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286A - Bubble Generator - Google Patents

Bubble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286A
KR20240038286A KR1020220116879A KR20220116879A KR20240038286A KR 20240038286 A KR20240038286 A KR 20240038286A KR 1020220116879 A KR1020220116879 A KR 1020220116879A KR 20220116879 A KR20220116879 A KR 20220116879A KR 20240038286 A KR20240038286 A KR 20240038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oam
mixture
rear end
venturi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경순
Original Assignee
(주)와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넷 filed Critical (주)와이넷
Priority to KR102022011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286A/en
Publication of KR20240038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28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4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 A47K5/16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with mechanica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용 용액을 이용하여 풍부한 거품을 발생시킨 후 사용자에게 거품을 공급하는 거품 발생기에 관한 기술로, 스펀지 혹은 바디 타월을 이용하여 세정용 용액의 거품을 생성하지 않고, 풍부한 거품을 미리 생성하여 샤워를 하는 바, 불필요하게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물이 지나가는 압력 변화 및 에너지를 이용하여 풍부한 거품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foam generator that generates abundant foam using a cleaning solution and then supplies the foam to the user. Instead of generating foam from the cleaning solution using a sponge or body towel, abundant foam is generated in advance. When taking a shower, not only does it have the effect of not irritating the skin unnecessarily, but it also has the effect of creating rich foam by using the pressure change and energy of water passing by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Description

거품 발생기{Bubble Generator}Bubble Generator

본 발명은 거품 발생기에 관한 기술로, 세정용 용액을 이용하여 풍부한 거품을 발생시킨 후 사용자에게 거품을 공급하는 거품 발생기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am generator that generates abundant foam using a cleaning solution and then supplies the foam to the user.

사람이 샤워 또는 목욕을 하는 과정에서, 몸을 씻을 때 신체에 샤워젤 혹은 바디 워시라 불리는 세정용 용액 혹은 비누를 직접적으로 바르거나, 스펀지 혹은 바디 타월을 통해 거품을 생성하여 세척한다.In the process of a person showering or bathing, when washing the body, a cleaning solution called shower gel or body wash or soap is applied directly to the body, or the body is washed by creating foam through a sponge or body towel.

이러한 신체 세척 과정에서 사용자는 풍부한 거품을 생성하기 위해 더욱 강한 힘으로 신체를 문지르게 되는 바, 피부의 오염 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의 유분까지 불필요하게 제거한다. In this body washing process, the user rubs the body with stronger force to create rich foam, which removes contaminants from the skin and at the same time removes unnecessary oil from the skin.

따라서, 피부 관리에 민감하거나, 피부 관리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신체 세척 과정에서 불필요하게 피부 자극을 가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people who are sensitive to skin care or need skin care have the problem of unnecessary skin irritation during the body washing process.

일본공개특허 제2015-047236호 (2015. 03. 16. 공개)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5-047236 (published on March 16, 2015) 일본공개특허 제2018-198641호 (2018. 12. 20. 공개)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8-198641 (published on December 20, 2018) 일본공개특허 제2019-103755호 (2019. 06. 27. 공개)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103755 (published on June 27, 201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 세정용 용액을 이용하여 풍부한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am generator that generates abundant foam using a body cleansing solu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단부에서 물이 유입되고, 중단부에는 벤츄리 효과에 의해 공기와 세정액이 각각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세정액 유입구를 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후단부에는 물과 공기와 세정용 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이 토출되도록 전단부부터 후단부까지 연결된 유로를 포함하는 벤츄리 밸브, 및 벤츄리 밸브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하고,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air inlet and a cleaning liquid inlet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t the front end, and air and cleaning liquid inlet at the middle part through the Venturi effect, and at least one water and cleaning liquid inlet at the rear end. A venturi valve including a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to discharge a mixture of air and a cleaning solution, and a stirr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to supply additional air and stir the mixture. .

벤츄리 밸브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전단부로 유입된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향할수록 중단부에 연결된다.The at least one air inlet of the venturi valve is connected to the middle part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so that air fl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front end flows.

벤츄리 밸브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벤츄리 밸브의 중단부에 의치한 상기 유로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지면을 향하는 최하단을 기준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며, 공기 유입구는 중단부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연결되어, 후단부로 향하는 혼합물에 회전을 가한다.At least one air inlet of the venturi valve is form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flow path provided in the middle part of the venturi valve, and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based on the lowermost end facing the ground, and the air inlet is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s from the middle part. It is connected so that it is not parallel to the , and rotation is applied to the mixture heading toward the rear end.

