently carry out water collection work.

한편, 물김 채취 장치(10)는 배의 상단에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해 설치한 후 물김 채취 장치(10)의 사이에서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물김이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되므로 배의 크기에 따라 설치에 필요한 개수가 달라지게 되며, 물김을 채취하는 기간에만 배에 설치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물김을 채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김 채취 장치(10)의 상, 하부 칸막이(20, 30)를 배에서 제거해 보관하게 되므로 배를 다른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 is installed by connecting it continuously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the top of the ship, and is installed so that no space is created between the water collecting devices 10 so that water does not escap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hip. The number required for installation varies, and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on a ship only during the period of collecting water. If water is not collected,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30)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 are removed from the ship. Because it is stored, the boa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other purposes.

상기 상, 하부 칸막이(20, 30)는 합성수지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성형해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 칸막이(20, 30)에 각각 형성한 상, 하측 체결홈(21, 31)을 열십자 형태가 되도록 교차되게 결합한 후, 상기 상, 하부 칸막이(20, 30)를 연속해서 연결하는 방식으로 물김 채취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and 30 can be molded from synthetic resin and metal materials such as stainless steel and provided to have a certain size. As shown in FIGS. 9 to 12,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can be formed as needed. , 30, the upper and lower fastening grooves 21 and 31, respectively, are joined crosswise to form a criss-cross shape, and then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and 30 are connected in succession to form a moisture collection device 10. ) includes those that can provide.

상기 물김 채취 장치(10)는 열십자로 교차되게 연결된 부분에서 결합력이 약해 설치형태가 무너질 수 있으므로, 상, 하측 칸막이(20, 30)의 직각 부분에 고정부재(40)를 공급한 후, 상기 고정부재(40)에 형성한 고정홈(41)에 고정스크류(50)를 공급함으로써 상, 하측 칸막이(20, 30)에 형성한 상, 하부 고정구멍(22, 33)에 나사식으로 고정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 has weak coupling strength at the cross-connected portions, the installation form may collapse, so after supplying the fixing member 40 to the right angle part of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and 30, the fixing member 40 is fixed. By supplying a fixing screw (50) into the fixing groove (41) formed on the member (40), it is screwed into the upper and lower fixing holes (22, 33)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30). can be provided.

상기 고정부재(40)는 상, 하부 칸막이(20, 30)가 열십자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각 방향 또는 2방향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fixing member 40 includes being installed in each direction or two directions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and 30 are crisscrossed.

상기 상, 하부 칸막이(20, 30)에 고정부재(40)를 공급해 고정스크류(50)로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물김 채취 장치(10)를 배의 상부 공간에 안정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supplying fixing members 40 to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and 30, a firm fixation can be provided with fixing screws 50, so that the water sampling device 10 can be installed stably and firmly in the upper space of the ship. It will exist.

상기 상, 하부 칸막이(20, 30)는 내부의 전체면 또는 상측의 일부를 제외한 전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 하부 구멍(23, 33)을 형성함으로써 물김 저장백(70)에 저장되는 물김으로부터 발생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30) form upper and lower holes (23, 33) at regular intervals on the entire interior surface or the entire surface excluding the upper part, thereby preventing moisture stored in the moisture storage bag (70) from being stored in the moisture storage bag (70). It can perform the role of discharging the generated moisture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물김 채취 장치(10)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다수개 연결해 배의 상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물김 재취장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는 물김 채취 장치(10)의 상, 하부 칸막이(20, 30)를 다수개 구입해 직접 조립하는 과정을 통하여 인건비를 절감하며 1명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o that it can be used as a water collecting device when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hip, consumers can use the water collecting device 10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and 30. ) By purchasing multiple pieces and assembling them yourself, labor costs are reduced and one person can work conveniently.

본 발명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상부 칸막이와 하부 칸막이를 열십자 형태가 되도록 교차되게 조립하는 것으로 물김 채취 장치를 완성해 배의 상부에 다수개를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연결한 후 물김 저장백을 공급해 배를 이동하면서 양식된 물김을 채취해 물김 저장백에 체워넣을 수 있도록 하고, 물김의 채취가 종료되면 하역장으로 이동해 물김 저장백만 분리해 공급함으로써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s the water collection device by assembling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crosswise so as to form a criss-cross pattern, connecting a plurality of the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the top of the ship and storing the water. A bag is supplied so that the cultured seaweed can be collected while moving the ship and put into the seaweed storage bag, and when the collection of seaweed is completed, it is moved to the loading dock and the seaweed storage bag is separated and supplied, providing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allows for convenient work. It is done.

10 : 물김 채취 장치 20 : 상부 칸막이
21 : 하측 체결홈 22 : 상부 고정구멍
23 : 상부구멍 30 : 하부 칸막이
31 : 상측 체결홈 32 : 하부 고정구멍
33 : 하부구멍 40 : 고정부재
41 : 고정홈 50 : 고정스크류
60 : 채취 공간 70 : 물김 저장백
10: water collection device 20: upper partition
21: lower fastening groove 22: upper fixing hole
23: upper hole 30: lower partition
31: upper fastening groove 32: lower fixing hole
33: lower hole 40: fixing member
41: fixing groove 50: fixing screw
60: Collection space 70: Water storage bag

Claims (8)

