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268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268A
KR20240040268A KR1020220119074A KR20220119074A KR20240040268A KR 20240040268 A KR20240040268 A KR 20240040268A KR 1020220119074 A KR1020220119074 A KR 1020220119074A KR 20220119074 A KR20220119074 A KR 20220119074A KR 20240040268 A KR20240040268 A KR 20240040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r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기
진관은
이득진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268A/ko
Publication of KR2024004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09F9/3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be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사이드 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파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일변과 마주하는 도어;로서, 상기 일변을 가리거나 드러내도록 이동 가능한 도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변과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커버하는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기존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움직이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을 가리거나 드러내는 도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도어를 움직이는 메커니즘에 관한 다양한 예들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가리거나 드러내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사이드 파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파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일변과 마주하는 도어;로서, 상기 일변을 가리거나 드러내도록 이동 가능한 도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변과 이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을 가리거나 드러내는 도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도어를 움직이는 메커니즘에 관한 다양한 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직선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을 가리거나 드러내는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26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제1 장변(LS1, first long side),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LS2, second long side),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SS1, first short side)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S2, 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단변(SS1, SS2, short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 또는 상하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S1, LS2, long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 또는 좌우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DR3) 또는 전후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이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 z)이라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왼쪽(Le, x)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오른쪽(Ri)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위쪽(U, y)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아래쪽(D)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corner)라 칭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커버 어셈블리(30)는 커버 프레임(31)과 커버 바디(32, 3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프레임(31)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제1 사이드 파트(311)는 제1 장변(LS1)을 정의할 수 있고, 제2 사이드 파트(312)는 제2 장변(LS2)을 정의할 수 있다. 제3 사이드 파트(313)는 제1 단변(SS1)을 정의할 수 있고, 제4 사이드 파트(314)는 제2 단변(SS2)을 정의할 수 있다. 그루브(311g)는 제1 사이드 파트(311)의 전단에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변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커버 바디(32, 33)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 베이스(32)는 커버 바디(32, 33)의 측면을 정의할 수 있고, 커버(33)는 커버 바디(32, 33)의 전면을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10)는 커버 바디(32, 33)와 그루브(311g)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부(10, display unit)라 칭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4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후면을 정의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40), 커버 프레임(31), 및 커버 바디(32, 33)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입출력부들(41)은 리어 케이스(4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부들(41)은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출력 단자와, USB 단자, 또는 전원입력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T1, T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를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T1, T2)는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제1 스탠드(T1)와 제2 스탠드(T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T1, T2)는 커버 프레임(31)의 제2 사이드 파트(312)에 결합되는 고정부(T1a, T2a)와, 고정부(T1a, T2a)에 연결되고 지면 등에 놓이는 지지부(T1b, T2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커버 어셈블리(30, 도 1 및 2 참조)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아우터 프레임(21, 22, 23, 24), 수평 프레임(25), 그리고 수직 프레임(26, 27)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21, 22, 23, 24)은 프레임(20)의 외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아우터 프레임(21)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아우터 프레임(21, 22, 23, 24)의 좌변을 정의할 수 있다. 제2 아우터 프레임(22)은 제1 아우터 프레임(21)과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아우터 프레임(21, 22, 23, 24)의 우변을 정의할 수 있다. 제3 아우터 프레임(23)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아우터 프레임(21, 22, 23, 24)의 상변을 정의할 수 있다. 제3 아우터 프레임(23)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제1 아우터 프레임(21)의 상단과 제2 아우터 프레임(22)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4 아우터 프레임(24)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과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아우터 프레임(21, 22, 23, 24)의 하변을 정의할 수 있다. 제4 아우터 프레임(24)은 커넥터(210, 220, 도 3 및 6 참조)를 통해 제1 아우터 프레임(21)의 하단과 제2 아우터 프레임(22)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리브(21b)는 제1 아우터 프레임(21)의 좌측부(21a)의 전단에서 오른쪽으로 밴딩될 수 있다. 또, 제1 수직 리브(21c)는 제1 리브(21b) 및/또는 좌측부(2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브(22b)는 제2 아우터 프레임(22)의 우측부(22a)의 전단에서 왼쪽으로 밴딩될 수 있다. 또, 제2 수직 리브(22c, 22d)는 제2 리브(22b) 및/또는 우측부(22a)에 형성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5)은 제1 아우터 프레임(21)과 제2 아우터 프레임(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5)의 일단은 제1 아우터 프레임(21)의 제1 리브(21b)에 결합될 수 있고, 수평 프레임(25)의 타단은 제2 아우터 프레임(22)의 제2 리브(22b)에 결합될 수 있다. 수평 프레임(25)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도 3의 hm 참조). 수평 프레임(25)은 제4 아우터 프레임(24)보다 제3 아우터 프레임(23)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전후방향에서, 수평 프레임(25)과 제3 아우터 프레임(23) 사이의 간격은 디스플레이(10, 도 1 참조)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수직 프레임(26, 27)은 수평 프레임(25)과 제4 아우터 프레임(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6, 27)의 일단은 수평 프레임(25)에 결합될 수 있고, 수직 프레임(26, 27)의 타단은 제4 아우터 프레임(24)에 결합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6, 27)은 수평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제1 수직 프레임(26)과 제2 수직 프레임(2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피커(51, 52)는 수평 프레임(25)과 제4 아우터 프레임(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스피커(51)는 제1 아우터 프레임(21)의 제1 리브(21b, 도 3 참조)와 제1 수직 프레임(26)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스피커(52)는 제2 아우터 프레임(22)의 제2 리브(22b, 도 3 참조)와 제2 수직 프레임(27)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피커(51, 5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 프레임(31)은 사이드 파트(311, 312, 313, 314)와 프런트 파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파트(311, 312, 313, 314)는 커버 프레임(31)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파트(311)는 커버 프레임(31)의 상변을 정의할 수 있고, 제2 사이드 파트(312)는 커버 프레임(31)의 하변을 정의할 수 있다. 제3 사이드 파트(313)는 커버 프레임(31)의 좌변을 정의할 수 있고, 제4 사이드 파트(314)는 커버 프레임(31)의 우변을 정의할 수 있다.
