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954A -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 Google Patents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954A
KR20240039954A KR1020220118913A KR20220118913A KR20240039954A KR 20240039954 A KR20240039954 A KR 20240039954A KR 1020220118913 A KR1020220118913 A KR 1020220118913A KR 20220118913 A KR20220118913 A KR 20220118913A KR 20240039954 A KR20240039954 A KR 2024003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atellite
location
gps
predi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우림
손정락
김민우
신재민
김자민
문승규
김윤지
김치헌
정준우
유수민
곽철훈
임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to KR102022011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954A/en
Publication of KR2024003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954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7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ata for correcting measured positioning data, e.g. DGPS [differential GPS] or ionosphere corr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5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은, GPS 장치를 이용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AI 처리부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AI 처리부로부터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확도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경우, SBAS(satellite based augment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GPS information using a GPS device,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requesting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obtain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determining location accuracy based o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if the location accuracy is less than the threshold, satellite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satellite. It may b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d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Description

위성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및 시스템{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위성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활용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을 이용한 위치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ing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4차 산업혁명 및 초연결사회 트랜드에 따라, IoT 기술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연결 가능한 모든 사물을 웹으로 연결하기 위한 WoT(Web of Thing)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yper-connected society trends, IoT technology is being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WoT (Web of Thing), which aims to connect all connectable objects to the web, has recently become a hot topic.

사물인터넷 접속 기술은 사람의 인위적인 간섭 없이 기기 간에 자율적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며 2025년까지 약 300억개의 사물이 상호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IoT access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can autonomously share information between devices without artificial human intervention, and it is expected that approximately 30 billion objects will be able to connect and share information by 2025.

사물인터넷 접속 기술에는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한 정보수집 기술이 특히 각광을 받고 있으며, 현재까지 많이 활용되고 있는 Wi-Fi 와 Bluetooth 기술 외에도 최근에는 기존 기술의 단점을 보완한 LTE-MTC(LTE Machine-Type Communication), IoT, Lora 등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및 기술이 차세대 사물인터넷 접속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In IoT access technology, information collection technolog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s receiving particular attention. In addition to Wi-Fi and Bluetooth technologies, which are widely used to date, LTE-MTC (LTE Machine-MTC) has recently been developed to complement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technologies.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LPWA) and technologies such as Type Communication, IoT, and Lora are emerging as next-generation Internet of Things access technologies.

이전에는 배터리 및 통신거리의 한계로 인해 적용되지 못했던 IoT 기술이 LPWA 기술로 인해 그 적용 범위가 확산되었으며, 최근 실시간 관제 대상이 고가자산에서 중저가 자산까지도 적용이 가능하게 되었다.IoT technology, which previously could not be applied due to limitations in battery and communication distance, has expanded its scope of application thanks to LPWA technology, and recently, real-time control has become possible to apply from high-priced to low- and mid-priced assets.

한편, 기존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기술 및 제품들의 경우 고속 통신, 상시 배터리 공급, 높은 통신비용이 문제점이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echnologies and products using existing IoT technology, high-speed communication, constant battery supply, and high communication costs were problems.

현재 고객들이 요구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은 용량이 적고, 단순한 정보를 저속과 저전력으로 배터리 수명은 늘리고, 단말 가격과 통신운영비도 낮출 수 있는 사물인터넷의 확장 기술인 소물인터넷 기술을 원하고 있으며 특히 자산관리 시장에서 저전력/저비용 통신기술 수요가 높다.Currently, th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demanded by customers is low in capacity, and they want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which is an expansion technology of the Internet of Things that can provide simple information at low speed and low power, extend battery life, and reduce terminal prices and communication operating costs. Especially in the asset management market. There is high demand for low-power/low-cost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적 측면에서 통신 커버리지 및 동작 환경에 따라 Long Range(Outdoor) 기술과 Short or Middle Range(Indoor) 기술로 나뉘어 발전하고 있고, IoT 디바이스의 특성상 주로 용량이 작은 배터리를 사용하기에 전력이 제한된 상태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비 투자 소요가 적은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From a technical perspective, it is being developed into Long Range (Outdoor) technology and Short or Middle Range (Indoor) technology depending on communication coverage and operating environment. Due to the nature of IoT devices, they mainly use batteries with small capacity, so data is limited in power. LPWAN (Low Power Wide Area Network) technology, which can perform communication and requires little facility investment, is attracting attention.

각 LPWAN 기술은 주파수 확보 비용, 인프라 설치 비용, 단말 제작 비용, 통신 품질, 통신 속도 등의 관점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Each LPWAN technology needs to be competitive in terms of frequency acquisition cost, infrastructure installation cost, terminal production cost, communication quality, and communication speed.

또한, 현재 고객들이 요구하는 사물인터넷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위치 보정 기술이 필요하다.Additionally, precise location correction technology is needed to provide th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currently demanded by customers.

하지만, 일반 상용 GPS모듈의 경우 Open Sky 환경에서도 위치오차 5M 이하의 정확도를 보장하지 못하며, 이러한 GPS 위치 오차는 LBS(Location-based service) 기술을 요구하는 현장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만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However, general commercial GPS modules cannot guarantee accuracy of less than 5M position error even in an open sky environment, and this GPS position error does not sufficiently satisfy field requirements requiring LBS (Location-based service) technology. .

Cell 측위, WI-FI 등과 같은 보조적인 측위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을 하고 있으나, 단말기 배터리의 한계 등으로 인해 실시간 보정에 한계 존재한다.Correction is performed using auxiliary positioning information such as cell positioning and WI-FI, but there are limitations to real-time correction due to limitations in the terminal battery.

따라서, 저비용 통신 및 원가절감된 IoT 단말기 개발, GPS의 기능 제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low-cost communication and cost-reduced IoT terminals, and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to complement the functional limitations of GPS.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LBS(Location-based service)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BS (Location-based service) technology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n IoT device for outdoor hybrid positioning using the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fun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본 발명은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IoT 단말기에서 GPS 오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can minimize errors that may occur due to GPS error in IoT terminals by applying SBAS technology to reduce GPS error within a certain range.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충격, 탈부착, 배터리)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 terminal for LPWA-based asset management and outdoor positioning capable of low-cost, low-power communication, and an asset control service platform that integrates and collects and manages outdoor positioning and asset status information (impact, detachment, batter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can be constructed.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에서 웹/모바일을 통한 자산관제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한 IoT 단말기 및 자산관제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여 실제 현장에서 조기구축 및 운영에 유리하도록 한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IoT terminal and asset control service platform that enables asset control services to be provided through web/mobile on a cloud basis, and provides loca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that is advantageous for early construction and operation in the actual fiel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본 발명은 자산의 장시간 정체 시, SBAS 기술을 이용한 위치 보정 프로세스를 생략하고, 머신 러닝 기반의 모델을 이용하여 신뢰성 높은 예측 위치를 활용하도록 하는 위성기반 위치 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satellite-based location correction that omits the location correction process using SBAS technology when assets are congested for a long time and utilizes a highly reliable predicted location using a machine learning-based model. There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은, GPS 장치를 이용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AI 처리부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AI 처리부로부터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확도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경우, SBAS(satellite based augment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purpose includes receiving GPS information using a GPS device,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requesting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obtain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determining location accuracy based o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if the location accuracy is less than the threshold, satellite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satellite. It may b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nd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나아가, 상기 GPS 정보는 특정 표준에 기반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AI 처리부로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표준에 기반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AI 처리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GPS information includes data based on a specific standard, and the step of request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at least some of the data based on the specific standard to the AI processing unit. It can be characterized as:

나아가, 상기 AI 처리부는,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공 신경망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공 신경망에 입력되어, 상기 인공 신경망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I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generat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part of the data is input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output from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You can.

