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309A -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309A
KR20240035309A KR1020230053721A KR20230053721A KR20240035309A KR 20240035309 A KR20240035309 A KR 20240035309A KR 1020230053721 A KR1020230053721 A KR 1020230053721A KR 20230053721 A KR20230053721 A KR 20230053721A KR 20240035309 A KR20240035309 A KR 20240035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nformation
avatar
nf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김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윤 filed Critical 김도윤
Publication of KR2024003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309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경연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해 아바타로 구현되는 대상의 아바타 음성 정보 및 경연 콘텐츠에서 아바타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예정된 음원과 관련된 원곡 음원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원곡 음원 정보를 기반으로 아바타와 아바타를 통해 제공되는 음원이 서로 어울리는 정도를 값으로 변환하여 산출되는 부합도와 경연 콘텐츠가 제공되는 동안의 제공되는 각 음원에 대한 호응의 정도인 호응도를 산출하는 기준 산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산출된 부합도 및/또는 산출된 호응도의 값 간의 평균 값을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한 가치를 의미하는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경연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음원들 중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한 NFT 발행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n NFT-based servic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re disclosed. The service provi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erforming a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to obtain avatar voice information of a target implemented as an avatar to participate in contest content and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by the avatar in contest content; Based o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music source information, the degree of compatibility between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is converted into a value, and the response rate is the degree of response to each sound source provided while the contest content is provided. The average value between the steps for performing the calculation procedure and the calculated value of compliance and/or calculated response is preset as a standard for judging that it has marketability, which means the value for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It includes the step of performing an NFT issuance procedure for at least one sound source that is determined to be marketable amo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in the contest content by comparing the value.

Description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devic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Non-Fungible Token)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NFT (Non-Fungible Token)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a non-fungible token (NFT)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This relates to a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device that provides services using blockchain-based NFT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nt.

최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응용하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및 혼합 현실(miexed reality)과 관련된 기술이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다. 여기서, 가상 현실과 관련된 기술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실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 공간을 구축한 후 구축된 가상 공간을 현실처럼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Recently, technologies related to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that apply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are rapidly developing. Here, technology related to virtual reality may refer to technology that uses a computer to build a virtual space that does not exist in real space and then supports the user to feel the constructed virtual space as if it were reality.

한편, 증강 현실 또는 혼합 현실과 관련된 기술은 현실 공간 상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추가하여 표현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강 현실 또는 혼합 현실과 관련된 기술은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을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 및 사용자 간 또는 사용자 및 객체 간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echnology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or mixed reality may refer to technology that adds and expresses information generated by a computer in real space. In other words, technology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or mixed reality may mean technology that supports interactions between users or between users and objects in real time by combining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이와 같은 증강 현실 및 혼합 현실과 관련된 기술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예를 들어, 방송, 의료 및 게임 등)들에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TV에서 일기 예보를 하는 기상 캐스터의 앞에 날씨 지도가 자연스럽게 변경되는 경우, 스포츠 중계에서 경기장에 존재하지 않는 광고 이미지를 경기장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화면에 삽입하여 송출하는 경우 등이 방송과 관련된 기술에 증강 현실과 관련된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증강 현실 및 혼합 현실과 관련된 기술은 스마트 폰(smart phone)의 등장과 함께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되어 제공되고 있다.Technologies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are being applied and utilized in technologies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broadcasting, medicine, and games). For example, when the weather map naturally changes in front of a weathercaster who is giving a weather forecast on TV, or when an advertising image that does not exist in the stadium is inserted and transmitted on the screen as if it actually existed in the stadium during a sports broadcast, etc. This may mean a case where technology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is applied to related technology. In particular, technologies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are being utilized and provided for various services with the advent of smart phones.

한편, 증강 현실 및 혼합 현실과 관련된 기술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와 관련된 기술이 있다.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은 추상을 의미할 수 있는 '메타(meta)' 및 현실 공간을 의미할 수 있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가상 현실 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이라는 용어보다 진보된 개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 세계가 현설 세계에 흡수된 증강 현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echnologies related to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are representative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to users, and there is technology related to the metaverse. Technology related to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which can mean abstraction, and 'universe', which can mean real space, and can refer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Technology related to the metaverse can refer to an advanced concept than the term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hat is currently used, and can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in which virtual worlds such as the web and the Internet are absorbed into the real world. there is.

구체적으로,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에는 다양한 객체(예를 들어, 책장, 탁자 및 액자 등)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의사에 기초하여 가상의 공간에 특정한 위치를 갖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의 공간에는 다양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으며, 가상의 공감에 생성되어 존재할 수 있는 객체는 사용자 간에 공유될 수 있다.Specifically, various objects (e.g., bookshelves, tables, picture frames, etc.) may exist in the virtual space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echnologies related to the metaverse, which may be located in a specific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user's intention. It can be created to have . In this way, various users can access the virtual space provided through technologies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objects that can be created and exist in virtual empathy can be shared among users.