벤츄리 밸브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공기 유입구와 세정액 유입구에서 공기와 세정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유입구와 세정액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venturi valve includes an open/close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air inlet and the cleaning fluid inlet so that air and cleaning fluid can flow in from the air inlet and the cleaning fluid inl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교반기는 벤츄리 밸브의 후단을 통해 토출되는 물, 공기 및 세정액의 혼합물에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공기 공급부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탱크와, 혼합물에 추가적인 공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 생성부를 포함한다.The agitator includes an air supply unit that supplies additional air to the mixture of water, air, and cleaning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a compression tank that supplies compressed air to the air supply unit, and a foaming system with additional air supplied to the mixture. It includes a foam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거품 생성부는 혼합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낙하관과, 낙하관을 따라 낙하한 혼합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판, 및 낙하관을 따라 낙하한 혼합물을 회전하며 교반하는 교반용 팬을 포함한다.The foam generating unit includes a falling pipe through which the mixture fal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 vibration plate that applies vibration to the mixture falling along the falling pipe, and a stirring fan that rotates and agitates the mixture falling along the falling pipe.

거품 생성부는 벤츄리 밸브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위치에 회전팬이 구비되고, 회전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회전 운동 에너지로 상기 압축 탱크의 공기를 압축한다.The bubble gener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fan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and compresses the air in the compression tank using rotational kinetic energy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rotating fan.

거품 생성부의 회전팬은 진동판 및 교반용 팬과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회전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및 상기 교반용 팬의 회전이 발생한다.The rotating fan of the foam generating uni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diaphragm and the stirring fan, and rotation of the rotating fan causes vibration of the diaphragm and rotation of the stirring fan.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펀지 혹은 바디 타월을 이용하여 세정용 용액의 거품을 생성하지 않고, 풍부한 거품을 미리 생성하여 샤워를 하는 바, 불필요하게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ring is performed by generating abundant foam in advance without using a sponge or body towel to create foam from the cleaning solution, which has the effect of not irritating the skin unnecessarily.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물이 지나가는 압력 변화 및 에너지를 이용하여 풍부한 거품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abundant bubbles by using the pressure change and energy of water passing through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external power source.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기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foam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or the arrangement of any component on the “top (or bottom)” of a component means that any component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component. Additionally, it may mean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 and any component disposed on (or under) the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 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dditionally, 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ed to as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referred to as “C to D”, this mea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there is one, it means that it is C or higher and D or low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기의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oam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전단에서 물이 유입되고, 중단에는 압력 변화에 따른 벤츄리 효과로 공기와 세정액을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와 세정액 유입구가 마련되고, 후단에는 물과 공기와 세정용 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토출하는 유로가 형성된 벤츄리 밸브(1000)와, 벤츄리 밸브(1000)의 후단에 연결되어, 벤츄리 밸브(1000)의 후단을 통해 토출되는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기(20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in the present invention, water flows in at the front end, an air inlet and a cleaning liquid inlet are provided at the middle end through which air and a cleaning solution are introduced through a venturi effect due to pressure changes, and water, air, and a cleaning solution are provided at the rear end. It includes a venturi valve 1000 with a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mixed mixture, and a stirrer 2000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1000 and stirring the mixture discharged through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1000.

벤츄리 밸브(1000)는 내부에 수돗물에 해당하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다. 전단부(1100)에서는 수돗물에 해당하는 물이 유입되고, 중단부(1200)에는 유로의 직경이 좁아지며, 벤츄리 효과에 의해 별도의 동력없이 외부로부터 공기와 별도의 세적용 용액이 담지된 통에서 세정용 용액을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1210)와 세정액 유입구(1220)가 각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된다. 또한, 후단부(1300)에는 전단부(1100)에서 유입된 물과 중단에서 유입된 공기 및 세정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토출한다.The venturi valve 1000 has a flow path through which a fluid equivalent to tap water flows. Water corresponding to tap water flows into the front end 1100, and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narrows at the middle part 1200, and air and a separate cleaning solution are supplied from the outside without any additional power due to the venturi effect. At least one air inlet 1210 and one cleaning liquid inlet 1220 for introducing the cleaning solution are provided. Additionally, a mixture of water introduced from the front end 1100, air introduced from the middle, and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to the rear end 1300.

