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384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384A
KR20240036384A KR1020220115161A KR20220115161A KR20240036384A KR 20240036384 A KR20240036384 A KR 20240036384A KR 1020220115161 A KR1020220115161 A KR 1020220115161A KR 20220115161 A KR20220115161 A KR 20220115161A KR 20240036384 A KR20240036384 A KR 20240036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exchange
row
air conditio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각중
조은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384A/ko
Publication of KR20240036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in paralle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3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1Discharge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5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 F25B2700/21152Temperatures of a compressor or the drive means therefor at the discharge side of the compr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흡입패널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외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며,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열로 구성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다수의 열교환부는,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의 열을 구성하며, 상기 흡입패널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열교환부; 상기 제1열 열교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추가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 열교환부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응축기로 기능하고, 상기 추가 열교환부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기초하여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예를 들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조절하고,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한다.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공기조화기에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이에 따라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크게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분류될 수 있다. 실내기에는 내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배치되며, 실외기에는 외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가 배치된다.
겨울철에는 다습한 조건에서 난방운전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 열교환기에 서리가 맺히게 된다.
이때, 서리를 제거하기 위해서 제상운전을 하게 되는데 제상운전을 하는 동안 실내기의 온도가 내려가며 제상중에는 난방이 중지되어 제상을 위한 전력소모가 발생한다.
제상이 충분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상수가 열교환기 하부에 괴이며 얼어붙어서 실외기의 성능과 내구성을 크게 손상시킬 수 있다.
선행기술 문헌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공개일) : 20-2013-0006403 (2013.11.05)
(2) 발명의 명칭: 열교환기 착상방지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실외 열교환기에 서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핫가스가 공급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마련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상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실외 열교환기의 구조를 변경하므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는, 흡입패널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외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며,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열로 구성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다수의 열교환부는,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의 열을 구성하며, 상기 흡입패널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열교환부; 상기 제1열 열교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추가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 열교환부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응축기로 기능하고, 상기 추가 열교환부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기초하여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상기 추가 열교환부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열 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 열교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열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3열 열교환부는 상기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기초하여 함께 증발기 및 응축기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상기 제2,3열 열교환부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난방운전시, 상기 제2,3열 열교환부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의 출구측에 제공되는 유동전환밸브;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유동전환밸브로 냉매를 유동시키는 토출배관; 및 상기 토출배관에 제공되는 제1분지부; 상기 제1분지부와 상기 제1열 열교환부를 연결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핫가스 배출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밸브와 상기 제2열 열교환부를 연결하며, 제2분지부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연결배관; 상기 제2분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열 열교환부로 연장하는 제3열 열교환부 연결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에 연결되고, 제3분지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배관; 및 상기 제3분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열 열교환부로 연장하여 상기 제1열 열교환부에서 응축된 냉매를 제2열 열교환부 또는 제3열 열교환부로 가이드하는 제1열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 배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열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량을 조절하거나 냉매의 감압을 수행하도록,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제2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관은 제4분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분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열 열교환부 또는 상기 제3열 열교환부로 연장하는 추가 열교환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열교환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추가 열교환배관을 유동하는 냉매량을 조절하거나 냉매의 감압을 수행하도록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제1밸브를 포함하고,상기 제1밸브는 상기 제3분지부와 상기 제4분지부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의 일측에 제공되는 압력센서;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제2연결배관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ON되면, 상기 제2밸브장치를 닫고, 난방운전 수행시, 설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T1)가 착상감지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2밸브장치의 개도를 확장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T1)가 착상감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2밸브장치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개도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ON되면, 상기 제2밸브장치를 