다만,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의 공간에 생성되어 존재할 수 있는 객체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학기 위한 기술은 제안되고 있지 않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객체가 '음원' 등과 같이 저작권이 존재하거나 소유권이 존재할 수 있는 경우, 해당 객체와 관련된 판매 및 활용 등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no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to provide services related to objects that can be created and exist in a virtual space provided through technologies related to the metaverse. More specifically, if the object has a copyright, such as a 'sound source', or In cases where ownership may exi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way to provide services related to sales and utilization related to the object.

한편, 저작권 등과 같은 소유권에 대한 인증과 함께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명확하게 보장해줄 수 있는 기술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이 집중되고 있다. NFT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자산에 대한 고유한 디지털 증명서를 부여하는 신종 디지털 자산화와 관련된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blockchain-based NFT (Non-fungible token) is being focused on as a technology that can clearly guarantee ownership of assets along with authentication of ownership such as copyright. NFT can refer to a new type of digital assetization-related technology that grants a unique digital certificate for an asset using blockchain-based encryption technology.

이와 같이 자산에 대하여 저작권 등과 같은 소유권을 명확히 보장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거래를 지원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는 음원 산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까지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의 플랫폼이나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메타버스 공간에 적용하여 지원하는 서비스 등이 많지 않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In this way, blockchain-based NFT, which can clearly guarantee ownership of assets such as copyrights and support direct transactions to various users, appears to be applicable to the music industry. However, to d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not many or almost no services such as a music platform using blockchain-based NFT or a service that supports music source-related services by applying them to the metaverse space.

또한,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의 공간은 오프라인이나 현실에서 제한될 수 있는 오디션(audition) 콘텐츠나 경연(contest)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의 공간에서 오디션 콘텐츠나 경연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관련된 기술이나 오디션 콘텐츠나 경연 콘텐츠에서 발생되는 음원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 등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Additionally, the virtual space provided through technologies related to the metaverse can provide audition content or contest content that may be limited offline or in reality. However, there is no separate problem with technology related to methods of providing audition content or contest content in a virtual space provided through technology related to the metaverse, or technology to protect sound sources generated from audition content or contest content. there is.

특히, 메타버스와 관련된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가상의 공간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여 음원을 보호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해당하는 공간에서 제공되는 모든 음원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는 것은 지나치게 무분별한 소모가 될 수 있어, 이를 선별적으로 중요도나 NFT의 발행에 대한 가치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발행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In particular, even though it is possible to protect sound sources using blockchain-based NFTs in a virtual space provided through technology related to Metaverse, it is difficult to issue blockchain-based NFTs for all sound sources provided in that space. This may result in excessively indiscriminate consumption, so a method may be needed to selectively issue NFTs only when there is importance or value for issuing NFT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On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ervice provision method that provides a service using blockchain-based NFT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rovides services using blockchain-based NFT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contest 또는 audition) 콘텐츠를 위한 아바타와 연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음원에 대한 NFT를 발행하기 위해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경연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해 아바타로 구현되는 대상의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상기 경연 콘텐츠에서 상기 아바타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예정된 음원과 관련된 원곡 음원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원곡 음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아바타와 상기 아바타를 통해 제공되는 음원이 서로 어울리는 정도를 값으로 변환하여 산출되는 부합도와 상기 경연 콘텐츠가 제공되는 동안의 상기 제공되는 각 음원에 대한 호응의 정도인 호응도를 산출하는 기준 산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부합도 및/또는 상기 산출된 호응도의 값 간의 평균 값을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한 가치를 의미하는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경연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음원들 중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한 NFT 발행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를 관리하는 플랫폼에 등록하여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NFT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합도는 상기 경연 콘텐츠에서 아바타를 통해 제공되는 음원과 아바타가 어울리는 정도를 값으로 변환하여 산출되는 값을 의미하고, 상기 호응도는 상기 경연 콘텐츠에서 아바타가 음원을 제공하는 동안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존재하는 음원의 제공 대상으로부터 확인되는 호응의 정도를 값으로 변환하여 산출되는 값을 의미한다.A service that uses a blockchain-based NFT (Non-Fungible Token)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for contest or audition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A service provision method performed to issue an NFT for a sound source that is determined to be commercially available in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rovides, wherei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of the target implemented as an avatar to participate in the contest content and the Performing a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to obtain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a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by an avatar, determining the degree to which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match each other based o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Performing a standard calculation procedure for calculating a degree of compliance calculated by converting it into a value and a degree of response, which is the degree of response to each sound source provided while the contest content is provided, the calculated degree of compliance and/or The average value between the response values is compared with a preset value as a standard for determining marketability, which means the value for issuing blockchain-based NFTs, to determine marketability amo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in the contest content. Performing an NFT issuance procedure for at least one sound source determined and registering a blockchain-based NFT for the at least one sound source on a platform that manages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to provide NFT to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platform It includes the step of performing a service provision procedure for providing related services, wherein the degree of compatibility refers to a value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degree to which the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in the contest content matches with the avatar into a value, and the degree of compatibility is It refers to a value calculated by converting the level of response confirmed from the target of the sound source in the metaverse space while the avatar provides the sound source in the contest content into a value.

