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988A - 각 용량에 분배된 분쇄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커피 그라인더 - Google Patents

각 용량에 분배된 분쇄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커피 그라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988A
KR20240037988A KR1020247003595A KR20247003595A KR20240037988A KR 20240037988 A KR20240037988 A KR 20240037988A KR 1020247003595 A KR1020247003595 A KR 1020247003595A KR 20247003595 A KR20247003595 A KR 20247003595A KR 20240037988 A KR20240037988 A KR 20240037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grinder
weight
electric motor
ground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레 코리자
Original Assignee
씨엠에이 마키네 퍼 카페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에이 마키네 퍼 카페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씨엠에이 마키네 퍼 카페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4003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4Automatic starting or stopping devices; War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0Parts or details relating to discharge, receiving container or the like; Bag clamps, e.g. with means for actuating electr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모터를 갖고 교정단계를 제공하고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에 따라 교대로 작동할 수 있음에 따라 각 분쇄 커피 용량에 대해 분배되는 커피의 양을 제어하면서 작동하는 커피 그라인더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교정 단계는 작업자에 의해 전기 모터의 상기 활성화 기간을 수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교정 단계는 분쇄 커피의 원하는 중량(Pf)과 필터 홀더(Pr)에서 실제로 분배되고 커피 그라인더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울 또는 다른 계량 장치에 의해 측정된 분쇄 커피의 중량 사이의 비교와 관련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각 용량에 분배된 분쇄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커피 그라인더
본 발명은 수시로 그라인딩되는 커피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커피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원두 그라인딩 전용 그라인더 유닛을 제어하는 전기 모터의 활동 시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원두의 생산 후 발견된 실제 분배된 중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용량을 정밀하게 교정할 수 있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단일 용량의 분쇄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이러한 유형의 기계에 관한 것이다.
커피숍 시장에서는 커피, 특히 소위 에스프레소 커피를 준비하는 동안 아로마의 완전한 방출을 활용할 수 있도록 소비 시 커피 원두를 그라인딩할 수 있는 커피 그라인더가 오랫동안 필요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실제로 그라인딩된 커피 분말은 끓는 물과 더 많이 접촉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구성 요소를 더 잘, 더 완벽하게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커피 분말은 맛과 향이 빨리 사라지기 때문에 원두는 사용 직전에 분쇄하는 것이 좋다. 커피를 준비하기 직전에 "즉석에서" 수행되는 그라인딩은 에스프레소 컵에 커피 원두의 특성을 최상의 상태로 전달하기 위해 얻은 분말의 입도 측정과 균질성이 모든 후속 작업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처음에는 미식가 유형의 커피숍 분야에서 느꼈고 이후 커피 세계 전체가 빠르게 공유하게 되었다) 분쇄 커피의 원하는 입도 측정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일한 양(이하 "용량"이라고도 함)의 전달을 보장하도록 기술의 진보를 통해 기계의 미세한 조정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커피 그라인더를 시장에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분쇄 커피 분말의 입도 프로파일은 특히 습도, 온도 등 외부 환경 변수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기 환경 조건의 지속적인 가변성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일정한 관능 특성을 갖는 에스프레소 커피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분쇄 커피 투입량을 준비할 때 실시간 제어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했다.
따라서 시장은 분쇄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수와 온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 작업 조건의 변화로 인한 문제, 사용된 커피 블렌드의 종류와 건조 정도 및 기타 유사한 변수를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관리하면서 원하는 중량(예: 7g)의 커피를 정확하게 한 번에 제공할 수 있는 커피 그라인더를 최대한 정밀하게 생산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커피 그라인더의 최신 기술을 가장 대표하는 문서의 두드러진 특징이 아래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EP2694216(2-2014)은 필터 홀더의 바스켓에 분배된 커피의 양을 측정하는 시스템을 포함하는 커피 그라인더 기계를 설명하며, 이 바스켓의 지지 포크는 기계 구조 내부에 배열된 로드 셀에 직접 연결된다.
EP3019057(5-2016)은 이전 특허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계량 시스템을 갖춘 커피 그라인더 기계를 설명하며, 여기서 적용 시 로드 셀의 제한 스트로크 요소를 보호할 수 있는 필터 홀더용 지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외부 힘이 크기 때문에 필터를 장치 표면에 밀어 넣어 필터에 그라인딩된 커피를 침전시키는 기능도 가능하다.
