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625A - Air Flow Mat and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reof - Google Patents

Air Flow Mat and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625A
KR20240034625A KR1020230034345A KR20230034345A KR20240034625A KR 20240034625 A KR20240034625 A KR 20240034625A KR 1020230034345 A KR1020230034345 A KR 1020230034345A KR 20230034345 A KR20230034345 A KR 20230034345A KR 20240034625 A KR20240034625 A KR 20240034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irflow
lower side
ai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3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복술
Original Assignee
이복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술 filed Critical 이복술
Publication of KR20240034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6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6Flooring, e.g. parquet on flexible web, laid as flexible webs; Web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flooring; Parquet on flexible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분에 평면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플레이트부의 하측면에 마련되고, 플레이트부의 하측면과 바닥면 사이의 이격공간을 마련하여 주며, 이격공간 내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에어펌핑단위체; 및 플레이트부의 사방 외곽 측 또는 하측면 일부분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에어플로우매트 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유로가 마련된 링커부;를 포함하므로 건축구조물의 바닥면과 매트 사이에 곰팡이 발생을 억제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flow mat and an air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lat surface at least in part; An air pumping uni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providing a spa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the bottom, and causing a flow of air within the space; and a linker portion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r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on all sides,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airflow mat, and provided with an air flow path;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mold between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the mat. A technology that can suppress it is disclosed.

Description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 매트시스템{Air Flow Mat and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reof}Air flow mat and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Air Flow Mat and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플로우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바닥면 부분에 설치되어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매트가 설치된 바닥면에 습기가 차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켜줄 수 있는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flow mat, and more specifically, an airflow mat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to suppress noise and prevent moisture or mold from forming on the floor where the mat is installed. It relates to a mat and an air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또는 복합주거시설 등 건축구조물의 실내 바닥에 낙상방지 및 층간소음 방지, 주방 등의 장소에서 근골격계 질환 방지 및 피로 완화 등의 목적으로 설치하는 매트를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mats are used on the indoor floor of building structures such as houses, apartments, or complex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urposes of preventing falls, preventing noise between floors, and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relieving fatigue in places such as kitchens.

이러한 매트는 필요에 따라 바닥면 상에 설치 또는 제거가 용이하도록 여러 개별매트가 연결되는 형태로 결합 조립하여 시공하게 된다.These mats are constructed by assembling several individual mats so that they can be easily installed or removed from the floor as needed.

이와 같이 실내 바닥면 상에 매트를 깔아 배치하여 시공을 하는 경우 매트와 바닥면 사이에 습기가 차게 되며, 나아가 매트와 바닥면 사이에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어 실내 위생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In this way, when construction is carried out by laying a mat on the indoor floor, moisture accumulates between the mat and the floor, and further, mold occurs between the mat and the floor, which worsens the indoor sanitary environment.

따라서, 층간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매트가 설치된 바닥면에 습기가 차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켜줄 수 있는 매트에 관한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at technology that can suppress the generation of inter-floor noise and prevent moisture or mold from forming on the floor where the mat is install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41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34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구조물의 바닥면에 매트가 설치되어도 바닥면과 매트 사이에 습기가 차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켜줄 수 있는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s an airflow mat that can prevent moisture or mold from forming between the floor and the mat even when the ma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The aim is to provide an airflow mat system including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는 건축구조물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소음발생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매트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평평한 평면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의 빈 이격공간을 마련하여 주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이격공간의 체적을 변화시켜 상기 이격공간 내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에어펌핑단위체;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방 외곽 측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일부분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 링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mat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to reduce noise generation,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A plate portion having a flat surface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At least one plat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vide an empty spa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the floor, an air pumping unit that is deformed by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and changes the volume of the spaced space to cause a flow of air in the spaced space; and a linker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 outer sides of the plate portion or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airflow mat, and provided with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paced space side. Inclusion can also be considered a feature.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상기 링커부에 마련된 커넥팅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커넥팅블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the plate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block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a connecting groove provided in the linker portion of the other neighboring air flow mat.

여기서, 상기 링커부에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에 마련된 커넥팅블록과 결합될 수 있는 커넥팅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nother feature may be that the link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groove that can be coupled to a connecting block provided on the side of another adjacent air flow mat.

여기서, 상기 바닥면에 접하거나 대향하는 상기 링커부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과 상기 링커부의 하측면 사이가 이격되는 상기 공기유로가 마련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in contact with or opposing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be stepped or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so that the air flow path is provided to be spac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It can also be used as another feature.

