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743A -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743A
KR20240036743A KR1020220114698A KR20220114698A KR20240036743A KR 20240036743 A KR20240036743 A KR 20240036743A KR 1020220114698 A KR1020220114698 A KR 1020220114698A KR 20220114698 A KR20220114698 A KR 20220114698A KR 20240036743 A KR20240036743 A KR 2024003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user
strabismus
program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철규
함운철
이행진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14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743A/ko
Publication of KR2024003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7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61H2201/1607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8Interfaces to the user freely programmable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메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에 맞는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조건을 설정받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받은 프로그램 조건에 대응하는 타겟을 생성하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상기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프로그램을 수행 중인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 및 시선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through virtual reality-based eye movement}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시 환자들에게 시기능 훈련들을 제공하여 사시를 개선하기 위한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생성한 3차원 가상공간과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을 이루는 기술로서, 사용자는 이러한 가상공간에서 인체의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통해 몰입감을 느끼고, 실제로 그 공간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제공하는 융합기술이다. 글로벌 가상현실 시장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다양한 형태의 가상현실 기기들이 보급되고 있고, 현재 가상현실 시장은 하드웨어(디바이스) 중심으로 관련 제품들이 확산되면서 점차 애플리케이션 등의 가상현실 컨텐츠 및 컨텐츠를 유통하는 플랫폼의 영향력이 확대될 전망이다.
한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는 사용자의 시각에 기반한 하드웨어이기 때문에 다양한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비전테라피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비전 테라피는 시력훈련이라고도 하며, 안구 운동 장애, 약시 등의 양안시 기능의 이상, 사시 등의 조절 장애 등을 교정하며 관련 증상을 개선하는 임상적 접근방법이다. 이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시각 훈련을 통해 시기능을 개선하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한다. 기존의 약시 및 사시 환자들은 치료를 위해 전통적인 눈 모음 훈련과 같은 재활훈련을 진행해 왔지만 반복되는 훈련으로 지루함을 느끼기 때문에 환자의 의지에 따라 지속적인 훈련에 어려움이 존재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장치만으로 공간과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체험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체험할 수 있고, 사용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시기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시 환자들에게 사시 개선이 필요한 안구를 집중적으로 눈 운동 훈련을 시키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시환자들이 기존에 하던 반복적인 훈련에 대한 지루함을 개선하고, 훈련진행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상현실 컨텐츠를 수행한 사시환자에 대한 사시진단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메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에 맞는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조건을 설정받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받은 프로그램 조건에 대응하는 타겟을 생성하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상기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프로그램을 수행 중인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 및 시선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부는 사시 개선이 필요한 안구쪽에 더 많은 타겟이 생성되어, 좌안과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이 서로 다르게 하고, 또한, 좌안과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의 좌우 또는 상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실 개선이 필요한 안구쪽에만 보이는 물체의 색조, 채도 및 밝기 조절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로그인/아웃 정보, 이용 시간, 사시 개선을 위한 타켓의 접근 및 성취도, 재활시간, 재활 단계 등 안구의 개선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빛이 차단되는 프레임 구조를 갖는 헬멧 또는 고글 형태의 프레임과, 메인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와,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들을 확대하여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표시하는 렌즈부와,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위치에 따라 좌안 및 우안 렌즈부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 및 가상현실 영상과 사용자의 양안의 거리 및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추는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방법은,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에 맞는 프로그램 조건을 설정받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받은 프로그램 조건에 대응하는 타겟을 생성하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실행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상기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계 및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 중인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 및 시선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 단계는, 사용자의 상태에 맞추어 좌안 및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의 색조, 채도 및 밝기또는 타겟 수 등의 조건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설정 단계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의 좌우 또는 상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 프로그램 조건, 로그인/아웃 정보, 타겟의 접근 및 성취도, 재활시간, 재활 단계 등 안구의 개선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시 환자들의 집중력을 유도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시기능 개선을 위한 가상 현실 기반의 치료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시에 해당하는 눈의 영상과 정상인 다른 눈에 보이는 영상을 달리 적용하고, 특히 보이는 영상들의 상하 또는 좌우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상태의 사시 환자에게 맞춤형으로 사시인 눈의 근육을 보다 많이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시 재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언제 어디서나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여 각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최적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통해 사시재활운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지재활운동 제공 서버 측에서 각 사용자들의 사지재활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적, 관리하고, 날짜별 통계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각 사용자들이 통계정보를 토대로 자신이 수행하는 사시재활운동의 훈련성과나 사시개선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실행 시 단계별로 양안에 보이는 타겟의 조건을 달리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은 영상 지원 장치(100), 영상 지원 서버(200) 및 메인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지원 장치(100)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 지원 서버(200)는 여러 영상 지원 장치(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치료 대상 환자가 다른 영상 지원 장치(100)에서도 연속으로 훈련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지원 장치(100)는 설정부(110), 제어부(120), 출력부(130) 및 감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110)는 사용자, 즉 사시 치료 대상 환자의 특성이나 상태에 맞는 프로그램 조건을 설정받을 수 있다. 