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114A -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 - Google Patents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114A
KR20240035114A KR1020220114178A KR20220114178A KR20240035114A KR 20240035114 A KR20240035114 A KR 20240035114A KR 1020220114178 A KR1020220114178 A KR 1020220114178A KR 20220114178 A KR20220114178 A KR 20220114178A KR 20240035114 A KR20240035114 A KR 2024003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module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시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테크 filed Critical ㈜시스테크
Priority to KR102022011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114A/ko
Publication of KR2024003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1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2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다면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무인항공기는 제1 방향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모듈,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로터; 상기 카메라 또는 로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모듈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산출된 비행경로 비행하도록 상기 로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Multi-faceted camera capable of wideband shooting and unmanned aerial vehicle equipped with it}
본 발명은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2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다면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조종에 의해서 또는 자율비행제어 장치에 의해서 비행을 하여 정찰, 폭격, 화물 수송, 산불 감시, 방사능 감시 등 사람이 직접 수행하기가 힘들거나 직접 수행하기에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기를 의미한다.
드론(drone)은 무인 비행기의 하나로 자체 동력을 갖추고 있지만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는 헬리콥터 모양의 무인항공기를 말한다. 아직은 주로 군사용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최근 들어 상업적 활용가치가 부각되면서 여러 업체들이 드론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드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비행체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정글이나 오지, 화산지역, 자연재해지역, 원자력 발전소 사고지역 등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드론을 투입하여 운용하거나, 물류 배송 등 상업적 분야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드론은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건물이나 지형지물을 촬영하며, 촬영된 건물이나 지형지물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한다. 특히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건물을 촬영할 경우, 건물의 다양한 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드론은 건물의 각 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비행을 해야 한다. 즉, 드론은 건물의 모든 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모든 면을 비행해야 하며, 특히 건물들이 인접한 경우에는 인접한 건물의 건물 사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비행경로를 반복해서 비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130407호(발명의 명칭: 전방위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장치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0-1715563호(발명의 명칭: 다면 영상용 카메라 연동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면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장착이 가능한 리그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호 인접한 건물을 촬영할 경우 최소한의 비행경로로 건물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무인항공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GPS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위치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무인항공기의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무인항공기는 제1 방향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모듈,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로터; 상기 카메라 또는 로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모듈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산출된 비행경로 비행하도록 상기 로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는 적어도 두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다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접한 건물 또는 지형지물을 촬영함으로써 최소시간 또는 최소 비행경로로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할 수 있으며, 특히 비행 지점의 풍향 및 풍속 등을 이용하여 무인항공기의 비행경로를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면 카메라가 탑재된 무인항공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제센터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면 카메라와 다면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행경로 산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리그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리그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카메라 리그는 몸체부(10), 카메라 장착부(20) 및 지지부재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리그에 포함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정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호 대향하되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양 측면(12)과 양 측면(12)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며, 양 측면(12) 사이의 둘레를 따라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둘레면(14)을 포함한다. 즉, 몸체부(10)의 둘레면(14)은 4개가 되어 양 측면(12)과 함께 정육면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몸체부(10)는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장착부(20)는 몸체부(10)에 형성된 양 측면(12) 및 복수의 둘레면(14)의 외측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가 향하되 복수의 카메라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양 측면(12)과 복수의 둘레면(14)에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장착부(20)는 몸체부(10)에 형성된 양 측면(12)의 사각 테두리 및 복수의 둘레면(14) 각각의 사각 테두리로부터 양 측면(12) 및 복수의 둘레면(14) 외측 방향(양 측면(12) 및 복수의 둘레면(14)으로부터 수직상방)으로 소정 두께의 가이드 벽(22)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카메라가 수용되는 수용홈(25)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가이드 벽(22)에는 수용홈(25)에 수용된 카메라의 케이스가 볼트 등의 체결기구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부(23)가 복수로 형성된다.