프런트 파트(310)는 사이드 파트(311, 312, 313, 314)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런트 파트(310)는 제1 사이드 파트(311)보다 제2 사이드 파트(31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어퍼 파트(310U)는 프런트 파트(310)의 상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될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 파트(310D)는 프런트 파트(310)의 하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밴딩될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사이드 파트(312)와 연결될 수 있다. 좌측 파트(310L)는 어퍼 파트(310U)의 좌측 끝단과 로어 파트(310D)의 좌측 끝단을 연결할 수 있고, 제3 사이드 파트(313)와 연결될 수 있다. 우측 파트(310R)는 어퍼 파트(310U)의 우측 끝단과 로어 파트(310D)의 우측 끝단을 연결할 수 있고, 제4 사이드 파트(314)와 연결될 수 있다.
어퍼 파트(310U)는 제1 사이드 파트(311)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도 5의 H31 참조). 전후방향에서, 그루브(311g)와 어퍼 파트(310U)의 후단 사이의 간격은 디스플레이(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들(310Pa)은 제1 사이드 파트(31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들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을 관통하여 제1 결합부들(310Pa)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결합부들(310Pb)은 프런트 파트(3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들은 수평 프레임(25)을 관통하여 제2 결합부들(310Pb)에 체결될 수 있다. 제3 결합부들(310Pc)은 프런트 파트(3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들은 제4 아우터 프레임(24)을 관통하여 제3 결합부들(310Pc)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프레임(31)은 프레임(20, 도 4 참조)의 전방에서 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파트(311)는 제3 아우터 프레임(23)의 상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제2 사이드 파트(312)는 제4 아우터 프레임(24)의 하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제3 사이드 파트(313)는 제1 아우터 프레임(21)의 좌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제4 사이드 파트(314)는 제2 아우터 프레임(22)의 우측면을 덮을 수 있다. 어퍼 파트(310U)는 수평 프레임(25)의 상측면을 덮을 수 있다. 로어 파트(310D)는 제4 아우터 프레임(24)의 하측면을 덮을 수 있다. 좌측 파트(310L)는 제1 리브(21b)와 제1 수직 리브(21c)의 좌측면을 덮을 수 있다. 우측 파트(310R)는 제2 리브(22b)와 제2 수직 리브(22c)의 우측면을 덮을 수 있다. 프런트 파트(310)는 스피커(51, 52)와 수직 프레임(26, 27)의 전방을 덮을 수 있다.
커버 베이스(32)는 제1 파트(321), 제2 파트(322), 제3 파트(323), 그리고 제4 파트(324)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제1 파트(321)는 커버 베이스(32)의 상변을 정의할 수 있고, 어퍼 파트(310U)의 상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제2 파트(322)는 커버 베이스(32)의 하변을 정의할 수 있고, 로어 파트(310D)의 하측면을 덮을 수 있다. 제3 파트(323)는 커버 베이스(32)의 좌변을 정의할 수 있고, 좌측 파트(310L)의 좌측을 덮을 수 있다. 제4 파트(324)는 커버 베이스(32)의 우변을 정의할 수 있고, 우측 파트(310R)의 우측을 덮을 수 있다.
커버(33)의 테두리는 커버 베이스(32)의 테두리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도 1 참조). 커버(33)는 커버 베이스(32)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는 커버 바디(32, 33)와 그루브(311g, 도 1 참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의 좌변은 제1 아우터 프레임(21)의 좌측부(21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의 우변은 제2 아우터 프레임(22)의 우측부(22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리브들(21b, 22b)에 대하여 스피커(51, 52)와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미들 캐비닛(12), 그리고 모듈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OLED 패널, LCD 패널, 또는 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들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디스플레이(10)의 측면을 정의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의 수평부(12H)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의 수직부(12V)는 수평부(12H)에 교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 캐비닛(12)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사이드 프레임(12) 또는 가이드 패널(12)이라 칭할 수 있다.