전단부(1100)는 수돗물에 해당하는 물이 유입되고, 유로 내주면의 직경은 동일하다.Water corresponding to tap water flows into the front end portion 1100, 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ow path is the same.

중단부(1200)는 전단부(1100)와 유로가 연결되고, 후단부(1300)로 향할수록 내주면의 직경이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진다. 이는 내주면의 직경이 좁아질수록 압력이 낮아지는 점에서, 내주면의 직경이 가장 좁은 지점에 공기 유입구(1210)와 세정액 유입구(1220)이 형성된다. 이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기 위해 압력이 가장 낮은 지점인 직경이 가장 좁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다.The middle portion 120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1100 by a flow path, 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end 1300 and then widens again. This is because the pressure decreases as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narrows, so the air inlet 1210 and the cleaning liquid inlet 1220 are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narrowest. This is located at the point with the lowest pressure and narrowest diameter in order to utilize the Venturi Effect.

벤츄리 효과는 유체 역학에서 파이프 안을 흐르는 유체는 직경이 더 좁은 부분을 만나면 속도가 빨라지고, 역학적 에너지의 압력이 낮아진다. 이는 베르누이 방정식을 통해 도출되는 효과이다. The Venturi effect is a phenomenon in fluid mechanics where the fluid flowing inside a pipe increases in speed when it encounters a narrower diameter part, and the pressure of mechanical energy decreases. This is an effect derived through Bernoulli's equation.

따라서, 압력이 가장 낮은 지점에 공기 유입구와 세정액 유입구가 형성될 경우, 공기 유입구 및 세정액 유입구 외부의 압력보다 중단부(1200)의 압력이 낮은 바, 압력 차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와 세정액이 유입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air inlet and the cleaning liquid inlet are formed at the point where the pressure is lowest, the pressure of the middle part 1200 is lower than the pressure outside the air inlet and the cleaning liquid inlet, so the air and cleaning liquid inflow from the outsid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ill be.

공기 유입구(1210)는 전단부(1100)를 통해 유입된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전단부(1100)에서 후단부(1300)를 향할수록 중단부(1200)에 접근하도록 연결된다. The air inlet 1210 is connected to approach the middle part 1200 from the front end 1100 toward the rear end 1300 so that air fl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front end 1100 flows.

또한, 공기 유입구(1210)는 중단부(12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후단부(1300)로 향하는 물에 회전을 가하도록 공기 유입구(1210)이 중단부(1200)에 접하는 면은 중단부(120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비스듬한 측면으로 연결된다. 즉, 공기 유입구(1210)는 전단부(1100)에서 후단부(1300)를 향할수록 중단부(1200)에 연결되는 구조이면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되지 않고, 물이 흐르는 방향의 비스듬한 측면을 향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공기 유입구(1210)가 중단부(1200)에 연결되는 방향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복수의 공기 유입구(1210)이 형성되더라도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물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ir inlet 1210 is dispos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middle portion 1200.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air inlet 1210 in contact with the middle part 1200 is connected to a side that is oblique to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s from the middle part 1200 so as to apply rotation to the water heading to the rear end 1300. That is, the air inlet 1210 is connected to the middle part 1200 as it moves from the front end 1100 to the rear end 1300, but is not connec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lows, bu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lows. It is connected to face the oblique side of. Here, the dir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air inlet 1210 is connected to the middle part 1200 are all the same. Therefore, even if a plurality of air inlets 1210 are formed, rotational force can be applied to the water in the same direction.