여기서, 상기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연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한 아바타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음성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단말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상기 메타버스 공간을 통해 상기 경연 콘텐츠에서 제공이 예정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를 포함하는 예정 음원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복수의 원곡 음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기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예정 음원 정보에 상응하는 원곡과 관련된 원곡 음원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곡 음원 정보는, 상기 예정된 음원에 상응하는 원곡 가수가 보유하고 있는 원곡 음성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detects a user terminal, which is a device of a user accessing the metaverse space, and includes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voice output through an avatar for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content with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and obtaining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scheduled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composer, and lyricis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in the contest content through the metaverse space through the detected user terminal through the user's avatar Requesting and obtaining a , and searching for and obtaining original so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song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d sound sourc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f the platform wher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original song sources is stored, wherein the original song information is , may includ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original song voice held by the original singer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ound source.

여기서, 상기 기준 산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상기 원곡 음성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의 값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 및 원곡 가수 간의 음성 유사도를 상기 아바타와 해당 아바타를 통해 제공되는 음원이 서로 부합되는 정도인 부합도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복수의 아바타들을 통해 음원이 제공되는 전체 시간 동안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장치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아바타를 통해 출력된 음성 형태를 가지는 발화된 내용에 대한 정보 및 발화된 음성의 세기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화 정보인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시간에 대한 피드백 정보 중 각 음원이 제공되는 시간 별 피드백 정보를 구분하여 추출되는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호응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응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시간 동안에 대한 전체 피드백 정보에서 상기 각 음원이 제공되는 시간 동안의 피드백 정보를 추출하여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발화 정보에 대하여 긍정적인 호응으로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워드 및 음성의 세기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호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performing the standard calculation procedure is to determine the voice similarity between the avatar and the original song singer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frequency values included i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song voice informatio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degree of compliance, which is the degree to which they match each other, is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which are devices of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o the metaverse space, during the entire time that the sound source is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avatars in the metaverse space. A step of collecting feedback information, which is speech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of speech in the form of a voice output through a corresponding avatar and information about the intensity of the voice spoken, and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entire time. A step of calculating a response rate by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extracted by dividing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time each sound source is provided, and calculating the response rate includes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sponse rate based on the total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entire time. By extrac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during the time when each sound source is provided, and determining a positive response to the speech informa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among preset keywords and voice intensity The response of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can be calculated based on one or more of the above.

여기서, 상기 NFT 발행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제공된 복수의 음원들 중 부합도의 값 및 호응도의 값의 평균 값이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음원으로 결정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원들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복수의 음원들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performing the NFT issuance procedure is such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conformity value and the response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is at least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issuing the blockchain-based NFT. It includes the step of selecting one sound source and determining the selected at least one sound source as a target sound source for issuing the blockchain-based NFT, and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for the determined at least one sound source. And,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rvice provision procedure is to provide an interface used to check information about blockchain-based NFTs for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registered on the platform,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platform can use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We can help you check information about blockchain-based NFTs for music sources.

본 발명에 의하면,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메타버스 공간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공연이나 오디션과 같은 콘텐츠에서 아바타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에 대하여 아바타 및 음원 간의 부합되는 정도나 공연에서 수집되는 호응의 정도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s to provide sound sources output through the avatar in content such as performances or auditions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e metaverse space. There is an effect of issuing blockchain-based NFTs based on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or the degree of response collected from the performance.

또한,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원곡 음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아닌 메타버스 공간에서 새롭게 재 구성된 아바타 및 음원을 서로 연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함으로써 가상 공간에서 구현된 객체에 대하여 고유하고 거래 가능한 형태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s not a blockchain-based NFT for the original song sound source, but a block by linking the newly reconstructed avatar and sound source in the metaverse space. By issuing chain-based NFTs,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service that converts objects implemented in virtual space into a unique and tradable for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기준 산출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NFT 발행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hardware block diagram of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Fig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NFT-based servic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in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standard calculation procedure in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NFT issuance procedure in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복수의 도면들(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lurality of attached drawings (FIGS. 1 to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플랫폼(또는 플랫폼의 서버 등)과 연계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플랫폼은 메타버스 공간을 기반으로 공연, 오디션 및 경합 등과 같은 음원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은 메타버스 공간에 다양한 사용자가 접속하여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공연, 오디션 및 경합에 참가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다.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platform (or the server of the platform, etc.), and more specifically, the platform is the metaverse space. Based on this, it can mean a platform that can provide programs or content related to sound sources such as performances, auditions, and competitions. For example, a platform may refer to a platform that provides content that allows various users to access the metaverse space and participate in performances, auditions, and competitions through their avatar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hardware block diagram of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performing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service providing metho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110 and a memory 120 that stores instructions instructing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at least one step.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110 i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It can mean. Each of the memory 120 and the storage device 160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one of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또한, 본 발명의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및 저장 장치(4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which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ceiver (transceiver) that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network. 130)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which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ncludes an input interface device 1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150, and a storage device ( 460) may further be included.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erver 100 is connected by a bus 170 and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의미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Here, at least one step may refer to a step related to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specifically, this step. It may further include steps related to a method of operating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of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과 관련된 환경이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performed b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The environment related to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the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can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의미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주도적인 동작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may be performed b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server 400,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leading oper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First,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200 can obtain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perform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the acquir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server 400. To this end,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server 4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이 되는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미리 설명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is located in the metaverse space, which is a space for providing services through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n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200. It may refer to a user's device that can be accessed, and for this purpose, i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and the server 400, as previously described.

