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326A - Mixed liquid separator - Google Patents

Mixed liquid sepa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326A
KR20240033326A KR1020220111824A KR20220111824A KR20240033326A KR 20240033326 A KR20240033326 A KR 20240033326A KR 1020220111824 A KR1020220111824 A KR 1020220111824A KR 20220111824 A KR20220111824 A KR 20220111824A KR 20240033326 A KR20240033326 A KR 20240033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liquid
water level
specific gravity
mixe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8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섭근
Original Assignee
장섭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섭근 filed Critical 장섭근
Priority to KR102022011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326A/en
Priority to PCT/KR2022/015473 priority patent/WO2023090649A2/en
Publication of KR2024003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326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혼합액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비중의 제1 액체와 저비중의 제2 액체가 섞인 혼합액이 일측으로 투입되는 분리수조;와, 상기 분리수조의 타측에 배치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하방에 배치된 제1 배출구 및 상방에 배치된 제2 배출구;와, 상기 혼합액이 상기 제1 액체와 제2 액체의 비중차에 의해 형성하는 계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제1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측정부;와, 상기 제1 배출구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배출구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2 밸브; 및 상기 수위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가 사전에 설정된 제1 범위에 있을 때만 상기 제1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또한 상기 제1 수위가 사전에 설정된 제2 범위에 있을 때만 상기 제2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한다.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which includes a separation tank into which a mixed liquid of a first liquid of high specific gravity and a second liquid of low specific gravity is introduced to one side;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tank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first outlet disposed below and a second outlet disposed above; Water level measurement to measure the first water level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interface formed by the mixed liquid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Part; and, a first valve that operat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utlet and a second valve that operat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outle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valve only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within a first preset range. Control is performed to open the outlet, and control to open the second outlet is performed only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in a preset second range.

Description

혼합액 분리장치{MIXED LIQUID SEPARATOR}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MIXED LIQUID SEPARATOR}

본 발명은 비중이 다른 액체가 뒤섞인 혼합액을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비중별로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parating a mixed liquid of different specific gravity according to specific gravity through a physical method.

비중이 서로 다른 몇 종류의 액체가 뒤섞인 혼합액, 예를 들어 기름과 물이 섞인 폐수는 공장, 건설현장, 선박과 같은 산업현장은 물론 식당, 가정 등의 실생활에서도 다량 배출되고 있다.A large amount of wastewater, a mixture of several types of liquids with different specific gravity, such as oil and water, is discharged not only in industrial sites such as factories, construction sites, and ships, but also in real life such as restaurants and homes.

혼합액을 별도의 처리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배출하면 자연 생태계에 큰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각종 혼합액을 자연에 배출하기 전에 전처리하는 공정이 필히 요구된다. Discharging the mixed solution as is without any additional treatment often causes great damage to the natural ecosystem, so a pretreatment process is required before discharging the mixed solution into the nature.

비중이 다른 혼합액에서 혼합 전의 액체를 서로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비중처리법, 수력분리법, 필터분리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Examples of methods for separating liquids before mixing from mixed liquids with different specific gravity include specific gravity treatment, hydraulic separation, and filter separation.

비중분리법으로는, 예를 들어 물과 기름의 혼합액에 대해 물 위로 기름을 부유시킨 후 오일스키머(Oil Skimmer)로 걷어서 제거하는 것과 같이 비중차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중분리법은 비중이 낮은 액체를 부상시키고 스키머를 작동하기 위한 설치공간과 동력이 요구됨에 따라 혼압핵 흐름에 정체나 서행유동을 만들 수 있는 하수처리장과 같은 대규모 시설에서나 적용이 가능하며 유지관리가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The specific gravity separation method is a method that uses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for example, in a mixture of water and oil, by floating the oil on the water and then removing it by skimming it with an oil skimmer. However, as the specific gravity separation method requires installation space and power to levitate liquids with low specific gravity and operate the skimmer, it can only be applied in large-scale facilities such as sewage treatment plants where stagnation or slow flow can be created in the mixed pressure core flow and maintenance. The downside is that it is somewhat inconvenient.

수력분리법은 와류와 같은 특정한 유동패턴을 한정된 공간상에 형성함으로써 원심력과 중력에 의해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수력분리법은 상부에 부유된 저비중 액체를 흡입, 제거하는 방식이기에, 완전한 분리가 어렵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Hydraulic separation is a method of separating fluids by centrifugal force and gravity by forming a specific flow pattern, such as a vortex, in a limited space. However, the hydraulic separation method is a method of sucking and removing low-specific gravity liquid suspended at the top, so it has a fundamental limitation in that complete separation is difficult.

필터분리법은 부직포와 같은 여과포를 이용하여 한 종류의 액체를 거르고 나머지 액체는 통과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필터분리법은 걸러낼 액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다 걸러지지 못하고 유출될 우려가 있고, 필터교체나 청소가 정기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연속적인 분리처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The filter separation method uses a filter cloth such as non-woven fabric to filter one type of liquid and allow the remaining liquid to pass through. However, the filter separation method has the problem that if there is a large amount of liquid to be filtered, there is a risk of leakage without being able to filter all of it, and because filter replacement or cleaning is required regularly, maintenance costs are high and continuous separation treatment is difficult.