닫고,냉방운전시, 상기 제2밸브장치가 열리고, 상기 압력센서에 따른 응축온도와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T2)를 비교하여 과냉도를 측정하고, 상기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미만이면, 상기 제2밸브장치의 개도를 축소시키고, 상기 과냉도가 상기 목표 과냉도 이상이면, 상기 제2밸브장치의 개도를 확장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에서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패널에 인접하게 제1열 열교환부가 구비되어,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1차적으로 가열시키므로, 제2열 열교환부 및 제3열 열교환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증발이 이루어 지므로 서리 착상이 방지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에 발생하는 서리 착상을 방지하여 제상에 의한 난방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2에서의 실외 열교환기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냉매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 냉매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와 기존의 실외열교환기의 거리에 따른 공기 온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처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서 실외 열교환기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에는, 상기 실외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실외기(10)에 배치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베이스(180)와, 상기 베이스(18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10)를 설치장소에 지지시키는 레그(190) 및 상기 베이스(180)의 상측에 제공되는 캐비닛(110,120,130,15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레그(190)는 상기 베이스(180)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장소, 예를 들어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베이스(180)는 2개의 장변부와 2개의 단변부를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레그(190)는 상기 베이스(180)의 2개의 장변부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그(190)에는, 홀(1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92)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배관이 상기 실외기(10)의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외기(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실내기(30)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120,130,150)에는, 흡입패널(11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패널(110)은 복수 개가 제공되어, 상기 베이스(18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즉, 상기 복수의 흡입패널(110)은 상기 베이스(18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흡입패널(110)은 상기 베이스(180)의 전후방 및 좌우측방에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흡입패널(110)에는,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 그릴(112)이 포함될 수 있다. 외기는 상기 실외기(10)의 전후방 또는 좌우측방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흡입패널(110)을 통하여, 상기 실외기(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120,130,150)에는, 컨트롤 패널(12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0)은 실외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에 접근하기 위하여 개방 가능한 도어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 패널(120)은 회동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120,130,150)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서비스 패널(130)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밸브 어셈블리의 조작, 냉매관의 교체 또는 용접 등의 작업을 위하여, 상기 서비스 패널(130)은 상기 실외기(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0) 및 서비스 패널(130)은 상기 복수의 흡입패널(110) 중 상기 실외기(10)의 전방에 제공되는 흡입패널(110)의 측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흡입패널(110)에는, 4개의 흡입패널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외기(1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120) 및 상기 컨트롤 패널(120)의 측방에 설치되는 제 1 흡입패널(110a)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0)의 좌측면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12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흡입패널(110b)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의 우측면에는, 상기 제 1 흡입패널(110a)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 흡입패널(110c)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0)의 후면에는, 상기 실외기(10)의 좌우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4 흡입패널(110d)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0)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의 디스플레이가 보여질 수 있는 투시창(122) 및 상기 투시창(12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커버부재(125)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110,120,130,150)에는, 상기 복수의 흡입패널(110) 및 컨트롤 패널(120)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15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50)은 복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18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수의 브라켓(150)에는, 제 1 흡입패널(110a)과, 상기 제 1 흡입패널(110a)에 인접한 제 3 흡입패널(110c)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흡입패널(110a)과 제 3 흡입패널(110c)을 지지하는 제 1 브라켓(150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패널(110a)과 제 3 흡입패널(110c)은 상기 제 1 브라켓(150a)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브라켓(150)에는, 상기 제 2 흡입패널(110b)과, 상기 제 2 흡입패널(110b)에 인접한 컨트롤 패널(120)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2 흡입패널(110b)과 컨트롤 패널(120)을 지지하는 제 2 브라켓(150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패널(110b)과 컨트롤 패널(120)은 상기 제 2 브라켓(150b)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브라켓(150)에는, 상기 제 2 흡입패널(110b)과, 상기 제 4 흡입패널(110d)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2 흡입패널(110b)과 제 4 흡입패널(110d)을 지지하는 제 3 브라켓(150c)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패널(110b)과 제 4 흡입패널(110d)은 상기 제 3 브라켓(150c)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브라켓(150)에는, 상기 제 3 흡입패널(110c)과, 상기 제 4 흡입패널(110d)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3 흡입패널(110c)과 제 4 흡입패널(110d)을 지지하는 제 4 브라켓(150d)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3 흡입패널(110c)과 제 4 흡입패널(110d)은 상기 제 4 브라켓(150d)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에는, 외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실외 송풍팬(140) 및 상기 실외 송풍팬(14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팬 하우징(141)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0)에는, 상기 실외 송풍팬(140)의 일측에 제공되는 토출 패널(14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패널(142)에는, 공기가 실외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 그릴(145)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송풍팬(140)은 상기 실외기(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 패널(142)은 상기 실외 