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380A -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380A
KR20240041380A KR1020220113845A KR20220113845A KR20240041380A KR 20240041380 A KR20240041380 A KR 20240041380A KR 1020220113845 A KR1020220113845 A KR 1020220113845A KR 20220113845 A KR20220113845 A KR 20220113845A KR 20240041380 A KR20240041380 A KR 2024004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fe
machine
user
advertising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릴리즈테크
Priority to KR102022011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380A/ko
Publication of KR2024004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6Incentive or reward received by requiring registration or ID from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음료주문을 입력받고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타겟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카페머신 및 카페머신에서 음료주문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타겟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는 추출부, 타겟 광고 콘텐츠가 카페머신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ARGET MARKETING SERVICE USING CAFE MACHINE}
본 발명은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인카페에서 주문을 받을 때 포인트 적립 또는 사용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타겟 광고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코로나19 팬데믹과 4차 산업혁명 디지털 기술로 인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서비스에 기반한 무인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무인점포는 디지털 정보 기술의 발전을 기반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인건비 상승과 코로나 확산에 따른 비대면 요건이 무인점포 개점의 당위성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인점포는 셀프 서비스 기술에 기반한 비대면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상품과 서비스를 거래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그 형태로는 키오스크와 태블릿 PC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대면 소비 문화의 확대와 함께 커피의 주문에서부터 제작과 배달까지 로봇에 의해서 무인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로봇카페까지 등장했고,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의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이때, 키오스크나 사이니지를 이용하여 타겟 광고를 출력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341060호(2021년12월20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896236호(2018년09월10일 공고)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가 설치된 가맹점의 위치 및 업종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광고주 단말에서 설정한 광고노출 조건에 대응하도록 광고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에서 광고 콘텐츠가 노출된 노출횟수를 수집하고, 노출횟수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생성하여 광고주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과,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 서버로부터 광고 타겟, 광고 시간, 광고 콘텐츠 및 광고 지역을 포함한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광고 데이터를 광고 지역에 위치한 지점 광고 서버로 전송하며, 지점 광고 서버와 연동된 광고판 장치에서 광고 시간에 대응하도록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광고판 장치에서 광고 타겟과 기 설정된 유사도 범위 내의 피광고 단말이 무선통신으로 감지되는 경우, 광고 타겟을 향하여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피광고 단말에서 광고 콘텐츠에 엑세스하는 이벤트가 광고판 장치에서 감지되는 경우, 광고판 장치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피광고 단말로 광고 콘텐츠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타겟 광고라고 기재하고는 있으나 광고노출조건이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에 관계없이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는 구성이고, 후자의 경우에도 광고 타겟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는 있으나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하여 추측한 정보로 광고를 출력하는 구성일 뿐 정확한 타겟 광고를 출력하는 구성이 아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것인데, 회원가입을 할 때에도 동일한 정보인, 이름, 성별, 생년월일 및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인증을 받은 후 가입하는 절차는 너무나 귀찮은 일이 되어버려 진입장벽으로 변모한 지 오래다. 이에, 사용자 정보를 손 쉽게 제공하고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정보에 기반한 타겟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타겟 광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인카페 내 카페머신에서 주문을 입력받을 때, 포인트 적립 또는 사용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유도하거나 회원임을 확인받아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타겟 광고의 타겟 조건과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타겟 광고 콘텐츠를 카페머신에서 출력하도록 하며, 타겟 광고와 함께 출력된 QR 코드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CPA(Cost-Per-Action)로 저장함으로써 광고주 서버로 리포팅하는,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료주문을 입력받고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타겟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카페머신 및 카페머신에서 음료주문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타겟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는 추출부, 타겟 광고 콘텐츠가 카페머신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무인카페 내 카페머신에서 주문을 입력받을 때, 포인트 적립 또는 사용을 통하여 회원가입을 유도하거나 회원임을 확인받아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타겟 광고의 타겟 조건과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타겟 광고 콘텐츠를 카페머신에서 출력하도록 하며, 타겟 광고와 함께 출력된 QR 코드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CPA(Cost-Per-Action)로 저장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데이터로 입증할 수 있고, 사용자도 맞춤형 정보를 얻으면서 무인카페도 광고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카페머신은 카페머신 자체 뿐만 아니라 자판기, 키오스크, 사이니지 등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든 대체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카페머신(400)에 출력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QR 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URL 등으로 엑세스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의 승인을 통하여 카페머신(400)으로 M2M(Machine-to-Machine) 또는 D2D(Device-to-Device)로 전달하거나,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에서 주문 