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004A - System for detecting power fail of battery charging system - Google Patents

System for detecting power fail of battery charg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004A
KR20240037004A KR1020220115755A KR20220115755A KR20240037004A KR 20240037004 A KR20240037004 A KR 20240037004A KR 1020220115755 A KR1020220115755 A KR 1020220115755A KR 20220115755 A KR20220115755 A KR 20220115755A KR 20240037004 A KR20240037004 A KR 20240037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attery charging
charging station
power erro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튜브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튜브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튜브랩
Priority to KR1020220115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004A/en
Publication of KR2024003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004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6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에 대한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오류가 정전에서 비롯된 것인지, 과전류, 과전압 등과 같이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자체적인 원인으로 비롯된 것인지 판별하여, 유지보수에 대한 대응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which detects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error is caused by a power outage or is caused by the battery charging station's own causes, such as overcurrent or overvoltage. It is about a system that determines whether a problem is present and allows different responses to maintenance.

Description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POWER FAIL OF BATTERY CHARGING SYSTEM}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battery charging station {SYSTEM FOR DETECTING POWER FAIL OF BATTERY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에 대한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오류가 정전에서 비롯된 것인지, 과전류, 과전압 등과 같이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자체적인 원인으로 비롯된 것인지 판별하여, 유지보수에 대한 대응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detect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determine whether the power error is caused by a power outage, overcurrent, overvoltage, etc.,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tself. It is about a system that determines whether a problem is caused by an external cause and allows different responses to maintenance.

에너지 절약과 환경오염 방지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기존 내연기관차를 대체하여 전기차(EV, electronic vehicle)가 보급화 됨에 따라 전기차에 구비되는 배터리팩을 충전하거나 충전한 배터리를 대여(교환)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 역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고 있다.As energy conservation and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emerged as social issues, electric vehicles (EVs, electronic vehicles) have become popular, replacing exis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Battery charging is used to charge battery packs provided in electric vehicles or to rent (exchange) charged batteries. Stations are also being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따라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 대한 유지보수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대책을 강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Therefore,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devise measures to efficiently utilize maintenance personnel for battery charging stations.

도처에 산재해 있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 대해서 전원오류로 인한 고장이 보고되면 일일이 유지보수 인력이 방문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이때, 유지보수 인력이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상황도 존재할 수 있다.When a breakdown due to a power error is reported to battery charging stations scattered throughout the area, maintenance personnel must visit and deal with them one by one. At this time, there may be situations in which maintenance personnel cannot take any action.

예를 들어, 전력회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즉, 정전),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은 안정적으로 파킹(parking)상태에 들어가 있으며, 다시 전원이 복구되면 자동으로 재가동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인력이 방문할 필요가 없다.For example, when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power company (i.e., power outage),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s stably parked and automatically restarts when power is restored, so maintenance personnel do not have to visit. no ne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에 대한 발생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오류가 배터리 충전스테이션 자체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것인지, 혹은 정전을 포함한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정전에서 비롯된 경우,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파견)을 지양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error is caused by the battery charging station's own factors or external factors including a power outage, and, if caused by a power outage, is maintained. We would like to propose a plan to utilize maintenance personnel efficiently by avoiding the dispatch (dispatch) of maintenance personnel.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발명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발명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Next, we will briefly describe the prior inventions existing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describe the technical details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achieve differently compared to the prior inventions.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5-0085178호(2015.07.23.)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하에 공급할 전원을 저장하는 메인 출력 커패시터의 등가 직렬 저항 및 출력 전압을 측정하여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전원 공급의 이상을 감지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First,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085178 (July 23, 2015)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which measures the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and output voltage of the main output capacitor that stores power to be supplied to the load, and supplies power if it is outside the normal range. It relates to a power supply device that detects abnormalities.

즉, 한국공개특허 제2015-0085178호는 단순히 전원 공급 장치의 이상을 감지하는 것일 뿐,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전원오류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도 아니며, 상기 전원오류가 정전에서 비롯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또한 전혀 기재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양 발명은 그 기술적 구성, 목적 및 효과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점이 있다.In other word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5-0085178 simply detects abnormalities in the power supply device, and does not detect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in the multiple battery charging station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wer error is caused by a power outage. There is also no description of how to determine whether it originated from . Therefore, the two invention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technical composition, purpose, and effects.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699374호(2017.01.18.)는 전원장애 및 복구를 감지하여 송수신하는 원격제어기기를 구비하는 조명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벽스위치와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상태를 감지하여, 전원 미공급시 해당 상태를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원장애 및 복구를 감지하여 송수신하는 원격제어기기를 구비하는 조명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699374 (January 18, 2017)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detects and transmits power failure and recovery. It is connected to a wall switch to detect the power supply status and This relates to a lighting control system that includes a remote control device that detects and transmits power failure and recovery to transmit the relevant status to a smart device when not supplied.

즉, 한국등록특허 제1699374호는 벽스위치와 연결되는 각 조명으로 전원의 공급여부를 감지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관리자가 구비한 스마트기기로 전송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Korean Patent No. 1699374 detects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each light connected to the wall switch and transmits it to a smart device provided by the manager when power is not supplied.

반면에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에 대한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전원오류가 정전에서 비롯된 것인지 혹은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자체적인 원인으로 비롯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유지보수에 대한 대응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699374호는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전혀 기재하거나 시사 혹은 그 어떠한 암시도 없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in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error is caused by a power outage or the battery charging station's own cause, and performs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order to be able to respond differently, Korean Patent No. 1699374 does not describe or suggest any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all.

