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228A - 정보 응답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 Google Patents

정보 응답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228A
KR20240039228A KR1020247008959A KR20247008959A KR20240039228A KR 20240039228 A KR20240039228 A KR 20240039228A KR 1020247008959 A KR1020247008959 A KR 1020247008959A KR 20247008959 A KR20247008959 A KR 20247008959A KR 20240039228 A KR20240039228 A KR 2024003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ge
multimedia content
sticker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 리
나 선
유지에 니
예 린
시치 탄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트댄스 네트워크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3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2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6Handling conversation history, e.g. grouping of messages in sessions or thr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정보 응답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로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진입 레이블을 표시하고, 진입 레이블에 대한 트리거 동작에 응답하여, 정보 제시 페이지를 제시하고, 정보 제시 페이지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및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 동작에 응답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 페이지에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타겟 정보에 응답한다.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는 진입 라벨이 제공되어, 사용자가 정보 제시 페이지를 통해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응답하고자 하는 타겟 정보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의 복잡성을 줄이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스티커를 통해 타겟 정보와 연관되어 타겟 정보에 대한 응답이 멀티미디어 형태로 실현되어, 정보 응답 모드가 풍부해진다.

Description

정보 응답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본 발명은 인터넷의 기술 분야, 특히 정보 응답 방법(information reply method), 장치(apparatus),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 판독가능 저장 매체(readable storage medium) 및 프로그램 제품(program product)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2021년 9월 2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정보 응답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이라는 제목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11026992.1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인터넷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multimedia content)를 시청할 때 댓글 정보(comment information)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질문 정보(question information)에 응답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댓글 정보 및/또는 질문 정보에 응답할 때,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먼저 찾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인터페이스에 댓글 영역을 표시한 다음, 댓글 영역에서 댓글 정보 및/또는 질문 정보를 찾은 후에만 사용자가 댓글 정보 및/또는 질문 정보에 응답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응답 모드(reply mode)는 사용자가 조작해야 하는 단계가 많고 유연하지 않아 응답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거나 적어도 일부 해결하기 위해, 정보 응답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서, 본 개시는 다음을 포함하는 정보 응답 방법을 제공한다: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first multimedia content)의 생성 페이지(creation page)에 정보 제시 페이지(information presenting page)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entry control)를 표시하고,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displaying) 단계 - 여기서, 정보 제시 페이지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응답하여 획득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를 포함함 -;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target information)에 대한 트리거를 수신하는(receiving) 단계;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sticker)를 표시하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단계.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캡쳐 페이지(capturing page)의 제1 엔트리 제어(first entry control)에서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 - 캡쳐 페이지는 생성 페이지를 포함함 -;
캡쳐 페이지의 제1 엔트리 제어에서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편집 페이지(editing page)에 스티커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 생성 페이지는 편집 페이지를 포함함 -;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 스티커 페이지의 제2 엔트리 제어에서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편집 페이지에 스티커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편집 페이지의 제3 엔트리 제어에서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
편집 페이지의 제3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편집 페이지에 스티커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스티커 페이지는 제2 엔트리 제어를 포함하고, 제2 엔트리 제어는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는 데 사용됨 - 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각 정보에 대응하는 각 영역은 동일한 폭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정보가 두 개의 열에 표시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는,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각각 복수의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타겟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복수의 타겟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스티커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단계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게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 게시 페이지(publication page)는 타겟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링크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페이지에 표시하는 데 사용됨 -;
게시 페이지의 게시 제어에서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타겟 링크(target link)를 게시하는(publishing)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단계는,
서버 디바이스(server device)가 알림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타겟 정보와 연관된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도록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타겟 정보를 서버 디바이스로 전송하는(sending)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알림 메시지는 연관된 클라이언트에,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제2 측면에서, 본 개시는 다음을 포함하는 정보 응답 장치를 제공한다: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고, 및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모듈(displaying module) - 여기서, 정보 제시 페이지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응답하여 얻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를 포함함 -;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receiving module);
표시 모듈은, 타겟 정보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고, 및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타겟 정보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응답 모듈(replying module).
제3 측면에서, 본 개시는 메모리(memory), 프로세서(processor)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computer program 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를 제공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응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제4 측면에서, 본 개시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응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5 측면으로, 본 개시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이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판독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응답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정보 응답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을 개시하며, 방법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 여기서, 정보 제시 페이지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응답하여 얻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를 포함함 -;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sticker)를 표시하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로의 엔트리 제어가 제공되고, 정보 페이지 표시를 통해 사용자가 응답이나 댓글을 달고 싶은 타겟 정보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의 복잡성을 줄였으며, 및 그 타겟 정보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타겟 정보를 연관시키기 위해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스티커 형태로 표시되어, 멀티미디어 형태로 타겟 정보에 응답 또는 댓글을 하도록 하며, 이는 응답 매너를 풍부하게 하고,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사용자의 관심을 높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예시하며,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 또는 선행 기술의 기술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하는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물론 해당 분야의 숙련된 일반인이라면 창의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도 이 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a 내지 1r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인간-기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응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응답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도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솔루션을 아래에서 더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시예의 특징은 충돌 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개시의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해 많은 특정 세부사항이 하기 설명에 예시되어 있으며, 그러나 본 개시는 또한 여기에 설명된 것과 다른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명백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은 단지 일부일 뿐이지, 본 개시의 모든 실시예는 아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은 정보 응답 방법,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에 대한 엔트리 제어를 제공하고, 엔트리 제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보 제시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정보 제시 페이지에 제시된 정보를 열람하고 그로부터 응답할 타겟 정보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 후,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타겟 정보가 스티커 형태로 표시되어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타겟 정보와 연관되도록 하고, 멀티미디어 형태로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어, 응답 매너가 풍부해질 뿐만 아니라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사용자의 관심을 높이고,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 및 게시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개시에 언급된 타겟 정보에 대해 응답하는 것은, 타겟 정보에 대한 응답, 타겟 정보에 대한 댓글, 타겟 정보에 대한 질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언급된 멀티미디어 형태로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것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타겟 정보에 응답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타겟 정보와 연관된 링크로 타겟 정보에 응답하거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타겟 정보와 연관된 링크 및 텍스트 콘텐츠로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 중에, 본 개시에서 언급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를 포함하며, 여기서 비디오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캡쳐 또는 녹화된 비디오 또는 사용자가 제작 시 실시간으로 캡쳐된 비디오가 될 수 있다.
그 중에, 본 개시에서 언급된 정보 제시 페이지는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며, 정보 제시 페이지의 정보는 수집된 정보, 추천 정보, 답변-초대 정보(invited-to-answer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페이지 제시에서, 각 정보 일부(piece of information)은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고, 복수의 정보 일부에 각각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정보는 댓글 달기,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에 대한 질문, 기존 댓글에 대한 응답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에 따르면,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정보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림, 링크, 애니메이션, 기호, 숫자, 시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정보의 제시 형태 또는 표현 형태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언급된 타겟 정보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연관되며, 타겟 정보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댓글, 응답 또는 질문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겟 정보는 댓글 정보(comment information), 답글 정보 및/또는 질문 정보(question inform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텍스트, 이모티콘, 그림, 링크, 애니메이션, 기호, 숫자, 시간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타겟 정보가 진술(statement), 질문(question), 감탄사(exclamation), 수사적 질문(rhetorical question) 등과 같은 문장 패턴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타겟 정보의 제시 형태 또는 표현 형태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언급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는 캡쳐 페이지(capturing page) 및/또는 편집 페이지(editing page)를 포함할 수 있다. 캡쳐 페이지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미지 자료를 얻기 위해 사용되며, 편집 페이지는 이미지 자료를 스크랩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얻기 위해 사용되며, 캡쳐 페이지 및 편집 페이지의 페이지 레이아웃은 본 개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길이, 종횡비, 해상도 및 구체적인 콘텐츠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 편집 페이지는 클리핑 페이지(clipping page), 제작 페이지(production page) 등과 같은 다른 명칭으로도 불릴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정보 응답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 또는 전자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앱) 및 웹 페이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 차량 탑재형 기기, 증강 현실(AR)/가상 현실(VR) 기기, 노트북 컴퓨터,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MPC), 넷북, 개인 디지털 비서(PDA), 스마트 TV, 스마트 스크린, 고화질 TV, 4K TV,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프로젝터 및 기타 스마트 홈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운영 체제 유형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시스템, 리눅스 시스템, 윈도우 시스템, iOS 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응답 방법의 구체적인 구현은, 전자 디바이스를 휴대폰으로 하고, 도 1a 내지 도 1r에 제공된 인간-기계 상호작용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와 함께 예로 들어 휴대폰에 설치된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1r에서, 사용자 2는 비디오 1을 게시하고, 사용자 3은 비디오 1에 대한 댓글 정보 1을 게시하고, 스티커 1은 댓글 정보 1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사용자 4는 비디오 2에 대한 댓글 정보 2를 게시하고, 스티커 2는 댓글 정보 2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사용자 5는 비디오 1에 대한 댓글 정보 3을 게시하고, 스티커 3은 댓글 정보 3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고, 사용자 1은 댓글 정보 1과 댓글 정보 2, 댓글 정보 3을 수집한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1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이하 비디오 0이라 함)를 생성하고, 댓글 정보 1, 댓글 정보 2 및 댓글 정보 3 중 하나 이상의 댓글에 멀티미디어의 형태로 응답을 작성한다.