또한, 서버(400)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고, 플랫폼을 관리하거나 운영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400)는 미리 설명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400 can provide a platform for services provided through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n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200, and the platform It may refer to a device that manages or operates. To this end, the server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and the user terminal 3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previously described.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서버(400)에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300)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정보를 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200 may search and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server 400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nd, the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Additional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may stor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40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명에서 '가수'는 경연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음원의 원곡에 대한 가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수' 또는 '원곡 가수'라 표현될 수 있다. 또한, 경연 콘텐츠에서 음원을 제공하는 사용자는 '아바타' 또는 '캐릭터'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가수'가 지칭하는 바와 서로 차이가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er' may mean a singer of the original song of the sound source provided in the contest content, and may hereinafter be expressed as 'singer' or 'original singer'. Additionally, the user who provides the sound source in the contest content may be expressed as an 'avatar' or 'character', and may be used to be different from what 'singer' refers to.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와 연계되어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As such, the specific process of performing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the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n connection with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server 400 in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200 is as follows. It can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NFT-based service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200),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4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 200)에 의한 주도적인 동작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t can be perform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server 4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proactive operation b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s 100 and 200. It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블록체인 기바의 NFT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FT of the blockchain Kiba by linking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It may be performed in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rovides a service using, and this may mea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는 경연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해 아바타로 구현되는 대상의 아바타 음성 정보 및 경연 콘텐츠에서 아바타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예정된 음원과 관련된 원곡 음원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00).First,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perform a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to obtain avatar voice information of a target implemented as an avatar to participate in contest content and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by the avatar in contest content ( S100).

여기서, 플랫폼은 도 2를 참조하여 미리 설명된 바 있는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 서비스 제공 장치는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해 아바타로 구현되는 대상의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아바타에 의해 제공되는 음원과 관련된 원곡 음원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platform may refer to the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er 400, which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more detail,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participates in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provided through the platform. This may mean obtaining avatar voice information of a target implemented as an avatar and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avatar.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경연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해 아바타로 구현되는 대상의 아바타 음성 정보 및 경연 콘텐츠에서 아바타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예정된 음원과 관련된 원곡 음원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Here, the specific process of performing a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to obtain avatar voice information of a target implemented as an avatar to participate in contest content on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and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by the avatar in contest content is It can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in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로 경연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한 아바타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아바타 음성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S110).Referring to FIG. 4,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providing method of a user accessing the metaverse space. It is possible to detect a user terminal, which is a device, and request and obtain avatar voice information including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voice output through the avatar for participating in contest cont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S110).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도 2를 참조하여 미리 설명된 바 있는 사용자 단말(300)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버(400)에 의해 운영되거나 관리되는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may refer to the user terminal 300, which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more specifically, accesses the metaverse space provided through a platform operated or managed by the server 400. It may refer to a possible user's device.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서버에 의해 경연 콘텐츠가 제공되는 동안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 중 아바타의 구현을 요청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로 메타버스 공간에서 아바타로 구현하기 위한 대상과 관련된 아바타 음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로 구현하기 위한 대상과 관련된 아바타 음성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detects at least one user requesting the implementation of an avatar among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o the metaverse space while contest content is provided by the server, the device of the detected at least one user A user terminal can request avatar voice information related to an object to be implemented as an avatar in the metaverse space.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which is at least one user's device, may receive a request for avatar voi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target to be implemented as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감지된 사용자 단말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메타버스 공간을 통해 경연 콘텐츠에서 제공이 예정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를 포함하는 예정 음원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S120).Afterward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request and obtain scheduled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composer, and lyricis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in the contest content through the metaverse space through the detected user terminal through its avatar ( S12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를 통해 제공을 원하는 음원(제공이 예정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메타버스 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제공을 원하는 음원(제공이 예정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request the name, composer, and lyricis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esired to be provided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of the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through the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a request for the name of the sound source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composer, and lyricist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through the avatar in the metaverse space.

이후, 사용자 단말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제공을 원하는 음원(제공이 예정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메타버스 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제공을 원하는 음원(제공이 예정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예정 음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terminal may transmit the name, composer, and lyricis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esired to be provided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in the metaverse spac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acquire scheduled sound source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name, composer, and lyricist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desired to be provided through an avatar in the metaverse space from the user terminal.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원곡 음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정 음원 정보에 상응하는 원곡과 관련된 원곡 음원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할 수 있다(S130).Thereafte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search and obtain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song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d sound sourc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f the platform wher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original sound sources is stored (S130).