EP3158902(4-2017)는 필터 홀더의 포크와 로드 셀 사이의 지렛대 시스템을 제안하는 커피 그라인더 기계를 설명한다. 상기 레버리지 시스템은 과부하가 있을 때 계량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로드 셀의 자유 단부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EP3167782(5-2017)는 다양한 유형의 미리 결정된 중량 중량에 도달할 때마다 기계의 정상 작동 중에 지속적으로 교정하는 커피 그라인더 기계를 설명한다. 그러면 교정 시스템은 위에 설명된 동일한 소유자의 이름으로 이전 특허 EP3097831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절차를 실질적으로 따른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알려진 시스템에는 선택된 간접 계산 방법과 본질적으로 연결된 단점이 있어 분쇄 커피의 중량을 계산할 때 만족스러운 정밀도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출원 번호 102018000009926 의 출원인이 각 용량에 대해 생산되는 분쇄 커피의 양을 정밀하게 개선하는 첫 번째 솔루션을 찾았으며, 여기서 커피 그라인더에는 분쇄 중에 필터 홀더에 부어지는 분쇄 커피의 중량을 직접 계량하기위한로드 셀이 제공되며, 분쇄 커피의 중량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그라인더의 활성화 시간을 수정하여 목표 중량, 즉 사용자가 커피 그라인더의 단일 활성화가 끝날 때 필터 홀더의 중량을 얻으려는 중량과 실제로 얻은 중량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있는 전자 제어 장치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102018000009926에서는 계량 시스템이 기계 본체에 있는 커피 그라인더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계량 시스템은 필터 홀더를 채우는 동안 즉시 감지된 중량에 따라 전기 모터를 지능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단계를 수행하는 전자 제어 장치에 반복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개발과 더불어, 출원인은 처음에 제시된 유형의 커피 그라인더, 즉 분쇄된 커피의 중량을 간접적으로 감지하여 작동하는 커피 그라인더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원두커피의 중량을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커피 그라인더, 즉 문헌 102018000009926에 따른 제품과 관련하여 상업적 제안을 차별화하기 위해, 수백 그램의 무거운 필터 홀더에 포함된 제품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분명히 특정한 특성을 가져야 하는 로드셀 또는 기타 계량 장치를 갖지 않도록 설계된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컴팩트한 커피 그라인더를 개발했으며, 상기 계량 장치는 그라인더의 활동으로 인한 높은 진동 상황에서도 작동해야 한다.
따라서 직접 계량 시스템을 채택하지 않고도 분쇄 커피 용량의 정량적 정밀도를 향상시켜 현재 시장에 나와있는 커피 그라인더가 제공하는 것보다 높은 분쇄 용량의 정밀도와 일관성에 도달하는 커피 그라인더를 만들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쾌적한 향을 얻으려면 원하는 맛을 얻을 때까지 입도 측정과 분쇄 커피의 양 모두에 작용해야하기 때문에 정확한 커피 용량을 교정하는 것은 실제로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바 웨이터는 그라인더를 지속적으로 조정하고 분쇄 커피의 배달 시간을 지속적으로 계산해야 한다. 또한 정확한 용량을 사용하면 제공되는 각 컵에 대한 원재료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출원인은 실제로 수행된 연구 및 실험에서 연삭의 초기 전환 기간에 유효 연삭 속도가 다음과 같이 기계 교정 중에 계산된 평균 연삭 속도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시작 과도 기간, 그라인더의 형태, 그라인더 위의 커피 원두 배열 및 그 사이에 이미 부분적으로 삽입된 원두의 배열, 마지막으로 그라인더의 특정 시작 위치와 관련된 무작위 오류의 기능으로 인해 무시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된다. 동일한 그라인딩 시간에도 그라인딩된 용량의 유효 중량이 불균일한다. 시작 과도 현상과 유사하게, 정지 단계에서도 레짐 단계에서 생성된 것과 상당히 다른 양의 커피가 생성되며, 분배되는 시간과 양은 분말의 입도와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필터 홀더에 쌓인 농도의 농도를 변경하기 위해 작업자가 조정할 수 있는 커피의 종류와 그라인더의 구성이다.
발명의 설명
상기 문제점은 첨부된 청구항 1에 정의된 특징을 갖는 커피 그라인더에 의해 해결되고 이러한 범위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커피 그라인더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종속항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 그라인더는 공지 기술, 즉 기계의 활성화 시간을 수동으로 교정하는 프로세스에 따라 작동하거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외부 계량기를 통해 작동되는 계량 작업에 의해 감지된 문법에 따라 시간을 정밀하게 계산하는 혁신적인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모터 활성화 기간 동안 긴 교정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이 절약되고 원하는 용량에 도달하기 위해 분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커피숍용 일반 계량기를 통해 계량을 수행한 시스템에 작업자가 삽입해야 하는 계량 값인 분쇄 커피 용량의 하나 이상의 계량에 따라 모터의 작동 기간을 계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중량과 그라인딩 후 필터 홀더에 실제로 들어가는 중량 사이의 차이를 미리 결정된 임계값 아래로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편차 값은 설정될 수 있으며 10분의 1 또는 100분의 1그램 정도, 바람직하게는 0.1그램을 초과하지 않는 값 범위에서 발견된다.
일 실시예에서, 분쇄 커피는 분쇄 커피의 입도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그라인더 그룹의 구성을 조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적어도 포함하며, 그라인더의 조정 메커니즘은 그라인더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및/또는 상태 센서와 연관된다. 그라인더의 위치 조정은 바람직하게는 수동 메커니즘에 의해 수행되고 상대 변위는 커피 그라인더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전위차계 또는 광학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그라인더 위치의 변화와 그에 따른 분당 그램 단위의 질량 유속 변화로 인해 목표 용량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교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면 사용자에게 알림이 전달되고 교정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광학 또는 전위차 센서를 사용하면 그라인더의 거리를 정확하게 결정하고 그에 따른 입도 측정 제어(광학 센서의 경우 5/10나노미터)가 가능하다. 이는 양과 입자 크기를 정확하게 준수해야 하는 레시피를 반복하는 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바 웨이터가 원하는 향기로운 부케를 얻기 위해 커피 그라인더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고정밀 센서의 사용은 필요한 복용량의 중량이 정확하게 결정되어 그라인더의 정밀한 조정과 동일한 그라인더가 분쇄하는 커피 양의 정밀한 결정 사이의 시너지 효과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와 결합할 때 특히 유리하다. 유리하게도, 위치/상태 센서의 존재는 작업자가 바람직하게는 그래픽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게 하며, 입도 측정 범위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200미크론 미만의 터키시 커피,
- 250 마이크론에서 400 마이크론 사이의 에스프레소 커피,
- 400 마이크론에서 800 마이크론 모카,
800 마이크론 이상의 필터 커피.