또한, 공기 유입구(1210)는 중단부(12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지 않고, 중단부(1200)의 하단에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이라고 하는 위치는 지면에 가장 가까운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로부터 이물질 유입이 용이하지 않고, 공기 유입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중단부(1200)의 하단에 공기 유입구(1210)이 위치할 경우, 전단부(1100)를 통해 물의 유입이 중단되더라도, 벤츄리 밸브(1000)에 물이 고이지 않고, 하단으로 흘러내릴 수 있는 바, 흐르지 않고 고여있는 물에 의한 물 때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ir inlet 1210 may not be arrang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middle portion 1200, but may be located only at the bottom of the middle portion 1200. Here, the position called the bottom is preferably the position closest to the ground. This i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to allow air to enter easily. Here, when the air inlet 121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iddle part 1200, even if the inflow of water through the front end 1100 is stopped, water does not accumulate in the venturi valve 1000 and can flow down to the bottom. It can prevent scale and contamination caused by stagnant water that does not flow.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유입구(1210)의 바람직한 위치는 중단부(120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최하단인 지표면을 향한 방향에는 반드시 위치할 필요가 있다. 이는 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고이지 않고 하단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물이 고이면서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preferred location of the air inlet 1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dispos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middle portion 1200, but it must be loc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ground surface, which is the lowest end. As mentioned above, this is to allow the water to flow down to the bottom instead of pooling,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that occurs as the water accumulates.

공기 유입구(1210)의 내주면은 나선형의 구조일 수 있다. 내주면이 나선형 구조일 경우, 벤츄리 효과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하며 중단부(1200)의 내주면으로 분사되는 공기에 회전을 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사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inlet 1210 may have a spiral structure. I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has a spiral structure, in the process of air inflow due to the venturi effect, the incoming air rotates and not only can rotation be applied to the air spray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iddle part 1200, but also the sprayed area can be adjusted. There is an advantage.

공기 유입구(1210)는 S자 구조의 사이펀 구조일 수 있다. 공기 유입구가 S자 구조의 사이펀 구조로 형성될 경우,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The air inlet 1210 may have an S-shaped siphon structure. When the air inlet is formed in an S-shaped siphon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for foreign substances to enter from the outside.

세정액 유입구(1220)는 전단부(1100)를 통해 유입된 물이 흐르는 물이 흐르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세정액이 유입된다. 이는 유입되는 세정액에 물에 의한 충격이 강할수록 강한 진동에 의해 세정액 입자가 쪼개어질 뿐만 아니라, 풍부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개시하지 않으나, 세정액 유입구(1220)을 통해 세정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별도의 세정액 담지부를 필요로 한다. 이는 별도로 고정된 세정액 통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디워시 혹은 샤워젤이라 불리는 제품일 수 있다.The cleaning liquid inlet 1220 flow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front end portion 1100 flows. This is because the stronger the impact of water on the incoming cleaning solution, the stronger the vibration, which not only splits the cleaning solution particles, but also generates abundant foam. To this end, although no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leaning liquid carrying part is required to allow the cleaning liquid to flow through the cleaning liquid inlet 1220. This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ly fixed container of cleaning liquid, and may be a product called body wash or shower gel.

본 발명은 공기 유입구(1210) 및 세정액 유입구(1220)에 공기 및 세정액이 유입되는 시점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 유입구와 세정액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스위치(123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close switch 1230 that opens and closes the air inlet 1210 and the cleaning fluid inlet 1220 to control the timing at which air and cleaning fluid flow into the air inlet 1210 and the cleaning fluid inlet 1220.

개폐 스위치(1230)는 버튼(팝업)식 스위치일 수 있으며, 다이얼식 스위치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본 개폐 스위치(1230)의 방식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위에서 전술한 버튼식 스위치 혹은 다이얼식 스위치 외 다른 스위치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제한하지 않는다.The open/close switch 1230 may be a button (pop-up) type switch or a dial type switch. However, the method of the opening/closing switch 1230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addition, there is no restriction on using a switch method other than the button switch or dial switch described above.

교반기(2000)는 벤츄리 밸브(1000)의 후단에서 물과 공기 및 세정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교반한다. 이를 위해 교반기(2000)는 벤츄리 밸브(1000)의 후단을 통해 토출되는 물과 공기와 세정액이 혼합된 혼합물에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교반기(2000)는 혼합물에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2100)와, 공기 공급부(2200)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탱크(2200)와, 벤츄리 밸브(1000)의 후단을 통해 토출되는 물과 공기와 세정액이 혼합된 혼합물에 공기 공급부(2100)를 통해 추가적인 공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 생성부(2300)를 포함한다.The stirrer 2000 stirs a mixture of water, air, and cleaning liquid at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1000. To this end, the agitator 2000 supplies additional air to the mixture of water, air, and cleaning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1000. Therefore, the stirrer 2000 includes an air supply unit 2100 that supplies additional air to the mixture, a compression tank 2200 that supplies compressed air to the air supply unit 2200, and discharge through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1000. It includes a foam generator 2300 that generates foam while additional air is supplied to the mixture of water, air, and cleaning liquid through the air supply portion 2100.

