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086A -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 Google Patents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086A
KR20240037086A KR1020220115912A KR20220115912A KR20240037086A KR 20240037086 A KR20240037086 A KR 20240037086A KR 1020220115912 A KR1020220115912 A KR 1020220115912A KR 20220115912 A KR20220115912 A KR 20220115912A KR 20240037086 A KR20240037086 A KR 20240037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id
stopper
cover
storage contai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용
이지호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이명용
이지호
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용, 이지호, 이지원 filed Critical 이명용
Priority to KR1020220115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086A/en
Priority to PCT/KR2022/013750 priority patent/WO2023043206A1/en
Publication of KR20240037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0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05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이 개시된다.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은,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덮개부, 상부 덮개부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측부 덮개부 및 상부 덮개부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측부 덮개부 내측면에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이 형성되고, 측부 덮개부 외측면에 오링홈이 형성된 내부 뚜껑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 덮개부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스토퍼에 걸리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몸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 뚜껑부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결합부, 및 오링홈에 삽입되며, 몸체부 및 내부 뚜껑부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A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is disclosed. 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includes an upper cover with a discharge hole, a side cover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over, and a stopp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a storage contain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cover. An inner thread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thread formed in the injection port, an inner lid with an O-r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ver, an opening is formed at the bottom, and a space for inserting the inner lid is formed inside, A cover part that covers part of the upper part, an opening hole that opens part of the upper part, a body part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and includes a stop part for being caught by a stopper, and is formed by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part, and is attached to the inner lid part. It may include a coupling part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an O-r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and seals the space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inner lid part.

Description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본 발명에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용기에 담긴 탄산음료에서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that can prevent carbonation from leaking from carbonated beverages contained in a storage container.

사이다, 콜라, 맥주 등 탄산음료는 주입구에 나사선이 형성된 페트병 등의 저장용기에 담겨 유통된다. 탄산음료는 병마개가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되어 저장용기를 밀폐시킨 상태로 출고되며, 병마개를 개봉하지 않으면 저장용기는 기밀된 상태로 유지되어 저장음료에 포함된 탄산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하지만 병마개를 개봉하게 되면 병마개를 다시 닫게 되더라도 저장용기가 완전히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저장음료에 포함된 탄산은 병마개와 저장용기 입구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누출되어 저장음료의 맛이나 향 및 식감이 점점 떨어지게 된다. 특히, 저장음료의 배출로 저장용기 내부에 빈 공간이 커질수록, 탄산의 누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며, 일부 소비자는 탄산이 빠진 음료를 버리는 경우도 있다.Carbonated drinks such as cider, cola, and beer are distributed in storage containers such as plastic bottles with threads formed on the inlet. Carbonated drinks are shipped with the bottle cap connected to the thread formed on the inlet to seal the storage container. If the bottle cap is not opened, the storage container remains airtight and the carbonation contained in the stored beverag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However, once the bottle cap is opened, the storage container is not completely sealed even if the bottle cap is closed again, so the carbonation contained in the stored beverage leaks through the minute gap between the bottle cap and the mouth of the storage container, causing the taste, aroma, and texture of the stored beverage to gradually deteriorate. do. In particular, as the empty space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increases due to the discharge of the stored beverage, the leakage of carbonic acid accelerates, and some consumers even throw away the decarbonated beverage.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28710은 탄산음료가 저장된 저장용기를 개방한 다음, 이를 꺼꾸로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기구를 개시하고 있고, 등록특허공보 10-1453169는 탄산음료가 저장된 저장용기에 빈 병을 결합시켜, 빈 병으로부터 저장용기로 공기를 주입시켜, 저장용기의 빈 공간의 압력을 높여 결과적으로 누출되는 탄산의 양을 최소화는 탄산음료용 병뚜껑을 개시하고 있다.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28710 discloses a device that can open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carbonated beverages are stored and then store it by turning it upside down, and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53169 discloses a device that combines an empty bottle with a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carbonated beverages. A bottle cap for carbonated beverages is being disclosed that injects air from an empty bottle into a storage container, thereby increasing the pressure in the empty space of the storage container, thereby minimizing the amount of carbonic acid leaking ou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탄산음료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장착 가능한 호환성 및 심플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관하는 동안에 탄산 누출을 방지하고 동시에 병마개를 열어 저장용기를 개방할 때에도 탄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carbonic acid leakage during storage while having a compatibility and simple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the inlet of an existing carbonated beverage storage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carbonic acid leakage even when the storage container is opened by opening the bottle cap. The goal is to provide a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저장용기에서 음료를 따를 때에 음료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는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that can quickly discharge a beverage when pouring it from a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that can be produced at low cost and is reusab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that can be produced at low cost and is reusabl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음료를 따를 때에 내부 뚜껑부의 배출홀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으면서, 내부 뚜껑부의 배출홀을 덮을 때 내부 뚜껑부가 완벽하게 저장용기의 주입구를 닫을 수 있도록 하는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o enable the discharge hole of the inner lid to be easily opened when pouring a beverage, and to allow the inner lid to completely close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when covering the discharge hole of the inner li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은, 상부에 배출홀이 형성되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결합 고정되기 위한 내부 뚜껑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부 뚜껑부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 지름은 상기 결합부의 외부 지름과 같거나 클 수 있다.The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top, an inner lid for fastening to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an opening at the bottom, and a space inside for inserting the inner lid. A portion is formed, and includes a body portion including a cover portion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an opening hole that opens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tha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lid portion. can do. 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ortion.

상기 몸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방홀이 상기 배출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inner lid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cover may cover the discharge hole as the body rotates. With the inner lid inserted into the body, the opening hole may be positioned above the discharge hole as the body rotates.

상기 몸체부 내측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뚜껑부에는, 외측면에 상기 나사선과 결합되기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nd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lid to engage with the thread.

상기 내부 뚜껑부에는, 외측면에 걸림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 가능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뚜껑부가 상기 몸체부에 삽입시에,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내부 뚜껑부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inner lid, a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in the body portion, a locking portion is formed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sid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d when the inner lid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locking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d the body portion may be fixed to the inner li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은, 유체가 흐르기 위한 에어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뚜껑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관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 관홀 및 상기 하부 관홀에 삽입될 수 있다.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ir tube for fluid to flow, an upper tube hole for inserting the air tube is formed in the cover part, and the air tube is formed in the inner lid part. A lower tube hole for insertion may be formed. Here, the air tube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tube hole and the lower tube hole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내부 뚜껑부는, 내측에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부 뚜껑부의 내측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lid may be formed with an inner thread for engaging with a thread formed on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thread for engaging with the inner thread of the inner lid.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은, 상부에 배출홀이 형성되며, 측면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내측면에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이 형성된 내부 뚜껑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에 걸리기 위한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부 뚜껑부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토퍼부가 회전되어 상기 이동부에 걸리고,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이동부를 밀어 상기 내부 뚜껑부가 회전될 수 있다.The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top, includes a moving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ide, and has an inner thread formed on the inner side for engaging with the thread formed at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An inner li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 space for inserting the inner lid is formed inside, a cover part that covers a part of the upper part, and an opening hole that opens a part of the upper part, protrude inward from the side to move the It may include a body portion including a stopper portion for hanging on the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lid portion. With the inner lid inserted into the body, the cover may cover or open the discharge hole as the body rotates. As the body part rotates, the stopper part rotates and is caught by the moving part, and the stopper part pushes the moving part to rotate the inner lid part.

상기 스토퍼부는, 제1 스토퍼,및 상기 제1 스토퍼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와 이격되게 배치된 제2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1 이동부에 걸리고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2 이동부에 걸린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덮고,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1 이동부를 미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가 회전되면, 상기 내부 뚜껑부가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2 이동부에 걸리고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제1 이동부에 걸린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개방하고,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제2 이동부를 미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가 회전되면, 상기 내부 뚜껑부가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로부터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stopper part includes a first stopper and a second stopper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opper, and the moving part includes a first moving part and a second moving part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ving part. , when the first stopper is caught on the first moving part and the second stopper is caught on the second moving part, the cover part covers the discharge hole and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opper pushes the first moving part. When the body portion is rotated, the inner lid portion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to close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When the first stopper is caught by the second moving part and the second stopper is caught by the first moving part, the cover part opens the discharge hole and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opper pushes the second moving part. When the body portion is rotated, the inner lid portion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that opens from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뚜껑부가 저장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를 눌러, 억지 끼움 식으로 상기 내부 뚜껑부가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뚜껑부 측면 하단이 상기 스토퍼부에 걸릴 수 있다.The stopper part can move along a thread formed at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lid is coupled to the storage container, the body is pressed and the inner lid is inserted into the spac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inner lid is caught by the stopper.