여기서, 상기 에어펌핑단위체는, 외력에 대응하여 압축되거나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력성이 구비된 다수개의 필러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필러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상기 이격공간 또는 상기 이격공간 내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공기유로를 마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Here, the air pump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fillers that are compress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or have elasticity that can return to its original form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the plurality of fill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paration space. Alternatively, another feature may be providing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move within the spaced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은 건축구조물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소음발생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에어플로우매트; 및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와 결합하여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외곽을 마감해주는 제1종 매트마감재;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 매트시스템으로서, 상기 에어플로우매트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평평한 평면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의 빈 이격공간을 마련하여 주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이격공간 내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에어펌핑단위체;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방 외곽 측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일부분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과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 링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종 매트마감재는,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상기 링커부에 마련된 상기 커넥팅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커넥팅블록이 하측면 일부분에 마련되어 있고, 하측면의 다른 일부분에는 상기 매트의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An airflow ma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airflow mat tha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and can reduce noise generation; and a first-type mat finishing material that combines with the airflow mat to finish the exterior of the airflow mat, wherein the airflow mat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n upper or lower side. A plate portion having a flat surface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At least one plat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vide an empty spa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the floor, An air pumping unit that is deformed by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and causes a flow of air in the spaced space; and a linker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 outer sides of the plate portion or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airflow mat, and provided with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paced space side. Includes,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a connecting block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connecting groove provided in the linker portion of the airflow mat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lower side, and the mat is provided on another portion of the lower side. An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ide of is provided, and one feature may be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은 건축구조물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소음발생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에어플로우매트 및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와 결합하여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외곽을 마감해주는 제2종 매트마감재;를 포함하는 매트시스템으로서, 상기 에어플로우매트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평평한 평면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의 빈 이격공간을 마련하여 주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이격공간 내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에어펌핑단위체;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방 외곽 측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일부분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과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 링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종 매트마감재는,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에 마련된 상기 커넥팅블록과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커넥팅홈이 상측 일부 부분에 마련되어 있고, 하측면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매트의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면의 일부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An airflow ma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n airflow mat tha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and can reduce noise generation, and the airflow mat is combined with the airflow mat to A mat system comprising a second type of mat finishing material that finishes the outside of the flow mat, wherein the air flow mat includes: a plat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flat surface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r lower side; At least one plat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vide an empty spa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the floor, An air pumping unit that is deformed by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and causes a flow of air in the spaced space; and a linker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 outer sides of the plate portion or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airflow mat, and provided with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paced space side. It includes, 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the connecting groove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block provided on the airflow mat side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and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side is on the space side of the mat. An air passage communicating with is provided, and one feature may be that some parts of the upper side are inclined.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은 건축구조물의 바닥면과 에어플로우매트 사이에 습기가 차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켜줄 수 있으므로, 실내거주환경의 위생상태를 개선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irflow mat and the air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moisture or mold from forming between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the airflow mat, thereby improving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indoor living environment. There i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필러의 응용된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커넥팅블록(410)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링커부의 상측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링커부의 하측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매트마감재와 결합된 링커부의 하측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 매트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 시스템을 도 11과는 다른 각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의 제1종 매트마감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의 제2종 매트마감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상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하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에어플로우매트가 서로 연이어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상측면과 링커부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하측면과 에어펌핑단위체의 다른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하측면의 에어펌핑단위체와 커넥팅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ttom of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lication of the filler in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cross-section of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block 410 in the air 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ide portion of the linker portion in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in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ide portion of the linker portion combined with the mat finishing material in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mat and an air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one form of an airflow ma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mat and an air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11.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of the airflow ma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of the airflow ma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ide of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ide of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wo airflow ma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ontinuous form.
Figure 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ide and a portion of the linker portion of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air flow mat and other forms of the air pump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air pumping unit and connecting block on the lower side of the air flow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and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provided. can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one component by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components.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airflow mat and an airflow mat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 대하여 설명한 후에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and then the airflow mat system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필러의 응용된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커넥팅블록(410)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링커부의 상측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링커부의 하측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매트마감재와 결합된 링커부의 하측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ttom of the airflow ma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application of filler in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embodiment, and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cross-section of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connecting block in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ide cross-section of (410),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in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schematic view of the upp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and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combined with the mat finishing material in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Air Flow Mat)(10)는 건축구조물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소음발생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매트로서, 플레이트부(100), 에어펌핑단위체(200) 및 링커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10, the Air Flow Ma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t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to reduce noise generation, and has a plate portion ( 100), an air pumping unit 200, and a linker unit 300.

플레이트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평평한 평면이 마련되어 있다. The plate portion 10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provided with a flat plane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r lower side.

플레이트부(100)의 상측면이 평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일부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이나 홈(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may be made of a flat plane, but it is also preferable that a partially stepped portion or groove 115 is formed.

도면에서는 플레이트부(100)의 상측면 상에 단차진 부분을 마련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로 받침블록(110)이 다수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서로 이웃하는 받침블록(110)을 이격시켜주는 홈(115)이 받침블록(110)과 받침블록(11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support blocks 11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vide a stepped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A groove 115 that separates adjacent support blocks 110 from each other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blocks 110 and the support blocks 110 .

이처럼 플레이트부(100)의 상측면에 받침블록(110)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된 부분이나 홈(115)이 있으면, 플레이트부(100)의 상측면 상에 여타 다른 매트가 놓여졌을 때 다른 매트와 플레이트부(100) 사이에 이격된 빈 공간이나 갭이 생기게 된다. 이처럼 이격된 빈 공간이나 갭(gap) 부분이 마련되어 있으면 다른 매트와 플레이트부(100)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으므로 습기가 차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플레이트부(100)의 상측면 상에 쏟아진 물이나 커피처럼 유동성 있는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이격된 빈 공간이나 갭 부분을 통해 매트의 외측으로 흐름이 유도되어 모아질 수 있으므로 매트의 청소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In this way, if there is a stepped portion or groove 115 formed by the support block 110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when another mat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the other mat and the plate An empty space or gap is created between the parts 100. If an empty space or gap is provided in this way, air can flow between the other mat and the plate portion 100,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building up. In addition, when fluid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or coffee spi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unit 100, flow in, the flow can be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mat through the spaced empty space or gap portion and collected, thereby helping with cleaning the mat. It can be.

그리고, 플레이트부(100)의 하측면에는 에어펌핑단위체(200)가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air pumping units 200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에어펌핑단위체(200)는 플레이트부(100)의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플레이트부(100)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상기 플레이트부(100)의 하측면과 건축구조물 바닥면 사이에 빈 이격공간을 마련하여 주며, 플레이트부(100)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이격공간(250) 내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킨다.At least one air pumping unit 20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a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100. An empty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floor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the plate part 100 is deformed by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side, causing a flow of air in the space 250.

