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900A -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900A
KR20240038900A KR1020220117450A KR20220117450A KR20240038900A KR 20240038900 A KR20240038900 A KR 20240038900A KR 1020220117450 A KR1020220117450 A KR 1020220117450A KR 20220117450 A KR20220117450 A KR 20220117450A KR 20240038900 A KR20240038900 A KR 20240038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ate
transistor
semiconductor
condu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현
김형석
박희진
정민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900A/en
Priority to US18/322,765 priority patent/US20240065031A1/en
Priority to CN202311022746.8A priority patent/CN117594605A/en
Publication of KR2024003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9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01L27/122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with semiconductor materials not belonging to the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e.g. InGaZn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2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 H01L27/1229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active layer with different crystal properties within a device or betwee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hape of the interlayer dielectric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495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the conductor material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simple metal, e.g. W, Mo
    • H01L29/4958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the conductor material next to the insulator being a simple metal, e.g. W, Mo with a multiple 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6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capacitors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르면,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 및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도전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며, 오프닝을 가지는 유지 커패시터의 일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도전층;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3 게이트 도전층;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추가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추가 신호선은 저저항 물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embodiments,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for a driving transistor and a first semiconductor for a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including one electrode of a sustain capacitor having an open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second semiconductor for an oxide switching transistor; a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emiconductor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and an additional signal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wherei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and the additional signal line includes a low-resistance material.

Description

발광 표시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표시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이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휴대 전화, 내비게이션, 디지털 사진기, 전자 책, 휴대용 게임기, 각종 단말기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 기기들에 사용되고 있다.A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displays a screen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hese display devices are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navigation devices, digital cameras, e-books, portable game consoles, and various terminals.

표시 장치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 내에는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자와 이들 소자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arranged in row and column directions. Within each pixel, various elements, such as transistors and capacitors, and various wiring capable of supplying signals to these elements may be located.

이러한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등 다양한 소자는 다양한 타이밍으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제어되어 화상을 표시하며, 발광 표시 장치는 특정 휘도의 빛을 방출하도록 제어되어 화상을 표시한다.Various elements such as transistors and capacitors are controlled by signals applied at various timings to display images, and light-emitting display devices are controlled to emit light of specific luminance to display images.

실시예들은 고속 구동이 가능한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are intended to provid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pable of high-speed driving.

실시예들은 다결정 반도체에서 공정 중 탈 수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dehydrogenation is performed smoothly during the process in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thereby ensuring constant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 및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도전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며, 오프닝을 가지는 유지 커패시터의 일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도전층;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3 게이트 도전층;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추가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추가 신호선은 저저항 물질을 포함한다.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for a driving transistor and a first semiconductor for a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including one electrode of a sustain capacitor having an open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second semiconductor for an oxide switching transistor; a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emiconductor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and an additional signal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wherei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and the additional signal line includes a low-resistance material.

상기 추가 신호선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부층은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signal line may be formed of a double layer, with the lower layer containing aluminum and the upper layer containing titanium.

상기 제2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상기 제1 반도체층을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유지 커패시터의 상기 일 전극을 덮는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위치하는 추가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gate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an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one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wherein the additional signal line is connected to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and an additional contact hole located in the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film.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상기 추가 신호선을 덮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2 반도체층을 덮는 제3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3 게이트 도전층을 덮는 제2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additional signal line; a third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위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와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locat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위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ember locat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상기 추가 신호선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추가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는 상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추가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formed on the same layer and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dditional signal line,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hrough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제3 게이트 도전층보다 높은 층에 위치할 수 있다.The additional signal line may be located on a layer higher than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상기 제1 반도체층을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도전층을 덮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2 반도체층을 덮는 제3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3 게이트 도전층을 덮는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gate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a third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an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additional signal line may be located on the third additional gate insulating layer.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3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에 형성되어 있는 추가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additional signal li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and an additional contact hole formed in the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film. You can.

상기 추가 신호선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용 추가 신호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산화물 트랜지스터용 추가 신호선은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signal line for an oxide transistor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on the same layer as the additional signal line, and the additional signal line for the oxide transis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상기 산화물 트랜지스터용 추가 신호선은 상기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에 형성되어 있는 추가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additional signal line for the oxide transist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an additional contact hole formed in the third additional gate insulating film.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 및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도전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며, 오프닝을 가지는 유지 커패시터의 일 전극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추가 신호선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도전층;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2 반도체층; 및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3 게이트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게이트 도전층은 저저항 물질을 포함한다.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for a driving transistor and a first semiconductor for a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including an additional signal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lectrode of a sustain capacitor having an opening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second semiconductor for an oxide switching transistor; And a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emiconductor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wherei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low-resistance material.

상기 제2 게이트 도전층에 포함되는 상기 유지 커패시터의 상기 일 전극 및 상기 추가 신호선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구리를 포함하고, 상부층은 티타늄을 포함할 수 있다.The one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included in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additional signal line may be formed of a double layer, with the lower layer containing copper and the upper layer containing titanium.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상기 제1 반도체층을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위치하는 추가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gate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wherein the additional signal lin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an additional contact hole located in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there is.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와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실시예들에 따르면, 게이트 전극과 다른 물질이며, 저저항 물질로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신호선을 형성하여 발광 표시 장치가 고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According to embodiments, a signal lin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is formed using a low-resistance material that is different from the gate electrode, allowing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o be driven at high speed.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여 다결정 트랜지스터에 포함되는 반도체층이 공정 중에 수소가 충분히 제거될 수 있어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By forming the gate electrode with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hydrogen can be sufficiently removed from the semiconductor layer included in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during th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can be formed consistentl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하나의 화소의 회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에서 주파수에 따른 스캔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included in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
Figures 5 and 6 are diagrams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scan voltage according to frequency in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and regions. And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hicknesses of some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또한, 층, 막, 영역, 판,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component,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above" another part,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Also includes. Conversely, when a part is said to be “right on top” of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being “on” or “on” a reference part means being located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p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being located “above” or “on” the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on a plane,” this means when the target portion is viewed from above, and when referring to “in cross section,” this means when a cross section of the target portion is cut vertically and viewed from the side.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실질적으로 일체인 각 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connected" is used, this does not mean only when two or mor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but when two or more components ar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they are physically connected. This may include not only the case of being connected or electrical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each part, which is referred to by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location or function,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배선, 층, 막, 영역, 판,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라고 할 때, 이는 해당 방향으로 곧게 뻗은 직선 형상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전반적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일 부분에서 꺾이거나, 지그재그 구조를 가지거나, 곡선 구조를 포함하면서 연장되는 구조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ortion such as a wiring, layer, film, region, plate, or component is said to “extend in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this means only a straight shape extending in that direction. Rather, it is a structure that extends overall along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and also includes a structure that is bent at some part, has a zigzag structure, or extends while including a curved structure.

또한, 명세서에서 설명된 표시 장치, 표시 패널 등이 포함된 전자 기기(예를 들면, 휴대폰, TV,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등)나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표시 장치, 표시 패널 등이 포함된 전자 기기도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에서 배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electronic devices (e.g., mobile phones, TVs, monitors, laptop computers, etc.) containing display devices, display panels,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display devices, display panels, etc.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lectronic devices included herein are also not excluded from the scope of rights of this specifica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다양한 화소 구조 중 하나의 실시예를 도 1을 통하여 살펴본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to various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nd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one of various pixel structures will be examined through FIG. 1.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하나의 화소의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included in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는 여러 배선(127, 128, 151, 152, 153, 155, 171, 172, 741)들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트랜지스터(T1, T2, T3, T4, T5, T6, T7), 유지 커패시터(Cst), 부스트 커패시터(Cboost)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한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제외한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는 화소 회로부를 구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부스트 커패시터(Cboost)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추가 커패시터 또는 추가 부스트 커패시터가 형성될 수도 있다. One pix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istors (T1, T2, T3, T4, T5, T6) connected to several wires (127, 128, 151, 152, 153, 155, 171, 172, 741). , T7), a sustain capacitor (Cst), a boost capacitor (C boost ),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Here, transistors and capacitors excluding light emitting diodes (LEDs) constitute the pixel circuit uni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boost capacitor (C boost ) may be omitted. Meanwhi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 additional capacitor or an additional boost capacitor may be formed.

하나의 화소(PX)에는 복수의 배선(127, 128, 151, 152, 153, 155, 171, 172, 741)이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배선은 제1 초기화 전압선(127), 제2 초기화 전압선(128), 제1 스캔선(151), 제2 스캔선(152), 초기화 제어선(153), 발광 제어선(155), 데이터선(171), 구동 전압선(172) 및 공통 전압선(741)을 포함한다.A plurality of wires 127, 128, 151, 152, 153, 155, 171, 172, and 741 are connected to one pixel (PX). The plurality of wires include a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line 127, a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line 128, a first scan line 151, a second scan line 152, an initialization control line 153, a light emission control line 155, It includes a data line 171, a driving voltage line 172, and a common voltage line 741.

제1 스캔선(151)은 스캔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제1 스캔 신호(GW)를 제2 트랜지스터(T2) 및 제7 트랜지스터(T7)에 전달한다. 제2 스캔선(152)은 제1 스캔선(151)의 신호와 동일한 타이밍에 제1 스캔선(151)에 인가되는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스캔선(151)에 부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때, 제2 스캔선(152)에 정극성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2 스캔선(152)은 제2 스캔 신호(GC)를 제3 트랜지스터(T3)에 전달한다. 초기화 제어선(153)은 초기화 제어 신호(GI)를 제4 트랜지스터(T4)에 전달한다. 발광 제어선(155)은 발광 제어 신호(EM)를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에 전달한다.The first scan line 151 is connected to a scan driver (not shown) and transmits the first scan signal GW to the second transistor T2 and the seventh transistor T7. A voltage of opposite polarity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scan line 151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can line 152 at the same timing as the signal of the first scan line 151. For example, when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scan line 151, a positive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scan line 152. The second scan line 152 transmits the second scan signal GC to the third transistor T3. The initialization control line 153 transmits the initialization control signal GI to the fourth transistor T4. The emission control line 155 transmits the emission control signal EM to the fifth transistor T5 and the sixth transistor T6.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전압(DATA)을 전달하는 배선으로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ED)에 전달되는 발광 전류의 크기가 변하여 발광 다이오드(LED)가 발광하는 휘도도 변한다. 구동 전압선(172)은 구동 전압(ELVDD)을 인가한다. 제1 초기화 전압선(127)은 제1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하고, 제2 초기화 전압선(128)은 제2 초기화 전압(VAINT)을 전달한다. 공통 전압선(741)은 공통 전압(ELVSS)을 발광 다이오드(LED)의 캐소드로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전압선(172), 제1 및 제2 초기화 전압선(127, 128) 및 공통 전압선(741)에 인가되는 전압은 각각 일정한 전압일 수 있다.The data line 171 is a wire that transmits the data voltage (DATA) generated by the data driver (not shown), and the size of the light-emitting current transmitted to the light-emitting diode (LED) changes accordingly, causing the light-emitting diode (LED) to emit light. Luminance also changes. The driving voltage line 172 applies the driving voltage ELVDD.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line 127 transmits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VINT), and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line 128 transmits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VAINT). The common voltage line 741 applies the common voltage (ELVSS) to the cath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n this embodiment, the voltage applied to the driving voltage line 172, the first and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lines 127 and 128, and the common voltage line 741 may each be a constant voltage.

