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073A -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073A
KR20240035073A KR1020220114083A KR20220114083A KR20240035073A KR 20240035073 A KR20240035073 A KR 20240035073A KR 1020220114083 A KR1020220114083 A KR 1020220114083A KR 20220114083 A KR20220114083 A KR 20220114083A KR 20240035073 A KR20240035073 A KR 2024003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air
inner housing
pipe
steriliz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에이티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2011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073A/ko
Publication of KR2024003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07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101/00Chemical composition of materials used in disinfecting, sterilising or deodorising
    • A61L2101/32Organic compounds
    • A61L2101/34Hydroxy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식물에서 유래한 천연성분을 통해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질이 향상되도록 천연성분이 포함된 상태로 휘발된 멸균제를 공기조화기로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에 설치된 개폐도어가 포함된 외부 케이스와,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된 덮개부가 포함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배관이 포함된 배관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내부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내부 하우징에 수용되어 내부 하우징을 통과해 공기조화기로 이동하는 공기에 휘발된 멸균제를 제공하는 액상형 멸균제, 및 상기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고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되며 펌프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번식하는 세균을 멸균시킬 수 있고, 공기조화기를 통해 건축물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향기를 추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WET STERILIZATION DEVICE FOR AIR HANDLING UNIT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로 공급되는 공기에 대한 멸균 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에서 유래한 천연성분을 통해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질이 향상되도록 천연성분이 포함된 상태로 휘발된 멸균제를 공기조화기로 공급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생활공간에 쾌적한 실내공기를 조성하고, 사람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기조화장치의 설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건물이나 지하시설 등에 설치되어 냉난방 기능뿐만 아니라 공기정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거의 필수적인 것으로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주거공간에서의 오염 분진들은 그 입경이 서브미크론 단위에서 수십미크론 단위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분포되고 있으며,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으로도 매우 다른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오염 분진들의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상기 오염 분진들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도 달라진다.
이에 따라, 공기여과 장치는 단순한 섬유상의 전처리 필터에 의한 여과뿐만 아니라 전기집진 방식 및 가스상 또는 미생물 오염입자들까지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의 냉난방과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신선한 외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실내의 탁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내부 적소에는 공기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하는 냉각코일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코일이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응축수를 수용 또는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팬이 제공되고, 상기 히팅코일의 후방에는 송풍기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장착되어 조화된 공기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송풍기 가동에 따른 진동과 공기의 배출소음을 흡수/완화하기 위한 방진구조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케이스는 프레임을 용접 또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대략 육면체로 제작한 후, 프레임 외측에 단열판을 부착한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전술한 구성요소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부를 제공한다.
이에, 최근에 들어서는 분진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이외에도 살균 및 탈취기능을 갖는 특수 필터의 설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필터 여과 시 살균처리를 도모하기 위해 장치 내부에 살균램프가 내장되었지만, 이러한 내장형 살균램프는 청소 및 교환하기 위해 작업자가 다소 좁은 장치 내부에 직접 들어가 유지보수작업들을 직접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 저하와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내부에 장착된 살균램프가 조립된 상태로 수납되어 외부에서 살균램프의 운전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으며, 온도와 습도가 높은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 안정기가 설치됨으로써, 잦은 고장과 오작동으로 인하여 정밀한 살균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즉, 종래의 공기조화장치는 내부에 장착된 살균램프가 조립된 상태로 수납되어 외부에서 살균램프의 운전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으며, 일일이 점검문을 열고 살균램프의 점등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정밀한 살균이 어렵고 작업자의 화상 및 안전에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4837호(2021.01.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33998호(2022.08.1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7990호(2018.06.2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5490호(2021.11.12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에 이미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구조를 가지며,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멸균기능과 탈취기능을 갖는 방향성분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체유입구와 기체배출구 및 멸균제유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전면에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 외부 하우징 및 상기 개방된 전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에 설치된 개폐도어가 포함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중공에 내장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상면에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 및 상기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내부 