나아가, 상기 인공 신경망은, GPS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characterized by learning how to generate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by receiving data included in GPS information.

나아가, 상기 위치 정확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GPS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if the location accuracy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urning off power to the GPS device.

나아가, 상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기 지정된 시간동안 복수의 위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복수의 위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includes acquiring a plurality of satellite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plurality of satellite information. More may be included.

나아가, 상기 GPS 정보는 상기 GPS 장치를 통해 지정된 주기에 따라 수신되고, 상기 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에 따라 획득된 상기 복수의 위성 정보의 평균 값에 기반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GPS information is received according to a designated period through the GPS device, and includes the step of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the plurality of satellite information acquir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period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can do.

나아가, 상기 GPS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GPS 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GPS 장치를 이용하여 GPS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신호가 탐색되는 것에 응답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GPS device may include activating the GPS device, searching for a GPS signal using the activated GPS device, and in response to the GPS signal being searched for. ,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from GPS satellites.

본 발명에 따른,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시스템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시스템의 제어부는, GPS 장치를 이용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AI 처리부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AI 처리부로부터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치 정확도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 정확도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경우, SBAS(satellite based augment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system includes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system receives GPS information using a GPS device,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Request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obtai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determine location accuracy based o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if the location accuracy is less than the threshold,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receive satellite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and correct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GPS 장치를 이용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AI 처리부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AI 처리부로부터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확도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경우, SBAS(satellite based augment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A program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es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program comprising: receiving GPS information using a GPS device;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In response, requesting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an AI processing unit, obtain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and determining location accuracy based o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when the location accuracy is less than the threshold. , may include instructions for receiving satellite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satellite and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0033]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0033] The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First, it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an IoT device for outdoor hybrid positioning using the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function.

둘째, SBAS 기술을 적용하여 GPS 오차를 일정 범위 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하여 IoT 단말기에서 GPS 오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Second, by applying SBAS technology, GPS errors can be reduced to within a certain range, thereby minimizing errors that may occur due to GPS errors in IoT terminals.

셋째,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충격, 탈부착, 배터리)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we provide IoT terminals for LPWA-based asset management and outdoor positioning that enable low-cost, low-power communication, and provide an efficient asset control service platform that collects and manages outdoor positioning and asset status information (impact, detachment, battery). so that it can be built.

넷째, 클라우드 기반에서 웹/모바일을 통한 자산관제서비스를 제공 가능하도록 한 IoT 단말기 및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여 실제 현장에서 조기구축 및 운영에 유리하도록 한다.Fourth, by implementing an IoT terminal and asset control service platform that can provide asset control services through web/mobile on a cloud basis, it is advantageous for early construction and operation in the actual field.

다섯째, 자산관제서비스를 통해 산업용가스 등 화학물 제조납품사, 조선소/중공업 야드, 공항 및 항만 야드 등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대하여 관리가 요구되는 현장에 적용되어 자산관리를 위한 인력투입 비율을 감소 및 자산의 도난방지를 통해 비용절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Fifth, the asset control service is applied to sites that require management of various types of assets, such as industrial gas and other chemical manufacturing suppliers, shipyards/heavy industry yards, airports and port yards, and reduces the ratio of manpower input for asset management. Cost reduction/management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preventing asset theft.

여섯째, 머신 러닝 기반의 모델을 활용하여, SBAS 기능을 이용한 위치 보정 프로세스를 생략함으로써, 시스템의 자원을 절약하고, 위치 정보 활용을 위한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Sixth, by using a machine learning-based model, the location correction process using the SBAS function can be omitted, thereby saving system resources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for utilizing location information.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I 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프로세스의 상세 흐름도다.
Figure 1a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are configu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load balanc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detailed flowcharts of the terminal regis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drawing symbo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The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of the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embodiment below.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IoT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Figure 1a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b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device and method for location correction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oT terminal for LPWA-based asset management and outdoor positioning capable of low-cost, low-power communication, and integrates outdoor positioning and asset status information. This is to efficiently build an asset management service platform that collects and manages asset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1차적으로 GPS를 통하여 위치데이터를 확보 후, 2차적으로 SBAS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수집된 GPS의 위치데이터 보정 실시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first secures location data through GPS and then secondarily corrects the primarily collected location data of GPS using SBAS.

본 발명은 GPS와 SBAS를 잡을 때, 초기 주위 환경에 의해 오차가 많이 발생하는 데이터는 불포함하고, 전체적인 위치 데이터의 신뢰성을 올리기 위하여 위치 평균값을 산출 후에 서버(플랫폼) 측으로 위치 정보 전송을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data with many errors due to the initial surrounding environment when capturing GPS and SBAS,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platform)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location valu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overall location data. It can be included.

특히, 동일 시점에 기지국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 수가 n개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하분산 로직을 적용하여, 같은 주기를 가진 단말기가 동시에 기지국에 접속 시, 과부하 발생 확률을 감소시킬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can connect to the base station at the same time is limited to n, load balancing logic can be applied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overload when terminals with the same period connect to the base station at the same time. there i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항법위성 제공 신호에 각종 요인으로 인한 오차 등의 발생이 수반되므로, GPS 신호감시 및 제공 메시지 사용여부 등을 위한 무결성기능, 각종오차 등을 차등적 보정에 의한 정확도 향상 기능, 항법신호 가용성 및 연속성을 위한 레인징 신호제공 기능 등을 통해 항공기 안전운항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Since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the occurrence of errors due to various factors in the signals provided by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navigation satellites, it is necessary to monitor GPS signals and use provided messages. It is a system that can be used for safe aircraft operation through an integrity function for etc., an accuracy improvement function by differential correction of various errors, etc., and a ranging signal provision function for navigation signal availability and continuity.

SBAS에서 전송되는 신호에는 보정정보와 무결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보정정보의 종류로는 FC(fast correction), LTC(long-term correction), 그리고 전리층 보정정보가 있다.The signal transmitted from SBAS includes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Types of correction information include fast correction (FC), long-term correction (LTC), and ionospheric correction information.

FC는 단시간 신호변화에 대한 보정정보로, GNSS 의사거리 정보에 적용 가능하다. LTC는 위성 궤도 및 시계에 대한 보정정보 및 보정정보의 변화율 형태로 제공되며, 항법메시지로부터 계산된 GNSS 위성 궤도 및 시계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SBAS 전리층 보정정보는 MT 26에 포함되어 있으며, 격자점 형태의 전리층지도에 대한 보정정보 및 전리층 보정정보의 추정 정확도를 나타내는 GIVE(grid ionosphere vertical error)가 포함되어 있다.FC is correction information for short-term signal changes and can be applied to GNSS pseudorange information. LTC is provided in the form of correction information and rate of change of correction information for satellite orbits and clocks, and can be directly applied to GNSS satellite orbits and clocks calculated from navigation messages. SBAS ionospheric correc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MT 26, and includes correction information for the ionospheric map in the form of grid points and GIVE (grid ionosphere vertical error), which indicates the estimation accuracy of the ionospheric corr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은 도 1a에서와 같이, GPS 위성 정보를 제공하고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과,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의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고,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IoT 단말(200)과,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여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으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처리 수단(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A, the system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loc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00) that provides GPS satellite information and broadcasts the received SBAS signal to users within the service area. ) and the GPS signal of the loc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00 and the SBAS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ostationary satellite, calculate a reliable and accurate location, and operate the corrected location data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IoT terminal 200 transmits to the server, generates correction information for correcting orbital and clock errors and ionospheric delay errors for GPS satellites to be used by users for location calculation, and generates integrity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GPS signal. It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300 that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loc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00.