열십자형태로 교차되게 조립되는 물김 채취 장치(10)로 이루어지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측 체결홈(21)이 형성되는 상부 칸막이(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칸막이(20)와 열십자형태로 교차되게 조립하며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측 체결홈(31)이 형성되는 하부 칸막이(30)를 포함하고,
상기 상, 하부 칸막이(20, 30)를 배의 상측에 결합해 내부에 채취 공간(60)이 형성되어 물김 저장백(70)를 공급해 배가 이동하면서 양식한 물김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장치.
It consists of water collecting devices (10) that are assembled crosswise in a criss-cross pattern;
It includes an upper partition (20) in which lower fastening grooves (2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wer side,
It includes a lower partition (30) that is assembled to cross the upper partition (20) in a crisscross shape and has upper fastening grooves (3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By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30) on the upper side of the ship, a collection space (60) is formed inside, and a water storage bag (70) is supplied to collect water cultured as the ship moves.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칸막이(20)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로 중앙 부분에서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하측 체결홈(21)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upper partition (20) is a water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metal and has a plurality of lower fastening grooves (2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center to the low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칸막이(20)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로 중앙 부분에서 하측으로 하나의 하측 체결홈(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upper partition (20) is a water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metal and has a single lower fastening groove (21) formed from the center to the low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칸막이(20)는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상부구멍(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upper partition (20) is a moisture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upper holes (2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re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칸막이(30)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로 중앙 부분에서 하측으로 일정한 간격에 상측 체결홈(31)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lower partition (30) is a water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metal and has a plurality of upper fastening grooves (3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center to the low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칸막이(30)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질의 스테인레스로 중앙 부분에서 하측으로 하나의 상측 체결홈(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lower partition (30) is a water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metal and has one upper fastening groove (31) formed from the center to the low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칸막이(30)는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하부구멍(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The water collec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artition (30) has a plurality of lower holes (33)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re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칸막이(20, 30)이 열십자 형태로 교차되는 코너에 양쪽으로 고정홈(41)이 형성된 고정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홈(41)을 관통한 고정스크류(50)과 상, 하부 고정구멍(22, 3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김 채취 장치.
According to clause 1,
A fixing member 40 with fixing grooves 41 formed on both sides is installed at a corner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itions 20 and 30 intersect in a crisscross shape, and a fixing screw 50 penetrates the fixing groove 41. ) and the upper and lower fixing holes (22, 32).
KR1020220120680A 2022-09-23 2022-09-23 a water extraction device KR202400415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680A KR20240041543A (en) 2022-09-23 2022-09-23 a water extra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680A KR20240041543A (en) 2022-09-23 2022-09-23 a water extra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543A true KR20240041543A (en) 2024-04-01

Family

ID=9066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680A KR20240041543A (en) 2022-09-23 2022-09-23 a water extra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543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223B1 (en) 2017-08-30 2019-07-04 (주)빌리언이십일 Water Vapo Activation Automatic Treatment Device
KR102085426B1 (en) 2018-06-15 2020-03-05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laver automatic Conveying device
KR102118968B1 (en) 2018-06-15 2020-06-05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Laver Bag Combining Apparatus With Water Laver Separating Member
KR102269388B1 (en) 2018-08-06 2021-06-28 (주)빌리언이십일 Auto reversing device for buoy type laver farming 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223B1 (en) 2017-08-30 2019-07-04 (주)빌리언이십일 Water Vapo Activation Automatic Treatment Device
KR102085426B1 (en) 2018-06-15 2020-03-05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laver automatic Conveying device
KR102118968B1 (en) 2018-06-15 2020-06-05 글로벌스마트솔루션 주식회사 Laver Bag Combining Apparatus With Water Laver Separating Member
KR102269388B1 (en) 2018-08-06 2021-06-28 (주)빌리언이십일 Auto reversing device for buoy type laver farming 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057B2 (en) Containment pens for finfish aquaculture
EP1806964B1 (en) Containment pens for finfish aquaculture
US6978735B1 (en) Artificial fish habitat
US20130186345A1 (en) Aquaculture assembly and method
KR101438992B1 (en) Management device of long-line type cage for abalone and refloat method thereby
US20110139083A1 (en) Device for colonizing and harvesting marine hardground animals
KR20110111446A (en) Carrier for growing macroalgae in a water volume, and an arrangement for suspending such carriers
CN109068616A (en) Abalone culture device and method
US20200060242A1 (en) Oyster farming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CN106857427A (en) A kind of natural fry finishing device of yellowfin spine porgy and its fish for transportation resources
KR20240041543A (en) a water extraction device
WO2008077562A1 (en) Apparatus for the cultivation of shellfish
KR20190023482A (en) Device for reversing laver farming net
KR20240041542A (en) Dried Laver Collection Container and Collection System Using It
JP5041489B2 (en) Towing live fish sacrifice
CN108651398B (en) Fishing net for marine fishing
CN211983355U (en) Pelteobagrus fulvidraco fishing device
NO344618B1 (en) Cultivation mat, and facilities and methods for growing macroalgae
US4942688A (en) Apparatus for trotline fishing
JPH08124A (en) Artificial fishing bank
JPH0297345A (en) Tension mooring fish preserve
JPS61280222A (en) Apparatus for drawing up and falling submerged article and its fish bank
JPH07213207A (en) Tool for fishing sodeika and method for fishing the same
JPH0799986B2 (en) Seaweed aquaculture equipment
JPH0339017A (en) Equipment for airing of materials for laver fa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