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135A -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135A
KR20240034135A KR1020230117050A KR20230117050A KR20240034135A KR 20240034135 A KR20240034135 A KR 20240034135A KR 1020230117050 A KR1020230117050 A KR 1020230117050A KR 20230117050 A KR20230117050 A KR 20230117050A KR 20240034135 A KR20240034135 A KR 2024003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ail
linear type
block
type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희
Original Assignee
박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희 filed Critical 박병희
Publication of KR2024003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선형으로 이동하는 부재에 케이블의 꼬임 없이 전기 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 홈부가 마련되는 레일 몸체부, 상기 레일 홈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단자, 상기 레일 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몸체부에 설치되는 블록 몸체부 및 상기 블록 몸체부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단자에 상시 접촉되는 이동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LINEAR TYPE SLIP CONNECTOR}
본 발명은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선형으로 이동하는 부재에 케이블의 꼬임 없이 전기 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설비에는 주기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체가 구비된다.
이 경우, 이동체에는 지속적으로 전기 또는 전기 신호가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체는 그 위치가 변하는 도중에도 다른 부분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동체는 설비의 다른 부분들과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를 통해 이동체는 통전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이동체에 전기 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연결되는 케이블은 이동체의 주기적 이동에 의해 꼬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자동화 설비의 안전 및 내구성과 관련되며, 이동체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것은 이동체를 구비한 자동화 설비의 당면 과제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슬립링(slip ring)이라는 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슬립링(slip ring)은 회전체와 비회전체 사이에 지속적으로 도선을 접촉시킴으로써 통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커넥터로서, 발전기, 자동화 설비 등에 이용되고 있는 장치이다.
다만, 종래의 슬립링(slip ring)은 회전을 하는 부분을 반드시 필요로 하므로, 선형으로 이동하는 이동체가 구비된 설비에 있어서는 이동체와 고정된 부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장치의 복잡성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회전방식이 아닌 리니어 방식으로도 이동체를 전기적 통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커넥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선형 운동을 통해 통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형 운동을 하는 부재의 지속적인 이동에 의해서도 케이블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 홈부가 마련되는 레일 몸체부, 상기 레일 홈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단자, 상기 레일 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몸체부에 설치되는 블록 몸체부 및 상기 블록 몸체부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단자에 상시 접촉되는 이동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부는 상기 레일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홈부는 상기 레일 몸체부의 외측으로부터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레일 홈부의 상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레일 홈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몸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 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블록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블록 몸체부의 상단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블록 몸체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고정단자를 향한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형 운동을 통해 통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형 운동을 하는 부재의 지속적인 이동에 의해서도 케이블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이드 레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가이드 레일에 고정단자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슬립 블록과 이동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슬립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슬립 블록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이동단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슬립 블록과 이동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원칙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가이드 레일(100), 고정단자(200), 슬립 블록(300) 및 이동단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립 블록(300)은 이동 가능한 부분으로서, 가이드 레일(10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립 블록(300)은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0)은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100)은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블록(300)은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레일(100)의 길이는 슬립 블록(300)의 이동 한계를 결정할 수 있다.
고정단자(200)와 이동단자(400)는 슬립 블록(300)을 통전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양 단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단자(200)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고정단자(200)는 가이드 레일(1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단자(400)는 슬립 블록(30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이동단자(400)를 수용한 슬립 블록(300)은 가이드 레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슬립 블록(300)은 고정단자(200)의 길이 방향과도 나란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자(40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슬립 블록(300)이 이동하는 동안에도 고정단자(200)와 항상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단자(400)와 고정단자(200)에 각각 케이블(C)이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를 포함하는 설비 전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레일(100), 고정단자(200), 슬립 블록(300) 및 이동단자(400)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가이드 레일(1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가이드 레일(100)에 고정단자(20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100)은 레일 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몸체부(110)는 가이드 레일(100)의 전체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레일 몸체부(110)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몸체부(110)는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레일 몸체부(110)는 개략적으로 길다란 박스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블록(300)은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립 블록(300)은 레일 몸체부(110)를 따라 이동하므로,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는 슬립 블록(300)의 이동 한계를 결정할 수 있다.