여기서, 위치 및 보정 정보 제공 수단(100)은 GPS 위성 정보를 IoT 단말(200)로 제공하는 GPS 위성(10)과, 중앙처리국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으로 전달되고 SBAS 메시지를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면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하는 정지궤도 SBAS 위성(50)을 포함한다.Here, the location and correction information providing means 100 includes the GPS satellite 10 that provides GPS satellite information to the IoT terminal 200, and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are includ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BAS message. It is transmitted to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and includes a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50 that broadcasts the received SBAS signal to users within the service area when the SBAS message is loaded on the SBAS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

그리고 위치 정보 처리 수단(300)은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 중앙처리국(30)에 전달하는 기준국(20)과, 기준국(20)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10)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하는 중앙처리국(30)과, 중앙처리국(30)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가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되면 BAS 메시지를 GPS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위성으로 전달하는 위성통신국(40)을 포함한다.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ans 300 utili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ference station 20 and the reference station 20, which receive GPS signals, generate navigation data and distance measurements, and transmit them to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A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that generates correction information for correcting orbital and clock errors and ionospheric delay errors for the GPS satellites (10) to be used by users for location calculation, and generates integrity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GPS signal. And, when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are included and deliver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BAS message,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40) transmits the BAS message to the geostationary satellite by carrying it in an SBAS signal with characteristics similar to GPS. Includes.

그리고 IoT 단말(200)의 상세 구성은 도 1b에서와 같다.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oT terminal 200 is as shown in FIG. 1B.

IoT 단말(200)은 GPS 위성(10)으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위치정보 처리부(200a)와, 정지궤도 SBAS 위성(50)으로부터 수신된 SBAS 보정 정보를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SBAS 보정 정보 처리부(200b)와, 정지궤도 SBAS 위성(50)으로부터 수신된 무결성정보들을 처리하여 위치 계산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결성 정보 처리부(200c)와, GPS 신호와 정지궤도 SBAS 위성(50)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200d)와, 위치 계산부(200d)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기지국(60)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70)로 전송하는 보정 위치데이터 전송부(200e)를 포함한다.The IoT terminal 200 has a GPS lo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0a that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GPS satellit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GPS satellite 10, and processes SBAS corr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50. SBAS correctio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0b, which processes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50 so that it can be used for position calculation, and GPS signal and geostationary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00c, which processes integrity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used for position calculation. A position calculation unit 200d that calculates a reliable and accurate location using the SBAS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rbital SBAS satellite 50, and the position data corrected by the position calculation unit 200d to the base station 60 and It includes a correction location data transmission unit 200e that transmits to the user operation server 7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위치보정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The system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performs the operation for position correction as follows.

(A)먼저, GPS 위성(10)으로부터 GPS 위성 정보를 수신하여 IoT 단말([0056] 200)은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B)이어, 넓은 지역에 분산된 기준국(20)에서 각각 GPS 신호를 수신하여 항법데이터 및 거리 측정치를 생성하고(A) First, the IoT terminal 200 acquires lo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GPS satellite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 10. (B) Next, GPS signals are received from each of the reference stations 20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to generate navigation data and distance measurements.

(C)중앙처리국(30)에 전달한다.(C) Delivered to the central processing office (30).

중앙처리국(30)은 기준국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위치 계산에 이용할 GPS 위성에 대한 궤도 및 시계 오차와 전리층 지연 오차 보정을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고 GPS 신호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무결성 정보를 생성한다.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utiliz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ference station to generate correction information for correcting orbital and clock errors and ionospheric delay errors for GPS satellites that users will use for location calcula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GPS signal. Generates integrity information for

(D)중앙처리국(30)에서 생성된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는 국제 표준 SBAS 메시지에 포함되어 위성통신국(40)으로 전달한다.(D) The correction informa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station (30) are includ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SBAS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40).

(E)위성통신국(40)은 SBAS 메시지를 GPS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 SBAS 신호에 실어 정지궤도 SBAS 위성(50)으로 전달한다.(E) The satellite communication station 40 transmits the SBAS message to the geostationary orbit SBAS satellite 50 in an SBAS signal with characteristics similar to GPS.

(F)정지궤도 SBAS 위성(50)은 수신된 SBAS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사용자들에게 방송한다.(F) The geostationary SBAS satellite 50 broadcasts the received SBAS signal to users within the service area.

IoT 단말기는 GPS 신호와 정지궤도위성에서 수신된 SBAS 보정 및 무결성정보들을 이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계산한다.The IoT terminal calculates a reliable and accurate location using GPS signals and SBAS correction and integrity information received from geostationary satellites.

(G)IoT 단말기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운영서버(70)로 전송한다.(G) The location data corrected in the IoT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operation server 70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적용을 통하여 클라우드 기반에서 웹/모바일을 통한 자산관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and method for loca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sset control services through web/mobile on a cloud basis through the following applications.

예를 들어, 자산관제 대상에 IoT 단말기의 전원을 On하여 부착하고, 정해진 주기 규약에 따라 자산관제 대상을 감시하고, 배터리 절감을 위해 기본 8시간 주기로 설정을 하나 이벤트 발생(단말 탈부착, 임계치 이상의 충격 등)시에는 1시간 마다 감시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구성하고, IoT 단말기 운영 시 부하분산 운영 프로세스를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urn on and attach the IoT terminal to the asset control target, monitor the asset control target according to the set cycle protocol, and set the default 8-hour cycle to save battery, but an event occurs (detachment or detachment of the terminal, shock exceeding the threshold) etc.), monitoring data can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every hour, and a load balancing operation process can be applied when operating IoT terminals.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산관제서비스 분야는 다음과 같은 분야일 수 있다.The asset management servic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the following fields.

자산관제서비스를 통해 산업용가스 등 화학물 제조납품사, 조선소/중공업 야드, 공항 및 항만 야드 등 다양한 종류의 자산에 대하여 관리가 요구되는 현장에 적용되어 자산관리를 위한 인력투입 비율을 감소 및 자산의 도난 방지를 통해 비용절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asset control service is applied to sites that require management of various types of assets, such as industrial gas and other chemical manufacturing and supply companies, shipyards/heavy industry yards, airports and port yards, to reduce the ratio of manpower input for asset management and to manage assets.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and increase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theft prevention.

일 예로, 공항 야드 및 산업용 렌트카(사다리차, 건설용 차량) 자산관제 서비스가 가능하다.For example, asset control services for airport yards and industrial rental cars (ladder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are available.

국내 대형 건설사 및 항공사를 대상으로 하여 항공 및 건설현장에서 고가의 이동자산에 대하여, 위치추적 및 무단사용에 대한 관제 서비스가 가능하다.Targeting large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nd airlines, location tracking and unauthorized use control services are available for expensive mobile assets at aviation and construction sites.