구동 트랜지스터(T1; 또는 제1 트랜지스터라고도 함)는 p형 트랜지스터로, 반도체층으로는 실리콘 반도체(이하 다결정 반도체 또는 제1 반도체라고도 함)를 가진다.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즉, 유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로 출력되는 발광 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트랜지스터이다.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 전극으로 출력되는 발광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LED)의 밝기가 조절되므로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DATA)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은 구동 전압(ELVDD)을 인가 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제5 트랜지스터(T5)를 경유하여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은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전극과도 연결되어 데이터 전압(DATA)도 인가 받는다.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은 발광 다이오드(LED)로 발광 전류를 출력하며, 제6 트랜지스터(T6; 이하 출력 제어 트랜지스터라고도 함)를 경유하여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은 제3 트랜지스터(T3)와도 연결되어, 제1 전극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DATA)을 제3 트랜지스터(T3)로 전달한다.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유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이하 '제2 유지 전극'이라고 함)과 연결되어 있다. 유지 커패시터(Cst)의 타 전극(이하 '제1 유지 전극이라고 함)은 구동 전압(ELVDD)을 전달받는다. 이에 유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에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이 변하고 그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T1)가 출력하는 발광 전류가 변경된다. 유지 커패시터(Cst)는 한 프레임 동안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3 트랜지스터(T3)와도 연결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으로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DATA)이 제3 트랜지스터(T3)를 지나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4 트랜지스터(T4)와도 연결되어 제1 초기화 전압(VINT)을 전달받아 초기화 될 수 있다. The driving transistor (T1; also referred to as the first transistor) is a p-type transistor and has a silicon semiconducto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or first semiconductor) as a semiconductor layer. It is a transistor that adjusts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current output to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e., the voltage stored in the sustain capacitor (Cst)). Since the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current output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light emitting brightness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DATA) applied to the pixel. . To this e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s arranged to receive the driving voltage ELVDD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voltage line 172 via the fifth transistor T5. Additionally, the first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to receive the data voltage DATA. Meanwhile, the second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outputs a light emitt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is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via the sixth transistor (T6;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output control transistor). there is. Additionally, the second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s connected to the third transistor T3, and transmits the data voltage DATA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to the third transistor T3. Meanwhile,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s connected to one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storage electrode') of the storage capacitor Cst. The other electr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maintenance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receives the driving voltage (ELVDD). Accordingly,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changes according to the voltage stored in the sustain capacitor (Cst), and the light emission current output by the driving transistor (T1) changes accordingly. The maintenance capacitor Cst serves to keep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constant during one frame. Meanwhile,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s also connected to the third transistor T3, so that the data voltage DATA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passes through the third transistor T3 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transistor T3. ) can be transmitted to the gate electrode. Meanwhile,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s also connected to the fourth transistor T4 and can be initialized by receiving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VINT.

제2 트랜지스터(T2)는 p형 트랜지스터로, 반도체층으로는 실리콘 반도체를 가진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 전압(DATA)을 화소내로 받아들이는 트랜지스터이다.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은 제1 스캔선(151) 및 부스트 커패시터(Cboost)의 일 전극(이하 '하부 부스트 전극'이라 함)과 연결되어 있다. 부스트 커패시터(Cboost)의 타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및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유지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1 전극은 데이터선(171)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2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스캔선(151)을 통해 전달되는 제1 스캔 신호(GW) 중 부극성의 전압에 의하여 제2 트랜지스터(T2)가 턴 온 되면, 데이터선(171)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전압(DATA)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으로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데이터 전압(DATA)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으로 전달되고 유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다. The second transistor T2 is a p-type transistor and has a silicon semiconductor as a semiconductor layer. The second transistor T2 is a transistor that receives the data voltage (DATA) into the pixel.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nected to the first scan line 151 and one electrode of the boost capacitor C boo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wer boost electrode'). The other electrode of the boost capacitor (C boost )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nd the second sustain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Meanwhile,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171,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When the second transistor (T2) is turned on by the negative voltage of the first scan signal (GW)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can line 151, the data voltag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line 171 This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nd finally, the data voltage (DATA) is transmit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nd stored in the sustain capacitor (Cst).

제3 트랜지스터(T3)는 n형 트랜지스터로, 반도체층으로는 산화물 반도체(이하 제2 반도체라고도 함)를 가진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 결과 데이터 전압(DATA)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만큼 보상된 후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유지 전극에 저장되도록 하는 트랜지스터이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이 제2 스캔선(152)과 연결되어 있고,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1 전극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2 전극은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유지 전극,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및 부스트 커패시터(Cboost)의 타 전극(이하 '상부 부스트 전극'이라 함)과 연결되어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제2 스캔선(152)을 통해 전달받은 제2 스캔 신호(GC) 중 정극성의 전압에 의하여 턴 온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과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을 연결시키고,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전압을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유지 전극으로 전달하여 유지 커패시터(Cst)에 저장시킨다. 이 때, 유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압은 구동 트랜지스터(T1)가 턴 오프될 때의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이 저장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Vth)값이 보상된 상태로 저장된다.The third transistor T3 is an n-type transistor and has an oxide semiconducto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second semiconductor) as a semiconductor layer. The third transistor T3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s a result, the data voltage DATA is compensated by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nd then stored in the second sustain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T3 is connected to the second scan line 152,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T3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The second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T3) is the second sustain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nd the other electrode of the boost capacitor (C boost ) (hereinafter referred to as 'upper boos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third transistor (T3) is turned on by the positive voltage of the second scan signal (GC)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can line 152,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nd the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sustain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and stored in the sustain capacitor (Cst). At this time, the voltage stored in the maintenance capacitor (Cst) is the voltage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when the driving transistor (T1) is turned off, so that the threshold voltage (Vth) valu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s stored. It is stored in a compensated state.

제4 트랜지스터(T4)는 n형 트랜지스터로, 반도체층으로는 산화물 반도체를 가진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및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유지 전극을 초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게이트 전극은 초기화 제어선(153)과 연결되어 있고,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1 전극은 제1 초기화 전압선(127)과 연결되어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의 제2 전극은 제3 트랜지스터(T3)의 제2 전극,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유지 전극,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및 부스트 커패시터(Cboost)의 상부 부스트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초기화 제어선(153)을 통해 전달받은 초기화 제어 신호(GI) 중 정극성의 전압에 의하여 턴 온 되며, 이 때, 제1 초기화 전압(VINT)을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유지 커패시터(Cst)의 제2 유지 전극, 및 부스트 커패시터(Cboost)의 상부 부스트 전극에 전달하여 초기화한다.The fourth transistor T4 is an n-type transistor and has an oxide semiconductor as a semiconductor layer. The fourth transistor T4 serves to initialize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nd the second sustain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s connected to the initialization control line 153,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s connected to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line 127.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he second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T3, the second sustain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nd the boost capacitor C boost .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boost electrode. The fourth transistor (T4) is turned on by the positive polarity voltage of the initialization control signal (GI) received through the initialization control line 153. At this time,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VINT) is applied to the driving transistor (T1). It is initialized by passing it to the gate electrode, the second sustain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and the upper boost electrode of the boost capacitor (C boost ).

제5 트랜지스터(T5) 및 제6 트랜지스터(T6)는 p형 트랜지스터로, 반도체층으로는 실리콘 반도체를 가진다. The fifth transistor (T5) and the sixth transistor (T6) are p-type transistors and have a silicon semiconductor as a semiconductor layer.

제5 트랜지스터(T5)는 구동 전압(ELVDD)을 구동 트랜지스터(T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은 발광 제어선(155)과 연결되어 있고, 제5 트랜지스터(T5)의 제1 전극은 구동 전압선(172)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5 트랜지스터(T5)의 제2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The fifth transistor T5 serves to transmit the driving voltage ELVDD to the driving transistor T1. The gate electrode of the fifth transistor T5 is connected to the emission control line 155,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fth transistor T5 is connected to the driving voltage line 172,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fth transistor T5 is connected to the driving voltage line 172.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제6 트랜지스터(T6)는 구동 트랜지스터(T1)에서 출력되는 발광 전류를 발광 다이오드(LED)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6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전극은 발광 제어선(155)과 연결되어 있고,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T1)의 제2 전극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2 전극은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와 연결되어 있다.The sixth transistor (T6) serves to transfer the light emission current output from the driving transistor (T1)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gate electrode of the sixth transistor (T6) is connected to the light emission control line 155, the first electrode of the sixth transistor (T6)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and the sixth transistor ( The second electrode of T6) is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제7 트랜지스터(T7)는 p형 또는 n형 트랜지스터로, 반도체층으로는 실리콘 반도체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6의 실시예에서 제7 트랜지스터(T7)는 p형 트랜지스터로, 실리콘 반도체를 포함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를 초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은 제1 스캔선(151)과 연결되어 있고,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1 전극은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7 트랜지스터(T7)의 제2 전극은 제2 초기화 전압선(128)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은 전단 화소의 제1 스캔선(151)과 연결되어, 동일한 화소(PX)에 속하는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제1 스캔선(151)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전단 화소(PX)의 제2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제1 스캔선(15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캔선(151) 중 부극성의 전압에 의해 제7 트랜지스터(T7)가 턴 온 되면 제2 초기화 전압(VAINT)이 발광 다이오드(LED)의 애노드로 인가되어 초기화된다. 한편, 제7 트랜지스터(T7)의 게이트 전극은 바이패스 신호(GB)가 전달되는 별도의 바이패스 제어선과 연결되어 제1 스캔선(151)과 별도의 배선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초기화 전압(VAINT)이 인가되는 제2 초기화 전압선(128)은 제1 초기화 전압(VINT)이 인가되는 제1 초기화 전압선(127)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seventh transistor T7 is a p-type or n-type transistor, and may have a silicon semiconductor or an oxide semiconductor as a semiconductor layer. In the embodiment of FIG. 26,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a p-type transistor and has a silicon semiconductor. Includes. The seventh transistor (T7) serves to initialize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gate electrode of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connected to the first scan line 151,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the seventh transistor T7 ) The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line 128. Here, the gate electrode of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connected to the first scan line 151 of the previous pixel, and the first scan line 151 is the same as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belonging to the same pixel (PX). ), but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can line 151, which is the same as th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of the front pixel PX. When the seventh transistor T7 is turned on by the negative voltage of the first scan line 151,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VAINT is applied to the anode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initialized. Meanwhile, the gate electrode of the seventh transistor T7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bypass control line through which the bypass signal GB is transmitted, and may be controlled through a separate wire from the first scan line 151.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line 128 to which the second initialization voltage VAINT is applied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line 127 to which the first initialization voltage VINT is applied.

하나의 화소(PX)가 7개의 트랜지스터(T1 내지 T7), 2개의 커패시터(유지 커패시터(Cst), 부스트 커패시터(Cboost))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부스트 커패시터(Cboost)가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추가 부스트 커패시터가 제3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 전극과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트랜지스터 및 제4 트랜지스터가 n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된 실시예이지만, 이 들 중 하나만 n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되거나 다른 트랜지스터(예를 들어 제7 트랜지스터 등)가 n형 트랜지스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one pixel (PX)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seven transistors (T1 to T7) and two capacitors (sustaining capacitor (Cst) and boost capacitor (C boost )),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boost capacitor (C boost ) may be excluded.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 additional boost capacitor may be form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of the third transistor T3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In addition, although the third transistor and the fourth transistor are formed as n-type transistors in an embodiment, only one of them may be formed as an n-type transistor, or the other transistor (for example, the seventh transistor, etc.) may be formed as an n-type transistor.

이상과 같이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에는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는 두 종류의 반도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두 종류의 반도체는 각각 다결정 반도체(제1 반도체라고도 함)와 산화물 반도체(제2 반도체라고도 함)이다. 이들은 각각 트랜지스터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다결정 반도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는 다결정 트랜지스터라고 하며,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는 산화물 트랜지스터라고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화소가 다결정 트랜지스터와 산화물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LED)에 구동 전류를 제공하는 구동 트랜지스터(T1)는 다결정 트랜지스터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1)를 제외한 나머지 트랜지스터는 모두 스위칭 트랜지스터라고도 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구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ixel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ntains two types of semiconductors located in different layers, and the two types of semiconductors are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s (also called first semiconductors) and oxide semiconductors (also called second semiconductors), respectively. . These are each included in a transistor, and hereinafter, a transistor containing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is referred to as a polycrystalline transistor, and a transistor containing an oxide semiconductor is referred to as an oxide transistor. In this way, one pixel may include a polycrystalline transistor and an oxide transistor, and the driving transistor T1, which provides driving current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s formed of a polycrystalline transistor. All transistors except the driving transistor (T1) are also called switching transistors, and switching transistors can be divided into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s and oxide switching transistors.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를 살펴본다. Hereinafter,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looked at through FIG. 2.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도 1의 제2 트랜지스터(T2), 제5 트랜지스터(T5), 제6 트랜지스터(T6) 및 제7 트랜지스터(T7)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도 1의 제3 트랜지스터(T3) 및 제4 트랜지스터(T4) 중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7 트랜지스터(T7)가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Figure 2, a driving transistor, a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an oxide switching transistor are representatively shown. Here,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on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the fifth transistor (T5), the sixth transistor (T6), and the seventh transistor (T7) of FIG. 1, and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one of the first transistor (T7) of FIG. 1. It may be one of the third transistor (T3) and the fourth transistor (T4).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venth transistor T7 may be formed as an oxide switching transistor.

