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094A - 사용자의 일상생활 기능 동작 회복을 위한 생활환경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일상생활 기능 동작 회복을 위한 생활환경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094A
KR20240034094A KR1020230039742A KR20230039742A KR20240034094A KR 20240034094 A KR20240034094 A KR 20240034094A KR 1020230039742 A KR1020230039742 A KR 1020230039742A KR 20230039742 A KR20230039742 A KR 20230039742A KR 20240034094 A KR20240034094 A KR 20240034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er
living environment
terminal
eval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혁
Original Assignee
히즈케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즈케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즈케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4094A/ko
Publication of KR20240034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0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sychia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r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생활환경 감지 기반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및 재활회복 운동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서버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신체기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생활환경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상기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환경 평가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인식을 활용한 생활환경 감지 기반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REHABILITATION RECOVERY EXERCISE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LIVING ENVIRONMENT SENSING USING DIGITAL IMAGE RECOGINITION}
본 개시는 생활환경 감지 기반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및 재활회복 운동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디지털 영상 인식을 통한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생활환경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재활회복 운동을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고령화 및 만성질환자 증가로 인해 디지털 기술과 본인의 바이오 데이터 기반한 예방적 건강관리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는 비대면 개인 건강관리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개인건강정보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메타버스는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 경제,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종래 메타버스는 주로 게임이나 가상현실에 활용되었으나, 최근 코로나19 팬더믹에 따른 비대면 추세 가속화로 그 적용분야가 확장되고 있다.
최근 메타버스 기술을 의료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 의료 전문가와 환자가 가상 공간에서 만나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정도일 뿐, 현실과 유사하여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메타버스 기술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개시는 환자의 신체 상태 및 생활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환자에게 맞춤형 재활회복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의료 전문가가 가상 공간을 통해 환자의 신체 상태 및 생활 환경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 전문가가 비대면으로 환자에게 적절한 처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환자가 일상생활동작(Activity of Daily Living, ADL)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재활회복 운동 정볼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서버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신체기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생활환경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상기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환경 평가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신체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통해 신체기능 평가를 수행할 평가 부위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평가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받은 영상에 기반하여 신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생활환경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받은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생활환경 특징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요소를 기반으로,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요소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에 기반하여, 상기 생활환경 특징요소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생활환경 특징요소 각각에 대한 중요도에 기반하여 상기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징요소 각각에 대한 가중치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가상 공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에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움직이는 아바타 및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요소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요소와 관련된 신체부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신체부위 및 상기 추출된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신체기능 평가결과에 기반하여, 기 저장된 운동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선택된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상술한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서버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 대한 신체기능을 평가하고,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 대한 생활환경을 평가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상기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환경 평가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 능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생활하는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활동에 저해를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 처방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라 구현되는 가상 공간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아바타 및 사용자가 실제로 생활하는 공간을 재현한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가상 공간을 통해, 의료 전문가는 환자의 신체 상태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활환경을 고려한 처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로부터 일상생활동작 중 개선하고 싶은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동작을 개선하기 위한 운동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통해 일상생활동작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반적 시스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에 포함된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신체기능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생활환경을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생활환경 평가 및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특징요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 및 10은 본 개시에 따라 사용자에게 재활회복 운동을 추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의 ‘바이오 데이터’란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전문가의 의료 행위등을 통해 생성된 의료 데이터, 후술할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신체 데이터(예를 들어, 신체 영상),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바이오 데이터는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은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은,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개시에 따른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은 서버 및 단말기를 포함한다.