모듈커버(13)는 디스플레이(10)의 후면을 정의할 수 있다. 모듈커버(13)는 수평부(12H)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과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모듈커버(13)는 수평부(12H)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커버(13)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커버(13)는 플레이트(13) 또는 프레임(13)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케이블 홀(13h)은 모듈커버(13)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고, 모듈커버(13)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4 아우터 프레임(24)은 베이스(24a), 프런트 리브(24b), 그리고 리어 리브(24c)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4a)는 제2 사이드 파트(312)와 마주할 수 있고, 모듈커버(13)의 하변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도 6의 hd 참조). 프런트 리브(24b)는 베이스(24a)의 전단에서 위쪽으로 밴딩될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 리브(24c)는 베이스(24a)의 후단에서 아래쪽으로 밴딩될 수 있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4)는 모듈커버(13)의 하변에 인접할 수 있고, 모듈커버(13)의 하변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플레이트(14)의 일단은 모듈커버(13)의 좌변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4)의 타단은 모듈커버(13)의 우변에 인접할 수 있다. 플레이트(14)는 모듈커버(13)의 후면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14)의 하변은 베이스(24a)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도 8의 hd 참조). 예를 들면, 플레이트(14)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14h)은 플레이트(14)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케이블 홀(14h)은 제1 케이블 홀(13h, 도 6 참조)과 정렬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바(71, 72, bar)는 제3 아우터 프레임(23)과 제4 아우터 프레임(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71, 72)의 상단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에 고정될 수 있고, 바(71, 72)의 하단은 제4 아우터 프레임(24)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바(71)는 제2 아우터 프레임(22)보다 제1 아우터 프레임(2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72)는 제1 아우터 프레임(21)보다 제2 아우터 프레임(2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W, power supply board)는 모듈커버(1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쉴드 플레이트(PWS)를 통해 제1 바(71)에 결합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W)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보드(MB, main board)는 모듈커버(1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쉴드 플레이트(MBS)를 통해 제2 바(72)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보드(MB)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T-CON 보드(TC, Timing Controller board)는 플레이트(1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쉴드 플레이트(TCS)를 통해 플레이트(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 케이블 홀(미도시)은 제3 쉴드 플레이트(TCS)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케이블 홀(14h, 도 8 참조)과 정렬될 수 있다. 케이블(미도시)은 제1 케이블 홀(13h, 도 6 참조), 제2 케이블 홀(14h), 및 상기 제3 케이블 홀을 관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 도 7 참조)과 T-CON 보드(TC)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블은 FFC(Flat Flexible Cable)일 수 있다. T-CON 보드(TC)는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구동 모듈(60)은 제4 아우터 프레임(2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모듈(60)은 리프트 어셈블리(60)라 칭할 수 있다. 구동 모듈(60)은 모터(61), 커플링 부재(61b), 웜(61c, worm, 미도시), 웜 휠(61d, worm wheel, 미도시), 리드 스크류(61e, lead screw), 슬라이더(63, slider), 그리고 연장부(64, 65)를 포함할 수 있다. 웜(61c)과 웜 휠(61d)은 하우징(62c)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61)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61)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모터(61)는 회전방향, 회전각도, 및 회전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모터일 수 d있다. 모터(61)는 제4 아우터 프레임(24)의 베이스(24a)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웜(61c)은 커플링 부재(61b)를 통해 모터(61)의 회전축(61a)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61a)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웜 휠(61d)은 웜(61c)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다. 웜(61c)의 회전축은 좌우방향에 나란할 수 있고, 웜 휠(61d)의 회전축은 상하방향에 나란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61e)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61e)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61e)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리드 스크류(61e)의 하단은 웜 휠(61d)에 고정될 수 있다. 리드 스크류(61e)의 상단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의 하면에 고정된 탑 홀더(68)의 홀더부(68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9 및 12 참조). 수나사산은 리드 스크류(61e)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63)는 전체적으로 블록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리드 스크류(61e)는 슬라이더(63)를 관통할 수 있다. 암나사산은 슬라이더(6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63)의 암나사산은 리드 스크류(61e)의 수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다. 슬라이더(63)는 리드 스크류(61e)의 회전에 따라서 리드 스크류(61e)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연장부(64, 65)는 제1 연장부(64)와 제2 연장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64)는 슬라이더(63)의 일측으로부터 왼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65)는 슬라이더(63)의 타측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장부(64)와 제2 연장부(65)는 리드 스크류(61e)에 대하여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제1 연장부(64)는 제1 슬리브(641), 제1 고정부(642), 제1 로어 파트(643), 그리고 제1 어퍼 파트(6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리브(641)는 슬라이더(63)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샤프트(66)가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샤프트(66)는 리드 스크류(61e)에 인접하되 이로부터 왼쪽으로 이격될 수 있고, 리드 스크류(61e)와 평행할 수 있다. 제1 샤프트(66)의 하단은 베이스(24a) 상에 고정된 바텀(62a)의 제1 로어 홀더(66a)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샤프트(66)의 상단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의 하면에 고정된 탑(68a)의 제1 어퍼 홀더(66b)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싱(641c, 641d, first bushing)은 제1 슬리브(64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샤프트(66)가 관통할 수 있다.
제1 고정부(642)는 제1 슬리브(641)로부터 왼쪽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슬리브(641)와 나란할 수 있다. 제1 고정부(642)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플레이트(14)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로어 파트(643)는 제1 슬리브(641)와 제1 고정부(642)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슬리브(641)의 하부와 제1 고정부(642)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어퍼 파트(644)는 제1 슬리브(641)와 제1 고정부(642)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슬리브(641)의 상부와 제1 고정부(642)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장부(65)는 제2 슬리브(651), 제2 고정부(652), 제2 로어 파트(653), 그리고 제2 어퍼 파트(6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리브(651)는 슬라이더(63)의 상기 타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샤프트(67)가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샤프트(67)는 리드 스크류(61e)에 인접하되 이로부터 오른쪽으로 이격될 수 있고, 리드 스크류(61e)와 평행할 수 있다. 제2 샤프트(67)의 하단은 베이스(24a) 상에 고정된 바텀(62a)의 제2 로어 홀더(67a)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2 샤프트(67)의 상단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의 하면에 고정된 탑(68a)의 제2 어퍼 홀더(67b)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싱(651c, 651d, second busing)은 제2 슬리브(65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샤프트(67)가 관통할 수 있다.