한국등록특허 제10-1726402호 (2017.04.06 등록)Korean Patent No. 10-1726402 (registered on 2017.04.06)

본 발명은 비중이 서로 다른 액체가 뒤섞인 혼합액을 비중별로 분리할 수 있고, 또한 구조는 단순화하면서 유지관리는 간편하고 연속적으로 대량의 혼합액을 처리할 수 있는 혼합액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that can separate mixed liquids of different specific gravity by specific gravity, has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maintain, and can continuously process a large amount of mixed liquids.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혼합액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비중의 제1 액체와 저비중의 제2 액체가 섞인 혼합액이 일측으로 투입되는 분리수조;와, 상기 분리수조의 타측에 배치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하방에 배치된 제1 배출구 및 상방에 배치된 제2 배출구;와, 상기 혼합액이 상기 제1 액체와 제2 액체의 비중차에 의해 형성하는 계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제1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측정부;와, 상기 제1 배출구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배출구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2 밸브; 및 상기 수위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가 사전에 설정된 제1 범위에 있을 때만 상기 제1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또한 상기 제1 수위가 사전에 설정된 제2 범위에 있을 때만 상기 제2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which includes a separation tank into which a mixed liquid of a first liquid of high specific gravity and a second liquid of low specific gravity is introduced to one side; and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tank and directed down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 first outlet disposed in and a second outlet disposed above; And, a water level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first water level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interface formed by the mixed liquid by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 and, a first valve that operat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utlet and a second valve that operat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outle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valve only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within a first preset range. Control is performed to open the outlet, and control to open the second outlet is performed only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in a preset second range.

여기서, 상기 제1 범위는, 상기 제1 수위가 상기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 사이로 설정된 제1 경계수위 이상인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first range may be set as a range where the first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set between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가 상기 제1 경계수위에 제1 여유높이를 더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제1 밸브의 폐쇄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control to change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valve to the open state when the first water level reaches the position of adding the first margin height to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그리고,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1 수위가 상기 제2 배출구와 제1 경계수위 사이로 설정된 제2 경계수위 이하인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And, the second range may be set to a range in which the first water level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set between the second outlet and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가 상기 제2 경계수위에 제2 여유높이를 뺀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제2 밸브의 폐쇄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control to change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valve to the open state when the first water level reaches 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minus the second clearance heigh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위 측정부는, 상기 제1 액체의 비중과 상기 제2 액체의 비중 사이의 중간 비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액체와 제2 액체의 계면상에 위치하는 계면 부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계면 부상체는 바닥과 계면 사이의 제1 수위에 대한 기준을 제공한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is an interface located on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by having an intermediate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liquid a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cond liquid. A floating body is provided, and the interface floating body provides a reference for a first water level between the bottom and the interface.

필요하다면, 상기 수위 측정부는, 상기 제2 액체의 비중보다 가벼운 비중으로 이루어진 액면 부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액면 부상체는 바닥과 액면 사이의 전체 수위에 대한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liquid surface floating body whose specific gravity is lighter than that of the second liquid, and the liquid level floating body may provide a standard for the entire water level between the bottom and the liquid surfac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제1 배출구에 대한 거리가 고정된 고정식 제2 배출구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배출구에 대한 거리가 가변되는 이동식 제2 배출구로 구성될 수 있다.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utlet may be a fixed second outlet with a fixed distance to the first outlet, or a movable second outlet with a variable distance to the first outlet. You can.

상기 이동식 제2 배출구는, 제2 액체가 유입되는 입구는 상기 제2 액체의 표면 상에 위치하고, 유입된 제2 액체가 유출되는 출구는 상기 입구와 관 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분리수조 바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the movable second outlet, the inlet through which the second liquid flows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and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second liquid flows out is connected to the inlet and a pipe member to extend outside the separation tank. You can.

여기서, 상기 이동식 제2 배출구는, 상기 제2 액체의 비중보다 가벼운 비중으로 이루어진 부유식이거나, 또는 상기 수위 측정부에서 측정한 전체 수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이동하는 동력주행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movable second outlet may be a floating type with a specific gravity lighter than that of the second liquid, or a power-driven type that mov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total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You can.

그리고, 상기 이동식 제2 배출구의 출구의 높이는 상기 제1 수위 미만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액체가 형성하는 수두에 의해 상기 제2 액체가 상기 출구로 배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outlet of the second movable outlet is less than the first water level, and accordingly, the second liqui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let due to the water head formed by the second liqui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혼합액 분리장치는 비중이 서로 다른 액체가 뒤섞인 혼합액을 비중별로 신속하게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비중이 서로 다른 액체를 동시에 분리해서 배출하므로, 시간당 분리처리량이 매우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The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rapidly and continuously separate mixed liquids in which liquids of different specific gravity are mixed by specific gravity. In particular, it has the advantag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liquids with different specific gravity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eparation throughput per hour is very high.