즉, 사람의 몸무게 등과 같은 하중이 플레이트부(100)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짐으로 인하여 플레이트부(100)가 변형되면서 이격공간(250)의 체적이 변화된다. 하중이 플레이트부(100)에 가해지면 이격공간(250)의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처럼 이격공간(250)의 체적이 변화되면 이격공간(250) 내 공기의 흐름이 유발된다. 이격공간(250)의 체적이 감소되면 감소된 체적에 해당되는 부피만큼의 공기가 이격공간(250)내에서 외부 또는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공기의 흐름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a load such as a person's body weight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the plate portion 100 is deformed and the volume of the separation space 250 changes.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plate portion 100, the volume of the separation space 250 decreases. In this way, when the volume of the separation space 250 changes, a flow of air within the separation space 250 is induced. When the volume of the separation space 250 is reduced, air corresponding to the reduced volume is pushed outward or outward within the separation space 250, thereby creating an air flow.

그리고 이와 같이 플레이트부(100)와 에어펌핑단위체(20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므로 충격완화와 소음발생을 억제하게 된다.And in this way, since the plate portion 100 and the air pumping unit 200 are elastically deformed, shock is alleviated and noise generation is suppressed.

이러한 에어펌핑단위체(200)는 다수개의 필러(210)를 포함한다. 필러(210)는 외력에 대응하여 압축되거나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력성이 구비되어 있다. This air pumping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illers 210. The filler 210 is compress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or has elasticity to return to its original form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필러(210)는 플레이트부(100)의 하측면 상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나 도면에서와 같이 에어펌핑단위체(200)의 베이스(213)로서 다수개의 필러(210)를 지지해주는 필러베이스(213)가 필러(210)와 플레이트부(100) 하측면 사이에 마련된 형태도 바람직하다. The pillar 21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art 100, but as shown in the figure, the pillar base 213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pillars 210 is the base 213 of the air pumping unit 200. A form provided between the pillar 210 and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is also preferable.

필요에 따라서는 필러베이스(213)의 내측에 오목한 홈을 형성하여 이격공간(250) 내 체적을 좀 더 확보할 수도 있다. 필러베이스(213)의 내측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에어펌핑단위체(200)의 탄력적 변형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증대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If necessary, a concav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pillar base 213 to secure more volume within the separation space 250. It is preferable that a concave groov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pillar base 213 because the amount of air flowing can be increased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air pumping unit 200.

그리고 다수개의 필러(21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이격공간(250) 또는 이격공간(250) 내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공기유로를 마련하여 준다.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fillers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ovide a space 250 or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within the space 250 can move.

한 편, 필러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응용된 실시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following applied embodiments regarding the filler are also fully possible and desirabl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에서 필러의 응용된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pplication of the filler in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필러(210)에 미세돌기(219)가 마련되어 있는 응용된 형태 또한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an applied form in which the filler 210 is provided with fine protrusions 219 is also preferred.

실내 바닥면을 향하는 필러(210)의 헤드부분(217)에 미세돌기(219)가 형성되어 있으면, 기본적으로 필러(210)의 헤드부분(217) 중 미세돌기(219)만이 실내바닥면에 접하게 되므로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축시킬 수 있다. If fine protrusions 219 are formed on the head portion 217 of the pillar 210 facing the indoor floor, basically only the fine protrusions 219 of the head portion 217 of the pillar 210 are in contact with the indoor floor. Therefore, the contact area with the floor can be reduced.

따라서 필러(210)의 미세돌기(219)가 필러(210)와 실내바닥면 간의 접촉면적을 축소시켜주므로 필러(210)의 헤드부분(217)과 실내바닥면 사이에 습기가 차게 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fine protrusions 219 of the filler 210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ller 210 and the indoor floor,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accumulating between the head portion 217 of the filler 210 and the indoor floor. You can.

아울러,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펌핑단위체(200) 사이의 공간에 필러(210)을 배치시켜주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서로 이웃하는 에어펌핑단위체(200) 사이의 간격이 넓게 형성된 경우 에어펌핑단위체(200) 사이에 필러(210)가 개별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형성시켜주면, 서로 이웃하는 에어펌핑단위체(200) 사이의 플레이트(100) 부분이 외부의 압력에 의해 과도하게 휘어지지 않도록 필러(210)가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it is also desirable to arrange the filler 210 in the space between the air pumping units 200. When the gap between neighboring air pumping units 200 is wide, if the filler 210 is formed to be individually arranged between the air pumping units 200, the gap between the neighboring air pumping units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ler 210 can stably support the plate 100 portion so that it is not excessively bent due to external pressure.

링커부(300)는 플레이트부(100)의 사방 외곽 측 적어도 일부분 또는 플레이트부(100)의 하측면 일부분에 배치된다. 이러한 링커부(300)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10) 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링커부(300)를 통해 다른 에어플로우매트(10)와 결합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The linker unit 300 is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 outer sides of the plate portion 100 or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100. This linker portion 300 is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airflow mat 10.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coupled to another airflow mat 10 through the linker unit 300.

그리고 링커부(300)에는 플레이트부(100)의 이격공간(250)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33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부(100)의 이격공간(250) 측으로부터 이동되어 오는 공기가 링커부(300)의 공기유로(330)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기된다. And the linker unit 300 is provided with an air flow path 3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space 250 side of the plate unit 100. Accordingly, the air moving from the space 250 side of the plate unit 100 flows into the air passage 330 of the linker unit 300 and is exhausted to the outside.