제2 고정부(652)는 제2 슬리브(651)로부터 오른쪽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2 슬리브(651)와 나란할 수 있다. 제2 고정부(652)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플레이트(14)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로어 파트(653)는 제2 슬리브(651)와 제2 고정부(652)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슬리브(651)의 하부와 제2 고정부(652)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어퍼 파트(654)는 제2 슬리브(651)와 제2 고정부(652)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슬리브(651)의 상부와 제2 고정부(652)의 상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61)가 구동되면, 슬라이더(63)는 리드 스크류(61e)를 따라서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슬라이더(63)는 연장부(64, 65)를 통해 T-CON 보드(TC)와 디스플레이(10)가 고정된 플레이트(14)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61)의 회전축(61a)이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63), 연장부(64, 65), 플레이트(14), T-CON 보드(TC), 및 디스플레이(10)는 상승할 수 있다. 모터(61)의 회전축(61a)이 상기 제1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슬라이더(63), 연장부(64, 65), 플레이트(14), T-CON 보드(TC), 및 디스플레이(10)는 하강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샤프트(81)는 플레이트(14)의 좌측 끝단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샤프트(81)는 제1 샤프트(66)에 대하여 리드 스크류(61e)와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리드 스크류(61e)와 나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샤프트(81)의 하단은 제4 아우터 프레임(24) 상에 고정된 제1 바텀 홀더(81a)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샤프트(81)의 상단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의 하면에 고정된 제1 탑 홀더(81b)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블록(82)은 플레이트(14)의 좌측 끝단에 인접하여 플레이트(14)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가이드 샤프트(81)가 관통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샤프트(91)는 플레이트(14)의 우측 끝단에 인접할 수 있고, 플레이트(1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샤프트(91)는 제2 샤프트(67)에 대하여 리드 스크류(61e)와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리드 스크류(61e)와 나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샤프트(91)의 하단은 제4 아우터 프레임(24) 상에 고정된 제2 바텀 홀더(91a)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샤프트(91)의 상단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의 하면에 고정된 제2 탑 홀더(91b)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블록(92)은 플레이트(14)의 우측 끝단에 인접하여 플레이트(14)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샤프트(91)가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61)가 구동되면, 가이드 블록(82, 92)은 가이드 샤프트(81, 91)을 따라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블록(82, 92)과 가이드 샤프트(81, 91)는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플레이트(14)의 좌우 틀어짐(즉, 좌우 기울임 또는 좌우 유동)을 줄일 수 있다.
원판 인디케이터(61f)는 웜(61c)의 회전축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들(미부호)은 원판 인디케이터(61f)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원판 인디케이터(61f)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센서(미도시)는 원판 인디케이터(61f)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포토 센서(photo sensor)일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원판 인디케이터(61f)와 모터(61)의 회전수 및/또는 회전량(회전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6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및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는 그루브(311g)를 통과하며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0)가 아래로 움직일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은 커버(33)에 의해 점차 가려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0)가 위로 움직일수록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면은 점차 드러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33)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최소 높이는 0 내지 h11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33)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최대 높이는 h12 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사이드 파트(311', 311'')는 그루브(311g)를 구비하는 제1 사이드 파트(311, 도 1 등 참조)를 대신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파트(311', 311'')는 디스플레이(10)가 통과하는 그루브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고, 제3 아우터 프레임(23)의 상측면과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제1 사이드 파트(311', 311'')는 도어(311', 311'')라 칭할 수 있다. 도어(311', 311'')는 테프론과 같은 마찰 저감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11', 311'')는 제3 사이드 파트(313)와 제4 사이드 파트(314)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어(311', 311'')의 좌측 끝단은 제3 사이드 파트(313)에 연결될 수 있고, 도어(311', 311'')의 우측 끝단은 제4 사이드 파트(3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11', 311'')는,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을 가리거나 드러내기 위하여, 제3 및 제4 사이드 파트(313, 314)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제3 및 제4 사이드 파트(313, 314)는 도어 베이스(313, 314)라 칭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어(311', 311'')는 탭(318, 319, tab)을 통해 제3 사이드 파트(313)와 제4 사이드 파트(314)에 연결될 수 있다. 탭(318, 319)은 도어(311', 311'')의 좌측 끝단 및/또는 우측 끝단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탭(318)은 도어(311', 311'')의 좌측 끝단에 인접할 수 있고, 제3 사이드 파트(3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탭(318)은 제3 사이드 파트(313)의 상단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탭(319)은 도어(311', 311'')의 우측 끝단에 인접할 수 있고, 제4 사이드 파트(31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탭(319)은 제4 사이드 파트(314)의 상단으로부터 왼쪽으로 굽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11', 311'')는,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을 가리거나 드러내기 위하여, 탭(318, 319)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다. 탭(318, 319)은 도어 베이스(318, 319)라 칭할 수 있다.
한편, 도어(311', 311'')에 의해 폐쇄되거나 개방되는 개구(311P)의 경계는 디스플레이(10)의 횡단면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311P)의 앞쪽 경계는 디스플레이(10)의 횡단면의 전변으로부터 제1 간격(g1, ex. 2mm)만큼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고, 개구(311P)의 뒤쪽 경계는 디스플레이(10)의 횡단면의 후변으로부터 제2 간격(g2, ex. 4mm)만큼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개구(311P)의 측면 경계는 디스플레이(10)의 횡단면의 측변으로부터 제3 간격(g3, ex. 2mm)만큼 측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링크(180)는 프레임(20)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링크(180)는 고정 프레임(180F, fixed frame)과, 고정 프레임(180F)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링크 암들(180L, link arm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크(180)는 4절 링크(four-bar linkag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링크(180)는 평행사변형 링크(parallelogram linkage)일 수 있다.
