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249A -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 - Google Patents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249A
KR20240039249A KR1020220117568A KR20220117568A KR20240039249A KR 20240039249 A KR20240039249 A KR 20240039249A KR 1020220117568 A KR1020220117568 A KR 1020220117568A KR 20220117568 A KR20220117568 A KR 20220117568A KR 20240039249 A KR20240039249 A KR 20240039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nut
conductive film
anisotropic conductiv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1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249A/ko
Publication of KR2024003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를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 너트와 접촉하는 버스바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 {Bolt and nut fastener of bus bar using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d fastening method}
본 발명은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와 너트를 활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를 체결하기 위해 너트와 접촉하는 버스바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삽입하여 버스바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구조 및 체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자기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는 모바일 기기의 사용량 증가 및 복잡화, 전기 자동차 등의 개발로 인해 요구되는 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형 기기에는 다수의 전지 셀을 배치하고 있으나, 자동차 등에는 다수개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지 모듈 또는 이러한 전지 모듈을 다수 구비한 전지 팩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지 모듈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수단으로 버스바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케이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굵기로도 고전류를 안정적으로 흘려보낼 수 있어 고전류 통전 수단으로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버스바는 전기 전도율이 좋은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금속바의 양단부는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하지만, 체결 툴을 이용하여 버스바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공정 과정에서 도 1에서처럼 작업자의 다양한 실수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버스바를 체결하는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볼트 체결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a)처럼 너트가 완전히 체결되지 않거나 (b)처럼 너트의 체결이 누락된 경우 또는 (c)처럼 너트가 기울어져 삽입되므로 인해 잘못 체결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가 열악한 도로를 이동할 때 차량으로부터의 진동으로 인해 볼트 체결 상태가 느슨하게 되어 전지 전력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더 나아가 접촉 저항으로 인한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 등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사전에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볼트를 체결하는 공정 단계에서부터 버스바의 체결 상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사전에 감지하는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지 모듈(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단자(11)에 버스바(20)를 삽입하고 너트(12)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로, 버스바에 흐르는 접압/저항을 측정하는 체결 감지부와 압력센서를 더 구비하여 체결 여부를 수시로 감지하는 수단을 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버스바의 양끝단의 저항만을 측정하는 것일 뿐 너트에 의한 정상적인 체결 여부를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연결이 불완전하더라도 연결만 되어 있으면 기준치를 만족하는 저항 값이 나올 수 있어 안정된 체결 상태를 유지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073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버스바를 체결하기 위해 너트와 버스바 간에 접착성분이 포함된 이방성 도전필림을 삽입하여 체결을 강화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너트와 버스바 간에 이방성 도전필림을 삽입하여 체결 후 통전 여부를 검사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300)를 체결하는 볼트(100)와 너트(200), 상기 너트(200)와 접촉하는 상기 버스바(300)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4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에서, 상기 이방성 도전필림(400)은 가압 및 가열되면, 상기 너트(200)와 상기 버스바(300)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에서, 상기 이방성 도전필림(400)이 가압 및 가열되면, 상기 너트(200)와 상기 버스바(300)가 접착되어 너트(200)의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300)의 체결홀(H)에 볼트(100)를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버스바(300)에 돌출된 볼트(100)의 나사부(110)에 이방성 도전 필름(400)을 삽입하는 제2 단계, 너트(200)를 상기 나사부(110)에 위치시키는 제3 단계 및 너트 러너(500)에 의해 상기 너트(200)를 가압 및 가열하면서 상기 너트(200)를 체결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체결은 상기 너트(200)와 버스바(300)가 이방성 도전 필름(400)에 