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745A - 사용자 장비에 의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주파수 홉핑 인에이블링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에 의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주파수 홉핑 인에이블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745A
KR20240040745A KR1020247003273A KR20247003273A KR20240040745A KR 20240040745 A KR20240040745 A KR 20240040745A KR 1020247003273 A KR1020247003273 A KR 1020247003273A KR 20247003273 A KR20247003273 A KR 20247003273A KR 20240040745 A KR20240040745 A KR 20240040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hopping
frequency
uplink
subset
contro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징 레이
피터 갈
완시 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7/651,366 external-priority patent/US11470614B1/en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7Variable allocation of band 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36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2-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13Frequency hopping
    • H04B2201/71376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에 의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주파수 홉핑 인에이블링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FREQUENCY HOPPING ENABLING FOR AN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BY A USER EQUIPMENT"라는 명칭으로 2022년 2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651,366호 및 "FREQUENCY HOPPING ENABLING FOR AN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BY A USER EQUIPMENT"라는 명칭으로 2021년 8월 6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260,038호에 대한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은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명백히 통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선 송신들을 위해 주파수 홉핑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하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여러가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다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들(또는 node B들)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에서 UE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거나 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로부터의 또는 다른 무선 RF(radio frequency) 송신기들로부터의 송신들로 인해 간섭에 직면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다른 UE들의 업링크 송신들로부터의 또는 다른 무선 RF 송신기들로부터의 간섭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둘 모두 상에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하므로, 간섭 및 혼잡된 네트워크들에 대한 가능성들은, 더 많은 UE들이 장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하고 더 많은 단거리 무선 시스템들이 커뮤니티(community)들에 배치됨에 따라 증가한다. 연구 및 개발은, 모바일 브로드밴드 액세스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모바일 통신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발전시키고 향상시키기 위해 무선 기술들을 계속 발전시킨다.
일부 예들의 간략한 개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다른 양태들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BWP의 제2 표시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를 사용하여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일부 다른 양태들에서, 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홉핑 모드가 UE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E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와 연관된다. 방법은,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다른 양태들에서, 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BWP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를 사용하여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다른 양태들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UE와 연관된 제1 업링크 BWP에 기초하여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수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다른 양태들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업링크 BWP의 제2 표시를 UE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를 사용하여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신호 송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일부 다른 양태들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주파수 홉핑 모드가 UE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E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와 연관된다. 방법은,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다른 양태들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업링크 BWP의 제2 표시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를 사용하여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신호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양태들 및 구현들이 일부 예들에 대한 예시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당업자들은, 부가적인 구현들 및 사용 사례들이 많은 상이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들 및 시나리오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혁신들은 많은 상이한 플랫폼 타입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형상들, 사이즈들, 패키징 어레인지먼트들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태들 및/또는 사용들은 집적 칩 구현들 및 다른 비-모듈-컴포넌트 기반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 차량들, 통신 디바이스들, 컴퓨팅 디바이스들, 산업용 장비, 소매/구매 디바이스들, 의료용 디바이스들, AI(artificial intelligence)-인에이블 디바이스들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들이 사용 사례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에 구체적으로 지시될 수 있거나 지시되지 않을 수 있지만, 설명된 혁신들의 다양한 적용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다. 구현들은 칩-레벨 또는 모듈식 컴포넌트로부터 비-모듈식 비-칩-레벨 구현들까지 그리고 추가로 설명된 혁신들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을 포함하는 종합, 분산형, 또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까지의 범위에 이를 수 있다. 일부 실제적인 설정들에서, 설명된 양태들 및 특징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은 또한, 청구되고 설명된 양태들의 구현 및 실시를 위한 부가적인 컴포넌트들 및 특징들을 반드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목적들을 위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안테나, RF(radio frequency)-체인들, 전력 증폭기들, 변조기들, 버퍼, 프로세서(들), 인터리버, 가산기들/합산기들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반드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혁신들이 다양한 사이즈들, 형상들, 및 구성의 광범위하게 다양한 디바이스들, 칩-레벨 컴포넌트들, 시스템들, 분산형 어레인지먼트들,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 등에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내용의 속성 및 이점들의 추가적인 이해는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 또는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동일한 타입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참조 라벨 다음에 대시기호 및 유사한 컴포넌트들 사이를 구별하는 제2 라벨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제1 참조 라벨만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면, 설명은, 제2 참조 라벨과는 관계없이 동일한 제1 참조 라벨을 갖는 유사한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하나에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세부사항들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UE)의 예들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리소스 할당 방식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 제2 업링크 BWP, 및 제3 업링크 BWP의 예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제1 업링크 BWP, 제2 업링크 BWP, 및 제3 업링크 BWP의 부가적인 예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일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일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의 일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UE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다양한 도면들 내의 유사한 참조 번호들 및 지정들은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표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상이한 능력들을 갖는 상이한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을 점차 지원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능력 타입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UE)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능력 타입과 상이한 제2 능력 타입의 하나 이상의 UE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능력 타입은 "감소된 능력"(RedCap) 능력 타입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RedCap 디바이스는 감소된 비용, 감소된 디바이스 사이즈, 또는 감소된 전력 소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능력 타입은 eMBB(embedded mobile broadband) 능력 타입,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능력 타입, 또는 다른 능력 타입과 같은 비-RedCap 능력 타입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하나의 능력 타입의 UE는 다른 능력 타입의 다른 UE에 잡음 또는 간섭을 도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RedCap UE는 RedCap UE와 연관된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 내의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제1 업링크 BWP는 비-RedCap UE와 같은 다른 UE와 연관된 제2 업링크 BWP와 중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2 업링크 BWP의 서브세트일 수 있다). 그 결과, RedCap UE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들은 비-RedCap UE에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비-RedCap의 제2 업링크 BWP는 RedCap UE에 의한 주파수들의 사용으로 인해 리소스 프래그먼트화(fragmentation)를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edCap UE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들이 제2 업링크 BWP의 2개의 주파수 서브세트들을 포함하면, 제2 업링크 BWP는 3개의 인접하지 않은 주파수 구역들로 프래그먼트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3개의 인접하지 않은 주파수 구역들을 사용하는 RedCap UE에 의한 송신은 (예를 들어, 단일의 인접한 프래그먼트화되지 않은 주파수 구역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는 단일 패킷 대신에) 3개의 상이한 패킷들을 수반할 수 있다. 