레일 몸체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 홈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레일 홈부(120)는 레일 몸체부(110)의 외측으로부터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일 홈부(120)는 레일 몸체부(110)의 일 면으로부터 레일 몸체부(110)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부(120)는 고정단자(200)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레일 홈부(120)는 고정단자(200)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슬립 블록(300)이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그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도 2에는 레일 홈부(120)가 레일 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레일 홈부(120)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일 홈부(120)는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부(120)는 레일 몸체부(110)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레일 홈부(120)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부(120)에는 고정단자(20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단자(200)는 형성된 레일 홈부(120)의 숫자만큼 구비될 수 있다.
고정단자(200)는 이동단자(400)와 접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양 단자 중 하나의 단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단자(200)는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단자(200)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단자(200)의 단면은 레일 홈부(120)의 단면과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단자(200)의 너비는 레일 홈부(120)의 너비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단자(200)는 레일 홈부(120)에 빈틈없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자(400)가 고정단자(200)를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빈틈으로 빠지는 등 접촉불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고정단자(200)는 레일 홈부(120)의 상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레일 홈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고정단자(200)의 높이는 레일 홈부(120)의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단자(200)가 레일 홈부(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고정단자(200)의 바닥면은 레일 홈부(120)의 바닥면에 안착되게 되나, 고정단자(200)의 위쪽 부분에는 빈 공간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이동단자(400)가 고정단자(20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고정단자(200)의 위에 형성된 공간은 이동단자(40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즉, 이동단자(400)는 고정단자(200) 위에 형성된 공간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단자(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동 경로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단자(200)는 레일 홈부(120)를 따라 배치되되, 일측 끝단은 레일 홈부(1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고정단자(200)는 레일 몸체부(110)의 좌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만큼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케이블(C) 등은 고정단자(200)의 노출된 부분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레일 몸체부(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부(130)는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부(130)는 레일 몸체부(11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레일 몸체부(110)의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 홈부(130)는 슬립 블록(3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부(130)는 슬립 블록(300)이 레일 몸체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홈부(13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립 블록(300)에 형성된 돌출부(330)가 안착될 수 있다.
슬립 블록(300)은 슬립 블록(300)의 돌출부(330)가 가이드 홈부(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블록(300)은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도 5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을 수 있고, 슬립 블록(300)은 레일 몸체부(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슬립 블록(300)은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경로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슬립 블록(300)과 이동단자(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슬립 블록(30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슬립 블록(3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이동단자(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의 슬립 블록(300)과 이동단자(400)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슬립 블록(300)은 블록 몸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몸체부(310)는 슬립 블록(300)의 전체 외형을 이룰 수 있다.
블록 몸체부(310)는 레일 몸체부(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블록 몸체부(310)는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몸체부(310)는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블록 몸체부(310)는 레일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7을 기준으로 블록 몸체부(310)의 하측에는 수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록 몸체부(310)는 대략적으로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20)는 'ㄷ'자의 빈공간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블록 몸체부(310)의 하측에 마련되는 공간이다. 수용부(320)는 양 측에는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 부분이 위치한다.
수용부(320)에는 레일 몸체부(110)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즉, 레일 몸체부(110)가 수용부(320)에 수용됨으로써, 블록 몸체부(310)가 레일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블록 몸체부(310)는 레일 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 상태에서 레일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몸체부(310)는 레일 몸체부(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할 수 있다.