여기서, 원곡 음원 정보는 예정된 음원에 상응하는 원곡 가수가 보유하고 있는 음성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may includ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voice possessed by the original singer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d sound source.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예정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 가능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를 이용하여 플랫폼을 운영하거나 관리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는 서버(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미리 설명된 바 있는 서버(40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결과를 기반으로 원곡 음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s a server that may refer to a device that operates or manages a platform using the name of the sound source, composer, and lyricist information that can be confirmed based on the scheduled sound source information (e.g., see Figure 2). A search can be performed in the database included in the server 400, as previously described, and original music sourc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search results.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는 복수의 원곡들에 대한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뿐 아니라, 각 원곡에 대한 가수가 보유하고 있는 음성의 주파수 정보가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각 원곡에 대한 정보를 원곡 음원 정보라 칭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base may pre-store information on the names, composers, and lyricists of a plurality of original songs,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of the singer's voice for each original song. 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each original song pre-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original song information.

특히, 서비스 제공 장치는 예정 음원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 가능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와 동일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를 가지는 원곡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원곡에 대하여 미리 매칭된 주파수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원곡 음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search the database for original songs having the same sound source name, composer, and lyricist information as the name of the sound source that can be confirmed based on the scheduled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composer and lyricist. By extracting the matched frequency information, the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원곡 음원 정보를 기반으로 아바타와 아바타를 통해 제공되는 음원이 서로 어울리는 정도를 값으로 변환하여 산출되는 부합도와 경연 콘텐츠가 제공되는 동안의 제공되는 각 음원에 대한 호응의 정도인 호응도를 산출하는 기준 산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200).Referring again to FIG. 3,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a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music source information, the degree of compatibility between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is converted into a value, and the response rate is the degree of response to each sound source provided while the contest content is provided. The standard calcula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S200).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원곡 음원 정보를 기반으로 아바타와 및 아바타를 통해 제공되는 음원이 서로 어울리는 정도를 값으로 변환하여 산출되는 부합도와 경연 콘텐츠가 제공되는 동안의 제공되는 각 음원에 대한 호응의 정도인 호응도를 산출하는 기준 산출 절차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Her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onverts the degree to which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match each other into a value based o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music source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degree of compatibility with each sound source provided while the contest content is provided. The specific process of performing the standard calculation procedure for calculating the degree of response, which is the degree of response to the response, can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기준 산출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standard calculation procedure in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원곡 음성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의 값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아바타 및 원곡 가수 간의 음성 유사도를 아바타와 해당 아바타를 통해 제공되는 음원이 서로 부합되는 정도인 부합도로 산출할 수 있다(S210).Referring to FIG. 5,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original song voice information.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included frequency values, the voice similarity between the avatar and the original singer can be calculated as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between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S210).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아바타 음성 정보에 포함된 아바타의 음성에 대한 주파수 정보의 값 및 원곡 음성 정보에 포함된 원곡 가수의 음성에 대한 주파수 정보의 값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수치화 된 값에 대한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Her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calculate the similarity between the value of the frequency information for the avatar's voice included i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the value of the frequency information for the original singer's voice included in the original song voice information. For example, a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calculate similarity based on a preset algorithm available to calculate similarity for a numerical value.

다시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아바타의 음성에 대한 특성과 아바타를 통해 제공될 음원을 실제로 제공한 원곡 가수의 음성에 대한 특성 간의 유사도를 의미할 수 있는 음성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calculate voice similarity, which can mean the similarity between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the avatar and the voic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singer who actually provided the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음성 유사도를 기반으로 아바타와 해당 아바타를 통해 제공될 음원이 서로 부합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는 부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합도가 높은 경우, 아바타와 아바타를 통해 제공될 음원이 서로 부합되는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부합도가 낮은 경우, 아바타와 아바타를 통해 제공될 음원이 서로 부합되는 정도가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calculate the degree of compatibility, which can mean the degree to which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match each other, based on voice similarity. For example, if the degree of matching is high, it may mean that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match each other to a high degree. On the other hand, if the degree of matching is low, it may mean that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to b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is low.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복수의 아바타들을 통해 음원이 제공되는 전체 시간 동안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장치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아바타를 통해출력된 음ㅅ덩 형태를 가지는 발화된 내용에 대한 정보 및 발화된 음성의 세기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화 정보인 전체 피드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220).Afterward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outputs information through the avatar corresponding to each user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which are devices of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o the metaverse space, during the entire time that the sound source is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avatars in the metaverse space. Total feedback information, which is speech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about the uttered content in the form of a sound and information about the intensity of the uttered voice, can be collected (S220).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체 시간에 대한 전체 피드백 정보 중 각 음원이 제공되는 시간 별 피드백 정보를 구분하여 추출되는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호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S230).Afterward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calculate the response by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extracted by dividing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time each sound source is provided from the total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entire time (S23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체 시간 동안에 대한 전체 피드백 정보에서 각 음원이 제공되는 시간 동안의 피드백 정보를 추출하여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발화 정보에 대하여 긍정적인 호응으로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워드 및/또는 음성의 세기를 기반으로 각 아바타 별 피드백 정보의 호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extract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by extracting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time when each sound source is provided from the overall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entire time, and can positively respond to the utterance informa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In order to determine a positive response, the response level of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avatar can be calculated based on preset keywords and/or voice intensity.

