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503A -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503A
KR20240032503A KR1020220111548A KR20220111548A KR20240032503A KR 20240032503 A KR20240032503 A KR 20240032503A KR 1020220111548 A KR1020220111548 A KR 1020220111548A KR 20220111548 A KR20220111548 A KR 20220111548A KR 20240032503 A KR20240032503 A KR 20240032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routers
measurement position
cluster
signal strength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홍
조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503A/ko
Priority to PCT/KR2023/009497 priority patent/WO2024048964A1/ko
Publication of KR2024003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무선 공유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공간에 대한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고, 기설정된 공간 내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측정된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하고, 예측된 위치 및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2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ELECTRIC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본 개시는 무선 공유기의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공유기의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는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전자 장치는 핑거프린트 정보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에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무선 공유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에 대한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위치 및 상기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설정된 공간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에 대한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위치 및 상기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무선 공유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에 대한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위치 및 상기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간된 신호 세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세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대형 마트, 공항, 공장, 물류 창고 등에 설치된 무선 공유기의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공유기의 핑거프린트 정보는 위치 측위 정보로, 특정 위치마다 무선 공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를 데이터 베이스화한 것일 수 있다. 즉, 무선 공유기의 핑거프린트 정보는 특정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룩업 테이블(Look-up table)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장소의 (2, 2) 위치에서 무선 공유기 1의 신호 세기가 -37.6 dBm, 무선 공유기 2의 신호 세기가 -17.8 dBm으로 측정되었고, (1,2) 위치에서 무선 공유기 1의 신호 세기가 -34.23 dBm, 무선 공유기 2의 신호 세기가 -41.2 dBm으로 측정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측정한 좌표마다 무선 공유기 1, 2의 신호 세기의 룩업 테이블을 만들어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는 무선 공유기로부터 수신된 신호 강도 지표(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기설정된 공간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무선 공유기의 핑거프린트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신호 세기의 측정 위치를 기설정된 공간 내에서 미리 설정한 다음 사용자가 해당 측정 위치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설정된 측정 위치가 많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수많은 측정 위치를 미리 설정하고, 해당 측정 위치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직접 측정을 진행해야 하므로 상당한 인적, 물적 자원과 시간적인 소모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측정 위치(1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결정된 측정 위치(10)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 장치(120), 메모리(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PDP(Plasma Display Panel) 패널, 무기 LED 패널, 마이크로 LED 패널 등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패널과 함께 터치스크린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110)는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예측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장치(120)는 전자 장치(100)와 무선 공유기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장치(120)는 프로세서(14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장치(12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 (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 공유기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 장치(120)는 무선 공유기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신된 무선 공유기의 신호를 기초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가 측정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프로세서(140)의 호출에 따라서 저장된 정보를 프로세서(140)에 전달한다. 또한,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40)의 연산, 처리 또는 제어 동작 등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전자적 포맷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어, 주기억장치 및 보조기억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기억장치는 롬(ROM) 및/또는 램(RAM)과 같은 반도체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롬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롬, 이피롬(EPROM), 이이피롬(EEPROM) 및/또는 마스크롬(MASK-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램은 예를 들어, 디램(DRAM) 및/또는 에스램(S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는, 플래시 메모리 장치, SD(Secure Digital) 카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c Drive), 자기 드럼, 컴팩트 디스크(CD), 디브이디(DVD) 또는 레이저 디스크 등과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자기테이프, 광자기 디스크 및/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이 데이터를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30)에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0)이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130)는 프레임 버퍼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30)는 기설정된 공간에 대한 지도,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위치 및 공간 내에 위치한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 다음 측정 위치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변경된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PU (Accelerated Processing Unit), MIC (Many Integrated Cor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NPU (Neural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머신 러닝 가속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에 관한 동작 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instruc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 모두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제 1 프로세서(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제 2 프로세서(예를 들어,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예를 들어, 동종 멀티 코어 또는 이종 멀티 코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경우,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은 