선행기술을 살펴본 결과, 다양한 장소에 산재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에 대한 발생을 감지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에 따라 유지보수에 대한 대응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As a result of examining prior art, there is no technology that detects the occurrence of power errors in multiple battery charging stations scattered and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and allows different responses to maintenance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power errors. .

그러므로 본 발명을 통해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 대한 전원오류를 통합하여 감지할 수 있고, 전원오류의 유형에 따라 유지보수 인력을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power errors for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can be integrated and detected, and maintenance personnel can be flexibly utilized depending on the type of power err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오류로 인한 시스템의 전체 다운(즉,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나, 혹은 개별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메시지로 구성된 전원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전원오류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에 따라 유지보수에 대한 대응을 달리하여 유지보수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emergency messages regarding the entire system down (i.e., down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ue to a power error from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or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battery slots. By receiving a power error message consisting of a status message containing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is detected at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maintenance is per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battery charging stations that allows flexible manpower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전원오류 메시지로 구성되는 긴급메시지나 상태메시지를 활용하여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발생한 전원오류가 자체적인 원인에서 비롯된 것인지, 혹은 정전에서 비롯된 것인지, 혹은 정전 이외의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n emergency message or status message consisting of a power error message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error occurring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s caused by its own cause, a power outage, or an external factor other than the power out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that

또한 본 발명은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관리자(혹은 유지보수 인력)에게 제공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정전이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유지보수 인력이 출동하지 않도록 하여, 유지보수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manager (or maintenance personnel) with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including whether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and if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a power outage, the corresponding battery is charg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that prevents maintenance personnel from being dispatched to the station and allows maintenance personnel to be utilized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은 자체 콘덴서를 통해 전력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정전을 포함하여 외부요인으로 인해 전력공급이 차단된 경우, 상기 저장한 전력을 이용하여 긴급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harging station that stores power through its own condenser and can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using the stored power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due to external factors, including a power outage. It is for that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분전반의 전후단에서 전원공급여부를 감지하여 분전반 이전의 전력공급라인에 문제가 생겼는지, 분전반을 포함한 사이트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감지하여 문제의 발생 원인을 원격에서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whether power is suppli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istribution panel to detect whether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power supply line before the distribution board or whether a problem has occurred at the site including the distribution board, so that the cause of the problem can be determined in advance remotely. Do it 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오류 메시지를 각각 수신하는 전원오류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전원오류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는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를 통해 각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전원오류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정전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error message receiver that receives power error messages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a power error mess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power error messages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thereby generating a power error. It includes a power error facto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factor, detects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at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through the power error messag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a power outage. Do it as

또한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는, 전원오류 발생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체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 혹은 복수의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메시지로 구성되며, 상기 긴급메시지는,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수신되며, 상기 상태메시지는, 상기 상용전원이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error message consists of an emergency message regarding the entire downing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ue to a power error or a status message containing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battery slots, and the emergency message is configured to charge the battery. It is received when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station is cut off, and the status message is received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at least one battery slot while the commercial power is being suppli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o it as

또한 상기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부는, 장소별 혹은 위치별로 동일한 분전반을 통해 제공되는 전원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을 그룹핑한 그룹핑 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그룹에 속한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정전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동일한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었으나, 해당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상기 정전을 제외한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상태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자체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determination unit refers to grouping information that groups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operating with power provided through the same distribution board for each location or location, and sends an emergency message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When received,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failure caused by a power outage has occurred at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e group, and although an emergency message has been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e group. If is not received,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etermines that a power error occurred due to an external factor other than the power outage, and if a status message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etermines that a power error occurred due to its own factors.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at a power error has occurred.

또한 상기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은, 상기 판단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에 따른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여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 대한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통지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를 통해,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정전 이외의 것이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상기 유지보수 인력을 출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reports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for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cause of the power error and whether or not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according to the power error occurrence cause. It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uni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notification of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the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to the corresponding battery charging station if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something other than a power outag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은, 전원 공급부에 대한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용전원의 차단에 따른 전원오류가 발생한 경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체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를 전송하는 긴급메시지 전송부 및 복수의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상태와 상기 전원 공급부에 대한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서 전원 미공급에 따른 전원오류가 발생한 경우, 각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태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power status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when a power error occurs due to cutoff of commercial power in the power supply unit, there is an emergency for the entire battery charging station to be shut down.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power status of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battery slots that transmit messages and the power status of the power supply unit, the commercial power is being supplied, but the power supply is due to non-supply of power from at least one battery slot. When an error occur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tatus message transmission unit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status message including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battery slot.

또한 상기 긴급메시지 전송부는, 자체 콘덴서를 통해 전력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상기 상용전원의 차단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저장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메시지를 즉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tting unit stores power through its own condenser, and when a power failure occurs in the power supply unit due to cutoff of the commercial pow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mmediately transmits the emergency message using the stored power. Do it as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오류 메시지를 각각 수신하는 전원오류 메시지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전원오류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는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detecting a power error in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error messag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power error message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a power error message receiving step using the received power error messag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determination step to determine the occurrence factor.

또한 상기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 단계는, 장소별 혹은 위치별로 동일한 분전반을 통해 제공되는 전원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을 그룹핑한 그룹핑 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그룹에 속한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정전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동일한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었으나, 해당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상기 정전을 제외한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상태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자체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refers to grouping information that groups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operating with power provided through the same distribution board for each location or location, and determines whether an emergency is detect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belonging to the same group. When a message is received,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failure caused by a power outage has occurred at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e group, and although an emergency message has been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n emergency message has been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e group. If the message is not received,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etermines that a power error has occurred due to an external factor other than the power outage. If a status message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etermines that a power error has occurred due to an external factor other than the power failure. It i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that a power error has occurred.

