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630A -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630A
KR20240033630A KR1020230006314A KR20230006314A KR20240033630A KR 20240033630 A KR20240033630 A KR 20240033630A KR 1020230006314 A KR1020230006314 A KR 1020230006314A KR 20230006314 A KR20230006314 A KR 20230006314A KR 20240033630 A KR20240033630 A KR 20240033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inductance
detec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3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환
권영범
김동성
임헌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CN202380012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999004A/en
Priority to EP23813537.0A priority patent/EP4358772A1/en
Priority to PCT/KR2023/013103 priority patent/WO2024053945A1/en
Publication of KR2024003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6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Cigar And Cigarette Tobacco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의 둘레를 유도 가열하도록 배치된 서셉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어셈블리,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복수의 궐련 감지 채널들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러 감지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한 궐련 감지부, 및 궐련 감지부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된 경우 에러 감지 채널 대비 궐련 감지 채널들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heater assembly that generates an aerosol using a susceptor disposed to inductively heat the circumference of a cigarette accommoda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 plurality of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that detect insertion of a cigarette, and a magnetic material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 cigarett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including an error detection channel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 and when an inductance change is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compared to the error detection channe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a cigarette has been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whether a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degree.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궐련의 삽입을 인식하여 히터의 가열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recognizes insertion of a cigarette and controls heating of a heater.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궐련의 삽입을 정확하게 식별하여 히터의 가열을 활성화하는 기능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alternative method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regular cigarettes. For examp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methods in which aerosols are generated by heat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rather than by burning a cigarette to generate aerosols. Accordingly, research on heated aerosol generating devices is actively underway. Meanwhil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re is an attempt to utilize the function of accurately identifying the insertion of a cigarette and activating the heating of the heater.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궐련이 삽입되지 않았음에도 외부의 물체를 궐련으로 잘못 인식하여 오동작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prevent malfunction by misrecognizing an external object as a cigarette even though a cigarette is not inserted.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can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의 둘레를 유도 가열하도록 배치된 서셉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어셈블리; 상기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복수의 궐련 감지 채널들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러 감지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한 궐련 감지부; 및 상기 궐련 감지부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에러 감지 채널 대비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상기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includes a heater assembly that generates an aerosol using a susceptor disposed to inductively heat a circumference of a cigarette accommoda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 cigarett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for detecting insertion of the cigarette and an error detection channel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a magnetic material external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when an inductance change is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whether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wheth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based on the degree of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compared to the error detection channe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outside.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어셈블리; 상기 히터 어셈블리의 외측에 배치된 차폐재; 상기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복수의 궐련 감지 채널들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러 감지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한 궐련 감지부; 및 상기 궐련 감지부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에러 감지 채널 대비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상기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heater assembly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a cigarette accommoda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 shielding material disposed outside the heater assembly; a cigarett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for detecting insertion of the cigarette and an error detection channel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a magnetic material external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when an inductance change is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whether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wheth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based on the degree of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compared to the error detection channe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outside.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복수의 궐련 감지 채널들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러 감지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한 궐련 감지부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궐련 감지부에 의해 상기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러 감지 채널 대비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상기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 plurality of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that detect insertion of a cigarette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error detection channel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a magnetic body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tecting an inductance change by a cigarett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uctance change is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whether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degree of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compared to the error detection channe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상기된 바에 따르면,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에서 측정된 인덕턴스 변화량들 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외부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궐련이 삽입된 경우에만 가열 동작을 수행하고, 궐련이 아닌 외부 물체가 접근한 경우에는 히터 가열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rrelation between inductance changes measured in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is used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 cigarette is inserted or an external magnetic body is approached, and a heating operation is performed only when a cigarette is inserted. , If an external object other than a cigarette approaches, heating of the heater can be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이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에서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이 삽입된 경우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의 인덕턴스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가 접근한 경우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의 인덕턴스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구비된 궐련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cigarett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of a cigarett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reas where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of a cigarette detection unit detect inductance chan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ection of insertion of a cigarette in a cigarett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ges in inductance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when a cigarette is inse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detecting the approach of a magnetic substance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ges in inductance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when a magnetic material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roac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igarette detection unit provided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s,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relevant descrip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embodiment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embodiment,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Additionally,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명세서에서 사용 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와 같은 표현이 배열된 구성요소들 앞에 있을 때, 배열된 각각의 구성이 아닌 전체 구성 요소들을 수식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또는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As used herein, when an expression such as “at least any one” precedes arranged elements, it modifies the entire element rather than each arranged element. For example,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 b, c, or a and b, a and c, b and c, or a and b and c. do.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However, this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및 궐련(2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궐련(20)이 삽입되기 위한 궐련 삽입 공간(궐련 수용 공간)인 공동(160)을 포함할 수 있고, 공동(160)에 삽입된 궐련(20)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궐련(20)은 에어로졸 생성 기질의 일종으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1 may inclu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nd a cigarette 20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 cavity 160, which is a cigarette insertion space (cigarette receiving space) into which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and heats the cigarette 20 inserted into the cavity 160 to generate an aerosol. can be created. The cigarette 20 is a type of aerosol-generating substrate and may include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서셉터(130), 유도 코일(140) 및 궐련 감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내부 구조 및 배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설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고, 각 하드웨어 구성은 다양한 배치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 battery 110, a control unit 120, a susceptor 130, an induction coil 140, and a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However, the internal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1.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some of the hardware configurations shown in FIG. 1 may be omitted or new configurations may be added, and each hardware configur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arrangement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can understand.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유도 코일(140)이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예를 들어, 제어부(120), 각종 센서들, 사용자 인터페이스, 메모리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배터리의 타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battery 110 supplies power used to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For example, the battery 110 may supply power so that the induction coil 140 can generate a variable magnetic field. Additionally, the battery 11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other hardwar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such as the control unit 120, various sensors, user interface, and memory. Battery 110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or a disposable battery. For example, the battery 110 may be a lithium polymer (LiPoly) battery, but the type of battery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서셉터(130), 유도 코일(140) 및 궐련 감지부(150)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0 is hardware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attery 110, the susceptor 130, the induction coil 140, and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as well as other components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20 may check the status of each compone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nd determine wheth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in an operable state.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n array of multiple logic gates, or as a combination of a general-purpose micro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the microprocessor.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with other types of hardware.