도 2에 의하면, 기판(110), 베리어층(110-1), 및 버퍼층(111)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110)은 유리 등의 리지드(rigid)한 특성을 가져 휘지 않는 물질을 포함하거나 플라스틱이나 폴리 이미드(Polyimid)와 같이 휠 수 있는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 위에는 베리어층(110-1)이 위치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리어층(110-1)이 생략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Figure 2, the substrate 110, barrier layer 110-1, and buffer layer 111 are formed sequentially. The substrate 110 may include a material that has rigid properties and does not bend, such as glass, or may include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nd, such as plastic or polyimide. A barrier layer 110-1 is located on the substrate 110,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barrier layer 110-1 may be omitted.

베리어층(110-1)의 위에는 이를 덮는 버퍼층(111)이 위치한다. 버퍼층(111)은 제1 반도체층(ACT1)에 불순 원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리어층(110-1)과 버퍼층(111)의 사이에는 금속층(도 14의 BML 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A buffer layer 111 covering the barrier layer 110-1 is located on top of the barrier layer 110-1. The buffer layer 111 serves to block impurity elements from penetrating into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and may be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etal layer (see BML in FIG. 14) may be formed between the barrier layer 110-1 and the buffer layer 111.

버퍼층(111)의 위에는 다결정 반도체(P-Si)로 형성된 제1 반도체층(ACT1)이 위치한다. 도 2에서 제1 반도체층(ACT1)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반도체(ACT1-1; 이하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라고도 함)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반도체(ACT1-2;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라고도 함)로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도 1의 제2 트랜지스터(T2), 제5 트랜지스터(T5), 제6 트랜지스터(T6) 및 제7 트랜지스터(T7)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ACT1) 각각은 채널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에 의하여 도전층 특성을 가져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formed of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P-Si) is located on the buffer layer 111. In FIG. 2,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includes the first semiconductor of the driving transistor (ACT1-1;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first semiconductor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CT1-2; also referred to as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1 (also called semiconductors) are shown separately. Here,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on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the fifth transistor (T5), the sixth transistor (T6), and the seventh transistor (T7) of FIG. 1. Each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s (ACT1) includes a channel and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hannel,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have conductive layer characteristics by plasma treatment or doping, thereby forming the first region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It can serve a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제1 반도체층(ACT1)의 위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may be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 GE2)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로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gate electrodes (GE1 and GE2)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shown divided into a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서로 동일한 층(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 위치하며,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단일층의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몰리브덴(Mo)의 게이트 전극(GE1, GE2)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정 중의 탈 수소가 용이하게 발생하여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일정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며, 특히,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일정하도록 하여 일정한 출력 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re located on the same layer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and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at is,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r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In one embodiment,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f molybdenum (Mo). Here, the gate electrodes (GE1, GE2) of molybdenum (Mo) have the advantage of ensu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stor are constant by easily dehydrogenating during the process, as shown in FIG. 4.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are constant. This ensures that a constant output current can be generated.

제1 게이트 도전층을 형성한 후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 공정을 수행하여 제1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을 도체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가려진 제1 반도체층(ACT1)은 도체화되지 않고, 제1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제1 반도체층(ACT1)의 부분은 도전층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fter forming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a plasma treatment or dop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make the exposed area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covered by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not conductive, and the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not covered by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conductive layer. You can.

제1 게이트 도전층 및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A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may be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 유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CE)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유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CE)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중첩하여 유지 커패시터(Cst)를 이루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오프닝(CEop)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게이트 도전층은 스캔선, 제어선, 또는 전압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게이트 도전층은 단일층의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one electrode (C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One electrode (C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overlaps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to form the sustain capacitor (Cst), and an opening (CEop) overlaps a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You can have i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can line, a control line, or a voltage line.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copper (Cu), molybdenum (Mo), aluminum (Al), or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f molybdenum (Mo).

제2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이 위치할 수 있다.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An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1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The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1 may be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의 위에는 추가 신호선(ASL1)을 포함하는 추가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추가 신호선(ASL1)은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에 위치하는 콘택홀을 통하여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추가 신호선(ASL1)은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와 같인 저저항 물질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신호선(ASL1)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되고, 상부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몰리브덴(Mo)의 경우 240Hz로 구동시 신호 지연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도 2에서는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저항 특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하는 추가 신호선(ASL1)을 더 포함하여, 240Hz의 고속 구동시에도 충분한 전압값을 가지는 스캔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고, 저항에 따른 지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An additional conductive layer including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additional gate insulating layer 142-1.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and the contact hole located in the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1.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includes a low-resistance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or copper (Cu).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formed of a double layer, and the lower layer is formed of aluminum (Al), The upper layer may be formed of titanium (Ti). Referring to Figure 7, molybdenum (Mo)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a signal delay when driven at 240Hz, so in Figure 2,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contains a metal with low resistance characteristics.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to ensure that a scan signal with a sufficient voltage value is transmitted even during high-speed driving at 240Hz and to prevent problems with delay due to resistance.

추가 도전층의 위에는 제1 층간 절연막(16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61)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기 절연 물질을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may be positioned on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may be formed thickly. .

제1 층간 절연막(161) 위에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채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반도체(ACT2; 이하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라고도 함)를 포함하는 제2 반도체층이 위치할 수 있다.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second semiconductor (ACT2;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second semiconductor for oxide switching transistor) including the channel, first region, and second region of the oxide transistor will be locat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You can.

제2 반도체층 위에는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은 제2 반도체층 및 제1 층간 절연막(161) 위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A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The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be loc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61. The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제3 게이트 절연막(143) 위에는 산화물 트랜지스터(또는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을 포함하는 제3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은 채널과 중첩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도전층은 스캔선이나 제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도전층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transistor (or oxid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transistor may overlap the channel.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can line or a control line.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contain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copper (Cu), molybdenum (Mo), aluminum (Al), or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made of molybdenum (Mo).

제3 게이트 도전층을 형성한 후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 공정을 수행하여 제2 반도체(ACT2)의 노출된 영역을 도체화시킬 수 있다. 즉, 제3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가려진 제2 반도체(ACT2)는 도체화되지 않고, 제3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제2 반도체(ACT2)의 부분은 도전층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fter forming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a plasma treatment or dop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make the exposed area of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conductive. That is,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covered by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s not conductive,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not covered by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conductive layer. .

제3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제2 층간 절연막(16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62)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62)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질산화규소(SiOxNy)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nitride (SiNx),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OxNy), and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제2 층간 절연막(162)의 위에는 다결정 트랜지스터 및 산화물 트랜지스터 각각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A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connection memb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each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and the oxid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도 2에서 제1 데이터 도전층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1),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2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DE1),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CM2),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2, DE2), 그리고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3, DE3)를 포함하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3)와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2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DE1)는 일체로 연결되어 연결 부재(CM1)을 구성한다. 즉, 연결 부재(CM1)에 의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ACT1-1)와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ACT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FIG. 2,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SE1)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a connecting member (DE1)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connecting member (DE1)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CM2), connecting members (SE2, DE2)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connecting members (SE3, DE3)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A connection member SE3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and a connection member DE1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are integrally connected to form the connection member CM1.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ACT1-1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member CM1.

제1 데이터 도전층은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aluminum (Al), copper (Cu), molybdenum (Mo),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제1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유기막이 위치할 수 있으며, 유기막 위에는 애노드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의 위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4에서 살펴본다.An organic layer may be located on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and an anode may be located on the organic layer. The above structure of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examined in FIG. 14.

이상에서는 단면 구조를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하여 추가 신호선(ASL1)을 중심으로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를 살펴본다. In the above,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was examined, and below, the schematic planar structur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is examined with reference to FIG. 3 centered on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

도 3을 참고하면,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반도체(ACT1-2)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이 연장되어 있고,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에 수직한 방향으로 추가 신호선(ASL1)이 연장되어 있다. 추가 신호선(ASL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오프닝(D-CNT)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추가 신호선(ASL1)은 발광 표시 장치의 비표시 영역까지 연장되어 스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스캔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반도체(ACT1-2) 및 게이트 전극(GE2)은 하나의 화소 내에서만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되어 있는 각 부분(ASL1, GE2, ACT1_2)의 방향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열 방향이므로, 도 3과 다른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semiconductor (ACT1-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extends in one direction,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is,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GE2) extends in one direction.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lectrode (GE2).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opening (D-CNT).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extends to the non-display area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can receive a scan signal from a scan driver (not shown). In contrast, the first semiconductor (ACT1-2) and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can be located only within one pixel. Since the direction of each part (ASL1, GE2, ACT1_2) shown in FIG. 3 is an arrangement dir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y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FIG. 3.

이상과 같은 도 2 및 도 3의 구조는 도 4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ructures of FIGS. 2 and 3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s that of FIG. 4.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

도 4에서는 반도체 또는 도전체의 적층 단계(DEP1 내지 DEP7), 식각 단계(ET1 내지 ET8), 및 절연막 적층 단계(IDEP1 내지 IDEP5)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며,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단계일수록 먼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In Figure 4, it is shown divided into a semiconductor or conductor stacking step (DEP1 to DEP7), an etching step (ET1 to ET8), and an insulating film stacking step (IDEP1 to IDEP5), with the step located at a lower position being performed first. It is showing.

구체적으로, 도 4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반도체(ACT1)를 적층(DEP1)하고, 제1 반도체(ACT1)를 식각(ET1)한 후,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을 적층(IDEP1)한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4,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is stacked (DEP1),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is etched (ET1), and then the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is stacked (IDEP1). do.

그 후, 제1 게이트 도전층(GAT1)을 적층(DEP2)하고, 제1 게이트 도전층(GAT1)을 식각(ET2)한 후,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적층(IDEP2)한다. 여기서, 제1 게이트 도전층(GAT1)에 포함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 및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모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fter that,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is stacked (DEP2),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is etched (ET2), and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is stacked (IDEP2). Here,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included i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may both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can be formed.

그 후,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을 적층(DEP3)하고,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을 식각(ET3)한 후,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을 적층(IDEP2-1)한다. 여기서,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은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After that,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is stacked (DEP3),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is etched (ET3), and an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1 is stacked (IDEP2-1). )do. Here,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may include various metals, and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그 후,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에 추가 콘택홀(CNT1)을 형성(ET3-1)한다. 추가 콘택홀(CNT1)에 의하여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이 노출될 수 있다.Afterwards, an additional contact hole (CNT1) is formed (ET3-1) in 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 and the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1.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exposed by the additional contact hole (CNT1).

그 후, 추가 도전층(CMTL)을 적층(DEP4)하고, 추가 도전층(CMTL)을 식각(ET4)한 후, 제1 층간 절연막(161)을 적층(IDEP3)한다. 여기서, 추가 도전층(CMTL)은 저저항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되고, 상부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After that, an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is stacked (DEP4),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is etched (ET4), and the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is stacked (IDEP3). Here,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may include a low-resistance metal, and in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double layer, with the lower layer being formed of aluminum (Al) and the upper layer being formed of titanium (Ti).