의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체결은 상기 너트(200)와 버스바(300)가 이방성 도전 필름(400)에 의해 접착되어 너트(200)의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제4 단계 이후, 너트(200)의 체결 여부를 검사하여 판정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판정은 상기 너트 러너(500)와 상기 버스바(300)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0)에 의해 통전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제5 단계에서 통전 상태로 판정되면 체결을 종료하고 통전 상태가 아닌 경우는 상기 제4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판정은 상기 너트 러너(500)를 너트(200)와 분리한후, 너트(200)와 상기 버스바(300)가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400)에 의해 통전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통전 상태는 상기 너트 러너(500)의 일측과 상기 볼트(100)와 접촉되는 버스바(300)의 일측 간에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통전 상태는 상기 너트(200)의 일측과 상기 볼트(100)와 접촉되는 버스바(300)의 일측 간에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저항은 절연저항 또는 접촉 저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에서, 상기 저항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버스바(300)의 체결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람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에 의하면, 너트와 버스바 사이에 삽입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이용하여 너트와 버스바를 체결하고 이방성 도전필림이 갖는 접착성분을 통해 진동이나 외부 환경 변화에도 지속적으로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에 의하면, 너트와 버스바 사이에 위치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이 가압 및 가열되면서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면 너트와 버스바 사이에 통전이 발생하고, 통전에 따른 저항을 측정하여 불완전한 체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버스바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 체결 공정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볼트 체결의 형태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지 모듈을 연결하는 버스바의 체결 여부를 검사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복수의 버스바의 볼트 체결을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하나의 버스바의 볼트 체결을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너트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5에서 너트가 가압되기 전 상태의 너트 러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 러너에 의해 너트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 러너와 버스바 간에 볼트 체결 상태를 검사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와 버스바 간에 볼트 체결 상태를 검사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복수의 버스바의 볼트 체결을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는 볼트(100)와 너트(200) 및 이들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의 버스바(300)와 너트(200)와 버스바(300) 사이에 이방성 도전필림(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버스바(300)는 너트와 접촉되는 제1 버스바(310)와 볼트와 접촉되는 제2 버스바(320)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버스바(310,320)는 볼트(100)의 나사부(11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홀(H)을 구비한다.
먼저, 제1 버스바(310)와 제2 버스바(320)의 체결홀(H)에 볼트(100)가 삽입되고, 너트(200)에 의한 체결 전에 삽입된 볼트(100)의 나사부(110)에 삽입이 가능한 하나의 홀을 구비한 이방성 도전필림(400)이 추가로 삽입된다.
또한, 너트(200)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너트 러너(500)가 구비되는데, 너트 러너(500)는 너트(200)를 체결하면서 이방성 도전필림(400)을 가압하기 위한 소정의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압 수단과 이방성 도전필림(400)을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시킬 수 있는 가열 기능이 구비된다. 이러한 기능을 포함하는 너트 러너(400)라면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쉽게 채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400)을 활용한 하나의 버스바의 볼트 체결을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버스바(300)는 복수의 전지 모듈(M)을 연결하는 일종의 인터-모듈 버스바일 수 있다. 도 4를 도 3과 대비하여 보면, 전지 모듈(M)들을 상호 연결하는 하나의 버스바(300)가 볼트(100)와 너트(200)로 체결되는 구조란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나머지 이방성 도전필림(400)을 포함하는 구조는 도 3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400)을 활용한 버스바(310,320)의 너트(200)의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5에서 너트(200)가 가압되기 전 상태의 너트 러너(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00)는 너트 러너(500)에 의해 체결이 진행되고, 너트(200)가 이방성 도전필림(400)에 의해 버스바(300)간에 절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는 단순히 너트(200)의 조임만 발생한 것이지 정상 상태의 체결로는 보지 않는다. 