서셉터(130)는 유도 코일(140)에 의해 유도된 가변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가열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셉터(130)는 금속 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서셉터(130)는 페라이트(ferrite), 강자성 합금(ferromagnetic alloy),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및 알루미늄(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셉터(130)는 흑연(graphite), 몰리브덴(molybdenum),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 니오븀(niobium), 니켈 합금(nickel alloy), 금속 필름(metal film), 지르코니아(zirconia) 등과 같은 세라믹, 니켈(Ni)이나 코발트(Co) 등과 같은 전이 금속, 붕소(B)나 인(P)과 같은 준금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usceptor 130 may include a material that is heated as a variable magnetic field induced by the induction coil 140 is applied. For example, the susceptor 130 may include metal or carbon. The susceptor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errite, ferromagnetic alloy, stainless steel, and aluminum (Al). In addition, the susceptor 130 is made of graphite, molybdenum, silicon carbide, niobium, nickel alloy, metal film, zirconia, etc.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eramics, transition metals such as nickel (Ni) or cobalt (Co), and metalloids such as boron (B) or phosphorus (P).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서셉터(130)는 관형 또는 원통형일 수 있고, 궐련(20)이 삽입되는 공동(160)을 둘러싸도록 서셉터(1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궐련(2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공동(160)에 삽입되면, 서셉터(130)는 궐련(20)을 둘러싸도록 궐련(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셉터(13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궐련(20)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는 증가될 수 있다.The susceptor 130 may be tubular or cylindrical, and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usceptor 130 to surround the cavity 160 into which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Accordingly, when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into the cavity 16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susceptor 130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igarette 20 to surround the cigarette 20.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the cigarette 20 may be increased by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susceptor 130.

유도 코일(140)은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도 코일(140)에 의해 발생된 가변 자기장은 서셉터(130)에 인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셉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유도 코일(140)에 공급되는 전력이 조정될 수 있고, 서셉터(130)가 가열되는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다. The induction coil 140 may generate a variable magnetic field as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110. The variabl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induction coil 140 may be applied to the susceptor 130, and thus the susceptor 130 may be heated. B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20, the power supplied to the induction coil 140 can be adjusted, and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susceptor 130 is heated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궐련 감지부(150)는 궐련(20)이 공동(160)에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궐련 감지부(150)는 궐련(20)의 삽입 및 추출에 의해 발생되는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궐련(20)은 전자기 유도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 유도체(210)는 궐련 감지부(150)의 인덕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전자기 유도체(210)는 와전류(Eddy current)가 유도될 수 있는 전도체 및 자속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자성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유도체(210)는 금속 물질, 마그네틱 잉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 유도체(21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기 유도체(210)는 궐련 감지부(150)가 인덕턴스를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물질들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can detect whether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into the cavity 160.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can detect the amount of change in inductance generated by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cigarette 20. To this end, the cigarette 20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conductor 210. The electromagnetic inductor 210 can change the inductance of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The electromagnetic inductor 210 may include a conductor capable of inducing an eddy current and a magnetic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a change in magnetic flux. For example, the electromagnetic conductor 210 may include a metal material, magnetic ink, magnetic tape, etc. Additionally, the electromagnetic conductor 210 may be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ctromagnetic inductor 210 may include materials that allow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to detect changes in inductance without limitation.

궐련 감지부(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인덕턴스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주파수 값을, 인덕턴스 출력 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인덕턴스 변화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로의 궐련(20)의 삽입 및 추출이나,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로부터의 자성체의 접근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may convert a frequency value that varies according to an inductance change occurring inside or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nto an inductance output value and output it. Here, the inductance change occurring inside or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caused by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cigarette 20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r the approach of a magnetic material from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t can be caused.

궐련 감지부(150)는 하나 이상의 감지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감지 코일은 인덕턴스 감지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즉, 궐련 감지부(150)는 하나 이상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 인덕턴스 감지 채널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ing coils, and each sensing coil may correspond to an inductance sensing channel. That is,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and each inductance detection channel can detect inductance changes occurring inside or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제어부(120)는 궐련 감지부(150)가 출력한 인덕턴스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인덕턴스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인덕턴스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궐련(20)의 삽입 및 추출 여부나,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로부터의 자성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calculates the amount of change in inductance based on the inductance output value output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and determines whether to insert or extract the cigarette 20 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inductance.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magnetic material is approaching from the outside.

제어부(120)는 궐련(20)의 삽입을 감지할 경우, 추가적인 외부의 입력이 없이도 자동으로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궐련 감지부(150)를 이용하여 궐련(20)이 삽입되었음을 감지하면, 배터리(110)가 유도 코일(14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에 의해 가변 자기장이 발생됨에 따라 서셉터(130)가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서셉터(130) 내부에 배치되는 궐련(20)이 가열될 수 있고,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20 detects insertion of the cigarette 20, it can automatically perform a heating operation without additional external input.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20 detects that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using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battery 110 to supply power to the induction coil 140. As a variable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y the induction coil 140, the susceptor 130 may be heated. Accordingly, the cigarette 20 disposed inside the susceptor 130 may be heated and aerosol may be generated.

이와 달리, 제어부(120)는 궐련(20)의 삽입이 아닌, 외부 자성체가 접근되었음을 감지할 경우에는, 가열이 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control unit 120 detects that an external magnetic body is approached rather than the cigarette 20 being inserted,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heating not to be initiated.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서셉터(130), 유도 코일(140) 및 궐련 감지부(15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궐련 감지부(150) 외에 다른 센서들(예를 들어, 온도 센서, 퍼프 센서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general-purpose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battery 110, the control unit 120, the susceptor 130, the induction coil 140, and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other sensors (eg, temperature sensor, puff sensor, etc.), a user interface, etc. in addition to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user interface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display or lamp that outputs visual information, a motor that outputs tactile information, a speaker that outputs sound information, and input/output (I/O) interfacing that receives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or outputs information to the user. It may include means (eg, buttons or touch screens).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includes terminals for data communication or receiving charging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e.g., WI-FI, WI-FI Direct,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NFC (Near- It may include various interfacing means such as a communication interfacing module to perform field communication, etc.).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시들 중 적어도 일부가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전면에 시각 정보를 출력하면서 사용자 입력도 수신 가능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지문 센서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Howev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by selecting only some of the various user interface examples above. Additional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t least some of the various user interface examples above. Fo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 touch screen display capable of receiving user input while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on the front. The touch screen display may include a fingerprint sensor, and use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fingerprint sensor.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배터리(11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도 코일(140)이 가열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form a system with a separate cradle. For example, the cradle can be used to charge the battery 1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lternatively, the induction coil 140 may be heated while the cradle 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re combined.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erosol-generating art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도 1의 궐련(20)에 해당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제 1 부분(201), 제 2 부분(202), 제 3 부분(203), 및 제 4 부분(204)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 1 부분(201), 제 2 부분(202), 제 3 부분(203), 및 제 4 부분(204)은 각각 에어로졸 생성 요소, 담배 요소, 냉각 요소, 및 필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부분(201)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부분(202)은 담배 물질 및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3 부분(203)은 제 1 부분(201) 및 제 2 부분(202)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제 4 부분(204)은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may correspond to the cigarette 20 of FIG. 1 .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can be divided into a first portion 201, a second portion 202, a third portion 203, and a fourth portion 204, with the first portion 201, the second portion Portion 202, third portion 203, and fourth portion 204 may include an aerosol generating element, a tobacco element, a cooling element, and a filter element, respectively. Specifically, the first portion 201 may include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the second portion 202 may include a tobacco material and a humectant, and the third portion 203 may include the first portion 201 and The second portion 202 may comprise means for cooling the airflow passing through it, and the fourth portion 204 may comprise a filter material.