송풍팬(14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실외 송풍팬(140) 및 토출 패널(142)을 거쳐 상기 실외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80)의 상측에는, 복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품에는, 후술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0, 210, 도 3)와, 상기 압축기(200, 210)의 입구측에 제공되어 액 냉매를 분리하여 기상 냉매를 상기 압축기(200, 210)에 공급하는 기액분리기(22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200, 210)의 토출측에 제공되어 냉매 중 포함된 오일이 분리되는 오일 분리기(미도시) 등 다양한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외기(10)의 내부에는 실외 열교환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는 상기 캐비닛(110,120,130,15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는 복수 회 절곡되어, 상기 복수의 흡입패널(1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는 상기 베이스(180)의 장변을 형성하는 테두리부 및 단변을 형성하는 테두리부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는 3회 절곡되어 연장되며, 4개의 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4개의 면은 상기 4개의 흡입패널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는 다수개의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부는 제1열 열교환부(161) 및 추가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열교환부에는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실외 열교환기(160)는 상기 흡입패널(110)과 인접한 위치에서부터 상기 실외기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열 열교환부(161),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제3열 열교환부(163)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는 상기 흡입패널(110)에 인접하므로, 가장 많은 서리가 맺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외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는 항상 응축기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가 응축기로 기능함으로써,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와 열교환하는 외부 공기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를 관통하는 외부 공기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에서 착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 배관(165) 및 상기 열교환 배관(165)에 결합되어 냉매의 열교환을 도와주는 열교환 핀(16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배관(165)은 냉매가 유동되는 배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하며, 상기 열교환 핀(166)은 냉매와 공기가 열교환 되는 열교환 면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흡입패널(110)의 흡입 그릴(112)을 통하여 유입된 외기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기 실외기(1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실외기(1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와 실외 공기가 열교환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외기(10)는 실내기와 연결되어 하나의 냉매 사이클을 형성한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들을 바탕으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냉매사이클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 상기 압축기(200) 및 유동전환밸브(2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는 다수개의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열교환부는 제1열 열교환부(161) 및 추가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열교환부는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는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와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제3열 열교환부(163)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는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와 연결되는 배관이 다를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냉매의 압력 또는 온도를 측정하는 압력센서(241), 제1온도센서(242) 및 제2온도센서(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241), 상기 1,2온도센서(242,243)에서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연결하는 냉매 배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실외기(10)는 상기 실외기(10)의 외부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배관(214) 및 제 2 연결배관(2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배관(214) 및 상기 제 2 연결배관(215)은 상기 실내기(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상기 압축기(200)의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배관(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212)은 상기 유동전환 밸브(225)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상기 유동전환 밸브(225)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212)의 일측에는 상기 압력센서(241)가 제공되어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토출된 냉매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212)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를 핫가스 배출배관(213)으로 분지하는 제1분지부(25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지부(251)에서는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핫가스 배출배관(213)은 상기 압축기(200)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로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핫가스 배출배관(213)으로 유동하는 고온 고압의 냉매로 인해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는 항상 응축기로써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상기 압축기(200)로 냉매를 흡입하도록 가이드하는 흡입배관(211) 및 상기 추가 열교환부와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를 연결하는 열교환부 연결배관(2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밸브(225)는 상기 흡입배관(211)과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유동전환 밸브(225)는 상기 흡입배관(211), 상기 토출배관(213), 상기 제1연결배관(214) 및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배관(211)은 상기 유동전환 밸브(225)를 통해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 또는 제1연결배관(214)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흡입배관(211)은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 또는 상기 제1연결배관(214)으로부터 유입되는 증발 냉매를 상기 압축기(200)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배관(211)은 상기 유동전환 밸브(225)와 상기 압축기(200) 사이에 더 구비되는 기액분리기(미도시)로부터 상기 압축기(200)로 냉매의 흡입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은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와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은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로 연장하도록 분지되는 제2분지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지부(252)에서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로 분지되는 제3열 열교환부 연결배관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은 상기 유동전환밸브(225)가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와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열 열교환부 연결배관은 상기 제2분지부(252)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를 향해 연장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2분지부(252)에 의해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로 냉매가 각각 분지되어 유동할 수 있다.