또한, 본 발명의 혼합액 분리장치는 구조가 단순하고 소모품이 거의 없기 때문에 유지관리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따라서, 대형설비로 구성함에 있어서도 투자비용이 장애요소가 되지 않으므로, 각종 폐수를 처리하는 설비 확충을 촉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has almost no consumables, so maintenance costs are greatly reduced. Therefore, since investment cost is not an obstacle even when constructing a large-scale facility, expansion of facilities for treating various types of wastewater can be promoted.

그리고, 본 발명의 혼합액 분리장치를 선박 구조로 확장하거나, 또는 선박에 독립된 장치로서 구비하면 담수나 해수에 유출된 원유 등의 기름을 회수하는 유회수선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그 효용성이 매우 높다.In addition, if the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to the ship structure or provided as an independent device on the ship, it can be used as a skimmer to recover oil such as crude oil spilled in fresh water or sea water, so its effectiveness is very high.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액 분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배출구에 대해 설정된 제1 범위에 대한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2 배출구에 대해 설정된 제2 범위에 대한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위 측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배출구에 대한 거리가 가변되는 이동식 제2 배출구의 예를 도시한 도면.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only .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one embodiment of a first range established for a first outlet;
Figure 3 shows one embodiment of a second range established for a second outlet;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water level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 movable second outlet whose distance to the first outlet is varia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ost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provid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that include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Does not exclude presence or addi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액 분리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gure 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혼합액 분리장치(10)는 분리수조(100), 제1 배출구(200) 및 제2 배출구(300), 수위 측정부(400), 그리고 제어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ion tank 100, a first outlet 200 and a second outlet 300, a water level measuring unit 400, and a control unit 500. do.

분리수조(100)는 혼합액(ML)이 투입되는 용기로서, 분리수조(100)의 일측으로 투입되는 혼합액(ML)은 고비중의 제1 액체(L1)와 저비중의 제2 액체(L2)가 섞여있는 액체다. 분리수조(100)의 크기는 혼합액 분리장치(10)의 용도에 맞춰 적절한 크기로 만들어지고 필요에 따라 뚜껑이 있을 수도 있으며, 실내나 실외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으므로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그 재질과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The separation tank 100 is a container into which the mixed liquid (ML) is introduced. The mixed liquid (ML) introduced into one side of the separation tank 100 consists of a first liquid (L1) of high specific gravity and a second liquid (L2) of low specific gravity. It is a liquid mixed with The size of the separation tank 100 is made to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10, and may have a lid if necessary. Since it can be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its material and shape must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can be decided.

참고로, 본 발명은 고비중의 제1 액체(L1)와 저비중의 제2 액체(L2)가 섞인 혼합액(ML)을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설명할 각 구성요소는,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가능한 제1 액체(L1)와 주로 관련된 것은 "제1 ∼"로, 그리고 제2 액체(L2)와 주로 관련된 것은 "제2 ∼"로 지칭할 것이다.For 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eparating a mixed liquid (ML) of a high specific gravity first liquid (L1) and a low specific gravity second liquid (L2) into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econd liquid (L2). , each component to be described below,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invention, those mainly related to the first liquid (L1) are referred to as "first ~", and those mainly related to the second liquid (L2) are referred to as "second to". It will be referred to as ".

분리수조(100)의 타측에는 제1 배출구(200)와 제2 배출구(300)가 배치된다. 제1 배출구(200)는 제1 액체(L1)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는데,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제1 액체(L1)는 분리수조(100)의 아래쪽으로 모이기에 제1 배출구(200)는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저비중의 제2 액체(L2)에 대한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제2 배출구(300)는 높이방향을 따라 제1 배출구(200)의 상방에 배치된다.A first outlet 200 and a second outlet 300 ar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tank 100. The first outlet 200 form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liquid L1 is discharged. Since the first liquid L1, which has a relatively high specific gravity, collects at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tank 100, the first outlet 200 is It is placed below. In addition, the second outlet 300, which forms a discharge passage for the second liquid L2 of low specific gravity, is disposed above the first outlet 200 along the height direction.

다만, 제1 배출구(200)의 높이방향 상방에 제2 배출구(300)가 배치된다는 것은 상하위치 관계만을 특정하는 것일 뿐, 제1 배출구(200)와 제2 배출구(300)가 수직방향의 일직선 상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act that the second outlet 300 is disposed above the first outlet 200 in the height direction only specifies the vertical position relationship, and the first outlet 200 and the second outlet 300 are align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does not mean that it is located on top.

여기서, 제1 배출구(200)와 제2 배출구(300)가 분리수조(100)의 타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혼합액(ML)이 분리수조(100)의 일측으로 투입되는 것에 대해 적절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는 의미가 내포된 것이다. 즉, 제1 배출구(200)와 제2 배출구(300)는, 분리수조(100)의 일측으로 투입된 혼합액(ML)이 비중차에 의해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가 명확한 계면(FC)을 형성할 정도의 충분한 거리로 떨어져있을 필요가 있다.Here, the first outlet 200 and the second outlet 300 ar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tank 100, meaning that they are spaced apart by an appropriate distance for the mixed liquid ML to be injected into one side of the separation tank 100. It is implied that there is. That is, the first outlet 200 and the second outlet 300 have a clear first liquid (L1) and a second liquid (L2) due to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of the mixed liquid (ML) introduced to one side of the separation tank (100). They need to be separated by a sufficient distance to form an interface (FC).

