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373A - 모노 셀 적층 장치 - Google Patents

모노 셀 적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373A
KR20240039373A KR1020220117860A KR20220117860A KR20240039373A KR 20240039373 A KR20240039373 A KR 20240039373A KR 1020220117860 A KR1020220117860 A KR 1020220117860A KR 20220117860 A KR20220117860 A KR 20220117860A KR 20240039373 A KR20240039373 A KR 20240039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 cell
mono
pushers
cel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1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373A/ko
Publication of KR2024003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는, 모노 셀을 캐리어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부재들; 및 상기 모노 셀이 상기 캐리어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되면, 상기 모노 셀을 가압하여 상기 모노 셀을 상기 캐리어 상에 낙하시키는 복수의 푸셔들;을 포함한다. 상기 모노 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방형의 시트 형상이고, 상기 이송 부재들과 상기 푸셔들은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푸셔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다.

Description

모노 셀 적층 장치{DEVICE FOR MONO CELL STACKING}
본 발명은 모노 셀 적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노 셀들의 균일한 적재를 위한 모노 셀 적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에 대해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 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 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나의 이차 전지를 전지셀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전지셀은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에 내장된 일 단위의 이차전지 구조를 지칭한다. 전극 조립체는 양극과 음극 및 분리막 등의 셀 구성체들이 조립 및 조합된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극조립체의 종류는 구조에 따라 크게 전극들과 분리막 등의 셀 구성체들이 권취된 권취형과 상기 셀 구성체들이 적층된 스택형으로 구분된다. 권취형 전극조립체의 경우, 집전체로 사용되는 금속 호일에 전극 활물질 등을 코팅하고 건조 및 프레싱한 후, 소망하는 폭과 길이의 밴드 형태로 재단하여, 양극과 음극을 제조한다. 이후 분리막을 사용하여 음극과 양극을 분리시킨 후 나선형으로 함께 감아 제조된다. 권취형 전극조립체는 원통형 전지에는 적합한 구조적 특징이 있다.
여기서, 스택형 전극조립체는 단일 또는 복수의 양극 및 음극 단위체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전극과 분리막들을 접합시킨 구조로서, 기본 단위체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뒤 라미네이션 하는 것으로 단순한 제조방법이 가능하므로, 권취형 전극조립체 보다 제조가 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스택형 전극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반자동화된 제조 라인을 따라 커팅 공정, 접합 공정, 적층 공정 등의 가공을 수행하는 장치들로 이송되며, 상기 장치들에서 최종 전극조립체 형태로 조합 또는 제조될 수 있다. 반자동화된 제조 라인은, 예를 들어, 전극조립체를 구성하는 셀 구성체들이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 공정은 전극들 사이에 분리막이 위치한 상태에서 전극과 분리막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여 이들을 상호 접합시키는 라미네이션 공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션 공정에서는 둘 이상의 전극들이 분리막과 동시에 접합되므로, 이들이 서로 어긋나거나 단차가 발생되어 접합되지 않도록, 정 위치에서 정렬된 상태로 접합되어야 한다.
한편, 라미네이션 공정을 거친 모노 셀을 캐리어에 적층한 후 스택부로 이송되어 전극 조립체의 제조가 완료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극 조립체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전극 조립체를 제조함에 있어, 라미네이팅부(50)에서 라미네이션 공정이 완료된 모노 셀(10MC)이 1차적으로 캐리어(40)에 적층된다. 캐리어(40)에 적층된 모노 셀(10MC)들은 다시 스택부(60)로 이송되고 스택부(60)에 의해 적층이 완료되어 전극 조립체가 제조된다.
도 2 및 도 3은, 모노 셀(10MC)들이 모노 셀 적층 장치의 반자동화된 제조 라인을 따라 이송되어 캐리어(40)에 적층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종래의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의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종래의 모노 셀 적층 장치(10)는, 복수의 이송 부재(20)들 및 복수의 푸셔(30)들을 포함한다. 이송 부재(20)들은, 모노 셀(10MC)을 캐리어(40)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컨베이어 벨트(21)와 흡착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흡착 부재(22)들이 모노 셀(10MC)을 흡착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21)의 작동에 따라, 모노 셀(10MC)이 라미네이팅부(50, 도 1 참고)에서 캐리어(40)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될 수 있다.
이후 복수의 푸셔(30)들이 모노 셀(10MC)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모노 셀(10MC)에 대한 흡착 부재(22)의 흡착 상태를 해제하고, 캐리어(40) 상에 모노 셀(10MC)들을 낙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캐리어(40) 상에 복수의 모노 셀(10MC)들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모노 셀 적층 장치(10)의 경우, 푸셔(30)의 가압 방식으로 인해 모노 셀(10MC)의 두께나 주위 환경에 따라 낙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모노 셀(10MC)들이 불균일하게 적재될 수 있다. 불균일한 적재로 인해 스택부(60)에서의 적층이 실패하여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불균일하게 적재된 상태로 전극 조립체가 완성되면, 전극조립체는 전극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된 부위에서 단선이 일어나거나 양극과 음극이 이격된 부위가 전지의 내부 저항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노 셀들을 캐리어 상에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노 셀들을 캐리어 상에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는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는, 모노 셀을 캐리어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부재들; 및 상기 모노 셀이 상기 캐리어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되면, 상기 모노 셀을 가압하여 상기 모노 셀을 상기 캐리어 상에 낙하시키는 복수의 푸셔들;을 포함한다. 상기 모노 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방형의 시트 형상이고, 상기 이송 부재들과 상기 푸셔들은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푸셔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다.