일례로, 냉방운전시, 상기 유동전환 밸브(225)로부터 유동된 냉매가 상기 제2분지부(252)에 의해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로 냉매가 분지되어 유동할 수 있다.
일례로, 난방운전시, 상기 제2분지부(252)에 의해 상기 추가 열교환부(162, 163)에서 열교환된 냉매가 합지되어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을 따라 상기 유동전환 밸브(225)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의 일측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의 온도(T1)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242)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센서(242)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의 착상 감지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관(215)은 상기 실내기(30)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배관(215)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 및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응축된 액체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액 배관'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배관(215)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연결배관(215)을 유동하는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제1밸브장치(220)가 제공된다. 상기 제1밸브장치(220)는 후술할 제3분지부(253) 및 제4분지부(25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장치(220)는 '메인팽창밸브'로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밸브장치(220)는 전자팽창밸브(EE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관(215)의 일측에 상기 제2연결배관(215)의 온도를 측정하는 상기 제2온도센서(243)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온도센서(243)는 냉매의 응축 온도(T2)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관(215)은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를 향해 연장하도록 분지되는 제3분지부(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관(215)의 일측에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와 상기 제3분지부(253)를 연결하는 제1열 배관(217)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열 배관(217)에는 상기 제1열 배관(217)의 냉매 유동을 조절 또는 냉매를 감압하는 제2밸브장치(221)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밸브장치(221)는 전자팽창장치(EEV)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장치(221)는 상기 제1,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관(215)은 상기 추가 열교환부로 분지되는 제4분지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배관(215)의 일측에는 상기 제4분지부(254)와 상기 추가 열교환부를 연결하는 추가 열교환배관(218,219)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열교환배관은 상기 제4분지부(254)와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를 연결하는 제2열 배관(2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열교환배관은 상기 제4분지부(254)와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를 연결하는 제3열 배관(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난방운전시 냉매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실내기(30)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미도시)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상기 실외기(10)에 설치된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 중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제3열 열교환부(163)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따라서, 냉매는 압축기-실내 열교환기-실외 열교환기를 차례대로 순환할 수 있다.
난방운전시의 냉매 흐름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2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토출배관(212)를 따라 유동전환밸브(225)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212)으로부터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를 향해 유동하는 냉매 중 일부는 상기 제1분지부(251)에서 분지되어 상기 핫가스 배출배관(2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로 유동한 냉매는 유동전환밸브(225)에서 상기 제1연결배관(214)를 따라 상기 실내기(30)의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응축되어 상기 제2연결배관(215)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핫가스 배출배관(213)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와 열교환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응축 냉매는 상기 제1열 배관(217)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일례로, 응축 냉매는 액체 상태일 수 있다.
난방운전시,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는 완전히 열린상태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열배관(217)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된 냉매와 상기 실내기(30)에서 응축된 냉매가 상기 제3분지부(253)에서 합지되어 유동할 수 있다.
합지되어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1밸브장치(220)에서 감압될 수 있다.
감압된 냉매는 상기 제4분지부(254)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으로 각각 유동될 수 있다.