그 후, 제2 반도체(ACT2)를 적층(DEP5)하고, 제2 반도체(ACT2)를 식각(ET5)한 후,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을 적층(IDEP4)한다. 그 후,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을 적층(DEP6)하고,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을 식각(ET6)한 후, 제2 층간 절연막(162)을 적층(IDEP5)한다. 여기서,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은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fterwards,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is stacked (DEP5),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is etched (ET5), and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is stacked (IDEP4). After that,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is stacked (DEP6),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is etched (ET6), and the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is stacked (IDEP5). Here,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may include various metals, and in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그 후,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 제1 층간 절연막(161), 제3 게이트 절연막(143), 및 제2 층간 절연막(162)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에 콘택홀(CNT2)을 형성(ET7)한다. 여기서, 콘택홀(CNT2)은 두 종료의 콘택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콘택홀은 제1 반도체(ACT1), 제1 게이트 도전층(GAT1), 제2 게이트 도전층(GAT2), 및 추가 도전층(CMTL)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이고, 제2 콘택홀은 제2 반도체(ACT2) 및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콘택홀과 제2 콘택홀은 서로 다른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Afterwards, the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the second additional gate insulating film 142-1,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and the second interlayer. A contact hole (CNT2) is formed (ET7) in at least one of the insulating films 162. Here, the contact hole (CNT2) can be divided into two end contact holes, and the first contact hole includes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and the additional contact hole. It is a contact hole that exposes the conductive layer (CMTL), and the second contact hole may be a contact hole that exposes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and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hole and the second contact hole may be formed in different processes.

그 후, 제1 데이터 도전층을 적층(DEP7)하고 제1 데이터 도전층을 식각(ET8)한다.Afterwards,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stacked (DEP7) and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etched (ET8).

제1 데이터 도전층의 상부의 구조는 도 14에서 살펴본다.The struc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examined in FIG. 14.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몰리브덴(Mo)으로 형성하는 경우의 특징을 비교예와 비교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through FIGS. 5 and 6,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se where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is formed of molybdenum (Mo) will be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도 5 및 도 6은 비교예와 실시예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도면이다.Figures 5 and 6 are diagrams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comparative examples and examples.

도 5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몰리브덴(Mo)으로 형성한 실시예이며, 도 6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몰리브덴(Mo)이 아닌 저저항 금속인 알루미늄(Al)으로 형성한 비교예이다.Figure 5 is an exampl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is formed of molybdenum (Mo), and Figure 6 is a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is formed of aluminum (Al), a low-resistance metal, rather than molybdenum (Mo).

비교예인 도 6을 참고하면,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으로 인하여, 절연막에 형성된 오프닝(PCNT)을 통하여 제1 반도체(ACT1)의 내에 위치하는 수소가 외부로 제거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일 실시예인 도 5를 참고하면, 몰리브덴(Mo)으로 형성한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반도체(ACT1)의 내에 위치하는 수소가 오프닝(PCNT)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지 않는다. 그 결과 제1 반도체(ACT1)의 탈 수소 현상이 충분히 발생하게 되므로, 구동 트랜지스터가 가지는 구동 범위를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고,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도 일정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ure 6, which is a comparative example, due to the gate electrode formed of aluminum (Al), hydrogen located within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is not re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PCNT) formed in the insulating film. In contrast, referring to FIG. 5, which is an embodiment,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made of molybdenum (Mo) does not prevent hydrogen located within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PCNT). As a result, the dehydrogenation phenomen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sufficiently occurs, so the driving range of the driving transistor can be secured consistent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also have the advantage of being constant.

한편, 게이트 전극을 몰리브덴(Mo)으로 형성하는 경우 고속 구동시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 7을 통하여 살펴본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gate electrode is formed of molybdenum (Mo),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may occur during high-speed driving, which will be examined in Figure 7.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에서 주파수에 따른 스캔 전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scan voltage according to frequency in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에서는 신호선을 몰리브덴(Mo)으로 형성한 실시예와 알루미늄(Al)으로 형성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동 주파수에 따른 스캔 신호(GW)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A)에서는 120Hz의 구동 주파수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B)에서는 240Hz의 구동 주파수로 동작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7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n signal (GW) accor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for an embodiment in which the signal line is formed of molybdenum (Mo) and an embodiment in which the signal line is formed of aluminum (Al). Additionally, Figure 7(A) shows a case of operating at a driving frequency of 120 Hz, and Figure 7(B) shows a case of operating at a driving frequency of 240 Hz.

도 7(A)를 참고하면, 120Hz의 구동 주파수에서는 신호선을 몰리브덴(Mo)으로 형성하거나 알루미늄(Al)으로 형성하거나 모두 스캔 신호(GW)가 일정 레벨 이하의 전압을 일정 기간이상 가져 120Hz로 구동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A), at a driving frequency of 120Hz, the signal line is formed of molybdenum (Mo) or aluminum (Al), or the scan signal (GW) has a voltage below a certain level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is driven at 120Hz. You can confirm that there is no problem.

하지만, 도 7(B)를 참고하면, 240Hz의 구동 주파수에서는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된 신호선으로 전달되는 스캔 신호(GW)는 일정 레벨 이하의 전압을 일정 기간이상 가져 240Hz로 구동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된 신호선으로 전달되는 스캔 신호(GW)는 전압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아서 스캔 신호로서 동작하기 어려워 240Hz로 구동시 데이터 전압(DATA)이 충분히 충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240Hz 및 이에 준하는 고속 구동을 위해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몰리브덴(Mo)으로 형성한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저저항을 가지는 추가 신호선(ASL1)을 형성하여 신호가 지연되지 않도록 하여 240Hz의 고속 구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신호선(ASL1)은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와 같인 저저항 물질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신호선(ASL1)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되고, 상부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referring to FIG. 7(B), at a driving frequency of 240Hz, the scan signal (GW) transmitted through a signal line made of aluminum (Al) has a voltage below a certain leve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ere is no problem in driving at 240Hz. The scan signal (GW) transmitted through a signal line made of molybdenum (Mo) is difficult to operate as a scan signal because the voltage is not low enough, resulting in a problem in which the data voltage (DATA) is not sufficiently charged when driven at 240Hz.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n which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is made of molybdenum (Mo) for 240Hz and equivalent high-speed driving,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with low resistance is formed to prevent the signal from being delayed, thereby enabling high-speed driving at 240Hz. It can be made possible. Here,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includes a low-resistance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or copper (Cu), and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formed of a double layer, and the lower layer is formed of aluminum (Al). and the upper layer may be formed of titanium (Ti).

도 5 및 도 7의 특징을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다결정 트랜지스터 중 하나인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하여 탈 수소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하지만,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저항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추가 신호선(ASL1)을 형성하여 240Hz의 고속 구동에서도 신호 지연 및 충전률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저항을 가지는 물질로는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를 사용할 수 있다.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FIGS. 5 and 7, in this embodiment,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which is one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s,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to facilitate dehydrogenation, and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The gate electrode of at least one transistor among the switching transistors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it and forms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containing a low-resistance material, so that it can be operated even at high speed of 240 Hz. Avoid problems with signal delay and low charging rates. In this embodiment, aluminum (Al) or copper (Cu) can be used as a material having low resistance.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통하여 도 2 및 도 4와 다른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며, 먼저,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를 살펴본다.Hereinafter, another modified embodiment different from FIGS. 2 and 4 will be looked at through FIGS. 8 to 13, and first, the embodiment of FIGS. 8 and 9 will be looked at.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도 2 및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추가 도전층(CMTL)에 추가 연결 부재(ASL2)를 더 형성하고, 추가 연결 부재(ASL2)를 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연결 부재(CM2)를 연결한다. 8 and 9, unlike the embodiment of FIGS. 2 and 4, an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is further formed on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and the gate of the driving transistor is connected through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Connect the electrode (GE1) and the connecting member (CM2).

도 8을 참고하면, 도 2와 달리,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의 위에 위치하는 추가 도전층에는 추가 신호선(ASL1)외에 추가 연결 부재(ASL2)가 더 형성되어 있다. 추가 연결 부재(ASL2)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에 위치하는 콘택홀을 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추가 연결 부재(ASL2)는 추가 신호선(ASL1)과 같이,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와 같인 저저항 물질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신호선(ASL1)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되고, 상부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unlike FIG. 2, in addition to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an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is formed in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located on the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1.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through 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 and the contact hole located in the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1.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like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includes a low-resistance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or copper (Cu), and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formed of a double layer, with the lower layer It may be formed of aluminum (Al), and the upper layer may be formed of titanium (Ti).

추가 연결 부재(ASL2)는 제1 층간 절연막(161), 제3 게이트 절연막(143), 및 제2 층간 절연막(162)으로 덮여 있으며, 제1 층간 절연막(161), 제3 게이트 절연막(143), 및 제2 층간 절연막(162)에 형성된 콘택홀에 의하여 제1 데이터 도전층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CM2)와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추가 연결 부재(ASL2)를 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연결 부재(CM2)를 연결되어 있다.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is covered with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a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and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and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and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CM2 located in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by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As a result,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connection member (CM2) are connected through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도 2 및 도 4의 실시예와 전체 공정에서 차이가 없어, 도 9와 도 4는 동일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mbodiments of FIGS. 8 and 9 are no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of FIGS. 2 and 4 in overall process, so FIGS. 9 and 4 may include the same steps.

도 9의 실시예에서 도 4와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bodiment of FIG. 9 and FIG. 4 are explained as follows.

도 9의 추가 콘택홀(CNT1)을 형성(ET3-1)하는 단계에서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에 추가 콘택홀(CNT1)을 형성하여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뿐만 아니라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을 노출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forming the additional contact hole (CNT1) (ET3-1) in FIG. 9, the additional contact hole (CNT1) is formed in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and the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1 to form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driving transistor as well as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may be exposed.

그 후, 추가 도전층(CMTL)을 적층(DEP4)하고, 추가 도전층(CMTL)을 식각(ET4)하는 단계에서는 추가 신호선(ASL1)뿐만 아니라 추가 연결 부재(ASL2)도 형성한다. 추가 연결 부재(ASL2)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 및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142-1)에 추가 콘택홀(CNT1)을 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연결될 수 있다.Thereafter, in the step of stacking (DEP4)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and etching (ET4)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not only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but also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is formed.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through 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 and the additional contact hole CNT1 in the second additional gate insulating layer 142-1.

그 후, 콘택홀(CNT2)을 형성(ET7)하는 단계에서는 연결 부재(CM2)가 형성될 위치의 콘택홀(CNT2)로 추가 연결 부재(ASL2)의 상부면을 노출시킨다. 그 후, 제1 데이터 도전층을 적층(DEP7)하고 제1 데이터 도전층을 식각(ET8)하는 단계에서 연결 부재(CM2)를 형성한다. 그 결과, 연결 부재(CM2)와 추가 연결 부재(ASL2)가 연결되며, 추가 연결 부재(ASL2)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연결되어 연결 부재(CM2)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연결될 수 있다.Thereafter, in the step of forming the contact hole (CNT2) (ET7), the upper surface of the additional connecting member (ASL2) is exposed to the contact hole (CNT2) at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member (CM2) is to be formed. Afterwards, a connection member (CM2) is formed in the step of stacking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DEP7) and etching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ET8). As a result, the connection member (CM2) and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are connected, and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ASL2)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CM2)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 can be connected to.

그 외 모든 단계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으며,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3의 실시예가 가지는 특징을 모두 가질 수 있다.All other steps may b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FIG. 4, and the embodiments of FIGS. 8 and 9 may have all the features of the embodiments of FIGS. 2 and 3.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of FIGS. 10 and 11 will be looked at in detail.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0 .

도 10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추가 도전층이 제3 게이트 도전층과 제1 데이터 도전층의 사이에 형성되며, 두 개의 추가 신호선(ASL1, ASL3)을 형성하여 각각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과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In the embodiment of FIG. 10,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2, an additional conduct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and two additional signal lines (ASL1 and ASL3) are formed to perform polycrystalline switching, respectively.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도 10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으며,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내용 중 중복되는 일부 내용은 생략하였다.Looking at the embodiment of FIG. 10 in detail, it is as follows, and some overlapping contents among the contents described in FIGS. 2 and 4 have been omitted.

