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416A -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 Google Patents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416A
KR20240032416A KR1020220111361A KR20220111361A KR20240032416A KR 20240032416 A KR20240032416 A KR 20240032416A KR 1020220111361 A KR1020220111361 A KR 1020220111361A KR 20220111361 A KR20220111361 A KR 20220111361A KR 20240032416 A KR20240032416 A KR 2024003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rance
medical service
integration platform
service integration
hosp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영
Original Assignee
(주)모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닥 filed Critical (주)모닥
Priority to KR102022011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416A/ko
Publication of KR2024003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4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1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mmune or lymphatic systems
    • A61B5/411Detecting or monitoring allergy or intolerance reactions to an allergenic agent or sub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urgery (AREA)
  • Technology Law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은 진단상병에 따라 보험약관을 비교하여 보험금 청구를 수행하되, 보험금 청구가 불가한 경우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유사상병을 안내하는 보험청구 처리부, 및 복수의 약을 복용후 발생한 알러지반응 증상을 유발하는 약을 확인하여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진단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Medical service integration platform}
본 발명은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단상병에 따른 보험금 청구 및 알러지반응 증상에 따른 약의 진단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각 분야마다 통합 기능을 갖는 플랫폼화를 추진하고 있다. 의료서비스 역시 병원이나 약국은 물론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의료서비스는 병원, 약국 및 보험사에서 생성하는 정보들을 서로 공유하여 제공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현재 발생한 정보가 기존의 정보와 상이한 경우에 처리할 수 있는 방안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예를 들면, 보험금 청구 서비스의 경우, 병원이나 의원에서 진단한 상병이 보험 약관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험금 청구가 기각된다. 아울러, 특정 약에 알러지 진단 서비스의 경우, 현재 복용약과 발생한 알러지가 관련성이 높은 경우에만 진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기존의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화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9-0102482 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진단상병에 따른 보험금 청구 및 알러지반응 증상을 유발하는 약의 진단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진단상병에 따라 보험약관을 비교하여 보험금 청구를 수행하되, 보험금 청구가 불가한 경우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유사상병을 안내하는 보험청구 처리부; 및 복수의 약을 복용후 발생한 알러지반응 증상을 유발하는 약을 확인하여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진단관리부;를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험청구 처리부는, 상기 진단상병이 가입보험의 약관상의 상병과 불일치하는 경우, 진단상병군으로 확장하여 유사상병을 리스트업하고, 해당 병의원 단말로 상기 유사상병과 상기 진단상병의 유사성을 확인요청하여 해당 병의원 단말이 승인하면, 해당 보험사 단말로 승인된 유사상병에 근거하여 상기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험청구 처리부는 보험 청구된 유사상병을 해당 병의원 단말로 전송하여 향후 진단시 사용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러지 진단관리부는, 복용약을 확인하여 알러지반응 부작용이 높은 약부터 리스트업하고,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는 약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약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전 복용약을 확인하고, 이전 복용약의 알러지반응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복용약과의 공통성분을 확인하고 과거력(Hx)을 정리하고, 알러지반응 이력이 없으면 해당 약을 대상에서 제외하여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러지 진단관리부는 등록된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을 해당 병의원 단말로 전송하여 해당 약의 처방을 배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은 진단상병에 의해 보험금 청구가 불가한 경우, 보험약관에 포함된 상병과 유사한 상병을 제공함으로써, 보험금 청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은 알러지반응 증상과 현재 또는 이전의 복용약의 성분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다수의 약을 동시에 복용한 경우에도 알러지 유발 약을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고 향후 처방시 배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약 복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스마트 보험 청구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알러지 진단 알고리즘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검진결과 관리 절차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사용자 단말(10), 보험사 단말(20) 및 병의원 단말(30)과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보험금 청구 가능한 유사상병 정보를 제공하여 보험금 청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현재 복용한 약은 물론 이전에 복용한 약들과 비교 분석하여 알러지를 유발하는 약물을 추적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으로서,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보험사 