블록 몸체부(310)에는 돌출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가이드 홈부(130)에 수용되어 블록 몸체부(3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돌출부(330)는 수용부(320)를 형성하는 블록 몸체부(310)의 양측 다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돌출부(330)는 블록 몸체부(310)의 양측 다리부분으로부터 수용부(32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레일 몸체부(110)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1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가이드 홈부(1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0)는 가이드 홈부(130)에 빈틈없이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30)가 가이드 홈부(130)에 안착된 상태에서 블록 몸체부(310)는 레일 몸체부(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돌출부(330)는 블록 몸체부(310)의 양측 다리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몸체부(310)가 레일 몸체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즉, 돌출부(330)가 가이드 홈부(130)에 끼워짐으로써, 블록 몸체부(310)의 이동 방향은 한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동단자(400)는 적어도 일부가 블록 몸체부(3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단자(400)는 블록 몸체부(310)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동단자(400)는 전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단자(400)는 고정단자(200)와 접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양 단자 중 하나의 단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단자(400)는 와이어 브러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단자(400)는 고정단자(200)와 대응되는 숫자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동단자(400)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블록 몸체부(310)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자부(410, 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410, 440)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단자(200)와 상시 접촉된다. 따라서, 블록 몸체부(310)가 이동하는 도중에도 이동단자(400)와 고정단자(200)는 상시 접촉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를 포함하는 설비 전체는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블록 몸체부(310)는 제1 구멍(340)과 제2 구멍(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자(400)의 단자부(410, 440)는 제1 구멍(340)과 제2 구멍(35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1 구멍(340)과 제2 구멍(350)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제1 구멍(340)은 블록 몸체부(310)의 상단부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구멍(350)은 블록 몸체부(310)의 하단부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구멍(350)은 블록 몸체부(310)의 수용부(320)를 향한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410, 440)는 블록 몸체부(310)의 상단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단자부(410)와 블록 몸체부(310)의 하단부에서 고정단자(200)를 향한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2 단자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자부(410)는 블록 몸체부(310)의 제1 구멍(340)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제2 단자부(440)는 블록 몸체부(310)의 제2 구멍(350)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단자(400)는 제1 단자부(410)와 제2 단자부(440)를 포함하는 단자부(410, 440)와, 제1 단자부(410)와 제2 단자부(440)의 사이에 위치한 굴곡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굴곡부(420)는 제1 굴곡부(421)와 제2 굴곡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자(400)는 제1 단자부(410)로부터 연장되다가, 제1 굴곡부(421)에서 아래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후, 다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다가, 제2 굴곡부(422)에서 다시 위를 향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단자부(440)는 제2 굴곡부(422)에서 굴곡지게 형성되되, 끝단이 위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자부(440)의 최하단부에는 고정단자(200)와 상시 접촉되는 접촉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자부(440)는 블록 몸체부(310)의 제2 구멍(35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접촉부(43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촉부(430)를 포함하는 제2 단자부(440)는 블록 몸체부(310)의 하측에 형성된 수용부(320)로 노출된다. 따라서, 수용부(320)에 레일 몸체부(110)가 배치되면, 레일 홈부(120)에 배치되는 고정단자(200)는 제2 단자부(440)의 접촉부(430)에 상시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430)는 제2 단자부(440)의 최하단 부분으로, 제2 굴곡부(422)에 의해 아래를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자(400)는 접촉부(430)가 고정단자(200)에 접촉된 상태에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동단자(400)의 적어도 일부는 블록 몸체부(3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므로, 블록 몸체부(31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단자(400)의 많은 부분은 블록 몸체부(310)의 내부에 위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자동화 설비 등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주기적으로 이동하는 부분과 고정된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설비 중 이동하는 부분이 이동하더라도, 이동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설비 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어떤 물체에 액츄에이터를 통해 힘을 가하는 장치, 어떤 물체를 특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형으로 이동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장치라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가 이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슬립 블록(300)은 자동화 설비 중 이동하는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자동화 설비 중 이동하는 부분은 슬립 블록(300)이 이동함으로써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립 블록(300)은 설비 전체와 전기적으로 통전상태로 유지되므로, 지속적으로 전기 및/또는 전기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고, 이동하는 부분을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단자(400)의 제1 단자부(41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부(410)에는 전기 및/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C)이 연결될 수 있다.
이동단자(400)의 제2 단자부(440)는 고정단자(200)와 상시 접촉될 수 있다.
고정단자(200)의 적어도 일부는 레일 몸체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고, 노출된 부분에는 전기 및/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C)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자(400)의 제1 단자부(410)에 연결된 케이블(C), 이동단자(400), 고정단자(200), 고정단자(200)에 연결되는 케이블(C)로 전기 회로의 일부가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슬립 블록(300)이 이동하는 도중에도 설비 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 10')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 10')는 여러 개가 서로 연결되어 슬립 커넥터 어셈블리(1)를 구성할 수 있다.
