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986A -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986A
KR20240040986A KR1020220119976A KR20220119976A KR20240040986A KR 20240040986 A KR20240040986 A KR 20240040986A KR 1020220119976 A KR1020220119976 A KR 1020220119976A KR 20220119976 A KR20220119976 A KR 20220119976A KR 20240040986 A KR20240040986 A KR 2024004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ment
blockchain
investors
information
inve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호
Original Assignee
풀체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체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풀체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986A/ko
Publication of KR2024004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이 개시된다.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은 투자자 단말, 투자 관리 시스템과 블록체인 시스템을 포함하며, 장외공모펀드 상품에서, 자산운용사는 투자자금 집행 전 투자관리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기업 투자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 투자 정보에 대하여 투자자들에게 제공되는 단계별 투자 정보는 블록체인 상에 구체적 수치로 기록하며, 투자 자금 집행 전 블록체인 기반 투자자들의 투표를 통해 펀드 투자자의 합의를 받고, 투자자는 현금 또는 보유 디지털수익증권 수량에 비례하여 투표 의결권을 가지며,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에 의해 장외펀드운용자금 집행 합의 절차에 따라 투자자의 투표와 합의에 필요한 모든 절차와 단계별 기업 투자 정보와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합의된 투자자 정보와 단계별 투자자들의 투자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를 분산원장의 블록체인 노드에 기록되고, 공지된 일정 기간 내 투자자들의 투표와 합의 도달 시 단계별 투자 자금을 집행한다.

Description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Over-the counter public offering fund system operated by casting a vote and blockchain consensus of investors}
본 발명은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외공모펀드 상품에서 자산운용사는 투자자금 집행 전 투자관리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투자 대상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투자 대상 기업 정보에 대하여 투자 자금 집행 전 블록체인 기반 투자자들의 투표를 통해 펀드 투자자들의 합의를 받고, 투자자는 현금 또는 보유 디지털수익증권 수량(펀드 가입 당일 현금화)에 비례하여 투표 의결권을 가지며,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에 의해 장외펀드운용자금 집행 합의 절차에 따라 투자자의 투표와 합의에 필요한 모든 절차와 단계별 기업 투자 정보와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합의된 투자자 정보와 단계별 투자자들의 투자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를 분산원장의 블록체인 노드에 기록되고, 공지된 일정 기간 내 투자자들의 투표와 합의 도달 시 단계별 투자 자금을 집행하는, 투자자 참여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은 경쟁 우위(competitive advantage)를 확보하기 위해 제품의 기획, 설계, 연구개발, 제조 및 생산, 판매 및 유통 관리, 재고 관리(안전 재고), SWOT분석, 마케팅 4P(Products 제품, Price 가격, Place 유통, Promotion 촉진) 및 STP 전략에 따라 마케팅 채널을 확보하고 뿐만아니라 판매 시점(Point Of Sale, POS)에서 공급 사슬(Supply Chain) 관리, 성장하는 기업의 제품에 투자가 필요하다.
기업의 마케팅 4P와 STP 전략은 시장을 세분화하고(market segmentation), 세분화돈 시장에서 목표 시장(targeting)을 선정하며, Producer, Wholesalers, Retailers의 유통 채널을 구축하고, 소비자들에게 제품 및 서비스 포지셔닝(Positioning)에 의해 경쟁사와의 SWOT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SCA)를 확보해야 한다.
기업 분석은 기업의 재무와 회계 자료로써,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및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를 사용한다. 기업의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는 기업의 재무 상태나 경영 성과를 나타내는 문서로서, 일정 시점의 기업의 자산, 부채 및 자본의 현황을 알 수 있다. 대차대조표(balance sheet)는 기업의 안정성 및 자산을 평가하고,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는 기업의 영업 성과를 측정하는데 용이하다.