상기 탄산 누출을 방직하기 위한 마개 시스템은, 유체가 흐르기 위한 에어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뚜껑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system for preventing carbonic acid leakage further includes an air pipe for fluid to flow, an upper pipe hole for inserting the air pipe is formed in the cover portion, and the air pipe is formed in the inner lid portion. A lower tube hole for insertion may be formed.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부 뚜껑부의 내측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thread to be coupled to an inner thread of the inner li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은,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덮개부, 상기 상부 덮개부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측부 덮개부 및 상기 상부 덮개부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덮개부 내측면에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측부 덮개부 외측면에 오링홈이 형성된 내부 뚜껑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 상기 덮개부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에 걸리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부 뚜껑부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결합부, 및 상기 오링홈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내부 뚜껑부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오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over part with a discharge hole formed, a side cover par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over part, and a stopper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part, and the side part An inner thread for engaging the thread formed in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an inner lid with an O-r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ver, an opening is formed at the lower part, and the inner lid is formed on the inside. A space for insertion is formed, a body portion including a cover portion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 opening hole that opens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 stop portion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and is caught by the stopper, and the body portion. I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inner lid portion, and an O-r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and seals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inner lid portion. With the inner lid inserted into the body, the cover may cover or open the discharge hole as the body rotates.

상기 측부 덮개부 외측면에 제2 오링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 오링홈에 삽입되며, 상기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은,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내부 뚜껑부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제2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O-ring groove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ver,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ring groove, and the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includes a second O-ring for sealing between the body and the inner lid.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배출홀 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스토퍼 보다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stopper may be located to the left of the discharge hole, and the discharge hole may be located forward of the stopper.

상기 멈춤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개방홀 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개방홀보다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개방홀은, 상기 멈춤부 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멈춤부 일단에 걸린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덮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멈춤부 타단에 걸린 경우에는, 상기 개방홀이 상기 배출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홀은 개방될 수 있다.The stopper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ne end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open hole, the other end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open hole, the open hole is located forward of the stopper, and the stopper is located at the stopper. When caught on one end, the cover part covers the discharge hole, and when the stopper is caught on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the opening hole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hole, so that the discharge hole can be opened.

상기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은, 유체가 흐르기 위한 에어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뚜껑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further includes an air tube for fluid to flow, the cover part has an upper tube hole for inserting the air tube, and the inner lid part has an upper tube hole for inserting the air tube. A lower tube hole may be formed for the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에 의하면, 내부 뚜껑부와 상용화된 병마개 구조와 대응하고, 이중 개폐 구조 및 회전 개폐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존 탄산음료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장착 가능한 호환성 및 심플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관하는 동안에 탄산 누출을 방지하고 동시에 병마개를 열어 저장용기를 개방할 때에도 탄산 누출을 방지할 수 있고,According to the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lid corresponds to the commercialized bottle cap structure and has a double opening/closing structure and a rotating opening/closing structure, so it is compatible and simple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on the inlet of an existing carbonated beverage storage container. Having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carbonic acid leakage during storag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carbonic acid leakage even when the storage container is opened by opening the bottle cap.

저장용기에서 음료를 따를 때에 에어관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음료가 빠르게 배출될 수 있고, 내부 기압이 유지되어 탄산 누출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으며,When pouring a beverage from a storage container,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pipe, allowing the beverage to be discharged quickly, and internal air pressure is maintained to further prevent carbonic acid leakage.

종래의 병마개 구조 및 심플한 구조를 갖는 몸체부 및 결합부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을 제작할 수 있다.Due to the conventional bottle cap structure and the simple structure of the body and join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cap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that can be produced at a low cost and is reusable.

몸체부에 스토퍼부가 구비됨으로써, 몸체부 및 내부 뚜껑부 사이의 밀폐력이 향상되고, 몸체부의 스토퍼부 및 내부 뚜껑부의 이동부 간의 상호작용으로 음료를 따를 때에, 몸체부를 회전시켜서 내부 뚜껑부의 배출홀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몸체부가 내부 뚜껑부의 배출홀을 덮은 상태에서 몸체부를 통해 내부 뚜껑부를 회전시킬 수 있음에 따라 내부 뚜껑부가 완벽하게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닫힐 수 있으며, 사용자는 내부 뚜껑부의 닫힌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By providing a stopper part in the body part, the sealing force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inner lid part is improved, and when pouring a drink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opper part of the body part and the moving part of the inner lid part, the body part is rotated to open the discharge hole of the inner lid part. It can be opened easily, and the inner lid can be rotated through the body while the body covers the discharge hole of the inner lid, so the inner lid can be completely closed to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user can close the inner lid. You can easily check the status.

몸체부 및 내부 뚜껑부 사이에 오링이 게재됨으로써, 밀폐력이 보다 향상되어 장기간 음료를 보관시에도 탄산 누출이 방지되고, 몸체부의 멈춤부 및 내부 뚜껑부의 스토퍼 간의 상호작용으로 음료를 따를 때에, 몸체부를 회전시켜서 내부 뚜껑부의 배출홀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고, 몸체부가 내부 뚜껑부의 배출홀을 덮은 상태에서 몸체부를 통해 내부 뚜껑부를 회전시킬 수 있음에 따라 내부 뚜껑부가 완벽하게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닫힐 수 있으며, 사용자는 내부 뚜껑부의 닫힌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By placing an O-ring between the body and the inner lid, the sealing force is further improved, preventing carbonic acid leakage even when storing drinks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topper of the body and the stopper of the inner lid prevents the body from leaking when pouring a drink. The discharge hole of the inner lid can be easily opened by rotating, and the inner lid can be rotated through the body while the body covers the discharge hole of the inner lid, so the inner lid can be completely closed to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closed state of the inner li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외부 뚜껑부에 내부 뚜껑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이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inner li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ternal li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lid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uter lid part.
Figure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n state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n inner li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an external li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nd explained by the drawings are explained as at least one embodiment,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actice of a technician working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we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just the name of the ter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은 외부 뚜껑부(5), 내부 뚜껑부(10) 및 에어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뚜껑부(5)는 몸체부(20) 및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closure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xternal lid 5, an internal lid 10, and an air pipe 40. The outer lid portion 5 may include a body portion 20 and a coupling portion 30.

저장용기(60)는 탄산음료의 저장용기일 수 있다. 병마개(70)는 저장용기(60)의 병마개이다. 즉 병마개(70)는 저장용기(60) 출고시 또는 구입시에 저장용기(60)에 결합된 병마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60 may be a storage container for carbonated beverages. The bottle cap 70 is a bottle cap of the storage container 60. In other words, the bottle cap 70 may refer to a bottle cap attached to the storage container 60 when the storage container 60 is shipped or purchas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이다. Figure 3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뚜껑부(10)는 상부에 배출홀(11)이 형성되며,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결합 고정될 수 있고, 내측에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63)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13)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nner lid 10 has a discharge hole 11 formed at the top,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and has a thread formed on the inside of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An inner thread 13 may be formed to be combined with (63).

일부 실시예로, 내부 뚜껑부(10)는 외측면에 몸체부(20)의 나사선(24)과 결합되기 위한 외측 나사선(14)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선(14) 및 나사선(24)이 있어 이들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몸체부(20)와 내부 뚜껑부(10)의 결합력이 강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나사선(14) 및 나사선(24)이 없는 경우에는, 몸체부(20)와 내부 뚜껑부(10)의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고, 몸체부(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inner lid 10 may have an outer thread 14 formed on its outer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thread 24 of the body 20. When the thread 14 and the thread 24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ody portion 20 and the inner lid portion 10 can be strengthened.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thread 14 and the thread 24 are not present, the body 20 and the inner lid 10 may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body 20 may be easily rotated. there is.

또한 내부 뚜껑부(10)에는 에어관(40)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관홀(15)은 내부 뚜껑부(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lower tube hole 15 for inserting the air tube 40 may be formed in the inner lid 10. The lower tube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lid portion 10.

내부 뚜껑부(10)는 상부 덮개부(17) 및 상부 덮개부(17)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측부 덮개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덮개부(17)의 일부 영역에 배출홀(11)이 형성될 수 있고 중앙부에 하부 관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홀(11) 및 하부 관홀(15)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덮개부(1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lid 10 may include an upper cover 17 and a side cover 19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over 17. A discharge hole 11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cover portion 17 and a lower tube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Here, the discharge hole 11 and the lower tube hole 15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upper cover portion 17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 plate shape.

내측 나사선(13)은 측부 덮개부(19) 내측에 형성될 수 있고, 외측 나사선(14)은 측부 덮개부(19)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thread 13 may be formed inside the side cover 19, and the outside thread 14 may be formed outside the side cover 19.