도 10에 의하면, 기판(110), 베리어층(110-1), 및 버퍼층(111)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리어층(110-1)이 생략될 수도 있다. 베리어층(110-1)의 위에는 이를 덮는 버퍼층(111)이 위치한다. 버퍼층(111)은 제1 반도체층(ACT1)에 불순 원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리어층(110-1)과 버퍼층(111)의 사이에는 금속층(도 14의 BML 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ure 10, the substrate 110, barrier layer 110-1, and buffer layer 111 are formed sequential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barrier layer 110-1 may be omitted. A buffer layer 111 covering the barrier layer 110-1 is located on top of the barrier layer 110-1. The buffer layer 111 may serve to block impurity elements from penetrating into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etal layer (see BML in FIG. 14) may be formed between the barrier layer 110-1 and the buffer layer 111.

버퍼층(111)의 위에는 다결정 반도체(P-Si)로 형성된 제1 반도체층(ACT1)이 위치한다. 도 8에서 제1 반도체층(ACT1)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반도체(ACT1-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반도체(ACT1-2)로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도 1의 제2 트랜지스터(T2), 제5 트랜지스터(T5), 제6 트랜지스터(T6) 및 제7 트랜지스터(T7)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ACT1) 각각은 채널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에 의하여 도전층 특성을 가져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formed of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P-Si) is located on the buffer layer 111. In FIG. 8,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is shown divided into a first semiconductor (ACT1-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first semiconductor (ACT1-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Here,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on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the fifth transistor (T5), the sixth transistor (T6), and the seventh transistor (T7) of FIG. 1. Each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s (ACT1) includes a channel and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hannel,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have conductive layer characteristics by plasma treatment or doping, thereby forming the first region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It can serve a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제1 반도체층(ACT1)의 위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이 위치할 수 있다. 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 GE2)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로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단일층의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몰리브덴(Mo)의 게이트 전극(GE1, GE2)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정 중의 탈 수소가 용이하게 발생하여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일정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며, 특히,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일정하도록 하여 일정한 출력 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gate electrodes (GE1 and GE2)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shown divided into a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Here,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r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In one embodiment,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f molybdenum (Mo). Here, the gate electrodes (GE1, GE2) of molybdenum (Mo) have the advantage of ensu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stor are constant by easily dehydrogenating during the process, as shown in FIG. 4.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are constant. This ensures that a constant output current can be generated.

제1 게이트 도전층을 형성한 후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 공정을 수행하여 제1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을 도체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가려진 제1 반도체층(ACT1)은 도체화되지 않고, 제1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제1 반도체층(ACT1)의 부분은 도전층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fter forming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a plasma treatment or dop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make the exposed area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covered by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not conductive, and the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not covered by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conductive layer. You can.

제1 게이트 도전층 및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이 위치할 수 있다. A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 유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CE)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유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CE)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중첩하여 유지 커패시터(Cst)를 이루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오프닝(CEop)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게이트 도전층은 스캔선, 제어선, 또는 전압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게이트 도전층은 단일층의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one electrode (C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One electrode (C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overlaps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to form the sustain capacitor (Cst), and an opening (CEop) overlaps a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You can have i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can line, a control line, or a voltage line.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copper (Cu), molybdenum (Mo), aluminum (Al),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example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f molybdenum (Mo).

제2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제1 층간 절연막(161)이 위치할 수 있다.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제1 층간 절연막(161) 위에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채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반도체(ACT2)를 포함하는 제2 반도체층(산화물 반도체층)이 위치할 수 있다.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xide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second semiconductor (ACT2) including a channel,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of the oxide transistor may be locat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제2 반도체층 위에는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은 제2 반도체층 및 제1 층간 절연막(161) 위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A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The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be loc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61.

제3 게이트 절연막(143) 위에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을 포함하는 제3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은 채널과 중첩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도전층은 스캔선이나 제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도전층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transistor may overlap the channel.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can line or a control line.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copper (Cu), molybdenum (Mo), aluminum (Al),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the example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made of molybdenum (Mo).

제3 게이트 도전층을 형성한 후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 공정을 수행하여 제2 반도체(ACT2)의 노출된 영역을 도체화시킬 수 있다. 즉, 제3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가려진 제2 반도체(ACT2)은 도체화되지 않고, 제3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제2 반도체(ACT2)의 부분은 도전층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fter forming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a plasma treatment or dop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make the exposed area of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conductive. That is,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covered by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s not conductive,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not covered by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conductive layer. .

제3 게이트 도전층의 위에는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143-1)이 위치할 수 있다.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143-1)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An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1 may be located on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The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1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includ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143-1)의 위에는 두 개의 추가 신호선(ASL1, ASL3)을 포함하는 추가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두 개의 추가 신호선(ASL1, ASL3)은 각각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 및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신호선(ASL1)은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제1 층간 절연막(161), 제3 게이트 절연막(143), 및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143-1)에 위치하는 콘택홀을 통하여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추가 신호선(ASL3; 이하 산화물 트랜지스터용 추가 신호선이라고도 함)은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143-1)에 위치하는 콘택홀을 통하여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추가 신호선(ASL1, ASL3)은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와 같인 저저항 물질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신호선(ASL1, ASL3)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되고, 상부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몰리브덴(Mo)의 경우 240Hz로 구동시 신호 지연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도 10에서는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 및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저항 특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하는 추가 신호선(ASL1, ASL3)을 더 포함하여, 240Hz의 고속 구동시에도 충분한 전압값을 가지는 스캔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고, 저항에 따른 지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An additional conductive layer including two additional signal lines ASL1 and ASL3 may be located on the third additional gate insulating layer 143-1. The two additional signal lines (ASL1 and ASL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connects the contact holes located in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and the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1.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In addition,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3;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the additional signal line for oxide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a contact hole located in the third additional gate insulating film 143-1. The additional signal lines (ASL1, ASL3) include a low-resistance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or copper (Cu). The additional signal lines (ASL1, ASL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formed of a double layer, and the lower layer is aluminum (Al). and the upper layer may be formed of titanium (Ti). Referring to FIG. 7, molybdenum (Mo)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signal delay when driven at 240 Hz, so in FIG. 1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and further includes additional signal lines (ASL1, ASL3) containing metal with low resistance characteristics, so that a scan signal with a sufficient voltage value is transmitted even when driving at high speed of 240Hz, and there is a problem of delay due to resistance. Avoid doing so.

추가 도전층 위에는 제2 층간 절연막(16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62)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be positioned on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제2 층간 절연막(162)의 위에는 다결정 트랜지스터 및 산화물 트랜지스터 각각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A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connection memb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each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and the oxid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도 10에서 제1 데이터 도전층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1),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2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DE1),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CM2),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2, DE2), 그리고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3, DE3)를 포함하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3)와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2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DE1)는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FIG. 10,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SE1)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a connection member (DE1)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connection member (DE1)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CM2), connecting members (SE2, DE2)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connecting members (SE3, DE3)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The connection member SE3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connection member DE1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tegrally connected.

제1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유기막이 위치할 수 있으며, 유기막 위에는 애노드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의 위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4에서 살펴본다.An organic layer may be located on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and an anode may be located on the organic layer. The above structure of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examined in FIG. 14.

이상에서는 단면 구조를 살펴보았으며, 평면 구조는 도 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In the above,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was examined, and the planar structure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in FIG. 3.

이상과 같은 도 10의 구조는 도 11과 같은 제조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FIG. 10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s that of FIG. 11.

도 11에서는 반도체 또는 도전체의 적층 단계(DEP1 내지 DEP7), 식각 단계(ET1 내지 ET8), 및 절연막 적층 단계(IDEP1 내지 IDEP5)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며,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단계일수록 먼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In Figure 11, the semiconductor or conductor stacking steps (DEP1 to DEP7), the etching steps (ET1 to ET8), and the insulating film stacking steps (IDEP1 to IDEP5) are shown, with the steps located at lower positions being performed first. It is showing.

구체적으로, 도 11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반도체(ACT1)를 적층(DEP1)하고, 제1 반도체(ACT1)를 식각(ET1)한 후,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을 적층(IDEP1)한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11,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is stacked (DEP1),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is etched (ET1), and then the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is stacked (IDEP1). do.

그 후, 제1 게이트 도전층(GAT1)을 적층(DEP2)하고, 제1 게이트 도전층(GAT1)을 식각(ET2)한 후,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적층(IDEP2)한다. 여기서, 제1 게이트 도전층(GAT1)에 포함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 및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모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fter that,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is stacked (DEP2),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is etched (ET2), and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is stacked (IDEP2). Here,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included i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may both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can be formed.

그 후,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을 적층(DEP3)하고,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을 식각(ET3)한 후, 제1 층간 절연막(161)을 적층(IDEP3)한다. 여기서,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은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After that,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is stacked (DEP3),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is etched (ET3), and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is stacked (IDEP3). Here,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may include various metals, and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그 후, 제2 반도체(ACT2)를 적층(DEP4)하고, 제2 반도체(ACT2)를 식각(ET4)한 후,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을 적층(IDEP4)한다. 그 후,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을 적층(DEP5)하고,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을 식각(ET5)한 후,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143-1)을 적층(IDEP4-1)한다. 여기서,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은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fterwards,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is stacked (DEP4),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is etched (ET4), and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is stacked (IDEP4). After that,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is stacked (DEP5),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is etched (ET5), and an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1 is stacked (IDEP4-1). )do. Here,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may include various metals, and in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그 후,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제1 층간 절연막(161), 제3 게이트 절연막(143), 및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143-1) 중 적어도 일부의 절연막에 위치하는 콘택홀(CNT1)을 형성(ET5-1)한다. 추가 콘택홀(CNT1)에 의하여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 및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이 각각 노출될 수 있다.Thereafter, the contact hole (CNT1) is located in at least some of the insulating films of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and the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1. ) to form (ET5-1).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exposed by the additional contact hole CNT1.

그 후, 추가 도전층(CMTL)을 적층(DEP6)하고, 추가 도전층(CMTL)을 식각(ET6)한 후, 제2 층간 절연막(162)을 적층(IDEP5)한다. 여기서, 추가 도전층(CMTL)은 저저항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알루미늄(Al)으로 형성되고, 상부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After that, an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is stacked (DEP6),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is etched (ET6), and the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is stacked (IDEP5). Here,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may include a low-resistance metal, and in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double layer, with the lower layer being formed of aluminum (Al) and the upper layer being formed of titanium (Ti).

그 후,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제1 층간 절연막(161), 제3 게이트 절연막(143),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143-1), 및 제2 층간 절연막(162)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에 콘택홀(CNT2)을 형성(ET7)한다. 여기서, 콘택홀(CNT2)은 두 종료의 콘택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콘택홀은 제1 반도체(ACT1), 제1 게이트 도전층(GAT1), 및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이고, 제2 콘택홀은 제2 반도체(ACT2), 제3 게이트 도전층(GAT3), 및 추가 도전층(CMTL)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콘택홀과 제2 콘택홀은 서로 다른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Afterwards, the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the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1, and the second interlayer. A contact hole (CNT2) is formed (ET7) in at least one of the insulating films 162. Here, the contact hole (CNT2) can be divided into two end contact holes, and the first contact hole exposes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and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The first contact hole may be a contact hole, and the second contact hole may be a contact hole exposing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and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hole and the second contact hole may be formed in different processes.

그 후, 제1 데이터 도전층을 적층(DEP7)하고 제1 데이터 도전층을 식각(ET8)한다.Afterwards,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stacked (DEP7) and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etched (ET8).