공기 공급부(2100)는 벤츄리 밸브(1000)를 통태 토출되는 혼합물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거나, 공기가 압축된 압축 탱크(22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동시에 압축 탱크(22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2100 introduces air from the outside using the venturi effect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mixture discharged through the venturi valve 1000, or receives air from the compression tank 2200 in which the air is compressed. This can introduce air from the outside using the venturi effect and simultaneously receive air from the compression tank 2200.

압축 탱크(2200)는 공기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며, 물과 공기와 세정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통해 세정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해, 혼합물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압축 탱크(2200)는 일반적으로 거품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질소 가스가 압축된 탱크일 수 있으며, 자연상에 존재하는 외부 공기가 압축된 탱크일 수 있다.The compression tank 2200 maintains air in a compressed state, and is used to spray air into the mixture of water, air, and cleaning solution to generate cleaning bubbles. Here, the compression tank 2200 may be a tank in which nitrogen gas, which is generally used to generate bubbles, is compressed, or it may be a tank in which external air existing in nature is compressed.

본원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압축 탱크(2200)는 벤츄리 밸브(1000)를 통해 공급되거나 토출되는 유체를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한다. 즉,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지 않고 유체를 이용하여 공기를 압축하는 것이다.A preferred compression tank 2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es air using fluid supplied or discharged through the venturi valve 1000. In other words, air is compressed using fluid without connecting a separate power source.

이를 위해, 본원발명은 벤츄리 밸브(1000)의 전단 또는 후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회전팬을 포함한다. 회전팬은 유체의 직선 운동 에너지를 회전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여 동력을 생성한다. 여기서, 본원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기는 회전팬을 통해 생성된 동력을 별도의 전기 에너지로 저장하지 않는다. 이는 본원발명인 거품 발생기가 신체 세정을 행하는 화장실 및 샤워장에 구비된 기술인 바, 외부로부터 전기가 공급받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물에 의한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ng fan at either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1000. A rotating fan generates power by converting the linear kinetic energy of the fluid into rotational kinetic energy. Here,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tore the power generated through the rotating fan as separate electrical energy. This is because the foam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provided in bathrooms and shower rooms where body washing is performed, and it is not easy to receive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and this is to ensure safety from the risk of electric shock due to water.

거품 생성부(2300)는 벤츄리 밸브(1000)의 후단을 통해 토출되는 혼합물에 공기 공급부를 통해 추가적인 공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거품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거품 생성부(2300)는 혼합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낙하관(2310)과, 낙하관(2310)의 하부로 낙하한 혼합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판(2320)과,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용 팬(2330)을 포함한다.The bubble generating unit 2300 generates bubbles while additional air is supplied to the mixture discharged through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1000 through the air supply unit. For this purpose, the bubble generator 2300 includes a falling tube 2310 through which the mixture fal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 vibration plate 2320 that applies vibration to the mixture falling to the lower part of the falling tube 2310, and a rotation by rotation. It includes a stirring pan 2330 that stirs the mixture while doing so.

낙하관(2310)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혼합물이 낙하하는 관이다. 여기서, 낙하관은 상부부터 하부까지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상의 관이다. 다만, 본원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기가 사용자가 거치 혹은 설치하는 장치인 점에서, 지표면으로부터 명확한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 바, 본원발명의 낙하관(2310)은 내주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기가 기울더라도, 볼록한 형상에 의해 낙차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alling pipe 2310 is a pipe through which the mixture falls by gravity from the top to the bottom. Here, the falling pipe is a cylindrical pipe with the same diameter from top to bottom. However, since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mounted or installed by the user, it may be difficult to install it clearly horizontally from the ground surface, and the drop tube 23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vex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fore, even if the bubble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op can be maintained due to the convex shape.

또한, 낙하관(2310)은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여, 하부에서 충돌하며 충격 및 진동에 의해 거품을 생성한다.Additionally, the drop pipe 2310 fal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collides at the bottom, and generates bubbles due to impact and vibration.