난방운전시, 상기 제2,3열 열교환부(162,163)은 증발기로 기능하고, 냉매는 외부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와 열교환한 공기일 수 있다.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3열 열교환부 연결배관 및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을 따라 유동하고, 상기 제2분지부(252)에서 합쳐질 수 있다. 합쳐진 증발 냉매는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를 따라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로 유입될 수 있다.
증발된 냉매는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로부터 상기 흡입배관(211)을 따라 상기 압축기(20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냉방운전시 냉매 사이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공기 조화기의 냉방운전시, 실내기(30)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써 기능하고, 상기 실외기(10)에 설치된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는 응축기로 기능한다. 따라서, 냉매는 압축기-실외 열교환기-실내 열교환기를 차례대로 순환할 수 있다.
냉방운전시의 냉매 흐름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2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상기 토출배관(212)를 따라 유동전환 밸브(225)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212)으로부터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를 향해 유동하는 냉매 중 일부는 상기 제1분지부(251)에서 분지되어 상기 핫가스 배출배관(21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로 유동한 냉매는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216)으로 배출되어 상기 제2분지부(252)에서 분지될 수 있다. 분지된 냉매는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으로 각각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는 냉방운전시,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에서 응축되어 상기 제2열 배관(218) 및 상기 제3열 배관(219)로 각각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열 배관(218) 및 상기 제3열 배관(219)을 유동하는 응축 냉매는 상기 제4분지부(254)에서 합지되어 유동할 수 있다. 합쳐진 응축 냉매는 상기 제1밸브장치(220)에서 감압될 수 있다. 감압된 냉매는 상기 제2밸브장치(221)에서 감압된 냉매와 상기 제3분지부(253)에서 합쳐질 수 있다.
상기 핫가스 배출배관(213)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는 냉방운전시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와 열교환하여 응축될 수 있다.
응축 냉매는 상기 제1열 배관(217)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일례로, 응축 냉매는 액체 상태일 수 있다.
응축 냉매는 상기 제2밸브장치(221)에서 감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는 일부만 열린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밸브장치(220)에서 감압된 냉매와 상기 제2밸브장치(221)에서 감압된 냉매는 상기 제3분지부(253)에서 합지되어 상기 제2연결배관(215)를 따라 상기 실내기(30)의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서 증발되어 상기 제1연결배관(214)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증발 냉매는 상기 제1연결배관(214)를 따라 상기 유동전환밸브(225)로 유입되고, 상기 흡입배관(211)을 따라 상기 압축기(200)로 유입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위의 사이클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10)가 ON 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2밸브장치(221)를 닫고, 상기 압축기를 구동할 수 있다(S11,S12).
이후, 공기 조화기(10)의 난방 또는 냉방 운전모드 판단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S13).
일례로, 상기 난방 또는 냉방 운전모드 판단 단계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냉방 또는 난방 운전모드가 입력되거나, 이미 난방 또는 냉방 운전모드가 진행중인 상태일 때, 어떤 운전모드로 운전되는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10)를 난방 운전으로 수행하고, 설정시간을 경과시킬 수 있다.(S14, S15).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온도센서(242)에서 측정된 온도(T1)가 착상 감지온도 미만인지 여부를 감지한다(S16).
일례로, 상기 설정시간은 1분에서 10분 내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온도센서(242)에서 측정된 온도(T1)는 상기 착상감지온도와 실시간으로 비교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착상감지온도는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제3열 열교환부(163)의 표면에 서리 착상이 발생하는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센서(242)에서 측정된 온도(T1)가 착상감지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를 확장한다(S20). 일례로, 상기 제2밸브장치(221)는 완전이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가 확장되면 고온고압의 냉매가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에서 고온고압의 냉매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외부공기의 온도는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기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를 관통하여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를 지날 수 있다. 상기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의 표면에 서리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16 단계에서, 상기 제1온도센서(242)에서 측정된 온도(T1)가 착상 감지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를 축소시키거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열 배관(217)으로부터 상기 제 2 연결배관(215)으로 유동하는 냉매를 차단할 수 있다.