카트 및 캐리어, 팔레트, 항공화물 ULD 등 소형화물 캐리어에 단말기 부착을 통해 자산을 관리하고 배차서비스를 위한 기본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manage assets and use it as a basic platform for dispatch services by attaching a terminal to small cargo carriers such as carts, carriers, pallets, and air cargo ULDs.

다른 예로는, 항만(부산, 인천, 울산 등 항만 지역) 및 물류분야에서 화물 및 샤시관제 서비스가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cargo and chassis control services are available in ports (port areas such as Busan, Incheon, and Ulsan) and logistics.

즉, 항만 내 컨테이너 적재용 샤시 또는 공컨테이너 등 자산 위치를 파악 후에 배차를 위한 자산관제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항만공사, 물류사)서비스 가능하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rvice customers (port authorities, logistics companies) by identifying the location of assets such as container loading chassis or empty containers within the port and then developing an asset control service for dispatch.

또 다른 예로는, 중공업 및 조선기자재 관련 업체에서의 고가자산 관제서비스가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expensive asset control services are available for companies related to heavy industry and shipbuilding equipmen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GPS ON 단계(S201), GPS 위치 탐색 단계(S202), GPS 위치 획득 단계(S203), 위치 예측 데이터 요청 단계(S213), 응답 데이터 확인 단계(S223),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204), 일정시간 추적 단계(S205),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206),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207),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 AI 처리부 전송 단계(S217), GPS OFF 단계(S208), 위치 정보 전송 단계(S209), 장비종료 단계(S210)를 포함하여, GPS On/OFF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수행한다.Specifically, the GPS ON step (S201), the GPS location search step (S202), the GPS location acquisition step (S203),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request step (S213), the response data confirmation step (S223), and the location acquisition step using SBAS (S204). ), constant time tracking step (S205), location information memory storage step (S206), location information average value calculation step (S207), NMEA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data AI processing unit transmission step (S217), GPS OFF step (S208) , location correction is performed using SBAS according to GPS On/Off,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09) and the equipment termination step (S210).

먼저, GPS ON 단계(S201)에서는 설정된 GPS 동작 시간 동안 GPS ON 한다. 이때 GPS 동작 시간은 SBAS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의 시간을 고려한다.First, in the GPS ON step (S201), GPS is turned on for the set GPS operation time. At this time, the GPS operation time considers the time until the location is acquired using the SBAS satellite.

이어, GPS 위치 탐색 단계(S202)에서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한다.Next, in the GPS location search step (S202), signals are searched to obtain the location from GPS satellites.

그리고 GPS 위치 획득 단계(S203)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And the operation in the GPS location acquisition step (S203) is as follows.

IoT 단말기가 실내이거나 GPS 음영지역에 있을 경우 GPS 위성을 통한 위치를 획득할 수 없다. 이러한 환경의 의해서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기는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GPS OFF 한다.If the IoT terminal is indoors or in a GPS shadow area, it cannot obtain its location through GPS satellites. If the location cannot be acquired during the GPS operation time due to this environment, the IoT terminal determines that it cannot receive GPS and turns GPS off.

GPS 위치 획득 여부 확인은 NMEA Protocol의 의한 메시지를 통해 판별한다.Verification of whether GPS location has been acquired is determined through a message using the NMEA Protocol.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위치 데이터 요청 단계(S213)에서 AI 처리부(220)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I 처리부(220)로 IoT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위치 예측 데이터 요청 시 AI 처리부(220)로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 중 GPS speed, HDOP(horizontal dilution of precision), VDOP(vertical dilution of precision), 위/경도 값을 전송할 수 있다.When acquiring a GPS location, location prediction data can be request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in the location data request step (S213). More specifically, prediction data about the location of the IoT terminal can be request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When requesting location prediction data, GPS speed, horizontal dilution of precision (HDOP), vertical dilution of precision (VDOP), and latitude/longitude values among NMEA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AI processing unit 220.

이 때, AI 처리부(220)는 IoT 단말(200) 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참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서버로 참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I processing unit 220 may be referred to as a component disposed within the IoT terminal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ferred to as a separate server.

이어, 응답 데이터 확인 단계(S223)에서 AI 처리부(220)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응답 데이터 확인 단계(S223)에서 AI 처리부(220)로부터 수신한 응답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예측 데이터와 GPS 위치 간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Next, response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in the response data confirmation step (S223). By checking the response data receiv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in the response data confirmation step (S223), the accuracy betwee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the GPS location can be determined.

이 때, AI 처리부(220)로부터 수신한 위치 예측 데이터와 GPS 위치 간의 정확도가 기 지정된 임계 값(예: 90%) 이상인 경우, GPS 장치를 OFF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accuracy betwee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receiv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and the GPS loc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e.g., 90%), the GPS device may be turned off.

반면, AI 처리부(220)로부터 수신한 위치 예측 데이터와 GPS 위치 간의 정확도가 기 지정된 임계 값(예: 90%) 미만인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ccuracy betwee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receiv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and the GPS loc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e.g., 90%), the location is continuously tracked until the location using the SBAS satellite is acquired.

이어,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204)에서 GPS 동작시간 동안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한다.Next, in the location acquisition step using SBAS (S204), if the location cannot be acquired using the SBAS satellite during the GPS operation time, the last tracked location is stored in memory.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을 한다.When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using the SBAS satellite, tracking is conducted for an additional period of time.

그리고 일정시간 추적 단계(S205)에서는 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초)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다.And in the constant time tracking step (S205), the location is tracked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seconds) to increase location accuracy.

이어,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206)에서는 GPS 수집 주기에 따른 추적한 마지막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Nex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emory storage step (S206), the last piece of location information tracked according to the GPS collection cycle is stored in memory.

GPS 수집주기마다 수집한 위치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된다.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at each GPS collection cycle is stored in memory.

그리고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207)에서 GPS 수집 주기마다 저장된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한다.The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verage value calculation step (S207), the location is corrected by adding up all th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for each GPS collection cycle and dividing it by the number of times it has been stored (n) to calculate the average value.

나아가, NMEA 데이터 AI 처리부 전송 단계(S217)에서, 보정된 위치 및 NMEA 데이터를 AI 처리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NMEA 데이터 AI 처리부 전송 단계(S217)에서 보정된 GPS 위치 정보에 따른 NMEA 데이터를 AI 처리부(220)로 전송함으로써, AI 처리부(220)의 알고리즘 모델(330)이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의 도 3에서 후술한다.Furthermore, in the NMEA data AI processing unit transmission step (S217), the corrected location and NMEA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AI processing unit 220. More specifically, by transmitting NMEA data according to the corrected GP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AI processing unit 220 in the NMEA data AI processing unit transmission step (S217), the algorithm model 330 of the AI processing unit 220 can be learned.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in Figure 3 below.

이어, GPS OFF 단계(S208)에서 IoT 단말기 소비전류를 줄이기 위해 GPS를 OFF 한다.Next, in the GPS OFF step (S208), GPS is turned off to reduce IoT terminal current consumption.

그리고 위치 정보 전송 단계(S209)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한다.The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209), the corrected loc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장비종료 단계(S210)는 사용자의 의해 IoT 단말기를 종료하거나, 다음 GPS 수집 주기동안 IoT 단말기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는 것이다.The equipment shutdown step (S210) is when the IoT terminal is terminated by the user or the IoT terminal enters sleep mode during the next GPS collection cycl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I 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AI 처리부(220)는 요청 타입 판단 단계(S301), 요건 검사 단계(S302), 위치 정보 예측 단계(S303), 예측 정보 검증 단계(S304), 판단 정보 전달 단계(S305), 데이터 분류 단계(S306)를 포함하여, IoT 단말(200)의 위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 processing unit 220 performs a request type determination step (S301), a requirements inspection step (S302), a location information prediction step (S303), a predic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step (S304), a judg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05), and data classification. Including step S306, location prediction of the IoT terminal 200 may be performed.