추가적인 실행 변형예에서는, 한 용량의 커피 양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중량 수(예: 2 또는 3개 중량)의 평균에 대해 교정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변형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 펌웨어는 다음 작동 단계를 포함하는 가중치 교정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 후속 중량의 미리 결정된 수(n)를 저장하는 단계;
- 상기 후속 중량 횟수(n)에 대한 평균 중량 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평균 가중치 값과 원하는 가중치의 목표 값(Pf) 사이의 평균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평균 편차의 함수로서 체제 작동 단계에서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매개변수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변형예는 단일 원산지와 혼합 커피 모두 균일하지 않은 배치의 커피가 있을 때 유리하게 사용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추가 실시예는 또한 상기 시작 및/또는 정지 단계 동안 생성된 커피 분말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일시적인 교정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이 일시적인 교정 프로그램은 다음의 작동 단계를 포함한다:
- 필터 홀더의 빈 중량을 측정하도록 커피 그라인더 운영자에게 알리는 단계;
- 필터 홀더의 자체 중량 값을 획득하는 단계;
- 시작 및 중지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가능하면 이러한 시퀀스를 한 번 이상 반복하는 단계;
- 커피 그라인더의 작업자에게 일정량의 분쇄가 종료되면 필터 홀더에 대한 중량 측정을 수행하도록 알리는 단계;
- 필터 홀더에 의해 상기 계량 값을 획득하는 단계;
- 이전에 획득한 값의 차이 또는 평균 차이를 통해 분쇄 커피 용량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시작 및 중지 단계와 관련된 분쇄 커피의 양을 재설정하는 단계.
추가적인 실행 변형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단일 용량, 이중 용량, 순수 용량(네이키드 필터 홀더용 또는 침출수 커피 수집 및 전달을 위한 바닥 없음) 및 자유 용량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전달을 관리하고 저장한다. 유리하게도,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것과 결합된 중량 교정 절차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생산된 다양한 양의 커피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필요한 복용량이 변경될 때마다 재교정할 필요가 없다.
추가 실행 변형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추가 과다 투여량, 즉 단일 전달을 위해 일반적으로 특정 필터 홀더로 향하는 내용물에 비해 커피의 양이 두 배인 관리를 허용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필터 홀더 바스켓에서 흘러나오는 경향이 있는 매우 많은 양의 분말을 관리해야 하는 과다 투여 모드에서는 처음에 필요한 양의 절반을 전달하고 바 웨이터가 분말에 작용한 다음 남은 수량을 전달하도록 한다.
실행 변형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분배된 전체 수량과 부분 수량을 표시하는 내부 카운터를 갖고 있으며, 원두 유형별로도 구분된다. 이는 분배된 커피 양의 정확성과 결합되어 특정 기간에 소비된 커피 양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게 하며, 이는 통계 목적 외에도 다음과 같은 소비를 위한 상업적 판매 패키지의 경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매 및 가공된 수량을 확인하려는 원자재이다.
추가적인 실행 변형예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그라인더를 청소하고 교체할 시기를 제안한다.
추가 변형예에서 커피 그라인더에는 자석으로 고정된 탈착식 필터 홀더 암이 있어 에스프레소 그라인더에서 필터 커피/식료품 또는 모카 커피 그라인더로 즉시 전환할 수 있으며, 원두 또는 커피용 베이스 백에 다양한 천연 필터를 넣을 수 있다.
따라서 필터 홀더의 지지 구조는 다양한 유형의 필터 홀더 또는 기타 분말 커피 용기에 맞게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자석의 존재로 인해 암의 말단 부분을 쉽고 빠르게 제거하여 이를 다른 구조 중 하나로 교체하고 청소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적 신속 결합 및 해제 시스템과 같은 다른 구속 시스템이 특정 일반 장비나 특정 기술 및/또는 운영 기술이 필요 없이 사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를 제거할 수 있는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필터 홀더 지지대의 보다 일반적인 발명 개념에 속하기 때문에 자석의 존재가 문제의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변형예는 특정 유형의 필터 홀더에 대한 커피 양의 중량 및 반자동 교정을 확인하는 실행 가능한 실시예와도 결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전 것의 조합 또는 하위 조합으로 달성될 수 있는 추가 변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해 사용자가 레시피를 기억할 수 있고, 그램 단위의 특정 용량과 그라인더 사이의 거리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20미크론에서 더블 도즈 18.2g의 "파나마 싱글 오리진" 에스프레소의 레시피.