및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카페머신(400)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타겟 광고 콘텐츠를 카페머신(40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인카페 내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회원가입을 하거나 QR 코드를 이용하여 QR 코드와 기 매핑되어 저장된 URL로 접속하는 경우, CPA(Cost-Per-Action)를 카운트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정보를 반복하여 입력하지 않아도 되도록, 사용자 단말(100)과 카페머신(400) 간 M2M 또는 D2D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성별,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거주지 주소 등을 사용자 단말(100)의 승인 조건 하에 추출하여 카페머신(400)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은,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고, 주문된 음료를 제조하며, 음료가 제조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타겟 광고 또는 일반 광고를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입력부(310), 추출부(320), 출력부(330), 접속이력확인부(340), 대기시간활용부(350), 일반광고출력부(360), 회원구분부(370), 자동회원가입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으로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은,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카페머신(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부(310)는, 카페머신(400)에서 음료주문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번호를 기준으로 사용자 정보를 받을 수도 있고, 이미 회원에 등록된 상태라면 회원을 식별할 수 있는 바코드나 QR 코드와 같은 1 차원 바코드 또는 2 차원 바코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추출부(32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타겟 광고 콘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카페머신(400)은, 음료주문을 입력받고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타겟 광고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 대 남성을 타겟 조건으로 하는 타겟 광고 콘텐츠 A가 존재하고, 사용자 B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가 40 대 남성으로 확인된 경우, 사용자 B에게 타겟 광고 콘텐츠 A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다양한 추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입력한 제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도를 예측하는 경우, 사용자 선호도가 충분하지 않거나 부정확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추천 시스템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100)이 본 발명의 플랫폼과 연결된 경우, 사용자 사용 이력, 사용 패턴 등의 암묵적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 취득, 분류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넷 이용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이용 패턴 정보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 선호도를 예측하고, 사용자 선호도를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자의 소비정보로부터 사용 패턴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패턴풀(Pattern Pool)로 정의된 버퍼에 저장한다. 이러한 사용 패턴 정보는 각 패턴의 발생 빈도수에 따라 선호 패턴과 비선호 패턴으로 구분되고, 그 발생 빈도의 차를 통해 사용자의 선호도를 예측한다. 이는 수학식 1과 수학식 2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여기서 fl은 패턴 l의 발생 빈도를 의미하고, wl 패턴 l의 가중치를 의미한다. gk는 콘텐츠를 구분할 수 있는 특성정보를 의미하며, total N은 선호 패턴과 비선호 패턴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추천 정확도는 Precision과 Recall로 측정할 수 있다.
출력부(330)는, 타겟 광고 콘텐츠가 카페머신(400)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화면으로 출력될 수도 있지만 음성 기반으로 화면 내 텍스트 등을 읽어주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접속이력확인부(340)는, 타겟 광고 콘텐츠가 출력된 후 타겟 광고 콘텐츠와 함께 출력된 QR 코드로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CPA(Cost-Per-Action)로 저장할 수 있다.
대기시간활용부(350)는, 타겟 광고 콘텐츠를 카페머신(400)에서 음료를 제조하는 시간에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타겟 광고 콘텐츠를 전달할 때, 일방적으로 기 저장된 타겟 광고 콘텐츠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챗봇(Chatbot) 형태로 광고를 추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골손님이 자주 들르는 카페를 생각해보면, 단골손님과 점주는 일상을 묻고 대화하다가 점주가 잘 아는 곳을 소개해주기도 하고 추천해주기도 하는 등 정보를 공유한다. 단골손님의 정보를 점주가 서로 소통을 통하여 알게 되므로 추천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취향을 파악하고 있으므로 피추천인인 고객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카페머신(400) 내 챗봇 및 카메라를 삽입하고, 카메라를 통하여 단골의 여부를 확인하며, 챗봇으로 사용자의 일상을 물어보면서 각 사용자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광고출력부(360)는, 카페머신(400)에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일반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페머신(400)에 카메라가 부착되거나 무인카페에 카메라가 부착된 경우, 인상착의, 즉 객체의 외형을 보고, 나이대는 어느 정도인지, 어떠한 브랜드 옷을 좋아하는지(브랜드 로고가 새겨진 경우), 어떠한 패션 상품을 좋아하는지 등을 파악하여 이와 유사한 집단의 선호도를 사용자의 선호도라고 추정한 후 이에 대응하는 광고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회원구분부(370)는, 카페머신(400)에서 음료주문을 받을 때 포인트 적립 또는 사용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기 등록된 회원인지의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자동회원가입부(380)는,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 기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것이 구분되고, 카페머신(400)과 D2D(Device-to-Device)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100)에서 회원가입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00)에 기 저장된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성별 및 주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의 승인이 존재하는 경우 자동으로 추출하여 회원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최근 애플리케이션이 너무나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각 사용자의 휴대폰 메모리는 유한하다.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다운로드 및 설치할 수 없고,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에는 이름, 나이, 성별, 이메일을 입력하고, 전화번호로 본인인증을 수행한 후,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설정하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 고통 포인트(Pain Point)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각 항목, 예를 들어, 이름, 나이, 성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거주지 주소 등을 설정해두면, 각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해 엑세스권을 얻어 자동으로 데이터를 가져가도록 하는 방법을 더 이용할 수 있다. 각 항목을 식별하는 식별자만 지정해두면, 이름을 성명이라고 항목을 네이밍했다고 하더라도 동일한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각 항목 이름을 클러스터링해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이하 표 1과 같이 자신의 정보를 저장해두었다고 가정하자.