이 개념에서, 비디오 0의 생성 페이지는 캡쳐 페이지와 편집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으로, 각각 캡쳐 페이지 및/또는 편집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엔트리 제어에 기초하여, 응답할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추가되어, 멀티미디어 형태로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방법을 상세히 소개한다.
상황 1: 캡쳐 페이지에 의해 제공되는 엔트리 제어에 기초하여 응답할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추가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1이 시작된 이후,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1)를 휴대폰에 표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캡쳐 페이지이고, 캡쳐 페이지는 다수의 기능의 컬렉션(collec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캡쳐 페이지는 주로 비디오 0의 이미지 자료를 획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디오 0의 이미지 자료를 획득하는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디오 0의 이미지 자료는 실시간으로 촬영한 사진 및/또는 비디오이거나 이미 촬영하여 휴대폰의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사진 및/또는 비디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캡쳐 제어(capturing control)(101)을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캡쳐 제어(101)에 대한 캡쳐 시작 트리거(capturing start trigger)(예를 들어, 클릭 동작 또는 길게 누르기 동작)를 수신하고, 캡쳐 제어(101)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비디오 녹화를 시작할 수 있고, 녹화된 비디오가 미리 설정된 기간에 도달하거나 애플리케이션 1이 캡쳐 제어(101)에 대한 캡쳐 종료 트리거(capturing end trigger)(예를 들어, 클릭 동작 또는 팝업 동작)를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 1은 비디오 녹화(recording video)를 종료하고, 그 녹화 비디오은 비디오 0의 이미지 자료가 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1은 캡쳐 제어(101)를 여러 번 트리거하여 다수의 비디오 클립(video clips)을 녹화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비디오 클립은 비디오 0의 이미지 자료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비디오 0의 이미지 자료의 파라미터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지속 시간, 종횡비, 지속 시간, 필터 효과, 플래시 효과, 해상도 등이 될 수 있다.
도 1a를 계속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엔트리 제어(102)를 포함한다.
엔트리 제어(102)는 정보 제시 페이지로 들어가는 데 사용된다. 엔트리 제어(102)는 아이콘, 텍스트, 기호, 그림 등의 형태로 제시될 수도 있고, 여러 형태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제시될 수도 있다. 엔트리 제어(102)가 채택하는 색상, 크기 등과 같은 표시 파라미터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a에 표시된 것처럼 엔트리 제어(102)는 '아이콘+텍스트(icon+text)(예: 응답)'의 형태로 표시된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함께 정보 제시 페이지에는 수집된 정보, 추천 정보, 답변-초대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은 사용자 1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제시 페이지와 수집된 정보, 추천 정보 및 답변-초대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제시 페이지를 예로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1은 엔트리 제어(102)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엔트리 제어(102)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2)를 휴대폰 상에 예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2)는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area)(103)을 포함한다. 크기, 색상, 표시 위치, 표시 투명도 등과 같은 영역(103)의 표시 파라미터는 본 개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 영역(103)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 제시 페이지는 사용자가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각 정보를 우선적으로 볼 수 있도록 캡쳐 페이지의 상층부(upper layer)에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의 영역(103)을 제외한 다른 영역은 캡쳐 페이지와 관련된 그림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정보 제시 페이지를 볼 때 영역(103)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통해 캡쳐 페이지의 일부 그림을 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b에서, 영역(103)은 영역(1031), 영역(1032) 및 제어(control)(1033)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1031)은 정보 제시 페이지의 제목을 제시하는 데 사용되며, 제목은 아이콘, 텍스트, 숫자 등의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된 댓글+수집된 댓글 수'라는 콘텐츠가 영역(1031)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가 수집된 댓글 정보와 수집된 정보 수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에는 '수집된 댓글(collected comments)(50)'이 예시로 나와 있다.
영역(1032)은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 1이 다수의 정보 일부를 수집한 경우, 수집된 각 정보는 스티커 형태로 영역(1032)에 제시될 수 있다. 크기, 모양, 색상, 표시 위치, 표시 투명도 및 표시 순서 등과 같은 영역(1032)의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표시 파라미터는 본 개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영역(1032)에서, 각각의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스티커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왼쪽에서 오른쪽,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각 스티커에 대응하는 영역의 크기가 댓글 정보와 관련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 대응하는 정보의 콘텐츠를 접어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티커 대응 영역을 트리거하여 대응하는 정보와 관련된 콘텐츠를 볼 수 있으므로, 대응하는 영역(1032)에 더 많은 수집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영역(1032)에서, 각각의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의 크기는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각 스티커에 대응하는 영역이, 정보의 표시 콘텐츠를 접히지 않고, 정보와 관련된 콘텐츠를 가능한 한 많이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정보와 관련된 콘텐츠를 직접적이고 명확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중에, 각 정보 일부와 관련된 콘텐츠는, 사용자가 게시한 정보의 텍스트 콘텐츠, 정보를 게시한 사용자의 아바타, 정보를 게시한 사용자의 닉네임, 어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게시하거나 해당 정보가 회신하고 있는 댓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영역(1032)에 대한 설명과 함께,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 영역은 정보 표시 인터페이스에서 여러 열, 예를 들어 두 개의 열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2)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복수의 수집된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이 동일한 폭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하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2개의 열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 중에, 사용자 2의 닉네임이 "bbb", 사용자 3의 닉네임이 "ccc", 사용자 4의 닉네임이 "ddd", 사용자 5의 닉네임이 "eee"인 것을 예로 들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댓글 정보 1, 댓글 정보 2, 댓글 정보 3에 대응하는 스티커 1, 스티커 2 및 스티커 3이 영역(1032)에 표시된다.
도 1b를 참조하여, 스티커 1을 예로 들면, 사용자 3의 아바타와 닉네임이 스티커 1에 대응하는 영역의 왼쪽에 표시되고; "bbb의 댓글에 응답"이라는 텍스트 콘텐츠가, 스티커 1이 사용자 'bbb'의 댓글임을 나타내기 위해, 스티커 1의 상단에 표시되고; "여기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요!"의 텍스트 콘텐츠 1이 텍스트 콘텐츠 하단에 표시되며, 여기서 텍스트 콘텐츠 1은 사용자 3이 비디오 1에 대해 게시한 댓글 정보 1의 텍스트 콘텐츠이다.
스티커 2와 스티커 3은 도 1b에 표시된 스티커 1과 유사하며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스티커 2에 대응하는 텍스트 콘텐츠 2가 길기 때문에 스티커 2에 대응하는 영역에 텍스트 콘텐츠를 완전히 표시할 수 없으므로 텍스트 콘텐츠 2가 접혀서 표시됨에 유의한다.
도 1b에서, "XXX의 댓글에 응답"의 "XXX"는 사용자의 닉네임을 나타내며, 도 1b에서 다수의 "XXX"는 서로 다른 사용자를 나타낼 수 있고, 댓글 정보에 포함된 다수의 "X"는 수집된 정보의 텍스트 콘텐츠를 나타내며, "X"의 수가 다른 것은 댓글 정보의 텍스트 콘텐츠의 길이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1b에서는 영역(1032)에 표시되는 복수의 스티커의 텍스트 콘텐츠가 완전히 동일한 것은 아니며, 이는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댓글 정보가 스티커 형태로 제공되는 구현 방식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이다.
도 1b에서, 스티커에 대응하는 영역이 동일한 폭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두 개의 정렬된 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실제 장면에서는 한 열, 세 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열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휴대폰 화면의 가로 또는 세로 상태 등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데 구체적으로 몇 개의 열을 사용할지 설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a에 도시된 제1 엔트리 제어(102)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c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휴대폰에 표시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3)는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복수의 수집된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이 폭은 동일하지만 높이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고 상하 정렬 방식(up-down alignment manner)에서 두 열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032)에서 스티커 1과 스티커 2에 대응하는 영역은 각각 길이와 폭이 같고, 스티커 3에 대응하는 영역은 스티커 1과 스티커 2에 대응하는 영역보다 작으며, 스티커 1에서 스티커 3을 제외한 영역(1032)의 다른 스티커에 대응하는 영역도 크기가 달라 두 열로 표시된다.