내부 뚜껑부(10)의 내측 나사선(13)은 병마개(70)의 나사선(73)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thread 13 of the inner lid 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read 73 of the bottle cap 70.

몸체부(20)는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부 뚜껑부(1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21)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22)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뚜껑부(10)는 몸체부(20)의 개구부를 통해 몸체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20 has an opening formed at the bottom, a space for inserting the inner lid portion 10 is formed therein, a cover portion 21 cover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an opening hole open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 22) may be included. The inner lid portion 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20 through an opening of the body portion 20 and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덮개부(21)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20)의 상부 또는 중간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1) 하부에 내부 뚜껑부(1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위치할 수 있고, 내부 뚜껑부(10)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덮개부(21)에 밀착될 수 있다. 덮개부(21)는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을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side, and may be formed at the top or middle of the body portion 20. A space for inserting the inner lid 10 may be located below the cover 21, and the inner lid 1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21. The cover portion 21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20 and cover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portion 10.

개방홀(22)은 몸체부(20)의 상부 중 덮개부(21)가 덮지 않은 빈영역일 수 있다. 개방홀(22)은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open hole 22 may be an empty area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20 that is not covered by the cover 21. The opening hole 22 may b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dy 20 and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10.

덮개부(21)에는 에어관(40)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관홀(25)은 덮개부(2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에 이동이 불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An upper tube hole 25 for inserting the air tube 40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21. The upper tube hole 25 may be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ver part 21. In some embodiments, the air tube 40 may be movably fixed to the upper tube hole 25. In some embodiments, the air pipe 40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pipe hole 25 so that it cannot be moved.

일부 실시예로, 몸체부(20)는 내측면에 내부 뚜껑부(10)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24)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의 나사선(24)은 내부 뚜껑부(10)의 외측 나사선(14)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몸체부(20)는 내부 뚜껑부(10)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내부 뚜껑부(10)가 몸체부(20)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된 경우에, 상부 관홀(25) 및 하부 관홀(15)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로에 에어관(40)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body portion 20 may have a thread 24 formed on its inner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inner lid portion 10. The thread 24 of the body 20 is coupled to the outer thread 14 of the inner lid 10, so that the body 20 can be closely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inner lid 10. When the inner lid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0 and tightly coupled, the upper pipe hole 25 and the lower pipe hole 15 may be arranged vertically and side by side, forming a pipe channel. An air pipe 4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duit and fixed in a movable manner.

결합부(30)는 몸체부(2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내부 뚜껑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30) 외측에는 내부 뚜껑부(10)의 내측 나사선(73)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3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0)는 병마개(70)에 삽입되어, 나사선(33)이 병마개(70)의 내측 나사선(73)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부(30)는 병마개(7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은 사용전에 내부 뚜껑부(10)을 결합부(30)에 결합시켜 함께 보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뚜껑부(10)만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0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20,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lid portion 10. A thread 33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30 to be coupled to the inner thread 73 of the inner lid portion 10. The coupling portion 30 may be inserted into the bottle cap 70 and coupled to the bottle cap 70 in such a way that the thread 33 is coupled to the inner thread 73 of the bottle cap 70. The closure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together by coupling the inner lid portion (10) to the coupling portion (30) before use, thereby preventing only the inner lid portion (10) from being lost. You can.

결합부(30)는 몸체부(20)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0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

에어관(4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 및 하부 관홀(15)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관(40)을 통해 공기가 저장용기(60) 내부로 삽입되어, 저장용기(60)에 담긴 음료가 보다 빨리 외부로 배출되도록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저장용기(60)에 담긴 탄산음료의 높이에 따라 에어관(40)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air pipe 40 may have a pipe through which fluid flows. The air pipe 4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upper pipe hole 25 and the lower pipe hole 15. Ai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60 through the air pipe 40, which can help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6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more quickly. In some embodiments,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air tube 40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arbonated beverag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60.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or pla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20)에 내부 뚜껑부(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덮개부(21)는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도 4는 덮개부(21)가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은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이 닫힌 상태에서는, 저장용기(60)는 밀폐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병마개(70)가 결합부(30)에 추가로 결합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은 이중으로 저장용기(60)를 밀폐시킴으로써, 평상시(보관시)에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in a state where the inner lid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20, the cover part 21 discharges the inner lid part 10 as the body part 20 rotates. The hole 11 can be covered or open.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part 21 covers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part 10, and the stopper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When the closure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ation is closed, the storage container 60 can be sealed. When the bottle cap 70 is addition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 2, the cap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uble seals the storage container 60, so that it can be used during normal (storage) time. It can prevent carbonic acid from leaking out.

도 4의 닫힌 상태에서, 몸체부(20)를 회전시켜서, 몸체부(20)의 개방홀(22)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에 위치되면, 도 5와 같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이 개방된 상태가 되고,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은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5는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개방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In the closed state of Figure 4, when the body part 20 is rotated and the opening hole 22 of the body part 20 is located in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part 10, the inner lid is opened as shown in Figure 5.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unit 10 may be in an open state, and the stopper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n open state. That is, Figure 5 shows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10 in an open state and the closure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이용자는 결합부(30)에서 병마개(70)를 분리한 후에, 도 4의 닫힌 상태에서 저장용기(60)을 꺼꾸로 들어(주입구가 지면을 향하게 들어) 저장용기(60)에 장착된 마개 시스템(1)이 하부로 오게 한 후에, 몸체부(20)를 회전시켜 마개 시스템(1)이 도 5의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하면, 저장용기(60)에 담긴 음료가 배출홀(11) 및 개방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60) 내에 빈공간에 있는 공기(탄산)는 상부(저장용기 바닥 부분)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마개 시스템(10)이 개방된 상태에서 배출되지 않고 저장용기(60) 내에 머무르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은 저장용기(60)를 개방한 경우에도, 저장용기(60)의 빈 공간 내에 머무르는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대용량의 저장용기(60)에 저장된 음료수를 마실 때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번 나누어 마시게 되고, 이때 보관 중에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더라도 병마개(70)의 개폐 과정에서 탄산이 누출됨으로써, 병마개(70)의 여러 번의 개폐로 인해 음료수에서 탄산이 빠지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은 수회의 병마개(70) 개폐에도 음료수 내의 탄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fter separating the bottle cap 70 from the coupling portion 30, the user lifts the storage container 60 upside down in the closed state of Figure 4 (with the inlet facing the ground) and uses the closure system mounted on the storage container 60 ( After 1) is brought to the lower part, the body part 20 is rotated so that the closure system 1 is in the open state of FIG. 5, and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60 flows into the discharge hole 11 and the opening hol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22). At this time, since the air (carbonic acid) in the empty space within the storage container 60 has moved to the upper part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it will not be discharged when the closure system 10 is opened and will remain in the storage container 60. You can. Accordingly, the closure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ic ac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arbonic acid remaining in the empty space of the storage container 60 from leaking even when the storage container 60 is opened. In particular, when drinking a beverage stored in a large-capacity storage container 60, it is generally consumed several times. In this case, even if carbonic acid is prevented from leaking during storage, carbonic acid leaks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bottle cap 70, causing the bottle cap 70 to leak. Carbonation is removed from the beverage due to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ttle, but the cap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maintaining carbonation in the beverage even after opening and closing the bottle cap 70 several times.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Figure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은 내부 뚜껑부(10), 몸체부(20), 결합부(30) 및 에어관(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closure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ner lid 10, a body 20, a coupling portion 30, and an air pipe 40.

내부 뚜껑부(10)에는, 외측면에 걸림홈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에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걸림홈부(16)에 삽입 가능한 걸림부(26)가 형성되고, 내부 뚜껑부(10)가 몸체부(20)에 삽입시에, 걸림부(26)가 걸림홈부(16)에 삽입되어, 몸체부(20)가 내부 뚜껑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부(26)의 모서리는 라운딩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뚜껑부(10)가 보다 용이하게 몸체부(20)에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걸림부(26)가 걸림홈부(16)에 삽입된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몸체부(20) 및 내부 뚜껑부(10) 서로 완전히 결합된 것을 확인을 할 수 있고, 걸림홈부(160)로 인해 몸체부(20)가 회전시에 내부 뚜껑부(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몸체부(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A locking groove 1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lid 10. A locking portion 26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20, which protrudes inward from the sid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portion 16. When the inner lid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0, the locking portion 26 is formed. (26)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6, so that the body 20 can be fixed to the inner lid 10. The corners of the catching portion 26 may be rounded, and thus the inner lid portion 10 may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0. By checking that the locking portion 26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6,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body portion 20 and the inner lid portion 10 are complete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ocking groove 160 As a result, the body portion 2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lid portion 10 when rotated, and the body portion 20 can be easily rotated.