이름 홍당무
성별
생년월일 19980115
이메일 dangguen@naver.com
간편결제수단 신한카드 XXX-XXXX-XXXX
아이디 dangguendangguen
비밀번호 carrotcarrot
주소 서울시 용산구 이촌동 한강아파트 XXX호
이때, 카페머신(400)에서 요구하는 정보가, 성명, 남녀, 생년월일 등이라고 가정하면, 표 1에는 항목 이름이 [이름]으로 기재되어 있고, 카페머신(400)에서 요구하는 항목 이름은 [성명]이어서 두 개가 다른 항목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름]-[이름, 성명, 성함,..] 등의 클러스터를 만들어서 각 표기나 형식이 모두 다를지라도 동일한 항목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최대한 동일한 정보를 또 입력하지 않도록 자동화할 수 있다.부가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이트에 회원가입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기본적으로 입력받고, 이메일 주소나 휴대폰 번호를 통해 사용자 확인을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다른 정보와 달리 패스워드는 MD5 혹은 SHA-2와 같은 단방향 암호화를 이용해 해시값으로 만들어서 DB에 보관하며, 사용자 인증시에 입력한 패스워드에 대한 해시값과 이를 비교해 일치 여부를 판정한다. 단방향 암호화는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일정 길이의 해시값으로 암호화해 저장하나 이를 다시 복구할 수는 없는 암호화 방법을 말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증 단계에서 입력한 패스워드의 해시값이 DB에 저장된 해시값과 일치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지정한 기본 패스워드의 해시값과 일치하기만 한다면 추가적인 인증 단계을 거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편리한 인증 메커니즘을 더 이용할 수 있다. 회원 가입시에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패스워드 생성 규칙에 따라 패스워드를 지정하되, 사용자가 여러 사이트에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본 패스워드를 추가로 지정해 이를 활용한 새로운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추가 인증은 패스워드 재설정보다는 훨씬 간편해야 하며, 사용자가 기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없는 정보를 이용해야 한다. 너무나 많은 사이트에서 각자 서로 다른 패스워드 생성 방식이 존재하므로, 각 사용자는 이를 모두 기억하는 것이 너무나 힘들다. 이에 따라, 추가 인증 방식으로는 보안성이 높은 스마트폰을 통한 SMS 인증이나 OTP와 연동하는 방식이 있으며, 일반적인 방식으로 이메일, 선호 단어 연상 등의 방법이 있지만, 이 또한 불편한 것은 매한가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본 패스워드만으로도 일반적인 사이트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보안성이 우수한 패스워드라 판단되므로, 기본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 추가로 요구하는 인증은 비교적 사용하기 편리한 방식을 사용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회원 가입시에 등록한 생년월일, 이메일 주소, 휴대폰 번호 등의 일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패스워드와 추가 인증을 통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APM(Apache2, PHP, MySQL5) 패키지 V7.0을 설치한 서버 환경에서 HTML, Java Script, CSS 및 PHP 언어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기본 패스워드는 사용자가 여러 웹 사이트에 걸쳐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패스워드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특정 웹사이트에서의 패스워드 생성 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되며, 기존의 회원 가입 폼에 하나의 필드 추가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이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사용자 개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고, 웹 사이트에서 요구하는 패스워드와 기본 패스워드가 모두 단방향 암호화 기술인 MD5 암호화 방식을 통해 해시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웹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은 어느 웹 사이트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입력으로 진행된다.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로그인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는 사용자가 본 웹사이트에 대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정확히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가 웹사이트의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입력을 하도록 요구한다. 패스워드 재입력이 성공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틀리는 경우도 다반사이므로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가 웹사이트의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기본 패스워드와의 일치 여부를 추가로 확인한다. 예를 들어, 기본 패스워드와 일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회원가입 시에 입력한 회원 정보, 예를 들어,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중에서 랜덤하게 선택한 항목을 이용한 추가 인증 단계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추가 인증 단계에서 실패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적인 로그인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카페머신(400)에서 주문 및 결제를 진행받은 후 이를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알리는 경우, (b)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카페머신(400)에서 사용자 정보를 받도록 포인트 사용 또는 적립을 권유하며 회원가입으로 유도하거나 회원이라면 회원 로그인을 할 것을 유도하도록 한다. 물론, 이 프로세스는 카페머신(400)이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각 상황에 따라 알고리즘으로 미리 프로세스가 설정된 것을 전제한다. 물론, 카페머신(400)의 기술적 발전에 따라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특허는 미래의 먼 상황에서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까지는 포함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논외로 한다. 그리고, (c)와 같이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타겟 광고를 출력하도록 하고, QR 코드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d)와 같이 그 결과를 광고주 단말(미도시)로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릴리즈테크)은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무인카페를 위한 도 4c와 같은 무인운영솔루션을 제공하는데, 도 4d와 같은 솔루션으로 도 4e 및 도 4f와 같은 카페머신(400)을 이용하여 무인카페가 운영되도록 한다. 그 사양은 도 4g와 같고 도 4h와 같은 기능과 성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현재 본 발명의 플랫폼과 연계된 매장은 도 4i와 같으며, 도 4j 및 도 4k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각 회원을 관리하고 O2O 주문 및 결제나 O2O 결제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 및 인프라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이 구축되었고 각 카페머신(400)이 입점된 상태에서 전국 각지의 소비자인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면, 각 사용자도 커피가 만들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을 무료하지 않게 보내면서 유용한 정보도 얻을 수 있고, 각 가맹점주도 광고 수익으로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카페머신에서 음료주문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S5100),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타겟광고 콘텐츠를 추출한다(S5200).