상기 푸셔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모노 셀을 직접 가압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푸셔들 중 상기 모노 셀의 중심에서 일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푸셔는,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푸셔들 중 상기 모노 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푸셔들이,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푸셔들은, 상기 모노 셀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푸셔들의 양 단부는 라운드 코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경사면의 양 단부는 라운드 코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부재는, 일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모노 셀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노 셀들을 가압하는 푸셔에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모노 셀들이 받는 힘이 중심으로 모이도록 하여, 모노 셀들이 캐리어 상에 균일하게 적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극 조립체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6의 (a)와 (b)는 각각 도 5의 “A”와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난 부분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100-1)는, 모노 셀(100MC)을 캐리어(400)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부재(200)들; 및 모노 셀(100MC)이 캐리어(400)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되면 모노 셀(100MC)을 가압하여 모노 셀(100MC)을 캐리어(400) 상에 낙하시키는 복수의 푸셔(300, Pusher)들;을 포함한다.
모노 셀(100MC)은, 전극 조립체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체로써, 적층된 양극(101), 음극(102) 및 2개의 분리막(103)들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여 이들을 상호 접합시키는 라미네이션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모노 셀(100MC)은 길이 방향(LD)을 따라 연장되는 장방형의 시트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노 셀(100MC)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시트 형상이고, 연장되는 길이 방향(LD)은 상기 장변과 나란하게 이어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길이 방향(LD)은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다.
캐리어(400)은 라미네이션 공정이 완료된 모노 셀(100MC)들을, 스택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부재로써, 모노 셀(100MC)들을 적층하는 내부 공간이 캐리어(400)에 마련된다. 스택부로 이송된 모노 셀(100MC)들은 최종적으로 적층형 전극 조립체로 제조될 수 있다.
복수의 이송 부재(200)들은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이송 부재(200)들은 제1 이송 부재(200a), 제2 이송 부재(200b) 및 제3 이송 부재(200c)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이송 부재(200a), 제2 이송 부재(200b) 및 제3 이송 부재(200c)는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부재(200)들의 개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모노 셀(100MC)의 형태나 길이에 따라 모노 셀(100MC)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적절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송 부재(200)는, 일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컨베이어 벨트(210) 및 컨베이어 벨트(210)의 하단에 위치하여 모노 셀(100MC)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210)가 이어지는 상기 일 방향은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과 수직한 방향으로써, 도 4 및 도 5에서 x축과 평행한 방향에 해당한다. 흡착 부재(220)는, 진공 흡착 방식을 이용해 모노 셀(100MC)을 들어올릴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 방법이며 모노 셀(100MC)을 고정된 상태로 들어올릴 수 있다면 그 방식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송 부재(200)의 흡착 부재(220)들이 모노 셀(100MC)를 흡착하여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송 부재(200)의 컨베이어 벨트(210)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모노 셀(100MC)을 캐리어(400)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푸셔(300)는, 상술한 것처럼, 모노 셀(100MC)을 가압하여 모노 셀(100MC)을 캐리어(400) 상에 낙하시킨다. 구체적으로, 푸셔(300)들이 모노 셀(100MC)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모노 셀(100MC)에 대한 흡착 부재(220)의 흡착 상태를 해제하고, 캐리어(400) 상에 모노 셀(100MC)을 낙하시킬 수 있다.
이송 부재(200)들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푸셔(300)들은,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배치된다. 예를 들어, 푸셔(300)들은, 제1 이송 부재(200a)의 양 측에 위치한 제1 푸셔(300a1, 300a2)들, 제2 이송 부재(200b)의 양 측에 위치한 제2 푸셔(300b1, 300b2)들 및 제3 이송 부재(200c)의 양 측에 위치한 제3 푸셔(300c1, 300c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 셀(100MC)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모노 셀(100MC)을 낙하시킬 수 있다면, 푸셔(300)의 형태나 개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푸셔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갖는 경사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의 (a)와 (b)는 각각 도 5의 “A”와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난 부분 도면들이다.
도 6의 (a)와 (b)를 도 4 및 도 5와 함께 참고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푸셔(300)들 중 적어도 하나는,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의 중심(C)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300T)을 갖는다. 여기서,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의 중심(C)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셀(100MC)의 두 단변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가운데 지점을 의미한다. 