진동판(2320)은 낙하관(2310)을 통해 낙하한 혼합물에 진동을 가한다. 즉, 낙하한 혼합물에 지속적인 진동을 가하여 물과 공기와 세정액이 떨리며, 낙하관(2310)에 의한 거품 생성과 더불어 거품을 더욱 풍성하게 생성한다.The vibration plate 2320 applies vibration to the mixture dropped through the falling tube 2310. That is, continuous vibration is applied to the dropped mixture, causing the water, air, and cleaning liquid to tremble, and along with the foam generation by the falling pipe 2310, foam is generated more abundantly.

교반용 팬(2330)은 진동판(2320)의 상부 혹은 측면에 위치한다. 이는 팬의 회전에 의해 혼합물을 지속적으로 교반하며 낙하관(2310) 및 진동판(2320)에 의해 생성된 거품이 더욱 풍성하게 한다. The stirring fan 2330 is located on the top or side of the vibration plate 2320. This continuously agitates the mixture by rotating the fan and makes the bubbles generated by the falling tube 2310 and the vibration plate 2320 more abundant.

따라서, 본원발명의 거품 생성부(2300)는 1차적으로 낙하관(2310)에 의한 거품 생성, 2차적으로 진동판(2320)에 의한 거품 생성, 3차적으로 교반용 팬(2330)에 의한 거품 생성 효과를 나타낸다.Therefore, the foam generator 23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generates foam by the falling tube 2310, secondarily creates foam by the vibration plate 2320, and thirdly generates foam by the stirring fan 2330. Shows effect.

이렇게 거품 생성부(2300)를 통해 생성된 거품은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샤워헤드 혹은 노즐로 토출된다. 여기서, 토출되는 거품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거품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거품이 토출되는 토출부(2400)와 토출부에 구비된 다공판(2410)을 포함한다.The foam generated through the foam generating unit 2300 is discharged to a shower head or nozzle supplied to the user. Here, the foam to be discharged includes a discharge unit 2400 through which the foam is discharged and a perforated plate 2410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so that the size of the foam particl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다공판(2410)은 기공의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판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크기의 다공판을 거품이 통과하며, 거품의 입자 크기가 조절된다.The porous plate 24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lates with different pore sizes, and the foam passes through the porous plate of the desired siz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foam is adjus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explained while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s due to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00 : 벤츄리 밸브 1100 : 전단부
1200 : 중단부 1210 : 공기 유입구
1220 : 세정액 유입구 1230 : 개폐 스위치
1300 : 후단부 2000 : 교반기
2100 : 공기 공급부 2110 : 회전팬
2200 : 압축 탱크 2300 : 거품 생성부
2310 : 낙하관 2320 : 진동판
2330 : 교반용 팬
1000: Venturi valve 1100: Front end
1200: middle part 1210: air inlet
1220: Cleaning liquid inlet 1230: Open/close switch
1300: rear end 2000: stirrer
2100: air supply unit 2110: rotating fan
2200: compression tank 2300: foam generating unit
2310: Drop tube 2320: Vibration plate
2330: Pan for stirring

Claims (8)