단말(20) 및 병의원 단말(30)과 연동하여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사용자 단말(10)에서 수신된 진단상병이 보험금 청구가 불가한 상병인 경우, 진단상병군으로 확장하여 유사상병을 리스트업하여 제공하고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유사상병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사용자가 복수의 약을 같이 복용 후 알러지가 발생한 경우, 알러지 부작용이 높은 약을 리스트업하여 일치하는 약을 확인할 수도 있고, 과거에 투약했던 약 성분과 비교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부작용을 유발하는 약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에서 가입된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 PC 등과 같은 유선 통신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에 접속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험사 단말(20)은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에 가입된 보험사가 운영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일례로, 보험사 단말(20)은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 PC 등과 같은 유선 통신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보험사 단말(20)은 직원이 사용하는 단말로서 설명하지만, 보험 정보를 포함하여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의 요청에 따라 응답할 수 있는 보험사 서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험사 단말(2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에 접속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병의원 단말(30)은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에 가입된 병의원이 운영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일례로, 병의원 단말(30)은 의사나 간호사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같이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 PC 등과 같은 유선 통신 기능을 갖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병의원 단말(30)은 의사나 간호사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설명하지만, 의료 정보를 포함하여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의 요청에 따라 응답할 수 있는 병의원 서버일 수 있음을 물론이다. 병의원 단말(3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에 접속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통신부(110), 데이터베이스(120) 및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 보험사 단말(20) 및 병의원 단말(30)과의 원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10)는 4G 통신 또는 5G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 보험사 단말(20) 및 병의원 단말(30)과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20)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120)는 사용자 정보(122), 가입보험 정보(124), 상병 정보(126), 복용약 정보(128), 알러지 정보(129)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122)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에 통합 의료서비스를 신청한 회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정보(122)는 회원 이름 및 사용자 단말(10)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보험 정보(124)는 사용자별 가입보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가입보험 정보(124)는 사용자별 보험약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험약관은 계약기간,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상병의 종류 및 상병에 따른 청구가능한 보험금이 포함될 수 있다.
상병 정보(126)는 보험약관에 포함된 상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병 정보(126)는 보험사별 보험약관을 기초로 리스트업한 청구가능한 상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병 정보(126)는 해당 상병에 대하여 청구 가능한 보험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용약 정보(128)는 사용자별 복용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복용약 정보(128)는 사용자별 과거 복용약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과거 복용약 이력은 복용 시기, 약 성분 및 처방 병의원을 포함할 수 있다.
알러지 정보(129)는 사용자별 복용약에 따른 알러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알러지 정보(129)는 알러지반응 부작용과 관련 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알러지 정보(129)는 특정 약에 대한 알러지반응 부작용 정보 또는 특정 알러지반응 부작용과 관련된 복용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30)는 통신부(110) 및 데이터베이스(12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130)는 보험청구 처리부(132) 및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수신한 진단상병에 따라 보험약관을 비교하여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상병은 병의원 단말(30)에서 발행한 진단상병을 사용자 단말(10)이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으로 전송한 것일 수 있다. 이때,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진단상병과 사용자가 가입된 보험약관에 명시된 상병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진단상병과 가입보험 정보(124)에 저장된 보험약관을 비교하여 보험금 청구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진단상병이 가입보험 상병과 일치하는 경우,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진단상병에 근거하여 해당 보험사 단말(20)로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한편,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진단상병이 가입보험 상병과 불일치하여 보험금 청구가 불가한 경우,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유사상병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보험금 청구는 진단상병이 가입보험 상병과 일치하는 경우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진단상병과 유사한 상병을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안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진단상병이 가입보험의 약관상의 상병과 불일치하는 경우, 진단상병군으로 확장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상병군은 진단상병과 유사성이 높은 상병의 그룹을 의미한다. 