이는 진동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체결 자체가 느슨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방성 도전 필름(400)이 너트(200)와 버스(300) 간에 전기적으로 통전될 뿐만 아니라 가열에 의해 용융되어 접착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정상적인 체결로 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방성 도전필림(400)은 도전입자(410) 및 접착제(420)로 이루어지고, 너트 러너(500)에 의해 가압 가열되기 전 절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방성 도전필림(400, 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가 흐르는 미세한 도전입자(410)와 전기가 흐르지 않는 접착제(420)를 혼합시켜 만든 얇은 형태의 필름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부품 사이에 위치하여 압착되면 이방성 도전필림(400)으로 연결된 부품들이 상호 전기가 통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방성 도전필림(400)을 구성하는 도전 입자(410)는 폴리머 입자에 전도상을 띄는 Au, Ni, Pd 등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접착제(420)는 주재료가 접착 물질이며, 가열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는 열가소성 소재(스타이렌 부타디엔, 폴리비닐 부틸렌 등)와 열을 가해도 형태가 변하지 않는 열경화성 소재(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등)가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같이, 이방성 도전필림(400)은 너트 러너(500)에 의해 직접 가압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너트(200)만을 접착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도 있어 이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도 8 및 9에서 통전 여부를 측정하는 방식에 있어 차이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7은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 러너(500)에 의해 너트(200)가 완전히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 러너(500)에 의해 이방성 도전필림(400) 및 너트(200)를 가열 및 가압하면, 이방성 가압 필름(400) 내부의 도전입자(410)들은 서로 접촉되어 너트 러너(400)와 너트(200)는 제1 버스바(310)와 통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방성 도전필림(400)내의 접착제로 인해 너트(200)와 제1 버스바(310)와 접착되어 지속적으로 너트(2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버스바(300)를 체결하는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체결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 러너(500)와 버스바(300) 간에 볼트 체결 상태를 검사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너트(200)와 버스바 (300)간에 볼트 체결 상태를 검사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너트(200)의 체결 여부를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체결 측정부(600)는 너트 러너 연결부(610)과 버스 연결부(630)를 구비하고, 너트 러너 연결부(610)는 너트 러너(500)의 일측에 연결되고, 버스 연결부(630)는 버스바(300)의 일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경우, 버스바(300)는 제1 버스바(310) 또는 제2 버스바(320)일 수 있지만, 제2 버스바(320)가 바람직하다.
만약, 너트(200)가 완전히 체결되지 않으면 즉, 이방성 도전필림(400)이 여전히 절연상태를 유지할 것이고, 이로 인해 너트 러너(500)와 버스바(300)간에는 절연 저항이 발생할 것이고, 비정상적인 체결인 경우에는 접촉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체결 측정부(600)는 사전에 동일한 체결 구조에 대해 정상적인 체결 상태의 기준 저항치를 저장해 두고, 현재 측정된 저항치를 비교하면 쉽게 체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너트 러너(500)에 의해 체결되는 동작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저항치를 측정하면서 정상적인 체결 상태를 비교할 수 있고, 이때 정상적인 저항치로 측정되면 정상 체결임을 알람을 통해 작업자에게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체결 측정부(600)는 너트 연결부(620)과 버스 연결부(630)를 구비하고, 너트 연결부(620)는 너트(200)의 일측에 연결되고, 버스 연결부(630)는 버스바(300)의 일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경우, 버스바(300)는 제1 버스바(310) 또는 제2 버스바(320)일 수 있지만, 제2 버스바(320)가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너트 러너(500)에 의해 체결되고 난 후 너트 러너(500)를 너트(200)와 분리한 후에 너트(200)와 버스바(300) 간에 체결상태를 측정하는데 이는 이방성 도전필림(400)이 너트 러너(500)와의 체결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너트 러너(400)와 버스바(300)는 통전 상태일 수 있으나, 너트(200)와 버스바(300)간의 통전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경우에도 도 4의 버스바(300)의 일단에 체결되는 너트(200)의 일측과 버스바(300)의 타단에 체결되는 너트(200)의 일측간에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저항치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이방성 도전필림(400)을 활용한 버스바(300)의 볼트 체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300)의 체결홀(H)에 볼트(100)를 삽입하는 제1 단계, 버스바(300)에 돌출된 볼트(100)의 나사부(110)에 이방성 도전 필름(400)을 삽입하는 제2 단계, 너트(200)를 상기 나사부(110)에 위치시키는 제3 단계, 너트 러너(500)로 상기 너트(200)를 가압 및 가열하면서 너트(200)를 체결하는 제4 단계 및 너트(200)의 체결 여부를 검사하여 판정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5 단계에서의 판정은 너트 러너(500)와 볼트(100)와 접촉되는 버스바(300)간에 이방성 도전필림(400)에 의해 통전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 저항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변화가 없으면 통전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제4 단계의 체결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통전된 이후에는 추가로 접촉 저항을 측정하여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비정상적인 체결로 간주하여 작업자에게 알람 등을 통해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제5 단계에서 판정은 너트 러너(500)를 너트(200)와 분리한후, 너트(200)와 버스바(300)가 이방성 도전 필름(400)에 의해 통전 상태인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5 단계에서 너트(200)와 버스바(300)가 이방성 도전 필름(400)에 의해 접착되어 너트(200)의 풀림이 방지되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5 단계에서, 너트 러너(500)가 분리된 후, 너트(300)의 일측과 볼트(100)와 접촉되는 버스바(300)의 일측 간에 저항을 측정하여 정상적인 체결인지 검사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볼트