특히, 벤처 기업은 전문가와 제품의 연구 개발을 사업 자금이 필요하며, 벤처 캐피탈은 유망 벤처기업의 제품, 기술력, 디자인, 회사의 자산과 부채, 회사의 인력 구성, 시장성, 사업성을 보고, 시장 분석(market analysis), 기술 분석(technical analysis), 재무 분석(financial analysis), 사업성 분석을 통해 투자대상 기업의 기업가치평가에 따라 극히 적은 기업들에게 엔젤 투자가 이루어지지만 그 혜택을 받는 기업이 많지 않다.
최근, 블록체인 기반 투자 상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1로써, 특허 등록번호 10-2267655에서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투자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가 등록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록체인 기반의 투자 상품에 대한 투자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투자 방법은,
투자 서비스 제공 노드가 투자 상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투자 서비스 제공 노드가 상기 투자 상품에 대한 공모 절차에 참여한 상기 사용자 노드로 디지털 유가 증권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유가 증권에 관련된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플랫폼 상의 캐시(cache)를 기반으로 고속 처리되고,
상기 캐시는 기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 노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디지털 유가 증권에 관련된 요청 트랜잭션에 대한 처리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며, 상기 기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상으로의 액세스 없이 상기 요청 트랜잭션에 대한 응답 트랜잭션을 전송하기 위해 구현되고,
상기 캐시를 기반으로 상기 요청 트랜잭션에 대한 처리 가능 여부는 상기 요청 트랜잭션의 특성 및 상기 사용자 노드와 관련되어 상기 캐시 상에 이전에 전송된 이전 요청 트랜잭션의 특성을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캐시를 기반으로 상기 요청 트랜잭션에 대한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 데이터 스트리밍부는 상기 요청 트랜잭션의 상기 블록체인 상으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요청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상기 캐시는 상기 요청 트랜잭션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요청 트랜잭션은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스트리밍부는 상기 요청 트랜잭션과 다른 요청 트랜잭션을 저장하며,
상기 다른 요청 트랜잭션은 상기 사용자 노드 또는 다른 사용자 노드로부터 상기 요청 트랜잭션의 수신 이전에 수신하여 상기 블록체인 상으로 전송되기 이전의 트랜잭션을 포함하고,
상기 투자 상품에 대한 정보는 제1 노드 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노드, 제2 노드 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노드, 제3 노드 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노드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제1 노드 풀은 투자 상품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투자 대상 정보 수집 노드를 제1 노드로서 포함하고,
상기 제2 노드 풀은 상기 투자 상품 관련 정보를 검증하는 투자 대상 정보 검증 노드를 제2 노드로서 포함하며,
상기 제3 노드 풀은 상기 투자 대상 정보 검증 노드에 의해 검증된 투자 상품의 투자 등급을 결정하기 위한 제3 노드로서 포함하고,
상기 제1 노드 풀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수집 정보 정확도에 대한 제1 임계값, 상기 제2 노드 풀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검증 결과 정확도에 대한 제2 임계값, 상기 제3 노드 풀에 포함되는 상기 제3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등급 판단 정확도에 대한 제3 임계값이 설정된다.