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체 피드백 정보를 각 아바타를 통해 음원이 제공되는 시간 별로 분할하여 복수의 음원 별 피드백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체 피드백 정보를 각 아바타를 통해 음원이 제공되는 시간 별로 분할하여 생성된 복수의 음원 별 피드백 정보들 중 호응도의 산출이 요구되는 아바타에 대한 음원 별 피드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That i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divide the entire feedback information by the time the sound source is provided through each avatar and generate a plurality of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Afterward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extract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for the avatar for which responsiveness is required from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generated by dividing the total feedback information by the time the sound source is provided through each avatar. .

이후,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긍정적인 호응을 의미할 수 있는 텍스트 타입의 키워드인 '대단', '훌륭', '멋지다' 및 '감동'등과 같은 복수의 키워드들을 긍정적인 호응으로 판단하기 위한 키워드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긍정적인 호응을 의미할 수 있는 음성의 세기를 자연인의 음성 대화의 세기에 대한 범위 보다 높은 음성의 세기에 대한 범위에서 미리 설정할 수 있다.Then, 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uses a plurality of keywords such as 'great', 'great', 'cool', and 'impressed', which are text-type keywords that can mean a positive response, to judge them as a positive response. You can pre-set it with keywords. Additional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preset the voice intensity that can indicate a positive response in a range that is higher than the voice intensity range of a natural person's voice conversation.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발화 정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키워드 및 음성의 세기를 만족하는 정도를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호응도로 산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calculate the degree to which the speech informa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satisfies the preset keywords and voice intensity as the responsiveness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발화 정보에서 음성 형태로 발화된 내용에 대한 정보 중 미리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된 횟수를 산출할 수 있고, 발화된 음성의 세기에 대한 정보와 미리 설정된 음성의 세기 간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산출된 횟수 및 산출된 차이에 기초하여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호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calculate the number of times a preset keyword is included amo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uttered in voice form from the utterance informa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and calculate the number of times a preset keyword is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uttered in the form of voi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voice strengths can be calculated. Thereafte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calculate the responsiveness of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times and the calculated difference.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발화 정보에서 음성 형태로 발화된 내용에 대한 정보 중 미리 설정된 키워드가 포함된 횟수가 많을수록 높은 호응도를 산출할 수 있고, 발화된 음성의 세기에 대한 정보와 미리 설정된 음성의 세기 간의 차이가 적을수록 높은 호응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calculate a higher response rate as the number of times a preset keyword is included amo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uttered in voice form in the utterance informa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and information about the intensity of the uttered voice. The small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nsity of the voice and the preset voice, the higher the response rate can be calculated.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음성 형태로 발화된 내용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텍스트 타입을 가지는 복수의 키워드들 중 미리 설정된 키워드가 차지하는 비율을 키워드 호응도로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키워드 호응도를 음원 별 피드백 정보에 반영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calculate the ratio of a preset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keywords with a text typ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uttered in voice form as keyword responsiveness, and provide feedback for each sound source of the calculated keyword responsiveness. It can also be reflected in the information.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산출된 부합도 및/또는 산출된 호응도의 값 간의 평균 값을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경연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음원들 중 블록체인 기반의 NFT 발행의 가치에 부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300).Again, referring to FIG. 3,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calculated degree of conformity and/or The average value between the calculated response values is compared with a preset value as a standard for judging that it is worth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and the number of blockchain-based NFTs issued among the plurality of music sources provided in the contest content is calculated. An NFT issuance procedure can be performed to issue a blockchain-based NFT for at least one sound source that matches the value (S300).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산출된 부합도 및/또는 산출된 호응도의 값 간의 평균 값을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메타버스 공간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음원들 중 블록체인 기반의 NFT 발행의 가치에 부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 절차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Here, the average value between the values of conformity and/or calculated response calculat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is compared with a preset value as a standard for determining that it is valuable for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in the metaverse space. The specific process of performing the NFT issuance procedure of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for at least one sound source that matches the value of blockchain-based NFT issuanc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is detail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ure 6. It can be explained clearl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NFT 발행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n NFT issuance procedure in an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제공된 복수의 음원들 중 부합도의 값 및 호응도의 값의 평균 값이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택할 수 있다(S310).Referring to FIG. 6,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Among them, at least one sound source whose average value of conformity and respon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tandard value for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can be selected (S31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매타버스 공간에서 제공된 복수의 음원들에 대한 부합도 및 호응도의 각 값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제공된 각 음원에 대하여 산출된 평균 값을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제공된 복수의 음원들 중 각 음원에 대하여 산출된 평균 값이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택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calculate the average value of each value of conformity and response for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Afterward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compare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for each sound source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issuing blockchain-based NFTs. Afterwards,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select at least one sound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whose average value calculated for each sound sour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음원으로 결정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할 수 있다(S320).Thereafter,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determine at least one selected sound source as a sound source for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and issue a blockchain-based NFT for the determined at least one sound source (S320).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메타버스 공간에서 제공한 아바타의 소유자 정보가 포함되도록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발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해 제공된 음원에 대한 소유권을 지시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may issue a blockchain-based NFT to include owner information of the avatar that provided at least one selected sound source in the metaverse space. In other words, a blockchain-based NFT issued by a service providing device can refer to information that can indicate ownership of a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an avatar in the metaverse spac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서비스 제공 장치를 관리하는 플랫폼에 등록하여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NFT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400).Again, referring to FIG. 3,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for at least one sound source. By registering a chain-based NFT on a platform that manages service provision devices, a service provision procedure for providing NFT-related services to multiple users using the platform can be performed (S40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원들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복수의 음원들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provides an interface used to check information about blockchain-based NFTs for multiple sound sources registered on the platform, allowing multiple users using the platform to use the blockchain for multiple sound sources. You can check information about NFT based.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아바타를 제공되는 복수의 음원들에 대하여 소유권을 부여하기 위해 적합한 음원들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음원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S. 1 to 6, a service providing device that performs an NFT-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an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ta In order to grant ownership of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to avatars in the bus space, suitable sound sources can be selectively determined, and blockchain-based NFTs can be issued for the determined sound source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거나 제공될 수 있는 공연 콘텐츠나 오디션 콘텐츠에서 각 아바타를 통해 제공되는 음원(예를 들어, 음악이나 노래 등을 의미할 수 있음)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ach avatar in performance content or audition content that can be implemented or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It can also be applied as an algorithm to evaluate sound sources (for example, it can mean music or songs) provided through .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 콘텐츠의 아바타와 연계하여 제공되는 NFT 기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구현되거나 제공될 수 있는 공연 콘텐츠나 오디션 콘텐츠에서 제공된 복수의 음원들에 대하여 가치의 정도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함으로써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NFT-based service provision method provided in connection with the avatar of contest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performance content or audition content that can be implemented or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It may ha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valuate multiple sound sources by issuing blockchain-based NF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value.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ll or part of its components or functions,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송수신 장치
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160: 저장 장치 170: 버스
200: 서비스 제공 서버 300: 사용자 단말
400: 서버
100: service provision device 110: processor
120: memory 130: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140: input interface device 150: output interface device
160: storage device 170: bus
200: Service provision server 300: User terminal
400: Server