S13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냉방 운전모드로 판단될 경우,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를 열 수 있다.(S17, S18)
상기 제2밸브장치(221)가 열리면, 상기 핫가스 배출배관(213)을 따라 고온 고압의 냉매가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로 유입될 수 있다.
냉방운전시,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는 응축기로 기능하여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는 상기 제2밸브장치(221)에서 감압되고, 상기 제2,3열 열교환부(162,163)은 상기 제1밸브장치(220)에서 각각 감압되어 합쳐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현재 과냉도를 목표 과냉도와 비교하는 단계(S19)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연결배관(215)에 구비되는 상기 제2온도센서(243)에서 감압 냉매의 온도(T2)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212)에 구비되는 상기 제1압력센서(241)에서 압력에 따른 응축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응축온도와 상기 제2온도센서(243)에서 측정된 온도(T2)를 비교하여 과냉도를 구할 수 있다.
상기 과냉도가 상기 목표 과냉도 미만인 경우(S19), 상기 열교환부(160)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양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를 감소시키거나 닫힌상태를 유지시켜(S22),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로부터 상기 제2연결배관(215)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양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가 감소되면 유속이 느려지고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에 쌓이는 냉매의 양이 많아지므로 과냉도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상기 제1밸브장치(220)의 밸브의 개도도 감소시켜 냉매의 압력을 일치시키고, 상기 제2,3열 열교환부(162,163)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과냉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과냉도가 상기 목표 과냉도 이상인 경우(S19), 상기 실외 열교환기(160)로부터 상기 제2연결배관(215)로 유동하는 냉매의 양이 적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를 확장하여,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로부터 상기 제2연결배관(215)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밸브장치(220)는 상기 제3분지부(253)에서 합지되는 냉매의 압력을 유사하게 설정하기 위해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 설정이 각각 완료되면(S20, S21, S22),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종료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3).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종료가 입력 되었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10)의 운전을 중지한다.
S23 단계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 종료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상기 난방 또는 냉방 운전 판단 단계(S13)로 되돌아간 후 상기 제2밸브장치(221)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단계가 반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시 실외 열교환기와 기존의 실외열교환기의 거리에 따른 공기 온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a는 난방운전시 기존 실외 열교환기의 거리에 따른 공기 온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난방운전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의 거리에 따른 공기온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기존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는 난방운전시, 상기 제1열 내지 제3열 열교환부가 독립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고, 모든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써 기능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 측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에서 상기 제3열 열교환부으로 유동될 수록 온도가 계속 낮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서리 착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상을 위해 실외 열교환기를 응축기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난방운전을 종료하고 제상운전을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 열교환기는 난방운전시, 상기 흡입패널과 가장 인접한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가 응축기로 기능함으로써, 흡입패널로부터 흡입되는 외부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외부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2열 열교환부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를 차례로 지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외부 공기는 증발기로 기능하는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제3열 열교환부(163)를 지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열 열교환부(161)에 의해 가열된 공기로 인해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상기 제3열 열교환부(163)에서 냉각되기 시작하는 온도는 기존 실외 열교환기 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열교환기(160)에서 더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열 열교환부(162) 및 제3열 열교환부(163)에서 냉각되는 공기가 서리가 발생하는 온도까지 내려가지 않을 수 있다.