일례로,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해당 보험사 단말(20)로부터 관련 보험약관에 포함된 진단상병군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데이터베이스(120)의 상병 정보(126)를 검색하여 해당 보험과 관련된 진단상병군을 추출할 수 있다.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확장된 진단상병군으로부터 유사상병을 리스트업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상병은 진단상병과 유사성이 높은 질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사상병은 진단상병과 동일 증상 또는 유사 증상을 가진 상병으로서, 특히, 타 보험사의 보험약관에 포함된 상병일 수 있다. 일례로,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해당 보험사 단말(20)에서 추출된 진단상병군으로부터 유사상병을 리스트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상병 정보(126)로부터 검색된 진단상병군으로부터 유사상병을 리스트업할 수 있다.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해당 병의원 단말(30)로 리스트업된 유사상병과 진단상병의 유사성을 확인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병의원 단말(30)은 의사에 의해 리스트업된 유사상병과 진단상병의 유사성을 확인하여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으로 회신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병의원 단말(30)이 유사성을 승인하면, 해당 보험사 단말(20)로 승인된 유사상병에 근거하여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진단상병에 의해 보험금 청구가 불가한 경우, 보험약관에 포함된 상병과 유사한 상병을 제공함으로써, 보험금 청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보험청구 처리부(132)는 보험 청구된 유사상병을 해당 병의원 단말(30)로 전송하여 향후 진단시 사용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병의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등록된 병의원 단말이거나 사용자 단말(10)에서 수신한 진단상병을 발행한 병의원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병의원 단말(30)은 진단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을 통하여 보험약관에 포함된 상병을 확인하여 상병을 진단할 수 있다.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복수의 약을 복용후 발생한 알러지반응 증상을 유발하는 약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약물 알러지 진단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러지반응 증상은 복수의 약을 복용한 사용자가 알러지반응이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그 증상을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으로 전송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알러지반응 증상과 함께 복용약 정보를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로 전송할 수 있다.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복용약을 확인하여 알러지반응 부작용이 높은 약부터 리스트업할 수 있다. 여기서,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사전에 입수된 약의 특성에 기초하여 복용약 중에서 알러지반응 부작용이 높은 약부터 리스트업할 수 있다. 즉,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알러지 반응 빈도가 높은 약들 골라낼 수 있다. 이때,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는 약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는 약이 존재하면, 확인된 복용약을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된 약물을 데이터베이스(120)의 알러지 정보(129)에 저장하고, 병의원 단말(30)로 전송하여 해당 약의 처방을 배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병의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등록된 병의원 단말이거나 복용약 정보(128)에 포함된 병의원의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병의원 단말(30)은 약 처방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을 통하여 알러지반응 약을 확인하여 등록된 약의 처방을 배제할 수 있다.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는 약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전 복용약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데이터베이스(120)의 복용약 정보(128) 및 알러지 정보(129)를 검색하여 이전에 복용약 중에서 알러지반응 이력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이전 복용약의 알러지반응 이력이 있는 경우, 이전 복용약과 현재 복용약의 공통성분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공통성분이 있는 경우 과거력(Hx)을 정리하여 복용약 정보(128)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확인된 이전 복용약을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이전 복용약의 알러지반응 이력이 없는 경우, 해당 약을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즉,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이전 복용약 중에서 알러지반응 이력이 없는 약은 제외하고 알러지반응 이력이 있는 약만 선별하여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알러지반응 이력이 없는 경우 해당 약을 제외한 나머지 약에 대한 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같은 성분의 약이라도 첨가제가 다른 경우(예를 들면 염기가 다른 경우) 알러지 반응에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나머지 약에 대한 성분도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알러지 진단관리부(134)는 나머지 약에 대한 성분 확인결과, 알러지반응과 관련성이 있는 경우,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알러지반응 증상과 현재 또는 이전의 복용약의 성분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다수의 약을 동시에 복용한 경우에도 알러지 유발 약을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고 향후 처방시 배제하게 할 수 있으므로 약 복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스마트 보험 청구 동작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의 스마트 보험 청구 동작(200)은 진단상병을 수신하는 단계(S210), 진단상병군으로 확장하는 단계(S220 및S230), 유사사병을 리스트업하여 승인하는 단계(S240 및 S250) 및 해당 보험사로 청구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진단상병을 수신한다(단계 S210). 