서버(10)는 복수의 단말기(2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정보를 전송하고, 복수의 단말기(2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재활회복 운동 추천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복수의 단말기(20) 각각은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재활회복 운동 추천 관련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프로그램 실행 파일을 통해 재활회복 운동 추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단말기는 재활회복 운동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서버(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단말기(20) 중 일부(20a)는 다른 일부(20b)와 다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단말기 중 일부는 재활회복 운동을 추천받는 사용자의 단말기(20a, 이하, 사용자 단말기)이고, 복수의 단말기 중 다른 일부(20b)는 사용자에게 재활회복 운동을 추천하는 전문가의 단말기(20b, 이하, 전문가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자 계정으로 특정 단말기에 로그인할 경우, 상기 로그인된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한편, 전문가가 전문가 계정으로 특정 단말기에 로그인할 경우, 상기 로그인된 단말기는 전문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단말기에 관한 설명은 사용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 각각에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10) 및 단말기(20)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개시에 따른 서버(100)는 통신부(2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기, 외부 저장소(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database, 140)), 외부 서버 및 클라우드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제어부(130)의 적어도 일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 또는 데이터 연산 등의 수행은 외부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본 개시에서는 이러한 방식에 대한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통신부(110)는 통신하는 대상(예를 들어, 전자기기, 외부 서버, 디바이스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5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대상과 통신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20)는, 본 개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저장부(120)는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 자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저장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140) 클라우드 저장소(또는 클라우드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저장부(120)는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을 위하여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이면 충분하며, 물리적인 공간에 대한 제약은 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저장부(120), 데이터베이스(140), 외부 저장소, 클라우드 저장소(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모두 저장부(120)라고 표현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본 개시와 관련된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본 개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개시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에 포함된 단말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에 포함된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를 참고하면, 본 개시에 따른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표시부(230) 및 제어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개시에 따른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부(2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유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1302(recommended standard130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후술할 표시부(130)에 표시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본 장치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는 하드웨어식 물리 키(예를 들어, 본 장치의 전면, 후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소프트웨어식 터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키는,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 타입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2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및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본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본 장치와 사용자 간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일 예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본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 외에, 상술한 단말기는 인터페이스부 및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본 장치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SIM)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본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음악 파일,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본 장치와는 분리되어 있으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는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이하의 도 4 내지 도 10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장치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을 활용한 재활회복 운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신체기능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생활환경을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생활환경 평가 및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특징요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평가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1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신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신체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신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상기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신체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중간 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중간 평가 정보 및 신체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중간 평가 정보 및 신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신체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는 단독적으로 또는 서버와 협동하여 사용자의 신체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평가 부위를 선택받는 단계(S111), 평가 부위와 관련된 동영상(또는 정지 영상)을 입력 받는 단계(S112), 입력 받은 동영상(또는 정지 영상)에 기반하여 신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113)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기능 평가가 시작되면, 사용자 단말기는 표시부에 신체기능 평가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체기능 평가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평가 부위 선택 화면, 사용자 정보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평가 부위 선택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신체기능 평가를 수행할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부위 선택 화면에는 목, 어깨, 팔꿈치, 무릎 각각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신체기능 평가를 수행할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가 부위 선택 화면에는 좌측 신체 및 우측 신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측 신체 및 우측 신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신체기능 평가를 수행할 좌우 신체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신체기능 평가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사용자 정보 입력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이름, 연령, 성별, 혈액형, 질환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 생성 시 상술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체기능 평가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화면에 사용자 정보 입력 화면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신체기능 평가 부위 선택이 완료된 경우, 평가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입력 받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에는 선택된 평가 부위와 관련된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평가 부위가 우측 팔 관절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에는 팔을 특정 형태로 굽힌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팔을 상기 특정 형태로 굽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팔을 촬영하여 영상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에는 선택된 평가 부위가 기 설정된 촬영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평가 부위가 우측 팔 관절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에는 팔 형상의 가이드라인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동시켜가며 사용자의 팔을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우측 팔 영상이 상기 가이드라인 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에서 평가 대상 부위를 인식하고, 인식된 평가 대상 부위가 기 설정된 촬영 영역에 위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다. 인식된 평가 대상 부위가 기 설정된 촬영 영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는 카메라 촬영 위치를 이동시킬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인식된 평가 대상 부위가 기 설정된 촬영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는 상기 평가 대상 부위가 소정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평가 대상 부위 촬영 중 상기 가이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소정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는 신체기능 평가를 위한 동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대상 부위가 목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목을 전후좌우로 굽히도록 하는 가이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의 목에 대한 촬영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이드 정보대로 목을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목을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영상이 입력될 수 있다.
이후, 입력 받은 영상에 기반하여 신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113)가 수행될 수 있다.