제 1 부분(201), 제 2 부분(202), 제 3 부분(203), 및 제 4 부분(204)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길이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길이 방향은, 제 1 부분(201)에서 제 4 부분(204)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분(201) 및 제 2 부분(202)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에어로졸이 제 1 부분(201), 제 2 부분(202), 제 3 부분(203), 및 제 4 부분(204)을 순서대로 통과하며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4 부분(204)으로부터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The first part 201, the second part 202, the third part 203, and the fourth part 204 may be arranged in order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He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length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extends. For exampl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may be from the first portion 201 to the fourth portion 204. Accordingly, the aerosol genera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art 201 and the second part 202 is divided into the first part 201, the second part 202, the third part 203, and the fourth part ( 204) in order to form an airflow, and thus the user can inhale the aerosol from the fourth part 204.

제 1 부분(201)은 에어로졸 생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201)은 에어로졸 생성 요소로서,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을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로졸 생성 요소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portion 201 may include an aerosol generating element. The first part 201 is an aerosol generating element and may contain other additives such as flavorants, humectants and/or organic acids, and may contain flavoring agents such as menthol or humectants. Here, the aerosol-generating element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glycerin,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and oleyl alcohol.

제 1 부분(201)은 권축된 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요소는 권축된 시트에 함침된 상태로 제 1 부분(201)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와 같은 다른 첨가 물질들 및 가향액은 권축된 시트에 흡수된 상태로 제 1 부분(201)에 포함될 수 있다. 권축된 시트는 고분자 소재로 구성된 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소재는 종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라이오셀(lyocell),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권축된 시트는 고온으로 가열되더라도 열에 의한 이취가 발생되지 않는 종이 시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portion 201 may include a crimped sheet, and the aerosol generating element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portion 201 with the crimped sheet impregnated. Additionally, other added substances and flavoring liquids, such as flavors, humectants and/or organic acids,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portion 201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bsorbed into the crimped sheet. The crimped sheet may be a sheet composed of a polymer material. For example, the polymer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aper, cellulose acetate, lyocell, and polylactic acid. For example, the crimped sheet may be a paper sheet that does not generate off-odor due to heat even when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제 1 부분(201)은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말단부터 약 7 내지 약 20 mm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고, 제 2 부분(202)은 제 1 부분(201)이 끝나는 지점부터 약 7 내지 약 20 mm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수치범위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부분(201) 및 제 2 부분(202) 각각이 연장되는 길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portion 201 may extend from about 7 to about 20 mm from the distal end of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and the second portion 202 may extend from about 7 to about 20 mm from the end of the first portion 201. It can be extended up to 20 mm. However, this numerical range is not necessarily limited, and the length to which each of the first part 201 and the second part 202 extend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within a range that can be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제 2 부분(202)은 담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요소는 특정 형태의 담배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요소는 담배 각초, 담배 입자(particle), 담배 시트(sheet), 담배 비즈(beads), 담배 과립(granule), 담배 분말(powder) 또는 담배 추출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담배 물질은 예를 들어, 담배잎, 담배 옆맥, 팽화 담배, 절단된 각초, 판상엽 각초, 및 재구성 담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ortion 202 may include a tobacco element. The tobacco component may be a specific type of tobacco material. For example, the tobacco component may take the form of tobacco cut filler, tobacco particles, tobacco sheets, tobacco beads, tobacco granules, tobacco powder or tobacco extract. Additionally, the tobacco material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tobacco leaves, tobacco veins, puffed tobacco, cut cut fillers, leaf cut fillers, and reconstituted tobacco.

제 3 부분(203)은, 제 1 부분(201) 및 제 2 부분(202)을 통과하는 기류를 냉각시키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부분(203)은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냉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부분(203)은 폴리락트산(PLA) 섬유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제 3 부분(203)은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 3 부분(203)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은, 제한 없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부분(203)은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필터 또는 지관 필터일 수 있다.The third part 203 may include means for cooling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first part 201 and the second part 202 . The third part 203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or a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and may have a cooling function. For example, the third portion 203 may be made of polylactic acid (PLA) fi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third part 203 may be made of a cellulose acetate filter with a plurality of holes. However, the third part 203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any material that performs the function of cooling the aerosol may correspond to this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the third portion 203 may be a tube filter or branch filter including a hollow tube.

제 4 부분(204)은,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부분(204)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제 4 부분(204)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제 4 부분(204)은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제 4 부분(204)은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제 4 부분(204)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Fourth portion 204 may include filter material. For example, fourth portion 204 may be a cellulose acetate filter. Meanwhile, the shape of the fourth part 204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fourth portion 204 may be a cylindrical rod or a tubular rod with a hollow interior. Additionally, the fourth portion 204 may be a recess type rod. If the fourth portion 204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gments may be manufactured in a different shape.

제 4 부분(204)은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 4 부분(204)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제 4 부분(204)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The fourth portion 204 may be manufactured to generate flavor. As an example, a flavoring liquid may be sprayed on the fourth part 204, or a separate fiber coated with a flavoring liquid may be inserted into the fourth part 204.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제 1 부분(201) 내지 제 4 부분(204)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래퍼(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제 1 부분(201) 내지 제 4 부분(204) 전부를 둘러싸는 래퍼(250)를 포함할 수 있다. 래퍼(25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최외곽에 위치될 수 있으며, 래퍼(250)는 단일 래퍼일 수 있으나, 복수 개의 래퍼들의 조합일 수 있다.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may include a wrapper 250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first portion 201 to fourth portion 204 . Additionally, the 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may include a wrapper 250 surrounding all of the first portion 201 through the fourth portion 204 . Wrapper 250 may be positioned on the outermost side of aerosol-generating article 200, and wrapper 250 may be a single wrapper, but may be a combination of multiple wrappers.

래퍼(250)는 도 1의 궐련 감지부(150)를 이용한 궐련 감지를 위한 전자기 유도체(210)로서, 열 전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은 박지(Ag), 알루미늄 박지(Al), 구리 박지(Cu) 등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래퍼(250)에 구비된 열 전도 물질은 제 1 부분(201) 내지 제 2 부분(202)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래퍼(250)에 구비된 열 전도 물질은 서셉터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다.The wrapper 250 is an electromagnetic conductor 210 for cigarette detection using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of FIG. 1 and may include a hea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heat-conducting material may be a metal foil such as silver foil (Ag), aluminum foil (Al), copper foil (Cu),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at conductive material provided in the wrapper 250 can improve heat conductivity by evenly dispersing heat transferred to the first part 201 to the second part 202, thereby improving the taste of the cigarette. Additionally, the heat-conducting material provided in the wrapper 250 may also function as a susceptor.

래퍼(250)의 열 전도 물질은 궐련 감지부(150)의 인덕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궐련 감지부(150)에서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도 1의 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도 1의 10)에 삽입되었는지 또는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heat-conducting material of the wrapper 250 may change the inductance of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Based on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n FIG. 1) determines whether the aerosol generating article 200 has been inserted or extrac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n FIG. 1). can do.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서셉터(130), 유도 코일(140), 궐련 감지부(15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들은,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ay include a battery 110, a control unit 120, a susceptor 130, an induction coil 140, a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and a memory 170. there i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shown in FIG. 3 shows components relevant to this embodiment.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Meanwhile, the operation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described in FIG. 1 may also be appli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f FIG. 3 .