Claims (4)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에서 구현되는 경연(contest 또는 audition) 콘텐츠를 위한 아바타와 연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음원에 대한 NFT를 발행하기 위해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경연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해 아바타로 구현되는 대상의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상기 경연 콘텐츠에서 상기 아바타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예정된 음원과 관련된 원곡 음원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에 대한 상기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원곡 음원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부합도와 상기 경연 콘텐츠가 제공되는 동안의 상기 제공되는 각 음원에 대한 호응의 정도인 호응도를 산출하는 기준 산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부합도의 값 및 상기 산출된 호응도의 값의 평균 값을 계산하되, 상기 평균값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한 가치를 의미하는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상기 평균값을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경연 콘텐츠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음원들 중 상품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한 NFT 발행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를 관리하는 플랫폼에 등록하여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NFT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합도는 상기 아바타 음성 정보와 상기 원곡 음원 정보간의 유사도를 수치화한 것으로서, 상기 아바타 음성 정보와 상기 원곡 음원 정보에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산출되는 값이고,
상기 호응도는 상기 아바타가 음원을 제공하는 동안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존재하는 음원의 제공 대상으로부터 확인되는 호응의 정도를 수치화한 것으로서, 상기 음원의 제공 대상으로부터 발화되는 정보에 미리 설정된 기준을 적용하여 산출되는 값인, 서비스 제공 방법.
Sound sources judged to be marketable in a service provision device that provides services using blockchain-based NFT (Non-Fungible Token) in conjunction with avatars for contest or audition content implemented in the metaverse space As a service provision method performed to issue NFT for,
performing an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for acquiring avatar voice information of a target implemented as an avatar to participate in the contest content and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a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by the avatar in the contest content;
Performing a standard calculation procedure for calculating a degree of compliance calculated based o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song sound source information for the avatar and a degree of response, which is the degree of response to each sound source provided while the contest content is provided;
Calculate the average value of the calculated conformity value and the calculated response value, where the average value is a standard for determining that there is marketability, which means the value for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and the average value is Comparing to a preset value, performing an NFT issuance procedure for at least one sound source determined to be marketable among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in the contest content; and
Registering a blockchain-based NFT for the at least one sound source on a platform that manages the service provision device and performing a service provision procedure to provide NFT-related services to a plurality of users using the platform,
The degree of conformity is a numerical value of the similarity betwee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song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is a value calculated by applying a preset standard to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song sound source information,
The response degree is a quantification of the degree of response confirmed from the object of provision of the sound source existing in the metaverse space while the avatar provides the sound source, and is calculated by applying a preset standard to the information uttered by the object of provision of the sound source. The value is the method of providing the ser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장치인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연 콘텐츠에 참여하기 위한 아바타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아바타 음성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단말로 자신의 아바타를 통해 상기 메타버스 공간을 통해 상기 경연 콘텐츠에서 제공이 예정된 음원의 명칭, 작곡가 및 작사가 정보를 포함하는 예정 음원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복수의 원곡 음원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상기 플랫폼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예정 음원 정보에 상응하는 원곡과 관련된 원곡 음원 정보를 검색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곡 음원 정보는,
상기 예정된 음원에 상응하는 원곡 가수가 보유하고 있는 원곡 음성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dure is,
Detecting a user terminal, which is a device of a user accessing the metaverse space, requesting and obtaining avatar voice information including frequency information of a voice output through an avatar for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cont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and obtaining scheduled sound source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composer, and lyricist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scheduled to be provided in the contest content through the metaverse space through the detected user terminal through the user's avatar; and
A step of searching and obtaining original sound sour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iginal song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d sound source information in the database of the platform wher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original sound sources is stored,
The original song informa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original song voice held by the original singer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d sound sour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준 산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아바타 음성 정보 및 상기 원곡 음원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의 값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아바타 및 원곡 가수 간의 음성 유사도를 상기 아바타와 해당 아바타를 통해 제공되는 음원이 서로 부합되는 정도인 부합도로 산출하는 단계;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복수의 아바타들을 통해 음원이 제공되는 전체 시간 동안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장치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아바타를 통해 출력된 음성 형태를 가지는 발화된 내용에 대한 정보 및 발화된 음성의 세기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발화 정보인 피드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시간에 대한 피드백 정보 중 각 음원이 제공되는 시간 별 피드백 정보를 구분하여 추출되는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내용을 분석하여 호응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응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시간 동안에 대한 전체 피드백 정보에서 상기 각 음원이 제공되는 시간 동안의 피드백 정보를 추출하여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발화 정보에 대하여 긍정적인 호응으로 판단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키워드 및 음성의 세기 중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각 음원 별 피드백 정보의 호응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In claim 2,
The step of performing the standard calculation procedure is,
Calculating voice similarity between the avatar and the original singer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frequency values included in the avatar voice information and the original song sound source information as a degree of correspondence, which is the degree to which the avatar and the sound source provided through the avatar match each other. ;
Having a voice format output through an avatar corresponding to each user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which are devices of a plurality of users connected to the metaverse space, during the entire time that the sound source is provided through a plurality of avatars in the metaverse space. Collecting feedback information, which is speech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spoken and information about the intensity of the spoken voice; and
Comprising the step of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extracted by dividing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time each sound source is provided among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entire time, and calculating a response rat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sponse is,
To extract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by extracting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time during which each sound source is provided from the total feedback information for the entire time, and to determine a positive response to the utterance information of the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ing the responsiveness of feedback information for each sound source based on one or more of preset keywords and voice intensit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FT 발행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제공된 복수의 음원들 중 부합도의 값 및 호응도의 값의 평균 값이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음원으로 결정하여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에 대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음원들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플랫폼을 이용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기 복수의 음원들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performing the NFT issuance procedure is,
Selecting at least one sound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provided in the metaverse space whose average value of the degree of conformity and the value of the degree of respons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issuing the blockchain-based NFT; and
Determining the selected at least one sound source as a target sound source for issuing the blockchain-based NFT and issuing a blockchain-based NFT for the determined at least one sound source,
The steps for performing the service provision procedure are:
By providing an interface used to check information about blockchain-based NFTs for a plurality of sound sources registered on the platform, multiple users using the platform can access blockchain-based NFTs for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s. A service provision method characterized by supporting verification of information.
KR1020230053721A 2022-09-08 2023-04-25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24003530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920 2022-09-08
KR20220113920 2022-09-08
KR1020220164287A KR102530059B1 (en) 2022-09-08 2022-11-30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287A Division KR102530059B1 (en) 2022-09-08 2022-11-30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309A true KR20240035309A (en) 2024-03-15