여기서, 진단상병은 병의원 단말(30)에서 발행한 진단상병을 사용자 단말(10)이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으로 전송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수신된 진단상병이 가입보험 상병과 불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0).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진단상병과 사용자가 가입된 보험약관에 명시된 상병을 비교하여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220의 판단결과, 수신된 진단상병이 가입보험 상병과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단계 S260으로 진행하여 해당 보험사 단말(20)로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진단상병에 근거하여 해당 보험사 단말(20)로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
단계 S220의 판단결과, 수신된 진단상병이 가입보험 상병과 불일치하는 경우,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진단상병군으로 확장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0). 즉,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진단상병이 가입보험 상병과 불일치하여 보험금 청구가 불가한 경우,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유사상병을 안내하기 위해 진단상병군 확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단상병군은 진단상병과 유사성이 높은 상병의 그룹을 의미한다. 일례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해당 보험사 단말(20)로부터 관련 보험약관에 포함된 진단상병군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데이터베이스(120)의 상병 정보(126)를 검색하여 해당 보험과 관련된 진단상병군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230의 판단결과, 진단상병군으로 확장할 수 없는 경우,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보험청구 동작을 종료한다.
단계 S230의 판단결과, 진단상병군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경우,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유사상병을 리스트업한다(단계 S240).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리스트업된 유사상병을 병의원 단말(30)로 자동 송부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상병은 진단상병과 유사성이 높은 질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사상병은 진단상병과 동일 증상 또는 유사 증상을 가진 상병으로서, 특히, 타 보험사의 보험약관에 포함된 상병일 수 있다. 일례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해당 보험사 단말(20)에서 추출된 진단상병군으로부터 유사상병을 리스트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상병 정보(126)로부터 검색된 진단상병군으로부터 유사상병을 리스트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해당 병의원 단말(30)로 리스트업된 유사상병과 진단상병의 유사성을 확연 요청하여 승인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50). 여기서, 병의원 단말(30)은 의사에 의해 리스트업된 유사상병과 진단상병의 유사성을 확인하여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으로 회신할 수 있다.
단계 S250의 판단결과, 병원 승인이 되지 않는 경우,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보험청구 동작을 종료한다.
단계 S250의 판단결과, 유사상병을 병원이 승인한 경우,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승인된 유사상병에 근거하여 해당 보험사 단말(20)로 보험금을 청구한다(단계 S260).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보험 청구된 유사상병을 해당 병의원 단말(30)로 전송하여 향후 진단시 사용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병의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등록된 병의원 단말이거나 사용자 단말(10)에서 수신한 진단상병을 발행한 병의원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병의원 단말(30)은 진단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을 통하여 보험약관에 포함된 상병을 확인하여 상병을 진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알러지 진단 알고리즘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의 알러지 진단 알고리즘(300)은 알러지반응을 입력하는 단계(S310), 복용약을 확인하여 부작용이 높은 약을 리스트업하는 단계(S320 및 S330),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면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하는 단계(S340 및 S350),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지 않으면 이전 복용약을 확인하여 성분을 확인하는 단계(S360 내지 S39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알러지반응을 입력한다(단계 S310). 여기서, 알러지반응은 복수의 약을 복용한 사용자가 알러지반응이 발생하여 사용자 단말(10)을 통하여 그 증상을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으로 전송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알러지반응 증상과 함께 복용약 정보를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복용약을 확인하다(단계 S320).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복용약의 개별 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알러지반응 부작용이 높은 약부터 리스트업한다(단계 S330).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사전에 입수된 약의 특성에 기초하여 복용약 중에서 알러지반응 부작용이 높은 약부터 리스트업할 수 있다. 즉,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알러지 반응 빈도가 높은 약들 골라낼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는 약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340),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는 약이 존재하는 경우,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한다(단계 S350).