도 6의 부분 확대도는 걸림홈부(16) 및 걸림부(26)를 이격시켜 도시한 것이다.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에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20)를 눌러, 억지 끼움 식으로 걸림홈부(16)로 걸림부(26)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도 6의 부분 확대도에서와 같이, 걸림부(26)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걸림홈부(16)로 걸림부(16)를 보다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The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6 shows the locking groove 16 and the locking portion 26 spaced apart. With the inner lid 10 coupled to the storage container 60, the body 20 can be pressed to allow the locking portion 26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6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In some embodiments, as shown in the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6, the corners of the locking portion 26 may be rounded, and thus the locking portion 16 can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6.

도 6에 도시된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은 도 3에 도시된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1)의 내부 뚜껑부(10)의 외측 나사선(14) 및 몸체부(20)의 나사선(24) 대신에 내부 뚜껑부(10)의 걸림홈부(16) 및 몸체부(20)의 걸림부(26)가 사용된 것으로, 마개 시스템(2)의 나머지 구성요소는 마개 시스템(1)의 나머지 구성요소와 대응될 수 있고, 이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topper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ation shown in FIG. 6 has the outer thread 14 of the inner lid 10 and the thread of the body 20 of the stopper system 1 for maintaining carbonation shown in FIG. 3. (24) Instead, the locking groove 16 of the inner lid 10 and the locking portion 26 of the body 20 are used,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closure system 2 are those of the closure system 1. It may correspond to the remaining components, so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이다.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This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은 외부 뚜껑부(5), 내부 뚜껑부(10) 및 에어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뚜껑부(5)는 몸체부(20) 및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to 9, the closure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xternal lid 5, an internal lid 10, and an air pipe 40. The outer lid portion 5 may include a body portion 20 and a coupling portion 30.

저장용기(60)는 탄산음료의 저장용기일 수 있다. 병마개(70)는 저장용기(60)의 병마개이다. 즉 병마개(70)는 저장용기(60) 출고시 또는 구입시에 저장용기(60)에 결합된 병마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60 may be a storage container for carbonated beverages. The bottle cap 70 is a bottle cap of the storage container 60. In other words, the bottle cap 70 may refer to a bottle cap attached to the storage container 60 when the storage container 60 is shipped or purchased.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a)는 내부 뚜껑부의 평면도이고, (b)는 내부 뚜껑부의 정면도이며, (c)는 AA선에 따른 내부 뚜껑부의 단면도이고, (d)는 내부 뚜껑부의 좌측면도이고, (e)는 내부 뚜껑부의 우측면도이며, (f)는 BB선에 따른 내부 뚜껑부의 단면도이고, (g)는 내부 뚜껑부의 저면도이며, (h)는 내부 뚜껑부의 배면도이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inner li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0, (a) is a plan view of the inner lid, (b) is a front view of the inner lid,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lid along line AA, (d) is a left side view of the inner lid, (e) ) is a right side view of the inner lid, (f)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lid along line BB, (g) is a bottom view of the inner lid, and (h) is a rear view of the inner lid.

도 10을 참조하면, 내부 뚜껑부(10)는 상부에 배출홀(11)이 형성되며, 측면 하단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이동부(12)를 포함하고,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결합 고정될 수 있고, 내측에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63)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1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1)은 내부 뚜껑부(10)의 중심선인 AA선(도 10에 도시된 AA선)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inner lid 10 has a discharge hole 11 formed at the top, includes a moving part 1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ide,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It may be, and an inner thread 13 may be formed on the inside to be coupled to the thread 63 formed at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The discharge hole 1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line AA, which is the center line of the inner lid 10 (line AA shown in FIG. 10).

또한 내부 뚜껑부(10)에는 에어관(40)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관홀(15)은 내부 뚜껑부(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lower tube hole 15 for inserting the air tube 40 may be formed in the inner lid 10. The lower tube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lid portion 10.

내부 뚜껑부(10)는 상부 덮개부(17) 및 상부 덮개부(17)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측부 덮개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덮개부(17)의 일부 영역에 배출홀(11)이 형성될 수 있고 중앙부에 하부 관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홀(11) 및 하부 관홀(15)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덮개부(1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부 덮개부(19) 내측에 내측 나사선(1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lid 10 may include an upper cover 17 and a side cover 19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over 17. A discharge hole 11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cover portion 17 and a lower tube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Here, the discharge hole 11 and the lower tube hole 15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upper cover portion 17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 plate shape. An inner thread 13 may be formed inside the side cover 19.

이동부(12)는 측부 덮개부(19) 하단에서 하부로 도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12)는 제1 이동부(121) 및 제2 이동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21) 및 제2 이동부(12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내부 뚜껑부(10)의 AA선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내부 뚜껑부(10)의 AA선을 기준으로 내부 뚜껑부(10)의 영역을 나누는 경우에는, 제1 이동부(121)는 배출홀(11)과 다른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이동부(123)는 배출홀(11)과 동일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부(121) 및 제2 이동부(123)는 서로 좌우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moving part 12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side cover part 19. The moving part 12 may include a first moving part 121 and a second moving part 123. The first moving part 121 and the second moving part 123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rom the AA line of the inner lid part 10. In some embodiments, when dividing the area of the inner lid 10 based on the AA line of the inner lid 10, the first moving part 121 may be located in a different area from the discharge hole 11. And, the second moving part 123 may be located in the same area as the discharge hole 11. Here, the first moving part 121 and the second moving part 12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equal left and right intervals.

내부 뚜껑부(10)의 중심선인 BB선은 AA선에 수직한 선으로 배출홀(11)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Line BB, which is the center line of the inner lid 10, is perpendicular to line AA and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discharge hole 11.

내부 뚜껑부(10)의 내측 나사선(13)은 병마개(70)의 나사선(73)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thread 13 of the inner lid 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read 73 of the bottle cap 70.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a)는 외부 뚜껑부의 평면도이고, (b)는 외부 뚜껑부의 정면도이며, (c)는 AA선에 따른 외부 뚜껑부의 단면도이고, (d)는 외부 뚜껑부의 좌측면도이고, (e)는 외부 뚜껑부의 우측면도이며, (f)는 BB선에 따른 외부 뚜껑부의 단면도이고, (g)는 외부 뚜껑부의 저면도이다.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an external li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1, (a) is a top view of the outer lid, (b) is a front view of the outer lid,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lid along line AA, (d) is a left side view of the outer lid, (e) ) is a right side view of the outer lid, (f)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lid along line BB, and (g) is a bottom view of the outer lid.

도 11을 참조하면, 몸체부(20)는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부 뚜껑부(1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21),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22), 및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이동부(12)에 걸리기 위한 스토퍼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뚜껑부(10)는 몸체부(20)의 개구부를 통해 몸체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body portion 20 has an opening formed at the bottom, a space portion for inserting the inner lid portion 10 is formed therein, a cover portion 21 cover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t may include an opening hole 22 that opens, and a stopper part 27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side and is caught by the moving part 12. The inner lid portion 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20 through an opening of the body portion 20 and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덮개부(21)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20)의 상부 또는 중간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1) 하부에 내부 뚜껑부(1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위치할 수 있고, 내부 뚜껑부(10)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덮개부(21)에 밀착될 수 있다. 덮개부(21)는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을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side, and may be formed at the top or middle of the body portion 20. A space for inserting the inner lid 10 may be located below the cover 21, and the inner lid 1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21. The cover portion 21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20 and cover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portion 10.

개방홀(22)은 몸체부(20)의 상부 중 덮개부(21)가 덮지 않은 빈영역일 수 있다. 개방홀(22)은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개방홀(22)은 몸체부(20)의 중심선인 AA선(도 11에 도시된 AA선)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open hole 22 may be an empty area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20 that is not covered by the cover 21. The opening hole 22 may b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dy 20 and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10. The open hole 2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line AA, which is the center line of the body portion 20 (line AA shown in FIG. 11).

덮개부(21)에는 에어관(40)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관홀(25)은 덮개부(2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에 이동이 불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내부 뚜껑부(10)가 몸체부(20)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된 경우에, 상부 관홀(25) 및 하부 관홀(15)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로에 에어관(40)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An upper tube hole 25 for inserting the air tube 40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21. The upper tube hole 25 may be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ver part 21. In some embodiments, the air tube 40 may be movably fixed to the upper tube hole 25. In some embodiments, the air pipe 40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pipe hole 25 so that it cannot be moved. When the inner lid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0 and tightly coupled, the upper pipe hole 25 and the lower pipe hole 15 may be arranged vertically and side by side, forming a pipe channel. An air pipe 4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duit and fixed in a movable manner.