캐시 메모리, 온 칩(On-chip) 메모리와 같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캐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또는 복수의 코어 중 일부)은 독립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 전체(또는 일부)가 연계되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중 하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모두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2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1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기타 전자 부품들이 집적된 시스템 온 칩(SoC), 단일 코어 프로세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코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코어는 CPU, GPU, APU, MIC, DSP, NPU,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기계 학습 가속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공간 내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통신 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는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기설정된 공간 내의 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순서대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신호를 측정한 다음, 제1 측정 위치에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신호를 측정하도록 통신 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측정된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 및 방향을 고려하여 삼각측량법 등의 방법으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예측된 위치 및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 각각의 위치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기설정된 기준 거리보다 작은 거리의 무선 공유기의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해당 클러스터를 기초로 무선 공유기 신호를 측정할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측정한 제1 신호 세기에 의해 4개의 무선 공유기의 위치가 예측된 경우, 프로세서(140)는 3개의 무선 공유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1개의 무선공유기가 포함된 클러스터와 3개의 무선 공유기가 포함된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3개의 무선 공유기가 포함된 클러스터의 중심을 제2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결정된 제2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다음으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이동할 제2 측정 위치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 장치(120), 메모리(130), 프로세서(140), 마이크(150), 입력 인터페이스(160), 스피커(170) 및 구동 장치(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2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이크(150)는 소리를 획득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콘덴서 마이크, 리본 마이크, 무빙코일 마이크, 압전소자 마이크, 카본 마이크,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마이크일 수 있다. 또한, 무지향성, 양지향성, 단일지향성, 서브 카디오이드(Sub Cardioid), 슈퍼 카디오이드(Super Cardioid), 하이퍼 카디오이드(Hyper Cardioid)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사용자로부터 측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시작 음성을 마이크(150)에 의해 수신하여, 측정 위치를 결정을 시작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60)는 회로를 포함하며, 전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설정 또는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인터페이스(16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입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입력 인터페이스(160)를 통해 입력된 전자 장치(100)의 온/오프 명령, 전자 장치(100)의 기능의 온/오프 명령 등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피커(170)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전자 장치 (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알림음 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측정 위치가 결정되었음을 스피커(170)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동 장치(180)는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구동 장치(18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원(예: 화석연료, 전기)에 따라 가솔린 엔진(engine), 디젤 엔진, LPG(liquefied petroleum gas) 엔진, 전기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장치(180)는 이동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장치(예: 기계식 스티어링(manual steering), 유압식 스티어링(hydraulics steering), 전자식 스티어링(electronic control power steering; EP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180)는 전자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유닛(예: 바퀴, 프로펠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장치(180)는 전자 장치(100)의 주행 타입(예: 휠 타입, 보행 타입, 비행 타입 등)에 따라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구동 장치(180)를 제어하여 측정 위치로 이동한 다음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공간(400)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공간(400)에 대한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공간(400)은 야외 또는 마트, 공장, 학교, 백화점, 공항, 물류 센터, 데이터 센터, 등 GPS에 의해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실내일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공간(400) 내에는 사람이 이동 가능한 통로와 진열대, 가구 등 사람이 이동 불가능한 장애물이 존재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공간(400) 내의 제1 측정 위치(404)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401, 402, 403)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이격 위치(401, 402, 403) 순서대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이격 위치(401, 402, 403) 다음으로 제1 측정 위치(404)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이격 위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기설정된 공간(400) 내의 제1 측정 위치(404)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401, 402, 403)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통신 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이격 위치(401, 402, 403)과 제1 측정 위치(404)에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 각각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이격 위치 및 제1 위치(401, 402, 403, 404)에서 측정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의 제1 신호 세기는 측정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측정 위치에 따라 다른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의 제1 신호 세기가 각각 어떤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인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측정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제1 신호 세기 제1 신호를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예측의 경우, 프로세서(140)는 삼각측량법 등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에 의해 개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예측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의 예측된 위치 및 예측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공간(400)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406)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의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와 기설정된 