특허 등록번호 10-2267655 (등록일자 2021년 06월 22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투자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주식회사 카사코리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외공모펀드 상품에서, 자산운용사는 투자자금 집행 전 투자관리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투자 대상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투자 대상 기업 정보에 대하여 투자 자금 집행 전 블록체인 기반 투자자들의 투표를 통해 펀드 투자자들의 합의를 받고, 투자자는 현금 또는 보유 디지털수익증권 수량(펀드 가입 당일 현금화)에 비례하여 투표 의결권을 가지며,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에 의해 장외펀드운용자금 집행 합의 절차에 따라 투자자의 투표와 합의에 필요한 모든 절차와 단계별 기업 투자 정보와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합의된 투자자 정보와 단계별 투자자들의 투자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를 분산원장의 블록체인 노드에 기록되고, 공지된 일정 기간 내 투자자들의 투표와 합의 도달 시 단계별 투자 자금을 집행하는, 투자자 참여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자자 참여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은, 투자자 단말; 상기 투자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장외운용공모펀드의 투자자들을 모집하고, 투자 대상 기업을 분석하며, 투자자 단말로 투자 대상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하여 각 투자 대상 기업 별로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투자자들과 투자 대상 기업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투자 관리 시스템; 및 상기 투자 관리 시스템과 연동되고, 투자자 투표부와 블록체인 합의/스마트 계약부를 구비하며, 각 투자 대상 기업 별로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상기 스마트 계약부에 의해 투자자들과 투자 대상 기업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여 투자 대상 기업 마다 투자자들의 투표에 의해 합의된 투자 대상 기업 정보와 각각의 투자자 정보와 투자 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를 저장하고, 각 투자 대상 기업에 대하여 투자자들의 자금집행내역을 블록체인 노드들(B1,B2,B3..)로 저장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투자자 참여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은 장외공모펀드 상품에서, 자산운용사는 투자자금 집행 전 투자관리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투자 대상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투자 대상 기업 정보에 대하여 투자자들에게 제공되는 단계별 투자 정보는 블록체인 상에 구체적 수치로 기록하며, 투자 자금 집행 전 블록체인 기반 투자자들의 투표를 통해 펀드 투자자의 합의를 받고, 투자자는 현금 또는 보유 디지털수익증권 수량에 비례하여 투표 의결권을 가지며, 블록체인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기술에 의해 장외펀드운용자금 집행 합의 절차에 따라 투자자들의 투표와 합의에 필요한 모든 절차와 단계별 기업 투자 정보와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합의된 투자자 정보와 단계별 투자자들의 투자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를 분산원장의 블록체인 노드에 기록되고, 공지된 일정 기간 내 투자자들의 투표와 합의 도달 시 단계별 투자 자금을 집행하며, 투자자 투표와 합의에 따라 장외운용공모펀드 상품을 통한 투자의 공정성과 투자자들에게 자금집행내역 정보와 투자 성과를 공유하여 신뢰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록체인 기반의 투자 상품에 대한 투자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투자자 참여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술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번호는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한다.
본 연구개발을 통한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투자자 참여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투자자 참여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은 장외공모펀드 상품에서, 자산운용사는 투자자금 집행 전 투자관리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기업 투자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 투자 정보에 대하여 투자자들에게 제공되는 단계별 투자 정보는 블록체인 상에 구체적 수치로 기록하며, 투자 자금 집행 전 블록체인 기반 투자자들의 투표를 통해 펀드 투자자의 합의를 받고, 투자자는 현금 또는 보유 디지털수익증권 수량에 비례하여 투표 의결권을 가지며,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에 의해 장외펀드운용자금 집행 합의 절차에 따라 투자자의 투표와 합의에 필요한 모든 절차와 단계별 기업 투자 정보와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합의된 투자자 정보와 단계별 투자자들의 투자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를 분산원장의 블록체인 노드에 기록되고, 공지된 일정 기간 내 투자자들의 투표와 합의 도달 시 단계별 투자 자금을 집행한다.