또한 상기 전원오류 감지 방법은, 상기 판단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에 따른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여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 대한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통지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error detection method is a power error occurrence history that notifies the power error occurrence history for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cause of the power error occurrence and whether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according to the power error occurrence cau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notification step.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오류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전원오류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를 통해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통지함으로써 유지보수 인력을 탄력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by receiving power error messages from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determine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through the power error message, and perform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maintenance personnel to be utilized flexibly and efficiently by notifying the details of power failure occurrences, including whether or not personnel will be dispatch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를 감지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of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detecting a power error in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In additio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provided. The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a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It is desirable not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 등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of a battery charging station,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etc.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배터리팩을 미리 충전하여 두었다가 전기차의 방전된 배터리팩을 상기 미리 충전된 배터리팩으로 교환해 주는 배터리팩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전기차는 전기 오토바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전기 승용차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s configured to pre-charge a battery pack and then provide a battery pack exchange service in which a discharged battery pack of an electric vehicle is exchanged for the pre-charged battery pack. Here, the electric vehicle is preferably an electric motorcycl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a concept that includes various types such as electric passenger cars.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이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이라 칭함)은 도처에 산재되어 설치된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전원오류의 발생에 따른 전원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여, 각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발생한 전원오류를 감지하고,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를 이용하여 각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대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각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자체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것인지 혹은 정전을 포함하는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판단한다.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receives a power error messag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from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installed scattered throughout, and detects each power error. A power error occurring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s detected, and the power error messag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for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s caused by the own factors of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Determine whether it is a problem or is caused by external factors, including a power outage.

이후,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전원오류의 발생요인,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에 따른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관리자 단말(400) 혹은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대한 유지보수 인력이 구비한 단말(미도시)로 제공하여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에 따라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대한 유지보수를 서로 다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Afterwards,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records the power error occurrence history, includ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and whether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to the manager terminal 400 or the corresponding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t is provided as a terminal (not shown) equipped with maintenance personnel so that maintenance o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can be per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예를 들어, 정전의 경우, 일정시간 대기하면 자동으로 복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정전으로 판단되면, 전원오류 발생내역에는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이 불필요 하다는 내용을 포함하게 되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자체적인 요인이나 정전 이외의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되면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포함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ower outage, it is common for the system to be automatically restored after wait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fore, if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determined to be a power outage,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will include the fact that dispatch of maintenance personnel is unnecessary, and it is believed to be caused by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s own factors or external factors other than the power outage.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dispatch maintenance personnel, it will be included.

즉,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전원오류 발생을 감지하여, 다양한 유형에 따른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대한 대응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detects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nd determines the causes of power errors according to various types, allowing different responses to maintenance.

또한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복수의 충전스테이션(200)이 설치되는 위치별, 혹은 장소별로 동일한 분전반을 통해 제공되는 전원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을 그룹핑한 그룹핑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그룹핑 정보와 특정 그룹의 각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전원오류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어떠한 요인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아울러 분전반의 전후에 전원공급여부에 대한 감지가 가능한 센서를 두어 정전의 원인이 분전반 이전의 인입선에서 발생하였는지, 최소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이 설치된 사이트 내부에서 발생하였는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provides grouping information that groups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operating with power provided through the same distribution board for each location or location where the plurality of charging stations 200 are installed. It manages the grouping information and the power error message received from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n a specific group to determine what factor caused the power error. In addition, sensors that can detect whether power is supplied before or after the distribution board should be placed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cause of the power outage occurred in the incoming line before the distribution board or at least inside the site where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s installed.

즉, 상기 분전반의 전후단에서 전원공급여부를 감지하여 분전반 이전의 전력공급라인에 문제가 생겼는지, 분전반을 포함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이 설치된 사이트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감지하여 문제의 발생 원인을 원격에서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by detecting the power supply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istribution board, it is possible to detect in advance whether a problem has occurred in the power supply line before the distribution board or at the site where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ncluding the distribution board is installed, thereby remotely identifying the cause of the problem in advance. Let it happen.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사이트 A(200A) 혹은 사이트 B(200B) 등과 같이 동일한 사이트에 설치되어 각 사이트별로 동일한 분전반을 통해 제공되는 전원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을 사전에 그룹핑한 그룹핑 정보를 관리한다.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is installed at the same site, such as site A (200A) or site B (200B), and groups in advance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that operates with power provided through the same distribution board for each site. Manage grouping information.

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이 아파트 단지(혹은 충전소나 대학교 등)에 설치된다고 가정하면, 전원 수용장소인 아파트 단지에 가공전선(가공 인입선)이 인입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전반(예: 동별로 설치된 분전반)을 통해 가공전선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이 상기 아파트 단지에 설치된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동일한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을 그룹핑한 복수의 그룹핑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그룹핑 정보는 각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할당된 식별정보로 그룹핑되어 관리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are installed in an apartment complex (or charging station, university, etc.), an overhead wire (overhead lead-in wire) is introduced into the apartment complex, which is the power receiving location, and at least one distribution board ( Example: Power provided from overhead wires (distribution boards installed for each building) may be provided to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installed in the apartment complex. Therefore,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is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a plurality of grouping information that groups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oper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ame distribution board. At this time, the grouping information can be managed by grouping with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데이터베이스(300)는 그룹핑 정보를 포함하여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전원오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atabase 300 performs the function of storing and managing various information for detecting power errors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ncluding grouping information.