스토퍼부(27)는 몸체부(20)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이동부(12)에 걸릴 수 있다. 스토퍼부(27)는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6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stopper part 27 protrudes inward from the side of the body part 20 and can be caught on the moving part 12. The stopper unit 27 can move along the thread 63 formed at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도 12는 외부 뚜껑부에 내부 뚜껑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lid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outer lid part.

도 12를 참조하면,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에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20)를 눌러, 억지 끼움 식으로 내부 뚜껑부(10)가 몸체부(20)의 공간부에 삽입되게 할 수 있고, 내부 뚜껑부(10) 측면 하단이 스토퍼부(27)에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뚜껑부(10)는 몸체부(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스토퍼부(27)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몸체부(20) 내부로 내부 뚜껑부(10)를 보다 용하게 끼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while the inner lid 10 is coupled to the storage container 60, the body 20 is pressed so that the inner lid 10 is pressed into the space of the body 20. It can be inserted into the part, and the lower side of the inner lid part 10 can be caught on the stopper part 27. Accordingly, the inner lid portion 10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ody portion 20. In some embodiments, the corner portion of the stopper portion 27 may be rounded, thereby allowing the inner lid portion 10 to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0.

일부 실시예로, 몸체부(20)의 공간부의 높이는 내부 뚜껑부(1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height of the sp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lid portion 10.

일부 실시예로, 몸체부(20)의 공간부의 높이는 내부 뚜껑부(10)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토퍼부(27)는 몸체부(20) 측면 하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height of the sp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inner lid portion 10. 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portion 27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20.

스토퍼부(27)는 제1 스토퍼(28) 및 제2 스토퍼(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토퍼(28) 및 제2 스토퍼(29)는 몸체부(20)의 AA선 상에 위치할 수 있고, 개방홀(22)은 AA선으로 나누어지는 두개의 영역 중에 하나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몸체부(20)의 중심선인 BB선은 AA선에 수직한 선으로 개방홀(22)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The stopper unit 27 may include a first stopper 28 and a second stopper 29. The first stopper 28 and the second stopper 29 may be located on the AA line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open hole 22 may be located in one of the two areas divided by the AA line. You can. Line BB, which is the center line of the body portion 20, is perpendicular to line AA and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open hole 22.

일부 실시예로, 몸체부(20)의 AA선으로부터 개방홀(22)의 이격된 거리는 내부 뚜껑부(10)의 AA선으로부터 배출홀(11)이 이격된 거리와 대응할 수 있고, 내부 뚜껑부(10)가 몸체부(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20)의 AA선 및 내부 뚜껑부(10)의 AA선이 일치되면, 몸체부(20)의 BB선 및 내부 뚜껑부(10)의 BB선이 일치될 수 있고, 제1 스토퍼(28) 및 제2 스토퍼(29)는 내부 뚜껑부(10)의 AA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제1 스토퍼(28)가 제2 이동부(123)에 걸리고 제2 스토퍼(29)가 제1 이동부(121)에 걸린 상태가 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istance of the opening hole 22 from the AA line of the body portion 20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of the discharge hole 11 from the AA line of the inner lid portion 10, and the inner lid portion 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AA line of the opening hole 22. With (10) inserted into the body 20, when the AA line of the body 20 and the AA line of the inner lid 10 coincide, the BB line of the body 20 and the inner lid ( 10), the BB line may coincide, the first stopper 28 and the second stopper 29 are located on the AA line of the inner lid part 10, and the first stopper 28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part. It may be caught in (123) and the second stopper (29) is caught in the first moving part (121).

제1 스토퍼(28)가 제1 이동부(121)에 걸리고 제2 스토퍼(29)가 제2 이동부(123)에 걸린 경우에는, 덮개부(21)는 배출홀(11)을 덮을 수 있다. 제1 스토퍼(28)가 제1 이동부(121)에 걸린 상태에서, 제1 스토퍼(28)가 제1 이동부(121)를 미는 방향으로 몸체부(20)가 회전되면,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완전히 닫히게 되면, 제1 스토퍼(28)의 이동이 제한되어, 사용자는 내부 뚜껑부(10)가 완전히 닫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topper 28 is caught on the first moving part 121 and the second stopper 29 is caught on the second moving part 123, the cover part 21 can cover the discharge hole 11. . In a state where the first stopper 28 is caught on the first moving part 121, when the body part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opper 28 pushes the first moving part 121, the inner lid part ( 10)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to close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When the inner lid 10 is completely closed to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the movement of the first stopper 28 is restricted, so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inner lid 10 is completely closed.

제1 스토퍼(28)가 제2 이동부(123)에 걸리고 제2 스토퍼(29)가 제1 이동부(121)에 걸린 경우에는, 개방홀(22)이 배출홀(11) 상부에 위치되어 배출홀(11)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스토퍼(28)가 제2 이동부(123)에 걸린 상태에서, 제1 스토퍼(28)가 제2 이동부(123)를 미는 방향으로 몸체부(20)가 회전되면,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로부터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몸체부(20)를 회전시켜 내부 뚜껑부(10)를 열어 저장용기(60)의 주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When the first stopper 28 is caught on the second moving part 123 and the second stopper 29 is caught on the first moving part 121, the open hole 22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hole 11. The discharge hole 11 may be open. In a state where the first stopper 28 is caught on the second moving part 123, when the body part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opper 28 pushes the second moving part 123, the inner lid part ( 10)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from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The user can rotate the body 20 to open the inner lid 10 and open the injection por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제1 이동부(121) 및 제2 이동부(123)가 중심선 AA에 기준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하는 실시예에서, 제1 스토퍼(28)가 제2 이동부(123)에 걸리고 제2 스토퍼(29)가 제1 이동부(121)에 걸린 경우에는, 제1 스토퍼(28) 및 제2 스토퍼(29)는 중심선 AA에 위치하여, 배출홀(11) 및 개방홀(22)이 상하부로 일치되게 위치할 수 있고, 개방홀(22)이 배출홀(11) 상부에 위치되어 배출홀(11)이 개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moving part 121 and the second moving part 123 are located in different areas based on the center line AA, the first stopper 28 is caught by the second moving part 123 and the second stopper When (29) is caught on the first moving part 121, the first stopper 28 and the second stopper 29 are located at the center line AA, and the discharge hole 11 and the opening hole 22 are directed upward and downward. They can be located coincidentally, and the opening hole 22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hole 11 so that the discharge hole 11 can be opened.

결합부(30)는 몸체부(2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내부 뚜껑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30) 외측에는 내부 뚜껑부(10)의 내측 나사선(13)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3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0)는 병마개(70)에 삽입되어, 나사선(33)이 병마개(70)의 내측 나사선(73)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부(30)는 병마개(7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은 사용전에 내부 뚜껑부(10)를 결합부(30)에 결합시켜 함께 보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뚜껑부(10)만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0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20,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lid portion 10. A thread 33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30 to be coupled to the inner thread 13 of the inner lid portion 10. The coupling portion 30 may be inserted into the bottle cap 70 and coupled to the bottle cap 70 in such a way that the thread 33 is coupled to the inner thread 73 of the bottle cap 70. The closure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together by coupling the inner lid portion (10) to the coupling portion (30) before use, thereby preventing only the inner lid portion (10) from being lost. You can.

결합부(30)는 몸체부(20)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0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

에어관(4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 및 하부 관홀(15)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관(40)을 통해 공기가 저장용기(60) 내부로 삽입되어, 저장용기(60)에 담긴 음료가 보다 빨리 외부로 배출되도록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저장용기(60)에 담긴 탄산음료의 높이에 따라 에어관(40)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air pipe 40 may have a pipe through which fluid flows. The air pipe 4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upper pipe hole 25 and the lower pipe hole 15. Ai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60 through the air pipe 40, which can help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6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more quickly. In some embodiments,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air tube 40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arbonated beverag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60.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이 닫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이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4 is a view showing the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current state.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몸체부(20)에 내부 뚜껑부(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덮개부(21)는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도 13은 제1 스토퍼(28)가 제1 이동부(121)에 걸리고 제2 스토퍼(29)가 제2 이동부(123)에 걸린 경우로서, 덮개부(21)가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은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다.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이 닫힌 상태에서는, 저장용기(60)는 밀폐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병마개(70)가 결합부(30)에 추가로 결합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은 이중으로 저장용기(60)를 밀폐시킴으로써, 평상시(보관시)에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3 and 14, in a state where the inner lid part 10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20, the cover part 21 discharges the inner lid part 10 as the body part 20 rotates. The hole 11 can be covered or open. Figure 13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stopper 28 is caught on the first moving part 121 and the second stopper 29 is caught on the second moving part 123, and the cover part 21 is the inner lid part 10. The stopper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 closed state with the discharge hole 11 covered. When the closure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ation is closed, the storage container 60 can be sealed. When the bottle cap 70 is addition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 8, the cap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uble seals the storage container 60, so that it can be used during normal (storage) time. It can prevent carbonic acid from leaking out.