일례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된 약물을 데이터베이스(120)의 알러지 정보(129)에 저장하고, 병의원 단말(30)로 전송하여 해당 약의 처방을 배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병의원 단말(30)은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등록된 병의원 단말이거나 복용약 정보(128)에 포함된 병의원의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병의원 단말(30)은 약 처방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을 통하여 알러지반응 약을 확인하여 등록된 약의 처방을 배제할 수 있다.
단계 S340의 판단결과,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는 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이전 복용약을 확인한다(단계 S360).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이전 복용약의 개별 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이전 복용약의 알러지반응 이력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70).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데이터베이스(120)의 복용약 정보(128) 및 알러지 정보(129)를 검색하여 이전에 복용약 중에서 알러지반응 이력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370의 판단결과, 알러지반응 이력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공통성분을 확인하고 과거력(Hx)을 정리한다(단계 S380). 즉,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이전 복용약과 현재 복용약의 공통성분을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공통성분이 있는 경우 과거력(Hx)을 정리하여 복용약 정보(128)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단계 S350으로 진행하여 확인된 이전 복용약을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370의 판단결과, 알러지반응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해당 약을 대상에서 제외한다(단계 S390). 즉,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이전 복용약 중에서 알러지반응 이력이 없는 약은 제외하고 알러지반응 이력이 있는 약만 선별하여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알러지반응 이력이 없는 경우 해당 약을 제외한 나머지 약에 대한 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같은 성분의 약이라도 첨가제가 다른 경우(예를 들면 염기가 다른 경우) 알러지 반응에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나머지 약에 대한 성분도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은 나머지 약에 대한 성분 확인결과, 알러지반응과 관련성이 있는 경우,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의 검진결과 관리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의 검진결과 관리 절차(400)는 검진결과 추출하여 발송하는 단계(S401 내지 S403), 응급이 아닌 경우 리스트업하고 내원하도록 반복적으로 안내하는 단계(S404 내지 S409), 응급인 경우 상급 병원을 방문하도록 안내하는 단계(S411 내지 S4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진결과 관리 절차는 병의원 단말(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병의원 단말(30)은 검진결과를 추출한다(단계 401). 이때, 병의원 단말(30)은 사전에 이루어진 검진결과를 종합하여 안내문을 발송하도록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병의원 단말(30)은 검진결과에 이상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402), 검진결과에 이상이 없는 경우 검진결과를 해당 환자의 사용자 단말(10)로 발송한다(단계 S403).
단계 S402의 판단결과, 검진결과에 이상이 있는 경우, 병의원 단말(30)은 현재 상태가 응급상황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404), 응급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병의원 단말(30)은 해상 환자를 관리대상으로 리스트업하고 검진결과를 발송한다(단계 S405). 이때, 병의원 단말(30)은 검진결과와 함께 내원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문을 함께 발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병의원 단말(30)은 해당 환자가 내원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406), 해당 환자가 내원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환자의 사용자 단말(10)로 검진결과 및 내원 안내를 재전송한다(단계 S407).
다음으로 병의원 단말(30)은 재발송 후 해당 환자가 내원하였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하여(단계 S408), 해당 환자가 내원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환자의 사용자 단말(10)로 전화연락한다(단계 S409).
단계 S406 및 단계 S408 각각의 판단결과, 해당 환자가 내원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병의원 단말(30)은 검진결과 관리를 종결처리한다(단계 S410).
한편, 단계 S404의 판단결과, 응급이라고 판단한 경우, 병의원 단말(30)은 해당 환자의 사용자 단말(10)로 전화연락한다(단계 S411). 이때, 병의원 단말(30) 또는 담당 의료진이나 관리자는 해당 환자가 내원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병의원 단말(30)은 해당 환자가 내원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412), 해당 환자가 내원하지 않은 경우, 해당 환자의 사용자 단말(10)로 다시 연락하고 문자를 발송한다(단계 S413).