반대로 외부의 공기가 링커부(300)의 공기유로(330)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플레이트부(100)의 이격공간(250) 내로 이동되어 진입될 수도 있다. 이처럼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에어플로우매트(10)와 실내 바닥면 사이에 습기가 차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Conversely, external air may flow into the air passage 330 of the linker unit 300 and move into the space 250 of the plate unit 100. Since air circulation can be achiev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or mold from forming between the airflow mat 10 and the indoor floor.

링커부(300)의 결합에 관련하여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A description regarding the combination of the linker portion 300 is as follows.

플레이트부(100)에는, 이웃하는 다른 에어플로우매트(10)의 링커부(300)에 마련된 커넥팅홈(42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커넥팅블록(410)이 마련되어 있다. The plate part 1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block 410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420 provided in the linker part 300 of another neighboring air flow mat 10.

그리고, 링커부(300)에는, 이웃하는 다른 에어플로우매트(10) 측에 마련된 커넥팅블록(410)과 결합될 수 있는 커넥팅홈(4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inker portion 30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connecting groove 420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block 410 provided on the side of another neighboring airflow mat 10.

커넥팅홈(420)이 링커부(300)의 상측면 상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팅홈(420)은 커넥팅블록(410)의 높이에 비하여 큰 값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connecting groove 4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300. The connecting groove 42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depth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onnecting block 410.

커넥팅블록(410)과 커넥팅홈(420)은 서로 대응되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착탈식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block 410 and the connecting groove 420 are formed in concavo-convex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detachably coupled.

아울러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커넥팅블록(410)은 일단측의 반경이 중간부분의 반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단면의 형태가 T자 형태처럼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referred to in FIG. 7, 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one end of the connecting block 410 is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middle portion, so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like a T shape.

특히 커넥팅블록(410)의 일단측의 테두리가 둥글게 형성(412)되면 커넥팅블록(410)이 커넥팅홈(420)에 삽입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커넥팅블록(410)이 커넥팅홈(420)으로부터 무단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커넥팅블록(410)의 일부 테두리부분이 각이지게 형성(414)된 것도 바람직하다. 커넥팅블록(410)에서 각이 진 부분(414)이 커넥팅홈(420) 내에 걸리므로 커넥팅블록(410)이 커넥팅홈(420)으로부터 무단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of one end of the connecting block 410 is rounded (412) because the connecting block 410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420. Also, it is preferable that some edges of the connecting block 410 are angled (414) to prevent the connecting block 4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groove 420. Since the angled portion 414 of the connecting block 410 is caught within the connecting groove 420, the connecting block 4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groove 420.

그리고 링커부(300)의 상측면 중 커넥팅홈(420) 주변의 표면은 커넥팅홈(420)의 내측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urface around the connecting groove 420 among the upper surfaces of the linker portion 3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groove 420.

즉,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물(異物)이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면 링커부(300)의 상측면 상에서 측면 또는 사선 방향으로 흘러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고 커넥팅홈(42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커넥팅홈(420) 주변의 표면이 커넥팅홈(420)의 내측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450)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울어지게 형성된 부분(450)을 이물받이가이드(450)라고 칭할 수 있다.That is, as referred to in FIG. 8, when a foreign substance flows in from the upper side, it flows in a side or diago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300 and can flow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groove 420 without leaking to the outside. It is desirable that the surface 450 around the connecting groove 420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groove 420. The portion 450 formed to be inclined in this way may be referred to as a foreign matter receiving guide 450.

이와 같이 링커부(300)의 상측면에서 커넥팅홈(420)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표면부분인 이물받이가이드(450)가 형성되어 있으면 커넥팅홈(420)의 내측으로 액체 이물질이 모이기 쉬우므로 매트의 청소관리 및 위생관리에 도움이 된다. In this way, if the foreign matter receiving guide 450, which is a surface portion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groove 42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linker part 300, liquid foreign substances are likely to collect inside the connecting groove 420, so the mat It is helpful for cleaning and hygiene management.

그리고, 건축구조물의 실내 바닥면에 접하거나 대향하는 링커부(300)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 바닥면과 링커부(300)의 하측면 사이가 이격되는 공기유로(330)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unit 300 that contacts or faces the indoor floor of the building structure is formed to be stepped or in the form of a concave groove,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indoor floor and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unit 300. It is desirable that spaced apart air passages 330 are provided.

이를 위해 링커부(300)의 하측면에 음각(陰刻)된 형태 또는 오목한 홈의 형태로 공기유로(330)가 형성되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또는 링커부(300)의 하측면 상에 서포트빔(350)이 양각(陽刻)된 형태로서 다수 배치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서포트빔(340) 사이에 공기유로(330)가 마련되어 있다고 표현을 달리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For this purpose,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air passage 33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ngraving or a concave groove on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300. Alternatively, it can be expressed that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350 are formed in an embossed form on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unit 300, and an air flow path 330 is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support beams 340. It can be explained differently.

공기유로(330)의 패턴형태 또는 서포트빔(350)이 배치된 형태는 특정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공기유로(330, 340)가 교차하거나 연이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서포트빔(350)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이 도 9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링커부(330) 테두리 끝단까지 못 미치는 짧은 길이로 형성시킨 것도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The pattern shape of the air passage 330 or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support beam 35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air passages 330 and 340 are formed in a form that intersects or is connected in succession.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and preferable to form one end of the support beam 3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short length that does not reach the edge of the edge of the linker portion 330, as shown in FIG. 9.