제1 데이터 도전층의 상부의 구조는 도 14에서 살펴본다.The struc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examined in FIG. 14.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에서도 다결정 트랜지스터 중 하나인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하여 탈 수소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하지만,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저항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추가 신호선(ASL1)을 형성하여 240Hz의 고속 구동에서도 신호 지연 및 충전률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저항을 가지는 물질로는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를 사용할 수 있다.10 and 11,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which is one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s,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to facilitate dehydrogenation, and at least one transistor among the switching transistors The gate electrode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it and forms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containing a low-resistance material to prevent signal delay and lower charging rate even when driven at high speeds of 240Hz. Make sure no problems arise. In this embodiment, aluminum (Al) or copper (Cu) can be used as a low-resistance material.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며, 도 2 및 도 4에서 설명한 내용 중 중복되는 일부 내용은 생략하였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of FIGS. 12 and 13 will be looked at in detail, and some of the overlapping content described in FIGS. 2 and 4 will be omitted.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 중 일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1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 .

도 12의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 달리, 추가 도전층을 형성하지 않으며, 제2 게이트 도전층을 저저항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면서, 제2 게이트 도전층에 추가 신호선(ASL1)을 형성하여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저저항 물질로 구리(Cu)를 사용하는 실시예일 수 있다.12 ,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2 , an additional conductive layer is not formed, and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is formed to include a low-resistance material and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is formed in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Thus, it ha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dditionally, this may be an embodiment that uses copper (Cu) as a low-resistance material.

도 12에 의하면, 기판(110), 베리어층(110-1), 및 버퍼층(111)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리어층(110-1)이 생략될 수도 있다. 베리어층(110-1)의 위에는 이를 덮는 버퍼층(111)이 위치한다. 버퍼층(111)은 제1 반도체층(ACT1)에 불순 원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베리어층(110-1)과 버퍼층(111)의 사이에는 금속층(도 14의 BML 참고)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2, the substrate 110, barrier layer 110-1, and buffer layer 111 are formed sequential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barrier layer 110-1 may be omitted. A buffer layer 111 covering the barrier layer 110-1 is located on top of the barrier layer 110-1. The buffer layer 111 may serve to block impurity elements from penetrating into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etal layer (see BML in FIG. 14) may be formed between the barrier layer 110-1 and the buffer layer 111.

버퍼층(111)의 위에는 다결정 반도체(P-Si)로 형성된 제1 반도체층(ACT1)이 위치한다. 도 12에서 제1 반도체층(ACT1)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반도체(ACT1-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반도체(ACT1-2)로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도 1의 제2 트랜지스터(T2), 제5 트랜지스터(T5), 제6 트랜지스터(T6) 및 제7 트랜지스터(T7)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반도체층(ACT1) 각각은 채널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에 의하여 도전층 특성을 가져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formed of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P-Si) is located on the buffer layer 111. In FIG. 12,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is shown divided into a first semiconductor (ACT1-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first semiconductor (ACT1-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Here,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one of the second transistor (T2), the fifth transistor (T5), the sixth transistor (T6), and the seventh transistor (T7) of FIG. 1. Each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s (ACT1) includes a channel and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hannel, and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have conductive layer characteristics by plasma treatment or doping, thereby forming the first region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It can serve a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제1 반도체층(ACT1)의 위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이 위치할 수 있다. 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 GE2)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로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다. 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gate electrodes (GE1 and GE2)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shown divided into a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서로 동일한 층(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 위치하며,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단일층의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몰리브덴(Mo)의 게이트 전극(GE1, GE2)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정 중의 탈 수소가 용이하게 발생하여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일정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며, 특히,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이 일정하도록 하여 일정한 출력 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are located on the same layer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and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at is,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r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In one embodiment,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f molybdenum (Mo). Here, the gate electrodes (GE1, GE2) of molybdenum (Mo) have the advantage of ensuring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stor are constant by easily dehydrogenating during the process, as shown in FIG. 4.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transistor are constant. This ensures that a constant output current can be generated.

제1 게이트 도전층을 형성한 후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 공정을 수행하여 제1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을 도체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가려진 제1 반도체층(ACT1)은 도체화되지 않고, 제1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제1 반도체층(ACT1)의 부분은 도전층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fter forming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a plasma treatment or dop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make the exposed area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covered by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not conductive, and the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not covered by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conductive layer. You can.

제1 게이트 도전층 및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이 위치할 수 있다. A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 유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CE) 및 추가 신호선(ASL1)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유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CE)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중첩하여 유지 커패시터(Cst)를 이루며,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오프닝(CEop)를 가질 수 있다. 추가 신호선(ASL1)은 제2 게이트 절연막(142)에 위치하는 콘택홀을 통하여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게이트 도전층은 스캔선, 제어선, 또는 전압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은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와 같인 저저항 물질을 포함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신호선(ASL1) 및 제2 게이트 도전층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구리(Cu)로 형성되고, 상부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몰리브덴(Mo)의 경우 240Hz로 구동시 신호 지연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도 12에서는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저항 특성을 가지는 금속을 포함하는 추가 신호선(ASL1)을 더 포함하여, 240Hz의 고속 구동시에도 충분한 전압값을 가지는 스캔 신호가 전달되도록 하고, 저항에 따른 지연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one electrode (C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and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 One electrode (C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overlaps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to form the sustain capacitor (Cst), and an opening (CEop) overlaps a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You can have it.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may b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a contact hole located in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can line, a control line, or a voltage line.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low-resistance material such as aluminum (Al) or copper (Cu), and the additional signal line (ASL1) and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formed as a double layer, and the lower layer is copper ( Cu), and the upper layer may be formed of titanium (Ti). Referring to Figure 7, in the case of molybdenum (M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signal delay occurs when driven at 240 Hz, so in Figure 12,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contains a metal with low resistance characteristics.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to ensure that a scan signal with a sufficient voltage value is transmitted even during high-speed driving at 240Hz and to prevent problems with delay due to resistance.

제2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제1 층간 절연막(161)이 위치할 수 있다.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제1 층간 절연막(161) 위에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채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반도체(ACT2)를 포함하는 제2 반도체층(산화물 반도체층)이 위치할 수 있다.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xide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second semiconductor (ACT2) including a channel,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of the oxide transistor may be locat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제2 반도체층 위에는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은 제2 반도체층 및 제1 층간 절연막(161) 위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A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The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be loc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61.

제3 게이트 절연막(143) 위에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을 포함하는 제3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은 채널과 중첩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도전층은 스캔선이나 제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도전층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Mo)으로 형성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transistor may overlap the channel.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can line or a control line.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contain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copper (Cu), molybdenum (Mo), aluminum (Al), or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made of molybdenum (Mo).

제3 게이트 도전층을 형성한 후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 공정을 수행하여 제2 반도체(ACT2)의 노출된 영역을 도체화시킬 수 있다. 즉, 제3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가려진 제2 반도체(ACT2)은 도체화되지 않고, 제3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제2 반도체(ACT2)의 부분은 도전층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fter forming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a plasma treatment or dop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make the exposed area of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conductive. That is,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covered by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s not conductive,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not covered by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conductive layer. .

제3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제2 층간 절연막(16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62)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제2 층간 절연막(162)의 위에는 다결정 트랜지스터 및 산화물 트랜지스터 각각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A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connection memb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each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and the oxid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도 12에서 제1 데이터 도전층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1),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2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DE1),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CM2),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2, DE2), 그리고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각각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3, DE3)를 포함하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제1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SE3)와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2 영역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DE1)는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FIG. 12,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SE1)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a connection member (DE1)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connection member (DE1)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CM2), connecting members (SE2, DE2)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connecting members (SE3, DE3)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The connection member SE3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connection member DE1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driving transisto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tegrally connected.

제1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유기막이 위치할 수 있으며, 유기막 위에는 애노드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의 위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14에서 살펴본다.An organic layer may be located on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and an anode may be located on the organic layer. The above structure of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examined in FIG. 14.

이상에서는 단면 구조를 살펴보았으며, 평면구조는 도 3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the above,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was examined, and the planar structure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at in FIG. 3.

이상과 같은 도 12의 구조는 도 13과 같은 제조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FIG. 12 as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by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as that of FIG. 13.

도 13에서는 반도체 또는 도전체의 적층 단계(DEP1 내지 DEP6), 식각 단계(ET1 내지 ET7), 및 절연막 적층 단계(IDEP1 내지 IDEP5)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며,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단계일수록 먼저 진행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In Figure 13, the semiconductor or conductor stacking steps (DEP1 to DEP6), the etching steps (ET1 to ET7), and the insulating film stacking steps (IDEP1 to IDEP5) are shown, with the lower the step being performed first. It is showing.

구체적으로, 도 13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반도체(ACT1)를 적층(DEP1)하고, 제1 반도체(ACT1)를 식각(ET1)한 후,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을 적층(IDEP1)한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13,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is stacked (DEP1),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is etched (ET1), and then the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is stacked (IDEP1). do.

그 후, 제1 게이트 도전층(GAT1)을 적층(DEP2)하고, 제1 게이트 도전층(GAT1)을 식각(ET2)한 후,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을 적층(IDEP2)한다. 여기서, 제1 게이트 도전층(GAT1)에 포함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 및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은 모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After that,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is stacked (DEP2),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is etched (ET2), and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is stacked (IDEP2). Here,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included i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may both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can be formed.

그 후, 제2 게이트 절연막(142)에 추가 콘택홀(CNT1)을 형성(ET2-1)한다. 추가 콘택홀(CNT1)에 의하여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2)이 노출될 수 있다.Afterwards, an additional contact hole (CNT1) is formed in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ET2-1). The gate electrode (GE2)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may be exposed by the additional contact hole (CNT1).

그 후,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을 적층(DEP3)하고,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을 식각(ET3)한 후, 제1 층간 절연막(161)을 적층(IDEP3)한다. 여기서,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은 저저항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구리(Cu)로 형성되고, 상부층은 티타늄(Ti)으로 형성될 수 있다.After that,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is stacked (DEP3),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is etched (ET3), and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is stacked (IDEP3). Here,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may include a low-resistance metal, and in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double layer, with the lower layer being formed of copper (Cu) and the upper layer being formed of titanium (Ti). .

그 후, 제2 반도체(ACT2)를 적층(DEP4)하고, 제2 반도체(ACT2)를 식각(ET4)한 후,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을 적층(IDEP4)한다. 그 후,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을 적층(DEP5)하고,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을 식각(ET5)한 후, 제2 층간 절연막(162)을 적층(IDEP5)한다. 여기서,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은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fterwards,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is stacked (DEP4),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is etched (ET4), and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is stacked (IDEP4). After that,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is stacked (DEP5),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is etched (ET5), and the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is stacked (IDEP5). Here,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may include various metals, and in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그 후,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제1 층간 절연막(161), 제3 게이트 절연막(143), 및 제2 층간 절연막(162)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막에 콘택홀(CNT2)을 형성(ET6)한다. 여기서, 콘택홀(CNT2)은 두 종료의 콘택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콘택홀은 제1 반도체(ACT1), 제1 게이트 도전층(GAT1), 및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이고, 제2 콘택홀은 제2 반도체(ACT2) 및 제3 게이트 도전층(GAT3)을 노출시키는 콘택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콘택홀과 제2 콘택홀은 서로 다른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Afterwards, contact is mad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1,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and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A hole (CNT2) is formed (ET6). Here, the contact hole (CNT2) can be divided into two end contact holes, and the first contact hole exposes the first semiconductor (ACT1),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 and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The first contact hole may be a contact hole, and the second contact hole may be a contact hole exposing the second semiconductor ACT2 and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GAT3.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hole and the second contact hole may be formed in different processes.

그 후, 제1 데이터 도전층을 적층(DEP6)하고 제1 데이터 도전층을 식각(ET7)한다.Afterwards,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stacked (DEP6) and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etched (ET7).

제1 데이터 도전층의 상부의 구조는 도 14에서 살펴본다.The struc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s examined in FIG. 14.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서도 다결정 트랜지스터 중 하나인 구동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하여 탈 수소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하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하지만,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저항을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추가 신호선(ASL1)을 형성하여 240Hz의 고속 구동에서도 신호 지연 및 충전률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저항을 가지는 물질로는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를 사용할 수 있다.12 and 13,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1, which is one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s,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to facilitate dehydrogen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s The gate electrode of the transistor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it and forms an additional signal line (ASL1) containing a low-resistance material, resulting in signal delay and reduced charging rate even when driven at high speeds of 240Hz. Prevent problems from occurring. In this embodiment, aluminum (Al) or copper (Cu) can be used as a material having low resistance.