도 13의 닫힌 상태에서, 몸체부(20)를 회전시켜서, 몸체부(20)의 개방홀(22)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에 위치되면, 도 14과 같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이 개방된 상태가 되고,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은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In the closed state of Figure 13, when the body part 20 is rotated and the opening hole 22 of the body part 20 is located in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part 10, the inner lid is opened as shown in Figure 14.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unit 10 may be in an open state, and the stopper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n open state.

도 14는 제1 스토퍼(28)가 제2 이동부(123)에 걸리고 제2 스토퍼(29)가 제1 이동부(121)에 걸린 경우로서,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개방된 상태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14는 몸체부(20)의 AA선 및 내부 뚜껑부(10)의 AA선이 일치된 상태로, 몸체부(20)의 BB선 및 내부 뚜껑부(10)의 BB선이 일치되고, 제1 스토퍼(28) 및 제2 스토퍼(29)는 내부 뚜껑부(10)의 AA선 상에 위치하게 되며, 제1 스토퍼(28)가 제2 이동부(123)에 걸리고 제2 스토퍼(29)가 제1 이동부(121)에 걸린 상태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14 shows a case where the first stopper 28 is caught on the second moving part 123 and the second stopper 29 is caught on the first moving part 121, and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part 10 is shown in Figure 14. In the open state, the closure system 2 for carbonation ret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an open state. Also, in Figure 14, the AA line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AA line of the inner lid portion 10 are aligned, and the BB line of the body portion 20 and the BB line of the inner lid portion 10 are aligned, The first stopper 28 and the second stopper 29 are located on the AA line of the inner lid 10, and the first stopper 28 is caught on the second moving part 123 and the second stopper 29 ) can be confirmed to be stuck on the first moving part 121.

도 13의 닫힌 상태에서, 제1 스토퍼(28)가 제1 이동부(121)를 미는 방향으로 몸체부(20)가 회전시키면,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열린 상태에서, 제1 스토퍼(28)가 제2 이동부(123)를 미는 방향으로 몸체부(20)가 회전되면,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로부터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e closed state of FIG. 13, when the body portion 20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opper 28 pushes the first moving portion 121, the inner lid portion 10 closes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Can be rotated in any direction. In addition, in the open state of FIG. 14, when the body portion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topper 28 pushes the second moving portion 123, the inner lid portion 10 moves toward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It can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from.

이용자는 결합부(30)에서 병마개(70)를 분리한 후에, 도 13의 닫힌 상태에서 저장용기(60)을 꺼꾸로 들어(주입구가 지면을 향하게 들어) 저장용기(60)에 장착된 마개 시스템(2)이 하부로 오게 한 후에, 몸체부(20)를 회전시켜 마개 시스템(2)이 도 14의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하면, 저장용기(60)에 담긴 음료가 배출홀(11) 및 개방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60) 내에 빈공간에 있는 공기(탄산)는 상부(저장용기 바닥 부분)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마개 시스템(10)이 개방된 상태에서 배출되지 않고 저장용기(60) 내에 머무르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은 저장용기(60)를 개방한 경우에도, 저장용기(60)의 빈 공간 내에 머무르는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대용량의 저장용기(60)에 저장된 음료수를 마실 때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번 나누어 마시게 되고, 이때 보관 중에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더라도 병마개(70)의 개폐 과정에서 탄산이 누출됨으로써, 병마개(70)의 여러 번의 개폐로 인해 음료수에서 탄산이 빠지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2)은 수회의 병마개(70) 개폐에도 음료수 내의 탄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fter separating the bottle cap 70 from the coupling portion 30, the user lifts the storage container 60 upside down in the closed state of Figure 13 (with the inlet facing the ground) and uses the closure system mounted on the storage container 60 ( After 2) is brought to the lower part, the body part 20 is rotated so that the closure system 2 is in the open state of FIG. 14, and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60 flows into the discharge hole 11 and the opening hol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22). At this time, since the air (carbonic acid) in the empty space within the storage container 60 has moved to the upper part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it will not be discharged when the closure system 10 is opened and will remain in the storage container 60. You can. Accordingly, the closure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ic ac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arbonic acid remaining in the empty space of the storage container 60 from leaking even when the storage container 60 is opened. In particular, when drinking a beverage stored in a large-capacity storage container 60, it is generally consumed several times. In this case, even if carbonic acid leakage is prevented during storage, carbonic acid leaks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bottle cap 70, causing the bottle cap 70 to leak. Carbonation is removed from the beverage due to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ttle, but the cap system 2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maintaining carbonation in the beverage even after opening and closing the bottle cap 70 several times.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이다.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7 is This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내지 도 17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3)은 외부 뚜껑부(5), 내부 뚜껑부(10), 에어관(40), 제1 오링(81), 및 제2 오링(83)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뚜껑부(5)는 몸체부(20) 및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15 to 17, the closure system 3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lid 5, an internal lid 10, an air tube 40, a first O-ring 81, And it may include a second O-ring (83). The outer lid portion 5 may include a body portion 20 and a coupling portion 30.

저장용기(60)는 탄산음료의 저장용기일 수 있다. 병마개(70)는 저장용기(60)의 병마개이다. 즉 병마개(70)는 저장용기(60) 출고시 또는 구입시에 저장용기(60)에 결합된 병마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60 may be a storage container for carbonated beverages. The bottle cap 70 is a bottle cap of the storage container 60. In other words, the bottle cap 70 may refer to a bottle cap attached to the storage container 60 when the storage container 60 is shipped or purchased.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에서 (a)는 내부 뚜껑부의 평면도이고, (b)는 내부 뚜껑부의 정면도이며, (c)는 AA선에 따른 내부 뚜껑부의 단면도이고, (d)는 내부 뚜껑부의 좌측면도이고, (e)는 내부 뚜껑부의 우측면도이며, (f)는 BB선에 따른 내부 뚜껑부의 단면도이고, (g)는 내부 뚜껑부의 저면도이다.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n inner li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8, (a) is a plan view of the inner lid, (b) is a front view of the inner lid,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lid along line AA, (d) is a left side view of the inner lid, (e) ) is a right side view of the inner lid, (f)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lid along line BB, and (g) is a bottom view of the inner lid.

도 18을 참조하면, 내부 뚜껑부(10)는 상부에 배출홀(11)이 형성되며,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결합 고정될 수 있고, 내측에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63)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1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1)은 내부 뚜껑부(10)의 중심선인 AA선(도 18에 도시된 AA선)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inner lid 10 has a discharge hole 11 formed at the top,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and has a thread formed on the inside of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An inner thread 13 may be formed to be combined with (63). The discharge hole 1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line AA, which is the center line of the inner lid 10 (line AA shown in FIG. 18).

또한 내부 뚜껑부(10)에는 에어관(40)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관홀(15)은 내부 뚜껑부(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lower tube hole 15 for inserting the air tube 40 may be formed in the inner lid 10. The lower tube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lid portion 10.

내부 뚜껑부(10)는 상부 덮개부(17), 스토퍼(18), 측부 덮개부(19), 제1 오링홈(191) 및 제2 오링홈(1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덮개부(17)의 일부 영역에 배출홀(11)이 형성될 수 있고 중앙부에 하부 관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홀(11) 및 하부 관홀(15)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덮개부(1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lid 10 may include an upper cover 17, a stopper 18, a side cover 19, a first O-ring groove 191, and a second O-ring groove 193. A discharge hole 11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cover portion 17 and a lower tube hole 15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Here, the discharge hole 11 and the lower tube hole 15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upper cover portion 17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a plate shape.

스토퍼(18)는 상부 덮개부(17)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80)는 배출홀(11) 보다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홀(11)은 스토퍼(18) 보다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topper 18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cover portion 17. The stopper 180 may be located to the left of the discharge hole 11. The discharge hole 11 may be located forward of the stopper 18.

측부 덮개부(19)는 상부 덮개부(17)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측부 덮개부(19) 내측에 내측 나사선(1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ide cover part 19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upper cover part 17. An inner thread 13 may be formed inside the side cover 19.

제1 오링홈(191)은 측부 덮개부(19)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링홈(191)에 제1 오링(81)이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O-ring groove 19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ver portion 19. The first O-ring 81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O-ring groove 191.

제2 오링홈(193)은 측부 덮개부(19)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오링홈(193)은 제1 오링홈(191)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오링홈(193)에 제2 오링(83)이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O-ring groove 19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ver portion 19. The second O-ring groove 193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O-ring groove 191. The second O-ring 83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ring groove 193.

내부 뚜껑부(10)의 중심선인 BB선은 AA선에 수직한 선으로 배출홀(11)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Line BB, which is the center line of the inner lid 10, is perpendicular to line AA and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discharge hole 11.