이하에서는 각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전원오류 메시지를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a power error message from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o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배터리팩이 장착되어 배터리팩이 충전되는 복수의 배터리 슬롯, 각 배터리 슬롯으로 전원(직류)을 공급하여 상기 배터리팩을 충전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210), 상기 전원 공급부(210)에 구비되어 외부의 상용전원(교류)이 전원 공급부(210)로 공급(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전원 감지기 및 각 상기 배터리 슬롯에 구비되어 각 상기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입력)여부를 감지하는 제2 전원 감지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분전반 전후의 전원을 감지하는 분전반 전원 감지기(미도시)를 별도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and supplies a plurality of battery slots in which the battery pack is charged, and supplies power (direct current) to each battery slot. A power supply unit 210 for charging the battery pack, a first power detector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210 to detect whether external commercial power (alternating current) is supplied (input) to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each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power detector provided in the battery slot and detec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input) to each battery slot. In addition, a separate distribution board power detector (not shown) that detects power before and after the distribution board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펄스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배터리 슬롯으로 제공하여 각 배터리 슬롯에서, 배터리팩을 충전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10 includes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and converts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direct current power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PWM) and provides it to each battery slot. Each battery slot performs a function to charge the battery pack.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하나로 구성되어 각 배터리 슬롯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거나, 각 배터리 슬롯별로 전원 공급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 전원 공급모델에서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configured to supply direct current power to each battery slot, or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supply module for each battery slot to convert commercial power to direct current power in each power supply model. It can be.

상기 제1 전원 감지기 및 제2 전원 감지기는 전원 공급부(210) 및 각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1'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0'의 값으로 출력한다. 이때, 각 전원 감지기는 전압계나 전류계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detector and the second power detector are configured to detect and output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each battery slot. For example, if it is detected that power is being supplied, a value of '1' is output, and if it is detected that no power is being supplied, a value of '0' is output. At this time, each power detector may be composed of a voltmeter or an ammeter.

또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제1 전원 감지기와 복수의 제2 전원 감지기로부터 전원공급여부를 감지한 결과를 수집하여 전원 공급부(210)와 각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monitors the power status of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each battery slot by collecting the results of detect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power detector and a plurality of second power detectors.

또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전원 공급부(21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전원 공급부(210)에서 전원오류가 발생된 경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전체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를 전송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power status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commercial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when a power error occurs in the power supply unit 210, the entir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s Send an emergency message about a download.

즉, 상기 긴급메시지는 외부요인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차단으로 인한 전원오류가 발생되는 경우에 전송되는 것이다. 이때, 긴급메시지는 즉시 전송되도록 미리 생성되어 저장 관리되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배터리 충전스테이션(100)은 전원 차단으로 인해 긴급메시지가 전송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체 구비되는 콘덴서를 통해 미리 일정 전력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전원 공급부(2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저장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메시지를 전원 오류 감지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other words, the emergency message is transmitted when a power error occurs due to interruption of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due to external factors. At this time, the emergency message is created in advance, stored and managed to be transmitted immediately, and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t this time,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100 stores a certain amount of power in advance through its own condenser to prevent emergency messages from being transmitted due to a power cut, and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210.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emergency message to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using the stored power.

또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각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 전원(직류)이 공급되지 않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메시지를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monitors the power status of each battery slot, and when power (direct current) is not supplied to at least one battery slot and a power error occurs in at least one battery slot,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monitors the power status of each battery slot. A status message containing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여기서, 상태메시지는 제1 전원 감지기를 통해 전원 공급부(210)의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나, 제2 전원 감지기를 통해 각 배터리 슬롯의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서 전원 미공급에 따른 전원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전송된다.Here, the status message indicates that commercial power is being supplied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power status of the power supply unit 210 through the first power detector, but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power status of each battery slot through the second power detector, at least one battery Transmitted when a power error occurs due to lack of power in the slot.

한편,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나, 각 배터리 슬롯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는 과전압, 과전류 등으로 인한 전원 공급부(210)의 고장이나, 전원 공급부(210)와 각 배터리 슬롯을 연결한 전원라인에서 문제가 생긴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but power is not supplied to each battery slot, the power supply unit 210 may fail due to overvoltage, overcurrent, etc., or the power supply unit 210 may be damaged in the power line connecting each battery slot. A problem arose.

즉, 상태메시지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자체적인 요인으로 인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 대해서 전원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전송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atus message is transmitted when a power error occurs in at least one battery slot due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s own factors.

상기 상태메시지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전원공급 상태정보는 배터리 슬롯의 식별정보(혹은 배터리 슬롯 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atus message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nd the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includes battery slot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battery slot number).

상기 상태메시지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제공되는 전원(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자체적인 요인으로 인한 것일 뿐,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전원은 여전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상태메시지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것이다.The status message is transmitted using power (commercial power) provid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n other words, if a power error occurs in at least one battery slot, it is only due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s own factors. Since power is still provid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e status message is sent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t is transmitted using the power provided by (200).

한편,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전원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전원오류가 복구되면 복구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원 감시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power error message and then generating a recovery message when the power error is restored and transmitting it to the power monitoring system 100. d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복수의 배터리 슬롯, 제1 전원 감지기, 제2 전원 감지기, 전원 공급부(210), 전원오류 메시지 전송부(220) 및 복구 메시지 전송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slots, a first power detector, a second power detector, a power supply unit 210, and a power error message transmission unit ( 220) and a recovery message transmission unit 230.

상기 배터리 슬롯은 배터리팩이 장착되며, 배터리 슬롯은 제1 전원 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ttery slot is equipped with a battery pack, and the battery slot includes a first power detector.