그 결과, 비-RedCap UE와 연관된 레이턴시가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이를테면, 일부 eMBB 또는 URLLC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서, UE는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주파수 홉핑을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링 또는 디스에이블링시킬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주파수 홉핑을 디스에이블링시키는 것은 제2 UE에 대한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홉핑이 디스에이블링되면,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UE와 연관된 제1 업링크 BWP의 다수의 주파수 서브세트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제1 업링크 BWP의 하나의 주파수 서브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일부 예들에서, 제2 UE와 연관된 제2 업링크 BWP의 리소스 프래그먼트화가 감소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주파수 서브세트는 제2 업링크 BWP의 주파수 경계와 정렬되어, 제2 업링크 BWP의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를 추가로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특정 예에 의존하여, 주파수 홉핑의 인에이블링 또는 디스에이블링은 명시적 기법 또는 암시적 기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명시적 기법의 일 예에서, 기지국은 주파수 홉핑이 UE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지국은 UE의 능력 타입(예를 들어, UE가 RedCap 능력 타입과 연관된다는 표시)에 기초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송신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UE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된 메시지, 이를테면 4-단계 RACH 절차의 타입 1의 메시지(msg1), 4-단계 RACH 절차의 타입 3의 메시지(msg3), 또는 2-단계 RACH 절차의 타입 A의 메시지(msgA)에서 능력 타입을 표시할 수 있다. 기지국은 예시적인 예들로서, 4-단계 RACH 절차의 타입 2의 메시지(msg2) 또는 타입 4의 메시지(msg4), msg2 또는 msg4를 스케줄링하는 메시지, 2-단계 RACH 절차의 타입 B의 메시지(msgB), msgB를 스케줄링하는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채널과 제어 채널의 조합에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암시적 기법에서, UE는 UE와 연관된 제1 업링크 BWP를 기지국과 연관된 시스템 대역폭에 기초한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UE는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주파수 홉핑을 인에이블링시킬 수 있다.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하면, UE는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주파수 홉핑을 디스에이블링시킬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임계치는 시스템 대역폭과 특정 값의 곱에 대응한다. 특정 값은 예시적인 예들로서, 기지국에 의해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주파수 홉핑을 선택적으로 디스에이블링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UE들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edCap UE의 제1 업링크 BWP가 비-RedCap UE의 제2 업링크 BWP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경우들에서 주파수 홉핑을 디스에이블링시킴으로써, 제2 업링크 BWP와 연관된 리소스 프래그먼트화가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비-RedCap UE에 의해 사용되는 패킷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상황들에서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추가로 예시하자면, 다양한 구현들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OFDMA(orthogonal FDMA) 네트워크들, SC-FDMA(single-carrier FDMA) 네트워크들, LTE 네트워크들, GSM 네트워크들, 5세대 또는 NR(new radio) 네트워크들(때때로 "5G NR" 네트워크들,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들로 지칭됨) 뿐만 아니라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어들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wideband-CDMA) 및 LCR(low chip rate)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또한 GERAN으로 표기되는 GSM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RAN(radio access network)에 대한 표준들을 정의한다. GERAN은 기지국들(예를 들어, 알터(Ater) 및 아비스(Abis) 인터페이스들) 및 기지국 제어기(A 인터페이스들 등)을 결합하는 네트워크와 함께 GSM/EDGE의 라디오 컴포넌트이다.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는 GSM 네트워크의 컴포넌트를 표현하며, 이를 통해, 폰 콜(call)들 및 패킷 데이터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 인터넷으로부터 사용자 단말들 또는 사용자 장비(UE)들로 또한 알려진 가입자 핸드셋들로 라우팅되고, 가입자 핸드셋들로부터 PSTN 및 인터넷으로 라우팅된다. 모바일 폰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는, UTMS/GSM 네트워크의 경우 UTRAN들과 커플링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GERAN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오퍼레이터 네트워크는 또한, 하나 이상의 LTE 네트워크들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상이한 네트워크 타입들은 상이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 및 RAN들을 사용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E-UTRA(evolved UTRA),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IEEE 802.16,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E-UTRA, 및 GSM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특히,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즈이다. UTRA, E-UTRA, GSM, UMTS 및 LTE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 제공되는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고, cdma2000은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다양한 라디오 기술들 및 표준들은 알려져 있거나 또는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3GPP는, 글로벌하게 적용가능한 3세대(3G) 모바일 전화 규격을 정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원격통신 협회들의 그룹들 사이의 합작(collaboration)이다. 3GPP LTE는, UMTS 모바일 폰 표준을 개선시키는 것에 목표가 있었던 3GPP 프로젝트이다. 3GPP는,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들, 모바일 시스템들, 및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규격들을 정의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LTE, 4G, 또는 5G NR 기술들을 참조하여 특정 양태들을 설명할 수 있지만; 설명은 특정 기술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하나의 기술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다른 기술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은 상이한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 또는 라디오 에어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들 사이의 무선 스펙트럼에 대한 공유된 액세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5G 네트워크들은, OFDM-기반 통합된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배치들, 다양한 스펙트럼, 및 다양한 서비스들 및 디바이스들을 고려한다. 이들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LTE 및 LTE-A에 대한 추가적인 향상들이 5G NR 네트워크들에 대한 새로운 라디오 기술의 배치에 부가하여 고려된다. 5G NR은 (1) 초고 밀도(예를 들어, ~1 M nodes/km^2), 초저 복잡도(예를 들어, ~10 s의 bits/sec), 초저 에너지(예를 들어, ~10+ 년의 배터리 수명), 및 까다로운 로케이션들에 도달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 딥 커버리지를 갖는 매시브(massive) IoT(Internet of things)들에 대한; (2) 민감한 개인, 금융, 또는 기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강한 보안, 초고 신뢰도(예를 들어, ~99.9999% 신뢰도), 초저 레이턴시(예를 들어, ~ 1ms(millisecond)), 및 넓은 범위들의 이동성을 갖거나 또는 이동성이 없는 사용자들에 대한 미션-크리티컬(mission-critical) 제어를 포함하는; 그리고 (3) 극히 높은 용량(예를 들어, ~ 10 Tbps/km^2), 극도의 데이터 레이트들(예를 들어, 멀티-Gbps 레이트, 100+ Mbps 사용자 경험된 레이트들), 및 발전된 발견 및 최적화들을 갖는 깊은 인식을 포함하는 향상된 모바일 브로드밴드를 가진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스케일링될 수 있을 것이다.
디바이스들,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기 스펙트럼은 종종 주파수/파장에 기초하여, 다양한 클래스들, 대역들, 채널들 등으로 세분된다. 5G NR에서, 2개의 초기 동작 대역들은 주파수 범위 지정들 FR1(410 ㎒ 내지 7.125 ㎓) 및 FR2(24.25 ㎓ 내지 52.6 ㎓)로서 식별되었다. FR1과 FR2 사이의 주파수들은 종종 중간-대역 주파수들로 지칭된다. FR1의 일부가 6 ㎓보다 크지만, FR1은 종종, 다양한 문헌들 및 논문들에서 "서브-6(sub-6) GHz" 대역으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된다.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에 의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으로 식별되는 EHF(extremely high frequency) 대역(30 ㎓ 내지 300 ㎓)과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문헌들 및 논문들에서 "mmWave" 대역으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종종 지칭되는 FR2에 관해 유사한 명칭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위의 양태들을 염두에 두고,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서브-6 ㎓" 등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6 ㎓ 미만일 수 있거나, FR1 내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중간-대역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는 주파수들을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로,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mmWave" 등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중간-대역 주파수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FR2 내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EHF 대역 내에 있을 수 있는 주파수들을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5G NR 디바이스들, 네트워크들, 및 시스템들은 최적화된 OFDM-기반 파형 특징들을 사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들 특징들은, 스케일러블 뉴머롤로지(scalable numerology) 및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들; 동적이고, 저-레이턴시 TDD(time division duplex) 설계 또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설계를 이용하여 서비스들 및 특징들을 효율적으로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공통의 유연한 프레임워크; 및 발전된 무선 기술들, 이를테면 매시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견고한 mmWave 송신들, 발전된 채널 코딩, 및 디바이스-중심 모빌리티를 포함할 수 있다. 5G NR의 뉴머롤로지의 확장성은, 서브캐리어 간격의 스케일링을 이용하여, 다양한 스펙트럼 및 다양한 배치들에 걸쳐 다양한 서비스들을 운용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다. 예를 들어, 3 ㎓ 미만의 FDD 또는 TDD 구현들의 다양한 실외 및 매크로 커버리지 배치들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은, 예를 들어 1, 5, 10, 20 ㎒ 등의 대역폭에 걸쳐 15 ㎑로 발생할 수 있다. 3 ㎓ 초과의 TDD의 다른 다양한 실외 및 소형 셀 커버리지 배치들의 경우, 서브캐리어 간격은 80/100 ㎒ 대역폭에 걸쳐 30 ㎑로 발생할 수 있다. 다른 다양한 실내 광대역 구현들의 경우, 5 ㎓ 대역의 비면허 부분에 걸쳐 TDD를 사용하여, 서브캐리어 간격은 160 ㎒ 대역폭에 걸쳐 60 ㎑로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28 ㎓의 TDD로 mmWave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다양한 배치들의 경우, 서브캐리어 간격은 500 ㎒ 대역폭에 걸쳐 120 ㎑로 발생할 수 있다.
5G NR의 스케일러블 뉴머롤로지는 다양한 레이턴시 및 QoS(quality of service) 요건들에 대한 스케일러블 TTI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더 짧은 TTI는 저레이턴시 및 고신뢰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더 긴 TTI는 더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긴 TTI 및 짧은 TTI의 효율적인 멀티플렉싱은 송신들이 심볼 경계들 상에서 시작되게 허용한다. 5G NR은 또한,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 데이터, 및 확인응답을 갖는 자립식(self-contained)의 통합형 서브프레임 설계를 고려한다. 자립식의 통합형 서브프레임은, 현재의 트래픽 필요성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셀 단위로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는 비면허 또는 경합-기반 공유된 스펙트럼의 적응적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서의 통신들을 지원한다.