단계 S412의 판단결과, 해당 환자가 내원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병의원 단말(30)은 상급 병원으로 이관을 의뢰한다(단계 S414). 이때, 병의원 단말(30) 또는 담당 의료진이나 관리자는 해당 환자에게 상급 병원의 방문을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병의원 단말(30)은 해당 환자가 상급병원을 방문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415), 해당 환자가 상급병원을 방문했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410으로 진행하여 검진결과 관리를 종결처리한다.
단계 S415의 판단결과, 해당 환자가 상급병원을 방문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병의원 단말(30)은 환자의 사용자 단말(10)로 연락하여 재교육 및 재의뢰를 수행한다(단계 S416).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110 : 통신부 120 : 데이터 베이스
122 : 사용자 정보 124 : 가입보험 정보
126 : 상병 정보 128 : 복용약 정보
129 : 알러지 정보 130 : 서버
132 : 보험청구 처리부 134 : 알러지 진단관리부
10 : 사용자 단말 20 : 보험사 단말
30 : 병의원 단말

Claims (5)

  1. 진단상병에 따라 보험약관을 비교하여 보험금 청구를 수행하되, 보험금 청구가 불가한 경우 보험금 청구가 가능한 유사상병을 안내하는 보험청구 처리부; 및
    복수의 약을 복용후 발생한 알러지반응 증상을 유발하는 약을 확인하여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하여 관리하는 알러지 진단관리부;
    를 포함하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청구 처리부는,
    상기 진단상병이 가입보험의 약관상의 상병과 불일치하는 경우, 진단상병군으로 확장하여 유사상병을 리스트업하고,
    해당 병의원 단말로 상기 유사상병과 상기 진단상병의 유사성을 확인요청하여 해당 병의원 단말이 승인하면, 해당 보험사 단말로 승인된 유사상병에 근거하여 상기 보험금을 청구하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험청구 처리부는 보험 청구된 유사상병을 해당 병의원 단말로 전송하여 향후 진단시 사용하도록 안내하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진단관리부는,
    복용약을 확인하여 알러지반응 부작용이 높은 약부터 리스트업하고,
    알러지반응 종류와 일치하는 약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약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전 복용약을 확인하고,
    이전 복용약의 알러지반응 이력이 있는 경우 상기 복용약과의 공통성분을 확인하고 과거력(Hx)을 정리하고,
    알러지반응 이력이 없으면 해당 약을 대상에서 제외하여,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으로 등록하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러지 진단관리부는 등록된 알러지 가능성 높은 약을 해당 병의원 단말로 전송하여 해당 약의 처방을 배제하도록 안내하는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KR1020220111361A 2022-09-02 2022-09-02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KR20240032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61A KR20240032416A (ko) 2022-09-02 2022-09-02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361A KR20240032416A (ko) 2022-09-02 2022-09-02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416A true KR20240032416A (ko) 2024-03-12

Family

ID=9029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361A KR20240032416A (ko) 2022-09-02 2022-09-02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4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482A (ko) 2018-02-26 2019-09-04 박준규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482A (ko) 2018-02-26 2019-09-04 박준규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99070B (zh) 处方推荐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90392931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 medical care, intelligent analysis, and diagnosis
US10528913B2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
US20220139568A1 (en) Virtual telemedicine mechanism
US10552581B2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
US10340034B2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
US20130173285A1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
US9330236B2 (en) Healthcare assurance system
US202002348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completion of medical record based on big data analytics
US10475142B2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
US20040078229A1 (en)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CN104364817A (zh) 用于提供透明医学治疗的系统和方法
US20130173284A1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
Maitra et al. A novel mobile application to assist maternal health workers in rural India
US1058662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healthcare outcomes based on semantic relationships
Donahue et al. Veterans health information exchange: successes and challenges of nationwide interoperability
WO2021183347A1 (en) Dynamic health records
US1064295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llecting, and configuring patient intervention screening information from a pharmacy
US20130173299A1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
US10559380B2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
US20130173301A1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
US20140297308A1 (en) Referral and record sharing systems and methods
US20230073347A1 (en) Dynamic health records
KR20240032416A (ko) 의료서비스 통합 플랫폼
US10679309B2 (en) Evidence-based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protocols