도 1c와 같은 방식으로, 각 스티커에 대응하는 영역에 접힌 정보 표시 없이 대응하는 정보와 관련된 모든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수집된 정보의 모든 콘텐츠를 직접적이고 명확하게 볼 수 있다.
그 중에, 도 1c는 스티커에 대응하는 영역이 폭은 같지만 높이가 완전히 같지 않고,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두 개의 정렬된 열로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한 열, 세 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열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휴대폰 화면의 가로 또는 세로 상태 등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데 구체적으로 몇 개의 열을 사용할지 설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시 페이지에 표시되는 정보는 미리 설정된 순서로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가 수집된 정보를 표시할 때, 가장 최근에 수집된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는 영역(1032)의 상단에 근접할 수 있고, 가장 초기에 수집된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는 영역(1032)의 하단에 근접할 수 있다.
제어(1033)는 정보 제시 페이지를 종료하는 데 사용된다. 표시 방식, 표시 위치, 크기, 색상 등과 같은 제어(1033)의 표시 파라미터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1033)는 아이콘, 텍스트, 기호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제어(1033)는 영역(103)의 꼭지점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기(1033)는 기호 "X"로 표시된다. 제어(1033)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a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1)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 1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정보 제시 페이지에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는 수집된 정보, 답변-초대 정보, 추가 질문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수집된 정보, 답변-초대 정보 및 추가 질문 정보를 표시하는 구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에 표시되는 정보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정보 제시 페이지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분류하여 표시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sub presenting pages)에 대한 엔트리가 제공된다. 또한 정보 제시 페이지에 진입되면, 모든 유형의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가 기본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유형 정보(first type of information)는 답변-초대 정보 및 추가 질문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유형 정보(second type of information)는 수집된 정보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1은 영역(102)에서 제공되는 제1 엔트리 제어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제1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d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4)를 휴대폰 상에 예시적으로 표시한다. 도 1d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4)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는 기본적으로 제1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를 표시한다.
도 1d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는 영역(14a), 영역(14b) 및 영역(14c)을 포함한다.
그 중에, 영역(14a)는 제1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로 들어가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영역(14b)는 제2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로 들어가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유형 정보는 답변-초대 정보 및 추가 질문 정보를 포함하며, 제2 유형 정보는 수집된 정보를 포함한다.
그 중에, 영역(14a)은 제1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로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아이콘, 텍스트, 숫자, 기호, 그림 등의 형태로 제시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영역(14b)는 제2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로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아이콘, 텍스트, 숫자, 기호, 그림 등의 형태로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문 정보(question information)'라는 텍스트 콘텐츠가 영역(14a)에 표시되고 '수집된 정보(collected information)'라는 텍스트 콘텐츠가 영역(14b)에 표시되는 경우, 도 1d는 예시일 뿐이며, 실제 적용에서는 영역(14a) 및 영역(14b)를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영역(14c)는 제1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그 중에, 영역(14c)는 영역(14c1), 영역(14c2), 제어(14c3), 영역(14c4), 영역(14c5) 및 제어(14c6)를 포함한다.
영역(14c1)은 제1 유형에 포함된 제1 서브유형(first sub-type)의 제목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영역(14c1)은 아이콘, 텍스트, 기호, 그림 등의 형태로 제시를 수행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형태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제시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영역(14c1)의 제시 방식은 본 개시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제1 서브유형은 답변-초대 정보(invited-to-answer information)이며, 텍스트 콘텐츠 '답변을 초대하는 질문 정보(question information to invite you to answer)'가 영역(14c1)에 표시될 수 있다.
영역(14c2)는 제1 서브유형 정보(first subtype of information)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영역(14c2)는 스티커 형태로 제1 서브유형 정보(first subtype of information)를 제시할 수 있다. 영역(14c2)에서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은 크기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 영역은, 답변에 초대된 질문의 텍스트 콘텐츠, 질문을 게시한 사용자의 아바타, 닉네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d를 참조하면, 영역(14c2)에서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은 동일한 폭과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영역은 스티커 영역의 상단 가장자리에 따라 수평으로 정렬된 두 열로 표시되고, 각 정보 일부의 관련 콘텐츠가 모두 스티커 영역에 완전히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영역(14c2)에서,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은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높이가 동일하며, 정보에 더 많은 콘텐츠가 있는 경우, 정보 콘텐츠를 접어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1c에 표시된 실시 예와 유사하다.
제어(14c3)는 더 많은 제1 서브유형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본 개시는 제어(14c3)의 제시 방식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14c3)는 아이콘, 텍스트, 기호, 그림 등의 형태로 제시되거나 여러 형태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1은 제어(14c3)에 대한 트리거(예: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영역(14c2)에 미리 설정된 수의 제1 서브유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역(14c2)의 크기는 미리 설정된 수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제어(14c3)는 제1 서브유형 정보의 미리 설정된 수 아래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더 많은 제1 서브유형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영역(14c4)는 제1 유형에 포함된 제2 서브유형의 제목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영역(14c4)은 아이콘, 텍스트, 심볼, 그림 등의 형태로 표현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여러 형태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제시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영역(14c4)의 제시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서브유형은 질문이 많은 정보로, 사용자가 수집한 정보에 더 가까운 정보를 포함한다. 추가 질문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으며, 영역(14c4)은 예를 들어 "추가 질문 정보(More question information for you)"라는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영역(14c5)는 제2 서브유형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영역(14c5)는 스티커 형태로 제2 서브유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영역(14c5)에서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은 크기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 영역은, 답변에 초대된 질문의 텍스트 콘텐츠, 질문을 게시한 사용자의 아바타, 닉네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영역(14c5)에는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 영역이 두 개의 열에 표시된다.
도 1d를 참조하면, 영역(14c5)에서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은 동일한 폭과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영역은 스티커 영역의 상단 가장자리에 따라 수평으로 정렬된 두 열로 표시되고,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모든 콘텐츠가 스티커 영역에 완전히 표시된다.
물론, 영역(14c5)에서,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은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높이가 동일하며, 정보에 더 많은 콘텐츠가 있는 경우, 정보 콘텐츠를 접어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1c에 표시된 실시 예와 유사하다.
도 1d에서 제어(14c6)는 제2 서브유형 정보를 더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어(14c6)의 제시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14c6)은 아이콘, 텍스트, 기호, 그림 등의 형태로 제시되거나 여러 형태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1은 제어(14c6)에 대한 트리거(예: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영역(14c6)에 미리 설정된 수의 제2 서브유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역(14c5)의 크기는 미리 설정된 수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제어(14c6)는 제2 서브유형 정보의 미리 설정된 수 아래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더 많은 제2 서브유형 정보를 볼 수 있다.
도 1d는 제1 유형이 제1 서브유형과 제2 서브유형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의 구현 모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제1 유형에 더 많은 서브유형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서브유형과 제2 서브유형과 유사한 구현 모드가 채택될 수도 있지만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겠다.
또한, 도 1d는 스티커에 대응하는 영역이 동일한 폭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수집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두 개의 정렬된 열로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한 열, 세 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열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휴대폰 화면의 가로 또는 세로 상태 등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데 구체적으로 몇 개의 열을 사용할지 설정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1은 영역(102)에서 제공되는 제1 엔트리 제어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제1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e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5)를 휴대폰 상에 예시적으로 표시한다. 도 1e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5)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는 기본적으로 제2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를 표시한다.
도 1e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5)는 영역(15A)을 포함한다.