프로그램 조건은 난이도, 동작 설정, 타겟 생성 위치, 진행 방법, 타겟 설정, 타겟 크기, 타겟 생성 방법 및 이펙트 효과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치료 대상 환자의 특성이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설정부(110)는, 사시 치료 대상 환자의 안구 특성에 맞게 사시 개선이 필요한 안구쪽에 더 많은 타겟이 생성되어 좌안과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타겟 영상의 색조, 채도 및 밝기 및 영상의 좌우 또는 상하 간격을 환자의 안구 특성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시 질환 유형에는 일치사시, 비일치사시 및 특수사시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치사시는 외사시, 내사시, 상사시, 하사시, 융합력에 따른 분류(Good/Fair/Poor)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일치사시는 3번 뇌신경 마비, 4번 뇌신경 마비, 6번 뇌신경 마비, 상사근 기능 항진, 하사근 기능 항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수사시는 가성내사시, 해리수직편위, 듀안안구후퇴 증후군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20)는 설정 받은 프로그램 조건에 대응하는 타겟을 생성하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설정받은 프로그램 조건에 맞는 콘텐츠를 선택하고 콘텐츠에 맞는 타겟을 생성하여 치료 대상 환자가 타겟에 따라 움직이면서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치료 대상 환자가 타겟 위치에서 점프를 하거나 숙이는 등의 모션을 수행하면서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등으로 타겟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출력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메인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프로그램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3차원의 프로그램 실행 화면을 출력하여 치료 대상 환자에게 전 방향에 대한 입체적인 치료 프로그램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는 출력부(130)에서 출력된 프로그램을 수행 중인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 및 시선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 자이로 센서 및 비접촉식 동작 센서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지원 장치(100)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 센서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에 설치되어 치료 대상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센서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또는 단말기와 연결된 키넥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 프로그램 조건, 로그인/아웃 정보, 타겟의 접근 및 성취도, 재활시간, 재활 단계 등 안구의 개선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시공간의 제약없이 자유롭게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메인 단말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메인 단말기(300)는 프레임(310), 전원 공급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320), 렌즈부(330), 위치 조절부(미도시) 및 초점 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빛이 차단되는 프레임(310) 구조를 갖는 헬멧 또는 고글 형태의 프레임(310)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장시간 장착을 하여도 무게에 대한 피로도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또한, 메인 단말기(300)의 구동을 위해 상기 프레임(3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부가 마련되며, 전원 공급부는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20)는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것으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 거치가 가능한 영상 지원 장치(100)를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330)는 디스플레이부(3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확대시켜 사용자의 눈들에 실제로 눈앞에 피사체가 배치되는 듯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렌즈부(330)는 사용자의 양안에 대응되는 2개의 원통형일 수 있으며, 렌즈가 구비되어 디스플레이부(320)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의 눈에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위치에 따라 좌안 및 우안 렌즈부(330)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조절부는, 프레임(310)의 외면에 구비되며, 좌안 렌즈부(330) 및 우안 렌즈부(330) 각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눈의 위치에 맞추어 렌즈부(330)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초점을 보다 쉽게 맞출 수 있고, 원근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초점 조절부는 가상현실 영상과 사용자의 양안의 거리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초점 조절부는 디스플레이부(320)로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렌즈 위치 등을 조절함으로써, 가상현실 영상과 사용자의 양안의 거리를 조절해 사용자가 가상현실 영상에 초점을 맞추기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실행 시 단계별로 양안에 보이는 타겟의 조건을 달리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방법은 설정 단계(S100), 실행 단계(S200), 출력 단계(S300) 및 감지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에 맞는 프로그램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거치고, 설정 단계(S100)에서 설정받은 프로그램 조건에 대응하는 타겟을 생성하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제어부(120)를 통해 실행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메인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출력시키고, 출력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 중인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 및 시선을 감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조건 설정 시 사용자의 상태에 맞추어 좌안 및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의 색상, 질감 또는 타겟 수 등의 조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시의 정도 및 양안 또는 미간 거리에 따른 각 양안 영상의 좌우 또는 상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즉, 각 양안 화면의 중심점 위치를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좌우 또는 상하 간격을 교정(Calibrartion)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좌안이 교정안이고 우안이 정상안일 경우, 교정안에 해당하는 좌안에 비치는 영상에만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타겟들을 등장시켜 우안보다 좌안의 근육을 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하여 사시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의 상태에 따라 좌안과 우안에 비치는 영상들의 좌우 간격 또는 상하 간격을 교정하여 사용자 맞춤형으로 사시 재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단계별로 타겟의 수 또는 출현 비율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먼저, (a)와 같이 1단계 재활 단계를 선택할 경우, 정상안과 교정안의 대상 물체 비율을 2:8 비율로 구성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b)와 같이 2단계 재활 단계를 선택할 경우, 정상안과 교정안의 대상 물체 비율을 3.3:6.6 비율로 구성하여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3단계 재활 단계인 (c)에서는 정상안과 교정안의 대상 물체 비율을 5:5 비율로 구성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단계가 높아질수록 교정안의 근육을 보다 많이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시 재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d)는 안드로이드 모바일 기기에서 작동되도록 오픈 소스를 이용하여 작성한 프로토타입 프로그램이 작동되는 실시 화면을 캡쳐한 것으로, 정상안인 좌측 눈에는 교정안인 우측 눈에 보이는 파란물체들 가운데 일부가 보이지 않도록 프로그램 처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 프로그램 조건, 로그인/아웃 정보, 타겟의 접근 및 성취독, 재활시간, 재활 단계 등 안구의 개선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시공간의 제약없이 자유롭게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영상 지원 장치 110 : 설정부
