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776A - 난청용 소리 수집기 - Google Patents

난청용 소리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776A
KR20240037776A KR1020220116707A KR20220116707A KR20240037776A KR 20240037776 A KR20240037776 A KR 20240037776A KR 1020220116707 A KR1020220116707 A KR 1020220116707A KR 20220116707 A KR20220116707 A KR 20220116707A KR 20240037776 A KR20240037776 A KR 20240037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sound
sound collector
glasses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김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형 filed Critical 김지형
Priority to KR102022011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776A/ko
Publication of KR2024003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7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0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5/402Arrangements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using contruction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귀바퀴에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주변의 소리를 증폭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수집기이다.본 발명은 이 수집기를 고정하기 위해, 머리띠, 안경, 모자 혹은 그와 유사한 형태의 다양한 부속장비에 관한 것도 포함한다..

Description

난청용 소리 수집기{sound collector}
본 발명은 소리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귀바퀴에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주변의 소리를 증폭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수집기이다.
본 발명은 소리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에 의한 보청기는 발달해 있으며 더 작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는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회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하려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오히려 분실의 우려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보청기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항상 사회 생활을 하는 것은 아니고, 혼자 있는 경우도 많이 있기 때문에 굳이 다른 사람들을 의식해서 소형화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많다.
또한 전자식 보청기는 과도한 음의 확대로 인해 어지러움 등의 문제로 실제 착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전자식이 아닌 전방의 소리를 모아서 확대하는 방식은 과도한 음의 확대가 없어 소리가 자연스러운 장점이 있다.
또한 귀속에 넣는 전자식 보청기의 경우 외이도에 자극을 주어 외이도염 등을 일으킬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자식 보청기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하더라도 실내에서 혼자 있는 시간에 전자식 보청기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전자식 보청기의 단점을 보완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식 보청기의 과도한 소리 확대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귀를 압박하거나 무거워서 불편감을 주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 모자, 머리띠 등 다양한 기존의 착용 장치를 겸하거나 결합함으로써 착용성과 견고함과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분실 가능성을 낮출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귓바퀴가 끼워지는 귓바퀴끼움홈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귓바퀴가 끼워지면서 귓바퀴를 감싸는 모양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귀바퀴의 모양, 퀴바퀴의 크기에 따라 고정력이 약할 수 있으므로, 다음 발병에 설명할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아치형태 혹은 원형으로 생긴 고정부는 머리 띠나 헤드폰의 구조와 흡사하며, 이는 머리의 위쪽 혹은 뒤쪽 혹은 앞쪽으로 위치 할 수 있다.
고정부는 기존의 모자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기존의 모자와 결찰할 수도 있다. 그 결과 방한용 귀덥개를 가진 모자와도 흡사한 모양이나 방한용 모자는 귀를 덮어서 소리를 가리는 역할을 하지만, 본 발명은 구형의 일부분 형태로 소리를 모아서 내이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부는 안경의 다리와 결합할 수 있다. 안경의 다리에 끼울 수 있는 탄력있는 결합부가 있어 안경을 귀에 잘 걸어 주는 역할을 하면서도 동시에 귀바퀴를 감싸서 소리를 모아서 외이로 보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것은 안경이 흘러 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변의 소리 특히 사용자의 전방의 소리를 모아서 외이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하여 난청이 있는 사람을 도와준다. 이는 흡사 손으로 소리를 모아 듣는 난청있는 사람들의 손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청기와 같이 작아서 분실의 위험이 있거나, 과대한 증폭으로 오히려 불편을 주지 않고 자연스러운 소리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외형적으로 보기 싫을 수도 있으나 혼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경우 오히려 쉽고 편리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자, 머리띠, 안경 등과 결합 또는 겸용으로 제작함으로써 디자인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역할과 보온 등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사용예시도로서 정면에서 본 모습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사용예시도로서 비스듬히 본 모습이고
1은 소리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2는 1을 고정하기 위해 머리띠의 형태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머리띠 뿐 아니라, 안경테에 부착하는 형태, 모자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으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의 크기와 두께 등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구체화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허용 오차, 디자인의 개선 변경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할 때, 구체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았다.
양쪽 귀에 사용될 수 있도록 2개가 한 세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질 또한 합성섬유나 천연섬유 고무, 고분자 화합물 등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은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다양한 색과 디자인의 변경도 가능하다.

Claims (3)

  1. 귓바퀴를 감싸면서 귓바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깔대기 형태로 주변의 소리를 모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청 환자를 위한소리 수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안경의 다리에 끼워지는 부분이 있어서 안경에 탈착할 수 있는 소리 수집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아치형태 혹은 원형으로 고정부의 양쪽에 소리를 수집하는 장치가 결합되고 이 고정부는 머리의 위쪽이나 뒤쪽, 혹은 앞쪽을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수집기. 이것은 모자와 연결될 수도 있고, 모자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KR1020220116707A 2022-09-15 2022-09-15 난청용 소리 수집기 KR20240037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707A KR20240037776A (ko) 2022-09-15 2022-09-15 난청용 소리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707A KR20240037776A (ko) 2022-09-15 2022-09-15 난청용 소리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776A true KR20240037776A (ko) 2024-03-22

Family

ID=9048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707A KR20240037776A (ko) 2022-09-15 2022-09-15 난청용 소리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7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2149A1 (zh) 一种新型自适应耳套
US7869615B2 (en)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 headset with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s
US4791673A (en) Bone conduction audio listening device and method
CA2377667C (en)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and surroundings blockade
US6233345B1 (en) Personal earphone assembly for mounting upon eyeglasses
US200900468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uditory Bone Conduction
US20010010727A1 (en) Personal earphone assembly for mounting upon eyeglasses
US20110002498A1 (en) In-ear headphone and headset
US201702082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yewear media device
JP2012049606A (ja) イヤースピーカ
US8491146B2 (en) Baseball-style cap with amplified stereo speakers
JPH0262199A (ja) 骨伝導型音声聴取装置および方法
US20080298622A1 (en) Headphones with Detachable Headband
CN201185472Y (zh) 改良的头戴式耳机结构
WO2017092166A1 (zh) 具有骨传导功能的智能眼镜
MX2019015127A (es) Casco de proteccion con orejas.
KR20240037776A (ko) 난청용 소리 수집기
KR100808734B1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장착용 모자
KR200468536Y1 (ko) 귀덮개형 이어폰
CN210958749U (zh) 一种入耳式自动降噪蓝牙耳机
CN208609160U (zh) 一种用于头戴设备的扬声器耳壳及一种头戴设备
CN210431803U (zh) 一种耳机音量稳定器
CN211791969U (zh) 一种便于眼镜用户使用的头戴式耳机
KR101382528B1 (ko) 이어팁 및 이어폰
CN204733316U (zh) 一种耳挂结构以及使用该结构的入耳式耳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