* 자산운용사는 상세한 자금 집행 계획을 투자자금 집행 전 투자관리 시스템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에게 정보 제공
* 투자자에게 제공되는 단계별 투자 정보는 블록체인 상에 구체적 수치로 기록
* 자금 집행 전 펀드 투자자의 합의를 거치고 합의 방식은 블록체인 기술기반 투표 기능을 통해 처리
* 투자자는 현금 또는 보유 디지털수익증권 수량에 비례하여 투표 의결권을 가짐
* 투자자 합의에 필요한 모든 절차와 정보는 블록체인상에 기록되고 공지된 일정 기간 내 합의 도달 시 투자자금 집행(1인 지분 투자/2인 지분 투자/3인 지분 투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구성도이다.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은 투자자 단말(100), 투자 관리 시스템(200)과 블록체인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투자 관리 시스템(200)은 펀드 가입/투자자 모집부(210), 투자 대상 기업 분석부(220), 펀드 운용사 투자 집행부(230)를 포함하며,
펀드 운용사 투자 집행부(230)는 투자 정보 제공부(231), 투자자 투표부(232), 블록체인 합의/스마트 계약부(233), 및 투자 성과 관리부(237)를 포함한다.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은
투자자 단말(100);
상기 투자자 단말(10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장외운용공모펀드의 투자자들을 모집하고, 투자 대상 기업을 분석하며, 투자자 단말로 투자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블록체인 시스템(300)과 연동하여 각 투자 대상 기업 별로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투자자들과 투자 대상 기업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투자 관리 시스템(200); 및
상기 투자 관리 시스템(200)과 연동되고, 투자자 투표부와 블록체인 합의/스마트 계약부를 구비하며, 각 투자 대상 기업 별로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상기 스마트 계약부에 의해 투자자들과 투자 대상 기업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여 투자 대상 기업 마다 투자자들의 투표에 의해 합의된 투자 대상 기업 정보와 각각의 투자자 정보와 투자 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를 저장하고, 각 투자 대상 기업에 대하여 투자자들의 자금집행내역을 블록체인 노드들(B1,B2,B3..)로 저장하는 블록체인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투자자 단말(100)은 투자 관리 시스템(200)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Web, App)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사용한다.
투자자는 현금 또는 보유 디지털수익증권 수량(펀드 가입 당일 현금화)에 비례하여 투표 의결권을 갖는다.
상기 투자 관리 시스템(200)은 장외운용공모펀드의 투자자들을 모집하는 펀드 가입/투자자 모집부(210); 투자 대상 기업을 분석하며, 투자자 단말로 투자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투자 대상 기업 분석부(220);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300)과 연동하여 각 투자 기업 정보별로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투자자들과 투자 대상 기업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며, 상기 투자 대상 기업에게로 투자 자금을 집행하고, 상기 투자 대상 기업 별로 투자자들의 자금 집행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펀드 운용사 투자 집행부(230)를 포함하며,
펀드 운용사의 투자 집행부(230)는 투자 정보 제공부(231), 블록체인 시스템(300)과 연동되는 투자자 투표부(232)와 블록체인 합의/스마트 계약부(233), 및 투자 성과 관리부(237)를 포함한다.
펀드 가입/투자자 모집부(210)는 현금을 투자할 기관 투자자와 개인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장외운영공모 펀드에 가입한 투자자들의 현금 자산을 축적한다.
투자 대상 기업 분석부(220)는 투자 대상 기업 정보와 재무제표를 분석하고, 주요 제품의 생산 단가, 생산/출고/유통/매출 데이터를 수집하며, 분기별/년도별 기업의 영업 이익, 당기 순이익,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자기자본비율(BIS), 기업가치평가, 기업의 제품과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투자 성과 분석과 위험 분석,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단계별 투자 대상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투자 대상 기업에 대하여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을 위해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를 제공하며,
또한, 투자 대상 기업 분석부(220)는 상장 회사의 경우, 주가자산가치비율(PBR), 자기자본이익률(ROE), 총자산순이익률(ROA), 배당수익률(Div)을 참조하여 분석한다.
주가자산가치비율(Price Book-value Ratio, PBR) PBR= 주가/주당순자산,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이며, 즉 주가가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순자산은 대차대조표의 총자본 또는 자산에서 부채(유동부채+고정부채)를 차감한 후의 금액이다. 장부상의 가치로 회사 청산시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의미한다.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ROE)은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으로 계산되고, 자기자본의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로 자기자본에 대한 기간이익의 비율로 나타내며, 투자지표로도 자주 사용된다.
총자산순이익률(Return On Assets, ROA)은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수치로 특정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ROA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가늠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ratio, Div)은 Div = (배당금/주가)x100(%)
투자 회사는 기업 매출 비율을 참조하여 주식 상장회사의 배당수익률(Div)이 상위 30%에 포함된 기업에 투자하게 된다.