160: 실외 열교환기 161: 제1열 열교환부
162: 제2열 열교환부 163: 제3열 열교환부
200: 압축기 212: 토출배관
214: 제1연결배관 215: 제2연결배관
216: 열교환부 연결배관 217: 제1열 배관
218: 제2열 배관 219: 제3열 배관
220: 제1밸브장치 221: 제2밸브장치
251: 제1분지부 252: 제2분지부
253: 제3분지부 254: 제4분지부

Claims (12)

  1. 흡입패널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제공되어 외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며,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열로 구성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다수의 열교환부는,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중 어느 하나의 열을 구성하며, 상기 흡입패널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열교환부;
    상기 제1열 열교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추가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 열교환부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응축기로 기능하고, 상기 추가 열교환부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기초하여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열교환부는 상기 제1열 열교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열 열교환부 및 상기 제2열 열교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열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3열 열교환부는 상기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에 기초하여 함께 증발기 및 응축기 중 어느 하나로 기능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냉방운전시, 상기 제2,3열 열교환부는 응축기로 기능하고,
    난방운전시, 상기 제2,3열 열교환부는 증발기로 기능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의 출구측에 제공되는 유동전환밸브;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유동전환밸브로 냉매를 유동시키는 토출배관; 및
    상기 토출배관에 제공되는 제1분지부;
    상기 제1분지부와 상기 제1열 열교환부를 연결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동하는 핫가스 배출배관;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전환밸브와 상기 제2열 열교환부를 연결하며, 제2분지부를 포함하는 열교환부 연결배관;
    상기 제2분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열 열교환부로 연장하는 제3열 열교환부 연결배관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실내기에 연결되고, 제3분지부를 포함하는 제2연결배관; 및
    상기 제3분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열 열교환부로 연장하여 상기 제1열 열교환부에서 응축된 냉매를 제2열 열교환부 또는 제3열 열교환부로 가이드하는 제1열 배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 배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열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량을 조절하거나 냉매의 감압을 수행하도록,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제2밸브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배관은 제4분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분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열 열교환부 또는 상기 제3열 열교환부로 연장하는 추가 열교환배관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열교환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추가 열교환배관을 유동하는 냉매량을 조절하거나 냉매의 감압을 수행하도록 개도 조절이 가능한 제1밸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밸브장치는 상기 제3분지부와 상기 제4분지부 사이에 제공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배관의 일측에 제공되는 압력센서;
    상기 열교환부 연결배관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1온도센서;
    상기 제2연결배관의 일측에 제공되는 제2온도센서; 및
    상기 제1,2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밸브장치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ON되면, 상기 제2밸브장치를 닫고,
    난방운전 수행시, 설정시간 경과 후,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T1)가 착상감지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2밸브장치의 개도를 확장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T1)가 착상감지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2밸브장치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개도를 축소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ON되면, 상기 제2밸브장치를 닫고,
    냉방운전시, 상기 제2밸브장치가 열리고,
    상기 압력센서에 따른 응축온도와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T2)를 비교하여 과냉도를 측정하고,
    상기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미만이면, 상기 제2밸브장치의 개도를 축소시키고,
    상기 과냉도가 상기 목표 과냉도 이상이면, 상기 제2밸브장치의 개도를 확장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220115161A 2022-09-13 2022-09-13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40036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61A KR20240036384A (ko) 2022-09-13 2022-09-13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161A KR20240036384A (ko) 2022-09-13 2022-09-13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384A true KR20240036384A (ko) 2024-03-20

Family

ID=90483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161A KR20240036384A (ko) 2022-09-13 2022-09-13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63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9976B2 (en) Air conditioner
US9581365B2 (en) Refrigerating apparatus
US20040163407A1 (en) Front suction/discharge type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US10533787B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70090290A (ko) 공기조화기
EP2995874B1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WO2006003860A1 (ja) マルチ形空気調和装置
EP3225938B1 (en) Air conditioner
KR20060066840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어 구조 및 이를 이용한실내기 제어 방법
EP3686515B1 (en) Air conditioner
KR20240036384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899220B1 (ko) 공기 조화기
JP4409316B2 (ja) 冷却装置
KR10123257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KR20040041272A (ko) 공기조화기용 실내열교환기
KR101680095B1 (ko) 일체형 히트펌프 공조기
KR20110001992A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에제거방법
KR1014505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190059026A (ko) 공기조화기
JP6758386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416499Y1 (ko) 제빙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CN212618712U (zh) 空调室内机
KR100589906B1 (ko) 공기조화기
CN219624276U (zh) 换热组件和制冷设备
US20240085071A1 (en) Air conditio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