110: 나사부
200: 너트
300: 버스바
310: 제1 버스바
320: 제2 버스바
400: 이방성 도전 필름(ACF)
410: 도전입자
420: 접착제
500: 너트 러너
600: 체결 측정부
610: 너트 러너 연결부
620: 너트 연결부
630: 버스바 연결부
H: 체결홀
M: 전지 모듈

Claims (1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를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
    상기 너트와 접촉하는 상기 버스바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 도전필림은 가압 및 가열되면 상기 너트와 상기 버스바가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방성 도전필림이 가압 및 가열되면 상기 너트와 상기 버스바가 접착되어 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4.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바의 체결홀에 볼트를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버스바에 돌출된 볼트의 나사부에 이방성 도전 필름을 삽입하는 제2 단계;
    너트를 상기 나사부에 위치시키는 제3 단계; 및
    너트 러너에 의해 상기 너트를 가압 및 가열하면서 상기 너트를 체결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은 상기 너트와 버스바가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해 통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은 상기 너트와 버스바가 이방성 도전 필름에 의해 접착되어 상기 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제4 단계 이후, 상기 너트의 체결 여부를 검사하여 판정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판정은 상기 너트 러너와 상기 버스바가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에 의해 통전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통전 상태로 판정되면 체결을 종료하고 통전 상태가 아닌 경우는 상기 제4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상기 판정은 상기 너트 러너를 너트와 분리한후, 너트와 상기 버스바가 상기 이방성 도전필름에 의해 통전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상태는 상기 너트 러너의 일측과 상기 볼트와 접촉되는 버스바의 일측 간에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상태는 상기 너트의 일측과 상기 볼트와 접촉되는 버스바의 일측 간에 저항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은 절연저항 또는 접촉 저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버스바의 체결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작업자에게 알람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 체결 방법.
KR1020220117568A 2022-09-19 2022-09-19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 KR20240039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568A KR20240039249A (ko) 2022-09-19 2022-09-19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568A KR20240039249A (ko) 2022-09-19 2022-09-19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249A true KR20240039249A (ko) 2024-03-26

Family

ID=9047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568A KR20240039249A (ko) 2022-09-19 2022-09-19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2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733B1 (ko) 2011-01-07 2013-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733B1 (ko) 2011-01-07 2013-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6519B2 (en) Conductor module for terminal
US12015216B2 (en) Interconnecting member occupying less space in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KR102410002B1 (ko) 감온 소자를 위한 고정 구조를 갖는 전지 모듈
US10473695B2 (en) Current detection device
US9917336B2 (en) Battery system
CN101908656B (zh) 二次电池异常检测装置
CN104425792B (zh) 电池组
CN107403969B (zh) 电池装置及电池连接模块
US6709786B2 (en) Cell module structure
US20180100877A1 (en) Current detection device
EP3082177B1 (en) Secondary cell module
US10578650B2 (en) Shunt resistor for measuring current
KR20180011071A (ko) 배터리 블록 및 배터리 블록 제조방법
JP6462233B2 (ja) 電流検出構造
US5709965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for electrochemical generators and batteries
US20220247042A1 (en) Cell unit, energy storage module and method for the assembly thereof
CN112858933A (zh) 用于电池模块的传感器系统
EP2600434B1 (en) Battery module
CN106463790A (zh) 用于电池组模块的电连接器
KR20240039249A (ko) 이방성 도전필림을 활용한 버스바의 볼트와 너트 체결체 및 체결 방법
CN104134872A (zh) 带电池监测器模块和连到其分流器的电缆的电池监测组件
KR10122274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음단자에 장착되는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220089044A1 (en) Device for electrical charging of a vehicle battery of an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vice for electrical charging of a vehicle battery of an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CN105576180B (zh) 蓄电装置以及蓄电装置的制造方法
CN213780164U (zh) 一种电池测试连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