그리고, 혼합액(ML)이 분리수조(100)에 투입될 때 발생하는 충격이 제1 배출구(200)와 제2 배출구(300) 주변에 교란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의 유속을 조절하며,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가 신속히 상하로 분리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해, 적절한 위치와 깊이로서 흐름 조절판(110)이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mixed liquid (ML) is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tank 100 is prevented from causing disturbance around the first outlet 200 and the second outlet 300, and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econd outlet 300 are prevented. 2 In order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liquid (L2) and induce rapid separation of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econd liquid (L2) up and down, it is also desirable to have a flow control plate 110 a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depth. can do.

수위 측정부(400)는 비중차에 의해 상하로 층을 이루는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가 형성하는 계면(FC)의 높이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에 해당하는 구성이다. 수위 측정부(40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상술할 것인데, 그 기본적인 기능을 요약한다면, 수위 측정부(400)는 바닥(FL)에 대한 계면(FC) 사이의 높이, 다시 말해 제1 액체(L1)의 수위인 제1 수위(LV1)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혼합액(ML)이 비중차에 의해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로 분리되어 안정적으로 계면(FC)을 형성하는 영역에 수위 측정부(400)가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400 i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water level sensor that measures the height of the interface (FC) formed by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econd liquid (L2) layered up and down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To summarize its basic function,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400 is the height between the interface FC with respect to the floor FL, that is, the 1 It serves to measure the first water level (LV1), which is the level of the liquid (L1). Here, of course,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400 must be placed in an area where the mixed liquid (ML) is separated into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econd liquid (L2)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to stably form the interface (FC). am.

제1 배출구(200)와 제2 배출구(300)에는 각각 개폐를 담당하는 제1 밸브(210) 및 제2 밸브(310)가 구비된다. 제1 밸브(210)는 제1 배출구(200)를 통해 제1 액체(L1) 외에 제2 액체(L2)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개폐가 적절히 제어되며, 마찬가지로 제2 밸브(310)는 제2 배출구(300)에서 제1 액체(L1)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1 밸브(210) 및 제2 밸브(310)의 조작은 제어부(500)에 의해 수행된다.The first outlet 200 and the second outlet 300 are provided with a first valve 210 and a second valve 310, respectively, which are responsibl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210 is appropriately controlled to prevent the second liquid (L2) other than the first liquid (L1)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outlet 200, and similarly, the second valve 310 Prevents the first liquid L1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300.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210 and the second valve 310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500.

제어부(500)는 수위 측정부(4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제1 밸브(210) 및 제2 밸브(31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제1 수위(LV1)가 사전에 설정된 제1 범위(510)에 있을 때에만 제1 배출구(200)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또한 제1 수위(LV1)가 사전에 설정된 제2 범위(520)에 있을 때만 제2 배출구(300)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1 범위(510)는 제1 액체(L1)가 제1 배출구(200) 주변에 존재하는 것으로 특정할 수 있는 범위를 정의하는 것이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210 and the second valve 310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40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00 performs control to open the first outlet 200 only when the first water level LV1 is in the preset first range 510, and also controls to open the first water level LV1. Control is performed to open the second outlet 300 only when it is within the preset second range 520. That is, the first range 510 defines a range in which the first liquid L1 can be specified to exist around the first outlet 200.

아울러 제1 배출구(200)와 제2 배출구(300)에는 각각 제1 펌프(220)와 제2 펌프(320)가 구비됨으로써 자연배출에 비해 훨씬 신속하게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제1 펌프(220)와 제2 펌프(320)의 작동은 제어부(500)의 제어하에서 제1 밸브(210) 및 제2 밸브(310)의 개방작동에 연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utlet 200 and the second outlet 300 are provided with a first pump 220 and a second pump 320,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econd liquid (L1) are discharged much more quickly than natural discharge. L2) can als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mp 220 and the second pump 320 may be linked to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first valve 210 and the second valve 3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도 2는 제1 배출구(200)에 대해 설정된 제1 범위(51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범위(510)는 제1 수위(LV1), 즉 바닥(FL)에서부터 계면(FC)까지의 제1 액체(L1)의 수위가 제1 배출구(200)와 제2 배출구(300) 사이로 설정된 제1 경계수위(512) 이상인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FIG. 2 show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first range 510 set for the first outlet 200.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range 510 is the first water level LV1, that is, the level of the first liquid L1 from the bottom FL to the interface FC is between the first outlet 200 and the second outlet 200. It can be set to a range that is higher than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512 set between the outlet 300.