신체기능 평가는 사용자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평가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상기 영상에서 평가 대상 부위를 인식하고, 평가 대상 부위의 외형 및 평가 대상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의 저장부(120)에는 신체 부위별로 평가 항목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에 대한 평가 항목으로 전후좌우로의 굽힘 동작, 목을 뒤로 당기는 동작, 목을 이완시키는 동작, 목을 회전시키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에서 평가 대상 항목에 대응되는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목 움직임을 촬영한 영상에서 목을 전후좌우로 굽히는 동작, 목을 뒤로 당기는 동작, 목을 이완시키는 동작, 목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인식된 동작에 기반하여 각 동작의 스코어를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동작에 기반하여 각 동작의 스코어를 상, 중, 하로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에서 목을 회전시키는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목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대한 스코어는 하로 평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영상에서 목을 전후로 굽히는 동작은 감지되나, 좌우로 굽히는 동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목을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에 대한 스코어는 중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영상에서 목을 이완시키는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목을 이완시키는 동작에 대한 스코어는 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는 평가 대상 부위에 대응되는 평가 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테이블화 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기본 정보를 활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을 그루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룹은 사용자들의 성별, 연령대, 신체 치수, 처방 이력, 수술 이력, 회복 이력, 장애 유무 및 장애 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같은 연령대의 사용자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사용자들과 사용자의 신체기능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신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문진표를 활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 수집 단계에서, 단말기에는 평가 대상이 되는 신체와 관련된 문진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에는 턱이 흉골에 닫는지, 턱끝이 목젖을 넘는지, 턱이 빗장뼈에 닫는지, 견갑하각을 만질 수 있는지, 견갑극을 만질 수 있는지, 발가락을 만질 수 있는 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문진표의 내용을 확인한 후, 문진 사항에 대응하는 동작에 대한 수행결과를 문진표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문진표 작성 시 개선하고 싶은 일상생활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문진표 작성 시 세안, 식사, 도보 이동 등과 같이,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개선하고 싶은 동작의 종류를 기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는 문진을 통해 사용자가 개선하고자 하는 일상생활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개선하고자 하는 일상생활동작과 관련된 정보는 전문가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문가는 사용자가 개선하고자하는 일상생활동작과 관련된 재활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문진 결과를 신체 평가시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상기 문진 결과 중 사용자가 수행할 수 없음으로 표시한 동작과 관련된 신체 부위에 대한 점수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생활환경을 평가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120).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생활환경와 관련된 생활환경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생활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생활환경을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생활환경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상기 생활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생활환경을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생활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중간 평가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중간 평가 정보 및 생활환경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중간 평가 정보 및 생활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생활환경을 평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는 단독적으로 또는 서버와 협동하여 사용자의 생활환경을 평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생활환경을 평가하는 단계는 사용자(평가 대상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 받는 단계(S121), 입력 받은 이미지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생활환경 특징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S122) 및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 요소를 기반으로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S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생활환경 평가가 시작되면, 사용자 단말기는 표시부에 생활환경 평가와 관련된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활환경 평가가 시작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가 활성화되고, 사용자 단말기의 표시부에는 카메라 촬영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된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생활환경 평가를 위한 영상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생활환경 평가를 위한 영상은 사용자 단말기(310)를 통해 수집된 영상 정보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기(310)와 연동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320)를 통해 수집된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생활환경 평가 시 촬영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촬영화면에는 사용자가 사용자가 주거하는 영역에 대한 영상을 빠지지 않고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화면에는 집 전체 벽면을 원 테이크로 촬영하도록하고, 시작 지접의 벽면이 다시 등장할때까지 집 벽면을 전체를 순차적으로 촬영하도록하는 가이드 문구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화면에는 “거실을 촬영하세요”, “방문을 닫은 상태로 안방문을 촬영하세요”, “방문을 열어 방문으로 들어간 후 방 내부를 촬영하세요” 등의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문구는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수행할 때마다 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화면에는 생활공간 내 특정 물체를 확대 촬영하도록 하는 가이드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화면에는 “문손잡이”, “문턱”, “수도꼭지”를 확대 촬영하도록 하는 가이드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촬영된 영상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촬영된 영상은 지정된 클라우드에 업로드(330)될 수 있다.