이처럼 몸체부(10) 양 측면(12)의 사각 테두리 및 복수의 둘레면(14) 각각의 사각 테두리로부터 양 측면(12) 및 복수의 둘레면(14) 외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의 가이드 벽(22)이 각각 돌출 형성되어 카메라가 수용되는 수용홈(25)을 형성하는 형태로 카메라 장착부(20)를 마련하고, 가이드 벽(22)에는 상기 수용홈(25)에 수용된 카메라의 케이스가 체결되는 체결부(23)를 복수로 형성함으로써, 카메라 리그(100)에 카메라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여 촬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지지부재 연결부(30)는 몸체부(1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복수로 형성되어 투명하고 플렉시블한 재질의 지지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지지부재 연결부(30)는 몸체부(1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부재가 연결되는 연결블럭(32)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연결블럭(32)에는 지지부재가 끼워지는 관통공(32a)이 복수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면 카메라가 탑재된 무인항공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면 카메라가 탑재된 무인항공기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무인항공기(100)은 통신모듈, 전원모듈, 로터, 제어모듈, 센서모듈 및 카메라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인항공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카메라는 복수의 방향을 촬영하는 다면 카메라이다.
통신모듈(100a)은 GPS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GPS 시스템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이외에도 통신모듈(100a)은 관제센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모듈(100a)은 카메라(100a)에서 수집한 영상정보를 관제센터 서버로 송신한다.
전원모듈(100b)은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100c)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물론 전원모듈(100b)은 로터(100c)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무인항공기를 구성하는 부품 중 전원 공급이 요구되는 부품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100b)은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이 고출력을 낼 수 있고, 크기가 작은 충전 가능한 전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100c)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모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소정의 추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및 프로펠러가 외부 물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펠러 보호링을 포함한다.
제어모듈(100d)은 로터(100c)의 동작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항공기가 소정의 비행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제어모듈(100d)은 무인항공기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모듈(100d)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센서모듈(100e)은 무인항공기의 본체 상에 장착되며, 무인항공기의 움직임 정보를 수집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센서모듈(100e)은 무인항공기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점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모듈(100e)은 무인항공기의 속도, 가속도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정보를 제어모듈(100d)로 제공한다.
카메라(100f)는 무인항공기의 본체 상에 장착되며, 영상정보를 수집한다. 카메라(100f)에서 수집된 영상정보는 제어모듈(100d)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제공되거나, 내부에 저장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인항공기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이 포함된다.
제어모듈(100d)은 GPS 정보 또는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무인항공기는 비행하는 지역의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무인항공기의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무인항공기는 최적의 비행경로로 비행할 수 있다.
제어모듈(100d)는 카메라(100f)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무인항공기에 저장하거나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인항공기는 적어도 두 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며, 제어모듈(100d)은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하여 건물 등을 포함한 지형지물을 촬영한다. 즉, 제어모듈(100d)은 최소 비행시간 또는 최소 비행거리로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는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한다.
도 2는 무인항공기에서 비행경로를 산출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인항공기 대신 관제센터 서버가 비행경로를 산출하며, 산출된 비행경로를 무인항공기로 제공할 수 있다. 무인항공기는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비행경로에 따라 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제센터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관제센터 서버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관제센터 서버(200)는 통신모듈, 제어모듈, 저장모듈 및 산출모듈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관제센터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모듈(200a)은 무인항공기와 통신을 수행하며, 무인항공기로 산출한 비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통신모듈(200a)은 무인항공기의 비행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통신모듈(200a)은 무인항공기에 장착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공받는다.
저장모듈(200c)은 무인항공기로부터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이외에도 저장모듈(200c)은 관제센터 서버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외부의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다.
산출모듈(200d)은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무인항공기의 비행경로를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모듈(200d)은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무인항공기의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한다.
제어모듈(200b)은 관제센터 서버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모듈(200b)은 관제센터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산출모듈(200d)을 제어하여 무인항공기의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관제센터 서버는 풍속과 풍향을 포함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무인항공기의 비행경로를 산출한다. 특히 무인항공기는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기상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제공받는다. 하지만, 관제센터 서버와 통신이 단절된 상황에서도 무인항공기는 현재 비행지점에서의 풍속과 풍향을 포함한 기상정보를 산출해야 한다. 관제센터 서버와 통신이 단절된 무인항공기는 산출한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로터를 제어하여 비행경로를 산출하도록 한다.