전단부에서 물이 유입되고, 중단부에는 벤츄리 효과에 의해 공기와 세정액이 각각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와 세정액 유입구를 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고, 후단부에는 상기 물과 상기 공기와 상기 세정용 용액이 혼합된 혼합물이 토출되도록 상기 전단부부터 상기 후단부까지 연결된 유로를 포함하는 벤츄리 밸브; 및
상기 벤츄리 밸브의 상기 후단부에 연결되어,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는 교반기;
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기.
Water flows in at the front end, the middle part includes at least one air inlet and a cleaning liquid inlet through which air and cleaning liquid flow through the venturi effect, and the water, air, and cleaning solution are mixed at the rear end. a venturi valve including a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so that the mixture is discharged; and
a stirr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to supply additional air and stir the mixture;
A foam generator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 밸브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상기 전단부로 유입된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전단부에서 상기 후단부로 향할수록 상기 중단부에 연결되는 거품 발생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air inlet of the venturi valve is
A bubble generator connected to the middle part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so that air fl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front end flow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 밸브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입구는
상기 벤츄리 밸브의 중단부에 의치한 상기 유로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지면을 향하는 최하단을 기준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중단부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과 평행하지 않도록 연결되어, 상기 후단부로 향하는 혼합물에 회전을 가하는 거품 발생기.
According to clause 2,
The at least one air inlet of the venturi valve is
It is form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flow path provided at the middle part of the venturi valve and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based on the lowest end facing the ground,
The air inlet is connect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s in the middle part, and applies rotation to the mixture heading to the rear e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 밸브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세정액 유입구에서 공기와 세정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세정액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 스위치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기.
According to clause 1,
The venturi valve is
A foam generator comprising an open/close switch that opens and closes the air inlet and the cleaning liquid inlet so that air and cleaning liquid can flow in from the air inlet and the cleaning liquid inlet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는
상기 벤츄리 밸브의 후단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물, 공기 및 세정액의 혼합물에 추가적인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탱크;
상기 혼합물에 추가적인 공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 생성부;
를 포함하는 거품 발생기.
According to clause 1,
The stirrer is
an air supply unit that supplies additional air to the mixture of water, air, and cleaning liquid discharged through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a compression tank supplying compressed air to the air supply unit;
a foam generator that generates foam while additional air is supplied to the mixture;
A foam generator comprising a.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생성부는
혼합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낙하관;
상기 낙하관을 따라 낙하한 혼합물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판; 및
상기 낙하관을 따라 낙하한 혼합물을 회전하며 교반하는 교반용 팬;
을 포함하는 거품 발생기.
According to clause 5,
The foam generating unit
a drop tube through which the mixture fall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 vibration plate that applies vibration to the mixture dropped along the falling tube; and
A stirring fan that rotates and stirs the mixture dropped along the falling pipe;
A foam generator comprising a.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생성부는
상기 벤츄리 밸브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위치에 회전팬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회전 운동 에너지로 상기 압축 탱크의 공기를 압축하는 거품 발생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foam generating unit
A rotating fan is provided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venturi valve,
A bubble generator that compresses the air in the compression tank with rotational kinetic energy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rotating fa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생성부의 회전팬은 상기 진동판 및 상기 교반용 팬과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진동판의 진동 및 상기 교반용 팬의 회전이 발생하는 거품 발생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rotating fan of the foam generating unit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diaphragm and the stirring fan,
A foam generator in which vibration of the diaphragm and rotation of the stirring fan are generated by rotation of the rotating fan.
KR1020220116879A 2022-09-16 2022-09-16 Bubble Generator KR202400382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79A KR20240038286A (en) 2022-09-16 2022-09-16 Bubble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79A KR20240038286A (en) 2022-09-16 2022-09-16 Bubble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286A true KR20240038286A (en) 2024-03-25

Family

ID=9047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879A KR20240038286A (en) 2022-09-16 2022-09-16 Bubble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286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7236A (en)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Body cleaning foam supply device
JP2018198641A (en) 2017-05-25 2018-12-20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Foam supply device for washing
JP2019103755A (en) 2017-12-14 2019-06-27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Foam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7236A (en)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Body cleaning foam supply device
JP2018198641A (en) 2017-05-25 2018-12-20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Foam supply device for washing
JP2019103755A (en) 2017-12-14 2019-06-27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Foam suppl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2074B2 (en) Microbubble generator and hair was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4999996B2 (en) Bubble generator
CN109382013B (en) Micro-bubble water generator
KR101015477B1 (en) Micro buble creating device
US20080189847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nano bubble bathtub water and micro-nano bubble bathtub
CN211368092U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JP2007089710A (en) Shower apparatus
JP2009160576A (en) Fine air bubble generator
JP2010201397A (en) Microbubble generator and microbubble generating method
JP4915901B2 (en) Bathroom vanity
KR20240038286A (en) Bubble Generator
CN211368090U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CN211395013U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JP4552488B2 (en) Cleaning device
JP2007089702A (en) Shower apparatus
KR20100124102A (en) Shower device with air bubble producer
JP4228990B2 (en) Microbubble generator
CN212791473U (en) Water outlet device
CN210115170U (en) Nano bubble shower nozzle
CN111139623B (en) Hydrodynamic cavitation piece and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of microbubble generator
CN112899990A (en) Water inlet method of washing equipment and washing equipment using water inlet method
JP2003265351A (en) Shower head
KR102004325B1 (en) Nozzle for family use having buffer zone
JP3145914U (en) Water faucet mounted type micro bubble generator
CN211756104U (en) Microbubble shower nozzle and have washing equipment of this microbubble shower nozz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