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되며 기체유입홀과 기체배출홀 및 멸균제유입홀이 형성된 덮개부가 포함된 내부 케이스와, 상기 기체유입구와 기체유입홀을 연결하는 제1 배관과 상기 기체배출구 및 기체배출홀을 연결하는 제2 배관과 상기 멸균제유입구 및 멸균제유입홀을 연결하는 제3 배관 및 상기 기체배출구를 통해 일단이 제2 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공기조화기와 연결된 제4 배관이 포함된 배관부와, 상기 제1 배관에 설치되어 기체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내부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내부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 및 제4 배관을 통과해 공기조화기로 이동하는 공기에 휘발된 멸균제를 제공하는 액상형 멸균제, 및 상기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고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펌프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는 독립적인 외형을 갖추고 있어 건축물에 미리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범용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는 건축물에 구비된 공기조화기와 별도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고장 발생 시 수리 및 교체가 간편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는 공기조화기로 투입하는 공기에 멸균기능 및 탈취기능을 갖는 방향성분을 혼합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번식하는 세균을 멸균시킬 수 있고, 공기조화기를 통해 건축물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향기를 추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경로 상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공기조화기의 환기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이하,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외부 하우징(110) 및 상기 외부 하우징(110)에 설치된 개폐도어(120)가 포함된 외부 케이스(100)와, 내부 하우징(210) 및 상기 내부 하우징(210)의 상면에 안착된 덮개부(220)가 포함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케이스(200)와, 상기 외부 케이스(100)와 내부 케이스(200)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배관(310,320,330)이 포함된 배관부와, 상기 외부 케이스(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내부 하우징(210)으로 공급하는 펌프(400)와, 상기 내부 하우징(210)에 수용되어 내부 하우징(210)을 통과해 공기조화기(10)로 이동하는 공기에 휘발된 멸균제를 제공하는 액상형 멸균제(미도시), 및 상기 외부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되며 펌프(400)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5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외부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100)는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의 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외부 하우징(110) 및 개폐도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 하우징(110)은 공기 등의 기체가 유입되는 기체유입구(112)가 형성되고, 멸균제가 유입되는 멸균제유입구(116)가 형성되며, 내부 하우징(210)이 탈착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전면에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다. 이때, 기체유입구(112)는 측면에 형성되고, 기체배출구(114)는 배면에 형성되며, 멸균제유입구(116)는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외부 하우징(110)은 직육면체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120)는 외부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가 동작될 때에는 외부 하우징(11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외부 하우징(110)의 전면을 폐쇄시키고, 외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 케이스(200)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외부 하우징(110)의 전면을 개방시킨다.
상기 개폐도어(120)는 외부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120)는 외부 하우징(110)과 볼트 등의 조립수단을 통해 외부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외부 하우징(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경첩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외부 하우징(110)의 전면 개방구의 테두리를 따라 외부 하우징(110)에 형성된 절곡부에 안착되도록 외부 하우징(1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부에 안착되는 경우 개폐도어(120)는 개방구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축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내부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케이스(200)는 외부 하우징(110)의 중공에 내장되어 멸균제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부 하우징(210) 및 덮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210)은 하부에 액상형 멸균제를 수용하고 상부에 기체를 수용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상면에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 하우징(210)은 직육면체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액상형 멸균제는 보관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소정량이 점차 휘발되며, 휘발된 멸균제는 내부 하우징(210) 내부의 상단에 위치하다가 내부 하우징(210)을 통과하는 공기와 함께 공기조화기(10)로 투입된다.
필요에 따라, 내부 하우징(210)은 전면에 수용된 액상형 멸균제의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광패널(2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투광패널(212)은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에 액상형 멸균제가 수용되는 수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상기 전면의 하단에서 중단까지의 구간을 확인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20)는 내부 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내부 하우징(2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가 동작될 때에는 하우징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하우징의 상면을 폐쇄시키고, 세척 등을 통해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를 청소할 때 내부 하우징(210)의 상면을 개방시킨다. 이러한 덮개부(220)는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20)는 공기가 유입되는 기체유입홀(222)이 형성되고, 상기 기체유입홀(222)을 통해 유입된 후 내부 하우징(21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기체배출홀(224)이 형성되며, 멸균제가 유입되는 멸균제유입홀(226)이 형성된다. 이때, 기체유입홀(222)과 기체배출홀(224) 및 멸균제유입홀(226)은 덮개부(2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덮개부(220)는 내부 하우징(210)과 안정적인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을 통해 내부 하우징(210)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하우징(210)의 외부면 상단에는 걸림고리(214)가 구비될 수 있고, 덮개부(220)의 외부면 하단에는 걸림고리(214)가 결합되는 걸림바(22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걸림바(228)는 종축단면이 '∪'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배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부는 외부 케이스(100)와 내부 케이스(200)의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1 배관 내지 제5 배관이 포함된다.