블록체인 시스템(300)은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 시스템이 사용되며, 체인 구조로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들이 형성되는 머클 트리 구조에서 개인과 개인의 분산 P2P 네트워크를 통해 투자 거래 장부 인 block들(B1,B2,B3,..)이 형성된 후, 순차적으로 블록체인 노드들이 사슬(chain) 구조로 연결된다.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시스템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사용한다.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시스템(300)은 프라이빗(Private) 블록체인 시스템(Hyperledger Fabric)이 사용되며, 블록체인 노드는 투자 대상 기업의 투자 건마다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에 의해 합의된 단계별 투자 대상 기업과의 투자자들과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고 투자 대상 기업 정보와 투자자 정보와 투자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가 저장되며, 스마트 계약 정보는 작업 증명(PoW, Proof-of-Work), 지분 증명(PoS, Proof of Stake)을 증명한다.
기업의 투자 정보 건 마다 투자자들의 투표와 합의에 따라 책정된 소정 금액의 지분 투자는 투자자들이 펀드에 가입한 투자 자금 금액 내에서 소정 금액을 투자하는 투자 계약을 제공하는 스마트 계약 시, 블록체인 분산네트워크의 P2P 분산 원장(decentralized ledger) 저장기술을 사용하여 투자 대상 기업 정보와 각각의 투자자 정보와 투자 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가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되며, 해당 투자 건의 작업 증명(PoW), 지분 증명(PoS)을 제공한다.
전자 서명은 부동산 거래를 발생시킨 소유권자와 당사자와의 정당성을 보증하며 블록체인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소유권자 정보와 투자자들 정보와 실제 자산 정보를 암호화하여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각각의 블록체인 노드는 해쉬(Hash) 함수를 사용하여 고유의 해쉬값을 생성하며 체인 구조로 연결된 블록 체인 노드들은 모두 이전 블록체인 노드의 해쉬 값(previousHash)을 변중 중 하나로 포함하여 그 값을 구한다. 개별 block에서는, header에는 6개의 관리 정보[버전(Version), 이전 블록 해시(Previousblock hash), 머클 루트(Merkle Root), 타임(Time), 난이도 목표(bits, target), 논스(Nonce)]를 포함하며, body에는 거래 내역(transaction #1, transaction #2, transaction #3, transaction #N)을 저장한다, 이때 이전 블록 해시(Previousblock hash)는 이전 블록의 hash를 가르킨다. 6개의 관리 정보를 다 더한 후 hash 함수를 통해 목표값인 bits(target)보다 작을 때까지 nonce를 증가시키며 반복하며,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의 블록의 hash값이 정해지고 새롭게 생성된 블록의 관리 정보 중 하나 인 이전 블록체인 노드의 해쉬 값(previousHash)으로 돌아간다.
투자 대상 기업 정보는 기업 정보와 년도별 매출 정보, 기업가치평가 정보(자산가치 평가 항목, 자산가치 평가 금액)를 포함한다.
투자자 정보는 개인 투자자(개인), 기업 투자자(법인), 기관 투자자를 구분하며, 개인 투자자와 경우 개인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집 주소, TEL, 이동통신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또는 법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의 경우 법인 정보(법인명, 법인 등록번호, 법인 주소, 법인 전화번호, 법인 대표자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집 주소, TEL, 이동통신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포함한다.