궐련 감지부(150)는 공동(도 1의 160)에 궐련(20)이 삽입/추출되었는지 여부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에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detects whether the cigarette 20 is inserted/extracted into the cavity (160 in FIG. 1) or whether a magnetic material approaches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구체적으로, 궐련 감지부(150)는 주위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인덕티브 센서(inductive sensor)로 구현될 수 있다. 궐련 감지부(150)는 궐련(20)이 삽입 또는 추출됨에 따라 궐련(20)에 구비된 전자기 유도체(210)와 인덕티브 센서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변화되는 인덕턴스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궐련 감지부(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에 자성체가 접근하면서 변화되는 인덕턴스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궐련 감지부(150)는 궐련(20)의 삽입/추출 또는 외부 자성체의 접근에 의해 야기되는 인덕턴스 변화량의 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uctiv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changes in surrounding inductance.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can measure the amount of inductance change that chang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magnetic inductor 210 provided in the cigarette 20 and the inductive sensor increases or decreases as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or extracted. . Additionall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can measure the amount of inductance change that changes as a magnetic material approaches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ccordingl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may transmit data on the amount of inductance change caused by the insertion/extraction of the cigarette 20 or the approach of an external magnetic material to the control unit 120.

제어부(120)는 궐련 감지부(150)로부터 획득된 인덕턴스 변화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궐련(20)의 삽입/추출 여부 또는 외부 자성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cigarette 20 is inserted/extracted or whether an external magnetic body approaches based on the inductance change amount data obtained from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궐련 감지부(15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궐련 감지부(150)는 궐련(20)의 삽입을 감지하는 복수의 궐련 감지 채널들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러 감지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궐련 감지부(150)는 독립적으로 인덕턴스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인덕티브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인덕티브 센서는 궐련 감지부(150)의 각각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에 해당한다.To describe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in more detail,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includes a plurality of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that detect insertion of the cigarette 20 and the approach of a magnetic material external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including an error detection channel may be provided. That is,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uctive sensors that can independently detect the amount of inductance change. Each inductive sensor corresponds to each inductance detection channel of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궐련 감지부(150)가 외부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에러 감지 채널과 같은 인덕턴스 감지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궐련 감지부(150)는 외부 자성체에 의해 야기되는 인덕턴스 변화를, 궐련(20)의 삽입에 의해 야기된 것으로 잘못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 어셈블리(310)는 궐련(20)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열을 개시하게 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고장이 초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150)는 궐련 감지 채널 및 에러 감지 채널과 같은 독립적인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별도로 구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이상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does not include an inductance detection channel such as an error detection channel capable of detecting the approach of an external magnetic bod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detects the inductance change caused by the external magnetic body and the cigarette 20 ) may be incorrectly detected as caused by the insertion of Accordingly, the heater assembly 310 starts heating even though there is no cigarette 20, which may result in a fail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refore,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prevent abnormal heating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by separately providing independent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such as a cigarette detection channel and an error detection channel.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가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있지 않는 대기 모드일 때에도 인덕턴스 변화를 즉각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전력이 계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제어부(120)는 궐련 감지부(150)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된 경우, 에러 감지 채널 대비 궐련 감지 채널들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궐련(20)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에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to immediately detect inductance changes even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s in standby mode and is not generating aerosol. When an inductance change is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the control unit 120 sends the cigarette 20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based on the degree of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compared to the error detection channel. It is determined whether a magnetic material has been inserted or whether a magnetic material has approached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궐련 감지 채널들 각각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과 에러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 간 차이의 정도에 기초하여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 1 궐련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과 에러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 간의 제 1 차이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과 에러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 간의 제 2 차이를 합한 값과 소정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120)는 제 1 차이 및 제 2 차이를 합한 값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 궐련(20)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한다. 하지만, 제 1 차이 및 제 2 차이를 합한 값이 소정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20)는 궐련(20)의 삽입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에 자성체가 접근한 것으로 결정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20 may make a determination based on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each of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and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the first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change detected by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and the amount of change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and the amount of change detected by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and the amount of change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The judgment can be made by comparing the sum of the second differences between the changed amounts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s a result,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when the sum of the first difference and the second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However, when the sum of the first difference and the second differe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a magnetic material has approached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rather than the insertion of the cigarette 20.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궐련(20)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궐련(20)의 유도 가열을 개시하도록 히터 어셈블리(310)를 제어한다. 하지만, 제어부(120)는 궐련(20)의 삽입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에 자성체가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유도 가열이 개시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궐련(20)이 추출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히터 어셈블리(310)에 공급되고 있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가열이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heater assembly 310 to start induction heating of the cigarette 20. However, the control unit 120 prevents induction heating from start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magnetic material approaches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rather than the insertion of the cigarette 20. Meanwhile, when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cigarette 20 has been extracted,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heating to end by cutting off the power being supplied to the heater assembly 310.

히터 어셈블리(310)는 서셉터(130) 및 유도 코일(140)을 포함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수용된 궐련(20)의 둘레를 유도 가열하도록 배치된 서셉터(130)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방식 등을 통해 히터 어셈블리(3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어부(120)는 유도 코일(140)로의 전력 공급만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가열 IC(integrated circuit)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heater assembly 310 includes a susceptor 130 and an induction coil 140, and generates aerosol using the susceptor 130 disposed to inductively heat the circumference of the cigarette 20 accommoda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creates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assembly 310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PWM), etc. In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separate heating integrated circuit (IC) for controlling only the power supply to the induction coil 140.

메모리(1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70)는 제어부(12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170 is hardware that stores various data processed with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memory 170 may store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20 and data to be processed. Memory is of various types, such a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only memory (ROM), and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It can be implemented.

메모리(170)에는 궐련(20)의 삽입/추출 여부 또는 외부 자성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인덕턴스 변화량의 기준값들(또는 임계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17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The memory 170 may store reference values (or thresholds) of inductance chang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igarette 20 is inserted/extracted or whether an external magnetic material is accessed. In addition, the memory 170 may store various data about the operating tim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maximum number of puffs, the current number of puffs, at least one temperature profile, and the user's smoking pattern.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of a cigarett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고하면, 서셉터(130)는 원통형이고, 서셉터(130)의 내측은 공동(도 1의 160)으로서 궐련(2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즉, 서셉터(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수용된 궐련(20)의 둘레를 유도 가열하도록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the susceptor 130 is cylindrical, and the inside of the susceptor 130 is a cavity (160 in FIG. 1), forming a space into which the cigarette 20 can be inserted. That is, the susceptor 130 is arranged to inductively heat the circumference of the cigarette 20 accommoda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서셉터(130)의 외측에는, 서셉터(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도 코일(140)이 배치될 수 있다. 유도 코일(140)은 제어부(도 3의 120)의 제어에 의해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가변 자기장을 생성하여 서셉터(130)의 유도 가열을 제어할 수 있다.Outside the susceptor 130, an induction coil 140 may b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sceptor 130. The induction coil 140 can control induction heating of the susceptor 130 by generating a variable magnetic field by supplying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in FIG. 3).