영역(15a)은 제2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영역(15a)의 제시 및 구현은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이전 실시예들에서 영역(1032)의 구현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겠다. 도 1e는 수집된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영역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위아래로 정렬된 두 개의 열로 표시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실제 적용에서, 영역(14A) 및 영역(14B)에 의해 각각 제공되는 엔트리 제어를 통해, 제1 유형 정보(first type of information)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sub presenting page)와 제2 유형 정보(second type of information)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 간에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는 정보 제시 페이지를 종료하기 위한 제어(1033)를 더 포함하며, 도 1d 및 도 1e의 제어(1033)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제어(1033)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1b 및 1c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이전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에 표시되는 정보는 미리 설정된 순서로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d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가 제1 유형 정보을 제시할 때, 게시 시간에 따라, 가장 최근에 개시되어 답변-초대 질문 정보(question information invited-to-answer)에 대응하는 스티커는 영역(14c2)의 상단 가까이에 표시될 수 있고, 가장 먼저 개시된 답변-초대 질문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영역(14c2)의 하단 가까이에 표시될 수 있고; 다른 예로, 도 1e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가 수집된 정보를 제시할 때, 가장 최근에 수집된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는 영역(15A)의 상단 가까이에 위치될 수 있고, 및 가장 최근에 수집된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는 영역(15a)의 하단 가까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a를 계속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음악 라이브러리 진입을 위한 제어, 캡쳐 페이지 종료 제어, 캡쳐 모드 조정 제어, 특수 효과 제시 페이지 진입을 위한 제어, 필터 제시 페이지 진입을 위한 제어 등과 같은 캡쳐 페이지와 연관된 다른 제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캡쳐 페이지와 연관된 이러한 제어의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 내지 도 1e에 도시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방식에 의해, 응답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타겟 정보를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정보 응답 방법에 대해 계속하여 소개하겠다.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를 계속 참조하여, 애플리케이션 1이 스티커 1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면, 스티커 1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f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6)를 참조하여 도 1f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6)를 휴대폰에 예시적으로 표시하고, 스티커 1이 캡쳐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고, 스티커 1이 캡쳐 그림을 가릴 수 없거나 캡쳐 그림을 가리지 않으려 한다. 예를 들어 스티커 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정점 또는 측면 근처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f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1이 스티커 2의 트리거를 수신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g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스티커 1을 스티커 2로 대체하고, 일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1은 스티커 1을 표시하는 것을 기준으로 생성 페이지(즉, 캡쳐 페이지)에 스티커 1과 스티커 2를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f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6)에서 도 1g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7)로 이동하고, 도 1g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7)을 참조하면, 스티커 2가 스티커 1을 대체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1은 단일 타겟 정보에 대한 응답을 지원할 수 있으며, 단일 타겟 정보에 의해 가려지는 비디오의 그림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비디오 0과 타겟 정보에 관련된 정보가 게시된 후에, 비디오 0의 전체 그림이 간결하고 사용자가 보기에 편리하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f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6)에서 도 1h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8)로 이동하고, 도 1h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8)를 참조하여, 스티커 1 및 스티커 2가 모두 캡쳐 페이지에 표시된다. 즉, 애플리케이션 1은 여러 개의 댓글 정보에 대한 응답을 지원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동일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여러 개의 메시지에 동시에 응답을 달 수 있는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비디오 제작에 더 많은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h에서,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과 댓글 정보 2에 대응하는 스티커 2는 하향 정렬 순서로 하나의 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스티커 1과 스티커 2에 각각 대응하는 영역은 서로를 가리지 않는다. 캡쳐 페이지에서 스티커의 표시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g 및 도 1h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캡쳐 페이지에서의 스티커 1 및 스티커 2의 표시 파라미터(display parameters)는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의 스티커 1 및 스티커 2의 표시 파라미터와 다를 수 있으며, 표시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표시 투명도, 폰트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g 및 도 1h의 스티커 1 및 스티커 2의 표시 투명도(display transparencies)는 정보 제시 페이지의 표시 투명도보다 높을 수 있고, 도 1g 및 도 1h의 스티커 1 및 스티커 2의 폰트 크기는 정보 제시 페이지의 폰트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시 파라미터는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1g 및 도 1h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티커 1 및 스티커 2는 캡쳐 페이지의 상단 또는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스티커에 대응하는 영역이 캡쳐된 그림을 가리지 않거나 가리지 않으려 한다.
실제로, 애플리케이션 1이 사용자가 비디오 0을 통해 다수의 타겟 정보에 답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너무 많이 추가하여 이들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각각 비디오 0의 그림을 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답장할 수 있는 최대 타겟 정보 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f 및 도 1h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연계하여, 애플리케이션 1이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N(예를 들어, N=2) 개의 댓글 정보에 응답하도록 지원한다고 가정하면, 애플리케이션 1은 스티커(3)의 트리거를 수신하고, 스티커(3)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1)은 도 1I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9)를 휴대폰에 예시적으로 표시하고, 도 1I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9)를 참조하여, 애플리케이션(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9)에 프롬프트 정보(prompt information)를 표시할 수 있고, 프롬프트 정보는, 현재 멀티미디어 형태로 응답될 수 있는 타겟 정보의 최대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도 1i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9)는 영역(104)을 포함한다.
영역(104)은 프롬프트 정보의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1i에서 "댓글 정보에 최대 2개까지 응답 달기(reply to at most two comment information)"라는 텍스트 콘텐츠가 영역(104)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프롬프트 정보는 다른 텍스트 콘텐츠, 애니메이션 특수 효과 등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영역(104)은 영역(104)을 폐쇄하기 위한 제어(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영역(104)은 다른 방식으로도 폐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1이 영역(104) 외부의 임의의 다른 임의의 위치에 대한 트리거(예를 들어, 클릭 동작)를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 1이 영역(104)을 폐쇄하거나, 또는 카운트다운의 방식으로 영역(104)을 폐쇄할 수 있다. 영역(104)의 표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을 충족하면, 애플리케이션 1이 자동으로 영역(104)을 닫는다. 폐쇄 영역(closing area)(104)의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i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영역(104)을 닫은 후에,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h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8)로 이동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 시나리오에서, 사용자는 먼저 도 1b 내지 도 1i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매너에 따라 캡쳐 페이지에 응답하고자 하는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표시한 후에,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의 캡쳐 제어(101)를 기반으로 비디오 0의 이미지 자료를 실시간으로 캡쳐하거나, 도 1a의 자료 제시 엔트리(106)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 자료를 선택하기 위해 자료 제시 페이지(material presentation page)로 진입할 수 있다.
응답하고자 하는 댓글 정보 및 이미지 자료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추가한 후, 애플리케이션 1은 휴대폰에 편집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표시하고 편집 페이지를 통해 클리핑을 수행한 후, 비디오 0 및 타겟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게시할 수 있다. 또한, 타겟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스티커는 비디오 0의 재생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포함된다.
그 중에, 비디오 0과 관련된 정보 및 타겟 정보를 게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음 실시예에서 상세히 소개한다.
상황 2: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는 캡쳐 페이지에 추가되지 않으며, 편집 페이지의 엔트리 제어에 기초하여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추가된다.
상황 2에서,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의 영역(101)에서 제공하는 캡쳐 제어에 따라 비디오 0의 이미지 자료가 실시간으로 캡쳐되거나, 도 1a의 자료 제시 엔트리(106)를 통해, 원하는 이미지 자료를 선택하기 위해 자료 제시 페이지에 진입되고, 이미지 자료가 추가된 후에, 애플리케이션 1은 예시적으로 휴대폰에 편집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황 2에서, 캡쳐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제1 엔트리 제어를 통해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추가되지 않거나, 캡쳐 페이지에서 제1 엔트리 제어가 제공되지 않아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추가될 수 없다.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j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0)를 휴대폰에 예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도 1j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클리핑과 관련된 제어 또는 엔트리 제어를 포함할 수 있는, 편집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1j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스티커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제3 엔트리 제어(107)를 포함하며, 제3 엔트리 제어(107)의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3 엔트리 제어(107)의 구현 방식은 제1 엔트리 제어와 유사하며, 앞의 실시예들에서 제1 엔트리 제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나,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예를 들어, 도 1j에는 "스티커"라는 텍스트로 표현된 제3 엔트리 제어(107)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 엔트리 제어(107)가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다른 언어 유형의 텍스트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클리핑과 관련된 제어, 예를 들어 자동 자막 추가 제어, 필터 표시 페이지 진입 제어, 음향 효과 제어, 텍스트 추가 제어, 음악 라이브러리 진입 제어, 자막 추가 제어, 녹음 제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1은 제3 엔트리 제어(107)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제3 엔트리 제어(1107)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k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21)를 휴대폰에 예시적으로 표시한다.
도 1k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영역(108), 영역(109) 및 제어(110)를 포함한다.
영역(108)은 각각 다른 스티커 유형에 대응하는 서브-스티커 제시 페이지(sub-sticker presentation pages)로 들어가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포함한다. 도 1k를 참조하면, 영역(108)은 제1 스티커 엔트리(first sticker entry)(1081) 및 제2 스티커 엔트리(second sticker entry)(1082)를 포함한다. 제1 스티커 엔트리(1081)는 애플리케이션 1의 제1 스티커 유형(first sticker type)에 대응하는 서브-스티커 제시 페이지(sub-sticker presentation page)에 진입하는 데 사용되며, 제2 스티커 엔트리(1082)는 제2 스티커 유형에 대응하는 서브-스티커 표시 페이지(sub-sticker display page)에 진입하는 데 사용된다. 물론, 영역(108)은 여기에 예시되지 않은 다른 스티커 유형에 대응하는 서브-스티커 표시 페이지(sub-sticker display pages)에 대한 엔트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1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1)로 이동하면, 영역(108)에 포함된 스티커 유형에 대응하는 엔트리 제어가 기본적으로 위치하며, 기본 엔트리 제어(default entry control)에 대응하는 스티커 페이지가 영역(109)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1)에서 제1 스티커 엔트리(1081)가 기본적으로 위치된 경우, 제1 스티커 유형에 대응하는 서브-스티커 표시 페이지(sub-sticker display page)가 영역(109)에 표시된다.