다시 말해, 제1 범위(510)는 제1 액체(L1)가 제1 배출구(200) 위쪽으로 어느 정도의 수위를 유지하는 범위를 의미하는 것이며, 안전값으로 설정된 제1 경계수위(512) 이상으로 제1 수위(LV1)가 유지될 때는 제1 밸브(210)를 개방하고, 그렇지 못하면 제1 밸브(210)를 폐쇄함으로써 제1 배출구(200)를 통해 제2 액체(L2)가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In other words, the first range 510 means the range in which the first liquid L1 maintains a certain level above the first outlet 200, and is above the first boundary level 512 set as a safe value. When the first water level LV1 is maintained, the first valve 210 is opened, otherwise, the first valve 210 is closed to prevent the second liquid L2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first outlet 200. Prevent it in advance.

나아가 제어부(500)는 제1 수위(LV1)가 제1 경계수위(512) 미만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우에는, 제1 경계수위(512)에 제1 여유높이(514)를 더한 위치에 제1 수위(LV1)가 도달했을 때에야 비로소 제1 밸브(210)의 폐쇄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제1 수위(LV1)가 제1 경계수위(512)를 오르락내리락 할 때 제1 밸브(210)가 반복적으로 빈번하게 개폐되는 문제를 고려한 것이다.Furthermore, when the first water level (LV1) falls below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512) and then rises again, the control unit 500 is set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learance height (514) is added to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512). Control to change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valve 210 to the open state may be performed only when the first water level LV1 is reached.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problem that the first valve 210 is repeatedly opened and closed when the first water level LV1 rises and falls to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512.

그리고, 도 3은 제2 배출구(300)에 대해 설정된 제2 범위(520)에 대한 구체적인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범위(520)는, 제1 수위(LV1)가 제2 배출구(300)와 제1 경계수위(512) 사이로 설정된 제2 경계수위(522) 이하인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수위(LV1)는 바닥(FL)에서부터 계면(FC)까지의 높이로서, 제1 수위(LV1)는 제1 액체(L1)의 수위이면서 동시에 제2 액체(L2)의 바닥면 높이를 의미한다. And, FIG. 3 show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second range 520 set for the second outlet 300. As shown, the second range 520 may be set to a range in which the first water level LV1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522 set between the second outlet 300 and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512. . The first water level (LV1) is the height from the bottom (FL) to the interface (FC), and the first water level (LV1) refers to the water level of the first liquid (L1) and at the same time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L2). do.

도 3에 도시된 제2 경계수위(522) 역시 일종의 안전값으로서, 제2 배출구(300) 아래로 확보되어야 할 제2 액체(L2)의 최소깊이, 다른 정의로는 제1 액체(L1)에 대해 제2 배출구(300)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높이를 의미한다. 즉, 제1 액체(L1)가 제2 경계수위(522)를 초과하여 제2 배출구(300) 쪽으로 근접하는 것은 제2 배출구(300)를 통해 제1 액체(L1)가 유출될 위험이 높아지는 상태에 있는 것이므로, 제2 경계수위(522)는 제2 밸브(310)의 개폐조작에 대한 기준이 된다.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522 shown in FIG. 3 is also a kind of safety value, and is the minimum depth of the second liquid (L2) that must be secured below the second outlet 300, or in other words, the minimum depth of the first liquid (L1) This means the maximum height that the second outlet 300 can allow. That is, when the first liquid L1 exceeds 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522 and approaches the second outlet 300, the risk of the first liquid L1 leaking through the second outlet 300 increases. Since it is in, 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522 serves as a standard fo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second valve 310.

또한, 제어부(500)는 제1 수위(LV1)가 제2 경계수위(522)에서부터 제2 여유높이(524)를 뺀 위치에 도달했을 때 비로소 제2 밸브(310)를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 여유높이(514)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유로서, 제1 수위(LV1)가 제2 경계수위(522)를 오르내릴 때 제2 밸브(310)가 빈번하게 개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0 changes the second valve 310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only when the first water level (LV1) reaches the position minus the second clearance height (524) from 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522). Switching control can be performed. This is for the same reason as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clearance height 514, and prevents the second valve 310 from frequently opening and closing when the first water level LV1 rises and falls to 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522. This is to do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수위 측정부(400)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수위 측정부(400)는 제1 액체(L1)의 비중과 제2 액체(L2)의 비중 사이의 중간 비중으로 이루어진 계면 부상체(410)를 포함한다. 계면 부상체(410)는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의 중간 비중을 가지기 때문에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의 계면(FC)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계면 부상체(410)는 바닥(FL)과 계면(FC) 사이의 제1 수위(LV1)에 대한 기준을 제공한다.Figure 4 shows a water level measur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water level measuring unit 400 includes an interface floating body 410 having an intermediate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cond liquid (L2). Since the interface floating body 410 has an intermediate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econd liquid (L2), it is located on the interface (FC) between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econd liquid (L2). Accordingly, the interface floating body 410 provides a reference to the first water level (LV1) between the floor (FL) and the interface (FC).

제1 액체(L1)와 제2 액체(L2)의 계면(FC)상에 계면 부상체(410)가 위치하므로, 계면 부상체(410)를 이용함으로써 바닥(FL)과 계면(FC) 사이의 제1 수위(LV1)를 측정할 수 있다. 어떤 지점(예를 들어, 분리수조의 바닥)에서부터 계면 부상체(410)까지의 거리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Since the interface floating body 410 is located on the interface FC between the first liquid L1 and the second liquid L2, the interface floating body 410 is used to create a space between the bottom FL and the interface FC. The first water level (LV1) can be measured. The distance from a certain point (for example,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tank) to the floating interface body 410 can be measured using various known distance sensors.