서셉터(130)와 유도 코일(140) 사이의 영역에는 궐련 감지부(150)가 배치된다. 궐련 감지부(150)의 길이는 서셉터(130)의 길이보다 길고, 궐련 감지부(150)가 배치된 길이 내에 서셉터(130)가 포함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유도 코일(140)이 유도 가열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는 유도 코일(140)에 의해 자기장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궐련 감지부(150)에 의해 감지되는 인덕턴스 변화는 궐련(20)의 삽입 또는 외부 자성체의 접근에 의해 야기될 수 밖에 없다.A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is disposed in the area between the susceptor 130 and the induction coil 140. The length of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usceptor 130, and it is preferably arranged so that the susceptor 130 is included within the length where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is arrang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gnetic field is not generated by the induction coil 140 before the induction coil 140 starts the induction heating operation,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is caused by the insertion of the cigarette 20 or an external magnetic material. It can't help but be caused by the approach of .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of a cigarett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고하면, 궐련 감지부(150)는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과 같은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은 서셉터(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셉터(130)의 외측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such as a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a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may be arranged in a row outside the susceptor 1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sceptor 130.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 중 궐련 감지 채널들(150a 및 150c)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서셉터(130)를 벗어나도록 배치되고, 에러 감지 채널(150b)는 궐련 감지 채널들(150a 및 150c) 사이에서 서셉터(130)의 길이보다 짧게 배치될 수 있다.Among the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each of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150a and 150c) is arranged to deviate from the susceptor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is located between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150a and 150c). It may be arrang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usceptor 130.

서셉터(130)는 궐련(20)이 삽입되기 위한 궐련 삽입 공간(궐련 수용 공간)인 공동(16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궐련 감지부(150)의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은 서셉터(13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The susceptor 13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vity 160, which is a cigarette insertion space (cigarette receiving space) for inserting the cigarette 2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of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150a),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are each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sceptor (130).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이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영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reas where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of a cigarette detection unit detect inductance chan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고하면,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은 서셉터(130) 내측의 공동(160)에서의 인덕턴스 변화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에서의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궐련 감지부(150)의 내측 및 외측 모두에서의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은 공동(160) 내에 궐련(20)이 삽입(추출)되는 경우 또는 외부 자성체가 접근하는 경우 모두에서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are the inductance change in the cavity 160 inside the susceptor 130 and the inductance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Changes can be detected. That is, inductance changes can be detect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Therefore,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can detect inductance changes both when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extracted) into the cavity 160 or when an external magnetic body approaches. You can.

한편, 도 6의 채널 배치에 따르면,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의 일부 영역에서는 서셉터(130)의 차폐에 의해 공동(160) 내 일부 영역(일부 방향)에서의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배치에 제한되지 않고,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이 서셉터(130)에 의해 차폐되지 않도록 서셉터(130)의 길이를 완전히 벗어난 위치들에 배치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channel arrangement of FIG. 6, in some areas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some areas (in some directions) within the cavity 160 are shielded by the susceptor 130. ) may not be able to detect inductance changes.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rrangement, and the length of the susceptor 130 is adjusted so that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are not shielded by the susceptor 130. It may also be implemented to be placed in completely off-site locations.

에러 감지 채널(150b)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에서의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을 뿐, 서셉터(130) 내측의 공동(160)에서의 인덕턴스 변화는 감지할 수 없다. 즉, 에러 감지 채널(150b)은 서셉터(130)의 차폐에 의해 서셉터(130) 내측(공동(160))에서의 인덕턴스 변화의 감지가 차단되고, 서셉터(130) 외측에서의 외부 자성체의 접근에 의해 야기된 인덕턴스 변화만을 감지할 수 있다.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can only detect inductance changes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but cannot detect inductance changes in the cavity 160 inside the susceptor 130. That is,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is blocked from detecting inductance changes inside the susceptor 130 (cavity 160) by shielding the susceptor 130, and detects an external magnetic material outside the susceptor 130. Only the inductance change caused by the approach can be detected.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에서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ection of insertion of a cigarette in a cigarett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고하면, 궐련(20)이 삽입된 경우,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은 삽입된 궐련(20) 내 포함된 금속 물질의 전자기 유도체(210)에 의해 야기된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공동(160) 내 궐련(20)이 삽입되지 않았던 도 6에서의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의 인덕턴스 측정 값들과 비교하여, 궐련(20)이 삽입된 경우에는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의 인덕턴스 측정 값들이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인덕턴스 측정 값의 변화량은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에 구비된 인덕티브 센서의 센싱 주파수의 변화량에 대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each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is an electromagnetic conductor 210 of a metal material contained in the inserted cigarette 20. ) can detect inductance changes caused by . That is, compared to the inductance measurement values of each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in FIG. 6 where the cigarette 20 was not inserted into the cavity 160, the cigarette 20 When inserted, the inductance measurement values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may change. Here, the amount of change in the inductance measurement value may correspond to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ensing frequency of the inductive sensor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이와 달리, 에러 감지 채널(150b)은 서셉터(130)의 차폐에 의해 서셉터(130) 내측에서의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궐련(20)이 삽입되었다 할지라도 인덕턴스 측정 값의 변화가 거의 없다.In contrast,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cannot detect the inductance change inside the susceptor 130 due to the shielding of the susceptor 130, so even if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the inductance measurement value changes. There are almost none.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이 삽입된 경우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의 인덕턴스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ges in inductance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when a cigarette is inse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고하면, 도 7에서 설명된 궐련(20)이 삽입된 경우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의 인덕턴스 변화량의 그래프들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8, when the cigarette 20 described in Figure 7 is inserted, graphs of the inductance changes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are shown. It is done.

먼저,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의 인덕턴스 변화량의 그래프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궐련(20)이 삽입되면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의 인덕턴스 측정 값이 급격하게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궐련(20)의 삽입에 따른 궐련(20) 내 전자기 유도체(210)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량이 급격히 증가한다.First, let's look at graphs of inductance changes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When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the inductance measurement values of each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change rapidly. In other words, when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the amount of inductance change rapidly increases due to the electromagnetic conductor 210 within the cigarette 20.

하지만, 에러 감지 채널(150b)은 서셉터(130)의 차폐에 의해 궐련(20)이 삽입되었다 할지라도 인덕턴스 측정 값의 변화가 거의 없다.However,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inductance measurement value of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even if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due to the shielding of the susceptor 130.

앞서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인덕턴스 변화의 현상에 기초하여 제어부(120)는 궐련(2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previously described in FIG. 3, based on this phenomenon of inductance change, the control unit 120 can determine whether the cigarette 20 has been inserted.