명확화를 위해, 장치 및 기법들의 특정한 양태들은 예시적인 5G NR 구현들을 참조하여 또는 5G-중심 방식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5G 용어가 아래의 설명의 일부들에서 예시적인 예들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설명은 5G 애플리케이션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동작 시에, 본 명세서의 개념들에 따라 적응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로딩 및 이용가능성에 의존하여 면허 또는 비면허 스펙트럼의 임의의 조합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시스템들, 장치 및 방법들이 제공된 특정 예들 이외의 다른 통신 시스템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양태들 및 구현들이 일부 예들에 대한 예시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만, 당업자들은, 부가적인 구현들 및 사용 사례들이 많은 상이한 어레인지먼트들 및 시나리오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혁신들은 많은 상이한 플랫폼 타입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형상들, 사이즈들, 패키징 어레인지먼트들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현들 또는 사용들은 집적 칩 구현들 또는 다른 비-모듈-컴포넌트 기반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 차량들, 통신 디바이스들, 컴퓨팅 디바이스들, 산업용 장비, 소매 디바이스들 또는 구매 디바이스들, 의료용 디바이스들, AI-인에이블 디바이스들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예들이 사용 사례들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에 구체적으로 지시될 수 있거나 지시되지 않을 수 있지만, 설명된 혁신들의 다양한 적용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다. 구현들은 칩-레벨 또는 모듈식 컴포넌트로부터 비-모듈식 비-칩-레벨 구현들까지 그리고 추가로, 하나 이상의 설명된 양태들을 포함하는 종합형, 분산형, 또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까지의 범위에 이를 수 있다. 일부 실제적인 설정들에서, 설명된 양태들 및 특징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들은 또한, 청구되고 설명된 양태들의 구현 및 실시를 위한 부가적인 컴포넌트들 및 특징들을 반드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혁신들이 다양한 사이즈들, 형상들, 및 구성의 대형 디바이스들 또는 소형 디바이스들 둘 모두, 칩-레벨 컴포넌트들, 멀티-컴포넌트 시스템들(예를 들어, RF(radio frequency)-체인, 통신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분산형 어레인지먼트들,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하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구현들에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의도된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세부사항들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어 5G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나는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셀룰러-스타일 네트워크 어레인지먼트들 및 비-셀룰러-스타일-네트워크 어레인지먼트들(예를 들어,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또는 피어 투 피어 또는 애드 혹 네트워크 어레인지먼트들 등)을 포함하는 다른 네트워크 어레인지먼트들에서 관련 대응부들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
도 1에 예시된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기지국들(105)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 있으며, 또한 eNB(evolved node B), 차세대 eNB(gN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05)은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그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의존하여, 기지국의 이러한 특정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또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무선 네트워크(100)의 구현들에서, 기지국들(105)은 동일한 오퍼레이터 또는 상이한 오퍼레이터들과 연관될 수 있다(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100)는 복수의 오퍼레이터 무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의 무선 네트워크(100)의 구현들에서, 기지국(105)은 이웃 셀과 동일한 주파수들 중 하나 이상(예를 들어, 면허 스펙트럼, 비면허 스펙트럼, 또는 이들의 조합 내의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개별 기지국(105) 또는 UE(115)는 하나 초과의 네트워크 동작 엔티티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각각의 기지국(105) 및 UE(115)는 단일 네트워크 동작 엔티티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기지국은 매크로 셀 또는 소형 셀, 이를테면 피코 셀 또는 펨토 셀, 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크로 셀은, 비교적 큰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반경이 수 킬로미터)을 커버하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된 UE들에 의한 제약되지 않은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소형 셀, 이를테면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것이며, 네트워크 제공자에 서비스 가입된 UE들에 의한 제약되지 않은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소형 셀, 이를테면 펨토 셀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홈(home))을 또한 커버할 것이며, 제약되지 않은 액세스에 부가하여, 펨토 셀과의 연관(association)을 갖는 UE들(예를 들어, CSG(closed subscriber group) 내의 UE들, 홈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약된 액세스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기지국은 매크로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다. 소형 셀에 대한 기지국은 소형 셀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또는 홈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기지국들(105d 및 105e)은 통상적인 매크로 기지국들인 반면, 기지국들(105a 내지 105c)은 3D(3 dimension), FD(full dimension), 또는 매시브 MIMO 중 하나를 이용하여 인에이블링된 매크로 기지국들이다. 기지국들(105a 내지 105c)은 커버리지 및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도 및 방위각 빔포밍 둘 모두에서 3D 빔포밍을 활용하기 위해 그 기지국들의 더 높은 디멘션 MIMO 능력들을 이용한다. 기지국(105f)은 홈 노드 또는 휴대용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는 소형 셀 기지국이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다수(예를 들어, 2개, 3개, 4개 등)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동기식 동작의 경우, 기지국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으며,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상 대략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비동기식 동작의 경우, 기지국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으며,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상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네트워크들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들 사이의 동적 스위칭을 핸들링하도록 인에이블링 또는 구성될 수 있다.
UE들(115)은 무선 네트워크(100) 전반에 걸쳐 산재되어 있고, 각각의 UE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가 3GPP에 의해 발표된 표준들 및 규격들에서 일반적으로 UE로 지칭되지만, 그러한 장치는 부가적으로 또는 달리, MS(mobile 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 스테이션, AT(access terminal),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게이밍 디바이스, 증강 현실 디바이스, 차량용 컴포넌트, 차량용 디바이스, 또는 차량용 모듈,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당업자들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본 문헌 내에서, "모바일" 장치 또는 UE는 반드시 이동 능력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정지형일 수 있다. UE들(115) 중 하나 이상의 UE들의 구현들을 포함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모바일 장치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들은 모바일, 셀룰러(셀) 폰, 스마트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랩톱,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넷북, 스마트 북,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부가적으로, IoT 또는 IoE("Internet of everything"), 이를테면 자동차 또는 다른 운송 차량, 위성 라디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디바이스, 물류 제어기, 드론, 멀티-콥터(multi-copter), 쿼드-콥터(quad-copter), 스마트 에너지 또는 보안 디바이스, 솔라 패널 또는 솔라 어레이, 도시 조명, 물 인프라구조, 또는 다른 인프라구조; 산업 자동화 및 기업용 디바이스들; 소비자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안경류, 웨어러블 카메라, 스마트 워치, 건강 또는 피트니스 추적기, 포유류 이식형 디바이스, 제스처 추적 디바이스, 의료용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등; 및 디지털 홈 또는 스마트 홈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홈 오디오,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어플라이언스, 센서, 벤딩 머신, 지능형 조명, 홈 보안 시스템, 스마트 계량기 등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UE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UE는 UICC를 포함하지 않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ICC들을 포함하지 않는 UE들은 또한 IoE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구현의 UE들(115a 내지 115d)은 무선 네트워크(100)에 액세스하는 모바일 스마트 폰-타입 디바이스들의 예들이고, UE는 또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eMTC(enhanced MTC), NB-IoT(narrowband IoT) 등을 포함하는 연결된 통신을 위해 특수하게 구성된 머신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UE들(115e 내지 115k)은 무선 네트워크(100)에 액세스하는 통신을 위해 구성된 다양한 머신들의 예들이다.
UE들(115)과 같은 모바일 장치는 매크로 기지국들인지, 피코 기지국들인지, 펨토 기지국들인지, 중계기들 등인지 간에 임의의 타입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 통신 링크(번개 볼트로서 표현됨)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기지국인 서빙 기지국과 UE 사이의 무선 송신들, 또는 기지국들 사이의 원하는 송신, 및 기지국들 사이의 백홀 송신들을 표시한다. UE는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기지국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의 기지국들 사이의 백홀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에서의 동작에서, 기지국들(105a 내지 105c)은 3D 빔포밍 및 조정된 공간 기법들, 이를테면 CoMP(coordinated multipoint) 또는 멀티-연결을 사용하여 UE들(115a 및 115b)을 서빙한다. 매크로 기지국(105d)은 기지국들(105a 내지 105c) 뿐만 아니라 소형 셀 기지국(105f)과의 백홀 통신들을 수행한다. 매크로 기지국(105d)은 또한, UE들(115c 및 115d)에 가입되고 그들에 의해 수신되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을 송신한다. 그러한 멀티캐스트 서비스들은 모바일 텔레비전 또는 스트림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커뮤니티 정보, 이를테면 날씨 비상주의보들 또는 경고들, 이를테면 앰버(Amber) 경고들 또는 그레이(gray) 경고들을 제공하기 위한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들의 무선 네트워크(100)는 미션 크리티컬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드론인 UE(115e)에 대한 매우-신뢰할 수 있고 리던던트한(redundant) 링크들을 이용하여 미션 크리티컬 통신들을 지원한다. UE(115e)와의 리던던트한 통신 링크들은 매크로 기지국들(105d 및 105e) 뿐만 아니라 소형 셀 기지국(105f)로부터의 것을 포함한다. 다른 머신 타입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UE(115f)(온도계), UE(115g)(스마트 계량기), 및 UE(115h)(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지국들, 이를테면 소형 셀 기지국(105f) 및 매크로 기지국(105e)과 직접적으로, 또는 자신의 정보를 네트워크에 중계하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 이를테면 온도 측정 정보를 스마트 계량기 UE(115g)에 통신하는 UE(115f)(그 정보는 이어서, 소형 셀 기지국(105f)을 통해 네트워크에 리포팅됨)와 통신함으로써 멀티-홉 구성들로 무선 네트워크(10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이를테면 매크로 기지국(105e)과 통신하는 UE들(115i 내지 115k) 사이의 차량-차량(V2V) 메시 네트워크에서 동적의 저-레이턴시 TDD 통신들 또는 저-레이턴시 FDD 통신들을 통해 부가적인 네트워크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서, 도 1의 기지국(105)은 주파수 홉핑이 UE(115)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UE(115)에게 표시하기 위해 FH(frequency hopping) 표시자(150)를 송신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105d)은 주파수 홉핑이 UE(115c)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FH 표시자(150)를 UE(115c)에 송신할 수 있다. UE(115c)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FH 표시자(150)에 기초하여 주파수 홉핑을 인에이블링 또는 디스에이블링시킬 수 있다.
도 2는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105) 및 UE(115)의 예들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기지국(105) 및 UE(115)는 도 1의 기지국들 중 임의의 기지국 및 UE들 중 하나의 UE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약된 연관 시나리오의 경우, 기지국(105)은 도 1의 소형 셀 기지국(105f)일 수 있고, UE(115)는 기지국(105f)의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는 UE(115c 또는 115d)일 수 있으며, 이는 소형 셀 기지국(105f)에 액세스하기 위해 소형 셀 기지국(105f)에 대한 액세스가능 UE들의 리스트에 포함될 것이다. 기지국(105)은 또한 일부 다른 타입의 기지국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지국(105)에는 안테나들(234a 내지 234t)이 장착될 수 있고, UE(115)에는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이 장착될 수 있다.
기지국(105)에서, 송신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소스(212)로부터의 데이터 및 프로세스와 같은 프로세서(240)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PDCCH(MTC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송신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볼 맵핑)하여,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20)는 또한, 예를 들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셀-특정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TX) MIMO 프로세서(230)는, 적용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예를 들어,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변조기(MOD)들(232a 내지 232t)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해 수행되는 공간 프로세싱은 프리코딩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232)는 개개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각각의 변조기(2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기들(232a 내지 232t)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234a 내지 234t)을 통해 각각 송신될 수 있다.