서버는 입력 받은 이미지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생활환경 특징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입력 받은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물체 중 기 설정된 물체에 대응되는 물체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면, 서버의 저장부(120)에는 특징요소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징요소 정보는 트리(tree)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요소는 제1요소(a1) 및 제2요소(a2)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요소(a1)는 생활공간 내 장애 요소와 관련된 것으로, 문 손잡이(b1), 수도꼭지(b2), 문턱(b3) 등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각 장애요소에는 장애요소의 구체적인 형태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 손잡이(b1)에는 핸들 타입(c1), 핸들리스 타입(c2)이 매칭될 수 있다. 나아가, 핸들 타입(c1)에는 레버형(d1), 푸시풀(d2) 및 원형(d3)이 매칭될 수 있다.
제2요소(a2)는 생활공간 내 객체 요소와 관련된 것으로, 가구(b4) 및 전자기기(b5) 등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서버는 인식된 물체 중 기 저장된 특징요소에 대응되는 물체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요소를 기반으로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요소 중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및 종류에 부여된 가중치를 활용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중요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추출된 모든 특징요소 각각의 중요도를 합하여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면, 각 특징요소의 카테고리 및 종류에 따른 가중치(a1, a2, b1, b2…)가 설정될 수 있다. 레버형 손잡이의 중요도(w1)는 a1*b1*c1*d1으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생활환경 점수는 영상에서 인식된 모든 특징요소의 중요도를 모두 합한 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생활환경 점수가 높을수록 사용자가 생활하기 어려운 환경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생활환경 점수 상출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생활환경 평가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특징요소의 카테고리 및 종류에 따른 가중치는 사용자의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신체기능 평가 결과 중 점수가 낮은 부위에 대응되는 특징요소의 경우 가중치가 높게 설정되고, 사용자의 신체기능 평가 결과 중 점수가 높은 부위에 대응되는 특징요소의 경우 가중치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손목에 대한 신체기능 평가 점수가 낮은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손잡이 관련 가중치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문턱 관련 가중치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서버는 상기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요소 중 신체기능 평가 점수가 기 설정된 수준보다 낮은 부위와 관련된 특징요소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특징요소의 종류 및 카테고리, 상기 특정된 특징요소와 관련된 신체부위에 대한 신체기능 평가 점수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기 특정된 특징요소를 사용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된 특징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특정된 특징요소에 대한 알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알림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특정된 특징요소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양쪽 손목에 대한 신체기능 평가 점수가 모두 하인 상태인데, 사용자의 생활환경 특징요소에서 원형 문손잡이가 인식된 경우, 서버는 사용자가 상기 원형 문손잡이를 다른 형태의 문손잡이로 교체할 것을 안내하는 알림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는 상기 문손잡이를 교체할 것을 안내하는 알림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30).
상기 서버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상기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는 두 가지 다른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상기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는 전문가 단말기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생활환경 평가를 위해 촬영된 영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공간에는 상기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요소가 표시되며, 상기 촬영된 영상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물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공간에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바타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바타는 상기 가상 공간 내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바타는 사용자의 신체기능 평가 결과를 반영한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 발목에 대한 신체기능 평가 결과 점수가 낮은 사용자의 경우,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는 아바타는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왼쪽 다리를 절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공간에는 사용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를 통해 입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각 단말기의 출력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문가 단말기는 전문가 계정으로 로그인된 단말기일 수 있다. 전문가 계정은 기설정된 자격(예를 들어, 의사 면허 등)을 인증한 후 가입된 계정일 수 있다.