본 발명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의 추가 특징 및 이점은 어떠한 경우에도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의 가능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피 그라인더의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계량 장치와 관련하여 일반적인 커피 그라인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그라인더의 활성화 동작과 실제로 발견된 수량에 따른 활성화 기간의 수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특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그라인더(1)는 전기 모터(3)가 설치된 지지 프레임(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베이스(1a)를 갖는 직각기둥의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모터 샤프트(3)는 그라인딩 챔버(5) 내부에 수용된 그라인더(4) 그룹을 제어하기 위해 커피 그라인더의 상부 부분을 향해 연장된다. 그라인딩 챔버(5)의 상단에는 원두의 로딩을 위한 호퍼(6)와 연결되는 개구가 있다. 그라인딩 챔버(5)에 측면으로 연결된 전면 위치에는 필터 홀더를 지지하기 위한 포크(8) 쪽으로 기울어진 분쇄 커피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7)이 제공된다. 포크(8)는 모터(3)에 인접한 배출구 영역(9)에 배치된다. 호퍼(6)는 역시 직사각형 모양의 뚜껑(10)으로 닫혀 있으며, 뚜껑의 가장자리는 중단 없이 커피 그라인더(1)의 측면에 연결된다. 출구 영역(9) 위, 커피 그라인더(1)의 전면 벽에, 바람직하게는 촉각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크린(12)이 커피 그라인더(1)의 벽 내부에 오목하게 들어간 후면 전자 보드(13)에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7)는 커피 그라인더(1)의 전체 작동을 관리하고 터치 스크린(12)을 관리하는 전자 보드(13), 모터(3)를 관리하는 전원 보드 및 그라인더(4)의 가변 위치 제어 시스템에, 마지막으로 냉각 시스템과 상대 온도 조절 장치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크린(12)은 장치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촉각형이므로 사용자가 일련의 명령을 실행하고 커피 그라인더의 일반 및 특별 작동을 관리하는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기능 중에서 커피의 양을 조절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예: 그라인더의 작동 시간을 조정하거나 설정된 중량과 외부 계량기로 계량하여 찾은 중량을 비교하여 장치가 교정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함).
포크(8)는 모든 유형의 필터 홀더, 특히 단일 필터 홀더, 이중 필터 홀더 또는 바닥 및 하부 스파우트가 없는 필터 홀더("네이키드"라고도 함)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또한 자기 수단과 같은 유지 수단이 장착된 제거 가능한 필터 홀더 암을 포함할 수 있어, 제거 가능한 암은 필요하다면 간단하고 신속하게 제거되거나 제 위치에 다시 설정될 수 있다.
그라인더(4)의 시스템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원추형 및 평면 그라인더 그룹을 포함하며; 자동 제어 시스템을 갖춘 나사식 링 너트는 원하는 대로 상기 그라인더(4) 사이의 미세 거리를 조정하여 그라인딩된 커피의 입자 크기 프로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터 구동 팬을 포함하는 온도 조절 장치와 냉각 시스템이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그라인딩 챔버(5) 근처에 배열된다. 상기 냉각 시스템은 그라인딩되는 커피 콩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인더(4)의 과열을 방지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커피의 관능 원리를 변경하고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켜 작동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라인더(4)와 필터홀더 사이에 그라인딩커피 찌꺼기가 막히는 현상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그라인딩 챔버(5)는 그라인더(4)의 외주에 근접하게 형성되고, 전달채널(7)은 분쇄 커피 분말이 채널(7)에 들어가면 최적의 낙하를 얻기 위해 연결부나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는 겹쳐진 금속 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이 목적을 위해 채널(7)의 축과 각도가 이루는 각도 수평면에 대한 각도는 충분히 큰 각도, 바람직하게는 40°와 60° 사이, 예를 들어 50°의 각도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채널(7)은 커피의 경로에서 응집체의 형성을 방지하고/하거나 그라인딩 챔버(5)와 출구 영역(9) 사이의 경로에서 연결되는 분말 흐름 및 공기에서의 용해를 촉진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커니즘의 가능한 실시예는, 연삭실(5)과 전달 채널(7) 사이의 출구 포트의 부분 폐색에 위치하도록 조정된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와, 출구 영역(9)을 향하는 단부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섹션을 갖는 경로를 따라 상기 전달 채널(7) 내부로 종 방향으로 전개되는 형상을 갖는 유출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는, 상기 그라인딩 챔버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및 분말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힘에 반대되는, 상기 분말의 통과에 유용한 표면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나머지 위치로부터 제거하도록 하는, 재료의 탄성에 따른 힘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이는 오리피스의 가장자리에 분쇄된 커피의 정지를 방해하는 동작으로 상기 플레이트를 나머지 위치로부터 제거한다.
커피 분말이 그라인딩 챔버(5) 외부에서 수행되는 경로에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체 내부에서 세로로 전개되는 형태를 갖는 유출을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요소와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능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출 조정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장축을 따라 180°인 타원형 섹터와 유사한 기하학적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원형 밑면을 갖는 원통과, 그 법선이 상기 원통의 대칭축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평면과, 그 법선이 상기 교차로 인해 발생하는 영역에 있는 두 번째 평면과의 교차점에서 파생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와 유출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커니즘의 작용은 특히 덩어리의 형성을 방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크게 기여한다. 또는 커피 분말 덩어리는 필터 내 커피의 흐름을 더욱 규칙적으로 만들어 필터 홀더에 들어가는 분쇄 커피의 양을 더욱 선형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만든다. 유리하게는, 이는 그라인딩 챔버에서 필터 홀더까지의 경로를 따라 덩어리가 형성되거나 일반적으로 분말이 축적되는 것을 줄여주며, 그라인딩 챔버에서 흘러나오는 분말의 양과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는 분말의 양을 동일하게 하여 분쇄된 커피가 실제로 필터 홀더에 도달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더욱 유리하다. 즉, 분쇄의 정밀도가 높아져 동일한 조건에서 한 번 추출할 때와 다음 번 추출할 때 중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제어 프로그램과 교정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펌웨어가 마이크로컨트롤러(17)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필터 홀더에 들어가는 분쇄 커피의 양과 시간에 따른 일관성을 특히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펌웨어는 특히 커피 그라인더의 일반 관리, 용량 교정 처리, 전기 모터(3)의 구동, 그라인더(4)를 조정하기 위한 전동 시스템의 작동, 작동 구성의 감지, 그라인더의 설정, 장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무선 또는 케이블 연결, 그라인딩 챔버(5)의 온도 제어 및 냉각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 설정를 관리한다.