UE(115)에서,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은 기지국(105)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들(DEMOD들)(254a 내지 254r)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254)는 개개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254)는 입력 샘플들을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추가로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256)는 복조기들(254a 내지 254r)로부터의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수신된 심볼들에 대해 MIMO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58)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UE(115)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260)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280)에 제공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115)에서, 송신 프로세서(264)는 데이터 소스(262)로부터의 (예를 들어,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280)로부터의 (예를 들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송신 프로세서(264)는 또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266)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변조기들(254a 내지 254r)에 의해 (예를 들어, SC-FDM 등을 위해) 추가적으로 프로세싱되며, 기지국(105)에 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105)에서, UE(115)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234)에 의해 수신되고, 복조기들(232)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236)에 의해 검출되며, 수신 프로세서(238)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되어, UE(115)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239)에 제공할 수 있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프로세서(24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240 및 280)은 기지국(105) 및 UE(115)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할 수 있다. 기지국(105)에서의 프로세서(240) 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 또는 UE(115)에서의 프로세서(280) 또는 다른 프로세서들 및 모듈들은 이를테면 도 8 내지 도 11에 예시된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들에 대한 다양한 프로세스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법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 이를테면 FH 표시자(150)의 송신 및 수신의 실행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242 및 282)은 기지국(105) 및 UE(115)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244)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UE(115) 및 기지국(105)은 면허 또는 비면허(예를 들어, 경합-기반) 주파수 스펙트럼을 포함할 수 있는 공유된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공유된 라디오 주파수 스펙트럼 대역의 비면허 주파수 부분에서, UE들(115) 및 기지국들(105)은 종래에,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한 액세스를 경합하기 위해 매체-감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5) 또는 기지국(105)은 공유된 채널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통신하기 전에 LBT(listen-before-talk 또는 listen-before-transmitting) 절차, 이를테면 CCA(clear channel assessment)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CCA는 임의의 다른 활성 송신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에너지 검출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전력 계량기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의 변화가 채널이 점유되었다는 것을 표시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대역폭에 집중되고 미리 결정된 잡음 플로어(floor)를 초과하는 신호 전력은 다른 무선 송신기를 표시할 수 있다. CCA는 또한, 채널의 사용을 표시하는 특정 시퀀스들의 검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디바이스는 데이터 시퀀스를 송신하기 전에 특정 프리앰블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LBT 절차는, 무선 노드가 채널 상에서 검출된 에너지의 양 또는 충돌들에 대한 프록시로서 그 자신의 송신된 패킷들에 대한 확인응답/부정-확인응답(ACK/NACK) 피드백에 기초하여 그 자신의 백오프 윈도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300)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300)은 기지국(105)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UE들, 이를테면 UE(115x), UE(115y), 및 UE(115z)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들(115x 내지 115z)은 도 1에 예시된 UE들(115)에 대응한다.
도 3의 예는 기지국(105)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를테면, 프로세서(240))을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24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기지국(105)은 수신기(306) 및 송신기(3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메모리(242)에, 송신기(306)에, 그리고 수신기(308)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기(306) 및 수신기(308)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변조기/복조기들(232a 내지 232t), MIMO 검출기(236), 수신 프로세서(238), 송신 프로세서(220), 또는 TX MIMO 프로세서(2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송신기(306) 및 수신기(308)는 기지국(105)의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에 통합될 수 있다.
송신기(306)는 기준 신호들, 동기화 신호들,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신기(308)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준 신호들,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306)는 시그널링,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UE들(115x 내지 115z)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신기(308)는 UE들(115x 내지 115z)로부터 시그널링,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UE(115x 내지 115z)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이를테면, 프로세서(280)), 메모리(이를테면, 메모리(282)), 송신기(이를테면, 송신기(356)), 및 수신기(이를테면, 수신기(35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메모리(282)에, 송신기(356)에, 그리고 수신기(358)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기(356) 및 수신기(358)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이를테면 변조기/복조기들(254a 내지 232r), MIMO 검출기(256), 수신 프로세서(258), 송신 프로세서(264), 또는 TX MIMO 프로세서(26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송신기(356) 및 수신기(358)는 UE(115)의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에 통합될 수 있다.
송신기(356)는 기준 신호들, 동기화 신호들,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신기(358)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기준 신호들,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송신기(356)는 시그널링,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기지국(105)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신기(358)는 기지국(105)으로부터 시그널링, 제어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송신기(306), 수신기(308), 송신기(356), 또는 수신기(358) 중 하나 이상은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는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무선 통신들을 수행하는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안테나 어레이는 안테나 빔들로 또한 지칭되는 상이한 빔들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들을 수행할 수 있다. 빔들은 송신 빔들 및 수신 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안테나 어레이는 안테나 엘리먼트들(또는 다수의 개별 안테나 어레이들)의 다수의 독립적인 세트들(또는 서브세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 어레이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각각의 세트는 다른 빔들과 상이한 개개의 방향을 가질 수 있는 상이한 개개의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어레이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제1 세트는 제1 방향을 갖는 제1 빔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안테나 어레이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제2 세트는 제2 방향을 갖는 제2 빔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안테나 어레이는 2개 초과의 빔들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안테나 어레이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은, 예를 들어 다수의 RF 체인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빔들을 동시에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엘리먼트들의 세트(또는 서브세트)는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이를테면 2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4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10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20개의 안테나 엘리먼트들, 또는 2보다 큰 임의의 다른 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로서 설명되지만, 다른 구현들에서, 안테나 어레이는 다수의 안테나 패널들을 포함하거나 이들에 대응할 수 있고, 각각의 안테나 패널은 상이한 개개의 빔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300)은 5G NR 네트워크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300)은 3GPP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5G NR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된 UE들 및 기지국들과 같은 다수의 5G-가능 UE들(115) 및 다수의 5G-가능 기지국들(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UE들(115)은 특정 능력 타입과 연관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들(115x 및 115z)은 제1 능력 타입과 연관되고, UE(115y)는 제1 능력 타입과 상이한 제2 능력 타입과 연관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능력 타입은 "감소된 능력"(RedCap) 능력 타입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능력 타입은 eMBB(embedded mobile broadband) 능력 타입, URLL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능력 타입, 또는 다른 능력 타입과 같은 비-RedCap 능력 타입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115x) 및 UE(115z)는 예시적인 예들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들, 의료용 모니터링 디바이스들, 센서 디바이스들,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 또는 스마트 도시 디바이스들(이를테면, 감시 카메라들)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로 예시하자면, 일부 구현들에서, UE(115x), UE(115y), 및 UE(115z)는 각각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362)(예를 들어, UE(115x)의 디폴트 업링크 BWP), 제2 업링크 BWP(372), 및 제3 업링크 BWP(382)를 사용하여 기지국(105)과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업링크 BWP(362) 및 제3 업링크 BWP(382)는 (예를 들어, UE(115x) 및 UE(115z)와 연관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2 업링크 BWP(372)보다 작은 대역폭을 포함한다. 업링크 BWP들(362, 372, 및 382) 각각은 초기 업링크 BWP 또는 활성 업링크 BWP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제1 업링크 BWP(362)는 기지국(105)과 UE(115x) 사이에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확립하기 전에 UE(115x)에 의해 사용되는 초기 업링크 BWP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제1 업링크 BWP(362)는 기지국(105)과 UE(115x) 사이의 RRC 연결을 확립한 이후 기지국(105)에 의해 구성된 활성 업링크 BWP에 대응할 수 있다.
동작 동안, 송신기(356)는 제1 업링크 BWP(362)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356)는 제1 업링크 BWP(362) 내에 있는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기지국(105)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여기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은 제1 업링크 BWP(362)에 포함된 주파수 리소스들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은 UE(115x)와 연관된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334)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송신에 대응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송신기(356)는 FH 모드(360)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H 모드(360)에 기초한 동작 동안, 송신기(356)는 제1 업링크 BWP(362)의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및 제1 업링크 BWP(362)의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 사이에서 변경(또는 "홉핑")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FH 모드(360)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다른 UE들(115)의 감소된 성능, 이를테면 리소스 프래그먼트화와 연관될 수 있다.