푸셔(300)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경사면(300T)은, 모노 셀(100MC)을 직접 가압하는 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셔(300)들 중 모노 셀(100MC)의 중심(C)에서 일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셔(300)는,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의 중심(C)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300T)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모노 셀(100MC)의 중심(C)에서 좌측에 위치한 제1 푸셔(300a1, 300a2)들의 경우, 모노 셀(100MC)을 가압하는 경사면(300T)이 우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모노 셀(100MC)의 중심(C)에서 우측에 위치한 제3 푸셔(300c1, 300c2)들의 경우, 모노 셀(100MC)을 가압하는 경사면(300T)이 좌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셔(300)들 중 모노 셀(100MC)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푸셔(300)들이,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의 중심(C)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300T)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송 부재(200a)의 우측에 위치한 제1 푸셔(300a1)와 제3 이송 부재(200c)의 좌측에 위치한 제3 푸셔(300c1)가 모노 셀(100MC)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제1 푸셔(300a1)는 경사면(300T)이 우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며, 제3 푸셔(300c1)는, 경사면(300T)이 좌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 부재(200a)의 좌측에 위치한 제1 푸셔(300a2)와 제3 이송 부재(200c)의 우측에 위치한 제3 푸셔(300c2)가 모노 셀(100MC)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제1 푸셔(300a2)는 경사면(300T)이 우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며, 제3 푸셔(300c2)는, 경사면(300T)이 좌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즉, 한 쌍의 푸셔(300a1, 300c1 또는 300a2, 300c2)는 경사면(300T)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100-1)의 경우,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푸셔(300)가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의 중심(C)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300T)을 갖도록 설계되어, 푸셔(300)에 단차 구조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단차 구조를 이용해 모노 셀(100MC)들이 푸셔(300)들로부터 받는 힘이 중심으로 모이도록 하여, 모노 셀(100MC)들이 캐리어(400) 상에 균일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된 전극조립체에는 전극이 돌출된 형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단선이 일어나거나 양극과 음극이 이격된 부위로 인해 전지의 내부 저항이 높아지는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100-2)는, 복수의 이송 부재(200)들과 복수의 푸셔(300)들을 포함한다. 이송 부재(200)들은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이송 부재(200a), 제2 이송 부재(200b) 및 제3 이송 부재(20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푸셔(300)들은, 제1 이송 부재(200a)의 양 측에 위치한 제1 푸셔(300a1, 300a2)들, 제2 이송 부재(200b)의 양 측에 위치한 제2 푸셔(300b1, 300b2)들 및 제3 이송 부재(200c)의 양 측에 위치한 제3 푸셔(300c1, 300c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푸셔(300a1, 300a2)들과 제3 푸셔(300c1, 300c2)들에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의 중심(C)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300T)이 형성된 것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모노 셀 적층 장치(100-1)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제2 푸셔(300b1, 300b2)들에도 경사면이 형성된 점에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푸셔(300b1, 300b2)들은 모노 셀(100MC)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이송 부재(200b)의 좌측에 위치한 제2 푸셔(300b1)는 모노 셀(100MC)을 가압하는 경사면이 우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고, 제2 이송 부재(200b)의 우측에 위치한 제2 푸셔(300b2)는 모노 셀(100MC)을 가압하는 경사면이 좌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 셀 적층 장치(100-3)는, 복수의 이송 부재(200)들과 복수의 푸셔(300)들을 포함한다. 이송 부재(200)들은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이송 부재(200a) 및 제2 이송 부재(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푸셔(300)들은, 제1 이송 부재(200a)의 양 측에 위치한 제1 푸셔(300a1, 300a2)들 및 제2 이송 부재(200b)의 양 측에 위치한 제2 푸셔(300b1, 300b2)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노 셀(100MC)의 중심(C)에서 좌측에 위치한 제1 푸셔(300a1, 300a2)들의 경우, 모노 셀(100MC)을 가압하는 경사면(300T)이 우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모노 셀(100MC)의 중심(C)에서 우측에 위치한 제2 푸셔(300b1, 300b2)들의 경우, 모노 셀(100MC)을 가압하는 경사면(300T)이 좌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이송 부재(200a)의 우측에 위치한 제1 푸셔(300a1)와 제2 이송 부재(200b)의 좌측에 위치한 제2 푸셔(300b1)가 모노 셀(100MC)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제1 푸셔(300a1)는 경사면(300T)이 우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며, 제2 푸셔(300b1)는, 경사면(300T)이 좌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 부재(200a)의 좌측에 위치한 제1 푸셔(300a2)와 제2 이송 부재(200b)의 우측에 위치한 제2 푸셔(300b2)가 모노 셀(100MC)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제1 푸셔(300a2)는 경사면(300T)이 우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지며, 제2 푸셔(300b2)는, 경사면(300T)이 좌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종합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모노 셀 적층 장치(100-2, 100-3)의 경우도, 푸셔(300)들이 모노 셀(100MC)의 길이 방향(LD)의 중심(C)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300T)을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모노 셀(100MC)들이 푸셔(300)들로부터 받는 힘이 중심으로 모이고, 모노 셀(100MC)들이 캐리어(400) 상에 균일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고하면, 푸셔(300)들의 양 단부는 라운드 코너(300R)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셔(300)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경사면(300T)의 양 단부가 라운드 코너(300R)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a)와 (b)에는 제1 푸셔(300a2)와 제3 푸셔(300c2) 각각의 경사면(300T)의 양 단부에 라운드 코너(300R)가 형성된 모습이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경사면(300T)에 이러한 라운드 코너(300R)를 형성함으로써, 라운드 코너(300R)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모노 셀(100MC)에 가해지는 힘이 보다 중심으로 잘 모이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 후, 좌, 우, 상, 하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1, 100-2, 100-3: 모노 셀 적층 장치
200: 이송 부재
210: 컨베이어 벨트
220: 흡착 부재
300: 푸셔
300T: 경사면
300R: 라운드 코너
400: 캐리어