상기 제2 전원 감지기는 배터리 슬롯에 장착된 배터리팩을 충전하기 위한 전원이 해당 배터리 슬롯에 공급되는지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전원오류 메시지 전송부(2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cond power detector detects whether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pack mounted in the battery slot is supplied to the battery slot and provide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power error message transmission unit 220.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각 배터리 슬롯으로 제공함으로써 배터리팩을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10 performs the function of charging the battery pack by converting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to direct current power and supplying it to each battery slot.

상기 제1 전원 감지기는 전원 공급부(210)에 구비되며 전원 공급부(210)로 전원(상용전원)이 공급되는지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전원오류 메시지 전송부(2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power detector is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detecting whether power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providing the detected result to the power error message transmission unit 220. do.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 전송부(220)는 제1 전원 감지기 및 제2 전원 감지기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공급여부에 대한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부(210)와 각 배터리 슬롯의 전원상태에 대한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긴급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긴급메시지 전송부(221) 및 상태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상태메시지 전송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wer error message transmission unit 220 uses the detection result of power supply provided through the first power detector and the second power detector to determine the power status of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each battery slot. It monitors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221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s and a status message transmission unit 222 for transmitting a status message.

상기 긴급메시지 전송부(221)는 전원 공급부(210)의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자체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긴급메시지 전송부(221)는 콘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덴서를 통해 일정량의 전력을 저장한다.The emergency message transmitting unit 221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about the downing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onitoring the power status of the power supply unit 210. At this time,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221 includes a condenser and stores a certain amount of power through the condenser.

여기서 콘덴서는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저장하거나, 상기 전원 공급부(210)와 독립적으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ndenser may be configured to store power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0 or to store power using commercial power independent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0.

또한 긴급메시지 전송부(221)는 콘덴서를 통해 저장한 전력을 이용하여 긴급메시지를 즉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Additionally,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221 is configured to immediately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using power stored through a condenser.

상기 상태메시지 전송부(222)는 제1 전원 감지기와 제2 전원 감지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공급여부 감지결과에 따라 전원 공급부(210)의 전원 상태와 각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 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전원 공급부(21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각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태메시지 전송부(222)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공급되는 전원(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상태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The status message transmission unit 222 monitors the power status of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the power status of each battery slot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detection result provided from the first power detector and the second power detector. When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supply unit 210, but power is not supplied to at least one battery slot, a status message containing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battery slot is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status message transmission unit 222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tatus message using power (commercial power) suppli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여기서, 전원오류 메시지를 전송할 때 이용하는 전력(전원)이 다르므로, 배터리 슬롯과 전원 공급부(210)의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긴급메시지 전송부(221)와 상태메시지 전송부(222)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별도의 모니터링 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긴급메시지와 상태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since the power (power) used when transmitting the power error message is different, the power status of the battery slot and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monitored individually by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tter 221 and the status message transmitter 222. It is desirable to carry out this metho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separate monitoring means may be further configured. Transmission of the emergency message and status message has been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2, so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복구메시지 전송부(230)는 전원오류에 따른 긴급메시지 혹은 상태메시지를 전송한 후, 해당 전원오류가 복구된 경우, 복구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별도의 복구메시지 전송부(230)를 두지 않고, 긴급메시지 전송부(221) 혹은 상태메시지 전송부(222)에서 긴급메시지 혹은 상태메시지에 대응한 복구메시지를 각각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covery message transmission unit 230 transmits an emergency message or status message in response to a power failure and then transmits a recovery message when the power failure is restored. However, without a separate recovery message transmission unit 230,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221 or the status message transmission unit 222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recovery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y message or status message, respectively.

상기 복구메시지는 전원오류가 복구된 경우에 전송되는 것이므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전송됨은 당연하다.Since the recovery message is transmitted when a power error is recovered, it is natural that it is transmitted using the power provid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전원오류 메시지를 각각 수신한다.As shown in FIG. 4,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ower error message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는 긴급메시지 혹은 상태메시지로 구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error message consists of an emergency message or status message.

또한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를 활용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한다. 이때,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 이외에 사전에 관리하고 있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대한 복수의 그룹핑 정보를 활용하여 전원오류 발생요인을 판단한다.Additionally,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uses the power error message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At this time,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uses a plurality of grouping information about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is managed in advance in addition to the power error message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이때,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상태메시지를 전송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발생한 전원오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자체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한다.At this time,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determines that the power error occurring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transmitted the status message is caused by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s own factors.

즉, 상태메시지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전원오류가 발생하여 배터리팩의 충전을 위한 전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전송되는 것(즉, 전원오류가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것이 아님)이므로 상태메시지를 전송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대해서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자체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atus message is transmitted when a power error occurs while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nd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pack is not supplied to at least one battery slot (i.e., power Since the error does not originate from external factors),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error occurred due to an internal factor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transmitted the status message.

또한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긴급메시지를 전송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100)에서 발생한 전원오류는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우선 판단한다.Additionally,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first determines that the power error that occurred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100 that transmitted the emergency message was caused by an external factor.

이때,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대한 그룹핑 정보를 참조하여, 동일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동일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정전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즉, 동일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대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은 정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refers to the grouping information for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nd, if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in the same group,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e same group ( 200),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error occurred due to a power outage. In other words, when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of the same group, it is determined that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for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s a power outage.