먼저, 요청 타입 판단 단계(S301)에서는 수신한 요청의 타입이 신규 데이터 전달인지 예측 데이터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irst, in the request type determination step (S301),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ype of the received request is new data delivery or predicted data request.

요청 타입 판단 단계(S301)에서 수신한 요청의 타입이 예측 데이터 요청인 경우, 위치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type of request received in the request type determination step (S301) is a prediction data request, an operation to generate location prediction data may be performed.

우선, 요건 검사 단계(S302)에서 수신된 NMEA의 GPS 정보들이 기 지정된 요건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또는,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건 검사 단계(S302)에서 수신한 NMEA 데이터로부터 GPS speed가 1 이하이고, HDOP가 1 내지 2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irst, it can be determined (or checked) whether the NMEA GPS information received in the requirements checking step (S302) meets pre-specified requirements. For exampl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GPS speed is 1 or less and the HDOP is 1 to 2 from the NMEA data received in the requirements check step (S302).

GPS 정보들이 기 지정된 요건에 부합하는 경우, 위치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GPS information meets pre-specified requirements, an operation to generate location prediction data can be performed.

위치 정보 예측 단계(S303)에서 머신 러닝 기반의 알고리즘 모델(330)(또는, 인공 신경망)에 NMEA의 GPS 정보들(예: 위/경도 값, HDOP, VDOP)을 입력함으로써, IoT 단말(200)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By inputting NMEA GPS information (e.g., latitude/longitude values, HDOP, VDOP) into the machine learning-based algorithm model 330 (or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ediction step (S303), the IoT terminal 200 location can be predicted.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예측 단계(S303)에서 복수의 알고리즘(320)(예: KNN(k-nearest neighbor), Decision Tree 및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학습시킨 알고리즘 모델(330)에 NMEA의 GPS 정보들을 입력하여 위치 예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ediction step (S303), NMEA GPS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algorithm model 330 trained through a plurality of algorithms 320 (e.g., KNN (k-nearest neighbor), Decision Tree, and Logistic Regression). You can generate location prediction data by entering it.

이어, 예측 정보 검증 단계(S304)에서 알고리즘 모델(330)에서 출력된 예측 값들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측 정보 검증 단계(S304)에서 소프트 보팅(soft voting)을 통해, 알고리즘 모델(330)의 복수의 알고리즘(320)들 각각이 결정한 값에 대한 예측 확률 값의 평균을 산출하고, 높은 확률 값을 갖는 출력 값을 위치 예측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Next, in the predic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step (S304), the prediction values output from the algorithm model 330 may be verified. More specifically, in the predic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step (S304), the average of the prediction probability values for the values determin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algorithms 320 of the algorithm model 330 is calculated through soft voting, and the An output value with a probability value can be determined as location prediction data.

나아가, 판단 정보 전달 단계(S305)에서 위치 예측 데이터와 GPS 위치 값의 정확도를 판단하고, 위치 예측 데이터 및 정확도 값을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determin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305),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the GPS location value can be determined, and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accuracy value can be transmitted to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반면, GPS 정보들이 기 지정된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전달된 GPS 정보들이 기 지정된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GPS information does not meet the pre-specified requirements, information that the delivered GPS information does not meet the pre-specified requirements can be transmitted to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한편, 요청 타입 판단 단계(S301)에서 수신한 요청의 타입이 신규 데이터 전달인 경우, 알고리즘 모델(330)을 학습시켜 위치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type of request received in the request type determination step (S301) is new data delivery, an operation to increase location prediction accuracy can be performed by learning the algorithm model 330.

데이터 분류 단계(S306)에서 수신한 GPS 정보 및 NMEA 데이터들을 복수의 알고리즘(320) 각각에 적합한 데이터 셋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the data classification step (S306), the received GPS information and NMEA data can be classified into data sets suitab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lgorithms (320).

분류된 데이터는 각각의 알고리즘(예: KNN, Decision Tree, Logistic Regression)에 입력됨으로써, 각각의 알고리즘의 학습에 활용될 수 있다.Classified data can be used for learning each algorithm by being input into each algorithm (e.g. KNN, Decision Tree, Logistic Regression).

분류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한 복수의 알고리즘(320)은 알고리즘 모델(330)을 구성하며, 알고리즘 모델(330)은 위치 정보 예측 단계(S303)에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lgorithms 320 learned using classified data constitute an algorithm model 330, and the algorithm model 330 can be used to generate location prediction data in the location information prediction step (S303).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position correction method using a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Always GPS On에 따라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location correction using SBA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lways GPS On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GPS ON 단계(S401), GPS 위치 탐색 단계(S402), GPS 위치 획득 단계(S403), 위치 예측 데이터 요청 단계(S413), 응답 데이터 확인 단계(S423),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404), 일정시간 추적 단계(S405),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406), N개 위치 정보 저장 단계(S407), NMEA 데이터 AI 처리부(220) 전송 단계(S417),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408), 위치 정보 전송 단계(S409)를 포함하여, Always GPS On에 따른 SBAS를 이용한 위치 보정을 수행한다.Specifically, the GPS ON step (S401), the GPS location search step (S402), the GPS location acquisition step (S403),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request step (S413), the response data confirmation step (S423), and the location acquisition step using SBAS (S404). ), constant time tracking step (S405), location information memory storage step (S406), 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step (S407), NMEA data AI processing unit 220 transmission step (S417), location information average value calculation step (S408) ,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409), location correction is performed using SBAS according to Always GPS On.

먼저, GPS ON 단계(S301)에서는 IoT 단말(200)의 GPS 기능을 동작시킨다.First, in the GPS ON step (S301), the GPS function of the IoT terminal 200 is operated.

그리고 GPS 위치 탐색 단계(S302)에서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신호를 탐색한다.And in the GPS location search step (S302), signals are searched to obtain the location from GPS satellites.

이어, GPS 위치 획득 단계(S303)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in the GPS location acquisition step (S303) is as follows.

IoT 단말(200)가 실내이거나 GPS 음영지역에 있을 경우 GPS 위성을 통한 위치를 획득할 수 없다. 이러한 환경의 의해서 GPS 동작 시간 동안 위치 획득을 못할 경우 IoT 단말(200)는 GPS 수신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고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한다.If the IoT terminal 200 is indoors or in a GPS shadow area, the location cannot be acquired through GPS satellites. If the location cannot be acquired during the GPS operating time due to this environment, the IoT terminal 200 determines that GPS reception is not possible and transmits information that the location cannot be confirmed to the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GPS 위치 획득 여부 확인은 NMEA Protocol의 의한 메시지를 통해 판별한다.Verification of whether GPS location has been acquired is determined through a message using the NMEA Protocol.

GPS 위치를 획득할 경우, 위치 데이터 요청 단계(S413)에서 AI 처리부(220)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I 처리부(220)로 IoT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위치 예측 데이터 요청 시 AI 처리부(220)로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데이터 중 GPS speed, HDOP(horizontal dilution of precision), VDOP(vertical dilution of precision), 위/경도 값을 전송할 수 있다.When acquiring GPS location, In the location data request step (S413), location prediction data may be request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More specifically, prediction data about the location of the IoT terminal can be request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When requesting location prediction data, GPS speed, horizontal dilution of precision (HDOP), vertical dilution of precision (VDOP), and latitude/longitude values among NMEA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AI processing unit 220.