아래의 표 1은 궐련(20)이 삽입된 경우,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의 인덕턴스 변화량을 반복적으로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simulation results of repeatedly measuring the inductance changes in each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when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

[궐련 삽입시 각 채널의 인덕턴스 변화량][Inductance change in each channel when cigarette is inserted]   LCH1 LCH1 LCH2 LCH2 LCH3 LCH3 diffdiff   7373 77 7676 135135 110110 77 8181 177177 3434 33 4141 6969 111111 88 4444 139139 4343 33 4545 8282 101101 88 5454 139139 107107 88 9696 187187 104104 77 3131 121121 5454 44 3737 8383 111111 88 9696 191191 111111 99 7676 169169 108108 88 6868 160160 5353 33 4242 8989 3232 33 4747 7373 107107 88 9393 184184 107107 99 8686 175175 3333 44 4141 6666 3434 44 3939 6565 3434 44 4646 7272 107107 88 7676 167167 3434 33 4545 7373 113113 88 5353 150150 112112 88 8989 185185 105105 88 9191 180180 MaxMax 113113 99 9696 191191 MinMin 3232 33 3131 6565 AverageAverage 8181 66 6262 130130

"LCH1"은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에서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이고, "LCH2"는 에러 감지 채널(150b)에서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이고, "LCH3"은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에서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이다. "diff"는 (LCH1-LCH2) + (LCH3-LCH2)의 값에 해당한다.“L CH1 ” is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in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L CH2 ” is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in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L CH3 ” is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in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 is the amount of inductance change detected. “diff” corresponds to the value of (L CH1 -L CH2 ) + (L CH3 -L CH2 ).

표 1을 참고하면, 궐련(20)이 삽입된 경우,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의 인덕턴스 변화량들(LCH1 및 LCH3)은, 에러 감지 채널(150b)에서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LCH2)보다 월등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은 궐련(20) 내 전자기 유도체(210)에 의한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나, 에러 감지 채널(150b)은 서셉터(20) 내측의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the inductance changes (L CH1 and L CH3 ) of each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are the error detection channel ( It can be seen that it is much larger than the inductance change (L CH2 ) detected in 150b). This means that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can detect the inductance change due to the electromagnetic conductor 210 in the cigarette 20, but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can detect the susceptor ( 20) This is because the change in inductance inside cannot be detected.

제어부(120)는 이와 같은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의 감지 특성들의 차이를 고려하여, 궐련(2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cigarette 20 has been inserted by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구체적으로, 궐련 감지 채널들(150a, 150c) 각각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LCH1, LCH3)과 에러 감지 채널(150b)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LCH2) 간 차이의 정도에 기초하여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LCH1)과 에러 감지 채널(150b)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LCH2) 간의 제 1 차이(LCH1-LCH2)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LCH3)과 에러 감지 채널(150b)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LCH2) 간의 제 2 차이(LCH1-LCH2)를 합한 값인 "diff" 값((LCH1-LCH2) + (LCH3-LCH2))과 소정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차이 및 상기 제 2 차이를 합한 값은 "diff" 값이라 호칭될 수 있다.Specifically, based on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inductance change amount (L CH1 , L CH3 ) detected by each of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150a, 150c) and the inductance change amount (L CH2 )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Judgment can be mad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the first difference (L CH1 - L CH2 ) and the second difference (L CH1 -L CH2 ) between the change amount (L CH3 ) detected by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and the change amount ( L CH2 )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 . The determination can be made by comparing the “diff” value ((L CH1 -L CH2 ) + (L CH3 -L CH2 ))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um of the first difference and the second difference may be called a “diff” value.

제어부(120)는 "diff" 값이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에 궐련(20)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한다. 하지만, "diff" 값이 소정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20)는 궐련(20)이 삽입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궐련(20)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는, 외부 자성체가 접근하였거나, 또는 궐련(20)이 아닌 이물질이 공동(160)에 삽입된 경우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nly when the “diff”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However, if the “diff” valu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cigarette 20 is not inserted. If the cigarette 20 is not inserted, an external magnetic body may have approached, or a foreign substance other than the cigarette 20 may have been inserted into the cavity 160.

한편, "diff" 값과 비교하기 위한 임계값(또는 기준값)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궐련(20) 내에 구비된 전자기 유도체(210)의 재료, 두께 등의 물리적 특성, 인덕티브 센서의 민감도 등과 같은 센서 특성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따라 인덕티브 감지 채널에서 측정된 인덕티브 변화량의 범위는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최적의 임계값은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도 1의 1)에 채용된 구성요소들의 특성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임계값은, 구현하고자 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도 1의 1)을 이용한 수십 회, 수백 회. 수천 회, 수만 회 등의 시뮬레이션 결과들로부터 측정된 인덕턴스 변화량들에 의존하여 최적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값은 다수의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획득된 "diff" 값들의 최소 값, 평균 값 등과 같은 통계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값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a threshold value (or reference value) for comparison with the “diff” value may be set in advance. The range of the inductive change measured in the inductive sensing channel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electromagnetic conductor 210 provided in the cigarette 20, and senso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nsitivity of the inductive sensor. It may vary. In other words, the optimal threshold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nents employed in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1 in Figure 1). Therefore, the threshold is tens or hundreds of times using the aerosol generating system to be implemented (1 in Figure 1). The optimal value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inductance changes measured from simulation results of thousands or tens of thousands of times. For example, the threshold may be predetermined as a desirable value based on statistics such as the minimum value, average value, etc. of “diff” values obtained from multiple simulation results.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궐련(20)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궐련(20)의 유도 가열을 개시하도록 히터 어셈블리(310)를 제어한다. 하지만, 제어부(120)는 궐련(20)의 삽입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에 자성체가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유도 가열이 개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igarette 20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heater assembly 310 to start induction heating of the cigarette 20. However, when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a magnetic material approaches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rather than inserting the cigarette 20,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induction heating not to be initiated.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detecting the approach of a magnetic substance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고하면, 외부 자성체(90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접근한 경우,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은 외부 자성체(900)의 접근에 의해 야기된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부 및 외부에 자성체 접근이 없었던 도 6에서의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의 인덕턴스 측정 값들과 비교하여, 외부 자성체(900)가 접근한 경우에는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의 인덕턴스 측정 값들이 변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when an external magnetic body 900 approach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each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is external. A change in inductance caused by the approach of the magnetic material 900 can be detected. That is, the inductance measurement values of each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in FIG. 6 where there was no access to the magnetic material inside and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nd In comparison, when the external magnetic body 900 approaches, the inductance measurement values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may change.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가 접근한 경우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의 인덕턴스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ges in inductance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when a magnetic material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roach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을 참고하면, 도 9에서 설명된 외부 자성체(900)가 접근한 경우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의 인덕턴스 변화량의 그래프들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when the external magnetic body 900 described in Figure 9 approaches, graphs of the inductance change amount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are shown. It is shown.

외부 자성체(900)가 접근한 시점부터,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의 인덕턴스 측정 값이 급격하게 변하게 된다.From the point when the external magnetic body 900 approaches, the inductance measurement values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change rapidly.