예를 들어, 분리수조(100)의 바닥(FL) 또는 분리수조(100)의 상방(예를 들어, 분리수조의 뚜껑이나 실내의 천장 등)에 배치된 거리센서를 계면 부상체(410)에 투사함으로써 바닥(FL)이나 뚜껑에서 계면 부상체(410)까지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For example, a distance sensor disposed on the bottom (FL) of the separation tank 100 or above the separation tank 100 (for example, on the lid of the separation tank or the ceiling of the room, etc.) is connected to the interface floating body 410. By projecting,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FL) or lid to the floating interface body 410 can be determined.

또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분리수조(100) 바닥(FL)에 고정한 로드(430)나 레일을 따라 계면 부상체(410)가 계면(FC)의 변동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이동하고, 이렇게 오르내리는 계면 부상체(410)는 빛이나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근접센서, 자기장에 반응하는 홀 센서 등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는 공지된 근접센서나 거리센서 등의 센서는 생략되어 있는데, 이는 센서의 측정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내용이 제한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 the interface floating body 410 freely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interface FC along the rod 430 or rail fixed to the bottom FL of the separation tank 100, like this. The position of the rising and falling interface floating body 410 can be easily measured using a proximity sensor that uses light or ultrasonic waves, a Hall sensor that responds to a magnetic field, etc. For reference, sensors such as known proximity sensors and distance sensors are omitted in FIG. 5 to avoid limiting interpreta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sensor.

한편, 본 발명의 혼합액 분리장치(10)는 제2 배출구(300)를 고정식으로 구성하는 것은 물론 이동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제1 배출구(200)에 대한 거리가 상수(常數)로 정해진 고정식 제2 배출구(301)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제1 배출구(200)에 대한 거리가 가변되는 이동식 제2 배출구(302)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Meanwhile, in the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utlet 300 can be configured as a fixed type as well as a mobile type. 1 to 4 show an example consisting of a fixed second outlet 301 whose distance to the first outlet 200 is set to a constant, and Figure 5 shows an example where the distance to the first outlet 200 is set to a constant. An example of a variable, movable second outlet 302 is shown.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식 제2 배출구(302)는, 제2 액체(L2)가 유입되는 입구(303)가 제2 액체(L2)의 표면 상에 위치하고, 유입된 제2 액체(L2)가 유출되는 출구(304)는 관 부재(305)를 통해 입구(303)와 연결되어 분리수조(100) 바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동식 제2 배출구(302)의 입구(303)가 제2 액체(L2)의 표면 상에 위치하므로, 고정식 제2 배출구(301)의 경우처럼 제2 액체(L2)의 표면이 제2 배출구(300) 아래에 있는 경우는 없다.Referring to FIG. 5, the movable second outlet 302 has an inlet 303 through which the second liquid (L2) flows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L2), and the introduced second liquid (L2) The outflow outlet 304 is connected to the inlet 303 through a pipe member 305 and extends outside the separation tank 100. Since the inlet 303 of the movable second outlet 302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L2, th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L2 is located at the second outlet 300, as in the case of the fixed second outlet 301. ) There is no case below.

이동식 제2 배출구(302)는, 제2 액체(L2)의 비중보다 가벼운 비중으로 이루어진 부유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혼합액(ML)의 전체 수위(TL)에 기반하여 제어부(500)의 제어하에 이동하는 동력주행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ovable second outlet 302 may be of a floating type with a specific gravity lighter than that of the second liquid (L2), or may be connected to the total water level (TL) of the mixed liquid (ML) measured using a separate water level sensor. Based on this, it may be configured as a power-driven type that mov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0.

예를 들어, 혼합액(ML)의 전체 수위(TL)를 측정하기 위해, 수위측정부(400)는 제2 액체(L2)의 비중보다 가벼운 비중으로 이루어진 액면 부상체(420)를 구비할 수 있다. 액면 부상체(420) 역시 로드(430)나 레일 등에 의해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액면 부상체(420)를 이용하여 액면과 바닥(FL) 사이의 전체 수위(TL)를 측정하거나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액면 부상체(420)를 통해 측정 또는 산출한 전체 수위(TL)를 통해 혼합액(ML)이 분리수조(100)에 과도하게 유입되지 않도록 그 유입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수위측정부(400)가 액면 부상체(420)까지 함께 구비하면, 계면 부상체(410)를 피탐체로서 마련된 근접센서나 거리센서 등의 센서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order to measure the total water level (TL) of the mixed liquid (ML),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400 may be provided with a liquid surface floating body 420 whose specific gravity is lighter than that of the second liquid (L2). . The liquid level floating body 420 can also only move up and down by the rod 430 or rail, and the total water level (TL) between the liquid level and the floor (FL) can be measured or calculated using the liquid floating body 420. . In addition, the inflow amount of the mixed liquid ML may be controlled so that it does not excessively flow into the separation tank 100 through the total water level TL measured or calculated through the liquid floating body 420. If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400 is equipped with the liquid surface floating body 420, it will be possible to share sensors such as a proximity sensor or a distance sensor provided with the interface floating body 410 as a detectable object.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이동식 제2 배출구(302)의 안정적인 상하 움직임을 위해 분리수조(100)에 수직으로 이송레일(미도시)을 설치하여 상하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송레일에 주지관용 기술에 속하는 전동기구(예를 들어, 체인기구)나 유압기구를 설치하여 이동식 제2 배출구(302)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Depending on the embodiment, for st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able second outlet 302, a transfer rail (not shown) may b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separation tank 100 to induce vertical movement, and the transfer rail may be provided with a main pipe technology. The movable second outlet 302 may be moved by installing an electric mechanism (for example, a chain mechanism) or a hydraulic mechanism.