이어, 응답 데이터 확인 단계(S423)에서 AI 처리부(220)로부터 응답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응답 데이터 확인 단계(S423)에서 AI 처리부(220)로부터 수신한 응답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위치 예측 데이터와 GPS 위치 간의 정확도를 판단할 수 있다.Next, response 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in the response data confirmation step (S423). By checking the response data receiv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in the response data confirmation step (S423), the accuracy betwee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the GPS location can be determined.

이 때, AI 처리부(220)로부터 수신한 위치 예측 데이터와 GPS 위치 간의 정확도가 기 지정된 임계 값(예: 90%) 이상인 경우, GPS 위치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accuracy betwee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receiv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and the GPS loc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e.g., 90%), the GPS loc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반면, AI 처리부(220)로부터 수신한 위치 예측 데이터와 GPS 위치 간의 정확도가 기 지정된 임계 값(예: 90%) 미만인 경우,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위치를 추적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accuracy betwee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received from the AI processing unit 220 and the GPS loca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e.g., 90%), the location is continuously tracked until the location using the SBAS satellite is acquired.

그리고 SBAS를 이용한 위치 획득 단계(S404)에서는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를 획득하지 못할 경우 마지막까지 추적한 위치를 메모리에 저장한다.And in the location acquisition step using SBAS (S404), if the location cannot be acquired using the SBAS satellite, the location tracked until the end is stored in memory.

SBAS 위성을 이용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 추가로 일정시간 더 추적한다.When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using the SBAS satellite, it is tracked for an additional period of time.

이어, 일정시간 추적 단계(S405)에서는 위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시간(초) 위치를 추적한다.Next, in the constant time tracking step (S405), the location is tracked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seconds) to increase location accuracy.

그리고 위치 정보 메모리 저장 단계(S406)에서 추적한 위치 정보 1개를 메모리에 저장한다.The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emory storage step (S406), one piece of tracked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memory.

그리고 N개 위치 정보 저장 단계(S407)에서 저장된 위치정보가 설정된 값 n개인지 확인한다.And in the N location information storage step (S407), it is checked whether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is the set value n.

저장 횟수가 n개가 아닐 경우, 설정된 시간 동안 위치를 추적한다.If the number of saves is not n, the location is tracked for the set time.

이어, 위치 정보 평균값 산출 단계(S408)에서 저장 횟수가 n개 일 경우, 저장된 n개의 위치 정보를 모두 합산하고 저장한 횟수(n)로 나누어 평균값을 산출하여 위치를 보정한다.Next,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verage value calculation step (S408), when the number of storage times is n, the location is corrected by adding up all n pieces of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nd dividing by the number of storage times (n) to calculate the average value.

나아가, NMEA 데이터 AI 처리부 전송 단계(S417)에서, 보정된 위치 및 NMEA 데이터를 AI 처리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NMEA 데이터 AI 처리부 전송 단계(S417)에서 보정된 GPS 위치 정보에 따른 NMEA 데이터를 AI 처리부(220)로 전송함으로써, AI 처리부(220)의 알고리즘 모델(330)이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NMEA data AI processing unit transmission step (S417), the corrected location and NMEA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AI processing unit 220. More specifically, by transmitting NMEA data according to the corrected GP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AI processing unit 220 in the NMEA data AI processing unit transmission step (S417), the algorithm model 330 of the AI processing unit 220 can be learned. .

그리고, 위치 정보 전송 단계(S409)에서 보정된 위치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영 서버로 전송한다.Then,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409), the corrected loc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serv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load balanc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ures 5a and 5b are configu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the load balanc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부하 분산 프로세스를 적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The reason for applying the load balancing process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NB-IoT 망(기지국) 커버리지 스펙에 따라 동시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의 개수(n 개)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단말에 부하분산을 적용하여 망 커버리지를 유지하는데 있다.The goal is to maintain network coverage by applying load balancing to terminals in order not to exceed the number (n) of terminals that can be connected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NB-IoT network (base station) coverage specifications.

부하 분산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balancing process may include the following components:

첫째, 부하 분산은 단말 슬립 시간 기준으로 부하 분산이 적용된다.First, load balancing is applied based on the terminal sleep time.

둘째, 부하 분산 적용 시간은 단말 슬립 시간의 ±5% 범위 내에서 설정이 된다.Second, the load balancing application time is set within ±5% of the terminal sleep time.

예를 들어, 단말의 슬립 시간이 1440(24시간)분이라면 1440분의 ±5%(72분) 시간을 적용하여 1368분 ~ 1512분 내에서 랜덤하게 측정이 되고 해당 시간만큼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leep time of the terminal is 1440 (24 hours) minutes, ±5% (72 minutes) of 1440 minutes is applied and the device is randomly measured within 1368 minutes to 1512 minutes and enters sleep mode for that amount of time. do.

셋째, 각각의 단말들이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는 시간이 다름을 이용하여 망 과부하를 감소시킨다.Third, network overload is reduced by taking advantage of the different wake-up times for each terminal from sleep mode.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terminal regis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등록 프로세스의 상세 흐름도이다.6 to 9 are detailed flowcharts of the terminal regist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단말 망(기지국) 등록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6 shows the terminal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retry process.

(A1)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을 수행한다. 단말은 AT Command를 이용한 망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A1) The terminal performs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for data transmission. The terminal checks network registration using AT Command.

여기서, AT Command는 무선 통신에서 서로 간의 상태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 통신 프로토콜이다.Here, AT Command is a command communication protocol used to check the status of each other in wireless communication.

(B1)단말은 망으로부터 (A1)에 대한 응답을 n초간 대기한다. 단말로부터 접속 신호를 받은 망은 단말에게 망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을 전달한다.The (B1) terminal waits for a response to (A1) from the network for n seconds. The network that receives the connec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sends a response to the terminal as to whether network access is possible.

단말 or 망 문제로 인하여 망 응답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There may be no network response due to terminal or network problems.

(C1)망 등록이 실패하면 (A1 ~C1)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한다. (B1)에서 응답 자체가 없거나 망 접속 불가능 시 망 등록 실패로 간주한다.If (C1) network registration fails, the section (A1 ~ C1) is repeated n times. In (B1), if there is no response or network access is not possible, it is considered a network registration failure.

(D1)(A1~C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킨다. 통신 모듈을 리셋 시키는 이유는, 망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단말의 통신 모듈 문제로 인한 망 등록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D1) If network registration fails despite repeating the section (A1~C1) n times,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is reset. The reason for reset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o prevent network registration failure due to a problem with the terminal's communication module, assuming that there is no network problem.

(E1)(A1~D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뎀을 오프시킨다.(E1) If network registration fails despite repeating the section (A1~D1) n times, it waits for n seconds and turns off the communication modem.

망 등록 시도를 n회 반복에도 망 등록이 실패하면 무선 단말의 특성상 배터리 관리 차원에서 n 초간 대기 후 통신 모듈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n 초 후에 (A1)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If network registration fails even after repeating the network registration attempt n times, due to the nature of the wireless terminal, for battery management purposes, the communication module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after waiting for n seconds, and after n seconds, the process is performed from step (A1) according to the process flow chart.