스티커 유형의 구체적인 분류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110)는 스티커 페이지를 종료하는 데 사용된다. 애플리케이션 1은 제어(110)에 대한 트리거(예: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j에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0)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110)는 아이콘, 텍스트, 숫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110)의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k를 계속 참조하면, 영역(109)에는 엔트리 제어(1091)가 포함된다.
제2 엔트리 제어(second entry control)(1091)는 정보 제시 페이지로 진입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2 엔트리 제어(1091)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엔트리 제어(1091)은 아이콘, 텍스트, 기호, 그림 등의 형태로 제시될 수도 있고, 여러 형태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제시될 수도 있다. 색상, 크기, 애니메이션 효과 등과 같은 제2 엔트리 제어(1091)에 채택된 표시 파라미터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엔트리 제어(1091)는 스티커 형태로 제시되고, 스티커는 메시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메시지 모양의 패턴 내부에 "댓글 정보(comment information)"라는 텍스트가 존재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로부터 어떤 스티커가 정보 제시 페이지로 들어가기 위한 엔트리 제어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물론, 제2 엔트리 제어(1091)가 스티커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 직사각형, 둥근 직사각형, 불규칙한 모양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모양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k는 예시일 뿐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또한 인기 스티커, 최신 스티커, 음식 스티커, 텍스트 스티커 등과 같은 복수의 스티커 유형에 대응하는 서브-스티커 표시 페이지로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1은 제2 엔트리 제어(1091)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제2 엔트리 제어(1091)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예시적으로 도 1l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2)를 휴대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l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2)는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111)을 포함하며, 여기서 영역(111)은 이전 실시예들에서 도 1b 내지 도 1e의 스티커 표시 페이지의 구현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되며, 도 1b 내지 도 1e에 도시된 이전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간결성을 위해 반복하지는 않기로 한다.
그 후, 도 1l에 도시된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트리거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편집 페이지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 방식은 앞의 실시예들에서 도 1f 내지 도 1i의 스티커 표시 페이지의 구현 방식과 유사하며, 도 1f 내지 도 1i에 도시된 앞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간결성을 위해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도 1j에 도시된 실시예를 계속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게시 페이지 진입을 위한 제어(112)를 더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제어(112)의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제어(112)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게시 페이지를 예시적으로 휴대폰에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비디오 0의 게시 페이지의 구체적인 구현은 후술할 것이다. 그 후, 비디오 0과 관련된 정보 및 타겟 정보가 게시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0의 재생 인터페이스 표시는 타겟 정보를 표시하는 스티커에 포함되어 있다.
그 중에, 비디오 0과 관련된 정보의 개시 및 타겟 정보에 대해서는 다음 실시예에서 상세히 소개한다.
제어(112)를 통해 게시 페이지로 들어가기 전에, 응답할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편집 페이지에 추가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황 3: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캡쳐 페이지에 추가되고, 편집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엔트리 제어에 따라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다시 추가된다.
상황 3에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하나 이상 캡쳐 페이지에 추가되었다. 예를 들어, 도 1g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쳐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제1 엔트리 제어를 통해 캡쳐 페이지에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가 추가되고, 이를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1이 편집 페이지로 이동한 후, 편집 페이지에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편집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엔트리 제어에 따라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더 추가하거나, 현재 편집 페이지에 표시된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이 조정될 수 있다.
도 1h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쳐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제1 엔트리 제어를 통해,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과 댓글 정보 2에 대응하는 스티커 2가 캡쳐 페이지에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1이 편집 페이지로 이동한 후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과 댓글 정보 2에 대응하는 스티커 2가 모두 편집 페이지에 표시된다. 그런 다음 편집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엔트리 제어에 따라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더 추가되거나, 또는 현재 편집 페이지에 표시된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 및/또는 댓글 정보 2에 대응하는 스티커 2가 조정될 수 있다.
도 1h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정보 제시 페이지를 종료하고 편집 인터페이스로 진입하는데,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m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3)를 휴대폰에 예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도 1m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23)는 클리핑(clipping)과 관련된 제어 또는 엔트리를 포함할 수 있는 편집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j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0)와 비교하여, 도 1m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3)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3)에 표시된 편집 페이지는, 캡쳐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제1 엔트리 제어를 통해,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과 사용자에 의해 추가되는 댓글 정보 2에 대응하는 스티커 2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3)는 클리핑과 관련된 제어, 예를 들어 자동 자막 추가 제어, 필터 제시 페이지 진입 제어, 음향 효과 제어, 꽃말 추가 제어, 음악 라이브러리 진입 제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g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캡쳐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제1 엔트리 제어를 통해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이 추가된 것으로 가정하고, 편집 페이지로 이동한 후 애플리케이션 1은 편집 페이지에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g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편집 페이지에 표시되는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개수가 애플리케이션 1에서 지원하는 응답 가능한 최대 타겟 정보의 개수에 미치지 못하므로, 편집 페이지로 이동한 후, 편집 페이지에서 제3 엔트리 제어(107)를 통해 스티커 페이지로 진입한 후, 스티커 페이지에서 제2 엔트리 제어(1091)를 통해 정보 제시 페이지로 진입하여, 편집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더 추가함으로써, 비디오 0을 통해 복수의 타겟 정보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상황 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반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1이 최대 2개의 댓글 정보에 대한 응답을 지원하고, 상황 2의 구현 방식으로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과 댓글 정보 2에 대응하는 스티커 2가 추가된 경우,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m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3)를 휴대폰에 예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응답할 수 있는 타겟 정보 수의 상한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1은, 캡쳐 페이지 또는 편집 페이지를 통해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추가한 후에, 스티커의 위치, 방향, 크기 등 스티커의 파라미터의 조정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도 1f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스티커 1의 위치가 제1 미리 설정된 위치(first preset position)이고, 애플리케이션 1이 스티커 1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드래그 동작)를 수신한다고 가정하면, 스티커 1은 제1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트리거가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스티커 1이 현재 수평 방향에 있다고 가정하고, 애플리케이션 1이 스티커 1에 대한 트리거(회전 동작 등)를 수신하면, 스티커 1을 수평 방향에서 트리거가 지시하는 각도, 예를 들어 왼쪽으로 45도 회전하거나 오른쪽으로 45도 회전하는 등 트리거가 지시하는 각도로 이동한다.
또한, 스티커 1이 현재 제1 크기(first size)인 것으로 가정하고, 애플리케이션 1이 스티커 1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확대 동작)를 수신하면, 스티커 1을 제1 크기에서, 확대 동작이 나타내는, 예를 들어 1.5배 확대까지, 제2 크기로 확대한다.
또한, 캡쳐 페이지 또는 편집 페이지를 통해,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추가된 후에, 애플리케이션 1은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삭제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도 1f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시 페이지를 종료한 후 애플리케이션 1은 편집 페이지에서 스티커 1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길게 누르는 동작)를 수신하고,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n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4)를 휴대폰에 예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스티커 1에 대응하는 삭제 제어(deletion control)(s1)을 포함한다. 실제 시나리오에서, 스티커 1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연관된 다른 제어는 삭제 제어(s1)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24)에 표시될 수 있다. 스티커와 연관된 제어의 기능, 수량, 구현 방식 등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 1은 삭제 제어(s1)의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삭제 제어(1)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캡쳐 페이지에 표시된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스티커 1을 삭제하며, 즉 애플리케이션 1은 삭제 제어(s1)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도 1a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1)로 이동할 수 있다.
캡쳐 페이지를 통해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티커가 추가되고, 편집 페이지를 통해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추가된 경우, 댓글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삭제하는 구현 방식은 위에 언급된 도 1n에 도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간결성을 위해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그리고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일부 스티커를 삭제한 후에, 애플리케이션 1에서 지원하는 최대 타겟 정보 개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스티커가 다시 추가될 수 있다.
도 1m에 도시된 실시예를 계속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3)는 제어(112)를 더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제어(112)의 트리거(예를 들어, 클릭 동작)를 수신하며, 제어(112)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예시적으로 휴대폰에 게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o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5)는 게시 페이지의 개략도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1o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5)는 게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o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5)는 영역(113) 및 제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역(113)은 영역(1131), 영역(1132) 및 영역(1133)을 포함할 수 있다.