그리고,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타겟광고 콘텐츠가 카페머신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음료주문을 입력받고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타겟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는 카페머신; 및
    카페머신에서 음료주문을 입력받은 후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기 저장된 타겟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타겟 광고 콘텐츠가 상기 카페머신에서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타겟 광고 콘텐츠가 출력된 후 상기 타겟 광고 콘텐츠와 함께 출력된 QR 코드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확인되는 경우 CPA(Cost-Per-Action)로 저장하는 접속이력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타겟 광고 콘텐츠를 상기 카페머신에서 음료를 제조하는 시간에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대기시간활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카페머신에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일반광고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일반광고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카페머신에서 음료주문을 받을 때 포인트 적립 또는 사용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기 등록된 회원인지의 여부를 구분하는 회원구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로 상기 기 등록된 회원이 아닌 것이 구분되고, 상기 카페머신과 D2D(Device-to-Device)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에서 회원가입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에 기 저장된 성명, 전화번호, 이메일, 성별 및 주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고유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승인이 존재하는 경우 자동으로 추출하여 회원등록을 진행하는 자동회원가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13845A 2022-09-08 2022-09-08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41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845A KR20240041380A (ko) 2022-09-08 2022-09-08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845A KR20240041380A (ko) 2022-09-08 2022-09-08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380A true KR20240041380A (ko) 2024-04-01

Family

ID=9066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845A KR20240041380A (ko) 2022-09-08 2022-09-08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3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43302A1 (en) Social media platforms
US200902045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targeted content
KR101868583B1 (ko) 객관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맹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95636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상권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392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siness entities to receive comments and feedback in real time
US10891669B2 (en) Virtual sales assistant kiosk
JP2010218524A (ja) コミュニティ情報流通装置、コミュニティ情報流通方法、およびコミュニティ情報流通プログラム。
JP2017191513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20087222A (ko) 방문 기념 스탬프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97016A (ja) ユーザ情報提供装置、ユーザ情報提供方法、ユーザ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広告配信システム
US109639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based advertisement using lock screen
US20230334523A1 (en) Management system, server device and method
US201200049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offline audience validation
JP2014153859A (ja) 行動履歴に対応する画像を利用した本人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認証プログラム
KR101485813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00067397A (ko) 맞춤형 손수건 주문 및 앨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543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using smart health cards
KR20240041380A (ko) 카페머신을 이용한 타겟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40278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siness entities to receive product and brand related customer input and other data.
KR102183980B1 (ko) 위치 기반 교회 정보 관리 서버
JP4803815B2 (ja) Url情報提供システム
JP5507638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1827480B1 (ko) 사용자의 모바일 접속 로그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장치, 상품 추천 시스템 및 상품 추천 방법
KR102538748B1 (ko) 인증사진 보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EP35948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pass trans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