왜냐하면, 긴급메시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즉시 전송되는 것으로,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동일한 분전반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므로,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된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면 정전으로 인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간주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정전으로 판단하게 된다.This is because emergency messages are transmitted immediately when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cut off, and the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grouped in the same group receive power through the same distribution board and operate, s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grouped in the same group, 200 considers that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has been cut off due to a power outage, and determines that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a power outage.

한편, 특정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었으나, 그룹핑 정보를 참조한 결과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과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된 나머지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정전을 제외한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Meanwhile, if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 specific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but as a result of referring to the grouping information, an emergency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the remaining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grouped in the same group as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error occurred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due to external factors other than a power outage.

즉, 동일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긴급메시지를 전송한 특정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연결된 전원라인의 절단, 전원라인의 연결해제 등과 같이 다른 외부요인으로 인해 전원이 차단되어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That is, if an emergency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in the same group, th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s cut from the specific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sent the emergency message, and the power line is cut.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error occurred because the power was cut off due to other external factors, such as disconnection of the device.

이후,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판단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예: 정전, 단순 외부요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자체적인 요인)과 상기 발생요인에 따른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400)로 통지한다.Thereaft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determines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e.g., power outage, simple external factor, battery charging station's own factor) and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including whether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are generated and notified to the manager terminal 400.

이때,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정전인 경우, 해당 전원오류 발생내력은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 필요라는 내용을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includes the content that when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a power outage, the history of the power error occurrence requires the dispatch of maintenance personnel.

한편,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정전으로 인한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통지한 후, 사전에 설정한 시간기간 내(예: 1시간)에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정전 복구에 따른 복구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유지보수 인력을 출동하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알람메시지를 통지하여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유지보수 인력을 출동시켜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notifies the details of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due to a power outage and then detects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within a preset time period (e.g., 1 hour). If a recovery message according to power outage recovery is not received from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an alarm message containing information to dispatch maintenance personnel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s notified, and maintenance personnel can be dispatch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o perform maintenance. Let it happe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of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전원오류 메시지 수신부(110), 전원오류 발생 감지부(120),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부(130),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부(140), 그룹핑 정보 관리부(150) 및 복구메시지 수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error message receiver 110, a power error detection unit 120, and a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determination unit 130. , It is composed of a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notification unit 140, a group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50, and a recovery message reception unit 160.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 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전원오류의 발생에 따른 전원오류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긴급메시지 수신부(111) 및 상태메시지 수신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wer error message receiver 110 performs the function of receiving a power error message due to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nd includes an emergency message receiver 111 and a status message receiver 112. It consists of:

상기 긴급메시지 수신부(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전원오류의 발생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자체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mergency message receiving unit 111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n emergency message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bout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shutting down due to a power error.

상기 상태메시지 수신부(1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전원오류의 발생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각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atus message receiver 112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 status message containing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for each battery slot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Perform.

상기 전원오류 발생 감지부(120)는 긴급메시지 수신부(111) 및 상태메시지 수신부(112)를 통해 긴급메시지 혹은 상태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긴급메시지 혹은 상태메시지를 전송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an emergency message or status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emergency message receiver 111 and the status message receiver 112, the power error detection unit 120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transmitted the emergency message or status message. Performs the function of detecting that an error has occurred.

즉, 본 발명의 각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대한 전원오류의 발생을 감지하는 것은 각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전원오류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for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receiving a power error message from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상기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부(130)는 전원오류 메시지와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대한 그룹핑 정보를 이용하여 전원오류가 발생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determination unit 130 uses the power error message and grouping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where the power error occurred. Perform.

한편,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는 것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determining the cause of a power error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부(140)는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부(130)에서 판단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과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에 따른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관리자 단말(400)로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notification unit 140 reports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including the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s determined by the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determination unit 130 and whether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according to the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s. It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notifying the generated power error details to the manager terminal 400.

상기 복구메시지 수신부(160)는 전원오류 메시지를 수신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해당 전원오류가 복구됨에 따른 복구메시지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부(140)는 복구내역을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The recovery message receiver 160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a recovery message upon recovery of the power error from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has received the power error message. At this time,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notification unit 140 further include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recovery details to the manager terminal 400.

또한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부(140)는 정전으로 인한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관리자 단말(400)로 통지한 후,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정전 복구에 따른 복구메시지가 사전에 설정한 시간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유지보수 인력을 출동하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알림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notification unit 140 notifies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of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due to a power outage, and then sends a recovery message according to power outage recovery from the corresponding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for a preset time period. If it is not received within,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including content to dispatch maintenance personnel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상기 그룹핑 정보 관리부(150)는 사전에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을 그룹핑한 그룹핑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을 그룹핑하는 것과 상기 그룹핑 정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The group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50 performs the function of storing and managing grouping information that groups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advance. Grouping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and the grouping information are shown in FIGS. 1 to 4. Since it has been explained with reference, it will be omitted her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를 감지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dure for detecting a power error in a battery charging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전원오류를 감지하는 절차는 우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긴급메시지 혹은 상태메시지로 구성된 전원오류 메시지를 수신하는 전원오류 메시지 수신 단계를 수행한다(S100).As shown in FIG. 6, the procedure for detecting a power error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rst receive a power supply consisting of an emergency message or status message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Perform the power error message reception step to receive an error message (S100).

상기 메시지 수신 단계는 긴급메시지를 수신하는 긴급메시지 수신 단계와 상태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태메시지 수신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essage receiving step includes an emergency messag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n emergency message and a status messag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status message.