한편, 이하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링크(18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의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링크(180)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링크(180)의 위치에 대응하여, 이들이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부재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링크(180)는 하나이거나, 2개 이상일 수 있다.
고정 프레임(180F)은 일 직선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프레임(2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80F)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80F)은 전술한 제2 바(72)일 수 있다. 즉, 고정 프레임(180F)의 상단은 제3 아우터 프레임(23)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 프레임(180F)의 하단은 제4 아우터 프레임(24)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고정 프레임(180F)은 전술한 제1 바(71)일 수도 있다. 고정 프레임(180F)은 그라운드(180F, ground)라 칭할 수 있다.
제1 암(181)은 고정 프레임(180F)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피벗 포인트(181a)는 제1 암(18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암(181)은 제1 피벗 포인트(181a)를 중심으로 고정 프레임(180F)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피벗 포인트(181b)는 제1 암(181)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암(181)은 제2 피벗 포인트(181b)를 중심으로 후술하는 제3 암(183)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암(181)은 드라이버(181, driver)라 칭할 수 있다.
제2 암(182)은 고정 프레임(180F)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피벗 포인트(182a)는 제2 암(182)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암(182)은 제1 피벗 포인트(182a)를 중심으로 고정 프레임(180F)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피벗 포인트(182b)는 제2 암(182)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암(182)은 제2 피벗 포인트(182b)를 중심으로 후술하는 제3 암(183)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암(182)은 팔로워(182, follower)라 칭할 수 있다.
이때, 고정 프레임(180F)의 길이방향에서, 제2 암(182)은 제1 암(18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암(182)의 제1 피벗 포인트(182a)는 제1 암(181)의 제1 피벗 포인트(181a)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암(182)의 제2 피벗 포인트(182b)는 제1 암(181)의 제2 피벗 포인트(181b)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직방향에서, 제2 암(182)의 제1 피벗 포인트(182a)와 제1 암(181)의 제1 피벗 포인트(181a) 사이의 거리는, 제2 암(182)의 제2 피벗 포인트(182b)와 제1 암(181)의 제1 피벗 포인트(181b) 사이의 거리와 같을 수 있다.
제3 암(183)은 제1 및 제2 암(181, 182)에 대하여 고정 프레임(180F)과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제3 암(183)은 고정 프레임(180F)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3 암(183)은 제1 암(181)과 제2 암(182)을 연결할 수 있다. 제3 암(183)은 커플러(183, coupler)라 칭할 수 있다.
푸셔(170, pusher)는 전술한 모터(61)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성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구성과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푸셔(170)는 제3 암(183)에 인접하여 T-CON 보드(TC)나 제3 쉴드 플레이트(TCS)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푸셔(170)는 제3 암(183)에 인접하여 연장부(64, 65)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3 암(183)의 제1 측면(예를 들어, 우측면)은 고정 프레임(180F)을 향할 수 있고, 제3 암(183)의 제2 측면(예를 들어, 좌측면)은 상기 제1 측면에 반대될 수 있다. 푸셔(170)는 제3 암(183)의 상기 제2 측면에 접촉할 수 있고,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제3 암(183)의 상기 제2 측면 상(on)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푸셔(170)는 전후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지니는 롤러일 수 있다. 푸셔(170)는 샤프트(171, shaft)와 휠(172, 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71)는 전술한 모터(61)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구성에 고정될 수 있고, 푸셔(170)의 상기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휠(172)은 샤프트(17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샤프트(17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푸셔(170)는 제3 암(183)의 상기 제2 측면 상(on)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윙(315)은 도어(311')의 좌측 끝단과 후단에 인접할 수 있고, 도어(311')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윙(315)의 핀(315a, pin)은 제3 사이드 파트(313)의 두께방향(즉,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3 사이드 파트(31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윙(315)의 링(315b, ring)은 도어(311')의 하면과 핀(315a)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핀(315a)의 중심축(Ax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11')는 제3 사이드 파트(3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윙(316)은 도어(311')의 우측 끝단과 후단에 인접할 수 있고, 도어(311')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윙(316)의 핀(316a, pin)은 제4 사이드 파트(314)의 두께방향(즉,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4 사이드 파트(314)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윙(316)의 링(316b, ring)은 도어(311')의 하면과 핀(316a)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고, 핀(316a)의 중심축(Ax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11')는 제4 사이드 파트(3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3 암(183)은 제1 파트(183a), 제2 파트(183b), 그리고 제3 파트(18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83a)는 고정 프레임(180F)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제3 암(183)의 하단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파트(183a)는 제3 암(183)의 파트들(183a, 183b, 183c) 중에 고정 프레임(180F)에 가장 근접한 파트일 수 있다.
제2 파트(183b)는 제1 파트(183a)의 상단에서 고정 프레임(180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다. 제1 파트(183a)의 길이방향 축(CLa)과 제2 파트(183b)의 길이방향 축(CLb) 사이의 각도(theta a)는 예각일 수 있다.