영역(1131)은 댓글 정보 1과 연관된 링크, 예를 들어 "댓글 정보 1의 게시자(예컨대, 사용자 3)의 응답+댓글 아이디+계정 닉네임"과 같은 링크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텍스트 콘텐츠로 응답을 달 수 있는 입력 창(input window)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응답을 단 텍스트 콘텐츠가 입력 창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영역(1132)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 재생 그림의 썸네일과 앞서 언급한 캡쳐 페이지 또는 편집 페이지에 표시되는 스티커를 카드 형태로 보여주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과 같이, 생성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즉, 비디오 0)의 표지를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g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7)가 게시 페이지로 이동하면, 영역(1132)에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 재생 그림 및 스티커 1의 썸네일이 표시되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지를 선택하는 기능이 제공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m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게시 페이지로 이동하면, 영역(1132)에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의 재생 그림에 대한 썸네일과 스티커 1 및 스티커 2가 표시되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지를 선택하는 기능이 제공된다. 도 1o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5)는 도 1j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예시된 것이다.
영역(1133)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속하는 주제를 선택하기 위한 엔트리를 제공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속하는 주제가 영역(1131)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고, 특정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한 엔트리를 제공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시청을 편리하게 상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114)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게시하기 위해, 즉 애플리케이션 1은 적어도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댓글 정보 1과 연관된 링크를 서버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스티커 1과 연관된 표시 파라미터와 사용자가 입력 창을 통해 응답한 텍스트 콘텐츠를 서버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는, 영역(113) 및 제어(114) 외에도,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사용자의 권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댓글을 달 수 있는 권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권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애플리케이션 1에 저장할 수 있는 권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권리 및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초안 박스(draft box)에 저장할 수 있는 권리 등 다양한 엔트리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에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애플리케이션 1은 제어(114)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 디바이스(server device)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1이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후, 애플리케이션 1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6)를 도 1p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6)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1은, 댓글 정보 1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멀티미디어 형태로 수신한 후에,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획득하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인터페이스 상에 댓글 정보 1을 포함하는 스티커 1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p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6)는 영역(115)과 영역(116)을 포함한다.
영역(115)은 댓글 정보 1을 포함하는 스티커 1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영역(115)은 멀티미디어 형태로 댓글 정보 1에 응답하기 위한 엔트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영역(115)은 댓글 정보 1 및/또는 댓글 정보 1과 관련된 정보를 열람/수집하기 위한 엔트리를 제공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영역(115)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1이 영역(115)에 대한 트리거(예컨대, 길게 누르는 동작)를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 1은 스티커 1에 가까운 영역에 스티커 1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제어(예컨대, 댓글 정보 1)을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기 제어, 삭제 제어, 컬렉션 제어(collection control), 캡쳐 페이지 진입을 위한 응답 엔트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영역(115)은 멀티미디어 형태의 댓글 정보 1에 응답하기 위한 엔트리를 제공함으로써,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게시하는 사용자가 다시 멀티미디어 형태의 댓글 정보 1에 응답하기 편리하고, 또한, 댓글 정보 1과 연관된 사용자는 댓글 정보 1에 대한 응답 영역(115)에서 제공하는 항목을 기반으로 댓글 정보 1에 멀티미디어 형태로 회신할 수 있으므로, 회신 채널을 풍부하게 하고,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게시하는 데 유리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영역(116)은 비디오 0의 게시자(즉, 사용자 1)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1의 계정의 @+ 닉네임"을 사용하여 비디오 0의 게시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개시에서 사용자 1의 계정의 닉네임은 'aa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영역(116)에 대한 클릭과 같은 사용자의 트리거를 수신한 후, 애플리케이션 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6)로부터 사용자 1의 계정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p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6)는 영역(117) 및 제어(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역(117)은 댓글 정보 1과 연결된 링크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댓글 정보 1의 표시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이 링크를 표시하는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링크는 예를 들어 "~에 응답 + 응답 ID + 댓글 정보 게시자 1(즉, 사용자 3)의 계정 닉네임"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 중에, 응답 ID는 아이콘, 기호, 텍스트, 그림 등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링크가 트리거된 후 댓글 정보 1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영역(117)은, 사용자가 댓글 정보 1에 멀티미디어 형태로 응답할 때 사용자가 응답한 텍스트 콘텐츠를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어(118)는 비디오 0의 재생 인터페이스에서 댓글 영역의 표시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그 중에, 비디오 2의 재생 인터페이스에 있는 댓글 영역은 비디오 0에 댓글을 달거나 응답을 달거나 질문을 하는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텍스트, 기호, 그림, 애니메이션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그 중에, 사용자는, 비디오 0의 재생 인터페이스, 비디오 0의 재생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스티커 1, 댓글 정보 1, 비디오 0의 재생 인터페이스 내 댓글 영역의 정보 등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엔트리에 댓글을 달거나 응답을 달거나 질문을 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가 애플리케이션 1로부터 댓글 정보 1에 응답하는 사용자에 대한 비디오 0 연관 정보를 얻은 후에, 서버 디바이스는 댓글 정보 1과 연결된 클라이언트에 알림 메시지 a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중에, 댓글 정보 1과 연관된 클라이언트는, 댓글 정보 1을 게시하는 클라이언트, 댓글 정보 1에 "좋아요"를 누르는 클라이언트, 댓글 정보 1에 댓글/응답/질문을 하는 클라이언트,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비디오 1을 게시하는 클라이언트,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비디오 1에 좋아요를 누르는 클라이언트, 댓글 정보 1에 대응하는 비디오 1에 댓글/응답하는 클라이언트, 게시 페이지에서 사용자 1이 지정하는 클라이언트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알림 메시지 a는 댓글 정보 1과 연결된 위의 클라이언트에게 사용자 1이 비디오 0을 통해 댓글 정보 1에 응답을 달았음을 알리는 데 사용된다. 알림 메시지 a 구체적인 구현 방식 및 클라이언트에서의 표시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비디오 1의 게시자(즉, 사용자 2)를 예로 들면, 애플리케이션 1이 서버 디바이스로부터 알림 메시지 a를 수신한 후에, 애플리케이션 1은 비디오 1의 게시자의 휴대폰에 도 1q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7)를 표시할 수 있다.
그 중에, 사용자 인터페이스(27)는 애플리케이션 1에서 알림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알림 페이지는 정보 수신, 수집, '좋아요', 댓글 등의 다양한 형태의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알림 페이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7)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q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7)는 알림 페이지에 알림 메시지 a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119)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 a가 사용자 1이 댓글 정보 1에 응답을 달기 위해 비디오 0을 생성한 경우, 알림 메시지 a는 "사용자 1의 계정 아바타, 사용자 1의 계정 별명, 응답 텍스트의 식별자, 응답 시점 및 알림 카드(notification card)" 등과 같은 형태로 제시될있다. 그 중에, 알림 카드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의 재생 그림과 스티커 1로 구성된 썸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티커 1은 재생 그림 위에 정지 상태로 표시될 수 있다.
요약하면, 애플리케이션 1은 서버를 통해 댓글 정보 1과 연관된 클라이언트에게 알림 메시지 a를 전송하여, 연관 사용자(즉, 사용자 1)가 댓글 정보 1에 멀티미디어 형태로 응답한 사실을 적시에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7)는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1의 홈페이지로 진입하는 제어, 검색 제어, 캡쳐 페이지로 진입하는 제어, 알림 페이지로 진입하는 제어, 개인 계정 페이지로 진입하는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상황 1 내지 3에 따라 정보 제시 페이지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가 없는 경우도 있다(예: 애플리케이션 1은 댓글 정보를 수집하지 않거나, 답변-초대 정보가 없는 경우 등). 따라서, 캡쳐 페이지의 제1 엔트리 제어(102) 또는 편집 페이지의 제2 엔트리 제어(1091)에 기초하여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한 후에, 애플리케이션 1은 도 1r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8)를 예시적으로 휴대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r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8)는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120)을 포함한다. 정보 제시 페이지에는 표시 정보가 없으므로, 영역(120)에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고, 프롬프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댓글 정보를 길게 눌러서 댓글 정보를 수집하도록 유도하고, 수집된 댓글을 영역(120)에 표시한 후, 수집된 댓글에 답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r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120)은 영역(1201), 영역(1202) 및 제어(1203)를 포함하며, 여기서 영역(1201)은 상세 설명을 참조할 수 있는 영역(103)의 영역(1031)과 유사하고, 제어(1203)는 상세 설명을 참조할 수 있는 제어(1033)와 유사하다.