아래의 표 2는 외부 자성체(900)이 접근한 경우, 제 1 궐련 감지 채널(150a), 에러 감지 채널(150b)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150c) 각각의 인덕턴스 변화량을 반복적으로 측정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Table 2 below shows simulation results of repeatedly measuring the amount of inductance change in each of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a),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b), and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150c) when the external magnetic body 900 approaches. am.

[외부 자성체 접근시 각 채널의 인덕턴스 변화량][Inductance change in each channel when approaching external magnetic material]   LCH1 LCH1 LCH2 LCH2 LCH3 LCH3 diffdiff   4444 3737 6464 3434 3333 2929 5353 2828 1919 1616 2424 1111 1919 1212 1313 88 4242 3535 00 -28-28 3232 1919 2020 1414 4545 3737 5555 2626 1717 99 1313 1212 4242 3939 6565 2929 4949 4040 6060 2929 5252 2929 3636 3030 3030 2626 3737 1515 MaxMax 5252 4040 6565 3434 MinMin 1717 99 00 -28-28 AverageAverage 3535 2727 3737 1717

표 1에서와 달리, 외부 자성체(900)의 접근은 모든 인덕턴스 감지 채널에서 인덕턴스의 급격한 변화가 측정된다. 이에 따라, 표 2에서의 "diff" 값들은, 표 1에서의 "diff" 값들보다 대부분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외부 자성체(900)의 접근된 상황에서 획득된 "diff" 값은 소정 임계값보다 작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diff" 값이 소정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20)는 궐련(20)이 삽입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궐련(20)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는, 외부 자성체가 접근하였거나, 또는 궐련(20)이 아닌 이물질이 공동(160)에 삽입된 경우일 수 있다.Unlike in Table 1, when the external magnetic material 900 is approached, a rapid change in inductance is measured in all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diff” values in Table 2 are mostly smaller than the “diff” values in Table 1. That is, the “diff” value obtained when the external magnetic body 900 is approached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ccordingly, if the “diff” valu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cigarette 20 is not inserted. If the cigarette 20 is not inserted, an external magnetic body may have approached, or a foreign substance other than the cigarette 20 may have been inserted into the cavity 16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궐련 감지부(150)는 궐련(20)의 삽입을 감지할 수 있는 인덕턴스 감지 채널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의 자성체(900)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인덕턴스 감지 채널을 별도로 구비하고,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에서 측정된 인덕턴스 변화량들 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궐련(20)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외부 자성체(900)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는 실제로 궐련(20)이 삽입된 경우에만 가열 동작을 수행하고, 궐련(20)이 아닌 외부 물체가 접근한 경우에는 이상 가열의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As such,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inductance detection channel capable of detecting insertion of the cigarette 20 and an inductance capable of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magnetic material 900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By providing a separate detection channel,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cigarette 20 has been inserted or whether an external magnetic body 900 has approached b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uctance changes measured in the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According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a heating operation only when the cigarette 20 is actually inserted, and malfunction of abnormal heating is prevented when an external object other than the cigarette 20 approaches. It can b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인덕턴스 채널들의 인덕턴스 변화량들의 상관 관계에 해당하는 "diff" 값의 계산만을 이용하여 궐련(20)의 삽입 또는 외부 자성체(900)의 접근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인덕턴스 채널마다 측정된 인덕턴스 변화량을 개별 임계값과 단계적으로(조건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궐련(20)의 삽입 또는 외부 자성체(900)의 접근을 판별하는 방식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별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determine the insertion of the cigarette 20 or the approach of the external magnetic material 900 by only calculating the “diff”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uctance changes of the inductance channels. there is. Therefore, by stepwise (conditionally) comparing the inductance change measured for each inductance channel with the individual threshold, the determination is performed more accurately and quickly tha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insertion of the cigarette 20 or the approach of the external magnetic body 900. can do.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구비된 궐련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igarette detection unit provided 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고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와는 달리, 공동(1110) 내에 궐련 내에 삽입되는 내부 가열 타입의 세장형 히터(1121)가 구비되거나 또는 궐련 외측면을 가열하는 외부 가열 타입의 원통형 필름 히터(1122)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는 도 4에서 설명된 원통형 서셉터(130) 및 유도 코일(140)의 배치로 구현되지 않고, 다른 방식의 히터 조립체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100, unlik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f FIG. 1,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heating type elongated heater 1121 inserted into the cigarette within the cavity 1110 or outside the cigarette. An external heating type cylindrical film heater 1122 that heats the side may be provided. That i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100 may not be implemented with the arrangement of the cylindrical susceptor 130 and the induction coil 140 described in FIG. 4, but may be a device equipped with a heater assembly of another type.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에는 앞서 설명된 도면들에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의 서셉터(130) 위치에, 서셉터(130) 대신 차폐재(113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1500a, 1500b, 1500c)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의 길이 방향(즉, 차폐재(1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100, a shielding material 1130 may be disposed in place of the susceptor 13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in the previously described drawings. A plurality of inductance sensing channels 1500a, 1500b, and 1500c ar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100 (i.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elding material 1130).

에러 감지 채널(1500b)의 내측에는 궐련의 삽입에 의한 인덕턴스 변화의 감지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재(1130)가 배치됨으로써, 에러 감지 채널(1500b)은 외부 자성체의 접근만을 감지할 수 있다. 궐련 감지 채널들(1500a, 1500c)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차폐재(1130)를 벗어나도록 배치되어 궐련 내 포함된 금속 물질과 같은 전자기 유도체에 의해 야기된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A shielding material 1130 is disposed inside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0b to block the detection of inductance changes due to insertion of a cigarette, so that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500b can only detect the approach of an external magnetic body. Each of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1500a and 1500c is arranged to extend beyond the shielding material 1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detect inductance changes caused by electromagnetic conductors such as meta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igarette.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100)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와 비교하여 히터 조립체의 구현 방식과 서셉터(130) 대신 차폐재(1130)가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궐련 감지부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1500a, 1500b, 1500c)을 이용하여 궐련 삽입 또는 외부 자성체 접근을 판별하는 방식은 앞서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의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차폐재는 인덕티브 센서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는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차폐재의 물질적 특성은 서셉터(130)와 다를 수 있으므로, "diff" 값과 비교되기 위한 임계값은 서셉터(130)를 이용하는 경우와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at i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100 differs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f FIG. 1 only in that the heater assembly is implemented and the shielding material 1130 is disposed instead of the susceptor 130. The method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may be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a cigarette is inserted or an external magnetic body is accessed using the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1500a, 1500b, and 1500c of the detection unit. Meanwhile, the shielding material can be implemented as a material that can shiel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inductive sensor. Since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shielding material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usceptor 130, the threshold for comparison with the “diff”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than when using the susceptor 130.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의 제어 방법은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할지라도, 앞서 도면들에서 설명된 내용들은 도 12의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Figure 1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thod of FIG. 12 corresponds to steps processed in time series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described in the previous drawings.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rawings above can also be applied to the control method of FIG. 12.