여기서, 다수개의 서포트빔(350) 사이 사이의 공기유로(330)를 제1 공기유로(330)이라 하고, 다수의 공기유로(330)와 교차 연결되는 공기유로(340)를 제2 공기유로(340)라고 편의상 칭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기유로(330)과 제2 공기유로(34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링커부(300)의 하측면을 음각시켜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링커부(300)의 하측면 상에 다수개의 서포트빔(350)를 양각시켜서 배치된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Here, the air passage 330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350 is called the first air passage 330, and the air passage 340 cross-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330 is called the second air passage ( 340) for convenience. As mentioned above, the first air passage 330 and the second air passage 340 can be formed by engraving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300, and can be formed by engraving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300. The support beam 350 can also be formed in an embossed arrangement.

참고로 제1 공기유로(330)와 제2 공기유로(340)가 링커부(300)의 하측면에 마련되어 있으면, 도 10에서 더 참조되는 바와 같이, 후술할 매트마감재(41)와 결합되는 경우 매트마감재(41)에 형성된 공기유로(4133)와 제1 공기유로(330)가 제2 공기유로(340)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if the first air passage 330 and the second air passage 340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300, as further referenced in FIG. 10, when combined with the mat finishing material 41 to be described later. The air passage 4133 formed in the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the first air passage 33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340.

제2 공기유로(340)가 없는 경우 매트마감재(41)에 마련된 서포트빔(4135)과 링커부(300)의 서포트빔(350)과 동일한 선상에 놓이게 결합되면 제1 공기유로(330)와 매트마감재(41)의 공기유로(4133)가 연통되므로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re is no second air passage 340, when the support beam 4135 provided on the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the support beam 350 of the linker unit 300 are combined to lie on the same line, the first air passage 330 and the mat Since the air passage 4133 of the finishing material 41 is connected, air circulation can be achieved.

하지만, 매트마감재(41)에 마련된 서포트빔(4135)과 링커부(300)의 서포트빔(350)과 동일한 선상에 놓이지 않고, 매트마감재(41)의 서포트빔(4135)의 일측단이 제1 공기유로(330)를 막는 형태로 결합되면 매트마감재(41)의 공기유로(4133)와 제1 공기유로(330)이 연통되지 못하여 공기순환이 곤란하게 될 수도 있다.However, the support beam 4135 provided in the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the support beam 350 of the linker unit 300 are not placed on the same line, and one end of the support beam 4135 of the mat finishing material 41 is the first If combined in a way that blocks the air passage 330, the air passage 4133 of the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the first air passage 330 may not communicate, making air circulation difficult.

따라서, 제2 공기유로(340)가 마련되어 있으면, 매트마감재(41)에 마련된 서포트빔(4135)과 링커부(300)의 서포트빔(350)과 동일한 선상에 놓이게 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매트마감재(41)에 형성된 공기유로(4133)와 제1 공기유로(330)가 제2 공기유로(3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Therefore, if the second air flow path 340 is provided, regardless of whether the support beam 4135 provided in the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the support beam 350 of the linker unit 300 are placed on the same line, the mat finish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air passage 4133 formed at (41) and the first air passage 330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340.

매트마감재(41)와 매트마감재의 공기유로(4133)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제2 공기유로(340)와 같은 공기유로가 매트마감재(41) 측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A description of the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the air passage 4133 of the mat finishing material will be described later, but it is also possible for an air passage such as the second air passage 340 to be provided on the mat finishing material 41 side.

이와 같이 마련된 다수개의 서포트빔(350) 또는 공기유로(330, 340)에 의해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Air circulation can be achiev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350 or air passages 330 and 340 provided in this way.

즉, 이와 같이 형성된 링커부(300)의 공기유로(330, 340)는 플레이트부(100)의 하측면에 마련되는 이격공간(250)과 연통되므로 외부로부터 공기가 이격공간(25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반대로 이격공간(250)내로부터 외부로 공기가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플로우매트(10)와 실내 바닥면 사이에 습기가 차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That is, the air passages 330 and 340 of the linker unit 300 formed in this way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space 25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unit 100, so that air flows into the separation space 250 from the outside. Alternatively, air may be exhausted from within the space 250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formation of moisture or mold between the air flow mat 10 and the indoor floor is suppressed.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에어플로우매트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5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air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airflow ma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S. 11 to 15.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 매트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의 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 시스템을 도 11과는 다른 각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의 제1종 매트마감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의 제2종 매트마감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flow mat and an air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schematically shows a form of an airflow ma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ir flow mat and an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ure 11, and Figure 14 is an air 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 section of a type 1 mat finishing material of a flow mat system, and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type 2 mat finishing material of an air flow ma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5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1)은, 건축구조물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소음발생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에어플로우매트(10); 및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와 결합하여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외곽을 마감해주는 제1종 매트마감재(41); 또는 제2종 매트마감재(42);를 포함한다.Referring further to FIGS. 11 to 15, the airflow mat system 1 including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flow mat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to reduce noise generation. mat (10); and a first-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that is combined with the airflow mat and finishes the exterior of the airflow mat; Or a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2).

여기서 에어플로우매트(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로 대신하기로 한다.Here, the airflow mat 1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it will be replaced with the one described above.

그리고 제1종 매트마감재(41) 또는 제2종 매트마감재(42)로 구분하여 칭해질 수 있는 매트마감재(41, 42)는 기본적으로 에어플로우매트(10)의 외곽측에 결합되어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상측면 일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에어플로우매트(10)의 이격공간(250) 내 공기의 흐름을 위해 공기유로가 하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매트마감재이다. And the mat finishing materials 41 and 42, which can be classified as a first-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or a second-class mat finishing material 42, are basically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airflow mat 10 to visually provide a visual effect to the user. A mat finishing material that has a form in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side is inclined to reduce the thickness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and in addition, an air flow path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for the flow of air in the separation space 250 of the airflow mat 10. am.