이상에서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단면 구조를 도 14를 통하여 살펴본다.In the above, we looked at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overall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examined through FIG. 14.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4에서는 다결정 트랜지스터로 구동 트랜지스터만을 형성하고 있으며,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도 8, 도 10, 도 12, 및 그 외 변형에 따른 실시예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Figure 14, only the driving transistor is formed of a polycrystalline transistor, and is shown based on the embodiment of Figure 2. However,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FIGS. 8, 10, 12, and other modifications may be equally applied.

발광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A detailed look a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s as follows.

발광 표시 장치는 크게 하부 패널층과 상부 패널층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하부 패널층은 화소를 구성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화소 회로부가 위치하는 부분이며, 이를 덮는 봉지층(400)까지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 회로부는 제2 유기막(182) 및 제3 유기막(183)을 포함하며, 그 하부의 구성을 의미하고, 발광 다이오드는 제3 유기막(183)의 상부이며, 봉지층(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봉지층(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는 상부 패널층에 대응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컬러 필터나 색 변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3 유기막(183)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A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lower panel layer and an upper panel layer. The lower panel layer is where the light-emitting diodes and pixel circuitry that make up the pixel are located, and may even include an encapsulation layer 400 that covers it. Here, the pixel circuit unit includes the second organic layer 182 and the third organic layer 183, and refers to the lower part thereof, the light emitting diode is the upper part of the third organic layer 183, and the encapsulation layer 400 ) may refer to a configura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ructure located on top of the encapsulation layer 400 may correspond to the upper panel layer,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lor filter or a color conversion layer.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hird organic layer 183 may not be included.

도 14을 참고하면, 기판(110) 위에는 금속층(BML)이 위치한다. Referring to FIG. 14, a metal layer (BML) is located on the substrate 110.

기판(110)은 유리 등의 리지드(rigid)한 특성을 가져 휘지 않는 물질을 포함하거나 플라스틱이나 폴리 이미드(Polyimid)와 같이 휠 수 있는 플렉서블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한 기판인 경우, 도 1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 이미드(Polyimid)와 그 위에 무기 절연 물질로 형성되는 베리어층의 이층 구조가 이중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ubstrate 110 may include a material that has rigid properties and does not bend, such as glass, or may include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nd, such as plastic or polyimide. In the case of a flexible substrate, as shown in FIG. 14, it may have a double-layer structure of polyimide and a barrier layer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thereon.

금속층(BML)은 후속하는 제1 반도체층(ACT1) 중 구동 트랜지스터의 채널과 평면상 중첩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실딩층이라고도 한다. 금속층(BML)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트랜지스터는 발광 다이오드로 전달하는 전류를 생성하는 트랜지스터를 의미할 수 있다.The metal layer (BML) may be formed at a position in the subsequent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that overlaps the channel of the driving transistor on a plane, and is also called a lower shielding layer. The metal layer (BML) may include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copper (Cu), molybdenum (Mo), aluminum (Al), or titanium (Ti). Here, the driving transistor may refer to a transistor that generates current to be transmitt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기판(110) 및 금속층(BML)의 위에는 이를 덮는 버퍼층(111)이 위치한다. 버퍼층(111)은 제1 반도체층(ACT1)에 불순 원소의 침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A buffer layer 111 covering the substrate 110 and the metal layer (BML) is located on the substrate 110. The buffer layer 111 serves to block impurity elements from penetrating into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and may be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버퍼층(111)의 위에는 실리콘 반도체(예를 들면 다결정 반도체(P-Si)로 형성된 제1 반도체층(ACT1)이 위치한다. 제1 반도체층(ACT1)은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채널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결정 트랜지스터는 구동 트랜지스터뿐만 아니라 복수의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도체층(ACT1)의 채널 양측에는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에 의하여 도전층 특성을 가지는 영역을 가져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formed of a silicon semiconductor (for example, a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P-Si)) is located on the buffer layer 111.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is a channel of a polycrystalline transistor including a driving transistor and It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located on both sides. Here,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may include not only a driving transistor but also a plurality of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s. In addition, plasm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hannel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By processing or doping, the region has conductive layer properties and can function a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f a transistor.

제1 반도체층(ACT1)의 위에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may be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도전층은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 외에 스캔선이나 발광 제어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In addition to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with a scan line or an emission control line. Here,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제1 게이트 도전층을 형성한 후 플라즈마 처리 또는 도핑 공정을 수행하여 제1 반도체층의 노출된 영역을 도체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가려진 제1 반도체층(ACT1)은 도체화되지 않고, 제1 게이트 도전층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제1 반도체층(ACT1)의 부분은 도전층과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After forming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a plasma treatment or dop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o make the exposed area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That is,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covered by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not conductive, and the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CT1 not covered by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conductive layer. You can.

제1 게이트 도전층 및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A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142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141.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may be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 유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CE)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유지 커패시터(Cst)의 일 전극(CE)은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1)과 중첩하여 유지 커패시터(Cst)를 이룬다.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one electrode (C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 One electrode (CE) of the sustain capacitor (Cst) overlaps the gate electrode (GE1) of the driving transistor to form the sustain capacitor (Cst).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게이트 도전층은 및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하부 실딩층(BML-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와 같이 추가 도전층(CMTL)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하부 실딩층(BML-1)은 추가 도전층(CMTL)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하부 실딩층(BML-1)은 각각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채널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측으로부터 채널에 제공되는 광 또는 전자기 간섭 등으로부터 실딩(shielding)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lower shielding layer (BML-1) of the oxide transistor. When an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is form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8 and 9, the lower shielding layer (BML-1) of the oxide transistor may be formed of the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TL). The lower shielding layer (BML-1) of the oxide transistor is located below the channel of each oxide transistor and may serve to shield from light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ovided to the channel from below.

실시예에 따라서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은 스캔선, 제어선, 또는 전압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게이트 도전층(GAT2)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may further include a scan line, a control line, or a voltage line.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may include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copper (Cu), molybdenum (Mo), aluminum (Al), or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

제2 게이트 도전층(GAT2) 위에는 제1 층간 절연막(16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층간 절연막(161)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무기 절연 물질을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61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GAT2).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may be formed thickly. .

제1 층간 절연막(161) 위에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채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반도체(ACT2)를 포함하는 제2 반도체층(산화물 반도체층)이 위치할 수 있다.A second semiconductor layer (oxide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second semiconductor (ACT2) including a channel,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of the oxide transistor may be located on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1.

제2 반도체층 위에는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은 제2 반도체층 및 제1 층간 절연막(161) 위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절연막(143)은 산화 규소(SiOx) 또는 질화규소(SiNx), 산질화규소(SiONx) 등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A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The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be loc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61. The third gate insulating layer 143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layer containing silicon oxide (SiOx),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ynitride (SiONx).

제3 게이트 절연막(143) 위에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을 포함하는 제3 게이트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산화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GE3)은 채널과 중첩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도전층은 스캔선이나 제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게이트 도전층은 구리(Cu),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3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Mo)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A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143. The gate electrode (GE3) of the oxide transistor may overlap the channel.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further include a scan line or a control line.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contain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copper (Cu), molybdenum (Mo), aluminum (Al), or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Mo).

제3 게이트 도전층 위에는 제2 층간 절연막(16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62)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층간 절연막(162)은 질화규소(SiNx), 산화규소(SiOx), 질산화규소(SiOxNy)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have a single-layer or multi-layer structure.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nitride (SiNx), silicon oxide (SiOx), or silicon nitride (SiOxNy), and may include an organic material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제2 층간 절연막(162)의 위에는 다결정 트랜지스터 및 산화물 트랜지스터 각각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도전층은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A first data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connection memb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each of the polycrystalline transistor and the oxide transistor may be position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aluminum (Al), copper (Cu), molybdenum (Mo),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제1 데이터 도전층 위에는 제1 유기막(18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기막(181)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유기 물질로는 폴리 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 first organic layer 181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The first organic layer 181 may be an organic insulating layer containing an organic material, and the organic material includes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mide, polyamide, acrylic resin, benzocyclobutene, and phenol resin. can do.

제1 유기막(181) 위에는 애노드 연결 부재(ACM2)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 도전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도전층은 데이터선이나 구동 전압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데이터 도전층은 알루미늄(Al), 구리(Cu), 몰리브덴(Mo), 티타늄(Ti)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애노드 연결 부재(ACM2)는 제1 유기막(181)에 위치하는 오프닝(OP3)을 통하여 제1 데이터 도전층과 연결되어 있다.A second data conductive layer including an anode connection member (ACM2)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organic layer 181. The second data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data line or a driving voltage line. The second data conductive layer may include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aluminum (Al), copper (Cu), molybdenum (Mo), or titanium (Ti), and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The anode connection member ACM2 is connected to the first data conductive layer through the opening OP3 located in the first organic layer 181.

제2 데이터 도전층의 위에는 제2 유기막(182) 및 제3 유기막(183)이 위치하며, 제2 유기막(182) 및 제3 유기막(183)에는 애노드 연결용 오프닝(OP4)이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 연결 부재(ACM2)는 애노드 연결용 오프닝(OP4)을 통하여 애노드(Anode)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유기막(182) 및 제3 유기막(183)은 유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폴리 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3 유기막(183)이 생략될 수도 있다.A second organic layer 182 and a third organic layer 183 are located on the second data conductive layer, and an anode connection opening OP4 is provided in the second organic layer 182 and the third organic layer 183. It is formed. The anode connection member (ACM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node (Anode) through the anode connection opening (OP4). The second organic layer 182 and the third organic layer 183 may be organic insulating layers and may includ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mide, polyamide, acrylic resin, benzocyclobutene, and phenol resin. You ca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third organic layer 183 may be omitted.

애노드(Anode) 위에는 애노드(Anode)를 노출시키는 오프닝(OP)을 가지면서 애노드(Anode)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화소 정의막(380)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380)은 검은색을 띄는 유기 물질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빛이 다시 외부로 반사되지 않도록 하는 블랙 화소 정의막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투명한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A pixel defining film 380 may be positioned on the anode and has an opening OP exposing the anode and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anode. The pixel defining layer 380 may be a black pixel defining layer formed of a black organic material to prevent light applied from the outside from being reflected back to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ixel defining layer 38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ganic material.

화소 정의막(380)의 위에는 스페이서(385)가 위치하고 있다. 스페이서(385)는 투명한 유기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페이서(385)는 포지티브(positive) 타입의 투명한 유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385)는 높이가 다른 두 부분(385-1, 38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높이가 높은 부분(385-1)이 스페이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높이가 낮은 부분(385-2)은 스페이서와 화소 정의막(380)간의 접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spacer 385 is located on the pixel defining layer 380. The spacer 38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ganic insulating material.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pacer 385 may be formed of a positive type transparent organic material. The spacer 385 may include two parts 385-1 and 385-2 of different heights, with the high part 385-1 serving as a spacer and the low height part 385-2 ) can improve the adhes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pacer and the pixel defining layer 380.