제3 파트(183c)는 제2 파트(183b)의 상단에서 고정 프레임(180F)에 나란한 방향으로 굽어질 수 있고, 제3 암(183)의 상단을 정의할 수 있다. 제2 파트(183b)의 길이방향 축(CLb)과 제3 파트(183c)의 길이방향 축(CLc) 사이의 각도(theta b)는 예각일 수 있다. 각도(theta b)는 각도(theta a)와 같을 수 있다. 제3 파트(183c)는 제3 암(183)의 파트들(183a, 183b, 183c) 중에 고정 프레임(180F)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한 파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트(183a)의 길이(La)는 제3 암(183)의 파트들(183a, 183b, 183c)의 길이들(La, Lb, Lc) 중에 가장 짧은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트(183c)의 길이(Lc)는 제3 암(183)의 파트들(183a, 183b, 183c)의 길이들(La, Lb, Lc) 중에 가장 긴 길이일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제1 암(181)과 제2 암(182)은 고정 프레임(180F)과 제3 파트(183c)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고정 프레임(180F)과 제3 파트(183c) 각각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푸셔(170)는 제3 암(183)에 대하여 고정 프레임(180F)과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제3 암(18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순서대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와 푸셔(170)의 상승에 대응하여, 푸셔(170)는 제1 파트(183a)으로부터 제3 파트(183c)를 향해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푸셔(170)가 제2 파트(183b)에서 슬라이드 되는 동안에, 푸셔(170)가 상승하기 위하여, 암들(181, 182, 183)은 다음과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암(181, 182)은 고정 프레임(180F)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피벗 운동할 수 있고(제1 피벗 포인트(181a, 182a) 참조), 제3 암(183)은 제1 및 제2 암(181, 182)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피벗 운동할 수 있다(제2 피벗 포인트(181b, 182b) 참조). 이에 따라, 제3 암(183)은 고정 프레임(180F)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푸셔(170)가 제1 파트(183a) 또는 제3 파트(183c)에서 슬라이드 되는 동안에, 제3 암(183)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역순으로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0)와 푸셔(170)의 하강에 대응하여, 푸셔(170)는 제3 파트(183c)로부터 제1 파트(183a)를 향해 슬라이드 될 수 있다. 푸셔(170)가 제2 파트(183b)에서 슬라이드 되는 동안에, 제3 암(183)에 작용되는 중력에 의하여, 암들(181, 182, 183)음 다음과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즉, 제3 암(183)은 제1 및 제2 암(181, 182)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피벗 운동할 수 있고(제2 피벗 포인트(181b, 182b) 참조), 제1 및 제2 암(181, 182)은 고정 프레임(180F)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피벗 운동할 수 있다(제1 피벗 포인트(181a, 182a) 참조). 이에 따라, 제3 암(183)은 고정 프레임(180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푸셔(170)가 제3 파트(183c) 또는 제1 파트(183a)에서 슬라이드 되는 동안에, 제3 암(183)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3 암(183)은 디스플레이(10)와 윙(315, 316)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암(183)의 상단은 도어(311')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제3 암(183)은 도어(31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어(311')가 수평방향에 나란하게 위치하면(도 20의 점선 및 도 18 참조),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은 도어(31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는 도어(311')의 폐쇄 모드라 칭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11')는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을 커버 및 보호할 수 있다.
도어(311')가 도어(311')의 회전축(311C')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도 20의 실선 및 도 19 참조),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은 도어(31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위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311C')은 윙(315, 316)의 중심축(Ax1, Ax2, 도 16 및 17 참조)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는 도어(311')의 개방 모드라 칭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0)는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전술한 제3 암(183)은 상승하면서 도어(311')를 상기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방 모드로 바꿀 수 있다. 전술한 제3 암(183)은 하강하면서 도어(311')를 상기 개방 모드에서 상기 폐쇄 모드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폐쇄 모드에서, 제3 암(183)의 상단은 도어(311')의 하면에 접촉하지만,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은 도어(311')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도 18의 간격(gm) 참조). 도어(311')가 상기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방 모드로 바뀌며 회전한 각도(theta L)는 cos-1(D10/L10) 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개방 모드에서, 도어(311')의 전단은 디스플레이(10)의 후면의 연장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각도(theta L)는 cos-1(D11/L10) 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개방 모드에서, 도어(311')의 전단은 디스플레이(10)의 후면의 연장선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L10은 도어(311')의 폭방향에서 도어(311')의 회전축(311C')과 도어(311')의 전단 사이의 거리이고, D10은 수평방향에서 도어(311')의 회전축(311C')과 도어(311')의 전단(즉, 디스플레이(10)의 후면) 사이의 거리이며, D11은 수평방향에서 도어(311')의 회전축(311C')과 도어(311')의 전단 사이의 거리로서 D10보다 작다.
이에 따라, 간격(gm, 도 18 참조)을 포함해 다음의 변수들을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10)와 푸셔(170, 도 18 참조)의 상승 속도에 대응하여 도어(31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10)는 도어(311')의 하면에 닿지 않으면서 상승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와 푸셔(170, 도 18 참조)가 상승한 높이에 대한 제3 암(183)이 상승한 높이의 비(ratio)는 각도(theta a, 도 18 참조)가 클수록 커질 수 있다. 그리고, 특정 각도(theta L)에 대하여, 각도(theta a)가 커질수록 제2 파트(183b)의 길이(Lb)는 짧아질 수 있고, 상기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방 모드로 전환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도어(311')는 원 운동을 하므로, 제3 암(183)이 상승한 높이에 대한 도어(311')가 회전한 각도의 비(ratio)는 제3 암(183)이 회전축(311C', 즉 원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커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디스플레이(10)와 푸셔(170)의 하강 속도에 대응하여 도어(31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도어(311')는 디스플레이(10)의 상단에 닿지 않으면서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을 점차 덮을 수 있다. 여기서, 도어(311')의 상기 개방 모드에서 각도(theta L)는 예각일 수 있고, 그 결과 제3 암(183)의 하강에 대응하여 도어(311')는 이에 가해지는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어(311')의 상기 개방 모드에서, 푸셔(170)는 제3 파트(183c)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에 놓이므로, 디스플레이(10)와 푸셔(17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더라도 도어(311')의 위치 및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어셈블리(190)는 도어(31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도어(31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311'')는 좌우로 긴 플레이트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10)가 상하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311P)에 위치할 수 있다.