기준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에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61, 6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특정한 위치에서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에 위치하는 무선 공유기를 하나의 클러스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클러스터(61, 62) 중 가장 많은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제1 클러스터(61)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5)을 제2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러스터의 중심에서 신호 세기가 측정되는 경우, 무선 공유기와 가까운 위치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가 측정될 수 있고, 그 결과 먼 위치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가 측정되는 경우보다 더 정확한 신호 세기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공유기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중심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가 측정되는 경우, 더 많은 무선 공유기의 신호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5)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5)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장애물이 존재함에도 제2 측정 위치로 판단한다면, 프로세서(140)는 정확하게 무선 공유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5)에 장애물이 식별되는 경우, 장애물이 위치에 기초하여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장애물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위치 중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2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5)에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식별하여,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5)에서 가까운 위치를 제2 측정 위치(406)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가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5)에 장애물이 존재함에도 장애물을 식별하지 못한 경우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5)을 제2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5)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전자 장치(100)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결정된 제2 측정 위치(406)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측정 위치(406)에 대한 정보는 기설정된 공간(400) 내에서 좌표 값이 될 수 있으며, 해당 좌표 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원형의 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2 측정 위치(406)이 제1 측정 위치(404) 다음으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위치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제2 측정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통신 장치(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측정 위치로 구동 장치(180)를 제어하여 이동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이동된 다음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제2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측정된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 54) 중 제1 클러스터(61)와 대응되는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가 최초로 측정한 제1 신호 세기에 의해 예측한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의 위치는 개략적으로 예측된 것일 수 있어, 프로세서(140)는 제2 측정 위치(406)에서 측정한 제2 신호 세기를 더 이용하여 정확한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의 위치를 다시 판단하고, 제1 무선 공유기(51, 52, 5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더 정확한 위치의 제1 무선 공유기(71, 72, 73)로부터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공유기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후의 무선 공유기의 위치가 다시 예측 될 때 더 정확한 위치가 예측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더 최적화된 측정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간된 신호 세기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할 때, 프로세서(140)는 제1 측정 위치(404),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401, 402, 403) 및 제2 측정 위치(406)에 기초하여 보간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81, 82, 83, 84)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측정 위치(404)와 제2 측정 위치(406) 사이에 보간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82)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측정 위치(404)와 제1 측정 위치 및 인접한 위치(403) 사이에 보간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83)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측정 위치(404) 및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위치(402) 사이에 보간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84)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측정 위치(404) 및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위치(401)사이에 보간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84)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보간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결정된 위치(81, 82, 83, 84) 및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71, 72, 73, 54)의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보간된 신호 세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간된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가 측정되지 않더라도 신뢰도 높은 신호 세기를 생성할 수 있어,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할 때, 프로세서(140)는 위치가 변경된 제1 무선 공유기(71, 72, 73) 및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91, 92, 54)의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91, 92, 54)에는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거나,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예측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91, 92, 54)의 예측된 위치 및 예측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91, 92, 54)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공간(400)내의 다음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91, 92, 54)의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와 기설정된 기준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91, 92, 54)에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93, 94)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특정한 위치에서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하에 위치하는 무선 공유기를 하나의 클러스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91, 92, 54) 중 제1 클러스터와 대응되는 무선 공유기(71, 72, 73)를 제외한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러스터(93, 9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클러스터와 대응되는 무선 공유기(71, 72, 73)가 제외되는 경우,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이미 측정한 위치가 반복적으로 결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클러스터(93, 94) 중 가장 많은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제2 클러스터(93)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제2 클러스터의 중심(407)을 제3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러스터의 중심에서 신호 세기가 측정되는 경우, 무선 공유기와 가까운 위치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가 측정될 수 있고, 그 결과 먼 위치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가 