그리고, 이동식 제2 배출구(302)의 출구(304) 높이는 제1 수위(LV1) 미만, 예를 들어 제1 범위(510)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사이폰(siphon) 효과를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액체(L2)가 형성하는 수두(水頭)의 힘을 통해 제2 액체(L2)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And, the height of the outlet 304 of the movable second outlet 302 may be located below the first water level LV1, for example, within the first range 510. This is to utilize the siphon effect, and the second liquid (L2) can be continuously discharged through the force of the head formed by the second liquid (L2).

사이폰 효과를 이용하는 것은 이동식 제2 배출구(302)가 제2 액체(L2)의 표면 상에 항상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이런 경우에 제2 펌프(32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다만, 제2 액체의 최초 배출시에는 외부동력이 필요할 수 있다). 사이폰 효과를 이용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혼합액 분리장치(10)를 소형으로 구성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Using the siphon effect is possible because the movable second outlet 302 is alway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L2, and in this case, the second pump 320 is not necessarily required (however, the second pump 320 is not necessarily required). External power may be required for initial discharge of liquid). The embodiment using the siphon effect can be particularly useful when constructing the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mall size.

한편, 이상의 설명은 비중이 다른 2종류의 액체가 뒤섞인 혼합액을 대상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상세하게 설명한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확장하여 비중이 서로 다른 3종류 이상의 액체로 이루어진 혼합액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Meanwhile, the above explanation has been made for a mixed liquid of two types of liquids with different specific gravity, but by expand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it can also be applied to a mixed liquid consisting of three or more types of liquids with different specific gravity. This will be self-evident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 혼합액 분리장치 100: 분리수조
110: 흐름 조절판 200: 제1 배출구
210: 제1 밸브 220: 제1 펌프
300: 제2 배출구 301: 고정식 제2 배출구
302: 이동식 제2 배출구 303: 입구
304: 출구 305: 관 부재
310: 제2 밸브 320: 제2 펌프
400: 수위 측정부 410: 계면 부상체
420: 액면 부상체 430: 로드
500: 제어부 510: 제1 범위
512: 제1 경계수위 514: 제1 여유높이
520: 제2 범위 522: 제2 경계수위
524: 제2 여유높이 ML: 혼합액
L1: 제1 액체 L2: 제2 액체
FL: 바닥 FC: 계면
LV1: 제1 수위 TL: 전체 수위
10: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100: Separation tank
110: flow control plate 200: first outlet
210: first valve 220: first pump
300: second outlet 301: fixed second outlet
302: movable second outlet 303: inlet
304: outlet 305: pipe member
310: second valve 320: second pump
400: water level measuring unit 410: interface floating body
420: liquid level floating body 430: rod
500: Control unit 510: First range
512: 1st boundary water level 514: 1st clearance height
520: second range 522: second boundary level
524: Second clearance height ML: Mixed liquid
L1: first liquid L2: second liquid
FL: Bottom FC: Interface
LV1: First level TL: Total level

Claims (11)