영역(1202)은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프롬프트 정보의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프롬프트 정보는 아이콘과 텍스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r에서, 영역(1202)의 중앙에서, 대응하는 아이콘, "길게 누르면 댓글 정보가 수집되고, 수집된 댓글 정보가 여기에 표시되며, 이 댓글 정보에 응답할 수 있다"라는 텍스트 콘텐츠 및 "수집된 댓글 정보에 응답하세요"라는 텍스트 콘텐츠가 표시되고, 이러한 두 텍스트 콘텐츠는 서로 다른 글자 크기와 두께를 채택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r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정보 응답 방법의 예시일 뿐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 시나리오에서는 일부 페이지의 레이아웃, 표시 파라미터, 제어 및 엔트리의 구현 방식을 요구 사항에 따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개시의 다음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을 예로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정보 응답 방법을 도면 및 응용 시나리오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응답 방법의 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응답 방법의 흐름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정보 응답 방법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S201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함께, 생성 페이지는 캡쳐 페이지 및/또는 편집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에서, 캡쳐 페이지 및/또는 편집 페이지에서 대응하는 엔트리 제어가 설정될 수 있으며, 정보 제시 페이지는 엔트리 제어를 통해 진입될 수 있다. 그 중에, 엔트리 제어는 캡쳐 페이지에서만 설정되거나 편집 페이지에서만 설정되거나, 또는 캡쳐 페이지와 편집 페이지 모두에서 설정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구현에서, 애플리케이션 1은 캡쳐 페이지의 제1 엔트리 제어를 위한 트리거(예: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전자 디바이스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애플리케이션 1은 편집 페이지에서 제3 엔트리 제어를 위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전자 디바이스에 스티커 페이지를 표시하며, 여기서 스티커 페이지는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제2 엔트리 제어를 포함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제2 엔트리 제어를 위한 트리거(예컨대, 클릭 동작)를 수신하고, 애플리케이션 1은 전자 디바이스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한다.
요약하면, 정보 제시 페이지는 엔트리 제어를 기반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진입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쳐 페이지의 제1 엔트리 제어(102)를 통해 정보 제시 페이지가 직접 진입될 수 있고, 즉, 제1 엔트리 제어(102)는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 제1 엔트리 제어이고; 다른 예로, 스티커 페이지가 도 1j에 도시된 실시예의 편집 페이지의 제3 엔트리 제어(107)를 통해 먼저 진입된 후, 스티커 페이지에서 제2 엔트리 제어(1091)를 기반으로 정보 제시 페이지가 진입되며, 이러한 방식은 정보 제시 페이지를 간접적으로 진입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3 엔트리 제어(107)는 위의 실시예에서 제3 엔트리 제어가고, 제2 엔트리 제어(1091)는 위의 실시예에서 제2 엔트리 제어이다.
그 중에, 정보 제시 페이지는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를 포함하고, 정보 제시 페이지의 정보는 하나 이상의 2차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댓글을 달거나 응답을 달아서 얻은 각각의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제시 페이지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 정보 제시 페이지의 정보는 수집된 댓글 정보, 수집된 답변 정보, 답변 초대에 대한 질문 정보, 답변 추천을 위한 질문 정보 등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제시 페이지에 표시되는 각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은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정보 제시 페이지는 도 1b 또는 도 1c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스티커 영역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영역은 상하로 정렬된 두 열로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더 많은 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1b~1c에 표시된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또는, 정보 제시 페이지는 도 1e 또는 도 1f에 도시된 방식으로 서로 다른 서브 제시 페이지에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정보 제시 페이지는 서로 다른 유형의 정보에 대응하는 서브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가 제공되고, 각각의 서브 제시 페이지에서,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스티커 영역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영역은 상하로 정렬된 2개의 열로 표시될 수 있으며, 물론 그 이상의 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1e~1f에 표시된 실시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정보 제시 페이지의 타겟 정보에 멀티미디어 형태로 응답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미지 자료는 전자 디바이스(즉, 전자 디바이스의 저장 모듈에 저장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에서 캡쳐 또는 기록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미지 자료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생성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촬영된 비디오/사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지속 시간, 종횡비, 음향 효과 등과 같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파라미터는 본 개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S202는,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S203은,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가 표시된다.
타겟 정보에는 정보 제시 페이지에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타겟 정보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형태로 응답하고자 하는 정보이다. 도 1d 내지 도 1o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캡쳐 페이지 및/또는 편집 페이지에 표시되는 이들 스티커 1(또는 스티커 1 및 스티커 2)은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이다.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1은 생성 페이지(즉, 캡쳐 페이지 및/또는 편집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표시하여 타겟 정보를 생성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연계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캡쳐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제1 엔트리 제어를 통해서만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추가하거나, 편집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제3 엔트리 제어를 통해서만 스티커 페이지에 진입한 후, 스티커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제2 엔트리 제어를 통해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추가할 수 있고, 캡쳐 페이지와 편집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엔트리 제어를 통해서도 각각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은 위에서 언급한 상황 1 내지 3에 각각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겠다.
S204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단계이다.
단계(203)에서,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추가함으로써,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정보와 결합시킬 수 있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 생성 후,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및 타겟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게시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출판 제어를 통해 게시할 수 있다.
그 중에,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표지에 대한 정보,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속하는 주제에 대한 정보, 알림을 받을 클라이언트를 지정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타겟 정보와 관련된 정보는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링크,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텍스트 콘텐츠, 타겟 정보의 표시 파라미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1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 및 타겟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서버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서버 디바이스가 타겟 정보와 관련된 클라이언트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중에, 타겟 정보에 관련된 클라이언트는, 타겟 정보를 게시하는 클라이언트, 타겟 정보에 "좋아요"를 누르는 클라이언트, 타겟 정보에 댓글/응답/질문을 하는 클라이언트,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게시하는 클라이언트,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좋아요"를 누르는 클라이언트,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댓글/응답을 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디바이스는 타겟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는 타겟 정보와 관련된 클라이언트들의 알림 페이지에 표시되고, 여기서 알림 페이지는 도 1q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물론 알림 페이지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에 있어서 알림 페이지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이 제한되지 아니한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1은 게시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획득하여 전자 디바이스에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으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페이지는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1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페이지에,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게시자, 타겟 정보의 표시를 트리거하기 위한 타겟 정보와 연관된 링크, 게시자가 멀티미디어의 형태로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경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게시자가 응답하는 텍스트 콘텐츠 등과 같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연관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복수의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타겟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스티커가 모두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페이지에 표시될 수 있으며, 타겟 정보의 각각과 관련된 정보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재생 페이지에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타겟 정보 쌍의 추가 시간 순서에 따라 위에서 아래 순으로 타겟 정보와 관련된 정보가 정렬되고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도 1p에 도시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겠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에 대한 엔트리 제어가 제공되고, 엔트리 제어에 따라 정보 제시 페이지에 진입되며, 응답하고자 하는 타겟 정보가 정보 제시 페이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어, 사용자 조작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으며; 그런 다음, 타겟 정보를 스티커 형태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표시하여, 생성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타겟 정보와 결합하고, 및 멀티미디어 형태로 타겟 정보에 대한 응답을 실현하여, 응답 매너를 풍부하게하고 타겟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을 높일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 및 게시할 확률을 높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응답 장치(information reply apparatus)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응답 장치(information reply apparatus)(300)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고, 및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모듈(displaying module)(301) - 여기서, 정보 제시 페이지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응답하여 얻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를 포함함 -,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receiving module)(302),
표시 모듈(301)은, 타겟 정보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고,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타겟 정보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응답 모듈(replying module)(303)을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302)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캡쳐 페이지의 제1 엔트리 제어에 대한 트리거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생성 페이지는 캡쳐 페이지를 포함하며, 표시 모듈(301)은 캡쳐 페이지의 제1 엔트리 제어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301)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편집 페이지에 스티커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고, 생성 페이지는 편집 페이지를 포함하며, 수신 모듈(302)은 스티커 페이지의 제2 엔트리 제어에 대한 트리거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표시 모듈(301)은 스티커 페이지의 제2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정보 제시 페이지를 제시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302)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편집 페이지 내의 제3 엔트리 제어 상의 트리거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표시 모듈(301)은 편집 페이지 내의 제3 엔트리 제어 상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편집 페이지 내에 스티커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며, 여기서 스티커 페이지는 제2 엔트리 제어를 포함하고, 제2 엔트리 제어는 정보 제시 페이지에 진입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은 동일하며,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는 두 개의 열에 표시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수신 모듈(302)은 정보 제시 페이지의 복수의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트리거를 각각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표시 모듈(301)은, 복수의 타겟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트리거에 응답하여, 복수의 타겟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스티커를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표시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301)은 특히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게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게시 페이지는 타겟 링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타겟 링크는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페이지에 표시되는 데 사용된다.