시스템 상태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며 작동 모드 구성 및/또는 장치 작동 매개변수 업데이트를 위한 다양한 옵션도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생성된 각 용량에 대한 분쇄 커피의 양을 그램 단위로 설정하거나 교정 또는 세척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12)을 통해 이러한 매개변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17)의 메모리 영역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가능한 용도로 또는 펌웨어에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라인더(4) 사이의 서로 다른 거리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커피 혼합물의 경우, 그라인딩된 커피의 입도를 변경한다.
마이크로컨트롤러(17)의 펌웨어는 단일 커피의 중량을 유지하기 위해 계량 프로그램의 매개변수를 적용하기 위해 전기 모터의 작동 시간과 상대 교정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여 분쇄 커피의 양을 조절하는 프로그램을 통합한다. 가능한 한 일정하게,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요청한 중량 값 주위의 ± 0.1g 범위 내에서 투여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각 계량의 특성 값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바람직하게는 비휘발성)을 포함하며, 상기 값은 설정된 중량과 발견된 중량 및 결과적으로 상기 값 사이의 차이 외에도 작동 조건의 이력을 재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일련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작동자가 필터에서 원하는 커피 중량에 도달하기 위해 작동 모드 및/또는 가장 적합한 파라미터의 선택을 안내하는 데 사용할 수도 있다.
전기 모터의 작동 기간을 제어하고 교정하는 이 프로그램은 신청인이 분쇄 작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커피의 종류 및 그라인더의 구성 조정과 같은 일부 요인에 따라 분쇄의 일시적인 시작 및 중지가 가변적이라는 것을 감지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회전 부품과 그라인딩 챔버의 하나 이상의 벽 사이의 간격, 그리고 이러한 모든 요인이 동일할 경우,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작동하는 전기 모터의 작동 기간인 그라인더의 레짐 상태 기간에 작용하여 분쇄 커피의 전달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발견 덕분에, 본 발명의 작동 프로그램은 시작 및 정지 단계에서 커피 제품의 지속 시간 및 양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교정 단계와 결합된 레짐 상태 작동 기간에 기초하여 원하는 용량에 대해 ± 0.1g 정도의 분쇄 커피 용량에서 매우 높은 중량 일관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정 프로그램은 상태 상태에서 전기 모터의 작동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필터 홀더에 실제로 부어지는 분말의 양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외부 계량 장치를 사용한다. 더 많은 계량이 후속 기간에 수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반드시 연속적이지는 않다. 이러한 계량에 대해 얻은 값은 실제로 작업 조건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지는 각 후속 계량에 정확한 시간 값을 할당하기 위해 펌웨어에 의해 저장 및 사용된다. 외부 조건(예: 커피 원두의 품질, 분말의 다른 입자 크기를 얻기 위한 그라인더의 간격)이 변경되어 계량된 용량이 목표 중량과 크게 달라지는 경우 펌웨어는 교정 수행을 제안한다. 원두의 중량에 대해 발견된 값을 기록하는 단계에서 이를 사용하여 새로운 모터 작동 기간을 계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알려진 구성과 달리 계량 장치가 커피 그라인더와 별도로 배열되어 본 발명에 직접 속하지 않는 방법을 볼 수 있는 블록도가 일반적으로 표시된다. 비록 그 사용이 본 발명의 장치 목적의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구현되는 교정 동작을 위해 기본적일지라도, 이는 최신 기술에 알려진 임의의 유형의 장치일 수 있다.
계량 장치와 커피 그라인더 사이의 관계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계량을 수행하고 감지된 내용을 예를 들어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커피 그라인더에 보고한다는 사실로 제한될 수 있거나, 상기 관계는, 실행 가능한 변형예에서, 계량 중에 감지된 정보 및 선택적으로 필터 홀더의 용기(사전 저장된 값일 수도 있고 수시로 측정될 수도 있는)와 같은 기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두 장치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운영자에게 요구되는 작업을 줄이는 방식으로, 보다 간단한 형태로, 적재된 필터 홀더를 커피 그라인더에서 계량 장치로 또는 그 반대로 옮기기만 하면 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를 도시한다. 왼쪽에서 볼 수 있듯이, 분쇄 명령 A, 즉 특정 용량의 커피 분말을 생성하여 필터 홀더에 넣으라는 요청에 따라 펌웨어는 그라인더의 활성화 기간 T를 선택한다. 이러한 활성화 기간은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는 기간에 해당하며, 이러한 선택은 운영자가 수시로 표시하는 내용에 따라 설정하거나, 운영자가 달리 지정할 때까지 일시적으로 보류된 설정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블록 C에서, 그라인더는 모터의 활성화의 결과로 시동되며, 이 시동 과도 상태는 블록 D에서 알 수 있듯이 경과 시간이 기간 T와 동일한 한 유지되는 레짐 상태 조건에 도달할 때까지 나타난다. 이 조건에 도달하면 모터의 전원이 차단되어(블록 E) 그라인더가 정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감속 단계가 시작되며(블록 F), 이 감속 단계가 시작되면 그라인더는 정지한다. 이 정지 과도 상태에서 그라인딩 챔버의 원두 분쇄가 계속되고 일정량의 분쇄 커피 분말이 이송 채널을 통해 필터 홀더의 커피 양을 증가시킬 때까지 흐른다.