Claims (8)

  1. 모노 셀을 캐리어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시키는 복수의 이송 부재들; 및
    상기 모노 셀이 상기 캐리어가 위치한 지점까지 이송되면, 상기 모노 셀을 가압하여 상기 모노 셀을 상기 캐리어 상에 낙하시키는 복수의 푸셔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노 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방형의 시트 형상이고,
    상기 이송 부재들과 상기 푸셔들은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푸셔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 모노 셀 적층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푸셔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경사면이, 상기 모노 셀을 직접 가압하는 면인 모노 셀 적층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푸셔들 중 상기 모노 셀의 중심에서 일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푸셔는,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 모노 셀 적층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푸셔들 중 상기 모노 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푸셔들이, 상기 모노 셀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 모노 셀 적층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푸셔들은, 상기 모노 셀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모노 셀 적층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푸셔들의 양 단부는 라운드 코너로 형성된 단위셀 적층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푸셔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경사면의 양 단부는 라운드 코너로 형성된 단위셀 적층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이송 부재는, 일 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모노 셀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를 포함하는 모노 셀 적층 장치.
KR1020220117860A 2022-09-19 2022-09-19 모노 셀 적층 장치 KR20240039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860A KR20240039373A (ko) 2022-09-19 2022-09-19 모노 셀 적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860A KR20240039373A (ko) 2022-09-19 2022-09-19 모노 셀 적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373A true KR20240039373A (ko) 2024-03-26

Family

ID=9047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860A KR20240039373A (ko) 2022-09-19 2022-09-19 모노 셀 적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3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1765B (zh) 製造電極總成的方法
KR101531234B1 (ko) 이차 전지용 고속 스태킹 장치 및 방법
KR102065556B1 (ko) 전극 조립체 폴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 폴딩 방법
KR101707357B1 (ko) 전기 디바이스, 전기 디바이스의 세퍼레이터 접합 장치 및 그 접합 방법
KR102065558B1 (ko) 전극 조립체 폴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조립체 폴딩 방법
KR101431714B1 (ko) 계단 구조의 전지팩
WO2014058001A1 (ja) 袋詰電極、積層型電気デバイス、および袋詰電極の製造方法
KR101799570B1 (ko) 양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605665B1 (ko) 전기 디바이스의 세퍼레이터 반송 장치 및 그 반송 방법
KR101590991B1 (ko) 분리막들이 상호 접합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588931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1588930B1 (ko) 이차전지
KR101643036B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장치
KR20240039373A (ko) 모노 셀 적층 장치
KR101241928B1 (ko) 포켓팅 전극체 제조장치
KR102265219B1 (ko) 분리막 잉여부를 접합시키는 전지셀 제조방법
KR20200145375A (ko)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CN116802913A (zh) 电极组件制造工艺
KR20210015282A (ko)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102254264B1 (ko) 전극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5915B1 (ko) 가압 바를 포함하고 있는 지그 장치
KR20200076944A (ko) 분리막 일체형의 전극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1655507B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장치
JP2014086267A (ja) セパレータ接合方法およびセパレータ接合装置
KR20240076164A (ko) 라미네이션장치 및 전극조립체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