이러한 매트마감재(41, 42)는 에어플로우매트(10)와의 결합을 위한 외형에 다소 차이가 있으며, 외형에 따라 구분하기 위하여 제1종 매트마감재(41)와 제2종 매트마감재(42)로 편의상 칭하는 것이다. These mat finishing materials (41, 42) have some differences in appearance for combination with the airflow mat (10), and are divided into type 1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type 2 mat finishing material (42) in order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appearance. It is called this for convenience.

제1종 매트마감재(41)는 에어플로우매트(10)의 링커부(300)에 마련된 커넥팅홈(42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커넥팅블록(4141)이 하측면 일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종 매트마감재(41)의 하측면의 다른 일부분에는 에어플로우매트(10)의 이격공간(250)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413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 부분(415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lower side with a connecting block 4141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420 provided in the linker portion 300 of the airflow mat 10. And, in another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an air passage 4133 is provided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250 side of the air flow mat 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ide 4150 It is formed slopingly.

참고로 제1종 매트마감재(41)의 공기유로(4133)에 관련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링커부(300)의 하측면에 형성된 공기유로(330), 서포트빔(350)에 대한 설명과 대동소이하다고 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air passage 4133 of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air passage 330 and the support beam 35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300 described above. can do.

제1종 매트마감재(41)의 하측면에 음각(陰刻)된 형태 또는 오목한 홈의 형태로 공기유로(4133)가 형성되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또는 제1종 매트마감재(41)의 하측면 상에 서포트빔(4135, 도 10참조)이 양각된 형태로서 다수 배치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서포트빔(4135, 도 10참조) 사이에 공기유로(4133)가 마련되어 있다고 표현을 달리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air passage 4133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ngraving or a concave groove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4135, see Figure 10) are formed in an embossed form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an air flow path is formed between neighboring support beams (4135, see Figure 10). (4133) can be explained differently by saying that it is provided.

참고로, 다수개의 서포트빔(4135, 도 10참조) 사이 사이의 공기유로(4133)를 제1 공기유로(4133)라고 하면, 다수의 제1 공기유로(4133)와 교차 연결되는 공기유로인 제2 공기유로(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if the air passage 4133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4135 (see FIG. 10) is called the first air passage 4133, the first air passage 4133 is cross-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rst air passages 4133. 2 It is also desirable to provide an air flow path (not shown).

이와 같은 제1종 매트마감재(41)는 커넥팅블록(4141)이 에어플로우매트(10)의 커넥팅홈(420)에 삽입되어 끼워짐으로서 제1종 매트마감재(41)와 에어플로우매트(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에어플로우매트(10)의 커넥팅홈(420)을 가려주므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안정감있는 느낌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In this type 1 mat finishing material 41, the connecting block 4141 is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420 of the airflow mat 10, thereby forming the type 1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the airflow mat 10. can be combined, and since it covers the connecting groove 420 of the air flow mat 10, it can provide a visually stable feeling to the user.

제2종 매트마감재(42)는 에어플로우매트(10) 측에 마련된 커넥팅블록(410)과 결합될 수 있는 커넥팅홈(4242)이 상측 일부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종 매트마감재(42)의 하측면 적어도 일부분에는 에어플로우매트(10)의 이격공간(250)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423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면의 일부 부분(425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groove 4242 on the upper part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block 410 provided on the airflow mat 10 side.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2 is provided with an air passage 4233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paration space 250 side of the air flow mat 10, and a portion of the upper side 4250 is inclined. It is formed.

제2종 매트마감재(42)의 하측면에 음각(陰刻)된 형태 또는 오목한 홈의 형태로 공기유로(4233)가 형성되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또는 제2종 매트마감재(42)의 하측면 상에 서포트빔이 양각된 형태로서 다수 배치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웃하는 서포트빔 사이에 공기유로(4233)가 마련되어 있다고 표현을 달리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air flow path 4233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ngraving or a concave groove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2. Alternatively, it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by saying that a plurality of support beams are formed in an embossed form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2, and an air flow path 4233 is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support beams. .

참고로, 앞서 제1종 매트마감재(41)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2종 매트마감재(42)에 마련된 다수개의 서포트빔 사이 사이의 공기유로(4233)를 제1 공기유로(4233)라고 하면, 다수의 제1 공기유로(4233)와 교차 연결되는 공기유로인 제2 공기유로(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as described above with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if the air passage 4233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eams provided in 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2 is referred to as the first air passage 4233, It is also desirable to provide a second air passage (not shown), which is an air passage that is cross-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rst air passages 4233.

이와 같은 제2종 매트마감재(42)는 커넥팅홈(4242)에 에어플로우매트(10)의 커넥팅블록(410)이 삽입되어 끼워지므로 에어플로우매트(10)에 2종 매트마감재(42)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is type 2 mat finishing material 42 is fitted by inserting the connecting block 410 of the airflow mat 10 into the connecting groove 4242, so that the type 2 mat finishing material 42 is stable in the airflow mat 10. can be combined.

그리고 제1종 매트마감재(41)와 제2종 매트마감재(42)에는 에어플로우매트(10)의 이격공간(250)과 연통되는 공기유로(4133, 423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에어플로우매트의 이격공간(250)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외부로 배기되거나 반대로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에어플로우매트(10)와 바닥면 사이의 습기제거 또는 곰팡이 발생억제에 도움이 된다.In addition,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and 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2) are provided with air passages (4133, 4233) that communicate with the separation space (250) of the airflow mat (10), so that the separation space of the airflow mat (10) is provided. Since the air within (250) can be smoothly exhausted to the outside or, conversely, drawn in, it is helpful in removing moisture between the air flow mat (10) and the floor surface or suppressing the growth of mold.