내부 뚜껑부(10)의 내측 나사선(13)은 병마개(70)의 나사선(73)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thread 13 of the inner lid 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read 73 of the bottle cap 70.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뚜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서 (a)는 외부 뚜껑부의 평면도이고, (b)는 외부 뚜껑부의 정면도이며, (c)는 AA선에 따른 외부 뚜껑부의 단면도이고, (d)는 외부 뚜껑부의 좌측면도이고, (e)는 BB선에 따른 외부 뚜껑부의 단면도이며, (f)는 외부 뚜껑부의 우측면도이고, (g)는 외부 뚜껑부의 저면도이다.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an external lid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ure 19, (a) is a top view of the outer lid, (b) is a front view of the outer lid, (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lid along line AA, (d) is a left side view of the outer lid, (e) )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lid along line BB, (f) is a right side view of the outer lid, and (g) is a bottom view of the outer lid.

도 19를 참조하면, 몸체부(20)는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부 뚜껑부(1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21),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22), 및 덮개부(21) 하면에서 돌출되어 내부 뚜껑부(10)의 스토퍼(18)에 걸리기 위한 멈춤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뚜껑부(10)는 몸체부(20)의 개구부를 통해 몸체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body portion 20 has an opening formed at the bottom, a space portion for inserting the inner lid portion 10 is formed therein, a cover portion 21 cover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t may include an opening hole 22 that opens, and a stopper 23 that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21 and is caught by the stopper 18 of the inner cover part 10. The inner lid portion 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portion 20 through an opening of the body portion 20 and positioned in the space portion.

덮개부(21)는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20)의 상부 또는 중간에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1) 하부에 내부 뚜껑부(1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위치할 수 있고, 내부 뚜껑부(10)는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덮개부(21)에 밀착될 수 있다. 덮개부(21)는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을 덮을 수 있다.The cover portion 21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side, and may be formed at the top or middle of the body portion 20. A space for inserting the inner lid 10 may be located below the cover 21, and the inner lid 1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and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ver 21. The cover portion 21 may rot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dy portion 20 and cover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portion 10.

개방홀(22)은 몸체부(20)의 상부 중 덮개부(21)가 덮지 않은 빈영역일 수 있다. 개방홀(22)은 몸체부(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내부 뚜껑부(10)의 배출홀(11)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개방홀(22)은 몸체부(20)의 중심선인 AA선(도 19에 도시된 AA선)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open hole 22 may be an empty area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20 that is not covered by the cover 21. The opening hole 22 may be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dy 20 and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of the discharge hole 11 of the inner lid 10. The open hole 2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line AA, which is the center line of the body portion 20 (line AA shown in FIG. 19).

덮개부(21)에는 에어관(40)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관홀(25)은 덮개부(21)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에 이동이 불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내부 뚜껑부(10)가 몸체부(20)에 삽입되어 밀착 결합된 경우에, 상부 관홀(25) 및 하부 관홀(15)은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관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로에 에어관(40)이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An upper tube hole 25 for inserting the air tube 40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21. The upper tube hole 25 may be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cover part 21. In some embodiments, the air tube 40 may be movably fixed to the upper tube hole 25. In some embodiments, the air pipe 40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upper pipe hole 25 so that it cannot be moved. When the inner lid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20 and tightly coupled, the upper pipe hole 25 and the lower pipe hole 15 may be arranged vertically and side by side, forming a pipe channel. An air pipe 4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duit and fixed in a movable manner.

멈춤부(23)은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231)이 개방홀(22) 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타단(233)이 개방홀(22) 보다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개방홀(22)은 멈춤부(23) 보다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18)가 멈춤부(23) 일단(231)에 걸린 경우에는, 덮개부(21)는 배출홀(11)을 덮을 수 있고, 마개 시스템(3)은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The stopper 23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ne end 231 may be located to the right of the open hole 22, and the other end 233 may be located to the left of the open hole 22. The open hole 22 may be located ahead of the stopper 23. When the stopper 18 is caught on one end 231 of the stopper 23, the cover portion 21 may cover the discharge hole 11, and the stopper system 3 may be in a closed state.

스토퍼(18)가 멈춤부(23) 타단(233)에 걸린 경우에는, 개방홀(22)이 배출홀(11) 상부에 위치하여, 배출홀(11)은 개방될 수 있고, 마개 시스템(3)은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When the stopper 18 is caught on the other end 233 of the stopper 23, the opening hole 22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hole 11, so the discharge hole 11 can be opened, and the closure system 3 ) can be in an open state.

마개 시스템(3)이 개방된 상태에서, 몸체부(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부(23) 일단(231)이 스토퍼(18)에 걸리게 되고, 마개 시스템(3)은 닫힌 상태가 될 수 있다. 마개 시스템(3)이 닫힌 상태에서 계속해서 몸체부(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로부터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20)를 회전시켜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를 닫히게 할 수 있다. 몸체부(20)에 내부 뚜껑부(10)이 끼워진 상태에서, 내부 뚜껑부(10)를 저장용기(60)의 주입구에 결합시키고, 몸체부(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를 닫히게 할 수 있다. 마개 시스템(3)이 닫힌 상태에서는, 저장용기(60)는 밀폐될 수 있다. With the closure system (3) in the open state, when the body portion (20) is rotated clockwise, one end (231) of the stopper (23) is caught on the stopper (18), and the closure system (3) is in a closed state. It can be. If the body portion 20 continues to rotate clockwise while the closure system 3 is closed, the inner lid portion 10 may be rotated from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in the clos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20 can be rotated to allow the inner lid portion 10 to close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With the inner lid 10 inserted into the body 20, the inner lid 10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and the body 20 is rotated clockwise to form the inner lid ( 10) can close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With closure system 3 closed, storage container 60 can be sealed.

마개 시스템(3)이 닫힌 상태에서, 몸체부(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멈춤부(23) 타단(233)이 스토퍼(18)에 걸리게 되고, 마개 시스템(3)은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마개 시스템(3)이 개방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몸체부(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로부터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20)를 회전시켜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의 주입구로부터 열리게 할 수 있다.When the closure system (3) is closed and the body portion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other end (233) of the stopper (23) is caught by the stopper (18), and the closure system (3) is in an open state. It can be. If the body portion 20 continues to rotate clockwise while the closure system 3 is open, the inner lid portion 10 may be rotated in the direction of opening from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20 can be rotated to open the inner lid portion 10 from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60.

일부 실시예로, 멈춤부(23)는 일단(231) 및 타단(233)이 서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topper 23 may have one end 231 and the other end 233 separated from each other.

일부 실시예로, 내부 뚜껑부(10)가 저장용기(60)에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부(20)를 눌러, 억지 끼움 식으로 내부 뚜껑부(10)가 몸체부(20)의 공간부에 삽입되게 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while the inner lid 10 is coupled to the storage container 60, the body 20 is pressed so that the inner lid 10 is pressed into the space of the body 20. It can be inserted into .

제 1 오링(81) 및 제 2링(83)은 내부 뚜껑부(10) 및 몸체부(2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뚜껑부(10) 및 몸체부(20) 사이가 이중으로 완전하게 밀폐되어 저장용기(60)으로부터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결합부(3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마개 시스템(3)은 저장용기(60)로부터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막을 수 있다.The first O-ring 81 and the second ring 83 can seal between the inner lid 10 and the body 20. Accordingly, the space between the inner lid portion 10 and the body portion 20 is double and completely sealed to prevent carbonic acid from leaking from the storage container 60. That is, even when the coupling portion 30 is open, the closure system 3 can completely prevent carbonic acid from leaking from the storage container 60.

일부 실시예로, 몸체부(20)의 공간부의 높이는 내부 뚜껑부(1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height of the sp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lid portion 10.

일부 실시예로, 몸체부(20)의 공간부의 높이는 내부 뚜껑부(10)의 높이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height of the sp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inner lid portion 10.

결합부(30)는 몸체부(20)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내부 뚜껑부(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30) 외측에는 내부 뚜껑부(10)의 내측 나사선(13)과 결합되기 위한 나사선(3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0)는 병마개(70)에 삽입되어, 나사선(33)이 병마개(70)의 내측 나사선(73)과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부(30)는 병마개(7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3)은 사용전에 내부 뚜껑부(10)를 결합부(30)에 결합시켜 함께 보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뚜껑부(10)만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0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20, and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lid portion 10. A thread 33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30 to be coupled to the inner thread 13 of the inner lid portion 10. The coupling portion 30 may be inserted into the bottle cap 70 and coupled to the bottle cap 70 in such a way that the thread 33 is coupled to the inner thread 73 of the bottle cap 70. The closure system (3)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together by coupling the inner lid portion (10) to the coupling portion (30) before use, thereby preventing only the inner lid portion (10) from being lost. You can.