예시하자면,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리소스 할당 방식(400)의 일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리소스 할당 방식(400)의 예에서, 제1 업링크 BWP(362)는 제2 업링크 BWP(372)보다 작다(예를 들어, 더 작은 주파수 범위를 포함함). FH 모드(360)에 기초한 송신기(356)의 동작 동안, UE(115y)는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356)가 FH 모드(360) 동안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를 사용하면,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에 대응하는 주파수들은 UE(115y)에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또는 그에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제2 업링크 BWP(372)의 리소스들은 3개의 인접하지 않은 주파수 범위들로 분리(또는 프래그먼트화)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서, 기지국(105)은 FH 모드(360)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링 또는 디스에이블시키도록 FH 표시자(150)를 송신할 수 있다. FH 모드(360)를 디스에이블링시키는 것은 제2 업링크 BWP(372)의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H 모드(360)가 디스에이블링될 때, UE(115x)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중 하나(그러나 둘 모두는 아님)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제2 업링크 BWP(372)의 프래그먼트화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추가로 예시하자면,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기지국(105)은 FH 표시자(150)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을 UE(115x)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E(115x)는 UE(115x)의 능력 타입(314)을 표시하는 메시지(310)를 기지국(105)에 송신하고, 기지국(105)은 능력 타입(314)에 기초하여 FH 표시자(150)를 UE(115x)에 송신한다. 일부 예들에서, 능력 타입(314)은 UE(115x)가 RedCap UE에 대응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그러한 예들에서, 능력 타입(314)은, 일부 구현들에서 eMBB 능력 타입 또는 URLLC 능력 타입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능력 타입과 비교하여 감소된 업링크 대역폭과 연관될 수 있는 RedCap 능력 타입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능력 타입(314)은 예시적인 예로서, 제1 업링크 BWP(362)의 대역폭 또는 중심 주파수 중 하나 이상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파라미터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메시지(310)는 능력 타입(314)을 표시하는 4-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342)(예를 들어, 경합-기반 RACH 절차)와 연관된 타입 1의 메시지(msg1)에 대응한다. 일부 그러한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은 4-단계 RACH 절차(342)와 연관된 타입 4의 메시지(msg4), msg4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그에 대응할 수 있다.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과 관련하여, FH 표시자(150)의 적어도 제1 비트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에 포함되고, FH 표시자(150)의 적어도 제2 비트가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에 포함된다. 그러한 예들에서, UE(115x)는 FH 표시자(150)를 식별하기 위해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및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인트(joint) 디코딩 또는 조인트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상황들에서 FH 표시자(150)의 송신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메시지(310)는, 4-단계 RACH 절차(342)와 연관되고, 능력 타입(314)을 표시하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구성, 능력 타입(314)을 표시하는 페이로드, 또는 능력 타입(314)을 표시하는 스크램블링 식별자 중 하나를 갖는 타입 3의 메시지(msg3)에 대응한다. 일부 그러한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은 4-단계 RACH 절차(342)와 연관된 메시지 4(msg4), msg4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그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메시지(310)는, 2-단계 RACH 절차(344)(예를 들어, 경합-없는 RACH 절차)와 연관되고, 능력 타입(314)을 표시하는 프리앰블, 능력 타입(314)을 표시하는 DMRS 구성, 능력 타입(314)을 표시하는 페이로드, 또는 능력 타입(314)을 표시하는 페이로드의 스크램블링 식별자 중 하나를 갖는 타입 A의 메시지(msgA)에 대응한다. 일부 그러한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은 2-단계 RACH 절차(344)와 연관된 타입 B의 메시지(msgB), msgB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그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로 예시하자면, 4-단계 RACH 절차(342)의 일 예에서, UE(115x)는 UE(115x)에 의해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표시하기 위해 msg1을 송신할 수 있고, 기지국(105)은 업링크 리소스 할당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을 표시하기 위해 msg2를 송신할 수 있다. UE(115x)는 업링크 리소스 할당을 사용하여 msg3을 기지국(105)에 송신할 수 있고, 기지국(105)은 msg4를 통해 경합 해결 메시지를 UE(115x)에 송신할 수 있다. 2-단계 RACH 절차(344)의 일 예에서, 기지국(105)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UE(115x)에 할당할 수 있고, 할당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UE(115x)에 표시할 수 있다. UE(115x)는 할당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msgA를 통해 기지국(105)에 송신할 수 있고, 기지국(105)은 msgA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msgB를 통해 UE(115x)에 송신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은 UE(115x)와 연관된 RACH 타입에 관계없이 송신되는 다른 메시지를 포함하거나 그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은 기지국(105)과 연관된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거나 그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105)은 브로드캐스트 기법을 사용하여 SI 메시지를 송신하며, 이는 다수의 UE들(이를테면, UE들(115x 내지 115z)에 의한 SI 메시지의 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FH 표시자(150)는 FH 모드(360)가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표시하는 값을 갖는 비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비트(324)는 제1 값을 표시할 수 있고, 송신기(356)는 비트(324)의 제1 값에 기초하여 FH 모드(360)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비트(324)는 제1 값과 상이한 제2 값을 표시할 수 있고, 송신기는 비트(324)의 제2 값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에 대한 FH 모드(360)를 디스에이블링시킬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송신기(356)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중 하나(그러나 둘 모두는 아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값은 논리 0 값에 대응하고, 제2 값은 논리 1 값에 대응한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제1 값은 논리 1 값에 대응하고, 제2 값은 논리 0 값에 대응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FH 표시자(150)는 선택적으로, 제1 업링크 BWP(362) 내의 리소스 세트(346)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1 그룹(32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82)는 리소스 세트들의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1 그룹(326)은 리소스 세트들의 테이블에 대한 인덱스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1 그룹(326)에 기초하여 리소스 세트(346)를 식별할 수 있고, 송신기(356)는 리소스 세트(374)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1 그룹(326)은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또는 제1 업링크 BWP(362)에 포함된 다른 주파수 리소스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리소스 세트(346)의 적어도 서브세트는 UE(115x)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능력 타입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예를 들어, 리소스 세트(346)는 UE(115y)의 리소스 세트(374)로서 적어도 하나의 공통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고, UE(115y)는 UE(115x)와 상이한 능력 타입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소스 세트(346)는 UE(115z)의 리소스 세트(384)로서 적어도 하나의 공통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고, UE(115z)는 UE(115x)와 동일한 능력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리소스 세트(374)는 UE(115y)의 초기 업링크 BWP 또는 활성 업링크 BWP에 대응할 수 있고, 리소스 세트(384)는 UE(115z)의 초기 업링크 BWP 또는 활성 업링크 BWP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리소스 세트(346)는 UE(115x)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능력 타입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다른 리소스 세트들과 별개이다. 예를 들어, 리소스 세트(346)는 UE(115y)의 리소스 세트(374)와 별개일 수 있고(그리고 리소스 세트(374)로서 적어도 하나의 공통 리소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UE(115y)는 UE(115x)와 상이한 능력 타입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소스 세트(346)는 UE(115z)의 리소스 세트(384)와 별개일 수 있고, UE(115z)는 UE(115x)와 동일한 능력 타입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FH 표시자(150)는 선택적으로, 반복 횟수(348)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2 그룹(328)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기(356)는 반복 횟수(348)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의 하나 이상의 반복들(332)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반복들(332)을 수행하는 것은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과 연관된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하자면, FH 모드(360)를 디스에이블링시키는 것은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과 연관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감소시킬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반복들(332)을 수행하는 것은 (예를 들어,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과 연관된 시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보상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105)은 브로드캐스트 송신 기법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을 송신한다. 특정 예에 의존하여, 기지국(105)은 UE(115x)에 의한 초기 액세스 절차 전에 또는 그 이후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을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송신 기법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초기 액세스 절차는 기지국(105)과 UE(115) 사이에 RRC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기지국(105)은 유니캐스트 송신 기법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을 송신한다. 특정 예에 의존하여, 기지국(105)은 유니캐스트 송신 기법을 사용하여 그리고 RRC 연결 또는 MAC-CE(MAC(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시그널링 중 하나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320)을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의 일부 예들이 단일 신호 또는 단일 송신으로서 설명될 수 있지만, 일부 다른 예들에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은 제1 업링크 BWP(362) 내에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UCI(334)의 비트들은 제1 업링크 BWP(362) 내의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 사이에 할당(또는 "공유")될 수 있다. 추가로, FH 표시자(150)는 (예를 들어, 비트(324)의 값에 기초하여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 각각에 대해 FH 모드(360)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링시킴으로써)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은 예시적인 예들로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신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신호,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제1 업링크 BWP(362), 제2 업링크 BWP(372), 및 제3 업링크 BWP(382)의 예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제1 업링크 BWP(362)의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가 제2 업링크 BWP(372)의 제1 경계(502)(예를 들어, 제2 업링크 BWP(372)에 포함된 가장 낮은 주파수)와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와 제2 업링크 BWP(372)의 제1 경계(502)를 정렬시키는 것은 FH 모드(360)에 기초한 송신기(356)의 동작 동안 제2 업링크 BWP(372)의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의 리소스들이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 동안 UE(115y)에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리소스들의 인접 그룹(504)은 (예를 들어,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로부터 기인될 수 있는 리소스들의 다수의 인접하지 않은 그룹들 대신에) UE(115y)에 이용가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함으로써, (예를 들어, 리소스들의 다수의 인접하지 않은 그룹들을 사용하는 다수의 패킷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리소스들의 인접 그룹(504)을 사용하여 데이터가 단일 패킷에서 송신될 수 있게 함으로써) UE(115y)에 의해 송신된 패킷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 처리량 및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5의 예는 또한,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가 제3 디바이스(예를 들어, UE(115z))와 연관된 제3 업링크 BWP(382)의 제3 주파수 서브세트(506)와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그 결과, 제3 주파수 서브세트(506)를 사용하는 UE(115z)에 의한 송신들로 인한 제2 업링크 BWP(372)에 대한 리소스 프래그먼트화가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 있다.