Family

ID=865457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287A KR102530059B1 (en) 2022-09-08 2022-11-30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230053721A KR20240035309A (en) 2022-09-08 2023-04-25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287A KR102530059B1 (en) 2022-09-08 2022-11-30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0059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868B1 (en) * 2019-04-22 2019-08-26 주식회사 더미리 Apparatus for providing singing service
KR102440745B1 (en) * 2022-05-26 2022-09-05 김태원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nd managing the grade of nft-based sound sources applied to the metaverse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059B1 (en)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1500B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ultimedia
US11017010B2 (en) Intelligent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preference feedback
CN105659230B (en) Use the inquiry response of media consumption history
US9292513B2 (en) Methods for identifying audio or video content
JP54322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on profile generat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collection profile
CN106416263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intelligent automatic high speed for media caches
JP5175446B2 (en) Portable terminal
KR20140016246A (en) Syndication including melody recognition and opt out
JP2002063209A (en) Information processor, its method, inform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US20210049509A1 (en) Blockchain-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warding work performer
JP2020004381A (en) Information push method and apparatus
CN108920585A (en) The method and device of music recommendatio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4073854A (en) Game method and system based on multimedia file
KR20240006408A (en)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platform using did based on blockchain and apparatus therefor
WO20201531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01532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530059B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nft provided with avatar of contest contents implemented in metaverse space and apparatus therefor
JP4847797B2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additional information data
KR20200008230A (en) System for matching voice based on online content platform
KR1022967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iterary works based on the artist's audio contents
KR20090129110A (en) System and method for giving online game replay file
CN114969427A (en) Singing list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5016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royalty using distinguishing between music and non-music
KR10250162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royalty
KR1025016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royalty using verifying 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