상기 제1 배관(310)은 외부 케이스(100)의 기체유입구(112)와 내부 케이스(200)의 기체유입홀(222)을 연결하는 배관으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 케이스(200)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배관(320)은 외부 케이스(100)의 기체배출구(114)와 내부 케이스(200)의 기체배출홀(224)을 연결하는 배관으로, 휘발된 멸균제를 포함하는 공기가 외부 케이스(100)의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3 배관(330)은 외부 케이스(100)의 멸균제유입구(116)와 내부 케이스(200)의 멸균제유입홀(226)을 연결하는 배관으로, 외부로부터 주입된 멸균제가 내부 케이스(200)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제4 배관(미도시)은 외부 케이스(100)와 공기조화기(10)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외부 케이스(100)의 기체배출구(114)를 통해 일단이 제2 배관(320)과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공기조화기(10)와 연결된다.
상기 제5 배관(미도시)은 외부 케이스(100)와 멸균제 저장탱크(미도시)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외부 케이스(100)의 멸균제유입구(116)를 통해 일단이 제3 배관(330)과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멸균제 저장탱크와 연결된다. 이때, 멸균제 저장탱크는 외부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내부 케이스(200)의 내부로 공급되는 액상형 멸균제를 보관하는 구성으로, 제5 배관을 통해 외부 케이스(100)와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펌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400)는 제1 배관(3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한 공기 등의 기체를 기체유입구를 통해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내부 하우징(210)으로 공급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600)는 외부 케이스(100)의 외측에 설치되며 전원공급장치(500) 및 펌프(400)에 연결되는 것으로,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장치(500) 및 펌프(40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이러한 스위치(600)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를 작동시켜 공기조화기 내부의 세균번식을 차단하고, 액상형 멸균제의 사용량을 줄여줄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UV LED 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LED 모듈(700)은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공급장치(500)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해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UV LED바(710)와 UV LED(7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UV LED바(710)는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UV LED(720)가 실장될 수 있는 바형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UV LED바(710)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기판, 컴퍼지트(compogite base material) 기판, 연성(flexible base material) 기판, 세라믹(ceramic base material) 기판, 또는 금속(metal cored base material) 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UV LED(720)는 UV LED바(710)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내부 하우징(210)을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멸균시킨다.
상기 UV LED(720)로는 UV-A(315~400nm)나 UV-C(250~280nm)를 조사하는 UV LED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부 하우징(210)에 광촉매가 구비된 경우 UV LED 모듈(700)의 UV LED(720)로는 365㎚~380㎚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UV LED(720)의 파장이 365㎚ 미만이면 멸균기능이 향상될 수도 있지만 출력이 50% 이상으로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UV LED(720)의 파장이 380㎚를 초과하면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를 통과하는 기체에 대한 멸균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내부 하우징(210)은 내측면에 광촉매가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광촉매는 어떤 화학반응에서도 자신은 변화하지 않고 반응속도를 변화시키거나 반응을 개선시키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촉매의 한 종류로서 촉매작용이 빛에너지를 받아 일어나는 물질이다. 이러한 광촉매에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는 산화티타늄(TiO2). 산화아연(ZnO), 황하카드뮴(CDS), 지르코니아(ZRO2), 산화주석(SNO2), 산화바나듐(V2O2). 산화텅스텐(WO3) 등이 있다.
상기 광촉매는 멸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과 접촉되면 산화 반응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담배연기, 바이러스, 세균, VOCs 등의 각종 불순물과 유해입자 구조를 0.0001미크론 입자까지 파괴하여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로 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화티타늄(TiO2) 등의 광촉매에 빛이 닿아 발생한 전자(e-), 정공(h+)은 각각 공기 중에 O2, H2O와 반응을 일으켜 산화티탄 표면에 슈퍼옥사이드음이온, 수산라디칼 2종의 활성산소를 생성하게 된다. 특히 수산라디칼은 높은 산화, 환원 전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NOx, SOx,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각종 악취 정화에 탁월하고, 폐수, 오수, 오염물질, 환경호르몬 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류, 박테리아 등을 99%이상 살균하는 등 대상물질을 산화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다. 또한 빛이 조사되면 산화티탄을 구성하고 있는 산소 2개중 하나와 공기 중의 H2O가 반응하여 친수성이 매우 좋은 친수기(-OH)가 생성되어 산화티탄 표면은 오염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내오염성을 갖게 되며, 부착된 오염물질은 물에 의해 쉽게 세척되는 자정성을 갖는다. 또한, 반응후의 부산물은 물과 CO2로 환경에 무해한 물질이다.