전문가는 전문가 단말기를 통해 상기 가상 공간에 입장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사용자의 생활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전문가 단말기는 전문가로부터 처방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처방 정보는 재활회복 운동의 종류, 생활 공간 배치 제안, 치료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상 공간에 표시된 특징요소 중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 특징요소가 있는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특징요소가 강조표시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개시는 전문가가 사용자 사용할 수 없는 특징요소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의 신체상태 및 생활환경을 종합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전문가에게 제공함으로써, 전문가가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 처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로, 본 개시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및 상기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재활회복 운동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 및 10은 본 개시에 따라 사용자에게 재활회복 운동을 추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요소와 관련된 신체부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신체부위 및 상기 추출된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신체기능 평가결과에 기반하여, 기 저장된 운동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이후, 서버는 상기 선택된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생활환경 평가 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요소 각각에 이용되는 신체 부위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문 손잡이의 경우 손이 특정되고, 문턱의 경우 다리가 특정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특징요소 각각의 작동 방법을 고려하여, 기 저장된 운동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징요소가 원형 손잡이인 경우, 팔의 회전에 이용되는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이 선택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상기 선택된 운동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운동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사용자에게 적합한 재활회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운동 정보는 운동 사진, 운동 영상, 권장 운동 횟수, 권장 운동 시간 및 권장 운동 빈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전문가 단말기에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스켈레톤 이미지(410)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켈레톤 이미지는 사용자의 관절 및 근육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신체 영상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관절 및 근육 위치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스켈레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켈레톤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420)을 통해, 신체 평가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수행(430)하고, 사용자 단말기(440)를 통해 상기 특정 동작에 대한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집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기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기능 평가 방법에 대하여는 앞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전문가 단말기에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스켈레톤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켈레톤 이미지에는 사용자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움직임에 방해가 되거나, 특정 질환과 관련되거나, 특정 일상생활동작에 악영향을 주는 신체 부위가 강조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강조 표시되는 신체 부위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대한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스켈레톤 이미지에는 목, 허리, 좌측 무릎, 우측 발목이 강조 표시(451 내지 454)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는 특정 신체 부위를 그루핑한 후, 그루핑된 신체 부위는 동일한 형상으로 강조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체 부위의 그루핑은 특정 일상생활동작을 수행할 때 필요한 신체 부위, 특정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신체 부위, 함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부위 등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강조표시된 스켈레톤 이미지는 전문가 단말기에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걷기 동작에 필요한 좌측 무릎(451) 및 우측 발목(452)은 서로 그루핑된 후 동일한 형태(실선)으로 강조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세안 동작에 필요한 목(453) 및 허리(454)는 서로 그루핑된 후 동일한 형태(점선)으로 강조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그룹에 속한 신체 부위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강조표시 될 수 있다.
상술한 스켈레톤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본 개시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 중 상태가 좋지 않은 신체부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신체부위를 전문가에게 제공함으로써, 본 개시는 사용자의 통증 발생 부위, 움직임 방해 요소,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질환이 영향을 주는 부위를 정확하게 판단하고 처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신체기능 평가 및 생활환경 평가가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기에는 사용자 신체에 대한 종합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스켈레톤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그룹원에 대한 신체기능 평가 결과의 평균값 및 사용자의 신체기능 평가 결과(460)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평균값 및 사용자의 신체기능 평가 결과(460)는 신체기능 평가를 수행한 부위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 상태가 사용자가 속한 그룹의 그룹원 대비 어떠한지 비교 분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에는 신체 부위별 주의점(470), 운동 방법 제공과 관련된 아이콘(48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아이콘을 선택하면,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 방법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0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는 다양한 형태로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는 현재 진행 중인 재활회복 운동 목록 및 진행 현황(510)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에는 재활회복 운동 방법을 안내하는 동영상(520 및 530)이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운동 영상을 서로 다른 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능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생활하는 공간 내에서 사용자의 활동에 저해를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동 처방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라 구현되는 가상 공간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고려하여 움직이는 아바타 및 사용자가 실제로 생활하는 공간을 재현한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가상 공간을 통해, 의료 전문가는 환자의 신체 상태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활환경을 고려한 처방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0)

  1. 서버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신체기능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생활환경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상기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환경 평가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신체기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통해 신체기능 평가를 수행할 평가 부위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평가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받은 영상에 기반하여 신체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생활환경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 받은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생활환경 특징요소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요소를 기반으로,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요소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에 기반하여, 상기 생활환경 특징요소 각각에 대한 중요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생활환경 특징요소 각각에 대한 중요도에 기반하여 상기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징요소 각각에 대한 가중치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 기반하여, 가상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가상 공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에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움직이는 아바타 및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요소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요소와 관련된 신체부위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추출된 신체부위 및 상기 추출된 신체부위에 대응되는 신체기능 평가결과에 기반하여, 기 저장된 운동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선택된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 가능한 프로그램.