도 6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제1 업링크 BWP(362), 제2 업링크 BWP(372), 및 제3 업링크 BWP(382)의 부가적인 예들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제2 업링크 BWP(372)의 제2 경계(602)가 제3 디바이스(예를 들어, UE(115z))와 연관된 제3 업링크 BWP(382)의 제4 주파수 서브세트(606)와 정렬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6의 예는 (송신들에 대한 상이한 주파수 서브세트들(364, 606)의 사용으로 인해) UE(115x) 및 UE(115y)의 송신들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면서, 또한 UE(115y)에 대한 리소스들의 인접 그룹(604)을 인에이블시키며, 따라서 UE(115y)에 대한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105)은 리소스 할당(302)에 기초하여 FH 표시자(150)를 설정한다. 리소스 할당(302)은 무선 통신 시스템(300)의 UE들, 이를테면 UE들(115x 내지 115z)에 할당된 리소스들을 추적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제1 업링크 BWP(362)가 제2 업링크 BWP(372)에 포함되면, 기지국(105)은 FH 모드(360)의 디스에이블링을 표시하기 위해 FH 표시자(150)를 설정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1 그룹(326)을 통해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의 리소스들의 사용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기지국(105)은, 이를테면 주파수 서브세트들(364, 506)을 제1 경계(502)와 정렬시킴으로써, 또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를 제1 경계(502)와 정렬시키고 제4 주파수 서브세트(606)를 제2 경계(602)와 정렬시킴으로써, 리소스 할당(302)에 기초하여 업링크 BWP들의 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예들이 명시적 FH 표시 기법을 참조하여(이를테면, 비트(324)를 사용하여) 설명되었지만, 일부 다른 예들에서, UE(115)는 암시적 FH 표시 기법에 따라 FH가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암시적 FH 표시 기법은 명시적 FH 표시 기법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UE(115x)가 기지국(105)으로부터 FH 표시자(150)의 명시적 표시를 수신하는 데 실패하면, UE(115x)는 암시적 FH 표시 기법을 사용하여 FH 모드(360)를 인에이블링시킬지 또는 디스에이블링시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암시적 FH 표시 기법의 예들이 도 7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700)의 다른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700)은 기지국(105)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UE들, 이를테면 UE(115x), UE(115y), 및 UE(115z)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동안, 기지국(105)은 기지국(105)과 연관된 대역폭(712), 이를테면 기지국(105)과 연관된 서빙 셀 시스템 대역폭의 표시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105)은 대역폭(712)의 제1 표시를 포함하는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710)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105)은 브로드캐스트 송신 기법을 사용하여 대역폭(712)의 제1 표시를 송신할 수 있다.
UE들(115x 내지 115z) 중 하나 이상은 대역폭(712)의 제1 표시를 수신할 수 있고, 제1 표시를 디코딩하여 대역폭(712)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5x)는 SI 메시지(710)를 수신할 수 있고, SI 메시지(710)를 디코딩하여 대역폭(712)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105)은 UE(115x)와 연관된 제1 업링크 BWP(362)의 제2 표시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업링크 BWP(362)의 제2 표시는 SI 메시지(710)에 포함된다. 일부 그러한 예들에서, UE(115x)는 SI 메시지(710)를 디코딩하여 제1 업링크 BWP(362)를 식별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제1 업링크 BWP(362)의 제2 표시는 UE(115x)와의 RRC 연결을 확립한 이후 기지국(105)에 의해 UE(115x)에 송신된 RRC 구성 메시지(720)에 포함된다. 일부 그러한 예들에서, UE(115x)는 RRC 구성 메시지(720)를 디코딩하여 제1 업링크 BWP(362)를 식별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제1 업링크 BWP(362)의 제2 표시는 다른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예에 의존하여, 제1 업링크 BWP(362)는 UE(115x)의 초기 BWP 또는 UE(115x)의 활성 BWP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서, UE(115x)는 제1 업링크 BWP(362)가 임계치(75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80)는 제1 업링크 BWP(362)가 임계치(75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업링크 BWP(362)에 대응하는 제1 수의 헤르츠(Hz)를 임계치(750)에 대응하는 제2 수의 Hz와 비교할 수 있다. 임계치(750)는 대역폭(7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UE(115x)는 제1 업링크 BWP(362)가 임계치(750)를 초과하는지(또는 임계치(750)를 초과하는 데 실패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FH 모드(360)를 인에이블링(또는 디스에이블링)시킬 수 있다. 예시하자면, 일부 예들에서, 프로세서(280)는 제1 업링크 BWP(362)가 임계치(750)를 초과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프로세서(280)는 FH 모드(360)를 인에이블링시킬 수 있고, 송신기(356)는 FH 모드(360)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프로세서(280)는 제1 업링크 BWP(362)가 임계치(750)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프로세서(280)는 FH 모드(360)를 디스에이블링시킬 수 있고, 송신기(356)는 FH 모드(36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임계치(750)는 대역폭(712) 및 파라미터(752)(예를 들어, 양의 또는 음이 아닌 값을 갖는 계수)에 기초한다. 일부 예들에서, 임계치(750)는 대역폭(712)과 파라미터(752)의 곱에 대응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파라미터(75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105))에 의해 결정되고, (예를 들어, SI 메시지(710)를 통해) 시스템 정보에서 또는 (예를 들어, RRC 구성 메시지(720)를 통해, 또는 다른 메시지를 통해)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115x)에 표시된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기지국(105) 및 UE(115x)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를테면, 5G NR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고,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대역폭(712), 디바이스 타입과 연관된 최대 대역폭(예를 들어, 도 3의 능력 타입(314)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대역폭), 또는 디바이스 타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제1 업링크 BWP(362)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파라미터(752)를 특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의 제1 인접 그룹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예로서,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는 2개의 인접 PRB들의 인접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는 3개의 인접 PRB들의 인접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중 하나 이상은 슬롯 내의 심볼들의 제2 인접 그룹 또는 다수의 슬롯들 내의 심볼들의 제3 인접 그룹 중 어느 하나에 걸쳐 있다. 예시하자면,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중 하나 이상이 슬롯 내의 심볼들의 인접 그룹에 걸쳐 있으면, FH 모드(360)는 인트라-슬롯(intra-slot) 주파수 홉핑 모드에 대응할 수 있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중 하나 이상이 다수의 슬롯들 내의 심볼들의 인접 그룹에 걸쳐 있으면, FH 모드(360)는 인터-슬롯(inter-slot) 주파수 홉핑 모드에 대응할 수 있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와 중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의 PRB들은, FH 모드(360)가 제1 업링크 BWP(362)에서의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에 대해 인에이블링될 때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의 PRB들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그리고 그들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예들은 UE(115y)와 같은 하나 이상의 UE들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업링크 BWP(362)가 제2 업링크 BWP(372)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경우들에서 FH 모드(360)를 디스에이블링시킴으로써, 제2 업링크 BWP(372)와 연관된 리소스 프래그먼트화가 감소되거나 회피될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를 기지국(105)에 송신하기 위해 UE(115y)에 의해 사용되는 패킷들의 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상황들에서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부 양태들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800)의 일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800)은 UE(115)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800)은 8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홉핑 모드가 UE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E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와 연관된다. 예를 들어, UE(115x)는 FH 모드(360)가 UE(115x)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표시하는 FH 표시자(150)를 (예를 들어, 수신기(358)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방법(800)은 804에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예를 들어, FH 모드(360)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FH 표시자(150)가 표시하는 것에 기초하여, UE(115x)는, 이를테면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 사이에서 변경(또는 "홉핑")함으로써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둘 모두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예를 들어, 송신기(356)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FH 모드(360)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FH 표시자(150)가 표시하는 것에 기초하여, UE(115x)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중 하나(그러나 둘 모두는 아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예를 들어, 송신기(356)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900)의 일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900)은 기지국(105)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900)은 902에서, 주파수 홉핑 모드가 UE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E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와 연관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5)은 FH 모드(360)가 UE(115x)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표시하는 FH 표시자(150)를 (예를 들어, 송신기(306)를 사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방법(900)은 904에서, UE로부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수신된다. 예를 들어, FH 모드(360)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FH 표시자(150)가 표시하는 것에 기초하여, 기지국(105)은, 이를테면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를 사용하여 수신하는 것 사이에서 변경(또는 "홉핑")함으로써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둘 모두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예를 들어, 수신기(308)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들에서, FH 모드(360)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FH 표시자(150)가 표시하는 것에 기초하여, 기지국(105)은 제1 주파수 서브세트(364)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366) 중 하나(그러나 둘 모두는 아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예를 들어, 수신기(308)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일부 양태들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1000)의 일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1000)은 UE(115)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1000)은 10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1000)은 1004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BWP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방법(1000)은 1006에서, 업링크 신호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업링크 신호 송신은,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를 사용하여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도 11은 일부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1100)의 일 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1100)은 기지국(105)에 의해 수행된다.