이와 같이, 광촉매는 자신은 변하지 않으면서 자외선에 의해 화학반응을 촉진할 수 있거나 촉매작용을 갖게 되는 반영구적인 물질이다. 또한, 광촉매는 특별한 에너지를 가하지 않고 자외선 등의 빛만으로 오염물질을 분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해유기물의 광분해와, 대기 오염물질의 광산화와 환원과, 각종 병원균의 살균 및 항균작용에도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부유세균 측정기(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세균 측정기(800)는 공기조화기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부유세균을 측정하며,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균이 감지되면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부유세균 측정기(800)로는 어떠한 세균 측정기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액상형 멸균제를 포함한다.
상기 액상형 멸균제는 멸균제 저장탱크에서 보관되다가 제3 배관(330) 및 제5 배관을 통해 내부 하우징(210)에 수용되는 것으로, 내부 하우징(210) 및 제4 배관을 통과해 공기조화기로 이동하는 공기에 휘발된 멸균제를 제공한다.
상기 액상의 멸균제는 상온에서 휘발될 수 있도록 식물성 에탄올 22 내지 28 중량%와, 정제수 65 내지 75 중량%, 및 유칼립투스 오일 3 내지 7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물성 에탄올은 유칼립투스 오일을 용해시키고 액상의 멸균제를 상온에서 휘발시켜 유칼립투스 오일을 내부 하우징(210)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체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식물성 에탄올이 22 중량%의 미만으로 혼합되면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멸균시킬 수 있는 유칼립투스 오일을 공기조화기로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식물성 에탄올이 28 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멸균제의 휘발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져 액상형 멸균제의 사용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식물성 에탄올 및 유칼립투스 오일과 혼합되어 식물성 에탄올 및 유칼립투스 오일을 유화 또는 용해시키는 것으로, 식물성 에탄올에 의한 유칼립투스 오일의 휘발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유칼립투스 오일은 휘발성이 강한 오일로, 공기조화기(10)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을 멸균시키고, 상기 공기에 시원하고 상쾌한 자연의 향기를 부여한다. 이러한 유칼립투스 오일이 3 중량%의 미만으로 혼합되면 공기조화기(10)를 통과하는 공기를 멸균시키는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유칼립투스 오일이 7 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공기조화기(10)를 통과하는 공기에 부여되는 향이 강해져서 민감한 사람에게 거부감이 느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전원공급장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500)는 외부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용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펌프(4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전원공급장치(500)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상용전원을 펌프(400)에 사용가능한 전압으로 변환시킨 후, 변환된 전압의 전원을 펌프(400)에 공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는 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0)는 펌프(400), 전원공급장치(500), 스위치(600), 부유세균 측정기(8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부유세균 측정기(800)로부터 수신된 이상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장치(500) 및 펌프(40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00)는 정기적으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가 동작하도록 전원공급장치(500) 및 펌프(400)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부유세균 측정기(800)로부터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정기적인 동작과 별개로 공기조화기용 멸균장치가 동작하도록 전원공급장치(500) 및 펌프(40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필요에 따라, 제어부(900)는 UV LED 모듈(7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 부유세균 측정기(800)로부터 수신된 이상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장치(500)와 펌프(400) 및 UV LED 모듈(70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외부 케이스 110 : 외부 하우징
112 : 기체유입구 114 : 기체배출구
116 : 멸균제유입구 120 : 개폐도어
200 : 내부 케이스 210 : 내부 하우징
212 : 투광패널 214 : 걸림고리
220 : 덮개부 222 : 기체유입홀
224 : 기체배출홀 226 : 멸균제유입홀
228 : 걸림바 310 : 제1 배관
320 : 제2 배관 330 : 제3 배관
400 : 펌프 500 : 전원공급장치
600 : 스위치 700 : UV LED 모듈
800 : 부유세균 측정기 900 : 제어부

Claims (7)

  1. 기체유입구와 기체배출구 및 멸균제유입구가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며 상기 전면에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 외부 하우징, 및 상기 개방된 전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외부 하우징에 설치된 개폐도어가 포함된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하우징의 중공에 내장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상면에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 내부 하우징, 및 상기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내부 하우징의 상면에 안착되며 기체유입홀과 기체배출홀 및 멸균제유입홀이 형성된 덮개부가 포함된 내부 케이스;
    상기 기체유입구와 기체유입홀을 연결하는 제1 배관과, 상기 기체배출구 및 기체배출홀을 연결하는 제2 배관과, 상기 멸균제유입구 및 멸균제유입홀을 연결하는 제3 배관, 및 상기 기체배출구를 통해 일단이 제2 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공기조화기와 연결된 제4 배관이 포함된 배관부;
    상기 제1 배관에 설치되어 기체유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내부 하우징으로 공급하는 펌프;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내부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 및 제4 배관을 통과해 공기조화기로 이동하는 공기에 휘발된 멸균제를 제공하는 액상형 멸균제; 및