이때,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은 복수의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상태와 상용전원의 공급여부에 따른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전원상태(즉, 전원 공급부의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전체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를 전송하는 긴급메시지 전송 단계와,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각 배터리 슬롯에 대한 상태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태메시지 전송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긴급메시지와 상태메시지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monitors the power statu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slots and the power status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i.e., the power status of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whether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and charges the battery. If commercial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tation 200, an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about the entire downing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and even though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power is supplied to at least one battery slot. If not, a status message transmission step is performed to transmit a status message for each battery slot. Since the emergency messages and status message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y will be omitted here.

다음으로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전원오류 메시지를 구성하는 상태메시지 혹은 긴급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각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발생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는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 단계를 수행한다(S200).Next,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uses the status message or emergency message constituting the received power error message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that occurred at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transmitted the power error message. Perform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S200).

이때,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 단계는, 상태메시지를 전송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자체 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10), 동일 그룹의 모든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면(S220), 해당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정전으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2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었으나, 상기 긴급메시지를 전송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과 동일 그룹에 속하는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S220), 상기 긴급메시지를 전송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정전 이외의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the step of determining that a power error occurred due to its own factors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that sent the status message (S210). When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ll charging stations in the same group (S220) , a step of determining that a power error caused by a power outage has occurred in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of the group (S221), and an emergency message has been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but the battery that transmitted the emergency message If an emergency message is not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200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s the charging station 200 (S220), a power error occurs due to an external factor other than a power outage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transmitted the emergency messag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S222) of determining that has occurred.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는 것은 전원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각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에서 발생한 전원오류가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자체적인 요인으로 비롯된 것인지, 정전을 포함하여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의 외부요인으로 비롯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태메시지와 긴급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는 것은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whether the power error occurring in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transmitted the power error message was caused by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s own factors, including power failure, and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is means determining whether it is caused by an external factor of 200.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using status messages and emergency messages has been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so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

다음으로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S200 단계 내지 S222 단계를 통해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한 결과에 따라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관리자 단말(400)로 통지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 단계를 수행한다(S300).Next,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notifies the manager terminal 400 of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including whether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through steps S200 to S222. Perform the error occurrence details notification step (S300).

한편,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100)은 전원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전원오류를 복구한 복구메시지를 수신하는 복구메시지 수신 단계와, 정전으로 인한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통지 한 후, 사전에 설정한 시간기간 내에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정전에 대한 복구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200)으로 유지보수 인력을 출동하라는 알림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수행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6,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100 includes a recovery message reception step of receiving a recovery message recovering the power error from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that transmitted the power error message, and After notification of the error occurrence, if a recovery message for power outage is not received from the relevant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within a preset time period, a notification message is sent to dispatch maintenance personnel to the relevant battery charging station (200). Further steps are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400.

여기서, 복구메시지를 수신하는 것과, 알림메시지를 관리자 단말(400)로 제공하는 것은 도 2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Here, since receiving the recovery message and providing the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40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처럼,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오류로 인한 차제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 혹은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에 대한 상태메시지를 수신하여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여, 상기 발생요인에 따라 유지보수에 대한 대응을 달리하여, 유지보수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by receiving an emergency message about the car being down due to a power error or a status message about the power supply status to the battery slot from a plurality of battery charging stations, and detects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in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By determining the cause of an error and varying the response to maintenance according to the cause, there is an effect of efficiently utilizing maintenance manpow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0: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
110: 전원오류 메시지 수신부 111: 긴급메시지 수신부
112: 상태메시지 수신부 120: 전원오류 발생 감지부
130: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부 140: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부
150: 그룹핑 정보 관리부 160: 복구메시지 수신부
200: 배터리 충전스테이션 210: 전원 공급부
220: 전원오류 메시지 전송부 221: 긴급메시지 전송부
222: 상태메시지 전송부 230: 복구메시지 전송부
300: 데이터베이스 400: 관리자 단말
100: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of battery charging station
110: Power error message receiver 111: Emergency message receiver
112: Status message receiver 120: Power error detection unit
130: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determination unit 140: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notification unit
150: Grouping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60: Recovery message reception unit
200: battery charging station 210: power supply unit
220: Power error message transmission unit 221: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222: Status message transmission unit 230: Recovery message transmission unit
300: Database 400: Administrator terminal