아울러 에어플로우매트(10)의 모서리 또는 귀퉁이 부분에 배치되어 제1종 매트마감재(41) 또는 제2종 매트마감재(42)를 모서리 또는 귀퉁이에서 이어주는 모서리매트마감재(44)를 더 포함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서리매트마감재(44)의 하측면도 단차지거나 오목한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sufficient to further include a corner mat finishing material 44 that is disposed at the corner or corner of the airflow mat 10 and connects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1 or 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42 at the corner or corner. It is possible and desi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ide of the corner mat finishing material 44 also has a stepped or concave groove formed.

참고로,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에어플로우매트(10)에 다수개의 매트마감재(41, 42)가 결합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수개의 에어플로우매트(10)가 다양한 조합으로 연이어 결합될 수 있으며, 임의의 조합형태로 결합된 다수개의 에어플로우매트(10)의 외곽 측에 다수개의 매트마감재(41,42)가 결합될 수 있다.For reference, Figures 6 to 10 illustrat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mat finishing materials 41 and 42 are combined with one airflow mat 10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but a plurality of airflow mats ( 10) can be combined in succession in various combinations, and a plurality of mat finishing materials 41 and 42 can be combined on the outer side of the plurality of airflow mats 10 combined in any combination form.

아울러, 도 16 내지 도 2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referenced in FIGS. 16 to 21, other forms of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ossible.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상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하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에어플로우매트가 서로 연이어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상측면과 링커부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하측면과 에어펌핑단위체의 다른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의 하측면의 에어펌핑단위체와 커넥팅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ide of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ide of an airflow ma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wo airflow ma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ontinuous form, and Figure 1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upper side and a portion of the linker portion of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air flow mat and other forms of the air pump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1 schematically shows the air pumping unit and connecting block on the lower side of the air flow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는 상면 및 저면에 공기순환통로가 형성되고, 링커부에는 이물받이를 위한 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넥팅홈 주변의 표면이 내측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동성 있는 이물질이 커넥팅홈 내측으로 이동되어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6 to 21, the air flow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ir circulation passage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surface around the connecting groove is tilted inward so that a guide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can be formed in the linker part. It is formed well. Therefore, fluid foreign substances may move and enter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groove.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에어펌핑단위체가 하측면에 다수 형성되어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에어펌프 역할을 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5와 도 16에서는 각진 형태로 형성된 4개의 필러(210)가 하나의 에어펌핑단위체(200)을 이루고 있으며 내측에 이격공간(250) 내지 공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In addition, a number of air pumping units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to relieve shock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an air pump to allow air to circulate smoothly. 15 and 16 show that four pillars 210 formed in an angular shape form one air pumping unit 200, and a space 250 or an air passage is formed on the inside.

도 20과 도 2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에어펌핑단위체(200) 및 필러(210) 또한 탄력성이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격공간(250)내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는 것이다.The air pumping unit 200 and filler 210 as referenced in FIGS. 20 and 21 are also elastic and are preferable because they can generate air flow within the space 250 as described above.

에어플로우매트의 상측면에 마련되는 공기 순환 통로는 상측에 여타 다른 매트(롤매트, 조립매트 또는 카펫 등)를 올려 놓았을 때 해당 매트와 에어플로우매트 사이에 공기가 용이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습기 및 곰팡이 발생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다.The air circulation passag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airflow mat allows air to easily circulate between the mat and the airflow mat when another mat (roll mat, assembly mat, or carpet, etc.) is placed on the upper side. It can prevent or suppress moisture and mold growth.

링커부의 커넥팅홈 주변의 표면이 기울어지게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이물받이가이드는 이물이 바닥 측으로 유출되어 흐르지 않도록 커넥팅홈 내측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A foreign matter receiving guide provided by sloping the surface around the connecting groove of the linker portion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easily flow inside the connecting groov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out to the bottom.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에어플로우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은 건축구조물의 바닥면과 에어플로우매트 사이에 습기가 차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키고 주거환경의 위생상태를 개선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층간소음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도 있으며, 이물이 바닥측으로 새어 번져나가지 않도록 이물을 받아 커넥팅홈 내측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is way, the airflow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irflow mat system including the same can suppress moisture or mold from forming between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the airflow mat and improve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inter-floor noise by alleviating shock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eive foreign substances and store them inside the connecting groove to prevent them from leaking and spreading to the floor.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way of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described by referr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later.

1 : 에어플로우매트시스템
10 : 에어플로우매트
100 : 플레이트부
200 : 에어펌핑단위체
300 : 링커부
41 : 제1종 매트마감재
42 : 제2종 매트마감재
1: Air flow mat system
10: Air flow mat
100: plate part
200: Air pumping unit
300: Linker part
41: Type 1 mat finishing material
42: Type 2 mat finishing material

Claims (7)