120 : 감지부 130 : 제어부
140 : 출력부
200 : 영상 지원 서버
300 : 메인 단말기 310 : 프레임
320 : 디스플레이부 330 : 렌즈부

Claims (9)

  1.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메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에 맞는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조건을 설정받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에서 설정받은 프로그램 조건에 대응하는 타겟을 생성하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상기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된 프로그램을 수행 중인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 및 시선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개선이 필요한 안구쪽에 더 많은 타겟이 생성되어, 좌안과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좌안과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의 좌우 또는 상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 프로그램 조건, 로그인/아웃 정보, 타겟의 접근 및 성취도, 재활시간, 재활 단계 등 안구의 개선 정보 등을 저장하고,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저장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빛이 차단되는 프레임 구조를 갖는 헬멧 또는 고글 형태의 프레임;
    메인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사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상들을 확대하여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표시하는 렌즈부;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의 위치에 따라 좌안 및 우안 렌즈부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 및
    가상현실 영상과 사용자의 양안의 거리 및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초점을 맞추는 초점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6. 사용자의 특성이나 상태에 맞는 프로그램 조건을 설정받는 설정 단계;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받은 프로그램 조건에 대응하는 타겟을 생성하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실행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상기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계; 및
    상기 출력 단계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 중인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 및 시선을 감지하는 감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사용자의 상태에 맞추어 좌안 및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의 색상, 질감 또는 타겟 수 등의 조건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단계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나타나는 영상의 좌우 또는 상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로그인/아웃 정보, 타겟의 접근 및 성취도, 재활시간, 재활 단계 등 안구의 개선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방법.
KR1020220114698A 2022-09-13 2022-09-13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6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698A KR20240036743A (ko) 2022-09-13 2022-09-13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698A KR20240036743A (ko) 2022-09-13 2022-09-13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743A true KR20240036743A (ko) 2024-03-21

Family

ID=9047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698A KR20240036743A (ko) 2022-09-13 2022-09-13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67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6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or a synthetic 3-dimensional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of human ocular performance
KR101988110B1 (ko)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5816A (ko) 가상 및 증강 현실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80111988A (ko) 깊이 평면들 간의 감소된 스위칭을 갖는 다중-깊이 평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21052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binocular vision
KR101965393B1 (ko) 시지각 트레이닝을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기반의 시지각 트레이닝 제공방법 및 프로그램
US20200219468A1 (en) Head mounted displaying system and image gen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020133A (ko) 양안 장애의 진단 평가 및 선별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117719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urological function analysis and treatment using virtual reality systems
Šlosar et al. Combining physical and virtual worlds for motor-cognitive training interventions: Position paper with guidelines on technology classification in movement-related research
Lange et al. Vibrotactile assistance for user guidance towards selection targets in VR and the cognitive resources involved
KR102315681B1 (ko) 가상현실 기반 원근 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
WO2021163354A1 (en) Virtual object movement speed curve for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s
US20230296895A1 (e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to enhance brain function via presentation of visual effects in far and/or ultra-far peripheral field
KR20240036743A (ko) 가상현실 기반 안구운동을 통한 사시 개선 시스템 및 방법
Vichitvejpaisal et al. Virtual reality photo hunt game application for amblyopia patient
Lu et al. Research on the interaction method that can alleviate cybersickness in virtual reality games
Bhowmik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Human sensory‐perceptual requirements and trends for immersive spatial computing experiences
US12001605B2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visual condition compensation
KR102315680B1 (ko) 가상현실 기반 조리개 운동 유도를 통한 시력 회복 장치
US202402930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ereoscopic vision testing
JP6713526B1 (ja) Vdt症候群及び繊維筋痛症の改善
Pastel Visual perception in virtual reality and the application in sports
Yendigeri Development of Customizable Head Mounted Device for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KR20170054064A (ko) 매체에 저장된 vr장치 흐림효과 제공 프로그램 및 vr장치 흐림효과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