우측 홀더(192)의 일측은 도어(311'')의 우측 끝단에 인접하여 도어(311'')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우측 홀더(192)의 타측은 우측 슬라이더(193)에 고정될 수 있다.
우측 레일(194)은 우측 슬라이더(193)에 대하여 우측 홀더(192)와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제2 탭(319)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우측 슬롯(194S)은 우측 레일(19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우측 슬롯들(194S1, 194S2)은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193)는 우측 레일(194)에 결합될 수 있고, 우측 슬라이더(193)의 일부는 우측 레일(194)의 우측 슬롯(194S)에 삽입될 수 있다. 우측 슬라이더(193)는 우측 슬롯(194S)을 따라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우측 랙(193R, right rack)은 우측 슬라이더(193)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우측 기어(195)는 우측 랙(193R)에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어(195a)는 제2 기어(195b)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기어(195b)는 우측 랙(193R)에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어(195a)와 제2 기어(195b)는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기어 샤프트(190S)는 제1 기어(195a)와 제2 기어(195b)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즉, 기어 샤프트(190S), 제1 기어(195a), 및 제2 기어(195b)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모터(199)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199)는 4 kg·m의 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 모터(199)의 회전축은 웜(198, worm)에 고정될 수 있고, 웜 휠(197, worm wheel)은 웜(198)과 맞물릴 수 있다. 토크 리미터(196)는 웜 휠(197)에 연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kg·m 초과의 토크를 제한할 수 있다. 또, 토크 리미터(196)는 제1 기어(195a)에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99)의 회전력은 웜(198), 웜 휠(197), 및 토크 리미터(196)를 통해 우측 기어(195)와 기어 샤프트(190S)에 전달될 수 있다.
도 23 및 24를 참조하면, 기어 샤프트(190S)는 제1 기어 샤프트(190Sa)와 제2 기어 샤프트(190S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 샤프트(190Sa)는 좌우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우측 기어(195)에 고정되어 우측 기어(195)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 샤프트(190Sb)는 좌우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기어 샤프트(190Sa)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좌측 기어(195')는 기어 샤프트(190S)에 대하여 우측 기어(195)와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제2 기어 샤프트(190Sb)에 고정되어 제2 기어 샤프트(190Sb)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조인트(190SH)는 제1 기어 샤프트(190Sa)와 제2 기어 샤프트(190Sb)를 연결할 수 있다. 기어 샤프트들(190S)의 개수가 n 개이면, 조인트(190SH)의 개수는 n-1 개 일 수 있다. 또는, 기어 샤프트(190S)는 1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우측 기어(195), 기어 샤프트(190S), 및 좌측 기어(195')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좌측 홀더(192')의 일측은 도어(311'')의 좌측 끝단에 인접하여 도어(311'')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좌측 홀더(192')의 타측은 좌측 슬라이더(193')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홀더(192')는 우측 홀더(192)와 대칭될 수 있다.
좌측 레일(194')은 좌측 슬라이더(193')에 대하여 좌측 홀더(192')와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제1 탭(318)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좌측 슬롯(194S')은 좌측 레일(19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좌측 슬롯들(194S1', 194S2')은 상하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레일(194')은 우측 레일(194)과 대칭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더(193')는 좌측 레일(194')에 결합될 수 있고, 좌측 슬라이더(193')의 일부는 좌측 레일(194')의 좌측 슬롯(194S')에 삽입될 수 있다. 좌측 슬라이더(193')는 좌측 슬롯(194S')을 따라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좌측 랙(193R', left rack)은 좌측 슬라이더(193')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기어(195')는 좌측 랙(193R')에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기어(195')와 좌측 슬라이더(193') 각각은 우측 기어(195)와 우측 슬라이더(193) 각각과 대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99)의 회전축이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195, 195')에 맞물린 슬라이더(193, 193'), 홀더(192, 192'), 및 도어(311')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199)의 회전축이 상기 제1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기어(195, 195')에 맞물린 슬라이더(193, 193'), 홀더(192, 192'), 및 도어(311'')는 전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도어(311'')는 전후로 슬라이드 되면서, 개구(311P)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도어(311'')가 개구(311P)를 폐쇄하면(도 25의 위쪽 그림 참조),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은 도어(311'')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는 도어(311'')의 폐쇄 모드라 칭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11'')는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을 커버 및 보호할 수 있다.