1201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내 궐련(20)의 삽입을 감지하는 복수의 궐련 감지 채널들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러 감지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한 궐련 감지부(150)는,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한다.In step 1201, a plurality of inductances including a plurality of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for detecting insertion of the cigarette 20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and an error detection channel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a magnetic material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equipped with detection channels detects inductance changes.

1202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궐련 감지부(150)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에러 감지 채널 대비 궐련 감지 채널들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에 궐련(20)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 외부에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step 1202,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inductance change is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150, 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n aerosol generator based on the degree of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compared to the error detection channel. 10), it is determined whether a cigarette 20 has been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or whether a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dditionally, the data structure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s storage media such as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RAM, USB,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optical read media (e.g., CD-ROM, DVD, etc.) do.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set forth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disclosure.

1: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10: 에어로졸 생성 장치
20: 궐련
110: 배터리
120: 제어부
130: 서셉터
150: 궐련 감지부
160: 공동
210: 전자기 유도체
1: Aerosol generation system
10: Aerosol generating device
20: cigarette
110: battery
120: control unit
130: Susceptor
150: Cigarette detection unit
160: joint
210: electromagnetic inductor

Claims (15)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의 둘레를 유도 가열하도록 배치된 서셉터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어셈블리;
상기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복수의 궐련 감지 채널들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러 감지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한 궐련 감지부; 및
상기 궐련 감지부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에러 감지 채널 대비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상기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 heater assembly that generates an aerosol using a susceptor disposed to inductively heat a circumference of a cigarette accommoda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 cigarett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for detecting insertion of the cigarette and an error detection channel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a magnetic material external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When an inductance change is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degree of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sensing channels compared to the error detection channel.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 각각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과 상기 에러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 간 차이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based on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each of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and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궐련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과 상기 에러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 간의 제 1 차이 및 제 2 궐련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과 상기 에러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변화량 간의 제 2 차이를 합한 값과 소정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 first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change detected by the first cigarette detection channel and the amount of change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and a second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change detected by the second cigarette detection channel and the amount of change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Performing the above determination by comparing the summed valu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차이 및 상기 제 2 차이를 합한 값이 상기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 1 차이 및 상기 제 2 차이를 합한 값이 상기 소정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상기 자성체가 접근한 것으로 결정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When the sum of the first difference and the second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threshold, it is determined that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f the sum of the first difference and the second differenc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determining that the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은
상기 서셉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서셉터의 외측에 일렬로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are
Arranged in a row on the outside of the suscept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sceptor,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감지 채널은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 사이에서 상기 서셉터의 길이보다 짧게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error detection channel is
disposed between the cigarette sensing channel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usceptor,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감지 채널은
상기 서셉터의 차폐에 의해 상기 서셉터 내측에서의 인덕턴스 변화의 감지가 차단되고, 상기 서셉터 외측에서의 상기 자성체의 접근에 의해 야기된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error detection channel is
Detection of inductance changes inside the susceptor is blocked by the shielding of the susceptor, and detection of inductance changes caused by the approach of the magnetic material outside the susceptor is detec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서셉터를 벗어나도록 배치되고,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 각각은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삽입된 궐련 내 포함된 전자기 유도체에 의해 야기된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5,
Each of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is arranged to extend beyond the suscep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detects an inductance change caused by an electromagnetic inductor contained in the inserted cigarette when the cigarette is inserted,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궐련의 유도 가열을 개시하도록 상기 히터 어셈블리를 제어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상기 자성체가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유도 가열이 개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heater assembly to initiate induction heating of the cigaret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igarette has been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reventing the induction heating from start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device.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 어셈블리;
상기 히터 어셈블리의 외측에 배치된 차폐재;
상기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복수의 궐련 감지 채널들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러 감지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한 궐련 감지부; 및
상기 궐련 감지부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된 경우, 상기 에러 감지 채널 대비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상기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 heater assembly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a cigarette accommodat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 shielding material disposed outside the heater assembly;
a cigarett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for detecting insertion of the cigarette and an error detection channel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a magnetic material external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When an inductance change is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degree of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sensing channels compared to the error detection channel.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 각각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과 상기 에러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 간 차이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control unit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based on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each of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and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에러 감지 채널의 내측에는 상기 궐련의 삽입에 의한 인덕턴스 변화의 감지를 차단하기 위한 상기 차폐재가 배치되고,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 각각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 차폐재를 벗어나도록 배치되어 상기 궐련 내 포함된 전자기 유도체에 의해 야기된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plurality of inductance sensing channels ar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shielding material is disposed inside the error detection channel to block detection of inductance change due to insertion of the cigarette,
Each of the cigarette sensing channels is arranged to extend beyond the shielding materi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detect a change in inductance caused by an electromagnetic conductor contained in the cigarette.
Aerosol generating device.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 궐련의 삽입을 감지하는 복수의 궐련 감지 채널들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자성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에러 감지 채널을 포함하는 복수의 인덕턴스 감지 채널들을 구비한 궐련 감지부에 의해, 인덕턴스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궐련 감지부에 의해 상기 인덕턴스 변화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에러 감지 채널 대비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상기 궐련이 삽입되었는지 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상기 자성체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a method of controll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By a cigarette det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ductance detection channels including a plurality of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for detecting insertion of a cigarette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error detection channel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a magnetic material outsi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tecting an inductance chang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uctance change is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unit, whether the cigarette is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degree of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compared to the error detection channel or the Including determining whether the magnetic body has approached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궐련 감지 채널들 각각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과 상기 에러 감지 채널에 의해 감지된 인덕턴스 변화량 간 차이의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judgment step is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based on the degree of difference between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each of the cigarette detection channels and the inductance change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on channel,
meth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궐련의 유도 가열을 개시하도록 히터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에 상기 자성체가 접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유도 가열은 개시되지 않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the heater assembly to initiate induction heating of the cigarett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igarette has been insert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gnetic material approaches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induction heating is not initiated,
method.
KR1020230006314A 2022-09-05 2023-01-16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40033630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380012632.7A CN117999004A (en) 2022-09-05 2023-09-01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3813537.0A EP4358772A1 (en) 2022-09-05 2023-09-01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23/013103 WO2024053945A1 (en) 2022-09-05 2023-09-01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369 2022-09-05
KR20220112369 2022-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630A true KR20240033630A (en) 2024-03-12

Family

ID=9030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314A KR20240033630A (en) 2022-09-05 2023-01-16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63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8529C1 (en) Device for smoking material heating
KR102413671B1 (en) Inductive heating arrangement
KR102408932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US20230052593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30014608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95618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determining puff numb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3254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eater based o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pparatus thereof
KR20190116586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ir flow detection
EP3818884A1 (en) Cigarett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for cigarette
US20220110373A1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190137507A (en) 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40033630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3573599B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error analyzing device, and error analyzing system
CN117999004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354916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3226081B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533273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20230165310A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susceptor assembly
KR102326985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US20230058326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4053945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48898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2004567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US20220312850A1 (en)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17202807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