기업 투자 건마다, 투자 대상 기업 정보와 투자자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이메일, 연락처)와 투자 금액 정보와 투자 계약 기간(계약 일자, 계약 만료 일자)와 계약서 내용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가 블록체인 시스템의 분산원장의 블록체인 노드에 저장된다.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시스템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참여 권한이 허가된 참여자에게 분산원장에 데이터를 기록,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하며, 처음 참여시 Enrollment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하고 호출시 랜덤으로 생성되는 Network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받아 블록체인 노드(blockchain node)에 신원을 확인하여 개인키(자격 증명)를 발급하는 신원 확인(idetify);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기본 구성요소써 합의 프로토콜(ordering service)에 의해 분기되는 블록체인 노드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투자자의 투표와 합의 프로토콜에 의해 스마트 계약에 기초하여 투자자들의 정보와 투자금액 정보를 분산원장에 저장하고, 투자 거래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거래(Transaction) 모듈; 및
투자 대상 기업의 투자자의 투표와 합의에 따라 투자 대상 기업과 투자자와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모듈을 제공하는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사용한다.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각각의 투자 대상 기업에 대하여 투자자들의 투표와 합의/부합의에 기초하여 투자자들의 합의하면, 스마트 계약에 의한 스마트 계약 관리, 투자자 정보와 단계별 투자 금액, 각 투자 대상 기업에 대하여 자금 집행내역 정보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고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스토리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스토리지 등과 같은 저장 매체에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기계어 코드 뿐만아니라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투자자 단말(PC, 스마트폰, 태블릿 PC)
200: 투자 관리 시스템 210: 펀드 가입/투자자 모집부
220: 투자 대상 기업 분석부 230: 펀드 운용사 투자 집행부
231: 투자 정보 제공부 232: 투자자 투표부
233: 블록체인 합의/스마트 계약부 300: 블록체인 시스템

Claims (7)

  1. 투자자 단말;
    상기 투자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장외운용공모펀드의 투자자들을 모집하고, 투자 대상 기업을 분석하며, 투자자 단말로 투자 대상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하여 각 투자 대상 기업 별로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투자자들과 투자 대상 기업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투자 관리 시스템; 및
    상기 투자 관리 시스템과 연동되고, 투자자 투표부와 블록체인 합의/스마트 계약부를 구비하며, 각 투자 대상 기업 별로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상기 스마트 계약부에 의해 투자자들과 투자 대상 기업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여 투자 대상 기업 마다 투자자들의 투표에 의해 합의된 투자 대상 기업 정보와 각각의 투자자 정보와 투자 금액 정보가 포함된 스마트 계약 정보를 저장하고, 각 투자 대상 기업에 대하여 투자자들의 자금집행내역을 블록체인 노드들(B1,B2,B3..)로 저장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을 포함하는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자 단말은 상기 투자 관리 시스템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PC,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사용하는,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관리 시스템은
    장외운용공모펀드의 투자자들을 모집하는 펀드 가입/투자자 모집부; 투자 대상 기업을 분석하며, 투자자 단말로 투자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투자 대상 기업 분석부;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하여 각 투자 기업 정보별로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투자자들과 투자 대상 기업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며, 상기 투자 대상 기업에게로 투자 자금을 집행하고, 상기 투자 대상 기업 별로 투자자들의 자금 집행내역 정보를 제공하는 펀드 운용사 투자 집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펀드 운용사의 투자 집행부는 투자 정보 제공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되는 투자자 투표부와 블록체인 합의/스마트 계약부, 및 투자 성과 관리부를 포함하는,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대상 기업 분석부는 투자 대상 기업 정보와 재무제표를 분석하고, 주요 제품의 생산 단가, 생산/출고/유통/매출 데이터를 수집하며, 분기별/년도별 기업의 영업 이익, 당기 순이익,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자기자본비율(BIS), 기업가치평가, 기업의 제품과 기술의 기술가치평가, 투자 성과 분석과 위험 분석,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단계별 투자 대상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투자 대상 기업에 대하여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을 위해 투자자들의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를 제공하며,
    상기 투자 대상 기업 분석부는 상장 회사의 경우, 주가자산가치비율(PBR), 자기자본이익률(ROE), 총자산순이익률(ROA), 배당수익률(Div)을 참조하여 분석하는,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사용하며,