Claims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오류 메시지를 각각 수신하는 전원오류 메시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전원오류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는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를 통해 각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전원오류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정전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
a power error mess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power error messages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It includes a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using the received power error message,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comprising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at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through the power error mess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a power out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는, 전원오류 발생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체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 혹은 복수의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메시지로 구성되며,
상기 긴급메시지는,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수신되며,
상기 상태메시지는, 상용전원이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
In claim 1,
The power error message consists of an emergency message regarding the entire downing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ue to a power error or a status message containing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battery slots,
The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wh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s cut off,
The status message is received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at least one battery slot while commercial power is being suppli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부는,
장소별 혹은 위치별로 동일한 분전반을 통해 제공되는 전원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을 그룹핑한 그룹핑 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그룹에 속한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정전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동일한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었으나, 해당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상기 정전을 제외한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상태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자체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
In claim 2,
The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determination unit,
Referring to grouping information that groups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that operates with power provided through the same distribution board for each location or location,
When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e same group,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failure caused by a power outage has occurred in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at group.
If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belonging to the same group, but no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e group, a power error caused by an external factor other than the power failure occurs at the relevant battery charging station. It is judged to have occurred,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status message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error caused by its own factors has occurred in the relevant battery charging s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은,
상기 판단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에 따른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여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 대한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통지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를 통해,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정전 이외의 것이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상기 유지보수 인력을 출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시스템.
In claim 1,
The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is,
It further includes a power error occurrence history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the power error occurrence history for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cause of the power error occurrence and whether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according to the power error occurrence cause,
A power error detection system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notification of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if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something other than a power outage, the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to the corresponding battery charging station.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 공급부에 대한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상용전원의 차단에 따른 전원오류가 발생한 경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체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를 전송하는 긴급메시지 전송부; 및
복수의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상태와 상기 전원 공급부에 대한 전원상태를 모니터링한 결과, 상용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서 전원 미공급에 따른 전원오류가 발생한 경우, 각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상태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power status of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f a power error occurs in the power supply unit due to interruption of commercial power, an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n emergency message regarding the entire downing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power status of a plurality of battery slots and the power supply unit, if commercial power is supplied but a power error occurs due to non-supply of power in at least one battery slot, the A battery charging station comprising a status message transmission unit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status message including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긴급메시지 전송부는,
자체 콘덴서를 통해 전력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상용전원의 차단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저장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긴급메시지를 즉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
In claim 5,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A battery charging station that stores power through its own condenser and immediately transmits the emergency message using the stored power when a power failure occurs in the power supply unit due to interruption of commercial power.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오류 메시지를 각각 수신하는 전원오류 메시지 수신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전원오류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을 판단하는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를 통해 각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전원오류의 발생을 감지하고,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정전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방법.
A power error message receiving step of receiving a power error message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It includes a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using the received power error message,
A power error detection method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comprising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power error at each battery charging station through the power error messag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a power outag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류 메시지는, 전원오류 발생에 따른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체 다운에 대한 긴급메시지 혹은 복수의 배터리 슬롯에 대한 전원공급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상태메시지로 구성되며,
상기 긴급메시지는, 상기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수신되며,
상기 상태메시지는, 상용전원이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슬롯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방법.
In claim 7,
The power error message consists of an emergency message regarding the entire downing of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due to a power error or a status message containing power supply statu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battery slots,
The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wh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s cut off,
The status message is received when power is not supplied to at least one battery slot while commercial power is being suppli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류 발생요인 판단 단계는,
장소별 혹은 위치별로 동일한 분전반을 통해 제공되는 전원으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을 그룹핑한 그룹핑 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그룹에 속한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정전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동일한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었으나, 해당 그룹의 모든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긴급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상기 정전을 제외한 외부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부터 상태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서 자체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전원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방법.
In claim 8,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Referring to grouping information that groups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that operates with power provided through the same distribution board for each location or location,
When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e same group,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failure caused by a power outage has occurred in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at group.
If an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belonging to the same group, but no emergency message is received from all battery charging stations in the group, a power error caused by an external factor other than the power failure occurs at the relevant battery charging station. It is judged to have occurred,
A power error detection method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wherein when a status message is received from at least one battery charging station,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error resulting from its own factors has occurred in the relevant battery charging statio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원오류 감지 방법은,
상기 판단한 전원오류의 발생요인,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에 따른 유지보수 인력의 출동여부를 포함하여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에 대한 전원오류 발생내역을 통지하는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오류 발생내역 통지를 통해, 상기 전원오류의 발생요인이 정전 이외의 것이면 해당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으로 상기 유지보수 인력을 출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충전스테이션의 전원오류 감지 방법.
In claim 7,
The power error detection method is,
It further includes a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notification step of notifying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for the battery charging st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cause of the power error occurrence and whether or not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according to the power error occurrence factor,
A power error detection method for a battery charging s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rough notification of the power error occurrence details, if the cause of the power error is something other than a power outage, the maintenance personnel are dispatched to the relevant battery charging station.
KR1020220115755A 2022-09-14 2022-09-14 System for detecting power fail of battery charging system KR202400370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755A KR20240037004A (en) 2022-09-14 2022-09-14 System for detecting power fail of battery charg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755A KR20240037004A (en) 2022-09-14 2022-09-14 System for detecting power fail of battery charg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004A true KR20240037004A (en) 2024-03-21

Family

ID=9047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755A KR20240037004A (en) 2022-09-14 2022-09-14 System for detecting power fail of battery charg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0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489B1 (en) Device for prevention of fires i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3718425B (en) For identifier allocation being given the system and method for many BMS
CN110265736A (en) Energy-accumulating power statio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arly warning with intelligent fire alarm function
CN113067404B (en) Power supply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for power exchange station
WO2013035110A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storing a fault occurring in an electric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network
KR20140068331A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KR101023445B1 (en) Reom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for solar module
CN102307367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power failure alarming method
CN107069948A (en) The remote detection monitoring system and detection method of a kind of DC power system
US10998758B2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CN111799880A (en) Off-grid integrated communication power supply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4242416A (en) Storage battery charging management system of electric bicycle
CN202197131U (en) Self-diagnosis intelligent electric automobile charging pile circuit
KR101885636B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of Repeater
CN110112826A (en) The monitoring system of generator car access device and distribution of meeting an urgent need
CN109546741A (en) The self-checking system of battery remote maintenance equipment
KR102536187B1 (en) Distributed energy storage system for solar power plant and photovoltaic system using thereof
KR102266781B1 (en) Method for detecting disabled device of electric power line monitoring system
CN104655973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battery module short circuit in UPS system
KR20240037004A (en) System for detecting power fail of battery charging system
CN105762938B (en) A kind of distributed photovoltaic monitoring system of distribution network and its control method
CN208571667U (en) A kind of extension transformer subst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power-on time device
WO2018066693A1 (en) Assessing device and monitoring device
CN103472446A (en) Channel intelligent switching control management method of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test responder
CN102147614A (en)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ng condition of monitoring terminal, monitoring terminal and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