방법(1100)은 1102에서,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1100)은 1104에서, 제1 업링크 BWP의 제2 표시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방법(1100)은 1106에서, UE로부터 업링크 신호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업링크 신호 송신은,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를 사용하여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수신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UE(115)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UE(115)는 도 2에 예시된 구조, 하드웨어, 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115)는 메모리(282)에 저장된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를 사용하여, UE(115)는 무선 라디오들(1201a 내지 1201r) 및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라디오들(1201a 내지 1201r)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또는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변조기/복조기들(254a 내지 254r), MIMO 검출기(256), 수신 프로세서(258), 송신 프로세서(264), TX MIMO 프로세서(266), 송신기(356), 수신기(358),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메모리(282)는 (예를 들어, FH 표시자(150)의 비트(324)의 값에 기초하여) FH 모드(360)가 인에이블링되어야 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어야 하는지를 식별하도록 프로세서(280)에 의해 실행가능한 FH 모드 결정 명령들(1202)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82)는 FH 모드(360)가 인에이블링되어야 한다는 것을 FH 표시자(150)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FH 모드(360)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280)에 의해 실행가능한 FH 송신 명령들(1204)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82)는 FH 모드(360)가 디스에이블링되어야 한다는 것을 FH 표시자(150)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FH 모드(36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280)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FH 송신 명령들(1206)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105)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기지국(105)은 도 2에 예시된 구조, 하드웨어, 및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5)은 메모리(242)에 저장된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의 제어 하에서, 기지국(105)은 무선 라디오들(1301a 내지 1301t) 및 안테나들(234a 내지 234t)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라디오들(1301a 내지 1301t)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 또는 디바이스들, 이를테면 변조기/복조기들(232a 내지 232t), MIMO 검출기(236), 수신 프로세서(238), 송신 프로세서(220), TX MIMO 프로세서(230), 송신기(306), 수신기(308),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메모리(242)는 (예를 들어, 리소스 할당(302)에 기초할 수 있는 FH 표시자(150)의 비트(324)의 값에 설정함으로써) FH 모드(360)가 인에이블링되어야 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하도록 프로세서(240)에 의해 실행가능한 FH 모드 결정 명령들(1302)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2)는 FH 모드(360)가 인에이블링되어야 한다는 것을 FH 표시자(150)가 특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FH 모드(360)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신하도록 프로세서(240)에 의해 실행가능한 FH 수신 명령들(1304)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42)는 FH 모드(360)가 디스에이블링되어야 한다는 것을 FH 표시자(150)가 특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FH 모드(360)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330)을 수신하도록 프로세서(240)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FH 수신 명령들(1306)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제1 양태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와 조합하여, 제1 업링크 BWP는 장치의 디폴트 업링크 BWP에 대응한다.
제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송신기는 장치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능력 타입에 기초한다.
제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능력 타입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능력 타입과 비교하여 감소된 업링크 대역폭과 연관된 감소된 능력(RedCap) 능력 타입에 대응한다.
제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송신기는, 4-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되고, 장치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는 타입 1의 메시지(msg1)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능력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4-단계 RACH 절차와 연관된 타입 4의 메시지(msg4), msg4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송신기는 4-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된 타입 3의 메시지(msg3)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msg3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구성, msg3의 페이로드, 또는 msg3의 스크램블링 식별자 중 하나는 장치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능력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4-단계 RACH 절차와 연관된 메시지 4(msg4), msg4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송신기는 2-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된 타입 A의 메시지(msgA)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msgA의 프리앰블, msgA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구성, msgA의 페이로드, 또는 페이로드의 스크램블링 식별자 중 하나는 장치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능력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된다.
제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2-단계 RACH 절차와 연관된 타입 B의 메시지(msgB), msgB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기지국과 연관된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1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9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비트를 포함하며, 송신기는 비트의 제1 값에 기초하여 주파수 홉핑 모드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0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송신기는 비트의 제2 값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에 대해 주파수 홉핑 모드를 디스에이블링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1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제1 업링크 BWP 내의 리소스 세트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1 그룹을 포함하며, 송신기는 제1 업링크 BWP 내의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2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반복 횟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2 그룹을 포함하며, 송신기는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의 하나 이상의 반복들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3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초기 액세스 절차 전에 또는 그 이후 브로드캐스트 송신 기술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제1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4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또는 MAC-CE(MAC(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시그널링 중 하나를 사용하여 유니캐스트 송신 기법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제1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5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6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리소스 세트들과 별개인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7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고, 리소스 세트를 추가로 표시하며,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 및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제1 업링크 BWP 내에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8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리소스 세트의 적어도 서브세트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19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리소스 세트들과 별개인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0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고, 리소스 세트를 추가로 표시하며,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1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고, 반복 횟수를 추가로 표시하며, 송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의 하나 이상의 반복들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2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1 업링크 BWP의 제1 주파수 서브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2 업링크 BWP의 제1 경계와 정렬되어, 주파수 홉핑 모드에 기초하여 송신기의 동작 동안 제2 업링크 BWP의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한다.
제2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3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는 제3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3 업링크 BWP의 제3 주파수 서브세트와 정렬된다.
제2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4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2 업링크 BWP의 제2 경계는 제3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3 업링크 BWP의 제4 주파수 서브세트와 정렬된다.
제2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5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업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제1 업링크 BWP 내의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신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신호,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2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6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의 제2 표시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제2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7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업링크 신호 송신은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을 포함하며,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신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신호,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2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8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임계치는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과 음이 아닌 값을 갖는 파라미터의 곱에 대응한다.
제3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29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고, 시스템 정보에서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장치에 표시된다.
제3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0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기지국 및 장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기지국의 대역폭, 디바이스 타입과 연관된 최대 대역폭, 또는 디바이스 타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제1 업링크 BWP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제3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1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제1 표시 및 제2 표시를 포함하는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2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제1 표시를 포함하는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제2 표시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3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홉핑 모드가 UE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E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와 연관된다. 방법은,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4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 이상은 PRB(physical resource block)들의 제1 연속 그룹을 포함하고,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 이상은 슬롯 내의 심볼들의 제2 인접 그룹 또는 다수의 슬롯들 내의 심볼들의 제3 인접 그룹 중 어느 하나에 걸쳐 있고, 제1 주파수 서브세트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제1 업링크 BWP에서의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에 대해 인에이블링될 때 제2 주파수 서브세트와 중첩되지 않는다.
제3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5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4-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되고, UE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는 타입 1의 메시지(msg1)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능력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된다.
제3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6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4-단계 RACH 절차와 연관된 타입 4의 메시지(msg4), msg4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3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7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4-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된 타입 3의 메시지(msg3)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msg3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구성, msg3의 페이로드, 또는 msg3의 스크램블링 식별자 중 하나는 UE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능력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된다.
제3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8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4-단계 RACH 절차와 연관된 메시지 4(msg4), msg4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4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39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2-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된 타입 A의 메시지(msgA)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msgA의 프리앰블, msgA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구성, msgA의 페이로드, 또는 페이로드의 스크램블링 식별자 중 하나는 UE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고,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능력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된다.
제4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0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2-단계 RACH 절차와 연관된 타입 B의 메시지(msgB), msgB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4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1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기지국과 연관된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4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2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비트를 포함하고,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비트의 제1 값에 기초하여 주파수 홉핑 모드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4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3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비트의 제2 값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에 대해 주파수 홉핑 모드를 디스에이블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4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제1 업링크 BWP 내의 리소스 세트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1 그룹을 포함하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제1 업링크 BWP 내의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제4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5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반복 횟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2 그룹을 포함하며, 방법은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의 하나 이상의 반복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6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초기 액세스 절차 전에 또는 그 이후 브로드캐스트 송신 기술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제4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7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또는 MAC-CE(MAC(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시그널링 중 하나를 사용하여 유니캐스트 송신 기법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제4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8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주파수 홉핑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제5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49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주파수 홉핑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리소스 세트들과 별개인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제5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0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고, 리소스 세트를 추가로 표시하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주파수 홉핑 모드 및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제5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1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리소스 세트의 적어도 서브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제5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2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리소스 세트들과 별개인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제5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3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고, 리소스 세트를 추가로 표시하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제5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4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고, 반복 횟수를 추가로 표시하며, 방법은,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의 하나 이상의 반복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5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1 업링크 BWP의 제1 주파수 서브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2 업링크 BWP의 제1 경계와 정렬되어, 주파수 홉핑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 동안 제2 업링크 BWP의 리소스 프래그먼트화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한다.
제5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6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는 제3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3 업링크 BWP의 제3 주파수 서브세트와 정렬된다.
제5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7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2 업링크 BWP의 제2 경계는 제3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3 업링크 BWP의 제4 주파수 서브세트와 정렬된다.
제5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8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업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제1 업링크 BWP 내의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신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신호,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6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59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 송신을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1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0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업링크 신호 송신은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을 포함하며, 다수의 업링크 신호들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신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신호,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제62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1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임계치는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과 음이 아닌 값을 갖는 파라미터의 곱에 대응한다.
제63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2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고, 시스템 정보에서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UE에 표시된다.