슬립 커넥터 어셈블리(1)는 복수의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 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와 제2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와 제2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각각 가이드 레일(100, 100'), 고정단자(200, 200'), 슬립 블록(300, 300') 및 이동단자(400,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와 제2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케이블(C)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이동단자(400)의 제2 단자부(440)와 제2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이동단자(400')의 제1 단자부(410')는 케이블(C)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슬립 블록(300)과 제2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슬립 블록(30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하거나,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슬립 커넥터 어셈블리(1)는 지지부(S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P)는 제1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와 제2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를 연결하는 케이블(C)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와 제2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를 연결하는 케이블(C)은 각각의 슬립 블록(300, 300')의 이동에 따라 꼬일 수 있으므로, 지지부(SP)는 이 케이블(C)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C)의 적어도 일부를 고정하거나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1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슬립 블록(300)의 이동 방향과 제2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슬립 블록(300')의 이동 방향이 서로 나란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각각의 슬립 블록(300, 300')의 이동 방향은 나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가이드 레일(100)의 길이와 제2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의 가이드 레일(10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처럼, 둘 이상의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 10')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설비의 이동하는 부분의 이동 거리가 길어진다든지, 이동하는 부분이 두 개 이상 구비된다든지, 이동하는 부분의 이동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에도, 설비 전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슬립 블록(300)이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정해진 길이만큼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립 블록(300)의 움직임에도 케이블(C)의 꼬임 현상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부하로 인한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는 선형으로 이동하므로, 선형 액츄에이터나, 선형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설비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선형 액츄에이터나 선형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설비가 불필요하게 회전 방식의 슬립링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발명에 따른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10)만으로도 선형 액츄에이터나 선형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설비의 통전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설비 전체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100: 가이드 레일
110: 레일 몸체부
120: 레일 홈부
130: 가이드 홈부
200: 고정단자
300: 슬립 블록
310: 블록 몸체부
320: 수용부
330: 돌출부
340: 제1 구멍
350: 제2 구멍
400: 이동단자
410: 제1 단자부
420: 굴곡부
421: 제1 굴곡부
422: 제2 굴곡부
430: 접촉부
440: 제2 단자부

Claims (5)

  1. 길이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레일 홈부가 마련되는 레일 몸체부;
    상기 레일 홈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단자;
    상기 레일 몸체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 몸체부에 설치되는 블록 몸체부; 및
    상기 블록 몸체부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고정단자에 상시 접촉되는 이동단자;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부는,
    상기 레일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부는,
    상기 레일 몸체부의 외측으로부터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레일 홈부의 상부에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레일 홈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몸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 몸체부는,
    상기 가이드 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블록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블록 몸체부의 상단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블록 몸체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고정단자를 향한 방향으로 노출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KR1020230117050A 2022-09-06 2023-09-04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KR20240034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671 2022-09-06
KR20220112671 2022-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135A true KR20240034135A (ko) 2024-03-13

Family

ID=9029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7050A KR20240034135A (ko) 2022-09-06 2023-09-04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41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5135B (zh) 连接器
US7374432B2 (en) Connector
CN109565134B (zh) 连接器
CN202076502U (zh) 电连接器
US7887350B2 (en) Floating connector with a fixture to limit vertical movement of the connector
US919074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0421789B1 (en) Connector
US7635274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7706675A (zh) 具有触头组件的插座连接器
CA2667744C (en) Plug-in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to a plug-in connector
CN105794052B (zh) 包括引导构件的电连接器
US75008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oating connector capture
CN104103931A (zh) 具有带多个触头横梁的电触头的电连接器
CN109496377B (zh) 触头
US9954296B2 (en) Connector with sliding tap
KR101761762B1 (ko) 환형의 스프링 컨택을 포함하는 고전류 커넥터
JP2018195415A (ja) 端子台
JP2009230945A (ja) 電気コネクタ
US11594839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CN103247891A (zh) 电连接器
KR20240034135A (ko) 리니어 타입의 슬립 커넥터
JP2965210B2 (ja) 電気コネクタ
JP5274635B2 (ja) コネクタ
JPH0317968A (ja) コネクタ
EP3869625A1 (en) Angled plug connec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such an angled plug connection and electrically heated windshield wiper with such an angled plug conn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