건축구조물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소음발생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매트로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평평한 평면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의 빈 이격공간을 마련하여 주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이격공간 내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에어펌핑단위체;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방 외곽 측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일부분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 링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플로우매트.
A mat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to reduce noise generation,
A plat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flat plane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r lower side;
At least one plat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vide an empty spa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the floor, An air pumping unit that is deformed by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and causes a flow of air in the spaced space; and
A linker portion is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 outer sides of the plate portion or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airflow mat, and is provided with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ide. An airflow mat characterized b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상기 링커부에 마련된 커넥팅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커넥팅블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플로우매트.
According to clause 1,
In the plate portion,
An airflow mat,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block is provided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a connecting groove provided in the linker portion of another neighboring airflow m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부에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에 마련된 커넥팅블록과 결합될 수 있는 커넥팅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플로우매트.
According to clause 1,
In the linker part,
An airflow ma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groov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connecting block provided on the side of another adjacent airflow m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접하거나 대향하는 상기 링커부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되거나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과 상기 링커부의 하측면 사이가 이격되는 상기 공기유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플로우매트.
According to clause 1,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in contact with or facing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in a stepped or concave groove shape, so that the air flow path is provided to space the bottom surface and the lower side of the linker portion. Air flow m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핑단위체는,
외력에 대응하여 압축되거나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력성이 구비된 다수개의 필러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필러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상기 이격공간 또는 상기 이격공간 내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공기유로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플로우매트.
According to clause 1,
The air pumping unit is,
It contains a plurality of fillers with elasticity that can be compressed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or return to its original form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 airflow mat, wherein the plurality of fill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provide the space or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within the space can move.
건축구조물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소음발생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에어플로우매트; 및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와 결합하여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외곽을 마감해주는 제1종 매트마감재;를 포함하는 에어플로우 매트시스템으로서,
상기 에어플로우매트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평평한 평면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의 빈 이격공간을 마련하여 주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이격공간 내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에어펌핑단위체;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방 외곽 측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일부분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과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 링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종 매트마감재는,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상기 링커부에 마련된 상기 커넥팅홈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커넥팅블록이 하측면 일부분에 마련되어 있고, 하측면의 다른 일부분에는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플로우 매트시스템.
An airflow mat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to reduce noise generation; And a first-type mat finishing material that is combined with the airflow mat and finishes the outside of the airflow mat. An airflow mat system comprising a.
The airflow mat,
A plat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flat plane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r lower side;
At least one plat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vide an empty spa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the floor, An air pumping unit that is deformed by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and causes a flow of air in the spaced space; and
A linker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 outer sides of the plate portion or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airflow mat, and provided with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paced space side; Contains,
The first type mat finishing material is,
A connecting block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connecting groove provided in the linker portion of the airflow mat is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lower side, and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pace side of the airflow mat is provided on another portion of the lower side. is provide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Airflow mat system.
건축구조물의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소음발생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에어플로우매트 및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와 결합하여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외곽을 마감해주는 제2종 매트마감재;를 포함하는 매트시스템으로서,
상기 에어플로우매트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면 또는 하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평평한 평면이 마련된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시켜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과 상기 바닥면 사이의 빈 이격공간을 마련하여 주며,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이격공간 내 공기의 흐름을 유발시키는 에어펌핑단위체;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방 외곽 측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하측면 일부분에 배치되고, 이웃하는 다른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과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 링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종 매트마감재는,
상기 에어플로우매트 측에 마련된 상기 커넥팅블록과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커넥팅홈이 상측 일부 부분에 마련되어 있고, 하측면 적어도 일부분에는 상기 에어플로우매트의 상기 이격공간 측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측면의 일부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플로우 매트시스템.
A mat system comprising an airflow mat that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building structure and can reduce noise generation, and a type 2 mat finishing material that combines with the airflow mat to finish the exterior of the airflow mat,
The airflow mat,
A plat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flat plane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or lower side;
At least one plate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height to provide an empty space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ection and the floor, An air pumping unit that is deformed by a load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plate portion and causes a flow of air in the spaced space; and
A linker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our outer sides of the plate portion or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plate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another adjacent airflow mat, and provided with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paced space side; Contains,
The second type mat finishing material is,
The connecting groove that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block provided on the airflow mat side is provided in a part of the upper part, and an air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separation space side of the airflow mat is provided in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Characterized in that some parts of the side are inclined,
Airflow mat system.
KR1020230034345A 2022-09-07 2023-03-16 Air Flow Mat and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reof KR2024003462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3254 2022-09-07
KR1020220113254 2022-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625A true KR20240034625A (en) 2024-03-14

Family

ID=902492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345A KR20240034625A (en) 2022-09-07 2023-03-16 Air Flow Mat and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reof
KR1020230042567A KR20240034627A (en) 2022-09-07 2023-03-31 Air Flow Mat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567A KR20240034627A (en) 2022-09-07 2023-03-31 Air Flow Ma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4003462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416A (en)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 Self assembly m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416A (en) 2014-03-03 2015-09-11 주식회사 에스케이에프 Self assembly m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627A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654B1 (en) Floor panel
US4468910A (en) Mat module with ramp strip
KR20120102656A (en) Planting container
KR20240034625A (en) Air Flow Mat and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reof
JP2008526412A (en) Modular mat
KR20240034624A (en) Edge Mat and Air Flow Mat System including thereof
KR102184096B1 (en) Support assembly for water tank
KR20190002637U (en) Prefabricated safety mat with air circulation structure
JP4947621B2 (en) Mat
US10188210B2 (en) Leveling device
EP2869747A2 (en) Dishwasher, in particular domestic dishwasher, comprising at least one guide structure on the inner face of the door thereof for deflecting drying fluid flowing along therefrom
JP6634321B2 (en) Double floor structure
KR102344024B1 (en) Assembling type mat with air circulation pattern
KR101055360B1 (en) Noise reduction protrusion member and noise reduction structure using same
US7290374B2 (en) Vibr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water tank located at top floor of a tall building
US20200375431A1 (en) Dishrack for dishwashers
KR102633900B1 (en) Assembly Mat with Foreign Object Storage Space
KR101101879B1 (en) Soundproof structure
KR102328519B1 (en) Embedded floor mat construction method
US9187015B2 (en) Armrest unit for a passenger seat
US11589728B2 (en) Dish rack for dishwashers
KR101055357B1 (en) Noise reduction protrusion member and noise reduction structure using same
JP4276282B1 (en) Housing structure
KR20160044751A (en) Modular Artificial Turf
JP5149633B2 (en) Bathroom floor 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