특정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경우, 무인항공기는 바람에 의해 현 위치에서 다른 위치를 이동하게 된다. 무인항공기는 GPS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이동거리 및 이동속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이동 거리와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풍속 및 풍향을 산출한다. 무인항공기는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풍속과 풍향이 포함된 기상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임시로 산출한 비행경로를 이용하여 비행하여 지형지물을 촬영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무인항공기는 비행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현재 지점에서 바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외부의 서버와 통신이 단절된 무인항공기는 산출한 바람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로터를 제어하여 비행한다.
특히, 본 발명은 무인항공기에서 산출한 바람의 풍향 및 풍속이 정확한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인항공기는 산출한 풍속과 풍향에 의해 무인항공기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로터의 제어 정보를 산출한다. 무인항공기는 산출한 제어 정보에 따라 로터의 구동을 제어하며, 로터의 구동을 제어한 상태에서 무인항공기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지 판단한다. 무인항공기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산출한 풍속과 풍향이 올바른 상태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바람 정보를 산출한다.
만약 무인항공기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산출한 풍속과 풍향이 오류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상술한 풍속과 풍향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인항공기는 풍속과 풍향이 올바른 상태인지 판단하기 위해 무인항공기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산출된 풍속과 풍향을 고려하여 무인항공기를 원래 위치로 이동되도록 로터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무인항공기가 원래 위치로 이동하지 않는다면 산출한 풍속과 풍향이 오류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상술한 풍속과 풍향을 재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산출한 풍향과 풍속이 올바르게 산출하는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재차 수행한다.
특히, 무인항공기는 원래 위치와의 오차를 감안하여 풍속과 풍향을 재차 수행한다. 즉, 원래 위치와의 오차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무인항공기는 기존 시간(일 예로 10초)보다 긴 시간(일 예로 15초)동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 후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 지 판단하며, 원래 위치와의 오차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무인항공기는 기존 시간(일 예로 10초)보다 짧은 시간(일 예로 5초)동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 후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지 판단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원래 위치와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발생된 오차의 크기에 따라 무인항공기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달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즉, 오차가 작은 경우에는 긴 시간동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풍속과 풍향을 올바르게 산출하며, 오차가 큰 경우에 짧은 시가농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풍속과 풍향을 올바르게 산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무인항공기에서 풍속과 풍향을 산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면 카메라와 다면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면 카메라 및 다면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다면 카메라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며, 적어도 2 방향의 영상을 촬영한다. 즉, 다면 카메라는 제1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모듈, 제2면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모듈, 제3면을 촬영하는 제3 카메라모듈, 제4면을 촬영하는 제4 카메라모듈 및 제5면을 촬영하는 제5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면 카메라는 복수의 카메라모듈이 탑재되며, 탑재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면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물론 다면 카메라는 탑재된 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모듈을 구동하며, 구동되는 카메라모듈에 의해서만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모듈과 연결되며, 연결된 카메라모듈로부터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지형지물의 형상을 산출한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은 카메라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동기화하며, 특히 하나의 건물에 대한 영상은 하나의 카메라모듈만을 이용해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경우 적어도 2개의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하나의 건물에 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행경로 산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비행경로 산출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비행경로 산출 시스템은 무인항공기 및 관제센터 서버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비행경로 산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GPS 시스템(300)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인항공기 및 관제센터 서버는 도 2 내지 도 3에 설명한 동작을 수행한다. 무인항공기는 GPS 시스템 또는 관제센터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무인항공기는 비행하는 지역의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기상 정보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무인항공기의 비행경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무인항공기는 최적의 비행경로로 비행할 수 있다.
무인항공기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무인항공기에 저장하거나 외부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인항공기는 적어도 두 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며, 무인항공기는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하여 건물 등을 포함한 지형지물을 촬영한다. 즉, 무인항공기는 최소 비행시간 또는 최소 비행거리로 지형지물을 촬영할 수 있는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한다.