애노드(Anode), 스페이서(385), 및 화소 정의막(380)의 위에는 기능층(FL)과 캐소드(Cathode)가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능층(FL)과 캐소드(Cathode)는 전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기능층(FL)의 사이에는 발광층(EML)이 위치하며, 발광층(EML)은 화소 정의막(380)의 오프닝(OP) 내에만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능층(FL)과 발광층(EML)을 합하여 중간층이라고 할 수 있다. 기능층(FL)은 전자 주입층, 전자 전달층, 정공 전달층, 및 정공 주입층과 같은 보조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층(EML)의 하부에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전달층이 위치하고, 발광층(EML)의 상부에 전자 전달층 및 전자 주입층이 위치할 수 있다.A functional layer (FL) and a cathode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anode, spacer 385, and pixel defining layer 380, and the functional layer (FL) and cathode are formed over the entire area. can be located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is located between the functional layers (FL),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may be located only within the opening (OP) of the pixel defining layer 380. Hereinafter, the functional layer (FL)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can be combined to refer to the intermediate layer. The functional layer (F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uxiliary layers such a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hole transport layer, and a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may be located below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layer is located,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be located on top of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캐소드(Cathode)의 위에는 봉지층(400)이 위치한다. 봉지층(40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하며, 제1 무기 봉지층, 유기 봉지층 및 제2 무기 봉지층을 포함하는 삼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봉지층(400)은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발광층(EML)을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봉지층(400)은 무기층과 유기층이 순차적으로 더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An encapsulation layer 400 is located on the cathode. The encapsulation layer 400 includes at least one inorganic layer and at least one organic layer, and may have a triple-layer structure including a first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an organic encapsulation layer, and a second inorganic encapsulation layer. The encapsulation layer 400 may be used to protect the light emitting layer (EML) from moisture or oxygen that may enter from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encapsulation layer 400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an inorganic layer and an organic layer are further sequentially stacked.

봉지층(400) 위에는 터치 감지를 위하여 감지 절연층(501, 510, 511) 및 복수의 감지 전극(540, 541)이 위치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감지 전극(540, 541)을 이용하여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Sensing insulating layers 501, 510, 511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540, 541 are position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400 for touch detec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14, touch can be sensed in a capacitive manner using two sensing electrodes 540 and 541.

구체적으로, 봉지층(400)의 위에는 제1 감지 절연층(501)이 형성되며, 그 위에 복수의 감지 전극(540, 541)이 형성된다. 복수의 감지 전극(540, 541)은 제2 감지 절연층(510)을 사이에 두고 절연될 수 있으며, 일부는 감지 절연층(510)에 위치하는 오프닝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전극(540, 541)은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금(Au), 몰리브덴(Mo), 티타늄(Ti), 탄탈륨(Ta)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 전극(540)의 위에는 제3 감지 절연층(511)이 형성되어 있다.Specifically, a first sensing insulating layer 501 is formed on the encapsulation layer 400, and a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540 and 541 are formed thereon. The plurality of sensing electrodes 540 and 541 may be insulated with the second sensing insulating layer 5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some of them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n opening located in the sensing insulating layer 510. Here, the sensing electrodes 540 and 541 are made of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aluminum (Al), copper (Cu), silver (Ag), gold (Au), molybdenum (Mo), titanium (Ti), and tantalum (Ta). It may includ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A third sensing insulating layer 511 is formed on the sensing electrode 540.

도 14에서는 제3 감지 절연층(511)의 위에 아무런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부 광의 반사를 줄이기 위하여 편광판을 포함하는 필름이 부착되거나, 색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컬러 필터나 색 변환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터나 색 변환층의 사이에는 차광 부재가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부 광중 일부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하 반사 조정 물질이라고 함)이 형성되어 있는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유기막(평탄화막이라고도 함)으로 덮여 발광 표시 장치의 전면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Although no configuration is shown on the third sensing insulating layer 511 in FIG. 14, a film including a polarizer is attached to reduc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or a color filter or color conversion layer is added to improve color quality. can be formed. A light blocking membe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lor filter or the color conversion layer.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layer formed with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ight of some wavelengths of external l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lection adjustment material) may be further included.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may be flattened by covering it with an additional organic layer (also called a planarization layer).

도 14에서는 유기막(181, 182, 183)이 총 3개로 형성되며, 애노드 연결용 오프닝이 제2 유기막 및 제3 유기막에 형성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유기막은 적어도 2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애노드 연결용 오프닝은 기판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상부 유기막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부 유기막에는 하부 유기막 오프닝이 위치할 수 있다. In Figure 14, a total of three organic layers 181, 182, and 183 are formed, and an embodiment in which an anode connection opening is formed in the second organic layer and the third organic layer is examined. However, at least two organic layers may be formed, and in this case, the anode connection opening may be located in the upper organic layer located away from the substrate, and the lower organic layer opening may be located in the lower organic layer.

이상과 같은 도 14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 대응하지만, 변형 실시예인 도 8 내지 도 13에서도 변형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structure of FIG. 14 as described above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FIGS. 2 and 3, but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FIGS. 8 to 13, except for modified portion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T1, T2, T3, T4, T5, T6, T7: 트랜지스터
LED: 발광 다이오드 ACT1: 제1 반도체
ACT1-1: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
ACT1-2: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
ACT2: 제2 반도체 CE: 유지 커패시터의 일 전극
GE1, GE2: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GE3: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CNT1, CNT2: 콘택홀
GAT1: 제1 게이트 도전층 GAT1_1: 제1-1 게이트 도전층
GAT1_2: 제1-2 게이트 도전층 GAT2: 제2 게이트 도전층
GAT3: 제3 게이트 도전층 CMTL: 추가 도전층
CM1, CM2, SE1, SE2, SE3, DE1, DE2, DE3: 연결 부재
110: 기판 110-1: 베리어층
111: 버퍼층 141: 제1 게이트 절연막
142: 제2 게이트 절연막 142-1: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
143: 제3 게이트 절연막 161: 제1 층간 절연막
162: 제2 층간 절연막 181, 182, 183: 유기막
380: 화소 정의막 385: 스페이서
400: 봉지층 501, 510, 511: 감지 절연층
540, 541: 감지 전극 ACM2: 애노드 연결 부재
BML: 금속층 BML-1: 하부 실딩층
EML: 발광층 FL: 기능층
143-1: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 ASL1, ASL3: 추가 신호선
ASL2: 추가 연결 부재
T1, T2, T3, T4, T5, T6, T7: Transistors
LED: Light emitting diode ACT1: First semiconductor
ACT1-1: First semiconductor for driving transistor
ACT1-2: First semiconductor for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CT2: Second semiconductor CE: One electrode of sustaining capacitor
GE1, GE2: Gate electrode of polycrystalline transistor
GE3: Gate electrode of transistor CNT1, CNT2: Contact hole
GAT1: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_1: first gate conductive layer
GAT1_2: 1-2 gate conductive layer GAT2: 2nd gate conductive layer
GAT3: Third gate conductive layer CMTL: Additional conductive layer
CM1, CM2, SE1, SE2, SE3, DE1, DE2, DE3: Connection members
110: Substrate 110-1: Barrier layer
111: buffer layer 141: first gate insulating film
142: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2-1: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film
143: third gate insulating film 161: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162: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181, 182, 183: organic film
380: Pixel definition film 385: Spacer
400: Encapsulation layer 501, 510, 511: Sensing insulating layer
540, 541: Sensing electrode ACM2: Anode connection member
BML: metal layer BML-1: lower shielding layer
EML: Emissive layer FL: Functional layer
143-1: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film ASL1, ASL3: Additional signal line
ASL2: Absence of additional connection

Claims (20)

기판;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 및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도전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며, 오프닝을 가지는 유지 커패시터의 일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도전층;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2 반도체층;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3 게이트 도전층;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추가 신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추가 신호선은 저저항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Board;
A first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for a driving transistor and a first semiconductor for a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including one electrode of a sustain capacitor having an opening;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second semiconductor for an oxide switching transistor;
a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emiconductor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and
It includes an additional signal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additional signal line includes a low-resistance material.
제1항에서,
상기 추가 신호선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부층은 티타늄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
The additional signal line is formed of a double layer, wherein the lower layer includes aluminum and the upper layer includes titanium.
제2항에서,
상기 제2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2,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is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제3항에서,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3,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제2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을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유지 커패시터의 상기 일 전극을 덮는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추가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위치하는 추가 컨택홀을 통하여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2,
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gate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nd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one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The additional signal li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and an additional contact hole located in the additional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제5항에서,
상기 추가 신호선을 덮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2 반도체층을 덮는 제3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3 게이트 도전층을 덮는 제2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5,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additional signal line;
a third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제6항에서,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위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와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6: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locat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connecting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제7항에서,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위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7: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located on the second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제8항에서,
상기 추가 신호선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추가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는 상기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추가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8: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additional signal line,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a connection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through the additional connection member.
제2항에서,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제3 게이트 도전층보다 높은 층에 위치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2,
The additional signal line is located on a layer higher than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제10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을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도전층을 덮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2 반도체층을 덮는 제3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3 게이트 도전층을 덮는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의 위에 위치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0:
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 second gate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a third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second semiconductor layer; and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third gate conductive layer,
The additional signal line is located on the third additional gate insulating layer.
제11항에서,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3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에 형성되어 있는 추가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1:
The additional signal li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the first interlayer insulating film, the third gate insulating film, and an additional contact hole formed in the additional third gate insulating film.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제12항에서,
상기 추가 신호선과 동일한 물질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산화물 트랜지스터용 추가 신호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산화물 트랜지스터용 추가 신호선은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2: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signal line for an oxide transistor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dditional signal line and formed in the same layer,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additional signal line for the oxide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제13항에서,
상기 산화물 트랜지스터용 추가 신호선은 상기 추가 제3 게이트 절연막에 형성되어 있는 추가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3: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dditional signal line for the oxide transis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an additional contact hole formed in the third additional gate insulating film.
기판;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 및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1 반도체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게이트 도전층;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며, 오프닝을 가지는 유지 커패시터의 일 전극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추가 신호선을 포함하는 제2 게이트 도전층;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를 포함하는 제2 반도체층; 및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는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제3 게이트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게이트 도전층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게이트 도전층은 저저항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Board;
A first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for a driving transistor and a first semiconductor for a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a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and including an additional signal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lectrode of a sustain capacitor having an opening and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semiconductor layer including a second semiconductor for an oxide switching transistor; and
A thir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ing a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overlap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emiconductor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The first gate conductive layer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includes a low-resistance material.
제15항에서,
상기 제2 게이트 도전층에 포함되는 상기 유지 커패시터의 상기 일 전극 및 상기 추가 신호선은 이중층으로 형성되며, 하부층은 구리를 포함하고, 상부층은 티타늄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5: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the one electrode of the sustain capacitor included in the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and the additional signal line, wherein the lower layer includes copper and the upper layer includes titanium.
제16항에서,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은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6: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gate electrode of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is formed of a material containing molybdenum.
제15항에서,
상기 제1 반도체층을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을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신호선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에 위치하는 추가 콘택홀을 통하여 상기 다결정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5:
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covering the first semiconductor layer; and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gate insulating film covering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additional signal li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polycrystalline switching transistor through an additional contact hole located in the second gate insulating film.
제15항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용 제1 반도체와 상기 산화물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제2 반도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5: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first semiconductor for the driv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emiconductor for the oxide switching transistor.
제19항에서,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발광 표시 장치.
In paragraph 19: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ransistor.
KR1020220117450A 2022-08-16 2022-09-16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40038900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450A KR20240038900A (en) 2022-09-16 2022-09-16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8/322,765 US20240065031A1 (en) 2022-08-16 2023-05-24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N202311022746.8A CN117594605A (en) 2022-08-16 2023-08-15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450A KR20240038900A (en) 2022-09-16 2022-09-16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900A true KR20240038900A (en) 2024-03-26

Family

ID=8991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450A KR20240038900A (en) 2022-08-16 2022-09-16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8900A (en)
CN (1) CN117594605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94605A (en) 2024-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513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336709B2 (en) Displays with overlapping light-emitting diodes and gate drivers
EP3624190A1 (en) Display device
EP4068384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US10950822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light extraction efficiency
KR102591761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9792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20210016111A (en) Display device
US11688350B2 (en) Display apparatus
US10665820B2 (en) Display device
KR20210010696A (en) Display device
KR20240038900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40024398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40065031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40138188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765953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overlapping elements
US20240147794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20165824A1 (en) Display device
US2024009906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30165077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20240008321A1 (en) Display apparatus
KR20240055220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40055950A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40002840A (en) Display apparatus
KR20240067187A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