도어(311'')가 개구(311P)를 개방하면(도 25의 아래쪽 그림 참조), 디스플레이(10)의 상단은 도어(31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위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상태는 도어(311'')의 개방 모드라 칭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0)는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11'')가 상기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방 모드로 전환된 후에, 디스플레이(10)는 상승할 수 있다. 또, 디스플레이(10)가 최대로 하강한 후에, 도어(311'')는 상기 개방 모드에서 상기 폐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어(311'')의 상기 폐쇄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0)의 상단과 도어(311'')의 하면 사이의 간격, 디스플레이(10)의 상승 속도, 디스플레이(10)의 두께(t10), 개구(311P)의 폭, 및 도어(311'')의 슬라이드 속도 등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10)와 도어(311'')의 접촉을 피하면서 디스플레이(10)의 상승과 도어(311'')의 슬라이드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10)와 도어(311'')의 접촉을 피하면서 디스플레이(10)의 하강과 도어(311'')의 슬라이드도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2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1);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60);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사이드 파트(311, 312, 313, 31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파트(311, 312, 313, 314)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일변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일변과 마주하는 도어;로서, 상기 일변을 가리거나 드러내도록 이동 가능한 도어(311', 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11', 31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기 일변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파트(311, 312, 313, 314)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이 이동하는 통로인 개구(311P)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311', 311'')는,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구(311P)를 폐쇄할 수 있고, 개방 모드에서 상기 개구(311P)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상기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방 모드로 전환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개구(311P)를 통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상기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방 모드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개구(311P)를 통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어(311')는, 상기 도어(311')의 후단에 인접한 상기 도어(311')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회전축(311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이 결합되는 프레임(20);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한 링크(1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링크(18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과 상기 회전축(311C')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상기 구동 모듈(60)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함께 이동 가능한 푸셔)17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링크(180)는: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80F);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180F)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도어(311')를 지지하는 링크 암들(180L)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푸셔(170)는, 상기 링크 암들(180L)을 움직여 상기 도어(311')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암들(180L)은: 상기 고정 프레임(180F)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80F)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암(181); 상기 고정 프레임(180F)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80F)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암(181)과 이격되는 제2 암(18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암(181, 182)에 대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180F)에 대향(opposite)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암(181, 182)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311')를 지지하는 제3 암(18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170)는, 상기 제3 암(183)에 대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180F)에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상기 제3 암(18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암(183)은: 상기 푸셔(17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파트(183a); 상기 제1 파트(183a)의 말단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180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어지는 제2 파트(183b); 그리고, 상기 제2 파트(183b)의 말단에서 상기 푸셔(170)의 이동방향으로 굽어지는 제3 파트(183c)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파트(183c)의 말단은, 상기 도어(3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311'')는,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상기 도어(311'')를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어셈블리(19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190)는: 모터(199); 그리고, 상기 모터(199)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31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모터(199)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웜 기어(198, 197); 상기 웜 기어(198, 197)에 맞물리는 우측 기어(195); 상기 우측 기어(195)에 맞물리고, 상기 도어(311'')에 고정되는 우측 슬라이더(193); 그리고, 상기 우측 슬라이더(19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우측 레일(1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도어(3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우측 기어(195)가 고정되는 일단을 구비하는 기어 샤프트(190S); 상기 기어 샤프트(190S)의 타단에 고정되는 좌측 기어(195'); 상기 좌측 기어(195')에 맞물리고, 상기 도어(311'')에 고정되는 좌측 슬라이더(193'); 그리고, 상기 좌측 슬라이더(19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좌측 레일(1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31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상기 일변을 전부 가리거나 전부 드러낼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듈(60)은: 모터(61); 상기 모터(61)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63);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3)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시키는 구동 모듈;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사이드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파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변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일변과 마주하는 도어;로서, 상기 일변을 가리거나 드러내도록 이동 가능한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방향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변과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파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동하는 통로인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구를 폐쇄하고, 개방 모드에서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방 모드로 전환이 완료된 후에, 상기 개구를 통해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폐쇄 모드에서 상기 개방 모드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개구를 통해 이동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단에 인접한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한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이동 가능한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그리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링크 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링크 암들을 움직여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암들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암;
    상기 고정 프레임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암과 이격되는 제2 암;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암에 대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향(opposite)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암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제3 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제3 암에 대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에 대향(opposite)하고, 상기 제3 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며,
    상기 제3 암은:
    상기 푸셔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의 말단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어지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2 파트의 말단에서 상기 푸셔의 이동방향으로 굽어지는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트의 말단은,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어셈블리는: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도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웜 기어;
    상기 웜 기어에 맞물리는 우측 기어;
    상기 우측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우측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우측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우측 레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우측 기어가 고정되는 일단을 구비하는 기어 샤프트;
    상기 기어 샤프트의 타단에 고정되는 좌측 기어;
    상기 좌측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좌측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좌측 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좌측 레일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일변을 전부 가리거나 전부 드러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20119074A 2022-09-21 2022-09-2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40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74A KR20240040268A (ko) 2022-09-21 2022-09-2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74A KR20240040268A (ko) 2022-09-21 2022-09-2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268A true KR20240040268A (ko) 2024-03-28

Family

ID=9048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074A KR20240040268A (ko) 2022-09-21 2022-09-2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2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9640B1 (en) Display device
KR102393344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1365B1 (ko) 확장형 표시 장치
US10748456B2 (en) Display device
KR10247629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8957853B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207149237U (zh) 显示装置
US20180263124A1 (en) Display device
US9412772B1 (en) Substrate vias for a display device
CN105388653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2527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2216207A (zh) 一种柔性led显示屏
KR2024004026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CN218523337U (zh) 一种带有的双路驱动板的会议室双屏升降显示装置
CN105938278A (zh) 具有颜色运动模糊补偿结构的液晶显示器
CN102800284B (zh) 双面显示器及电子设备
KR2023001817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215386B1 (ko) 가변형 곡면 디스플레이 조립장치
CN108919578A (zh) 显示面板及其应用的显示装置
KR20050093382A (ko)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승강 구조
KR10266670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40269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7120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08873516A (zh) 显示面板及其应用的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