(F1)(A1~E1)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망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한다.If network registration fails despite repeating the (F1) (A1~E1) section n times, the terminal enters sleep mode.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은 모든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완료했거나, 해당 건과 같이 n회 반복 시도에도 정상적인 프로세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망 접속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단말은 n초간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는 배터리 관리 차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condition for the terminal to enter sleep mode is that all processes have been completed normally, or, as in this case, if the normal process is not reached even after repeated attempts n times, it is determined that network connection is impossible and the terminal enters sleep mode for n seconds. . This is done at the battery management level.

도 7은 도 6의 최초 단말 망 등록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가정하여 단말 서버 등록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FIG. 7 shows a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retry process assuming that the initial terminal network registration process of FIG. 6 was completed normally.

(A2)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을 수행한다.(A2) The terminal performs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for data transmission.

(B2)단말을 서버에 등록한다.(B2) Register the terminal to the server.

모든 단말은 서버에 해당 단말의 정보가 저장 및 등록 설정이 되어 있어야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단말과 서버 간의 통신은 Coa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단말 서버 등록은 단말이 서버에게 먼저 데이터를 송신한다.All terminals must have their information stored and registered on the server to enable normal data transmission/recep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uses the Coap protocol, and when registering the terminal server, the terminal first transmits data to the server.

(C2)단말은 서버로부터 (B2)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한다.The (C2) terminal waits for a response to (B2) from the server for n seconds.

단말로부터 접속 신호를 받은 서버는 단말에게 서버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을 전달한다. 단말 or 망 or 서버 문제로 인하여 서버 응답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The server that receives the connection signal from the terminal sends a response to the terminal as to whether the server can be connected. There may be no server response due to a terminal, network, or server problem.

(D2)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B2~D2)구간을 n회 반복 수행한다. (C2)에서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서버 접속 불가능 시 단말 서버 등록 실패로 간주한다.(D2) If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fails, section (B2~D2) is repeated n times. In (C2), if there is no response even after repeating n times or the server cannot be connected, it is considered a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failure.

(E2)(B2~D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킨다.(E2) If registration with the terminal server fails despite repeating the section (B2~D2) n times,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is reset.

통신 모듈을 리셋 시키는 이유는, 망 및 서버에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단말의 통신 모듈 문제로 인한 서버 등록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reset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o prevent server registration failure due to a problem with the terminal's communication module, assuming that there are no problems with the network and server.

(F2)(B2~E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n 초간 대기 및 통신 모듈을 오프(off)시킨다.If server registration fails despite repeating the section (F2) (B2~E2) n times, it waits for n seconds and turns off the communication module.

단말 서버 등록 시도를 n회 반복에도 단말 서버 등록이 실패하면 무선 단말의 특성상 배터리 관리 차원에서 n초간 대기 후 통신 모듈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n 초 후에 (A2)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If the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fails even after repeating the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attempt n times, due to the nature of the wireless terminal, for battery management purposes, the communication module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after waiting for n seconds, and after n seconds, the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ss flow chart starting from step (A2). .

(G2)(A2~F2)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서버 등록에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한다.If registration with the terminal server fails despite repeating the section (G2) (A2 ~ F2) n times, the terminal enters sleep mode.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은 모든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완료했거나, 해당 건과 같이 n회 반복 시도에도 정상적인 프로세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서버 접속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단말은 n초간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이는 배터리 관리 차원으로 수행되는 것이다.The condition for the terminal to enter sleep mode is that all processes have been completed normally, or, as in this case, if the normal process is not reached even after n attempts, it is determined that connection to the server is impossible and the terminal enters sleep mode for n seconds. . This is done as a battery management measure.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최초 단말 망 등록, 단말 서버 등록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지는 원격 명령 설정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FIG. 8 shows a remote command setting retry proces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nitial terminal network registration and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processes of FIGS. 6 and 7 were completed normally.

(A3)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을 수행한다.(A3) The terminal performs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for data transmission.

(B3)단말을 서버에 등록한다.(B3) Register the terminal to the server.

(C3)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서버가 단말에게 전송한다.(C3) The server transmits the terminal command information set in the server to the terminal.

명령 정보에 포함되는 값은 단말 전송 주기, 충격 임계치, 진동 수집 주기, 이벤트 모드 오프 값이 포함된다.Values included in the command information include terminal transmission cycle, shock threshold, vibration collection cycle, and event mode off value.

여기서, 단말 전송 주기는 단말의 데이터 전송 주기 설정이고, 충격 임계치는 단말에서 발생하는 충격 임계치 상한 값 설정이고, 진동 수집 주기는 단말은 n 초마다 진동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데 n 초에 해당하는 시간 값을 설정한다.Here, the terminal transmission period is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setting of the terminal, the shock threshold is the upper limit setting of the shock threshold occurring in the terminal, and the vibration collection period is the time corresponding to n seconds for the terminal to collect and store vibration data every n seconds. Set the value.

그리고 이벤트 모드 오프는 충격 및 탈착 발생 시 단말은 이벤트 모드로 진입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실수 혹은 기타 의도하지 않은 이벤트 모드 진입 시 정상 모드로 돌아갈 수 있도록 값을 설정한다.In addition, event mode off causes the terminal to enter event mode when shock or detachment occurs, and the value is set so that it can return to normal mode when the user makes a mistake or enters unintentional event mode.

(D3)단말은 서버로부터 (C3)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한다.(D3) The terminal waits for a response to (C3) from the server for n seconds.

(E3)서버로부터 원격 명령 설정 정보 수신에 실패하면 (C3~E3)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한다. (D3)에서 원격 명령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원격 명령 설정은 실패로 간주한다.(E3) If receiving remote command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server fails, the section (C3~E3) is repeated n times. If remote command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D3), remote command setup is considered a failure.

(F3)(E3) 구간에서 실패 즉, 원격 명령 설정이 실패하면 단말은 도 8의 단말 상태 정보 전달 프로세스에서 (D4)부분, 단말 상태 정보 확인 프로세스로 넘어가게 된다.If there is a failure in the (F3) (E3) section, that is, the remote command setting fails, the terminal moves to part (D4) of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process of FIG. 8,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onfirmation process.

도 9는 최초 단말 망 등록, 단말 서버 등록, 원격 명령 설정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지는 단말 상태 정보 전달 재시도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9 shows a terminal status information delivery retry proces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initial terminal network registration, terminal server registration, and remote command setting processes were completed normally.

(A4)단말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망(기지국)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A4) The terminal performs network (base station) registration procedures for data transmission.

(B4)단말을 서버에 등록한다.(B4) Register the terminal to the server.

(C4)서버에 설정되어 있는 단말 명령 정보를 전송한다.(C4) Transmits terminal command information set on the server.

(D4)단말 상태 정보 데이터를 등록(전송)한다. 단말은 서버에게 단말의 상태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D4) Register (transmit) terminal status information data. The terminal transmits terminal status information data to the server.

상태 정보 데이터는 위치(GPS/Cell ID) 값, 시간, 충격 값, 탈/부착 여부등 단말의 상태 데이터가 포함된다.Status information data includes terminal status data such as location (GPS/Cell ID) value, time, impact value, and detachment/attachment status.

(E4)단말은 서버로부터 (D4)에 대한 응답을 n 초간 대기한다. 단말 or 망 or 서버 문제로 인하여 서버 응답 자체가 없을 수도 있다.(E4) The terminal waits for a response to (D4) from the server for n seconds. There may be no server response due to a terminal, network, or server problem.