제64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3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기지국 및 UE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기지국의 대역폭, 디바이스 타입과 연관된 최대 대역폭, 또는 디바이스 타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된 제1 업링크 BWP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제65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4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표시 및 제2 표시를 포함하는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6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5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 표시를 포함하는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제2 표시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7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6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사용자 장비(UE)와 연관된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에 기초하여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수신기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68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7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의 제2 표시를 UE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신호 송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제69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8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주파수 홉핑 모드가 사용자 장비(UE)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UE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와 연관된다. 방법은,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70 양태에서, 단독으로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9 양태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의 제1 표시를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의 제2 표시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기지국과 연관된 대역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계치를 제1 업링크 BWP가 초과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제1 업링크 BWP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데 실패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UE로부터 업링크 신호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법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기법 및 기술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컴포넌트들, 기능 블록들, 및 모듈들은 다른 예들 중에서도 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전자 컴포넌트들, 로직 회로들, 메모리들, 소프트웨어 코드들, 펌웨어 코드들,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 또는 다른 용어로서 지칭되는지에 관계없이, 다른 예들 중에서도,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파일(executable)들, 실행 스레드들, 절차들, 및/또는 함수들을 의미하도록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특징들은 특수화된 프로세서 회로부를 통해, 실행가능 명령들을 통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프로세스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의 설계에 의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된 하드웨어 및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는, 범용 단일-칩 또는 멀티-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이를테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특정한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은, 주어진 기능에 특정한 회로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디지털 전자 회로부,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청구 대상의 구현들은 또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해,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저장 매체들 상에서 인코딩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즉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는 프로세서-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전달하도록 인에이블링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수단(connection)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CD(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것들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통합될 수 있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코드들 및 명령들 중 하나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구현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다른 구현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현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개시내용,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당업자는, 용어들 "상부" 및 "하부"가 종종 도면들을 설명하려는 용이함을 위해 사용되고, 적절히 배향된 페이지 상의 도면들의 배향에 대응하는 상대적인 포지션들을 표시하며, 구현된 바와 같이 임의의 디바이스의 적절한 배향을 반영하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별개의 구현들의 맥락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한 특징들은 또한, 단일 구현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단일 구현의 맥락으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다수의 구현들에서 별개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하위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게다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들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되고 심지어 초기에는 그와 같이 청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들에서, 그 조합으로부터 삭제될 수 있으며, 청구된 조합은 하위조합 또는 하위조합의 변경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면들에 도시되지만, 이것은,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모든 예시된 동작들이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추가로, 도면들은 흐름도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동작들이, 개략적으로 예시된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동작들은, 예시된 동작들 중 임의의 동작들 이전에, 그들 이후에, 그들과 동시에, 또는 그들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정한 환경들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게다가, 위에서 설명된 구현들에서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의 분리는 모든 구현들에서 그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하며,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에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들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일부 다른 구현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청구항들에서 언급된 액션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할 수 있다.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또는"은, 2개 이상의 아이템들의 리스트에서 사용될 때, 리스팅된 아이템들 중 임의의 하나가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거나, 리스팅된 아이템들 중 2개 이상의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구성이 컴포넌트들 A, B, 또는 C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되면, 구성은, A만; B만; C만; A와 B의 조합; A와 C의 조합; B와 C의 조합; 또는 A, B, 및 C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시작되는(preface) 아이템들의 리스트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또는"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즉, A 및 B 및 C)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의미하도록 하는 선언적인(disjunctive) 리스트를 표시한다.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대부분 특정되는 것(그리고 특정되는 것을 포함함;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90도는 90도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평행은 평행을 포함함)으로서 정의되지만, 반드시 전적으로 그런 것은 아니다. 임의의 개시된 구현들에서, 용어 "실질적으로"는 지정된 것의 "[백분율] 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백분율은 .1, 1, 5, 또는 10 퍼센트를 포함한다.
개시내용의 이전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개시내용을 사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개시내용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개시내용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성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할 것이다.

Claims (30)

  1.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상기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BWP는 상기 장치의 디폴트 업링크 BWP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장치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상기 능력 타입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능력 타입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능력 타입과 비교하여 감소된 업링크 대역폭과 연관된 감소된 능력(RedCap) 능력 타입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4-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되고, 상기 장치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는 타입 1의 메시지(msg1)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상기 능력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상기 4-단계 RACH 절차와 연관된 타입 4의 메시지(msg4), 상기 msg4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4-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된 타입 3의 메시지(msg3)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msg3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구성, 상기 msg3의 페이로드, 또는 상기 msg3의 스크램블링 식별자 중 하나는 상기 장치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상기 능력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상기 4-단계 RACH 절차와 연관된 메시지 4(msg4), 상기 msg4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2-단계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연관된 타입 A의 메시지(msgA)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msgA의 프리앰블, 상기 msgA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구성, 상기 msgA의 페이로드, 또는 상기 페이로드의 스크램블링 식별자 중 하나는 상기 장치의 능력 타입을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상기 능력 타입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상기 2-단계 RACH 절차와 연관된 타입 B의 메시지(msgB), 상기 msgB를 스케줄링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송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송신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상기 기지국과 연관된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비트의 제1 값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비트의 제2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에 대해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를 디스에이블링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상기 제1 업링크 BWP 내의 리소스 세트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1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1 업링크 BWP 내의 상기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반복 횟수를 표시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제2 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상기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의 하나 이상의 반복들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4.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상기 UE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UE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와 연관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상기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초기 액세스 절차 전에 또는 상기 초기 액세스 절차 이후 브로드캐스트 송신 기법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또는 MAC-CE(MAC(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시그널링 중 하나를 사용하여 유니캐스트 송신 기법을 사용하여 송신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리소스 세트들과 별개인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고, 리소스 세트를 추가로 표시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 및 상기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공유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리소스 세트의 적어도 서브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리소스 세트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리소스 세트들과 별개인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고, 리소스 세트를 추가로 표시하며,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은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상기 리소스 세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특정하고, 반복 횟수를 추가로 표시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 없이 그리고 상기 반복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의 하나 이상의 반복들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BWP의 상기 제1 주파수 서브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연관된 제2 업링크 BWP의 제1 경계와 정렬되어,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에 기초하여 동작 동안 상기 제2 업링크 BWP의 리소스 프래그먼트화(fragmentation)를 감소시키거나 회피하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25.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장비(UE)와 연관된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에 기초하여 상기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로서, 상기 제1 업링크 BWP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더 포함하는, 상기 수신기; 및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상기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상기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상기 UE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BWP는 상기 UE의 디폴트 업링크 BWP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주파수 홉핑 모드가 사용자 장비(UE)에 대해 인에이블링되는지 또는 디스에이블링되는지를 특정하는 주파수 홉핑 표시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UE는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제2 주파수 서브세트를 포함하는 제1 업링크 BWP(bandwidth part)와 연관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상기 UE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인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및 상기 제2 주파수 서브세트 둘 모두; 또는
    상기 주파수 홉핑 모드가 디스에이블링된다는 것을 상기 주파수 홉핑 표시자가 특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서브세트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서브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상기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SI(system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BWP는 상기 UE의 디폴트 업링크 BWP에 대응하는,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247003273A 2021-08-06 2022-05-26 사용자 장비에 의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주파수 홉핑 인에이블링 KR202400407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60038P 2021-08-06 2021-08-06
US63/260,038 2021-08-06
US17/651,366 2022-02-16
US17/651,366 US11470614B1 (en) 2021-08-06 2022-02-16 Frequency hopping enabling for an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by a user equipment
PCT/US2022/072586 WO2023015052A1 (en) 2021-08-06 2022-05-26 Frequency hopping enabling for an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by a user equip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745A true KR20240040745A (ko) 2024-03-28

Family

ID=8227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273A KR20240040745A (ko) 2021-08-06 2022-05-26 사용자 장비에 의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주파수 홉핑 인에이블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40745A (ko)
TW (1) TW202308423A (ko)
WO (1) WO20230150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9300A (zh) * 2017-11-10 2019-05-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以及系统
WO2020033785A1 (en) * 2018-08-10 2020-02-13 Intel Corporation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enhancements for new radio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
JP7286288B2 (ja) * 2018-09-21 2023-06-05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08423A (zh) 2023-02-16
WO2023015052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15051A1 (en) Enhancements for sidelink carrier aggregation feedback
US11825495B2 (en) Frequency hopping enabling for an up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by a user equipment
US20220322388A1 (en) Uplink (ul) transmit (tx) switch operations
US11812406B2 (en) Techniques for reducing false paging reception
WO2022213004A1 (en) Uplink (ul) transmit (tx) switch operations
KR20240040745A (ko) 사용자 장비에 의한 업링크 제어 채널 송신을 위한 주파수 홉핑 인에이블링
US20230209613A1 (en) Uplink (ul) transmission in random access channel (rach) on flexible cell
US11664860B2 (en) Peer-to-peer beamforming alignment in new radio (NR) sidelink (SL) mode 2
US11848730B2 (en) Methods for feedback of metrics associated with reduced capability antenna modules in millimeter wave systems
US11956849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DRX) configuration for a user equipment (UE)
WO2024060116A1 (en) Prach repetition using different beams
US11805511B2 (en) Cross-slot schedule for new radio (NR) sidelink (SL)
US20240114499A1 (en) Determination of a ue beam for msg3 transmission
US20240146383A1 (en) Enhanced group-based beam report for stxmp
WO2023206240A1 (en) Sidelink resource selection for a user equipment (ue)
US20230096255A1 (en) Side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bundling trigger
WO2023050330A1 (en) Reliability enhancements for implicit beam switch
US20230156802A1 (en) Msgb waveform indication
CN117795859A (zh) 针对由用户设备进行的上行链路控制信道传输的跳频启用
EP4316160A1 (en) Sensing bandwidth determination by a user equipment (ue) for a listen-before-transmit (lbt) operation
WO2022213110A1 (en) Sensing bandwidth determination by a user equipment (ue) for a listen-before-transmit (lbt) operation
KR20240047366A (ko) 업링크 데이터 및 업링크 제어 채널들에 대한 공유된 송신 전력 제어
KR20240056823A (ko) 사이드링크에서 cot(channel occupancy time) 공유 요청
EP4360240A1 (en) 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resource allocation for reduced bandwidth devices
WO2022032258A1 (en) Dynamic switching of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between uplink (ul) and supplementary uplink (s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