측정되는 경우보다 더 정확한 신호 세기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무선 공유기를 가장 많이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중심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가 측정되는 경우, 더 많은 무선 공유기의 신호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제2 클러스터의 중심(407)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제2 클러스터의 중심(407)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장애물이 존재함에도 제3 측정 위치로 판단한다면, 프로세서(140)는 정확하게 무선 공유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7)에 장애물이 식별되는 경우, 장애물이 위치에 기초하여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식별된 장애물의 위치에서,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위치 중 가장 가까운 위치를 제3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7)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식별하여,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7)을 제3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가 제2 클러스터의 중심(407)에 장애물이 존재함에도 장애물을 식별하지 못한 경우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7)를 제3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중심(407)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전자 장치(100)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결정된 제3 측정 위치(407)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측정 위치(407)에 대한 정보는 기설정된 공간(400) 내에서 좌표 값이 될 수 있으며, 해당 좌표 값에 해당하는 위치에 원형의 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3 측정 위치(407)이 제2 측정 위치(406) 다음으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위치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제3 측정 위치(407)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 중 하나 이상의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61)의 면적을 산출하고, 제1 클러스터의 면적이 기설정된 공간(400)의 면적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면적이 기설정된 공간의 면적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측정 위치 결정을 종료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제2 측정 위치(406)에서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 다음, 제1 클러스터의 면적이 기설정된 공간의 면적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지 판단하여 다음 측정 위치 결정을 종료할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3 측정 위치(407)에서 제1 클러스터(61)와 제2 클러스터(93)의 면적을 산출하고, 제1 클러스터와 제2 클러스터의 면적이 기설정된 공간의 면적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의 면적과 제2 클러스터의 면적이 기설정된 공간의 면적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측정 위치 결정을 종료할 수 있다. 즉, 클러스터의 면적을 기준으로 측정 위치의 결정이 종료되는 경우,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할 위치가 반복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제1 클러스터와 제2 클러스터의 면적이 기설정된 공간의 면적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 아닌 경우,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 될 때까지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 위치 결정이 종료되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측정 위치 결정의 종료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S1001). 여기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 위치는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초로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위치에 해당하여, 적어도 3개 이상의 측정 위치에서 복수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S1002). S1001단계에서 측정한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는 거리에 따라 감쇄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삼각측량법 등의 방법으로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1003).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위치가 예측된 경우, 복수의 무선 공유기가 다수 모여있는 위치를 다음으로 측정할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세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설정된 공간 내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S1101). 여기에서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제1 측정 위치에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S1102).
그리고, 예측된 위치 및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1103). 여기에서, 제1 측정 위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 및 제2 측정 위치에 기초하여 보간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위치 및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보간된 신호 세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측정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S1104).
측정된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S1105). 구체적으로, 측정된 제2 신호 세기에 의하여 복수의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재결정하여, 기존의 예측된 위치를 새롭게 재결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변경된 위치 및 복수의 제2 무선공유기의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S1106).
예측된 위치 및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1107).
한편, S1103단계는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및 기설정된 기준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클러스터 중 가장 많은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제1 클러스터로 판단하고, 제1 클러스터의 중심을 제2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S1107단계는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및 기설정된 기준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 중 제1 클러스터와 대응되는 무선 공유기를 제외한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클러스터 중 가장 많은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제2 클러스터로 판단하고 제2 클러스터의 중심을 제3 측정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서버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먼저, 전자 장치(100)는 기설정된 공간 내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S1201). 이 때,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는 적어도 3개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서버(12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2).
그리고, 서버(1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측정된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S1203). 여기에서, 서버(1200)는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는 거리에 따라 감쇄하는 특성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 등의 방법으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200)는 예측된 위치 및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1204). 이때, 서버(1200)는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와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200)는 결정된 제2 측정 위치를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5).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서버(1200)로부터 수신한 제2 측정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S1206).
이후,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로부터 측정한 제2 신호 세기를 서버(12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7).