(F4)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D4~F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한다. (F4)에서 n 회 반복 수행에도 응답 자체가 없거나 단말 상태 정보 확인 불가능 시, 단말 상태 정보 확인 절차는 실패로 간주한다.(F4) If transmission of terminal status information fails, the section (D4~F4) is repeated n times. In (F4), if there is no response even after repeating n times or if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annot be confirmed,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onfirmation procedure is considered a failure.

(G4)(D4~F4) 구간을 n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전달이 실패하면 단말 통신 모듈을 리셋시킨다.(G4) If transmission of terminal status information fails despite repeating the section (D4~F4) n times, the terminal communication module is reset.

통신 모듈을 리셋 시키는 이유는, 망 및 서버에 문제가 없다는 가정하에 단말의 통신 모듈 문제로 인한 단말 상태 정보 확인(전송) 실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reset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o prevent terminal status information confirmation (transmission) failure due to a problem with the terminal's communication module, assuming that there are no problems with the network and server.

(H4)n 번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배터리 관리를 위해 통신 모듈을 오프시키고 n초간 대기 후 다시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H4) If checking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fails despite n attempts, turn off the communication module for battery management, wait for n seconds, and then perform the process again from step (A4) according to the process flow chart.

(I4)(A4~F4) 과정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배터리 관리를 위해 n 초간 슬립 모드에 진입하고, n 초가 지난 후 (A4) 과정부터 프로세스 흐름도에 따라 수행한다.(I4) If checking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fails even after repeating the process n times (A4~F4), the terminal enters sleep mode for n seconds for battery management, and after n seconds, the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ss flow chart starting from process (A4). do.

(J4)(A4~I4) 구간을 n 회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단말 상태 정보 확인이 실패하면 단말은 슬립모드로 진입한다.(J4) If checking the terminal status information fails despite repeating the section (A4~I4) n times, the terminal enters sleep mode.

단말이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조건은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완료했거나, 해당 건과 같이 n 회 반복 시도에도 정상적인 프로세스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의 특성상 배터리 관리를 위해 단말은 n 초간 슬립모드에 진입하게 된다.The condition for the terminal to enter sleep mode is that the process has been completed normally, or, as in this case, if the normal process is not reached even after repeated attempts n times, due to the nature of the wireless terminal, the terminal enters sleep mode for n seconds for battery management.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기반 오차보정 시스템을 이용하는 위치보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기능을 활용한 실외 하이브리드 측위용 IoT 디바이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저비용,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LPWA 기반의 자산관리 및 실외 측위를 위한 IoT 단말기를 제공하고, 실외 측위 및 자산의 상태정보(충격, 탈부착, 배터리)를 통합 수집 및 관리하는 자산관제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correction using the satellite-based error corr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n IoT device for outdoor hybrid positioning using the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function, and provides low-cost, low-power communication. It provides IoT terminals for LPWA-based asset management and outdoor positioning, and builds an asset control service platform that comprehensively collects and manages outdoor positioning and asset status information (impact, detachment, battery).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Meanwhile,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isk), SDD (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Furthermore,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a server or cloud storage that includes storage and can be accessed by electronic devices through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computer can download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server or cloud storag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uter described above is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a processor, that i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its type.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Meanwhile,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에 있어서,
GPS 장치를 이용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AI 처리부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AI 처리부로부터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확도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경우, SBAS(satellite based augment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In a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Receiving GPS information using a GPS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requesting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an AI processing unit;
Obtain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and determining location accuracy based o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If the location accuracy is less than the threshold, receiving satellite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satellite, and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How to calib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 정보는 특정 표준에 기반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AI 처리부로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표준에 기반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AI 처리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PS information includes data based on specific standards,
The step of request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further includes transmitting at least some of the data based on the specific standard to the AI process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I 처리부는,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인공 신경망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공 신경망에 입력되어, 상기 인공 신경망으로부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AI processing unit includ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generat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is a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some of the data is input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output from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신경망은, GPS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a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data included in GPS information and learns how to generate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확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GPS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urning off power to the GPS device when the location accuracy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는:
기 지정된 시간동안 복수의 위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복수의 위성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is:
Acquiring a plurality of satellite information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 method for correcting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plurality of satellite inform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GPS 정보는 상기 GPS 장치를 통해 지정된 주기에 따라 수신되고,
상기 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지정된 주기에 따라 획득된 상기 복수의 위성 정보의 평균 값에 기반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GPS information is received according to a specified period through the GPS device,
A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comprising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based on an average value of the plurality of satellite information acquired according to the designated period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GPS 장치를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GPS 장치를 이용하여 GPS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GPS 신호가 탐색되는 것에 응답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s of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GPS device are:
activating the GPS device,
searching for a GPS signal using the activated GPS device, and
In response to the GPS signal being searched, the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시스템의 제어부는,
GPS 장치를 이용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AI 처리부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AI 처리부로부터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치 정확도를 판단하고,
상기 위치 정확도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경우, SBAS(satellite based augment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위성 기반 위치 정보 보정 시스템.
In a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system,
The control unit of the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system,
Receive GPS information using a GPS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request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Obtain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determining location accuracy based o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system that receives satellite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satellite and corrects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when the location accuracy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GPS 장치를 이용하여 GPS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GPS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AI 처리부로 위치 예측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AI 처리부로부터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예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치 정확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확도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경우, SBAS(satellite based augment system) 위성으로부터 위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GPS 정보를 보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A program that is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es in an electronic device and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above program is,
Receiving GPS information using a GPS devi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GPS information, requesting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an AI processing unit;
Obtaining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from the AI processing unit and determining location accuracy based on the location prediction data; and
If the location accuracy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 computer comprising instructions for receiving satellite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satellite and correcting the GPS information using the satellite information. A program stored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KR1020220118913A 2022-09-20 2022-09-20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KR202400399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913A KR20240039954A (en) 2022-09-20 2022-09-20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913A KR20240039954A (en) 2022-09-20 2022-09-20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954A true KR20240039954A (en) 2024-03-27

Family

ID=9048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913A KR20240039954A (en) 2022-09-20 2022-09-20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95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07317B (en) Regional position differential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EP35881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t tracking
EP18405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ltitude information in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US10382897B1 (en) Wireless gateway relay system and method
US103565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t tracking
CN104931978A (en) Power line patrol unmanned aerial vehicle navigation system based on GPS RTK technology
CN101393257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and control method
CN103444246A (en) Cooperative localisation of radio apparatuses
CN100437143C (en) Region satellit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20018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nss corrections
US20160291164A1 (en) Automotive ad hoc real time kinematics roving network
JP2021056154A (en) Positioning system, server,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KR2021007240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Location Using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US20150084813A1 (en) Gps positioning system
US20210274316A1 (en) Tracking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racking unit, and device and method thereof
CN203070357U (en) Harbor operation vehicle intelligent scheduling command system
US202102819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ving status detection for a sensor apparatus
KR20240039954A (en) Satellite-based location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and system
CN115062097A (en) Positioning integrity monitor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1953401B (en) Autonomous request type orbit service system for microsatellite
CN114966752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hipment tracking
Oza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sensor and wireless technologies in IIoT apps
CN113419266B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412263A1 (en) Low cost, size, weight, and power (cswap) geolocation capability utilizing signal characteristics passed through to backhaul network
KR20120067546A (en) Auto operating method for node movable on th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