그라인더가 중지되면 작동 매개변수의 변경 사항(예: 다른 커피 블렌드 또는 종류, 작업자에 의한 그라인더 재교정, 필터 홀더 변경, 일반적인 작동 이상)이 G 블록에서 감지되며, 예를 들어 기계 설정을 변경하는 작업자의 입력도 판독된다.
교정 사이클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전자 제어 장치가 기간 T의 작동 사이클 동안 실제로 그라인딩된 커피의 중량을 인식할 수 있도록 일련의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정보는 계량 장치와 커피 그라인더 사이의 전기적 또는 무선 또는 광학적 연결을 통해 원격으로 전송되거나, 실행 가능하고 간단한 실행 형태로 계량 장치에서 계량 값을 읽고 터치 스크린 또는 이와 유사한 입력 장치를 통해 커피 그라인더에 입력하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의 오른쪽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캘리브레이션 사이클은 로드된 포터필터(블록 L)의 중량과 빈 포터필터(블록 J)의 중량의 차이(블록 M)로 1회 추출 시 커피 찌꺼기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실행 변형예에서, 필터 홀더의 자체 중량은 전자 제어 장치의 메모리에 있는 테이블에 미리 저장된다. 이는 J, K, L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순 중량을 간단히 계산할 수 있으며 필터 홀더는 필터 홀더를 처음 사용할 때 작업자가 수행한다. 추가적인 실행 변형예에서, 필터 홀더는 필터 홀더 자체의 태그를 인식하는 광학 판독기와 같은 공지된 유형의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제어 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인식된다.
일단 교정 작업 중에 제어 장치는 생산되어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커피의 중량을 감지하고 편차를 계산하고(블록 L) 그라인더를 움직이는 전기 모터의 통전 기간을 다시 계산한다.
바람직한 실행 변형예에서, 모터는 체제 상태 단계에서 일정한 속도로 작동하고, 질량 유량, 즉 단위 시간에 생성된 커피의 양은 전체 기간 동안 일정한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체제 상태 단계에서 모터의 정속 작동. 출원인은 이것이 일반적으로 사실이며 커피 그라인더에 전달 채널 및/또는 상기 채널을 마주하는 그라인딩 챔버의 출구 포트에서 분말 덩어리의 형성을 대조하는 시스템이 장착된 경우 더욱 그러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모터가 일정한 속도로 작동하는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실행 형태는 시동, 레짐 상태 및 정지 단계 전체에서 생산되는 커피의 목표 수량(Pf)과 측정된 수량(Pr)의 차이에 비례하여 레짐 상태 단계의 시간 지속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추가 변형예에서, 펌웨어는 후속 계량의 수(n), 예를 들어 3으로부터 취한 가중치 값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중치 교정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이러한 계량은 적절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 용량의 경우 7g과 같이 설정된 기준 값에서 +0.4g의 허용 오차를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중치 교정 프로세스에서 비정상으로 평가되어 폐기된다. 따라서 교정 프로그램에 유용한 방식으로 고려될 만큼 대표성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그라인더 활성화 시간 T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후속 계량은 모두 기준 값보다 크거나 작아야 하며, 따라서 정의된 방향을 향한 중량 변화 추세를 나타내야 한다. 즉, 3개의 후속 가중치 그룹에서 하나의 가중치가 시퀀스의 다른 두 값의 변화와 반대 방향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이 가중치 그룹은 새로운 T 값을 계산하는 데 고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 변형예에서는, 상기 시작 및/또는 정지 단계 동안 생성된 커피 분말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일시적인 교정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이 일시적인 교정 프로그램은 다음의 작동 단계를 포함한다:
- 커피 그라인더 운영자에게 필터 홀더의 빈 중량 측정을 수행하도록 알리는 단계;
- 필터 홀더의 빈 중량 값을 획득하는 단계;
- 시작 및 중지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필요한 경우 이 시퀀스를 한 번 이상 반복하는 단계;
- 커피 그라인더 운영자에게 일정량의 분쇄가 완료되면 필터 홀더를 사용하여 중량 측정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 필터 홀더에 의해 상기 계량 값을 획득하는 단계;
- 이전에 획득된 값의 차이 또는 평균 차이에 의해 분쇄 커피 투입량의 중량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시작 및 중지 단계와 관련된 분쇄 커피의 양을 재설정하는 단계.