    체인 구조로 연결된 블록체인 노드들이 형성되는 머클 트리 구조에서 개인과 개인의 분산 P2P 네트워크를 통해 투자 거래 장부 인 block들(B1,B2,B3,..)이 형성된 후, 순차적으로 블록체인 노드들이 사슬(chain) 구조로 연결되는,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을 사용하는,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시스템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참여 권한이 허가된 참여자에게 분산원장에 데이터를 기록, 수정, 삭제할 수 있는 인증서를 발급하며, 처음 참여시 Enrollment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하고 호출시 랜덤으로 생성되는 Network Certificate 인증서를 발급받아 블록체인 노드에 신원을 확인하여 개인키(자격 증명)를 발급하는 신원 확인(idetify);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기본 구성요소써 합의 프로토콜(ordering service)에 의해 분기되는 블록체인 노드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분산원장;
    프라이빗 블록체인에서, 투자자의 투표와 합의 프로토콜에 의해 스마트 계약에 기초하여 투자자들의 정보와 투자금액 정보를 분산원장에 저장하고, 투자 거래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거래(Transaction) 모듈; 및
    투자 대상 기업의 투자자의 투표와 합의에 따라 투자 대상 기업과 투자자와의 스마트 계약을 체결하는 스마트 계약 모듈을 포함하는,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KR1020220119976A 2022-09-22 2022-09-22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KR20240040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976A KR20240040986A (ko) 2022-09-22 2022-09-22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976A KR20240040986A (ko) 2022-09-22 2022-09-22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986A true KR20240040986A (ko) 2024-03-29

Family

ID=9048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976A KR20240040986A (ko) 2022-09-22 2022-09-22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9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655B1 (ko) 2019-07-19 2021-06-22 주식회사 카사코리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투자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655B1 (ko) 2019-07-19 2021-06-22 주식회사 카사코리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투자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os et al. The economics of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for securities settlement
US11244396B2 (en) Crypto-machine learning enabled blockchain based profile pricer
US11188977B2 (en) Method for creating commodity assets from unrefined commodity reserves utilizing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Mainelli et al. The impact and potential of blockchain on the securities transaction lifecycle
Blemus et al. Initial crypto-asset offerings (ICOs), tokenization and corporate governance
Sun et al. Transformation of the transaction cost and the agency cost in an organiza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blockchain—a case study of peer-to-peer insurance
US11854082B1 (en) Blockchain instrument for transferable equity
George et al. The blockchain evolution and revolution of accounting
Kim Blockchain initiatives for tax administration
Peters et al. Blockchain architectures for electronic exchange reporting requirements: EMIR, Dodd Frank, MiFID I/II, MiFIR, REMIT, Reg NMS and T2S
Grennan FinTech regulation in the United States: past, present, and future
Morton et al. Exemplifying the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of Blockchain Technology Through Corporate Tax Losses
Jiaying Regulating Blockchain? A Retrospective Assessment of China's Blockchain Policies and Regulations
CN111553784A (zh) 知识产权质押融资系统和方法
KR20240040986A (ko) 투자자 투표와 블록체인 합의에 따라 운용되는 장외운용공모펀드 시스템
Dhatterwal et al. Role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Financial Market
Moro Visconti Blockchain Valuation: Internet of Value, digital networks and smart transactions
Chen et al. The role of blockchain for the European Bond Market
Wang et al. Financing Open Blockchain Ecosystems: Toward Compliance and Innovation in Initial Coin Offerings
Jayasuriya et al. Genisys or Skynet?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view of blockchain enabled corporate governance and accounting
Hammer The Blockchain Ecosystem
CN109067540A (zh) 基于区块链的应付池资产信息流转方法、装置和设备
Saggese Arbitrage in the Bitcoin ecosystem: an investigation of the Mt. Gox exchange platform
Jadhav et al. Ethereum-Based Decentralized Crowdfunding Platform
Dahal Blockchain: Technology and emerging use c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