결합부(30)는 몸체부(20)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30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0.

도 16과 같이 병마개(70)가 결합부(30)에 추가로 결합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3)은 제 1 오링(81), 제 2링(83), 내부 뚜껑부(10), 몸체부(20) 및 병마개(70)로 인해 삼중으로 저장용기(60)를 밀폐시킴으로써, 평상시(보관시)에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병마개(70)만 있는 경우보다 더 완벽하게 탄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bottle cap 70 is additionally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ure 16, the cap system 3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ring 81, a second ring 83, and an inner lid. By sealing the storage container 60 triplely with the portion 10, the body portion 20, and the bottle cap 70, carbonic acid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during normal use (when stored), and only the bottle cap 70 can be used to prevent carbonic acid from leaking. Carbon dioxide leakage can be prevented more completely than in the previous case.

에어관(40)은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관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관(40)은 상부 관홀(25) 및 하부 관홀(15)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관(40)을 통해 공기가 저장용기(60) 내부로 삽입되어, 저장용기(60)에 담긴 음료가 보다 빨리 외부로 배출되도록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저장용기(60)에 담긴 탄산음료의 높이에 따라 에어관(40)의 상하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air pipe 40 may have a pipe through which fluid flows. The air pipe 4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upper pipe hole 25 and the lower pipe hole 15. Ai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60 through the air pipe 40, which can help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6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more quickly. In some embodiments,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air tube 40 may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arbonated beverag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60.

이용자는 결합부(30)에서 병마개(70)를 분리한 후에, 닫힌 상태에서 저장용기(60)을 꺼꾸로 들어(주입구가 지면을 향하게 들어) 저장용기(60)에 장착된 마개 시스템(3)이 하부로 오게 한 후에, 몸체부(20)를 회전시켜 마개 시스템(3)이 개방된 상태가 되게 하면, 저장용기(60)에 담긴 음료가 배출홀(11) 및 개방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될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60) 내에 빈공간에 있는 공기(탄산)는 상부(저장용기 바닥 부분)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마개 시스템(10)이 개방된 상태에서 배출되지 않고 저장용기(60) 내에 머무르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3)은 저장용기(60)를 개방한 경우에도, 저장용기(60)의 빈 공간 내에 머무르는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대용량의 저장용기(60)에 저장된 음료수를 마실 때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번 나누어 마시게 되고, 이때 보관 중에 탄산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더라도 병마개(70)의 개폐 과정에서 탄산이 누출됨으로써, 병마개(70)의 여러 번의 개폐로 인해 음료수에서 탄산이 빠지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3)은 수회의 병마개(70) 개폐에도 음료수 내의 탄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fter separating the bottle cap 70 from the coupling part 30, the user lifts the storage container 60 upside down in a closed state (with the inlet facing the ground) and closes the closure system 3 mounted on the storage container 60. After being brought to the lower part, when the body part 20 is rotated to open the closure system 3,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storage container 60 flows out through the discharge hole 11 and the opening hole 22. may be discharged as At this time, since the air (carbonic acid) in the empty space within the storage container 60 has moved to the upper part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it will not be discharged when the closure system 10 is opened and will remain in the storage container 60. You can. Accordingly, the closure system 3 for maintaining carbonic ac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arbonic acid remaining in the empty space of the storage container 60 from leaking even when the storage container 60 is opened. In particular, when drinking a beverage stored in a large-capacity storage container 60, it is generally consumed several times. In this case, even if carbonic acid leakage is prevented during storage, carbonic acid leaks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bottle cap 70, causing the bottle cap 70 to leak. Carbonation is removed from the beverage due to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bottle, but the cap system 3 for maintaining carbo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maintaining carbonation in the beverage even after opening and closing the bottle cap 70 several tim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1, 2, 3 외부 뚜껑부 5
내부 뚜껑부 10 몸체부 20
결합부 30 에어관 40
저장용기 60 병마개 70

Closure system 1, 2, 3 for carbonation retention External lid 5
Inner lid 10 Body 20
Joint 30 Air tube 40
Storage container 60 Bottle cap 70

Claims (6)

배출홀이 형성된 상부 덮개부, 상기 상부 덮개부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된 측부 덮개부 및 상기 상부 덮개부 상면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측부 덮개부 내측면에 저장용기의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선과 결합되기 위한 내측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측부 덮개부 외측면에 오링홈이 형성된 내부 뚜껑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부의 일부를 개방하는 개방홀, 상기 덮개부 하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에 걸리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부 뚜껑부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결합부; 및
상기 오링홈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내부 뚜껑부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It includes an upper cover with a discharge hole, a side cover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 cover, and a stopper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a thread formed at the inlet of the storage container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cover. an inner lid portion having an inner thread for coupling with the inner lid portion and an O-r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cover portion;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part, a space for inserting the inner lid is formed inside, a cover part that covers a part of the upper part, an opening hole that opens a part of the upper part, and a bottom part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to the stopper. a body portion including a stop for engaging;
a coupling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and is insertable and fixable in the inner lid portion; and
A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and includes an O-ring for sealing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inner lid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상기 내부 뚜껑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덮거나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With the inner lid inserted into the body,
A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wherein the cover portion covers or opens the discharge hole as the body portion rotat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덮개부 외측면에 제2 오링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2 오링홈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내부 뚜껑부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제2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A second O-ring groove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ver,
A closure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ring groove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O-ring for sealing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inner lid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배출홀 보다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스토퍼 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유지를 위하 마개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stopper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discharge hole,
The discharge hole is,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forward of the stopp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개방홀 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개방홀보다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개방홀은,
상기 멈춤부 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가 상기 멈춤부 일단에 걸린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배출홀을 덮고,
상기 스토퍼가 상기 멈춤부 타단에 걸린 경우에는,
상기 개방홀이 상기 배출홀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홀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The stopper,
It is formed in a semicircle, one end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open hole,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open hole,
The open hole is,
Located ahead of the stop,
When the stopper is caught on one end of the stop,
The cover portion covers the discharge hole,
When the stopper is caught on the other end of the stop,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hole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hole, so that the discharge hole is open.
제 1항에 있어서,
유체가 흐르기 위한 에어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상부 관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뚜껑부에는,
상기 에어관이 삽입되기 위한 하부 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 유지를 위한 마개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
It further includes an air pipe for fluid to flow,
In the cover part,
An upper tube hole is formed for inserting the air tube,
In the inner lid,
A stopper system for maintaining carbon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tube hole is formed for inserting the air tube.

KR1020220115912A 2021-09-16 2022-09-14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KR2024003708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912A KR20240037086A (en) 2022-09-14 2022-09-14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PCT/KR2022/013750 WO2023043206A1 (en) 2021-09-16 2022-09-15 Cap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912A KR20240037086A (en) 2022-09-14 2022-09-14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086A true KR20240037086A (en) 2024-03-21

Family

ID=90472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912A KR20240037086A (en) 2021-09-16 2022-09-14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08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478B2 (en) Cap assembly with attached flexible liner for use with a container to hold contents therein
US20100012532A1 (en) Container closure having a spout and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AU2007246847B2 (en)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US20110036451A1 (en) Device for dosed dispensing of a liquid from a composite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the composite container ("liquid dispensing flair")
US5449098A (en) Fluid flow controller for bottle
CN217023601U (en) Gas-containing beverage bottle cap structure and gas-containing beverage bottle
KR20160064863A (en) Carbonic acid gas leak prevention device having an automatic closing feature air bottle of liquor and soft drinks
AU2008323322B2 (en) Dispensing device
KR101793837B1 (en) Removable bottle of carbonated beverages gas leakage protection device
KR20240037086A (en)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KR20230135464A (en)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CN112027343A (en) Bottle cap and bottle
EA038731B1 (en) Dosing plug for a vessel for storing and dispensing an effervescent beverage
KR102084333B1 (en) Removable bottle of carbonated beverages gas leakage protection keeper
KR102573400B1 (en) Portable carbon dioxide gas injection device
KR200449488Y1 (en) Gas leak prevention bottle
KR20230040492A (en) Cap system for preventing leakage of carbonic acid
US7228980B2 (en) Plastic capsule for hermetically closing large bottles
KR200396029Y1 (en) Gas leaking out prevention plug
JP6929092B2 (en) Carbonated drink server
US20060054629A1 (en) Closable drinking container
KR200236154Y1 (en) Discharge and insertion drain structure of liquid filling machine
KR20060109640A (en) Gas leaking out prevention plug
CN210595237U (en) Beer barrel air inlet valve and beer barrel
US20230286722A1 (en) Bag in container and adapter for connecting a bag in container to a ta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