유리하게도, 이러한 방법 단계의 실행은 시작 및 중지 단계에서만 생산되는 커피의 양을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즉, 기간 T를 갖는 체제 상태 단계를 배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산을 더욱 구체화하여 원하는 양의 커피 Pf를 달성한다. 실제로, 총 생산된 커피 양에서 시작 및 정지 과도 상태에서 생산된 커피의 양을 분리함으로써 그라인더가 작동 중일 때 그라인딩 챔버에서 흘러나오는 커피의 질량 유량을 더욱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체제 상태에서 작동하여 단위 시간당 생성된 분말의 정확하고 일정한 값을 연관시킨다. 이 값을 확인한 후에는 이 유량 값(예: 그램/초로 표시)을 Pf와 Pr 사이의 편차(그램)와 연관시켜 전기 모터의 작동 주기 T에 대한 교정(초)을 정의함으로써 최적의 주기 T를 즉시 다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는 의도된 목적을 완전히 달성했음이 분명하다. 실제로 커피 그라인더에 사용되는 계량 프로그램은 실제로 필터 홀더에 도달한 분쇄 커피의 중량만 감지하므로 그라인더의 작동 시간을 기반으로 한 이전 유형의 측정과 관련된 모든 단점을 피할 수 있다. 이렇게 감지된 중량이 원하는 최종 값과 값 D만큼 다를 때 분쇄가 중지된다. 이는 그라인더가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동안 그라인딩된 커피의 중량에 해당한다. 중량값(D)은 동일한 작업 조건 하에서 본질적으로 일정한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실험적으로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교정 프로그램에 의해 작업 조건이 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교정 프로그램은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매우 간단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므로 저렴한 전자 장치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피 그라인더는 그라인딩된 커피의 투여량의 높은 일정성, 낮은 제조 비용,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용의 용이성과 편리함과 관련하여 공지된 유형의 그라인더에 비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커피 그라인더에 사용되는 일정한 교정 프로그램은 작업자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된 개별 유형의 필터 홀더에 대해 원하는 분쇄 커피 양의 중량 값을 일회성으로 설정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행을 예시하는 형태일 뿐인 위에 예시된 특정 조항에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모두 본 분야의 당업자의 분야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본 발명 자체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하기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15)

  1. 분쇄된 커피의 각 용량에 대해 분배되는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커피 그라인더에 있어서,
    전기 모터(3), 상기 전기 모터(3)에 의해 구동되고 그라인딩 챔버(5) 내부에 수용되는 그라인더 그룹(4), 상기 그라인딩 챔버(5)를 향해 분쇄될 커피 원두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6), 분쇄된 커피가 적재될 필터 홀더와 같은 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 포크(8)를 향해 분쇄된 커피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채널(7) 및 상기 필터 홀더 내부의 분쇄된 커피의 원하는 목표량(Pf)을 얻기 위해 모터(3)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7)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다음 작동 단계:
    a) 분쇄 커피의 목표 수량을 생산하기 위해 상기 그라인더 그룹을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전기 모터의 활성화 시간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b) 전기 모터(3) 및 그라인더(4) 그룹에 의해 커피의 후속 분쇄의 활성화 단계;
    c) 이전에 결정된 활성화 기간과 동일한 알려진 기간 후에 전기 모터(3)의 정지를 명령하는 단계;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지시를 인코딩하는 커피 그라인더 관리 소프트웨어 형태의 제어 펌웨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모터 활성화 기간의 결정은, 상기 분쇄 커피의 중량 차이의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 모터 활성화 기간이 소정의 임계치 하에서 상기 원하는 용량(Pf)과 상기 필터 홀더(Pr)에서 실제로 분배되는 용량 사이에서 계산된 분쇄 커피의 중량 차이의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전기 모터 활성화 기간이 변화되는 선택적 교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피 그라인더는 전기 모터의 활성화 기간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모드와 제 2 모드 사이에서 교대로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교정 단계는 작업자에 의해 전기 모터의 상기 활성화 기간을 수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모드에서 상기 교정 단계는 분쇄 커피의 원하는 중량(Pf)과 필터 홀더(Pr)에서 실제로 분배되고 커피 그라인더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 저울 또는 다른 계량 장치에 의해 측정된 분쇄 커피의 중량 사이의 비교와 관련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다음 단계:
    d) 계량 장치를 통해, 분배 채널(7)을 통해 포크(8)에 놓인 필터 홀더에 도달한 분쇄 커피의 실제 분배 중량(Pr)을 감지하는 단계; e) 목표 중량(Pf)를 추출된 커피의 측정 중량(Pr)와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목표 중량(Pf)과 상기 분배된 커피 중량(Pr) 사이의 차이의 함수로서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매개변수를 평가하고 가능하게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정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교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교정 시퀀스는 자발적 주도로 및/또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표시에 따라 커피 그라인더의 조작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요소는 물리적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고 단방향 또는 양방향 정보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 활성화 기간은 상기 전기 모터의 다음 작동 조건:
    - 알려진 회전 속도 조건에 도달할 때까지 휴지 상태에서 상기 전기 모터를 전환하는 시작 단계;
    - 알려진 회전 속도 조건에서의 작동하는 레짐 상태 단계;
    - 알려진 속도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전기 모터의 전환하는 정지 단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시작 및 정지 단계 각각은 알려진 지속 시간 및 분배된 분쇄 커피의 알려진 양과 연관되며, 레짐 상태에서 작동 단계의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매개변수는 상기 시작 단계의 시작부터 상기 정지 단계의 종료까지 필터 홀더로 추출된 분쇄 커피의 감지된 양(Pr)이 초기에 선택된 목표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5. 제 4항에 있어서, 시작 단계의 분쇄 커피의 상기 기간 및/또는 분쇄 커피의 양은 정지 단계의 분쇄 커피의 대응 기간 및/또는 분쇄 커피의 상응하는 양과 동일한 값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짐 단계 동안 상기 그라인더 그룹은 상기 레짐 작동 단계의 기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짐 상태 단계의 기간은 시작, 레짐 및 정지 단계에서 생성된 커피의 목표량(Pf)과 분배량(Pr) 사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8.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쇄 커피의 입도 측정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그라인더 그룹의 구성을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 센서 및/또는 상기 그라인더 그룹의 상태와 연관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오는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신호를 교정 알고리즘과 함께 사용하여 그라인더의 특정 위치 및 모터 전기의 특정 활성화 기간의 조합을 포함하는 기능 작동 조합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9.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웨어는 다음 단계:
    - 상기 그라인더 그룹의 구성 및/또는 구성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 알려진 속도에서의 시작, 레짐 및 정지 단계의 기간에 대한 사전 결정된 값을 설정하는 단계;
    알려진 속도에서의 시작, 작동 및 정지 단계의 기간을 결정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실행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7)의 제어 펌웨어는 다음의 작동 단계:
    - 미리 결정된 개수(n)의 연속 중량을 저장하는 단계;
    - 연속적인 중량 측정 횟수(n)에 대한 평균 중량 값을 계산하는 단계;
    - 상기 평균 가중치 값과 원하는 가중치의 목표 값(Pf) 사이의 평균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평균 편차의 함수로서 양생 단계에서 전기 모터의 적어도 하나의 작동 매개변수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중치 교정 프로그램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개수의 중량을 저장하는 단계는, 모든 중량이 목표값(Pf)을 기준으로 검출된 중량(Pr)의 변동 부호가 동일한 경우에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중량은 저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쇄 커피에 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송 채널(7)을 따라 분쇄된 커피 분말의 축적을 방지하는 특정 형상 및 탄성을 갖는 커피 분말의 유출을 조절하는 요소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1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 챔버(4) 내부 및/또는 분쇄 및/또는 분쇄된 커피의 상기 전달 채널로의 이송에 관련된 기관의 표면에 두꺼워진 커피 분말의 잔류물 및/또는 축적물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거하는 수단과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15. 상기 커피 분쇄기에 의해 생성된 커피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계량 장치와 함께 제공되며, 상기 계량 장치 및 상기 커피 분쇄기는 분쇄된 커피를 담는 용기 또는 필터 홀더를 수용할 수 있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피 원두를 그라인딩하는 키트.
KR1020247003595A 2021-07-28 2022-07-25 각 용량에 분배된 분쇄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커피 그라인더 KR202400379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1000020201A IT202100020201A1 (it) 2021-07-28 2021-07-28 Macinacaffe’ con dispositivo di controllo della quantita’ di caffe’ macinata in una dose
IT102021000020201 2021-07-28
PCT/IB2022/056828 WO2023007342A1 (en) 2021-07-28 2022-07-25 Coffee grinder with control of the ground coffee quantity dispensed in each do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988A true KR20240037988A (ko) 2024-03-22

Family

ID=7821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595A KR20240037988A (ko) 2021-07-28 2022-07-25 각 용량에 분배된 분쇄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커피 그라인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76685A1 (ko)
KR (1) KR20240037988A (ko)
CN (1) CN117881327A (ko)
AU (1) AU2022320025A1 (ko)
CA (1) CA3227414A1 (ko)
IT (1) IT202100020201A1 (ko)
WO (1) WO20230073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2236A (en) * 1994-03-24 1995-10-31 Bunn-O-Matic Corporation Calibrateable timed weight grinder
US20140203118A1 (en) * 2011-04-05 2014-07-24 Adager Corporation (The) Apparatus to control the dispensing of a precise amount of ground coffee into an espresso portafilter basket
WO2015006244A1 (en) 2013-07-06 2015-01-15 Adager Corporation (The) Portafilter and grounds weighing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ES2569715T3 (es) 2011-04-05 2016-05-12 Mazzer Luigi S.P.A. Aparato de medición de café
ITUB20151304A1 (it) 2015-05-27 2016-11-27 Fiorenzato M C Srl Procedimento automatico di taratura per apparecchi macinadosatori di caffe' con dispositivo di pesatura e apparecchio macinadosatore elettronico.
EP3158902B1 (de) 2015-10-21 2020-02-12 Hemro International AG Wägeeinheit für eine kaffeebohnenmühle, kaffeebohnenmühle mit integrierter wägeeinhei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kaffeebohnenmühle
ITUB20155477A1 (it) 2015-11-11 2017-05-11 Fiorenzato M C Srl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macinare e dosare caffe' in chicchi con taratura continua e automatica della d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202100020201A1 (it) 2023-01-28
CN117881327A (zh) 2024-04-12
EP4376685A1 (en) 2024-06-05
WO2023007342A1 (en) 2023-02-02
AU2022320025A1 (en) 2024-01-25
CA3227414A1 (en)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588B2 (en)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the quantity of coffee and coffee machine using said method
US10799059B2 (en) Method for dispensing doses of coffee grounds
US10105009B2 (en) Variable speed coffee grinder
AU2005320988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JP2020501651A (ja) 挽いたコーヒーための計量アセンブリ、そのような計量アセンブリを備えたコーヒーグラインダおよびコーヒーメーカ、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20240037988A (ko) 각 용량에 분배된 분쇄 커피의 양을 제어하는 커피 그라인더
EP3873310B1 (en) Coffee grinder with weight control device of the dose of ground coffee
US11497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grind a product
JP7454584B2 (ja) 改良されたドージングシステムを備えたコーヒー粉砕機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US20240130566A1 (en) Device for grinding coffee beans and relative control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