다음으로, 서버(120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측정된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S1208). 이 때, 서버(1200)는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와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서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어, 더 정확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하여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200)는 변경된 위치 및 복수의 제2 무선공유기의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버(1200)는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는 거리에 따라 감쇄하는 특성에 기초하여 삼각측량법 등의 방법으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이후, 서버(1200)는 예측된 위치 및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하고, 전자 장치(100)로 제3 측정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S1210, S1211). 여기에서 서버(1200)는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와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디스플레이 120 : 통신 장치
130 : 메모리 140 :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무선 공유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기설정된 공간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에 대한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위치 및 상기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2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측정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위치 및 상기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3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측정 위치, 상기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 및 상기 제2 측정 위치에 기초하여 보간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보간된 신호 세기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측정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 및 기설정된 기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 중 가장 많은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제1 클러스터로 판단하고,
    상기 제1 클러스터의 중심을 상기 제2 측정 위치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 및 기설정된 기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에 기초하여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 중 상기 제1 클러스터와 대응되는 무선 공유기를 제외한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 중 가장 많은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제2 클러스터로 판단하고,
    상기 제2 클러스터의 중심을 상기 제3 측정 위치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클러스터의 중심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상기 장애물이 식별되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면적을 산출하고,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면적이 상기 기설정된 공간의 면적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면적이 상기 기설정된 공간의 면적의 상기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상기 측정 위치 결정을 종료하고,
    상기 측정 위치 결정의 종료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기설정된 공간 내의 복수의 위치에서 복수의 무선 공유기 각각과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에 대한 핑거프린트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위치 및 상기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 위치에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로부터 제2 신호 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제2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위치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위치 및 상기 예측된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공간 내의 다음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3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 위치, 상기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 및 상기 제2 측정 위치에 기초하여 보간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제1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보간된 신호 세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 위치와 인접한 복수의 이격 위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격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제1 측정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제1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 및 기설정된 기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무선 공유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 중 가장 많은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제1 클러스터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러스터의 중심을 상기 제2 측정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 및 기설정된 기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에 기초하여 제3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정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무선 공유기 중 상기 제1 클러스터와 대응되는 무선 공유기를 제외한 무선 공유기의 위치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클러스터 중 가장 많은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를 제2 클러스터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클러스터의 중심을 상기 제3 측정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클러스터의 중심에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장애물이 식별되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측정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면적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면적이 상기 기설정된 공간의 면적의 기설정된 비율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클러스터의 면적이 상기 기설정된 공간의 면적의 상기 기설정된 비율 이상이면, 상기 측정 위치 결정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위치 결정의 종료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111548A 2022-09-02 2022-09-02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40032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548A KR20240032503A (ko) 2022-09-02 2022-09-02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CT/KR2023/009497 WO2024048964A1 (ko) 2022-09-02 2023-07-05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548A KR20240032503A (ko) 2022-09-02 2022-09-02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503A true KR20240032503A (ko) 2024-03-12

Family

ID=9009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548A KR20240032503A (ko) 2022-09-02 2022-09-02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2503A (ko)
WO (1) WO20240489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169B1 (ko) * 2011-10-31 2013-07-1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의 위치 측정 장치, 위치 측정 방법 및 핑거프린트 정보 수집 방법, 핑거프린트 서버 및 그의 위치 제공 방법
US9432964B2 (en) * 2012-05-21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cations of access points
KR102084042B1 (ko) * 2014-12-23 2020-04-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 위치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70014706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실내 측위 장치 및 방법
KR102146155B1 (ko) * 2018-05-31 2020-08-19 이상서 무선랜 ap의 위치값을 지속적으로 정확한 값으로 업데이트해나가는 측위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8964A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3559B2 (ja) 計算機アシスタントによる遅延応答
US20200311428A1 (en) Virtual item display simulations
JP2019516146A (ja) ロボットの障害物回避制御システム、方法、ロボット及び記憶媒体
WO20160899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wayfinding based on elevator information
US10235769B2 (en) Position determining techniques using image analysis of marks with encoded or associated position data
US10051480B2 (en) Visual representation of signal strength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JP2016539317A (ja) 車両にナビゲーションデータ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222475B2 (en)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s in an augmented environment
JP2018198058A (ja) 情報提供方法、電子機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SG175424A1 (en) Scrubbing variable content paths
US1188020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120122A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Gotlib et al. Cartographical aspects in the design of indoor navigation systems
KR20150081612A (ko) 간편 결제 서비스 시스템, 그의 간편 결제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19908B1 (ko) 공존하는 멀티 모드 조절 메커니즘을 갖춘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
KR20240032503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4129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55924B1 (ko) 증강현실 뷰를 사용하는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20150092855A (ko) 비컨 장치를 이용한 타겟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타겟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와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1875792B2 (en) Holographic interface for voice commands
KR20200012408A (ko) 스마트 프로젝터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43039A1 (en) Controlling application state in a mixed reality installation
US20230099791A1 (en) Digital twin based binaural audio echolocation
KR102273999B1 (ko) 터치 제스처 기반의 안내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292078A1 (en) Spatial audio cues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