    상기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고, 외부의 상용전원과 연결되며, 상기 펌프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 및 펌프에 연결되며, 관리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장치 및 펌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배출구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로부터 배출된 공기의 부유세균을 측정하며,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세균이 감지되면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부유세균 측정기; 및
    상기 부유세균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이상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장치 및 펌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전면에 수용된 액상형 멸균제의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광패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형 멸균제는
    식물성 에탄올 22 내지 28 중량%와, 정제수 65 내지 75 중량%, 및 유칼립투스 오일 3 내지 7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기체유입홀로 유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LED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부에서 내부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되는 액상형 멸균제를 보관하는 멸균제 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는 상기 멸균제유입구를 통해 일단이 제3 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멸균제 저장탱크와 연결된 제5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KR1020220114083A 2022-09-08 2022-09-08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KR20240035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083A KR20240035073A (ko) 2022-09-08 2022-09-08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083A KR20240035073A (ko) 2022-09-08 2022-09-08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073A true KR20240035073A (ko) 2024-03-15

Family

ID=9027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083A KR20240035073A (ko) 2022-09-08 2022-09-08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507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990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이아이라이팅 자외선 살균 공조기
KR102204837B1 (ko) 2020-04-16 2021-01-20 김원국 공간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조 장치
KR102325490B1 (ko) 2021-07-22 2021-11-12 주식회사 쏠라페 공기의 상향 이동 방식에 의해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정화효율이 향상되며 가습과 플라즈마 살균 기능을 구비하여 토탈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라즈마 살균 청정기
KR102433998B1 (ko) 2022-01-05 2022-08-19 이세호 공조장치용 살균탈취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990A (ko)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이아이라이팅 자외선 살균 공조기
KR102204837B1 (ko) 2020-04-16 2021-01-20 김원국 공간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조 장치
KR102325490B1 (ko) 2021-07-22 2021-11-12 주식회사 쏠라페 공기의 상향 이동 방식에 의해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동시에 정화효율이 향상되며 가습과 플라즈마 살균 기능을 구비하여 토탈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라즈마 살균 청정기
KR102433998B1 (ko) 2022-01-05 2022-08-19 이세호 공조장치용 살균탈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278B1 (ko) 살균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102376809B1 (ko) 자동차용 공기정화시스템
US7510470B2 (en) Safe rooms and other such spaces and air processing systems for such safe rooms and spaces
KR102376807B1 (ko) 이동형 자외선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용 공기정화장치
KR102026878B1 (ko) 에어컨 공기 정화 시스템
WO2009124428A1 (zh) 具有二氧化氯消毒器的光触媒杀菌消毒机
CN115297901A (zh) 空气净化和灭菌单元
KR100776386B1 (ko) 나노복합 광촉매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240035073A (ko) 공기조화기용 습식 멸균장치
KR102469750B1 (ko) 증발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공기정화장치
KR20090072364A (ko) 필터를 구비한 습식 공기청정기
KR100565775B1 (ko) 광촉매 필터유닛 및 이를 채용한 공기조화장치
KR20090018406A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20240035072A (ko) 공기조화기용 건식 멸균장치
KR20050020065A (ko) 공기정화기
KR20100106173A (ko) 공기 살균 환기 시스템
KR20230114761A (ko) 자외선 공기살균기
KR102642362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200367963Y1 (ko) 공기청정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KR20230069398A (ko) 공기조화기 필터용 멸균장치
KR20240004017A (ko) 공기 정화 살균 기능을 가지는 팬필터 유니트
KR100567670B1 (ko) 엘리베이터의 자외선 살균장치
KR100499315B1 (ko) 광촉매가 코팅된 금속 플레이트 및 실리카겔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KR100643751B1 (ko) 광고판을 겸한 엘리베이터용 살균기
KR200331063Y1 (ko) 실내 공기 냉, 난방 및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