  8. 서버 및 단말기를 포함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통신부;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 대한 신체기능을 평가하고,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 대한 생활환경을 평가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 및 상기 생활환경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맞춤형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재활회복 운동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활환경 평가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신체기능 평가를 수행할 평가 부위를 선택받고,
    상기 단말기가 평가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지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 포함된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받은 영상에 기반하여 신체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입력받고,
    상기 서버에 포함된 제어부는,
    상기 입력 받은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생활환경 특징요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생활환경 특징요소를 기반으로, 생활환경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KR1020230039742A 2022-09-05 2023-03-27 사용자의 일상생활 기능 동작 회복을 위한 생활환경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240034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742A KR20240034094A (ko) 2022-09-05 2023-03-27 사용자의 일상생활 기능 동작 회복을 위한 생활환경 평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168A KR102516079B1 (ko) 2022-09-05 2022-09-05 디지털 영상 인식을 활용한 생활환경 감지 기반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0039742A KR20240034094A (ko) 2022-09-05 2023-03-27 사용자의 일상생활 기능 동작 회복을 위한 생활환경 평가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168A Division KR102516079B1 (ko) 2022-09-05 2022-09-05 디지털 영상 인식을 활용한 생활환경 감지 기반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094A true KR20240034094A (ko) 2024-03-13

Family

ID=859860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168A KR102516079B1 (ko) 2022-09-05 2022-09-05 디지털 영상 인식을 활용한 생활환경 감지 기반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0230039742A KR20240034094A (ko) 2022-09-05 2023-03-27 사용자의 일상생활 기능 동작 회복을 위한 생활환경 평가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168A KR102516079B1 (ko) 2022-09-05 2022-09-05 디지털 영상 인식을 활용한 생활환경 감지 기반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16079B1 (ko)
WO (1) WO20240539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079B1 (ko) * 2022-09-05 2023-03-30 히즈케어스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인식을 활용한 생활환경 감지 기반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82B1 (ko) * 2012-02-29 2014-08-12 디게이트 주식회사 네추럴 인터렉션 기반 건강 및 재활운동 기능성 측정 평가 시스템
JP7373788B2 (ja) * 2019-09-20 2023-1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リハビリ支援装置、リハビリ支援システム及びリハビリ支援方法
JP6884306B1 (ja) * 2020-08-11 2021-06-09 株式会社三菱ケミカルホールディングス システム、方法、情報処理装置
KR102433670B1 (ko) * 2021-07-28 2022-08-18 에스지 주식회사 실물 이미지를 이용한 공간의 위치 기반 가상 환경 제공 시스템
KR102516079B1 (ko) * 2022-09-05 2023-03-30 히즈케어스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인식을 활용한 생활환경 감지 기반의 재활회복 운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079B1 (ko) 2023-03-30
WO2024053989A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66323B (zh) 执行用户定制的健康管理的用户终端装置和系统及其方法
CN103732297B (zh) 增强现实活动范围的治疗系统及其操作方法
CN109463001A (zh) 活动和健身更新
Preum et al. A review of cognitive assistants for healthcare: Trends, prospects, and future directions
CN107004053A (zh) 基于家族历史的动态可穿戴设备行为
CN106469250A (zh) 用于检测用户的活动信息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07658016B (zh) 用于老年保健陪伴的Nounou智能监护系统
US20220314068A1 (en) Pelvic Floor Muscle Trai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50018722A1 (en) Determination,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of user body position information
KR20240034094A (ko) 사용자의 일상생활 기능 동작 회복을 위한 생활환경 평가 방법 및 장치
KR20180088073A (ko) 헬스케어 프로그램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1444982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Yi et al. [Retracted] Home Interactive Elderly Care Two‐Way Video Healthcare System Design
CN110446996A (zh) 一种控制方法、终端及系统
JP7071717B2 (ja) イベント系列抽出装置、イベント系列抽出方法およびイベント抽出プログラム
US20230393659A1 (en) Tactile messages in a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
KR102369103B1 (ko) 사용자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EP37913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del-based predictions of quality of life implications of a treatment via individual-specific machine learning models
US20090262988A1 (en) What you will look like in 10 years
US12009083B2 (en) Remote physical therapy and assessment of patients
Pandit et al. Exercisecheck: A scalable platform for remote physical therapy deployed as a hybrid desktop and web application
Khosravi et al. Learning enhancement in higher education with wearable technology
Whittington et al. Detecting physical abilities through smartphone sensors: an assistive technology application
KR20210150988A (ko) 활력 지수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233570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