고비중의 제1 액체와 저비중의 제2 액체가 섞인 혼합액이 일측으로 투입되는 분리수조;
상기 분리수조의 타측에 배치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하방에 배치된 제1 배출구 및 상방에 배치된 제2 배출구;
상기 혼합액이 상기 제1 액체와 제2 액체의 비중차에 의해 형성하는 계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제1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측정부;
상기 제1 배출구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1 밸브 및 상기 제2 배출구의 개폐를 조작하는 제2 밸브; 및
상기 수위 측정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제1 밸브 및 제2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가 사전에 설정된 제1 범위에 있을 때만 상기 제1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또한 상기 제1 수위가 사전에 설정된 제2 범위에 있을 때만 상기 제2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 separation tank into which a mixed liquid of a first liquid of high specific gravity and a second liquid of low specific gravity is introduced to one sid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paration tank, a first discharge port disposed downward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discharge port disposed upward;
a water level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 first water level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an interface between the mixed liquid and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first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a first valve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outlet and a second valve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cond outle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Including,
The control unit performs control to open the first outlet only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in a preset first range, and also opens the second outlet only when the first water level is in a preset second range.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opening contr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범위는, 상기 제1 수위가 상기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 사이로 설정된 제1 경계수위 이상인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range is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set between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가 상기 제1 경계수위에 제1 여유높이를 더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제1 밸브의 폐쇄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 unit is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water level reaches the position of the first boundary water plus the first margin height, the closed state of the first valve is changed to the ope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범위는, 상기 제1 수위가 상기 제2 배출구와 제1 경계수위 사이로 설정된 제2 경계수위 이하인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range is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water level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set between the second outlet and the first boundary water lev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수위가 상기 제2 경계수위에 제2 여유높이를 뺀 위치에 도달했을 때 상기 제2 밸브의 폐쇄상태를 개방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control unit is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water level reach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boundary water level minus the second margin height, the closed state of the second valve is converted to an open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측정부는,
상기 제1 액체의 비중과 상기 제2 액체의 비중 사이의 중간 비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액체와 제2 액체의 계면상에 위치하는 계면 부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계면 부상체는 바닥과 계면 사이의 제1 수위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Provided with an interface floating body located on the interface of the first liquid and the second liquid by having an intermediate specific gravity betwe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irst liquid an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second liquid,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ace floating body provides a reference for the first water level between the bottom and the inte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측정부는,
상기 제2 액체의 비중보다 가벼운 비중으로 이루어진 액면 부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액면 부상체는 바닥과 액면 사이의 전체 수위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Provided with a liquid surface floating body whose specific gravity is lighter than that of the second liquid,
The liquid level floating body is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standard for the entire water level between the bottom and the liquid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제1 배출구에 대한 거리가 고정된 고정식 제2 배출구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배출구에 대한 거리가 가변되는 이동식 제2 배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outlet is,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ixed second outlet whose distance to the first outlet is fixed, or a movable second outlet whose distance to the first outlet is variab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제2 배출구는,
제2 액체가 유입되는 입구는 상기 제2 액체의 표면 상에 위치하고, 유입된 제2 액체가 유출되는 출구는 상기 입구와 관 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분리수조 바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movable second outlet is,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through which the second liquid flows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liquid, and the outlet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second liquid flows out is connected to the inlet and a pipe member and extends outside the separation tank.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제2 배출구는,
상기 제2 액체의 비중보다 가벼운 비중으로 이루어진 부유식이거나,
또는 상기 수위 측정부에서 측정한 전체 수위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이동하는 동력주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movable second outlet is,
It is a floating type with a specific gravity lighter than that of the second liquid, or
Or,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wer driven type that mov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total water level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제2 배출구의 출구의 높이는 상기 제1 수위 미만이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액체가 형성하는 수두에 의해 상기 제2 액체가 상기 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액 분리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 mixed liquid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outlet of the movable second outlet is less than the first water level, and accordingly, the second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by the water head formed by the second liquid.
KR1020220111824A 2021-11-22 2022-09-05 Mixed liquid separator KR2024003332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24A KR20240033326A (en) 2022-09-05 2022-09-05 Mixed liquid separator
PCT/KR2022/015473 WO2023090649A2 (en) 2021-11-22 2022-10-13 Device for separating mixed solu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824A KR20240033326A (en) 2022-09-05 2022-09-05 Mixed liquid sepa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326A true KR20240033326A (en) 2024-03-12

Family

ID=9030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824A KR20240033326A (en) 2021-11-22 2022-09-05 Mixed liquid sepa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32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402B1 (en) 2014-03-17 2017-04-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Oil-water separation structur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oil-water separator, and oil-water separation method using the oil-water sepa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402B1 (en) 2014-03-17 2017-04-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Oil-water separation structur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oil-water separator, and oil-water separation method using the oil-water sepa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8136A (en) Internally baffled, horizontal flow, vertical oil skimmer
EP3310450B1 (en) Oil-water separator
US5373897A (en) Underground fluid recovery device
US20040168967A1 (en) Floating decanter
KR101218623B1 (en) Verticality guide plate form dissolved airfloatation system using water flow of water treating apparatus
EP3196519B1 (en) Backflow prevention apparatus
US20220396502A1 (en) Bubble size monitoring and control
KR20150109085A (en) Rainwater Filtration Equipment
KR101729580B1 (en) Apparatus for treating incipient rainwater
KR102656825B1 (en) Mixed liquid separator
KR20240033326A (en) Mixed liquid separator
US20170321724A1 (en) Submersible pneumatic pump with air exclusion valve
CN104524817A (en) Control system of gas and liquid separation device
CN109626618A (en) Recirculating fluidized bed oil water separator
CN202022770U (en) Floating water distribution homogenizing oil recovery device
KR101921447B1 (en) Upper water exhaust apparatus
CN102049152B (en) Novel external-power-free laminar flow water shearing device and water shearing method
KR20050077178A (en) Buoyancy rising floodgate and oil-water separated system of using it
CN109737108A (en) A kind of Auto-drainage fuel tank
RU200105U1 (en) Shut-off valve
KR20160044966A (en) Phase-separator
CN213527542U (en) High-efficient dynamic and static oil-water separator
WO2023090649A2 (en) Device for separating mixed solution
CN106241953A (en) A kind of oily-water seperating equipment
CN204380323U (en) A kind of oil water sepa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