관제센터 서버는 관제센터 서버의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무인항공기의 최적의 비행경로를 산출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관제센터 서버는 풍속과 풍향을 포함한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무인항공기의 비행경로를 산출한다. 관제센터 서버는 산출한 무인항공기의 비행경로를 무인항공기로 송신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무인항공기 100a: 통신모듈
100b: 전원모듈 100c: 로터
100d: 제어모듈 100e: 센서모듈
100f: 카메라 200: 관제센터 서버
200a: 통신모듈 200b: 제어모듈
200c: 저장모듈 200d: 산출모듈

Claims (6)

  1. 제1 방향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모듈,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로터;
    상기 카메라 또는 로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모듈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산출된 비행경로 비행하도록 상기 로터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무인항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직육면체 형상의 카메라 리그를 포함하며,
    카메라모듈은 카메라 리그에 탈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무인항공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풍속 및 풍속을 포함한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무인항공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제어모듈에서 산출한 비행경로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무인항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산출한 풍속과 풍향으로부터 바람정보를 산출하며, 산출한 바람정보로부터
    무인항공기가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로터의 제어정보를 산출하며,
    산출된 제어정보에 따라 로터를 제어하여 무인항공기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는지 확인하여 산출한 바람정보의 오류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무인항공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리그는,
    상호 대향하도록 이루어진 양 측면과, 상기 양 측면을 연결하도록 연장되되 상기 양 측면 사이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둘레면이 형성되어 다면체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양 측면 및 복수의 둘레면의 외측 방향으로 카메라 렌즈가 향하되 복수의 카메라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양 측면과 복수의 둘레면에 각각 형성되는 카메라 장착부; 및
    상기 몸체부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복수로 형성되거나, 상기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카메라 장착부에 복수로 형성되어 투명하고 플렉시블한 재질의 지지부재가 각각 연결되는 지지부재 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무인항공기.
KR1020220114178A 2022-09-08 2022-09-08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 KR20240035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178A KR20240035114A (ko) 2022-09-08 2022-09-08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178A KR20240035114A (ko) 2022-09-08 2022-09-08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114A true KR20240035114A (ko) 2024-03-15

Family

ID=9027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178A KR20240035114A (ko) 2022-09-08 2022-09-08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51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563B1 (ko) 2016-05-27 2017-03-10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다면 영상용 카메라 연동 시스템
KR20190130407A (ko) 2018-05-14 2019-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방위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563B1 (ko) 2016-05-27 2017-03-10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다면 영상용 카메라 연동 시스템
KR20190130407A (ko) 2018-05-14 2019-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방위 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99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unmanned aircraft system
US6840480B2 (en) Miniature, unmanned aircraft with interchangeable data module
US20170073070A1 (en) Amphibious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nmanned devi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crisis environment and controlling one or more targets
US20160286128A1 (en) Amphibious vtol super drone camera in a mobile case (phone case) with multiple aerial and aquatic flight modes for capturing panoramic virtual reality views, selfie and interactive video
US20220335840A1 (en) Ruggedized autonomous helicopter platform
US11417223B2 (en) Flight altitude estim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230097186A1 (en) Locomo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erial vehicles
JP7362203B2 (ja) 無人移動体
KR102151353B1 (ko) 굴뚝용 대기오염측정 드론장치
Ngo et al. UAV Platforms for Autonomous Navigation in GPS-Denied Environments for Search and Rescue Missions
CN112327889A (zh) 一种可自主运行的舞台用无人机及控制系统
KR20240035114A (ko) 광대역 촬영이 가능한 다면 카메라 및 이를 탑재한 무인항공기
Rawashdeh et al. Microraptor: A low-cost autonomous quadrotor system
Moldagalieva et al. Virtual omnidirectional perception for downwash prediction within a team of nano multirotors flying in close proximity
Moiz et al. QuadSWARM: A Real-Time Autonomous Surveillance System using Multi-Quadcopter UAVs
US20220238987A1 (en) Mobile surveillance systems extendable mas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Adamski et al. Vertical take off reconnaissance unmanned air vehicle
JP7166587B2 (ja) 監視システム
KR102009637B1 (ko) 재난 및 비상상황 시 구호활동을 하는 드론
US12006047B2 (en) Propeller deicing systems and methods
Sdoukou et al. Hardware Selection Approach For Custom UAVs
US20220411075A1 (en) Propeller deicing systems and methods
US11999502B2 (en) Aerial vehicle architectures for improved thrust efficiency and internal cooling
US20230246513A1 (en) Electric motor cooling systems and methods
Phang et al. Development of autonomous UAV systems for low light surveillance applications using night vision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