응답 모듈(303)은 게시 페이지의 게시 제어에서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타겟 링크를 게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응답 모듈(303)은 특히 서버 디바이스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타겟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어, 서버 디바이스가 타겟 정보와 연관된 클라이언트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알림 메시지는 타겟 정보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응답되었음을 연관된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응답 장치는 위에서 언급된 방법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구현 원리 및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므로, 간결성을 위해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 위에서 언급된 방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의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electronic device)(400)는 메모리(memory)(401) 및 프로세서(processor)(402)를 포함한다.
메모리(401)는 별도의 물리적 유닛일 수 있으며, 버스(bus)(403)를 통해 프로세서(402)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401)와 프로세서(402)는 하드웨어로 통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메모리(401)는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며, 프로세서(402)는 상기 방법 실시예 중 임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명령들을 호출한다.
선택적으로, 위의 실시예들의 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위의 전자 디바이스(400)는 프로세서(402)만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program)을 저장하는 메모리(401)는 전자 디바이스(400)의 외부에 위치되며, 프로세서(402)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읽고 실행하기 위해 회로/와이어(circuit/wire)를 통해 메모리와 연결된다.
프로세서(402)는 중앙 처리 장치(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P) 또는 CPU와 NP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402)는 하드웨어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하드웨어 칩은 애플리케이션별 집적 회로(ASIC),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PLD는 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C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FPGA), 일반 어레이 로직(generic array logic)(GAL)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401)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또한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는 또한 전술한 종류의 메모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방법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computer program 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판독가능 저장 매체라고도 함)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읽을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여 전자 디바이스가 임의의 방법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술 솔루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program product)을 제공한다.
이 백서에서 '제1', '제2'와 같은 관계적 용어는 한 개체 또는 운영을 다른 개체 또는 운영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이러한 개체 또는 운영 간의 실제 관계나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함하다(include)", "포함한다(including)" 또는 기타 변형된 용어는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비가 해당 요소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 또는 해당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비에 내재된 요소도 포함하는 비배타적 포함을 포괄하기 위한 것이다. 추가 제한 없이 "......을 포함(including a ....)"이라는 문장에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비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당업자는 본 개시를 이해하거나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많은 수정 사항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개시의 정신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칙은 다른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여기에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를 따를 것이다.

Claims (12)

  1. 정보 응답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고, 상기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정보에 대한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생성 페이지에 상기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응답하여 얻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생성 페이지에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상기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엔트리 제어의 상기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비디오 캡쳐 페이지의 제1 엔트리 제어에서 상기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캡쳐 페이지의 상기 제1 엔트리 제어에서 상기 트리거에 대한 응답하여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 페이지는,
    비디오 캡쳐 페이지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생성 페이지에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상기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엔트리 제어의 상기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편집 페이지에 스티커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티커 페이지의 제2 엔트리 제어에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를 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 페이지는,
    상기 편집 페이지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편집 페이지에 상기 스티커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상기 편집 페이지의 제3 엔트리 제어에서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편집 페이지의 상기 제3 엔트리 제어의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편집 페이지에 상기 스티커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커 페이지는,
    상기 제2 엔트리 제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엔트리 제어는,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각 정보 일부에 대응하는 각 영역은,
    동일한 폭을 가지고,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는 두 개의 열에 표시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상기 타겟 정보에 대한 상기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각각 복수의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트리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생성 페이지에 상기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스티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타겟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생성 페이지에 상기 복수의 타겟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스티커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에 상기 응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는 게시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게시 페이지의 게시 제어에서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상기 타겟 링크를 게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게시 페이지는,
    타겟 링크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링크는,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페이지에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에 상기 응답하는 단계는,
    서버 디바이스가 알림 메시지를 상기 타겟 정보와 연관된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도록,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상기 타겟 정보를 상기 서버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 메시지는,
    상기 연관된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타겟 정보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었음을 알리는 데 사용되는,
    방법.
  9. 정보 응답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페이지에 정보 제시 페이지를 진입하기 위한 엔트리 제어를 표시하고, 및 상기 엔트리 제어의 트리거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표시 모듈,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에서 타겟 정보에 대한 트리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모듈, 및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상기 타겟 정보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응답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제시 페이지는,
    각각의 대응하는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응답하여 얻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타겟 정보의 상기 트리거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기 생성 페이지에 상기 타겟 정보에 대응하는 스티커를 표시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0.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
    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응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디바이스.
  11.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응답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
    을 포함하는,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
    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전자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판독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여, 상기 전자 디바이스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정보 응답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제품.
KR1020247008959A 2021-09-02 2022-08-24 정보 응답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KR202400392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026992.1A CN115729416A (zh) 2021-09-02 2021-09-02 信息回复方法、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202111026992.1 2021-09-02
PCT/CN2022/114454 WO2023030122A1 (zh) 2021-09-02 2022-08-24 信息回复方法、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及程序产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228A true KR20240039228A (ko) 2024-03-26

Family

ID=8528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8959A KR20240039228A (ko) 2021-09-02 2022-08-24 정보 응답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99913B2 (ko)
KR (1) KR20240039228A (ko)
CN (1) CN115729416A (ko)
AU (1) AU2022338752A1 (ko)
WO (1) WO2023030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6197S (en) * 2021-09-02 2023-11-29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 Co Ltd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A210798S (en) * 2021-09-02 2024-01-17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 Co Ltd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5986B2 (en) * 2011-02-24 2017-05-09 Google Inc.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creating an electronic book with an umbrella policy
JP5485438B1 (ja) * 2013-03-12 2014-05-07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サー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872818A (zh) 2015-11-25 2016-08-1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发布视频评论的方法及系统
US20170192651A1 (en) * 2015-12-30 2017-07-06 Facebook, Inc. Editing photos over an online social network
US11257171B2 (en) * 2016-06-10 2022-02-22 Understory, LLC Data processing system for managing activities linked to multimedia content
US20190288972A1 (en) * 2018-03-18 2019-09-19 Phanto, Llc Reveal posts in a content sharing platform
CN108668176B (zh) 2018-04-18 2021-04-02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弹幕显示方法及装置
US10984183B1 (en) * 2018-09-26 2021-04-20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content
US10623917B1 (en) * 2018-10-08 2020-04-14 Facebook, Inc. Collaborative digital story system
CN109348299A (zh) 2018-11-08 2019-02-15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评论回复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0148659A2 (en) * 2019-01-18 2020-07-23 Rathod Yogesh Augmented reality based reactions, actions, call-to-actions, survey, accessing query specific cameras
US11611714B2 (en) * 2019-08-01 2023-03-21 Meta Platforms, Inc. Generating customized, personalized reactions to social media content
CN111638832A (zh) 2020-04-23 2020-09-0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展示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272302A (zh) 2020-09-17 2021-01-26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多媒体资源的展示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US11734751B2 (en) * 2020-09-30 2023-08-22 Meta Platforms, Inc. Social network launches and user queueing
CN113065081A (zh) 2021-02-24 2021-07-0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评论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99913B2 (en) 2024-02-13
AU2022338752A1 (en) 2024-03-21
US20230066583A1 (en) 2023-03-02
WO2023030122A1 (zh) 2023-03-09
CN115729416A (zh)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153288B (zh) 用于发布视频或图像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20240039228A (ko) 정보 응답 방법 및 장치, 전자 디바이스,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
US1138693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ltering video clip objects
JP2023536520A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装置及び機器
US11392287B2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for switching among multimedia resources
WO2023016363A1 (zh)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286201A (zh) 推荐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2199406A1 (zh) 应用程序的热点事件展示方法和电子设备
EP4343579A1 (en) Information replay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computer storage medium, and product
WO2023134427A1 (zh) 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495664A (zh) 基于媒体信息流的信息展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756249A (zh) 一种媒体数据的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4021047A (zh) 沉浸式活动系统中的信息展示方法和电子设备
CN114297519A (zh) 一种电子书推荐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23273692A1 (zh) 信息回复方法、装置、电子设备、计算机存储介质和产品
WO2023125249A1 (zh) 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625740A (zh) 图像显示方法、图像显示装置和电子设备
JP749558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ける注目イベントの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
WO2024083017A1 (zh) 用于内容呈现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3061057A1 (zh) 直播内容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2247585A1 (zh) 应用程序的热点事件展示方法、装置、设备、介质和产品
WO2023217122A1 (zh) 视频剪辑模板搜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279982A1 (zh) 商品评价方法、装置和客户端
CN116107459A (zh) 页面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97672A (ko) 컨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